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地籍電算化의 實態와 發展方向에 관한 硏究

        채경석 慶一大學校 産業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중앙정부차원에서 부처별·개별적으로 추진중인 지적전산화의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지적전산화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에 따른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내용적 범위는 행정자치부의 필지 중심의 토지정보시스템, 대법원의 부동산등기업무전산시스템, 건설교통부의 지가업무전산화를 중심으로 하였다. 시간적으로는 토지대장전산화사업이 운영되기 시작한 1990년부터 현재까지로 하며, 공간적으로는 우리나라의 지적전산화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상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은 이론적 연구로서 문헌조사법을, 사례연구로서 면접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총 5장으로 구성하고, 제1장은 서론으로 연구목적과 방법을, 제2장은 지적전산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서 지적전산화의 개념, 필요성, 지적전산화의 대상 및 분류, 지적전산화의 기능을, 제3장은 지적전산화에 대한 실태로서 지적공부전산화, 지가전산화, 등기전산화, 지적응용분야의 전산화에 대한 실태 분석을, 제4장은 이상을 토대로 지적전산화의 문제점과 발전방향을 제시하며, 마지막으로 제5장을 결론으로 하였다. 이상을 분석한 결과 첫째, 지적전산화란 "국토를 필지 단위로 하여 컴퓨터시스템으로 관리하는 일련의 정보체계"로 정의할 수 있었으며 둘째, 우리나라 지적전산화의 추진실태는 1 필지에 대한 물리적 현황에 대한 전산화는 행정자치부가 추진하고, 권리적 현황에 대한 전산화는 법원이 추진하고 있었으며, 가치적 현황에 대한 전산화는 건설교통부가 추진하고 있었다. 셋째, 이상을 토대로 지적전산화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개념적 측면에서는 지적과 지적전산화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정립되어 있지 않았으며, 기술적 측면에서는 대장DB의 다원화, 도면의 변형 및 축척의 다양성, 원점의 다양성 및 삼각점의 훼손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도적 측면에서는 추진 부서의 다양성 및 전담인력의 부족, 예산확보 및 교육홍보의 부족, 지적전산화에 대한 법령 및 규정의 미비 등으로 나타났으며, LIS와의 연계성 측면에서는 정보의 연계성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개념적 측면에서는 지적 및 지적전산화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정립되어야 하고 이를 토대로 부처간에 개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전산화의 통합적인 근거와 당위성으로 활용하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적 측면에서는 대장정보의 공유화, 수치지적의 확대 및 프레임워크데이터로의 활용, 삼각점 복원 및 원점의 일원화를 추진해야 하며, 제도적 측면에서는 사업주체의 일원화를 통한 전담인력 확보, 학회통합과 학술활동의 활성화, 지적전산화에 대한 법령 및 규정을 제정하며, LIS와 연계성 측면에서는 상호 연계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adastral computerization which is underway by the central government authorities and it is aimed at finding the problems of the cadastral computerization and suggesting its countermeasure based on the findings and analysis done. To achieve the above study purpose in an efficient manner, the substantial study was focused on parcel based land information system available at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Local Autonomy, computerization of real estate registration at the Supreme Court and land price computerization at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Literature survey method, case survey method and interview method were employed for the study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cadastral computerization can be defined as "an information system to be controlled by the computer system on parcel basis for the nation's land". Secondly, the promotion facts about the cadastral computerization in our country were unveiled as: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Local Autonomy promotes the computerization of the physical condition of each parcel; the court promotes the computerization of the ownership condition; and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promotes the computerization of the value condition. Thirdly,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proved that a clear concept on the cadastral computerization and cadastre itself were not established from the conceptional standpoint of view, while it was serious in the diversification of the log DB, change of the drawing, variety of a scale, variety of the survey point and damage of triangular coordinates from the technical viewpoint. In systematical aspect, it was unveiled that the diversification of the department promoting the computerization and responsible manpower are not much; getting the budget and training and promotion are insufficient; and the enforcement act and regulations on the cadastral computerization are poor. Further the findings support that linking with the cadastral information was poor in terms of linking with LIS. Lastly, the concept of the cadastre itself and cadastral computerization must be clearly established for the countermeasure, while it should be promoted for joint ownership of the land log information, expansion of the numerical cadastral system, utilizing it as a framework data, recovering triangular coordinates and unification of the survey point in technical aspect. In systematical aspect, it should be established for responsible manpower through the unification of the project entity, merging scholastic academy and activation of the academic activity and enforcement act and regulations on the cadastral computerization. In terms of linking with LIS, the analysis supports that it should be developed in a way to secure a system to mutually linking with the cadastral information.

      • 행정전산화가 조직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수입통관업무의 전산화를 중심으로

        이종익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행정전산화는 업무처리의 기술에 변화를 가져오고, 이 변화는 조직원의 직무만족 수준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체제 속에서 전산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직원의 단면별 직무만족 수준을 측정하여 현황을 알아보고, 그 수준이 부정적이라면 분야별로 필요한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서울세관, 부산세관, 인천공항세관의 수입통관부서 및 심사부서에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직무만족 수준을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직무만족의 수준은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세부적으로 부정적인 요인을 살펴보면, 근무시간 중 시간적 여유가 없었고, 직원들은 수입업무를 선호하지 아니하였으며, 업무를 처리할 때에는 재량권이 없었다. 둘째, 전산화 단계가 진행될수록 직무만족의 수준은 긍정적으로 변하였다. 그러나 수입업무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과 선호도는 부정적으로 변하였다. 셋째, 하급직 또는 연령이 젊은 층의 직무만족 수준이 상대적으로 부정적이었고, 내륙지 세관보다는 공항만 세관이 더 부정적이었다. 부정적인 직무만족의 요인들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사항별로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담당업무의 양을 조정하여 직원 모두에게 좀더 많은 시간적 여유를 제공해야 하며, 수입부서 근무자에 대한 인사 및 경제적 대우의 수준을 높여야 하고, 업무에 대한 권한의 하부 위임을 지속적으로 증가시켜 하위직급의 재량권을 늘여야 한다. 그리고 수입신고에 대한 심사업무의 내실화를 위해서 '선별심사제도' 등을 내실있게 시행해야 하며, 하위 직급의 젊은 연령층에 대한 사기앙양 대책도 우선적으로 시행하여야 한다. The computerization of administration not only affects the way of doing everyday business, but also has an impact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employees. This study is to measure how satisfied the customs officers are toward recently done computerization of administration, and if they are not satisfied enough with the computerization, what should be done to increase the members'satisfaction of the computerization. To that end, I conducted a survey on the customs employees working in the import clearance section and the evaluation section of Seoul, Busan, and Incheon Airport Customs Houses to find our their facet satisfaction level of their work. First, the respondents were in general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work. But, looking at closely, they had a couple of complaints of their work. They felt that the working hour is too tight: some of them do not like import-related tasks, and they also felt that they have no discretion over their duties. Secondly, with the computerization implemented further, respondents have become positive toward their duties. However, they did not regard their work as important and likable as before. Third, as they are at the lower position and younger, the respondents have more negative opinion of their duties, and the customs employees at sea and air ports were less satisfied than their counterparts at in-land customs houses. Appropriate actions need to be taken to improve the workers'satisfaction toward their responsibilities. The workload allocated to each member should be coordinated to allow more free time; the persons in charge of import tasks should be treated more preferably in terms of personnel matters and financial compensation; and more authority should be delegated down the organization's ladder to give more discretion to the members of working level. And in order to boost the performance of audit on the import declaration, a "selective audit system" should be more widely used. More important is the efforts to lift the morale of young-aged workers at the bottom of the organization ladder.

      • 行政電算化에 따른 業務處理 樣態의 變化에 관한 硏究 : 체신부를 중심으로

        조병일 光云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247807

        급변하는 행정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와 이에 따른 새로운 행정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행정전사화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이러한 행정 전산화는 사회정보화와 한께 앞으로 더욱 가속화되어 행정의 능률화 및 정보처리의 과학화를 통해 정보사회의 핵심적 수단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와같은 인식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행정전사화의 추진으로 인해 행정기관에서 공무원들의 업무처리 양태가 컴퓨터의 도입전과 비교하여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체신부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우선 공무원들이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행정업무는 아직 행정전산화가 본격적인 괘도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에 주로 문서작성이나 집계등에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행정업무에 있어서 컴퓨터의 활용은 아직까지 전자자료처리시스템(EDPS)의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행정업무를 처리하는 경우 그 전과 비교하여 볼 때 조직업무활동 및 업무처리관련 의사소통이 어느 정도 개선되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즉 전산화 추진이후 의사소통의 용이성이나 빈도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컴퓨터를 이용하여 행정업무를 처리하는 경우에 기존 연구결과와는 달리 조직내 의사결정 권한의 이동현상, 즉 집권화나 분권화 경향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행정전산화로 인하여 업무처리의 신속성, 정확성, 행정능률성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행정서비스의 질 향상에도 기여를 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행정전산화는 행정의 능률성 및 합리성 제고 그리고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 필요불가결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 행정전산화를 보다 효율적으로 정착시키는 데에는 몇가지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선 현재의 단순한 컴퓨터 활용 정도를 넘어서 정보관리와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수준까지의 이용 확대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체계적인 전산교육과 장기적인 정보처리, 전산전문요원의 양성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또한 중간 및 고급관리자들의 행정전산화에 대한 적극적 수용자세가 필요하며 문서보고를 고집하는 증거주의, 요식주의 행정문화를 개선하여 정보화사회에 부합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행정풍토 개선에 힘써야 하리라 보여진다.

      • 中小企業의 會計電算化 推進戰略

        김명희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복잡한 경제구조 및 급변하는 사회변화로 인하여 날로 증대해가는 업무의 처리, 정보이용자들의 신속한 정보의 요구, 관리부문 인건비의 절약 등 회계업무의 능률적이고 효과적인 수행을 위하여 회계전산화를 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회계업무 전산화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며 중소기업의 회계전산화를 촉진하고자 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은 연구는 회계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회계전산화 교재의 개발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소기업의 전산화 촉진에 따른 이론적 고찰과 사례연구를 통하여 회계전산화 추진에 따르는 절차의 제시 및 표준모형을 만드는 것을 본 연구의 범위로 하여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회계업무의 전산화를 통한 결과로는 첫째, 장부체제에서의 탈피라고 할 수 있으며, 둘째, 마감과 결산이 용이하며, 셋째, 신뢰성 확보의 효과로서 대내외적 신로도와 이미지 부각에 상당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넷째, 자원의 효율적 관리로서 매입, 매출 거래처 관리가 정확하고 용이하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이 대기업이나 이론적 측면이 강조되고 있어 앞으로의 연구는 중소기업에서 필요한 표준화된 범용 S/W의 개발과 공급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A recent trend in the area of business includes an adaptation of a computerized accunting system for its business to be effective and efficient, requested upon the rapidly changing social situation and the complexity of existing economical structure which demand a great deal of rapidity in managing business included a labor-cost saving and in conveying information to user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nvolve an investigation of an appropriate computerized accounting system for small -medium Enterprises and of ways to promote its application. Further, this research makes it realize to develop curriculum for students who study accounting.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is study suggests a standard model of the computerized accounting and its procedures for small-medium Enterprise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case stud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 : 1. The computerized account mode may minimize the volume of Accounting load 2. The computerized account mode may be an easiness of a closing and balancing account. 3. A utillization of the computerized account mode anticipates an effectiveness of an image raise and reliance on in-and-out of business. 4. The computerized account mode may be a simple and accurate way to take care of business-related clients as well as to manage resources functionally. Since recent research in this area, however, has a tendency to focus mainly on major enterprises and to emphasize various theoretical aspects, future studies need to develop a standard software and supply it focusing on small-medium enterprises.

      • 土地管理電算化 政策에 대한 使用者의 反應 分析 : 土地情報 體制의 評價를 中心으로

        우영제 全州大學校 大學院 1991 국내박사

        RANK : 247807

        On the eve of the information Society, The proposition that information is the most important strategic resource, applies to a case of Pub1ic administration without exception. So, It has been the important problem to introduce the computerization into Public administration. Computerization in Public administration is introduced because It promises the expected technical payoffs that It produces the efficiency of Public administration. But to what extent have the promised technical payoffs been realized? The literature has given a variety of answers to this question, and the answers have often been is conflict. this article seeks to overcome suck past deficiences in considering the technical payoffs from computerization in the case of land computerization. To achieve the above stated objectives, above all Be defined land computerization as the computer system which collect. process and use the land data or information for the public service or public policy making related to land use and management. In Korea, This land computerization an in 1975 as a subsystem of Public Administration Networks, and have given public service t o the public since 1990, We divided the land computerization in korea into developing process and operating process, analyzed the processes empirically in the view of end-user in computerization, and find the results as follow: First, me analyzed the developing process of land computerization in terms of substantive rationality such as public interest, analytical rationality and procedural rationality, such as responsiveness, openess and participation. The analysis proves that the end-users give positive response to the process generally , 'But the relatively negative responses is given t o the openess and participation. On the other hand, End-Users give negative response to the operating processes generally. Finally, End-Users give positive response to the expected results such as qualification of information, the efficiency of public service, controlling land-jobbers, and effective land policy making.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 we suggest several proposals, and there proposals are the elementary data which can seize the problems of on-going land computerization and raise the efficacy of land computerization policy. However, in spite of these contributions, our study have defieiences in that our analysis stop at the level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our sampling in problematic in terms of representation. These deficiences and problems are the subject which we shall overcome in the future study.

      • 行政電算化에 대한 大學職員의 認識硏究

        박영규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급속한 사회변화에 적응해 나아가기 위한 사회의 각 분야의 노력에 힘입어 대학행정 또한 사회변화의 속도에 적응해 나아가기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대학의 적응 노력에 발 맞추어 대학행정 직원들의 적응노력도 크게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학행정 직원들의 전산화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그리하여, 이 연구는 정보화 시대에 서비스에 부응하기 위한 교육행정 서비스에 있어서 질 높은 행정서비스로 학생들과 구성원, 모든 민원인들에게 필요한 행정업무를 개선함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한 업무처리를 해야할 것이며, 이는 전산화에 대한 인식변화가 선행되어 야할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이에 대한 행정직원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는 대학행정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을 행정의 효율화 차원에서 전산화를 통한 업무의 개선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데 두고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첫째, 대학행정 직원들의 전산화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컴퓨터를 통한 전산화가 행정업무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가? 셋째, 전산화와 관련하여 대학행정 업무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행정직원들의 의견은 어떠한가? 넷째, 성별, 국. 사립별로 대학행정 전산화에 대한 의견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연구의 방법은 충북에 소재 하는 대학 4개교(국립 2, 사립 2)의 행정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217명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행정직원들의 컴퓨터 기능수준은 현재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으며, 주어진 컴퓨터 시스템의 활용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행정을 위한 전산화는 추가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 업무의 70이상이 전산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자 직원들은 소프트웨어의 보급과 전산화에 대한 의식변화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여자 직원들은 업무의 표준화가 우선되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 공립대학 직원들이 기기의 부족을 사립대학 직원들보다 더 강하게 느끼고 있으며, 전산화 추진 체계는 국 공립대학 직원보다 사립대학 직원들이 더 강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산화를 통하여 행정직원들의 업무량은 많이 늘어난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는 더욱 향상된 전산화를 통해 개선되어야할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현재 업무에 활용하는 내용은 인터넷 등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문서전달 수준이 가장 높고, 통계수치의 관리나 인사 또는 재무자료의 관리수준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대학행정 정보화에 우선되어야 할 사항은 남자 직원의 경우, 정보보안 유지 등 법과 제도적 문제를 우선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여자 직원들은 인력의 확충과 컴퓨터 활용교육의 강화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전산화를 통한 비용 및 경비절감, 의사전달의 정확성, 인력절감, 문서작성, 정책자료 제공, 근무환경, 업무의 투명성, 대민 서비스, 책임감 등의 효과는 매우 크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현재의 비효율성을 개선하는데 전산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부서별 인력을 재배치하고, 책임의 소재를 명확히 하여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 논문은 2000년 8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임.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 of th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perceived by college staffs who were pursuing administrative effectiveness and speediness based on computer-used job performance. College staffs were trying to reduce those impacts and to solve their problems of maximum change of their conventional job skills and knowledge into new media-based job performances. To these problematic sources were asked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was the level of th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perceived by the college staffs? Second, on what level of the task performance do they perceive the effect of th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Third, what were their opinions perceived by college staffs for the desirabl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Fourth, what differences of th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do they have between the male and female groups of the college staffs, and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 members of them? To find out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were involved 217 college staffs in Chung- Buk Province who were engaged in two private and two public universities/colleges, and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constructed for this thesi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were interpreted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the college staffs perceived no difficulties of handling present job task and performance based on computer system.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college staffs thought that th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should be applied to the future job task and that the handling of this job task should be computerized more than seventy percent. Third, it was shown that the male staff members thought that the more important things were to distribute software programs and to make positive changes into computerization in higher education but it was known that the female members thought that the standardization of computerization was more important. Fourth, it was known that public organization staffs thought that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needed more hardware items than the private ones. However, it was known that private organization staffs thought that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needed more systematic systems than any other ones. Fifth, it was conceived that higher education staffs thought that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contributed to make their conventional job tasks easier than before but to make more elaborated job tasks added and them felt more complicated in the near future. Sixth, it was shown that higher education staffs thought that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contributed to make them most frequently and dominantly use internet networking systems for delivering documents, and next use them for performing statistical data managements, and financial and personnel managements. Seventh, it was also shown that the male staff members thought that the important priorities were to keep security systems against illegal usages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However, it was known that the female members thought that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was more important and in-service education for computer-assisted administration should be activated. Eighth, it was analyzed that the college staffs thought that th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reduced cost/expenditure, staff numbers, and bad working conditions, and made it effective to manage documentation and policy-making resources, services for clients, and job responsibilities, and also made it clear to communicate each other and to process job tasks. Ninth, it was finally Inferred that the college staffs thought that th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would make it necessary to remove present job inefficiency and also make it possible to assign staff members into their own jobs and to recognize their own Job responsibilities. It was concluded that college/university staff members should be trained for nationwide educational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processes: standardization, communication, clarity, and adaptiveness. And it was also suggested that well-designed education for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is to improve the belief that college/university staff members should make develop their own potentiality into higher order of administrative effectiveness and into solving of worldwide future problems in higher education.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0

      • 전산화 단층장치의 테이블 이동간격의 정확성에 대한 정량적분석 : Gd₂0₂S:Tb 증감지를 이용한 연구

        김선기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Gd_(2)O_(2)S:Tb 증감지는 소량의 X-선을 흡수하여 많은 양의 빛(光量子)으로 변환시키는 능력이 있다. 이러한 증감지는 의료계에서 X-선이 환자를 투과하여 각 조직의 감약 특성에 의하여 X-선을 가시광선으로 바꾸어 환자의 정보를 빛으로 변환시켜주는 작용을 하고 이 빛으로 하여금 필름을 감광하여 기록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증감지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산화단층장치에서 사용되는 X-선(fan beam)을 빛으로 변환하고 빔 슬라이스(beam slice)에 따른 테이블의 이동거리를 카메라로 녹화한 후 슬라이스 및 피치변화에 따른 테이블의 이동간격과 증감지에 나타난 슬라이스 영상들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합성하여 테이블이 한번 이동한 간격을 하나의 영상으로 만들고 앞서의 합성영상과 스케일을 비교 측정하여 전산화단층장비의 테이블 이동간격의 정확도 측정을 위해 Gd_(2)O_(2)S:Tb 증감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전산화단층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빔 슬라이스는 1, 3, 5, 7, 10[㎜] 등을 사용하여 피치 1.0, 1.5, 2.0, 2.5, 3.0의 변화를 주어 관전압 120[kVp]에 관전류 200[mA]의 X-선을 조사하였고 스캔 시간은 1[sec]로 하였다. 이 결과 피치변화에 따른 테이블 이동간격의 편차가 6[%] 이내 임을 확인하였고 동일한 반복 실험 시 테이블 이동 간격의 편차의 재현성이 5[%] 이내 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빔 슬라이스가 다른 피치의 편차는 [5%]이내 임을 확인하였다. Gd_(2)O_(2)S:Tb 증감지에 의한 전산화단층장치의 빔 슬라이스 및 피치 변화에 대하여 우수한 재현성을 확인하였고 테이블 이동 간격의 정확도 측정의 방법으로도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ability of an Gd₂0₂S:Tb intensifying screen to convert absorbed X-ray energy into visible light energy. A sheet of crystals of inorganic salts (called phosphors) which emit fluorescent light when excited by X-ray radiation. The sheets are used to intensify the effect of X-rays during exposure of X-ray film. The intensifying screen is nearly always used with X-ray film in radiography. The efficacy of the screen in converting X-rays into light photons is called the intrinsic conversion efficiency. we performed this study to obtained from each detector element as the source rotates forms a fan beam collection of measurements and recorded table moving distance using the camera system. In this experiment, we are using the Gd₂0₂S:Tb intensifying screen for measuring the computed tomography (CT) table moving interval space precision with the compare of pre synthetic imaging to scale according to slice and pitch change. we changed pitch 1.0, 1.5, 2.0, 2.5, 3.0 with the beam slice 1, 3, 5, 7, 10mm. exposure to a beam of radiation 120Kvp, 200mA total scan time is 1.0sec. The results were as follow : the table moving interval space was varied in the range of ±6% changed pitch and also interval space reproducibility was varied ±5%, slice and other pitch was varied ±5%. From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Gd₂0₂S:Tb intensifying screen for measuring with the beam slice and the changed pitch conformed surpass reproducibility and useful measured the computed tomography (CT) table moving interval space prec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