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釜山市 定住空間構造의 再編過程에 관한 硏究

        허재령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부산은 전체 면적의 60% 이상이 녹지지역으로 지정되어 있고, 또 녹지지역을 제외한 시가화 구역 면적의 60% 이상은 주거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주거지역은 도시 내에서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주민의 일상생활을 수용하고 그들의 가치와 기대, 행동과 태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도시의 가장 중요한 속성 중의 하나는 거주이며, 거주와 관련된 인간정주의 건설은 국토 및 도시계획의 궁극적 목적이기도 하다. 아울러 인구는 그 지역의 전반적인 여건을 종합적으로 표현하는 지표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인간정주의 실현을 위한 일차적 작업으로 인구를 통해 정주공간을 이해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Ⅱ장에서는 정주공간에 관한 이론과 기존의 연구를 문헌조사하였고, 이를 통해 연구의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부산시 정주공간의 변화 현황을 시대별, 행정구역의 조정별, 부산시 도시계획별로 고찰하였다. Ⅳ장에서는 부산시 정주공간구조의 변화실태를 인구구성, 인구밀도, 인구 밀도경사의 측면에서 파악하고, 인구중심점 이론을 통해 정주공간 재편과정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장에서는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부산의 정주공간구조의 재편과정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인구총수와 인구증가율의 상위 10%, 20%동을 구하여 살펴본 결과, 60년대 초기에는 항만을 중심으로 기존 도심의 배후지인 부산진구에 인구가 많이 정착해 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서구나 해운대 등 도시의 외곽으로 인구가 확산됨을 파악하였다. 둘째, 동별 인구 순밀도를 구하여 시가화 구역내에 인구밀도를 분포시켜 보았다. 그 결과, 1960년대에는 구도심 근처에 고밀지역이 분포하였으나, 90년대로 갈수록 점차 서구, 부산진구, 해운대구 등으로 고밀지역이 확산되었다. 셋째, 선정된 3개의 축(하단-남포-서면, 서면-온천장, 주례-서면-수영)을 중심으로 인구밀도 실그래프와 뉴링의 모델을 적용한 인구밀도 그래프를 그려보았다. 하단-남포-서면축의 남포-서면축을 제외하고 모든 축들에서 도심공동화 현상과 외곽으로 갈수록 밀도가 점점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넷째, 인구중심점은 좌천2동(1966)→전포3동(1980)→전포2동(1998)으로 이동하였다. 이 중심점들은 원격하진 않으나, 서부보다는 동북축을 따라 이동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인구순밀도를 구하여 부산의 정주공간구조를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왜냐하면 부산에서 인구순밀도를 구하는 작업은 한번도 시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More than 60% of whole area of Pusan has been designated to green area, and more than 60% of the entire built-up area except green area has been designated to residential area. In general, residential area occupies most of urban area, accommodates daily lives of inhabitants, and affects, greatly, on their value, expectation, behavior, and attitudes. Like th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city is dwelling. Realization of human settlement related to dwelling is the ultimate purpose of Urban and National Plannings. Primary task for realization of human settlement is to understand settlement system dependent on population distribution. Procedures of this study for that are as follows. Chapter II deals with the existing researches and theories on human settlement, and suggests a basic direction of this study by them. Chapter III treats changes of urban settlement system of Pusan in terms of changes of, population, administrative boundary, comprehensive plannings. Chapter IV is related to analyses, which is structural change of urban settlement system by the population composition, population density, population density gradient and change of population gravity center. Last chapter includes rearrangement process of urban settlement system in Pusan on the basic of the above researches. Conclusions of this study that have been acquired by the research process are as follows. Depending on the high rank of 10 percent and 20 percent Dongs in the total population and the population growth rate, it could be discovered that population has concentrated in Pusanjin-Ku which is hinterland of CBD centered on harbor in the early 1960s but the population has developed to Seo-Ku and Dongrae-Ku which is the outskirt of Pusan, as time passes. Second, depending on net population density, high density area had been distributed in the surroundings of CBD in 1960s, but high density area has been spreaded to Seo-Ku, Pusanjin-Ku, Dongrae-Ku and so on in the 1990s. Third, having applied population density gradient to three axes (Hadan-Nampo-Seomyun, Seomyun-Oncheonjang, Jurae-Seomyun-Sooyoung), doughnut phenomena has been discovered in the CBD and population density gradient has become lower in accordance with increasing distance from CBD. Forth, population gravity center has moved from Joacheon2-Dong(l966) to Jeonpo3-Dong (1980) and Jeonpo2-Dong(l998). Although these centers are net remote, moving direction of the centers has had a tendency along with an axes of North-East.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is that urban settlement system of Pusan has been analyzed by net population density. Because there has not developed net population density in Pusan.

      • 정주유산의 보존관리 쟁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성기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정주유산은 선조들의 삶의 정취가 누적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은‘살아있는 생활유산’으로써, 우리나라 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새로운 문화재 군으로써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2010년에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역사마을인 하회·양동마을이 세계적으로 유산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세계문화유산의 등재과정은 정주유산 보존관리를 위한 현재의 국내 체계가 한계를 가짐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각적인 변화가 요구되고 있음을 자각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하회·양동마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통마을에 대한 중요성 및 지속가능한 정주유산 보존관리시스템으로의 변화 또한 절실히 필요한 상황에 직면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주유산 내에서 발생하는‘거주편의요구와 유산보존 사이에서의 가치충돌’이 보존관리에서 발생하는 쟁점의 핵심적 원인으로 보고, 사람이 거주하는 정주유산이 직면한 보존쟁점사안과 해결방안을 찾고자 한다. 우리나라 정주유산이 새로운 구도의 보존관리 방향을 모색해야하는 시점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세계 정주유산의 공통 쟁점을 확인하고, 이를 해결하려는 각국의 개선상황과 유네스코 권고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정주유산의 보존관리시스템의 한계를 보다 다각적인 시각에서 고찰하여 우리 현실에 맞는 정주유산의 보존관리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 정주유산의 보존관리에 있어 현재의 쟁점과 가장 맞닿아 있는 통합적 실행체계, 민간주도형 거버넌스 시스템, 위협요소 관리체계에서의 개선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정주유산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향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취지이다. 연구의 대상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정주유산인 7개 전통 민속마을‘안동하회마을, 성읍민속마을, 월성양동마을, 고성왕곡마을, 아산외암마을, 성주한개마을, 낙안읍성마을’을 중심으로 하며, 세계유산 역사지구·역사마을의 쟁점 분석을 위해 선별한 유산으로는 유네스코 정기 총회의‘7B. 세계유산 보존상태’안건에서 최근 5년간 보존상태의 시급성이 문제시 되었던 55개 정주유산들을 주요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히고 있는 7개 전통 민속마을의 근본적인 쟁점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정주유산 보존관리의 실질적인 실행수단이 되고 있는 종합정비계획의 한계이다. 현재의 종합정비계획은 지역민의 의견이 반영되기 어려운 구도로 관과 민의 갈등이 쌓여있으며 종합정비계획이 포괄하는 보존관리의 범위가 한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둘째, 정주유산 보존관리의 실행과정에서의 한계로써, 주요 의사결정의 주체가 되어야 하는 보존협의체가 현실적으로 운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다. 이는 주민들의 마을관리에 대한 참여역량이 부족하고, 종법 질서를 따르던 기존의 의사결정 체제를 민주적이고 투명한 체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된 쟁점이라 할 수 있다. 셋째, 가장 큰 위협요소가 되고 있는 관광압력으로 인한 문제점이다. 현재 7개 전통 민속마을의 관광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관광계획 체계가 부재한 상황이며, 무분별한 관광·상업행위로 지역 내의 생산기반이 약화되고 있다. 그리고 관광프로그램에 대한 방문객의 만족도 낮은 것 또한 정주유산의 쟁점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쟁점이 아니다. 55개 정주형 세계유산의 쟁점사안에 대한 구체적인 쟁점사안의 내용을 파악하고, 이것을 45개의 정주유산 보존관리 쟁점요소로 일반화하여 그 특징을 분석한 결과, 전세계적으로 야기되고 있는 문제점을 유형별로 크게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째, 통합적 보존관리 시스템에 조응하지 못하는 전통적 보존관리 둘째, 거주편의요구와 각종 개발압력 셋째, 방치와 보수의 질 저하로 인한 열악한 보존상태 넷째, 지역민의 일상적 보존참여 시스템의 결여 다섯째, 정주유산을 고려한 관광인프라의 부재 정주형 세계유산의 분석은 지역체계에 적합한 보존관리체계의 구축이 시급하다는 점을 시사하며, 유산 내 지역민의 역할이 보존관리 내에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주유산 보존관리의 쟁점이 서로 연쇄작용을 일으키며 복잡성을 띠고, 일상적인 수준의 모니터링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며, 이러한 지역별 공통 쟁점사안들이 국내의 개선방안에 적용가능성을 가진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정주형 세계유산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고찰은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정주유산의 문제가 특수하고 독특한 지역 문제를 넘어선다는 점을 확인시켜주었다. 나아가 이것은 정주유산이 전세계적인 차원에서 적합한 보존관리 방안을 제대로 갖추지 못해 생겨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유산 문제로 확장해 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국제적인 공통 쟁점사안을 통해 우리나라 정주유산이 가지는 쟁점의 보편성을 확인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 또한 각국의 개선상황으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제안하고자 하는 우리나라 정주유산의 보존관리 개선방안은, 첫째, 정주유산 보존관리를 위한 통합적 실행체계가 구축되어 유산가치의 관리, 경관계획, 지역계획과의 통합, 관광계획, 교육과 홍보, 방재와 위기 대비 등 정주유산의 소프트웨어가 추가로 계획되어야 한다. 둘째, 민간주도형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고 주민의 보존관리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지자체, 전문가, 민간단체, 기타 자발적 참여자들의 파트너십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또한 각 의사결정단계에서 민주적이고 투명한 거버넌스 시스템이 운영되기 위한 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셋째, 위협요소 관리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관광을 위협요소가 아닌 유산 보존을 위한 활용의 수단으로 보고, 정주유산 관광을 위한 물리적·비물리적 계획을 체계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다양한 관광인프라의 구축이 시급하다. 또한 일상적인 수준에서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모니터링 요소와 평가체계의 구축이 시급하다. 정주형 세계유산 보존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거주편의와 유산보존 간에 발생하는 쟁점을 파악하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의 의의는 7개의 전통 민속마을의 보존관리가 개선되어야 하는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7개의 전통 민속마을이 문화재보호법 상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들 역시 세계유산 못지않게 소중한 지역적 문화자산이라는 의미에서 정주유산의 보존관리 방식이 차츰 보다 구체적인 차원에서 현실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기대해본다. 또한 공시적인 차원에서 정주유산의 보존관리 쟁점을 밝혀내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현재 정주유산은 세계유산 등재시 유적지, 문화경관, 역사도시, 도시지구 등 매우 다양한 형태로 등재가 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산 내에 사람이 거주하고 있는 특성으로 공통적인 보존관리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입장에서 비슷한 쟁점을 공유하고 있는 각국의 유산들이 어떤 방식으로, 어느 지점에서 합의를 이끌어내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정주형 세계유산의 보존관리의 현실적 접점을 찾는 과정에서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해본다. The importance of living heritages is gradually increasing as the concept of world heritages is extended from individual monuments to area-based cultural landscape including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s. However, the framework for management still doesn't meet the demands of the new paradigms in heritage conservation. This study grasps the present conservation issues of Korean traditional villages and suggests the proposal of conservation and application to show characteristics of villages. Also, in terms of seeking the advanced conservation management system for living heritages, this study identifies the main issues on World Heritage historic districts and historic villages which have simultaneously occurred, and looks into the national improvement efforts and UNESCO recommendation for living heritages. This research is conducted on 7 villages: ① Andong Hahoe Village; ②Seongup Folk Village; ③Gyeongju Yangdong Village; ④Goseong Wanggok Village; ⑤ Asan Oeam Village; ⑥Seongju Hangae Village; and ⑦ Nagan Eupseong Village. To analyze the issues of World Heritage historic districts and historic villages, the study is based on the UNESCO official agenda documents, '7.b the State of conservation of World Heritage properties.'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and field study, 3 main problems of Korean Living Heritages are as follows: 1) The operational tool: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2) The operational process: conservation councils; and 3) The control for tourism threat. These issues are not only for Korean living heritages. Articulating the main issues and their solution efforts related to the historic landscape management, this research explores the current issues on the state of conservation of World Heritage historic districts and villages which are common throughout the world, and argues that the alternative management plans need to cover the issues which are currently arising the inside and the surroundings of the living heritages. Through worldwide approaches for overcoming the limits of domestic frameworks for heritage conservation, this study suggests 3 improvement plans: 1) Establishing the comprehensive operational framework for conservation management by including landscape planning, managing of heritage value, integrating with local planning, sustainable tourism, and risk assessment; 2) Constructing collaborative governance framework for conservation management by building capacity of stakeholders, especially local residents; and 3) Establishing threat management framework by tourism management and mundane-level monitoring.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1) by identifying the current issues of Korean living heritages, the study figures out the limit of present state of conservation; 2) by analyzing the current issues and solutions faced by world heritages inhabited, the study emphasises on the situations which are internationally common in terms of the living heritage conditions; and 3) the priority and the importance of alternative solutions to the long-term management and the quality of local life. The study concludes that it is important to find practical solutions for conservation management for living heritages by consensus building with whole stakeholder.

      • 정주공간 유형별 다면적 삶의 질 비교 : 역량의 수준 및 영향요인 분석

        권인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우리 사회는 지속적으로 심화되고 거대화되고 있는 도시화를 경험하고 있다. 도시의 삶은 다양한 기회와 이점을 제공하지만, 대도시와 같은 고도의 집적된 환경이 사람들의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도시화와 삶의 질의 관계를 다룬 연구들이 다소 엇갈리는 결과를 보이는 가운데, 국내 거주민의 삶의 질을 파악한 연구들은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분석 자료의 한계, 주로 분산분석이나 삶의 질 영향요인 분석모형의 더미변수를 통해 차이를 확인하는 등 분석 방법의 한계를 보인다. 본 연구는 도시성 및 농촌성이라는 지역 맥락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이한 정주공간 속에서 주민들이 인식하는 주관적 삶의 질 수준과 영향요인의 차이를 비교분석 하였다. Amartya Sen의 역량 접근법(Capabilities Approach)을 통해 삶의 질을 이해함으로써 물질적 토대로서 삶의 조건 및 안녕의 상태로서 삶의 결과 측면을 포함하고, 전반적 삶의 질뿐 아니라 도시와 농촌의 다양한 가치를 포괄하도록 다차원적 삶의 질을 다루었다. 분석을 위해 전국의 162개 전 시‧군을 수도권 도시, 비수도권 도시, 농촌 등 세 가지 정주공간으로 유형화하고,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2018년에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 자료로 사용했다. 삶의 질 수준은 전반적 삶의 질 및 9개 영역별 삶의 질에 대해 응답자가 자기 보고한(self-reported) 만족도 점수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연구의 첫 번째 목적으로 정주공간 유형 간 삶의 질 수준을 보다 신뢰성 있는 분석방법을 통해 비교하였다. 먼저 회귀분석을 통해 응답된 만족도에서 개인특성 효과를 분리(고정)하여 지역 효과에 초점을 둔 주관적 삶의 질 수준(시‧군 주관적 삶의 질 점수)을 산출하여 비교했다. 다음으로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을 이용하여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특정 정주공간 유형 선택‧거주의 효과를 처리그룹에 대한 평균처리효과(ATT)를 도출하여 비교했다. 분석 결과는 농촌 주민의 행복감이 수도권 도시나 비수도권 도시 주민보다 더 높게 나타난다. 도시 유형 간 비교할 때는 수도권 도시 주민의 행복감이 비수도권 도시 주민보다 더 낮지만 유의하지 않다. 지역생활에 대한 만족에서는 분석방법에 따라 농촌(ATT) 또는 수도권 도시(시‧군 점수)가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인다. 비수도권 도시는 두 방법에서 모두 만족 수준이 가장 낮다. 그러나 지역생활 만족의 경우 모든 유형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다. 9개 영역별로 정주공간 유형 간 주관적 삶의 질의 비교 패턴을 도출한 결과, 수도권 도시에서 상대적 우수성을 보이는 영역과 농촌에서 상대적 우수성을 보이는 영역으로 구분된다. 기초생활환경, 의료, 문화‧여가 영역에서는 수도권 도시 주민, 환경, 공동체, 복지 영역에서는 농촌 주민의 주관적 삶의 질 수준이 가장 높다. 비수도권 도시가 강점을 갖는 영역은 발견되지 않고, 일자리‧소득, 문화‧여가, 안전 등 영역에서는 삶의 질 수준이 가장 낮다. 연구의 두 번째 목적으로 정주공간 유형 간 차별적으로 나타나는 주관적 삶의 질의 영향요인을 도출했다. 삶의 질을 구성하는 물질적 토대로서 지역의 객관적 정주여건이 주민들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정주공간 유형별 모형을 통해 분석했다. 이를 위해 시‧군 주관적 삶의 질 점수를 종속변수로 시‧군 수준에서 분석한 다중회귀모형과 설문조사 응답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다층 분석한 위계선형모형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정주공간 유형별로 지역의 상황에 따라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높거나 부족한 자원과 관련하여 지역여건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가령 의료 영역의 경우, 수도권 도시 유형에서는 응급의료시설 접근성이 높고 병원 서비스권역내 인구비가 높은 지역일수록 주관적 삶의 질 수준이 높게 나타난다. 중심도시의 탁월성 중 하나는 높은 수준의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으로, 대도시의 주민들에게 의료서비스 환경은 중요도가 높은 영역이다. 농촌 유형에서는 수도권 도시 유형과 마찬가지로 응급의료시설 접근성과 병원 서비스권역내 인구비율의 양(+)의 영향과 함께, 유형 중 유일하게 종합병원 서비스권역내 인구비율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난다. 농촌지역의 경우 의료 환경의 열악함으로 인해 그러한 의료서비스에 대한 중요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점점 더 고도화되는 도시화 경향 속에서도 농촌이 갖는 가치가 분명히 존재하며 사람들에게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비수도권 도시의 경우 삶의 질 관점에서 애매한 위치를 보여 점점 더 양극화되는 도시화 추세 속에서 고유한 가치를 만들어내지 못한다면 향후 더 어려운 상황에 처할 가능성도 있음을 시사한다. 최근 대도시를 벗어나 지역에서 로컬의 가치를 추구하며 새로운 삶의 방식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사례를 종종 접할 수 있다. 개성, 다양성, 삶의 질, 사회적 가치가 중시되는 라이프스타일 시대로의 변화도 이루어지고 있다. 도시화의 확장하는 힘의 반대 편에서 농촌과 비수도권 도시가 존속‧발전해가기 위해서는 그 지역만이 가진 고유성과 같이 보다 본질에 주목하여 라이프스타일 시대에 사람들이 찾는 가치와 새로운 삶의 방식을 창출해나가야 한다. Our society is experiencing urbanization which has been continuously advanced and increasingly becoming more gigantic. Urban life surely offers a variety of opportunities and benefits, but a highly agglomerated environment such as metropolitan cities has negative affects on people's quality of life (QoL) as well. While literature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ization and QoL show somewhat mixed results, studies examining Korean residents’ QoL are restricted by the limitations of data regarding certain areas, and limitations of analysis methods using ANOVA or dummy variables of determinants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the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QoL perceived by resident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among different settlement spaces. In order to cover the multifaceted nature of QoL, Amartya Sen's Capabilities Approach was reviewed. For the analysis 162 municipalities(si/gun) across the nation were categorized into three settlement types, namely Capital city area, Non-capital city area, and rural area.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by the Presidential Committee for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in 2018 were used as analysis data. The level of QoL was measured using the self-reported scores for overal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for each of the nine life domains.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level of QoL among the settlement types through more reliable methods. First,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portion of satisfaction score attributed to the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was separated (fixed), and the portion of score attributed to the regional effect, that is si/gun subjective QoL score, was derived and compared. Second, the average treatment effect on the Treated (ATT)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was estimated and compared. happiness of rural residents is higher than those of both Capital city area residents and Non-capital city area residents. When comparing between city types, the happiness of Capital city area residents was lower than that of residents of Non-capital city area,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local life, depending on the analysis method, rural (by ATT) or Capital city area (by si/gun subjective QoL scores) shows the highest level. However, in the case of local life satisfaction the difference among settlement types is not significant. As the result of deriving comparative patterns between the settlement types for each of the nine domains, it is divided into the domains showing relative excellence in Capital cities and the other domains showing relative excellence in rural areas. While the subjective QoL of urban residents in the Capital city area is the highest in the domains of basic living environment, medical care, and culture/leisure, the subjective QoL of rural residents is the highest in the domains of environment, community, and welfare. No domains are found where Non-capital city area has the excellence.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QoL which are expected to be different among settlement types. The effect of the objective settlement conditions of the municipality(si/gun) on the subjective QoL of the residents was analyzed through separate models for each settlement type. To this end, we analyzed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in which si/gun subjective QoL scores were analyzed at city level, and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in which self-reported satisfaction was analyzed at city and individual level.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s of relatively important or scarce resources on the subjective QoL depending on the regional situa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rural values clearly exist and are recognized by people even in the increasingly intensified urbanization trend. Non-capital city areas show an ambiguous position in terms of subjective QoL, suggesting that they may face more difficult situations in the future if they do not create unique values ​​that people can pursue in the increasingly polarized urbanization trend. Recently we often come across examples of people living in a new way of life in pursuit of local values ​​outside of large cities. A change is also taking place towards an era of lifestyle where individuality, diversity, QoL, and social values ​​are highly valued. In order for rural areas and non-capital cities to survive and flourish on the other side of the expanding force of urbanization, it is crucial to center on the substancial values with the emphasis of the uniqueness of each localities, and create values ​​and new ways of life that people are willing to seek in the era of lifestyle.

      • 수도권 근교 농촌마을의 일상적 옥외 여가활동과 정주만족도 간의 관계

        진현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과소화 및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거대한 농촌의 흐름 속에서 귀농·귀촌인의 유입과 도농 간의 교류를 통하여 새로운 활력을 찾고 있는 농촌마을의 일상적 옥외 여가환경에 주목하고 있다. 일상적 옥외 여가란 일상생활권 범위 내 생활공간에서 즉흥적 내적 보상과 즐거움을 추구하기 위하여 특별한 훈련이나 기술 없이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이다. 농촌마을에도 최근 삶의 질, 건강, 여가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거주지역 중심의 생활공간이 여가활동을 펼치기에 적합한 공간으로 재편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수도권 근교 농촌마을은 도시민의 수요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반영되는 공간으로서 수도권 근교 농촌마을의 일상적 옥외 여가실태에 주목하여 일상적 옥외 여가공간이 농촌주민의 정주만족도 향상과 관계하는 요소임을 밝히고 시대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농촌정주환경 조성 방향을 시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귀농·귀촌인의 유입이 상대적으로 많은 수도권 근교 농촌마을 중 농촌의 고유경관을 유지하며 도시화의 영향을 적게 받은 전원농촌마을(이천시 백사면 도립1리)과 일반농촌마을(이천시 장호원읍 나래2리)을 선정하였다. 전원농촌마을은 귀농·귀촌인이 많이 분포하기 때문에 도시민의 수요를 반영한 일상적 여가 양상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일반농촌마을은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농촌의 일상적 여가 실태를 진단할 수 있을 것이다. 조사방법으로서 마을 간 농촌정주어메니티 구성요소와 일상적 옥외 여가활동, 그리고 정주만족도의 차이를 현황조사, 주민심층면담,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도립1리(전원농촌마을)는 귀농·귀촌인의 비율이 30% 이상 차지하며 농업활동과 마을공동체 중심의 전통적인 농촌마을 특성이 약화되고 있는 마을로서 다양한 자연 및 생활자원이 풍부하게 발달하였으며 이러한 자원을 향유하는 방식 중 하나로 주민의 일상적 옥외 여가활동이 활발하게 구현되고 있었다. 원주민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나래2리(일반농촌마을)는 복숭아 과수 농가가 밀집되어 있고 집성촌이여서 전통적인 농촌마을 공동체 특성이 많이 남아 있는 마을이다. 따라서 농업활동과 관련이 적은 마을의 자연 및 생활자원의 발달 정도가 미약하며 다만 주민들이 공공공간에 모여 담소를 나누며 교류하는 활동만이 일상적으로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도립1리에서는 일상적 옥외 여가가 전원을 향유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드러나고 있으며 개인정원을 가꾸고 마을안길과 마을둘레길을 걸으며 자연과 마을경관을 즐기고 있었다. 나래2리에서는 전원을 향유하는 것보다는 접근하기 용이한 공간에서 이웃과 교류하고 친목을 다지는 활동이 발달하였으며 이는 주민들이 바쁜 생산활동으로 인해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든지 취할 수 있는 여가활동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뿐 만 아니라 도립1리에서는 다양한 일상적 옥외 여가활동이 고르게 나타나는 편이나 나래2리에서는 공공공간에서 이웃과의 교류 활동에 편중되어 단조로운 여가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두 마을은 각기 다른 여가공간 및 활동이 발달하였으며 정주만족도는 도립1리가 다소 높았다. 설문조사를 통해 확보한 기술통계량을 가지고 농촌정주어메니티 구성요소와 일상적 옥외 여가활동, 그리고 정주만족도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설문응답자 집단 간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결과적으로 도립1리에서는 마을둘레길/마을둘레길 걷기, 나래2리에서는 공공공간/공공공간에서 이웃과의 교류가 각 마을의 정주만족도 향상과 관계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농촌정주어메니티 구성요소이자 여가활동이었다. 그리고 일상적 옥외 여가활동의 주체자는 귀농·귀촌인이며 각 마을의 정주만족도 향상과 관계하는 도립1리의 마을둘레길 걷기, 나래2리의 공공공간에서 이웃과의 교류 활동의 참여 비율이 마을구성원 집단 중 가장 높았다. 이처럼 귀농·귀촌인은 일상적 옥외 여가활동을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었으며 마을의 여가 성향을 대표하는 집단으로서 마을 간 서로 대조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다. 마을둘레길 걷기는 도립1리의 아름다운 산수유둘레길에서 활성화되어 있으며 특히 귀농·귀촌인 집단에서의 참여 비율이 높았다. 마을둘레길(산수유둘레길)은 도립1리의 자연환경을 대표하는 농촌정주어메니티로서 아름다운 자연을 찾아 귀농·귀촌하는 신규 인구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정주환경이다. 게다가 이웃과 공공공간에서 교류하는 활동만이 활성화되어 있는 나래2리보다 마을둘레길을 걷고 전원을 향유하는 여가경향의 도립1리 정주만족도가 더 높았으므로 마을둘레길 걷기라는 여가의 중요성은 더욱 높게 평가된다. 따라서 마을둘레길은 미래 농촌정주환경을 위하여 발굴되어야 할 중요한 여가자원이며, 자연성과 역사성이 보전된 마을둘레길은 이용자의 걷기 활동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농촌의 근린생활환경에서 일상적인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여건은 농촌주민의 삶의 수준 및 정주만족도를 높이고 농촌으로의 신규 인구 유입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 일상적 옥외 여가공간과 활동이 정주만족도 향상과 관계하는 유의미한 요소임을 밝혀냈다. 나래2리와 같은 생산활동 중심의 마을이 보다 풍부한 삶의 질을 추구할 수 있도록 도립1리와 같은 생활공간 중심의 마을로 변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미래 농촌정주환경의 지향해야 할 방향일 것이다.

      • 첨단의료복합단지 정주환경 만족도 연구 : 충북 오송과 대구 신서를 중심으로

        김경희 충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Many employees at the high-tech medical complexe reside in government-provided housing. These workers live at the complexes during weekdays and return to their family homes during weekends due to insufficient human settlement.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human settlement at the Osong BioHealth Science Technopolis in Chungbuk and Sinseo Innovation City in Daegu by conducting a survey on employees'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ir human settlement in order to suggest methods for improving human settlement based on user opinion. Five aspects were considered to form the basis of the human settlement: transportation, residence/safety, education, welfare/medical service and culture/ recreation. Data were collected on thirty seven facilities and their surrounding infrastructures with regard to the social environment and the high-tech medical complex. Also, the sitemap of the internet portal site Daum was used to analyze the human settlement. A Likert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human settlement. Chi-square testing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marital status affected the settlement satisfaction levels by studying the most satisfying and the least satisfying factors. In terms of th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in settlement, the railroad network and administrative agencies were important in Osong Chungbuk, whereas in Sinseo Daegu, the factors were road and air networks, the police station and patrol division, the fire station and 119 emergency center, social welfare centers, hospitals, clinics, health centers, libraries, art galleries and museums. As for the factors in which marital status influenced the human settlement, these were museums in Osong Chungbuk and air network and houses,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museums in Sinseo Daegu. Transportation and resident safety were ranked as the first and second most important factors, respectively, influencing user satisfaction levels at both locations. The least important factor was culture/recreation at both locations. The second and third to the least influential factors at Osong Chungbuk were transportation and welfare/medical service, respectively, while at Sinseo Daegu these were welfare/ medical service and education. The reasons for dissatisfaction with human settlements were inadequate or insufficient availability of cultural venues, such as theaters, and poor medical infrastructure, such as hospitals, in both areas. Further reasons were insufficient transportation between Cheongju and Osong in Osong Chungbuk and lacking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inadequate school districts in Sinseo Daegu. Participants in the survey suggested improving cultural infrastructures, providing transportation, building hospitals, stabilizing housing prices and building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Sinseo Daegu, reducing the noise level and the amount of fine dust surrounding the airport, building a fire station and expanding public physical-education centers, such as swimming pools, were recommended.

      • 地方定住生活圈의 造成과 開發方向 : 大邱周邊圈 廣域定住體系를 中心으로

        김경술 慶北大學校 行政大學院 1985 국내석사

        RANK : 247807

        Over last two decades Korea has achieved great economic success and social well-being. While we achieved quantitative development in terms of national aggregate indicators through the concentrated economic development plans in a macro-level stand, there appeared relative imbalance between regions. This study attempts to build up regional human settlement and to find out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social welfare with a case study of 9 peripheral city & counties around Taegu. The regional human settlement is a regional zone from 16km to 40km radius from regional center, which is a sphere of daily-life around the centre. The peripheral regions are characterized by decreasing population, primary industrial structure, poor space structure, lots of problems in using land and overdependent system of lifezone upon Taegu. The whol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3 great-sphere human settlement areas. These 3 great-sphere areas were classified by the criteria of homogeneity, centralitv,population,administrative district and the local demands for development. One central place was selected as a basis of the regional human settlement in each area. (1) Yeongcheon Area : Yeongcheon city, Yeongcheon county and Kunwi county are involved in this area. The central place is Yeongcheon city. (2) Kyungsan Area : Kyungsan, Cheongdo counties are involved, and the central place is Kyungsan. (3) Waekwan-Hyunpung Area : Talseong, Koryung, Seongju and Chilgok counties are involved. Waekwan is the central place and Hyungpung is the subcentral place in this area. In conclusion, if the foundation of the above stated human settlement in peripheral areas around Taegu-city is established, it will contribute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peripheral areas, and the well-balanced development of national territory and the settlement of local population through the mutually harmonious development in both Taegu-city and its suburbs.

      • 부산시 정주활동의 변천과 특성

        조성태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807

        우리 도시들은 지난 1세기 동안 외세에 의해 자발적 선택이 결여된 외국문화의 도입, 전쟁과 복구, 산업화 등 다양한 사건들이 점철된 격변기를 거치면서 도시화가 진행되어왔다. 특히, 근대기에 형성되거나 확장된 도시들은 100여년이 넘는 시간 동안 형성되고 누적된 다양한 근대기의 체취와 흔적들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 도시들과 유사한 도시개발의 패턴 속에서 근대기의 총체적인 기억과 흔적들을 잃어버릴 위기에 봉착하여 있다. 이에 시대적 변천 과정에 근거한 근대기의 도시들에 대한 역사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인지하고 파악할 수 있는 방법론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도시는 물리적 공간 뿐만 아니라 일련의 시간적인 흐름과 동반되어 삶에 그 자체로 축약되기 때문에 단순히 객관적인 자료나 단편적인 데이터 분석만으로는 해석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그렇기에 도시가 겪어온 역사적 상황과 변천과정을 선결적으로 이해해야 함은 물론 통시적인 분석과 통합적 얼개가 필요하다. 근대 도시들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이에 근거한 미래상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정주활동 관점에서의 변천과정 분석이 가장 선행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도시 변천의 역사 속에서 진행되었던 역사적 사건과 사실에 근거한 역사문헌 및 자료의 종합적 고찰이 필수적인 사안이다. 이와 같은 논의의 구체화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최초 개항도시인 부산시를 대상으로 정주활동의 변천과 특성도출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부산은 개항을 시점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추어 오기까지 많은 역사적 상황과 변화를 경험하여 왔으며 이와 함께 도시 성격 및 정주활동도 함께 변화되어 왔다. 또한 자연․지리적 조건상 산악이 많고 바다를 끼고 있어 평지가 부족했기 때문에 공간에 대한 체계적이고 일관된 계획수립에 상당한 제약이 따랐다. 특히 부산의 성장과정은 일제의 식민지적 침탈을 위한 도시로서 근대화가 이루어졌고, 해방과 한국전쟁으로 인해 파생된 귀환동포와 피난민의 정착 과정을 통해서 기존의 전통적인 삶과 이질적인 다양한 삶이 녹아들게 한 원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국가에 의해 강제화된 산업화로 인해 부산의 성장과 변화는 고유의 정체성을 살리지 못하였다. 즉 부산의 도시성장은 무정형적이고 무계획적이며 지역의 다양한 사람들이 정주하며 만들어내는 다양한 삶의 기억들과 흔적들이 남겨진 도시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산의 역사성을 토대로 내포하고 있는 다양성과 복합성을 추론해 낼 수 있는 방안은 부산 고유의 정주활동을 시계열별 구분을 통해 변천특성을 분석하는 방안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와 함께 도출되는 특성을 종합화하여 정주패턴을 도출․해석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네 단계로 연구를 진행한다. 첫째, ‘도시를 형성․유지하는 정주 개념과 그 속성의 명확한 구분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정립’하는 것이다. 이는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을 토대로 도시의 정주속성에 대한 구성 원리 및 기본적인 개념을 정립하고 그 속성이 변천과정을 거치면서 패턴화 되는 과정의 연구방법론을 정립한다. 둘째로, ‘도시정주활동의 시계열별 변천과정 분석’이다. 이를 위해 선결적으로 부산의 변천과정을 통시적으로 분석함을 원칙으로 여섯 시기로 구분함은 물론 도시정주활동을 생산, 생활, 여가의 관점으로 구분하여 총체적인 변천과정을 해석하였다. 도시생산은 부산의 핵심산업을 전제로 주요 생산 및 산업 현황, 생산활동 공간의 입지 및 특성, 생산활동 종사자 거주공간의 입지 등을 분석하였고, 도시생활은 주거시설, 주요 생활공간 개발, 교육시설, 시장의 내용을 전제로 거주공간의 입지 및 형태, 생활공간 개발 및 인프라 구축, 생활 관련 시설의 현황 및 입지(교육시설, 시장)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시여가는 부산이 가지는 자연형 여가자원 및 도심형 여가자원을 전제로 여가활동 공간의 입지 및 분포, 여가 관련 자원의 활용 정도, 여가문화의 중심지역, 여가활동 관련 교통인프라를 분석한다. 셋째로, ‘도시정주활동 변화 양상 및 요인 도출’이다. 부산 도시정주활동의 변천과정 및 내용을 토대로 이의 해석을 위해 다섯 시대의 정주활동 변화 양상으로 구분하여 특성을 분석한다. 이는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인 정주패턴 도출 및 해석에 중요한 근거로 활용되는 내용으로서 정주활동 특성 해석과 함께 시대별로 작동하는 변화요인을 내생적, 외생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내용을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최종적인 연구 결과로서 ‘부산시 정주패턴의 도출’이다. 부산의 도시정주활동을 생산, 생활, 여가 측면에서 도출되는 정주패턴을 해석해내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현재의 부산은 이러한 일련의 정주패턴 속에서 성장하였으며, 이의 해석을 위해 각 패턴별 내용정립과 함께 개념화 도면을 작성하여 부산의 총체적인 정주활동 패턴을 도출한다. 본 연구는 부산의 진정성을 내포하는 정주활동의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로서, 향후 근대도시 부산의 총체적인 변천 특성 정립을 목적으로 하는 역사분석형 도시연구들의 기초 자료이자 근거 규명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부산 도시공간구조의 개편방향이 하드웨어적 기능 위주에서 벗어나 지역 정체성을 부여하고 도심의 기능 강화․연계를 위한 주요 기준으로도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 정주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산정을 위한 활동자료 구축과 고도화

        최솔이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LULUCF (Land Use, Land Use Change, and Forestry) sector of greenhouse gas inventories is categorized into six land use types: forestland, cropland, grassland, wetland, settlements, and other land. In South Korea, The greenhouse gas inventories for forestland, cropland, grassland, and wetland categories are currently reported using activity data. However, inventories for settlements and other land categories have not been reported due to the absence of land use definitions and corresponding activity data. Nevertheless, with the implementation and monitoring of the Paris Agreement, there is a growing need for more accurate and scientifically reliable calculations of greenhouse gas inventories. The Paris Agreement particular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eporting inventories based on the principles of TACCC (Transparency, Accuracy, Completeness, Comparability, and Consistency). Therefore, assessing changes in land use throughout the country and the associated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removals in the LULUCF sector has become necessary, considering human activities and adhering to the TACCC principl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ethods for defining the spatial boundaries of settlements and developing activity data based on the TACCC principles in the LULUCF sector. Additionally, the study aims to further enhance the approach by creating additional activity data in the future and exploring ways to ensure compliance with the TACCC through administrative systems such as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To determine the spatial boundaries of settlements, we considered 19 categories from the cadastral map: mineral spring site, salt farm, site, factory site, school site, parking zone, gas station, storage site, road, railroad, embankment, waterways, park, physical site, amusement park, religion site, historic site, graveyard, and miscellaneous land. These categories were selected based on TACCC principles for land use classification. To identify the spatial extent of settlements, we removed overlapping areas from the spatial data used for forest land and cropland, such as Forest-type maps and Smart farm maps. According to the 2019 data, settlements covered approximately 11% of the total land area, while settlements excluding overlapping areas accounted for around 9%. For constructing activity data within these spatial extents, we estimated the crown area using aerial photographs from 2000 and 2019, which included orthoimages and aerial forest images. The activity data covered 18.47% of the 19 categories from the cadastral map, or 12.66% when excluding overlapping areas. Based on these findings, we applied the Tier 1 method to land converted to settlements and the Tier 2a method to evaluate the inventory statistics for the remaining settlements. The estimated CO2 emissions and removals for the 19 categories from the cadastral map, excluding overlapping areas, were approximately 722.76 ktCO2yr-1 and 182.71 ktCO2yr-1, respectively. Additionally, we utilized LandTrendr,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nd EVI (Enhanced Vegetation Index) in Approach 3 to detect land use changes and construct additional activity data. These tools were used to analyze significant vegetation changes within the spatial extent of settlements. Notable vegetation decrease was observed in 2009, while significant vegetation growth was noted in 2002, demonstrating high accuracy in the decreased analysis. However, the growth analysis encountered errors due to variations in land use characteristics and satellite image resolutions. As a result, this approach proved suitable for identifying land use changes, particularly settlements converted from forest land and cropland. Lastly, to ensure compliance with TACCC principles and enhance the construction of activity data, we analyzed relevant materials concerning laws and regulations, leading us to derive three implications. Firstly, w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clarifying the relevant data required for constructing and accumulating activity data. Secondly, we identified the need to supplement and establish legal and regulatory frameworks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to address land use changes and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activity data. And thirdly, we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constructing a methodology for activity data construction and a data collection system to ensure consistent calculation of greenhouse gas inventories at both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This study is divided into four research aims: 1) defining the spatial boundaries of settlements, 2) constructing activity data, 3) evaluating greenhouse gas inventory statistics, and 4) improving the construction of activity data and systems. Synthetically, we emphasized the need to define the spatial boundaries and construct activity data consistent with other land categories to accurately calculate and report greenhouse gas inventories for settlements. Furthermore, to improve the TACCC compliance of greenhouse gas inventory reporting, we identified the year for constructing additional data, such as satellite imagery-based vegetation indices, which would determine the timing of activity data construction for settlements. Finally, we confirmed that improving the construction of activity data and systems through administrative data, including legal systems about settlement activity data, was necessary.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LULUCF 부문은 산림지, 농경지, 초지, 습지, 정주지, 기타토지의 토지이용범주로 구분되어 있다. 국내에서 산림지, 농경지, 초지, 습지 범주는 각 범주의 활동자료로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산정 및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정주지 및 기타토지 범주는 토지이용의 명확한 정의와 그에 따른 활동자료가 부재하여 현재까지 산정 및 보고가 수행되고 있지 않다. 국제적으로 파리협정 이행과 점검에 따라 보다 과학적이고 신뢰성 있는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산정이 더욱더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파리협정에서는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TACCC 원칙으로, 투명성(Transparency), 정확성(Accuracy), 완결성(Completeness), 적절성(Comparability), 일관성(Consistency)을 확보한 산정과 보고를 강조하고 있고, 국내 LULUCF 부문에서도 TACCC를 전제로한 인간 활동에 따른 토지이용변화 및 그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흡수량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LULUCF 부문의 TACCC를 전제로하는 정주지 공간범위 검토와 활동자료 구축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통한 온실가스 배출∙흡수량을 시범 산정하는 것을 연구의 핵심 목표로 하였다. 또한, 향후 활동자료 추가 구축을 통한 접근방법 고도화와 국내 법∙제도 등 행정체계를 활용한 TACCC 확보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 목표로 하였다. 정주지 공간범위 설정에는 토지이용구분 시 고려해야하는 TACCC 원칙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여, 우선적으로 연속지적도의 19개 지목(광천지, 염전, 대지, 공장용지, 학교용지, 주차장, 주유소 용지, 창고용지, 도로, 철도용지, 공원, 체육용지, 유원지, 종교용지, 사적지, 묘지, 잡종지)을 공간범위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토지 구분의 중복 가능성을 고려하여 산림지와 농경지에서 활용하고 있는 공간자료(임상도, 스마트팜맵)와 중복지를 제거한 공간범위를 확인하였다. 19개 지목에 대한 정주지 면적은 2019년 기준 전체 국토의 약 11%, 중복지를 제외한 정주지 면적은 약 9% 이었다. 이러한 공간범위에 따른 활동자료는 교목 수관면적에 대하여2000년과 2019년을 기준으로 정사영상과 과거산림항공사진을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활동자료 면적은 19개 지목의 18.47%, 중복지를 제외한 19개 지목의 12.66%에 달하는 면적을 차지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활용하여, 타토지에서 전환된 정주지는 Tier 1, 정주지로 유지된 정주지는 Tier 2a 방법을 활용하여 인벤토리 통계량을 평가하였다. 19개 지목을 대상으로 한 현재 CO2배출∙흡수량은 622.16 ktCO2yr-1, 중복지를 제외한 경우에는 242.16 ktCO2yr-1를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접근방법3(Appraoch 3)로 토지이용변화 파악 및 활동자료 추가 구축을 위해서 LandTrendr(Landsat-based Detection of Trends in Disturbance and Recovery)와 NDVI 와 EVI 식생지수를 활용하여, 정주지 공간범위 내 식생변화가 크게 발생한 시점을 분석하였다. 식생감소는 2009년, 식생증가는 2002년이 가장 컸으며, 감소시점 파악에 대한 정확도는 매우 높았지만, 증가시점 파악에는 정주지 토지이용특성과 위성영상 해상도에 따른 오차가 존재 하였다. 따라서, LandTrendr 알고리즘은 급격한 감소가 발생하는 산림지에서 전환된 정주지, 농경지에서 전환된 정주지 등의 토지이용변화 파악에 보다 적합 하였다. 마지막으로 TACCC 확보를 위한 활동자료 구축과 고도화를 위하여 국내 법∙제도와 관련된 자료를 분석하고 세가지 측면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번째로는 활동자료 구축 및 축적을 위한 관련자료 범위에 대한 명확화가 필요하며, 두번째로는 정주지 관련 법∙제도의 보완과 근거 마련을 통한 국가 및 지자체 단위에서 활동자료 구축이 필요 하였다. 세번째로는 국가와 지자체 단위에서 일관성 있는 온실가스 인벤토리 산정을 위한 활동자료 구축 방법론의 확립 및 자료 수집 체계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서 1) 정주지 공간범위 설정, 2) 활동자료 구축, 3) 인벤토리 통계량 평가, 4) 활동자료 고도화 및 구축 체계로 구분되는 연구 수행을 통하여, 정주지의 온실가스 인벤토리 산정과 보고는 타토지범주와 정합성을 가지는 공간범위 설정과 그에 따르는 활동자료 구축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른 온실가스 인벤토리 통계량 산정을 통하여 TACCC를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위성영상의 식생지수 변화 파악을 통해 자료의 추가 구축 시점을 도출이 가능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정주지 활동자료와 관련된 법제도 등 행정체계의 보안과 마련을 통하여 TACCC에 부합하는 자료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