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光州.全南地域의 産業構造 變化에 관한 硏究 : 産業別 雇傭人口를 中心으로

        임형섭 全南大學校 1990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질적인 변화가 요구되는 현 시기에 地域經濟의 構造變化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지역 경제내에 존재하고 있는 기존의 구조를 더 한층 발전, 성장 시키는 변화가 있어야만 하는 것이다. 지역경제구조의 변화는 여러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지만 대부분 지역산업구조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다. 지역경제구조에서 재화와 용역의 생산력을 살펴 보는게 중요한데 이것은 지역의 산업구조로서 파악될수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産業構造는 국가개입에 의한 급격한 공업화 정책의 실시로 변화를 겪어왔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는 각 지역경제 단위별로 보면 현격한 示差를 보여주고 있다. 이것을 감안할 때 地域産業構造 分析은 현안 목표인 지역경제의 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가장 선행적인 문제가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산업구조와 그 지역간 차이를 파악하는 구체적인 分析技法을 이용하여 첫째로, 光州.全南 地域 全産業 구조의 특징 및 변화 모습을 밝힘과 동시에 이것을 대구, 경북, 부산, 경남 지역과 비교하며 둘째로, 제조업이 전산업 내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인식하여 광주, 전남 지역 製造業의 특징 및 변화모습을 지역경제학적인 측면에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지역산업 구조 분석 기법을 다음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로, 한 시점에 있어서의 지역산업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立地商法과 地域專門化指數 둘째로, 시점간의 지역산업구조 변화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變化-割當 分析 技法과 地域成長率示差分析技法이다. 그리고 본 연구는 산업별 고용인구를 기준으로 지역산업구조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分析結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지상법과 지역전문화지수로 광주, 전남 지역의 산업벌 特化 정도를 분석한 결과 주로 1차산업과 3차산업 부문이 전국에 비해 특화되어 지역의 기반산업으로서 나타났다. 제조업의 경우는, 저성장 업종이며 낮은 고용효과를 갖는 음식료품 및 담배제조업이 뚜렷한 기반 업종으로 나타나고 있는 반면에, 고성장 업종이며 지역공업화의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조립금속제품·기계 및 장비제조업은 비기반 업종으로 나타나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변화-할당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광주.전남 지역의 산업별 成長 效果를 분석한 결과, 산업구조 효과는 전반적으로 -로 저성장 산업의 구성비가 분석기간 사이에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지역할당 효과는 절대적으로 열악하여 지역간 대외 경쟁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의 경우는 지역내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음식료품 및 담배 제조업이 저성장 업종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고 성장 업종은 지역간 경쟁열위에 의해 지역에 미치는 순성장 효과가 상실되고 있다. 세째, 변화-할당 분석의 단점을 보완하여 산업별 成長 寄與度를 성장율로 살펴 보는 지역성장율 시차분석 결과, 유리한 산업구조와 경쟁력을 가지고 지역 성장에 기여한 산업은 주로 1차와 3차 산업이 차지하고 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光州, 全南의 산업구조는 노동 집약적인 1차산업과 소비형 구조인 3차산업이 기반을 이루고 있으며, 이들 산업 부문은 거의 저성장, 경쟁 열위 산업으로서 위치하고 있다. 또한 지역경제의 생산기반을 확충하여 공업화와 산업 구조 고도화를 유인할 수 있는 제조업 부문은 여전히 저조한 실정이다. 결국 광주.전남의 산업 구조는 고도화를 향한 점진적인 구조 개선은 이루어지지 않고 여전히 後進的인 産業 構造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光州, 全南 産業構造 改善方案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화를 선도할 제조업을 확충하여 2차산업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 둘째, 성장산업이면서 지역간 경쟁력이 강한 산업을 더욱 육성시킨다. 세째, 제조업의 발전을 선도할 금융산업의 육성 및 내실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네째, 중소기업에 적합한 소형, 경량, 고부가가치형 산업의 개발에 치중해야 한다. 다섯째, 지역성장에 대한 실질적인 파급효과가 큰 토착산업의 육성 및 새로운 지역산업에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Industrial structure of our country has experienced a great many changes since it has practiced rapid industrialization policy. But those have shown remarkable differentials when we have considered them in view of unit of regional economy. In that point, analysis of region-industry-structure will be preceding problem to accomplish pending objective development of regional economy. In this study, I used concrete analysis method to grasp the differences between regions. This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follows: First, I'd like to clarify characteristics and changed situations of Kwangju and Chunnam area, at the same time, to compare them with those of Deagu-Kyongbuk and Pusan Kyongnam area. Second, recognizing significance of the manufact uring industry among total industries, I aimed at analysis of characteristicss and changed situations of manufacturing industry in Kwangju chonnam in view of regional economy. Analysis methods of region-industry-structure used in this study were of Location Quotient, Industrial specialization Index, Shift and Share Analysis Method, and Regional Growth Rate Differentials Analysis Method. I used each industrial employment population as a cirteria for these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of my analytic work, I have reached some conclusions as follows. In respect of the industrial structure, U Kwangju-Chonnam area is mainly consisted of the agrculture, forestry and fishery industry and the service and others industry. The latter is labour-intensived, and the former have consumption structure. Comparing with the others-regions and industries-, these industries slowly grow and weakly compete. I suggest that the manufacturing sector can play a major role in vitalizing the regional economy. For it can induce the perpetuation of the industrial structure, what so called industrialization, by enlarging the base of production in the region. Unfortunately, it has still a little impact on the economy of Kwanju-channam area. Consequently, Kwangju-Chonnam area has weaknes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It is a serious problem. Then, how can be the industrial structure of Kwangju-Chonnam area improved? As far as it is concerned, I have several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Kwangju-Chonnam area should be more emphasis o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t should be achieved by enlarging this sector. Second, there must be an industry, which has been steadily growing and is strong enough to survive for the interregional competition, in Kwangju-Chonnam. Therefore, Kwangju-Chonnam area should develop the very industry. Third, Kwangju-Chunnam regions should develop or intensify the finanacial industry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Forth, Kwangju-Chonnam area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portable, light and high value-added type of industry. It is suitable for the small-median enterprise. Finally, Kwangju-Chonnam area should develop its own industry and a new local industry. For it has actually a great spill-over effect on the economic growth of the region.

      • 韓末 全南地方 學校設立의 過程과 主體 : 1895-1910

        박수영 목포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말 전남지방에서 전개되었던 학교설립의 과정과 주체에 관한 것이다. 1895년 敎育詔書의 반포를 계기로 정치적 지도자와 지식층 및 서양 선교사에 의해 학교가 세워졌으며, 開化와 서양문물 도입을 교육이념으로 채택하여 활발한 교육활동을 전개하였다. 그 후 일제의 침입이 가중되면서 민간인들에 의한 사립학교 설립이 전국적으로 이루어져 1910년까지 무려 5,000여개의 학교가 세워졌다. 이러한 과정속에서 이 시기 전남지방에 설립된 학교들은 어떠한 과정과 성격을 지니고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히고자 한다. 한말 전남지방에서 전개되었던 관‧공립학교와 사립학교의 설립과정, 설립주체, 설립취지등을 규명하여 이 시기 교육의 실상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남지방의 사립학교 설립은 통계적으로 볼 때 다른 지역에 비해 활발치 못하였다. 앞의 <표3>에서 보듯 1909년 현재 전남지방은 전국 사립학교 1,71개교 중 80개교로 전체의 4.7%에 그치고 있다. 여러 원이 있겠으나 조선 후기 이래 성리학적 전통이 가장 강한 지방이었으며, 한말 이래는 斥邪衛正의 본거지였을 뿐만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한 의병항쟁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다른 지방에 비해 新學에 대한 거부반응이 강하게 남아 있기 때문이다. 즉 양반유림층의 세력이 강하여 학교설립이 활발히 진행되지 못하였다. 1900년대에서 1910년까지 전남지방에서 설립된 사립학교 수는 총 89개교로서 시기별 추이를 살펴보면 1900년에서 1905년까지 12개교에 불과하다. 1906년을 기점으로 1910년까지 전체 87%를 차지하는 77개의 학교가 설립된다. 특히 1908년에서 1909년까지 시기에 가장 집중되어 있는데 이는 타지역 학교 설립운동, 그리고 1907년 조직된 호남학회의 계몽운동으로부터 일정한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지역별 건립추이를 살펴보자. 목포와 순천에 가장 많은 학교가 설립되었으며, 다음으로 해남‧광주이고 이를 제외한 다른 지역은 거의 비슷한 분포를 보이고 있다. 권역별로는 서남부권이 39개교, 중부권이 22개교, 동부권이 28개교로서 목포를 중심으로 하는 서남부권이 전체의 44%를 차지한다. 이는 서남부권이 목포라는 개항장을 통해 개화의 물결이 가장 빨리 들어온 결과라고 할 것이다. 둘째, 전남지방 사립학교의 설립주체는 크게 종교계, 관리와 향리층, 유림, 신흥상인층으로 나눌 수 있다. 전남지방에서의 종교계 학교는 1910년 현재 조선총독부 통계에 따르면, 전체 778개 중 9개교로 전체의 1%에 불과하였다. 설립자의 구체적 신분을 알 수 있는 학교는 총 89개교 중 65개교이고, 그 가운데 55%이상이 관리나 향리층이 설립한 학교였다. 전남지방의 경우 대다수 학교에 군수들이 설립자로 참여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대부분 학교장을 겸임하고 있었다. 군주사나 신문지상에 보통 ‘유지’라고 칭한 이들은 거의 대부분 이전의 향리층으로써 이 시기 학교설립에 활발히 참여하였다. 향리층은 신 교육을 통해 자신들의 자제를 관리의 길로 나아가게 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고자 발 빠르게 움직인 것이다. 이는 당시 유림들이 신교육에 소극적이었던 것과 대조적인 것이다. 개화기에 유림들은 대부분 근대학교 설립에 참여하지 않았으나, 1905년 이후 일부 소수 유림들은 新ㅇ學折衷論의 입장에서 근대학교 설립에 참여하였다. 신흥상인층이 설립한 학교는 당시 개항장이었던 목포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목포라는 개항장과 같이 사회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었던 지역을 중심으로 실용적인 실무와 능력을 갖춘 인재를 배출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학교가 설립되었다. 셋째, 이 시기 전남지방에 설립된 사립학교의 취지를 살펴보면, 1905년 이전에 설립된 학교는 대부분 신교육을 통해 開明하려 하였으며, 신교육을 富强의 기초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다 을사조약 이후 국내외적인 정세변화에 따라 설립취지는 국권회복이 중심이념이 되었다. 이처럼 한말에 설립된 학교들은 대체로 부국강병과 국권회복을 표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시기의 사립학교의 설립이 모두 이런 차원에서 추진된 것은 아니었다. 신교육을 통해 관리의 길로 나아가고자 하는 이들의 욕구를 반영하여 세워진 학교도 많았으며, 실용적인 지식습득과 실무를 겸비한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설립한 학교도 존재하였다.

      • 전남제 범패의 음악적 분석

        서지혜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불교음악은 부처의 가르침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양하고 포교하기 위한 음악으로 절에서 재(齋)를 올릴 때 부르는 범패, 수행에 기초가 되는 기본적이고 일상적인 행위인 예불문, 불교경전을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화청과 회심곡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불교음악은 지역에 따라 음악적인 어법을 달리하며, 대개 서울 · 경기,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제주도로 구분한다. 서울·경기 일대에서 전승되고 있는 불교음악은 경제, 경상도에서 전승되고 있는 불교음악은 영제, 충청도에서 전승되고 있는 불교음악은 내포제 그리고 전라도에서 전승되고 있는 불교음악은 완제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경제와 영제 등 다른 지역의 불교음악에 대해서는 연구되어진 바가 있지만 전남제 불교음악은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광주 · 전남 지역의 대표 불교음악이라고 할 수 있는 광주전통불교영산재(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3호)를 주 연구대상으로 삼아 전남제 영산재의 의식구성을 살펴본 후 음악분석을 통해 전남제 불교음악의 특징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전남제 영산재는 매년 10월경에 영산재 정기시연회를 개최한다. 이때 봉행하는 영산재 의식은 시련-신중작법-대령관욕-상단권공-관음시식-봉송 및 소대의식 순으로 연행된다. 전남제 영산재는 짓소리는 불리지 않고 안채비소리와 홋소리만이 존재한다. 이러한 전남제 영산재의 음악특징으로는 첫 번째, 안채비소리는 산스크리트어로 된 가사를 태징 반주에 맞춰 독창으로 부른다. 홋소리는 7언 4구의 한문으로 된 게송을 독창 또는 합창으로 부르며, 단락의 구분을 위해 태징을 연주한다. 두 번째, 범패는 기본적으로 메나리토리와 경토리가 많이 나타나는 것이 전국적인 특징이며, 전남제 불교음악도 마찬가지로 메나리토리와 경토리의 특징이 나타난다. 하지만 전남제의 음악적 특징 중 순차진행(라-솔-미)을 하는 메나리토리가 나타나지 않고 도약진행(라-미)을 하는 육자배기토리의 특징이 보였다. 이것은 남도민요권에서 나타나는 특징 중 하나이다. 세 번째, 안채비소리는 기본적으로 촘촘히 읽어가며 부르는 것이 특징이다. 이처럼 전남제 안채비소리에서 대부분 동음진행형의 선율이 등장하였으며, 이것은 읊조리듯이 부르는 특성을 보여준 것이다. 홋소리는 안채비소리와 달리 상행형, 하행형, 물결형, 홍예형, 역홍예형, 동음진행형으로 다양한 선율형이 나타난다. 네 번째, 가사붙임새에서 안채비소리는 2소박이 한 박의 단위를 이루어 1자 1박 또는 2자 1박이 붙으며, 장인성이 보이기도 한다. 홋소리는 3소박이 한 박의 단위를 이루며, 일자다음(一字多音)의 자유리듬에 맞춰 부른다. 하지만 2소박이 한 박의 단위를 이룰 때에는 자수(3자~6자)에 따라 1자 1박에 붙어 일자일음(一字一音) 또는 일자이음(一字二音) 형태가 보이기도 한다. Korean Buddhist music aimed at cultivating and propagating Buddha's lesson from various ways. Korean Buddhist music includes Beompae (梵唄), literally meaning “sanscrit songs,” usually sung during the worship, called jae (齋), in a temple. Korean Buddhist monks also perform dances, called jakbeop (作法), accompanied by the conical oboes or saenap (嗩吶). In other words, Korean Buddhist worship is a kind of perfoamcen of song, dance, and instrumental music. Korean music differs in its musical grammar region to region. It is applied in Buddhist music as well as folk songs, shaman music, and so on. The study of Korean Buddhist music has been focused on those of central and southeastern region. The Buddhist music in the southwestern region, where is regarded as the home of most folk musical genres of Korea, has not been explored so far. Although the Buddhist music and dance in the southwestern region were designated as the Regional Cultural Heritage No. 23 in 2014, the musical traits of the music has not been studied yet. I will investigat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music of the southwestern region in this paper. I will trace the genealogy of the monks who specialized the Buddhist music and dance. I will analyze the song and instrumental music in order to understand the deep structure of the Buddhist doctrine. By the comparison of other regional Buddhist music, I will discover of the regional musical grammar of the Buddhist music.

      • 全南地域 支石墓 社會 展開過程에 대한 一考察

        평군달재 木浦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는 지석묘(군)의 검토를 통하여 지석묘군의 전개과정을 고찰하고 전남지역 지석묘사회의 성격 및 특질을 살펴보면서 한반도 청동기시대 문화의 일 측면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여기서는 전남지역에서 발굴된 61개의 지석묘유적 자료를 쓰고, 각각의 지석묘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군집하는 지석묘들을 한 집단에 의해 일정기간 안에 축조된 집단묘지 즉 "지석묘군"이라고 파악하여 분석하였다. 현재 우리가 지표상이나 발굴조사의 결과 볼 수 있는 지석묘의 군집양상에 대하여 "支石墓群"이라고 하여, 그 것을 ① 한정된 지역(한 구릉의 斜面 정도의 평면적 공간)에 ② 수 기에서 많은 경우 수십 기 의 지석묘가 ③ 밀집 혹은 일정 간격, 일정한 축조법칙을 가지고 축조된 구역이며 ④ 그것은 어떤 집단이 연속적 혹은 단속적으로 형성하였던 묘지 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를 가지고 지금까지 발굴 조사되었던 지석묘 자료들을 "지석묘군"으로 파악해가면서 논문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지석묘군"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지석묘 유적을 유형화하였다. 그러한 유형화의 기준으로서 매장주체부와 그것을 둘러싼 묘역시설의 유무와 묘역 연접 가부 및 배치 상태(列狀하는지 밀집하는지)를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기준으로 전남지역 지석묘군을 유형화해 보면, 아래와 같은 네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제1유형: 개별 묘역을 갖지 않는 매장주체부가 연접하지 않고 열상배치를 보여주는 유형. 침향은 정형성이 보인다. 제2유형: 개별 묘역을 갖지 않는 매장주체부가 연접하지 않고 불규칙한 열상배치를 보여주는 유형. 침향은 일정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제3유형: 개별 묘역을 갖는 매장주체부와 갖지 않는 매장주체부가 공존하는데 서로 연접하지 않고, 각 매장주체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군집하는 유형. 제4유형: 이것은 개별 묘역을 갖는 매장주체부와 갖지 않는 매장주체부가 공존하는데 서로 연접하면서 밀집하는 유형. 침향은 일정하지 않다. 그리고 각 유형의 시간축을 세우기 위해 지석묘 출토 유물 특히 부장유물을 중심으로 정리·검토하였다. 그 결과, 공렬토기·각형토기·홍도 등 전기에 소급한 유물들이 출토된 시기, 비파형동검·동모가 출토된 시기, 세형동검 및 세형동검문화기에 해당한 유물(흑도·점토대토기)가 출토된 시기의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그것을 기존의 청동기시대 구분과 대조시키고 전남지역에서의 지석묘 사회의 전개과정을 Ⅰ·Ⅱ·Ⅲ기의 세 단계로 설정하였다. 각 시기의 특징을 보면 아래와 같다. Ⅰ기의 지석묘군은 비파형동검 유입 이전의 시기에 속한다. 이 시기에는 공렬토기·각형토기·홍도 등 전기에 소급한 유물들이 출토된다. 이러한 Ⅰ기는 지석묘사회 성립의 시기로 볼 수 있다. Ⅰ기의 연대는 전기에 해당한 유적·유물들에 대한 C14 연대측정치를 참고로 하면 기원전 11~10세기부터 비파형동검이 유입할 기원전 8~7세기로 추정된다. Ⅱ기의 지석묘군은 비파형동검 유입기 이후의 시기에 속한다. 지금까지 비파형동검·동모이나 옥이 부장된 유구들은 9 유적에서 18기가 알려져 있다. Ⅱ기에는 부장유물에서 보이는 특수유물(청동기나 옥류)의 다량 부장과 명확한 묘역구획, 그리고 매장주체부 구조가 간략화된 것과 복잡화된 것에 이분된 점으로 보아 지석묘사회에 계층분화가 시작하였다고 추정된다. 다만 이러한 계층분화는 유력한 개인이 출현할 정도의 분화가 아니라 특수한 유물을 보유·부장한 특정집단의 출현을 가져온 정도였다고 생각된다. 그 이외의 집단에서는 묘역구획으로 다른 집단구성원와의 차별화를 시도하였다고 추정된다. Ⅱ기의 연대는 전남지역에서 비파형동검이 출토되기 시작한 기원전 8~7세기부터 세형동검문화가 유입되기 시작한 기원전 4세기까지로 추정된다. Ⅲ기는 세형동검문화의 성립기에 속한다. 최근의 발굴조사에서 흑도·점토대토기들이 출토하기 시작하여 세형동검문화기에도 지석묘가 축조된 것을 증명한 자료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유물들은 지석묘 축조의 하한연대를 보여주는 것과 함께 지석묘 사회와 세형동검문화의 접촉을 의미한 유물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지석묘 사회와 세형동검문화의 접촉을 인류학에서 쓰이는 '문화접변' 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한다. 문화접변이란 한 문화가 다른 문화를 가진 집단과 지속적으로 직접 접촉한 결과, 그 한편 또한 서로 집단이 원래 가진 문화양식에 변화를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즉 일부에서 세형동검 또한 세형동검문화기에 속한 유물들이 출토된 것은 지석묘사회가 세형동검문화와의 문화접변에 의해 세형동검문화의 일부를 받아든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지석묘사회와 세형동검문화는 일정기간 공존하고 서서히 세형동검문화의 영향이 강하지면서 지석묘사회는 쇠퇴하고 지석묘가 축조되지 않게 되었다고 추정된다. 이러한 Ⅲ기는 세형동검문화와의 문화접변에 의해 지석묘사회가 쇠퇴·소멸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연대는 세형동검문화의 유입 시기와 지석묘에서 출토된 세형동검과 흑도·점토대토기로 보아 기원전 4세기부터 3세기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각 지역별 및 각 시기별의 지석묘군 제1~4유형 양상에 대하여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제1·4유형은 보성강·섬진강유역과 남해안 서부지역에서 빠른 시기부터 나타나고 늦게까지 축조되었다. 또 제1유형은 늦은 시시의 유물이 출토되는 경향을 보여준다. 각 지역마다 중심으로 된 유형이 있다. 보성강·섬진강유역에서는 제2·3유형이 지속적으로 축조되고, 남해안 서부지역은 제1·2·4유형이 지속적으로 축조되었다. 각 유형은 시기 차이와 지역 차이를 내포함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전남지역 지석묘사회의 전개과정을 정리하면, Ⅰ기를 지석묘 사회의 성립기로 볼 수 있다. Ⅱ기는 새로운 문화의 유입에 의해 특수유물을 보유·부장할 수 있는 집단과 그렇지 않는 집단에 계층 분화가 시작하였던 지석묘 사회의 발전기로 볼 수 있다. 마지막 Ⅲ기는 세형동검문화와의 접촉에 의해 지석묘사회에 문화접변이 일어나고 점차 지석묘사회가 쇠퇴한 시기로 볼 수 있다. In this paper, 61 excavated remains are analyzed to expla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dolmen society in Jeon-nam(全南) district. The dolmens remain in groups and these dolmen groups are defined as Group cemetery which were built by a specific group during a definite period of time, that is, dolmen group. The notion of dolmen group (支石墓群) in this paper defines as follows: A dolmen group means the area in which from several to tens of dolmens were built densely or at regular intervals with specific rules in a limited district. In addition, it is defined as the graveyard which were formed by a specific group of people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in a limited district. These dolmen group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Burial part and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grave area facilities surrounding Burial part. Type 1: Burial part having no individual grave area forms in line without a touch. Type 2: Burial part having individual grave area forms irregular line arrangement without a touch. Type 3: Two types of Burial part (one has individual grave area and the other has no individual area) exist together, and each of them gathers at regular intervals without a touch. Type 4: Two types of Burial part (one has individual grave area and the other has no individual area) densely coexist with a touch. The tomb furnishings of each type were examined to see the axis of time in each type. The conditions of tomb furnishings are classified into three: 1. Furnished with polished stone swords 2. Furnished with Japanese lute-shaped copper swords and beads, 3. Furnished with thin copper swords. As stated above, each type of dolmen group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period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omb furnishings. For the next, this paper categoriz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dolmen groups in the Jeon-nam(全南) district into Period Ⅰ, Ⅱ, Ⅲ by comparing the above three periods with the existing division of the Bronze Age. Period Ⅰ indicates the stage before the influx of Japanese lute-shaped copper swords. Period Ⅱ indicates the stage in which Japanese lute-shaped copper swords came into the Jeon-nam(全南) district and buried as tomb furnishings. A lot of dolmens with bronze wares as tomb furnishings were excavated in the district of the southern coast, especially in Yeo-su(麗水) Peninsula. Another feature in this period is the appearance of the graveyard divisions. Period Ⅲ belongs to the stage of the appearance of thin copper swords. Even though there is only Yongam Changchon-ri(靈巖 長川里) case so far in which thin copper swords were excavated from dolmens, having considered the report of the excavation in Sunchon pyeongjung-ri(順天 平中里) dolmen or the fact that the same shaped ornament beads as the ornament beads excavated in Hampyong chopo-ri(咸平 草浦里) namely wooden coffin with building stones(積石木棺墓) there is a possibility of the coexistence of dolmens and wooden coffin with building stones (積石木棺墓) . On the relation between the dolmen society and the bronze ware culture, in Period "U, bronze wares as tomb furnishings, clear graveyard divisions and the distributions of small burial part around large dolmens appeared. This can be recognized as the beginning of the class differentiation in the dolmen society.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dolmen groups, even though stone swords as tomb furnishings can be seen in every Jeonnam(全南) district for the first period, bronze wares as tomb furnishings, clear divisions of individual graveyards and the distributions of small burial part around large dolmens began to appear addition to the existing stone swords as tomb furnishings with the influx of Japanese lute-shaped copper swords, that is, the mandolin-shaped bronze culture as a trigger. It can not be said that every dolmen is the same but it is possible to think that the social class differentiation had started in the Jeon-nam(全南) disrict during Period Ⅱ. It is still difficult to give a concrete explanation to the reality of the dolmens in Period "V. However, we can see burnished black pottery(黑陶)·pottery with clay stripes (粘土帶土器) in recent excavations and the data which shows the build of dolmens in the period of thin copper sword culture. These indicate the last period of dolmen construction and the contact of the dolmen society and the thin copper sword culture. This paper sees the transition process which happened to the dolmen society with the contact of the dolmen society and the thin copper sword culture as "acculturation of dolmen society."

      • 전남지역금융이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나라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Subprime mortgage devaluation in the United States in 2008 led to economic recession of the United States, which then expanded to worldwide financial and natural economy crisis. Korean economy was not exception to the influence of the worldwide financial crisis. Korea deployed a great amount of public fund in restructuring financial organizations and corporations, and as a result, the unprecedented reformation in Korean financial history was executed, such as clearing of delinquent credit, capital expansion, M&A and liquidation of financial institutions on a large-scale. Role of local financial institutions is very critical in financial support for local middle and small business and small stores that greatly rely on loans; however, many financial institutions for common people are under management centered on liquidation, and national banks are acquiring local banks with main offices in regional cities. This means an enlargement of bank institutions, resulting growing influence of commercial and specialized banks in local financial market; on the other hand, role of local financial institutions, represented by local banks and financial institutions for common people, was reduce immensely, and it became one of the causes of intensified imbalance between local economies by increasing gap between Seoul/metropolitan area vs. other areas. Hence,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local finance in Jeonnam which is one of the under-developed areas and empirically analyze influence of local finance in Jeonnam on Jeonnam economy growth by comparing to areas of similar economy size or bigger such as Chungbuk, Chungnam, Gyeongnam, Jeonbuk, and Gyeonggi-do in metropolitan, so that the study may contribute to healthy development of local finance and growth of local economy. Subjects of analysis were nationwide, and 7 provinces of Jeonnam, Jeonbuk, Chungnam, Chungbuk, Gyeongnam, Gyeongbuk, Gyeonggi-do, an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a relation between local loan and GRDP, a relation between intra-regional import/export and GRDP, and a relation between local loan and intra-regional import/export by using end-of-year data during 14 years of 1999-2012.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a relation between local loan and GRDP, a relation between intra-regional import/export and GRDP, and a relation between local loan and regional import/export provided positive influence in all nationwide and 7 provinces, and the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loan activity of financial institutions were found to be in a high corelation with growth of natural economy and leading the growth of local natural economy as well. As for a relation between local loan by local banks and local non-bank financial institutions and GRDP, size of loan by local non-bank financial institutions was bigger and of more importance than those of local banks in Jeonnam, Jeonbuk, and Chungbuk regions.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on a relation between intra-regional import/export and GRDP, a relation between intra-regional export and GRDP was in a positive relationship in all region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A relation between intra-regional import and GRDP was in a positive relationship in all regions except Gyeongbuk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all of intra-regional import/export, import, and export were found to exert positive impact on growth of local economy. When investigating relations between local loan and intra-regional import/export, between non-bank loan and intra-regional import/export, only Jeonnam showed a negative relation an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Jeonnam region, local non-bank loan and GRDP, export and GRDP, local loan and GRPD, and intra-regional import/export and GRDP were all in positive relation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discovered that import/export, import, and export in Jeonnam region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conomic growth in Jeonnam, and that non-bank financial institutions, rather than bank institutions, have higher relationship with Jeonnam local economy. Therefore, vitalization of Jeonnam local economy should be conducted along with vitalization of local finance. Nevertheless, it is true that the financial system and operation are centralized and capital is concentrated in major outstanding financial institutions, resulting in a decline of local financial institutions' role. This centralization of finance does limit functions and roles of local financial institutions in reality. Therefore, for development of local economy of under-developed regions, such as Jeonnam, should be effectively approached from two sides of fostering local industry in the aspect of natural economy and development of local finance in the aspect of finance. Local finance institutions also should execute differentiated strategies to overcome poor surroundings by themselves, and at the same time, they should be further promoted by gradually organizing a cooperative system with each local finance institution. 2008년에 미국에서 시작된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부실화로 인해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졌으며 이는 전 세계적인 금융 및 실물위기로 확산되었다. 우리나라 경제도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우리나라는 외환위기 이후 부실화된 금융기관과 기업의 구조조정을 위하여 막대한 공적자금을 투입하였고, 그 과정에서 부실채권 정리, 자본금 확충, 금융기관 간 대규모 인수․합병 및 퇴출 등이 발생하면서 우리나라 금융사에서 전례를 찾아보기 힘든 혁신이 일어나게 되었다. 신용에 크게 의존하는 지역중소기업 및 영세가계에 대한 금융지원을 위해서는 지역금융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데 다수의 서민금융기관은 퇴출 위주로 정리하고 있으며 전국은행은 지역에 본점을 두고 있는 지방은행까지 흡수하여 금융기관의 대형화로 지역금융시장에서 시중은행 및 특수은행의 영향력은 커진 반면 지방은행과 서민금융기관으로 대별되는 지역금융기관의 역할은 크게 축소되었고 서울, 수도권과 지역 간의 격차를 확대시켜 지역경제 간의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원인 중의 하나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낙후 지역 중 하나인 전남지역금융현황을 알아보고 경제규모가 비슷하거나 더욱 발전한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전북과 수도권에 위치한 경기도와 비교하여 전남지역금융이 전남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함으로써 지역금융의 건전한 발전과 지역경제 성장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전국 및 전남, 전북, 충남, 충북, 경남, 경북, 경기도 7개 도 지역의 1999년부터 2012년까지 14개년도의 각 연도 말 자료를 사용하여 지역여신과 지역내총생산(GRDP)과의 관계, 지역내수출입과 지역내총생산(GRDP)과의 관계, 지역여신과 지역내수출입과의 관계를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여신과 지역내총생산(GRDP)과의 관계, 지역은행여신과 지역내총생산(GRDP)과의 관계, 지역비은행여신과 지역내총생산(GRDP)과의 관계는 전국 및 7개 도 지역 모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즉 금융기관의 여신활동이 실물경제 성장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면서 지역실물경제의 성장을 이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은행여신 및 지역비은행여신과 지역내총생산(GRDP)과의 관계에서는 전남, 전북, 충북 지역은 지역은행여신보다 지역비은행기관의 여신규모가 지역경제 성장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역내수출입과 지역내총생산(GRDP)과의 관계 실증분석 결과, 지역수출과 지역내총생산(GRDP)과 관계도 분석대상 모두 양(+)의 관계가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지역수입과 지역내총생산(GRDP)의 관계는 경북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 모두 양(+)의 관계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지역내수출입과 수입, 수출 모두 지역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역여신과 지역내수출입과 관계, 은행여신과 지역내수출입과의 관계, 비은행여신과 지역내수출입과의 관계 결과를 살펴보면 전남지역만 음(-)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전남지역 다중회귀분석 결과 지역비은행여신과 지역내총생산(GRDP), 수출과 지역내총생산(GRDP), 지역여신과 지역내총생산(GRDP), 지역내수출입과 지역내총생산(GRDP)이 양(+)의 관계에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분석을 통해 전남지역 내 수출입과 수입, 수출이 전남지역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은행금융기관보다 비은행금융기관이 전남지역경제와 높은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전남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금융의 활성화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하지만 금융제도 및 운용이 중앙 집중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로 인해 시중의 자금이 대형우량 금융기관으로 집중되어 지역금융기관의 기능이 저하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금융의 중앙 집중 현상은 지역금융기관의 기능과 역할을 제약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따라서 전남지역과 같이 낙후된 지역경제의 발전을 위해서는 실물경제면에서의 지역산업육성과 금융면에서의 지역금융발전이라는 양측면에서 효과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지역금융기관도 스스로 열악한 여건을 극복할 수 있도록 차별화된 전략을 시행하여 영업기반을 견고히 하는 한편, 점층적 차원에서 각 지역금융기관과 더불어 협조체제를 구축하여 지역금융기관을 더욱 육성시켜야 할 것이다.

      • 전남 광주 지역 태권도 발전사 연구

        김보정 조선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the basic materials to establish the history of Taekwondo centering around Jeonnam and Gwangju regions. Preceding studies of the history of Taekwondo were limited to its orthodoxy and local culture neglected it. The studies of local history of Taekwondo were the 50-year history of Jeju Taekwondo and the history of Taekwondo game in Daegu, Gyeongbuk. It is regrettable that the local history of Taekowndo which has the same history, was often influenced by each history, created a new tradition and made an independent culture was neglected. As there are no materials of the history of Taekwondo by Jeonnam․Gwangju Taekwondo Association and no concrete data of it, it is very urgent to ensure basic and professional materials necessary for establishing the history of Taekwondo. This study used witness from seniors who practiced and distributed Taekwondo in the initial stage as oral materials and was supported by the data from Korea Taekwondo Association, Jeonnam Taekwondo Association and Gwangju Taekwondo Association.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earch of history of Taekwondo centering around Jeonnam and Gwangju will be significant in developing Taekwond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dern Taekwondo was begun in Jeonnam and Gwangju regions in the late 1953 and Taekwondo instruction and training were performed at Changmugwan by Jeon Cheol, Mudeokgwan by Kim Chang Shin, and Cheongdogwan by Lee Gwang Jae and they contributed to the extension of Gongsudo, Taesudo and Dangsudo trainees. As Odogwan was opened in 1961, Taekwondo was distributed to Jeonnam region and according to the elder directors, Cheongdogwan was largest in its scale and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aekwondo in Jeonnam and Gwangju. Second, Jeonnam Taekwondo Association was promoted to the sport organization of Jeonnam Sports Association in 1962, Korea Taesudo Association appointed Jeon Chel to the chairman of Organizing Committee of Jeonnam Taesudo Association. Jeon Cheol organized Jeonnam Taesudo Association with Changmugwan (Jeon Cheol), Odogwan (Kim Su Ryeon), Cheongdogwan (Lee Gwang Jae), and Mudeokgwan (Kim Chang Shin). Thir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aekwondo game in Jeonnam and Gwangju, Kim Man Seok selected university player and Jeon Cheol did high school player for the 44th National Athletic Meet held in Jeollabukdo, 1963 and coached them. Therefore, Jeonnam and Gwangju Taekwondo team's participation in the 44th National Athletic Meet was the starting point of development of Taekwondo in these regions. Fourth, Jeonnam and Gwangju Taekwondo Team ranked the first in national competition in 1970s and Huh Song who participated in the 2nd World Championship Meet ranked the first. In 1977, Jeonnam Taekwondo Team won at the 58th National Athletic Meet and verified the improvement of its performance ability. Fifth, most of school Taekwondo team members had training at their own center due to the lack of Taekwondo facilities. School sport was not prevailed and there were no enough coaches as well as training facilities. Athletes took the training under the guidance of directors. In 1960s, Chosun University began to train Taekwondo athletes first in Jeonnam region and Ryu Ho Pyeong of Sukmun High School (current Songwon High School) coached Taekwondo from 1966 and his athletes took part in Taekwondo competition in uniform. Sixth, the foundation of Taekwondo team centering around Sukmun High School, Chosun University and other agencies from the mid-1960s was extended to various areas including high school and university in the mid-1970s. In 1978, Jeonnam Sport High School ranked the 2nd at the 13th Presidential Group Competition and showed the top level performance. ability. Now there are 21 elementary schools, 34 middle schools, 23 high schools, and 6 universities and colleges which support the Taekwondo team in Jeonnam region. Gwangju region has 7-8 elementary school Taekwondo teams, 5 middle school Taekwondo teams, 4 high school Taekwondo teams, and 1 university Taekwondo team. The increase of school Taekwondo teams makes a great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regional Taekwondo power. Seventh, the athletes who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s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were Huh Song who took part in the 2nd World Championship Meet in 1974 and ranked the 1st at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first in Jeonnam and Gwangju regions, Im Dae Taek who took part in the 4th World Championship Meet in 1979 and ranked the first, and Jeong Guk Hyun who took part in the 5th, 6th and 7th World Championship Meet and ranked the first and participated in the 6th Asian Championship Meet and ranked the first. Also Lee Gye Haeng took part in the 10th Asian Game and the 88' Olympic Games and ranked the first and played a great role to develop the Taekwondo performance in Jeonnam.

      • 광주전남지역 일제강점기 항일독립운동 사적지 활용방안 연구

        임영주 전남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국의 항일독립운동은 열강에 의해 국권(國權)이 흔들리기 시작했던 19세기 구한말을 시작으로 1945년 광복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었다. 독립을 향한 열망은 광주·전남에서도 예외 없이 이뤄졌다. 광주·전남 지역의 항일독립운동 사적지는 212건으로 문화운동, 사회운동, 의병, 3·1운동 등 다양한 성격의 독립운동이 지역에서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광주·전남의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현황’을 고찰하고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활용’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개념에 대한 이해와 대한민국의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현황 및 광주·전남지역의 독립운동 사적지와 유공자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항일독립운동 사적지는 국가사적으로 지정된 장소나 문화유산이 아닌 독립운동과 관련된 건물이나 집터, 기념비, 우리나라의 독립운동의 흔적이 남아 있는 역사적 현장을 정의된다. 항일독립운동 사적지는 1차적으로 국내 독립운동 사적지와 국외 독립운동 사적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2차적으로는 독립운동의 방향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독립운동 사적지의 현황은 원형보존 보다는 멸실되었거나 혹은 단순 표지물 설치에만 그치고 있는 실정으로 이러한 이유는 사적지 관리주체의 다양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관리주체가 지자체, 기념사업회, 문중 등 다양하게 지정됨에 따라 책임 관리가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관리주체의 법적 성격이 지자체, 법인, 비영리민간단체, 개인 등 다름에 따라 사업관리방식 및 관리역량에 있어서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2021년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독립운동 사적지는 총 1457건이며 이를 행정구역별로 살펴보면 서울특별시가 144건, 경기도 234건, 강원도 90건, 전라도 212건 등으로 나타난다. 사적지를 운동성격별로 분류하면 3·1운동과 관련된 사적지가 가장 많고, 의병운동, 사회운동, 학생운동 순으로 나타난다. 광주·전남의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현황분석은 지역의 독립운동 유공자의 현황을 먼저 알아본 뒤 자치구별 사적지 현황 및 보존상태, 현충시설 지정여부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광주의 독립운동 유공자는 2020년 기준으로 총 112명으로 3·1운동과 관련된 유공자가 가장 많고 근소한 차이로 학생운동이 뒤를 잇고 있다. 광주의 독립운동 사적지를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동구가 13건, 남구가 6건, 북구 3건, 광산구 3건, 서구 2건 등으로 분포하고 있다. 전남의 경우 독립운동 유공자는 총 1,139명으로 전체 유공자의 27%가 의병운동 관련 유공자이다. 이는 1906년부터 1909년까지 호남에서 의병활동이 활발하게 이뤄진 사실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전남의 사적지를 권역별로 살펴보면 동부권이 42건, 서부권이 54건, 북부권이 49건 등으로 분포하고 있다. 제 3장에서는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보존의 문제점과 활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적지의 보존사례를 조사 후 분석을 통해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보존의 문제점과 개선사항에 대해 알아보았다. 현재 광주·전남의 항일독립운동 사적지는 표지석의 설치 비율이 약 20%에 불과할 정도로 지역주민에게도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는 사실과 표지석의 일부가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의견 및 일부 글자가 환경에 의해 변형되어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는 한계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주·전남의 항일독립운동 사적지 활용을 위해서 SWOT분석을 진행하여 강약점 및 기회·위협을 진단하여 활용전략에 종합적으로 반영하였다. 제 4장에서는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활용 사례를 바탕으로 활용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항일독립운동 사적지의 활용은 국가보훈처 주관 아래 이뤄지고 있지만 주로 교육자료 및 사적지 탐방이라는 직접적 활용과 MZ세대들을 위시한 활용 방안인 SNS를 이용하여 독립운동가 및 사적지를 홍보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활용 방향을 직접적 활용 방안과 광주·전남의 의향(義鄕) 이미지를 활용한 간접적 활용방안으로 분류하여 모색해보았다. 직접적 활용방안으로는 독립운동가, 유적, 유물, 기록물 등 다양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하는‘광주·전남 항일독립운동자료 아카이브 구축’과 메타버스 기술 중 대표적인 AR·VR기법을 활용한 ‘AR스캐닝을 활용한 호남의병 다크투어리즘 개발’이라는 구체적 프로그램안을 제안하였다. 간접적 활용방안으로는 광주·전남의 의향(義鄕) 이미지를 활용한 지역화폐 디자인 개발과 지역의 독립운동사 및 독립운동가를 기반으로 하는 창작뮤지컬 개발이라는 방향성을 제시하면서 타 지역의 사례들을 함께 살펴보았다. Since its beginning in the late 19th century when imperialists imposed restrictions on its sovereignty,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launched in Korea had continued until its independence in 1945. The desire for independence from Japan became widespread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Gwangju and Jeollanam-do. For now, there are 212 historic sites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in both regions. These sites suggest that a variety of independence movements such as cultural movement, social campaign, soldier protest and the March 1st Movement took place there.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historic sites of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in Gwangju and Jeollanam-do, and also seek various ways to boost effects of utilizing the historic sites. Chapter 2 examines how historic sites of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are understood and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the historic sites in Gwangju and Jeollanam-do and number of honored independence patriots. A historic site of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generally refers to a historic place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or one where relevant building, home, monument and traces associated with independence movement, not cultural heritage. First up, the historic sites can be divided up into domestic historic sites and overseas ones. Secondly, they can be grouped based on the aim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Unfortunately, the current historic sites were not preserved, but disappeared. Instead, only posts mark the former presence of historic sites. These problems are attributed to too many institutions in charge of managing these sites. As the government granted the management rights to local government, commemorative organization and families as, management and responsibilities have become difficult to handle. Furthermore, business management and management capabilities vary greatly as local government, corporation, non-profit organization and individuals have different legal positions in managing historic sites. As of 2021, a total of 1,457 historic sites of independence movement are located in South Korea. By administrative district, there are 144 sites in Seoul, 234 sites in Gyeonggi-do, 90 sites in Gangwon-do and 212 sites in Jeolla-do. By movement features, historic sites of the March 1st Movement represent the most part, followed by soldier protest, social campaign and student movement.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historic sites in Gwangju and Jeollanam-do, the author checked the number of local independence patriots. Also, the authored reviewed the current state of historic sites in districts, preservation and whether memorial facilities were established. A total of 112 independence patriots, most of whom are those related to the March 1st Movement, lived in Gwangju in 2020. The number of patriots related to student movement is slightly close to that of independence patriots. By district, 13 historic sites are situated in Dong-gu, six in Nam-gu, three in Buk-gu and Gwangsan-gu, respectively, and two in Seo-gu. In the same year, a total of 1,139 independence patriots lived in Jeollanam-do. Patriots related to soldier protest represented 27 percent in the total number of patriots. These numbers are based on historical evidence of soldier protest that had taken place between 1906 and 1909. By district, there are 42 historic sites in eastern Jeollanam-do, 54 sites in western district and 49 sites in northern district. Chapter 3 takes a look at the problems of preserving the historic sites and use. The author examined preservation cases. With the findings, the author reviewed problems of preserving the historic sites and what parts are needed for improvement. The findings revealed some limitations that the historic sites in Gwangju and Jeollanam-do are less known to local residents given only about 20 percent of posts set up in both districts, and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some letters were eroded by surroundings so these letters are unreadable. In order to make the historic sites available, the author performed SWOT analysis, confirmed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and threat, and comprehensively applied them into strategies. Lastly, Chapter 4 explores ways to promote use of the historic sites based on actual cases. First, utilizing the historic sites of independence movement is supervised by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However, a variety of ways are put into use such as providing educational materials and visiting historic sites, and using online platforms for young millenials and Z generations to promote Korean independent patriots and historic sites. Also, it is possible to take into account both direct and indirect use with outstanding local images in both districts. Direct use includes building an archive of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in Gwangju and Jeollanam-do based on historical records on independence patriots, sites, relics and documents, and a dark touring program designed to allow visitors to see local soldiers with metaverse technologies such as AR and VR scanning. While presenting possible options of designing local currency based on outstanding local images in Gwangju and Jeollanam-do and making creative musical on the local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 and local independence patriots, the author compared them with other cases developed in other regions as indirect use.

      • 全南지역 洋畵의 선구자 金鴻植에 關한 硏究

        김옥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국 근대회화사에서 서구적 조형기법이 도입된 지는 근 100년에도 못 미친다. 1910년 최초의 서양화가로 불리는 고희동이 동경미술학교에 유학하면서 한국양화의 역사는 시작된다고 보고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을 통한 우회적인 경로를 거쳐 서구의 유화기법이 들어온 것이다. 그러나 그 같은 일본 유학을 통한 양화도입은 시대적 상창과 민족전통 회화관 사이에서 과도기적인 한계가 있었다. 특히 동경유학파가 익혀온 서구적 조형기법은 그 탄생의 기초가 진정한 예술운동의 발로라기 보다 일본의 서구화 정책과 대륙침략을 도모하는 식민지 정책의 일환이었다. 때문에 근대 한국양화의 출발은 일제의 식민통치하에서 이뤄져 오늘날 역사적 해석이 명쾌하지 못한 이유가 되기도 한다. 전남의 양화도입은 서울보다 13년여가 늦게 시작됐다. 여수출신의 金鴻植이 1923년 동경미술학교에 유학하면서부터이다 金鴻植은 호남근대화단의 개척자로 알려진 吳之湖 보다 3년이나 선배였다. 따라서 金鴻植에 대한 연구는 전남근대미술사의 물꼬를 트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껏 전남근대미술사에 대한 흐름을 본격적으로 연구한 예는 극히 드물다. 일반적으로 吳之湖가 동경유학을 끝내고 서울과 개성 등지서 활동하다 귀향한 1945년 전후를 전남양화의 태동기로 보는 것이 그 동안의 지배적인 시각이었다. 그러나 미술사적 입장에서 보면 湖南人으로 서구적 회화방식을 전공하고 이를 전남지역에 처음 들여온 화가는 金鴻植이었다. 물론 金鴻植은 1928년 동경미술학교를 졸업하고 귀국하여 여수에 칩거하며 그림작업보다는 근대 계몽운동가로 더 폭넓은 활약을 했다. 일제체제에 항거하는 민족운동을 말할 것도 없고 청년운동, 농민운동, 사회단체활동 등 다방면에 발을 들여 여수라는 지역사회를 개화하는데 중요한 위치를 점했다. 이런 활동을 하는 가운데 틈틈이 그림을 그렸고 해방이후 만년에는 만성리 인근 바닷가의 천성산 기슭에 아뜰리에를 짓고 들어가 남은 여생을 그림에 바쳤다. 이 같은 金鴻植의 근대기 민족의식을 일깨운 지사로서의 행적과 비록 전시회 한번 열지는 않았지만 꾸준히 서양화 그림을 그렸고, 현재 유작이 남아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전남근대회화사의 골간을 잡는 기준이자 출발점으로 보아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이는 곧 전남양화의 역사가 해방 전후로부터 50여년에 그친다는 일반적 논의를 명확히 하여 金鴻植이 동경미술학교에 입학한 시기를 전후로 바로 잡아 무려 20여년의 숨겨진 역사를 복원하게 되는 것이다. 전남의 양화역사는 한국 근대회화사와 10여년 안팎의 차이를 두고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역사와 미술계에서 묻혀져 있던 호남최초의 서양화가 金鴻植의 발굴 및 연구는 이처럼 전남 양화단의 흐름을 조망하는 계기가 될 뿐 아니라 새로운 전남미술사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차원의 의미를 가진다 하겠다. 金鴻植이 펼친 근대 민족문화운동을 중심으로 그의 생애를 정리하고 그가 남긴 유작을 통해 예술적 가치와 의미를 평가하는데 이 논문의 의미가 있다. 金鴻植에 대한 연구가 되지 않은 것은 전남근대 회화사에 대한 미술사적 접근 자체가 활발하지 못했음을 나타낸다. 金鴻植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근대 호남미술사를 연구하는 데 상당한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양화 토대를 잡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한 후지시마 다케지(藤島武二)교수에게서 사사한 金鴻植은 집안의 반대로 파리유학을 포기하고 고향 여수에 칩거하며 그림을 그렸다. 거의 자신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근대 개화운동을 주도하고 한편으로 울분과 좌절을 맛보며 이름없는 화가로서의 생애를 마친다. 뒤늦게 그의 존재가 알려지고 지방언론의 조명을 받으면서 급기야 전남도 미술협회와 국립현대미술관이 역사 이면으로 묻힐 뻔한 근대작가로 발굴해내 공식전시회에 초대함으로써 金鴻植에 대한 새로운 평가의 전환점을 마련해 주었다. 金鴻植의 회화세계는 자화상을 비롯 누드, 풍경, 정물, 설경 등의 작품을 남기고 있다. 대상에 대한 진솔한 접근과 성실한 표현 방식으로 당시의 서구적 미술어법의 아카데믹한 면모를 보여준다. 작품의 구성 내용 면에 있어서도 당시 일제 치하의 음울한 민족적 기질을 한껏 화면에 살려낸다. 그러나 그의 생애가 밝혀지고와 유작들이 발굴되었지만 그의 예술적 평가는 아직 유보적인 입장이 우세하다. 그에게 영향을 준 후지시마 교수의 화격에 비하면 金鴻植의 유작은 작품성은 초보적 수준에 그친다는 지적이 많은 까닭이다. 서양화 도입기의 낮은 수준을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지 않지만 유작을 남겨 전남현대회화의 물길을 열었고 작고직전까지 붓을 잡았던 화가로서의 길을 걸어갔던 정성은 높이 평가할만하다. It does not yet reached to 100 years since the western style has been introduced in Korean art history. Western art in Korea started in 1909 when Ko-Hidong who is regarded as the first western artist in Korea entered Tokyo art school, Japan to learn western art. That is,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oil painting came to Korea via to indirect route. However there was a crash between western and traditional style in the beginning of art history in Korea. It was because it came from indirectly Paticullary introducing of western style by Tokyo students was not pure art oriented movement but rather a colonial program. This is the reason why the origin is not clear until now. In Chollanamdo, the western art introduced 13years later than Seoul. It was in 1923 when Kim-Hongsik from Yeosu started to learn western art in Tokyo art school. Kim-Hongsik was 3years senior than Oh-Chiho who is called a harbinger of Honam art. Therefore the study about Kim-Hongsik is important to clear the Chonnam art history. Until now the study of Chonnam art history is rare. Generally the year of 1945 when Oh-Chiho came to hometown is known as the begging of Chonnam art. But in the viewpoint of art history, the first Honam artist who introduced the western art into Chonnam was Kim-Hongsik. Kim was rather a enlightener then an artist in 1928 when he had came from Tokyo to Yeosu. He engaged in national movement, youth movement, etc and devoted himself to enlighten the Yeosu. In the meantime he painted every spare time. And after 1945 he constructed artlier at the beach near Mansungri mountain and had devoted himself to painting until he died. Kim-Hongsik maybe regared as the first western artist in Chonnam because of the facts that he was an elite who tried to enlighten the people and his painting is remained until now. Now we can retake the hidden 20-years of Chonnam art history. And now we can know that the Chonnam art history has started about 10 years later than it came to Korea. By studying Kim-Hongsik we can find the clue of the origin of Chonnam art and show the new direction of Chonnam art history.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show his life in the viewpoint of his national- cultural movement and evaluate his value through his art Kim-Hongsik's art concludes a portrait, a nude, a landscape, a still life, a snow landscape etc. He touch objects academically, frankly and sincerly. He depicts the dark side of people supressed by Japanese imperialism. Now we can confirm that the first artist in Chonnam is Kim-Hongsik and Chonnam art started in earlier 1920's.

      • 전남지역과 충청지역 사업체 급식소의 급식관리 실태 조사 비교연구

        서희영 麗水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전남지역과 충청지역에 위치한 사업체 급식소에 소속된 영양사 124명을 대상으로 급식소의 운영현황, 식단작성 및 구매관리, 다량 조리 생산 및 배식 관리, 조리작업중의 위생관리, 영양사 업무 실태 등 전반적인 급식소 운영 및 관리실태를 조사하여 두 지역 급식소의 관리실태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양사의 연령분포와 근무경력은 전남지역에 비해 충청지역이 높았으며, 근무시간 역시 전남지역에 비해 충청지역에 근무하는 영양사가 더 길었고, 영양사의 겸직유무에서 전남지역에 비해 충청지역에서 영양사 고유 업무를 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1일 급식횟수는 전남지역에서는 1일 3회, 충청지역은 1일 4회 급식하는 곳이 가장 높게 나타나 두 지역 간에 유의적인(P<0.001) 차이를 보였다. 급식인원수는 전남지역은 급식인원이 200~500명, 충청지역의 경우 500명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나 전남 지역에 비해 충청지역의 급식규모가 크게 나타나 두 지역 간에 유의적인(P<0.001) 차이가 있었다. 두 지역 급식소의 순수 식 재료비는 모두 1,500~2,000원이 가장 높게 나타나 차이가 없었으며, 급식소의 운영형태 역시 차이가 없었다. 두 지역에서의 급식운영형태에 따른 식단의 유형은 두 지역 모두 단일식단을 많이 실시하였고, 급식운영형태별로 보면 두 지역 모두 직영일수록 단일식단이 많았으며, 위탁일수록 복수식단이 많았다. 식단주기는 전남지역은 10~15일 주기, 충청지역은 1주일 주기가 가장 높게 나타나 전남지역 영양사들이 식단주기를 길게 작성하여 유의적인(P<0.001) 차이를 나타냈다. 두 지역 간의 급식운영형태에 따른 식단작성 시 가장 고려하는 사항은 두 지역 모두 비용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전남지역의 경우 직영과 위탁 모두 기호를 중시하였으며, 충청지역은 직영의 경우는 조리시설 및 기술을, 위탁의 경우는 영양을 더 고려하였다. 식품구입방법은 전남 지역은 54.5%가 전산시스템 자동발주, 충청지역은 전산자동발주보다 전화 및 메일 발주를 더 많이 이용하여 유의적인 차이(P<0.01)를 나타냈다. 식품구입 대상은 전남지역에서는 중간상인, 충청지역은 도매시장을 많이 이용하여 유의성(P<0.001)이 있었다. 다량 조리 생산 시 가장 고려하는 사항은 조리방법, 노동력 분배, 기구 및 설비배치 순이었으나 지역간 차이는 없었다. 배식 시 1인분의 양 결정방법은 충청지역이 전남지역에 비해 배식 시 저울을 많이 사용하여 지역 간에 차이를 나타냈다(P<0.001). 급식음식의 품질 평가 여부는 전남지역에 비해 충청지역이 품질 평가를 더 자주 하는 것으로 차이를 보였다(P<0.001). 급식소의 급식운영형태에 따른 식기세척 방법은 충청지역에서는 세척기를 주로 이용하였고, 특히 직영에 비해 위탁급식에서 세척기를 더 많이 이용하였고, 전남 지역에서는 위탁에 비해 직영일 경우 두 가지 방법을 더 많이 병행하였다. 영양사의 주된 업무로 전남지역에서는 영양관리, 충청지역에서는 위생관리가 높게 나타나 유의성(P<0.001)이 있었으며, 영양사로서 가장 힘든 사항은 두 지역 모두 예산부족 및 시설이 높았으나, 다음으로 전남지역은 인간관계, 충청지역은 과다한 업무로 두 지역 간에 유의적인(P<0.01) 차이를 나타냈다. 직업의 만족도는 전남지역에서는 영양사라는 직업에 대체로 만족하는 반면, 충북지역에서는 대체로 불만족의 비율이 높아 지역 간에 유의성(P<0.001)이 있었고, 대학전공과목 중 꼭 필요한 과목은 두 지역 모두 경영 및 인사관리와 조리과학 및 실습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the employee feeding operations of Jeonnam and Chungchong area.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and mailed to 160 dietitians with management in employee foodservice of Jeonnam and Chungchong area.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from 124 dietitians for a response rate of 77.5%.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ed. Age, work experience, concurrent position and work time of dietitia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ungchong area than those in Jeonnam area. Times of meal and amount of meal served in Chungchong are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Jeonnam area. The type of menu by foodservice operation was high non-selective menu in both areas, especially non-selective menu was high in self-operated place whereas selective menu was high in contract management. Period of cycle menu was 10~15days in Jeonnam area, but that was 7 days in Chungchong area and so cycle menu of both areas was significantly different(P<0.001). Most considerable factor in menu planning was preference in Jeonnam area and was cost in Chungchong area. Food purchasing method was used mostly automatic computerized order in Jeonnam area whereas telephone or mail order was high in Chungchong area. Subject of food purchasing was high a broker in Jeonnam area, a wholesale market was high in Chungchong area. Distribution method of portion size was high standardized tool in both area but next balance use of Chungchong area was higher than Jeonnam area(P<0.001). Quality management of meal in Chungchong area operated very often than that of Jeonnam area. Major management of dietitian in Jeonnam area was nutrition and that of Chungchong area was hygiene. Difficult problem as dietitian was answered high budget and facilities in both areas and subsequently was human relation in Jeonnam area and excessive work in Chungchong area answered. Satisfaction degree of job as dietitian in Chungchong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Jeonnam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