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자동차부품산업의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에 따른 경영성과와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김영진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한국 자동차부품산업이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방안인 해외직접투자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자동차부품산업의 성공적 발전전략을 제시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국내자동차부품기업을 임의 추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모델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던바 원인변수인 기업특유의 우위요인, 입지특유의 요인, 내부화우위요인이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해 가설1, 가설2, 가설3을 설정하였고, 매개변수인 경제적 요인, 사회정치적 요인과 성장성 및 수익성에 관한 가설4, 가설5, 가설6을 설정하였다.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가설 1의 검증 결과 집중화 우위와 같은 기업특유의 우위요인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설 2의 검증 결과 문화적 요인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가설 3의 검증 결과 전방통합전략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후방통합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가설 4의 검증 결과 근원적ㆍ부수적 요인에 따라 기업특유의 우위요인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가설 5의 검증 결과 근원적ㆍ부수적 요인에 따라 입지특유의 우위요인은 성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수익성에는 시장ㆍ제도적 요인과 문화적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가설 6의 검증 결과 근원적ㆍ부수적 요인에 따라 내부화 우위요인이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자동차부품산업의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자동차부품산업의 성공적 발전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기업특유의 우위 전략으로 무엇보다 집중화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입지특유 우위 전략으로 문화적 요인이 해외직접투자 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시장ㆍ제도적 요인, 인프라요인도 해외직접투자 결정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내부화 우위 전략으로 전방통합전략을 통해 경영성과를 추구할 필요가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원료 및 신소재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후방통합전략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그 외에도 타산업과 마찬가지로 자동차부품산업의 전자상거래 활성화와 글로벌 부품 전문업체로의 변신, 자동차부품의 모듈화 실현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한국자동차부품기업들이 해외직접투자로 동남아지역으로 많이 진출하고 있는데 이들 지역과 미국, 유럽 등 각 지역별 경영성과 차이를 검증하고 투자지역의 선택에 있어 결정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해외직접투자 유형에 따른 경영성과의 차이 분석, 어떤 유형의 해외직접투자를 하는 것이 가장 유익한지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자동차부품산업 근무형태변경에 관한 연구

        정문주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자동차부품산업은 자동차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기반산업이다. 자동차 1대가 완성되기 위해서는 2만 7천여 개가 넘는 각종 부품이 필요하고, 자동차부품은 완성차 제조원가의 70%이상을 차지한다. 특히, 자동차 부품산업의 국가 경제 기여도는 매우 높다. 부품소재산업이 제조업 전체 생산의 5.5%, 고용의 6%, 부가가치의 4.9%, 수출의 3.2%를 점유하고 있다. 최근 완성차에서 근무형태 변경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내수시장의 80%를 점유하고 있는 현대‧기아차는 2009년 1월부터 주간연속2교대 실시를 노사가 합의한 상황이다. 이 경우 자동차산업의 최종 조립을 담당하는 완성차의 근무형태가 주야맞교대에서 주간2교대로 바뀌게 되면 부품산업이 받는 충격은 대단히 클 것으로 보인다. 완성차의 근무형태 변경이 자동차부품업체의 노동시간과 근무형태의 변경을 물론이거니와 생산량, 임금, 고용 등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재 제기되고 있는 근무형태 변경은 외환위기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자동차산업의 구조조정과 그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지난 10년간 꾸준히 진행되고 있는 자동차산업의 구조조정은 크게 두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첫째, 모듈방식의 부품 생산과 조달체계가 만들어졌고, 하청구조가 중층적, 위계적으로 재편하고 있다. 둘째, 해외로 생산기지가 이전되고 있다. 90년말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해외공장 설립이 지속적으로 진행되면서 2010년부터는 해외생산이 국내생산을 추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즉, 근무형태 변경은 완성차의 전체 생산은 향후에도 계속 늘어나겠지만 국내 생산물량은 감소되어 생산량을 조절하는 기재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상당수 부품사의 경우 수익성 악화로 도산, 폐업 절차를 거치거나 부품사간 인수합병이 진행되어 완성차의 전략하청업체화, 외투기업화, 대형화 등의 양상으로 이어져 자동차부품산업의 재편을 촉진하는 매개체로 작동할 것이다. 본 논문은 자동차산업의 근무형태를 국내외 사례와 완성차, 부품업체로 분류하여 살펴보면서 자동차부품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부품산업 종사노동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와 노동조합 측면에서의 조직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교대근무제 변경에 따른 효과와 영향을 자동차산업의 해외사례를 통해서 도입과 시행 과정에 대해 확인해 보고, 국내 완성차의 교대제 개선 논의 현황과 노사 간의 주요쟁점을 노동시간, 임금, 고용, 생산물량 등으로 분류하여 분석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모두 5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의의, 연구의 방법과 범위를 설명한다. 제 2장에서는 자동차산업의 세계적 환경의 변화 그리고 국내 자동차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현대‧기아차그룹의 경영 전략을 소개한 후 국내 자동차산업 및 부품산업의 현황을 개괄적으로 집어보면서 일반적인 고찰을 시도한다. 또한, 근무형태 현황과 실태를 국내 자동차 완성사의 노동시간과 근무형태, 해외 자동차기업의 근무형태 등에 대해서 소개한다. 제 3장은 본 연구의 핵심부분으로서 자동차부품산업의 근무형태 현황을 금속노련소속 자동차부품업체를 대상으로 직접 조사한 실태조사 결과를 놓고 도급구조와 조달체계, 임금과 고용, 근무형태 실태 등으로 분류하여 살펴본다. 제 4장에서는 현재 완성차들이 논의하고 있는 교대제 변경 추진현황과 쟁점사항을 집어보고, 해외 자동차기업의 시행사례를 통해서 국내 자동차부품사에 시사하는 바를 정리해 보았다. 또한, 자동차산업 구조조정차원에서 부품사의 전망과 교대근무제 변경의 과제를 살펴보고, 완성사 교대제 변경이 부품에 미치는 영향과 부품산업의 근무형태 변경을 위한 접근방향과 제도적, 정책적 과제들에 대해 고찰한다. 제 5장은 결론으로서 전체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고 해결과제에 대한 점검을 하며 본 논문을 마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완성차의 주간연속2교대 도입에 따른 자동차부품산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자동차부품산업 현황을 파악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금속노련 산하 자동차부품업체 62곳의 도급구조와 조달체계, 근무형태, 임금 및 노동조건 등에 대해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자동차부품업체의 특성을 발견하게 되는데 중소기업이 주를 이루고, 대체로 전속된 거래 행태로 구조화되어 있으며, 완성차의 모듈화 생산방식 도입으로 생산체계와 하도급구조가 변화하여 1차는 1.5차 또는 2차로 이동하는 하위벤더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납품의 동기화 즉, 서열납품이나 적시납품이 상당수 업체들에서 발견되었고, 원하청간 불공정거래행위가 매우 심각한 수준에서 진행되고 있었다. 이러한 특성은 부품사가 완성차로부터 직접적인 지시와 통제를 받는 종속적 관계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또한, 임금 및 근로조건에서는 기본급과 같은 고정임금 비중이 낮았고, 초과근로수당의 비중이 높아 불안정한 임금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잔업과 특근의 고정화로 인해 장시간 노동을 진행되고 있었다. 부품사의 근무형태는 완성차와 유사한 주야 맞교대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실태조사 결과를 재정리해보면 완성차의 교대근무제 변경에 따른 자동차부품산업의 영향은 전속거래 위주로 구조화되어 있는 관계로 생산물량의 감소를 초래할 수밖에 없고, 잔업,특근이 소멸하면서 임금감소로 이어지게 되며, 부품사의 수익성 악화로 귀결되어 고용 조정으로까지 귀결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부품업체들은 비용 최소화를 위한 자구책으로 생산방식을 외주화, 용역 등의 간접 위탁형태로 전환하거나 기술, 영업 등 기업의 핵심부문을 제외하고는 파견, 하청 등의 비정규직으로 돌리는 고용의 이원화전략을 도입할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이미 자동차산업 구조조정이라는 미명하에 완성차 계열사의 전략부품업체에서 발견되고 있는 것으로서 완성차의 주간연속2교대제 시행과 함께 자동차부품산업 전반에 걸쳐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 도급구조 상에 하층에 위치한 2,3차벤더들의 경우 자체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는 부품업체들을 제외하고는 취약한 경영구조 상의 한계로 인하여 도산, 폐업 등의 절차를 밟으면서 전체산업 구조조정을 촉발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합의를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자동차부품산업에서의 산업차원의 노사관계로의 전환을 통해서 전체 부품산업의 전망을 제시하고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체체로 개편되어야 한다. 하지만 사업장단위의 노사관계와 기업별노조체계를 바꾸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산별시스템으로 전환하더라도 정상적으로 작동되기 까지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현재 시급하게 제기되고 있는 근무형태 변경에 대해서 완성차 대기업의 노사간 의제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 의제로 확장시켜내고, 이를 부품사와 완성차 그리고 노사정이 머리를 맞대고 논의하는 사회적 대화가 필요하다. 둘째, 부품업체들이 독자적으로 근무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능력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근무형태 변경을 위해서는 사회적인 지원과 완성차의 협조를 이끌어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부품사 근무형태 변경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부품사 근무형태 변경을 위해 정부의 법과 제도의 개선이 핵심적으로 요구된다. 교대제 개선 지원금이나 고용조정을 최소화할 경우 지원받을 수 있는 지원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관행적으로 유지되온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철저한 단속과 이를 예방, 근절시키기 위한 보다 강력한 법제도 마련이 요구된다. 셋째, 이를 진행시켜 나가기 위한 자동차 부품업체 노동조합들이 공동 대응 체계를 갖추야 한다. 민주노총 금속노조와 한국노총 금속노련 내 자동차 부품조직들의 공동 대응 틀이 마련되어야 한다.

      • 韓國 自動車産業 部品調達體制의 네트워크化 方案에 關한 硏究

        박금수 朝鮮大學校 經營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automobile industry is the multiple machinery industry need technique and concentration of capital, and it is the leading factor in the national economy in Korea.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proposed necessity and three building plan of parts supply system in Korea automobile industry, through reviewing and analyzing many kinds of research data on automobile and parts supply industry. First, the finished product enterprise need to magnify module and plural order, to hold parts supply enterprise in common, to maintain the cooperate relation with parts supply enterprise and to play main role in building information system. Second, the parts supply enterprise need to magnify export and open type exchange system, to participate positively. Third, the government' administrative plans need to magnify the support on automobile parts technique development, to induce open type parts exchange promotion and to support on information-oriented system. Now the information network make the ordering and supplying easy with global scale parts supply network system, so it is necessary to build information net work system in parts enterprise to develop working efficiency.

      • 자동차부품산업의 ISO/TS 16949와 OHSAS 18000의 통합을 통한 PL대처방안 연구

        이덕만 아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기업은 분야별 시스템을 도입하여 근본적인 효과를 유도하고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기업들이 품질, 환경, 그리고 보건?안전분야 시스템을 도입하여 별도의 시스템으로 운영됨으로써 시스템 문서의 운영, 방침 및 목표관리, 내부감사, 시정 및 예방조치 등 여러 분야에서 중복 운영에 따른 비효율성과 혼란을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자동차산업에서의 국제적 품질인증강화에 따른 ISO/TS 16949와 OHSAS 18000간의 통합을 통한 PL대처가능성과 기대효과를 밝혀 이론적, 실무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ISO/TS 16949 품질시스템과 OHSAS 18000의 통합에 따른 요구사항 및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동차부품산업에서 ISO/TS 16949와 OHSAS 18000과 통합되면서 작업장 내의 위험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예방함으로써 재해 사고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둘째, 기업경영의 핵심 과제의 하나로서 체계적인 안전보건경영활동의 수행은 위험요인이 많은 자동차부품 공정에서 작업장내의 개선을 보장한다. 셋째, 기술적인 개선의 단계에서 엔지니어링, 설계개선 그리고 PSM(Process Safety Management) 등과 같은 공정개선의 수단을 통하여 어느 정도 개선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여기서 멈추지 않고 하드웨어적 위험성 관리 외에 OHSAS 18000과 같은 포괄적 위험성 관리를 위한 시스템적인 경영까지도 요구되기도 한다. 이상의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의의를 종합해 보면 ISO/TS 16949 품질시스템에서의 전환과 통합을 통해서 ISO/TS 16949 품질시스템 단계별 접근모형을 기본으로 ISO/TS 16949 품질시스템 특성요소들을 단계적으로 활동하고 준수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실질적인 통합 품질시스템의 구축방법은 통합 품질시스템과 기존 양 품질시스템간의 차이분석을 통하여 개발 및 보완해야 할 항목을 파악하고 각각의 기업구조에 맞게 프로세스 절차를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 방법론을 통하여 통합 품질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전환할 경우 효과적으로 품질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corporations seek fundamental effect by introducing system for each section, they are operating a separate system for quality, environment and health & safety. Thereby, it is bringing ineffectiveness and confusion from operation overlap in areas, i.e. operation, policy and target management, internal audit, rectification and prevention of system document. Therefore, the study aims to explore expectation effect as well as PL Cope ability through integration between ISO/TS 16949 and OHSAS 18000 that are along with international quality assurance strengthened lately in the automobile industry so as to present theoretical, practical suggestions.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requirements and differences from integration of ISO/TS 16949 quality system and OHSAS 18000,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ly, as the integration of ISO/TS 16949 and OHSAS 18000 in the automobile parts industry helps to manage and prevent workplace dangerousness in systematic manner, it can lead to lower accident rate. Secondly, systematic safety/health management activities as key corporate management task will assure highly risky automobile parts process at workplace to be improved. Thirdly, technical improvement can be achieved via process improvement measures like engineering, design improvement and PSM (process safety management). Furthermore, it requires systematic management not for comprehensive risk management like OHSAS 18000 but also H/W risk management. Given the foregoing results, its implications can be construed as follows. To utilize and observe features of ISO/TS 16949 quality system would be more effective, based on approach model at each step of ISO/TS 16949 quality system by way of transformation and integration of ISO/TS 16949 quality system. As a way to develop practical integrated quality system, it is important to identify items to develop and complement by analyzing differences between integrated quality system and old quality system and to prepare processes in line with each corporate structure. Accordingly, if integrated quality system is developed or transformed with this approach, quality system can be effectively developed.

      • 대구경북 자동차부품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수요자 중심의 기술정책에 관한 연구

        이석호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Development period of automobile industry of Korea is shorter than that of many advanced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Japan, and Germany. As we go through the skyrocketing economic growth at 70’s, demands of automobile increased rapidly and ripple effect of automobile industry recognized nationally. Even though supporting policy has been expanded, it was limited to complete vehicle and development of automobile component industry was just stage of following complete vehicle industry. One of main industries of Daegu-Gyeongbuk area, which is automobile components industry, involves crucial problems like lack of complete vehicle company and production of low added value component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courage the Daegu-Gyeongbuk area’s future automobile components industry based on analysis of study the main trend and existing technical policy to suggest modified technical policy of Daegu-Gyeongbuk area automobile components industry.

      • 동남권 자동차부품산업의 기업 특성에 따른 효율성 및 생산성 비교 분석

        이정훈 부산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9727

        The domestic auto industry has led the nation's economic growth and has grown up to be the world's fifth largest automotive producer. Particularly, the Dongnam Regional accounts for 30 percent of the national automobile productions. Thus, the strategies and policies to develop the automobile parts industry as dynamic forces of a growth is necessary to ensure the global competitiveness. The efficiency of the 97 automotive parts manufacturers in the Dongnam Regional was analyzed by DEA and Tobit Model, and the productivity was analyzed by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since it revealed the relationship among efficiency, productivity, and enterprise characteristics through empirical analysis.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the technical efficiency of the automotive parts manufacturers in the Dongnam Regional in 2010 was improved compared to 2005. This is at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to promote the automobile parts industry by the regional strategic industry promotion project conducted since 2005.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efficiency analysis, in order to improve the technical efficiency, the expansion of leverage effects using debenture is necessary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the capital ratio. The strategies leading the efficient corporate investments are needed to improve the scale efficiency.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the increase of the cash matching funds ratio of companies involved in national R&D enterprises to activate the corporate investment into R&D. Furthermore, the analysis 며of the productivity by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is shown that the average productivity change of automotive parts manufacturers in the Dongnam Regional was increased. This is due to the advance of technology despite decrease of technical efficiency. Therefore, companies should be more concerned to improve the technical efficiency in order to seek sustainable growth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companies should expand R&D investment to improve the existing production methods and to develop a new product. Although the proportion of the domestic automobile production of the Dongnam Regional is more than 30%, inter-regional differences are serious and there is intense competition to attract top midsized companies to their reg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ynamics, the status of the industry of automobile parts in Dongnam Regional has been weakened. As the effect of efficiency and productivity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gion, regi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a national policy. Lastly, as the extend of automobile part industry abroad accompanied with automobile manufacturers are increasing, favorable conditions can sustain high value goods and a national key components manufacturing base should be provided to prevent a slowdown of export growth, foreign disclosure of core technologies, and decline in employment. Therefore, national strategies and policies are required to develop auto parts industry which is dependent on the automotive industry as its own next-generation growth engine industries.

      • 自動車部品産業의 國際競爭力에 관한 硏究 : 韓國과 中國의 比較

        윤희봉 동국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We are entering the twenty-first century and China is a focal actor of globalization, in areas such as manufacturing, shipping, steel, and not least the auto-parts industry. That latter areas comparative advantage is a question of survival due to the fierce competition from domestic as internationals competitors. Nowadays, Chinese’s auto-parts industry is catching up with leading automobiles nations, and further the automobile industry has played a key part of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ics in modern history. In this context, a research on automobile industry may reveal practical and historical aspects of Chinese auto-part industry. In 2008, China’s auto-parts and assembly manufacturing companies produce value of 383.8 billion Yuan, and moreover industrial output value increased with 18.67% from 2007. Further in 2009 China's auto-parts and assembly manufacturing companies reached all time high in the industrial output, with value 539.7 billion Yuan, and compared with 2008, it was an increased on 34.35%. And in 2010, China's auto-parts and assembly manufacturing companies in the industrial output value reached 683.5 billion Yuan, and increased with 37.34% from last year. However 2011 will be the all time high with expected output value of 700 billion from domestic auto-part industry. However, Chinese auto parts suppliers are competing with foreign companies in the auto-part industry segment. Furthermore through competition the domestic will meet challenges as well as opportunity.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competitive aspect of the Chinese auto parts suppliers. I will use M. Porter’s “Competitiveness Model” as theory and SWOT as the analytical tool. Further I will explorer the concept of competitiveness, and define the key element of competitiveness. Next I will use forming mechanism, which provides a good framework to analyze comparative advantages on auto-parts suppliers segment between Korea and China, Content of this paper: part one: expatiate relevant concepts and the goal for the paper; part two: summarize literatures on the theory and methods for thesis; part three: realize the current world auto parts industry, instance Korea and China; part four: analyz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 and China’s auto parts industry, and run a comparison between those countries with SWOT Analyze; part five: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 韓國自動車部品産業の育成とその效率的な生産分業構造の確立について : 日本の경驗ゃ실態, そつし動向との比較·分析を中心に = The Developement Of Auto-Parts Industry and Efficient Maker-Supplier Relationship in Korean Automobile Industry : in Comparis

        김광희 亞細亞大學 1999 해외박사

        RANK : 249727

        周知하는 바와 같이 一國의 自動車産業은 最終 組立生産을 擔當하는 完成自動車메이커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完成自動車메이커를 頂點으로 하여 그 下部構造에는 수많은 部品메이커가 존재하고 있는 重層構造(피라미드 構造)를 형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自動車産業의 育成政策을 論議할 시, 部品産業의 成長과 發展에 대한 구체적인 育成方針이 언급되지 않는 政策立案은 砂上樓閣에 지나지 않음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또 오늘날의 自動車産業에 있어 각 部品 메이커의 存在 理由는 部品메이커가 最終的으로 完成自動車메이커化하기 위하여 一時 經由하는 時限的 段階는 결코 아니다. 바꾸어 말하면, 部品메이커는 自動車産業이라고 하는 重層構造 속에서 固有의 領域과 機能, 그리고 役割을 分擔하면서 完成自動車메이커와 共存共榮을 追求하고 있는 것이다. 그 때문에 將來 自動車産業 전체의 끊임없는 發展을 위해서는 部品메이커의 構造的인 問題를 충분히 理解, 把握하는 것이야말로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 입각한 本 論文의 첫 번째 目的은 오늘날 우리 나라의 自動車部品産業이 안고 있는 問題點과 그 解決策을 日本 自動車産業의 史的經驗과 實態, 그리고 近來 推移 등과의 比較分析을 통하여, 장래 우리나라 自動車産業部品이 나아가야 할 合理的이고 效率的인 方案을 摸索하고자 한다. 分析의 焦點은 完成自動車메이커와 그 部品메이커間에 행하여지고 있는 生産分業構造(體制)에 맞춘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自動車産業의 生産分業構造에 관해서는 이미 많은 硏究가 진행되고 있고, 그 硏究의 主要 比較分析 對象은 日本 自動車産業의 生産分業構造가 중심이 되어 왔다. 그러나 旣存의 많은 硏究가 우리 나라와 日本의 生産分業構造를 構造的인 特徵 또는 相異點을 比較하는 것과 같은 단순히 問題點을 指摘, 批判하는 水準에 머물고 있다. 게다가 일부 硏究는 比較對象(日本)의 特徵과 史的 흐름을 충분히 理解하지 못한 채 論理가 전개되어, 過大評價와 와전된 결론이 도출되어 우리 나라 自動車産業이 안고 있는 症狀에 적합하지 않은 處方을 내리기까지 하였다. 이처럼 지금까지 명확히 그 實體가 把握되지 않은 問題와 그 特性을 정확히 認識하는 것이야말로, 장래 우리나라 自動車産業을 效率的인 生産分業構造로 誘導하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더욱이 旣存 硏究에 있어 論議의 중심이 된 完成自動車메이커側에서 바라 본 生産分業構造의 改善 또는 再編이었기 때문에, 部品産業의 育成定策과 그 方向性은 언제나 完成自動車메이커의 軌道 範圍內에서만이 論議되어져 왔을 뿐이다. 그에 따라 本 論文에서는 自動車産業의 育成과 發展을 위해서는 必要 不可缺한 部品産業側의 視點에 입각하여, 우리 나라 自動車産業에 대한 效率的인 生産分業構造의 方向性을 제시하는 것이 두 번째 目的이다. 2. 本 論文의 構成 第 I 部 우리 나라 自動車 部品産業의 問題點과 그 課題 第1章 우리 나라 自動車 部品産業의 成長推移 第2章 部品産業의 對日依存과 出發點 第3章 部品産業의 中小零細性과 規模의 經濟 第 II 部 效率的인 生産分業構造의 確立과 그 프로세스 第4章 日本 自動車部品産業의 成長과 生産分業構造 第5章 韓國 自動車部品産業에 있어 生産分業構造의 實證的 分析 第6章 效率的인 生産分業構造의 確立과 方向

      • 네트워킹을 통한 自動車部品産業의 技術獲得 및 擴散促進 戰略

        남기형 建國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6

        The firm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economic growth but there is no theory explaining the firm's internal activities. The transaction cost theory and the network theory explain that the firm's role and existence. This paper aims at suggesting some strategies to improve the condition of Korea Motorcar Ancillary Industry by facilitating networking After Foreign Exchange crisis in 1997, it is emphasized that the Korea Motorcar Ancillary Industry will become an important part in the motorcar industry. In spite of the enlargement of finished products in the motorcar industry, the Korea Motorcar Ancillary Industry has not been successful in its commitment. In addition to the enlarged market size of the finished products, it is expected that the world motorcar ancillary market will also grow rapidly and then the Korean motorcar ancillary industry will be ready for its competen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Motorcar Ancillary Industry, it may be necessary for the ancillary corporations to gain new technology and to cooperate with competitive corporations through strategic alliances and M&A, etc. And in order to construct mutual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the finished motorcar industry, the ancillary industry should put its endeavours to bring about the economies of scales which is essential for lowering production cost. Obtaining the competitive edge in technology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motorcar ancillary goods. It is also important for the motorcar industries to reform vertical relationship between ancillary corporations, so that they can build up horizontal relationships by networking. Put it another word, the relationship of ancillary corporations will facilitate technological development. Both motorcar industries can enjoy reciprocal benefits resulted from the cumulative causation effect. It is, therefore, important that the Korea Motorcar Ancillary Industry does an efficient production system such as modular system and platform , economies of scales, common development of technology, renovation of business management strategy and public policy. Additionally the future motorcar industry should keep their relentless efforts to dig up competitive advantages in technology. The motorcar ancillary industry should utilize external resources such like strategic alliances and M&A, etc. and internal resources such like technology and management activities, investment activities for technology acquisition and diffusion through networking.

      • 환태평양 경제동반자 협정(TPP)이 한국 자동차부품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수민 경상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6

        최근, 자동차부품산업을 둘러싼 국내외 환경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를 통해 미국과 일본이 자동차 부품 무관세를 추진함으로 인해 미국에 진출해 있는 한국 완성차 업체들의 경쟁력에 큰 변화가 예상되고 한국 자동차부품산업이 대일 자동차와 자동차부품 수입 관세율 삭감으로 인해 국내 자동차부품산업에 심대한 변화가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TPP를 통한 미국시장에서의 한국 자동차 완성업체 및 부품산업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방향을 제시하였으며, 나아가 TPP 참여로 인한 한국 자동차부품산업이 국내시장에서의 피해와 대응전략을 분석하였다. 부품의 지속적인 원가절감과 품질향상을 요구하고 받고 있는 한국의 자동차부품산업이 TPP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정책적 방안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가지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