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허스트의 자유교육론과 대학교육

        이효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Hirst's theory of liberal education for its clear understanding, its relationship with university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university education by analyzing its meanings and major contents. For that purpose, the theory of forms of knowledge, which is his early educational view, and that of social practices, which is his later educational view, were examined for major concepts and their meanings. In addition, the meanings of his theory of liberal education were discussed along with its relationship with university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it. Hirst's theory of liberal education is divided into liberal education as the introduction to forms of knowledge and liberal education as the introduction to social practices. Liberal education, which is based on forms of knowledge, inherits the spirit of liberal education from ancient Greece and is justified through transcendental justification, which is not based on metaphysical practices but on the internal values of knowledge. Forms of knowledge refer to the unique ways in which humans structurize experiences, that they have achieved, that can be stated publicly, and are acquired through learning. Based on the three criteria of central concept, logical structure, and truth verification system, forms of knowledge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eightcategories mathematics, physical science, human sciences, history, religion, literature and art, philosophy, and moral knowledge. Hirst argues for a new theory of social practices, because recognizing that education based on forms of knowledge does not include total human life and reflect the needs of social practices. Social practices are a type of activity that follows a system intentionally set up to satisfy human needs and interests or has been traditionally established. They include three main categories. First, basic practices are needed for everyone to live a rational life. Second, optional practices over much wider domains are needed for individuals to construct a rational life. Third, second order practices are needed to reflect upon the two precious kinds of practices and promote the constant development of life in a rational manner. What is important in social practices is practical reason, which is needed to choose the most appropriate social practices for individuals to meet their desires or lead a rich life or to reflect critically upon diverse social practices. It also plays a proper role in deciding the goals and means of a good life. Hirst further developed liberal education through the theory of social practices which overcame the old problem with liberal education. The theory of his liberal education is different the former theory and the later theory in educational goal, educational contents and reason. But the purpose of education is the same in the former theory and the later theory. Also, to attain this purpose, Hirst recognized with important element which is the rationality, which is a core concept from theory of forms of knowledge completely does not exclude from the theory of social practices. And Hirst overcame the old problem with liberal education, which is not being able to address practical issues of human life, through the concept of social practices. Thus, Hirst's theory of liberal education does not severed both the former theory and the later theory but is further developed liberal education through the theory of social practices. The research findings confirm that Hirst's theory of liberal education is deeply connected to the nature of traditional university education whose goal is academic exploration. It also increasingly highlights that university education should combine academic and vocational education in its functions and roles according to the needs of periodic and social changes. What is taught at university is similar to university education, which has come to include the domains of vocational skills beyond academic knowledge. Closely related to university education, Hirst's theory of liberal education has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education. First, it can help university education set newdirections by making it essentially contemplate its functions and roles; second, it raises a need to deal with the helplessness and decline of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and reinforce general education; third, it offers some ideas about what to pick for the educational contents of university education. University education can provide the students with all the educational contents they need by including not only basic knowledge but also basic, optional, and second order practices in educational contents; fourth, it can provide assistance to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liberal curriculums. University -or department-level curriculums can be developed by including social practices in the curricular plans properly according to the grade and level. Finally, it can offer some ideas about teaching methods in university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허스트 자유교육론의 의미와 주요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허스트 자유교육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대학교육과의 관계, 그리고 대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으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허스트의 전기 교육관인 지식의 형식 이론과 후기 교육관인 사회적 실제 이론의 주요 개념과 의미를 탐구하고, 허스트 자유교육론의 의의와 대학교육의 관계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허스트의 자유교육론은 지식의 형식에 대한 입문과 사회적 실제에 대한 입문으로 구분된다. 지식의 형식에 기반을 둔 자유교육론은 허스트의 전기 교육이론으로 고대 그리스의 자유교육의 정신을 계승하지만 형이상학적 실재론에는 근거하지 않고, 지식의 내재적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선험적 정당화 방법으로 정당화하고 있다. 여기에서 중요한 지식의 형식이란 인간이 역사적으로 성취해 온 것으로서 공공적으로 명시될 수 있고 학습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는 경험이 구조화되는 독특한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식의 형식은 중심개념, 논리적 구조, 진리검증체계 세 가지 준거에 의해 수학, 자연과학, 인문과학, 역사, 종교, 문학과 예술, 철학, 도덕적 지식 등 8가지로 분류된다. 허스트는 후기에 와서 그의 전기 이론을 수정하여 새로운 사회적 실제 이론을 주장한다. 전기에 강조한 지식의 형식에 기반을 둔 교육이 인간의 총체적 삶을 포함하지 못하고, 사회의 실제적 요구를 반영할 수 없다는 한계 때문이다. 사회적 실제는 인간의 필요와 흥미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제도 및 전통적으로 수립된 활동의 유형이다. 이러한 사회적 실제는 크게 세 가지 실제로 구분된다. 첫째는 기본적 실제로서, 누구나 합리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실제이다. 둘째는 훨씬 광범위한 영역의 선택적 실제로서, 각 개인이 합리적 삶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실제이다. 셋째는 두 가지 실제에 대한 비판적 반성을 하며 삶이 합리적으로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 필요한 이차적 실제이다. 사회적 실제에서 중요한 것은 실천적 이성이다. 실천적 이성은 개인의 욕구나 풍성한 삶을 영위하는 데 가장 적합한 사회적 실제를 선택하거나 다양한 사회적 실제를 비판적으로 반성하는 데 실행된다. 또한, 실천적 이성은 잘 사는 삶의 목적과 수단의 결정에 적절한 역할을 한다. 허스트는 사회적 실제 이론을 통해 이전에 자신이 주장하였던 지식의 형식 이론이 지니고 있는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자유교육을 보다 온전한 모습으로 발전시켰다. 허스트의 전 ‧ 후기 교육이론에서는 교육목표, 교육내용, 사용되는 이성 등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나 허스트가 지향하고 있는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이 좋은 삶을 영위하는 것이라는 측면에서 전기와 후기 교육이론에서 동일하다. 또한, 허스트는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식의 형식 이론에서 핵심 개념인 합리성을 사회적 실제 이론에서 완전히 배제하지 않고 여전히 중요하며 필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전기 이론이 지니고 있는 인간의 실질적인 삶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후기 이론에서는 사회적 실제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극복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허스트의 자유교육론은 전기와 후기 이론이 단절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후기 이론을 통해 자유교육을 더욱 발전시켰다고 볼 수 있다. 허스트의 자유교육론은 학문탐구를 목적으로 하는 전통적인 대학교육의 본질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또한 시대적 ‧ 사회적 변화의 요구로 인해 자유교육론의 기능과 역할이 학문교육과 직업교육의 통합을 강조하고 대학에서의 학습내용은 학문적 지식을 넘어 직업기술 분야를 포함하게 된 대학교육과 유사하다. 허스트의 자유교육론이 대학교육의 발전을 위해 지니는 몇 가지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이 무엇인가를 본질적으로 고민하게 만듦으로써 대학교육의 방향 설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대학교육에서 교양교육의 무기력함 및 쇠퇴 현상을 해결하고 오히려 교양교육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셋째, 대학교육의 내용 선정에 대해 아이디어를 제시해 주고 있다. 기본적 지식뿐만 아니라 기본적 실제, 선택적 실제, 이차적 실제를 교육내용에 포함시킴으로써 학생들에게 필요한 교육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대학의 교양 교육과정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학년별 수준별로 사회적 실제를 적절하게 교육과정에 포함하여 대학차원 또는 학과차원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다. 다섯째, 대학교육에서 교수방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다.

      • 자유 탐구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불안에 미치는 영향

        조아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현상에 대하여 학생 스스로 주제를 설정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자유 탐구 활동을 실시함으로써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인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불안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여 실험반은 자유 탐구 활동을 수행하고 통제반은 교사에 의해 안내된 탐구 활동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유 탐구 활동은 학생들의 기초 탐구 능력의 신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특히 자유 탐구 활동은 집단 간 탐구 능력의 하위 요소 중 추리 능력 신장에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자유 탐구 활동은 학생들의 과학 불안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과학 불안의 하위 요소 중에서 특히 과학 학습 내용, 수업 상황, 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학생들은 자유 탐구 활동의 동기와 탐구 주제 선정 이유로 호기심을 가장 큰 요인으로 꼽았고, 보고서 작성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었다. 관찰 실험 및 조사를 직접 할 수 있어서 자유 탐구 활동에 높은 흥미를 보였으며 탐구 활동 중 생긴 새로운 궁금증을 해결하고 싶어서 추후에 자유 탐구 활동을 하기를 희망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할 때 자유 탐구 활동을 교과 시간과 연계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학생이 현재 지니고 있는 문제 해결 능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자유 탐구 활동 수행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안내된 탐구를 병행한 자유탐구가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문소정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안내된 탐구를 병행한 자유탐구지도의 구체적인 과학학습효과는 어떠하며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B광역시 K초등학교 6학년 3개 반이며 실험 반 1개 반과 비교 반 2개 반으로 구성하였다. 실험․비교 반 간 사전․사후 검사 설계를 통하여 자유탐구 활동을 2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1차 자유탐구의 경우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안내된 탐구를 병행하였으며, 2차 자유탐구의 경우 개방적 탐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 2차 자유탐구를 실시하고 난 후 학생들의 활동과정의 변화를 비교하고 학생들의 소감문과 사후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자유탐구에 긍정적인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탐구방법에 있어서는 실험 활동과 과학 공작활동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며, 발표 방법에 있어서도 직접 시연을 하는 방법을 선호하였다. 모둠 구성원이 자유탐구활동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나기도 했는데, 학생들은 주제 선정 및 탐구 계획을 설정할 때에는 개인 활동보다는 2-3명의 모둠구성을 선호하였으나 그 밖의 단계에서는 일부 학생들이 모둠구성에 부정적인 시각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안내된 탐구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학생의 수준에 따라 안내된 탐구를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았으며, 실제 탐구과정에서도 일부 단계에서 안내된 탐구를 개방적 탐구와 같이 지도해야 했던 학생들이 있었다. 학생들은 안내된 탐구를 통해서 탐구과정에 대해 더 깊이 있게 이해하고 탐구활동에 대한 부담감을 덜며, 활동 성공의 경험을 통해 자유탐구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유탐구는 이를 수행한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자유탐구는 학생들의 기초탐구능력뿐만 아니라 통합탐구능력 모두의 향상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자유탐구 수업 후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과학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과학적 태도가 어렸을 때부터 장기간 다양한 활동을 통해 길러지는 것임으로 단기간의 활동만으로는 쉽게 변화하기 어렵기 때문으로 보인다.

      • 자유 발도르프 유치원과 몬테소리 어린이집의 유아교육론 비교 연구

        정세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this study, Steiner and Montessori, who are well known as an educational program that has had a key impact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education theory are based on educational ideas and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methods, educational environments, teaching aids and media,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cognize their educational theories by examining the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it examines the background of formation of educational ideology and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institutions, which are the basis of each pedagogy that was the sourc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Free Waldorf Kindergarten and Montessori Daycare Center. Second, the educational theories of the Free Waldorf Kindergarten and the Montessori Kindergarten are explored, and each educational thought, view of children, educational theor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are examined. Third, as specific sub-contents of the educational theories of the Free Waldorf Kindergarten and Montessori Daycare Center, the educational purpose,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method, educational evaluation, educational environment, teacher's role, operation, and relationship with parents are examined. Fourth, sensory education, movement education, art education, teaching aids and media that appear as general characteristics of free Waldorf Kindergarten and Montessori Daycare Center education are considered. Fifth,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the Free Waldorf Kindergarten and the Montessori Day Care Center is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and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today's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as a literature study, focused on the data that detailed the educational ideas and methods of Steiner and Montessori, the founders of educational theories that are the basis of the Free Waldorf Kindergarten and Montessori Daycare Center.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explored by referring to various literature such as related research papers, academic journals, and books by professional scholars, in which data on educational principles and practices, such as the lives and achievements of Steiner and Montessori, educational thought, and practical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were well described. In order to explore practice cases in Korea, the education of Unhyeon Kindergarten and Free Waldorf School in Gwacheon, which have been providing Montessori education in Korea, was observed.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Steiner and Montessori, as educational scholar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n a historically dark period due to two world wars, presented a new educational concept that could guarantee 'human freedom' in response to school education that was politically and militarily restricted. Based on these educational ideologies, they prepared a place for educational practice, such as the Free Waldorf Kindergarten and the Montessori Kindergarten, and practiced educational reforms that respected the free way of thinking of each student based on the free ideology as a principle. They said that there is a unique law hidden inside the infant, and that each stage has a unique characteristic with a unique developmental st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pect the inner potential of young children as they are in the state of nature,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at the right time by respecting the individual's internal development. Based on this educational concept and view of children, they show the following similarities in the institution's educational purpose, educational principles,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method, educational evaluation, educational environment, teacher's role and educational characteristics. First, they set a common goal of human-centered education, that is, education that respects the inner strength and autonomy of young children, confirms the potential for human development, and develops their abilities. Free Waldorf Kindergarten and Montessori Kindergarten organized classes in the form of a mixed age, emphasized individualized education, avoided standardized educational evaluation methods, and showed a negative view of discriminating children in terms of grades. In term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t was emphasized that it should be composed of a safe and free environment for children, and that teaching aids, toys, classrooms, and buildings should all be aesthetically designed.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sensory education and movement education was emphasized in common, and the need for movement that young children have essentially was acknowledged. In this way, the pedagogy of Steiner and Montessori share the same core, so similarities can be found in many parts, but since the starting points of the two pedagogies are different, in terms of the method of actually implementing and realizing each ideological theory and education, the following show the same difference. First, in terms of the view of children and educational goals, Steiner viewed human beings as beings belonging to the laws of the universe with a three-intelligence structure from a psychological scientific point of view, and Montessori placed them in the process of human development, in which infants' innate spiritual essence leads to embodiment. saw that there was In other words, they are different in the direction to lead the holistic growth of young children. Also, in the teacher's role, he said that free Waldorf education is important because the teacher's individuality, humanity, spirit, and emotions have a more detailed effect than any other teaching method. It was said that love and affection for infants are required. In addition, in terms of the use of materials and media, liberal Waldorf education views the use of media in early childhood negatively, whereas Montessori teaching aids recognizes the use of media positively. The conclusion drawn by comparing and discussing the educational theories of Free Waldorf and Montessori is as follows. First, focusing on human nature and essence, forming a free personality that respects the inner potential of a human being as it is in its natural state, rather than artificially manipulating something or trying to fit children into a structured class method with external influences.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respect the inner potential of young children as they are in the state of nature, and to provide education that meets the needs of young children at the right time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internal development. Third,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considering the sensory stimulation of infants in an educationally meaningful environment. Steiner and Montessori common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ensory education and movement education. They saw the sensory organs of infants as the door and the first starting point for learning the world. Fourth, when selecting textbooks, manipulatives, and media for young childre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they can expand the 'quality of experience' obtained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 between infants and teaching aids and personal meaning. Fifth, teacher education with expertise to carefully observe and reflect the inner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should be prepare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conduct field-oriented research on how the theories of Steiner and Montessori are being transformed and applied according to today's era, region, economic leve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etc.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친 교육프로그램으로 잘 알려진 슈타이너와 몬테소리 교육이론의 기초가 되는 교육사상과 교육의 실제를 알아볼 수 있는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환경, 교구와 매체 등을 비교하여 고찰함으로써 그들의 교육이론을 체계적으로 인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유 발도르프 유치원과 몬테소리 어린이집 설립의 근원이 되었던 각 교육학의 기초인 교육사상의 형성 배경과 기관의 설립 및 발전을 고찰한다. 둘째, 자유 발도르프 유치원과 몬테소리 어린이집의 교육론을 탐색하여 각 교육사상, 아동관, 교육론, 교육의 일반적인 특징을 고찰한다. 셋째, 자유 발도르프 유치원과 몬테소리 어린이집의 교육론의 구체적인 하위내용으로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 교육환경, 교사의 역할, 운영 및 학부모와의 관계를 고찰한다. 넷째, 자유 발도르프 유치원과 몬테소리 어린이집 교육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나타나는 감각교육, 동작교육, 예술교육, 교구와 매체를 고찰한다. 다섯째, 자유 발도르프 유치원과 몬테소리 어린이집의 유아교육이 오늘날의 유아교육에 영향을 미친 시사점과 현대적 의의를 규명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서, 자유 발도르프 유치원과 몬테소리 어린이집의 기반이 되는 교육이론의 창시자인 슈타이너와 몬테소리의 교육사상과 교육방법이 상세하게 나타낸 자료들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슈타이너와 몬테소리의 생애와 업적, 교육사상, 실질적인 교육내용과 방법 등과 같은 교육원리와 실제에 대한 자료가 잘 서술된 관련 연구물과 학회지, 전문학자의 서적 등 다양한 문헌을 참고해 유아교육적 의미를 탐색하였다.우리나라의 실천 사례를 탐구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몬테소리 교육을 해오고 있는 운현유치원, 과천의 자유 발도르프 학교의 교육을 참여·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릏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슈타이너와 몬테소리는 19세기 말 두 차례 세계대전으로 역사적으로 암담한 시기 교육학자로서 정치·군사적으로 제약받던 학교 교육에 대응하며‘인간의 자유’를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 개념을 제시하였다. 그들은 이러한 교육이념을 토대로 자유 발도르프 유치원과 몬테소리 유치원이라는 교육 실천의 장을 마련하였으며, 자유 이념을 원칙으로 학생 개개인의 자유로운 사고방식을 존중하는 교육개혁을 실천하였다. 그들은 유아 내면에 숨겨진 고유한 법칙성이 존재한다고 하였고, 고유한 발달단계를 가지고 각 단계 마다 독특한 특성이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유아 내면의 잠재성을 자연의 상태 그대로 존중할 필요가 있으며 개인의 내적 발달양상을 존중해 적기에 교육을 제공해주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들은 이러한 교육적 개념과 아동관을 기초로 기관의 교육목적과 교육원리, 교육내용, 교육 방법, 교육평가, 교육환경, 교사의 역할 및 교육 특징 등에 있어 다음과 같은 유사점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그들은 인간중심의 교육 즉, 유아 내면의 힘과 자율성을 존중하여 인간이 가진 발달 가능성을 확인하고 그 능력을 발전 시킬 수 있는 교육을 공동의 목적으로 하였다. 자유 발도르프 유치원과 몬테소리 어린이집은 혼합연령의 형태로 학급을 구성하고, 개별화 교육을 중시하였으며, 정형화된 교육평가 방식을 지양하고, 아이들을 성적으로 우열을 가리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나타냈다. 교육환경에 있어, 아이에게 안전하고 자유로운 환경으로 구성되어야 함을 강조하였으며, 교구와 놀잇감, 교실, 건물은 모두 미적으로 아름답게 설계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공통적으로 감각교육과 동작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유아가 본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움직임의 욕구를 인정하였다. 이와 같이 슈타이너와 몬테소리의 교육학은 그 핵심을 같이 하기에 상당 부분에서 비슷한 점을 찾을 수 있지만, 두 교육학의 출발점이 다르기 때문에 각 사상적 이론과 교육을 실제적으로 구현하고 실현해내는 방법적인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나타낸다. 먼저, 아동관과 교육목표에 있어, 슈타이너는 정신 과학적 관점에서 인간을 삼지적 구조를 가진 우주의 법칙 속에 속한 존재로 바라보았고 몬테소리는 유아가 타고난 정신적인 본질을 육체화로 이어나가는 인간발달 과정상에 놓여있다고 보았다. 즉, 유아의 전인적인 성장을 이끌어 내기 위한 방향성에 있어 상이하다. 또한 교사의 역할에 있어, 자유 발도르프 교육은 교사의 개성과 인간성, 정신, 감정 등이 어떠한 교수법보다 세세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하였고, 몬테소리는 유아의 자유로운 작업 활동을 확보해주기 위한 수동적이고 겸손한 태도, 유아에 대한 사랑과 애정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그 외, 교구와 매체의 사용에 있어, 자유 발도르프 교육은 유아기 매체의 활용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반면, 몬테소리 교구에서는 매체의 활용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자유 발도르프와 몬테소리의 교육론을 비교하고 논의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의 본성과 본질에 집중하여 무엇인가를 인위적으로 조작하거나 외부의 영향으로 유아를 구조화된 수업 방식에 맞추려고 하기보다는 한 인간이 가진 내면의 잠재성을 자연의 상태 그대로 존중하는 자유로운 인격을 형성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유아 내면의 잠재성을 자연의 상태 그대로 존중할 필요가 있으며 개인의 내적 발달양상에 따라 적기에 유아의 요구에 맞는 교육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셋째,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환경에서 유아의 감각적 자극을 고려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슈타이너와 몬테소리는 공통적으로 감각교육과 동작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들은 유아의 감각기관이란 세상을 배우기 위한 문이자 첫 출발점으로 보았다. 넷째, 유아 교재·교구 및 ·매체의 선택할 때는 유아-교구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얻는 ‘경험의 질’과 개인적으로 갖는 의미를 확장시켜줄 수 있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다섯째, 유아의 내적 발전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이를 반영할 수 있는 전문성을 지닌 교사교육이 마련되어야 한다. 후속연구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와 해외의 자유 발도르프와 몬테소리 교육현장을 심도 있게 관찰하여 슈타이너와 몬테소리의 이론이 오늘날 시대와 지역, 경제적 수준, 사회·문화적 양상 등에 따라 어떻게 변형되어 적용되고 있는지 현장 중심의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계약자유원칙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상대방선택의 자유를 중심으로

        최한미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사인 간의 계약에서는 아무런 제약 없이 일방이 상대방을 선택하거나 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상대방선택의 자유가 보장되어 오면서 많은 차별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계약자유원칙은 ‘자유’라는 미명하에 여타의 인권적 가치들을 사적 영역 밖으로 몰아내 버렸고, 왜 그래야만 하는가라는 질문에는 계약법이 계약자유원칙을 비호하기 위해 만들어 낸 법이론들이 그 대답을 대신해 왔다. 계약자유는 아무 말이 없었다. 그러나 20세기를 거쳐 오면서 현실적 불평등에 직면하게 된 계약자유원칙은 이제 변혁을 시도하고 있다. 약속이론의 대안으로 신뢰이론이 대두되었고, 계약자유의 상대화를 위한 각 영역의 법률들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상대방선택의 자유는 각종 차별금지법제의 증가와 사법부의 판결을 통해 점차 상대화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이것을 헌법상의 기본권 충돌의 문제로 이해하고 이익형량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태도는 또 다른 우려를 불러일으킨다. 지금까지의 계약자유원칙이 때로는 절대시 되어야 할 것으로, 때로는 외부 권력에 의해 제한 내지 수정 되어야 할 것으로 정치·사회·경제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이해되어온 것을 볼 때, 사적 영역에서 인권을 보호하려는 노력들을 계약자유에 대한 제한이라고 이해하는 것은 자유가 우선이냐 평등이 우선이냐 하는 줄다리기 속에서 힘의 논리에 의해 언제든 그 정당성을 잃을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이 글에서는 차별금지법에 대한 유럽의 입법태도와 사적 영역에서 상대방선택의 자유에 따른 차별에 관한 국내 판례의 태도를 통해 상대방선택의 자유는 여전히 절대적 원리인가를 검토하고, 나아가 계약자유에서 자유의 개념을 ‘불간섭’이 아니라 공화주의적 전통의 자유개념인 ‘비지배’로서 이해할 때 계약당사자 일방이 계약내용과 관련 없는 조건이나 상황을 이유로 행사하는 상대방선택의 자유는 자유가 아니라, 상대방의 자유에 대한 침해임을 밝히고자 한다. 따라서, 상대방선택의 자유는 타인에 대한 계약기회의 거절이 자의적 의사에 기초해 행사된 것인가, 아니면 비자의적 의사에 기초한 것인가에 따라 정당한 것으로 인정될 수도 있고, 반대로 정당하지 않은 것이 될 수도 있음을 주장한다. 이를 통해 상대방선택의 자유는 보편타당한 ‘원리로서의 지위’에서 물러나야 하고, 나아가 계약자유원칙이라는 지붕을 받치고 있던 하나의 기둥이 무너짐으로써 계약자유원칙 또한 재구성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The freedom of choosing the other party, which guarantees the right to the selection and rejection of the other party without any restrictions, in agreements between private individuals has raised a lot of discrimination problems.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has driven the other human right values out of the private domain under the name of "freedom," and the legal theories created by the law of contract to protect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have answer the questions as to why.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is, however, making an attempt at reform, having faced the realistic inequality in the 20th century. The trust theory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the promise theory, and laws are on the rise in each and every field for the relativism of freedom of contract. Similarly, the freedom of choosing the other party is gradually becoming relative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acts to forbid all kinds of discrimination and the judgments of the judicature. However, another type of concern is raised by the attitude of understanding those developments as an issue of clash between the basic rights in the Constitution and resolving them through balancing of interest. Given that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has been understoo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s, for instance, as something that should be regarded as an absolute principle sometimes and as something that should be limited or revised by external force other times, the understanding the efforts to protect human rights in the private domain as an attempt to restrict freedom of contract has an inherent possibility of losing its legitimacy any time by the logic of power in the tug of war between freedom and equality. Making a start with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if the freedom of choosing the other party would remain as an absolute principle through the legislative attitude of Europe regarding the anti-discrimination act and the attitude of the South Korean precedents about discrimination according the freedom of choosing the other party in the private domain. The study also aimed to demonstrate that freedom of choosing the other party exercised by one of the contract parties for the conditions or situations no related to the content of contract was not freedom but violation of freedom of the other party, given that the concept of freedom in freedom of contract is understood as "non-domination," a concept of freedom in the heritage of republicanism, instead of "non-interference." The study thus argued that freedom of choosing the other party could be recognized as legitimate or illegitimate according to whether the rejection of contract opportunity by others was voluntary or involuntary. The study would maintain that freedom of choosing the other party should lose its "status as a universal and valid principle" and that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should be reorganized as one of the pillars supporting the principle had collapsed.

      • 자유학기제의 진로교육을 위한 미술과 프로그램 연구

        선혜미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미술교과는 청소년이 자신의 삶을 이루고있는 환경에 대한 이해를 근거로 사회 구성원과 소통하고, 미술품을 제작하는 활동 등을 통해 미적안목을 높이는데 유용한 분야이다. 이러한 미술교과의 특성은 수많은 시각문화가 탄생하고 소멸하는 현대사회에서 학생이 보다 비판적인 수용능력을 갖고, 이로 인해 의미 있는 삶을 구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여기에서 ‘의미 있는 삶’이란, 인간이 주체적으로 자신에 대한 구체적인 탐색을 하고, 그에 맞는 진로를 설계·실천함으로써 보다 나은 인생을 계발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의 중·고등학생들은 자신에 대한 이해 없이 원하는 고등학교, 원하는 대학교에 진학하기 위한 공부에 매진해 주체적인 삶의 계획과 실천에서 멀어져가고 있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박근혜정부는 교육 분야 국정과제 중 하나로 ‘자유학기제’를 제안하였다. 자유학기제는 중학교 교육과정 중 한 학기 동안 진로탐색 프로그램 등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학생의 꿈과 끼를 발견하고 육성하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자유학기제의 시행 모형 중 미술교과와 연관되어 있는 ‘예술·체육 중점 모형’은 청소년기 학생들이 전통적인 예술교과 활동에서 벗어나 새롭고 다양한 예술 활동 및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를 통해 자아정체감을 형성하고 미래 직업과 삶의 설계에 자기주도적으로 임하는 자세를 함양시킨다. 하지만 자유학기제의 2016년 전면시행을 앞두고 미술 교과와 연계한 자유학기제 관련 연구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신의 환경 속에서 자신과 주변을 돌아보고 정체성을 탐구하는 능력을 목표로 하는 미술교과와 진로교육의 공통점을 바탕으로 자유학기제의 효과적인 진로교육을 위한 미술과 프로그램연구를 개발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위해 먼저 문헌조사와 연구결과 등을 분석하여 진로교육에 대해 개념을 정립하고, 중학교시기의 진로교육이 필요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미술교과의 진로교육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미술교과와 진로교육의 공통점 및 연계성을 분석하고 이를 보안하는 미술교과의 진로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자유학기제를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자유학기제의 정책과 방향 등을 교육부에서 고시한 자료와 이를 연구한 학술지를 바탕으로 연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진로교육의 방향과 자유학기제에서 제시하고 있는 운영모형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위와 같이 진로교육, 자유학기제, 미술교과의 개념 이해 및 연계성 연구가 이루어 진 뒤에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11종 미술교과서 내 진로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자유학기제를 바탕으로 확대된 교수 설계와 방법을 구체적으로 진술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개발은 목적과 절차를 설정하고, 자유학기제의 운영 모형 중 예술·체육 집중모형에 진로교육의 순차대로 미술교과의 내용영역을 활용하여 구성하여 제안하였다. 따라서 자유학기제의 미술교과는 한 학기에 음악교과와 함께 집중이수제로 시행되며, 총 34차시로 구성된다. 자유학기제에 미술교과를 통한 진로교육으로 미술 수업 내에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첫째, 미술교과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표현기법 활용 능력을 표현과 감상 과정을 통해 배양할 수 있다. 둘째, 동료의 직업탐색 과정과 결과를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감상과정 안에서 작품에 대한 비판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셋째, 진로 탐색 및 결정·설계과정을 담은 포트폴리오 제작으로 인해 완성품 뿐 아니라 제작 과정에도 가치를 부여하게 된다. 본 연구는 학생의 삶에서 학교교육을 분리시키지 않고 진로에 대해 실제적인 접근을 하고 이를 통해 진로 프로그램을 수행할 것을 제안한다. 특히 자유학기제가 강조하는 학생의 꿈과 끼를 찾아가는 수업과정은 단순히 진로에 대한 지식의 습득이 아닌 미술교과가 갖고 있는 전인적 성장을 토대로 진로의식을 함양하고, 꿈을 이루는 구체적인 단계를 설정하는 등 현실적이고 실제 삶을 사는데 도움이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자유학기에 활용 가능한 기술교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실행연구 : 핵심역량 개발을 중심으로

        엄준성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에 활용 가능한 기술교과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그 효과와 개선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밝히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에 활용 가능한 기술교과 교육과정은 어떻게 개발될 수 있는가? 둘째, 자유학기에 활용 가능한 기술교과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핵심역량(기술적 문제해결능력) 함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자유학기에 활용 가능한 기술교과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핵심역량(기술적 문제해결능력) 함양을 위해 개선할 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국내에 소개되어 있는 해외의 자유학기제 사례들 중 덴마크 유스터스코브 에프트스콜레의 놀이학습에 착안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기술교과 핵심역량 중 기술적 문제해결능력이 함양되도록 기술교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다. 먼저 연구 대상을 자유학기가 시행되는 서울 S중학교 1학년 학생 91명을 대상으로 자유학기 수업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기술교과 수업계획서를 개발하였다. 기술교과 수업계획서는 1개 학급 23명을 대상으로 실행연구를 통하여 개발되었으며, 추가적으로 3개 학급 68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개발된 기술교과 수업계획서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와 함께 학교 현장의 교사들에게 자유학기에 활용 가능한 사례로 제시되기 위하여 개발된 기술교과 교육과정의 진행과정과 함께 개선점을 밝혔다. 본 개발은 교사가 학생의 반응과 목소리를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교수․학습방법을 수정해나갈 수 있는 실행연구(action research)방법을 사용하였다. 계획 단계에서는 요구분석 결과와 선행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기술교과 수업계획서를 개발하고 기술교과 놀이학습 교구와 수업 평가지, 수업 효과성 검증을 위한 학생․교사 관찰일지, 영상 촬영, 면담 도구를 구성하였다. 수업 평가지는 전문가 3인의 타당성 검토를 통하여 개발하였으며, 놀이 활동과 기술교과 학습내용의 논리적 계열성과 집단의 역동, 학습 활동 시간 등을 고려하여 진행 순서를 구성하였다. 또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활동을 통해 배우고 느낀 것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매 차시 끝날 때 마다 기술식 평가지를 작성하는 활동을 배치하였다. 적용․반성 단계에서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S중학교 1학년 A학급 학생 23명을 대상으로 계획 단계에서 개발된 기술교과 수업계획서의 학습을 1주간 2회기 동안 적용하고, 학생면담과 연구자관찰일지, 동료교사관찰일지, 동영상 분석을 통하여 수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반성하였다. 수정․보완 단계에서는 적용․반성 단계의 문제점에 대한 전문가 토의를 통해 교육 자료를 수정하였으며, 학생들에게 기술교과 학습내용과 놀이방법의 설명을 보충하기 위한 사전학습 자료와 모둠별 사전학습 평가지를 제작하였다. 완성 단계에서는 계획 단계에서 개발된 기술교과 수업계획서에 수정․보완된 자료를 적용하여 완성된 기술교과 수업계획서를 개발하였다. 완성된 기술교과 수업계획서의 학습을 4개 학급 91명에게 적용하고, 학생면담과 연구자 관찰일지, 동료교사 관찰일지, 동영상 기록, 공개수업 참관일지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첫째, 자유학기에 활용 가능한 기술교과 교육과정의 개발이다. 기술교과 교육과정은 성취기준 중 핵심 성취기준 선정과 핵심내용 선정을 통하여 재구성 되었으며, 핵심역량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기술교과 핵심역량 중 핵심 성취기준의 성취가 가능하고 놀이학습 방법으로 함양 가능한 역량으로 기술적 문제해결능력이 선정되었다. 이를 위한 학생들의 학습은 덴마크 유스터스코브 에프트스콜레의 놀이학습에 착안하여 6차시 동안 모둠 순환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학생들의 학습은 사전학습, 모둠별 사전학습 평가, 모둠별 놀이학습, 평가 순으로 진행되었다. 둘째, 자유학기에 활용 가능한 기술교과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핵심역량 중 기술적 문제해결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이다. 기술적 문제해결능력 함양에 미치는 영향은 기술적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인 문제의 확인 능력, 해결책의 탐색과 개발 능력, 아이디어의 실현 능력, 해결책의 평가 능력에 미치는 영향으로 분석되었다. 문제의 확인 능력은 자발적 참여와 반복학습, 교사 중심의 학습내용 설명을 통하여 향상되었으며, 해결책의 탐색과 개발 능력은 정보의 탐색과 협력활동을 통해 향상되었다. 아이디어의 실현 능력은 실천적 지식의 함양과 체험학습을 통해 향상되었으며, 해결책의 평가 능력은 규칙과 보상에 따라 향상되었다. 셋째, 자유학기에 활용 가능한 기술교과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핵심역량 중 기술적 문제해결능력 함양을 위해 개선할 점이다. 기술적 문제해결능력 함양을 위해 개선할 점으로는 문제의 확인 능력 향상을 위하여 놀이보다는 학습을 위한 학생 참여와 흥미 있는 놀이학습자료 개발, 학습 후 교사 중심의 핵심내용 정리가 필요하며, 해결책의 탐색과 개발 능력 향상을 위하여 최소한의 통제와 교과서 중심 수업에 대한 고정관념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아이디어의 실현 능력 향상을 위하여 시간 구성과 난이도 구성의 개선이 필요하고 해결책의 평가 능력 향상을 위하여 결과의 보상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2016년도부터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되는 시점에, 중학교 현장에 활용 가능한 기술교과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수업 사례를 제시하였으며, 외국의 수업 사례를 국내 실정에 맞게 재구성하여 진행과정과 함께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및 개선점을 밝힌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chnology curriculum applicable during the free semester and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things to improve. Firstly, how is technology curriculum applicable during the free semester developed? Secondly, how does technology curriculum applicable during the free semester influence core competencies of students, especially problem solving skills in technology? Thirdly, what should be improved in technology curriculum applicable during the free semester to build up core competencies of students? In this study, based on the learning by playing of Usterskov efterskole in Demark, one of known examples in foreign countries, among revised core competencies in technology curriculum in 2015, it was restructured to build up problem solving skills. First of all, 91 first graders in S middle school in Seoul where free semester is implemented at the moment,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survey on demand for the classes during the free semester to draw implications. Based on this, lesson plan for technology curriculum was developed. Lesson plan for technology curriculum was developed by action research of one class with 23 students. In addition, this was applied to other 3 classes with 68 students in total, which verified efficacy of lesson plan for technology curriculum. Along with this, to make it available for other teachers at school, improvement points were discussed. Progress process of technology curriculum is also revealed. This study utilized action research, in which teachers are able to reflect the responses and voices of students to consistently amend pedagogy and learning method. In the design phase, referring to results of demand analysis and action research, lesson plan for technology curriculum was developed and kits for learning by playing, lesson evaluation, journal of students and teachers for the verification of efficacy of lesson, videotaping, and interview were prepared. Lesson evaluation sheet was developed by 3 experts during process of verifying the efficacy of lesson, and considering playing activities, logical sequence and group dynamics of lesson contents, and time allotted for lesson, a program was mapped out. Also, students were asked to fill out the evaluation paper to be reminded of what they have learned and felt by activities consistently. In the application and reflection phase, a lesson plan developed in design phase was applied to one class with 23 students twice for a week and student interview, journal of researcher, journal of co-teachers, video analysis were done to reflect the problem of lesson. In complementation and modification stage, problems discussed in the previous stage were complemented through the discussion with experts to correct teaching materials and preview material and preview evaluation material by modules were made to complement the content and explanation of activities for students. In completion phase, applying the modified and complemented material onto the lesson plan for technology curriculum developed in design phase, final lesson plan was developed. This was applied to total 4 classes with 91 students. Student interview, journal of researcher, journal of co-teachers, record of video material, and observation log of open class were used to analyze the influence on core competencies of student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among the standards of achievement in technology curriculum, technology curriculum applicable during the free semester was restructured by selecting achievement standard and core contents. Among core competencies in technology curriculum revised in 2015, as an achievement standard and leaning by playing method, problem solving skills in technology was selected. Entire study plan consists of 6 modules and each module consists of preview, evaluation of preview material, activities and evaluation in technology. Secondly, influence of technology curriculum applicable during the free semester on building up problem solving skills was analyzed in an order of problem recognition skill, problem exploration and development skill, realization ability of one’s own idea, problem evaluation skill. Problem recognition skill improved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reviewing materials, and teacher-centered explanation process. Problem exploration and development skill improved by investigating information and cooperative activities. Also, realization ability of ideas improved by building up practical knowledge and filed study. Problem evaluation skill improved by enforcing rules and implementing reward system. Thirdly, for the improvement of students’ problem solving skills in technology curriculum applicable during the free semester, suggesting active participation and developing activity materials, and reviewing core contents leading by teacher after the lesson are needed, rather than improving problem recognition skills. Minimized control and anxiety over stereotypical textbook centered lesson should be improved for the problem exploration and development skill. Reassigning time slot and difficulty level i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realization ability of ideas. Compensation for the outcome should be improved for the better problem evaluation skill. This study draws implication, at the moment of implementing the free semester system on a national scale in 2016 by providing an example of revised technology curriculum in 2015, which will start implementing from 2018 for the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ies technology curriculum.

      •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탐구에 대한 실태 및 효과 분석

        권현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자유탐구 실태와 자유탐구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알아보고 자유탐구의 횟수에 따른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를 비교하여 자유탐구의 현장 적용상황을 파악하며 지속적인 자유탐구 실행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라남도 소재 10개의 초등학교에서 자유탐구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 94명과 자유탐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6학년 학생 4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기존문헌을 참고하여 설문지를 개발하고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 검사를 수행하였다. 자유탐구 실태 조사 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에 적합하게 지도하고 있었으나 자유탐구 관련 연수를 받지 않고 있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65%가 자유탐구를 수행하는 것이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을 쌓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며 지도의 어려운 점으로 학생들의 탐구능력 부족, 지도시간 부족, 학생들의 흥미나 관심 부재, 학생 수 과다, 교사의 지도능력 부족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의 자유탐구실시에 대한 선호도는 60%가 긍정적이었고 자유탐구 횟수가 많은 학생들이 자유탐구실시에 대한 선호도에서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어 계속해서 자유탐구를 수행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학생들의 자유탐구 횟수별 효과를 알아본 결과 자유탐구 횟수가 많을수록 과학탐구능력의 평균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고 특히 통합탐구능력과 그 하위요소인 자료해석과 가설설정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탐구 횟수에 따른 과학적 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하위 요소인 개방성과 비판성에서 탐구 횟수가 많을수록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자유탐구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해서는 주제 선정이 어렵다는 인식을 바꾸어 줄 필요가 있으며 연수의 필요성을 느끼는 교사들에게 효율적인 연수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고, 시간 확보 방안 마련 및 실시 학년의 조정, 학급당 인원수 감소 등이 요구된다. 또한 자유탐구 횟수가 많을수록 자유탐구 실시에 대한 선호도가 긍정적이고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므로 앞으로 계속해서 자유탐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 자유주의에서 신공화주의로 : 자유 개념을 중심으로

        김형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From Neo-Liberalism to Neo-Republicanism - Focusing on the concept of Freedom - In this paper, we criticized the idea of neo-liberalism based on the concept of freedom and examined the alternative prospect of neo-republicanism. In particular, we drew a new philosophical foundation of neo-republicanism not limited to political aspect but also from the economic aspect, focusing on ‘freedom’ as a central concept. In the history of Western political ideas, the idea of freedom has not been a neutral concept. It was in itself normative. However, in the Western history since the Ancient Greece, no matter how it was defined, it was a concept to be pursued. For example, freedom was only a term that belonged to civilian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political activities in Athens. On the other hand, it became common to everyone in medieval times. However, it was limited to inner freedom as freedom of conscience before God, not as a political idea. In modern society, freedom is expressed negatively, where individuals establishing their own freedom in realistic approach to resist oppression of its sovereign ruler. Like this, freedom was interpre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its time period, and it played a major role in defining the political system and the way of life of the particular era. The ideology of neo-liberalism that is dominating our lives today is based on the negative freedom of modern liberalism. It assumes a society simply as a collection of isolated individuals and that each individual's freedom can only be earned outside the public domains. According to this idea, the individuals could only be free in the private domain by participating in the market which is free of any government's interference. The government’s interference and intervention had to be strictly banned for the idea of freedom. But the 'freedom of choice' given by the neo-liberalism is merely superficial freedom. By just taking the given choices as difficulties of life, instead of creating choices, we were only satisfied by the fact that we had the freedom to choose. But this neo-liberalism eventually led to a situation in which the individuals are subordinate to those in power with capital. Neo-liberalism is insisting not freedom for all, but freedom for those with more capital. However, they are also slaves in faithfully serving the self-propagating principle of the capital. The fall of neo-liberalism seemed to be coming due to a growing global resistance and the financial crisis in 2008. However, it still is dominant in our society because outwardly there is no political economy alternative, and more fundamentally due to an absence of the concept of freedom to lead the new era. Thus, we have focused on the neo-republicanism that seeks to find a way after neo-liberalism, based on the new interpretation of freedom called 'non-domination freedom'. Expressed as 'freedom from the possibility of being subject to the arbitrary intervention of others', non-domination freedom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concept of freedom overcoming the dichotomous scheme of negative-positive freedom. In other words, non-domination freedom is achieved through the balance of power, which is a term referring to civil equality as the basic premise of republican tradition. Non-domination freedom overcame the long confrontation between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in that while it emphasized the role of community, it still set limits on national roles and accepted pluralism. Furthermore, by applying the idea of such non-domination to the realm of economy, we can finally respond to the pain of those who are subordinate to capital power by political thoughts. The basic premise of the economic philosophy of neo-republicanism is 'market as a Republic'. Not only in political domain, but also in economic domain is where social relations are formed. It is our claim that free competition, contracts, and creativity could be possible when each economic entity can face each other equally. In this paper, we defined neo-liberalism and neo-republicanism as an opposition pair, and negative freedom and non-domination freedom as another and explained the appropriateness of neo-republicanism. The idea of non-domination is the idea that can bring back the concept of citizen and the essence of our nation that has long been forgotten. Our argument is not that the state is the solution to all problems. The state we dream of is maintained only by the abundance of the spirit or belief in love that allows us to put ourselves down in our encounter with each other. But here we wanted to reclaim the essence and key of national-level political thought and to restore civil equality. The way to a true state of encounter, the state of love, would be only the next step. Key words : freedom, neo-liberalism, neo-republicanism, republicanism, non-domination freedom, Philip Pettit, negative freedom, Isaiah Berlin, Friedrich A. von Hayek, Karl Polanyi 신자유주의에서 신공화주의로 - 자유 개념을 중심으로 - 우리는 본 논문에서 자유 개념을 중심으로 신자유주의 사상을 비판하고 신공화주의의 대안적 가능성을 엿보았다. 특히 신공화주의의 정치적 측면만 아니라 경제적 차원에서의 새 철학적 기초를 ‘자유’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그려보았다. 서양 정치사상사에서 ‘자유’는 단순히 중립적인 단어가 아니었다. 자유는 그 자체로 규범적인 개념이었다. 즉 고대 그리스 이후 서양사에서 자유는 그것이 어떻게 정의되던지 간에, 하나의 추구되어야할 이상이었다. 가령 고대 아테네에서 자유는 오직 정치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민들의 전유물이었다. 그리하여 고대 아테네는 참여를 중시하는 민주적 이상이 추구되었다. 반면 중세에서 자유는 모든 인간에게로 보편화되었지만, 이는 정치적 이상이 아닌 신 앞에서의 양심의 자유로 내면적 자유로 그쳤다. 근대에 이르러서 추구된 소극적 자유는 전제군주의 압제에 반발하여 개인의 자유를 현실적으로 정립하는 데 기여했다. 이처럼 자유는 시대별로 다양하게 해석되었으며 그 시대의 정치체제와 삶의 모습을 결정짓는 데 주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오늘날 우리네 삶을 지배하고 있는 신자유주의 사상은 근대 자유주의의 소극적 자유를 토대로 지금의 사회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사회를 고립된 개인들의 단순 집합체로 상정하고, 개인들의 자유가 공적 영역의 바깥에서만 구해질 수 있다고 전제했다. 그에 따르면 개인들은 사적 영역, 즉 정부의 간섭으로부터 자유로운 시장의 경제 활동을 통해 자유로울 수 있었다. 자유라는 이상을 위해 국가의 간섭과 개입은 엄격히 금지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신자유주의 사상이 우리에게 쥐어준 ‘선택의 자유’는 피상적인 자유에 불과했다. 주어진 선택지를 어쩔 수 없는 삶의 어려움이라고 자위하면서 우리는 선택지 그 자체를 구성하기보다, 선택할 자유에 만족했다. 그러나 신자유주의 사상은 결국 개인들이 자본을 가진 권력자에게 예속되는 현상을 야기했다. 신자유주의가 주장하는 자유는 모든 이를 위한 자유가 아닌 더 많은 자본을 가진 자들의 자유를 보장할 뿐이었다. 하지만 그들 또한 자본의 자기 증식 원리에 충실히 봉사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노예였다. 이런 신자유주의는 세계 각지에서 발발하는 저항운동과, 2008년 금융위기를 맞이하며 몰락의 길을 걷는 듯 했다. 그러나 여전히 신자유주의는 우리 사회를 굽어보는 지배적인 구조로 자리하고 있는데, 그 까닭은 겉으로는 정치‧경제적 대안의 부재이며 속으로는 새 시대를 견인할 자유 개념의 부재였다. 그리하여 우리는 ‘비지배 자유’라는 자유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 신자유주의 이후를 모색하는 신공화주의에 주목했다. ‘타인의 자의적 간섭을 받을 가능성으로부터의 자유’로 표현되는 비지배 자유는 소극적-적극적 자유의 이분법적 도식을 극복하는 자유 개념으로 주목받았다. 쉽게 말해 비지배 자유는 공화주의 전통의 기본 전제인 시민적 동등성을 일컫는 말로 권력의 균형을 통해 성취된다. 비지배 자유는 공동체의 역할을 강조하면서도 국가 역할의 한계를 설정하고 다원주의적 이상을 받아들인다는 점에서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오랜 대립을 극복해냈다. 나아가 이러한 비지배의 이상을 경제의 영역에 적용할 때, 우리는 비로소 자본 권력에 예속된 자들의 아픔에 정치사상으로 응답할 수 있게 된다. 신공화주의 경제철학의 기본 명제는 ‘시장의 공공화’이다. 정치뿐만 아니라 경제적 공간 역시 사회적 관계가 맺어지는 공간으로, 각각의 경제주체들이 서로 동등하게 마주볼 수 있을 때 자유로운 경쟁도, 계약도, 창의성의 발현도 가능해질 수 있다는 것이 우리의 주장이다. 그렇게 우리는 본 논문에서 신자유주의와 신공화주의, 소극적 자유와 비지배 자유를 각각 대립쌍으로 설정하고 신공화주의의 현대적 적실성을 설명하였다. 비지배 자유의 이상은 오랫동안 망각해왔던 우리네 국가의 본질과 시민의 개념을 다시금 이끌어낼 수 있는 사상이다. 우리의 주장은 국가가 모든 문제의 해결책이라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꿈꾸는 참된 만남의 나라는 오직 너와의 만남 속에서 자기 자신을 스스로 내려놓을 줄 아는 정신의 넉넉함 혹은 사랑에 대한 믿음으로만 유지된다. 다만 여기서 우리는 국가적 차원의 정치사상에 있어서 그 본질과 핵심을 되찾고 시민적 동등성을 회복하자는 것을 주장하고자 했다. 우리가 꿈꾸어온 참된 만남의 나라, 사랑의 나라로 가는 길은 오직 그 다음의 일일 수 있다. 열쇠어 : 자유, 신공화주의, 신자유주의, 공화주의, 비지배 자유, 소극적 자유, 필립 페팃, 이사야 벌린, 하이에크, 칼 폴라니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