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70년대와 2000년대 주거단지계획의 비교 연구

        우상훈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2

        보다 나은 주거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 도시공공공간을 생활공간으로 인식하고, 도시계획의 영역이 아닌 주거지계획의 영역을 다루게 되는 계획경향의 변화는 우리나라 공동주택계획의 성격과 흐름을 전환시키는 중요한 시점이 되었다. 과거의 대규모 단지들이 도시 수준의 규모임에도 불구하고 소규모 단지와 같은 개념으로 계획됨에 따라 도시로서의 체계성과 도시의 활력적인 모습을 보이지 못했던 것에 반해 도시계획에 해당하는 지구단위계획이 설정이 되고, 그러한 계획에 따라서 단지의 연계성과 도시성을 통한 도시차원의 공간구조에 대한 새로운 고려들이 시도되었다. 이런 점에서 1970년대 강남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탄생한 잠실아파트는 우리나라 공동주택에 있어 새로운 계기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서울의 동남부에 위치한 대단지아파트인 잠실 아파트는 처음으로 근린주구론을 적용하여 종래의 단지개념에서 벗어나 자족적인 단위생활권 측면에서 여러 가지 디자인 컨셉을 보였다. 잠실은 각주구마다 공공시설 및 부대복지시설, 근린생활시설 등을 단지 중앙에 집중 배치하고, 가구단위의 생활권을 계획하는 등의 여러 가지 시도는 높이 평가 할 수 있으나 아쉬운 점도 있었다. 도시와의 관계에 있어 단지와 도시와의 연계성 부족으로 가로의 활성화 저하와 도시공공 공간의 황폐화를 초래하는 결과를 초래했기 때문이다. 이런 잠실단지가 30년이 지난 지금 재건축을 통해 새로운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 이 단지가 당대를 대표하는 사례는 아니지만 우리나라 집값의 최고를 자랑하는 강남권에 위치한 대단지로써 이 논문을 통해 잠실아파트의 70년대 사회문화적 상황과 오늘을 비교하고 그 안에 담겨 있는 계획적 개념을 상호 비교하는 논문으로써 30년 동안의 간격을 통한 단지설계 다지인 페러다임이 어떻게 변해 왔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74년 잠실종합개발기본계획안을 통해 개발 당시의 단지계획과 주거이념을 알아보고 2000년대에는 잠실아파트지구개발기본계획과 각 단지 설계사와 건설회사을 통해 현재 진행 중인 잠실단지계획의 주거 이념 통해 도시성의 해석, 단지와 외부공간의 구성방법, 주거의 평면구성을 통해 우리의 잠실의 주거문화가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를 알아본다. 주요어 : 공동주택, 단지계획, 잠실지구, 잠실단지, 잠실계획

      • 不良住宅 再建築事業의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이수형 단국대학교 1993 국내석사

        RANK : 248636

        Everybody wants good house, good system of life scale. Especially the citizen in public house is faced on at last the decrepitude. But there are many problems in reconstructing their public house. First of all, in this report I have outlined the general concept of decrepitude of public house and the standard for judge the decrepitude of public house. For these analysis I have provided objective criteria for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decrepitude bad house. As the model of decrepitude public house I researched the Jam Sil DanJi Apartments. They suffered by irrational law and bad environments inconvenient life helper, They tried to improve the irrational Law system for reconstruction of Public house. For example, they were prohibited by he regulation that before 20 years from built-up the public house cannot reconstruct at all. But on 1993, the irrational regulation is set down and improved by this government. I concluded that we need the independent Law system for reconstruction of public house. And there is a necessity to have improve house-financing system, Financing for public house will be used for effectively reconstruction their public house. And there is a necessity for lots of office for examination of reconstruction or not. They have to judge quickly whether the public house need to reconstruct or not. It subside unnecessary discussion and try for reconstruction. And I mentioned about the way of reconstruction of public house. There need a group of professional reconstruction consultant company. We should unite and strive for building a beautiful and comfortable urban space where the residente can enjoy their worthy life.

      • 스펙터클의 도시: 잠실 롯데 단지에 대한 미디어-공간적 문화 연구

        장인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15935

        이 논문은 스펙터클의 도시로서 잠실 롯데 단지를 미디어와 공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잠실 롯데 단지 스펙터클이 형성하는 지각과 주체성 문제를 논의하고, 잠실 롯데 단지의 문화적 의미와 현대성을 파악한다. 이 논문은 한국의 도시 스펙터클 연구로서 확장된 미디어 연구이자, 비판이론적 도시 연구이다. 잠실 롯데 단지의 다층적 미디어-공간을 연구하기 위해 이 논문은 발터 벤야민이 <아케이드 프로젝트>에서 발전시킨 도시 문화론의 주요 개념들에 기반하여 연구 방법과 분석틀을 정립하였다. 상업 · 거주 · 교통 · 예술의 복합적 구성체인 잠실 롯데 단지를 에비뉴엘, 롯데월드타워, 롯데월드 어드벤처, 롯데캐슬골드, 잠실역, 미디어 파사드와 공공 미술로 세분화하고 재구성하여 접근하였다. 각 대상과 관련한 문헌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 근대화와 도시화의 맥락에서 잠실 롯데 단지의 공간 형성과 재현, 경험의 다양한 층위와 의미 작용을 파악하였다. 나아가 롯데월드타워와 롯데월드 어드벤처의 인스타그램과 유튜브의 미디어 재현을 분석하여 잠실 롯데 단지의 스펙터클을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설립 초기 잠실 롯데 단지는 각 시설이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기능하였던 반면, 현재의 잠실 롯데 단지는 기술 매체로 통합된 소비문화 공간을 구성하고 작동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잠실 롯데 단지의 미디어-공간은 촉지적 스펙터클과 유동적 공간 경험을 제공하여 공간소들의 경계를 교차 · 와해하며, 문화적 혼종성을 강화한다. 잠실 롯데 단지의 스펙터클은 발터 벤야민이 기술 매체에 기대한 비판적 깨어남의 계기로 작용하기보다는, 온 · 오프라인을 포괄하는 전략으로 상품물신의 환등상적 효과를 강화하여 하나의 거대한 소비문화의 성채를 형성한다. 잠실 롯데 단지를 스펙터클의 도시라는 현대 도시 공간의 한 유형으로 분석한 이 연구는 도시 문화의 미디어-공간적 연구에 이론적이며 분석적인 단초를 제공한다. 또한, 이 논문은 발터 벤야민의 비판적 미디어 문화 연구 방법을 그대로 수용 및 적용하는 한계를 넘어 한국의 현대적 미디어 환경의 맥락에 비판적으로 전유함으로써 비판적 문화연구에서 탈식민지적 연구를 시도한다. 나아가 이 논문은 비판적 미디어 문화 연구가 미디어-공간의 식민성, 젠더성, 혼종성과 보다 체계적으로 결합되어 수행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of the Jamsil Lotte complex as a city of spectacle. Drawing from media-spatial analysis methods, this dissertation focused on the interactions between media and space, to identify the functions of the spectacle and its impact on the construction of the cultural identities of the complex. In doing so, the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tion of the Jamsil Lotte complex within the context of urban development in Seoul, South Korea. Specifically, by employing Walter Benjamin’s theoretical notions such as ‘phantasmagoria’ elaborated in his distinctive exploration of the urban modernity, this study first reconstructed the Jamsil Lotte complex as multiple analytical places: Avenuel as the commodity-utopia; Lotte World Tower as the digital panorama; Lotte World Adventure as the mega-event space; Lotte Castle Gold as the middle-class aspiration; Jamsil Metro Station as the passage; and public artworks as the mediated spectacle. Then, the study analyze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documents relevant to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complex, as well as its social media representations. The study found that the different components of the Jamsil Lotte complex constitutes the spectacle of consumer culture, closely interconnected by communication technologies – in contrast to its early days when each component was physically connected. In these digital media-saturated spaces, the physical and the virtual spaces are intertwined and the tactile distraction serves as the main corporeal experience of the spectacle. While Benjamin had hoped for a ‘profane illumination,’ or an awakening from the dream world of commodity, this study argues that the media-space experiences offered by the Jamsil Lotte complex reinforce the phantasmagoria of the capitalist consumer culture. This study attempted to contribute to the decolonization of media and cultural studies by critically appropriating Benjamin’s unique – yet historically conditioned – thoughts within the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South Korea. Not only that, but the dissertation also shows the need for critical media and cultural studies on city spaces to engage with issues of gender, coloniality, and hybridity. It is hoped that the observations and arguments herein offer some theoretical implications that will guide urban and media studies to examine the interplays between media, space, and consumer experience in a more systematic way in the future.

      • 잠실역 6번 출구의 가로변 버스정류장 개선 방안

        김지훈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15871

        본 연구는 잠실역 6번 출구의 가로변 버스정류장에 나타나는 문제점 해결을 위해 설계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현재(2010년 기준) 서울시 버스정류장 중 95%는 가로변 버스정류장이다. 서울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가로변 버스정류장은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에 비해 그 환경이 열악한 실정이다. 협소한 가로환경으로 인한 문제점이 주된 요인이다. 특히 문제점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서울시의 주요 역세권의 가로변 버스정류장을 대상으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그중 잠실역 6번 출구는 다른 곳과는 달리 공간이 협소하고, 대규모 주거지역과 접해있어 전반적인 환경개선이 필요하다. 설계의 목표는 공간 확보를 우선으로 버스이용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향후 있을 잠실 주공 5단지의 재개발을 고려하여 정류장에 접한 주거지역의 녹지대 일부를 공공공지로 확보하여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는 공간 확보에 중점을 두어 쉘터를 효과적으로 제공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또한 잠실 주공 5단지의 재개발의 구체적 계획이 이루어지지 않아 실제 계획에는 적용시키기 어려움이 있다는 점이다. 추후 잠실역 일대의 계획에 맞추어 새로운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the roadside bus stop near the 6th exit of Jamsil subway station. Currently(2010.) 95% pf bus stops were at roadside in Seoul. However, the road side bus stops were exposed to an undesirable environment compared to central lane bus stops. A narrow sidewalk was one of the major problems of the roadside bus stops.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a roadside bus stop near a subway station of Seoul, which seemed to have multiple problems. The roadside bus stop near the 6th exit of Jamsil subway station had narrow space and was close to a large residential area. Therefore, the environment of the roadside bus stop near the 6th exit of Jamsil subway station need to be improved. A design objective was set to provide enough space for bus passenger. The design also aimed to reserve green areas of the adjoined residential area for open space. It includes reconstruction of the 5th block of Jamsil Ju-gong apartment. A limitation of this design is not provide a shelter in order to guarantee enough space. Also, there limit a confirmed plan on the reconstruction of the 5th block of Jamsil Ju-gong Apartment yet. It was difficult to apply to a legitimate plan. A new design is necessary after a new plan of Jamsil subway station is decided.

      • 1960~70년대 서울 잠실 지역 도시계획의 전개와 도시 형성의 특징

        김현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17581

        본 논문은 1960~70년대 잠실 지역의 도시개발계획 전개를 통해 미개발 상태에 있던 잠실 지역이 신도시가 건설될 ‘평면’으로 정비되는 과정과 이 ‘평면’을 구성하는 도시계획적인 요소들이 입체적으로 조성되는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고, 그 결과로 형성된 잠실 지역의 도시적 특징이 가지는 의미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1960년대 서울시가 직면했던 도심부 과밀인구 문제의 해소 방안은 1963년 행정구역 개편 이후 서울의 범위에 포함된 한강 이남 지역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서울 동남부의 잠실 지역은 도심부 외곽의 소규모 촌락지이자 미개발지역으로, 상습적인 침수 문제를 비롯한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도시계획의 실행이 요구되는 지역이었다. 또한 잠실 지역의 개발은 새로운 생활권의 형성을 넘어, 스포츠 메가 이벤트 개최가 가능한 제반 시설들을 함께 갖추는 목적까지 포함하였다. 1960년대 박정희 정부의 아시안게임 유치 대비를 위한 경기장 시설 건설 의제는 서울시의 도시계획안으로 구체화되었다. 이러한 도시계획적인 요구는 인구난 해소를 위해 한강 이남 지역으로 도시기능을 분산하려는 1960~70년대 서울시의 당면과제와 시기적으로 맞물리면서 잠실이라는 도시 공간으로 흡수되었다. 1970년대 초반부터 착수된 잠실 지역의 개발은 하중도의 잠실 일대를 공유수면 매립공사를 통해 거대한 공공용지를 확보하는 작업으로 본격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개발 주체로 참여한 서울시와 정부, 민간 건설업체 간의 이권 확보 경쟁 또한 전개되었다. 그러나 개발과정에서 기존의 잠실도 주민들의 보상 및 이주 문제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지며, 원주민들의 존재가 새롭게 형성된 생활권에서 배제되기도 했다. 한편 잠실 지역의 도시계획은 근린주구론을 바탕에 두고 개발 대상지를 향한 구체적인 계획이 선행되었다는 점에서 기존의 도시개발 방식을 전환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그 결과, 1974년에 발간된 <잠실지구종합개발기본계획>은 종전의 도시계획 구상안들이 집약된 ‘마스터플랜’의 성격을 가지며, 서울의 부도심으로서 기존 구도심의 과밀화 문제를 해결할 실질적인 도시확장 방안으로 활용되었다. 도시개발사업에 종합적인 계획이 반영된 결과, 잠실 지역은 대규모 아파트단지를 포함하는 주거지의 기능과 ‘스포츠 타운’으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갖추게 되었다. 이렇게 형성된 도시적 특성들은 88서울올림픽 개최와 결부되어 잠실 지역이 1980년대 올림픽 거점개발 대상지로서 기능하게 했다. 요컨대 잠실 지역은 1960년대부터 논의되어 온 인구 분산 문제와 스포츠 메가 이벤트 개최를 위한 도시공간의 마련이라는 의제가 1970년대 도시개발계획사업의 전개를 통해 실현된 공간이었다. 이로써 잠실 지역은 서울의 다른 지역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도시적 특성을 가진 장소로서의 위상을 확보하게 되었다. 그러나 잠실 지역 또한 앞서 전개되었던 한강 이남 지역 개발 사례와 같이 관료 중심적인 개발 전개와 양적 공급에만 치중했다는 한계를 해소하지는 못했다. 이는 결과적으로 개발 전후의 공간을 실질적으로 향유하는 민간 주체의 존재를 간과했음을 의미함과 동시에, 새로운 ‘강남’의 탄생 이면에서 도시 서울을 구성하는 공간들 사이의 위계화가 시작되고 있었음을 의미하기도 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urban development plan in the Jamsil area in the 1960-70s. The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undeveloped Jamsil area into a ‘plain’ for building a new city and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the urban planning elements constituting this ‘plain’ were created three-dimensionally,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the urban characteristics of the Jamsil area. The solution to the overcrowding problem in the city center of Seoul in the 1960s was to develop the area south of the Han River, which was included in the scope of Seoul after the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in 1963. The Jamsil area in southeastern Seoul was a small village and undeveloped area outside the city center at that time; This required the implementation of urban planning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including flooding prevention.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the Jamsil area aimed not only to create a new residential area, but also to provide infrastructure for sports mega-events. In the 1960s,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wanted to build stadium facilities to host the Asian Games, which was specified in Seoul's urban plan. These urban planning needs coincided with the immediate problems faced by Seoul in the 1960-70s to distribute urban functions to areas south of the Han River in order to address the overcrowding problem, which targeted the urban space called Jamsil. The development of the Jamsil area, which started in the early 1970s, began in earnest by reclaiming the shared water surface in the Jamsil area to secure a large amount of public land. In this process, competition for interests also arose between the Seoul Government, the central government, and construction companies which participated as the main agents of development. However,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the issue of compensation and relocation of Jamsildo-do residents was relatively neglected, and Jamsil-do residents were excluded from the newly formed residential area. On the other hand, the urban planning of the Jamsil area changed the existing urban development method in that it was preceded by a specific plan for the development target based on the neighborhood unit theory. As a result, the Master Plan for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Jamsil District published in 1974 was characterized by a ‘master plan’ that combined previous urban planning plans and was utilized as a suburban expansion plan to solve the overcrowding problem in the existing old city center using a sub-urban center of Seoul. As a result of the comprehensive planning reflected in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the Jamsil area had both the function of a residential area including large apartment complexes and the function as a ‘sports town’. These urban characteristics, combined with the hosting of the 88 Seoul Olympics, allowed the Jamsil area to function as a target area for Olympic development in the 1980s. In summary, The Jamsil area was a space where the agenda of population dispersion and the creation of urban space for hosting sports mega-events, which had been discussed since the 1960s, was realized through the urban development planning projects in the 1970s. As a result, the Jamsil area has established itself as a place with unique urban features that cannot be found in other parts of Seoul. Nevertheless, the Jamsil area also has the limitation of focusing only on bureaucrat-centered development and quantitative supply, as in the case of the development south of the Han River that developed earlier. It also overlooked the private entities that actually enjoyed the space before and after development, and suggested the beginning of a hierarchy between the spaces that construct the city of Seoul behind the birth of the new ‘Gangn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