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경도자의 자연친화적인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랜드마크의 특성을 중심으로

        구지영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10

        오늘날의 인류는 인위적 환경에 현실적으로 적응하고 있는 동시에, 자연환경으로의 복귀를 지향하려는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공공디자인으로 실천하는 녹색성장 도시재생, 인간중심의 도시환경 조성, 친환경을 통한 새로운 도시공간문화를 보여주는 공공디자인은 이시대의 화두이다. 21세기 사회에서의 도시의 모습은 과거・현재・미래의 시간의 흐름 속에서 그 사회・문화의 맥락적 관계를 통해 도시공간과 인간의 사유적 소통공간이 되어야 한다. 도시환경디자인은 현대 도심사회에서 보여주는 모든 시각적 요소들을 디자인 하는 분야이고, 도심의 질적인 가치형성 구축과 인간생활환경 전반에 걸쳐 미적가치를 추구하고 가장 양질의 삶을 살 수 있는 쾌적한 도시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간은 생활공간 속에서 예술을 접목시키려 노력해 왔으며 생활공간으로서 기능과 함께 아름답게 치장해 주기를 요망하고 기대하게 되었고, 아름다운 도시와 쾌적한 공간을 요구하게 되었다. 환경도자에서의 자연과 인간 그리고 공간이 온전한 공존관계를 유지하여 비자연성, 비인간화를 극복하고 인간과 자연이 함께 교감하며 풍요로워 질 수 있는 공간 조성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환경은 생활하는 주위의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도시환경과 자연환경으로 이루어져 있고, 도시환경에는 불특정한 사람들이 주체로 그 공간에는 공공성이 존재하고 있다. 현재 각 도시들은 후진도시의 틀을 벗어나기 위해 공공디자인의 개념을 도입하여 도시 공공영역에 창조적 발상을 통해 도시의 이미지를 탈바꿈하고 있다. 환경도자는 기계로 제작되어 획일적 일 수밖에 없는 제한된 재료의 형태가 아닌, 흙의 특수성을 가지고 손으로 만들어진 예술작품으로서 공공디자인과 접목되어 그 도시의 이미지를 창조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충분한 요소를 가지고 있다. 사람들은 도시에 나름대로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도시는 나름대로 아이덴티티를 가지고 있다. 사람들의 마음속에 형성되어 있는 이미지는 쉽게 변하지 않으며 좋은 이미지는 많은 부분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도시는 그렇기 때문에 좋은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기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대 도시환경 속에서 환경도자의 자연 친화적인 표현은 한국적 조형의식과 가치관에 부합되는 좋은 도시이미지와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 측면에서 도시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창출하기 위한 나아가 국가브랜드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랜드마크의 유형을 고찰하고 도시전략적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환경도자의 자연 친화적인 표현은 인간과 주변 환경과의 유기적 연계를 도모하여 자연환경을 보존하는 동시에 인간의 건강과 쾌적성을 증진시킨다. 좀 더 포괄적인 자연 친화의 개념으로 도시화, 기계화로 자연환경과의 관계가 단절된 인간의 삶의 방식과 사고체계를 자연에 깊은 애정과 익숙함을 가지고 있던 인간 본연의 심성을 되살리고, 또한 자연에 대한 이해를 넓히며 서로 공생하는 관계로 회복시킨다. 따라서 환경도자의 자연친화적인 표현은 아름답고 쾌적한 생활공간 조성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관련 연구가 더욱더 활성화, 전문화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환경도자에서의 자연적 요소와 디자인적 형태의 폭넓은 이해와 심도 있는 연구로 병행될 때 바람직한 환경도자의 친환경적인 표현이 21세기에 주목받을 수 있는 도시 브랜드의 형성과 역할을 할 수 있는 랜드마크가 될 것으로 본다. 21세기 패러다임으로써 녹색정책의 그리노믹스가 전개되고 있다. 환경도자의 자연친화적인 표현 특성은 랜드마크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첫째, 생태학적 관점에서 추구되는 환경 친화적인 자세와 한국의 친자연성과 닿아 있으며 둘째, 한국적 조형의식과 가치관에 부합된다. 국가경쟁력의 중심이 도시경쟁력이고, 도시의 상징은 국가상징과 공유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 스토리와 역사적 맥락이 존중되는 창의적이고 유한한'희소가치'로 존재하는 랜드마크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oday, human-beings are showing their intentions to return to the green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that they are realistically adjusting to the artificial environment. They are the issues to recycle the green growth city practicing with the public designs, ,make the human-oriented urban environments and make the public designs showing the new culture of the urban space through the environment-friendly works. The image of the city in 21st century needs to be the private communicative space between human-beings and the urban spaces through the contextual relationships of the society and the culture in the middle of the passage of time-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e designing of the urban environment is the field that designs all the visual elements which are shown in the center of the modern city and its goal is to build the qualitative value of the center of the city, pursue the aesthetic value throughout the life environment of human-being and make the pleasant environment where people can have the highest quality of living. People have tried to graft art in the living space. They came to expect them to be decorated gorgeously with the function as the living space and ask for the beautiful city and the pleasant space. It can be considered that it is vital to make a space where human-beings and environment can commune with, be abundant and overcome the denaturalization and dehumanization by keeping the intact coexistence between human-beings and the nature. The environment-friendly expression of the environmental ceramics not only preserves the natural environment by promoting th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human-being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ut also enhances the pleasantness and the heath of human-beings. To tell from more comprehensive point of view of the environment-friendly notion, it can bring back the true nature of human-beings which used to have a deep affection and comfortableness about the nature from the way of lives and the process of thinking of human-lives which were broken off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due to the civilization and mechanization. In addition, it extends the understanding about the environment and restores to go back to the coexistence relationships. Thus, the relevant study of the environment-friendly expression of environmental ceramics needs to be invigorated and specialized more and more to promptly meet the needs of the times which are to build a pleasant and comfortable living space. Furthermore, when it goes with an in-depth study and an extensive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al elements and the designing form in the environmental ceramics, the environment-friendly expression of the desirable environmental ceramics can be a landmark that can play a role of building an urban brand which can be noticed in 21st century. This study examined the city strategic examples and considered the form of landmarks which can contribute to building the national brand, from a point of view of building a good urb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values and the awareness of Korean modeling as the environment-friendly expression of environmental ceramics. The environment means the surrounding situations, which consists of the urban environment and the natural environment. Unspecified people in the urban environments are the main agents and there are the publicity in the space. Nowadays each city is trying to change the image of their cities with adapting the notion of the public designing in order to get out of the image of the underdeveloped city. The environmental ceramics is a work of art made by hands with soil possessing its own distinct characteristics, -not with the same material which cannot help but limited as made by machines. Thus, it has enough elements that can express the image of the city creatively, crafted with the public designing.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detailed areas where the environmental ceramics are used in a variety of places currently in the urban spaces through the examples according to the public design elements showing the publicity in the environments of modern cities. Furthermore, it intends to show the directions of the landmarks to create the urban image more effectively. People have their own images about the cities and the city has its own identity, as well. A good image forming in the mind of people doesn't change easily and it plays a positive role on many parts. That's why the cities are trying hard to build a good identity. Greenomic (Green + Economy) of green policy is being progressed as a paradigm of 21st 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friendly expression of the environmental ceramics is to build the landmarks. Thus, the first, the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pursued from the biological point of view is very close to the environment-friendly nature of Koreans. The second, it corresponds to the values and the awareness of Korean modeling. The core of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s the city competitiveness and the symbol of a city shares with that of a nation.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looking for the directions of the landmarks which exists as creative and limited 'scarcity value' which the story of the city and the historical context are respected.

      • 자연물을 매체로 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미술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박예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33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the effects of art activities based on natural objects on the nature-friendly attitude of infants and the ability to express art.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effect of an infant's art activities on the nature- friendly attitude of an infant? Research 2. What is the effect of an infant's art activities on the ability of an infant to express its art through natural objec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4 infants (22 from experimental groups and 22 from comparative groups) of two classes of four-year-olds in H kindergarten located in Changwon, Gyeongsangnam-do.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experiment design, hypothesis setting, preliminary inspection, inspector training and inspection, preliminary inspection, pre-inspection, experimental treatment, and follow-up examination, and the experimental group went through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goals of activities based on the theme, collecting and exploring natural objects, and dividing art activities, evaluation and appreciation with natural materials. Comparative groups were introduced, developed, and finished with subjects such as experimental groups. In this study, the nature-friendly attitude and art expression were examined, and based on experimental treatment, the art expression that appeared in the liberalization of before and after experimental groups and comparison groups was measured using the "Great Representation Capability Evaluation Scale" produced by Ji Sung-ae (2001). The nature-friendly attitude inspection tool was adapted from the CATES-PV produced by Muser and Diamond (1999) by Heo Yun-jeong in 2001 and partially supplemented by So Kyung-hee (2007). The empirical analysis statistics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SPS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o be demonstrated at a confidence level of 95%, and t-verification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nature-friendly attitude test showed significant effects between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After art activities with nature as a medium, which is a method of experimental treatment, interest in animals and plants, respect for life, preference for natural environment over artificial environment, and preference for natural environment over comparison groups in nature protection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ttitude. Through this, it can be said that art activities based on natural objects improve the nature-friendly attitude. Second, the nature-friendly attitude test showed significant effects between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In particular, since the sub-factors such as the merging of basic shapes and lines, various colors, detailed descriptions, harmonious composition, various shapes, subject-related representations, creativity of the surface, the completion of the painting, and the case of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both the surface and language have shown significant improvements, art activities with natural objects influence the ability to express art. To sum up these results, art activities based on natural objects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nature-friendly attitude of infants and their ability to express art. 본 연구는 자연물을 매체로 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미술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자연물을 매체로 한 유아의 미술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자연물을 매체로 한 유아의 미술 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 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 창원시에 소재한 H 유치원 만 4세 2학급의 유아 44명(실험집단 22명, 비교집단 22명)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 설계, 가설설정, 예비 검사, 검사자 훈련 및 검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서로 실시 되었으며, 실험집단은 자연물을 매체로 한 미술활동을 주제에 따른 활동 목표 탐색하기, 자연물 채집 및 탐색하기, 자연물을 매체로 한 미술활동, 평가 및 감상을 나누는 과정을 거쳐 진행되었다. 비교집단은 실험집단과 같은 주제를 가지고, 일반 미술재료를 이용한 미술활동 방식으로 도입, 전개, 마무리 순서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친화적 태도와 미술표현력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처치를 기준으로 전과 후의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자유화에 출현된 미술표현을 지성애(2001)가 제작한 ‘그리기 표상능력 평가 척도’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자연친화적 태도 검사도구는 Musser와 Diamond(1999)가 제작한CATES-PV를 허윤정이 2001년에 번안, 수정하고 소경희 (2007)가 일부 보완한 검사도구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실증 분석 통계 프로그램은 SPSS 이며 통계적 유의성은 신뢰도 수준 95%에서 입증하고자 하였으며,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친화적 태도 검사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처치의 방법인 자연물을 매체로 한 미술활동 후, 자연친화적 태도의 하위 요소인 동·식물에 대한 관심과 애호, 생명에 대한 존중, 인공적 환경보다 자연환경에 대한 선호, 자연보호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큰 상승폭을 보이며, 태도가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통해 자연물을 매체로 한 미술활동이 자연친화적 태도를 향상 시킨다고 말할 수 있다. 둘째, 자연친화적 태도 검사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위요인인 기본도형과 선의 병합, 다양한 색채, 세부적 묘사, 조화로운 구성, 다양한 형체, 주제 관련 표상, 표상의 창의성, 그림의 완성, 표상과 언어에서 모두 실험집단의 유아의 경우가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므로, 자연물을 매채로 한 미술활동은 미술표현력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보자면, 자연물을 매체로 한 미술활동은 유아의 자연친화적태도와 미술표현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고 볼 수 있다.

      • 실내 자연체험을 통한 노래 개사하기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 및 음악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김지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00574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실내 자연체험을 통한 노래 개사하기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 및 음악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내 자연체험을 통한 노래 개사하기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실내 자연체험을 통한 노래 개사하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알아보고자 서울특별시 D구에 소재한 S어린이집 만 4세 두 학급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2020년 9월 15일부터 11월 3일까지 8주간 주1~2회, 총 10회 동안 이루어졌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어린이집 하루일과 중의 실내 자연체험을 통한 노래 개사하기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활동 시 유아가 실내에서 자연을 체험하고 느끼며 경험한 내용을 노래 가사로 표현하여 부를 수 있도록 하였다. 비교집단의 유아들은 놀이중심 실내 자연체험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Musser와 Diamond(1999)가 제작한 CATES-PV(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Preschool Version)를 허윤정(2001)이 번안․수정하고 소경희(2007)가 일부 보완한 자연친화적 태도 검사를 사용하였고, 음악 표현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Lorton과 Walley가‘Recording Skill Develo pment in Music’에서 제시한 총 89문항의 음악 발달 검사를 수정, 보완한 김광자(2004) 음악 표현력 검사 도구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유아와 비교집단의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를 비교해보았을 때 실험집단의 유아는 자연친화적 태도 하위요소인 동식물에 대한 애호와 관심, 생명에 대한 존중의식, 자연보호 3개의 영역에서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 요소 중 자연환경에 대한 선호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실내 자연체험을 통한 노래 개사하기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를 향상시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실험집단의 유아와 비교집단의 유아의 음악 표현력을 비교해보았을 때 실험집단의 유아는 음악 표현력의 하위요소인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음악 만들기 4개의 영역에서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실내 자연체험을 통한 노래 개사하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 표현력을 향상시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실내 자연체험을 통한 노래 개사하기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 및 음악 표현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수학습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hanging the lyrics activities through ecological experience indoors on nature friendly attitudes and music expression abilities at the age of four. For thi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 are effects of changing the lyrics activities through ecological experience indoors on four-year children’s nature friendly attitudes? Second, what are effects of changing the lyrics activities through ecological experience indoors on music expression abilities at the age of four? To answer the questions,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4-year-old children of two classes in Day care Center where located in Seoul. They were divided into a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ed group and the study was conducted 10 times for 8 weeks from 15, Sep. 2020 to 3, Nov. 2020. The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changed the lyrics through the ecological experience which they felt from nature indoors. The children in comparative group experienced nature indoors without any activities. As the inspection tool for measuring children’s nature friendly attitude, CATES-PV(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Preschool Version) initially designed by Musser and Diamond(1999) that was translated by Kyonghee, So(2007) was used. To test children’s music expression abilities, Recording Skill Development in Music was initially designed by Lorton and Walley, which revised by Kwangja, Kim(2004), was used. The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ed group,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love and interest in animals and plants, a sense of respect for life, and nature conservation which are components of nature friendly attitudes.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in preference for nature environment between two groups. Accordingly, Changing lyrics activities through the ecological experience indoors had improved children’s nature friendly attitudes. Second, when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group,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singing songs, playing an instrument, expressing one’s body, and making music which are components of music expressing abilities. It showed that Changing lyrics activities through the ecological experience indoors had improved children’s music expressing abilities. In conclusion, changing lyrics activities through the ecological experience indoors had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nature friendly attitude and music expression 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hanging lyrics activities through the ecological experience indoors could be one of teaching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자연친화적 숲놀이 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사회성기술에 미치는 영향

        함형숙 중부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00559

        국 문 초 록 자연친화적 숲놀이 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사회성기술에 미치는 영향 중부대학교 대학원 교육심리상담학과 함형숙 지도교수 홍성호 최근 유아기 정서적 안정감과 사회성 발달을 위하여 자연친화적 숲놀이 활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유아교육기관에서 자연친화적 숲놀이가 활성화되고 있다. 사회성기술은 유아가 성장하여 성인이 되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기술이다.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성기술이 자연친화적 숲놀이 활동을 통해 변화되는 과정을 탐색하고 그를 통해서 얻은 교육적 함의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와 유아들에게 자연친화적 숲놀이 활동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유아의 사회성기술 향상을 위한 숲놀이 활동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친화적 숲놀이 활동에서 유아의 사회성기술 변화과정의 의미는 어떠한가? 둘째, 자연친화적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성기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방법은 크게 두 가지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첫째는 유아들이 자연친화적 숲놀이 활동 과정 중 발견된 유아의 사회성기술의 변화과정을 탐색하여 그 교육적 의미를 밝히는 질적연구방법인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이다. 다음 하나의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방법인 문화기술적 방법의 단점과 한계를 보완하여 사용된 두집단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통한 양적연구방법이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자연친화적 숲놀이 활동을 실행한 실험집단에 속한 유아들은 숲놀이 활동이 완료된 사회성기술의 사후측정치에서 사회성기술의 하위영역인 정서표현, 질서의식, 문제해결능력, 자신감 등 모든 하위영역에서 비교집단과 비교하여 뚜렷한 향상을 보였으며,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의 주요 기법인 교사면접, 참여관찰, 관찰일지 등을 이용한 탐색 과정에서도 비교집단에 비해 바람직한 질적 변화 양상을 보였다. 첫째, 관찰결과 자연친화적 숲놀이 활동을 통하여 유아들의 정서표현능력은 지속적으로 향상되었다. 비교 분석한 결과도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의 정서표현 능력보다 높았다. 둘째, 유아들은 제한된 교실 밖을 나가는 순간부터 질서를 지켜야 했고, 숲놀이터를 향하는 산책길에서 교통 규칙을 지켜야 안전하게 도착할 수 있었다. 유아들은 자연친화적 숲놀이를 통해 스스로 창의적인 다양한 게임과 놀이를 발견하고 놀이의 규칙을 만들고 지켰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유아들은 놀이를 더욱 흥미 있게 만들어갔다. 유아들은 놀이 중에 양보하고 배려하며 기다려 주었으며, 점진적으로 질서의식이 향상되었다. 셋째, 유아들은 숲이라는 자연환경 속에서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하면서 여러 가지 어려움과 문제상황들을 만나게 된다. 자연친화적 숲놀이를 통하여 유아들의 문제해결능력은 향상되었다. 유아들은 또래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문제를 내어놓고 교사의 도움을 받아 해결해 가기도 하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방법을 모색하여 자신의 문제들을 해결해 가며 놀이하는 모습들이 보였다. 넷째, 자연친화적 숲놀이를 하면서 유아들은 모험과 도전을 통하여 자신의 행동에 관한 결과를 인정하고 자신감이 향상되어 즐겁게 놀이에 집중하고 몰입하는 모습들이 발견되었다. 질적연구방법인 문화기술적 연구방법과 양적연구방법 모두에서 자연친화적 숲놀이 활동은 유아의 사회성기술이 향상되었다. 주제어 : 자연친화적 숲놀이, 사회성기술, 정서표현, 질서의식, 문제해결능력, 자신감

      • 자연의 이미지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成美賢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67727

        The originality of art is driven from the nature and society and causes all different kinds of current styles according to the fluctuation of the times and society. While the modern society have developed technologies and promoted the industrialization, the aesthetic sense of the times in artful performances is sharply changed. The artful phenomena called "digital-era" have recently developed to the sphere of "virtual reality" capable of the aesthetic experiences that had been impossible before, so have produced various and ambiguous images. However,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recognition that we can acquire through our spiritual thought and objective subject occupy the inherent sphere that "digital-culture" cannot act as a substitute. The creative performances that have the nature as a object have passed on numerous works featuring each of the times regardless of east and western culture. The oriental people especially have regarded the art as a live process of harmonizing with nature beyond the human-central thoughts, and nature-intimated thinking and aesthetic consciousness have been expressed through a landscape painting. This thesis is not to provide a new opinion or view through analyzing and examining certain problems or research materials like the usual papers but through my works, to grope and explain closely the expressional method of more extended conception as utilizing the existing expressional methods of landscape painting. A artist cannot exist alone in isolation so can be influenced as a member of society by social tendency and can expand his own realm of works. In my own works, the expressional methods and materials are common objects transmitted through history for a long time. Yet this work is not to follow the past tradition but to pursue and intend expressing its my own aesthetic consciousness as a visual language of present times beyond past expressions. As a textual study, in second chapter, I investigate how the aesthetic consciousness and formative expression are composed in oriental thoughts that regard the nature as a object of formative art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ainting of Chinese ink which is a traditional mode in the Orient. In third chapter, I methodologically illuminate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al methods as a explanation for producing works. The concept of nature which is a expressional object applied in this thesis shows the image evoking as a usual and provides the simplified formation of a plain screen through various effectiveness of paintings of Indian ink rather than expresses certain landscape of an area. Therefore, though the process of producing works and examination, I intend to pursue a new possibility of modern expression in paintings of Chinese ink and to organize the relationship of nature and art so recognize deeply the internal meanings for formativeness and symbolization through various expressional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