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제접근방법에 의한 수업이 유아의 개념형성 및 언어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하순련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주제접근 방법이 유아의 개념형성 및 언어이해력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주제접근 방법이 유아의 개념형성에 미치는 효과와 언어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시 소재 K 유치원 취학반 유아 6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수업방법은 주제접근 방법과 전통적 단원중심 접근법을 적용시켰으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서는 중다공변량분석과 이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접근 방법의 수업을 받은 유아의 개념형성 수준이 전통적 접근방법의 수업을 받은 유아의 개념형성 수준보다 더 높다. 하위 수준별로는, 도형 개념에서는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수개념과 색깔 개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즉, 개념형성 수준 전체 및 그 하위 수준 중 수개념과 색깔개념에서 주제접근 방법에 의한 수업을 받은 집단이 전통적 접근방법에 의한 수업을 받은 집단보다 그 수준이 더 높다. 그러므로 유아의 개념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주제접근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주제접근 방법의 수업을 받은 유아의 언어이해력 수준이 전통적 접근방법의 수업을 받은 유아의 언어이해력 수준보다 더 높다. 주제접근 방법이 언어이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결론은 하위 수준별로는 청각적 이해와 그림이해에서는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일반 상식과 이야기 이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즉, 언어이해력 전체 및 하위수준 중 일반 상식과 이야기 이해에서 주제접근 방법에 의한 수업을 받은 집단이 전통적 접근방법에 의한 수업을 받은 집단보다 그 수준이 더 높다. 따라서 유아의 언어 이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주제접근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주제접근 방법 및 전통적 접근방법에 의한 수업이 유아의 개념형성에 미치는 효과는 유아의 지적능력 수준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다. 즉, 주제접근 방법은 모든 지적능력 수준의 유아 개념형성에 유용한 수업방안에 될 수 있다. 넷째, 주제접근 방법 및 전통적 접근방법에 의한 수업이 유아의 언어이해력에 미치는 효과는 유아의 지적능력 수준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다. 즉, 주제접근 방법은 모든 지적능력 수준의 유아 언어 이해력 향상을 위해 유용한 수업방안이 될 수 있다.

      • 리스크접근 방법의 ISO 9001(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이 품질성과 개선에 미치는 실증적 연구

        김건훈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이 품질 성과 개선에 미치는 효과는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구체적인 인증 전, 후의 정성적 및 정량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미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의 인증이 품질 성과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모형을 설계하기 위하여󰡒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전, 후에 있어 품질 성과는 개선 될 것이다󰡓라고 가정하였다. 연구 모형으로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전, 후의 중소 제조업체의 품질 성과 개선을 평가하기 위하여 리스크 관리 기반의 품질 마인드 변화, 성과지표를 활용한 리스크 관리 기반의 품질경영시스템 운영 상태, 예방조치 중심의 품질 문제 해결 능력, 지속적 개선 활동을 통한 품질 향상 상태, 매출액 대비 품질 외부 실패 비용 등 총 5개 평가 항목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이 중소 제조업체의 품질 성과 개선에 미친 영향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중소 제조업체의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도입 동기 및 목적에 대하여 설문 조사 결과로는 “조직의 내부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도입하게 되었다󰡓가 제일 높았으며, “품질 리스크 개선을 위하여 도입하게 되었다”가 두 번째로 높게 평가되었다. 특히 기업의 외적 요인인 “영업 실적 개선”보다 내적 요인인 “품질 리스크 개선이나 기업 체질 개선“의 목적으로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을 평가하는 인증기관 심사 서비스 만족도 조사 결과 각 항목별로 대체로 만족하고 있다. 이는 전문 지식과 기본 소양을 갖춘 심사원이 중소 제조업체의 리스크 개선을 위한 심사를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다수 인증 기업들은 차기 심사에도 금번 심사원들이 지속적으로 심사를 진행하기를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인증기관의 행정 서비스 만족도 분석 결과 모든 항목에 대하여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으며 특히 인증 심사 공문 통보 시기 적절성 및 질의 사항 응답도 등은 양호하나 상대적으로 인증기관 직원의 친절도 및 업무 신속성은 낮게 평가됨에 따라 향후 친절성 제고 및 행정 업무 신속도 향상을 위한 내부 직원의 교육 훈련이 필요하다. 셋째,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통한 품질 개선 성과의 정성적 변화를 5점 리커트 척도로 분석한 결과리스크 관리 기반의 품질 마인드 변화 성과 지표( K.P.I : Key Performance Indicator)를 활용한 리스크 관리 기반의 품질경영시스템 운영 상태  예방 조치 중심의 품질 문제 해결 능력 지속적개선 활동을 통한 품질 향상 등 4가지 항목 모두 인증 전 대비 인증후는 개선됨에 따라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인증을통한 품질 개선 성과의 정성적 변화는 향상 될 것이다”라는 가설은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넷째,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이 중소 제조업체의 품질 성과 개선에 미치는 정량적인 변화를 살펴보면 인증 전, 후의 매출액 대비 품질 외부 실패 비용은 인증 전 1.26%에서 인증 후 0.50%로 60%감소됨에 따라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통한 품질 개선 성과의 정량적 변화는 향상될 것”이라는 가설은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 결과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전, 후에 있어 정성적 및 정량적 품질 성과는 모두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 行政學硏究에서의 接近方法에 대한 理解

        송영우 慶北大學校 行政大學院 1985 국내석사

        RANK : 248702

        This study begins with two problem statements as. follows: "What's the best kinds of approach in public administration?" and "What kinds of approaches can be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pproaches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to point out weakness of each approach. This study reviews textbooks of public administration published 1955 through 1984 in Korea. Content analysis as. a method of analysis for this study was adopted. In this study, various techniques of content analysis is not applied because of the various constraints. By this reason, the research is confined to comparison of contents of textbook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each approach has its own utility, relevance arid limits. Thirty-three kinds of approaches introduced in textbooks of public administration explain each side of complex administrative phenomena. Each approach, however, can not describe, explain and predict whole characteristics of public adminstration. Therefore, we may conclude that although contingency approaches are available, a comprehensive approach like 'The process of cumulative social science' can be developed.

      • 地區單位計劃의 接近方法에 관한 硏究 : 地區特性과 計劃의 對應關係를 中心으로

        이은식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박사

        RANK : 248702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지구단위계획의 지구특성에 따른 대응관계를 파악하여 문제점 및 원인을 밝혀내고 다양한 지구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의 지구단위계획구역 전체인 71개 구역의 현황자료와 계획자료에 대해 군집분석, 인자분석, 집단간 평균비교, 다차원분석 등의 통계분석과 실증분석을 본 연구의 의의는 지금까지 비판되어 온 "지구단위계획이 지구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를 한국에서 가장 많은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한 서울시의 전체 구역 (71개구역)에 대해 실제적인 조사를 통해 지구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입증 하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지구특성에 대한 대응관계의 문제점 및 원인에 대해 계획을 주도한 9개 계획기관의 계획책임자와의 인터뷰조사 및 계획에 참여한 92명의 계획가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것이다. 연구과정에서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지구특성을 가장 잘 설명하는 특성요소는 시가지형태, 가로망형태, 대지형태 등의 형태적 특성과 시가지형성시기, 건물노후도 등의 역사적 특성요소들이다. 이는 서울시가 중심지 위계와 구역형태 등에 따라 계획방향을 정하고 있는 것과는 상치하는 결과이다. (3장) 둘째, 현행 지구단위계획의 계획특성을 가장 설명하는 특성 요소는 특별계획구역 지정 증대-최소대지규모 증대와 용적률 상승-인센티브 부여 증대라는 두가지 흐름이다. 결국 공간개조와 개발을 전제로 한 계획의도를 담고 있으며 이에 비해 환경개선 요소의 적용은 극히 미진한 실태이다. (4장) 셋째, 지구특성에 대한 계획의 대응관계는 기본적으로 명확하지 않다. 다만 구역의 지구특성 유형과 계획 유형간의 대응은 지구특성유형 모두가 개발유도형과 밀접하게 연결되어서 계획에서 지구특성을 반영하는 구조가 섬세하지 못하고 개발중심의 매우 단편적인 접근임을 보여주었다. (5장) 넷째, 지구특성에 대한 계획의 접근방법은 ①기능적 계획 전개 ②일반해적 목표추구 ③유형적 계획 방향 설정 ④형식적 계획요소 적용 ⑤소극적인 공공시설 확보로 요약할 수 있고 문제는 이와 같은 성향으로 계획의 접근방법이 편향되어 있다는 것이다.(5장) 다섯째, 이러한 대응관계의 문제점에 대한 원인은 ①계획요소 적용방법에 있어서 중심지위계-용도지역 업죠닝-개발밀도라는 흐름이 계획의 중점사항이 되어 개발과 공간개조 위주의 계획논리를 갖게되어 버렸다는 것 ②공공시설 확보에 있어서 민원과 자치구의 열악한 재정상태로 인해 적정량이나 적정위치를 확보하려는 노력을 포기하고 최소한의 양을 확보하려고 하는 계획의도를 가지게 됨 ③계획수립과정에서 계획기관의 관심과 노력이 심의 통과를 위한 행정절차에 더 비중을 두게 되어 있는 구조임 ④계획운영과정에서는 자치구, 서울시, 심의기관, 주민등 각 주체들이 자신들만의 입장에서 주장과 활동을 전개함으로 인하여 지구특성을 반영한 계획구상은 존립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5장) 마지막으로, 이러한 문제점과 원인들에 대한 실증적인 규명과정을 통해 개선방향을 모색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가장 주요한 토픽은 현행 지구단위 계획의 "지역별 접근전략'을 "주제별 접근전략“으로 전환하자는 것이다. 1980년대 도시설계가 건축분야를 중심으로 한 '대상지별 접근전략‘을, 그리고 1990년대 상세계획은 도시계획을 강조하는 '지역별 접근전략 '의 흐름으로 나아갔다. 이제 2000년대 두 가지 제도를 통합하는 지구단위계획의 새로운 접근방법은 지구특성을 반영한 "주제별 접근전략"으 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6장)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rresponding relations between the district characteristics and the current District Unit Plans, and to determine the problems and causes of such mismatches between the two. As such, the study is intended to propose improved methods that could properly reflect the various district characteristics in the Plans. For the purpose, the characteristics and their corresponding relations are analysed through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cluster analysis, factor analysis, mean comparison of groups, multidimensional analysis for the physical status quo data and the planning data of all the seventy-one zones under the District Unit Plans in Seoul. Until now, many informed experts have criticized that "the District Unit Plans do not adequately reflect the district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this study has proven that such a criticism is partially correct through actual surveys of Seoul, the city that manages the largest number of District Unit Plans in Korea. Also, the problems and causes of the corresponding relations between the district characteristics and the Plans are examined through the interviews of planning directors of the nine Planning Departments and ninety-two planners who actually participated in the Plan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 elements that best explain the district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District Unit Plan zones are mainly the figural ones such as the forms of the urban areas, the road networks, and the shapes of the sites.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 elements, on the other hand, are the formation period of the urban areas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buildings. These findings are contrary to the existing urban hierarchy of Seoul and the urban formation of those zones on which the Plans are decided (see Chapter 3). Second, it also has been found that there exist two main branches of the characteristic elements that best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District Unit Plans. Those are the increases of the Special Plan zone designation-especially, the increases of the minimum lot size and the floor area ratio-and also the increases of the attempts to induce the incentive grants. Although it does carry out the Plans' intent to provide the premises of spatial renovation and development, the application of such elements in an effort to enhance the urban environment is deemed to be completely unsatisfactory (see Chapter 4). Third, it has been shown that the corresponding relation of the Plans with district characteristics is basically unclear, The urban structures that reflect the district characteristics in the Plans are not finite since the characteristic types of the districts are all closely connected to the development-induction types and, furthermore, the Plans only provide a fragmentary approach that is mainly focused on the development (see Chapter 5). Fourth, the proper planning approaches reflecting the district characteristics can be summarized into; 1) the functional plan development; 2) the pursuit of a general goal; 3) the establishment of the categorical planning; 4) the application of the formal plan elements; and, 5) the conservative procurement of the public facilities (see Chapter 5). Fifth, the causes of such mismatches of the corresponding relations are that: 1) the hierarchies of the central Places, up-zoning, and the development densities have become the focal point of the Plans along with the development and spatial renovation; 2) the limited financial resources of the localities cause them to give up the proper efforts to secure the adequate quantities or the appropriate location of the public facilities and, consequently, the intent of the Plans ends up with only minimum required amounts of the facilities; 3) the interests and efforts of the planning departments place more weights on passing the administrative procedures of the review board in the course of establishing the Plans; 4) each of the interested party, i.e., the localities, Seoul City, the review board, and the residents, all persist their own points of view in the management process of the Plan, and, in doing so, usually tends to ignore the planning concepts that could reflect the district characteristics (see also Chapter 5). Finally, in an effort to find an improved planning approaches to overcom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the study proposes to convert the current planning strategy 'by districts' to the strategy 'by themes' in the District Unit Plan. In the 1980's, the Urban Design had a strategy 'by sites' focusing predominantly on the architectural details that, in the 1990's, turned into a Detailed Plan with a planning strategy 'by districts.' Now, in the new millenium, it is seen tnlly urgent that the District Unit Plan incorporating the former two systems must have a new planning strategy 'by themes' correctly reflecting the district characteristics (see Chapter 6). Key words : District Unit Plan, district characteristics, Plans' intent, planning approaches, corresponding relation contextual, strategy by themes

      • 개념적 접근방법을 적용한 국악감상 지도방안 연구 : 초등학교 3·4학년 중심으로

        최진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개념적 접근방법을 국악감상수업에 적용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흥미로운 수업을 설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3·4학년으로서, 먼저 2009 음악과 교육과정과 음악교과서를 분석하여 ‘장단’, ‘조’, ‘구성방식’, ‘음색’, ‘연주형태’의 다섯 가지 국악개념의 분류와 함께 이들 개념별로 두 곡씩 총 10개의 국악감상 제재곡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브루너의 표상이론과 이홍수의 개념형성단계를 접목한 수업모형에 따라 총 10차시의 수업지도안을 설계하였고, 이들 중 5차시의 수업지도안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또한 실제 수업과정에서 국악과 국악감상수업에 대한 흥미도검사와 국악개념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진행하여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개념적 접근방법을 적용한 국악감상 학습은 국악개념이해와 국악감상에 대한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은 수업과정에서 습득한 국악개념을 스스로 정리하고, 음악의 느낌을 감상문이나 그림그리기 등을 통해 정리하였다. 그 결과, 사후검사를 통해 국악과 국악감상에 대한 흥미도와 국악개념 이해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신체표현과 같은 다양한 활동과 연계하여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면서 보다 즐거운 감상수업이 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악감상수업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모형을 구안하여 구체적으로 국악감상 학습방법과 다양한 수업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class which is more effective & interesting, with the application of a conceptual approach. Third & four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while a total of 10 songs were selected from 5 classification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oncepts of "rhythmic patterns", "major", "composition patterns", "tone", and "performance type", with 2 songs for each concept after the analysis of a music text & music education course in 2009. Furthermore, a total of 10 batches of class guidance were designed according to the class model grafted from Bruner's mode of representation theory & from the formulation process found in professor Lee, Hong Soo’s concept, while 5 out of 10 batches of class guidance were implemented in the actual classes. The level of interest test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 its appreciation class was conducted in the actual class as well as a before & after test for the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As for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learn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with the application of a conceptual approach has shown the educational effects on the appreci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understanding of its concepts. Students established the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hich they obtained from the class on their own through reports & painting to describe their feelings of the music. Through a follow-up test, the level of interest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showed much progression.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lasses in relation to various activities such as bodily expression, suggesting that appreciation classes became more enjoyable for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n effective class model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designed and presented as a detailed study method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and including various materials for classes.

      • 프로세스 接近方法이 經營成果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 ISO 9001:2000 認證企業을 中心으로

        김동진 京畿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2

        시장 개방의 가속화와 함께 제품, 기준, 규격 및 환경에 대한 기준이 다양화되고, 지역과 기업의 환경에 따라 다양한 생산이 실시됨에 따라 효율적인 자원관리와 운영을 위하여 지속적인 표준화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ISO를 기준으로 생산되는 제품에 대한 세계적인 공인되고 표준화된 기준을 근거로 생산의 조정과 이에 따른 시스템을 재구성할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이에 87년부터 시작된 국제표준화 규격에 따른 문제점의 개선과 프로세스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2000년 12월 ISO 9001:2000 규격이 발표되기에 이르렀다. 특히 2000년판 규격은 고객중시, 최고경영자의 역할강화, 프로세스 접근방법의 도입, 지속적 개선 등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새로운 규격의 적용에 따른 품질경영시스템의 성공여부를 판가름하는 관건이 되고 있다. 하지만, 기업들에서 나타나는'문제점들은 인증체제가 문서화를 중심으로 진행되다보니, 근본적인 프로세의 개선은 그 실효성을 기대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지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증 제도를 추진함에 있어 기업들의 실질적인 효과성의 향상에 관한 분석과 ISO 인증시스템에 관한 현황을 분석하고자 함이다. ISO 9001:2000 인증시스템의 전환과 더불어 시장에서는 기업의 정보화처리 구축과 프로세스에 대한 정확한 분석 및 적용 그리고 고객정보의 다양한 수집과 활용을 통해 단순한 이익창출 중심의 고정된 생산중심의 경영방식에서 유연하고 민첩한 조직의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고객은 점차 다양해지고 새로운 이해관계자를 형성하여 고객의 의견을 다양하게 제시하고 그들의 권리를 최대한 요구하는 양상이다. 프로세스 접근방식에서 강조하는 것은 고객지향적 조직구조와 조직 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프로세스 중심의 조직을 기반으로 기업의 핵심역량 강화와 선택과 집중의 의사결정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세스 접근방법을 기반으로 기업의 경영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관한 실증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ISO 9001:2000 인증시스템의 전환과 더불어 실질적인 프로세스의 분석과 재배치를 기반으로 고객의 의견과 다양한 정보를 기반으로 시스템의 적극적인 개선과 변화를 요구받는 시기에서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ISO 9001:1994년판 인증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한 ISO 9001:2000 인증시스템을 통해 기업이 경영성과 향상에 도움을 받았는지에 관한 논제를 다루고자 하였으며, ISO 9001:2000에서 강조하는 프로세스 접근방법을 기반으로 품질경영시스템을 운영하면서 기대할 수 있는 기업의 경영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process approach for business performance of a company certified with ISO 9000:2000 quality management system.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QMS) encourages organizations to analysis customer requirement, define the processes that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a product which is acceptable to the customer. The research result are as follows. Documentation and an intelligence process appeared with a preference matter in an influence to reach to a business performance of a company through the organization which established a process approach. It reveals that the process approach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might affect positively for customer satisfaction, product quality, financial results and cost reduction.

      • 사회적기업의 문제해결 전략과 경제적 계획 실행의 관계 : 대표의 사회적 기업가정신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문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문제해결 전략을 인과적 접근방법(Causation)과 실현적 접근방법(Effectuation)으로 구분하고, 각 문제해결 전략이 경제적 계획 실행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수 사이에서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사회성과인센티브(SPC: Social Progress Credit)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회적기업 설문 데이터(N = 206개)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해결 방식인 인과적 접근방법과 실현적 접근방법은 각각 경제적 계획 실행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 차원의 실현적 접근방법과 경제적 계획 실행의 관계는 대표의 사회적 기업가정신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는 부(-)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대표의 사회적 기업가정신 수준이 높을 때보다 낮을 때 실현적 접근방식이 경제적 계획 실행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강했다. 사회적 기업가정신이 낮은 대표가 기업 차원의 실현적 접근방법을 잘 갖춘다면 경제적 계획 실행의 기울기가 급격하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표의 사회적 기업가정신이 높은 경우 실현적 접근방법이 낮아도 경제적 계획 실행에 미치는 영향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인과적 접근방법과 경제적 계획 실행의 관계에서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이 제한된 상황에서 적합한 문제해결 전략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경제적 계획 실행에 있어서 기업의 인과적 접근방법과 실현적 접근방법 그리고 기업가정신이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두 가지 문제해결 전략과 경제적 계획 실행의 관계에서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학술적으로 기여했다. This study divided the approaches for strategic decisions into the Causation approach and the Effectuation approach, and then analyzed the influence of each approach on the implementation of economic plan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entrepreneurship. I used data from the survey of the social enterprises that had participated in the Social Progress Credit (SPC) program.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both approaches - the Causation and the Effectuation - influe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economic plan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uation approach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economic plans was moderated by the CEO’s social entrepreneurship level. Specifically speaking, the moderating effect was negatively significant showing that the influence of the Effectuation approach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economic plans was stronger when the CEO’s social entrepreneurship level was low than when it was high. Thirdly, the CEO’s social entrepreneurship level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usation approach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economic plans.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the Causation approach, the Effectuation approach, and social entrepreneurship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factors in order that social enterprises can implement their economic plans more actively. Finally, this study academically contributed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conditional effect of the CEO’s social entrepreneu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strategic decision approaches and the implementation of economic plans.

      • 형식미학적 접근방법에 의한 환경디자인연구 : S. Kaplan & R. Kaplan Preference Model을 중심으로

        김나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2

        환경디자인에 있어서 미적 가치의 실현은 그것을 경험하는 인간에게 즐거움을 주는 궁극적 목적이 된다. 연구자는 환경디자인의 미학적 접근을 위하여 최근에 대두되는 환경미학의 실증적 이론을 수단으로 하여 환경의 미적 특성에 의한 즐거움을 줄 수 있는 디자인 모형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환경디자인의 미학적 접근 틀로서 미적 대상과 관심으로서 환경을 이해하기 위해 가치의 개념으로부터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인간행태 및 공간의 지각에 관한 정보 이론적 연구는 환경창조를 위한 물리적 공간의 구성에 직접적으로 응용 될 수 있는 이론적, 실험적 토대를 제공해 주었다. 인간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미적 대상으로 삼고, 환경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들보다는 인간과의 종합적인 관계를 다루어 보다 현실적인 문제해결에 중점을 두어 미적 경험과 반응을 살펴보았다. 경험미학에 있어 경험과학적 미학의 입장은 실증론적 접근을 토대로 귀납적으로 미의 원리, 특성, 법칙 등을 정립하려는 점에서 과학적·객관적 성질을 띤다. 따라서 선행연구에서 발견된 실증적 디자인 연구의 사변적이고 주관적 적용방안과 평가의 한계점을 형식미학적 접근방법의 구체적 모델을 통해 공간조직에 적용·평가 하고자 하였다. 디자인 연구를 위한 방법론으로서 형태주의적 접근은 형식미학에 있어서 자연·자연미의 가능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자연의 유기적 패턴 Organic Patterns in nature으로서 땅의 갈라진 형태 Fracture Pattern를 조형언어로 제시하고 카플란스의 선호모델 The Kaplan and Kaplan Preference Model의 개념을 운동에 따른 시점의 변화를 공간 탐색을 위한 자극정보로, 일관성 Coherence과 식별성 Legibility을 만족시키는 조형적 특성을 공간 이해를 위한 자극정보로서 디자인 모형사례에 적용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얻어진 형식미학적 개념적용 방안은 디자인 모형사례를 통해 물리적 환경으로 가시화되었다. 우리가 살고 있는 환경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에 따른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 삼청공원을 대상지로 하였다. 자연경관이 우수한 삼청공원의 경관경험을 지원하지 못하는 지금의 실정을 바탕으로 공원 내 광장과 전망공간을 디자인하였다. 그리고 공간의 에워쌈 Enclosure의 개념과 연속적 조망의 변화에 따른 환경지각을 중심으로 공간을 계획하였다. 연구결과의 객관적 평가를 위해 카플란스가 제시한 환경의 정보적 내용을 바탕으로 언어기술에 의한 측정방법을 사용하고 연구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외부환경의 휴게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을 디자인함에 있어서 자연에 내재된 패턴은 적절한 복잡성과 의외성, 신비성을 지니는 요소로서 자연의 유기적 형태에서 도출되는 조형언어가 디자인에 직접적으로 반영되어 공간의 형태로 적용되었을 때 단순성과 복잡성의 차원으로 형태적 가치 표현 할 수 있었다. 특히 카플란스의 환경선호모델은 공간의 조직·구조와 같은 물리적 장치를 계획하는데 기여하였고, 그것이 적용된 디자인사례연구는 개방적인 공간에 의한 식별성 Legibility, 다양한 공간형태에 의한 복잡성 Complexity, 호기심 Mystery을 끄는 요소로서 환경선호에 기여하였다. 연구자는 대상지가 지니는 환경의 물리적 가치를 바탕으로 삼청공원의 공간구성과 공간조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인간과 문화가 어우러지는 장소를 창출하고 그것이 갖게될 의의를 예측함으로써 문화창조로서의 환경디자인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는 디자인 방향에 잘 부합 할 수 있는 실제 대상지를 선정하고 이를 적용시킴으로서 연구의 타당성을 밝힐 수 있었다. 창조적인 환경디자인을 위하여 디자이너는 새로운 시도와 접근방법으로 끊임없는 노력을 해야 한다. 연구자가 제시한 자연의 유기적 패턴에 의한 조형언어와 환경선호에 의한 형식미학적 접근방법은 환경디자인을 통한 인간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한 새로운 시도로서 적용 방법의 개념과 기준,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Realization of aesthetic values in environmental design becomes an ultimate purpose of human beings to bring pleasure to themselves for experiences. Using positive theory of environmental aesthetics as a means, I suggest an environmental design case study to provide pleasure through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 for an aesthetic approach in environmental design. As a framework for the aesthetic approach in environmental design, I initiated my study from a concept of values for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as a subject to aesthetic object and interests. Based on that, the Information theoretic study in regard of human forms and space perception provides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foundation to be directly applied to formation of physical space for environmental creation. Selecting environment that surrounds human beings as a subject of aesthetics, I analyzed the synthetic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 and men, rather than each element that consists of environment. Furthermore, I examined aesthetic experiences and effects, focusing on more practical problem solving. In empirical aesthetics, empirical scientific aesthetics stands a scientific and objective viewpoint and based on positive approach, it inductively defines principle, characteristic, and law of beauty. Hence, through a more concrete model, I intended to evaluate and apply a speculative and subjective method and limited capability of evaluation of positive design study, found in the preceding study, through a formal aesthetic approach method. As methodology for design study, formal approach has been applied to formation and structure of space, and in formal aesthetics this is based on functionality of nature and natural aesthetics. In design case study, fracture patters are suggested to be formative language as formal values of organic patterns in nature. The concept of the Kaplan and Kaplan Preference Model is applied to the design case study as two stimulating information: for space exploration as a change in time based on exercise and for understanding formative features to satisfy coherence and legibility. A method applied to a formal aesthetic concept obtained from theoretical contemplation becomes realized to physical environment through design case study. For that reason, I have decided upon Sam-Chung Park as a subject of my study, because the park enables me to find a problem in environment that we live in and to seek a solution. I designed the plaza and observational space within the park to afford the extraordinary scenic experience of Sam-Chung Park. I also designed the space focusing on the concept of enclosure and environmental perception corresponding to constant changes in a scenic value. For the objective evaluation of my study, I used a method of measurement by linguistic abilities, based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that Kaplan suggested. Also, I examined validity of the research method. In designing exterior rest area, patterns immanent in nature are elements of a proper mixture of complexity, unexpectation, and mystery. When formative language, in organic forms more developed from the patterns, is directly reflected in design, it can be expressed as formal values in shapes of both simplicity and complexity. Especially, the Kaplans environmental preference model has contributed to planning of physical equipment as formation and structure of space. Consequently, the applied design case study has contributed to environmental preference as elements of discernment by open space, complexity and mystery by various forms of space. Based on the physical value of the subject, I examined the problem of structure and formation of space in Sam-Chung Park, and created a space, in which humankind harmonizes with culture. By predicting its significance, 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design as cultural creation. This enabled me to select a place that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of design and to clarify validity of my study. For creativity in environmental design, designers should pursue incessantly new methods and apply their ideas to designs. Formal Aesthetic approach method based on environmental preference and contrastive characteristics that I suggested, is attempted for the first time to improve quality of life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I would like to accentuate that they should be further studied through concepts and standards of application method and systematic processes.

      • 리머의 통합적 접근방법을 적용한 중학교 음악 감상교육 지도 방안 연구

        강승구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1

        이 연구는 리머의 통합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음악과 문학영역의 통합을 이루는 통합적 음악 감상교육 지도방안을 마련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통합교육과 음악 감상교육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 다음으로 통합적 음악 감상교육을 포함하는 통합적 음악교육의 필요성 및 유형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통합적 음악교육의 구체적인 교육방법을 제시한 이홍수, 프로세스, 리머의 통합적 접근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비교하였다. 리머의 통합적 접근방법과 현재 우리나라 음악교육의 연계를 위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볼 수 있는 통합적 음악교육의 내용과 리머의 통합적 접근방법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리머의 통합적 접근방법 중 역사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음악과 문학영역의 통합적 음악 감상교육을 위한 지도방안을 설계하고 그에 따른 구체적인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추가된 ‘음악교과와 타 영역과의 관련성’을 통해 최근 우리나라 음악교육에서 통합적 음악교육을 강조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슈베르트의 예술가곡 <마왕>을 제재곡으로 선정하고 리머의 통합적 접근방법 중 역사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였다. 셋째, 낭만주의 시대의 역사적, 시대적 배경을 파악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학습자료를 포함해서 수업지도안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주제어: 리머, 통합적접근방법, 역사적, 통합교육, 음악감상교육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teaching guidance for music appreciation integrated with literature by applying Reimer’s integrated approach. For this, the significance of integrated education and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was studied as theoretical background. Then, the necessity and types of integrated music education that includes integrated music appreciation were studied, and integrated approaches by Lee Hong-Soo, Process, and Reimer who suggested detailed teaching methods for integrated music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o connect Reimer’s integrated approach and the current music education of Korea, correlation between the integrated music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Reimer’s integrated approach was explored. Lastly, the teaching guide for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music appreciation and literature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historical approach in Reimer’s integrated approach, and detailed teaching plans were suggest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between music curriculum and other areas,’ which was added to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revealed that integrated music education had recently been emphasized in the Korean music education. Second, schubert’s artistic song <Der Erlkonig> was chosen as the song, and the historical approach of Reimer’s integrated approach was applied. Third, it is suggested a teaching plan including speciic and diverse learning material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and periodical background of Romanticism. key words: Reimer, Historic, Integr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