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중록>의 기억 구성 글쓰기 방식과 그 교육적 적용에 대한 연구

        김혜영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49

        이 연구는 자전적 글쓰기를 수행할 때 기억을 구성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며 자신의 기억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식을 밝히고 그에 따른 쓰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자전적 글쓰기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기억을 구성해 써야 하기 때문에 기억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는 가장 중요한 원리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해 기억 구성 방식을 통해 글쓰기 교육 방안을 연구하였다. 기억 구성을 통한 쓰기 교육의 주된 텍스트는 <한중록>이다. 이 작품은 혜경궁 홍씨가 60년 넘게 궐 생활을 하며 경험한 것을 기억에 의지해 기록한 작품으로 기억 구성 글쓰기의 전범으로 삼을 수 있는 텍스트가 될 수 있다. <한중록>의 기억 구성 원리를 밝히기 위해 우선 <한중록> 이본들 간의 비교와 <조선왕조실록>과의 비교를 통해 내용과 표현 측면에서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차이는 서술자 개개인이 지니고 있는 기억의 양상이 다르다는 점, 또 의도와 목적이 상이하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다음으로 <한중록>이 가지고 있는 기억 구성의 원리를 살펴보았다. 그 원리는 첫째, 자신의 기억을 정리하기. 둘째, 타인의 기억을 활용하기. 셋째, 자신의 기억을 완성하기. 넷째, 타인의 기억을 형성하고 변형하기 이다. 이처럼 기억 구성은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의 기억을 활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자신을 위해서만 아니라 타인을 위해서도 행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고에서는 <한중록>을 문학 작품으로만 감상하는 데에서 벗어나 <한중록>을 기억 구성 글쓰기의 전범으로 삼아 활용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교수학습 목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show that composing memory is an essential process for autobiographical writing, to teach how to compose one's own memory, and to suggest the appropriate tea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two aspects. How to compose one's own memory is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in that autobiographical writing requires that process. Therefore, this essay is studied and written based on this point of view. This essay is based on the text “HanJoongNok" since it was recorded by Heakyungkung Hong recalling her memory, having lived in a palace for over 60 years. Due to this fact, the text is believed to be the original writing of memory composing. First of all, all versions of "HanJoongNok" and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ere compar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contents and descriptions. It was found out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cause each writer has different aspects of memory and reconstructs their memories according to their intentions. Then, the principle of memory composition in "HanJoongNok" was examined. It was meaningfully composed to be understood by not only "I" but also by others. It is found that it was written depending on the writer's own memory or got helped by others' since the writer's memory was not complete. It was meaningfully composed to be understood by not only "I" but also by others. Finally, it enabled "others' memories" to be "my memory" using the meaningful description. In conclusion, this essay applies "HanJoongNok" as an ideal model of memory composition writing as well as appreciates it as a literary work. In addition, a goal of learning and teaching is suggested.

      • 문학치료가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 : 집단문학치료장에서 자전적 글쓰기를 수단으로

        노명자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0

        Recently family violence is emerging as a serious problem in our society. The government is helping family violence victims by enacting ‘the Family Violence Prevention Act’ and providing shelters for temporary protection. However, there are not many programs for managing and treating the victims’ psychological shock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literatherapy intervention on female family violence victims’ physical and mental depression. As there have been few clinical researches on literatherapy, we conducted a case study to see whether literatherapy is effective and applicable as a relief for female family violence victims’ dep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 women who were admitted to ‘OO Women’s House,’ a shelter for female family violence victims in Changwon. The program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12th to 26th of August, 2006 through a total of 16 sessions and 90 minutes in each session for 6 hours on Saturday and 3 hours on Sunday. Literatherapy was designed to reduce female family violence victims’ depression, and their depression was compared through a pre-test and a post-test. Depression was measured using BDI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CES-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Inventory). In order to examine the subjec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s of the therapy, we conducted SSCT (Sacks Sentence Completion Test), a projective test. The hypothes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female family violence victims’ depression can be intervened in by literatherapy. Second, female family violence victims’ depression will be reduced by literatherapy. Third, female family violence victims’ negative attitude will be reduced by literatherapy. Fourth, female family violence victims’ positive emotion will be increased by literatherapy.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first, to draw emotions by stimulating the participants’ numbed physical senses; second, to release the participants’ unconsciously suppressed emotion through writing; third, to enhance the participants’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others; and fourth, to restore the participants’ self-esteem and confidence and establish their self-identity. The results of BDI and CES-D tests confirmed that literatherapy intervention using autobiographical writing reduces female family violence victims’ depression. At the beginning, the depressed participants were easily distracted through slow acting and thinking and provided feedback little. With the proceeding of sessions, however, they expressed their feelings in language, paid attention to others’ stories, and understood and accepted their own emotions. When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using the depression scales were analyzed, negative attitude was found to decrease, suggesting that the literatherapy intervention was effective. With the reduction of negative attitude, we observed improvements in self-support, self-reinforcement and self-esteem. In case of Mona Lisa who showed the biggest change, dependency on the husband disappeared and stateliness and confidence were observed in the sentence completion test. After the group literatherapy, the female family violence victims’ depression decreased and their negative attitude changed significantly. In group literatherapy, they rediscovered their inner self and revealed through literary writing their suppressed feelings and what they could not speak, and these effects led to healing. In addition, their self was reinforced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ir feelings and emotional integration. The meaning of literatherapy intervention in depression was found in that the female family violence victims came to understand their present emotion through expressing their situation symbolically and safely without revealing the reality and discovering their inner self wounded during their youth and the therapy provided them with an opportunity to perceive their self in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integrate it and, ultimately, to get out of depression. The disease is ‘a language for what cannot be told or is not told,’ and litera therapy is ‘telling what cannot be told.’ Considering that depression is suppressed anger and unspoken voice, this study proved that literatherapy intervention has a therapeutic power as its participants acquire insight into ‘what cannot be told’ through literary writing

      • 아니 에르노 작품에 나타난 삶의 장소와 언어의 변증법 : 『부끄러움』을 중심으로

        김예림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4

        Annie Ernaux, l'écrivaine de l'écriture factuelle et neutre, se confesse dans La Honte à propos de l'événement qui s'est emparé de toute sa vie. En 1952, quand elle avait 12 ans, son père faillit tuer sa mère suite à une dispute. Cette scène lui fit prendre conscience de la profonde différence des classes sociales et de l’infériorité de nature de son milieu de vie par rapport à la classe bourgeoise. Chez Ernaux, la conscience de classe est le thème dominant. Surtout, La Honte est l’œuvre qui montre le départ de cette conscience. Le mécanisme principal par lequel elle perçoit le monde, est le langage. Tout au long de l'œuvre, elle vise à mettre en ordre le langage qui constitue la conscience de soi. Le but de ce mémoire s’attache donc à analyser 'les lieux de vie', soit 'famille-école-littérature' et l'influence que chaque lieu exerce dans la formation de son identité. Les 3 lieux ont chacun leur langage caractère et forment une dialectique comme suit : thèse ; le langage de manque, utilisé dans le quartier et entre les habitants, antithèse ; le langage d'excès, parlé à l'école privée où sont les professeurs et les camarades de la classe bourgeoise, synthèse ; le langage de la narratrice, de l'écrivaine. Dans le premier chapitre, nous portons notre attention sur les éléments essentiels qui forment l'identité du personnage adolescent. Après le jour de l'an 1952, elle comprend que l'infériorité de sa classe provient du manque économique et social. De là, naît la honte. Dans le deuxième chapitre, nous examinons l'attitude du personnage face au nouveau monde. Elle, vivant parmi des gens qui parlent un patois grossier, observe maintenant de nouveaux codes de vie à l'école privée. Dans les paroles cordiales, il y a l'intention de se comparer et de se vanter, ce qui peut se désigner comme 'le langage de l'excès'. En même temps, de telles expériences lui donnent constamment un sentiment de confusion et de honte. Pourtant, nous pouvons aussi confirmer que la honte n'a pas que des effets négatifs, mais que parallèlement, la honte éveille en elle le désir, comme moteur. Dans le troisième chapitre, nous essayons de comprendre le langage qui synthétise la vie d'Ernaux, soit l'écriture et son sens. Enfermée dans la conscience de classe, elle se débarrasse enfin de la conscience négative de soi. Nous pouvons affirmer que pour elle, l'écriture est tel un salut. L'écriture littéraire lui permet de se comprendre et de trouver sa propre identité. Pour conclure cette étude, nous analysons minutieusement le parcours de l'identité du personnage-narratrice, à partir de la fille de l'épicerie, ensuite de l’élève brillante de l'école privée, et enfin de l'écrivaine qui parle de sa propre vie. Ce travail nous permet de comprendre le sens de l'écriture autobiographique. Son écriture révèle la vérité sensible, à la fois à l'échelle personnelle et sociale.

      • 자전적 글쓰기의 원리와 방법 연구

        김재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447

        이 연구는 구성주의 글쓰기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의 고등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자전적 글쓰기의 원리와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자전적 글쓰기에 대한 개념 정리와 선행 연구들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본 연구는 학생들의 자전적 글쓰기 활동 시 총 네 가지 원리(거리 두기의 원리, 경험 반추의 원리, 선택과 배열의 원리, 진정성의 원리)가 작용한다고 보았다. 또한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자전적 글쓰기의 방법들을 글쓰기 활동 전, 활동 중, 활동 후로 각각 나누어 제시하였다. Ⅰ장에서는 자전적 글쓰기 교육의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본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자전적 글쓰기의 개념과 이를 바탕으로 한 교육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자전적 글쓰기의 원리와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고,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앞장에서 제시한 원리와 방법을 토대로 실제 수업내용을 설계하였다. 자전적 글쓰기 활동은 학생들에게 단순히 글을 쓰는 것 뿐 아니라 자아발견과 자신과 세상과의 관계를 인지하도록 한다는 데 있어서 의미 있는 활동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국 중등학교 국어 교육 현장에서 자전적 글쓰기 활동을 장려할 것을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with the applicable principles and methods of autobiographical wr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structionist writing theory. Through the summary of definitions and the reviews of previous studies' literature, the current study addressed four principles of students’ autobiographical writing activity: distanciation, experience reflection, selection and arrangement, and truthfulness. Writing methods were also suggested based on these principles divided into pre-, mid- and post-activity. Chapter Ⅰsummarized the previous studies of autobiographical writing from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presented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Chapter Ⅱ discussed the educational content of autobiographical writing based on its definitions. Chapter Ⅲ turned to a discussion of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autobiographical writing. Finally, Chapter Ⅳ designed lesson plans on the basis of these principles and methods. Autobiographical writing is a meaningful activity that allows students to discover their identities and to perceiv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selves and their surroundings. With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therefore, the researcher emphasizes encouraging autobiographical writing activity in secondary schools.

      • 1990년대 여성소설의 자전적 글쓰기 연구 : 박완서, 신경숙 소설을 중심으로

        노미연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2446

        이 연구는 1990년대 여성소설의 자전적 글쓰기에 관한 연구이다. 1990년대를 대표하는 여성작가 박완서의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와 󰡔그 산이 거기에 있었던가󰡕, 신경숙의 󰡔외딴방󰡕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자전적 글쓰기의 특징을 파악하는 한편, 두 작가의 한국문학사적 의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서전과 자전적 글쓰기를 구분하였는데, 자전적 글쓰기는 작가 자신의 경험을 소설의 형식으로 이야기하는 것을 말하며 고백적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자서전과 다르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1990년대는 여성작가들이 활발한 작품 활동을 보인 시기고 새로운 주제의식을 다룬 소설이 발표된 시기였다. 박완서, 오정희, 양귀자, 김채원, 공지영, 김인숙, 김형경, 신경숙 등이 그 대표적인 작가들이다. 이 중에서 박완서와 신경숙은 소설 속에 등장하는 여성 주인공 중심으로 그들의 의식변화와 시대적 흐름을 작가의 목소리를 통하여 전하였다. 1990년대는 전환기적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나 역사보다는 개인을 중시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것들은 기존의 중시되었던 것들에서 새로운 것에 대한 시도와 함께 장르 해체의 한 양식으로 자전소설이 나타나게 된다. 박완서 작품의 화자는 격동의 근대사를 정면에서 보고 겪은 인물들로 일제 중반기에 태어나 우리나라의 근대사를 모두 체험한다. 식민지시대 및 6․25전쟁까지 모든 경험을 하게 된다. 또한 신경숙 소설의 화자는 1960년대의 이농현상이 아직 전면화 되지 않은 농촌에서 도시로 이주하고 1970년대 말 격렬했던 노동운동을 현장 속에서 몸으로 경험하게 된다. 그들의 의도와 상관없이 정면에서 혹은 측면에서 그런 일들을 겪었던 그들은 자기 발견 과정을 우리의 근․현대사와 같이 한다. 이들의 작품에서 핵심적인 사건은 ‘죽음’이며 박완서는 전쟁 중 오빠를 잃고, 신경숙은 ‘희재 언니’의 죽음을 경험하는 공통점이 있다. 두 작가 모두 가까운 사람의 죽음을 체험하고 그 충격은 후에도 남아 오랫동안 묵혀 두는 상처가 된다. 하지만 타자의 죽음으로 오랫동안 자신을 고통스럽게 했던 상처를 글쓰기를 통해 극복해 나가고자 작가의 모습은 자신만의 일이 아니라 동시대를 경험했던 모두의 일이며 같이 상처를 치유하기를 원했던 것이다. 이런 점에 주목하여 두 작가를 비교․검토함으로써 한국 현대사회의 변화 양상과 사회의식을 살피는 한편, 그에 대응하는 개인의 양상을 추적하여 자전적 글쓰기를 통해 자아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노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박완서의 자전적 글쓰기를 근대의 억압과 전쟁의 위기 속에 가족의 해체를 경험했던 작가 자신의 성장과정을 분석하였다. 그의 성장기는 그의 작품을 연작할 수 있게 했는데 그의 성장과정에서 겪어야했던 치욕스러운 체험을 암울한 근대사와 개인의 경험과 맞물려서 생생하게 증언해 준다. 그리고 그의 혼란한 성장기를 역사적 사실과 같이 허구성을 겸하여 소설이 탄생하게 된다. 작가는 작품들을 통하여 그가 성장 과정에서 늘 짓밟혀 왔던 안타까운 과거의 기억 속으로, 유년 시절 고향 박적골의 유토피아적 싱아를 유일하게 이상향으로 끄집어낸다. 주인공이 도시 입성 후에 힘겹고 험난한 성장기를 보내면서 싱아의 추억은 늘 가슴속에 묻어두어야 했지만, 파탄의 삶 한가운데에서도 그를 버텨내게 하는 지지대의 역할을 하기도 했던 과거에 대한 향수이다. 1990년대의 박완서의 자전소설은 ‘체험’의 진정성이 나타난 시기로 작가의 전기적 사실을 강화를 통해 대중들에게 공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중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신경숙의 자전적 글쓰기는 작가 자신의 노동자로서의 과정과 그가 겪었던 어린 시절의 죽음 등은 그의 삶 속에서 작가의 꿈을 버리지 못하고 처절한 도시 생활을 견디어 낸다. 이 연구에서는 신경숙의 하나의 작품을 통해 그녀의 삶과 내면적 체험을 읽고자 했지만 한계가 있었다. 특정한 한 작품을 가지고 작가의 성장과 의식, 글쓰기의 문제를 다룬다는 것은 작가의 일부만을 부각시키는 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박완서, 신경숙 소설이 한 개인의 삶을 탐색하는 전기뿐만 아니라 허구적인 소설과 결합하여 발생한 소설의 유형임을 밝혔다. 이들의 이야기 속에서 작가의 성장담, 삶의 방식, 회상, 고백, 증언, 재발견 등의 방식으로 나타난다. 자전소설은 과거 회상을 통해 글을 쓴다. 회상 형식은 소설 텍스트의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허무는 요소로 작용한다. 즉, 회상을 통해 경험적인 자아와 서술적인 자아가 나타나는데 일인칭화 되어 내적 초점에 기준을 둔다. 따라서 자전소설이 독자가 믿을 수 있는 경험으로 재현되는 것이다. 이런 여성의 자전소설이 주변 담론이었던 여성 체험담을 중심화 시키고 주목시켰다는 점에서 대중성을 엿볼 수 있다. 여성의 일상과 욕망에 대한 기록이 사사로운 체험으로 폄하되었던 전통적인 서사와 달리, 자전소설이 여성의 삶에 기록 외에 중심 서사로 자리매김한 것을 보여준다. 박완서나 신경숙이 경험한 근대화는 역시 사적인 것이지만 그들이 살아온 시대와 역사의 상황 속에서 자신을 성찰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급격한 시대의 변화 속에서도 글쓰기라는 것을 통해 자기를 발견하고 정체성을 찾는 여성의 모습은 개인의 경험이기도 하지만 공동체의 것으로 모두 공감될 수 있다. 자전 소설은 일상의 체험과 개인의 삶이 곳곳에 들어있고 이를 통해 고착적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며, 그것이 사회적인 체험과의 긴밀한 연관성을 유지할 때 큰 울림을 가질 수 있다. 개인의 경험을 자기 성찰과 함께 공동체의 경험으로 확장하고 이를 통해 의사소통할 수 있다면 자전소설의 의미는 더욱 깊어질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autobiographical writing of female writers' novels in the 1990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pecific features of autobiographical writing and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hese two authors in terms of Korea's history of literature by analyzing 󰡔Who Ate Up All the Shinga?󰡕 and 󰡔Was the Mountain There?󰡕 by Park Wanseo as well as 󰡔An Isolated Room󰡕 by Shin Gyeongsook, female writers representing the 1990s. Autobiographical writing refers to a way to talk about an author's life in the form of a novel and it is clear that it is different from an autobiography in terms that it involves confession. In the 1990s, female writers actively produced their works and presented novels with new themes. These representative writers include Park Wanseo, Oh Jeonghee, Yang Guija, Kim Chaewon, Gong Jiyoung, Kim Insook, Kim Hyeongkyeong, and Shin Gyeongsook. Among these authors, Park Wanseo and Shin Gyeongsook delivered changes of consciousness and flow of time in their own voice through female protagonists in their novels. Individuals became more important than society or history in the 1990s in terms that this period had transitional factors. These are expressed in autobiographical novels as a way to dissolve genres along with a shift from traditionally important things to attempts for new things. The narrators in Park Wanseo's works have directly experienced the turbulent modern history. They were born in the middle of Japanese rule and experienced all the features of modern history of Korea. They were all present in the colonial time and the Korean War. Also the narrators in the novels of Shin Gyeongsook migrated from rural to urban areas in the 1960s when leaving the land was not yet general and directly experienced the intensive labor movement in the 1970s. Regardless of their intention, their direct or indirect experiences laid their process of self-discovery along with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the same line. The core theme in their works was ‘death’ and these writers experienced death as Park Wanseo lost her brother during the war while Shin Gyeongsook met the death of ‘sister Heejae’. Both writers experienced death of close people and the shock became an injury as a prolonged presence. However, an author's efforts to overcome the pain through writing was not confined to the author but can be found in all people who experienced the same time passage as everyone wanted to heal this injury. Based on this idea,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efforts to find their identity through autobiographical writing based on comparative analyses of these two authors, exploring changes and social consciousness of Korea's contemporary society and tracking down personal changes corresponding to this. Based on Park Wanseo's autobiographical writing, this study analyzed the author's growth which experienced the dissolution of family under suppression of the modern era and crises of wars. Her growth enabled her to produce her series of works by vividly expressing the shameful experiences along with the gloomy modern history. And her confused growth generated novels as she combined historical facts with fiction. In her writing, the author brings the sad past memory which has always been trampled down in her growth process and brings out Shinga in her childhood hometown, Parkjeok-gol, as a utopian ideal. While the protagonist had to bury the memory of Shinga in the process of difficult and troubled growth in a city, this was the nostalgia of the past which also worked as a buttress enabling her to sustain the life of destruction. Autobiographical novels by Park Wanseo in the 1990s secured popular support in terms that the truth of ‘experiences’ appeared at that time and that the mass could sympathize with them through strengthened autobiographic facts of these authors. In autobiographical writing of Shin Gyeongsook, the author's experiences as a laborer and death experienced as a child enable her to sustain her dream to become a writer and survive the relentless urban life. This study meant to read her life and internal experiences with a work of Shin Gyeongsook but there were limitations. This is because dealing with an author's growth, consciousness, and writing with a specific work of art would only give prominence to only a certain part of the author. This study has identified that novels by Park Wanseo and Shin Gyeongsook are not only autobiographies exploring personal life but also a type of novels generated in combination with fictional novels. They appear in the form of the author's experience of growth, mode of life, reminiscence, confession, testimony, and rediscovery in these stories. Autobiographical novels are written based on reminiscence. Reminiscence works as a factor breaking down the wall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exts of novels. This means that reminiscence brings empirical ego and descriptive ego and focuses internally based on the first person. Hence, autobiographical novels are regenerated as experiences that can be trusted by readers. We can see the popularization in terms that female autobiographical novels have developed female experiences as peripheral discourses into central themes that need to be noticed. Unlike traditional narration in which the records of women's daily life and desires used to be denounced as personal experiences, it shows that autobiographical novels have been established as central narration of female life in addition to recording. The modernization experienced by Park Wanseo or Shin Gyeongsook is personal but shows self-reflection in time and history of their own. The appearance of women finding themselves and seeking their identity through writing in the rapid change of time is personal but can be sympathized by all as a community experience. Autobiographical novels contain daily experiences and personal life here and there, criticize stereotypic ideologies, and can have great reverberation when these maintain close relations with social experiences. If we could extend personal experiences as those of the community based on self-reflection and communicate through this, the significance of autobiographical novels will become even greater.

      • 자아정체성 신장을 위한 자전적 글쓰기 교육방안 연구

        최보명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446

        본 연구는 자전적 글쓰기 교육을 통해 중등학교 학습자의 자아정체성 향상을 위한 교육적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청소년기 학습자의 정체성 확립을 통해 정신적, 사회적으로 성숙한 성인으로서 성장하기 위해 미래사회 가치역량인 의사소통역량과 협업능력의 기초가 되는 글쓰기를 기본으로 국민 공통 국어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다수 연구자의 선행연구에 따라 정체성 증진에 유의성이 검증된 자아정체성 신장을 위한 자전적 글쓰기 교육방안에 대하여 검증하고 실천하는 방법적 수업지도 모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미래 제 4차 산업 혁명의 시대에는 학습자 자아정체성 신장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자기 인식을 높이고 자신의 역량과 잠재력을 발전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성장을 위해 자전적 글쓰기 교육은 중요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자전적 글쓰기 교육을 통해 학습자는 자기 경험과 감정을 회고 하여 작성하는 것으로 자기 인식 수준을 높이고 생각과 가치를 체화할 기회를 획득하게 된다. 학습자는 자신의 글을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는 과정을 통해 다른 이들과 소통하고 참여하는 기회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시각과 아이디어를 접할 수 있어 창의성과 다각적인 문제해결능력을 향상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자전적 글쓰기 교육은 미래가치역량인 의사소통역량의 활성화에 교육적 가치를 두고 있으며,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선행연구자들의 연구를 통해 자아정체성에 개념을 파악하고 유형을 점검하여 읽기·쓰기 교육이 청소년기 정체성 확립에 미치는 유의성을 확인하였고 자전적 글쓰기를 통한 자아정체성 증진의 수업 방법에 관한 연구 결과를 확인, 청소년 학습자의 정체성 증진을 위한 수업모형을 탐색·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자전소설의 개념을 탐구하고, 자전소설에 나타난 인물의 정체성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물들이 타자화를 통해 타자를 이해하는 능력이 향상될 뿐 아니라, 스스로에 대한 올바른 자기 이해 과정을 통해 자아정체성을 증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전적 글쓰기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마련하기 위해, 결과중심 교수-학습 모형, 과정중심 교수-학습 모형, 장르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검토하였다. 이 가운데 과정중심 교수-학습 모형이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과정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로써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아정체성 증진이라는 교육 및 연구 분야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자전적 글쓰기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함으로학습자들이 자기 생각과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자아정체성 증진의 의의를 지닐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educational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self-ident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autobiographical writing instruction. By fostering the formation of identity during adolescence, this research ai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entally and socially mature adults who possess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and collaborative abilities—essential competencies for future societal value.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places emphasis on writing as a foundational skill, this study verifies and applies educational approaches in autobiographical writing that have been shown to significantly enhance self-identity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growth of learners'self-identity will play a crucial role. Therefore, autobiographical writing education can serve as an important tool for raising individuals' self-awareness and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their capabilities and potential. Through autobiographical writing instruction, learners have the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ir experiences and emotions, thus increasing their self-awareness and internalizing their thoughts and values. By sharing their writing and receiving feedback, learners engage in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with others. This enables them to encounter diverse perspectives and ideas, leading to enhanced creativity and multifaceted problem-solving skills. Autobiographical writing education values the activation of communication skills, a future competency, and plays a significant role in promoting the self-identity of adolescents.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the concept and types of self-identity and confirmed the significance of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in establishing identity during adolescence. The research has also explored and compared instructional models for enhancing self-identity in adolescent learners through autobiographical writing. To accomplish this, the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 of autobiographical fiction and analyzed the aspects of identity portrayed in such work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characters in autobiographical fiction not only improve their ability to understand others through character projection but also enhance their self-identity through a proper self-understanding process. In order to establish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autobiographical writing education, the study examined outcome-based, process-based, and genre-based teaching-learning model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at the process-based teaching-learning model is effective, this study propose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odel rooted in the process-based approach. Thu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of education and research on enhancing self-identity during adolescence by presenting a teaching-learning method for autobiographical writing. It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learners expressing their thoughts and emotions to promote self-identity.

      • 성인 블로거들의 자전적 글쓰기를 통한 성찰경험 현상학적 탐구

        이한나 아주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32445

        최근 성인학습 관점에서 성찰경험을 규명하려는 연구적 관심과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미디어 중의 하나인 블로그를 활용해 일상을 기반으로 한 자전적 글쓰기 활동을 하는 성인 블로거의 성찰경험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경험 세계의 근저에 있는 본질을 밝히는 현상학적 접근 방법과 연구자로서 내⋅외부자적 관점에서의 현상의 명확한 이해를 시도하기 위한 노력으로 자기 연구(self-study)의 하나인 자문화 기술 방법을 혼용하였다. 현상을 잘 드러낼 수 있는 풍부한 정보 제공이 가능한 참여자를 선정하고자 목적 표집과 눈덩이 표집을 통해 본 연구자를 포함한 4명의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현상학적 연구로 연구자가 가져야 할 ‘현상학적 환원의 태도’를 견지하며, 연구자 감식과 삼각구도법의 활용 및 참여자 확인, 참여자 동의 확보 등 질적 연구의 진실성과 타당성, 그리고 객관성 확보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블로거 활동을 처음 시작하게 된 연구자 및 참여자들의 공통적인 활동 맥락에는 현재의 삶과는 다른 더 나은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갈망이 있었다. ‘더 나은’ 삶의 개념은 자신의 삶에 대한 자아실현의 욕구와 사회적 존재로서 어떤 집단에 소속하고 싶은 사회적 욕구로 나타났다. 블로그를 운영하며 동기가 바뀔 수도 있듯이 참여자들 또한 블로그를 처음 시작한 동기와는 다르게 블로그에 글을 쓰며 자신의 경험을 블로그에 공유함으로써 누군가에게 힘이 되고 도움이 되어 선한 영향력을 주기를 기대하는 이타적 동기가 나타났다. 이와 동시에 자신의 성장을 위한 자아실현의 욕구로 블로그 글쓰기가 지속되었다. 둘째, 참여자들은 글의 소재를 찾기 위해 자신이 겪는 일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 이 상황이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 찾고자 ‘잠시 멈춤’의 시간을 통한 일상에서의 성찰을 경험한다. 이를 통해 얻은 깨달음을 토대로 블로그에 글을 써내려가고 상황을 객관적으로 재해석하며 반성의 시간을 갖는다. 그리고 낯선 자신을 만나며 거부하고 싶은 자신의 모습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구성해 간다. 이는 실존적 주체로서 자신의 과거를 성찰하여 스스로를 점검하는 시간이며 결과적으로 진정한 자기를 획득하는 경험에 이른다. 결국, 모든 것이 자신의 선택에 달려있고, 노력을 통해 변화시킬 수 있는 힘 또한 자신에게 있음을 알게 된다. 따라서 자신이 처한 상황을 초월하여 그것을 딛고 일어서서 어떠한 삶과 어떠한 시간을 보낼 것인지 결정하는, 실존적 존재로서의 성찰 과정을 경험한다. 이처럼 참여자들은 블로그 글의 소재를 찾기 위한 일상에서의 성찰경험을 토대로 블로그에 글을 쓰며, 주관적 자아에서 객관적 자아로, 객관적 자아에서 실존적 자아로 나아가는 전환적 성찰과 실존적 성찰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블로그에서 타인에게 글을 통해 선한 영향력을 주고자 하는 참여자들은 단순히 자신의 신념과 느낌에 따라 판단하는 것이 아닌, 자신의 글을 볼 상대방과의 관계적 맥락에서 자신의 모습을 검토한다. 이러한 모습은 참여자들로 하여금 글로 표현되는 자신의 모습이 타자로부터 어떻게 보일 것인지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하며, 자신을 드러내는 데 있어 사회적 적절성 여부에 맞추어 스스로 자신을 관찰하고 평가하며 통제하는 ‘자기 감시’적 성찰을 이끌어낸다. 이것은 블로그에서뿐만 아니라 현실세계에서도 참여자들로 하여금 자신이 만들어 낸 규율을 지켜야 한다는 의식 속에서 스스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인식하도록 만든다. 더불어 블로그 이웃이라는 존재와 그들의 댓글은 감시자의 역할이자 응원이 되어 일회성 실천이 아닌 지속적인 실천을 만들어 낸다. 이 외에도 참여자들은 자신이 쓴 글을 토대로 블로그 이웃 또는 방문자들과 소통함으로써 생각지도 못했던 다양한 견해의 댓글을 만나고, 자신이 하나의 관점에 취해 편협하게 보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참여자들은 서로의 경험을 나누고 그 경험의 의미를 재구성함으로써 자신의 삶에 실질적인 도움을 받는 것뿐만 아니라 사고의 깊이와 폭이 확장하는 성찰경험을 하게 된다.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의 적극적인 성찰을 이끌어내는 데 있어서 자신의 학습과정이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고 자신을 외부로 표현하며 경험과 의견을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둘째, 능동적인 실천을 일으키는 데 관계를 통한 소통은 자신이 실천하고자 하는 바를 이어갈 수 있게 만들 뿐만 아니라 실천에 대한 책임감을 갖게 만든다. 이에 성인학습에서 성찰에 따른 삶의 변화를 추구하는 데 필요한 행동 변화를 위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타인과 소통하는 환경 및 매개체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 다양한 소셜미디어 중에서 블로그에만 한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므로 향후 다른 소셜미디어를 폭넓게 활용하여 어떠한 성인학습이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성인 블로거들의 자전적 글쓰기 경험을 통한 삶에서의 성찰경험을 살펴보고자 참여자들의 면담 진술에 주로 집중하여 연구하였으나, 향후 블로그에 드러난 글에 집중하여 성찰과정을 밝히는 연구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더욱 균형을 갖춘 연구가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 아멜리 노통브의 자전적 글쓰기에 나타난 죽음 연구

        김나영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445

        본고는 아멜리 노통브(Amélie Nothomb)의 초기 작품을 중심으로 자전적 글쓰기에 나타난 죽음의 양상에 관해 고찰한다. 자전적 글쓰기는 자신의 삶을 회상하고 반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장르이다. 자전적 글쓰기 속에 ‘죽음’이라는 테마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유의미하다. 또한 노통브의 자전적 글쓰기가 대부분 유년시절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탄생과 성장’보다 ‘죽음’에 초점을 둔 것은 문제적 주제가 된다. 노통브의 자전적 글쓰기의 대부분은 ‘소설(roman)’이라는 범주로 출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몇몇의 선행연구들은 작품의 범주를 재규정하고자 한다. 이는 자전적 글쓰기라는 장르 자체가 내포하는 형식적 요건에서 기인한다. 자전적 글쓰기는 일반적으로 작가의 진정성을 요구하는 장르이다. 반면, 노통브의 자전적 작품에 나타나는 여러 전기적 사실은 허구에 기반한다. 작가의 작품 내 주인공은 작품 밖의 지시 대상인 작가 자신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작품 내부 세계에서 동일한 정체성을 공유한다. 다시 말해, 작가는 자신의 정체성을 표상할 수 있는 자신만의 분신(double), 즉 작가만의 고유한 창조적 자아(moi créateur)를 분만해 낸다. 본고는 자전적 글쓰기의 형식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작품이 담지하고 있는 다양한 내용적 측면을 탐색한다. 노통브의 작품에 나타난 ‘죽음’의 서사는 ‘성장’의 개념과 맞닿는다. 이에 따라 본고는 성장소설의 시초인 독일의 교양소설부터 프랑스의 성장소설로 넘어오기까지의 과정, 그리고 이들이 형상화하고 있는 성장의 양상이 어떠한 차이를 가지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죽음’이라는 테마가 보편적으로 자전적 글쓰기의 장르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시몬 드 보부아르와 앙드레 지드의 두 작품을 통해 탐색한다. 기존의 자전적 글쓰기에서는 ‘타인의 죽음’이 자전적 작품을 창작하게 되는 하나의 계기가 된다. 그러나 노통브의 자전적 글쓰기에 나타나는 죽음은 ‘자아의 죽음’이다. 노통브의 자전적 글쓰기에서의 ‘자아의 죽음’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익사, 단식을 통한 죽음, 고층건물에서의 추락사 등 다양한 형태의 죽음 몽상이 등장한다. 노통브가 자신을 ‘죽음’이라는 극한 상황에 몰아넣는 것은 가장 많은 경우 성장에 대한 열망에서 비롯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노통브의 신격화된 정체성은 ‘죽음’이라는 궁극의 한계점에서 이중 자아의 양상으로 나타난다. 본고는 노통브의 작품에 나타나는 창조적 자아의 죽음 몽상이 삶으로 나아가는 숭고한 가치를 지닌 필연적 과정임을 탐색한다. 작가의 여러 자전적 작품에 나타나는 일련의 죽음 몽상은 성장의 진행을 함의한다. 노통브의 작품은 자전적 글쓰기의 형식적 측면에서 벗어나 자신의 실제 이야기와 허구를 혼종시킴으로써 한층 더 자신다운 진실성과 만나게 된다. Cette étude recherche les aspects de la mort dans l’écriture autobiographique, en se concentrant sur les premières œuvres d’Amélie Nothomb. L’écriture autobiographique est un genre créé de manière à refléter et réfléchir sur sa propre vie. Il est significatif que le thème de la mort apparaisse à plusieurs reprises dans l’écriture autobiographique. De plus, étant donné que la plupart des écrits autobiographiques de Nothomb traitent de l’enfance, il devient problématique de se concentrer sur la mort plutôt que sur la naissance et la «formation». Bien que la plupart des écrits autobiographiques de Nothomb aient été publiés sous la catégorie roman, certaines études précédentes tentent de redéfinir les catégories de ses œuvres. Cela est dû aux exigences formelles du genre de l'écriture autobiographique lui-même. L'écriture autobiographique est un genre qui requiert généralement la sincérité de l'auteur. D'autre part, de nombreux faits biographiques dans les écrits autobiographiques de Nothomb sont basés sur la fiction. Le protagoniste de l'œuvre de l'auteure ne coïncide pas complètement avec l'auteure elle-même, référent réel en dehors de l'œuvre, mais partage la même identité dans le monde à l'intérieur de l'œuvre. En d'autres termes, l'auteure donne naissance à son propre double qui peut représenter son identité, c'est-à-dire son propre «moi créateur» unique. Cet article a tenté d'explorer non seulement l'aspect formel de l'écriture autobiographique, mais aussi les divers aspects du contenu de l'œuvre. Le récit de la mort dans l’œuvre de Nothomb se rapporte au concept de «formation». En conséquence, cet article examine le processus depuis le «Bildungsroman» allemand, qui est le début du roman de formation, en passant par les romans de formation français, et les différences dans les modèles de formation qu'ils incarnent. Par ailleurs, nous avons exploré comment le thème de la mort apparaît généralement dans le genre de l'écriture autobiographique à travers des œuvres de Simone de Beauvoir et d'André Gide. Dans l'écriture autobiographique existante, «la mort des autres» est devenue l'occasion de créer une œuvre autobiographique. Cependant, la mort qui apparaît dans l'écriture autobiographique de Nothomb est «la mort de soi». Chez Nothomb, «la mort de soi» se montre de diverses manières. Différents types de rêves de mort apparaissent, tels que la noyade, la mort par le jeûne et la mort à la suite d'une chute. Dans la plupart des cas, la raison pour laquelle Nothomb se met dans la situation extrême de la mort vient d’un désir de «formation». Dans ce processus, l'identité déifiée de Nothomb se manifeste sous la forme d'un double ego à la limite ultime de la mort. Cette étude explore le fait que les rêves mortels du «moi créateur» dans l'écriture de Nothomb sont des processus inévitables avec des valeurs sublimes menant à la vie; la série de rêves de mort implique le progrès de la «formation». Les œuvres de Nothomb surmontent l'aspect formel de l'écriture autobiographique, et en mêlant son histoire réelle et sa fiction, elles rencontrent une vérité plus authentique.

      • 경험의 서사화와 자전적 글쓰기 교육 연구

        장유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32445

        본 연구는 경험의 서사화 원리를 알아보고, 경험을 서사화하는 활동으로서 자전적 글쓰기를 통해 서사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박완서의 자전적 소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를 분석하여, 경험의 서사화의 원리들을 추출하고, 이를 활용한 자전적 글쓰기의 한 방법으로써 자서전 쓰기를 제시하였다. 먼저 박완서의 자전적 소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를 경험을 서사화하는 원리를 분석한 결과, 경험을 추출하는 원리로서 '거리두기 원리'를 발견할 수 있었다. 자신의 경험에 대한 ‘거리두기’가 이루어질 때 현재 자신의 모습을 성찰할 수 있고, 이러한 성찰이 과거의 경험과 연결되고 미래의 자신의 모습을 구성하면서 이야기는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이야기가 하나의 의미 있는 주제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경험을 돌아보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필요한 원리가 '경험 반추의 원리'이다. 회상은 기억을 정리하며, 기억은 자신의 정체성을 만들어 내므로 회상을 통해서 기억을 떠올려 보는 행동은 자신의 경험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경험을 서사화하는 글은 독자에게 진정성 있는 모습으로 다가가야만 감동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진정성은 철저한 자기반성과 솔직하고 객관적인 태도로 획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원리를 '진정성의 원리'라고 보았다. 그리고 인물과 인물의 관계, 인물과 환경의 관계를 바탕으로 한 '인물 형상화의 원리'를 발견할 수 있었다. 주변 인물이나 상황에 대한 가치 판단을 통해 자신의 가치관을 드러내면서 인물의 성격은 자연스럽게 형상화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소통과 공감을 위한 '진실한 언어 찾기의 원리'를 발견할 수 있었다. 자신이 생각하고 상상한 것을 독자가 똑같이 또는 그 이상으로 상상할 수 있도록 언어를 선택하고 표현하는 일은 독자와의 소통과 공감을 위한 글쓰기가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원리이다. 따라서 이러한 원리들을 학습자의 자서전 쓰기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해 보았다. 본 논문에서 발견한 원리들을 자전적 글쓰기 교육에 활용했을 때 학생들의 글쓰기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먼저 학생들의 자서전을 분석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중학교 2학년 학생 210명이 실제 수업을 통해 완성한 자서전을 수합하여 그 중 상대적으로 잘 쓴 학생의 글 25편을 선별하여 분석해 보았다. 자서전 쓰기에는 회상을 통한 기억의 재구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과정은 삶을 인과적 질서 속에서 구현해가는 과정이고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작업으로서 경험을 서사화하는 원리가 들어 있다. 그러나 학생들의 글을 분석한 결과, 일부 학생을 제외한 대부분의 학생은 자신의 경험을 의미 있는 하나의 서사로 연결하지 못하고 사건을 직접적으로 서술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자아 성찰을 바탕으로 경험을 반추하고 해석하는 과정이 심도 있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교사의 학습지를 통해 발견한 일화들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열하는 모습을 보였다. 자신의 글쓰기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지 못한 결과, 자신의 모습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이 부족한 상태에서 글쓰기를 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태도는 다시 솔직하고 객관적인 태도로 자신의 고민을 드러내지 못하고, 생동감 있게 인물을 형상화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자전적 글쓰기 교육이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글쓰기 경험이 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으로 경험의 서사화 원리가 활용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박완서의 자전적 소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에서 분석한 경험의 서사화 원리들을 활용하여 글쓰기를 했을 때, 학습자의 글쓰기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에 앞서 경험의 서사화를 활용하기 위한 읽기·쓰기 통합 지도 교수-학습 모형을 구성해 보았다. 첫 번째 단계에서 학생들은 박완서의 자전적 소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를 읽고, 자서전과 자전적 소설의 전개 방식과 표현 방식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스스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현재 자신의 모습을 성찰하고 미래의 자신의 모습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에서 경험의 서사화 원리 찾아서 발표할 수 있도록 했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앞에서 성찰한 자신의 현재 모습을 바탕으로 자서전을 쓰도록 하였다. 다섯 번째 단계에서는 자신이 쓴 글을 경험의 서사화 원리를 바탕으로 점검하고 고쳐 쓰도록 했다. 여섯 번째 단계와 일 곱 번째 단계에서는 다른 학생들의 자서전을 읽고 경험의 서사화 원리가 활용된 부분을 찾아보고, 자신의 글과 비교하면서 다시 한 번 고쳐 쓰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서전 쓰기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경험이 될 수 있도록 감상하고 평가하는 시간을 갖도록 했다. 학생들에게 경험의 서사화 전략을 활용해서 자신의 자서전을 고쳐 쓰게 하고, 결과를 분석해 보니 학생들의 글에서 다음과 같은 유의미한 결과를 발견하였다. 학생들은 경험의 서사화 원리들을 활용하여, 자신의 현재 모습을 보다 깊이 있게 성찰하고 이를 통해 과거의 경험 중 의미 있는 경험을 추출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이러한 성찰의 태도는 글 속에서 솔직하고 객관적인 태도로 자기 고민의 문제를 보여줌으로써 글의 진정성을 획득하였다. 또한 이전의 글쓰기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인물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인물을 생동감 있게 형상화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또 자신의 주변 환경이나 상황에 대한 세부 묘사를 통해 서사를 훨씬 풍부하게 만들어 내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이상으로 경험의 서사화를 활용해서 쓴 학생들의 자서전을 분석해 본 결과, 경험의 서사화 원리가 학생들이 글쓰기를 할 때,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서사를 통해 세계를 해석하는 힘을 기를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으로서 효용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청소년 대상 자전적 글쓰기 지도 사례연구

        김효남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444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전적 글쓰기를 분석하여,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전적 글쓰기에서 스토리텔링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 둘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자전적 글쓰기가 어떻게 진행될 수 있는가? 셋째, 자전적 글쓰기는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고등학교를 자퇴한 두 명의 ‘학교밖 아이들’로 글쓰기의 초보자들이다. 본 프로그램은 8회기로 진행되었으며 매 회기 120분 진행되었다. 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대화중심작문 교수․학습을 기본 모형으로, 학습자가 선별한 경험을 교사의 질문을 통한 대화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도입에서는 ‘스토리텔링 전’ 단계로, 자전적 글쓰기를 하기 위한 마인드 맵, 인생곡선 그리기, 관련 도서 읽기 등을 실시하였다. 전개에서는 ‘스토리텔링 후’ 단계로, 시기별 자서전 쓰기를 실시하였다. 교사는 스토리텔링과 쓰기활동 모습을 관찰하고 내용을 분석하여 자아정체감의 변화를 비교 관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청소년 자전적 글쓰기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텔링은 매체의 친근성으로 경험서사화 과정에서 사고력을 신장시켰다. 학습자들은 경험서사쓰기에서 과거 파편화된 경험 중 글감을 선택하는 것을 어려워했다. 스토리텔링은 현재 일어난 일을 말하는 도중에 자연스럽게 과거의 관련 기억을 불러오게 된다. 학습자가 경험서사화 과정인 자전적 글쓰기를 통해 현재의 관점에서 경험을 의미화 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사고력이 향상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자기성찰 능력에 영향을 미쳤다. 스토리텔링은 대면의 어색함과 분위기를 쉽게 만들어 주는 정서적 반응을 한다. 이로 인한 유대감 형성은 거짓 없는 자기노출로 이어지고 나아가 자기의식을 가능하게 해 준다. 사건마다 부모와 친구 탓으로 돌리던 학습자의 태도가 자기이해 의식이 생기고 타인을 이해하기 시작했다. 자전적 글쓰기 과정에서는 타인에 대한 피해의식이 점차 줄어들면서 자기성찰 의식이 드러났다. 셋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자전적 글쓰기는 자아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학습자는 과거 트라우마가 된 일화를 생생하고 실감나게 이야기하는 과정 속에서 현재 서술주체로서의 ‘나’는 각인된 과거 속의 ‘나’를 객체로서 대면하게 된다. 경험서사쓰기의 과정은 자기의식을 대상으로 객관화하게 되는데 이때 서술주체인 자아는 과거의 나를 돌아보면서 자아정체성을 형성해 나간다. 리쾨르(Ricoeur)가 주장한 서사적 정체성은 이야기를 통한 기억의 소환으로 과거를 현재화하고 그것이 미래와 연결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고 했다. 하지만 청소년의 회고방식의 자전적 글쓰기는 단순한 경험의 사건들을 나열하는 수준이다. 본 연구의 8회기 프로그램의 짧은 수업으로는 효율적인 교육을 기대하기란 역부족이었다. 마지막 시사점으로, 스토리텔링과 자전적 글쓰기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효율적인 성과를 위해서 지도 교사의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자는 예기치 않은 학습자의 돌발 행동에 당황한 적이 한 두 번이 아니다. 그때마다 수업 후 상담관련 도서를 읽고 상담 전문가의 조언을 듣곤 했다. 자전적 글쓰기 교사는 학습자의 과거 경험을 솔직하고 용기 있게 이야기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교사는 학습자에게 ‘진정성의 원리’를 적용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교사의 성실성과 애정만으로 이루어지는 게 아니었음을 시인한다. 감정코칭이나 상담관련에 능력 있는 교사라면 학습자의 심리상담이 곁들여질 수 있으므로 훨씬 효과적인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스토리텔링, 청소년 자아정체성, 자전적 글쓰기, 서사표현교육, 경험의 서사화, 서사적 정체성. 자서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