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감염병에 대한 소셜미디어 루머의 정보원 신뢰도가 루머 확산 및 정보 탐색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감염병에 대한 심각성 인식의 매개효과와 정보원 인기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가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신종 감염병이나 질병에 대한 루머가 소셜미디어를 통해 확산됨에 따라, 확산 방지를 위한 보건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의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소셜미디어 상의 루머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소셜미디어 이용자가 루머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진위를 확인하려는 노력을 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그러한 시간과 노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소셜미디어 환경에서는 정보원의 신뢰도 요소가 휴리스틱 단서로서 이용자의 루머 확산 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감염병에 대한 소셜미디어 루머를 전달하는 정보원의 신뢰도에 따라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루머 확산 의도와 루머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 탐색 의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수용자가 인지하는 건강 정보 메시지의 정보원 신뢰도에 따라 감염병의 심각성 인식이 달라지며 이는 건강 행동 의도, 즉 정보 확산 및 탐색 의도를 달라지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감염병에 대한 루머에 주목하여, 감염병에 대한 심각성 인식의 매개효과도 함께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는 정보원에 대한 인기도도 루머 확산 및 탐색 의도를 달라지게 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정보원 인기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감염병에 대한 소셜미디어 루머 정보원의 신뢰도가 높아지면 루머 확산 및 정보 탐색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감염병에 대한 심각성 인식은 루머 정보원 신뢰도와 루머 확산 및 정보 탐색 의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루머 정보원의 신뢰도와 루머 확산 및 정보 탐색 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정보원 인기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했다. As rumors about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or illnesses spread through social media, the interest in the field of health communication for preventing their dissemin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To prevent the spread of rumors on social media, it is important for social media users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content of rumors and make efforts to verify their accuracy. However, in the challenging social media environment where it is difficult to secure time and effort for such evaluation, the credibility of the information source plays a crucial role as a heuristic cue influencing users to accept and spread rumors. This study examined how social media users’intent to spread rumors and their additional intent to seek information about rumors vary based on the credibility of the information source transmitting rumors about infectious diseases on social media.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the perceived credibility of the health information source affects the perception of the severity of infectious diseases, which in turn influences health behavioral intentions, such as the intent to spread and seek information. In the context, this study ident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ption of the severity of infectious diseases. Additionally, considering that the popularity of the information source may also influence the spread and seeking intentions related to rumors, this study ident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opularity of the rumor sour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s the credibility of the social media rumor source about infectious diseases increased, the intent to spread rumors and the intent to seek information also increased. Furthermore, the perception of the seveirty of infectious diseases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dibility of the rumor source and the intent to spread and seek information about rumors. However,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the popularity of the information source was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dibility of the rumor source and the intent to spread and seek information.

      • 국내 TV 뉴스에서 활용되는 정보원 특성에 관한 연구 : KBS, MBC, SBS 저녁종합뉴스 내용분석

        김정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는 하루에도 몇 번씩 여러 종류의 미디어를 통해 다양한 뉴스를 만나고 있다. 복잡해지는 현대 사회 속에서 사람들은 자신들이 살고 있는 시간과 공간을 만나기 위해 뉴스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텔레비전은 주요한 정보 수단이다. 현재 우리나라 국민의 텔레비전에 대한 신뢰성은 과거 전통적인 신문 신뢰 성향이 변화되어 신문보다 높은 신뢰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텔레비전 뉴스 또한 사람들에게 있어 중요한 정보원이 되고 있다. 뉴스 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에서 무엇보다 뉴스 기사를 정당화시키는 뉴스 정보원은 사람들이 그 뉴스가 사실임을 믿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많은 학자들이 뉴스 정보원, 취재원에 관심을 기울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언론의 보도 내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로 뉴스 정보원이라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기자들이 모든 일을 목격하거나 경험할 수는 없다. 즉, 뉴스 정보원은 뉴스 제작 과정에 있어 언론의 객관주의 저널리즘 관행을 지지해주는 '사실(FACT)을 이야기 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라고도 할 수 있다. 정보원은 뉴스가 구성하는 현실에서 '사실'을 말할 수 있는 '힘'을 가진다(Ericson 1989). 다시 말하면, '사실'을 말할 수 있는 '힘'을 가진 사람은 뉴스 정보원이 될 수 있는 확률도 커진다는 것이다. 즉, 힘을 가진 사람의 논리가 뉴스 속에서 구성되고 또 재구성되어 '힘'을 가진 권력자들은 기존 질서를 뉴스 속에서 정당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텔레비전 뉴스에 '정보원'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뉴스 정당화를 높이기 위해 어떤 정보원을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의 3대 주요 방송사인 KBS, MBC, SBS의 저녁 종합 뉴스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국내 TV 뉴스에서의 정보원 활용 빈도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국내 TV 뉴스에서 활용되는 정보원 유형별 특성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3] 국내 TV 뉴스에서의 정보원 역할 유형은 어떠한 특성을 나타내는가? [연구 문제 4] 국내 TV 뉴스에서의 정보원의 사운드 바이트 특성은 어떠한가? 첫 번째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텔레비전 뉴스에 활용되는 정보원 수를 분석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텔레비전 뉴스에서 활용되는 정보원 유형을 주제별, 방송사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세 번째 연구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텔레비전 뉴스 기사에 나타난 정보원 유형별 역할 및 임무를 분석하였고, 네 번째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텔레비전 뉴스에 나타나는 정보원 사운드 바이트를 정보원 직업별, 주제별, 사건 성격별, 사운드 바이트 유형별, 사운드 바이트 길이별 등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TV뉴스에서 정보원을 활용한 뉴스 기사 정당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텔레비전 뉴스 기사당 평균 2개정도의 정보원을 활용한다. 텔레비전 뉴스 주제별 활용 정보원 수를 보면, 기사 수는 적지만 '교육' 기사에 평균 활용 정보원 수가 2.52로 가장 많다. 그 다음이 정치, 경제, 환경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장 적은 평균 정보원 사용기사가 '외교'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의 신문 기사 평균 정보원 사용수가 정치, 경제, 사회 순으로 나타나는 것과는 다른 결과이다. 둘째, 정확한 정보원의 출처를 제시하기 어려운 경우는 정보원을 익명으로 제시하여 정보원을 활용한다. 익명 정보원의 비율을 보면 3.8%∼8.8% 정도로 볼 수 있겠다. 이는 기존의 신문에서 사용되는 익명 정보원의 비율보다는 낮다. 텔레비전 뉴스는 시청각 매체이기 때문에 신문보다는 익명 정보원 사용률이 낮은데 이는 바람직한 현상이라 볼 수 있겠다. 셋째, 뉴스 기사에서 정보원이 소속된 그 조직을 보면 일반인, 행정부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정보원 직업을 보면 대부분이 보도 자료인 기타, 행정관료, 정치인 순으로 비중을 보인다. 기존 연구와는 달리, 일반인이 정보원으로 사용되는 비율이 높아진 것은 뉴스 정보원 다양성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결과이다. 그러나 그 구체적 직업으로 볼 때는 다른 직업군은 5%미만의 비율로 정보원으로 활용되는데 보도자료, 행정관료, 정치인이 각각 27.8%, 11.4%, 10.2%로 편중되어 있으므로 여전히 텔레비전 뉴스에서 기사 정당화를 위해서는 '힘'이 있는 권력 있는 사람이나 그 조직을 정보원으로 활용함을 알 수 있다. 넷째, 텔레비전 뉴스 기사는 주제별 정보원 활용을 조금씩 달리한다. 정치, 외교, 국제 정치, 농림/수산/광업, 과학/기술, 군사/국방의 경우는 대부분의 정보원이 정치인, 대통령과 행정관료이다. 통일/남북관계는 행정관료가 가장 많고 탈북인 등이 그 다음이다. 북한 관련 주제 기사에는 기타 자료에 들어가는 언론인과 스포츠/연예 종사자들이 가장 많았다. 법률, 경제/산업, 환경, 교육, 문화(학술/예술)는 행정관료, 법조인, 교육자 그리고 일반 노동자 등이 많았다. 보건/복지는 의료인, 과학 연구자, 주부 등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스포츠/연예/레저의 경우, 스포츠/연예 종사자, 언론인이 많았다. 이는 월드컵 기간이 포함되어 있어서 보통 때보다는 언론인과 고위 관리자(히딩크 감독 등)가 많았던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종교는 대부분이 문화 예술 과학 연구 종사자인데 종교인이 여기에 포함된다. 인간흥미, 생활정보는 대부분 직위가 일반인이며, 직업을 보면 여러 종류의 직업으로 골고루 분포 되어 있다. 그리고 기타 자료, 생활정보에는 행정관료도 많다. 범죄/경찰, 사고/재난 기사의 경우는 대부분이 일반인, 신원미상이다. 그 직업을 보면, 불법/범법자, 군인/경찰/소방수, 직업 미상이 대부분이다. 다섯째, 뉴스 기사에서 정보원 임무, 역할은 정보원 유형별로 다르게 활용한다. 정보원 직업별 역할 비율을 보면 대통령, 정치인, 행정관료, 시민단체가, 경제/기업인은 대부분이 뉴스에서 주체로 나타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주부나 농림/수산/광업/목축업의 종사자나 군인 소방수들은 객체로 많이 나타나며, 교육자, 의료인, 과학/문화 연구자 등은 전문가로 뉴스 정보원에 많이 활용된다. 그리고 언론인 등은 사건 이슈의 증인이나 관찰자인 목격자로 많이 나타남을 보여준다. 정보원 직업별로 임무를 보면, 대부분의 뉴스 정보원은 사건이나 대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함을 볼 수 있다. 그 중 정치인, 학생, 주부, 북한/탈북인 등은 정서적 반응(태도)을 많이 보였는데, 정치인이 여기에 포함되는 것은 지방선거 기간이 연구자의 연구 기간에 포함되어 있어 이 기간에 있었던 지방 선거 유세와 관련이 있다. 여기서 평가의 경우는 사회적 직위가 높은 사람인 경우가 많았다. 즉, 사건의 옳고 그름 판단은 권위있는 자의 사운드 바이트를 이용하여 뉴스 기사 내용을 정당화 하려는 경향이 높기 때문이다. 여섯째, 텔레비전 뉴스에서만 볼 수 있는 사운드 바이트를 유용하게 활용한다. 정보원 유형별 사운드 바이트 사용 비율을 살펴보면 생산 노무직, 학생, 주부 등 쉽게 인터뷰를 할 수 있는 정보원의 경우는 100%의 사운드 바이트를 활용함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대통령, 언론인 등 공식 석상 외의 사운드 바이트를 담기 어려운 경우에는 보도 자료를 많이 활용함을 알 수 있다. 정보원 유형별 사운드 바이트 유형을 살펴보면, 대통령이나 정치인의 경우는 대부분이 연설/강연이며, 군인/경찰/소방수, 생산/운수/단순노무직, 농림/수산/목축/광업 종사자, 북한/탈북인의 경우는 현장 인터뷰가 많았다. 언론인의 경우는 실내 인터뷰와 엿들은 대화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불법 범법자의 경우는 엿들은 대화가 가장 많았다. 그리고 주부의 경우는 실내 인터뷰, 현장 인터뷰, 즉흥 인터뷰가 골고루 분포했으며, 학생은 대부분이 즉흥 인터뷰, 스포츠 종사자의 경우는 실내 인터뷰와 현장 인터뷰가 대부분이었다. 나머지는 대부분 실내 인터뷰의 비중이 높았다. 즉, 고위 관리 이상의 경우는 기자보다는 정보원 쪽의 의지로 인한 인터뷰가 대부분이며, 학생이나 주부 등 쉽게 인터뷰 대상자를 섭외할 수 있는 경우는 기자의 의지가 더 크게 작용하는 실내 인터뷰나 즉흥 인터뷰가 많음을 볼 수 있다. 뉴스 주제별 사운드 바이트 유형을 보면 정치의 경우, 연설/강연, 실내인터뷰, 기자회견 순으로 나타나고 외교의 경우는 연설/강연, 기자회견, 즉흥 인터뷰, 엿들은 대화가 각각 25%씩 차지하고 있다. 북한이나 법률 관련 주제의 경우는 미디어 등을 통한 엿들은 대화가 사운드 바이트 유형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종교, 인간적 흥미, 사고/재난 기사의 경우는 현장 인터뷰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그리고 남북관계나 기술/과학 기사는 실내 인터뷰가 대부분이다. 이는 전문성이 요구되는 주제이므로 기자가 미리 정보원과 약속하고 계획한 인터뷰이기 때문이다. 일곱째, 정보원 유형별 사운드 바이트 길이를 다르게 활용한다. 정보원 유형별 사운드 바이트 길이를 보면 대통령, 재야 시민 단체 활동가, 교육자, 법조인, 의료인, 문화/예술/과학 연구종사자 등은 평균 사운드 바이트 길이(8.08)보다 길다. 반면, 학생, 북한/탈북인, 생산/단순 노무직 종사자들의 사운드 바이트 길이는 7.0초미만으로 다소 짧다. 이는 대통령 등의 권위자나 다소 사람들이 신뢰한다고 생각되는 사람의 사운드 바이트 길이를 좀 더 길게 함으로써 그 뉴스 기사를 정당화 하는 것이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크게 다음과 같다. 먼저 신문에 비해 텔레비전 뉴스에 활용되는 정보원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는데 본 연구는 실증적 내용분석을 통해서 정보원 활용을 살펴보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전체적 정보원 활용 분석에 있어 일반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결과 또한 큰 의미가 있다. 기존 정보원 연구의 대부분이 일반인은 정보원으로 거의 활용되지 않는다는 결과를 보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정보원의 비율 중 상대적으로 일반인 비율이 가장 높게 나왔다는 것이다. 이는 TV뉴스가 신문 등의 다른 매체보다, 또 과거보다 조금은 권위적이지 않고 무겁지 않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의미이며, 정보원의 다양성이 조금씩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중요한 결과이다. We have frequent encounters everyday with various news topics, through many different medias. In today's complex world with vast amount of information, people chose news media in order to see where and in which time frame they live. Of many different medias, Television remains as a very dominant information supplier. Presently, people's trust in faithfulness of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elevision is higher than that provided by newspapers. Thus, Television news has become a very important source for information. These news sources play a crucial role in justifying the faithfulness of news articles. The reason why many scholars pay attention to news sources is because they believe that what is broadcasted is mostly influenced by these sources. Reporters cannot observe or experience everything that happens around us. So, only news sources can provide facts that support practices of objective journalism in the makings of news. News sources have the 'power' to tell the 'truth' in the things composed by the news (Ericson, 1989). In other words, a person with the 'power' to tell the 'truth' has more potential to become a news source. That is, the logic of the person with power gets organized and re-organized in the news and then justify the existing orders of the people in power. Therefore, this thesis analyzed Korea's three largest broadcasting companies, KBS, MBC, and SBS, in order to study how Television news sources are composed and organized and in which ways these sources are used to increase justification of the ne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news source utilization frequency in national TV news?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kinds of news sources used in national TV news? [Research question 3] What characteristics do the roles of news sources show in national TV news? [Research question 4]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ound bites of news sources in national TV news? In this thesis, the number of news sources used in Television news is studied, in order to analyze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n order to analyze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different kinds of news sources are categorized into subjects and broadcasting companies and then studied. Roles and duties of news sources shown in Television news are examined in order to analyze the third research question, and for the fourth research question, the sound bites shown in Television news are categorized into various categories such as occupation of news source, subject, characteristic of an event, kind of sound bite, length of sound bite, etc. As a result, the methodologies to justify news articles, whichused news sources from Korea's TV news, can be organized as follows. Firstly, a Television news article utilizes on average two news sources of information. If we look at the number of sources utilized in each Television news subject, though fewer number of articles, 'educational' articles have the highest utilization numbers of news sources, which is 2.52. The next highest source utilization subjects came out to be politics, economics, and environments, respectively. The lowest source utilization subject came out to be 'Diplomacy'. This is a different result from newspaper subject utilization numbers, in the order of politics, economics, and society. Secondly, when it is difficult to present the origin, the news source is used as anonymous. The percentage of anonymous news sources is 3.8%∼8.8%. This percentage is lower than the percentage of anonymous news sources in the newspaper. This is desirable in Television news because Television news uses visual an auditory media. Thirdly, in news articles, news sources usually belong to the general public or the administration. The percentage of the source occupations is in the order of reporters, administrative officials, and politics. In contrast to past researches, it is an optimistic result for variety to have more news sources in the general public. However, if we look at the specific occupations, the percentage of other occupations utilized as news sources is less than 5% whereas the percentages of reporters, administrative officials, and politicians are 27.8%, 11.4%, and 10.2% respectively. This shows that people in power or within the organization are still more utilized to justify articles in the Television news. Fourthly, news source utiliza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bject of Television news. In the subjects Politics, Diplomacy, International Politics, Agriculture/Fisheries/Mining, Science/Technology, and Military/National Defense, most of the information sources are politicians, the President, and administrative officials. In the subject of Unification/North-South Relations, many are administrative officials and people from North. In the North Korea related subjects, they are mostly from the Press and from Sports and Entertainment. In the subjects of Law, Economics/Industry, Environment, Education, and Culture (Art and Science), sources are mostly from administrative officials, judicial officers, educators, and general laborers. In Health/Welfare, medical doctors, scientists, and housewives are mostly taken as sources. In Sports/Entertainment/Leisure, many are engaged in Sports/Entertainment and the Press. Since the World Cup 2002, more came from the Press and high-ranking officials (e.g. coach Hiddink, etc). In Religion, they are mostly from the fields of Culture, Arts, and Science, which also include people with religion. Human Interest and Practical Living fields utilized mostly from the general public, equally distributed in different occupations. Also, many are administrative officials in Miscellaneous and Practical Living. In Crime/The Police, Accident/Disaster, most of them are from the general public or the unidentified, and the occupations are criminals, military personnel/policeman/fireman, or unknown. Fifthly, in news articles, the duty and role of the news source is different depending on his/her occupations. If we look at the roles of the source depending on the occupation, the President, politicians, administrative officials, businessmen mostly appear as the subject in the news. And, comparatively, housewives, people engaged in Agriculture/Fishery/Mining/Farming, military personnel, and firemen appear as the object. Educators, medical doctors, scientists/culture researchers appear as professionals. Also, people from the press appear as the witness or investigator to an event. If we look the duties of the source, most of the news sources supply information related to an event or object. Among them, politicians, students, and housewives, and people/refugee from North show emotional responses (behaviors), and the reason why politicians are included is because of the campaigns during provincial elections. That is, truthfulness of an event is determined by justifying the news articles, using the sound bites of people with authority. Sixthly, sound bites, which can only be seen in Television news, are effectively utilized. If we look at sound bite utilization depending on the occupation of sources, for the case with people who can be interviewed readily, like industrial workers, students, housewives, etc, sound bites are utilized 100%. However, with sources as the President and people from the press, for cases other than official conferences where utilization of sound bites is difficult, reported materials are used instead. Careful look at the kinds of sound bites shows that for the cases of the President and politicians, most of the sound bites are speeches/addresses, and for the cases of military personnel/policemen/firemen, industrial/transportation/general workers, people who work in Agriculture/Fishery/Farming/Mining, people/refugee from the North, on-site interviews are more used as sound bites. With people from the press, most of them are indoor interviews or overheard conversations. Overheard conversations are also dominant with criminals. With housewives, there is an evenly distributed number of indoor, on-site, and impromptu interviews. With students, more impromptu interviews, and with people in Sports, more indoor and on-site interviews are used. In other words, for high-ranking officials and above, more interviews are requested by the source, and for people who are readily available for interviews like students and housewives, reporters usually chooses and thus, there more indoor and impromptu interviews. Looking at the sound bites according to thesubject, for Politics, they are in the order of speech/address, indoor interview, press conference, and for Diplomacy, speech/address, Press conference, impromptu interview, and overheard conversation each take25% of usage. For subjects related to the North and law, overheard conversation through media and alike takes the highest percentage. In Religion, Human Interest, Accident/Disaster related articles, on-site interviews take the highest percentage. Indoor interviews are used for articles related to South-North relations and Technology/Science because these subjects require professionalism and so reporters makes appointments with the sources beforehand. Seventhly, depending on the sources, the length of sound bites is utilized differently. The length of sound bites with the President, out-of-power organization, educators, judicial officers, medical doctors, culture/art/science researchers, etc, is usually longer than the average length of sound bites (8.08). On the other hand, the length of sound bites with students, refugees from the North, industrial workers is less than 7.0 second. This is to justify the news articles by lengthening the sound bites with people with authority like the President, who are believed to be trustworthy.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First, this thesis examines utilization of information sources with actual data in Television news, where, in contrast to newspapers, not much work is done so far in information source utilization. Also, the result, which shows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source utilization, is taken by the general public gives a significant meaning. Previous study shows the result where the general public is rarely used as news sources, but this thesis shows a higher utilization percentage. This means a significant result that TV news is in the direction that is less authoritarianistic than newspapers or the past, and variety of information sources is being slowly accomplished.

      • 정보원 특성, 판매촉진유형, 충동구매성향이 패션 라이브커머스 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디지털 시대가 가속화되면서 실시간 콘텐츠와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모바일 판매 플랫폼인 라이브커머스가 새로운 마케팅 채널로 주목 받고 있다. 패션업계에서도 라이브커머스를 새로운 패션 유통 채널로 활용하고 있어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원 특성, 판매촉진, 충동구매성향이 패션 라이브커머스 호의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2(정보원 특성: 전문성 vs 매력성) x 2(판매촉진유형: 가치부가 vs 가격할인) x 2(충동구매성향: 고 vs 저)의 삼원혼합 설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며 라이브커머스를 통해 제품 구매 경험이 있는 20~50대 여성 264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중 불성실한 설문지 24부를 제외한 총 240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삼원변량분석 및 단순 주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충동구매성향과 판매촉진은 패션 라이브커머스 호의도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원 특성과 판매촉진유형은 패션 라이브커머스 호의도와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매력성 정보원이 가격할인 판촉을 제시한 경우 더 높은 호의도를 보였으며, 전문성 정보원이 가격할인 판촉을 제시할 경우 구매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보원 특성과 판매촉진유형, 충동구매성향은 구매의도에서 유의미한 삼원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충동구매성향이 낮은 소비자의 경우, 가치부가 판촉에서는 매력성 정보원일 때 더 높은 구매의도를 보인 반면, 가격할인 판촉에서는 전문성 정보원일 때 더 높은 구매의도가 나타났다. 한편, 충동구매성향이 높은 소비자의 경우, 가치부가 판촉에서는 정보원 특성에 따른 구매의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가격할인 판촉에서는 전문성 정보원일 때 더 높은 구매의도가 나타났다. 따라서 패션 업계에서 라이브커머스를 이용 시 본 연구의 결과를 고려하여 적절한 마케팅을 시행한다면 라이브커머스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및 실질적인 매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s, live commerce, a mobile sales platform based on real-time content and text, is drawing attention as a new marketing channel. In particular, the fashion industry also using live commerce as a new fashion distribution channel, requiring marketing strategies to utilize it efficiently.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ource, sales promotion, and impulse buying tendency on fashion live commerc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is study is a three-way mixed ANOVA, made of 2(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ource: expertise vs attractiveness) x 2(sales promotion type: value added vs price discount) x 2(impulse buying tendency: high vs low) structur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or 264 women in their 20s and 50s,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do and had experience purchasing products through Live Commerce. For the final analysis, 240 questionnaires were used; 24 unfaithful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The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three-way ANOVA, and simple main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impulse buying tendency and sales promo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fashion live commerc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Second,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ource and sales promo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n fashion live commerc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s. Specifically, consumers showed higher preference when attractive information source offered a price discount, while purchase intention were high when expert offered price discounts. Lastly,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ource, sales promotion, and impulse buying tendency showed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in purchase intention. Specifically, consumers with low impulse buying tendency showed high purchase intention when attractive information source provided value-added sales, but in price discount promotion, purchase intention were high when information source was expert. On the other hand, consumer with high impulse tendency showed no statistically difference in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ource in value-added promotion, but in price discount promotion, purchase intention were high when information source was expert. Therefore, when utilizing live commerce in the fashion industry, carrying out appropriate marketing regar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expect a positive attitude toward live commerce products, and a substantive increase in sales.

      • 정보원의 정치적 소속집단에 따른 가짜뉴스 효과 : 정보원 호감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서희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impacts of source factors on the effects of fakenews. Based on a social identity perspective, this study focused on source’s political group membership(i.e. political ingroup, political outgroup, the 3rd group). The effects of source’s political group membership on affective·cognitive source evaluation(i.e. source likability, source qualification), the effects of source evaluation on fakenews’s perceived authenticity, attribution(i.e. internal attribution, external attribution) of the fakenews distribution, and direct-indirect effects of source’s group membership on fakenews’s perceived authenticity, attribution of the fakenews distribution were analyzed. Results of online experiment suggest that both affective and cognitive source evaluation are affected by source’s political group membership. In comparison with outgroup source’s likability and qualification, ingroup source’s likability and qualification were highly evaluated. However when we compared ingroup source wtih the 3rd group source, only qualification of ingroup source was highly evaluated. Interestingly, likability of ingroup source and likability of the 3rd group source revealed no difference. Also only affective source evaluation turns out to have effects on fakenews’s perceived authenticity and internal attribution towards source. Finally the results confirm that source’s political group membership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associated with information’s perceived authenticity.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effects of fakenews and false information might be related to affection toward source which mainly due to source’s political group membership. 본 연구는 수용자가 범주화한 정보원의 정치소속에 따라 가짜뉴스의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체성 관점을 이론적 틀로 정보원을 ‘정치적 내집단 정보원’, ‘정치적 외집단 정보원’, ‘제3자 집단 정보원’으로 구분한 뒤 다음의 세 가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정보원의 정치소속이 정보원의 호감도(정보원에 대한 감정적 평가)와 정보원의 정당성 평가(정보원에 대한 인지정 평가)에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는지, 그리고 이 영향력이 메시지의 유인성(내집단 긍정 메시지, 내집단 부정 메시지), 수용자의 정치성향에 따라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정보원에 대한 감정적 및 인지적 평가가 수용자의 가짜뉴스에 대한 사실 인식 및 가짜뉴스 확산의 원인에 대한 귀인방식에 어떤 효과를 야기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셋째, 정보원의 정치소속이 정보원에 대한 감정적, 인지적 평가를 매개하여 가짜뉴스의 사실 인식, 가짜뉴스 확산 원인에 대한 귀인방식에 어떠한 직접 및 간접효과를 야기하였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외집단 정보원은 내집단 정보원에 비해 정보수용자의 호감도 및 정당성이 낮게 평가되었다. 흥미롭게도 제3자 집단 정보원의 경우 정보 정보원의 정당성은 내집단 정보원보다 낮게 평가되었지만 정보원의 호감도는 내집단 정보원과 비슷하게 평가되었다. 또 정보원에 대한 감정적 평가는 사람들의 정보에 대한 사실 인식과 해당 가짜뉴스 확산의 원인을 정보원 내적 기질로 귀인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정보원의 정치소속과 가짜뉴스에 대한 사실 인식 및 해당 가짜뉴스 확산의 원인을 정보원 내적 기질로 기인하는 정도 간 관계는 정보원 호감도에 매개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짜뉴스 현상과 관련한 본 연구의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정보원 유형에 따른 내러티브 광고의 설득 효과 연구 : 화장품 광고를 중심으로

        장은수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내러티브 형식을 갖춘 증언식 화장품 광고에서 주로 활용되는 정보원을 일반인, 유명인, 전문가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정보원 유형에 따라 지각된 유사성, 매력성, 전문성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비교하고, 후속적으로 내러티브 몰입, 광고태도, 제품 태도, 그리고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실험을 위해 실제 집행되는 SK-II 광고와 유사한 형태의 광고물 세 종류를 제작하였으며, 서울, 수도권 거주 231명의 성인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인 유형은 유사성, 유명인 유형은 매력성, 전문가 유형은 전문성 지각이 특히 높게 나타났다. 지각된 유사성, 매력성, 전문성 모두 내러티브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내러티브 몰입은 광고태도와 제품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한 제품태도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세 유형의 정보원 중 전문가 정보원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발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화장품뿐만 아니라 내러티브 형식의 광고 제작에서 정보원 활용에 중요한 실무적 함의를 지닌다.

      • 블로그 정보원 유형과 활성화된 설득지식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기업블로그의 외부필진과 개인블로그의 협찬표시에 따른 비교

        이보라미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블로그 마케팅에서 블로그의 운영 주체와 외부필진 및 기업 협찬 등의 표시가 광고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에 있다. 특히 메시지 수용자에 초점을 맞춰 서로 다른 정보원의 블로그 콘텐츠를 접한 수용자의 활성화된 설득지식에 따라 광고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함께 살펴보았다. 기업이 블로그 마케팅을 진행할 때, 직접 기업블로그를 운영하기도 하지만 개인 블로거나 기업 외부의 필진 등 다양한 정보원을 활용하기도 한다. 개인블로그를 활용할 때에는 경제적 대가를 제공해 상품의 리뷰 콘텐츠를 생산, 게시할 것을 요청한다. 그런데 2011년부터 기업 협찬에 의한 개인블로그들의 상품 리뷰 콘텐츠로 인해 소비자기만 등 사회적 문제가 공론화되자 공정거래위원회에서는 협찬 사실을 의무적으로 밝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블로그와 개인블로그, 기업블로그 내 외부필진이 콘텐츠를 작성한 경우와 개인블로그 콘텐츠에 기업의 협찬 사실을 표시했을 경우 등 네 가지 정보원 유형에 따른 광고효과를 알아보았다. 동일한 정보를 접하더라도 수용자에게 나타나는 광고효과에 차이가 있다면 수용자 내면의 변화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프리스타드와 라이트(Friestad & Wright, 1994)의 설득지식모형을 참고하였다. 설득지식모형은 설득 상황에서 수용자가 설득자의 설득 의도나 목적을 파악하게 되면 자신이 가지고 있던 주제지식, 설득지식, 설득자 지식을 활성화하여 설득 시도에 대응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득 의도 인지로 인한 수용자의 방어적 태도 형성 여부를 활성화된 설득지식으로 측정하고 그에 따라 광고효과가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4개의 블로그 정보원 유형별로 실험 자극물을 제작한 후, 20세 이상 49세 미만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실험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799명의 설문 응답 중 블로그 정보원 유형에 대해 올바로 인지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조작 점검을 통과한 149명의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기업블로그와 개인블로그 간의 광고효과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개인블로그의 설득효과가 더 높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김윤애·박현순, 2008)와 상반되는 결과로, 개인블로그를 둘러싼 사회적 문제 등 환경변화로 블로그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이 변화하였음을 말해준다. 둘째, 개인블로그 내에서 협찬 표시에 따른 광고효과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그동안 개인블로그 내에 기업의 협찬 사실을 명시하면 광고효과가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로 공정거래위원회의 지침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협찬 사실의 명시는 광고효과에 차이를 가져오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해 실무자들이 협찬 명시로 인한 광고효과 감소를 우려할 필요가 없음을 시사해주었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기업이 블로그 마케팅을 진행할 때, 개인블로그에 협찬을 제공하고 콘텐츠 제작을 요청하는 것 보다 기업블로그 내에서 외부필진을 활용하는 것이 메시지 신뢰도 측면에서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블로그 마케팅에서 제3자에 의한 지지 효과가 존재함을 말해준다. 넷째, 활성화된 설득지식은 광고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블로그 정보원 유형은 설득지식을 활성화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앞서 블로그 정보원 유형에 따른 광고효과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의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정보원 유형을 제대로 인식했는지 확인하는 조작 점검을 통과한 응답자가 19%에 그친 것은 블로그 콘텐츠 소비 시, 수용자들이 정보원 유형에 크게 집중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실험 조사 과정에서 실험 자극물을 블로그 이용 환경과 동일하게 제공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갖는다. 또한 정보원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추가적인 정보를 통제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여 블로그 콘텐츠 상에서 정보원에 대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정보와 변수를 고려한다면 블로그 정보원 유형에 따른 광고효과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how the type of information sources of a company’s blog marketing, including the indication of the operator, invited writers, and a sponsor, influences the advertisement effect. In particular, targets were focused on and it was studied how the advertisement changes according to activated persuasion knowledge after a target has access to the blog contents with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ources. When a company proceeds with blog marketing, it operates its own blog or utilizes various information sources including individual bloggers or invited writers. When the company uses an individual blogger, it supplies the blogger with products and/or cash, asking the blogger to write the review contents regarding the product in question and post them. However, the Fair Trade Commission regulated that any fact of sponsorship be disclosed mandatorily in 2011 when social disputes were generated due to the contents containing product reviews written by individual bloggers who had received support from companies. In consequence, this study researched the advertisement effect resulting from four types of information sources such as a blog created a company on its own, a personal blog, a corporate blog written by invited writers, and a personal blog which indicates the fact that the blog is supported by a company. The necessity to focus on the inner change of a target was taken into account as the difference in advertisement effect which is shown from a target occurs even though the target has access to the same information. To this effect, the persuasion knowledge model by Friestad and Wright(1994) was referred to. The persuasion knowledge model explains that a target copes with a persuasion attempt by activating the topic knowledge, persuasion knowledge, and agent knowledge possessed by him or her when the target comprehends the intention or purpose of persuasion of the agent under persuasion circumstances. Consequently,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ability of advertisement effect by measuring whether the cognition of persuasion intention leads the target to form a defensive attitude by way of activated persuasion knowledge. This study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advertisement effect between a corporate blog and a personal blog. In contrary to the hypothesis which expected that the persuasion effect of a personal blog would be higher,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environmental shifts such as social issues surrounding the personal blog induce the cognition of the target to change. Second, any difference in advertisement effect subsequent to the display of sponsorship in the personal blog was not apparent. The regulations by the Fair Trade Commission had not been properly abided by for fear of the advertisement effect being reduced by posting the fact that such personal blog was supported by the company which are related to the product which is posted in the blog.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indication of the fact of sponsorship does not bring about any difference in advertisement effect, suggesting that advertisement staff should not have to fear the decrease of advertisement effect. Third, this study confirmed that utilizing outside writers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the credibility of messages than supporting a personal blog and asking for the creation of contents when a corporate proceeds with blog marketing. This demonstrates that the endorsement effect of a third party exists in blog marketing. Fourth, activated persuasion knowledge had negative influence on the advertisement effect. On the other hand, the type of blog information sources did not affect the activation of persuasion knowledge.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similar to the fact that the type of information sources does not lead the advertisement effect of a blog to take place on a statistical basis.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only 19% of respondents passed the manipulation check which identifies if the type of information sources is appropriately recognized, it was proven that targets do not take considerable account into the type of information sources, when consuming through blog contents. This study has a limit that the online examination procedures did not provide the experiment stimulants with the same environment as In an actual environment. In addition, this study confronted another limit that additional information which could have an impact on the cognition of targets regarding information sources was not controlled. It is expected in a sequent study that, by offsetting such limits, more concrete results about the advertisement effect on the basis of the type of blog information sources can be obtained, considering diverse information and variants which can be acquired from blog contents when it comes to information sources.

      • 온라인 구전정보원의 특성이 화장품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 파운데이션 제품을 중심으로

        김지현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6

        최근 화장품 소비자는 실제 공간이 아닌 온라인 상의 화장품 동호회, 카페, 블로그 등을 통하여 화장품의 사용 후기를 빠르게 공유하게 되었고 읽는 이에 의해 주어지는 피드백(feedback)을 통해 적극적으로 구매 활동에 반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구매 활동에 있어서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용후기, 즉 온라인 구전을 생성하는 구전 정보원의 주요 특성을 전문성과 유명성의 차원에서 살펴보고 그것이 사용 후기를 읽는 수용자의 화장품 브랜드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첫째, 유명하고 전문성이 있는 정보원과 그렇지 않은 정보원이 제공하는 온라인 구전정보의 영향력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둘째, 유명하지만 비전문적인 정보원과 유명하지 않지만 전문적인 정보원간의 온라인 구전정보의 영향력 차이를 규명하였다. 셋째, 소비자의 화장품 관여도에 따라서 정보원의 유명성과 전문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조절되는지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유명하고 전문적인 정보원이 제공하는 온라인 구전정보와 그렇지 않은 정보원이 제공하는 구전정보에 비해 브랜드 태도에 영향력이 클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둘째, 유명-비전문 정보원과 비유명-전문 정보원의 구전효과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의 결과에 대한 관여도에 따른 정보원 특성이 브랜드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장품 고관여자 소비자는 정보원의 전문성에 의해 브랜드태도에 변화를 보였다. 이는 화장품에 대한 관여도가 높은 소비자들에게 있어서 동일한 정보를 제공하더라도 화장품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많은 정보원을 활용하는 편이 더 좋은 효과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관여도가 낮은 집단의 경우 정보원의 유명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보원의 유명성이 브랜드 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보원 특성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은 소비자의 관여도 수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마케팅 실무자들은 온라인 사용후기를 마케팅에 활용함에 있어 사용후기가 좀 더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가지도록 관리하여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cosmetic consumers obtain the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community, caf? and blog. They share the information of cosmetic and spread it each other. Thus, the information dominantly have an effect on purchasing intention.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ffect of the informer?s characteristic that is professional or famous, and the change of the brand attitude by WOM(Word-of Mouth). First, we researched the difference of effect between professional, famous informer and non-professional, ordinary informer. Second, we researched the difference of effect between professional, ordinary informer and non-professional, famous informer. Third, we researched the change of brand attitude by the cosmetic involvement of consumer. The main result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related to professional and famous informer. Second, if the consumer is high involvement of cosmetic, they were affected by professional informer. And if the consumer is low involvement of cosmetic, they were affected by famous informer. Namely, the difference of involvement makes a different response of consumer.

      • 인스타그램 정보원 유형에 따른 지각된 정보원 속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 유명인 계정 비교를 중심으로

        이지영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6

        최근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SNS의 확대는 기업들로 하여금 SNS에 관심을 가지도록 하였다. 이용자에 대한 접근성과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을 가지는 SNS가 적은 광고비용이라는 장점과 더불어 마케팅 수단으로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SNS 중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인스타그램이 기업의 홍보 수단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추세다. 특히 기업은 마케팅 전략으로 자체 브랜드 계정을 만들거나 유명인 계정을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비교적 최근 빠르게 성장한 인스타그램과 광고 정보원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SNS 중 이용이 크게 증가한 인스타그램을 연구 배경을 삼아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이 각각의 정보원 유형(브랜드, 유명인)이 전달하는 광고를 본 후, 그에 따른 정보원 속성(신뢰성, 호감성)과 광고효과(광고태도, 구매의도, 구전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보원 유형(브랜드, 유명인)에 따른 지각된 정보원 속성(신뢰성, 호감성)이 광고효과(광고태도, 구매의도,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데이터 수집을 위해 SNS 중 인스타그램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세대인 20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과 현장에서 직접 배포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으로는 2018년 11월 5일부터 2018년 11월 12일에 걸쳐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원 유형(브랜드, 유명인)에 따라 정보원 속성(신뢰성, 호감성)과 광고효과(광고태도, 구매의도, 구전의도)에 차이가 있었다. 브랜드는 신뢰성이 높았던 반면 유명인은 호감성이 높았다. 광고효과에서는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와 달리 구전의도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유명인 계정이 전달하는 광고메시지의 구전의도가 브랜드 계정이 전달하는 광고메시지의 구전의도보다 더 높았다. 정보원 유형(브랜드, 유명인)에 따른 정보원 속성(신뢰성, 호감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모든 하위가설이 검증되었다. 브랜드 계정의 광고효과에 대해서는 호감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반대로 유명인 계정의 광고효과에 대해서는 신뢰성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즉 브랜드 계정에서는 호감성을, 유명인 계정에서는 신뢰성을 높일 때, 광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직 기존 연구에서 논의되지 않았던 결과가 도출되었기 때문에 향후 발전 가능성이 높은 인스타그램 마케팅에 있어 전략적으로 실증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골프클럽의 구전정보원천의 신뢰에 따른 구매만족도 분석

        김경태 목원대학교 산업정보언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골프클럽의 구전정보원천 신뢰에 따른 구매만족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2012년 현재 D광역시에 위치한 골프참여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무선집락표집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표집하였다. 표집대상처는 D광역시의 5개 지역구에 위치한 실내․외 골프연습장을 비율에 맞게 선정하여 해당 골프연습장을 이용 중인 골프 참여자 총 250명 중 202명의 자료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 내용의 구성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구전 정보원천의 영향력, 정보원천의 신뢰도 및 골프클럽만족에 대한 척도를 구성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변인간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한 통계기법은 기술통계분석, X2검증, t-검증,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이었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골프클럽 구매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골프참여특성, 구전 정보원천의 영향력, 정보원천의 신뢰도 및 골프클럽만족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골프클럽 구매자의 골프참여특성에 따른 정보원천의 신뢰도 및 골프클럽만족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골프클럽에 대한 구전 정보원천의 영향력은 정보원천의 신뢰도 및 골프클럽만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골프클럽 구매자의 정보원천에 대한 신뢰도는 골프클럽만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