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유지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second language self by drawing out narratives on the personal experiences as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used narrative inquiry research method as a main research method because narrative inquiry i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to research in terms of respecting, understanding, and exploring experience as an approach to studying human life, so that it can derive the most in-depth meaning of experiences. Specifically, based on the design of narrative inquiry, the research was conducted cyclically in the process of ‘Being in the Field’, ‘From Field to Field Text’, ‘From Field Text to Intermediate Research Text’, and ‘From Intermediate Research Text to Research Text’. A total of six foreig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selected during the preliminary interviews and the first interview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ing their second language self based on a relatively similar learning experience. The field text was collected main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he intermediate research text was reviewed with the study participants to form the final research text. The implications of their second language self change experiences in the participants’ narratives were implicitly constructed using the metaphors ‘For a new journey’, ‘Meeting myself in a strange place’, ‘Floating after losing one's paddle’, ‘Sending a signal’, and ‘Unfinished voyage’. ‘For a new journey’ means an experience that has led research participants' lives to new experiences while meeting their own second language selves. The participants had high expectations and goals when they first learned Korean and entered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just like boarding a ship for a new journey. ‘Meeting myself in a strange place’ is an experience where participants face a new Korean language self in a strange place―a graduate school in Korea. The participants felt strange about the new place because there were more foreigners than they had imagined, and there were fewer practical classes than they had expected. ‘Floating after losing one's paddle’ means that the participants lost their paddle of Korean language, which had previously determined the direction of the ship and created motivation in their lives, thus losing their goals and powers in the graduate school process. It was influenced by the fact that it was not easy to become a Korean language teacher even after graduating from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ending a signal’ means that the participants continue to try to interact outside to find a breakthrough in their own way, instead of drifting away from what was expected. Participants in this study have tried their own experienc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uch as finding suitable friends or using the Internet to find Korean language learners outside graduate schools, making textbooks or teaching classes. ‘Unfinished voyage’ means that participants have found the potential to move forward in the future after their graduate experience of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lthough they once had a difficult time and lost their way, their new experience in a strange place has broadened the horizon of research participants' lives, and although they have not found a clear destination or goal, they can find a wide range of possibilities that they can go anywhere through their paddle of Korean language. Discussions ab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s personal just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fe experiences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ultimately it was time for me to reflect on my own graduate school experiences as well as their lives. Some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looked back on their graduate school experience and thought about how to proceed. This has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lives of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s. The practical justification is that through the voice of the participants, we can understand them and their lives deeply. The study participants are member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sometimes the highest level of learners, and sometimes the beginner level Korean language pre-teachers.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s purpose is to train Korean language teachers, helping foster more specialized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future. If they can understand the new features found in the experiences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they can adapt to the appropriate educational environment. Finally, it is social justification. With foreigners coming to Korea steadily flowing into the university, the micro approach to overseas students, or attempts to understand them as individuals, is still in a fairly weak stage. In particular, there is a lack of in-depth research to underst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ho came to learn Korean as a profession. This problem-consciousness means that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focused on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masters' degrees with a limited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discussed in-depth their experiences with Korean language self.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in-depth the process of the second language self change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rough this, we could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second language self change experience they had. This will contribute to a more detailed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self change in foreign graduat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그들의 생생한 이야기 속에 담긴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고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 퍼즐은 첫째,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이 어떠한지 탐구한다’, 둘째,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탐구한다’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는 인간의 삶을 연구하는 접근법으로 경험을 존중하고, 이해하고, 탐구하기 때문에 연구 참여자가 가지고 있는 경험의 의미를 가장 심도 있게 이끌어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에 가장 적합한 연구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내러티브 탐구의 탐구 설계에 따라 ‘연구 한가운데로 들어가기’, ‘현장에서 현장 텍스트로’, ‘현장 텍스트에서 중간 연구 텍스트로’, ‘중간 연구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로’의 과정을 순환적으로 거치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비교적 유사한 학습 경험에 따른 제2언어 자아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예비 인터뷰 대화와 1차 인터뷰 대화에서 한국어교육을 전공하는 외국인 대학원생 중 석사 과정을 졸업 또는 수료하였으며 졸업 후에도 한국에서 몇 년 간 한국어와 관련된 일을 할 계획을 가진 대학원생 총 6명을 선정하였다. 주로 심층적인 인터뷰 대화를 통해 현장 텍스트를 수집하였으며, 중간 연구 텍스트를 연구 참여자들과 함께 검토하여 최종 연구 텍스트를 구성하였다. 한국어 자아의 변화 경험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 속에서 발견한 그들의 경험의 의미는 ‘새로운 여정을 위한 승선’,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 ‘노를 잃고 표류하다’, ‘무전을 보내다’, ‘끝나지 않은 항해’라는 비유를 통해 함축적으로 구성되었다. ‘새로운 여정을 위한 승선’은 한국어를 만나면서 연구 참여자들의 삶을 새로운 경험으로 이끌었던 경험을 의미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여행을 위해 처음 배에 오를 때처럼 한국어를 처음 배울 때와 한국어교육전공 대학원에 입학했을 때 높은 기대감과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는 연구 참여자들이 한국의 대학원이라는 낯선 곳에서 새로운 자신의 한국어 자아의 모습을 직면하게 된 경험을 의미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상상했던 것과 달리 한국인보다 외국인이 더 많은 점과 실습 수업이 생각보다 적은 점 등으로 인해 새로운 장소를 낯설게 느꼈다. 또한 타인에게 저평가를 받는 경우와 한국어 수준이 모어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과거 자신의 영어 자아와 비교하는 경우에 한국어를 사용하는 또 다른 나의 모습을 마주하게 됐다. ‘노를 잃고 표류하다’는 연구 참여자들이 삶에서 이전까지 배의 방향을 결정하고 동기를 만들어주었던 한국어라는 노를 잃어버린 채 표류하는 것으로 연구 참여자들이 대학원 과정에서 한국어 관련 목표와 동력을 잃고 무기력해 하는 경험을 의미한다. 이는 모호하고 높게 설정된 한국어 이상 자아와 한국어교육전공을 졸업한 뒤에도 한국어 교사가 되는 것이 쉽지 않다는 현실에 영향을 받았다. ‘무전을 보내다’는 연구 참여자들이 기대했던 것과 다른 상황에서 표류하는 데 그치지 않고 나름대로 돌파구를 찾기 위해 바깥으로 상호작용하려는 시도를 나타낸다. 연구 참여자들은 마음이 맞는 동료를 찾거나 인터넷을 활용해서 한국어 학습자를 대학원 밖에서 직접 찾은 뒤, 교재를 만들거나 수업을 하는 등 한국어교육과 관련된 경험을 스스로 시도해 나갔다. ‘끝나지 않은 항해’는 연구 참여자들이 한국어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원 경험 속에서 앞으로 미래에 나아갈 가능성을 찾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상하고 기대했던 것과 다른 상황을 만나 어려움을 겪고 방황한 적도 있었지만 결국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난 새로운 경험은 연구 참여자들의 삶의 지평을 넓혀 주었고, 분명한 목적지나 목표를 찾은 것은 아니지만 한국어라는 노를 통해서 어디로든 갈 수 있다는 다양한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게 됐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논의는 내러티브 탐구의 개인적 정당성, 실제적 정당성, 사회적 정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먼저, 개인적 정당성이다. 외국인 대학원생의 삶의 경험에 대한 이해라는 이 논문의 목적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연구자는 그들의 삶뿐만 아니라 연구자 스스로의 대학원 경험을 돌아보고 성찰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연구 참여자 중에는 자신의 삶에 대해 누군가가 대신 자서전을 써 주는 것 같아서 좋았다고 말한 사람도 있었고, 자신의 대학원 경험을 되돌아 보면서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면 좋을지 고민해 보는 기회가 될 수 있었다는 사람도 있었다. 이처럼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삶에 변화를 가져온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교육에 전달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 즉 실제적 정당성은 연구 참여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그들과 그들의 삶을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어교육전공의 구성원으로서, 어느 때는 가장 높은 수준의 학습자이기도 하고 어느 때는 이제 막 시작 단계인 한국어 교사, 예비교사이기도 하다. 한국어교육전공은 한국어 교사를 양성하는 목적을 지닌 전공으로서 구성원에 해당하는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경험을 통해 그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교육 목표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경험에서 발견된 새로운 점들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교육환경을 맞추어 나갈 수 있게 된다면, 앞으로 더욱 전문적인 한국어 교사들을 양성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정당성이다. 한국으로 유학 오는 외국인들이 꾸준히 대학으로 유입되고 있는 가운데 유학생들에 대한 미시적 측면의 접근, 즉 그들을 한 개인으로서 이해하려는 시도는 아직까지 상당히 미약한 단계에 있다. 특히 앞으로 한국어를 가르칠 것을 직업으로 삼고자 배우러 온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들에 대한 이해를 위한 심층적인 연구도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처음으로 한국어교육전공이라는 한정적인 전공의 외국인 석사과정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그들이 한국어와 함께 지나온 경험들을 심층적으로 논의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교육전공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제2언어 자아가 변화하는 과정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그들이 가지고 있는 제2언어 자아 변화 경험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로써 외국인 대학원생들이 가지는 다양한 한국어 자아 변화 경험을 보다 자세하고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제2언어로서의 조선어 사용자의 어휘 능력과 영향 요인 연구

        현미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헤이룽장 지역의 조선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는 조선족 학생들의 조선어 어휘 능력을 측정하고 이들의 조선어 어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간 청소년이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제2언어의 어휘 습득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했고, 대부분의 어휘 능력 측정 연구는 자가 평가의 형식으로 되어 객관적이지 못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고의 연구대상인 헤이룽장 지역의 조선족 고등학생은 조선어를 제2언어로 하는 한어-조선어 이중언어 학습자이다. 이들은 같은 교육과정에서 교육을 받고 비슷한 언어 환경에서 조선어를 학습하지만 어휘 능력의 발달정도에는 큰 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그 차이를 밝히기 위해 이들의 어휘 능력을 측정하고 어휘 능력에 어떤 요인이 작용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문제에 대해 규명하고 이중언어 능력과 발달, 조선어 교육의 실태, 어휘 능력의 측정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기존의 연구에 대한 검토를 통해 조선족과 조선어의 교육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이중언어 화자와 이중언어 능력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어휘 능력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어휘 능력 측정의 방법에 대해 고찰하고, 본고에서 사용할 어휘 능력 측정도구를 선정하였다. Ⅲ장과 Ⅳ장에서는 헤이룽장 지역의 조선족 학습자를 대상으로 어휘 능력을 측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어휘 능력 영향 요인의 분석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문헌분석을 통해 어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예상 요인으로 구성되었고 어휘 능력 평가는 REVT어휘 능력 측정지의 문항을 연구대상의 연령에 따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독립표본 T검정(One sample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 요인분석(Factor Analysis),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고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한 경우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절차에 따라 본고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헤이룽장 지역의 조선족 고등학생의 표현어휘 능력과 수용어휘 능력은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수용어휘 능력이 표현어휘 능력보다 현저히 발달하였다. 둘째, 어종별 어휘 능력과 품사별 어휘 능력에서는 모두 평균의 차이가 있었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한국어와 조선어의 표기법이 다른 어휘의 정답 양상을 볼 때 표기법의 차이로 인해 일부 표현어휘 문항은 다른 문항보다 낮은 정답률을 보였지만 수용어휘 능력의 경우 한국어와 조선어의 표기법의 차이로 인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넷째, 성별과 학년에 따른 어휘 능력을 볼 때 성별에 따른 어휘 능력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고, 학년에 따른 어휘 능력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1학년과 3학년의 어휘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고, 1학년과 2학년, 2학년과 3학년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끝으로 헤이룽장 지역의 조선족 고등학생의 어휘 능력을 측정하고 요인과 관련된 특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어휘 능력에 의미 있는 영향 요인으로 조선어 사용 빈도 요인, 언어학습에 대한 태도와 인식 요인, 제1언어 능력 요인, 언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요인, 미디어를 통한 언어의 입력 요인과 같은 5개의 요인이 확인되었다. 추출된 5개의 요인들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표현어휘 능력과 수용어휘 능력 모두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5개의 요인이 표현어휘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총 50.3%이고, 수용어휘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66.0%이다. 본 연구는 분석을 통해 헤이룽장 지역의 조선족 고등학생의 어휘 능력의 특성을 알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헤이룽장 지역의 조선어 교육의 현황에 부합하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Korean lexical knowledge of ethnic Koreans in China and to find out factors that effects on it. Adult second language learners’ L2 vocabulary acquisition was less investigated and most of the lexical knowledge was measured by self-assessment, which leads to the limitation of objectivity. This study focused on Chinese-Korean bilingual highschool students, and they learn Korean as their second language. Though they are in similar educational and linguistical background, there was a noticeable difference in their lexical ability. Thus, their lexical ability was measured and the factors that effect on it was analysed. In chapter 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resented and previous researches on bilingual development, (ethnic)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and lexical ability assessment was summarized. In chapter II, ethnic Koreans in China and their education and language was further investigated. Theoretical backgrounds of bilinguals and bilingual ability was also examined to find out the factors on vocabulary acquisition. Also, after reviewing a few standardized tools, REVT was selected as a lexical assessment tool for this study. In Chapter III and IV, a lexical ability assessment as well as a survey to collect information for factor analysis was done to ethnic Koreans in Heilongjiang. The assessment tool was a modified version of REVT, which is more appropriate for the participants’ age and. The survey questions were select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The data collected from the assessment and survey was statistically anayzed with t-test, ANOVA, factor anaysis and regression by using SPSS software. The result shows 1) highschool students in Heliongjiang show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expressive and receptive lexical ability, but their receptive lexical ability was far better then the expressive lexical ability. 2) There were descriptive difference lexical ability by vocabulary type and category,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Items that differs in orthographic system but not in meaning, compared to other items, showed lower correction rate in expressive ability, but not in receptive ability. 4) Gender didn’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exical ability, but school year did. 5) Five main factors, use of language, attitude and recognition towards language learning, L1 ability,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the language, input from mass/personal media was found out. These 5 factors showed high correlation in between and with both receptive and expressive lexical ability. These factors counted total 50.3% of the explanatory power of expressive lexical ability and 66.0% of the explanatory power of receptive lexical ability.

      • 제2언어 영어교육 연구 동향 메타 연구 : 영어교육지와 ELT 저널을 중심으로 비교분석

        이성희 성균관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제2언어 영어교육에 관한 주제로 2008년부터 2017년까지 교육과 관련된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함을 통하여, 한국의 제2언어교육에 대해서 최근 10년간의 연구 방향과 현황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토대로 국내 제2언어교육 연구자들에게 향후의 연구 동향에 대한 길잡이 역할을 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제까지 제2언어 영어교육에 있어 본 연구와 같은 문헌종합 연구가 국내에서도 어느 정도 있어 왔던 것은 사실이나 그 수가 상당히 부족하고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서만 연구되어 왔기에 다양성과 풍부함을 갖추지 못했다. 그리하여 본 논문을 통해 이러한 제2언어 영어교육 연구에 대한 방향을 파악할 수 있고, 국외 연구와 함께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세계적인 추이에 따른 국내 연구의 추후 진로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제2언어 영어교육에 대한 문헌종합 연구를 하기 위해서 연구 기준을 세우는 것은 중요하여 현행 연구 중 가장 넓은 틀에서 연구방향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총 10년 동안의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방법, 연구주제, 그리고 목표 언어기능을 연도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정한 제2언어 영어교육에 관한 총 405편의 국내 학술지 영어교육(English Teaching) 논문과 총 320편의 국외 학술지 ELT journal 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방법에 있어 국내 연구는 양적 연구는 총 163편(41%)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국외 연구는 질적 연구가 총 140편(43.75%), 혼합 연구가 63편(19.68%)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셋째, 연구주제를 살펴보면, 11가지 항목 가운데 ‘영어습득/학습’ 분야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여주면서 국내에서는 148편(36.5%), 국외에서는 75편(23.4%)의 연구가 있다. 넷째, 목표 언어기능을 보면 기타 연구를 제외하고 국내에서는 쓰기 81편(20%), 문법 66편(16%), 말하기 42편(10.3%), 국외에서는 쓰기 45편(14%), 말하기 43편(13%), 화용 20편(6%)으로 비중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학술지를 비교해 보면 국내 학술지와 국외 학술지는 동일한 양상을 띠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국내외 통신의 기술이 발달하고 글로벌 세계로 나아가 국내외 많은 교류가 있으면서 국내외 학계에서 공통된 관심 분야로 상당히 많은 것을 공유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연구는 문헌종합 연구로서 현행 교육계의 제2언어 영어교육의 중심과 흐름을 정리하여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 학문적 방향을 고찰할 때 어떠한 부분에 대해서 더욱 관심을 가져 깊이있게 살펴볼 필요가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제2언어 영어학습에 있어서 문헌종합 연구가 국내외 연구자들이 더욱 견고하고 다양성을 겸비한 틀을 갖추어 연구할 것은 필요적이고 유의미하다. This article compares recent topical and methodological trends in L2 learning research published in one domestic (English Teaching) and one international journal (ELT journal) from 2008 to 2017. The journal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extent to which the area of L2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is given impact factors at the time of data collection in the total number of articles during the period. A total of 725 artic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research themes and target languages skills. Results reveal tha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change in domestic research over the past ten years when compared to survey before 2008. The result show that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as higher tha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English Teaching while, in ELT journal, more than about 47 percent of the articles relied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long with a relatively larger proportion of mixed method research in English Teaching. As for research topic, article based on acquisition/learning theories have been published most both in English Teaching and ELT journal. In terms of target language skills, writing has been studied most in both English Teaching and ELT journal.

      • (The) effects of cross-linguistic influence and L2 proficiency on the second language written production of English dative constructions : a corpus-based study

        이현전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코퍼스를 기반으로 하여 언어간 영향과 제 2언어 능숙도가 이중언어 화자들의 영어 여격 구문 사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자 했다. 이중 목적어 구문과 전치사 여격 구문으로 이루어져 있는 여격 구문에 대한 연구는 제2언어 습득 분야에서 꾸준히 행해졌다. 여러 언어들 속 여격 구문의 의미적, 통사적 가변성으로 인해 그 중에서도 특히 여격 구문은 언어간 영향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에 의미 있는 평가 척도가 되었다. 이를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ICNALE (International Corpus Network of Asian Learners of English) 속 중국인, 한국인, 일본인 영어 학습자들과 영어 원어민 화자들의 에세이 코퍼스를 사용하여 이들의 여격 구문 사용 빈도 비교를 통해 언어간 영향과 제2언어 능숙도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영어, 중국어, 한국어, 그리고 일본어 여격 구문들은 구조적, 의미적, 문법적 인식에 있어서 각각 차이가 있는데, 우선 중국어 여격 구문은 영어 여격 구문과 전반적으로 문장 구조가 유사하며 이중 목적어 구문과 전치사 여격 구문으로 명확하게 구분되는 등 상당한 공통점을 지닌다. 반면에 한국어와 일본어 여격 구문들은 영어 여격 구문과는 문장 구조에서도 차이가 있고 이중 목적어 구문은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전치사 여격 구문에만 강한 의존성을 보인다. 이러한 사실을 기반으로, 여격 구문에 있어서 언어간 유사점과 차이점이 중국인, 한국인, 일본인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여격 구문 사용 양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한 것이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제2언어 능숙도에 따라 이중언어 학습자들의 모국어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가능성, 즉 학습자들의 제2언어 능숙도가 높을수록 모국어의 영향력은 줄어든다는 점을 고려하여 제2언어 능숙도와 이중언어 학습자들의 영어 여격 구문 사용 사이의 관계 역시 보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언어간 영향은 이중언어 학습자들의 영어 여격 구문 사용에 영향을 미쳐 이들의 사용 패턴을 통해 그 관계성이 드러났으나 제2언어 능숙도는 영어 여격 구문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먼저 중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그들의 에세이에서 한국인과 일본인 이중언어 화자들보다 유의미하게 많이 영어 이중 목적어 구문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모국어에서도 이중 목적어 구문이 익숙한 중국인 학습자들이 언어간 영향을 받아 이중 목적어 구문이 익숙하지 않은 한국인과 일본인 학습자들보다 영어 이중 목적어 구문도 더 많이 사용이 가능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반면에 한국인과 일본인 학습자들간의 영어 여격 구문 사용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는데, 이것 역시 비슷한 성격의 한국어와 일본어 여격 구문 사용 패턴이 영어 여격 구문 사용에도 영향을 미쳐 한국인과 일본인 학습자들로 하여금 서로 유사한 영어 여격 구문 사용 양상을 나타나게 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영어 원어민 그룹과의 비교에서도 중국인 학습자들만 유의미한 차이를 드러내지 않았으며 이는 중국어와 영어의 여격 구문 간의 유사성의 영향을 받아 중국인 학습자들만이 영어 원어민에 가깝게 여격 구문을 사용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의 결과는 제2언어 능숙도는 이중언어 학습자들의 영어 여격 구문 사용과 관계가 없다고 밝혔는데, 영어 여격 구문 사용에 있어서 영어 능숙도가 높은 모든 이중언어 학습자들과 능숙도가 낮은 학습자들 사이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기 때문이다. 영어 원어민 그룹과의 비교 분석에서도 중국인 advanced 그룹과 beginner 그룹만이 원어민에 유사한 여격 사용 양상을 보였으며 한국인과 일본인 학습자들은 영어 능숙도와 관계 없이 모두 영어 원어민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이중언어 학습자들이 영어 여격 구문 사용에 모국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는 것을 드러낸다. 더욱이 이는 이중언어 학습자들을 가르치는 선생님들로 하여금 영어 여격 구문을 가르칠 때, 모국어의 영향에서 비롯되는 언어 습득의 어려움에 대한 고려를 제시하는 교육적 함의를 내포한다. This thesis performed corpus-based analys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ross-linguistic influence and second language (L2) proficiency on the production of English dative constructions. Dative constructions – the double object (DO, e.g., Tom gave Mary a book) and the prepositional dative (PD, e.g., Tom gave a book to Mary) construction –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in L2 acquisition and production, with a particular focus on cross-linguistic influence due to their syntactic and semantic variability across many languages (Inagaki, 1997; Whong-Barr & Schwartz, 2002; Yook, 2012). The present study particularly analyzed the use of English dative constructions from the written corpus of Chinese, Korean, and Japanese EFL learners and English native speakers to examine the efficacy of cross-linguistic influence. Investigating the three different EFL learner groups provided an ideal testing ground since these three languages differ in terms of the semantic and structural perception of dative constructions. Chinese dative construction is the most analogous to the English dative construction as both languages have DO and PD constructions and share similar dative structures. However, dative sentences in Korean and Japanese are different from the English counterparts because they have a marked preference for PD structure and even indicate the imprecise classification of DO and PD constructions. This thesis also scrutinized L2 proficiency effects since proficiency plays a crucial role in the L2 production of English dative constructions. Specifically, this research predicted that EFL learners will be less likely affected by the L1 transfer and show more native-like use of the dative constructions as their proficiency is higher. To address these points, the study compared the frequency of English dative constructions in the writings of Chinese, Korean and Japanese speakers to each other, and also with that of English native speakers using ICNALE. The results indicated that (ⅰ) the Chinese group used significantly more DO constructions than the Korean and Japanese groups and showed the most native-like use of English dative constructions; (ⅱ) the Korean and Japanese groups were failed to show the native-like use of English and expos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each other in using English DO and PD constructions, implying a preference for the PD structure; (ⅲ) however, the L2 proficiency was not related to the EFL learners’ production of English dative sentences. These overall findings suggested that cross-linguistic influence, but not L2 proficiency, significantly impacted the EFL learners’ acquisi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dative constructions. The thesis discussed these findings in terms of several pedagogical implications.

      • 한국어 모어 화자의 독일어 습득과 공간 인지 연구 : ‘-위에’를 의미하는 독일어 및 영어 전치사를 중심으로

        박혜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Diese Arbeit setzt voraus, dass die Schwierigkeit eines koreanischen Muttersprachlers beim Spracherwerb der Zielsprache Deutsch in den unterschiedlichen Kognitionssystemen liegt. Dadurch wird die Frage gestellt, ob der gesteuerte DaF-Unterricht in Korea dieses grundlegende Kognitionssystem des Menschen, das auch dem Erwerb der Muttersprache vorangeht, überwinden kann, oder wenn nicht, was für Hindernisse existieren, die derartige Überwindungen verhindern. Hierfür wird in empirischen Experimenten der Gebrauch von Präpositionen im Deutschen und Englischen als auch der lokativen Partikel des Koreanischen untersucht. Die Entscheidung, den englischen Fremdsprachenerwerb in diesem Aufsatz einzuschließen, ist in der gegenwärtigen Fremdsprachenausbildung in Korea begründet, die im generellen Fall mit Englisch als L2 beginnt und sich darauffolgend mit L3 fortsetzt. Daraufhin werden Fremdsprachentheorien wie die kontrastive Analyse, die Fehleranalyse, Phänomene des Transfers und der Interferenz, typologische Universalien und die Markiertheitstheorie verwendet, um das Ausmaß und die Weise des Erwerbs raumbezogener Präpositionen im Deutschen und Englischen, die im Koreanischen mit ‘-위에(ui-e)’ ausgedrückt werden, zu analysieren. Zudem wird auf der kognitiven Philologie basierend der L2-Spracherwerb im Zusammenhang mit der Markiertheitstheorie argumentiert. Langecker zufolge werden durch die deutschen Präpositionen wie ‘an’, ‘auf’ und ‘über’, als auch durch die englischen Präpositionen wie ‘on’, ‘above’ und ‘over’ Protoszenen dargestellt, wobei Begriffe wie “landmark” und “trajector” von Gebrauch sind. Dem Gebrauch der jeweiligen Präpositionen und deren Verben wie ‘stehen’, ‘liegen’ und ‘hängen’ entsprechend, wurden mit koreanischen Muttersprachlern empirische Experimente durchgeführt, wobei koreanische Muttersprachler die Versuchsgruppe darstellten und deutsche als deren Kontrollgruppe - alle anderen Variablen wurden möglichst reguliert. Es war zu beobachten, dass die Versuchspersonen bzw. die koreanischen Muttersprachler Probleme hatten die raumbezogenen Präpositionen den jeweiligen Situationen wie berührt/getrennt oder vertikal/horizontal dementsprechend richtig anzuwenden. Außerdem wurde herausgestellt, dass je nach der berührt-/getrennten oder vertikal-/horizontalen Situation die deutschen Präpositionen markiert waren, darauffolgend die englischen im geringeren Maße markiert waren und die koreanischen unmarkiert waren. Vergleichsergebnisse von entsprechenden Experimentsaufgaben zwischen dem Deutschen und Englischen zeigen, dass in der Maßgabe der korrekten Antworten zwar Unterschiede vorhanden waren, aber dass sich die Art und Weise der Fehler ähnelten. Es wurde zwischen dem Deutschen und Englischen eine Intervention bzw. Transfer vorausgesehen, wodurch der Befragte, der im Englischen die korrekte Antwort angegeben hatte auch im Deutschen die korrekte Antwort vorzeigen würde oder umgekehrt, was sich aber nicht erwiesen ließ. Daneben wurde festgestellt, dass gute Englisch-Sprachfähigkeiten hier nicht zu guten Deutsch-Fähigkeiten führten. Da selbst die Zielsprache relativ gut Beherrschende in den Experimenten Schwierigkeiten zeigten, ist die Folgerung zu ziehen, dass außer den Muttersprachlern der Zielsprache Muttersprachlern anderer Lernersprachen es schwer fallen wird, die feinen Differenzen des raumbezogenen Kognitonssystems der Zielsprache zu unterscheiden. Es kann nicht behauptet werden, dass der in dieser Forschung untersuchte und hervorgehobene Grund, der einzige Bestandteil ist, der bei der Expressivitätsfähigkeit einer bestimmten Sprache eingreift. Trotzdem ist die Studie von Bedeutung, da sie aufgrund vielfältiger Resultate von Versuchspersonen einer einheitlichen Gruppe den aktuellen Fremdsprachenerwerb Koreas zusammengefasst hat und wenigstens ein Problem beim Fremdsprachenerwerb eines koreanischen Muttersprachlers nachweisbar aufgeklärt hat. Außerdem werden durch die Ausbildungstendenz mehrere Fremdsprachen zu lernen, wissenschaftliche Untersuchungen erforderlich, um mehrere Sprachen zu vergleichen, die dabei erwarteten Aufgaben wesentlich vorauszuberechnen und zugleich deren Lösungen herauszufinden. So sollte auch der DaF-Unterricht effektiver gestaltet werden. Im tatsächlichen Alltag oft gebrauchte und in den verschiedensten Sachverhalten anwendbare Formulierungen der Zielsprache sollten komplementiert werden, der Lernersprache sollte eine Nutzbarkeit als Diagnose stellendes Instrument beigelegt werden und letztlich sollte aufmerksames Interesse unterstrichen werden, sodass die Hindernisse zum Kognitionssystem der Zielsprache möglichst eingegrenzt werden. 본 논문은 한국어 모어 화자가 외국어로서 독일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부딪히게 되는 난관 중 하나가 목표어(Zielsprache) 모어 화자와는 다른 언어적 인지 체계에 기인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 연구의 시작점은 일반적으로 한국에서 통제(gesteuert)된 형태로 진행되는 외국어로서의 독일어(DaF) 학습을 통해 모국어의 습득보다 선행하는 인간의 기본적인 언어 인지체계의 차이가 극복될 수 있는지, 그렇지 않다면 어떠한 어려움이 뒤따르는지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비롯된다. 본 연구자는 위 논제를 풀어가기 위해 독일어, 영어의 전치사와 한국어의 처소격조사를 소재로 하여 실험적 경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영어의 습득 또한 논의에 포함한 것은 L2의 습득을 영어로 시작하여 L3를 습득하게 되는 한국의 일반적인 외국어 교육상황을 반영하여 현재 한국의 외국어 교육실정을 다각도로 모색해 보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한국어 모어 화자가 ‘-(위)에’를 의미하는 독일어와 영어의 공간 전치사를 인지적으로 습득하는데 있어 모국어와 목표어 간의 차이와 습득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제2언어 습득 관련 이론인 대조분석가설(kontrastive Analyse), 오류분석가설(Fehleranalyse), 모국어 전이(Transfer)와 간섭(Interferenz) 현상과 더불어 유형론적 보편성(typologische Universalien)과 유표성 이론(Markiertheitstheorie)을 살펴보았다. 또한 인지언어학을 바탕으로 Langacker가 제시한 ‘지표(landmark)’와 ‘탄도체(trajector)’의 개념을 빌어 독일어 전치사 ‘an’, ‘auf’, ‘über’와 영어 전치사 ‘on’, ‘above’, ‘over’의 원형장면(Protoszene)이 제시하는 의미 내에서 제2언어 습득과 유표성 이론을 연관지어 논해 보았다. 본 논문은 위치상황별로 알맞은 공간 전치사와 동사 ‘stehen’, ‘liegen’, ‘hängen’를 선택하도록 발화실험 문항에 적용한 후, 실험집단은 한국어 모어 화자, 통제집단으로 독일어 모어 화자로 설정하고 가능한 변인을 통제하여 실험을 실행하였다. 실험 결과, 한국어 모어 화자는 ‘-(위)에’를 의미하는 영어의 공간 전치사(한국어의 처소격조사)를 ‘접촉-분리’의 위치상황에서 차이를 구분하는 데에, 또한 독일어 전치사는 이에 추가적으로 ‘수직-수평’ 상황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독일어는 접촉과 분리, 수직과 수평 상황을 구분하는 전치사의 쓰임이 영어보다 유표적(markiert)이며 영어 전치사의 구분은 한국어보다 더 유표적임을 알 수 있었다. 독일어-영어의 관계를 보면 탄도체와 지표의 동일한 위치상황을 제시한 독일어와 영어문항에서 정답률의 차이를 보였지만 오류의 양상이나 유형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 때 독일어와 영어 간의 간섭 내지는 전이가 기대되었지만 이것은 영어문항에 옳은 답변을 한 피실험자가 동일한 독일어 문항에 정답을 기재하는 현상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나거나 그 역의 결과로 연결될 수 없었다. 그리고 영어권에서의 체류 경험으로 인해 영어의 수준이 비교적 높을 것이라 예상한 피실험자의 경우, 숙달된 영어실력이 독일어로 이어지지 못했다. 이 결과는 독일어가 비교적 숙달된 피실험자의 경우에도 적용되어 목표어 모어 화자에게 가능한 공간 인지체계상의 미세한 구분이 목표어를 외국어로 습득하는 학습자에게 쉽지 않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언어능력 발현에 있어 본 논문에서 결론내린 이유만이 유일한 요인이라 단정지을 수 없고 그 외에 여러 배제할 수 없는 변수가 존재함에는 논쟁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동일한 집단에 소속된 피실험자들의 다양한 발화 실험결과를 한국의 제2언어 습득 현실을 반영하여 분석하였다는 점과 한국어 모어 화자가 제2언어를 습득하는 데에 있어 어려움을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를 실증적으로 증명했다는 점에 무게를 두겠다. 다언어교육에 더욱 초점이 맞춰지는 교육실정에 따라 여러 언어를 비교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예측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그리하여 보다 효과적인 외국어 교육을 위해서 교수자는 실제 생활에서 빈번히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사건상황(Sachverhalt)을 다루어 학습자가 해당 목표어 표현을 보완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학습자 언어(Lernersprache)에 진단적인 가치를 부여하며 이에 면밀한 관심을 강조하는 등 목표어 인지체계의 장벽을 최소화하기 위한 충분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제2언어 학습 동기, 불안 및 자아 분석 연구 :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하여

        장아남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based on L2 motivational self system, aimed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the L2 self in the KSL education environment, the influence of motivated behaviors and the foreign language anxiety to each other, and the roles of self about Chinese learners in Korea. The respondents are Chinese learners with different degree of proficiency. For this purpose, using several research problem as follow. First,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oficiency of Korea language, what are the differences of L2 motivational self system about Chinese learners? Second,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oficiency of Korea language of Chinese learners, what are the differences of motivated behaviors? Third, what are the differences of foreign language anxiety about Chinese learners due to degree of proficiency of Korea language? And the last research problem is the relationships and roles between L2 motivational self system, motivated behaviors and foreign language anxiety to each other in the KSL education environment.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foreign learners who are studying in the universities and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capital area as subjects. The result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1.0 software. In addition, to investigate the details not significant in survey, interviewed for 3 learners of prim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respectively. The critical results are summarized in several following points: First, there were signification differences of L2 motivational self system between Chinese learners to each other according to different degree of proficiency. The advanced learners were shown more ideal L2 self than primary and intermediate learners, and the primary learners were shown the most ought-to L2 self. Especially with learners increasing the degree of proficiency, the ought-to L2 self were be convert to the ideal L2 self. Second, according to different degree of proficiency, there were signification differences of foreign language anxiety between Chinese learners. The intermediate learners were shown signification differences of foreign language anxiety with the primary and advanced learners, and no signification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primary and advanced learners groups. Also, the various experiences of foreign language anxiety of three group learners in deep interview. Third, it was shown the three factors of L2 motivational self system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the motivated behaviors. The motivated behaviors of learners were increasing with enhance the ideal L2 self in advanced learners group. And motivated behaviors were increasing with ought-to L2 self growing in intermediate learners group, active and compulsory motivation have positive influence on all intent effort. Fourth, the foreign language anxiety of Chinese learners impacts motivated behaviors positively and negatively at the same time. The foreign language anxiety and motivated behaviors have negative influence to each other in primary learners group, nonetheless, the foreign language anxiety impacts motivated behaviors positively i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groups. Fifth, there was found the three factors of L2 motivational self system have important influence on all the foreign language anxiety. It was shown, with enhance the ideal L2 self, the learners were get foreign language anxiety decreasing. In addition, the foreign language anxiety increasing with get more motivation through ought-to L2 self, great L2 study experience were decreasing the Korea language anxiety. In this study,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L2 motivational self system, the L2 self types of learners with different degree of proficiency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ypes and foreign language anxiety were investigated.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teachers in the KSL education environment to assess the learners’ Korean level and provide classroom environment in which the ideal L2 self can be used actively. 본 연구는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에 기반을 두고 한국어 숙달도가 다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가 KSL 교육 환경에서 어떻게 형성되는지,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와 동기화된 행동 그리고 외국어 불안이 서로 어떤 영향을 주는지, 한국어 학습에서 나타나는 중국인 학습자들의 자아인지의 역할이 무엇인지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국인 학습자의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는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국인 학습자의 동기화된 행동은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국인 학습자의 외국어 불안은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넷째, KSL 교육 환경에서 중국인 학습자의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 동기화된 행동과 외국어 불안은 어떠한 상관관계를 보이는가? 서로 간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는가? 본 연구는 먼저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하는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과 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인 학습자 총 2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빈도 분석, 일원분산분석, 그리고 이변량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 결과에 뚜렷하게 나타나지 못한 내용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에 참여한 학습자들 중에 각 변인의 평균 수치를 가지고 있는 초급, 중급, 고급 각 3명씩 총 9명을 선정하여 한 사람 당 30분 내외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서 중국인 학습자의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는 서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급 학습자는 초급 학습자와 중급 학습자보다 더욱 큰 이상적 제2언어 자아를 보인 반면, 초급 학습자는 더욱 큰 필연적 제2언어 자아를 보였다. 특히,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학습자의 필연적 제2언어 자아가 이상적 제2언어 자아로 전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서 중국인 학습자의 외국어 불안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급 학습자는 초급 학습자 및 고급 학습자와 외국어 불안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초급 학습자과 고급 학습자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학습자들의 심층 인터뷰에서 세 집단의 학습자들은 다양한 외국어 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의 세 요인은 모두 동기화된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급 학습자 집단에서는 이상적 제2언어 자아가 강할수록 학습자의 동기화된 행동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지만 중급 학습자 집단에서는 필연적 제2언아 자아가 클수록 동기화된 행동이 증가하여 능동적인 동기와 의무적인 동기가 학습에 대한 의도적인 노력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외국어 불안은 동기화된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촉진을 불러오고 동시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방해를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초급 학습자 집단에서는 외국어 불안과 동기화된 행동이 서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반면, 중급 학습자 집단과 고급 학습자 집단에서는 외국어 불안이 동기화된 행동에 촉진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의 세 요인이 모두 외국어 불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학습자들의 이상적 제2언어 자아가 강할수록 그들은 한국어 학습과 사용에서 더 적은 외국어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필연적 제2언어 자아를 통해 받은 동기가 크면 클수록 학습자들은 더 많은 외국어 불안을 갖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좋은 제2언어 학습경험은 한국어 불안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는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를 한국어 교육에 적용하여 숙달도에 따른 학습자의 제2언어 자아 유형을 파악하고 외국어 불안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KSL 교육 환경에서 교사가 학습자의 제2언어 동기적 자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실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어 오류 분석 연구

        김슬나 경인교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일어나는 제1언어 일본어와 제2언어 혹은 외국어인 한국어 사이의 간섭과 일반화의 오류 현상을 통하여 한자어 오류를 줄이기 위한 교육 방향을 제시함에 있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표와 선행 연구들을 제시하였다. 일본어와 한국어의 공통점으로 한자권 문화와 어순을 들 수 있다. 그 중 같은 한자권 문화이기에 가능한 특징 있는 오류들을 파악하고 교육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 한국어 한자어 교육 연구의 흐름을 선행 연구를 통해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일본어권 중급 학습자 150명, 고급 학습자 150명으로 총 300명이다. 문법적 오류와 고유어 오류를 제외한 한자어 오류를 연구하기 위해 보다 많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오류의 빈도와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의사소통 능력에 있어 유창함보다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한 쓰기 자료를 분석하고자 평가용 쓰기 결과물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국립국제교육원에서 실시하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 제 28회(2012.10.28.시행), 제 30회(2013.04.22.) 서답형 문항의 답안이 그 대상이다. 2장의 이론적 고찰에서는 크게 세 가지 이론과 오류에 관해 다루었다. 언어 간 관계와 오류를 연구함에 필수적인 대조 분석 가설과 중간 언어 가설, 오류 분석 가설이 그것이다. 오류와 실수에 대해서는 Brown(1980)과 James(1998, P.83)의 정의를 들어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rown(1980)의 “실수는 이미 알고 있는 언어 체계를 정확하게 활용하지 못하고 닥치는 대로 무작위로 추측하는 등 언어 수행 상의 오류를 말한다.”라는 오류 정의와 맥락을 함께한다. 3장에서는 오류 분석 기준을 형태 오류와 의미 관계상의 오류를 구분 후, 의미 관계상의 오류를 다시 언어 간 전이인 제1언어의 간섭과 언어 내 전이인 제2언어의 과잉일반화로 나누었다. 제1언어의 간섭을 다시 제2언어를 신조하는 경우와 제1언어의 유의어를 사용하는 경우, 제1언어의 동의어를 사용하는 경우로 나누었다. 제2언어의 과잉일반화는 제2언어를 신조하는 경우와 제2언어 중 유의어를 사용하는 경우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각 오류가 속한 오류문과 오류가 일어난 의미 변환의 과정을 함께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의 오류 분석 기준을 토대로 어떤 분류의 오류가 빈번히 일어났으며 왜 그러한지 이유 파악을 함께 하였다. 학습자 숙달도에 따르면 중급 학습자와 고급 학습자 모두 형태 오류가 가장 많았다. 중급 학습자의 오류 중 형태 오류를 제외한 의미 관계적 오류에서는 L1 간섭으로 인해 L2 한자어를 신조하는 오류가 가장 빈도가 높았다. 고급 학습자에게서는 L2의 과잉일반화에 의한 유의어 오류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보았을 때, 한국어 교육에서 한자어 어휘 교육 중 총체적 오류가 일어나지 않도록 나아가야하는 교육 방향은 과제 중심 통합교육이 아닌 어휘 중심 집중 교육이다. 아울러 각 유형별 오류를 줄일 수 있는 학습 방향과 학습자 수준별로 오류를 줄이는 학습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마지막 5장에서는 본 연구의 흐름 정리를 통해서 연구의 결론과 교육 방향을 다시 한 번 제시하였다. 현행되어 오던 과제 중심 통합 교육이 어휘의 학습 확장에 도움이 되지 못한 상황과 오류가 실제로 발생하는 현상을 통해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한자어 어휘 중심 집중 교육이 필요함을 알았다. 앞으로의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어 학습의 방향이 전환되기를 기대한다.

      • 한국인의 영어 문장 처리전략 : 관계절 구문의 중의성 해소를 중심으로

        모기룡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case of relative clause, which is modified by two NPs connected with possessive ‘of’, clause could be attached either of NPs, so it is ambiguous. It is neither obligatory nor automatically resolved. It has to do with language specific element various across languages. Whether clause is attached to high position (i.e. Head NP), or low position (i.e. adjunct phrase) is different among languages and it had been studied for years. There have been theories explaining different strategies of disambiguity in languages. (i.e. Modifier straddling hypothesis, Predicate Proximity & Recency, Construal, Tuning) Along with these theories, there have been L2 researches that study disambiguous strategies. These L2 studies of linguistic performance, which are language specific and L2 sentence processing strategies, help study L2 acquisition. This paper focuses on how to process ambiguous sentences when Koreans, who are not fluent English speakers, read English sentence as L2 from the viewpoint of L2 linguistic performance research. Through this research, it can be identified whether transfer from L1 is detected or general cognitive principle is used. Also studies about ambiguous sentence processing in L2 can show different results along with subjects’ L2 competence and age of acquisition. Recent studies have showed that Korean prefers high attachment(HA) and English prefers low attachment(LA) or does not have any preference. From this result, if Korean L2 learners of English show preference of HA in English ambiguous relative sentences, it can be said that the transfer of Korean as L1 on English as L2 is shown. If L2 learners prefer LA, it would be followed by general cognitive strategy, or result from learned English attachment preference. To verify this hypothesis, on-line experiment, self-paced reading task using computer and off-line experiment, questionnaire have been conducted.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preference to HA was prominent both on-line and off-line t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based on the fact that Korean is the language of HA preferences, Korean L2 learners of English not very fluent English speakers, transferred L1 processing strategy to L2 in disambiguating relative clauses. Chapter 1 deals with the brief introduction about psycholinguistics and disambiguity strategy in relative clause in sentence processing. In chapter 2, we introduced the established theories in syntactic processing. Also we deal with the issue on attachment of ambiguous relative clause, which is not explained by general parsing principle. Several theories of reason why generality across languages are not shown are presented. In 2.2, different features and variations in L2 acquisi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age of L2 acquisition are delineated and then, early studies in L2 processing and strategies of attachment in ambiguous relative clause are described. Chapter 3 is about experiment procedures and results about disambiguity in ambiguous relative clause attachment preference. In chapter 4, results from experiment in chapter 3 are compared with early studies and considered their causes. In chapter 5, conclusion in this paper is made and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and Koreans of L2 learners of English are dealt. 소유격 of로 연결된 두 NP 영역을 수식하는 관계절의 경우에, 관계절이 두 NP중 수형도에서 높은 위치에 있는 핵어에 부착되거나 낮은 위치에 있는 보충어에 부착되는 중의성을 가지게 된다. 그것은 구조적이거나 자동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언어 간에 보편적이지 않은 언어 특정적 요인이 작용하게 된다. 관계절이 높은 위치(핵어)에 부착되는가, 낮은 위치(보충어)에 부착되는가 하는 것은 언어 간 선호도가 상이하게 나타나며, 그 원인을 밝히기 위한 연구들이 있어왔다. 언어 간 다른 처리전략을 가지는 원인을 설명한 대표적인 이론으로, 수식어걸침가설(Modifier straddling hypothesis), 술어근접성과 최신성(Predicate Proximity & Recency)이론, 해석(Construal)이론, 조정(Tuning)이론이 있었다. 더불어 모국어가 아닌 L2를 대상으로 해서 중의적 관계절 처리 전략에 대한 연구도 있어왔다. 이러한 L2의 언어수행에 대한 연구는 언어 특정적인 처리전략과 L2처리 전략을 연구하여 L2습득 연구에 도움을 준다. 본 논문은 L2 연구의 언어 수행적 관점에서, 영어 실력이 높지 않은 한국인들이 영어를 해석할 때 중의적인 관계절 처리를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L2 관계절 부착처리 연구로 인해 L1에서 L2로의 전이효과가 일어나는지 아니면 보편적 인지처리원리를 따르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L2 중의적 관계절 처리 연구는 피험자의 L2능력과 학습시기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일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 한국어는 높은 부착(High Attachment)를 선호하는 언어이고, 영어는 낮은 부착(Low Attachment)를 선호하거나 어떠한 선호도 보이지 않았다는 연구결과가 있었다. 그것을 바탕으로, 만약 L2인 영어에서 HA를 선호한다면 L1인 한국어에서 전이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고, 영어에서 LA를 선호한다면 보편적 인지처리원리를 따른 것이거나, 영어의 선호도가 학습된 결과일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실험을 통해 알아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를 이용한 온라인 실험과 질문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높은 부착(HA)을 선호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L1인 한국어가 HA를 선호하는 언어라는 점에서 보았을 때, 영어수준이 높지 않은 한국인의 중의적 관계절 처리는 L1의 처리전략이 L2로 전이된 것으로 보인다. 1장에서는 심리언어학의 특징과 문장처리와 문장이해에 있어서 중의적 관계절 부착의 문제에 대한 개략적인 소개를 하였다. 2장의 2.1.에서는 문장의 통사처리에 대한 기존의 이론들을 소개하고, 언어 보편적 구문분석 원리로 해결되지 않는 중의적 관계절 부착에 대한 문제와 언어별로 수행된 연구결과들을 소개했다. 다음으로 언어 간 보편성이 나타나지 않는 원인에 대한 대표적인 이론들을 소개하였다. 2.2.에서는 L2학습자의 학습시기에 따른 특징과 습득 시기에 따른 L2의 변이성을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L2에 대한 기존 연구들에 대한 소개와 L2 연구의 언어처리적 관점을 설명하였고, 마지막으로 L2의 중의적 관계절 부착 처리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소개하였다. 3장에서는 영어가 높지 않은 수준의 한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영어의 중의적 관계절 부착 선호도를 알아보는 실험을 실시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소개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의 실험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그 원인을 기존 이론을 바탕으로 고찰해 보고 기존 연구들과 비교해 보았다. 5장은 맺는말로써, 본 논문의 결론을 서술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한 제안과, 영어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한국인들에게 유관 학문이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을 지를 제안하였다.

      • 초등 영어 학습자의 영목적어 현상과 비문성 지도 연구

        김연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영어를 제2언어로 습득하는 한국 초등학생들에게 나타나는 목적어 생략 현상의 원인을 논의하여 보고, 발달 단계에 따라 중간언어에 미치는 모국어의 영향이 점차 감소하여 목표어의 언어 유형으로 변화해가는 과정을 영목적어(null object) 현상의 변화를 통해 알아보며, EFL환경에서의 언어 입력의 역할을 비문성 정보(negative evidence)의 활용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서 초등 영어학습자에게 어떠한 언어 입력을 제공하는 것이 제2언어 습득에 효과적인가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따라 서울시 C초등학교의 6학년 영어학습자 54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반과 통제반을 영어 성취도 수준별로 각각 상.중.하 세 집단으로 나눈 뒤, 두 학급에 입력의 종류를 달리하여 영어의 [-화제 우위] 언어적 특성의 습득을 돕고자 하였다. 실험반에게는 언어 간 차이의 설명, 구체적 조작물, 재조정 입력(recast)을 통한 오류 수정을 통해 비문성 정보를 제공했고, 통제반에게는 자연 입력만을 강화된 입력으로 제공하였다. 문법성 판단 평가, 자유 작문, 유도 발화 기법을 사용하여 사전평가를 실시하고 실험수업 후 사후평가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 초등 영어 학습자에게서 나타나는 영목적어 현상이 모국어의 [+화제 우위] 언어 유형의 전이로 일어나는 것인가를 검증하기 위해 6학년 영어학습자들의 문법성 판단 평가와 발화 자료 및 쓰기 자료에서 나타나는 영목적어현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 영어 학습자들의 영목적어 현상은 모국어의 [+화제 우위] 관련 매개변인이 목표어의 [-화제 우위] 특성으로 습득되어 가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모국어의 전이 현상임이 관찰되었다. 즉, 담화 상에서 그 지시 대상이 해석되는 문장의 요소인 영목적어를 목표어의 문장 구성에 전이하여 목표어의 [-화제 우위] 특성에 맞지 않는 문장을 생성하였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제2언어 습득의 초기에는 모국어의 유형이 중간언어 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만, 습득이 진행될수록 점차 목표어의 유형으로 중간언어가 발달되어 가는가를 영목적어 현상의 변화를 통해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발화 자료와 문법성 판단 평가에서 나타나는 영목적어 현상의 수용도가 성취도의 증가와 함께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고, 이는 제2언어 습득에서 점진적인 목표어의 유형 습득이 일어나는 것임을 말해준다. 셋째, 언어 입력에 있어서 자연 입력과 비문성 정보가 목표어 습득에 어떠한 효과를 가져 오는 지 비교해 보았으며, 이를 통해 EFL로서 영어를 배우는 초등학생들에게 어떠한 언어 입력이 효율적인가를 고찰해 보았다. 실험 수업 후 평가를 통하여 밝혀진 것은 비문성 정보를 제공받은 실험반의 영목적어 현상 감소가 통제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우월했다는 것이다. 이는 ESL환경과 입력의 양과 형태가 다른 EFL환경에서 제2언어 교수의 방향이 어떻게 재조정되어가야 하는지를 시사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EFL환경에서 효과적인 제2언어 습득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언어 간 차이를 고려한 정제된 입력이 제공되어야 하며, 중간언어의 발달이 정체되지 않고 목표어의 특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자연 입력과 비문성 정보의 안배가 교육 내용의 구성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experimental study are to examine why Korean Elementary EFL learners use null objects so often where objects should be overt in English, to observe the change of L1 effect on L2 acquisition in using null objects among different English proficiency level groups and to investigate negative evidence is more effective than positive evidence to reduce the phenomenon of null objects among them. To achieve these goal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students of two 6th grade classes. The two classes were chosen randomly and each class was divided into three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high, medium, low) and they were given different input type. Positive evidence on the verb-direct object relation was given to the control class and negative evidence (comprehensible explanation about language differences on topic related construction, easy operating materials for sentence construction and providing recast as a way of error correction) with positive evidence was given to the experiment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ull objects phenomenon was investigated through a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a guided speaking test and a free writing test. Null objects are bound to null topic and they could be interpreted through the discourse in Korean. As a result, L1 feature of [+topic-prominence] affects the acceptance of the null objects phenomenon in the sentence which needs overt direct object in English. It was found that transferring [+topic-prominence] feature influences English L2 acquisition of Korean elementary learners so they often use null objects in speaking and writing of English which are not permitted in the target language. Second, the typology of L1 affects strongly to construction of inter-language in the beginning of L2 acquisition, as developing L2 proficiency the subjects adapt to L2 typology progressively. Lower level group's rate of using null objects is far greater than that of the higher level group’s. The differences of using null objects among the three proficiency level groups appeared to be an outcome of the acquiring the feature [-topic-prominence] of target language. Finally, instruction was conducted to compare input type. Negative evidence is provided to the experiment class with positive evidence, but the only positive evidence is provided to the control class. From the result of the post-test, it is found that the decrease rate of using null o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tests was much great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negative evidence can provide effective role to Korean elementary learners of English in the acquisition of L2 features in the EFL contexts. The following points can be mentioned for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We need to provide designed input for Korean students with consideration of structural feature differences between two languages. And the input has to be consists of positive evidence as well as negative evidence in order to learn L2 English effectively.

      • (A) study of the interaction between grammatical and lexical aspects of past tense verbs in L2 Spanish by Korean speakers

        Fritz Huechante, Paola Andrea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A Study of the Interaction between Grammatical and Lexical Aspects of Past Tense Verbs in L2 Spanish by Korean Speakers 스페인어의 상 습득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많이 진행되어 왔다. 그간의 연구는 제1 언어로서의 스페인어의 상 습득과 관련된 연구, 제2 언어로서의 스페인어의 시제-상 형태 습득에 관련된 연구, 그리고 다양한 언어로부터의 상의 전이 양상에 대한 연구가 그것이다. 이러한 선행 연구가 가지는 공통적인 문제점은 (가) 클로즈 테스트(cloze tests)와 같은 오프라인 생산(offline production)과 추출 과제(elicitation tasks)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것, (나) 전형적으로 유사한 언어, 즉 로망스어 계통의 언어(프랑스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나 영어, 독일어만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는 것이다. 본고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유형론적으로 다른 언어로 분류되는 한국어와 스페인어에 대해 연구할 것이다. 즉, 한국어 모국어 화자에 의한 스페인어 시제-상 형태의 습득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 스페인어를 배우고 있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과거 시제 표지의 사용과 스페인어 과거 시제인 부정과거(Preterite)와 불완료과거(Imperfect)에서 동사의 어휘상의 과거 시제 표지의 사용의 상관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고에서 실시한 두 가지의 심리언어학 실험은 온라인 자기 조절 읽기 패러다임(online self-paced reading paradigm)(비누적 선형 형식, non-cumulative linear format)에서 다양한 변수를 검증하기 위해서 설계되었다. 실험은 (가) 동사(주요 단어-V), (나) 동사 뒤의 단어(V+1), (다) 문장 마지막 단어(SF)의 세 단어 범위의 과거 시제 문장과 미완료 시제 문장으로 모든 참가자로부터 읽기 속도를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실험의 피험자는 모두 24명이다. 실험군은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스페인어를 전공하는 학부생 14명이고, 통제군은 스페인어만을 단일 언어로 구사하는 칠레인 10명이다. 실험은 다음의 네 가지 이론에 기반하는데, 상 가설(the Aspect Hypothesis, Andersen & Shirai, 1996; Bardovi-Harling, 1995), 원형 가설(the Prototype Hypothesis, Shirai, 2002; Li & Shirai, 2000), 제1 언어에서 제2 언어로의 전이(transfer from L1 to L2, Cenoz, 2001; Cenoz & Genesee, 1998; Kellermans, 1983), 기본 과거형 가설(the Default Past Tense Marker Hypothesis, Salaberry, 2008, 2000; Salaberry & Ayoun, 2005; Shirai, 2004)이 그것이다. 실험 1은 시상 형태의 오류에 대한 참가자들의 인식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과 통제군의 두 그룹 모두가 부정과거와 불완료과거 시제의 오류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난다. 실험 2는 참가자들의 제1 언어가 제2 언어에 시상 원형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시상 범주(부정과거와 불완료과거)는 동사의 어휘상 부류와 반응 시간이 관련성을 가지지 않았다. 그러나 반응 시간은 실험군과 통제군에서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제1 언어와 제2 언어 사이의 원형적 연상의 전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어 화자들에게서 활동 동사(activity verbs)는 두 언어의 상 체계에서 동사의 특징의 유사성에 기인하여 긍정적 전이를 촉진시켰다. 상태 동사(state verbs)와 성취 동사(achievement verbs)는 부정과거와 불완료과거와의 상호작용과 이러한 동사의 특징의 차이점에 기인하여 간섭(부정적 전이)이 야기된다. 두 실험에서 가장 중요한 발견은 한국어 모국어 화자와 스페인어 모국어 화자는 모국어에서 시제와 상의 차이에 기인하여 서로 다르게 행동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본 실험의 결과는 상 가설과 원형 가설의 모순을 보여 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Salaberry’s(2001)의 기본 과거형 가설을 뒷받침한다. 제1 언어가 제2 언어의 시상 습득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보고된 온라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더욱 정교한 실험적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A Study of the Interaction between Grammatical and Lexical Aspects of Past Tense Verbs in L2 Spanish by Korean Speakers Studies on the acquisition of Spanish aspect are numerous. They include L1 Spanish aspect acquisition, L2 Spanish acquisition of tense-aspect morphology, and transfer of knowledge of aspect from diverse languages. The problem with most of those studies is that (a) they focus on offline production and elicitation tasks, such as cloze tests; and (b) they test prototypical similar languages, such as Romance languages (French, Italian, Portuguese), English and German.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fulfill those problems and to investigate on the acquisition of Spanish tense-aspect morphology by Korean native speakers; two languages that are typologically different. Specifically, the study focuses on the use of past tense morphological marking among L1 Korean adult classroom learners of Spanish as a foreign language, and the correlation of the use of these markers with the lexical aspectual classes of the verbs in Spanish past tenses, the Preterite and Imperfect. Two psycholinguistic experiments were created testing the variables of interest in an online self-paced reading paradigm (non-cumulative linear format). Experiments collected data on the reading times from all the participants on three word regions in Preterite and Imperfect tense sentences: (a) the verb (critical word - V), (b) the word after the verb (V+1) and, (c) the sentence final word (SF). Participants were 14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at the Spanish major i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Korea, and a control group of 10 Spanish monolinguals from Chile. The experiments addressed four theories: the Aspect Hypothesis (Andersen & Shirai, 1996; Bardovi-Harling, 1995), the Prototype Hypothesis (Li & Shirai, 2000; Shirai, 2002), transfer from L1 to L2 (Cenoz, 2001; Cenoz & Genesee, 1998; Kellermans, 1983), and the Default Past Tense Marker Hypothesis (Salaberry, 2000, 2008; Salaberry & Ayoun, 2005; Shirai, 2004). Experiment 1 tested the participants’ awareness to tense-aspect morphosyntactic errors. Results show that both groups, Koreans and Spanish native speakers, are sensitive to errors in Preterite and Imperfect tenses. Experiment 2 tested the participants’ L1 influence of tense-aspect prototype formations in their L2. Results indicate that tense-aspect categories (Preterite and Imperfect) are not correlated with the lexical aspectual classes of the verbs and the reaction times, but the latter is different for the two groups of participants, due to a transfer of prototypical associations between their L1 and L2. In Korean speakers, activity verbs trigger a positive transfer due to the similarities of the features these verbs denote in both languages aspectual systems. State and achievement verbs cause a negative transfer due to the differences of the features these verbs denote and their interaction with the Preterite and Imperfect tenses. The most significant finding across the two experiments is that Koreans and Spanish native speakers behave differently from each other due to tense-aspect distinctions in their native languages. In addition, results also demonstrate to contradict the aspect and prototype hypotheses. Finally, the findings in this investigation support Salaberry’s (2001) idea of the use of a default past tense marker (Preterite tense) by Koreans. The prevalence of a possible L1 influence in the participants’ L2 tense-aspect acquisition is a significant discovery that needs more elaborated empirical work to verify the reported online effects. Keyword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L2 tense-aspect morphology acquisition, cross-linguistic, interference, transfer, grammatical aspect, lexical aspect, perfective, imperfective, past tense, Preterit, Imperfect, Spanish, 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