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통공예 전승과 활성화 정책에 관한 연구 : 국가무형문화재를 중심으로

        김상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오늘날 전통공예는 국가가 보호하지 않으면 소멸할 위기에 처해있다. 전통공예 쇠퇴의 원인은 공예가 단순히 오래됐다거나, 시대에 뒤떨어졌기 때문이라고 보기에는 다소 복잡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수공예식 제작 방법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했고, 계승을 기반으로 한 전승 방식 때문에 오늘날의 트렌드와는 동떨어지게 됐다. 또한, 초기 문화재 정책이 전통공예의 활성화보다는 전승·보전에만 급급했고, 결과적으로 시장성을 잃게 했다. 전통공예는 원래 지역에서 나는 토속 재료와 장인의 기술이 만나 만들어졌다. 제작방식 역시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으로 주문자의 주문에 따라 수공예로 만들어졌다. 지역의 생활환경을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같은 기물일지라도 어떤 지역에서 만들어졌느냐에 따라 생김새 차이가 났다. 비록 작은 차이처럼 보일지라도 이는 전통공예의 가장 큰 특성이다. 그런데 근대 이후 지역 장인에 머물던 기술자가 공예품 수요가 많은 수도권으로 이주하면서 공예 자체에 이상기류가 생겼다. 수도권으로 이주한 기술자에게는 더 이상 그동안 고수했던 지역의 특수성은 중요하지 않았다. 오히려 보편성을 앞세워 인기 있는 상품 제작에 주력했다. 제작에 필요한 기본재료 또한 물류의 발전에 따라 특정 산지를 고집하지 않아도 되었고, 더욱 많은 이윤을 남기기 위해 값싼 중국산 원료도 마다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공예는 원형의 특수성과 전통의 희소성을 잃어버린 동시에 시장성도 잃게 됐다. 애석하게도 이와 같은 변화는 전통공예의 보존을 위해 제정한 문화재보호법의 국가무형문화재제도가 시행된 이후에 더욱 두드러졌다. 기술을 보전하기에 앞서 기술자를 먼저 보호하려 했고, 기술자 중심의 제도는 사람이 이동하면 기술도 함께 이동하는 태생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결국에는 전통공예를 지키려고 만든 문화재보호법이 기술을 지키지 못하고, 사람만 지켰다. 다행히 정부는 문화재보호법 시행 반세기 만인 2016년 3월 28일, 그동안 기술자 보호 중심에서 오는 문제점을 보완해「무형문화재 보존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을 분리 제정하며 전통공예의 기술보전을 강화하려 했다. 변경된 정책 시행으로 무형문화재 전반에 큰 변화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가장 큰 변화는 원천적 기술·기능에 관해 원형(元型) 보존 중심에서 전형(典刑) 보존 중심으로 변경됐다는 점이다. 그렇다고 이 문제점이 해결됐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과연 현실사회에서 제대로 구현될지가 의문이다. 정책은 미래를 위해 기획된 현실의 대안책이자 보완책이다. 그만큼 절대적일 수 없는 것이 정책이다. 오늘날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이 현실을 이끄는 것이 아니라 번번이 발목을 잡는다는 소리를 한다. 삼권분립이 잘되지 않는 현실사회의 원론적인 문제로 볼 수도 있겠지만, 더 간단하게 생각해보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법안들이 만들어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하게 한다. 더 늦기 전에 전통공예 정책에도 체질개선이 필요하다. 체질개선을 위해서는 제대로 된 진단이 필요하다. 원인 자체가 한 가지가 아니었고, 시기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했다. 그러니 치료법이 되는 정책 역시 시기에 맞는 진단이 필요하며, 계속해서 보완해 나가야 하는 게 옳다고 판단된다. “전통공예는 장인에 의해 생겨났고, 지역과 함께 성장했었지만, 정책에 의해 지역성을 잃어가고 결국에는 원형마저 잃게 되며 쇠퇴했다. 전통공예는 장인의 기술만이 중요하다고 단정 지을 수 없을 만큼 지역의 특수성 또한 필수적 요소다. 거스르려고 해도 거스를 수 없는 공예의 원천적인 재료의 특성 역시 지역에서 나온다. 그렇기에 정부는 기술 장인만큼, 재료와 연관된 지역적 특수성도 함께 파악하고 사람 중심에서 지역융합중심으로 제도를 개선 시켜야 한다. 지역 활동에 근간을 두고 있는 지방무형문화재 제도와 다르게 지역이동 통제가 없는 국가무형문화재 제도는 전통공예의 지역적 특성을 잃게 만든 주요한 요인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한편에서는 기술의 통합과 현대인의 수요에 맞는 올바른 진화 현상이라는 시각도 있을 테지만, 사회가 원하는 무형문화재의 필요성과 특수성과는 맥락이 다르다. 사회가 무형문화재를 지정하고 물리적, 정신적 전승 활동에 지원하는 이유는 그들의 작업이 훌륭한 것을 둘째 치더라도, 오래된 문화를 후세에 전승시키려는 목표 때문임이 분명하다. 그만큼 전통만큼은 보수적으로 간직하고 싶어했다. 무형문화재와 목적이 다른 명장제도가 생겨난 것 역시 전통공예를 원형대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다. 중앙집권화에서 성장한 전통공예는 지방분권화 시대에 맞도록 이제라도 지역과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변혁돼야 한다. 정부주도의 전통공예 육성정책은 통합성과 추진력을 앞세워 짧은 시간 내에 전통문화를 국가적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했음은 인정한다. 반면 지정받지 못한 전통공예 기술 중 대다수가 사라져 버렸다. 전통공예는 대한민국 근대 역사와 닮았다. 만들어지는데 수 세기가 걸렸지만, 사라지는 데는 수년이 채 걸리지 않았다. 병은 발병하기 전에 유전학적 분석을 통해서 올바른 방법으로 생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예방의학은 이렇게 생겨났다. 발병하고 나서 치료하는 방식은 이제 구시대적 치료법이다. 이런 사전예방 치료 논리는 병리학에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통섭의 시대인 오늘날 전통공예에도 가장 필요한 치료법이라고 생각된다. 다만 지금까지 이야기했듯이 시기에 적절한 대응과 제안이 필요하다. 시대에 뒤떨어진 대안은 오히려 쇠퇴하는 속도를 빠르게 할 뿐이다. 고려시대 나전과 청자가 그랬듯이 전통은 원형 자체에 가치가 있음을 쉽게 잊어서는 안 된다.

      • 전통공예분야 문화산업정책의 대안 모색 : 융복합 정책을 중심으로

        김나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831

        전 세계적으로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전통공예는 ‘예술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에서도 전통문화의 대중화·현대화·세계화를 위한 전통문화산업 육성 및 진흥전략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그러나 공예산업 진흥을 위한 정책은 아직 초기 단계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과거의 정책들은 주로 전통의 계승과 보존에 초점을 맞춰 급변하는 시대에 걸맞은 정책을 마련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았다. 최근에 제시되는 대안들도 디자인 간의 결합과 같은 지엽적인 부분에 편중돼 공예산업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전통문화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정책이 많아 공예산업 발전의 근본적인 대책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변화하는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전통문화산업 정책대안을 모색하려 한다. 새로운 시대에는 전통공예분야 문화산업정책이 추구하는 가치와 목표 또한 변화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통공예분야 문화산업 정책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가치와 구체적인 정책 대안이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한다. 먼저 기존 정책들과 선행연구들의 한계점들을 논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정책 대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어서 직접적인 이해관계자인 공예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심층인터뷰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대안에 반영하려 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책네트워크 이론의 관점에서 각각의 정책행위자의 정책네트워크 구조와 관계를 파악해 새로운 전통공예분야 문화산업정책 대안이 도출하고자 하였다. 심층인터뷰 결과, 인터뷰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대부분 전통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해 미래지향적인 전통문화산업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동의하였다. 즉, 전통문화산업의 양면성을 근간으로 ‘전통성’을 보존하면서 ‘실용성’을 살리기 위해 ‘융복합’을 바탕으로 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뷰 결과와 기존 정책에 대한 논의에서 도출한 시사점을 기반으로 새로운 정책대안이 추구해야 할 가치와 정책 대안을 마련을 위한 정책네트워크 구조, 정책행위자의 역할을 제안한다. 먼저 정책대안의 가치 측면에서 새로운 정책은 융복합을 추구해야 하며 이 정책은 과거와 현재가 융합되는 시간의 융합, 전통과 현대의 이질적인 공간들이 융합하는 공간의 융합, 다양한 분야의 인재들이 융합하는 인간의 융합, 세 가지 요소가 모두 융합하는 시공인(時空人)의 융합으로 나눠 전통공예분야 문화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할 수 있다. 둘째, 전통공예분야 문화산업의 정책 네트워크 구조는 다양한 정책행위자들이 융합하고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개방적·수평적인 구조를 가져야 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구체적인 대안으로 ‘(가칭) 전통문화산업 융복합 협의회’의 구성을 제안한다. 융복합의 성패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융합 요소 간의 소통이며 이를 통해서만 새로운 정책이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전통공예분야 문화산업 정책의 활성화를 위해 정책행위자들의 역할 측면에서 전통공예가는 전통공예의 전통성과 현대적 감각의 융합을, 정책전문가는 융복합 정책의 기반형성을 산업인력은 전통성과 상업성의 융합을 통한 자생적인 문화생태계구축을, 학계에서는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융복합형 인재양성의 역할을 맡아야 할 것이다.

      • 플랫폼 활용 공예산업의 현황 분석을 통한 전통공예산업 활성화 방안

        엄가원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craft industry that is improving the distribution system using platform functions, and to seek ways to revitalize the traditional craft industry. As research methods, literature studies, case studies, and interviews with experts were conducted and plans for revitalizing the traditional craft industry were derived. Accordingly, the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ecosystem l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hanges in the platform concept were discussed. A platform is a concept of space that helps efficient interaction. As everything is transformed into a hyper-connected and intelligent society, the expansion of industry and culture becomes possible as interconnection and convergence emerge as new keywords. In addition, the situation in which the economy paradigm changes with the sharing economy that opens and shares knowledge and information as well as matters is becoming an important reality. The craft industry is also gradually accepting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face the process of chang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structure of the industry. From the existing online distribution market only focused on commerce for the sale of crafts, it is changing to the use of an advanced O2O service platform where online and offline can be organically interconnected. In this context, real-time linkage with related industries has become possible. However, internationalization is still difficult due to the limited distribution platform base in Korea. There is also a lack of craft information and knowledge platforms. In particular, the traditional craft industry is passive and inadequate to use the online platform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raft transfer in the family business and the high specificity of the craftsmen. Therefore, this paper determined that the expansion of platform utilization is necessary to proactively cope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without traditional craft industry being eliminated. Accordingly, the following ways to revitalize the platform of the traditional craft industry were derived. The first is to expand the O2O service platform for traditional crafts to related industries to increase its utilization value.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O2O platform is not only in Korea but also globaliz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linkage with education, experience, exhibition, and tourism as well as distribution of traditional craft industry within the space to maximize the resources and advantages of online and offline. The second is to spread traditional craft culture through cooperation with platform companies. Platforms are spaces that are interconnected without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and cooperate and coexist together. Accommodation sharing corporation, Airbnb, works with non-profit and community-based businesses to introduce new experiences of the region to its guests. Through this, the company announces the disappearing craftsman's traditional skills and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craft culture. In addition, the company realizes social and cultural values. The third is cooperation among stakeholders to expand the use of knowledge sharing platforms. As a subject of the traditional craft industry, craftsmen are necessary to raise the awareness or cooperation. The cooperation environment, policy support, and the strengthening of cooperation among stakeholders will preserve the traditional craft skills for future generations. In addition, the platform will be a practical space for communicating together. 본 논문은 플랫폼 기능을 활용하여 유통 및 배급 체계를 개선하고 있는 공예산업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전통공예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관련 자료에 대한 문헌연구와 사례조사, 공예전문가의 면담을 통해 실질적인 전통공예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4차 산업혁명에 의한 환경 변화와 플랫폼 개념이 주도하는 산업구조와 생태계 변화를 살펴보았다. 플랫폼은 효율적인 상호작용을 돕는 공간의 개념으로서, 모든 것이 초연결되고 지능화된 사회로 변화하는 가운데, 상호 연결과 융합을 새로운 키워드로 하면서 산업과 문화의 확장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물질뿐만 아니라, 지식과 정보를 개방, 공유하는 공유경제의 개념으로 경제의 패러다임도 바뀌는 상황도 매우 중요한 현실로 의미가 부여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수용하면서 공예산업도 산업의 환경 구조에 따라 점차적인 변화 과정을 겪고 있다. 공예품 판매를 위한 상거래에 치중하던 기존 온라인 유통 마켓과는 달리,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유기적으로 융합되어 상호 연결될 수 있는 발전된 형태의 O2O 서비스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으며, 그 안에서 유관 산업과의 실시간 연계도 가능해졌다. 그러나 여전히 국내로 제한된 유통 플랫폼 기반으로 국제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공예 관련 정보 및 지식플랫폼 체계도 부족하다. 특히 전통공예산업은 가업 내 기술 전승 방식으로 유지되는 점, 그리고 장인들의 연령층이 높은 특수성으로 인해 온라인 플랫폼 활용이 수동적이며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은 전통공예산업이 도태되지 않고 시대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플랫폼 활용 확대가 필요하다고 보고, 다음과 같은 전통공예산업의 플랫폼 활용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전통공예를 위한 O2O 서비스 플랫폼을 연관 산업으로 확장하여 그 활용가치를 높이는 것이다. 체계적인 O2O 플랫폼이 구축된다면,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자원과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공간 안에서, 전통공예산업의 유통과 더불어 교육 및 체험, 전시, 관광 등 다양한 유관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융합하며 국내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전통공예산업의 세계화 또한 도모할 수 있다. 둘째, 플랫폼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전통공예문화를 확산하는 것이다. 플랫폼은 시공간의 제약 없이 그 안에서 상호 연결되며, 서로 협력하고 상생하는 공간이다. 숙박 공유 기업인 ‘에어비앤비’는, 비영리단체 및 지역 기반의 기업들과 협력하며 해당 지역 숙박 고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소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사라져가는 장인의 전통기술을 알리고, 전통공예문화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더불어 사회적, 문화적 가치를 실현하고 있다. 셋째, 지식 공유 플랫폼의 활용 확대를 위한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이 필요하다. 전통공예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주체가 장인인 만큼, 그들의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이에 따른 환경과 정책지원, 이해관계자들이 협력을 강화한다면, 향후 후대를 위한 전통공예 기술의 보전을 이루고,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실질적인 공간이 될 것이다.

      • 외래관광객의 전통공예 기념품 속성만족, 전반적 만족과 재구매 의도

        송안자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우리나라 전통공예 기념품은 외래 관광객에게 오늘날 국가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기능적 역할 뿐만 아니라 활용에 따라 국가의 문화적 ,경제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화 산업이다. 따라서 오늘날 많은 쇼핑관광객이 늘어나기 때문에 본 연구는 외래관광객들의 만족도를 제고 하고 향후 전통공예기념품의 세계화와 대중화, 현대화, 활성화를 위한 방법 중 일환으로 제시하며 외래관광객인 중국, 일본, 구미을 중심으로 전통공예 기념품 속성만족이 고객전반적 만족과 재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아래와 같이 실시했으며.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분석결과 성별은 남자 172명, 여자 133명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30대, 50대, 20대, 60대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은 회사원, 자영업, 공무원, 대학(원)생, 전업 주부, 전문직,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 여부는 기혼, 미혼, 기타 순 으로 나타났으며. 국적은 중국, 일본, 구미(유럽, 미국),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통공예기념품 주 구매처는 전통시장(인사동, 동대문, 남대문), 면세점,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구입하고 싶은 전통공예 기념품은 섬유공예품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칠기제품, 금, 은 세공품으로 뒤이어 나타났다. 그리고 매듭상품, 목공예품, 종이공예, 노리개, 석공예품 순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구매한 전통공예 기념품 가격대는 6-10만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1-5만원, 11만원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쇼핑 총 경비는 50-100만원 미만, 30-50만원 미만, 100만원 이상, 30만원 미만으로 나타났다. 국적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국, 일본, 기타에 비해 구미(유럽, 미국)의 전통시장(인사동, 동대문, 남대문)에서 전통공예기념품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쇼핑 총 경비(순수 쇼핑 비용)은 국적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미(유럽, 미국)의 23.5%가 100만원 이상으로 응답하였다. 쇼핑 총 경비 100만 원 이상 중국, 일본, 기타 순이다. 둘째, 전반적으로, 한국 방문 횟수는 1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번 한국 방문 동반자에 대한 질문에는, 직장동료, 친구, 연인, 혼자, 가족/친지,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한국 방문의 목적은 관광이 53.1%로 과반수 나타났다. 뒤이어 친지/친구 방문, 출장로 나타났다. 셋째, 전통공예기념품 속성 만족이 전통공예기념품의 전반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7.5%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전통공예기념품 전반적 만족은 전통공예기념품 기념품의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2는 채택되었다. 그리고 전통공예기념품 속성 만족이 전통공예기념품의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4.4%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설 3은 부분 채택되었다. 즉, 전통공예기념품 속성 만족 중 지역성 만족도, 기념성 만족도, 실용성 만족도, 상황성 만족도가 재구매 의도에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사점을 간단하게 정리 해보면 한국의 전통을 가미한 실용적이고 기능적이며 현대적인 기념품을 만들어 세계화, 현대화, 대중화 하는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전통공예, 관광기념품 속성, 만족, 재구매 의도, 구매목적 Korea's traditional craft souvenirs are not only a functional role that can enhance the national image of foreign tourists, but also a cultural industry that can affect the cultural, economic and national aspects of the count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foreign tourists and to present them as a way of globalization, popularization, modernization and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crafts souvenirs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tisfaction of craft souvenir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This study conducted the empirical analysis as follow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172 males and 133 females. Age was in the order of 30s, 50s, 20s, 60s. Jobs were in the following order: office worker, self-employed, civil servant, university (won), full-time housewife, professional, and others. Married status was married, unmarried, and other. Nationality was in the order of China, Japan, Europe (America, USA) and others. Traditional craft souvenirs were purchased in traditional markets (Insadong, Dongdaemun, Namdaemun), duty free shops, and others. The most traditional souvenirs of crafts that I would like to buy were the ones with the highest value as textile crafts. Followed by lacquerware, gold and silverware. And knot items, wood crafts, paper crafts, soothers, and stone crafts. The price of traditional craft souvenirs purchased mainly was 6-100,000 won, the highest was 1-50,000 won and over 110,000 won. Total shopping expenses were less than 50 ~ 10 million won, less than 30 ~ 50 thousand won, more than 1 million won, less than 300 thousand won. The statistical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nationality, and it was found that the traditional crafts souvenirs were bought from traditional markets (Insadong, Dongdaemun and Namdaemun) in Gumi (Europe, USA) compared to China, Japan and others. Also, shopping total cost (pure shopping co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nationality. 23.5% of Gumi (Europe, USA) responded more than 1 million won. Shopping Total expenses are over 1 million won, followed by China, Japan, and others. Second, as a whole, the number of visits to Korea was the highest. Questions about this visit to Korea came in the following order: colleagues, friends, lovers, alone, family / relatives, and others. The purpose of the visit to Korea was a majority of tourism (53.1%). Followed by visiting friends / friends, and traveling.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atisfaction on traditional craft souvenir attributes on overall satisfaction of traditional craft souvenirs. As a resul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17.5% and the regression equ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Hypothesis 2 was adopted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raditional craft souvenir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 to repurchase traditional souvenir items." And it i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effect of satisfaction of traditional craft souvenir property on repurchase intention of traditional craft souvenir. As a resul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is 34.4% and the regression equa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Hypothesis 3 was partially adopted. In other words, locality satisfaction, memorial satisfaction, practicality satisfaction, and contextual satisfaction are important factors in repurchase intention. Therefore, if we briefly summarize the implications, we should contribute to globalization, modernization, and popularization by making practical, functional and modern souvenirs with Korean tradition.

      • 전통공예품의 발전방안 연구 : 유형 및 유통구조를 중심으로

        김수연 서경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문화의 세기라고 하는 21세기는 종래의 단순한 기능성과 기술력만으로는 상품의 가치를 높이기 힘들다. 자국의 고유한 문화가 짙게 스며있는 제품들만이 시장경쟁력에서 우위에 설 수 있는데 고유의 문화란 단지 눈으로 보이는 것뿐만 아니라 오랜 역사와 전통에 기반한 정신적 유산을 포함한다. 이는 새로운 세기에 대처하기 위해 변화하며 발전하는 사회의 동적인 움직임을 함께 의미하기도 하는 것이다. 21세기의 정보지식산업을 이야기 할 때 공예는 그 이야기의 중심축에 놓여져야 할 만큼 우리에게 소중한 지적 · 문화적 그리고 산업의 개발 원천이다. 이러한 공예는 각국 고유의 전통적 공예로부터 축적된 문화적 가치와 예술성이 있고 현대공예와 산업의 발전에서 비롯된 새로운 기술의 혁신이 있으므로 그 가치를 증식시키는 자기증식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는 문화상품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문화상품이 세계 속에서 그만의 독특한 정체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전통에 바탕을 두어 역사적, 문화적 고유한 특성을 현대적 감각으로 디자인하여 상품에 응용하여야 한다. '한국 산업공예에 관한 소비자 인식도' 설문조사의 결과에서 일반인 대다수가 전통공예 디자인의 현대화와 실용화를 통하여 산업공예로의 발전 가능성에 긍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산업공예의 발전을 통하여 한국의 문화상품이 세계시장에 매력적으로 다가갈 수 있으리라는 것에 큰 기대를 걸고 있음을 보여준다. 공예는 미적인 가치와 실용적인 가치를 함께 지니는 것으로 美와 用은 공예의 기본적 기능에 포함된다. 공예에 있어서 '전통과 창작'이란 문제는 조선시대 말기부터 근대화 과정을 지나면서 현대에 이르는 지금까지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으나, 1970년대 무렵부터 관심이 고조되기 시작한 전통과 민속공예의 복원화 및 산업화 움직임은 쓰임새와 동시에 아름다움을 추구하였던 선조들의 지혜와 미의식이 현재의 디자인 개념에 적합하다는 점을 재인식하였기 때문이다. 공예산업의 특성은 전통적 문화와 민족 고유성을 표현하는 예술성이 가미된 현대인의 소득 수준 및 문화생활에 비례하여 수요가 급증하는 산업임과 동시에 대부분 순수 국산 원자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고부가가치의 산업이라 할 수 있다. 소비자들의 반응에 의하면, 전통제품을 사용하는 이유는 정감이 가고, 고풍스러우며 고유문화를 간직하고 싶은 마음이 앞서기 때문이며, 선택되어지는 디자인의 요소는 문양, 외형, 색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히 대표적인 관광 기념품으로서 관광수지의 개선과 국가적인 행사에 국가를 상징하는 기념상품으로 유망하며, 대표적인 중소기업형 전문 업종으로 주로 가내 수공업에 의해 제조되는 노동집약적인 산업이다. 즉, 고급스러우면서 문화와 전통을 잘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문화상품 디자인은 전통문화 속의 독특한 소재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 디자인하여 그 나라의 독특함이 있는 전통문화를 세계인들의 취향에 맞게 개발하여 상품화해야 하므로 전통의 이해와 전문적인 지식이 있어야 하고 섬세한 감각과 기교를 지녀야만 한다. 앞으로 제작되는 문화상품은 한국문화 속에서 세계 각국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통분모를 찾아내어 한국의 독특한 문화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실용적인 현대공예와 접목시켜 국적 있는 상품으로 개발해야 할 것이다. 한국의 우수한 디자인력으로 고유의 특성이 잘 살아있는 한국적인 브랜드를 만들어야 하고 한국의 전통문화를 반영한 문화상품 디자인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후 관련 분야에 보급해야 할 것이다. 미래의 공예산업은 전통적 가치관을 소중히 하며, 창의성으로 시대적 감각에 부응하는 공예품의 생산과 공예품 사용의 일상화를 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전통공예품의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 유통구조를 개선하여 공예상품 판매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21th century called century of culture is hard that enhance value of goods by only usual simple ability and technique. Only products that native peculiar culture infiltrates deeply can stand erect in high position in market competitive power, include spiritual legacy that stand on the basis of long history and tradition as well as that unique culture is seen with eye. This is meaning together social dynamic motion that change and develops to cope in new century. When we talk about information knowledge industry in 21th century, craft is important area, cultural and of industry development quarry to us so much so that should be situated in central axis of the story. Do part of culture goods that can display self-propagation effect that do to increase the value because there is cultural value and artistic merit which these industrial arts is accumulated from every country unique traditional industrial arts and there is reform of a new technology caused in development of modern industrial arts and industry. Cultural goods design historic, cultural peculiar special quality by modern sense being based on tradition to display unique identity stop within the world and should apply to goods. Ordinary people plurality can know that have opinion which is positive in development possibility by industry craft through modernization and utility of tradition industrial arts design in result of questionnaire 'Consumer awareness about Korean industrial arts'. This shows that is setting big expectation that Korea's cultural goods can approach attractively to the world market through development of industrial arts. Beauty and practicality are included in basic function of industrial arts that has together aesthetic value and practical value. Problem 'Tradition and creation' has not been finding lead of solution that reach in present age passing modernization process from Chosyn Period's the end in industrial arts, but tradition and restoration anger of folkcraft and industrialization motion that interest is begun to elate from time in the 1970s took another look at that wisdom of ancestors and esthetic sense that sought beauty are suitable to current design concept. Special quality of industrial arts can be industry of high added value that is made because traditional culture and art department which express nation characteristic use most purity home production raw material moment demand is industry that increase rapidly in proportion to lace modern person's income level and cultural life. According to response of consumers, reason that use tradition product goes feeling, and element of design that is archaic and is because mind that want to keep characteristic culture goes first, and selects was expose in order of pattern, external form, color, and so on. This is promising, and is labor intensive industry that is made by family manual industry mainly by representative medium and small enterprises style full text category of business by commemoration goods that is national in improvement of sightseeing balance and national event as specially representative tourism souvenir. That is, can express well culture and tradition as is haute. Must have comprehension of tradition and special know-how because culture goods design should commercializes unique material of culture heritage inside developing culture heritage that uniqueness of the country is designing ashes by modern sense according to inclination of cosmopolitans and have delicate sense and workmanship. Forward, manufactured cultural goods are grafted together with practical modern industrial arts finding common denominator that can satisfy various symbol of all the countries of the world within Korean culture and reconstruct peculiar culture of the Korea modernly and will have to develop by goods that have nationality. Will have to supply in related field after adjust culture goods design that must make Korean brand that unique special quality is alive well by superior design power of the Korea and reflects Korea's culture heritage systematically. Future industrial arts is planning production of industrial art objects and daily life anger of industrial art objects use which cherish traditional sense of values, and meets by period sense by initiative. Grasp special quality by type of tradition industrial art objects for this and effort for sales promotion of applied arts will have to be spread improving distribution structure.

      • 전통공예 현대화를 위한 접근모형 연구

        김혜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831

        Modernization is an example of overall social principles already building up a mainstream of global culture. This has become common values being closely connected with human rights, freedom, equality, democracy and rationality. Traditional crafts is one of the ongoing changes in progress. Therefore, this study started with questions about what kind of values the traditional crafts should have, and which way the traditional crafts should head for. And also this study aimed at finding a theoretical basis to make traditional crafts more competitive, by an approach model of pursuing modernization with a reasonable way after predicting the direction of traditional crafts in this upcoming uncertain changing society. Crafts play a role to multiply the values through accumulated cultural values and artistry in each country, and the innovations in techniques which come from the development of modern craft industry. Korea has potential with great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tradition which can be a unique material in craft industry. Craft industry has been increased rapidly in proportion to an income level and civilized living, mixed with traditional culture and artistry expressing the uniqueness of the nation. Especially our nation’s outstanding color sensation, creative moulding sense and elegant tradition beauty are the source of a intellectual, cultural, industrial development. We need to diagnose the reality and the future of traditional crafts, then we should have the perspective to see the traditional crafts as a major source not a surplus value but the guarantee of a brighter future. We should free ourselves from the concept that traditional crafts are just a simple relic of the past and modernize it for an assuring future , of course, with practical items.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crafts is not a simple process with one way going along. This study proposes a modernized model approach for the crafts to succeed in the changing market conditions, not only seeking a simple appearance change but giving a qualitative value, in keeping with the nature of the crafts. The property of any theory or model should have explanatory power and ability to predict the future. A research model should be suggested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for any changes and to predict the future. Also there is a need to create a rationale that can predict the future based on that.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amine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rafts and realize the general status. Second, define the common concept of tradition and modernization, discuss modernity, and identify the aspects of the moder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crafts through an existing research study of modernization. Third, analyze the modernizing factors of traditional crafts using protocol techniques, and classify into four types. Fourth, propose a modernized analytical model of traditional crafts by defining detailed elements according to the modernization category of traditional crafts. Last, present the propriety and usability of the model by interpreting the meaning and application techniques through case studies of modernized traditional crafts.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suggests grounds to escape from unconditional acceptance, criticism and vague run errors methodologically to modernize the existing traditional crafts in the aspect of modern society that is increasingly globalized, and it is expected to have practical uses with a new method that can have an advantage in the world market reasonably and effectively. 현대화는 이미 세계문화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으며, 인권·자유·평등·민주·이성 등과 서로 밀접히 연계되어 상호작용하면서 공통적 가치관이 되고, 사회 전반적인 원칙들의 모범이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진행 중인 변화의 내용 중 하나인 전통공예가 현재 변화하는 양상에서 미래에 지향해야 할 방향과 공예는 어떠한 의미와 가치를 찾아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으며, 앞으로 도래될 변화하는 사회에서 전통공예의 방향성을 예측하여 합리적인 방법으로 현대화를 추구하기 위한 접근 모형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전통공예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공예는 각국 고유의 전통적 공예로부터 축적된 문화적 가치와 예술성, 현대의 공예산업의 발전에서 비롯된 새로운 기술의 혁신으로 그 가치를 증식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는 공예산업의 독특한 소재가 될 수 있는 우수한 문화전통과 문화유산을 가진 성장 잠재력이 풍부한 민족으로서 특히, 우리민족 고유의 우수한 색채감각, 창의적인 조형의식, 우아한 전통미는 우리에게 소중한 지적·문화적·산업의 개발 원천이 된다. 최근 전통공예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하면서 ‘전통공예의 현대화’는 공예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는 주제이다. 전통공예의 현대화란 단순히 한 가지 방법으로 진행되는 프로세스가 아니다. 본 연구는 전통공예품의 단순한 외형적 변화만을 추구하지 않고 공예의 본질을 지키면서 질적 가치를 부여하는 접근 방법을 찾아 변화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 성공할 수 있는 연구모형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전통공예의 현대화를 위한 연구와 공예실무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례와 이론적 검증을 거쳐, 전통공예의 현대화 개념을 규정하고, 요소를 발굴하며, 동시에 이와 관련된 사례 제시를 통해,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먼저 본 연구자가 제시한 전통공예의 현대화 모형인 VATM모델 제안에 앞서, 전통과 현대의 일반적 개념을 정의하고 현대성을 논의하였으며,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의 광범위한 현대화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현대화 개념을 규정하였다. 현대화란 모든 사회적 변동의 보편적 지향목표이자, 사회적 변화의 요구로서 합리적으로 추구되어야 할 규범적 가치이다. 실제로 현대성이 실행되는 과정으로서 변화와 새로움을 추구하며 전통으로부터 현대사회로의 진화적 변화를 뜻하는 포괄적 개념이다. 따라서 현대화는 고정불변한 개념이 아니라 어느 사회나 지금도 진행되고 있으며 구조적, 보편적, 합리적 과정임을 밝힌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과 현대의 일반적 개념을 정의하고, 현대성을 논의하며 현대화의 기존 연구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전통공예의 현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둘째, 전통공예 현대화 접근 모형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공예산업의 특성과 분류체계를 살펴보고 공예정책 및 지원현황 등을 피력하였다. 셋째, 전통공예 현대화 요소를 프로토콜기법을 이용하여 요인을 분석하고,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넷째,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된 전통공예의 현대화 범주에 세부적인 요소를 규정함으로써 전통공예의 현대화 접근모델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자가 제시한 전통공예 현대화 모델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는 국내․외의 사례조사를 통해 그 의미와 적용기법을 해석함으로써 VATM모델의 타당성과 활용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공예의 바람직한 현대화를 통해 질적 경제적 성장을 촉진하는 데 기여하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글로벌화 되고 있는 현대사회의 양상 속에 기존의 전통공예를 현대화하는 방법론적 차원에서 무조건적인 수용과 비판 혹은 막연한 실행의 오류에서 벗어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며, 합리적이며 효과적으로 세계시장에서의 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그 활용가치가 기대된다.

      • 전통공예기법을 활용한 공예수업 학습지도 방안 연구

        안지혜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한국의 미술교육은 자주적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외세의 영향에 의해 이루어져 과거의 전통을 자연스럽게 성장시키지 못했다. 미술교육 대부분이 서구 중심의 미술교육 이론과 학습활동에 의해 운영되어 전통미술에 대한 교육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서구 중심의 미술교육으로 인해 전통미술에 대한 학습 자료나 학습 내용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그로 인해 학생들은 한국의 전통 미술에 관한 용어들을 어려워하고 있다. 미술 교과서 속에서 전통 미술과 관련된 도판과 학습 내용은 자주 등장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전통에 관한 민족적 정신과 조형성은 매우 부족하다. 이 논문에서는 전통공예의 개념과 필요성을 이해하고 한국의 2009개정 미술교육과정에서 전통공예의 현황을 분석하고 한국의 독창적인 전통공예기법에 대해 알아보고 학생들에게 효율적인 전통공예 수업을 전달하기 위한 수업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전통공예교육이 앞으로 미술교육과 함께 성장하도록 이 논문에서 현재 중학교에서 수업하고 있는 2009개정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여 전통공예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전통공예를 다루고 있는 단원과 공예의 종류 현황에 대해 분석, 출판사별 전통공예 표현활동에 대한 도판과 활동 내용을 정리한다. 학생들은 전통미술교육을 통해서 전통미술이 가진 미의식, 정신성, 조형성, 자연관, 민족정신을 배우고 가치관과 정체성을 성립할 수 있다. 전통교육은 학생들에게 필요한 중요한 교육이고 학생들에게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법과 학습 자료, 학습 내용을 연구하여 제공해야 한다. 전통 공예는 조상들의 삶을 그대로 반영하기 때문에 더욱더 좋은 학습 자료가 된다고 본다. 한국적인 고유의 전통공예기법을 가지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이 점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데에만 그칠 게 아니라 그 가치를 더욱더 높이고 발전해 나가 한국의 전통문화를 이어가는 데 목적을 두어야 한다. 전통은 과거에 머무른 것이 아닌 현재 우리의 삶에 녹아 함께 성장해 나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앞으로 미래를 이끌어나갈 학생들이 전통을 통해 가치관과 정체성을 확립하고 더 나아가 나라의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배우는 전통공예교육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아직 전통공예에 대한 관심도가 많지 않고 공예 분야에 대해서도 관심도가 아주 낮다. 이 논문을 통해서 전통공예의 높은 가치와 필요성을 알고 학생들로 하여금 한국 문화의 자부심을 느끼고 전통을 이어나가기를 기대해본다.

      • 한국 전통공예의 효과적 전시방법론 연구 - 기획전을 중심으로 -

        최화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Craft is an essential artistic activity in human life as it makes beautiful and useful things necessary for life. In addition, since crafts have developed along with human life, they have a deep history and are activities that contain cultural element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Korean traditional crafts are the result of containing Korea's unique culture and emotional beauty. Traditional crafts are of great value as beautiful artistic activities that contain the wisdom and unique culture of our ancestors. However, although Korean traditional crafts contain Korean beauty, they are not well known to the public. The researcher determined that the cause was a problem in the way traditional crafts were delivered to the public. Methods of delivering traditional crafts to the public include cultural products, exhibition viewing, educational programs, hands-on events, and media. Among them, the researcher selected ‘exhibition’ as a means to effectively inform the public. This is because exhibitions display traditional crafts and directly show them to the public, and are the most popular means of effectively helping people understand traditional crafts according to the exhibition plan. Existing craft exhibitions have been conducted in line with art exhibitions because the history of exhibitions in the craft field is not deep. Rather than an exhibition method suitable for traditional crafts, exhibitions that simply display works have been universal, and it was judged that this was a factor that hindered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raf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crafts are studied and methods to effectively display Korean traditional crafts are presented. In the research procedure, first, the concept of traditional crafts is organized by researching Korean traditional craft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rafts are arranged. Second,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 and Korean elements a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study. Third, in order to present an appropriate exhibition method for Korean traditional crafts, I analyzed the cases of traditional craft exhibitions conducted over the past 5 years to suggest appropriate exhibition method for Korean traditional crafts. And I established an effective exhibition methodology as a hypothesis according to the results,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crafts, and Korean elements derived above. Four,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hypotheses set, the actual exhibition is planned and conducted, and it is verified through a survey of the experimenters who have experienced the exhibition. Finally, the research procedure is to draw conclus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survey analysis with the traditional craft exhibition methodology suggested by the researcher. It is expected that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al crafts will be widely known through the effective exhibition of Korean traditional crafts through this study. 공예는 생활에 필요한 것을 아름답고 쓸모 있게 만드는 것으로서 인간의 삶에 있어 필수적인 예술 활동이다. 또한 공예는 인간의 삶과 함께 발전해 왔기 때문에 그 역사가 깊으며 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활동이다. 그렇기에 한국의 전통공예는 한국의 고유문화와 정서적 아름다움을 담고 있는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공예는 우리 선조들의 지혜와 고유문화가 담겨져 있는 아름다운 예술 활동으로 그 가치가 크다. 하지만 한국 전통공예는 한국의 미를 담고 있음에도 대중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연구자는 그 원인이 전통공예를 대중들에게 전달하는 방식에 문제점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대중들에게 전통공예를 전달하는 방식에는 문화상품, 전시관람, 교육 프로그램, 체험 행사, 미디어 매체 등이 있다. 그 중 연구자는 대중들에게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전시’를 수단으로 선택하였다. 전시는 전통공예품을 진열하여 대중들에게 직접적으로 보여주며, 전시 기획에 따라 효과적으로 전통공예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가장 대중적인 수단이기 때문이다. 기존의 공예 전시는 공예 분야 전시의 역사가 깊지 않아 미술품 전시에 맞추어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전통공예에 적합한 전시 방법이 아닌 단순히 작품을 진열하는 전시가 보편적으로 이루어져왔고, 이러한 부분이 전통공예의 이해를 방해하는 요인이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공예의 특성에 대해 연구하고 한국 전통공예를 효과적으로 전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절차는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한국 전통공예에 대해 연구하여 전통공예의 개념을 정리하고, 전통공예의 특징에 대해 정리한다. 또한 문헌연구를 통해 한국 전통의 미와 한국적 요소를 도출한다. 한국 전통공예에 적합한 전시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최근 5년간 진행된 전통공예 전시 사례를 분석하고, 그 결과와 앞서 도출한 한국 전통공예의 특징, 한국적 요소에 따라 효과적 전시 방법론을 가설로 설정한다. 설정한 가설의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실제 전시를 기획하여 진행하고, 전시를 경험한 실험자들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검증한다. 연구자가 제시한 전통공예 전시 방법론과 설문조사 분석을 통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연구의 절차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전통공예를 효과적으로 전시하여, 이를 통해 한국 전통공예의 아름다움이 널리 알려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