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K-HTP 그림검사에 나타난 대학 신입생의 자아존중감 반응특성 연구

        손봉희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self-esteem among university freshmen and to investigate if the K-HTP test can be an instrument for measuring self-esteem. Study participants were 102 university freshmen at a four year university in Chungnam province. Two inventories(Self-Esteem Inventory and K-HTP Drawing Test) were administered.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ir self-esteem scores. The evaluation categories and items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Qualities of each segment of the K-HTP drawing test results were assessed on the Likert scales. The Likert scales for rating subjective qualities of the drawings were utilized in order to improve objectivity in the drawing assessment. Chi-squared tests and one-way ANOVAs were used to evaluate K-HTP results. In order to examine correlations between the self-esteem and K-HTP subcategories, Pearson correlations were used. In order to find out which subcategories of K-HTP predict the self-esteem, the stepwis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verall,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HTP results between the high self-esteem group and the low self-esteem group. Considering items which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hole(W) mod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unity, line and form, line-intensity, detail description, perspective distance, erase, attachments, mutual contact. In terms of the House(H) mod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use size, roof, door, stability, and the fence. In terms of the Tree(T) mod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ee size, branches, tree crown, roots, and stability. In terms of the Person(P) mod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on's size, facial expression, and location of the perso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elf-esteem and the K-HTP responses. Especially,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Whole mode and the Tree mode were higher than the other K-HTP modes. Third,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self-esteem were the Whole mode and the Tree mode, while the other modes were not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self-esteem. The whole mode of K-HTP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the self-esteem.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K-HTP drawing test can be useful to measure university students’ self-esteem. Further studies can be recommended to develop more objective evaluation items in order to use K-HTP as a reliable diagnostic tool for detecting students' self-esteem at the early stage in their university life so as to help them raise their self-esteem for their academic and future career success. 본 연구는 대학신입생들의 자아존중감의 특성을 K-HTP 그림검사를 통해 살펴보고, K-HTP 그림검사가 자아존중감을 판단할 수 있는 측정도구로서 활용가능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남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 입학한 신입생 중 남녀 10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자아존중감 척도검사와 K-HTP 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K-HTP 그림검사 반응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대학신입생들을 자아존중감 수준별로 구분한 다음, K-HTP의 평가기준 및 리커트 척도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K-HTP 그림검사의 평가기준과 평가항목을 구성하고 채점하였다. 카이제곱 검정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K-HTP의 각 항목별 반응특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자아존중감 척도검사와 K-HTP 그림검사 양식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K-HTP 그림검사 양식 중 자아존중감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단계적 위계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은 집단은 K-HTP 그림검사 결과에서도 자아존중감 수준이 낮은 집단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각 양식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는 항목들을 살펴보면, 전체적 양식 중에서는, 통합성, 선과 형태, 필압, 세부묘사, 원근감, 지우기, 부가물, 상호관계에서 집단간의 차이가 유의미했다. 집그림 양식에 있어서는 집의 크기, 지붕, 문, 안정감, 울타리에서 집단간의 차이가 유의미했다. 나무그림 양식에 있어서는 나무의 크기, 줄기, 수관, 뿌리, 안정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사람그림 양식에서는, 인물 크기, 얼굴 표정, 인물 위치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둘째, K-HTP 그림검사와 자아존중감 척도검사 사이에는 유의미한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그림양식 중 전체적 양식과 나무그림 양식이 다른 양식들에 비해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셋째, 자아존중감을 평가할 수 있는 가장 영향력 있는 그림양식의 요소는 전체적 양식과 나무그림 양식이었으며, 그중에서도 전체적 양식이 자아존중감을 가장 잘 설명하는 예측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K-HTP 그림검사가 대학신입생의 자아존중감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의 후속연구로서 자아존중감 수준이 낮은 학생들을 조기에 진단하여 도움을 줄 수 있는 임상적 도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객관적인 평가항목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청소년기 자아존중감 회복을 위한 기독교적 나눔교육에 관한 고찰

        양우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suggests educational direction and its role to recover a lowered self-esteem from difficult educational environment to develop a positive self-esteem in adolescence and to realize its role, furthermore, it researches the necessity and its role of Christian sharing education by a point of Christian view. In stormy period of adolescence, as there are rapid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intellectual changes for adolescents in various unavoidable circumstance, it is very important developing the positive self-esteem necessary for individual’s life style and values. For this reason, the self-esteem is a criteria to evaluate oneself worthy. However, there is a lack of probability to get the positive self-esteem in school education system because the adolescents have a strong tendency about evaluating themselves within entrance examination system. In the adolescence, it has a high demand of educational approaches on positive actual practice activity considered with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over the education focused on cognitive domains. As an important variable of identify feeling development, the adolescents’ actual action and practice activity can give the self-image development and confidence necessary for identify feeling development. In other words, the adolescents’ action can give an opportunity to get the value such as self-esteem,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more than satisfaction in learning content. This study regards religious classes of missionary school as an opportunity alternative way to overcome its limitation in the public education circumstance. Over the grade and educational curriculum focused on entrance examination, the religious classes give a relative chance to participate in actual activity program for the adolescents’ positive self-esteem development. In the Christian religious classes, it can give not only religious belief content but also the practical approach (activity) to participate through ‘the shared praxis’ by Thomas H. Groome, this study considers role model of the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and the Christian education as ‘sharing education’. At last, it considers its direction and practical model to develop the adolescents’ positive self-esteem. Therefore, this study has been written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 positive effect of the Christian sharing education on school adjustment by developing the self-esteem. To develop the adolescents’ self-esteem, the adolescents develop a high self-esteem by showing their ability and getting an accomplishment in area that they value not in passive activity. Therefore, focused on the Christian religious class and the Christian class as 'the sharing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its desirable direction of Christian classes to develop the adolescents’ positive self-esteem. 본 논문은 청소년기에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형성하기 어려운 교육환경에서 낮아진 자존감을 회복시킬 수 있는 교육의 방향성과 역할을 제시하고, 그 역할을 실현하기 위해 기독교적 나눔교육의 필요성과 역할을 기독교세계관의 관점과 시각에서 연구하였다. 질풍노도의 시기에 겪을 수밖에 없는 다양한 문제적 환경 안에서 급격한 생물학적, 심리적, 지적인 변화를 겪는 청소년들에게 개인의 삶의 방식과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의 발달은 매우 중요하다. 자아존중감이란 자기 자신을 가치 있는 사람으로 평가하는 기준이다. 그런데 학교교육 현장에서 청소년들은 자신의 가치 평가가 입시제도 안에서 이루어지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긍정적 자아존중감을 획득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약해진다. 청소년 시기에는 인지적인 영역만을 강조하고 있는 교육의 접근 방향에서 벗어나 신체적·인지적·정서적 발달을 고려한 적극적인 실제적인 실천 활동을 지향하는 교육의 접근 필요성이 요구되어진다. 청소년들의 실제적 행동과 체험 활동들은 정체감 형성의 중요한 변인으로서 이것은 참여를 통해서 경험을 함으로써 정체감 형성에 필요한 자아상의 통합과 자신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암시한다. 즉 청소년활동은 학습내용의 충족효과 이외에 자아존중감, 자아개념, 자기효율성 등의 가치를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교육 환경의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미션스쿨의 종교수업 시간을 기회의 장으로 바라본다. 성적과 입시 위주의 교육의 테두리에서 벗어난 종교수업에서는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존중감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실천적인 활동 프로그램을 모색할 기회가 상대적으로 많이 주어지게 된다. 기독교적 종교교육이 신앙의 내용만을 전달하는 것에서 벗어나 나누어 참여하는 실천적 접근(행함), “나눔의 프락시스(shared praxis)”를 통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이야기하는 토마스 그룸(Thomas H. Groome)의 기독교적 나눔교육의 실천모델을 살펴보고, 기독교적 종교교육, ‘나눔교육’으로서의 기독교교육을 조명하여, 청소년기의 건전하고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의 형성을 돕는 바람직한 기독교교육의 방향을 고찰하고 그 실천방안을 살펴본다. 본 연구는 기독교적 나눔교육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회복시킴으로써 학교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에서 시작되었다. 청소년기의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수동적 활동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가치를 두는 영역에서 능력을 발휘고 성취감을 획득할 때 높은 자아존중감을 갖게 된다. 따라서 기독교적 종교교육, ‘나눔교육’으로서의 기독교교육을 조명하여, 청소년기의 건전하고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의 형성을 돕는 바람직한 기독교교육의 방향을 고찰하고 제안하고자 한다.

      • 부모의 양육방식이 청소년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백은라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방식과 청소년의 또래애착, 우울 및 자아존중감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부모의 양육방식과 청소년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KCYPS)로서 초1패널 7차년도 자료(2016)를 사용하였고, 분석대상은 중학교 1학년 1,944명이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은 측정모형 분석과 구조모형 분석을 나누어 살펴보는 2단계 접근법을 사용하였으며, 최대우도법을 사용하여 모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RMSEA, TLI 및 CFI 적합도 지수를 이용하였고, 구조모형의 효과성을 분해하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검정 방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방식 평균점수는 합리적 설명(M=3.06)이 중간점수 (2.50)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과보호(M=1.62)와 학대(M=1.58)는 중간점수 (2.50)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애착은(M=2.88)로 중간점수(2.50)보다 미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우울(M=1.18)은 전반적으로 중간점수(2.50)보다 낮았으며, 자아존중감(M=2.55)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양육방식이 청소년의 또래애착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모의 양육방식 하위요인 중 학대와 합리적 설명은 또래애착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히 살펴보면, 학대는 또래애착에 부적 영향을, 합리적 설명은 또래애착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학대를 낮게 지각할수록, 부모의 합리적 설명을 높게 지각할수록 또래애착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반면 과보호 양육방식은 또래애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부모의 양육방식과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모의 양육방식과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모가 과보호와 학대적으로 양육할수록 우울은 높고 자아존중감은 낮으며, 부모가 합리적 설명으로 양육할수록 우울은 낮고 자아존중감은 높으며, 또래와 안정된 애착을 형성할수록 우울은 낮고 자아존중감은 높음을 의미한다. 넷째, 부모의 양육방식이 청소년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애착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부모의 양육방식 하위차원에 따라 매개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먼저 부모의 학대와 합리적 설명은 청소년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또래애착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의 과보호는 청소년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만 또래애착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방식, 청소년의 또래애착 및 우울, 자아존중감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우울, 자아존중감에 대한 긍정적 방향 모색에 있어 부모 양육방식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격려자, 상담자, 의사소통 기술의 모델로서의 부모가 될 수 있도록 부모교육을 확대 실시하고, 청소년기의 자녀가 안정된 또래관계를 맺고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안녕한 상태를 구축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저소득 가정 아동의 성인 아이 성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안나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to learn how the propensity of adult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influences on self-esteem. Therefore, the primary purpose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viewing what the propensity of adult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influences on self-esteem. The secondary purpose is to arrange a opportunity that can be the integrated and multidimensional support through the network of home-school-community according the influence of the adult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on self-esteem. First, this study, through a preceding study review for the propensity of adult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describes the theoretical basis how the propensity of adult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influences on self-esteem. In order to measure the propensity of adult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surveyed. In order to provide the implications about the influence of the propensity of adult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on self-esteem, research abou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elf-esteem was conducted by using significant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Sample is chosen as children of low-income families among five elementary schools’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in Seoul city. Th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one month in September 2012, and the participants in the survey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were a total of 172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method of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 child's level of self-esteem in low-income families showed more than average. Among sub-factors of self-esteem (self-esteem collectively, socially, at home, in school), self-esteem in the home was the highest. In contrast, self-esteem at the school was the lowest. A big difference, however, did not appear.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self-esteem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for example, gender, grade, family member type, quality of life, the time with caregiver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idn’t affect the self-esteem. Due to one year difference on grade, it is expected there would not be big difference on them. Unlike in the past, according the family types such as the parents of recent dual-earner families, single parent, custodial family,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the time of parenting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expected. Thir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relevance and the degree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self-esteem and the overall independent variables, it can be seen that higher social support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higher parenting the children perceive led to high self-esteem. In addition, in consequence of analyzing sub-factor for adult child propensity,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er dependent relationship-oriented, the lower self-esteem, and the higher excessive responsibility and protection-oriented, the higher self-esteem. Emotional instabil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 is needed about excessive responsibility and guardians’ role for the children of low-income families. From the preceding study, excessive responsibility and protection-oriented factors appeared highly toward in youth from in childhood, and highly emotional instability appeared when becoming an adult. So, the propensity of adult children in grown children during the developmental period is healed psychologically and is solved to some extent. Above all, the support is needed to grow through adolescence into adulthood. Second, the multidimensional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are needed for children with adult children propensity in low-income families. The most significant thing in this study are the socially support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parenting attitudes child perceived. Accordingly, it means that they are the being in human environment in the social welfare and should be supported multi-dimensionally. Specially, being network in and out of school and avoiding the dual support, the support to fit into the desired subject should be done. Social skills promotion programs are also needed for the fifth or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the transition to adolescence from childhood. In the propensity of adult children, emotional instability and increasingly dependent relationship-oriented factors in youth and adults increased psycho-social behavioral problems, which are part of childhood-dependent desires has not been satisfied from the guardians. Accordingly, by improving relationship formation and supporting social skills promotion programs that can fill the needs dependent, self-esteem should be elevated. 본 연구는 저소득 가정 아동의 성인 아이 성향이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하였다. 따라서 저소득 가정 아동 성인 아이 성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일차적인 목적이며, 이차적인 목적은 저소득 가정 아동의 성인 아이 성향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따라 가정-학교-지역사회에서 네트워크를 통한 통합적·다차원적 지원이 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있다. 먼저 본 연구는 저소득 가정 아동 성인 아이 성향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저소득 가정 아동 성인 아이 성향이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이론적인 근거를 기술하였으며, 저소득 가정 아동 성인 아이 성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서울시 내 초등학교 5,6학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그리고 저소득 가정 아동 성인 아이 성향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한 함의를 마련하기 위하여, 이에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유의미한 요인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표본은 서울시 내 5개 초등학교 5,6학년 중 저소득 가정 아동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2년 9월 한 달 동안 실시되었고, 최종적인 분석에 포함된 조사대상자들은 총 172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빈도분석, t-test,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의 하위 요인(총체적, 사회적, 가정에서,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중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성별, 학년, 동거 가족 유형, 체감하는 생활수준, 보호자와 있는 시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일반적 특성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학년이 1년 차이로 큰 차이가 없었을 것으로 예상되며,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맞벌이 가정으로 양친부모, 한부모, 조손가정 등의 가족 형태에 따라 자녀 양육하는데 있어서 투여되는 시간에 큰 차이가 없어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자아존중감과 전체 독립변수들 간 관련성 여부 및 그 정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난 심리사회적 특성인 사회적지지와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성인 아이 성향의 하위 요인 분석 결과 의존적 관계지향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으며, 과도한 책임 및 보호 지향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서적 불안정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 가정 아동의 과도한 책임감과 보호자 역할에 대한 심리치료적 개입이 필요하다. 선행연구를 통해 아동기에서 청소년으로 갈수록 과도한 책임과 보호지향의 요인이 높게 나타나며, 성인이 되었을 때에는 정서적 불안정성을 높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이는 성인화된 아동이 아동 발달기 동안 성인 아이 성향이 심리적으로 치유되어 어느 정도 해결되고 청소년기를 거쳐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둘째, 저소득 가정 성인 아이 성향이 있는 아동에게 다차원적 사회복지적 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가장 큰 유의미하게 나타난 것이 심리사회적 특성으로 사회적지지와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 양육태도이다. 이는 곧 사회복지적으로 환경 속의 인간을 의미하며 이에 따른 다차원적인 지원을 해야 하며, 특히 학교 안과 밖으로 함께 네트워크하여 이중적 지원을 피하고 실제적으로 대상자가 원하는 욕구에 맞도록 지원해야 한다. 셋째,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인 초등학교 5,6학년 아동들에 대한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성인 아이 성향 중 정서적 불안정성과 의존적 관계지향 요인이 청소년과 성인으로 갈수록 높아져 심리사회적 문제행동이 발생하는데 이는 어린 시절 의존적 욕구가 보호자로부터 채워지지 못한 부분이 있다. 따라서 관계형성을 높여주어 의존적 욕구를 채울 수 있는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이 지원되어 자아존중감을 높여야 한다. 주요어 : 저소득 가정 아동, 성인 아이, 자아존중감, 인구사회학적 특성, 심리사회적 특성

      • 청소년이 지각한 자기애적 성향,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미경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기애적 성향,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자기애적 성향,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자기애적 성향,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한 D중학교와 J고등학교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자기애적 성향,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59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3.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 자아존중감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으며, 자기애적 성향과 자아존중감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자기애적 성향,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가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자기애적 성향,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하여 가정에서의 수용적이고 자율적인 애정적 부모양육태도와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우애, 사회적지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arcissistic tendency,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 perceived by adolescent on their self- estee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300 students from junior high school and high school in Busan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259 students' data were analyze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to analyze research questions by using SPSS Ver. 23.0. The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correlations among parent's rearing attitude, peer relationship perceived by adolescent and their self-esteem, and there is no meaningful relation between narcissistic tendency and self-esteem. Second, narcissistic tendency,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 perceived by adolescent have a meaningful effect on self-esteem. In conclusion, narcissistic tendency,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 have an effect on self-esteem of the adolescent. In order for the adolescent to improve their self-esteem, they need acceptive and autonomous affectionate parent's rearing attitude in home, friendship through interaction with their peers and social support.

      •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윤성호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자살생각 관련하여 자아존중감의 변인으로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주는 영향을 밝힘으로서 10대 사망원인 중에서 1위인 교통사고 다음을 차지하는 2위의 사망원인(한국자살예방협회 2008년,9월)이 되고 있는 청소년 자살을 다루고자 하였다. 본 연구 데이터는 SPSS WIN 12.0프로그램을 통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워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 사후 검정, 단순 상관관계분석, 중다선형 회귀분석 등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7.04)가 남자(5.51)보다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성별에 따른 자살생각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박병금, 2007) ; 하연희, 2001 ;조현진, 1991). 둘째, 고등학생(6.60)이 중학생(5.60)보다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선행연구(서혜석, 2006 : 박병금, 2007)에서는 확인 되었으나, 본 연구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셋째. 소득이 낮(300만원이하)은 가정 청소년이 소득이 높(300만원이상)은 가정 청소년보다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소득에 따른 자살생각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박병금, 2007 : 이한나, 2006 : 하연희, 2001). 넷째, 종교있는(6.82) 청소년이 종교없는(5.62) 청소년보다 자살생각이 유의미한 차이는 있었지만, 종교별로 본 자살생각의 차이는 불교를 믿는 사람이 자살생각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 김현준(2007), 정철순 외(2001), 홍진아(2004)와 일치하지 않았다. 이는 종교 중 불교를 믿는 청소년이 종교 없는 청소년과 다른 종교를 가진 청소년보다 자살 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결과 때문이다. 그 이유는 각 종교(특히 불교)의 생명관 교육의 결여와 내세론의 도피 가능성이 없기 때문일 것으로 조심스럽게 추측해 본다. 이러한 결과는 예상치 못한 결과였다. 추후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 할 것 같다. 다섯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자아존중감 요인인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자살생각에 상대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가 자아존중감에 따른 자살생각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박병금, 2007 ; 서혜석, 2006 ; 홍진아, 2004 ; 강영자, 2000 ; 홍나미, 1998).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시기에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임을 볼 때, 가족의 지지, 수용, 칭찬, 양육태도 등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의 영향에 매우 높았다. 가족의 전폭적인 정서적지지, 수용, 칭찬과, 특히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관심은 청소년들의 자살생각을 낮아지게 할 것이다. 둘째,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배경이 되고 있다. 학교생활의 낮은 애착과 고등학생의 대학 수능고사의 높은 목표라는 학업 스트레스, 또래들과의 관계 등이 자살생각에 가장 영향을 주었다. 현재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는 입시제도의 개선과 선생님들의 따뜻한 관심과 지지, 즐거운 학교생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학교나 사회 전체가 청소년들에게 긍정적 자아존중감을 갖도록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 자살하고 싶은 가장 높은 순위가 또래와 친구들로부터 따돌림과 학교폭력 등을 미리 잘 파악하여 자살생각을 낮추게 할뿐만 아니라 예방도 더불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가정환경적 측면에서 가족지지, 특히 가족의 해체 등으로 가족의 지지를 받기 어려운 취약가정, 위기가정 등의 청소년들에 대한 사회복지 차원의 가족지지 서비스 강화는 물론 전문사회복지기관이 적극적 개입하여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예를 들면 청소년 가정을 둔 부모님들의 계속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가족의 기능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생활측면에서는 남자와 여자에 따라 자살생각의 차이 때문에 다르게 개입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볼 때, 여자는 또래 상담가나 학부모 상담가를 활용하는 것도 효과적일 것이다. 남자는 건전한 놀이문화와 더불어 특기와 취미활동을 파악하여 동아리 모임을 활성화하는 것도 효과적일 것이다. 청소년의 또래집단도 친구들간에 긍정적인 지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남여 함께는 집단활동이나 캠프활동 등의 활성화도 필요하다. 또 다른 나라에 비해 과도한 입시경쟁 스트레스는 자살 위험 요인임을 고려할 때, 개개인에 대한 자살인지교육과 자아존중감 훈련, 적극적인 선생님의 지지가 필요하다. 이처럼 청소년의 대학 수능고사의 높은 목표라는 학업 스트레스, 학교별 학업성취, 교육환경 개선 및 또래지지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 즐거운 학교생활이 되도록 해야 것이다. 이와 같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은 가정, 학교제도 및 지역사회전체가 정보를 수집하여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프로그램 제공과 스트레스를 체계적으로 줄일 수 있는 교육환경개선, 이에 따른 개별 상담, 집단상담과 같은 전문적인 치료를 제공해야 한다.

      • 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및 회기과정 분석

        허진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I시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의 주간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저소득층 아동11명(남6명, 여자5명)으로 연령은 8세이상 13세이하 이며 음악치료경험이 없는 아동들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주 1회 40분으로, 총 12회기 집단음악치료를 실시하였고 자아존 중감척도(Coopersmith Self-Inventory SEI)를 사전-사후에 측정하여 음악치 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참여자들이 음악치료 회기에서 어 떤 반응을 보이는지 각 사례별로 회기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활동에 참여한 저소득층아동들의 자아존중감이 사전에 비하 여 사후에 의미 있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체 자아존중감을 비롯하 여, 이 자아존중감의 하위 영역인 일반적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아존중감에서 음악치료를 받은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그러 나 자아존중감 하위영역인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은 의미 있 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아울러 회기과정에서 참여자들 대부분은 초기엔 산 만하거나 너무 위축되어 있거나 무질서한 행동을 보여 주었고 중기엔 자신의 장점, 단점을 통해 자신을 알아 나가고 긍정적, 부정적 자기표현을 음악을 통 해 표현함으로써 감정을 표출시켰으며 집단 내 활동 안에서 타인과의 상호작 용을 경험하였다. 종결기엔 자신에 대해 만족감을 느끼고 자기 표현력이 향상 되었다. 물론 본 연구는 비교집단이 없고 연구에 참여한 참가 아동의 수가 비교적 적어 모든 저소득층 아동에게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본 프로그램의 실시기간이 짧아서 효과의 지속성 여부가 의문시 된다. 추후지도와 함께 장기 간 실시를 통해 그 차이를 알아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 같다. 앞으로 이 러한 측면을 고려한다면 저소득층 아동들의 음악치료 효과를 밝혀주는데 유용 한 토대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e present paper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self-respect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For this aim, 11 children (6 males and 6 females)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from a local day care center in I City. The children were all aged from 8 to 13 and enrolled in the day care program of the center without experience of music therapy in the past. A total of 12 sessions were conducted for group music therapy, with 40 minutes a week. To measure up the effect of the music therapy, Coopersmith Self-Inventory SEI was us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ere also analyzed for each case during the session. The study might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elf-respect of the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was found to have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he music therapy session, in all respects including not only their overall sense of self-respect but also academic self-respect as a sub-item of general self-respect. On the contrary, however, there was little improvement in such sub-items as social and family self-respects. In the beginning session, most participants seemed to be somewhat distracted or dispirited and even acted disorderly. But as the program proceeded to the mid-stage, they began expressing their feelings through music by understanding their own strength and weakness, overcoming their negative mindset and experiencing interaction with others in the group. In the final stage, they came to be satisfied themselves and were able to improve their power of self-expression. It must be pointed out that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not be applied to general children of low-income families mainly because the number of children taking part in the study is too small and there is no control group for comparison. Besides, since the program was practiced for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it is still doubtful whether the effect found in the study can be lasting one. It is thus requested to perform follow-up studies and long-term applications to determine if there is any discrepancy i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 consideration of this fact, we could expect the study to be a useful foundation for searching out effects of music therapy on the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 대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과 자기분화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백혜숙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과 자기분화가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관계와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대학교학생들을 상대로 250명을 대상으로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이중 240부가 수거 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총 230부(남자 124명, 여자 106명)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자료 분석은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둘째, 대학생의 자기분화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 평균차이 검증에서와 같이 소속계열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고, 성별과 취업목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분화 평균차이 검증에서 취업목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과 소속계열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진로결정수준 평균차이 검증에서 취업목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과 소속계열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분화 및 진로결정수준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수준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고, 자기분화 또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 자기분화와 진로결정수준 간의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자기분화가 자아존중감보다 진로결정수준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분화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는데 대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대학생이 지각한 자기분화 또한 진로결정 수준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자기분화가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가 있으며,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을 높이기 위해 자아존중감과 자기분화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김현경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부모 및 학업관련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대처행동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성별과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으며,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인천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 학생 353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연구자가 학교를 방문하여 선생님을 통해 학생들이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를 통하여 얻어진 자료는 빈도와, 기술통계, 이원변량분석, 상관분석, 신뢰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청소년은 부모관련 스트레스 상황에서 회피적 대처행동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학업관련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적극적 대처행동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있어서 여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남학생의 자아존중감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부모관련 스트레스 상황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사회지지추구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중학교 2학년이 초등학교 5학년보다 공격적 대처행동과 사회지지추구를 많이 사용하였다. 넷째, 학업관련 스트레스 상황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적극적 대처행동, 소극적 대처행동, 사회지지추구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중학교 2학년이 초등학교 5학년보다 적극적 대처행동, 소극적 대처행동, 공격적 대처행동, 사회지지추구를 많이 사용하였다. 다섯째, 자아존중감과 부모관련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대처행동은 초기 청소년은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적극적 대처행동과 공격적 대처행동을 적게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성별에 있어서 남학생은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소극적 대처행동과 회피적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여학생은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소극적 대처행동과 공격적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하였다. 학년에 있어서 중학교 2학년은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적극적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하였고, 소극적 대처행동과 회피적 대처행동은 적게 사용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은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소극적 대처행동과 공격적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하였다. 여섯째, 자아존중감과 학업관련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대처행동은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적극적 대처행동과 사회지지추구를 많이 사용하며, 소극적 대처행동, 공격적 대처행동 그리고 회피적 대처행동은 적게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성별에 있어서 남학생은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적극적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하며 소극적 대처행동은 적게 사용하였으며, 여학생도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적극적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하며 소극적 대처행동은 적게 사용하였다. 학년에 있어서 중학교 2학년은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적극적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하고 소극적 대처행동은 적게 사용하였으며, 초등학교 5학년은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적극적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하고 소극적 대처행동, 공격적 대처행동, 회피적 대처행동은 적게 사용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and coping behaviors of early adolescence at the parent related and learning related stress situa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3 students who attend the 5th grade of the primary school and the 2nd grade of the middle school in In-Cheon.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two-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hronbach's αwere used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favorite coping behavior at the parent related stress situation was the avoidance coping behavior and the favorite coping behavior at the learning related stress situation was the active coping behavior. 2. The early adolescence's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ex. The self-esteem of girls was higher than the boys'. 3. Under the parents related stress situation, aggressive and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ex and the grade. Girls used more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behavior than boys. The 2nd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used more aggressive and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behaviors than the 5th grade students of the primary school. 4. Under the learning related stress situation, active, passive, aggressive coping and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ex and the grade. Girls used more active, passive coping and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behaviors than boys. The 2nd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used more active, passive, aggressive coping and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behaviors than the 5th grade students of the primary school. 5. At the parents related stress situation, the early adolescence' coping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relative with the self-esteem. The early adolescence had the higher self-esteem, they used the less active and aggressive coping behaviors. The boys had the lower self-esteem, they used the more passive and avoidance coping behaviors. And the girls had the lower self-esteem, they used the more passive and aggressive coping behaviors. The 2nd 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 had the higher self-esteem, they used the more active coping behavior and the less passive and avoidance coping behaviors. The 5th grade students of the primary school had the lower self-esteem, they use the more the passive and aggressive coping behaviors. 6. At the learning related stress situation, the early adolescence' coping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relative with the self-esteem. The early adolescence had the higher self-esteem, they used the more active and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behaviors and the less passive, aggressive, and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behaviors. The boys had the higher self-esteem, they used the more active coping behavior and the less passive coping behavior. Also the girls had the higher self-esteem, they used the more active coping behavior and the less passive coping behavior, too. The 2nd 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 had the higher self-esteem, they used the more active coping behavior and the less passive coping behavior .The 5th grade students of the primary school had the higher self-esteem, they use the more the active had the higher self-esteem, they used the more active coping behavior and the less passive, aggressive and avoidance coping behaviors.

      • 아동의 자기표현능력과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오영빈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affec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life, especially how the are related to their adaption to it. Participants were 263 students (134 male and 129 female 5th and 6th graders) from 4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c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expression skills did not differ depending on the grade and gender. Self-esteem is relatively higher for boys than girl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in grades. When it comes to school life adaptation, girls showed that they were more comfortable with teachers than boy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grades. Second, it appears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xpression and sub-factor of school life adaptation, so the higher the self-expression ability, the better the school life. Students who deliver their opinions clearly with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have better relationship and friendship with teachers, and also more easily adapt to school classes. Also,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respect and subfactors of school life adaptation, showing that the higher the self-esteem, the better the school life adaptation. Third, a nonverbal factor in the sub-variance of self-expression ability and self-esteem affected their relationship with teachers. The high self-esteem and good non-verbal expression like gesture among self-expression skills affect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but the self-esteem is more influential. Self-esteem and content / voice factors in sub-variates of self-expression ability affected the friendship with classmates, and they showed their influence in following order: self-esteem - speech - content elements. In other words, having a high sense of self-respect and expressing one's thoughts and opinions clearly by using accurate words voice expressions affect friendship, but above all, self-esteem is most influential. Self-esteem and content / non-verbal factors in sub-variated of self-expression skills affected school classes, and they showed their influence in order of follows: self-esteem, non-verbal, and content elements. In other words, both having high self-esteem and communicating well about what they want to express clearly using non-verbal expressions affects school classes, but above all things, self-esteem has a greater influence on school adapt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능력과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과 어떠한 관계가 있고, 자기표현능력과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인천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남학생 134명, 여학생 129명, 총 263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능력은 학년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자아존중감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학년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교생활적응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교사와의 관계를 더 원만히 함을 알 수 있었지만, 학년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자기표현능력과 학교생활적응 하위요인들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표현능력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에 더 잘 적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음성적, 비언어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정확하게 전달할수록 교사관계, 교우관계가 원만하고 학교수업 적응을 잘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하위요인들 간에도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을 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능력 하위변인 중 비언어적 요소가 교사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자아존중감이 높고 자기표현능력 중 손발짓 등의 비언어적 표현을 잘하는 것이 교사관계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 중 자아존중감이 원만한 교사관계에 더 큰 영향력을 보인다.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능력 하위변인 중 내용적 요소, 음성적 요소가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쳤고, 자아존중감, 음성적 요소, 내용적 요소 순으로 영향력을 나타냈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고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표현할 때 말의 내용을 분명하게 하고 음성적 표현을 잘 활용하여 전달하는 것이 교우관계에 영향을 끼치지만, 그 중 자아존중감이 원만한 교우관계에 더 큰 영향력을 보인다.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능력 하위변인 중 내용적 요소, 비언어적 요소가 학교수업에 영향을 미쳤고, 자아존중감, 비언어적 요소, 내용적 요소 순으로 영향력을 나타냈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고 학생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명확하게 비언어적 표현을 활용하여 잘 전달하는 것이 학교수업에 영향을 끼치지만, 그 중 자아존중감이 학교수업 적응에 더 큰 영향력을 나타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