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유아권리인식 및 문제행동지도전략 간의 관계

        최정민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유아권리인식 및 문제행동지도전략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유아권리인식 및 문제행동지도전략은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경향을 보이는가? 2.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유아권리인식 및 문제행동지도전략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유아권리인식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2.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문제행동지도전략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3. 보육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문제행동지도전략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지역의 어린이집에서 재직 중인 만3세~만5세 유아반 교사 314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조은주(2012)가 타당도를 검증한 ‘전문성인식’ 척도를 사용하였고, 보육교사의 유아권리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최은숙(2014)이 타당도를 검증한 ‘아동권리인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보육교사의 문제행동지도전략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김연하(2007)가 타당도를 검증한  ‘문제행동지도전략’(Teacher Strategy Questionnaire: TSQ)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9.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자료분석은 연구 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이 이뤄졌다. 첫째,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빈도분석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일원변량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유아권리인식 및 문제행동지도전략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은 교사의 연령, 학력, 근무기관, 경력, 담당 유아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공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20대 보육교사이며, 4년제 이상의 학력을 가졌고, 법인어린이집에 근무하며, 5년 미만의 경력을 가졌고, 5세 유아반을 담당하는 교사의 경우 전문성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은 교사의 연령, 학력, 근무기관, 경력, 담당 유아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40대 이상의 보육교사이며, 4년제 이상의 학력을 가졌고,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며, 사회복지를 전공하고, 5년 미만의 경력을 가졌으며, 5세 유아반을 담당한 교사의 경우 유아권리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문제행동지도전략은 교사의 연령, 학력, 근무기관, 경력, 담당 유아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20대 보육교사이며, 4년제 이상의 학력을 가졌고,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며, 아동학을 전공하고, 5년 미만의 경력을 가졌으며, 5세 유아반을 담당한 교사의 경우 문제행동지도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유아권리인식 및 문제행동지도전략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세 변인 간에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인 간의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유아권리인식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은 유아권리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높을수록 유아권리인식도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문제행동지도전략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은 보육교사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높을수록 문제행동지도전략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보육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문제행동지도전략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보육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은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보육교사의 유아권리인식이 높을수록 문제행동지도전략도 많이 사용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유아권리인식 및 문제행동지도전략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유아의 권리에 대한 인식은 물론 유아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미 있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육현장에서의 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역량의 중요성 및 그 영향력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높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rights,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achieve this goal are as following. 1. What is the tendency of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rights, and problem behavior strategy show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eachers?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rights,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2-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rights? 2-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2-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rights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314 nursery teachers for ages between 3 and 5, working at daycare centers across the country. The 'professionalism' scale, verified for validity by Jo Eun-ju (2012), was used to find out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recognition of children’s rights’ scale, verified for validity by Choi Eun-suk (2014) was used to understand the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In addition, 'Teacher Strategy Questionnaire (TSQ)' scale, of which the validity was verified by Kim Yeon-ha (2007) was used to understand the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of childcare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9.0 statistical program.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s following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teachers,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cheffé's verification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comprehensively. Second, Pearson's moment-effec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rights,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The results of research ques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childcare teachers’ general trends based on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 educational background, work place, career, and age of children in charge, but not according to the teachers’ major area of study. In other words, teachers in their 20s with more than 4 years of more of college education, employed at a corporate childcare center in charge of 5-year-old for less than 5 years were shown to have the highest recognition level of professionalism. As for the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righ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 educational background, major area of study, career, and age of children in charg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places. In other words, childcare teachers in their 20s or older with 4 years or more of college education, majoring in social welfare, have worked less than 5 years, and in charge of 5-year-old nursery class, showed the highest awareness level of children's rights. The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of childcare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 educational background, work places, career, and ages of children in charge. In other words, childcare teachers in their 20s with 4 years or more of college education, majoring in child studies, employed at a workplace childcare center for less than 5 years, and in charge of 5-year-old nursery classes, were shown to use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the mos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rights,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these three variables are found to have positive correlatio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specifically examine the influence among each variable are as following. First,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righ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had an effect on the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rights.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higher the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the higher the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rights. Next,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had an effect on childcare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This can also mean that more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is used as the childcare teachers show higher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In addition,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rights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rights had an effect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rights, the more usage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This study implicate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rights,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not to mention a significant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on awareness of young children’s rights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s the importance and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their competency in the childcare field.

      • 교사전문성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이우태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807

        교사전문성은 학교교육활동에서 교육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의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 스스로 자신의 직무수행 활동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통해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전문성을 스스로 점검하고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교사전문성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전문성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교사전문성 측정도구를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셋째. 교사전문성 측정도구를 어떻게 검증할 것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교사전문성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정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전문성 측정 도구를 구안하였으며, 구안된 교사전문성 측정도구는 초ㆍ중등 교사를 대상으로 예비 검사에서는 타당도와 신뢰도를, 본 검사에서는 도구의 적합성을 규명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교사전문성의 구성요소는 3개의 전문성 영역에 따른 7개의 평가 준거, 32개의 평가 요소로 정리되었다. 둘째, 교사전문성의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직접 80개의 문항을 구성한 후, 전문가 집단과의 협의 및 검토 작업을 통하여 7개의 문항에 대한 수정 및 3개의 문항을 삭제하였다. 이를 제외한 문항에 대해 부산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사 각각 200명을 대상으로, SPSS WIN 16.0을 활용하여 예비 검사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사한 결과, 9개의 문항을 제외한 68개의 문항이 본 검사를 위한 교사전문성 측정도구의 문항으로 선정되었다. 1차 척도 개발에서 선정된 68개의 교사전문성 측정도구의 문항들에 대해 부산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사 각각 200명을 대상으로, AMOS 5.0을 활용하여 확인 타당화 과정(conirmatory test procedures)을 거친 결과 통계적으로 매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68개의 문항으로 최종적으로 사용하여 교사전문성 측정도구를 구안하였다. 셋째, 예비검사를 통하여 교사전문성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을 검증한 결과, 도구 구성 변인간 상관관계가 .312 - .776으로 유의미한 정도를 보였으며, 요인별 및 문항별 전체 신뢰도 계수가 .833 - .935로 평가척도가 매우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검사 문항에 대한 적합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도구 구성 변인간 상관관계 .71, 통계량 1496.00, 자유도(df=163)에 의한 통계량 3.30으로 P<.001 수준에서 적절하게 나타났다. 또한 도구의 적합도 지수를 살펴본 결과, 기초부합지수(GFI), 수정기초부합지수(AGFI), 비교적합지수(CFI), 비표준적합지수(NNFI), 잔차평균자승이중근(RMR)의 값이 각각 0.834, 0.807, 0.899, 0.890, 0.030으로 최적모델에 가까운 지수 값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표본 크기에 민감하지 않고, 모형의 간명성을 보여주는 지수인 잔차평균자승이중근(Root Mean Residual, RMR), 비표준적합지수(NNFI), 비교적합지수(CFI)의 값이 각각 0.030, 0.890, 0.899로 각각의 적합도 지수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모형 적합도를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본 연구의 교사전문성 측정도구는 통계적으로 매우 적합하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의 교사전문성 측정도구는 높은 타당성과 신뢰성, 그리고 적합성을 갖는 유의미한 평가 척도로서 초ㆍ중등 교사의 전문성과 직무를 고려할 수 있는 유용한 척도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어 : 학교교육의 목적과 교사, 교사의 역할, 교사의 자질, 교사의 직무,교사평가, 교사전문성의 구성요소, 교사전문성 측정도구

      •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이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안주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 및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이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개인 변인에 따른 전문성 인식, 자아탄력성 및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교사의 전문성 인식, 자아탄력성 및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이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 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유아반 교사 249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전문성 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Wang(2005)이 개발한 도구를 기초로 정아람(2016)이 번안한 교사 전문성 인식 평정척도(Current Status Self-Desire for Professional Competence)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자아탄력성 도구는 Klohnen(1996)이 개발하고 박현진(1996)이 번역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연하(2007)가 제작한 교사용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척도(Teacher Strategy Questionnaire: TSQ)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t 검증,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개인 변인(연령, 최종학력, 경력)에 따른 전문성 인식, 자아탄력성,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연령과 학력이 높고 경력이 많을수록 자신의 전문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자아탄력성은 학력이 높고 경력이 많은 교사일수록 자아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문제행동 지도전략은 학력이 높은 교사가 긍정적 예방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전문성 인식, 자아탄력성 및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는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 모두가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예방전략, 긍정적 반응전략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 중 운영관리 능력, 의사소통 능력은 부정적 반응전략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자아탄력성은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는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모두가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예방전략, 긍정적 반응전략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자신감, 낙관적 태도, 분노조절은 부정적 반응전략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인 교수능력, 운영관리 능력, 의사소통 능력, 전문성 신장 능력, 보육보호 능력 모두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대인관계 효율성, 낙관적 태도, 분노조절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능력과 분노조절은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이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문성 인식 하위요인 중에서는 운영관리 능력과 보육보호 능력, 자아탄력성 하위요인 중에서는 대인관계 효율성이 긍정적 예방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성 인식 하위요인 중 운영관리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 자아탄력성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 효율성이 긍정적 반응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 변인 모두 부정적 반응전략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이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유아 문제행동을 효과적으로 지도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을 지원하는 교사교육 및 심리적인 지원 방안의 토대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원 승진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이애경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초·중등학교 교원들이 교원 승진 규정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대전 및 경기도내 초·중등학교 교원 4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PC+에 의해서 전산처리 하였고 교사의 특성별로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F검증, t검증, Scheffe-test, χ²검증을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간략하게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승진 제도에 대한 교원의 관심은 적은 편이고, 승진 제도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며 특히, 여교사와 일반 교사는 불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승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인간관계·승진운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문성 신장 확립을 위해 요구되는 교사의 조건으로는 사명감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전문성 신장에 있어서 저해 요인으로 교원은 선별 기준의 모순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다. 둘째, 현행 승진 규정이 교직의 전문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전체적으로 보면 보통 수준(M=3.31)을 상회하는 것으로 지각하였으며 영역별로는 가산점 평정(M=3.38), 연수성적 평정(M=3.32), 근무성적 평정(M=3.27), 경력 평정(M=3.26)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지각하고 있다. 셋째, 현행 승진 규정의 개선 방안으로 교원은 능력 중심 승진 제도로 전환하려는 방안과 자격 제도를 교수-관리체계로 분리하는 방안에 대해 찬성하는 의견이 많았다. 직무와 관련된 대학원 학위 논문 연구실적 평정 점수를 상향 조정한다는 방안과 전문 박사 학위취득자에 대하여 승진시 우대한다는 방안에 대해서는 보통의 의견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전문성 신장을 위한 현행 승진 규정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승진 제도가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교원의 전문적 능력 개발과 사기를 높일 수 있는 수단인 만큼 객관성 및 신뢰성 이 보장될 수 있도록 일정한 원칙과 기준의 설정과 시행이 필요하다. 둘째, 현행 교원 자격·승진체계가 가르치는 일에서 경영하는 관리직으로 자리를 바꾸도록 구조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교원의 자격체계를 세분화하여 교직의 전문성을 신장하는 교수 중심의 방향과 학교경영·관리 행정을 하는 방향 즉, 2원화된 승진 체계의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교원은 승진기회가 극히 제한되어 있어 승진대상자의 적체현상이 초래되고 승진경쟁이 과열될 수밖에 없으므로 많은 교사가 학생을 가르치는 일에 자긍심을 갖고 성실히 근무할 수 있도록 교단교사 우대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절실하다. 넷째, 급변하는 사회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이 절실하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안정적인 교육 재정의 확보가 시급하다. 우수한 인재를 유인할 수 있는 정책 마련뿐만 아니라 교사가 자질 향상과 전문성에 필요한 다양한 연수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재정적인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ought about teacher promotion regulation and to seek reform measure for teacher promotion system. For the purpose, 460 teache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Seoul, Taejon and Kyonggi Province were survey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PC+ program, and F-test, t-test, Scheffe test and χ² test were conducted to find out what differences was made by teacher characteristics.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the teachers investigated had little interest in the current promotion system. Their satisfaction at that system was on the average, but the female or lay teachers were dissatisfied. Human relations or fortune was recognized as the factor that gave most impact on promotion. A sense of mission was identified as the condition to improve expertise, and the contradictory screening criteria were viewed as the greatest obstacle to expertise development. Second, the impact of the current promotion regulation on expertise advancement was considered to be slightly above the average(M=3.31). By area, the factor that exerted most influence was additional score rating(M=3.38), followed by training record rating(M=3.32), efficiency rating(M=3.27), and career rating(M=3.26) in the order named. Third, as a reform measure of current promotion system, many of them were in favor of merit-based promotion and separated qualification for education and management. They showed moderate agreement about upgrading graduate school thesis rating related to job or research record rating or giving preferential treatment to teacher with doctor's degree. The ways to reform the current promotion regulation to improve expertise could be suggested as follow,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First, as the promotion system can serve as a means to attain organizational goal and elevate teacher's expertise and morale, a fixed principle and criteria should be set up to ensur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Second, there is a structural defect in the current teacher qualification and promotion system that turns teacher mission from education to management. The teacher qualification should be segmented into education and management so that a dual promotion system could be prepared. Third, teachers are given very limited chance for promotion, and those in line for promotion are on the increase, provoking overheated promotion competition. More preferential treatment should be offered for them to pride themselves on their job and devote their lives to education. Fourth, to cope with rapid social change, teacher expertise should be urgently upgraded, by securing enough educational finance. The national policy should be designed to attract competent human resources, and greater financial aid should be provided to encourage them to join diverse trainings to enhance qualification and expertise.

      • 호텔 주방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임동진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경쟁구도가 점차 치열해지고 기업 환경 및 시장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기업들은 핵심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 총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전략으로 타 기업에서 모방하기 힘든 무형자산이 점차 강조되고 있으며 호텔기업에서 생산성 향상과 조직의성과를 위해 직원의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서비스 관련 산업 중 높은 서비스 품질을 요구하는 호텔 산업은 외부고객들에게 제공하는 인적서비스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기업들은 급속히 변화하고 있는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 진취적이고 능동적인 종사자를 인재상으로 삼고, 내부 및 외부고객들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를 요구하는 실정이며 종사원의 인적서비스의 질이 곧 서비스의 품질을 측정하는 도구가 되고 그 사업체를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호텔 주방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이 조직유효성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지역 특 1급 호텔에서 근무하는 주방종사자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총 288부의 표본을 실증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t-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간의 관계성 검증을 위해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 주방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문성인식 중 전문성 자질과 자기개발 및 전문성향상활동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전문적 기능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나타났다. 둘째, 호텔 주방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문성인식 중 전문성 자질과 자기개발 및 전문성향상활동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전문적 기능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호텔 주방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의 영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가설검증결과에 의하면 호텔 주방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각각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가짐으로 이는 직무만족에 있어 전문성인식이 중요한 요인임을 의미한다. 가설의 검증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결과적으로 호텔 주방종사자의 전문성 인식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며,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향상될 때 조직의 경영성과로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주방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이 확보될 때 호텔기업의 효과적인 운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호텔 주방종사자의 전문성 인식이 조직유효성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측정하여 이에 대한 기대효과를 추정해보았다. 기존의 많은 연구들은 호텔 조리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개념적이고 직관적인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또한 호텔 주방종사자의 특성에 따른 실증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실증적인 연구이며, 실질적인 기초자료를 만드는데 의의를 갖는다. 호텔 주방 종사자의 전문성 인식에 따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는 것이 연구 영역을 넓힌 것에 의의가 있다. Recent competition has been stronger and the environment of the company and market have rapidly changed. In such situations, each company puts their all energy into marketing to take over market power. In hotel industry, hotels have been interested in th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to improve organizational productivity and performance. Especially, hotel industry requires high level of service quality among services industries. This is because services from human resource providing services to external customers are critical. Hotel industry wants to have professional employees in order to satisfy internal and external customers. Services quality is dependant on a tool which is the quality of human resource servic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professionality recognition of cooks working at hotels affects organizational efficacy measuring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cook employees working at one of top level hotels located in Seoul. Two hundred eighty eight cook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is study used several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test,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also used correlation analysis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found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how the professionality recognition of hotel's cooks affects job satisfaction. Professionality quality, self-development, professionality improvement activities of professionality recognition positively affect job satisfaction. But professionality function does not affect job satisfaction. Second,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how the professionality recognition of hotel's cooks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fessionality quality, self-development, professionality improvement activities of professionality recognition positively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professionality function does not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 results investigating how job satisfaction of hotel's cooks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wo factors. According to these hypothesis tests, professionality recognition of hotel's cook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pectively. This presents that professionality recognition is a critical factor affecting job satisfaction.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esting hypothesis. The results show that professionality recognition of hotel's cooks affects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otels achieve improvement of managerial performance wh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enhanced. In other words, when professionality recognition of hotel's cooks is guarantee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ake a positive effect on the operation of the corporation having hotels.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his study made a prediction on expectation effect measuring organizational efficacy of professionality recognition of hotel's cooks which is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urrent many research having study subjects of cooks working at hotels are mostly conceptional and intuitive. In addition, there has been lack of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cooks working at hotels. This study has meaningful implications in that it is an empirical study based on actual survey instrument and a study producing practical basic dataset. This study also has a meaningful implication because this study synthetically analyze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professionality recognition of cooks working at hotels.

      • 초등수학 영재학급 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수업컨설팅의 방안 탐색

        김민정 한국교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초등수학 영재학급 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해 수업컨설팅의 단계와 절차를 고안하여 영재교사와 컨설턴트 간의 4:4 수업컨설팅을 1차와 2차에 걸쳐 적용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수학 영재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수업컨설팅의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초등수학 영재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수업컨설팅은 어떠한가? 1) 수업컨설팅 중 교사들의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2) 수업컨설팅 중 컨설턴트들의 피드백은 무엇인가? 3) 교사들과 컨설턴트들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나. 수업컨설팅을 통한 초등수학 영재학급 교사의 수업전문성의 변화는 어떠한가? 1) 초등수학 영재학급의 수업계획 측면에서 수업전문성의 변화는 어떠한가? 2) 초등수학 영재학급의 수업운영 측면에서 수업전문성의 변화는 어떠한가? 3) 초등수학 영재학급의 수업실행 측면에서 수업전문성의 변화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업컨설팅에 대한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초등수학 영재학급의 교사들에게 적용할 수업컨설팅의 단계를 고안하였다. 수업전문성 향상에 관심이 있는 초등수학 영재학급 교사 네 명을 컨설턴티로 선정하고, 초등수학 또는 수학영재교육에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컨설턴트 네 명을 선정하여 1차와 2차 4:4 수업컨설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약 6개월 간 수업컨설팅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수집한 자료와 그에 대한 분석 방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구사항 및 피드백 분석 기준을 선정하고 적용함으로써 영재학급 교사들의 요구사항과 컨설턴트들의 피드백 및 상호작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둘째, 네 명의 영재학급 교사들을 대상으로 3차시씩 3회, 총 36차시의 수업동영상 및 수업컨설팅 자료를 수집하고 초등수학 영재학급 수업전문성 점검 기준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와 2차 수업컨설팅에서 교사들은 수준별 학습과 모둠학습 및 수업자료와 같이 비슷한 요구사항을 요청하였으며 교사들의 요구사항은 쉽게 바뀌지 않았고 그들은 수업을 진행하는 측면에 대한 고민이 많았다. 컨설턴트들은 1차와 2차에서 제시한 수업피드백의 내용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으나 궁극적으로 교사의 자세와 영재중심 수업분위기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바람직한 영재학급의 수업을 진행하는데 기본이 되는 측면을 강조하였다. 둘째, 각 교사들은 1차에 비해 2차 때 대부분의 컨설턴트들이 제공한 수업피드백과 요구피드백을 수용한다는 의지를 표현하였으며 1차에서는 요구피드백에 대한 수용 의지가 많았으나 2차에서는 수업피드백에 대한 수용 의지가 더 많았다. 또한, 교사2는 1차와 2차에서 요구사항에 대한 피드백뿐만 아니라 요구사항 이외에 대한 피드백도 수용하려는 의지를 표현한 교사로 수업계획, 수업운영, 수업실행 측면에서 수용 피드백을 모두 실행하였다. 이처럼 반복되는 수업컨설팅에서 요구사항과 요구사항 이외의 피드백에 대한 수용 의지를 표현한 양상은 수업전문성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수업계획 측면과 수업실행 측면에서 각 교사들이 1차와 2차에서 공통 피드백과 수용 피드백에 대한 실행 여부는 교사마다 차이가 있었지만, 수업운영 측면에서는 교사마다 비슷하게 실행하였다. 학습 환경 요소와 관련된 수업운영 측면에서 교사들은 1차에서 부분 실행을 하였지만, 2차에서는 모두 실행하였다. 수업계획 측면에서 일부 교사들의 부진 요소는 수학영재프로그램의 재구성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수업실행 측면에서 일부 교사들은 수학영재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학적 논의를 활성화 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수업컨설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실제 수업을 통해 문제점을 진단하고 진단-처방-실시와 같은 수업컨설팅의 단계를 반복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한 교사들과 컨설턴트들 사이에 원활한 수업컨설팅이 진행되도록 수업컨설팅의 절차를 수업컨설팅 맥락에 맞추어 수정하여 진행하는 것도 중요하다. 따라서 효과적인 수업컨설팅이 진행될 수 있도록 수업과 요구사항을 진단의 자료로 삼아 수업컨설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맥락을 고려하여 수업피드백과 요구피드백을 2회 이상 반복하여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둘째, 수업컨설팅 중 교사 네 명은 수준별 학습과 모둠 학습 진행 방법, 수업자료 활용에 대해 꾸준히 요청하고 컨설턴트 네 명은 영재중심 수업분위기 및 교사의 자세, 수학적 논의에 대해 꾸준히 피드백 하였다. 수업을 3차까지 진행하며 수업계획 측면에서 일부 교사들이 해당 영재학급에 적합한 수학영재프로그램을 재구성하는데 어려움을 보였으며 수업실행 측면에서 수학적 논의에 대한 추가 지도가 필요했지만 수업운영 측면에서는 마지막 수업 때 모두 영재중심 수업분위기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수업컨설팅을 진행할 때 언급한 요소들에 대해 피드백이 필요한 적합한 시기를 선정하여 계획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우수사례 발표, 매뉴얼 제공, 자료 공유, 집합 연수나 원격 연수 등 다양하게 고려해서 교사들에게 제공해야 한다. 셋째, 교사 네 명이 공통으로 요구한 사항의 요소와 컨설턴트 네 명이 공통으로 피드백 한 내용의 요소에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영재교사의 역할에 대한 교사 네 명의 신념은 실제 수업에서 살펴보기 어려웠으며 일부 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자기평가도 실제 수업과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수업컨설팅에 참여하는 초등수학 영재학급 교사는 스스로 객관적인 시각에서 자신의 수업을 되돌아보고 도움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 컨설턴트에게 요청해야 한다. 본 연구는 초등수학 영재학급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제 수업컨설팅을 진행하고 교사들의 요구사항 및 컨설턴트들의 피드백을 파악하며 그들의 상호작용 및 교사들의 수업전문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여러 영재교육 기관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수업컨설팅을 진행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과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

        송석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와 이에 따라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이루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에 따라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세종특별자치시 관내의 국․공립병설유치원, 국․공립단설유치원, 사립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187명의 교사이다. 연구도구는 ‘교직전문성 인식 측정 도구’와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 조사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교직전문성 인식 측정 도구’는 김혜린(1993), 이선혜(2005), 조 부경(1994), 황전성(2000) 등이 선행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 조사’ 질문지는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 예비조사를 거쳐 연구자가 제작한 질문지로서 5개 범주의 총 24문항 선택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처리는 ‘교직전문성 인식 측정 도구’에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에 대한 평균점수를 중심으로 상위 25%, 중위 50%, 하위 25%인 상․중․하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 조사 도구’는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 상․중․하 집단의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x2-검증 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은 전체평균이 3.98로 중간(M=3.00) 기준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며, 하위영역별로는 자율성, 고도의 지적능력, 직업윤리, 사회봉사기능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지위는 전체평균 이하(M=2.70)로 낮은 인식을 나타내었다. 경력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인식 정도는 20년 이상의 교사(M=4.08, SD=.11)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10~20년 미만, 3~10년 미만, 3년 미만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는 대학원 재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교사(M=4.03, SD=.33)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4년제 대학졸업, 2,3년제 대학졸업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는 고도의 지적능력(p<.05), 자율성 영역(p<.001)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교직전문성 인식은 국․공립병설유치원 교사, 국․공립단설유치원, 사립유치원 순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에서는 고도의 지적능력(p<.05)과 직업윤리(p<.01)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직책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부장교사, 교사, 기간제 교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에 따른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주된 목적 및 필요성에 관한 사항으로써 상․중․하 집단의 교원능력개발평가 목적에 대한 인식을 보면 모든 집단에서 ‘교육의 질 향상’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만족도 조사의 목적은 상․중․하 집단의 교사가 모두 ‘교육의 질 향상’을 조사목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 가장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상․중․하 집단의 교사가 ‘공정하고 신뢰로운 평가도구’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불필요한 사항에 대한 인식은 상․중․하 집단의 교사가 ‘업무과중으로 인한 수업 불충실’로 인식하였다. 우수교사 평가로 인정하는 가장 필요한 자질에 대한 인식은 상 집단에서는 ‘교직에 대한 사명감’을, 중 집단에서는 ‘교수방법 및 기술’을 우수교사의 가장 필요한 자질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내용에 관한 사항으로 일반교사(특수교사 포함) 평가요소 중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평가되어야 할 요소로는 상․중․하 집단의 교사가 ‘수업실행’으로 인식하였으며 평가요소 외에 가장 중점적으로 평가되어야 할 요소 또한 세 집단 모두 ‘교육자로서의 품성’을 평가해야 된다고 나타났다. 수석교사 평가요소 중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평가되어야 할 요소로 상․중의 집단에서는 ‘수업지원’을, 하 집단에서는 ‘연수․연구지원’이 평가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원감 평가요소 중에서는 상 집단에서 원내장학을 중․하 집단에서는 ‘유치원 교육계획’을 가장 중요한 평가요소로 인식하고 있으나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장 평가요소 중에서도 상 집단에서는 ‘교원인사 평가요소’와 중․하 집단에서는 ‘유치원 교육계획’을 중점적 평가요소로 인식하고 있으나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방법에 관한 사항으로 상․중․하 집단의 교사가 ‘기준점수를 정하고 그 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을 때’ 우수교사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교원 평가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상․중․하 집단에서 ‘동료 교사 간 갈등과 위화감 조성’이 동료평가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동료교사 평가영역은 상․중 집단에서는 ‘유아의 생활지도 및 인성지도 영역까지 포함‘해야 한다고 응답하였고, 하 집단에서는 ’학급에서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활동까지 포함‘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학부모 만족도조사 방법은 상․중 집단이 ’컴퓨터 온라인 평가와 설문지평가 중 선택하여 응답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하 집단 교사들은 ’컴퓨터 온라인 평가 방법‘으로 인식이 나타났다. 학부모 평가비율에 대한 상 집단은 ’10%‘, 중 집단은 ’20~30%‘, 하 집단의 인식은 ’10~20%‘ 정도 차지해야 된다는 인식이 나타났다. 다섯째,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결과 활용에 대한 사항으로 상․중․하 집단이 ‘교원 스스로의 전문성 향상 자료로 활용되어져야 한다’고 나타났다. 전문성과 자질이 우수한 교사로 판정된 교사에 대한 후속조치 인식은 상․중․하 집단이 ‘학습 연구년제 등 특별연수 기회를 부여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전문성과 자질이 부족한 교사의 후속조치는 상․중․하 집단이 ‘현장근무와 동시에 부족한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계별 맞춤형 연수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교원능력개발평가 이후 자기 능력개발계획서 실행에 대한 인식은 상 집단에서는 ‘교사연구 동아리 참여’, 중 집단에서는 ‘원격연수를 통한 학습’, 하 집단에서는 ‘공공기관의 강연 및 세미나 참석’으로 인식하고 있다.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조치로써 가장 필요한 것은 상․중․하 집단에서 ‘교원능력평가에 따른 업무경감을 위해 행․재정적 지원체계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 전문성 수준에 적응적인 학습활동 중심 이러닝 설계전략 개발

        김선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Adaptive learning in e-learning environment is one of the typical methods that enables individualized learning based on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differences using network and digital technology. Most researches related to adaptive learning in e-learning environment so far, have been focused on developing system utilizing developmental techniques and selecting learning style as learners’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the studies about how to design an adaptive e-learning and what to be selected as learners’ characteristics are insufficient. The studies of ‘Learning activity based on e-learning design’ and ‘learning to expertise level’ have the possibility to solve the limitations, but those studies also have been lack of design strategies and components to support design activities. The primary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nd validate the e-learning design strategies based on leaning activity adapting to expertise level, and investigate the learners' responses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e-learning program with the strategies. The e-learning design strategies based on leaning activity adapting to expertise level include four theoretical components, thirteen general design strategies and forty-four detailed guidelines. The theoretical components are ‘learning activities design’, ‘learning resources design’, ‘learning supports design’, and ‘construct of design elements’. The general design strategies are composed of 1) eight design strategies for learning objectives, expertise level evaluation, main learning activity construction, learning outcome related to ‘learning activities design’, 2) design strategies for learning material and learning tools related to ‘learning resources design’, 3) design strategies for help/feedback and learning management related to ‘learning supports design’, and 4) design strategies for learning objects and sequences related to ‘construct of design elements’. In addition, the detailed guidelines to each design strategies are composed of ‘basic guidelines’ and ‘situational context guidelines’. A e-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using e-learning design strategies based on leaning activity adapting to expertise level and implemented. Participants' responses showed that the e-learning program developed with these design strategies was helpful for increasing achievement, and stimulating and sustaining learner's motivation. But the participants responded activities of learning based on learning tasks, writing expected achievement level for learning goals, and pretest for learning goals were not so helpful. Moreover, the participants suggested opposite opinions to the detailed guidelines for selecting learning activities of ‘presenting learning activities to the learner with low expertise level and enabling the learner with high expertise level to select their learning activities’.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develop practical and specific strategies to design adaptive learning in e-learning environments effectively by considering ‘expertise level’ based on ‘learning activity based e-learning desig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make contributions to suggest useful guidanc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e-learning program and support system for providing various learning activities adapting to expertise level as learners’ characteristics. Key words: Learning activity based e-learning design, Adaptive learning in e-learning environments, e-Learning to expertise level, e-Learning Design Strategies based on Learning Activity adapting to Expertise Level Student ID: 2007-30373 이러닝 환경에서의 적응적 학습은 네트워크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학습자 특성과 개인차를 고려하는 개별화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대표적인 방안 중 하나이다. 지금까지 이러닝 환경에서의 적응적 학습은 기술적인 기법을 적용한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와 학습양식을 학습자 특성으로 선정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즉, 실제적인 학습 효과를 고려하여 이러닝 환경에서의 적응적 학습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어떠한 학습자 특성을 선정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학습활동 중심 이러닝 설계에 기반을 둔 적응적 학습’과 ‘전문성 수준에 적응적인 학습’은 이러한 이러닝 환경에서의 적응적 학습이 가지고 있는 제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각각의 연구 역시 실제적인 설계활동을 지원하는 설계전략과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전문성 수준에 적응적인 학습활동 중심 이러닝 설계전략을 개발하고, 해당 설계전략을 적용한 이러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학습한 학습자의 반응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전문성 수준에 적응적인 학습활동 중심 이러닝 설계전략은 ‘학습활동 설계’, ‘학습자원 설계’, ‘학습지원 설계’, 그리고 ‘설계요소의 구성’의 네 가지 이론적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열 세 개의 일반 설계전략과 마흔 네 개의 상세지침으로 구성되었다. 일반 설계전략은 1) ‘학습활동 설계’와 관련하여 학습목표, 전문성 수준 평가, 주요 학습활동 구성, 학습결과에 대한 여덟 개의 설계전략, 2) ‘학습자원 설계’와 관련하여 학습자료, 학습도구에 대한 두 개의 설계전략, 3) ‘학습지원 설계’와 관련하여 도움 및 피드백, 학습관리에 대한 두 개의 설계전략, 그리고 4) ‘설계요소의 구성’과 관련하여 학습객체와 계열화에 대한 두 개의 설계전략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각각의 일반 설계전략에 따른 상세지침은 활용 수준에 따라 모든 상황에 활용되는 ‘기본 상세지침’과 학습내용, 학습방법 등 상황 및 맥락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상황 맥락적 상세지침’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전문성 수준에 적응적인 학습활동 중심 이러닝 설계전략을 적용하여 이러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학습한 학습자의 반응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해당 설계전략을 적용한 이러닝 프로그램이 학업 성취, 학습 동기 유발 및 유지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습과제를 중심으로 학습하고, 학습목표에 대한 예상 성취 수준을 작성하며, 학습목표에 대한 사전테스트를 해결하는 활동이 학업 성취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학습활동 선택에 있어 해당 상세지침인 ‘전문성 수준이 낮은 학습자에게는 학습활동을 제시하고, 전문성 수준이 높은 학습자에게는 학습활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라.’와 반대되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활동 중심 설계’에 기반을 두어 학습자의 ‘전문성 수준’을 고려함으로써 이러닝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적응적 학습을 설계할 수 있는 설계전략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자 특성에 적응적인 다양한 학습활동을 제공하는 이러닝 프로그램 및 지원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는 데 있어 실제적이고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어: 학습활동 중심 이러닝 설계, 이러닝 환경에서의 적응적 학습, 전문성 수준에 따른 이러닝, 전문성 수준에 적응적인 학습활동 중심 이러닝 설계전략 학 번: 2007-30373

      • 전문성 발달 단계를 반영한 교사자격기준 개발 및 타당성 분석

        박준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develop 2-dimensional teacher qualification standards, which reflect professional domain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s, and to examine their validity, with the aim of improving teacher professiona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cedures were utilized. First, the professional domains of a teacher as well as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f this study. Secondly, a two-rou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the opinions from 30 experts including professors, school principals and educational supervisors. The components of the standards have been adjusted according to the statements of the experts, and the validation of the components was examined using PASW Statistics 18.0. Finally, a survey that consisted of 2,000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 participant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standards. For data analyses Rasch measurement model of WINSTEPS 3.68.2 and PASW Statistics 18.0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model for developing teacher professionalism standards includes teaching professional domai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s, resulting in a 2-dimensional structure. The teacher professional domain is shown to consist of the knowledge of education domain, education practice domain, and teaching profession fulfillment domain. The Knowledge of education domain is identified as knowledge area, which relates to the knowledge of the subject content that is required by a teacher to instruct students and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that maximises learning effects. The education practice domain is the practice capability area, which refers to the actual capability, in addition to theoretical knowledge, to successfully carry out teaching activity. The teaching profession fulfillment domain is related to a teacher’s competency, as a member of school, to promote teaching culture among teachers and exert educational leadership. Th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s were presented to consist of the professional establishment level, professional application level, professional improvement level, and professional distribution level. The professional establishment level is where a teacher initiates the beginning of building professional upon the start of their career in teaching. The professional application level can be achieved when professional knowledge and attitude are effectively applied to learning activities. The professional improvement level can be seen when a teacher’s professional deepens and they can be seen as a vital member of the school. The three professional domains are further divided into specific twenty domains, and by combining these twenty professional domains and the four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s, making eighty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s. Secondly, the results of analysing of construct validity of the comments made by experts in education about the teacher professional standards showed that the median (M) for the first round was 4.11~4.68 while that of the second round was 4.36~4.86, showing overall increase in terms of the range. The Content Validity Ratios (CVR) were .53~.87 for the first round and .60~.85 for the second round. This proves that the construct is valid enough. In regards to reliability, the range of Cronbach alpha’s coefficient was .619~.915 for the first round and .771~.944 for the second round, which imply that the results were reliable. Thirdly, the results of analysis for the validity of teacher professional standards for school teachers are as follows. An analysis of the construct validity indicated a median (M) of 3. 54~3.89 and standard deviatioin (SD) of .69~.86, thus showing that the school teachers generally believed that it was valid. The goodness-of-fit index of the questionnaire that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was .8~1.2. Referring to the goodness-of-fit of the questionnaire, the components of th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standards in question were confirmed to well represent themselves as standards. In the test of reliability, the Chronbach alpha’s coefficient was .890~.951 which was above average level of satisfac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standards presented in this study conforms to school teachers’ experiential awareness and that the standards may become generalised, thus, it is appropriate to use them as teacher qualification standard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teacher qualification standards are closely related to a teacher’s continuous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In this point, teacher qualification standards can be divided into 3 areas,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s into 4 levels. This will allow 2-dimensional approach that will more effective than 1-dimensional approach in developing professional. Secondly, the teacher qualification standards that are developed i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asic direction of personnel administration policy in education should be changed. This means that it is required, through the teacher professional improvement, to propose 2 ways for a teacher to become either a successful teacher or an educational administrator. Thirdly, this study reveals that the nearly all standards for the teacher professionalism were clearly articulated and they can be applied to the teacher qualification standard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as a few components are not clearly explained in the statements, thus, further study may be necessary. Lastly, the 2-dimensional teacher qualification standards developed in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policy improvement of personnel administration in education, and also, in practice. It can work for a basic source in relation to developing curricular for pre-service and/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courses. In addition, it will provide various implications in relation to issues including teacher evaluation, promotion and a range of entitle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교사의 전문성 영역과 전문성 발달 단계를 반영하는 2차원 교사자격기준을 개발하고 이의 타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적용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조사 등의 기초연구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 영역과 전문성 발달 단계를 설정한 후 이에 기초하여 교사자격기준 연구 모형 및 초안을 개발하였다. 둘째, 교사자격기준 초안에 대한 교육전문가의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교육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1, 2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초안을 수정하였고,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셋째, 수정된 교사자격기준에 대한 교원들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초․중등 교원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과 WINSTEPS 3.68.2 프로그램을 활용한 Rasch 분석 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사자격기준 연구 모형은 교사 전문성 영역을 크게 3영역, 교사 전문성 발달 단계를 4단계로 설정하여 2차원으로 구조화하였다. 교사 전문성 영역은 교육지식 영역, 교육실천 영역, 교직수행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교육지식 영역은 교사가 학생을 지도하는데 필요한 교과내용 및 교육학에 관한 지식, 학습효과의 극대화를 보장하는 학생의 이해에 관한 지식 등을 포함하며, 교육실천 영역은 이론적 지식에 더하여 교직경험을 통해 얻어진 수업지도의 과정 및 활동과 관련된 능력으로서 학교교육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행 능력과 관련된 영역들을 포함한다. 교직수행 영역은 학교구성원으로서의 교사가 자신 및 동료들의 교직생활을 개선하고 교육적 리더쉽을 발휘할 수 있는 역량과 관련된 영역들이다. 교사 전문성 발달 단계는 전문성형성단계, 전문성적용단계, 전문성심화단계, 전문성확산단계로 구분하였다. 전문성형성단계는 교사가 교직에 입문하여 전문성이 형성되는 단계, 전문성적용단계는 교사가 전문적 지식과 태도를 효과적으로 학습활동에 적용하는 단계, 전문성심화단계는 학교의 중요한 구성원으로서 전문성이 심화되는 단계, 전문성확산단계는 높은 수준의 전문성에 근거하여 동료교사를 지도하는 단계로 구분하였다. 3개의 전문성 영역은 다시 9개의 중 영역과 20개의 소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전문성 소 영역 20개와 전문성 발달 4단계를 조합하여 총 80개의 교사 전문성 발달 단계가 반영된 교사자격기준을 개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사자격기준 초안에 대해 교육전문가의 반응을 조사하여 교사자격기준 초안을 수정하였다. 수정된 교사자격기준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매우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구성요소 타당도 분석 결과, 제1차 조사에서는 평균(M)이 4.11~4.68 정도였으나 제2차 조사에서는 평균(M)이 4.36~4.86 정도로 상향되었으며, 표준편차(SD)는 제1차 조사 결과 .50~.88 정도였으나 제2차 조사 결과 .36~.75의 범위로 축소되었다. 내용 타당도 비율(CVR)은 제1차 조사 결과 .53~.87이었으나 제2차 조사 결과에서는 .60~.87의 범위에 있어서 수정된 교사자격기준이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뢰도 조사에서는 제1차 조사 결과 Cronbach αlpha 계수의 범위가 .619~.917에서 제2차 조사 결과 .771~.944로 상향되었다. 셋째, 학교현장 교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교사자격기준의 내용에 기초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문항 적합도 지수를 산출하였다. 80개의 교사자격기준 중에서 78개의 기준은 내적합도와 외적합도 지수의 기준치인 0.8~1.2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문항 적합도 검증에서도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사자격기준이 매우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뢰도 조사에서는 Cronbach αlpha 계수의 범위가 .890~.951이므로 일반적인 만족 수준인 .60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사자격기준의 신뢰도도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자격기준은 교사의 지속적인 전문성 신장 및 개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교사의 전문성 발달 단계를 반영할 수 있는 교사자격기준이 시급히 개발 및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사 전문성 영역은 교육지식 영역, 교육실천 영역, 교직수행 영역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교사 전문성 발달 단계는 전문성형성단계, 전문성적용단계, 전문성심화단계, 전문성확산단계 등의 4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을 2차원으로 구조화하여 교사자격기준을 개발할 때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와 본 연구에서 수행한 델파이 조사,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는 교사의 전문성 발달 단계가 비교적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자격 단계를 교사의 전문성 발달 단계에 따라 4단계 등 다단계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사자격기준이 주는 시사점은 교직경로의 이원화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즉 교사 전문성 신장을 통해 교단교사로 성장하는 경로와 교육행정가로 성장할 수 있는 경로를 이원화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2차원 교사자격기준은 교사의 전문성 영역과 전문성 발달 단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므로 교원 양성․연수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교원평가와 승진 및 각종 자격 부여와 관련된 영역에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서비스직무교육훈련과 서비스직무경험이 서비스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정현경 세종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산업의 혁신으로 인하여 현대사회의 특징인 기술변화, 노동시장의 구조변화, 종업원의 욕구변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서비스 산업화가 되었다. 서비스의 경쟁력 강화는 서비스 사회에서 우위에 놓이며 성공을 지속적으로 유지 할 수 있음으로 선진국의 여러 나라에서는 가치가 높은 산업으로서 많은 관심과 지원을 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의 핵심인 인적자원은 기업의 생산성과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 하는 기업의 성공요인이다. 그러므로 서비스 기업은 서비스 품질을 향상을 위하여 직원에게 보다 효과적인 서비스 직무교육훈련과 조직직무를 진행하는 인적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다. 서비스 산업을 대표하는 호텔기업의 고품질 서비스 상품의 생산력의 주요 요인은 직원과 고객 모두 직원의 서비스 전문성에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서비스 전문성에 대한 중요도와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바탕으로 호텔 직무의 특성에 따라서 객실부서와 식음료부서로 나누어 각 부서별 서비스 전문성에 대한 구성요인과 서비스 직무교육훈련과 서비스 직무경험이 서비스 전문성과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증연구를 설계하고 서울시내의 특1급 호텔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회수된 349부 가운데 308부의 유효응답이 죄종 분석에 사용 되었으며 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 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객실부서의 서비스 교육훈련은 서비스 전문성의 요인 중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직무교육훈련 각 요인들은 서비스 전문성의 각 요인들과의 각기 다른 영향 관계가 있다는 것이 판명 되었다. 또한 서비스 직무경험의 일반 서비스 업무 요인은 전문성의 요인 1개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이하게도 VIP고객 관련 서비스 직무경험은 전문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음료부서의 서비스 직무교육훈련에서는 일반 서비스업무와 High Skill Solution 업무는 서비스 전문성의 요인에 서로 보완적 영향관계에 있으나 외부교육은 서비스 전문성을 오히려 감소시키는 결과로 나타났다. 서비스 직무경험의 모든 요인은 서비스 전문성의 지식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 직무경험의 각 요인들은 서비스 전문성의 각 요인들에 대해 상이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객실부서와 식음료 부서의 서비스 직무교육훈련과 직무경험이 업무에 특성에 따라서 서비스 전문성의 각기 다른 영향요인에 작용하고 있으며 각 영향 요인의 중요도 또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서비스 직무교육훈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현업에서 필요한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교육내용을 담아내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하며 서비스 직무경험이 서비스 전문성에 대한 긍정적 영향관계의 수치를 높이기 위하여 호텔직원들의 업무에 대한 자긍심과 서비스 전문성에 대한 직원 의식 고취의 필요성을 크게 일깨워 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