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요자 중심의 정보요구 분석을 위한 조사모형에 관한 연구

        구정화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xperimental model for information needs assessment, which could be utilized to investigate the ´real´ information needs of the user (or group). The focus was on the perspectives of users rather than those of system managers. In details, this study identifies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the keyword ´information need,´ analyzes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the previously conducted assessments in this area, and finally, develops an experimental model based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variables which might influence both production and strength of information needs in the user (or group). The model emphasizes four influencing variable, namely, individual, work-related, organizational (or institutional), and socio-cultural variables. Also discussed is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 전투제대급 정보교환 특성을 고려한 Tactical-EDCA/CSMA 알고리즘

        최영민 아주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전투제대의 전투 무선장비는 아날로그 음성통신에서 ALL IP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으로 진화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전투 무선장비는 실시간으로 신속한 전투 무선망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하여 전투제대의 기동 간 지휘 통제 능력을 향상하게 한다. 디지털 통신이 가능한 전투 무선장비는 IP을 기초로 데이터 전송과 자동중계 기능을 보유하여 전송 지연이 개선되고 간단없는 통신 지원으로 전투 무선망 네트워크 효율성을 극대화할 것이다. 이러한 전투 무선망 네트워크 구성은 적시적인 전장 가시화와 올바른 전장 상항 인식을 통해 지휘 통제 능력을 향상하여 네트워크 중심 환경 하 전투부대의 작전 범위를 확대하고 작전 수행 속도를 증대시키게 될 것이다. 전투 무선장비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한 디지털 통신능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전송 대역폭이 보장되어야 하나 제한된 주파수 통신자원과 다수의 망 가입자, 전투제대의 다양한 전술통신환경은 상당한 제한사항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제한된 통신자원 조건에서 네트워크 중심 환경 하 전투부대의 임무수행 지원 능력을 보유한 전투 무선장비의 통신 지원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군사작전 간 발생하는 정보교환 요구량 예측을 통한 통신장비 설계와 전투 무선 네트워크 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한정된 통신자원에 따른 제한된 전송 대역폭에서 효율적인 운용을 위한 알고리즘에 대한 기술 확보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투제대의 네트워크 중심의 작전환경의 변화에 따른 작전개념의 발전 내용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전투 무선장비에 대한 요구 능력의 변화와 전투 무선망 네트워크 구조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과학화 전투지휘훈련 자료를 분석하여 전투제대의 군사작전 간 소요되는 정보교환 요구량을 예측하였으며 예측된 정보교환 요구량을 기반으로 제한된 통신자원에 따른 전송 대역폭에서 디지털 음성통화 서비스 품질을 향상하고 정보 속성별 우선순위를 고려한 정보 전송으로 전투 무선장비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Tactical-EDCA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시뮬레이터 도구인 Opnet을 활용하여 전투제대의 기동 환경과 유사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구성한 후 과학화 전투지휘훈련 자료를 통해 예측된 정보교환 요구량을 기초로 한 모의실험으로 차별화된 성능을 확인하였고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정보요구 분석을 통한 학교도서관 운영 개선 방안

        서영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정보요구를 분석하기위해 학부모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종합하여 이들의 정보요구와 행태를 파악하여 보다 원활하고 효율적인 초등학교 도서관 운영 및 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첫 번째 지표인 정보요구의 내용을 학교생활과 개인생활로 나누어 범주화시킨 후, 이러한 정보요구의 강도, 정보요구의 적극성 정도, 정보요구의 장애요인에서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정보요구를 밝히는 것을 연구문제로 삼았다. 이때 초등학생의 성별, 학년, 학업능력, 가정환경, 방문빈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자아존중감, 소외감 정도의 감성적 특성에 따른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정보요구를 조사하여 초등학생과 학부모 정보요구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방법은 질문지법을 채택하였으며,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은 대구시 S초등학교 4-6학년 학생 150명, 학부모 150명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284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정보요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도서관 운영 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과 학부모의 정보요구에서 높은 강도와 적극성을 보이는 수업이해와 과제에 관한 정보의 수집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노력하여야 하며, 학교생활의 수업이해·과제해결과 실질적으로 관련이 있는 자료를 이용자가 최대한 빨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둘째, 초등학교 도서관에서는 어학관련 도서 및 다양한 종류의 자료를 확충하여 외국어 학습은 물론 여러 나라의 문화와 역사를 올바르게 알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학부모의 외국어 관련 정보의 요구는 높지만, 도서관에서의 적극성 정도는 낮은 것으로 보아 표현되지 않은 내면적 요구로 추측되므로 도서관에서 책 읽기를 통해 자연스럽게 외국어에 대한 흥미와 학습효과를 높일 것을 제언한다. 셋째, 이용자 교육을 위한 교육내용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초등학교는 다양한 연령의 학생이 존재하므로 학년의 특성에 맞게 학교도서관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체계적인 지도계획과 교수-학습지도안을 마련해야 한다. 학생의 정보요구 장애요인 두 번째의 이유가 ‘정보를 얻는 방법을 몰라서’인데, 이것은 학기 초 이용자 교육이 실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규수업이 아닌 1회성 수업에 그치기 때문일 것이다. 넷째, 학교정책, 학교 교육과정에 학교도서관 교육서비스의 내용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도서관 활용수업과 같은 교과교육과의 연계 수업을 늘리고, 독서인증제, 북클럽 등의 다양한 독서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학교도서관을 찾아가 책을 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이는 정보요구의 전반적인 장애요인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며, 이때 사서는 자료제공 수준의 간접적인 교육정보서비스보다 이용자를 직접 대면한 교육정보서비스를 수행하여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돕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ormation need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wareness of parents in the school library to identify their information needs. And the behavior of the summary is to provide efficient elementary school library operations and service improvement plans. The first indicator of the information needs of categorization, library was divided into school life and personal life, and then through the strength of these information needs, barriers, degree of aggressiveness of the information nee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 adopt to clarify the information that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demand. At this time, I investigate sexs, grades, academic ability, home environment, and the frequency of visits on the student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elf-esteem, alienation, the degree of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I analyz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information nee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ir parent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methods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adopted in Daegu S Elementary School Grades 4-6 students 150 people, parents 150 people was collected by distributing a questionnaire to 284 call were analyzed. The information needs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analysis,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school libraries operating Improvement are as follows: First, Information needs of students and parents showing the strength and aggressiveness of understanding about the challenges and lessons for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should be actively pursuing, and Understanding and problem solving, school classes material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users as soon as possible so that you can use would be desirable. Second, Language books, and various kinds of materials in the elementary school library secured correctly, the learning of foreign languages, as well as the history and culture of other countries will need to know. Foreign language related to the information needs of parents of high, but the degree of aggressiveness in the library to be low, it needs to assume the internal representation is not. Thus, the suggestion that naturally interested in foreign languages ​​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in the library reading through. Third, Educational content will be developed for user educati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various ages due to the presence, Systematic map planning and teaching-learning lesson plans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de school library user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signed. User Education conducted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Nevertheless, Holding non-regular classes only once classes because obstacle information needs of the students 'I do not know how to obtain information' said the second reason. Fourth, school library educational services in the school policy and school curriculum will be reflected positively. Increase the linkage of education and curriculum classes such as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and should provide a variety of reading activities in order to create the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visit the library. this fixes up the problems about overhead obstacles of information needs and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roles of librarian teachers, Users face-to-face education information services will be needed rather than Indirect education information services.

      • 개인정보의 헌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윤기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Advancem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hav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enhanced our ability to process personal information. However, they also exposed us to new threats against our personal information. To address these threats, we need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in the form of constitutional rights. Individu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has not been protected by traditional rights such as the right to honor or privacy, nor is it listed in the constitution. Regardless, we still need protection from threats against this type of information. Precedent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and the vast majority of commentators on this issue characterize this new type of constitutional right a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at is, the right of a data subject to determine the disclosure and use of their own personal information. However, this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pproach poses a number of issues, including the hollowing-out of the very concept of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negligence of the need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nd excessive dependence on consent. The theory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theory of information privacy in the United States, the theory of self-information control in Japan, and the theory of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in Germany. However, these theories are the end results of attempts to recognize constitutional rights not listed in the constitution by inferring them from similar traditional rights. These theorie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written constitutions of the respective countries. However, we do not have to adhere to these theories when interpreting the Korean Constitution, which offers a larger space to recognize non-listed rights than its foreign counterparts. The issues raised against the theory of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ambiguity of its content and boundaries, are widely recognized in the three countries mentioned above. As such, the U.S. and Japanese Supreme Courts are hesitant to recognize it as a constitutional right. Attempts to identify and overcome these issues can be found in the academia as well. Apart from the supreme courts’ position on whether to recognize it as a constitutional right, parliaments across the world are actively engaged in legislative discussions aimed at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on the statutory level. These legislative approaches usually seek to achieve balance between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under specific circumstances, rather than focusing on macroscopic issues such a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ivacy, or human dignity. In light of the discussions above, this researcher deems it reasonable to understand the constitutional right regarding personal information as the ‘personal information right,’ that is, the right to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is approach offers a number of benefits: it offers a way to overcome the issues with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it is consistent with the latest trend in written constitutions that stipulate the constitutional right to personal information as ‘the right to be protected.’ The content of personal information rights should include the right to have one’s personal information process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the right to have one’s personal processed in a secure manner, and the right to request access one’s personal information to realize the first two rights. However, this researcher considers it inappropriate to include the right to consent to the processing of one’s personal information in the the conten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right. Other benefit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right’ approach include: predictability can be improved by identifying the content of the right in terms of objective interests rather than the subjective intentions of data subjects; the strictness of review can be flexib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such as the quantity and quality (sensitivity) of personal information and whether identifiability declines during the processing of the information; the seemingly contradictory rulings from Korean civil courts on th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use of disclosed information can be reconciled; and the theory allows for more accurate constitutional assessment of new information issues such as the pseudonymous information and the right to data portability.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개인정보의 처리능력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성장함에 따라 정보주체가 놓인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개인정보를 헌법적 권리로서 보호할 필요가 있다. 명예권이나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등 기존의 법적 권리로는 보호하지 못했던, 개인의 동일성을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일체의 정보를 보호받을 권리는, 비록 헌법에 열거되어 있지는 않으나 보호받을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새로운 권리의 내용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판례 및 통설은 개인정보에 대한 헌법적 권리를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즉 정보주체가 개인정보의 공개와 이용에 관하여 스스로 결정할 권리를 가리킨다고 본다. 그러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이론은 개인정보자기결정권 개념이 공동화된다는 문제, 개인정보의 보호 필요성을 경시한다는 문제, 동의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야기한다는 문제가 있다.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이론은 미국의 정보프라이버시 이론이나 일본의 자기정보컨트롤권 이론, 독일의 정보자기결정권 이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세 나라의 이론은 각각 열거되지 않은 헌법상의 권리를 기존의 유사한 권리으로부터 유추하여 인정하려는 시도 끝에 구축된 것이다. 각국 실정헌법의 특색과 필요성에 따른 것임을 알 수 있으며, 열거되지 않은 권리를 더 여유 있게 인정할 수 있는 우리 헌법의 해석상 반드시 이에 따라야 할 필요는 없다.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이론에 대해 제기되는 문제점, 무엇보다 그 내용과 한계가 불분명하다는 문제점은 각 나라에서도 인식되고 있고, 이 때문에 미국이나 일본의 최고법원에서는 이를 헌법상의 권리로 인정하는 데 주저하고 있다. 학자들 가운데에도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이론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이론적 시도가 발견되고 있다. 헌법상의 권리로 인정할 것인지에 대한 최고법원의 판단과는 별개로, 개인정보를 법률의 수준에서 보호하기 위한 입법논의는 어느 나라에서나 활발하다. 이들 입법론은 대개 개인정보에 대한 자기결정권이나 프라이버시, 인간의 존엄과 같은 거대담론보다는 구체적인 상황에서 개인정보의 보호와 활용 사이에서 적절한 형량을 모색하고 있다. 위와 같은 사정을 종합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헌법적 권리를 개인정보를 보호받을 권리, 즉 “개인정보권”으로 파악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이론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고, 최근 개인정보에 대한 헌법적 권리를 “보호받을 권리”로 명문화하는 여러 성문헌법의 경향과도 상응한다. 개인정보권의 내용으로는 목적에 부합하도록 개인정보가 처리되도록 보호받을 권리,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처리되도록 보호받을 권리, 그리고 이러한 권리를 실현하기 위한 열람청구권 등 적극적 청구권이 포함될 것이다. 그러나 처리에 대한 동의권은 개인정보권의 내용으로 보기에 부적절하다고 본다. 정보주체의 주관적 의사보다는 객관적 이익을 통해 권리의 내용을 파악함으로써 사회적 예측가능성을 높일 수 있고, 다른 가치와의 이익형량에 있어서도 개인정보의 양과 질(민감성), 처리과정에서 식별성의 저하 여부 등 다양한 요소를 감안하여 심사강도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개인정보의 유출이나 공개된 정보 이용에 대한 민사법원의 모순적으로 보이는 판결도 개인정보권 이론에 의할 때 정합적으로 해결이 가능하다. 가명정보나 개인정보전송요구권과 같은 새로운 이슈에 대한 헌법적 평가 역시 개인정보권 이론에 의할 때 더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다.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발달 과업에 따른 정보요구

        임은정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ormation needs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al tasks in each developmental stage of adolescence. Accordingly,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ged 11 to 18 were divided into three stages of development: early, middle, and late, and to analyze what information needs they show by performing four developmental tasks: physical, cognitive, social, emotional, and national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e focus group interview (FGI) method,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used and the interview response data collected by apply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physical development,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d information needs for "height growth" and "menstruation." At this time, as it grows from the early stage to the middle stage and the late stage of development,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showing the information need about the method of coping with the physical change in the information need about the meaning or the cause such as the concept of the body change. When searching for information on physical development, the Internet was used regardless of the developmental stage. Second, in terms of cognitive development,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the following information needs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al stages of learning and career.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information needs for learning were closely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needs for career as the developmental stage increased, and thus showed the information needs for "performance". Information sources such as school teachers, peers, and the Internet were used to solve information needs. Research participants said that most of the information for Korean adolescents is difficult to solve related information needs when using the Internet, especially when searching for information related to career. Third, in terms of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a demand for information on the formation and dissolution of relationships and language. At this time, they thought that the background of multicultural families affects the formation of personal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uch as the formation and dissolution of relationships, and they also showed information needs related to them.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used peer friends as the main source of information to solve information needs for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Fourth, in terms of national development,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a demand for information on their own or their parents' hometown's physical environment or history. At this time,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late adolescence showed information needs related to their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and they also showed information needs for language learning in their own or their parents' hometowns when they lived in Korea for a long time.In order to solve information needs related to ethnic development,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used the Internet, such as parents, YouTube, and Facebook, as their main source of inform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information needs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al tasks at each developmental stage of adolescence. As a qualitative study, the reliability between coders should be measured and reported, but there is a limit in that an exploratory study was conducted as an academic paper and no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and sufficient data was not collected from research participants of different genders in questions about physical development during interviews.If further studies are made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information needs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ll be more deeply understood.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각 발달 단계에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발달 과업에 따라 어떠한 정보요구를 가지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11세 이상 18세 이하의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을 초기, 중기, 후기의 세 가지 발달 단계로 구분하고, 각 발달 단계에서 신체적, 인지적, 사회·정서적, 민족적 발달의 네 가지 발달 과업을 수행하며 어떠한 정보요구를 보이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의 방법 중 하나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 방식을 활용하였으며, 내용 분석의 방식을 적용하여 수집한 인터뷰 응답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발달에 있어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키 성장”, “생리”에 대한 정보요구를 가지고 있었다. 이때 초기에서 중기, 후기의 발달 단계로 성장할수록 신체 변화의 개념 등 그 의미나 원인에 대한 정보요구에서 신체 변화에 대처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요구를 보이는 특성을 가졌다. 신체적 발달에 대한 정보 탐색 시, 발달 단계와 관계없이 인터넷을 활용하였다. 발달 단계에 따라서는 초기, 중기에는 어머니 등 부모님을, 중기, 후기에는 또래 친구를 활용하여 정보요구를 해결하였다. 둘째, 인지적 발달에 있어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학습과 진로에 대해 발달 단계별로 다음과 같은 정보요구를 보였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발달 단계가 높아질수록 학습에 관한 정보요구가 진로에 관한 정보요구로 밀접하게 이어지는 특성을 보였다. 이에 주로 "성적"에 대해 정보요구를 보였다. 정보요구 해결을 위해 학교 선생님, 또래 친구, 인터넷 등의 정보원을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인터넷 활용 시, 특히 진로와 관련한 정보를 탐색할 때 한국 청소년들을 위한 정보가 대부분으로, 관련 정보요구 해결에 어려움이 있다고 이야기하였다. 셋째, 사회·정서적 발달에 있어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관계의 형성과 해체”, “언어” 등에 대해 정보요구를 보였다. 이때 관계의 형성과 해체 등 대인 관계에 있어 발달 단계에 따라 다문화가정의 배경이 개인의 대인 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응답하였고, 이에 따라 그와 관련한 정보요구를 보이기도 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사회·정서적 발달에 대한 정보요구 해결을 위해 또래 친구를 주된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넷째, 민족적 발달에 있어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본인 혹은 부모 고향의 물리적 환경이나 역사 등에 대해 정보요구를 보였다. 이때 후기 청소년기의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그보다는 현재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 대한 이해와 관련하여 정보요구를 보였다. 또한, 한국에서 장기간 거주한 경우 본인 혹은 부모 고향의 언어 학습에 정보요구를 보이기도 했다. 민족적 발달과 관련한 정보요구 해결을 위해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부모님이나 유튜브, 페이스북 등 인터넷을 주된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각 발달 단계에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발달 과업에 따라 어떠한 정보요구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질적연구로서 코더간 신뢰도를 측정 후 보고해야 하지만, 학술논문으로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지 않았고, 인터뷰 시 신체적 발달에 대한 질문에 있어 성별이 다른 연구참여자로부터 충분한 데이터를 수집하지 못하였다는 데 한계가 있다. 추후 한계들을 보완하여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정보요구에 대해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초등학생들의 정보요구와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서미연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정보요구 및 이용행태 일반을 이해하고, 나아가서 초등학생들에 대한 효율적 정보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학교도서관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은 어떠한 정보요구를 갖고 있으며 이를 위해 어떠한 정보원을 선호하느지를 성별, 학년별, 지역별, 형제유무별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특히 도서관과 인터넷을 중심으로 정보원 선호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와 전남 소재 초등학교의 4~6학년 총 3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법으로 수행하였다. 335부의 응답지를 회수하였으며(응답률 100%), 이들 모두 유효한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통계 분석은 빈도분석, t-검증, ANOVA 분석, 적률상관분석 등을 SPSS를 통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은 운동에 관한 정보를 가장 많이 요구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게임, 건강, 독서, 외모, 연예인, 예습과 숙제, 친구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남학생은 게임과 운동에 관한 정보를 가장 많이 요구한 반면 여학생은 건강과 연예인에 관한 정보를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학년에 따라서도 4학년과 6학년은 운동에, 5학년은 게임에 관한 정보를 많이 요구하였다. 이 외에 지역과 형제유무에 따라서는 정보요구에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은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인터넷을 주로 이용하였다. 다만 성이나 건강을 알기 위한 정보요구에 있어서 남학생은 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반면, 여학생음 부모님께 여쭤보는 경우가 많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부모님께 여쭤보는 경우보다는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또한 독서를 위한 자료는 도서관을 이용하는 것보다 친구에게서 빌리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셋째,초등학생은 도서관에 비해 인터넷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도서관을 이용하는 주된 이요는 "다양한 자료가 많고", "언제나 이용가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었고, 인터넷을 이용하는 주된 이유도 또한 "편하고", "다양한 자료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은 자신들의 정보요구를 위해 도서관에 비해 인터넷을 더 자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도서관은 독서를 하기 위해 이용하는 경우 외에는 전혀 이용하지 않으며, 인터넷은 게임을 하기 위해 이용하는 경우와 예습과 숙제를 하기 위해 이용하는 경우 외에는 전혀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초등학생은 자신드르이 정보요구를 위해 도서관에 비해 인터넷을 이용했을 경우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은 독서를 하기 위해 이용했을 경우 만족도가 가장 컸고, 인터넷은 예습과 숙제를 하기 위해 이용했을 경우 만족도가 가장 컸다. 여섯째, 초등학생은 인터넷을 이용할 때보다 도서관을 이용할 때 더 많은 장애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 이용시, "게임CD나 비디오가 없다"는 것이 가장 불편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인터넷 이용시에는 "잘 모르는 용어가 많기 때문에" 가장 큰 장애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초등학생의 도서관과 인터넷간 중요성 인식도, 이용도, 만족도, 곤란도에 대한 산광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초등학생의 인터넷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크면 클수록 도서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 커지며, 인터넷에 대한 이용도가 크면 클수록 도서관에 대한 이용도도 커지며, 인터넷에 대한 만족도가 크면 클수록 도서관에 대한 만족도도 커지며, 인터넷에 대한 곤란도가 크면 클수록 도서관에 대한 곤란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초등학새으이 도서관과 인터넷 이용교육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겨로가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학교도서관과 관련하여 첫째, "학교도서관 정보화 환경 구축"을 위해 학교교육의 기초가 될 수 있는 자료를 충실하게 수집하고 이를 조직적으로 정리하여 어린이들의 요구에 맞는 자료를 신속히 제공할 수 있도록 계획적이고 유기적으로 준비되어야 한다. 학교도서관은 도서자료뿐 아니라 영상자료, 음향자료, 시청각자료까지 포함하여야 한다. 또한 어린이들에게 학습활동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여 할당받은 과제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 및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지도하여야 한다. 둘째, "학교도서관 이용 유도를 위한 환경 구축"을 위해 어린이드르이 다양하고 광범위한 지적욕구와흥미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자료를 수집하고, 독서습관을 발전시킬 수 있는 행사나 활동을 계획하여 이를 실행해야 한다. 또한 매 학기 말 대출 횟수 외에 이용 자료의 종류, 도서관 이용태도를 종합하여 우수한 어린이를 선발 시상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그리고, 게시판, 학교홈페이지, 학교신문을 이용한 도서실 현황 및 각종 정보를 수시로 제공한다. 셋째, "과외활동 및 오락 기능을 위한 환경 구축"을 우해 방과후 시간에 어린이들이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방과후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어린이들이 정보를 구하러 오기를 기다리기보다는 어린이들에게 정보를 전달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정규학습활동 외에 취미나 오락 드으이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여러 가지 주제의 도서 및 비도서자료를 비치하여 이를 제공하고 영화, 음악감상회, 전시회, 토론회, 강연회, 이야기회 등의 행사를 통해 어린이들이 건전한 과외활동과 취미, 오락생활로 여가를 선용할 수 있도록 각조 ㅇ도서관 행사가 계획되고 시행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comprehend the information nee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well as the general aspects in students use of information. Another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materials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libraries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information services for elec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envestigated what information efementar students need and what types of information they prefer in order to attain their goals. The investigation was outlined according to gender, school, residential region, and the presence/absence of their sisters/brothers, ets. Specifically, on the preferences for types of information, students were investigated with a focus on libraries and the internet. Subjects for the study were 335 4rd through 6th grades were attending 2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and Chonnam. The research method consists of a qualitative questionnaire and survey. 335 questionnaires were sent out to 2 elementary schools, and 335 questionnaires(100%) were returne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Frequency, t-test, correlations and one-way ANOVA, tests were uitilized to find differentiation and correlations between data. The following are the major results or finding from study : First. Elementary students required mostly information on exercise and then computer games, health, books, appearences, entertainers, in that ord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Boys required mostly information on computer games and exercises while girls required mostly information on gealth and entertainers. According to thier grades, there were also differences. Students in the 4th and 6th grades required a lot of information on exercise while students in the 5the required much informationon computer games. According to other factors such as regions and presence/absence of sisters/broth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Elementary students uitilized the internet mainly to obtain the required information. However, they hardly referred to encycolpedias, workbooks, libraries, or asked their parents, teachers, sisters/brothers or friends. For information on sex or health, boys mainly used the internet whil hirls asked their parents forst in many cases. However, as their ages advanced, they used the internet mainly, rather than asking their parents. As for the materials for books, students mainly asked their friends rather than using labraries. Third. Elecentary students recognized the internet as more important than librari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main reasins that they used libraries were "a lot of diverse materials" and "available at any time". The reasons they used the internet were for "convenience" and "a lot of diverse materials" as well. Fourth. Elementary students more frequently used the internet than labraries for ontaining information. They gardly used libraries except for reading books. Also, they used the internet for two purposes only; for playing computer games and for ding assignments and preparing for their next lessons. Fifth. Elementary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mselves when they used the internet than when libraries showed highest when they used the libraries for reading books, while thier satisfaction with the internet showed highet when they used the internet for doing assignments and preparing for their next lessons. Sixth. Elementary students experienced many more difficulties in using libraries than when using the internet. They felt inconvenienced when using the internet, they felt inconvenienced when they faced a lot of terms that they didn't know. Seventh.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using sibraries and using the internet by elementary students withe regard to their recognition of importance, use frequency, satisfaction, and difficultie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elementary studen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internet, the higher their recognition of libraries. The more frequently they used internet, themore frequently they used libraries. Also, the more they became satisfied with the internet, the higher they were satisfied withe libraries. Ther more they underwent difficulties in using the internet, themore they felt difficulties in using libraries, too. Eighth, Regarding education for the use of the internet and libraries, most students accepted it positively.

      • 문화재 전문가의 정보요구에 관한 연구 : 유형문화재 전문가를 중심으로

        이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2000년대 이후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되는 문화 환경 변화와 정보 통신 기술 발전이라는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자 문화재청과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재 정보화 촉진을 목표로 정보서비스 개선 사업을 착수하였으며, 특화된 정보화 사업들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현재까지 추진된 문화재 정보화 사업은 기록 정보 관리 방향으로 진행되어왔기 때문에, 방대하게 축적되어온 문화재 정보들을 이용의 대상으로서 학술적으로 규명한 연구 성과는 찾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흡한 문화재 분야의 정보 요구를 이용자 관점에서 살펴보고, 파악된 문화재 정보 요구 특성과 문헌정보학계에서 기존에 규명된 정보 요구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주관적인 속성을 객관적인 방식으로 유형화하는데 유용한 Q 방법론을 채택하였다. 우선, 문헌조사를 통해 전문가들의 정보추구행태, 시각 예술 분야 정보 추구 행태 관련 주요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이후 문헌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연구 1:1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심층 면접 결과를 토대로 Q 진술문과 P 샘플을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참여자 40명에게 47개의 Q 진술문을 강제 분류하도록 요청하였으며, PQMethod를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집한 Q 분류 결과는 주성분 분석과 Varimax 회전방식을 거쳐 최종적으로 6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분석 결과 정보 요구는 보존 처리 정보 유형, 역사 연구 정보 유형, 정책 정보 유형, 전통 공예 전승(청년층) 정보 유형, 학예 정보 유형, 전통 공예 전승(중노년층)으로 유형화되었다. 보존 처리 정보 유형은 직관적으로 유물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 보존 처리 대상의 성분, 재료와 재질, 화학적 지식뿐만 아니라 문화재의 제작 연대를 추론할 수 있는 역사적 지식과 최신 연구 동향은 주요 정보 요구로 파악되었다. 역사 정보 유형은 문화재의 외형적 특성에 관한 정보, 시대 정보가 요구되었고, 자료로서는 역사적 근거와 학술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원이 선호되었다. 미술사학의 다학문성을 고려할 때, 역사적 접근 시 연구자들이 습득해야 할 정보 범위는 시각 예술 분야를 뛰어넘어 복합적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책 정보 유형은 신뢰성, 정확성, 최신성, 객관성이 요구되는 정보 특성으로 확인되었고, 문화재가 공공재로서의 특성과 국가 예산으로 관리된다는 점에서 동향과 여론, 제도 분석을 위한 문화재 관련 법규, 정책 집행 사항 등이 요구되었다. 학예 정보 유형은 문화재와 관련된 기본 정보, 문헌 사료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역사적 근거, 유물의 명칭에서 담고 있는 함의를 도출하기 위해 명칭에 대한 정보 요구가 발생하였다. 신진 공예가와 장인 공예가의 정보 요구에서 드러나는 가장 큰 차이는 외부 정보원과 비공식 정보원의 선호 여부로 나타났고, 문화재 원형에 대한 정보는 공통적으로 요구되었다. 본 연구는 문화재 정보를 이용의 대상으로서 규명한데 의의가 있다. 이용자 관점에서 문화재 전문가들이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정보가 무엇인지 6가지 유형별로 구조화하여 파악할 수 있었고, 문화재 전문가의 정보 요구가 다른 유사 전문가 집단(시각 예술 분야)의 정보 요구와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였다. 향후 문화재 기관이 세부 영역별 전문가들의 요구가 반영된 정보 자원을 갖추어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중학생들의 정보요구와 이용행태 연구

        조애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o find out a variety of information needs and uses, this study investigated in which case middle school students need information and how they are satisfied with each need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information needs. This study has two purposes. One is generally to understand which information they need and how they use the information. The other is to obtain fundamental data to improve school library in order to provide efficiently students with information service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qualitative methods and quantitative methods. Among 'W' middle school students(from first grade to third grade)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largest, middle and the smallest class of each grade in the number of checked out books were classified. Totally 358 questionnaires were given out and 34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the rate of response is 96%). To supplement contents obtained by questionnaires, 9 students of each grade (totally 27student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sponse that the information for homework, preparation for lesson, preparation for the test, and university and career development is definitely or at least needed is as follows; 67.4%, 62.2%, 77.3% and 71.8%. The rate of response that information is needed in leisure activities appeared 49.7%. As shown above results, on the whole, these results showed that information is greatly needed. (2) Although the information needs occurred by any reason except preparation for the test, the favorite channel to get information is the Internet. On the whole, nearly 35% of respondents selected the Internet as the favorite channel. On the contrary, the rate of response school library as an information channel is desperately low (3.7% of all); This is the lowest level. (3) First and second grade's Internet dependance to solve homework is much higher than third grade(first grade: 71.8%, second grade: 77.8%). Third grade respondents selected the Internet as the favorite information channel(56.3%). Relatively, respondents that use personally owned material appeared 31.1%. (4) As grade gets higher, Internet dependance as the first information channel to get information for lesson gets lower. On the contrary, personally owned material dependance gets higher. (5) Personally owned books rather than the Internet is the source of Information to prepare for the test. But, first grade and second grade showed 55.6% and 54.6%(There is nearly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ird grade is 62.2%; Dependance on personally owned books is higher. Dependance on the Internet is 17.6%(second grade) and 16.8%(third grade). There is nearly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But, first grade appeared 26.5%. (6) To determine career development including university, they use the Internet and personal communication including teacher, family/relative. The rate of the Internet vs. personal communication use is 42.8%:41%(first grade), 38.9%:57.4%(second grade), 44.6%:40.3%(third grade). (7) The Internet use to get information about culture and interests in leisure activity is overwhelmingly high. In personal communication, the priority over friends is high. The response that friends are the important information channel is each 14.8% and 14.3%. (8) In the use of school library, It appeared that 40% of respondents never use school library. The main reason is that they can get information without using school library. The other reasons are the lack of material in school library and the lack of general interest in reading a book. (9) Because many students realize the necessity to learn how to use school library, 67.2% of the all respondents say "Yes" about that. The favorite way to learn is combining theory and practice(41.4% chosen). (10) In library operation, need to equip computers, printers, and duplicators appeared 30.8%. And need to reflect on request of students in library operation appeared 30.5%. These two needs are the most urgent items to improve in library operation. (11) Material management field in school library entirely was not different. So, the need to reflect on request to buy books appeared 28.5% and the need to arrange books to read conveniently without damaged books appeared 26.5%. The request to buy newly-published books periodically appeared 27.3%. (12) In point of education by school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 student's response to question, "what is improved first", appeared evenly various in given six suggested items. But, among items, response that school library must present needed material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performance and solution of homework appeared 25.2%. This rate is the highest of the assessment other items. The followings from this study of school library are suggested; (1) Students need information by a variety of reasons. Therefore school library must secure data to meet these diverse information needs, or must strengthen service to be able to make a minimum approach. First of all it is information about study that they need. Providing students with information needed in learning knowledge, school library helps them to learn by themselves and to do discovery study. In order to do so, school library as the core of education in school, must play a leading role in solving the student's learning and homework and personal requirement. (2) Students need leisure information about culture and hobby, the newest information of university and career development except for information of a study. School library must help students to collect data for university and career development sufficiently and to utilize interpersonal information, and finally to get data for university which students need quickly. So, school library timely provide students with diverse individual difference with appropriate information. (3) Through teaching how to search and use school library material, school library helps students to search and to study by themself. That is to say, school library must make students develop information practice ability to use library data. School library must equip optimum education environment which can develop rapid and accurate data practice. (4) As we can know through the behavior of information uses, it is shown that the dependance on the Internet is very high, and this dependance will increase more and more as time goes by. Therefor, school library must equip multimedia facility, the newest-model computer and printer, duplicator, visual presenter etc. (5) School library must be a living culture and art center which students approach in their daily life. School library must strive to make students feel friendly towards library and to use a library continuously. At this atmosphere, students will improve their voluntarily will to use librar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다양한 정보요구와 이용행태를 이해하기 위하여 중학생들은 구체적으로 어떤 경우에 정보를 요구하고 있으며, 정보요구가 발생된 맥락에 따라 어떻게 정보요구를 충족시켜나가는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정보요구와 이용에 관한 일반적 이해와 더불어 중학생들에게 필요한 정보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학교도서관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정량적 연구방법과 정성적 연구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W중학교의 재학생 1~3학년 중에서 각 학년별로 2006년도 도서 대출 건수가 가장 많은 반, 중간인 반, 가장 적은 반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법으로 수행하였다. 총 358부의 질문지를 배포하여 344부의 응답지를 회수하였다(응답률 96%). 질문지를 통해 입수한 내용을 보완하기 위하여 각 학년별로 9명씩 총 27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학습과제물 해결, 수업준비, 시험준비 및 진학/진로를 위한 정보가 정말 필요하거나 적어도 필요하다고 응답한 응답자가 각각 67.4%, 62.2%, 77.3%, 71.8%에 이른다. 여가활동에 정보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49.7%로 전반적으로 정보에 대한 요구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중학생들은 시험준비를 위한 경우 외에는 어떤 맥락에서 정보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더라도 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가장 선호하는 채널이 인터넷이었는데, 전체적으로 거의 35%의 응답자들이 인터넷을 제1의 선호하는 채널로 꼽고 있다. 반면 정보채널로서 학교도서관의 비중은 예상했던 대로 극히 저조하여 전체의 3.7% 정도의 수준으로 최하위에 머물고 있다. (3) 학습과제물을 해결하기 위한 정보 입수에 1학년과 2학년의 인터넷 의존도는 3학년보다 훨씬 높아서 각각 71.8%와 77.8%이다. 3학년은 인터넷을 제1의 선호하는 정보채널로 응답한 응답자가 56.3%이며 상대적으로 개인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료를 우선적으로 이용한다는 응답자가 31.1%에 달한다. (4) 수업에 필요한 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제1의 정보채널로서 인터넷에의 의존도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개인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료에의 의존도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커지고 있다. (5) 시험준비에 필요한 정보는 인터넷보다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책이 가장 중요한 정보원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1학년과 2학년은 각각 55.6%와 54.6%로 큰 차이가 없지만, 3학년은 62.2%로 자신의 책에 대한 의존도가 더 크다. 인터넷에의 의존도는 2학년과 3학년은 각각 17.6%와 16.8%로 큰 차이가 없지만, 1학년은 26.5%에 달한다. (6) 진학을 포함하여 진로 결정에 중학생들은 인터넷과 교사 및 가족/친척을 포함한 대인 커뮤니케이션을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이용하고 있다. 인터넷 대 대인 커뮤니케이션 이용도의 비율이 1학년은 각각 42.8%와 41%, 2학년은 각각 38.9%와 57.4%, 그리고 3학년은 각각 44.6%와 40.3%이다. (7) 여가활동으로 교양이나 관심 분야의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인터넷 이용이 압도적인 것을 볼 수 있다. 대인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친구들의 비중이 커서 특히 2학년과 3학년은 친구가 중요한 정보채널인 비율이 각각 14.8%와 14.3%이다. (8) 학교도서관 이용에 있어서 40%의 응답자들이 도서관을 전혀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학교도서관을 이용하지 않아도 원하는 자료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자료부족 및 독서에 대한 전반적인 흥미부족이 주요 원인이었다. (9) 다수의 학생들이 도서관 이용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어서 전체 응답자 중 67.2%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가장 선호하는 교육방식은 이론과 실습을 겸한 학습으로 41.1%가 선호하였다. (10) 도서관 운영 면에서 개선되었으면 하는 사항으로 컴퓨터와 프린터, 복사기 등을 설치해 줄 것과 도서관 운영에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해 줄 것에 각각 30.8%와 30.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11) 학교도서관의 자료 관리 면에서는 전반적으로 큰 차이가 없어서 도서 구입 시 희망도서 요청을 반영해 줄 것에 28.5%, 파손된 책이 없고 편하게 책을 볼 수 있도록 서가를 배열해 줄 것에 26.5%, 정기적으로 신간도서를 구입해 주었으면 하는 바램에 27.3%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12) 학교도서관의 교육과 정보서비스 측면에서 가장 개선되었으면 하는 사항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선택하도록 제시된 여섯 가지 사항에 고루고루 나타났지만, 그중에서 수행평가 및 과제물 해결에 필요한 자료 제공은 25.2%로서 다른 사항에 비추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학교도서관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1) 중학생들은 여러 다양한 맥락에서 정보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학교도서관은 이런 다양한 정보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자료를 확보하거나 최소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 먼저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학습활동에 관련된 정보이다. 학교도서관은 학생들에게 필요한 학습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율학습과 탐구학습 활동을 도와야 한다. 이를 위해서 학교도서관은 학교 내 교육의 심장부로 학생들의 학습 및 과제해결과 개인적인 욕구를 해소할 수 있는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 (2) 중학생들은 학습과 관련된 정보 외에 교양, 취미와 관련된 여가정보와 진학 및 진로와 같은 최신정보를 필요로 한다. 진학 및 진로에 대한 자료를 충분히 수집하고 대인정보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학생들이 원하는 진학 선택을 위한 자료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학교도서관에서 준비하여 다양한 개인차를 갖고 있는 학생들에게 각각 알맞은 정보를 시기적절하게 제공해야 한다. (3) 학교도서관 자료의 검색 및 이용방법 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의 자율적 조사연구 능력을 배양해야 한다. 즉 학생들이 도서관 자료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정보 활용능력을 계발시켜 주어야 하고, 다양한 자료와 매체를 이용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자료 활용능력을 개발시켜 줄 수 있는 최적의 교육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4) 학생들의 정보이용 행태에서 알 수 있듯이 모든 정보요구에서 인터넷에의 의존도가 무척 크며 이와 같은 현상은 갈수록 심화될 수밖에 없으므로 학교도서관은 최신형 컴퓨터 및 프린터, 복사기, 실물 화상기 등의 멀티미디어 기자재, 초고속 인터넷 망을 갖춘 정보화 환경의 구축이 절실하다. (5) 학교도서관은 학생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살아있는 문화 · 예술의 장의 되어야 한다. 학생들이 학교도서관을 친근한 공간으로 느끼고 계속해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요구되며, 이 때 학생들에게 자발적인 도서관 활용 의지와 문제 해결 능력이 배양될 것이다.

      • 인터넷 소비자정보요구도에 관한 연구

        이수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2

        첫째, 소비자정보인지도에 대한 전반적 인식수준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비자정보인지도에 대한 인식수준을 정보신뢰도·정보이해도·정보접촉도·정보탐색도·정보만족도의 5개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인식수준은 보통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정보 접촉도에 대한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보탐색도에 대한 평균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특성·정보환경관련특성에 따른 소비자정보인지도의 차이에 있어서는, 소비자들은 연령, 학력, 월평균소득, 직업 및 일주일 컴퓨터사용시간에 따라 소비자정보인지도에 부분적으로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인터넷 소비자정보요구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수준 결과, 소비생활정보와 소비자상담분야에 관한 정보, 가격에 관한 정보, 방문자이용가능 형태의 정보, 정보제공의 특성을 지니는 정보 및 소비자단체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인터넷 소비자정보요구도에 집단간의 차이를 나타낸 중요변수로는 연령과 학력으로 나타났고, 부분적으로는 컴퓨터이용기간과 인터넷이용시간, 일주일 컴퓨터사용시간 및 일주일 인터넷사용시간도 집단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중요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소비자정보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존의 소비자정보인지도 관련 변수 중에서는 소비자정보탐색도, 소비자정보만족도, 소비자정보이해도 및 소비자정보탐색도가 인터넷 소비자정보요구도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넷째, 인터넷 소비자정보요구도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를 살펴본 결과, 사회인구학적 특성에서는 연령(-)과 학력, 월평균 소득이였고, 정보환경관련특성에서는 컴퓨터이용기간·인터넷이용기간·일주일 인터넷사용시간으로 나타났다. The special feature of the modern industry society is very high technology and complicated - variety consumptions. So it make consumers get hard to make the best selection in these days, with numberless products and endless services. This means consumers requried more imformations rather then any other past. Also, It is unable to being in a rationally and safety consumer's life. without the enough imformations and pratical use of it. So in this technetronic world. the information's value get's higher. And huge amount of the renov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offers the substantial profits to the consumer. In result, the consumer's quality of life having a great possibility to be improve. But. to find and assort the useful informations. It required the acquirable ability of information and capability of cover the expenses. Therefore, this disproportion of ability and capability make the information rich and the information poor. And the possibility of the consumption matter increase. Accordingly. to form the high information technology for the consumers must be settled without delay. The basic formation of it decrease the consumption matter, and also be the point to consumers exercise the consumer's sovereignty in the market. Also, the internet which is only opened for special class at the past, diffuse to all classes like junior senior highschool and woman in general and it boost the internet's popularize. So the consumers can reduce the all physical * time cost, and now the internet settle in the most important method to find the informations. But it's certain today's factor that the internet still push the house-keeper (most women), whose the most important person of house economic, to the information poor. therefore this project aiming the house-keeper, whose the big speaker in the household economy but poor to using the internet so being in the information poor, to find out the needs consumer informations on internet. I hope this project can expect the protection the over-carrying of consumer information on internet and consumers can activity acquire the information in consumer's side. Also in the business's side, it promote the developing of fair information offers for lighten the inequality of information. And in the governments side, it's a basic information to plan the legal system for help the consumers to use the safe and correctness intern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