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기표현훈련이 초등학교 결손가정 아동의 대인관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경자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elucidating effects that self-expression training has on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broken homes. The following hypothesis have been established for this study regarding specific effects of the training. Hypothesis 1.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self-expression training will show an improve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mmediately following the train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training effect will last up to 8 weeks. Hypothesis 2. Total score for self-efficacy will improve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and its effect will last up to 8 weeks. Hypothesis 3. The experimental group will show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ub-categories of self-efficacy, which are self-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content -difficulty, and the effect will last up to 8 weeks. The subjects for the present study were 5th and 6th graders from N and D elementary schools in H district, South Gyeongsang province, who are from broken homes. A total of twenty children who scored low o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sts were selected, ten from each of the two elementary schools. The children from N elementary school were designa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ose from D elementary school formed the control group. The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administered in this study is a restructured version of the program used by Sung-hyun Lee (1997). The new version consists of a total of 12 sessions in order to f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developed by Sun-mo Moon (1980) who adopted and modified Gurney's (1977) relationship change scale was used in this study to measu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s for self-efficacy, test used by Hye-jin Han (2002) was adopted. In measuring effects of self-expression training on improve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broken homes, tests were administered before, right after the training sessions, and at 8 weeks after the last session. Data from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subjected to ANOVA using SPSS and Kwakstat (Ho-wan Kwak, 1993) programs for Windows.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 of the present study. First, self-expression trai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the children from broken homes, but its effect did not last up to 8 weeks. Second, self-expression trai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hildren's self-efficacy, and its effect lasted up to 8 weeks. Third, among the sub-categories of self-efficacy, self-expression trai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confidence, and its effect was lasting. Self-expression training, however, did not improve self -regulated efficacy and content-difficulty.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twenty 5th and 6th grade broken home children from N and D elementary schools in H district,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re exists a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to all broken home children. Thus, in order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efficacy of broken home children, it is imperative to develop more and varied training programs in future. 본 연구는 자기표현훈련이 초등학교 결손가정 아동의 대인관계 개선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자기표현훈련을 적용한 훈련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훈련 직후에 대인 관계가 개선될 것이고, 그 훈련 효과는 8주 후까지 지속될 것이다. 가설 2. 자기표현훈련을 적용한 훈련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훈련 직후에 자기효능감 총점수가 의미 있게 향상될 것이며, 그 효과는 8주 후까지 지속 될 것이다. 가설 3. 자기표현훈련을 적용한 훈련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훈련 직후에 자기 효능감 하위영역별(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점수가 의 미 있게 향상될 것이고, 그 효과는 8주 후까지 지속될 것이다. 본 연구는 H군 소재 N·D초등학교의 5~6학년 결손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검사와 대인관계 검사를 실시하여 자기효능감 점수와 대인관계 점수가 낮은 아동을 N·D초등학교 별로 10명씩 표집하여 N초등학교 아동을 훈련집단으로, D초등학교 아동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은 이성현(1997)의 자기표현훈련 을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총 12회기의 과정으로 재구성하였다. 대인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Guerney(1977)의 관계 변화 척도를 문선모(1980)가 번안한 대인관계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기효능감은 한혜진(2002)이 사용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기표현훈련이 초등학교 결손가정 아동의 대인관계 개선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기 위해 훈련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및 지속검사 간의 자료를 Windows용 SPSS와 Kwakstat(곽호완, 1993) 프로그램으로 변량분석(ANOVA)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훈련은 결손가정 아동의 대인관계를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이지만 8주 후까지 그 효과는 지속되지 않았다. 둘째, 자기표현훈련은 결손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그 효과는 8주 동안 지속되었다. 셋째, 자기표현훈련은 결손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 중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데는 효과적이며 그 효과는 지속되었다. 그러나 본 훈련은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를 향상시키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의 대상을 경상남도 H군 소재 N·D초등학교 5-6학년 결손가정 아동 20명으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전체 결손가정 아동에게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결손가정 아동의 대인관계 개선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와 역전이 관리능력과의 관계

        최지영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the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of the playtherapist. The targets of this research were 100 play therapists. All subjects were testing with Countertransference Factors Inventory(CFI), Counseling Self-Estimate Inventory(COSE) and Social-Support Inventor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Pe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using SA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relationships among the self efficacy(microskill, counseling process, dealing with client behavior) and the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self-insight, empathy ability, self-integration, anxiety-management, conceptualizing skills), a play therapist who has higher self efficacy in microskill showed the higher self-insight. A play therapist who has higher self efficacy in counseling process, dealing with client behavior showed the higher empathy ability. Also a play therapist who has higher self efficacy in dealing with client behavior, microskill showed the higher self-integration. A play therapist who has higher self efficacy in counseling process showed the higher anxiety-management, a play therapist who has higher self efficacy in microskill, counseling process showed the higher conceptualizing skills. Finally, a play therapist who has higher self efficacy in counseling process, dealing with client behavior showed the higher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Second, as a result of relationships among the social support(supervisor, colleague counsellor, family, friend) and the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self-insight, empathy ability, self-integration, anxiety-management, conceptualizing skills), a play therapist who has higher support of friend showed the higher self-integration, a play therapist who has higher support of family showed the higher anxiety-management. Also a play therapist who has higher support of supervisor showed the higher empathy ability, conceptualizing skills and the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But the self-insight had nothing to do with any social support factors. Third, as a result of relationships among the self efficacy, the social support and the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a play therapist who has higher self efficacy in microskill showed the higher self-insight, a play therapist who has higher self efficacy in counseling process, dealing with client behavior showed the higher empathy ability. Also a play therapist who has higher self efficacy in dealing with client behavior, microskill and a play therapist who has higher support of friend showed the higher self-integration. A play therapist who has higher self efficacy in counseling process and a play therapist who has higher support of family showed the higher anxiety-management. A play therapist who has higher self efficacy in microskill, counseling process showed the higher conceptualizing skills. Finally, a play therapist who has higher self efficacy in counseling process, dealing with client behavior showed the higher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본 연구는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두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아동상담소, 소아정신과, 복지관 내 상담실, 대학부설 놀이치료실 등의 놀이치료자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도구로는,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Larson 등(1992)이 개발한 상담자 자기평가 질문지(Couneling Self-Estimate Inven tory: COSE)를 국내의 홍수현(2001)이 번안한 것을 다시 이윤수(2003)가 놀이치료자 용으로 수정, 보완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놀이치료자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박지원(1985)이 개발한 사회적 지지 척도를 윤혜정(1993)이 수정?보완한 사회적 지지 지각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놀이치료자의 역전이 관리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상담자의 역전이 관리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Van Wagner, Gelso, Hayes와 Diemer(1991)가 개발한 CFI(Countertransference Factors Inventory)를 장세미(1999)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대상인 놀이치료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와 ‘역전이 관리능력’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연구문제의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역전이 관리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역전이 관리능력 중 자기통찰은 세부상담기술만이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공감능력은 상담과정, 어려운 내담자 행동다루기가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통합은 어려운 내담자 행동다루기와 세부상담기술이 예측변인으로 나타났고, 불안관리는 상담과정만이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개념화기술은 세부상담기술과 상담과정이 예측변인으로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역전이 관리능력 전체는 상담과정, 어려운 내담자 행동다루기가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치료자의 사회적 지지와 역전이 관리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역전이 관리능력 전체와 역전이 관리능력 하위변인 중 공감능력과 개념화기술은 수퍼바이저 지지만이 예측변인으로 나타났고, 자기통합은 친구 지지만이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역전이 관리능력 중 불안관리는 가족 지지만이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통찰은 사회적 지지 하위변인 중 어떠한 변인과도 관계가 없음이 나타났다. 셋째, 놀이치료자의 역전이 관리능력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세부상담기술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역전이 관리능력 중 자기통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상담과정 및 어려운 내담자 행동다루기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역전이 관리능력 중 공감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려운 내담자 행동다루기 및 세부상담기술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 중 친구 지지가 높을수록 역전이 관리능력 중 자기통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과정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 중 가족 지지가 높을수록 역전이 관리능력 중 불안관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세부상담기술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역전이 관리능력 중 개념화 기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담과정 및 어려운 내담자 행동다루기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역전이 관리능력 전체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상담자 자기효능감과 상담성과의 관계에서 상담자 역전이 행동 및 내담자 협력관계의 매개효과

        강석영 단국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자기효능감, 긍정적 역전이 행동, 부정적 역전이 행동, 내담자 협력관계, 상담성과간의 이론적 관계들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 연구의 연구집단은 한국청소년한국청소년상담원과 지방 청소년지원센터 및 대학 소재 상담실에서 실습을 하고 있는 상담자와 중학생에서 대학생까지의 청소년내담자자 186쌍이었다.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상담자에게 4개, 내담자에게 2개의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1.5프로그램과 AMOS 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분석에 기초가 되는 기술통계(평균, 표준편차, 단순상관)를 구하였다. 둘째, 척도들이 신뢰로운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들의 Cronbach α 계수를 구하였다. 셋째,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간의 직접경로와 매개변인을 통한 간접경로 모두를 포함한 부분매개모형과 독립변인과 종속변인간의 직접경로를 삭제한 완전매개모형 중 어떤 모형이 자료에 더 적합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자기효능감은 상담자의 상담회기 평가에 대하여 직접적인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상담자의 부정적 역전이 행동과 긍정적 역전이 행동, 그리고 내담자 상담협력관계를 매개하여 간접효과를 보였다. 둘째, 상담자 자기효능감은 내담자가 지각한 상담회기 평가에 대하여는 직접적인 효과를 보이지 않았고, 상담자 부정적 역전이 행동과 내담자 상담협력관계를 매개하여 간접효과를 보였다. 이 결과는 상담자 자기효능감이 상담자 자신이 상담 시간을 마치고 평가하는 상담회기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데 이를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상담자의 자기효능감이 높을 경우 부정적 역전이 행동을 덜해서 상담을 마친 후에 상담회기를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고, 상담자의 자기효능감이 높을 경우 지지나 공감 등의 긍정적 역전이 행동도 덜 하게 되어 상담자는 적극적인 지지나 공감 등을 못한 것으로 느껴지게 되어 상담자가 지각하는 회기평가는 낮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상담자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내담자가 지각하는 협력관계도 높게 나와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어려운 내담자 다루기나 다른 문화차이의 인식정도와 세부 상담기술 등이 내담자로 하여금 적극적으로 상담에 참여하게끔 유도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는 다시 상담자로 하여금 상담 종료 시에 상담회기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게 이르게 함을 시사한다. 한편, 상담자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부정적 역전이 행동을 덜 보이게 되고 이는 다시 내담자로 하여금 상담회기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게 하는 것으로 시사된다. 그러나 상담자의 긍정적 역전이는 내담자의 상담회기 평가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담자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내담자 상담협력 관계가 높아지고, 이는 다시 내담자로 하여금 상담회기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상담협력관계와 상담성과간의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이와같은 결과를 통해 상담자는 성공적인 상담결과를 기대하기 위하여 상담자의 자기효능감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상담과정 중 상호작용 요인으로 나타나는 역전이를 잘 조절해 나가며 내담자에게 상담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면 성공적인 상담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효능감이 높으면 직접적으로 내담자가 지각하는 상담성과를 기대하기는 힘들지만 부정적 역전이를 줄이게 되어 결국 내담자가 지각하는 상담성과도 높아 질 것이다. 반면 상담자의 높은 자기효능감은 긍정적 역전이 행동을 줄이게 되므로 상담자가 지각하는 상담성과가 낮을 수가 있다. 그러므로 상담자 자신이나 수퍼바이저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앞으로의 상담과 수퍼비젼을 계획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heoretical and constructive relations among self-efficacy,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client working alliance and counseling outcome which was perceived by counsellors and their clients. The sample of this research was 186 counsellors and their clients. Counsellors are with region resource center for youth and counselling office in university. 186 adolescent clients were from middle school students to college students. To collect data, 4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counsellors and 2 questionnaires for clients. Thes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1.5 and AMOS 5.0. First, descriptive statistics(mean, standard deviation, and simple correlations) were calculated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Second, Cronbach α coefficient of the inventories used in this study was evaluated to see if the scales were reliable. Thir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employed to know whether partial mediation model including the direct path between a dependent variable and an independent variable was fitted for data or full mediation model without the direct path between a dependent variable and an independent variable.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counselor's self-efficacy not only had a direct effect on counseling session evaluation but also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the mediation of negative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and positive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of counselors and their clients' working alliance. Second, counselors' self-efficacy didn't have a direct effect on counseling session evaluation which clients perceived, but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the mediation of counselor's negative counter transference behavior and client working alliance. The results showed that counselor's self-efficacy can result in evaluating counseling session positively after counseling session. And it indicates that if a counselor's self-efficacy is high, he/she can evaluate counseling session positively after counseling session because he/she is less likely to do negative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It also represents that if counselor's self-efficacy is high, session evaluation that a counselor perceive can be low because he/she is less likely to do positive counter transference behavior such as support and sympathy and he or she doesn't seem to feel to give the active support and sympathy for his/her client. The higher counselor's self-efficacy is, the higher working alliance that client perceive are. Thus, it can be noticed that dealing with a difficult client, cognitive level of different culture, and detailed counseling technique which is a lower factor of counselor's self-efficacy lead cli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ounseling. In turn, it leads counselor to estimate counseling session positively at the end of the counseling. In addition, the higher counselor's self-efficacy is, the less he or she does negative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which, in turn, allows client to evaluate counseling session positively.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counselor's positive counter transference behavior can't predict counseling session evaluation of client with attention. Finally, the higher counselor's self-efficacy is, the higher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client and counselor are, which again lets client to evaluate counseling session positively. That is, it shows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orking alliance and counseling outcomes. In view of these results, a counselor needs to strengthen counselor's self-efficacy in order to achieve successful counseling outcomes. And then if a counselor controls counter transference presented as a factor of interaction during counseling and leads client to take part in counseling actively, and get successful counseling outcomes, he/she must increase self-efficacy in counseling. To sum up,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when counselor's high self-efficacy reduce negative counter transference behavior, client will perceive counseling session satisfactory. On the other hand, when counselor's high self-efficacy increase positive working alliance of client, client will perceive positively counseling sessions. Therefore, when a supervisor supervise a counselor, he/she will have to take these aspects into consideration and plan future counseling and supervision.

      •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귀인성향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현진 관동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ABSTRACT Impact of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nd Attribution of Causality on Learning Attitude Seo Hyun-Jin Major in Educational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wandong University Directed by Prof. Kwoun Hyung-j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self- efficacy, goal orientation and attribution of causality, which were major motivation factors, to learning attitude in an attempt to give some suggestions on ways of expediting the ideal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963 fourth- and fifth-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angwon Province, Gyeonggi Province and Seoul,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a self-efficacy inventory(Han Hye-jin, 2002), a goal orientation inventory(Sin Hye-young, 2009), an attribution of causality inventory(Park Hyeon-joo, 2005) and a learning attitude inventory(Kweon Nak-won, 198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SPSS/WIN 15.0 program. Before the hypotheses of the study were verified, statistical data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variable were obtained to acquir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tudy, and 차이분석(t-test, F-test) and simple correlat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to grasp the influe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s. The multicollinearity of every independent variable was checked, and Zresid and Dunbin-Watson test were utiliz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a regression analysis. All the statistical data linked to the hypotheses of the study were analyzed by t-test and F-test at the p<.05 level of significanc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hypotheses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Hypothesis 1, there were significant gaps in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ttribution of causality and learning attitude according to gender, grade, residential area, academic achievement, the length of computer-using time and the type of family. In regard to Hypothesis 1-1, they were compared by gender in terms of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ttribution of causality and learning attitude, and the girls were found to excell the boys in self-regulating efficacy,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internal-controllable attribution, and the former took a more positive attitude to school. In relation to Hypothesis 1-2, they were compared by gender in terms of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ttribution of causality and learning attitude,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was found to be more stronger among the fifth graders than the fourth ones, and the fourth graders were ahead of the fifth ones in terms of every learning attitude involving attitude to school work, attitude to peers and attitude to teachers. Concerning Hypothesis 1-3, they were compared by residential area in terms of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ttribution of causality and learning attitude. The students from large urban communities were found to surpass the others from small urban and rural regions in self- efficacy, and the former took a more positive learning attitude. The mastery goal orientation,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 internal-controllable factors and internal-uncontrollable factors were more prevailing in the former than the latter. As to Hypothesis 1-4, they were compared by self-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in terms of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ttribution of causality and learning attitude. As a result, those who found themselves to make a better academic achievement showed a better self-efficacy, better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better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was more dominant among the others who considered themselves to make a lower academic achievement. The former scored higher on internal-controllable attribution, whereas the latter scored higher on external-uncontrollable attribution. The students who viewed themselves as performing better took a better attitude to school work and peers. Regarding Hypothesis 1-5, they were compared by the length of computer-using time for academic purposes in terms of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ttribution of causality and learning attitude, and the students who made use of computer for even just a little while showed a better self-efficacy, stronger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stronger internal-controllable attribution than the others who never did it, and the former took a better learning attitude. As for Hypothesis 1-6, they were compared by the length of computer-using time for nonacademic purposes in terms of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ttribution of causality and learning attitude, and the students who never used computer for nonacademic purposes had a better self-efficacy and stronger mastery goal orientation than the others who did, and the former showed a less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and took a better learning attitude. In regard to Hypothesis 1-7, they were compared by the type of family in terms of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ttribution of causality and learning attitude, and the students from intact families had a better self-efficacy and took a better learning attitude. Second, as for Hypothesis 2,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attitude. Concerning the correlation of self-efficacy, self-efficacy subfactors (confidence, self-regulating 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goal orientation subfactors(mastery goal orientation,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attribution of causality subfactors (internal-controllable, internal-uncontrollable, external- controllable, external-uncontrollable),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attitude subfactors(attitude to school work, attitude to peers, and attitude to t

      •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인터넷 중독 정도에 따른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 차이

        백봉숙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인터넷 중독 정도(일반사용자군, 잠재적위험사용자군, 고위험사용자군)를 분류하고 인터넷 중독 정도에 따른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특성화 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 49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에 관한 설문을 실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터넷 중독 정도를 분석한 결과 인터넷 중독 정도에 따른 하루 평균 인터넷 사용시간은 비중독군인 일반사용자 보다 중독군인 잠재적 위험사용자와 고위험사용자의 인터넷 사용시간이 길었다. 둘째, 인터넷 중독과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성이 있었다. 즉, 인터넷 중독 정도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은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인터넷 중독과 자기효능감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인터넷 중독 정도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은 낮아짐을 나타낸다. 세 집단간 차이를 살펴보면 자신감은 일반사용자와 고위험사용자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잠재적사용자와 고위험사용자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선호에서는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인터넷 중독과 진로결정수준 전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인터넷 중독 정도가 높으면 진로결정수준이 낮아짐을 나타낸다. 세 집단간 차이를 살펴보면, 일반사용자와 고위험사용자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일반사용자와 잠재적사용자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인터넷 중독 정도에 따른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에 차이가 있었으며, 인터넷 중독 정도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인터넷 중독 정도에 따른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향후 인터넷 중독을 예방하고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판단된다.

      •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양민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college students attachment and self-efficacy on interpersonal problem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92 graduate students in Busan. A total of 4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of which 410 copies were returned. 18 copies whose answers were not sincere, were excepted. 392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8.0 program. The measurement scales were used Multi-item Measure of Adult Romantic Attachment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 and Self-Efficacy Scale, and Inventory of Interpersonal of Interpersonal Problems-Circumplex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rrelational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in undergraduate's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anxiety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had a static correlation. avoidan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had, too. also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i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genaral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had a static correlation. social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had, too. Second, the anxiety attachment had an more effect on general interpersonal problems and the avoidant attachment had an more effect on socially avoidant and cold. Three, the general self-efficacy had an more effect on general interpersonal problems and the social self-efficacy had an more effect on nonassertive, socially avoidant and cold. In all, the important variables that had a signigicantly positive or negative relation to interpersonal problems include the anxiety attachment, the avoidant attachment, the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Namely, it means that attachment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had a great influence on interpersonal problems. To help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problems make harmonious, enhancing the self-efficacy is important. Using the theoretical suggestion as basic data, it is to obtain practical suggestions that would be helpful for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 감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 감, 대인관계문제 간의 상관은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의 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자기효능 감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부산시 소재의 4년제 및 2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450부를 배부하여 미회수 40부 및 불성실한 답변을 한 18부를 제외하고 392부를 통계처리 자료로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성인기 낭만적 애착척도, 자기효능 감 척도, 대인관계문제검사를 사용하였고, 연구문제 검증을 위한 통계처리는 상관분석과 중 다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 감이 대인관계문제와 유의한 상관이 있다. 애착의 불안정성을 나타내는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 수준이 낮을수록 대인관계문제를 더 많이 경험한다. 둘째, 대학생의 애착은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특히 대인관계문제 전반적으로는 애착불안의 영향력이 더 크며, 냉담성과 회피성의 대인관계문제는 애착회피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셋째, 청년기 뿐 아니라 전 생애를 걸쳐 중요시되는 발달과업인 자기효능감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전반적인 대인관계문제와 보복성, 간섭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사회적 효능감은 비주장성, 냉담성, 회피성의 대인관계문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문제에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따라서 안정적인 애착형성과 높은 자기효능감 수준의 형성으로 원만한 대인관계에 도움을 주기 위한 방법적인 면을 시사하고 있다.

      • 빈곤 가정 여중생의 우울성향 개선을 위한 놀이 중심의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효과

        이희자 대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ssessed female students with depression from low income families to examine whether a play-based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improved self-efficacy of female students with depression and reduce their dep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a total of seven students who had symptoms of depression by their teacher and obtained significant scores on depression/anxiety scale from 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on CDI scale, and on self-efficacy questionnaire. Out of the seven students, four were allocated into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three into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used in this study took a cognitive behavioral approach that utilized success experience, vicarious experience, verbal persuasion, and intervention strategy in sentimental state to help students to explore and change their thought. In addition, the program focused on motivation, facilitated spontaneity, and aggressive participation among the therapeutic factors of play. The program was composed of a total of 10 sessions. Two 60-minute sessions were held in week for five weeks. In order to examine the subjects' changes in self-efficacy, self-efficacy scale was conducted among the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Changes in students' scores for each sub factor were compared through paired t-test. In addition, CDI scale scores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compar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students' depression. Furthermore, Korean version of Depression Adjective Check List(DACL) was performed during the first, fifth and tenth session and the scores obtained during the session were compared through paired t-test. Besides, the changes in the students' depression behaviors, changes in the features of student behaviors were examined by depression behavior index during each session. The results awere as followed: First, the play-based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improved confidence, self-control efficacy, and preference for difficult task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Second, the play-based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reduced depression, depressing sentiments, and depression behavior from low income familie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play-based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presented in this study improved self-efficacy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and reduced their depression. 본 연구는 빈곤 가정의 우울성향 여중생을 대상으로 놀이 중심의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기효능감 증진과 우울성향 개선의 효과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교사가 우울성향으로 의뢰한 빈곤 여중생 가운데 아동ㆍ청소년 행동평 가(K-CBCL)의 우울/불안 척도,CDI척도,자기효능감 질문지를 실시하여 유의미한 수준에 해당되는 학생 7명을 선별해서 연구대상 4명,비교대상 3명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성공경험,대리경험,언어적 설득,정서적 상태의 중재전략을 활용하여 자 신의 사고 탐색 및 전환을 돕는 인지행동적 접근을 적용하였고 놀이의 치료적 요인 중 동기유발,자발성 촉진,적극적인 참여에 중점을 두어,1회기 60분,주 2회,총 10회 기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연구대상 여중생의 자기효능감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효능감 척도 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각 하위영역의 점수 변화를 pairedt-검증을 통해 비교하였 다.우울성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CDI척도 점수를 사전-사후에,한국판 우울 형 용사 체크리스트를 1,5,10회기에 실시하여 paired t-검증을 통해 점수를 비교 하였 으며,우울 행동의 변화는 회기 내 우울 행동 지표에 따른 여중생의 행동 특성 변화 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놀이 중심의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은 빈곤 가정 우울 성향 여중생의 자 신감,자기조절 효능감,과제난이도 선호를 증진시켰다. 둘째,놀이 중심의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은 빈곤 가정 여중생의 우울 성향인 우울,우울 정서,회기 내 보이는 우울 행동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놀이 중심의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은 빈곤 가정의 우울성향 여중생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고,우울성향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 자기성장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김경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자기성장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것이다. 2.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것이다. 3.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학업성취를 향상시킬 것이다. 본 연구는 익산시에 있는 E중학교 3학년 64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여 6주 동안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 자아존중감 검사, 자기효능감 검사,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PSS 10.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한 결과, 본 연구에서 실시한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업성취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 집단상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가 보다 높아져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has an aim to verify an effect of a self-growth group counsel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self-efficacy, and studying-accomplishment. So this thesis established an studying subject to accomplish the aim as followings. 1.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promote juveniles' self-esteem . 2.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promote juveniles' self-efficacy. 3.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promote juveniles' studying-accomplishment. This thesis performed a group counseling, targeting on 64 third graders of E-middle school in Iksan city for six weeks, twelve periods. The stude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n control group randomly.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effectiveness of program, this thesis performed the examinations of self-esteem, self-efficacy, and studying-accomplishment before and after program application, targeting o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is thesis analyzed materials with SPSS 10.0 to confirm program effectiveness and performed T-verification to verify a difference between groups. By verifying program effectiveness, this thesis found out that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performed by this thesis had an affirmative effective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but it didn't have an affirmative effectiveness in study-accomplishment. So, Group counseling has to be recognized to be important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self-esteem and self-efficacy.

      • 자기효능감이 비공식학습을 매개로 직무만족과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김정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tried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individual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and job-cracking through informal learning.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First, how does self-efficacy affect job satisfaction? Second, how does self-efficacy affect JobCraft? Third, when self-efficacy affects job satisfaction and job-creating, does informal learning have a mediating effect? To analyze research problems, a survey was conducted online by the Convenience Labeling Act on office workers working for domestic companies, and a total of 250 questionnaires were secured. In the research analysis phase, technical statistic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measurement tool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rough the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Study Question 1, 'How does self-efficacy affect job satisfaction?' all factors of self-efficacy, self-confidence, control effectiveness,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were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in Study Question 2, 'How does self-efficacy affect Job-cracking?' all factors of self-efficacy, self-confidence, control effectiveness,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were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cracking. Third, in Study Question 3, 'When Self-Efficiency Affects Job Satisfaction and Job-Crafting, Does Informal Learning Have a Mediative Effect?' the sub-factor of Self-Efficiency was found to have no effect on informal learning, which is a parameter, and informal learning was found to be completely sold between Adjusting Effectiveness and Job Satisfaction. Unofficial learning is found to be a partial medium between another sub-factor, task-difficulty-preference factor and job satisfaction factor. In addition, informal learning was completely mediated between the adjustment effect and the Job Crafting, and informal learning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between the factors of task difficulty preference and the Job Crafting. The findings suggest that: Firs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learning support system for bosses and colleagues in order to foster workers who can change their lives and work from workers who simply do their given work. It should also recognize informal learning as learning and have sufficient learning infrastructure to enable informal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lore various ways to overcome the inferiority of work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within the organizati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Third, to enhance job satisfaction, we will have to create an atmosphere for active interaction, such as providing opportunities for successful experience, smooth dialogue with the boss, and recognition of the organiza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tmosphere in which the various ways of performing the duties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their thoughts and opinions, their decisions are respected, and they can freely coordinate their duties within a set range. Finally,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improvement of intrinsic job satisfaction. It is more important than strengthening external job satisfaction factors that improve compensation or system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o enhance job satisfaction. The various inherent job satisfaction factors required by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should be linked to the in-house education system so that they can be implemented in the workplace through systematic analysis. 본 연구는 개인의 자기효능감이 비공식학습을 매개로 직무만족과 잡 크래프팅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자기효능감이 잡 크래프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과 잡 크래프팅에 영향을 미칠 때, 비공식학습이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국내 기업에 재직중인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편의표집법에 의해 온라인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250명의 설문지를 확보하였다. 연구 분석단계에서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통해 측정도구들에 대한 기술통계 및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1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에서는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선호 의 모든 요인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연구문제 2의 ‘자기효능감이 잡 크래프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에서는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선호 의 모든 요인은 잡 크래프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연구문제 3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과 잡 크래프팅에 영향을 미칠 때, 비공식학습이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에서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신감은 매개변수인 비공식학습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절효능감과 직무만족 사이에서 비공식학습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선호 요인과 직무만족 사이에서 비공식학습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효능감과 잡 크래프팅 사이에서 비공식학습은 완전매개 하였고, 과제난이도선호 요인과 잡 크래프팅 사이에서 비공식학습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단순히 주어진 일만 하는 근로자에서 자신의 삶과 일을 변화시킬 수 있는 지식근로자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상사와 동료의 학습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비공식 학습을 학습으로 인정하며 조직 내에서 이루어지는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충분한 학습 인프라를 갖추어야 한다. 둘째, 자기효능감의 향상을 통해 조직 내의 근무특성과 환경의 열악함을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성공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의 제공과 상사와의 원활한 대화, 조직의 인정 등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넷째, 조직구성원의 다양한 업무수행 방식, 생각과 의견, 의사결정을 존중하며 정해진 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직무를 조율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조직원들의 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내재적 직무만족을 향상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조직차원에서 보상이나 제도를 개선하는 외재적 직무만족 요인을 강화하는 것 보다 더 중요하다. 조직원들이 요구하는 다양한 내재적 직무만족 요인을 사내 교육시스템과 연계하여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업무 현장에서 실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자기주도학습,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배종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자기주도학습,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학습몰입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383명을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자기주도학습,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자기주도학습,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 ‘입력’방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첫째, 자기주도학습은 학습몰입의 하위영역에 속하는 인지적 몰입 및 정의적 몰입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동기는 학습몰입의 하위 영역에 속하는 인지적 몰입 및 정의적 몰입(affective flow)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인지적 몰입 및 정의적 몰입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주도학습,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영역 중에서 학습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학습자신감과 학습지속력, 학습계획, 내재적 동기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었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impact of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motivation, and self-efficacy on learning flow, and finding out the predictive power which influences learning flow. For this study, 383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were selected as a research group. Data were analyzed by SPSS 17.0 using the following methods. First, the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was calcula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Seco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ve predictive power about learning flow of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motivation, and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first, self-directed learning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flow. Second, learning motiva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flow,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flow. Third, self efficacy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flow. Fourth, among the subcategories of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motivation, and self-efficacy, the effective factors of learning flow are revealed; learning confidence, learning persistence, leaning plan, intrinsic motivation in the order. The research also demonstrates that the most effective variable to learning flow is self-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