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지체아동의 상호지식 촉진을 위한 의사소통중재 효과성 연구

        김지숙 단국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on interventions of both the comparative description and comparative-comprehension monitoring. This will be done to facilitate mutual knowledge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thirty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whose chronological ages were ranged from 6.0 to 8.8 years. The children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the experimental (comparative description and comparative-comprehension monitoring) or control groups, based on intelligence, chronological and language ages. Interventions were measured as correctness of performance more than 90% each session. Each session was approximately thirty minutes long and all ten sessions occurred twice each week. The comparative description intervention provided children with perceptive feedback to identify the names and properties of the objects. The technique focused upon explaining the targeted objects in concrete terms. The comparative-comprehension monitoring intervention was applied in the same way. The speaker's role remained the same. This study evaluated the listener's performance on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expressive strategies of inadequate message. Each child was given the chance to practice the new strategies. In the fashion, the study assesses the child's performance in the role of the listener. This showed how the child processed each new piece of information. The children were asked to assess information sufficiently in the conversation before choosing objects and use a variety of expressive strategies if the given information wasn't sufficien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NOVA-repeated measu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in the speaker's ro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argeted description and speaker's reaction among three groups. These differences were related to communicative intervention mode. The comparative description and comparative-comprehension groups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children in control groups in the targeted description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ntext. Secondly, in performance of the listener's role,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formance and the use of strategy. In the case of ambiguous message and uninformative message in the performance of the listener's role the comparative-comprehension monitoring intervention group statistically more improved than the comparative description interven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formative message and inconsistent message among three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omparative-comprehension monitoring intervention had effects that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caught the ambiguous message and uninformative message. Thir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argeted description of speaker's role in generalization tasks. On the targeted description, in the case of performance of both the comparative description and comparative- comprehension monitoring children were with mental retardation significantly superior to the control group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mparative descriptions and comparative comprehension. That is, the performance of the speaker's role, in general, showed the effects of both intervention methods. Within generalization task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rategy use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ccording to intervention. As for inconsistent information, the comparative-comprehension monitoring children reacted by becoming aware of and more sensitive to information than did control group. The comparative-comprehension group also used more suitable strategies to gather informa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mparative -comprehension monitoring and comparative description groups in inconsistent message. In contrast, the comparative-comprehension monitoring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handling inconsistent messages than did both other groups. Namely, because comparative-description intervention performed to compare between the properties of objects, when the speaker provided the inconsistent message,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responded sensitively. In the case of the ambiguous message, however, they did not use the expressive strategy and ignored or did not respond the given message. In conclusion, communication is the process by which mutual knowledge and information such as beliefs, attitude and needs is shared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Effective communication needs both the listener's and the speaker's performance competence to facilitate mutual knowledge in the conversation. The effective intervention that communicative improved performance competence in the listener's role was comparative description and comparative-comprehension monitoring. But, the effective intervention in the role of speaker was only comparative-comprehension monitoring that asked to compare properties of the objects and use strategies when children did not understand the information. That is, the search group, comparative-comprehension monitoring group, paid more attention to speaker's story and used suitable strategies if they didn't understand given information. Therefore,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facilitating the mutual knowledge of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eachers should instruct the competence of both the speaker's role and the listener's role. That is, teachers provided children with perceptive instruction and feedback with which they are able to compare objects concretely, identify that they fully understand the given message, and instruct to use suitable expressive strategies when the children do not understand the given message.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화자와 청자가 그들의 지식과 생각을 공유해야 하고, 상호지식을 형성해 나아가야 하며, 이러한 상호지식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화자로서의 역할수행과 청자로서의 역할수행 능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호지식 기반의 열약으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보이는 정신지체아동의 상호지식 촉진을 위한 의사소통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교기술중재와 비교-이해점검중재를 실시하고, 이러한 의사소통중재방법이 화자로서의 역할 수행, 청자로서의 역할 수행, 청?화자 역할 수행에 미친 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생활연령이 6, 7, 8세인 30명의 정신지체아동이었다. 지능과 생활연령, 언어연령을 준거로 아동을 10명씩, 총 30명을 세 집단(비교기술중재 집단, 비교-이해점검집단, 통제집단)에 무선 할당하였다. 중재는 한 회기 마다 90%이상의 수행정확도를 나타내도록 하였으며, 한 회기는 총 30분으로 주 2회 총 10회기로 실시되었다. 비교기술중재에서는 사물의 이름과 특성을 확인하고, 다른 사물과의 특성을 비교하여 기술하도록 하기 위해 지각적 피드백을 제공하여 목표물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비교-이해점검중재에서는 화자역할 수행 시 비교기술중재를 동일하게 적용하였고, 청자역할수행 시에는 다양한 정보에 따른 이해평가, 불충분한 정보에 대한 표현전략 및 일반화를 위한 새 전략을 연습할 기회를 제공하여 의사소통상황에서 사물을 선택하기 전에 들어오는 정보를 스스로 충분히 평가하고, 이해하지 못했을 때 다양한 표현전략을 사용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자역할 수행인 맥락유무에 따른 목표물기술과 화자반응수행에서 의사소통중재방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맥락유무에 따른 목표물기술에서는 비교기술중재집단과 비교-이해점검중재집단의 정신지체아동들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더 유의미하게 높은 수행을 나타냈다. 둘째, 청자역할수행인 정보유형에 따른 수행과 전략사용은 의사소통중재방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부분적으로 있었다. 정보유형에 따른 청자역할 수행에서 모호한 정보와 비정보의 경우에는 비교-이해점검중재집단이 비교기술중재집단과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더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그러나 완전정보와 모순정보의 경우에는 세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교-이해점검중재가 정신지체아동들의 정보유형 중 모호한 정보와 비정보를 더 잘 감지하게 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일반화 과제 중 화자역할인 목표물기술은 의사소통중재방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목표물기술에서는 비교기술중재집단과 비교-이해점검중재집단의 정신지체아동들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은 수행을 나타냈으나, 비교기술중재집단과 비교-이해점검중재집단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화자역할수행에서 두 중재방법 모두 일반화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일반화 과제 중 청자역할의 정보유형에 따른 전략사용은 의사소통중재방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모순정보일 경우, 비교-이해점검중재집단의 정신지체아동들은 통제집단보다 들어오는 정보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고, 적절한 전략을 사용하였으나, 통계적으로 비교기술중재집단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반해 모호한 정보의 경우에는 비교-이해점검중재집단의 정신지체아동들이 다른 두 집단의 아동들보다 통계적으로 더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즉 비교기술중재는 사물간의 특성들을 비교하도록 중재하였기 때문에 화자가 모순정보를 제공했을 때 민감하게 반응했으나, 모호한 정보의 경우에는 표현전략을 사용하지 못했고, 들어오는 정보를 무시하거나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정신지체아동들의 화자역할에 따른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는 비교기술중재와 비교-이해점검중재였다. 그러나 청자역할에 따른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는 비교기술중재만 했을 때가 아니라 이해점검중재를 함께 수행했을 때였다. 즉 비교-이해점검중재집단의 정신지체아동들은 청자역할수행에서 다른 사람들의 말에 주의를 기울였으며, 이해하지 못했을 때 적절한 전략을 사용했다. 따라서 정신지체아동의 상호지식을 촉진시켜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화자역할에 필요한 능력이외에 청자역할에 필요한 능력도 함께 가르쳐야 하므로, 정신지체아동들에게 사물을 구체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지각적 교수와 지각적 피드백을 제공하고, 들어오는 정보를 충분히 이해하였는지 확인해야하며 이해하지 못했을 때 적절한 표현전략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 精神遲滯兒 어머니의 心理的 態度變化와 스트레스 對處行動 硏究

        양복만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정신지체아 어머니들의 자녀 양육중에 생기는 심리적 태도 변화 단계를 조사하고 이를 어머니와 아동의 특성. 가족 지지와 사회적지지 등의 하위 변인과 연계해 조사하고 그에 따른 어머니들의 스트레스를 부모와 가족의 문제 부모의 비관적 태도. 아동의 특징 아동의 신체적 무능과 결부시켜 분석하고 선호하는 대처 양식을 살펴봄으로서 좀 더 효과적인 가족 적응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제주도에 거주하고 있는 정신지체아 어머니 100명을 대상으로 현재의 심리적 태도 변화단계를 조사하기 위해 Levinson의 정신지체아 부모의 7단계 심리적 변화 과정을 위주로 제작한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심리적 태도에 대한 설문지, 정신지체아 어머니들의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Q.R,S-F설문지. 가족 및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최보금이 제작한 것을 평가 척도만 수정해 만든 설문지.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을 측정하기 위해 Folkman and Lazarus의 대처방식 척도를 김정희가 번안한 것을 사용해 조사하고 조사된 내용은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해 통계 처리 분석하고 t검증을 포함한 일원 변량분석을 했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alpha 계수를 구했다. 조사 연구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심리적 태도 변화 과정은 대체로 충격→부정→죄책감→시기→수용의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지체아 어머니들은 과반수가 자녀의 장애를 수용하고 있으나 상당수의 어머니들이 자녀의 장애를 부정하고 있거나 자녀 또래의 정상아를 시기하고 있었으며 부정적 감정이 깊게 내재되어 있었다. 장애 자녀가 남자일 때 부정적 심리가 많았으며, 부정단계에서는 초등부 어머니의 심리적 점수가 높았고, 자녀의 장애 정도가 심할수록 자녀의 장애를 매우 수치스럽게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젊은 어머니일수록 시기하는 마음이 많았고 나이가 많은 어머니일수록 수치심이강하게 나타났으며. 생활수준이 낮을수록 충격이나 배척하려는 심정이 강하였다. 대체로 정신지체아 어머니들은 가족과 사회적 지지를 받고 있다고 믿고 있었으며, 남편의 지지가 클수록 자녀의 장애를 수용하려는 마음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2. 정신지체아 어머니들은 자녀가 유치부에 다닐 때는 자녀의 신체적 무능, 초등학교에 다닐 때는 부모와 가족의 문제에 가장 큰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었다. 자녀의 장애 정도가 클수록 어머니들은 부모와 가족의 문제. 부모의 비관적 태도, 아동의 신체적 무능, 아동의 특징 등 모든 요인에서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고 있었으며 아동의 신체적 무능에 대해서는 젊은 어머니일수록 스트레스가 심했고, 생활 수준이 낮을수록 부모와 가족의 문제, 부모의 비관적 태도 등에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아동의 특징, 신체적 무능에 대해서는 생활 수준이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많았다. 3. 정신지체아 어머니들은 유치부와 초등부 어머니들은 문제해결적 대처 방안을 선호했으며 아동의 장애 정도가 경미할수록 문제 해결적으로 대처하려는 경향이 아주 강하였고 또 젊은 어머니일수록,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문제 해결적 대처방안을 선호하고 있었다. 대체로 어머니들은 문제 해결적 대처 방식을 더 선호하고 있었으며 특히 수용단계의 어머니들은 그 경향이 더욱 켰으나 부정과 시기 단계의 어머니들은 정서 지향적 대처 방안의 선호도가 심화되어 있었다. 또 부모와 가족의 문제에 대해서는 문제 해결적 대처 방식을 선호하는 어머니들이 정서 지향적 대처 방식을 선호하는 어머니들보다 스트레스가 훨씬 적었다. This paper examines each stage of mothers' psychological attitudes found in the process of bringing up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also traces such related lower factors as characteristics between mothers and mentally retarded children, between parental and social supports. With the analysis of mothers feelings of stress in relation of parental and family problems, parental pessimistic attitudes, children's characteristics, and their physical inabilities. I wish to find out more efficient way to help retardates achieve better adaptation to families . Several methods have been used to do so: a questionnaire on the stages of mothers psychological changes of attitudes on the basis of the Levinson's Seven Psychological Process of mothers of mental retarded with the samples of 100 mothers in Cheju Province, a Q.R.S.-F questionnaire for testing the degree of stress mothers feel,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model of Choi Bokeum for measuring family and social supports, and a Kim Junghee version of the Folkman & Lazarus model for testing stress mothers feel. All of the results a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the SPSS/PC^(+) program including T-test, and Cronbach's alpha scale is adopted for proving credibility.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Mothers psychological changes of attitudes are proven to generally undergo the Shock-Denial-Sense of Guilt-Jealousy-Acceptance process. Half of the mothers accept the fact that their children are mentally retarded, however, a great many of them are opposed to accept the fact, which leads them to jealousy toward peer healthy children. Interestingly in case that son is retarded, his mother shows higher degree of negative response, especially those who have elementary school children respond that way. The more seriously children are retarded, the more mothers feel shame on their children's retardation. Younger mothers show higher level of jealousy, on the other hand, while older mothers show much more shame. Those who are in lower standard of living feel shock sharply and tend to strongly deny the fact. In general, mothers of the retarded children believe they have family and social supports and the more they get supports from husbands, the more powerful willingness they show to accept children's retardation. 2. Mothers prove to feel more stress on their children's physical inability when they are in kindergarten, on the contrary, and on parental & family problems when children are in elementary school. The more serious the degree of children's retardation is, the more mothers show the feelings of stress in such all aspects as parental and family problems, parental pessimistic attitudes, children's physical inabilities, and children's characteristics. Younger mothers feel stress more seriously about their children's physical inabilities. Mothers whose standard of living is rather low show high level of stress in aspects of parental and family problem, and parental pessimistic attitudes. while those whose standard of living is rather high show high level of stress in both children's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inabilities. 3. As for mothers' preference to coping with the retardation problems of their children, mothers whose children are attending kindergarten or elementary school and/or whose children are slightly retarded plus mothers in higher standard of living prefer the problem-solving approach. In general, mothers show the tendency to prefer the problem-solving approach, especially in the stage of Acceptance their tendency is strong. However, in the stages of Denial and Jealousy they prefer the emotion-oriented approach. As to parental and family problem, mothers who prefer the problem-solving approach show lower level of stress than those who prefer the emotion-oriented approach.

      • 精神遲滯兒의 社會成熟에 관한 硏究

        김진희 전주우석대학 199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교육가능 정신지체아와 훈련가능 정신지체아의 사회생활능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정신지체아의 사회생활 지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교육가능 정신지체아는 전주 효자국교, 전주 동국교, 전주 중앙여중, 전주 서중학교에 설치된 특수학급에서 82명, 훈련가능 정신지체아는 전주 은화학교, 전주 자림학교에서 60명을 표집하여 김승국, 김옥기가 표준화한 "사회 성숙도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는 사회생활능력 검사의 6개 하위영역에서 얻은 개인별 점수를 산출하고 집단간 변인별 평균의 차에 의한 t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생활능력의 영역별 득점에 있어서 훈련가능 정신지체아가 교육가능 정신지체아에 비해 현저하게 열약하다. 둘째, 사회생활능력의 총득점에 있어서 영역별 연령별 공히 훈련가능 정신지체아가 교육가능 정신지체아에 비해 열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가능 정신지체아와 훈련가능 정신지체아의 영역별 능력의 차는 의사소통능력, 이동능력, 사회화능력, 자조능력, 자기관리능력, 작업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가능 정신지체아의 사회생활능력은 자조능력, 이동능력, 의사소통능력, 사회화능력, 작업능력, 자기관리능력의 순으로 발달이 이루어지고, 훈련가능 정신지체아는 자조능력, 이동능력, 의사소통능력, 작업능력, 사회화능력, 자기관리능력 순으로 발달이 이루어지고 있다.

      • 정신지체 청소년에 대한 욕구조사 : 소비자와 제공자의 관점들을 통합하는 접근

        김나영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신지체인들의 증가로 인해 이들에 대한 사회복지의 요청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이들에게 필요한 서비스와 정책의 개발을 위한 욕구조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정신지체 청소년들의 학부모인 소비자들과 이들에게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사업가와 특수학교 교사인 제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정신지체 청소년들에 대한 포괄적이고 균형 잡힌 욕구 조사를 통해 정신지체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프로그램과 서비스 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 첫째, 정신지체 청소년들의 학부모인 소비자의 자녀 부양에 대한 사항을 조사하였고, 둘째, 교육, 문화, 경제, 취업 등 전반적 욕구에 대하여 심각한 문제와 필요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와 제공자의 욕구를 종합하여 욕구의 우선 순위를 정하였다. 셋째, 취업 및 직업재활에 대한 욕구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였으며, 넷째, 장애인복지시설에 대한 욕구와 만족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먼저 소비자의 자녀 부양에 대한 사항을 살펴보면, 기존의 연구에서와 같이 소비자들은 정신지체 청소년들로 인해 심리적 부담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주로 비전문가와 상담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을 위한 가족 중심적 서비스의 제공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전반적 욕구에 대해 소비자와 제공자의 심각한 문제와 필요한 서비스의 양 차원에 걸쳐 공통적 내용을 지니면서 종합적 순위가 높은 욕구들에 대해서는 1위가 취업 및 경제적 어려움, 2위가 장애인복지시설, 3위는 일반인의 인식문제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서비스와 정책의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기초자료가 되리라 생각한다. 셋째, 취업 및 직업재활에 대한 욕구조사에서 취업을 원하는 소비자가 원하지 않는 소비자보다 훨씬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취업 관련 서비스에 대해 모르고 있는 소비자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재활에 대한 홍보는 물론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시설과 기회의 확대 그리고 전문적 인력의 확보가 시급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정부와 기업체들의 장애인 고용 강화를 위한 더 실질적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장애인복지시설에 대한 욕구와 만족도에 대해서는 유료 장애인복지관이 생긴다면 이용하겠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미루어 중산층을 위한 더 내실있는 복지관 및 서비스가 요청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보호유형의 경우 수용시설보다는 그룹홈을, 입소시설보다는 주간보호와 같은 시설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에 대한 만족도 결과는 이용자들의 다수가 직원들의 태도에 대해 긍정적 대답을 했지만, 20-30%의 응답자들이 불만을 토로한 점을 미루어 직원들의 태도를 개선할 수 있는 직원 재교육과 더불어 기관 차원의 분위기 쇄신이 요구된다. 또한 시설 자체도 소비자들의 편의를 위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The growth of the mental retardation brings about the continuous demand of social welfare. Therefore, it has been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he needs assessment for developing the services and the policies for them. An important technical issue in the needs assessment is the gap often found between the needs expressed by the consumer and the provider's perspectives on the consumer's needs. So this study data was based on the samples of the two groups. One is the consumer, parents of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of the high school in Seoul. The other is the provider, social workers and special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useful data which helps to plan the requisite programs and the policies for the youth with mental retardation. Concretely,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priority order of overall needs, for example, education, culture, economy, employment, etc, which were expressed by the consumer and the provider. Second, this study examined deeply the needs of the employment and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Third this is examined the needs and the degree of the satisfaction with the welfare agency services. Major finding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ing: Such as the prior study, the consumers had a psychological, social, and economic burden with their children. However, they had counseled with nonprofessionals. So the family focused services are essential to them. The prefered needs are as follows: 1. an employment and economic difficulty 2. a welfare agency for the person with mental retardation 3. the people's lack of understanding for mental retardation The above three major needs should be reflected for planing the services and the policies for the youth with mental retardation. The consumer who want to get a job are many. However many of them don't know about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Advertisement, education, agency, opportunity and professionals for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are needed urgently. In addition the consumer asked for the handicapped employment system's improvement. Many consumers want to use the paid handicapped welfare center. They prefer to use the group home or a day care center. Many of them are satisfied with the center staff's attitude, but some of them complained about the staff. Therefore it is needed to re-educate the staff and to refresh the center's atmosphere.

      • 정신지체인의 직업적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최경림 호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제조업체의 직종과, 직원 규모에 따라 관리자가 인식하는 정신지체인의 직업적 성공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정신지체인이 종사하고 있는 부산시에 소재한 제조업체의 관리자 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통계분석을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사용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적 성공 요인의 범주별 서열은 작업관련 기술군, 개인적 기술군, 의사소통 기술군, 사회적 기술군으로 순으로 나타났고, 전체 서열은 상급자나 감독자의 지시를 잘 따른다. 감독자가 옆에 없어도 직무를 원만하게 수행할 수 있다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종별 성공 요인의 범주별 서열은 식품관련, 단순제조, 조립/포장, 의류관련 직종에서 모두 작업관련 기술군, 개인적 기술군, 의사소통 기술군, 사회적 기술군의 순으로 나타났고 전체 서열은 자신에게 주어진 직무에 대해 흥미를 가지고 있다. 상급자나 감독자의 지시를 잘 따른다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원 규모별 성공 요인의 범주별 서열은 100인 이하의 사업체에서 작업관련 기술군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100인 이상의 사업체에서는 개인적 기술군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전체 서열에서는 자신에게 주어진 직무에 대해 흥미를 가지고 있다, 건강한 신체와 함께 의욕적이다, 상급자나 감독자의 지시를 잘 따른다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우리 나라의 사업체 실정을 고려할 때 최소한의 작업관련 기술과 개인적 기술을 중심으로 한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둘째, 1차, 3차산업에서 대근육을 이용한 직종으로의 교육 훈련을 통한 지원고용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정신지체인이 직업적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대인관계 관련 요인이 중요하며 지속적인 고용 유지를 위한 동료 직원들의 지원이 필요하다. 후속연구를 위하여 첫째, 정신지체인이 취업하고 있는 1차, 3차 산업의 사례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정신지체인이 종사하고 있는 동료 직원들의 인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한다. 셋째, 정신지체인이 종사하고 있는 사업체의 직무에 따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직업적 성공요인이 고용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employment for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and the perception of managers in manufacturing companies by occupational categories and the number of employees. The data of this study was gathered from 37 managers of manufacturing companies with mentally retarded employees in Busan based on the frequency. The major finding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tegorical ranks of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employment were indicated in order of job related skill group, personal skill group, communication skill group and social skill group. The total ranks are indicated from the obeyance of the manager's direction and performance of job tasks without the manager. Second, categorical ranks by occupational categories were indicated from job related skill group, personal skill group, communication skill group and social skill group in all of occupational categories of food service, entry-level manufacturing, assembly/wrapping, and clothing business. The total ranks were indicated from interest in the job and the obeyance of the manager's direction. Third, the analysis concerning categorical ranks by the number of employees is that the job related skill group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ompanies with job related skilled 100 employees and less. But the personal skill group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ompanies with 100 employees and above. The total ranks were indicated interest in the job, the strong desire in placed job and the obey of manager's direction. From this research, we can make suggestions as the following: First, considering Korea's industrial environments, vocational training and education focusing basic job related skills and personal skills should be performed. Second, an approach to supported employment in job types using gross mortor skills in the service industry and agricultural industry. Third, the social skill factor is important in the success of employment for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and co-worker's support is essential to maintain the employment of the mentally retarded. For the suggestion for the following research: First, the research should be made for the case of service industry and agricultural industry employing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Second, the research should be made for the co-worker's perception with a mental retarded worker. Third, the research should be made for job types of companies with mental retarded employees. Fourth, the research should be made for the effect of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employment on employment maintenance.

      • 정신지체아동의 주간보호시설 만족도에 관한 연구

        안성균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 있어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지체장애아동의 부모나 보호자들의 주간보호시설의 환경, 담당직원에 관한 사항, 프로그램에 대한 의견 등에 대한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함으로 앞으로 주간보호시설 운영에 있어 발전을 이룰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목적으로 서울. 경기지역의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대상자 210명을 조사 연구하였다. 수집된 설문의 자료를 입력, 분석은 SPSSWIN 8.0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들의 만족정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성별을 보면 남자가 65.2%, 여자가 29.6%로 남자가 여자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은 정신지체아동이 58.3%로 지체장애아동 16.5%로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장애아동이 주로 정신지체아동임을 알 수 있다. 장애등급을 보면 장애1급이 43.5%, 장애2급 38.3%, 장애3급이 12.2%로 중증 장애아동일수록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간보호시설 이용기간에 따른 만족도를 보면 이용기간이 길수록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대체로 시설환경. 담당직원 및 프로그램에 관해 만족한다고 나타났다. 이용동기는 친인척 소개, 이용중인 기관의 소개, 방문상담 및 전화상담 등으로 장애부모의 시설에 대한 관심이 크다고 볼 수 있다. 프로그램의 만족도에 대해 아버지, 형제 자매. 친척의 경우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반면, 어머니의 경우는 낮게 나타났다. 보호자의 연령에 따른 만족도는 시설환경, 담당직원, 프로그램의 경우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력에 따른 만족도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학력이 낮은 보호자일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종교에 따른 만족도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용자의 월 소득에 있어서는 이용자 만족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고 난 후 자녀와 부모의 변화에 있어서 자녀의 경우는 대인관계가 향상되었고,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정서적 안정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경우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심리적. 정서적 안정, 취미. 여가생활이 활발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 사회에 있어서 가사에 종사하던 많은 어머니들이 취업이 증가하고, 직업의 다양화로 인해 취업중인 어머니들, 특히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들은 장애아동의 보호할 곳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리고 어머니의 퇴근하는 시간보다 주간보호시설의 운영을 마치는 시간이 빠르기 때문에 주간보호시설의 연장운영이 필요하다고 본다. 주간보호시설의 운영에 있어 대상자의 서비스의 접근이 용이한 곳에 설치됨은 물론 시설의 부족으로 이용을 원하는 대상자는 많으나 이용시설의 수가 적은 관계로 시설 설치가 절실이 필요하다. 2003년도까지 200여 곳을 확충한다고 계획하고 있으나, 장애정도나 유형에 따라 최소 보호인원을 차등 규정하거나, 주간보호의 유형을 다양화하여 그에 대한 지원책이 세분화하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서울시에서는 2001년 현재 주간보호시설과 장애아동을 일정기간동안 보호하는 단기보호시설을 3곳을 위탁. 운영중이고 전국적으로 10곳을 위탁 운영중이다. 매일 주간에만 보호하는 것과 집안에 일이 있는 일정기간동안 장애아동을 보호하는 곳이 절실히 필요한 현 시점에 주간보호시설과 단기보호시설을 잘 활용하여 장애아동의 양육에 장애아동의 가족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다고 본다. 현재 주간보호시설의 필요성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의 제도적인 지원을 통한 보다 안정적이고 전문적인 주간보호시설 프로그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정신지체 학생과 가족의 여가 실태와 제약에 관한 연구

        김선화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fact for the leisure of mental retarded students, and its barrier. Moreover, their family's leisure condition and its barrier will be studied. To achieve this purpose, we interviewed 10 middle or highschool mental retarded students in Busan and GyungNam province, and 5 people among their parents, who especially are interested in the leisure life. The followings are major questions in this research. First, the fact for the leisure life of mental retarded students. Second, leisure life's barrier of mental retarded students. Third, the fact for the leisure life of mental retarded students' family. Fourth, leisure life's barrier of mental retarded students's family. Our research method is to practice one to one interview with mental retarded students and their family. All of the interview were recorded and studied after getting agreement of participants, and contents that are not related to this research were deleted. Some unclear parts of student's answers were analyzed again and got organized with asking an interviewee again by telephone or email. Moreover, with special education expert, we are trying to interpret the result without any prejudice or stereotype so that, we increased the reliability of this research. Based on these analy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isure life of mental retarded students are in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ir family's support and their own interest. The students, who have enough support and many interests, they are enjoying almost all kinds of leisure. However, who doesn't get support and showed little interest, their leisure were very limited. The leisure types of students are varying by its absolute time (week days, weekend, and vacation), and the point of view to student's leisure of their parents. Second, from mental retarded student's barriers to leisure life, internal barrier appeared to be lack of ability of their own. Interpersonal barriers were shortage of accompanying friends, and structural barriers were financial difficulty, and parent's objection toward to the leisure in favor. Third, mental retarded student's leisure happiness usually weekend or vacation, not week days. The most popular activity is watching movies, and the activities like watching movies or travel were done with entire family members. Family leisure life were usually taking place with more than two activities. There's a case that the parents of mental retarded students think that family leisure is the extension of learning. Fourth, the internal barriers of mental retarded student's family leisure are inability of special student or disagreement with their siblings. The interpersonal barriers are lack of time due to work of family members or studying of sibling, and fatigue of family members. The structural barriers appears to be low accessibility of leisure facilities, and insufficient financial states. 본 연구는 면접법을 통해 정신지체 학생의 여가 실태와 여가 제약에 대한 요인, 정신지체 학생 가족의 여가 실태와 여가 제약에 대한 요인에 관한 사항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경남의 특수학급 또는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 중·고등학생 10명과 정신지체 학생의 학부모 중 여가 생활에 대해 관심이 있는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 학생의 여가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정신지체 학생의 여가 제약은 무엇이 있는가? 셋째, 정신지체 학생 가족의 여가 실태는 어떠한가? 넷째, 정신지체 학생 가족의 여가 제약은 무엇이 있는가? 연구 방법은 정신지체 학생과 정신지체 학생 가족 각각의 대상자와 약 30분 간 일대일 면접을 하여 여가 실태와 여가 제약에 관한 사례를 수집하였다. 모든 면담내용을 참여자 및 가족의 동의를 얻어 녹취 후, 녹취된 자료 모두 전사하였다. 본 연구와 관련 없는 면접 내용은 제외하였다. 학생의 응답 중 대답이 매끄럽지 않은 부분은 연구자가 녹음 자료를 다시 분석하여 의미가 변하지 범위에서 매끄러운 말로 다시 재구성하였다. 면담 내용 중 애매한 내용이 있을 경우, 면접자에게 전화 또는 e-mail을 통해 재 면담과 특수교육전문가 1인으로부터 같은 장면이나 현상을 통해 편견과 주관 등을 배제한 후 객관적인 입장으로 재분석하여 연구의 신뢰도를 높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 학생의 여가는 가족의 지원이나 학생의 흥미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거의 모든 유형의 여가를 즐기는 학생도 있는 반면, 가족의 지원이 없거나 학생의 흥미가 없어서 협소한 여가 생활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평일과 주말 그리고 방학 동안 여가를 즐기는 유형이 각각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만큼 학생의 여가 시간도 여가 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부모가 학생의 여가를 보는 관점에 따라서 학생 여가 유형이 달라지므로 부모의 여가에 대한 관점이 학생들의 여가 활동에 영향을 주는 점도 알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정신지체 학생의 여가 제약의 요소 중 내적제약으로는 자신의 능력부족으로 나타났고, 대인적 제약으로는 여가 생활을 함께할 친구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구조적 제약으로는 경제적 사정의 어려움, 선호하는 여가에 대한 부모의 반대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신지체 학생 가족의 여가는 모든 가족 구성원이 모여 여가생활을 하기는 다양한 이유로 어려운 모습을 보였다. 평일보다 주말이나 방학동안 가족과 함께하는 여가 생활을 다양한 방법으로 하고 있었으며 가족 여가에 참여하는 가족 구성원의 수도 여가 유형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주말에 영화를 보러가거나 또는 방학 중 여행을 갈 때에는 거의 모든 가족이 함께 참여하고 있었다. 여행을 통해 학생의 다양한 능력의 발달을 도울 수 있다고 보는 학부모도 있는 만큼 가족의 여가도 하나의 학습의 연장으로 생각하는 사례도 있었다. 가족이 함께 참여하는 여가 생활을 할 때에는 하나의 여가 활동만이 아닌 두가지 이상의 여가활동을 한꺼번에 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학생의 또래 친구가족과도 여가 생활을 함께하는 모습이나 다른 가족과 함께 여행을 하고 싶다고 답변한 사례도 있었다. 넷째, 정신지체 학생 가족의 여가 제약의 요소 중 내적제약으로는 장애학생의 능력부족이나 학생과 형제간의 의견의 불일치로 나타났으며, 대인적 제약으로는 가족 구성원 중 직장 출근으로 인한 시간의 부족, 형제의 학업으로 인한 여가시간의 부족, 가족 구성원의 피로함으로 나타났다. 구조적 제약으로는 여가 시설과의 접근성이 낮다거나 여가 활동의 프로그램의 부족, 경제적 능력의 부족 등의 이유로 가족의 여가 생활을 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다고 답하였다.

      •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등부 음악교과교육 운영 실태와 인식

        이나리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등부 음악교과의 실태와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를 첫째,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등부 음악교과교육의 운영 실태가 어떠한지, 둘째,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등부 음악교과 교육의 인식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 ․ 울산 ․ 경남의 정신지체 특수학교에서 음악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4부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정신지체 특수학교 음악교과의 실태와 인식에 대하여 성별․전공별․경력을 변인으로 설정하였고, 빈도 분석 하였다.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음악교과의 실태에 대한 결과를 보면,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등부의 음악교사는 특수교육 음악을 전공한 교사로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적용하며, 중고등부의 주당 음악 수업 시수는 각각 2시간이다. 학생들을 능력별(상,중,하) 범주로 나누어 교수-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학생들의 흥미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수업내용을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듬악기를 중점적으로 기악지도를 하며 기악지도를 하지 않는 경우, 개별의 수준이 다름을 지도가 힘든 이유를 들었다. 흔히 들을 수 있는 친숙한 음악을 통해 감상지도를 하며, 정신지체 학생들에게 적용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창작 지도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이론을 지도 할 때는 리듬과 박자를 중점적으로 지도하며,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지 않는 다는 이유로 음악이론을 지도하지 않는 교사도 있었다. 민요부르기와 우리장단 익히기 등을 통해 전통음악을 지도하고 있었다. 음악교과의 교수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주로 특수학교 음악교과서를 사용하며 중학교에서는 2단계, 고등학교에서는 3단계를 활용하고 있다. 음악 교과서 이외에도 인터넷 웹 관련 사이트를 수업에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수업 시 음악교과서의 각 제재에 따른 지각활동, 표현활동, 감상활동을 통합하여 지도하고 있는 교사가 많았으며, 통합하지 않는 경우 학생들의 장애에 따른 개인차가 너무 커서 통합이 어렵다고 하였다. 정신지체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음악활동은 가창이었으며, 음악 수업 시 가장 중점적으로 지도하고 있는 활동 역시 가창활동으로 나타났다. 정신지체 학생들의 음악적 특성으로 수업 시 교사용 지도서는 10회에 1-2회 이상 활용하였고, 활용하였다. 그리고 학습지도용 CD자료의 활용정도는 보통, 가창지도를 사용할 때 사용하는 방법은 교사의 노래를 듣고 따라 부르도록 하며, 반주는 피아노 반주를, 평가방법으로는 관찰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음악교과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서는 현행 교육과정의 시간편제에 만족도는 보통이고, 불만족 시 적당한 시수로 3시간을 생각한 교사가 가장 많았다. 음악교과서의 실생활 활용도와 만족도는 보통이다가 가장 많았으며, 보완할 점으로 개인차에 따른 다양한 악곡의 수록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음악교과서의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정도는 보통정도이며, 교사용 지도서의 보완점으로 다양한 교수기법이나 활동 아이디어의 제시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러이러한 점 때문에 음악교과를 담당하는 것이 어렵다고 느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음악 담당교사의 능력향상을 위한 연수의 확대를 요구하였다. 대부분의 교사가 음악교과 전공교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하였으며, 음악전공 교사가 필요한 이유로 음악교과의 지식적, 전문성 제고를 꼽았다. 음악전공 교사가 필요하지 않은 이유로는 ICT자료를 이용하면 기능적인 제한이 어느 정도 해결된다고 보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현재 음악 담당교사들은 교사 연수가 기회 및 내용면에서 모두 부족하다고 지적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질 높고, 현장성 있는 특수교사만을 위한 음악 연수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고 요구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ongoing music class in many special schools and looks into how well the music curriculum is operated. 34 teachers who now serve in special schools ,located in Busan, Ulsan and Geungnam, joined the studies and answered the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three parts. First, it addresses the issue of the operating music curriculum. Second, it talks about the content of music teaching. Third, it deals with the teaching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Beginning with running the music courses, less than half of the music teachers majored in music and singing and playing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music class. On top of that, many of the teachers had hard time to educate musical creation and music theroy as it is too tough for the mentally handicapped. Moving to the content of the music teaching, the primary teaching resource was a music textbook in special schools, coupled with some materials from Internet. Many teachers hoped to have more diverse and colorful activity or technique in textbooks. Lastly for the teaching approach, the biggest challenge they faced as a music teacher in special school came from the character of the students. In other words, they were teaching the mentally retarded. The followings difficulties were that they did not have time to prepare class. In order to address these problems, teaching training must be presented to teachers and are widely available for anyone who wants it. Not to mention, music teachers specializing in special education are in high demand. The study comes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eaching music in special class must be done by the teachers majoring in music and it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systematic and efficient music teaching in special schools. Second, teaching training needs to be administered imminently for improving the general quality of music class. Third, multiple techniques and diverse activities should be presented to teachers and set an environment where teachers have enough time and resources to study for students and make the class better.

      • 정신지체인의 직업적응실태 : 서울시내 3개 장애인종합복지관을 중심으로

        권병화 단국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첫째, 정신지체인의 성별, 연령별, 교육경력, 교육기관, 현재수입의 5개 변인을 기준으로 기술교육 경험의 유무가 현재 업무 수행에 도움이 되는 정도, 직장동료와의 교제, 부서 이동시의 적응, 직장의 규칙 수행 능력, 자신의 기능 발휘 여부, 임금의 만족도, 후생복지 만족도, 자신의 희망에 따른 일의 지속성 여부, 직장생활에 대한 주위의 반응, 현재 하고 있는 직무 내용을 살펴 보았으며 둘째, 직장생활을 할 때 힘든 점은 무엇이며, 직장생활올 위한 학교교육은 어떤 내용이어야 하며, 고용주가 정신지체인을 고용한 이유는 무엇인가를 알아 보았고 셋째, 정신지체인의 특성에 대한 이해도 및 친숙도와 업무 수행 능력, 일반 동료와의 협력에 대한 동료 및 상사의 견해를 알아보아 직업적응을 위한 실제적인 직업지도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 고용되어 있는 정신지체인 61명과 그들의 동료 및 상사 60명을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 자료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교육의 경험 유무가 현재 업무 수행에 도움이 되는 정도에서는 연령이 적을수록 일반학교를 다녔거나 경험이 있는 자가 도움이 크다고 나타났고 직장동료와의 교제에서는 여자보다는 남자가, 연령별로는 나이가 많을수록 교제를 잘 하지 못하는 편으로 통계적 유의차가 있었다. 그 이유는 연령이 많을수록 주변 사람들의 기대감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부서 이동시의 적응에 대한 견해에서는 일반학교 출신자와 사십만원 이상의 소득자가 잘할 수 었다는 자신감을 나타내었고, 직장의 규칙 수행 능력 여부에서는 여자보다 남자가, 연령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수입면에서는 고소득자가 그리고 일반학교 출신자가 양호한 편이나 통계적 의의는 나타나지 않았다. 작업 수행시 기능을 발휘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견해에서는 연령이 많을수록, 수입 면에서는 이십만원-삼십만원과 사십만원 이상의 소득자가 우수한 편으로 통계적 의의가 있었다. 그 이유는 작업 환경의 익숙함과 많은 경험을 통하여 기능 발휘를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친분 관계가 있는 직장에 다나고 있어 보살핌 속에 근무를 하거나 능력이 우수한 자로 기능직의 일을 담당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임금과 후생복지 만족도 면에서는 대부분의 해당자가 만족한다라고 대답하였으며, 자신의 희망에 따른 일의 지속성 여부에 대한 견해에서는 96.7%가 매우 그렇다라고 대답을 하여 본인의 희망에 따라 지속적인 직장생활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정신지체인이 이직율이 적어 고용주가 선호하는 경향이 있거나 남들이 기피하는 더럽고 힘들고 어려운 직종이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현재 하고 있는 직무 내용으로는 기능직보다는 대부분이 단순 노무직에 근무하고 있으며, 능력과 적성을 고려한 취업보다는 우선 취업이 이루어지고 있고 특별한 기능보다는 직장생활의 적응을 위한 사회적인 능력이 우선적으로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둘째, 직장생활을 할 때 힘든 점은 적응행동의 문제, 일이 너무 많거나 어려움, 의사소통의 문제로 나타났으며, 직장생활을 잘할 수 있도록 학교에서 지도해 주길 바라는 사항은 적응행동, 의사소통방법, 기술교육 지도 순서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용주가 정신지체인을 고용한 이유는 일손이 부족하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정신지체인에 대한 관심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신지체인의 특성에 대한 일반동료 및 상사의 이해도와 친숙도에 대한 견해에서는 60.0% 이상이 특성에 대해 알고 있다라고 나타내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친숙도 면에서는 전혀(별로) 없다에 65.5%의 반응을 보여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그리고 정신지체인의 업무 추진력에 대한 의견에서는 보통이다와 별로 뛰어나지 못하다에 각각 50.0%와 26.7%의 반응을 보여 대체적으로 업무 추진력에 대한 의견은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일반 동료와의 협조 관계에서는 보통이상의 의견에 93.1%의 반응을 보여 협조 체계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