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관형사와 접두사의 범주 설정에 관한 연구

        김민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어에서 관형사와 접두사는 체언에 선행하면서 후행체언을 수식한다는 점에서 분포와 기능이 일치한다. 이 때문에 관형사와 접두사를 구분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었지만, 아직도 두 범주의 경계는 명확하게 파악할 수가 없다. 이 연구는 언어학에서도 명백하지 않은 범주들 사이에 나타나는 경계의 모호함을 인정하고, 그 모호함 속에서 나타나는 범주의 전형성을 포착하려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전제를 토대로 이 논문은 관형사와 접두사 간 경계의 모호성이라는 언어 현상을 명시적으로 다루고, 범주의 경계에 위치한 언어 요소들을 처리할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범주 중복 양상을 다루기 전에 관형사와 접두사의 전형적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각 범주의 개념, 설정 근거, 목록을 제시하였다. 관형사와 접두사 목록은 국립국어연구원에서 2008년도에 웹 사전으로 발간한《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된 것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으며, 고유어와 한자어를 구분하여 다루었다. 그 결과 고유어 관형사 37개, 한자어 관형사 32개, 고유어 접두사 83개, 한자어 접두사 93개를 추출해 낼 수 있었다. 추출한 목록 중에서 관형사와 접두사가 중복되는 예는 고유어 4개, 한자어 13개로 나타났다. 관형사와 접두사의 중복 양상을 보이는 형태소 목록 17개 중에서 한자어 형태소는 형태와 범주가 일치하는 경우로 재 추출할 수 있었는데, 그 결과 고유어 형태소 4개, 한자어 형태소 7개로 총 11개의 목록을 얻을 수 있었다. 이처럼 범주의 경계에 위치한 예들을 처리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원형적 범주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원형적 범주화는 범주의 구성원이 원형적인 것에서부터 중간 단계, 주변적인 것에 이르기까지 연속체를 통한 계층적 구조를 이루고 있다고 보기 때문에 종래 언어 이론에 비해 유연성이 높은 이론이다. 이 이론을 바탕으로, 체언이나 용언에 해당하는 제1차 범주가 형태의 고정화 단계를 거쳐 제2차 범주인 관형사가 된 후, 후행 성분의 다양화나 추상화로 인해 제3차 범주인 접두사로 확장해 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관형사와 접두사의 중복 양상을 보이는 11개의 형태소는 제2차 범주에서 제3차 범주로 분화․이동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그 동안의 연구에서 인접 범주 간 경계의 모호성이 예외로 처리되거나 무시된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 논의를 통해 언어 범주간의 연속성을 인정한다면, 언어 현상을 기술함에 있어 하나의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In Korean language, a determiner and a prefix have same distribution and function in preceding the substantive and modifying the succeeding substantive. There have been various discussions to differentiate determiners and prefixes however, still the boundary between two categories is not clearly established. This research acknowledges the ambiguity of boundary as appeared between the categories even they are not clear in linguistics. The research starts from the premise that a research is required to identify the representative pattern of the boundary as appeared in the ambiguity. Accordingly, the concept, list and establishing bases of each category are suggested in order to explore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determiners and prefixes. The list of determiners and prefixes had been prepared based on the content of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which had been published as a Web dictionary in 2008 by the National Academy of the Korean Language. The native word and sino-Korean words were dealt separately. As the result, it was possible to extract 37 native word determiners, 32 sino-Korean determiners, 83 native word prefixes and 93 sino-Korean prefixes. In the extracted list, the overlapping cases of determiners and prefixes were 4 cases in native words and 13 cases in sino-Korean words. In order to deal with cases located on the boundary between categories, this research explored the “prototypical categorization”. The prototypical categorization is the theory having quite higher flexibility than existing linguistic theories because it identifies that the constituting elements of a category make a layered structure by way of continuing elements from prototypical ones, intermediate ones and perimetric ones. Based on this theory, the substantive or the predicate words had gone through ‘the shape fixation stage’ to become the determiners and expanded to the prefix category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r abstraction of succeeding elements. Until now,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in which the boundary ambiguities between adjacent categories had been acknowledged as exceptions or had been ignored. However, if the continuity between language categories would be acknowledged through this discussion, there can be a solution in the identification of linguistic phenomena.

      • 한·중 시간 접두사의 대조 연구

        등제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접두사는 단어의 구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중국어의 영향으로 한국어 한자어 접두사와 중국어 접두사 사이에 일련의 연관성이 있지만 의미 변화, 사용 범위 등에서 차이가 있어 연구 가치가 있다. 의미에 따라 접두사는 시간 접두사, 공간 접두사, 부정 접두사, 긍정 접두사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은 주로 한국어 한자어 시간접두사와 중국어 시간 접두사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비교분석을 통하여 그것들의 의미기능을 연구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냈다. 본 논문은 정확한 연구 결과를 얻기 위해 주로 사전에 의존하였다.한국어 한자어 접두사의 의미를 연구할 때는 주로 <표준국어대사전>과 <연세현대한국어사전>의 내용을 참고하였고, 중국어 접두사의 의미를 연구할 때는 주로 <현대한어사전>를 참고하였다. 예문은 주로 <고려대한중사전>를 첨고했다. 제1장은 서론 부분이다.필자는 연구목적과 연구의미를 천명하고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본 논문의 연구과제를 제시하고, 연구재료와 연구범위, 연구방법을 명확히 하였다. 제2장에서는 접두사의 설정기준을 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의 14개 시간 접두사을 선정했다. 그리고, 의미기능의 설정기준을 기술하고, 표의 형식으로 14개의 시간 접두사를 분류하여, 아래 문장의 대비 연구를 위한 포석을 두었다. 제3장은 시간 접두사의 의미기능을 바탕으로 <표준국어대사전>과 <연세현대한국어사전>에서의 한국어 한자어 시간 접두사와 <현대한어사전>에서의 중국어 시간 접두사을 대상으로 연구했다. 14개의 시간 접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고 대조연구를 하여 한국어 한자어 시간접두사와 중국어 시간 접두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예를 들어 한국어 시간 접두사 '고-'와 중국어 시간 접두사 "古-"는 모두 '+시간', '+과거'의 의미가 있다. 모두 낡은 뜻이 있지만 중국어에서도 '이상하다'는 뜻의 기능을 한다. 한국어 한자어 시간 접두사 '구-'는 중국어 시간 접두사 "旧-"와 함께 '+시간', '+과거'를 의미하지만 한국어 한자어 시간 접두사 '구-'는 '+역사'의 의미를 보충한다. 한국어 한자어 시간 접두사 '선-'과 중국어 시간 접두사 "先-" 모두 '+시간', '+과거'의 의미를 공통으로 지녔지만, 사용 형식으로 "선(先)-"이라는 한국어 한자어에서 없는 '가족이나 민족중 이른 세대'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마지막 제4장은 결론 부분이고 본 논문의 모든 내용을 정리했다. 한국어 시간 접두사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의 접두사의 의미기능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본 논문은 주로 파생어의 파생 과정에서 시간 접두사를 대상으로 연구했다. 시간 접두사로 이루어진 파생어는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한중 학습자가 언어를 더 잘 사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중한 시간 접두사에 관한 선행연구는 드물기 때문에, 본문에서는 일정한 논리에 의해 설명하였으며, 앞으로 다른 의미를 더 많이 나타내는 전편에 대해 검토할 것이다. Prefix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onstruction of words. Influenced by Chinese, Korean Chinese prefixes and Chinese prefixes have a series of relevance.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m in terms of meaning change, or scope of use, which has certain research value. According to different meanings, prefixes can be divided into time prefixes, space prefixes, negative prefixes and positive prefixes. In this paper, Korean Chinese time prefix and Chinese time prefix are the research object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m are studied, and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time prefix are found out. In order to achieve more accurate research results, this paper mainly relies on dictionaries. In the study of the meaning of Korean Chinese prefixes, we mainly refer to the contents of the dictionary of standard Chinese and the dictionary of modern Korean, and in the study of the meaning of Chinese prefixes, we refer to the dictionary of modern Chinese. The quotation of examples in this paper mainly comes from Korea Chinese dictionary. The first chapter is the introduction. The author clarifies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puts forward the research topic of this paper, and clarifies the research materials, research scope and research methods. In the second chapter, the standard of setting prefix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which 14 time prefixe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are selected. And elaborated the setting standard of semantic function, classified these 14 time prefixes in the form of table, which paves the way for the following comparative study. The third chapter, based on the semantic function of time prefix, takes the time prefix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in "standard Chinese Dictionary" and "Yanshi modern Korean dictionary" and the time prefix of Chinese characters in "modern Chinese Dictionary", such as 14 time prefixes such as ‘고(古)-’,‘구(旧)-’as the research objects, carries out a comparative study, and analyzes the time prefix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tim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prefixes.For example, Korean time prefix‘고-’and Chinese time prefix "古-" both have the meaning of "+ time" and "+ past". Although they all express the meaning function of "old", they also express the meaning function of "strange" in Chinese.The time prefix word‘구-’in Korean and the time prefix word "旧-" in Chinese have the meaning of "+ time" and "+ past ", but the time prefix word‘구-’in Korean can supplement the meaning of" + history ".The time prefix words‘선-’in Korean and "先-" in Chinese have the meaning of "+ time" and "+ past". However, in the form of use, the Chinese prefix word "先-" contains the meaning of "the earlier generation in the family or ethnic group" which is not found in ‘선-’in Korean. The last four chapters are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This paper expound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time prefixes and their corresponding Chinese prefixes. This paper mainly studies the derivation of time prefix,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daily life. It will help Chinese and Korean learners to use the language better. At the same time, due to the lack of previous research on time prefixes in China and South Korea, this paper explains them according to certain logic, and will study more prefixes that express other meanings in the future.

      • 영어와 이탈리아어의 접두사에 관한 연구

        정홍기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영어와 이탈리아어에 사용되는 접두사들 중에서 어원상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접두사를 분류하여 대표적인 어휘들을 영어와 이탈리아어를 비교 정리하여 파생 어휘들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접두사는 어원적으로 보면 라틴어와 그리스어에서 차용된 것이 많기 때문에, 라틴어에서 차용 된 접두사와 그리스어에서 차용된 것에만 한정하여 분류하였다. 의미적으로 접두사는 독특한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에 다양하게 분류되며, 어근에 부가되어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고 있다. 영어와 이탈리아어에서 새로운 어휘를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가 파생인데, 그 중 어근 앞에 접두사를 부가하는 것이 접두사 결합이며, 접두사는 독립된 단어로 사용되지 않지만 대부분 독특한 의미를 갖고 있으며 그 의미를 수직적, 수평적으로 확대, 축소함은 물론 시간과 공간의 영역까지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이 접두사는 어근에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면서 파생어 증가에 기여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향 후 접두사에 관한 능력을 배양하여 두 언어의 의사소통에서의 현실적 적응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더 많은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영어와 이탈리아어의 접두사는 대부분 라틴어와 그리스어에서 차용된 것으로 학술, 문학, 과학, 종교 등 고급문화를 통해 유입되었으며 오늘날까지 동일한 의미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접두사는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며 어휘생성에 기여하지만 품사나 문법적 요소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라틴어와 그리스어에서 파생된 접두사는 학술, 종교, 의학 및 과학 분야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접두사는 어휘로서의 자립성이 약하지만 학술이 아닌 실용적으로 차용된 접두사는 비교적 자립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에를 들어 접두사 contro-는‘반대하는’(against)이란 독립된 어휘로 사용되기도 한다. 본 연구의 흥미로운 결과는 학술적 접두사가 사용빈도가 많아지면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되고 독립적 어휘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auto-는 ‘자신’(self)이라는 의미의 접두사지만 현대 언어에서는 ‘자동차’(car)라는새로운 의미의 독립된 어휘로 사용되고 있다. 접두사 super- 는 ‘대단하다’(super)라는 형용사로 사용되고, 접두사 ex-는 ‘전남편’이란 명사로 사용되기도 한다. 세계화라는 새로운 문화 속에서 접두사 inter-는 ‘사이’라는 의미에서 ‘국제적’(international)이라는 형용사를 뜻하게 되었다. 오늘날의 새로운 과학과 기술의 시대에 접두사 nano-, bio-, multi- 등은 매우 빈번하게 사용되며 하나의 독립된 어휘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The richest foreign sources of English vocabulary are Latin, French, and Greek. Many of the Latin and Greek words were in the beginning confined to the language of erudition; others have passed into th stock of more or less everyday speech. It should be noted that in earlier periods Latin was to the English the language of literature, science, and religion. most of the greek words which appear first in early Modern English occurred in Latin works. Latin was in fact, in every respect a living language among the learned all over Europe throughout the medieval and early modern periods. Not only many words were taken from Latin and Greek, but many affixes commonly used in English as well. Most of the italian words have come from Latin. Some of the Latin words are from Greek. So Italian has great classical component not only from Latin but also from Greek. Latin and Greek with which English and Italian have had the closest cultural contacts have furnished a number of freely used affixes for English and Italian. On the basis of these backgrounds we investigate Latin and Greek origin prefixes in English and Italian. The major findings made in this paper include the following. First, prefixes, in contrast to most suffixes, display greater structural and semantic autonomy and prefixation is rarer than suffixation. Second, many of the prefixes found in English and Italian are of learned origin and are borrowed from Latin or Greek. As a rule, Greek and Latin origin prefixes cannot be used as a independent word. But one originally learned prefix which has acquired a novel meaning in the modern language is auto- 'self', which has acquired the addition sense of 'pertaining to motor cars'. Many non-learned prefixes also show a high degree of semantic and formal autonomy from the word to which they are affixed. Third, certain latin and greek prefixes exist also as independent words: super- has even become an independent adjective in childish and familiar usage, as in "our new car's super"; auto- indicates 'car'; ex- indicates 'ex-husband; the prefix inter- does not remind us just of interdisciplinarity; it stands also for international, which is becoming a growing characteristic of our era of globalization. So we find ourselves in an era where our research is commonly hyphenated: nano-, bio-, multi-, inter- and other less frequent prefixes.

      • ver-접두사동사에 관한 연구

        박민정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다양한 정보의 증가와 세계화의 결과로서 새로운 어휘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현대에 어떻게 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어휘를 습득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시작하였다. 독일어에서 어휘의 생성은 기본적으로 단어의 결합이나 파생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문장의 중심인 동사어휘는 대부분 접두사조어에 의하여 조어가 확장된다. 접두사 중에서도 ver-는 생산력이 가장 크며, 이미 19세기경 괴테나 실러 등의 문학가의 작품을 통하여 많은 접두사동사가 생성되었다. 그러나 근대에 접어들면서 접두사동사의 생산력이 멈추었다고 보았으나, 외래어 기저를 중심으로 vercomputerisieren, verprovinzieren 등의 동사와 같이 ver-접두사동사의 생성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특히 『Das grosse Wo¨rterbuch der deutschen Sprache』 을 살펴보면, 1981년 출간된 초판과 1995년 출간된 2판은 수록된 단어들의 차이를 보이는데 1995년 2판은 초판에 수록되지 않은 다수의 접두사동사들을 싣고 있다. 이렇듯 ver-는 앞으로도 새로운 동사어휘의 조어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보며, 새로이 생성되는 ver-접두사동사의 의미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습득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취지이다. 먼저 ver-접두사동사가 지닌 통사적 측면과 함께 기능적인 면을 살펴보고, 접두사동사에 대하여 연구한 Ku¨hnhold, 김경욱, Fleischer, Duden Grammatik, Brockhaus-Wharig와 Universalwo¨rterbuch에 나타나는 ver-접두사동사를 의미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학자들이 예로 제시한 동사를 의미별로 구분하고, 반복되어 나타나는 동사를 중심으로 의미를 비교하여 접두사 ver-가 지닌 의미를 분류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분류를 바탕으로 접두사 ver-가 대표하는 의미가 무엇인지, 이 의미로 인하여 ver-접두사동사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In der vorliegenden Arbeit wurde die Verben mit Pra¨fix ver- deswegen untersucht, weil sie im Deutschen stark gepra¨gt sind. Dazu wurden solche U¨berlegungen angestellt, wie man mit Pra¨fix ver- das Wortschatz erfolgreich erweitern und neue Wo¨rter besser verstehen kann. Die grundliegende Untersuchung in dieser Arbeit wurde besonders auf der Ebene der syntaktischen und semantischen Funktion der Pra¨fixverben mit ver- durchfu¨hrt. Die Pra¨fixverben mit ver- sind vor allem mit Basiswortarten Adjektiv, Substantiv und Verb gebildet. Und die Pra¨fixverben mit ver- stehen in Zusammenhang mit der Aktionsart und syntaktischen Erga¨nzung. Die syntaktischen Funktion der Pra¨fixverben mit ver- wird wie folgt analysiert: 1. Adjektiv als Basis In Hinsicht auf der Syntax ko¨nnen die Pra¨fixverben mit ver- nur quantitativ umgesetzt werden. Die Zahl der Erga¨nzung verringert sich bei der Umsetzung in Pra¨fixverben. E_(0) + E_(8) → E_(0) [ 08 → 0 ] E_(0) + E_(1) + E_(8) → E_(0) + E_(1) [ 018 → 01 ] 2. Substantiv als Basis In Hinsicht auf der Syntax ko¨nnen die Pra¨fixverben mit ver- nur quantiative umgesetzt werden. Die Zahl der Erga¨nzung verringert sich bei der Umsetzung in Pra¨fixverben. E_(0) + E_(4) → E_(0) [ 04 → 0 ] E_(0) + E_(1) + E_(7) → E_(0) + E_(1) [ 014 → 01 ] 3. Verb als Basis In Hinsicht auf der Syntax ko¨nnen die Pra¨fixverben mit ver- sowohl quantitativ als auch qualitativ umgesetzt werden. 1) Die quantitative Umsetzung ① Die Zahl der Erga¨nzungdobjekt ist den Basisverben gleich wie Pra¨fixverben. ② Die Zahl der Erga¨nzungdobjekt der Basisverben verringert sich bei der Umsetzung in den Pra¨fixverben. E_(0) + E_(6) → E_(0) [ 06 → 0 ] ③ Die Zahl der Erg¨anzungdobjekt der Basisverben werden bei der Umsetzung in den Pra¨fixverben versteigert. E_(0) + E_(1) : E_(0) + E_(1) + E_(3) [ 01 : 013 ] 2) Die qualitative Umsetzung ① E_(0) + E_(3) → E_(0) + E_(1) [ 03 → 01 ] ② E_(0) + E_(4) → E_(0) + E_(1) [ 04 → 01 ] ③ Die Akkusativerga¨nzung der Basisverben wird zu den Pra¨positionerga¨nzung der Pra¨fixverben und die Pra¨positionerga¨nzung der Basisverben wird zu den Akkusativerga¨nzung der Pra¨fixverben umsetzt. E_(0) + E_(1) + E_(4) → E_(0) + E_(1) + E_(4) [ 014 → 014 ] Die Kriterien u¨ber die semantische Funktion der Pra¨fixverben mit ver- treten nach Grammatikern unterschiedlich in Erscheinung. Somit wurden die Kriterien nach Ku¨hnhold, Kim Kyong-uk, Fleischer/Barz, Berger und Wellmann beru¨cksichtigt und schlieβlich die Kriterien in den Wo¨rterbu¨chern, den Brockhaus-Wahrig und Duden-Universalwo¨rterbuch, betrachtet. Des weiteren wurden die Beispiele miteinander verglichen, die die oben genannten Forscher abgegeben haben, tabellarisch schematisiert. Und diese Gramatiker vorligenden Pra¨fixverben untersuchen. Das Pra¨fix ver- spielt vor Adjektiv, Substantiv und Verb eine Rolle, welche die Bedeutung des Basisworts irregula¨r vera¨ndert, und ist im Vergleich mit anderen Pra¨fixverben semantisch verschieden. Das Pra¨fix ver- hat folgende Bedeutungen: 1. Das Abschluss durch die Handlung des Basis 2. Verkehrte und falsche Handlung des Basis 3. Das Verbrauchen oder das Verarbeiten durch die Handlung des Basis 4. Die Verbindung durch die Handlung des Basis 5. Das Zugrundegehen oder das Sterben durch die Handlung des Basis 6. Die Vera¨nderung oder das Entfernen in die anderen Stellen durch die Handlung des Basis 7. Das Abschliessen durch das Basis 8. Die Intensivierung des Basis 9. Das Zustandsvera¨nderung zu Basis Grammatiker haben den Maβstab dieser Kategorisierung deutlich genug nicht dargestellt. Aber doch lassen sich die oben genannten verbalen Bedeutungen erkennen, den Maβstab der Kategorisierung dadurch zu nehmen, dass die Bedeutungen zwischen den Basis- und Pra¨fixverben vergliechen werden. Alle Pra¨fixverben mit ver- ko¨nnen nicht mit diesen neun Bedeutungen kategorisiert werden, aber wenn man diese Bedeutungen als die typische Bedeutung des Pra¨fix ver- vor Augen behalten wu¨rde, wu¨rde man die Pra¨fixverben mit ver- im Begriff nehmen, die im Sprachgebrauch neu gebildet sind. Abschlieβend kann man sagen, dass fu¨r Pra¨fixverben mit ver- weitere Nachforschungen erforderlich sind, die ind den Untersuchungen auβer acht gelassen haben. Damit kann die Bedeutung der Pra¨fixverben mit ver- mehr konkretisiert werden oder erweitert werden.

      • 우리말 실사의 접두사 되기 연구

        정경애 동아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807

        접두사는 체언이나 용언의 앞에 붙어서 원 어근에 뜻을 더하는 역할을 하는 언어형식인데, 이러한 접두사의 기원은 자립형태소의 문법화 과정에서 시작된다. 그래서 국어의 접두사에는 어휘형태소에서 접두사 되기를 거쳐 접두사로 된 것이 대부분이다. 접두사 되기란 어휘적으로 자립하여 쓰이던 실사들이 결합하여 합성어로 쓰이면서 합성어의 선행어기가 접두사로 변하는 것이다. 접두사 되기의 과정은 실사의 어휘적이고 구체적인 의미에서 의존적이고 추상적인 의미로 의미가 추상화되고 유추된 결과이다. 이 연구는 중세국어, 근대국어 그리고 현대국어를 대상으로 하여 우리말 실사의 접두사 되기 과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접두사 되기의 과정에서 보여주는 단계를 어휘적 자립 단계, 어휘적 결합 단계, 형태적 결합 단계로 나누었다. 먼저 독립된 실사와 실사가 한 문장에서 각각 고유의미를 가지고 자립적으로 혹은 통어적으로 연결하여 쓰이는 어휘적 자립형을 이루는데 이를 어휘적 자립 단계로 본다. 어휘적 자립단계를 보이던 실사끼리 앞뒤로 나란히 붙어 서로 결합을 하게 되는데 이 단계가 어휘적 결합 단계이고 이 단계에서는 합성어로 분류될 수 있다. 접두사 되기 과정이 이루어지려면 먼저 어휘적으로 결합하는 합성어의 단계를 거치게 되는 것이다. 선행어기와 후행어기는 각각 어휘적 의미를 지니며 자립적으로도 쓰인다. 어휘적 결합단계에서 더욱 진전되어 앞의 실사가 의미의 추상화를 일으켜 독립적인 형태로 홀로 쓰이지는 못하지만 다른 어휘와 생산적으로 결합하게 되는 형태적 결합 단계에 이르는데 이러한 단계에 있으면 파생어로 묶여지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말 실사가 접두사로 되는 역사적인 과정을 밝히려는 것이므로, 접두사 되기의 과정을 그 유형별로 나누는 데 있어, 접두사 되기의 과정에서 실사가 결합된 합성어의 파생어 되기에 초점을 맞추어 접두사 되기의 유형을 먼저 고유어의 접두사 되기와 한자어의 접두사 되기로 나누고, 고유어의 접두사 되기는 다시 체언의 접두사 되기, 용언의 접두사 되기, 수식언의 접두사 되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는 우리말 실사가 접두사로 되는 과정과 더불어 각 유형의 특성을 살펴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processes through which the substantive of Korean language is changed into prefix with a grammatical function. The study regarded becoming a prefix as the sub-concept of grammatization.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standards, list preparation and typical classification of prefix. There were few considerations about the formation of the part of speech. Many existing prefixes are the outcome of the grammatization of full morphemes into grammatical ones. This is supported by many studied cases, even though many of the prefixes now have no original form or flexibility. Steps towards becoming a prefix were divided here into lexical independence, lexical combination and grammatical combination. Also, it was assumed that the lexical or grammatical combination of independent word is necessary for change from substantive to affix. Two main types of becoming a prefix are becoming the prefix of native tong and that of Chinese word. Out of the twos, the former was reclassified here into changes of uninflected word, declinable word and modifier into prefixes. In addition, the researcher examined developments of such processes of becoming an affix in accordance with the times. Furthermore, the researcher prepared a figure in which the developments were totally illustrated. Notably, it was found that uninflected word didn't show its transformation when becoming a prefix. In Korean language of the medieval times, some uninflected words that were lexically independent and at the same time consisted of 2 syllables or more were sometimes abbreviated. However, such abbreviation does not seem a sort of inflection which is found in lexical or grammatical combination towards becoming a prefix. Thus most of prefixes which are derived from uninflected words of modern Korean language are still used as prefixes themselves or substantives without being transformed. Such becoming a prefix with no transformation is probably because of original features of uninflected word itself. It is also notable that when changing into prefix, uninflected word showed many changes in meaning. For this reason, in some cases, it is very difficult to analogize the meaning of substantive as an etymological word. If uninflected word and prefix are same in form, they all have an abstract meaning with metaphorical thought based. Some prefixes that obtained an abstract meaning very different than uninflected word combine subsequent word bases within a very limited range. Prefixes from declinable words are even more in number than those from uninflected words. Declinable words became prefixes through various ways of inflection. For the change of declinable word into prefix, some word stems were directly changed into prefixes, but in most cases, inflectional forms were done so. Most of the prefixes were derived from unconjugated adjectives with '-eun' attached or from adverbs with '-a/eo'. Among modifiers, unconjugated adjectives became prefixes even more than adverbs. The trend that in Korean language, Chinese words are used as if they are our native words is also found in becoming a prefix. Considering that the prefix of native tongue was the outcome of change in the meaning of substantive or any other reason, the prefix of Chinese word can be also thought to have resulted from the transformation of a relevant morpheme into prefix. From a dictionary, in relation, the researcher drew out some Chinese prefixes that met standards predetermined here, showing that those prefixes were made in same way as in prefixes of native tongue. Due to their apparent characteristics, some Chinese words became prefixes with no transformation. Rarely they were transformed into native words, for example, 'heot-'. Because of implicative and apparent characteristics of Chinese words, it seems difficult to discuss Chinese prefixes and native words together. According to standards for change of native tongue into prefix, however, the researcher selected 7 Chinese prefixes and examined their forms of the medieval,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The prefix of Chinese word has many different meanings like that of native tongue. Especially, 7 particular Chinese prefixes appear to have been fully established because they are easily combined with Korean language words.

      • 러시아어 상쌍의 접두사 변이와 문법프로필

        이정민 성균관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러시아어의 완료상화 접두사가 단지 기본 동사에 완료상 특질만 부여하는 문법적 기제에 불과하다는, 이른 바, ‘텅 빈 접두사’ 가설을 통계적 방법을 통해 반박하고자 한다. ‘문법프로필’은 코퍼스에서 나타나는 단어의 어형 변화 형의 상대 도수 분포를 가리키는 용어로서 형태론 연구에 통계적 해석을 더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양가적 접두사 변이, 즉 한 기본동사가 두 개의 상이한 완료상화 접두사를 통한 파생을 통하여 두 개의 상 쌍을 이루게 되는 문법적 현상을 다루기로 한다. 이를 위해 양가적 접두사 변이를 보이는 동사들의 문법프로필을 수집했다. 도출된 문법프로필을 통계적 도구로는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50쌍의 동사 중 49쌍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완료상을 파생시키는 접두사에 따라 동사의 분포 혹은 행동양식(behavioral pattern)이 달라진다는 통계적 사실은 해당 접두사가 순수하게 문법적 역할만을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결론을 시사한다. 또한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접두사가 선호하는 문법프로필이 있다는 점을 밝히고 완료상화 접두사 по-의 특이성에 대해 의미론적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 학교문법에 기초한 접두사 범주 재설정과 교육방안 모색 : 고유어 접두사와 동형어를 중심으로

        박혜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접두사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학교문법을 중심으로 접두사의 범주를 재설정하고 교육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과서에서 정한 접두사의 기준과 그 특성을 분석해보고, 어근과 접두사의 구분 문제점을 지적했다. 해결 방안으로 <표준국어대사전>을 참고하여 동형 어근을 제외함으로써 접두사 목록과 접두사 범주를 재설정하였다. 2장에서는 접두사 중 고유어 접두사에 한정하여 학교문법의 접두사 기준을 확인한다. 기준에 의한 접두사 특성을 살펴보고, ‘헛’을 통해 교과서 기준의 문제점을 알아본다. 3장은 그 문제점을 해결할 방안을 의미에 유사성이 있는 어근 동형어와 의존형태소와 결합하는 접두사를 고찰하면서 논의하였다. 사전 접두사목록을 확인하여 어근 동형어 형태와 접두사의 의미를 비교한 후 유사성이 확인되면 접두사 목록에서 제외하여 어근으로 설정하였다. 또, 접두사가 의존형태소인 조사·의존명사·접사와 결합하는 경우를 통해 접두사는 어휘적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보였다. 4장은 접두사 범주 재설정에 따른 교육방안을 모색하였다. 기존의 어근 · 의미 중심에서 접사 · 기능중심으로 바꾸어 교육체제를 재구성하였다.

      • 국어의 지배적 접두사 연구

        임종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어의 지배적 접두사 연구 A Study on Governing Prefix in Korean 국어국문학과 임 종 주 지 도 교 수 엄 정 호 본고는 ‘한국어에서 지배적 접두사는 존재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나름대로 그 해답을 찾기 위한 시도였다. 그래서 그 방법으로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제시하고 있는 고유어 접두사 목록을 정리하고, 그중에서도 동사파생접두사와 형용사파생접두사를 재정리하여 이들이 어기와 결합할 때 어기의 문법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지배적 접두사로 의심되는 요소로 ‘데-, 맞-, 비-’를 찾을 수 있었다. 이들을 ‘비자립성, 이동불가능성, 생략 불가능성, 보조사 결합불가능성, 의미의 독자성’의 기준을 적용하여 ‘데-, 맞-, 비-’가 접두사의 자격을 가지는지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데-, 맞-, 비-’가 어기와 결합했을 때, 어기에 어떠한 문법적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각각의 예를 들어 살펴보았다. 결국 본고는 접두사는 접미사와 달리 한정적 기능만을 취한다는 기존의 논의에 의문을 제기하고, 접두사 역시 지배적 접사로의 역할을 하는 예들이 존재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예들이 더 많은 자료에 의해서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과 한자어 접두사를 기능에 따라 분류하지 않았다는 점, 그리고 접사에 대한 총체적이고 통합적인 이론의 연구보다는 협소한 부분이라 할 수 있는 지배적 접두사에 대해서만 논의를 전개시켜 나간 것은 큰 아쉬움으로 남는다. 주요어: 접두사, 지배적 접두사, 접두파생법, 비자립성, 이동불가능성, 생략 불가능성, 보조사 결합불가능성, 의미의 독자성

      • 한국어 한자어 접두사와 중국어 접두사의 비교 연구

        희상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6

        한국과 중국은 지리적으로 같은 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문화적으로 비슷하기 때문에 양국의 관계가 더욱 긴밀해지면서 서로의 언어와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가고 있다. 더욱이 한국어와 중국어 언어자체가 가지는 부분, 또는 문법상 구조의 차이로 인해 학습자들이 학습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가 서로 다른 언어 계통에 속하므로 본고의 3장과 4장에는 한국어 한자어 접두사와 중국어 접두사의 설정 기준 및 특징을 간략히 소개하고 한·중 양국의 접두사 목록을 제시하려고 한다. 목록을 통해서 5장에는 한국어에서만 사용하는 한자어 접두사와 중국어에서만 사용하는 접두사를 찾아서 자세하게 분석하고 연구하려고 한다. 그리고 같은 한자인데 사용 여부 및 의미의 같고 다름의 차원에서 접두사를 비교하려고 한다. 한·중 접두사를 비교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한국어 한자어 접두사가 갖는 의미는 원래 한자어의 의미와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는 반면에 중국어 접두사는 원래 한자어가 갖는 의미를 안 갖는 경우도 있다는 점이다. 둘째, 한국어 한자어 접두사의 후행 어근은 거의 다 명사이다. 그 명사가 접미사 '~ 하다'와 결합하는 경우에 따라서 보통명사, 동작명사와 상태명사로 구분된다. 중국어 접두사의 후행 어근은 품사가 명사, 형용사, 동사, 구별사 등으로 다양하다. 또한, 한국어 한자어 접두사의 후행 어근은 대부분 단일어이지만 접미사'~적(的)', '~화(化)', '~국(國)', '~가(家)' 등과 결합하여 파생어를 구성한다. 중국어의 경우는 접두사의 후행 어근이 단일어도 있고 복합어도 있다. 셋째, 한국어 한자어 접두사는 대부분이 품사를 변화시킬 수 없다. 그러나 품사에 변화를 주는 경우도 있다. 한국어에서 어기 범주의 변화를 일으키는 한자어 접두사는 서술성 파생접두사, 부정 파생접두사와 자동사 파생접두사 세 가지가 있다. 중국어 접두사의 경우 전형적인 접두사는 대다수가 품사를 한정 변화시킨다. 어떤 준접두사들은 여러 품사로 단어를 전환시키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한자어 접두사와 중국어 접두사에 대한 비교 내용을 종합하고 요약하여 학습자에 대한 유익한 도움이 되기 바란다. The targets of this thesis were the Sino-Korean prefixes included in the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and a comparative study of prefixes in Chinese. Sino-Korean prefixes have uniqu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at the same time being a part of the system of the Korean vocabulary. As time goes on, a full-scale research on the process of the change related to the Sino-Korean prefix characteristics is needed. As the time passed by, not only a new vocabulary appeared, but also pre-existing lexical meaning and forms also continuously changed in Chinese. The standards and features of the Sino-Korean prefixes in Korean and the prefixes in Chinese were briefly introduced and a list of the prefixes of these two languages was presented. I carefully mad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ignificance of prefix, post positioned stem and function. First, what is the most significant, the meaning of the Sino-Korean prefixes have some relations with the original meaning of its Chinese character. 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prefixes in Chinese do not have a original meaning of this Chinese character. Second, in post positioned stem aspect, this thesis inspected the lexical category and lexical composition of post positioned prefix in Korean and Chinese. The lexical categories in most cases of post positioned prefix in Korean are nouns. For example, the suffix '-is', is a noun divided into common noun, action noun, and state noun. The lexical categories of post positioned prefix in Chinese are nouns, adjectives, verbs etc. However, for the Chinese lexical composition, post positioned prefix is not only a simple word but also a compound word. Third, the function aspect was being analyzed on a base of post positioned stem's lexical category, I investigated the function of category in Korean and Chinese, that to verify if the function of a lexical category had changed. Most of the Sino-Korean prefixes cannot change the function of lexical category. However, there are some of Sino-Korean prefixes that can change the function of lexical category which included description of derived prefix, negative derived prefix and intransitive derived prefix. For Chinese, in a typical case, a prefix changes the function of lexical category limitedly. And prefixoid can change the function of lexical categor.

      • 한국어와 말레이어 접두사 대조 연구

        허훼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말레이어 접두사를 대상으로 형태적, 기능적, 의미적 특성의 전반적인 면에 대해 대조 분석을 진행하였다. 두 나라의 접두사를 비교하기 위에 각국 접사의 체계적인 이해부터 시작해야 했으며 이어 접두사의 개념 및 특성을 살펴봤다. 제1장에서는 연구목적과 연구방법을 소개하고 선행 연구에 대해서도 검토해 보았다. 한국어의 경우는 접두사에 대해서 여러 측면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그 연구의 성과가 후행 연구자들의 논의에서 자세히 논의되었다. 반면에, 말레이어의 접두사에 대해서는 주로 의미적 분석의 측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형태적과 기능적 측면은 아직 의미적 측면에서의 연구만큼의 깊이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더구나, 말레이어 접두사의 전반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국어와 말레이어의 대조 연구를 통해 이전에 미흡했던 점을 보완하고자 했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의 접사 체계를 간략하게 소개하였으며 고유어 접두사와 한자어 접두사를 나누어 살펴보았다. 국립국어연구원 편 『표준국어대사전』(2008)에 수록된 고유어와 한자어 접두사들의 목록을 제시했는데, 그들을 바탕으로 하여 고유어의 경우 명사와 동사, 형용사 파생 접두사로 나누어서 그 전반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한자어 접두사의 경우는 그 기능적 특성을 기존의 접두사 설정 기준과 함께 논의하고 살펴보았다. 한국어 고유어 접두사와 대부분의 한자어 접두사는 어근에 붙어 어근에 의미를 더하는 단순한 기능만 하지만 일부 한자어 접두사의 경우, 예를 들어, 부정 한자어 접두사를 어근에 부여할 때 문장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나타나 고유어 접두사와는 다른 특성을 지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들의 특성은 접미사의 특성과 간략히 비교되는데, 4장의 마지막 부분에서 다시 말레이어 접두사와 한국어의 접미사가 가지는 특성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를 설명하였다. 제3장에서는 말레이어 접사 체계를 간략히 소개하고 접두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말레이어 접두사의 설정의 기준은 한국어와 달리 일관성을 보이지만 어근과의 결합으로 나타나는 기능은 학자에 따라 다소 이견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 말레이어 표준문법서『Tatabahasa Dewan』에 수록된 고유어 접두사와 외래어 접두사들의 목록을 제시하였다. 한국어 고유어 접두사와 달리 말레이어의 고유어 접두사는 종류별로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지니기 때문에 접두사 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명사 파생 접두사는 한정적 기능뿐만 아니라 지배적 기능을 겸한다. 형용사 파생 접두사는 단순히 한정적 기능만 가진다. 그러나 동사 파생 접두사는 한정적 기능과 지배적 기능을 겸 할뿐만 아니라 파생 범주를 넘어서 굴곡 범주에 해당하는 기능까지 가진다. 따라서 동사 종류에 따라 부여되는 접두사들이 파생의 기능인지 굴곡의 기능인지 재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접두사 meN-과 접두사 beR-은 여전히 굴곡 범주로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고유어 접두사 teR-의 경우 타동사와 결합하여 문장에서 사용될 때 능동과 피동의 기능을 가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자체로서 능동과 피동의 기능과는 관계없이, 단순히 양태적 의미로 어근의 의미에 영향을 주는 파생 접두사인 점을 밝혀내었다. 또한, 피동문을 나타내기 위해 붙이는 접두사 di-의 경우 굴곡 접두사로 볼만한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동사와의 결합에서 분포상 제약을 받고 동사가 타동사이더라도 주어가 일ㆍ이인칭인 타동사문을 피동문으로 바꿀 때 접두사 di-는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접두사 di-는 파생으로 다루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그에 반해, 외래어 접두사는 고유어 접두사보다 기능적과 의미적으로 훨씬 단순하기 때문에 간략히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한국어와 말레이어 접두사를 대조하기 위해서 접두사의 형태적, 기능적, 의미적 전반적인 특성을 대조 분석해 보았다. 양 언어는 공통적으로 교착어의 성격을 가지는 언어로서 접사의 발달을 주요 특성으로 하나, 두 언어의 접두사의 비교에서 공통점보다 차이점이 훨씬 많이 보인다. 형태적 대조 분석에서, 양 언어 접두사와 어근 사이에 다른 말이 끼어들 수 없다. 또한 접두사와 결합하는 어근은 대부분 자립 형태소이지만 의존 형태소와도 결합할 수 있다는 공통 특성을 가진다. 형태적 차이점도 비교하였는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접두사와 다른 범주에 속하는 부류 사이에 유사한 형태가 많이 보이지만 말레이어 접두사와 유사한 형태는 다른 범주에서 보이지 않는다. 둘째, 한국어 접두사는 명사, 동사, 형용사와 결합할 수 있는 반면에, 말레이어의 경우 고유어 접두사는 명사, 동사, 형용사 그리고 문법 기능을 하는 기능사와 결합할 수 있으며 외래어 접두사는 명사와 형용사만 결합할 수 있다. 셋째, 한국어 접두사는 어근을 한번만 파생시킬 수 있지만 말레이어 접두사는 어근을 두 번 이어서 파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품사도 2번 바꿀 수 있다. 넷째, 한국어의 경우는 고유어와 한자어 접두사에서 음운 변이가 일어나지만 변이형태가 규칙적이지 않는 반면에, 말레이어의 경우는 고유어 접두사에서만 음운 변이가 일어나고 변이형태가 규칙적이다. 다섯째, 한국어 접두사는 오직 하나의 이형태만 가지지만 말레이어 접두사는 여러 개의 이형태를 가진다. 한국어에 없는 이중 접두사가 말레이어에는 두 개나 있으며 그것은 사동의 뜻을 표현하는 접두사이다. 다음에 양 언어 접두사의 기능적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국어의 경우 고유어 접두사는 어근에 붙어서 어근의 의미를 더하는 한정적 기능만을 가지는데, 한자어 접두사는 대부분 한정적 기능을 가지지만 부정 한자어 접두사를 어근에 붙이면 문장구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배적 기능을 가지는 양상도 보인다. 한편, 말레이어 접두사의 기능적 측면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로, 모든 형용사 파생 접두사와 동사 파생 접두사 teR-은 외래어 접두사처럼 어근에 붙어서 어근의 의미를 더하는 한정적 기능만 가지지만, 접두사 teR-을 제외한 동사 파생 접두사들은 지배적 기능만 가지고, 명사 파생 접두사는 한정적 기능과 지배적 기능을 모두 가진다. 쉽게 말하면, 고유어 접두사는 한정적 기능과 지배적 기능을 가지지만 말레이어 외래어 접두사는 한정적 기능만 가진다. 따라서 한국어 고유어 접두사와 말레이어 외래어 접두사, 한국어 한자어 접두사와 말레이어 고유어 접두사의 기능이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말레이어 고유어 접두사는 여러 품사인 어근과 결합해서 해당 품사를 바꿀 능력이 있는 반면에 한국어 접두사는 그러한 능력이 없다는 점은 말레이어 접두사의 기능적 특성을 잘 보여준다. 이어서 양 언어 접두사를 의미적으로 대조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어와 말레이어는 공통적으로 고유어 접두사가 외래어 접두사에 비해 의미가 더 추상적이다. 파생되더라도 품사가 바뀌지 않는 특성은 양 언어에서 같지만 말레이어의 경우는 파생된 뒤에 지시대상이 달라진 것이 한국어와 다르다. 양 언어의 또 다른 하나의 의미적 차이점은 말레이어 고유어 접두사의 의미는 예측할 수 없을 정도 추상적이지만 일부의 접두사가 어근과 결합할 때 다른 요소로 쉽게 대치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 접두사의 경우 고유어든 한자어든 그 의미가 구체적이든 추상적이든 다른 요소로 거의 대치될 수 없다. 화자의 심리적 태도를 표현하는 파생 접두사는 한국어 파생 접두사 중에서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접두사와 어근이 결합된 파생어가 어근과 전혀 관계없는 의미를 갖게 되는 점 역시 말레이어 접두사의 의미적 특성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살펴본 결과, 말레이어 접두사는 한국어 접미사와 비슷한 기능 특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말레이어 접두사가 품사 결정 능력이 있고 지배적 기능과 한정적 기능을 모두 가지는 특성은 한국어 접미사와 비슷하다. 말레이어 피동과 사동의 표지는 접두사에 의해 나타나며 한국어 피동과 사동의 표지는 접미사에 의해 나타난다. 이러한 말레이어 접두사한국어국어 접미사의 공통점은 언어 유형론적인 측면에서 나타나는 일반성을 설명할 수 있다. 언어의 기본어순에서 동사가 가운데 나타나는 유형(SVO, OVS)이면 접두사가 더 많t많t용되며, 반면에 동사가 뒤에 나타나는 유형(SOV)이면 접미사가 더 많t많t용된다어국어시 말해, 한국어의 접미사와 말레이어의 접두사의 기능과, 각 언어에서 접두사와 접미사의 비율 등은 각각 기능과 수량 면에서 유형론적으로 나타나는 일반적인 패턴에 부합하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한국어와 말레이어 접두사의 특성을 살펴보면서 양 언어 형태적ㆍ기능적ㆍ의미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대조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대조연구를 통해 한국어와 말레이어의 접사에 대한 이해를 보완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아울러 이 연구가 서로 상대 언어를 배우는 학습자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그러나 접두사에 대한 이해만 가지고 복잡한 말레이어 접사 체계를 전부 이해할 수 있다고 할 수 없다. 이러한 점에서 아쉬움이 있지만 앞으로 말레이어에 관한 연구 과제로서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라고 생각한다. The Korean and Malay belong to the agglutinative languages. Thus these languages originated from different family of languages and therefore both languages are relatively difficult to learn for their respective learners when learning other languages. in particular, in learning Malay, affixes should not be omitted is the most essential part of the challenges because an affix attached to the root words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tructure of sentences. Malay is much more complicated than Korean in sense of functional prefixes. In order to identify those characteristics require a systematic obser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Malay prefix with a fully consideration on the morphological, semantic and the functional attributes. Through contrast analysis, the non-existence characteristics in both languages are presented with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at found. In Chapter 2 this thesis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sis of prefix setting in Korean. The characteristics of Native form prefixes and loan form prefixes (Chinese borrowed prefixes) and their difference nature were e wcussed. The fundamental philosophy of the loan form prefixes, and its considerable amount eominating in Korean were e wcussed separately. In addition, The Korean prefixes are e fferent in the setting basis according to the scholars. Therefore, this research began with study contrasts and briefly compare both Korean and Malay prefixes based on the contained list of Korean prefixes from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In Chapter 3 attempt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alay prefixes. Native form prefixes with it various kinds of characteristics are able to determine the categories part of speech. The categories prefix divided into noun derivative prefix, Verb derivative prefix and Adjective derivative prefix were discussed separately. Verb derivative prefix is the most complicated part which has restricted distribution when attached to a root word without affecting the meaning of the root word. Therefore, a Reappraisal of the verb derivative prefix whether it is belongs to derivational category or else inflectional category is needed. As a result, teR-prefix has been recognized as a prefix that affects the original meaning of the root word when attached to the verb stem. Although di-passive prefix changes a sentence structure, however, the restrictions by subject of person pronouns been seen in the sentence and there are some restriction when combined with verb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y that di- prefix can be treated as an inflective category rather than derivative category. The functional simplicity was seen by an overview of Foreign Origin prefix. In Chapter 4 in order to examine the contrasts between the Korean and Malay prefix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both languages were discussed.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Malay prefixes corresponding with each other have been explained. In addition, the inflective prefix which does not exist in Korean grammatical features and vice versa. In malay language grammatical features. the inflective prefix and derivative prefix need internal analysis but not external. Futhermore, unlike the Korean prefixes, Malay prefixes which have complex functional characteristics are similar to the Korean suffixes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language typology. This study mainly discussed on both language's prefixes. however, the affixes of Malay language are not being discussed overall. At least the analysis of these contrasts could be used as a basic guideline for both Korean and Malay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