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우리말 실사의 접두사 되기 연구 = (A)study on the conversion of Korean substantives into prefix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3299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접두사는 체언이나 용언의 앞에 붙어서 원 어근에 뜻을 더하는 역할을 하는 언어형식인데, 이러한 접두사의 기원은 자립형태소의 문법화 과정에서 시작된다. 그래서 국어의 접두사에는 어...

      접두사는 체언이나 용언의 앞에 붙어서 원 어근에 뜻을 더하는 역할을 하는 언어형식인데, 이러한 접두사의 기원은 자립형태소의 문법화 과정에서 시작된다. 그래서 국어의 접두사에는 어휘형태소에서 접두사 되기를 거쳐 접두사로 된 것이 대부분이다.
      접두사 되기란 어휘적으로 자립하여 쓰이던 실사들이 결합하여 합성어로 쓰이면서 합성어의 선행어기가 접두사로 변하는 것이다. 접두사 되기의 과정은 실사의 어휘적이고 구체적인 의미에서 의존적이고 추상적인 의미로 의미가 추상화되고 유추된 결과이다.
      이 연구는 중세국어, 근대국어 그리고 현대국어를 대상으로 하여 우리말 실사의 접두사 되기 과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접두사 되기의 과정에서 보여주는 단계를 어휘적 자립 단계, 어휘적 결합 단계, 형태적 결합 단계로 나누었다. 먼저 독립된 실사와 실사가 한 문장에서 각각 고유의미를 가지고 자립적으로 혹은 통어적으로 연결하여 쓰이는 어휘적 자립형을 이루는데 이를 어휘적 자립 단계로 본다.
      어휘적 자립단계를 보이던 실사끼리 앞뒤로 나란히 붙어 서로 결합을 하게 되는데 이 단계가 어휘적 결합 단계이고 이 단계에서는 합성어로 분류될 수 있다. 접두사 되기 과정이 이루어지려면 먼저 어휘적으로 결합하는 합성어의 단계를 거치게 되는 것이다. 선행어기와 후행어기는 각각 어휘적 의미를 지니며 자립적으로도 쓰인다.
      어휘적 결합단계에서 더욱 진전되어 앞의 실사가 의미의 추상화를 일으켜 독립적인 형태로 홀로 쓰이지는 못하지만 다른 어휘와 생산적으로 결합하게 되는 형태적 결합 단계에 이르는데 이러한 단계에 있으면 파생어로 묶여지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말 실사가 접두사로 되는 역사적인 과정을 밝히려는 것이므로, 접두사 되기의 과정을 그 유형별로 나누는 데 있어, 접두사 되기의 과정에서 실사가 결합된 합성어의 파생어 되기에 초점을 맞추어 접두사 되기의 유형을 먼저 고유어의 접두사 되기와 한자어의 접두사 되기로 나누고, 고유어의 접두사 되기는 다시 체언의 접두사 되기, 용언의 접두사 되기, 수식언의 접두사 되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는 우리말 실사가 접두사로 되는 과정과 더불어 각 유형의 특성을 살펴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processes through which the substantive of Korean language is changed into prefix with a grammatical function. The study regarded becoming a prefix as the sub-concept of grammatization. Previous studies have 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processes through which the substantive of Korean language is changed into prefix with a grammatical function. The study regarded becoming a prefix as the sub-concept of grammatization.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standards, list preparation and typical classification of prefix. There were few considerations about the formation of the part of speech.
      Many existing prefixes are the outcome of the grammatization of full morphemes into grammatical ones. This is supported by many studied cases, even though many of the prefixes now have no original form or flexibility.
      Steps towards becoming a prefix were divided here into lexical independence, lexical combination and grammatical combination. Also, it was assumed that the lexical or grammatical combination of independent word is necessary for change from substantive to affix.
      Two main types of becoming a prefix are becoming the prefix of native tong and that of Chinese word. Out of the twos, the former was reclassified here into changes of uninflected word, declinable word and modifier into prefixes. In addition, the researcher examined developments of such processes of becoming an affix in accordance with the times. Furthermore, the researcher prepared a figure in which the developments were totally illustrated.
      Notably, it was found that uninflected word didn't show its transformation when becoming a prefix. In Korean language of the medieval times, some uninflected words that were lexically independent and at the same time consisted of 2 syllables or more were sometimes abbreviated. However, such abbreviation does not seem a sort of inflection which is found in lexical or grammatical combination towards becoming a prefix. Thus most of prefixes which are derived from uninflected words of modern Korean language are still used as prefixes themselves or substantives without being transformed. Such becoming a prefix with no transformation is probably because of original features of uninflected word itself.
      It is also notable that when changing into prefix, uninflected word showed many changes in meaning. For this reason, in some cases, it is very difficult to analogize the meaning of substantive as an etymological word. If uninflected word and prefix are same in form, they all have an abstract meaning with metaphorical thought based.
      Some prefixes that obtained an abstract meaning very different than uninflected word combine subsequent word bases within a very limited range.
      Prefixes from declinable words are even more in number than those from uninflected words. Declinable words became prefixes through various ways of inflection. For the change of declinable word into prefix, some word stems were directly changed into prefixes, but in most cases, inflectional forms were done so. Most of the prefixes were derived from unconjugated adjectives with '-eun' attached or from adverbs with '-a/eo'.
      Among modifiers, unconjugated adjectives became prefixes even more than adverbs.
      The trend that in Korean language, Chinese words are used as if they are our native words is also found in becoming a prefix. Considering that the prefix of native tongue was the outcome of change in the meaning of substantive or any other reason, the prefix of Chinese word can be also thought to have resulted from the transformation of a relevant morpheme into prefix. From a dictionary, in relation, the researcher drew out some Chinese prefixes that met standards predetermined here, showing that those prefixes were made in same way as in prefixes of native tongue.
      Due to their apparent characteristics, some Chinese words became prefixes with no transformation. Rarely they were transformed into native words, for example, 'heot-'. Because of implicative and apparent characteristics of Chinese words, it seems difficult to discuss Chinese prefixes and native words together. According to standards for change of native tongue into prefix, however, the researcher selected 7 Chinese prefixes and examined their forms of the medieval,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The prefix of Chinese word has many different meanings like that of native tongue. Especially, 7 particular Chinese prefixes appear to have been fully established because they are easily combined with Korean language wor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머리말 = 1
      • 1. 연구 목적 =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 3
      • 3. 앞선 연구 = 4
      • 목차
      • Ⅰ. 머리말 = 1
      • 1. 연구 목적 =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 3
      • 3. 앞선 연구 = 4
      • Ⅱ. 접두사 되기의 개념과 기준 = 9
      • 1. 접두사 되기의 개념 = 9
      • 가. 접두사 되기와 문법화 = 9
      • 나. 접두사 되기와 문법화와의 관계 = 12
      • 2. 접두사 되기의 기준 = 13
      • 가. 접두사 설정 기준 검토 = 13
      • 나. 접두사 설정 기준의 분류 = 24
      • Ⅲ. 접두사 되기의 단계와 유형 = 29
      • 1. 접두사 되기 단계 = 29
      • 가. 어휘적 자립 단계 = 29
      • 나. 어휘적 결합 단계 = 30
      • 다. 형태적 결합 단계 = 31
      • 2. 접두사 되기의 유형 = 32
      • Ⅳ. 접두사 되기의 과정 = 34
      • 1. 고유어의 접두사 되기 = 34
      • 가. 체언의 접두사 되기 = 34
      • 나. 용언의 접두사 되기 = 69
      • (1) 용언의 접두사 되기 유형 = 69
      • (2) 용언의 접두사 되기 과정 = 69
      • 다. 수식언의 접두사 되기 = 110
      • (1) 관형사의 접두사 되기 = 112
      • (2) 부사의 접두사 되기 = 115
      • 2. 한자어의 접두사 되기 = 131
      • 가. 한자어 접두사의 특징 = 131
      • 나. 한자어 접두사 되기 유형 = 138
      • 다. 한자어의 접두사 되기 과정 = 139
      • (1) 한자어 그대로 접두사 되기 = 139
      • (2) 고유어화 한 접두사 되기 = 143
      • 라. 한자어의 접두사 되기 특성 및 진전표 = 144
      • Ⅴ. 맺음말 = 146
      • 자료 문헌과 줄인 이름 = 152
      • 참고문헌 = 156
      • ABSTRACT = 1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