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통학을 목적으로 하는 자전거 이용 특성 연구

        박하나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우리나라는 1995년 「자전거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자전거 관련 사업이 전국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자동차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녹색교통 수단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대되면서 자전거를 생활교통수단으로 바꾸기 위한 여러 가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중 도로다이어트를 통한 자전거전용도로의 설치는 초기에는 도심 내 자전거전용도로 확대라는 취지로 자전거 이용자들의 많은 환영을 받았지만, 설치 이후에는 주변도로 교통 혼잡과 자전거 안전사고 발생 등의 문제가 계속 제기되면서 이러한 자전거전용도로 설치가 실제 생활교통 자전거이용 활성화에 효과가 있는지 의문시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교통 자전거, 특히 통학을 목적으로 하는 자전거를 대상으로 자전거 이용 특성을 분석하여 기존 자전거 정책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활교통 자전거이용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본 연구 수행을 위해, 서울시 영등포구 관악고등학교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설문조사 및 현지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 통학수단 선택은 집에서 학교까지 가장 빠르고 편리한 수단이 무엇인지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전거 이용자는 집에서 학교까지 직선거리로 800m~1.6km 범위 내에 과반수이상 분포하고 있었으며, 이들의 통학 시간은 최소 5분에서 최대 30분 평균적으로 15분 정도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통학 노선 선택 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는 보도와 분리된 자전거전용도로가 설치되어 있는지, 자동차ㆍ보행자와 충돌위험이 적은지, 통행시간은 최소화되는지 이었으며, 자전거 통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보도와 분리된 자전거전용도로 설치가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실제 이용하는 자전거 통학노선을 분석한 결과 자전거전용도로 유ㆍ무와 같은 물리적 특성이 가장 우선시되기보다는 개개인의 집에서 학교까지 가는 최단경로가 기본이 되고 방황전환이 적고 보도 폭이 넓거나 장애물이 적은 노선의 자전거 이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자전거를 통학 수단으로 활성화하기 위에서는 버스나 지하철 같은 다른 대중교통 수단이 없으며, 집에서 학교까지 자전거로 통학하기에 적당한 거리에 위치한 주거 구역을 선정하여 집에서 학교까지 최단경로의 통학노선을 우선적으로 지정하고 주행여건이 양호할 수 있도록 정비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자전거 통학 노선을 정비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보도와 분리된 자전거전용도로망의 확충이지만, 무조건적인 자전거전용도로 설치는 실제 자전거이용 활성화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 조사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도심 내 도로다이어트를 통한 자전거전용도로의 설치는 현실적인 물리적 공간의 한계로 인해 불완전할 수밖에 없으며 자전거 이용자들에게 외면받기 십상이다. 그러므로 자전거전용도로의 확충이 어려운 지역은 불완전한 자전거전용도로 대신 자전거ㆍ보행자 겸용도로를 정비하여 보완할 수밖에 없다.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집에서 학교까지 연결하는 통학 노선이 단순하고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통행에 불편을 주는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집에서 학교까지 통학 노선의 유기적인 연결성 확보를 위해 기존 자전거ㆍ보행자 겸용도로의 지속적인 유지ㆍ관리가 필요하며, 노선상의 장애물 단속 및 학교의 정책적 지원, 제도개선 등을 통해서 자전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나가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신규로 중ㆍ장거리 자전거전용도로를 설치하는 것을 가능한 지양하는 대신 근거리에서 자전거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쪽으로 정책이 변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생활교통 자전거이용이 활성화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In our country "Bike Use Invigoration Act" was enacted in 1995, promoting bike-related projects nationwide and lately, with growing interest in eco-friendly, green means of transportation to replace automobiles, many policies are being driven to substitute the bike as a living transportation. Of these, installation of a bike lane through road diet was initially much welcomed by bike users for its purport of bike lane expansion downtown, but as problems such as traffic congestion in neighboring roads, accidents for bike, etc. have become larger, it is now in doubt that such a bike lane is effective in promoting the actual use of bike as a living transportation. On the subject of bikes as a living transportation, especially for commuting to school,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bike use, present problems in the existing bike policies, and based on them, propose a plan for invigorating bike use as a living transportation. To this end, a poll and spot survey were conducted on Gwanak High School located in Yeongdeungpo-gu, Seoul, the result of which showed that choice of commuting means depends on which means is the fastest and most convenient from home to school. Besides, more than half of bike users were distributed within the range of 800m to 1.6km as the crow flies from home to school, taking around 15 minutes on the average from minimum 5 to maximum 30 minutes to commute. Main elements of effect on choosing the commuting route for bike were whether there is a bike lane separated from the sidewalk, whether little danger of collision with cars or pedestrians, and whether minimization in traffic time. By analysis, the students were thinking that for lively commuting to school by bike, bike lane disassociated from the sidewalk is the first thing to improve on. Howev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commuting routes to school, physical traits such as yes or no bike lane were not put before but they, based on the personally shortest route from home to school, preferred routes with less change of directions, broader sidewalks or fewer obstacles, revealing comparatively higher frequencies of use. Summing up these results, for bike to be vitalized as a means to commuting to school, it is considered the most efficient to select residential areas located at a proper distance for commuting by bike from home to school with no other public transportations such as bus or subway, designate the shortest routes for commuting preferentially, and then improve them for good riding conditions. The best way to improve commuting routes by bike can be building up networks for bike lanes separated from sidewalk, but unconditional installation of bike lanes does no good for actual live use of bike. As is seen from the results of survey, installation of bike lanes via road diet is incomplete due to the actual limits of physical spaces, and likely to be ignored by bike users. Thus, for areas hard to expand bike lanes, there is no alternative but to improve and supplement bike-pedestrian lanes instead of incomplete bike lanes. Here, the most important element is that routes for commuting from home to school should be simple, connected organically and without obstacles that give discomfort to traffic. That is, for securing organic connectivity of routes for commuting to and from school, it is needed to maintain the existing bike-pedestrian roads consistently, and to go on making environment for comfortable use of bikes through control of obstacles on the route, strategic support by the school, institutional improvement, etc. Based on these, policies should be changed with support not to install new bike lanes for medium and long distances but rather to make surroundings in which to use bikes positively in short distances. This is considered helpful in making active bike use as a living transportation.

      • 대전광역시 자전거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경임 배재대학교 법무·행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95

        자전거는 가속화되는 환경문제와 교통문제, 그리고 그에 수반한 고유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세계적인 대안이다. 우리나라 또한 자전거 정책을 앞으로의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신 국가발전 패러다임에 알맞은 친환경적 이동수단으로 판단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장려하고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대전광역시의 ‘타슈~’라는 자전거활성화정책은 우리나라에서 빨리 개선되어야할 교통정책에 개선의 불씨가 된 정책이라고 볼 수 있다.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새로운 개념을 가지고, 새로운 정책을 추진해 나간다는 것은 언제나 쉽지 않다. 그러나 현 상황에 대하여 분명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발효했다는 것으로도 높은 평가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공공자전거 대여 정책인 ‘타슈~’의 이용률은 현재 매우 저조하며 대전시의 자전거 교통분담율도 낮은 상태이다. 조사결과 자전거 인프라의 중추라 할 수 있는 자전거 도로가 제대로 정비되지 않았기 때문인데 그 원인을 파악해보면 자전거 도로 정책을 실행할 당시 대전광역시의 도로교통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점, 자전거 도로 설치 관련 법규를 제대로 지키지 않은 점, 보여주기 식 공사, 부실공사의 반복과 안전성을 미확보 등 때문이다. 자전거 도로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도 이용하는 시민들의 안전성 확보이다. 자전거 정책의 성공적인 운용을 위해 모범적으로 자전거 정책을 운용하고 있는 타 지방자치단체와 선진국의 자전과 관련 정책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대전시의 자전거 도로 정책의 나아갈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현재는 정부차원에서 자전거 관련 정책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관련 규정을 마련 · 개정한 상황이다.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유연성 있는 자전거 정책 마련과 집행에 앞서 관련 규정의 필요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충분히 실효성이 있는 정책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책의 집행에 있어서 정책의 지향점을 분명히 인지하고 실체적 당위성과 능률성을 만족하는 정책의 집행이 될 수 있도록 끝임 없는 노력과 피드백이 필요하다. A bicycle is the worldwide alternative to be able to solve the accelerated environmental pollution, traffic congestion, and high oil price accompanied with them. Our country regards the bike-policy as the environment-friendly traffic measure appropriate to the new national development paradigm, "Low Carbon Green Growth" in the future, is encouraging and driving forward it nationwide. In this matter of fact, "Tashu~", the active bike-policy of Daejeon, regards as an apple of betterment to traffic policy to be reformed as soon as possible. Under no experience, it is not always easy to go ahead a new policy with fresh ideas. However, We are able to place high value on announcing the policy to resolve difficulties with having an awareness of the issues about the present situation. Nevertheless the rate of making the good use of "Tashu~", the policy to lend public bikes, is very low at present and the rate of traffic share of bycicles as well.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It is caused by not repairing a bikeway in good condition. The sources of this trouble are as follows; - The condition of road traffic was not considered, executing the bikeway policy. - The Road Traffic Laws concerning bikeway construction were not obeyed well. - The bikeway was constructed to show - The illegal construction practices repeatedly and the safety was not secured and so on. First and foremos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bikeway is to secure the safety of the citizens in Daejeon. Putting bike-policy into operation successfully, I studied the bike-policies of other local governments and developed countries carrying out the bike-policies as a good example and through this studies, searched for plans that the bike-policy of Daejeon advances to the success. Currently, the government h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bike-policy well enough and has worked out a regulation and amended it. It will be very effective policies gratifying requirements of the concerning regulations before the flexible bike-policies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will be made and executed. Finally, ceaseless efforts and feedbacks are in need in carrying out a policy in order to understand the aim of bike-policy clearly and gratify what should be substantial and efficient,

      • 자전거도로 시행사례 분석 : 부산남구 대천사거리 중심으로

        원상민 부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79

        This research has examined the theories and legislations regarding bicycles in order to understand bicycle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Based on this research, one can recognize the problems of bicycle path around Dae-Cheon crossroads at Nam-Gu, Pusan. This research not only tried to present reformative ideas, but also tried to look around safety, convenience, accessibility, and aesthetics of the bicycle path. In order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bicycle path, first of all, durable maintenance and expansion of the length of the bicycle path are required. The separation between the bicycle path and the pedestrian path is necessary as well. It is essential to separate two paths not just with simple pence or connecting locks, but with setting proper distance between the two. Moreover, for the night time bicycle user's vision, it is necessary to set up street lights or security lights. It is also mandatory to expand the first aid equipment, the connection to the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intersections of bicycle. Therefore, when one plans a bicycle path, he must design it by listening to bicycle users, considering other public equipments, and contemplating entire area structure rather than indiscernible plans.

      • 자전거 전용도로 사인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 주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343

        자동차의 편의성과 효율성은 우리의 생활방식을 크게 바꾸어 놓았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차의 증가로 도시는 포화현상에 이르렀고, 도시 내 도로건설은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또한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로 인해 대기가 심각하게 오염되었고, 에너지의 낭비현상을 가져왔다. 자전거는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수단에 버금가는 수송능력과 자가용이상의 높은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는 무공해 교통수단이며, 도시민의 체력증진에도 일조를 할 수 있는 수단이다. 현대도시가 안고 있는 복잡하고 심각한 교통문제와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사람중심의 도시를 구현할 뿐만 아니라, 도시 삶의 활력과 매력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비결중의 하나가 바로 녹색교통을 살리는 일이다. 하지만 현재 자동차 위주의 도로교통법과 자전거도로를 위한 안전표지판의 부실로 인해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자전거 전용도로 이용자들의 교통안전과 쾌적한 운행 환경을 제공하고, 교통안전과 원활한 교통소통을 도모하며, 자전거 도로 구조와 시설물을 보호하고, 필요한 정보전달을 적절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자전거 전용도로에 적합한 전용 사인디자인이 필요하다. 자전거 전용도로의 표지판은 도로교통 표지판과 차별성이 있어야 하는데 기존의 제작 방식을 그대로 적용한다면 자동차 운전자와의 혼란을 초래할 것이고 자전거 운전자 눈높이 에도 맞지 않다. 그러므로 자전거 전용도로의 특수성을 살린 포맷이 필요하고 그에 맞는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자전거전용도로 사인디자인 메뉴얼을 통해 녹색 교통수단으로서 이용자들과의 소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기능성과 뛰어난 정보전달 기능의 시인성과 간결하고 명료한 내용으로 디자인된 교통안전 표지판을 접목시킨 자전거 전용도로의 사인디자인을 제안한다. 연구에 대한 기대 효과로는 자전거 전용도로의 기능 확보이다. 자전거 전용도로의 기능 확보로 자전거 운전자들의 사고 예방과 위험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전달을 통해 내부적·외부적으로 안전운행을 돕는다. 또 다른 기대 효과로는 산재된 다양한 사인들의 통일성 부여로 시각적 혼란을 방지하는 것이다. 자전거 전용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표지판은 자전거 운전자을 위한 것으로 자전거전용도로 사인디자인의 통일성으로 기존 도로교통표지판과의 시각적 혼란을 방지해 준다. 본 연구는 자전거 전용도로 사인디자인에 대한 국내/외 현황분석과 사례조사를 통해 보다 나은 방향을 연구하고 향후 이러한 시설들의 연구와 디자인 기준을 설정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이를 통하여 자전거 이용자들의 안전을 도모하고 자전거 전용도로의 활성화를 촉진하며 원활한 교통 소통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automobiles has changed people’s lives dramatically. The motor vehicle population has continued to grow, resulting in automobile emissions have polluted the air, wasted energy, and challenged road construction development. Moreover, traffic congestion is more severe in urban areas due to urban sprawl and high levels of motor vehicle dependency. Motor vehicles are a major source of pollutant emissions. As a contrast, bicycle riding provides easy and efficient access to destinations, health and fitness benefits, and serves to solve traffic congestion, air pollution and global warming. In addition, bicycle riding is an unpolluted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gives mobility and flexibility as much as driving cars. The use of bicycles is increasing and bicycle-related accidents and injuries are also increasing due to the lack of signage for bicycle riders and at bicycle facilities.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and injuries, more bicycle paths should be built. They will help to better organize the flow of traffic and reduce the chance of automobile drivers straying into bicycle riders’ path of travel. Furthermore, bicycle paths offer the highest level of safety and comfort for bicycle riders. However, to be effective, signs for bicycle facilities will require intelligent planning and design. Their use should include regulation, guidance along marked routes, and warnings of unexpected environments. The current bicycle signs are scaled more for automobile then bicycles. Therefore, establishing unique identity signage for bicycle riders is required. A manual of signs for bicycle facilities must be installed appropriately for bicycle riders to be well recognized, and should be easily understood to ensure safety and reduce visual confusion for all concerned. Use standards for bicycle signage that identifies the bicycle network and communicates at destination, distance and direction. This study is based on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sign design case studies and. This research focuses on safety for all bicycle riders, the advantages of building bicycle paths, and provides direction and general guidance for future research of bicycle-related sign planning and design.

      • 도로다이어트 기법으로 조성된 동네 자전거 길의 계획요소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김민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331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sign elements of the neighborhood bike paths, generated by the road-diet measures. The goal is to provide planning implications for neighborhood bike paths that are expected to be implemented more in coming years. Focusing on the aspects of 'the interferences among various transportation modes' on the bike paths, this study articulates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elements and of their utilizing situations. The study takes the following steps. 1) It selected 5 representative cases of the bike paths by categorizing the past trends in implementing bike paths in Seoul; 2) It reviewed existing researches and indexes of bike paths projects in order to draw critical planning issues of bike path implementation. 3) Focusing the drawn issues, this study re-arranges the factors related to 'the interferences among the transportation modes' on the bike paths. Then, those factors are applied to the selected 5 ca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long as certain efforts to prevent illegal parking are provided, the bike paths on the car-road level are more positive than those on the pedestrian-street level. Contrary to common assumptions, the bike paths on the car-road level are more useful than those on the pedestrian-street level, if the streets were near to finer urban grains and had more openings for cars to enter into the road. The bike paths on the pedestrian-street level would have constrains by themselves, even if there were separations between the bike paths and the pedestrian streets, and even if the monitoring and improvement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were carried out. Therefore, rather than putting more efforts on preventing the interferences of the transportation modes, it is more necessary that certain planning solutions for better accommodation of the waiting pedestrians at the interfering points. Lowering the bike paths of the crossroads or of bus stops to the car-road levels, for example, could be regarded as such solutions. It is also necessary to re-consider the one-way for both directions, because it is very likely that those who use the pedestrian-street level for bike ridings are expected to ignore the directions and have tendency to detour, which result in more crowing on the bike paths. The bike users with in the residential neighborhoods are nearer to those of walking than to those of driving, which leads to provide alternatives for 'two ways on one direction,' which relatively has less spatial limitations. This could be better than forcefully inserting two ways on two-directions'. In conclusion, it is hard to argue that certain bike path types are more ideal than others, considering various factors of the existing urban areas. Nevertheless, it could be claimed that the optimum alternative type of the bike paths is 'two ways in one direction on the car-road level' (C-1 Type), which is to serve better as a neighborhood bike path. Having only 5 cases could be limits for this study in generalizing its findings, which is to be improved in the future researches. Yet,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could be regarded as it provided planning implications for current improvements and future implementation of neighborhood bike paths,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es of bike path utilizations from the view point of the transportation modes' interferences on various types of bike paths.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교통수단으로서, 자전거가 주목받은 것은 비단 어제, 오늘만의 일은 아니다. 우리나라에서도 95년 ‘자전거이용활성화를 위한 법률’이 제정되었지만, 현재까지도 우리나라에서 자전거를 타는 것은 단지 레저나 스포츠를 위한 수단으로 인식되는 것에 그칠 뿐이다. 우리나라 자전거전용도로의 대부분은 공원이나 하천변을 중심으로 정비되어 있기 때문에 장을 보러가거나, 아이를 학교나 유치원에 데려다 주는 등의 일상적인 자전거이용을 위한 자전거도로의 제반여건은 여전히 열악한 실정에 있다. 그런데 최근 몇 년 동안, 정부와 여러 지자체들은 기성시가지 가로에 도로다이어트기법을 적용하여 자전거도로를 확충하고 있다. 이 기법은 자전거주행공간이 전무했던, 일상생활공간인 근린생활권에 자전거도로를 새롭게 삽입할 수 있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그러나 시행초기에는 일관된 원칙이나 세부적인 지침이 없는 상태에서 사업이 진행되었다. 따라서 이미 사업이 완료된 많은 자전거들이 자전거도로가 설치된 노면의 레벨이나 차선 수와 주행방향, 도로상 설치위치 등에 있어서 다양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렇게 조성된 자전거도로들이 각각의 물리적 환경에 따라 어떻게 이용되고 있고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기 설치된 다양한 유형의 자전거도로 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들을 점검해보는 것이 필요한 시점에 와있다고 생각하였다. 더군다나 도로다이어트 기법에 의해 조성되는 ‘동네 자전거 길’의 경우, 기성시가지 근린생활권의 비좁은 가로에 삽입된다는 점에서 기존 가로환경과의 관계 맺기에 있어 좀 더 치밀하고 정교한 도시설계적인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의 보도와 차도사이에 끼워 넣는 방식이기 때문에 보행자나 차량 등의 교통주체들에 의한 ‘자전거도로 간섭’은 ‘동네 자전거 길’의 실제 기능과 활용 면에 있어서 주목할 만한 당위성이 충분하다. 이러한 점들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서울시내 근린생활권에 도로다이어트 기법으로 조성된 ‘동네 자전거 길’을 대상으로 ‘자전거도로 계획요소’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 그리고 특히 ‘교통주체 간 간섭’에 주목하여 관련 계획요소의 구체적인 현황과 실제 이용 상황을 조사하고 관찰하여 분석하고 해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출된 결과는 향후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동네 자전거 길’의 계획 및 설치와 관련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바탕이 될 것이다. 먼저 자전거도로의 유형을 정리하고 서울시 자전거도로 조성경향을 살펴 본 뒤, 연구대상 ‘동네 자전거 길’ 5개를 선정하였다. 그 다음 자전거관련 국외지표를 통합·정리하여 ‘자전거도로 계획요소’를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선행연구에서의 주요계획쟁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자전거도로 위에서 일어나는 ‘교통주체 간 간섭’에 초점을 맞추어 조사항목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연구대상별로 ‘자전거도로 계획요소’의 현황을 파악한 다음, ‘교통주체 간 간섭’과 관련된 계획요소의 구체적인 현황과 이용 상황을 관찰하고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알아낸 사항은 다음과 같다. 보도레벨의 자전거도로에서는 보행자간섭이, 차도레벨 자전거도로에서는 차량간섭이 특히 심각했다. 보행자들은 단순한 보행을 위해 자전거도로를 간섭하고 있었고, 보행환경이 열악할수록 자전거도로를 이용해서 통행하고 있었다. 보도나 자전거도로에 걸쳐 주차된 차량으로 인한 간섭문제는 가로변 상업시설이 밀집한 구간에서 심각하였다. 보도레벨의 경우 턱 낮춤 처리가 되어있지만 차량진입방지를 위한 시설물이 없는 곳에서, 차도레벨의 경우 분리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간의 경우 차량주정차로인 한 문제가 더욱 심각하였다. 자전거이용자들은 노면의 주행방향 표시가 명확할수록, 차도레벨의 자전거도로일수록 주행방향을 잘 지키고 있었다. 하지만 편측양방도로의 경우에는 건너편 측 보도나 차도를, 양측일방도로의 경우에는 주행방향과 반대로 주행할 때 보도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면도로 접점이나 차량 진출입구 부분의 장애물, 자전거도로 주변의 존치·설치시설물 관리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위하여 필수적이다. 그리고 보도레벨 자전거도로와 버스정류장, 횡단보도가 교차하는 지점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전거도로 위에서 대기하고 있었다. 이상의 교통주체 간 간섭이 발생했을 때 자전거이용자의 우회경로를 살펴보면, 보도레벨 자전거도로에서는 보도로 우회하는 비율이, 차도레벨자전거도로에서는 차도로 우회하는 비율이 높았다. 그리고 간섭횟수가 1회에서 2회로 증가하면, 간섭이 해소되어도 자전거도로를 이탈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를 바탕으로 정리한 ‘자전거도로 유형’별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보도레벨의 자전거도로를 설치할 경우, 설치 전 보행환경에 대한 점검과 개선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주행방향의 명확한 표시, 존치·설치시설물 관리, 시설물과의 이격거리 규정, 턱 낮춤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와 교차하는 지점에서의 간섭해소방안은 물론 모든 교통주체를 대상으로 하는 의식전환도 필요하다. 차도레벨 자전거도로를 설치할 경우에는 설치이전의 주정차 현황을 미리 조사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한 후 자전거도로를 설치하고, 설치 후에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단속관리가 필요하다. 양측일방 자전거도로를 설치할 때는 가로변 용도지역지구와 자전거통행량 및 잠재수요 등에 관한 사전조사를 병행하여 도로상 어느 측에 설치할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편측양방도로를 설치할 경우, 자전거도로의 유효 폭이 좁기 때문에 간섭을 제어하기위한 관리와 노력이 필수적이고 유효 폭을 유지하고 확보하는데 특별히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 양측일방과 편측양방이라는 주행체계 모두, 해당 유형의 자전거도로를 이용하는 자전거이용자들의 안전하고 쾌적한 주행을 위한 통행매뉴얼을 만들고 안내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도시설계적인 관점에서의 ‘동네 자전거 길’ 계획 및 설치에 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차량의 불법주정차’에 관한 제어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면, 차도레벨 자전거도로가 보도레벨자전거도로보다 보행자 간섭 등의 ‘교통주체 간 간섭’과 관련한 문제에 있어서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작고 조밀한 도시조직에 접한 가로나, 가로변 차량 진출입구의 개소수가 많은 가로에서도 보도레벨보다 차도레벨의 자전거도로가 이용 및 설치 등에 있어서 용이하다. 보도레벨 자전거도로의 경우, 자전거도로 설치 전 보행환경에 관한 점검과 개선이 이루어지고 자전거도로와 보도사이에 식수대 등으로 분리가 된다고 하더라도 ‘보행’자체에 의한 간섭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따라서 보행간섭을 차단하려는 계획적인 노력보다, 횡단보도나 버스정류장과 교차하는 지점을 차도레벨로 내리는 방안 등의 ‘보행자 대기’에 의한 간섭의 계획적 처리방안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동네 자전거 길’을 이용하는 자전거이용자들은 차량의 주행체계에 적합하다기보다, 오히려 보행자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양측일방의 주행체계를 좁은 가로에 무리하게 삽입하는 것보다는 상대적으로 공간적 제약이 적은 ‘편측양방 자전거도로’를 설치하는 방안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봐와 같이, 기성시가지의 여러 가지 현황들을 변수로 둔다면, 어떤 유형의 자전거도로가 ‘동네 자전거 길’에 있어서 가장 이상적인 유형이라고 결론지을 수는 없다. 하지만 이제까지 살펴본 유형 중, 기성시가지의 근린생활권의 좁고 복잡한 가로체계 안에 새롭게 삽입되는 ‘동네 자전거 길’의 특성에 가장 적당한 유형을 ‘편측양방-차도레벨 자전거도로(C-1)'라고 한다면 이 유형의 단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자전거도로가 설치된 측의 차량간섭을 제어하고, 주정차가 빈번한 구간에 분리대를 설치하고 주행방향을 명확하게 표시하는 것, 버스정류장이나 횡단보도 부분의 주정차방지처리와 안전시설을 확실하게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편측양방자전거도로이므로, 자전거도로 설치 전 자전거이용에 관한 사전수요조사를 실시하여 수요가 많은 측에 자전거도로를 설치하여야 한다. 자전거도로가 설치되지 않은 건너편을 이용하려는 자전거이용자를 위한 통행규칙안내가 필요하고 이와 동시에 건너편 보도의 보행환경 점검과 개선도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자전거도로를 설치하는 목적 중 자동차수요를 줄이고 자동차의 속도를 늦추는 등의 목적을 고려한다면, 건너편 차도 중 일부를 ‘자전거전용 차로’로 지정하여 운영하는 방법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 노선이 5개, 각 유형별로는 단일사례에 불과하여 분석을 통해 일반화시키기에 무리가 있고, 각 이용 상황이나 행태와 관련한 관찰횟수 등이 부족하여 후속연구를 통해 보완과 검증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이 일부 계획요소에 한정하여 진행되었다면, 본 연구는 ‘자전거도로의 설치’를 기존도시공간체계와 맞물린 도시설계의 대상으로 접근하여 총체적인 ‘자전거도로 계획요소’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자전거도로가 실제로 이용되는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교통주체 간 간섭’을 중심으로 이용행태를 관찰하고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 연구가 향후 기성시가지 근린생활권에 새롭게 삽입되는 자전거도로 의 계획 및 설치에 있어 시사점을 주고, 기 설치된 자전거도로의 문제점을 점검하고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밑바탕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한강시민공원 여가참여자 간 여가갈등인식 연구 : 산책자와 자전거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미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3275

        Due to the changes and diversifications in recreational behaviors, recreational activities are becoming a more important aspect of human life leading to an increased demand in recreational venues. The government is making diverse attempts to match the extra demands, for example, by creating more recreational spaces. However, increasing recreational spaces without giving enough considerations for user behaviors is creating recreation conflicts amongst the users. This research attempts to help preventing and managing recreation conflicts between hikers and cyclists. In this regard, this study reviewed preexisting literature, consolidated a definition of recreation conflict, and created a theoretical framework to measure the perception of recreation conflict. To relate to the real world and make a practical statements, this research studied the current situations of at Ttukseom-, Ichon-, and Jamwon- Han River Public Park, and surveyed hikers and cyclists about recreation conflict. According to the conducted survey, cyclists were more regular and active in recreational activities. Also, though both groups were aware of the conflicts, cyclists had more severe issues with the conflict. This is because cyclists are more serious about their leisure activities, have higher frequency of conflicts, and have a disadvantageous legal system against them as cyclists are classified as a car under the current laws. When the desgins of particular parks were related to the level of recreation conflict, Jamwon Han River Public Park had the highest level of conflicts. This is because the bike lane is closest to the river (of the three parks under study). Hence, hikers needed to cross the bike lane to get to the recreational venues at the water. Also, some people who wanted to walk close to the river were using the bike lane instead of the designated hiking lane. After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creation conflict and satisfaction, the factors that have the most significant bearing on satisfaction from leisure activities were type of activity, frequency of the activity, management level of the venue of leisure, and the size/space of the venue. Hence, it would be most important to address these issues to effectively reduce the conflicts between activities. Based on the conducted research, there seems to be two clear approach to ameliorate the conflicts between activities. At some level, parks should be designed to reduce these conflicts from the start. For example, parks should be designed so as to minimize the overlapping area between different activitie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o how much design alone can do, and people should be better educated about how they can cause conflicts. As people become more considerate of the users of the other activities and follow the basic rules, the unnecessary conflicts would not occur as much. In this research, the concept and the cause of recreation conflict was studied, and some methods to reduce conflicts were suggested. In that direction, the parks should be designed with recreation conflict in consideration to maximize the satisfaction that people get from using the public recreational venues. However, this research is far from complete, and further studies between other users besides bikers and hikers should be undertaken to lead to better recreation laws and park managements. 국내 여가환경의 변화로 여가활동이 다양화되면서 국민들의 여가 욕구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오늘날 여가는 현대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그 역할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국민의 여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정부는 여가공간을 확대하는 등의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용자 행태를 고려하지 않은 여가공간의 무분별한 확대는 여가 참여자 간 여가갈등을 유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여가활동으로 발생하는 여가갈등의 효율적인 예방 및 관리를 위해 한강 시민공원 산책자와 자전거 이용자를 대상으로 여가갈등의 원인과 현상을 파악하고 향후 만족스러운 여가활동의 갈등관리에 있어 실증적 자료로써 활용되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여가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여가갈등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여가갈등 개념의 정립과 여가갈등인식 측정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연구대상지인 뚝섬한강공원, 이촌한강공원, 잠원한강공원의 현황을 파악하고, 산책자와 자전거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자전거 이용자들이 산책자보다 더욱 주기적이고 적극적인 참여 행태를 나타냈다. 여가갈등에 대해서는 산책자와 자전거 이용자들 두 집단 모두 전반적으로 여가갈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전거 이용자들의 여가갈등이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전거 이용자들이 여가에 대한 애착심이 높았던 점과 선형적 공원의 구조상 자전거 이용자들이 산책자와 교차하는 빈도가 잦았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현행법상 자전거는 차로 분류되어 있어 산책자와 안전사고가 발생할 때 불리한 처지에 놓이므로 자전거 이용자는 더 불안함을 느끼게 되고 이는 여가갈등을 유발하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생각된다. 대상지의 공간특성에 따른 여가갈등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뚝섬한강공원, 이촌한강공원, 잠원한강공원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잠원한강공원 이용자들의 여가갈등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잠원한강공원 내 자전거 전용도로가 한강과 접하고 있어 수상시설을 이용하고자 하는 산책자들은 필연적으로 자전거 전용도로를 건너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또한, 한강 가까이에서 걷고자 하는 산책자들이 자전거 전용도로에서 산책하고 있는 모습이 발견되었다. 여가갈등과 여가만족도 간 영향관계를 알아본 결과 여가갈등원인 중 활동 스타일, 생활관용도, 공원 이용자관리, 공원 공간계획의 요인이 여가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에 여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여가갈등원인이 될 수 있는 요소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가갈등해소를 위한 갈등관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갈등관리는 개인적인 차원과 구조적인 차원이 병행되어야 한다. 개인적 차원에서는 참여자 서로 간 이해와 배려 그리고 규칙준수 등 기본적인 여가인식의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구조적인 차원에서는 이용자를 고려한 여가공간과 동선이 계획단계에서부터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가갈등의 개념과 원인에 대해 논하였으며, 실제 갈등 해소를 위한 갈등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이용객들의 행태를 고려한 옥외 여가공간의 개발과 관리가 이루어져 모두가 만족스러운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여가공간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더 심도 있고 실질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여가갈등관리기법 및 활용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