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민주적 민군관계 정립을 위한 군(軍)의 자기통제 연구 : ‐- 독일연방군의 내적 지휘(Innere F?hrung)를 중심으로 -

        정준아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민주주의 국가의 바람직한 민군관계 정립을 위한 방안으로서 ‘군의 자기통제(Military Self-Control)’ 유형을 제시하고, 독일연방군 내적 지휘 사례의 동적인 흐름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민주적 민군관계 정립을 위해서는 ‘군의 전문성’과 ‘군의 정치적 중립’이 동시에 충족되는 것이 중요하다. 민주적 민군관계와 관련된 논의는 헌팅턴(S.Huntington)과 자노위츠(M. Janowitz)의 주장이 대표적이다. 헌팅턴은 민과 군의 분리를 통해 군의 전문성을 보장하는 것이 민주적 민군관계 정립을 위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반대로 자노위츠는 민과 군이 통합되어 군대가 시민사회의 가치를 수용하고 적절히 사회화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하지만 헌팅턴의 이론은 상대적으로 ‘군의 정치적 중립’이 훼손될 수 있다는 한계를, 자노위츠의 이론은 ‘군의 전문성’이 약화될 수 있다는 한계를 보인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본(H. Born)이 ‘민주적 통제 달성 유형’ 중 하나로 내놓은 ‘군의 자기통제(Military Self-Control) 유형을 제시한다. 본은 민주적 통제 달성을 위해서는 정치권의 수직적 통제, 시민사회의 수평적 통제 군의 자기통제가 조화를 이루어야 함을 주장한다. 특히, 군 스스로 자율적인 통제를 바탕으로 군사적 전문성과 정치적 중립을 유지하고, 민주적 통제에 기여해야 함을 강조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자기통제 유형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독일연방군 ‘내적 지휘(Innere Führung)’ 사례의 동적인 변화를 연구한다. 내적 지휘는 제2차세계대전 이후, 독일군의 과오와 권위주의적 군대 문화를 청산하고, 민주국가에 적합한 군대를 양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장했다. 이는 ‘군복 입은 민주시민’의 가치를 바탕으로, 민주적이고 본연의 임무에 충실한 군대를 양성하기 위한 독일군의 핵심 철학이다. 본 논문은 내적 지휘가 냉전, 독일 통일, 군 역할 변화 등의 시대적 상황에 따라 어떠한 모습을 보여 왔는지 민주적 민군관계 측면에서 평가하고, 군의 자기통제 유형으로서 적합하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This study presents the ‘Military Self-Control’ as a way to establish desirable civil-military relations in a democratic country.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Bundeswehr by dynamically analyzing the Innere Führung cases. In order to establish a democratic civil-military relations, it is important to satisfy both the ‘professionalism of the military’ and the ‘political neutrality of the military’. As for the discussion related to democratic civil-military relations, the arguments of S. Huntington and M. Janowitz are representative. Huntington argued that ensur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military through the separation of civilians and military was important for establishing democratic civil-military relations. Conversely, Janowitz saw the importance of accommodating and appropriately socializing the values of civil society through the integration of civilians and the military. However, Huntington's theory shows a limit that the 'political neutrality of the military' can be relatively undermined, and Janowitz's theory shows a limit that the 'military professionalism' can be weakened. As a countermeasure to this, this study presents the ‘Military Self-Control’ type, which Han Born introduced as one of ‘Democratic Control Achievement Types’. Born argues that in order to achieve democratic control, the vertical control of the political circles, the horizontal control of civil society, and the self-control of the military must be harmonized. In particular, it emphasizes that the military must maintain its military professionalism and political neutrality through autonomous control and contribute to democratic control. Accordingly, in this study, as a method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self-control type, the dynamic change of the case of the Bundeswehr's 'Innere Führung' is studied. After World War II, Innere Führung emerged as a way to clear the Wehrmacht's mistakes and authoritarian military culture and to train the military of a democratic country. This is the core philosophy of the Bundeswehr to train an military personnel that is democratic and faithful to its mission as “Staatsbürger in Uniform”. This study evaluates how the principle of Innere Führung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such as the Cold War, German unification, and the transition to the Volunteer Military System, in terms of democratic civil-military relations, and suggests that it is suitable as a type of military self-control.

      • 정보주체의 자기정보통제권 확보 방안 연구

        주문호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현대사회는 데이터가 모든 산업의 발전과 새로운 가치 창출의 촉매 역할을 하는 데이터 경제시대로 전환되어 가고 있다. 데이터는 자본과 노동 등 기존 생산 요소를 능가하는 경쟁원천으로 부상하였으며 앞으로는 대규모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기업이 시장 혁신을 주도해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거대 데이터 플랫폼 기업들은 충분한 데이터베이스 서버 용량과 고도화된 데이터 처리·분석 능력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대량으로 수집·축적해가고 있으며, 이들은 ‘현상을 해석’하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빅데이터 분석 능력과 고도화된 알고리즘을 통해 기업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용자들의 의사결정을 유도할 수 있는 데이터 권력을 거머쥐게 되었다. 나아가 데이터 플랫폼 기업들은 데이터 접근권한 통제와 거대 자본과의 결탁을 통해 데이터 권력과 데이터 활용 편익을 독점해나가고 있으며, 정작 데이터 경제 구성원의 핵심인 정보주체는 본인의 정보에 접근하지 못하고 데이터의 처리 과정에도 개입하지 못한 채 데이터 경제에서 소외되는 현상이 생겨나고 있다. 정보주체의 소외 현상과 데이터 독점에 대한 우려에 대응하기 위해 개인정보보호 및 프라이버시 관련 권리의 속성과 보호 영역의 변화가 요청된다. 현대의 프라이버시는 단순히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는 차원을 넘어 타인에 구애받지 않고 공적 생활, 사회적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본인과 관계되는 정보에 대한 선택권과 통제권을 보장해달라는 요구로 확장되어가고 있고 이는 ‘자기정보통제권’이라는 적극적인 형태의 기본권으로 발현되었다. 자기정보통제권은 자신에 관한 정보가 언제 누구에게 어느 범위까지 이용되도록 할 것인지를 정보주체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며, 정보주체가 데이터 경제의 당당한 일원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된다. 자기정보통제권은 헌법이 승인한 새로운 독자적 기본권으로 확립되었지만 실제 권리의 실현에 있어서는 개인정보 처리 절차의 복잡성 증대, 알고하는 결정의 어려움, 형해화된 사전동의제, 비식별 정보 활용의 확대, 사후적 통제 행사의 한계 등으로 인해 현실적인 문제에 봉착하였으며 이론적이고 관념적인 권리로 머물 위기에 처해있다. 이에 자기정보통제권의 확대와 실효적 보장을 위한 해법이 요구되고 있으나 자기정보통제권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권리의 정의, 헌법적 근거, 입법 방향 등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현실적인 권리 보장의 현황을 살펴보고 권리 공백에 대한 실질적인 보장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은 헌법상 국민의 기본권으로 보호되는 자기정보통제권이 개개인의 주체적인 권리로 기능하고 실질적으로 보장되기 위한 과제를 식별하고 그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흐름과 방법으로는 우선 데이터 경제시대의 사회 현상과 프라이버시권의 시대적 요구사항의 변화를 분석하여 연구의 필요성을 도출하고, 선행연구 분석, 국내외 주요국의 기본권 논의 및 자기정보통제권 관련 법률 비교를 통해 국제적 동향을 검토하였다. 이어 자기정보통제권의 내용과 변화에 대해 근원적인 이론부터 시대 적용의 흐름을 분석하여 자기정보통제권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고 권리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다음으로 자기정보통제권이 현대 사회에서 실질적으로 발현되는 양상과 기술적으로 구현되는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자기정보통제 서비스와 관련 신기술 현황의 조사·분석을 통해 권리의 실제 보장 수준과 보호 영역의 공백을 식별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으로 자기정보통제권의 보호 영역을 총 10가지의 영역으로 제안하고 자기정보통제권의 실질적 보장과 확대를 위한 향후 과제와 해결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핵심적인 결론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는 자기정보통제권의 보호영역을 명확히 확립하여, 권리 보호의 공백을 없애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국민의 인격권과 재산권의 침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보호 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 둘째, 자기정보통제권의 실현을 위한 정책적 수단과 기술적 수단의 적절한 역할 분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셋째, 자기정보통제권이 실질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권리의 주체이자 수요자인 이용자의 자기정보통제 동인을 확보해주어야 한다. 넷째, 자기정보통제권 강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신기술 혁신과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적절한 조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정보주체의 수익배분권을 보장해주기 위해 데이터 가치 평가체계 및 데이터 수익 환원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정보주체의 자기정보통제권은 데이터 경제시대에서 개인이 정체성을 확보하고 공동체의 민주적·합리적 운영을 위해 반드시 보호되어야 할 국민의 기본권이자 규범적 가치이다. 이에 정보주체의 자기정보통제권이 형식적이고 추상적인 권리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작동하고 데이터 경제의 패러다임을 주도하는 권리로 기능할 수 있도록 법률과 정책, 서비스 시장, 그리고 신기술 혁신이 서로 적절한 역할을 찾아 제 역할을 해야 할 것이며, 본 논문이 이를 위한 바람직한 해법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Modern society is transitioning to an era of data economy in which data serves as a catalyst for the development of all industries and the creation of new values. Data has emerged as a competitive source, surpassing existing production factors such as capital and labor, and in the future, companies that utilize large-scale data efficiently are expected to lead market innovation. Large data platform companies are already collecting and accumulating large amounts of data based on sufficient database server capacity and advanced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capabilities, and gradually monopolizing data power and data utilization benefits due to data access control and collusion with large capital. Meanwhile, the information subject at the core of the data economy increasingly loses its data sovereignty and is alienated from the data economy as it loses access to its own information and becomes unable to intervene in the processing of data. In this regard, this paper attempted to identify the tasks to ensure that self-information control rights protected by the basic constitutional rights of the people function as individual subject rights and to actually guarantee them,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ement. As the research flow and research method, the necessity of research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social phenomena of the data economic era and the changes in privacy requirements. Subsequently, previous research analysis, domestic and foreign law analysis, and international trend review were conducted. Next, the concept of self-information control was established by analyzing the flow of application of the era from the fundamental theory to the contents and changes of the self-information control right, and a theoretical study was conducted. In addition, the actual guarantee level and gap of right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self-information control services and related new technologies in order to examine the actual manifestation of self-information control rights and the current state of technological implementation. As a conclusion on this, the protection area of ​​the self-information control right was proposed in a total of 10 areas, and the future tasks and solutions for the practical guarantee and expansion of the self-information control right were presented. The key conclusion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ate should establish a long-term protection strategy to clearly establish the protection domain of the right to control self-information, eliminate the gap in protection of rights and minimize the infringement of people's personal and property right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roper role sharing between policy means and technical means for the realization of self-information control. Third, in order for the right to self-information control to operate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elf-information control driver of the user, who is the subject and consumer of the right. Fourth, in order to promote the strengthening of self-information control, it is necessary to properly mix new technology innovation and business model innovation.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ata value evaluation system and a data return system to guarantee the distribution of information subjects' profits.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자기통제력과 학교적응의 관계

        김원두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자기통제력과 학교적응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임의표집 방식으로 표집된 경기지역에 위치한 일반계 고등학교 4곳, 강원지역에 위치한 일반계 고등학교 2곳 등의 학생을 대상으로 질문지 360부를 배부하였고, 그 중 352부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부모양육태도 척도, 자기통제력 척도, 학교적응 척도를 활용하였다. 결과에 대한 자료처리는 학생들의 성별에 따라 부모양육태도, 자기통제력, 학교적응의 차이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했고, 부모양육태도와 자기통제력,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적응, 자기통제력과 학교적응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는 성별에 따라 애정ㆍ자율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자기통제력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장기만족추구 성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적응은 성별에 따라 교우관계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통제력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는 자녀의 자기통제력 수준을 높이는 경향이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적응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것은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는 자녀의 학교적응을 원만히 하도록 도와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자기통제력과 학교적응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자기통제력이 높은 학생일수록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통제력 및 학교적응은 긴밀한 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 양육태도 유형을 제시하고 학생의 자기통제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 학교부적응 학생의 예방과 지도에 도움이 되도록 부모-교사 간의 긴밀한 협력체계가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할 수 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chool adjustment, self-control and parents' rearing-attitude a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I distributed 360 questionnaires to four randomly selected average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nd two average high schools located in Gang-won province. Of the 360 questionnaires, 352 were evaluated and analyzed. Parents' rearing attitude scale, self-control scale, and school adjustment scale were used as means to measure. The means of the numbers of each category were used to create the parents' rearing-attitude, self-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scales. To prov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students' gender,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Also, I yielded the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to prove each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rearing-attitude and self-control, parents' rearing-attitude and school adjust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The result of the survey are as follow: First, affection and autonomy are the meaningful factors that make parent's rearing attitude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 However, self-contro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 in a sense that male students tend to pursue more long-term satisfaction than female students. Schoolmate relationship is the contributory factor that makes school adjustment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 Second, rearing-attitude of parents and students' self-contro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tudents with good self-control skills tend to adapt to their school life more easily.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rearing-attitude and school adjustment. It proved that positive rearing-attitudes of parents tend to enhance the level of self-control in students. Finally,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ontrol of students and school adjustment. This can be seen as evidence that the positive rearing-attitude of parents enables students to adapt to school life more smoothly.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rearing-attitude a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self-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research, parents' positive rearing-attitude should be provided because it efficiently enhances high school students' self-control. Also,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increase high school students' ability to control themselves. This research also suggests that a close cooperation system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is needed in order to teach students who cannot fit themselves properly into school how to fit themselves.

      • 자기통제증진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차은영 대구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to improve self-control on adolescents’ aggression. For research subjects, 20 middle school students from A training institution located in U city who had difficulties in self-control with self-control score over 55 and aggression score over 63 and submitted an agreement were recruited;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10 and the control group 10. A 60-min experiment was conducted 12 times from March 8 to April 19, 2017 twice a week. The group art therapy to improve self-control program was introduced referring to preceding research and restructured by phased targets of self-observation, environmental planning, self-evaluation, self-strengthening and self-control. As for the research tools, the self-control scale developed by Grasmick et al. (1993: recited by Ha Chang-Soon, 2003) and used by Cho Yoo-Jung(2004) and the aggression scale developed by Buss and Perry(1992) and adapted by Jeong Dong-Hwa(1995) were used. For data processing, SPSS 22.0 program was used;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for preliminary homogeneity 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wait-list control group, and repeated measure ANOVA for score changes by group before and after self-control scale and aggression scale tests. As a result, the group art therapy to improve self-control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teenagers’ self-control and their aggression. Therefore,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to improve self-control enhances self-control and reduces aggression. The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identifying that students with high aggression and low self-control can get an opportunity of positive self-control by observing their behavior, setting target behavior and reinforcer and providing themselves with self-reinforcer through evaluation process as well as that the adolescents who respond with aggressive behavior can release emotions and experience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tability through art work. 본 연구에서는 자기통제 증진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U시의 A수련시설의 자기통제가 잘 되지 않는 중학생 청소년 중 자기통제점수 55점 이상 공격성점수 63점 이상이며, 동의서를 제출한 2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기간은 2017년 3월 8일 부터 4월 19일 까지 주 2회, 60분씩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자기통제 증진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도입 및 자기관찰, 환경계획, 자기평가, 자기강화, 자기통제의 단계별 목표에 따라 집단미술치료를 재구성하였다. 연구도구는 Grasmick 등(1993: 하창순, 2003에서 재인용)이 제작하고 조유정(2004)이 사용한 자기통제척도, Buss와 Perry(1992)가 개발하고 정동화(1995)가 번안하여 사용한 공격성척도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집단별 사전·사후 자기통제척도와 공격성 척도의 점수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자기통제 증진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기통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공격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기통제 증진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통제를 증진시키고 공격성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격성이 높고 자기통제가 낮은 청소년이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고 목표행동과 강화물을 설정하고 평가 과정을 통해 스스로에게 자기강화물을 주는 것은 긍정적인 자기통제의 기회가 되며, 공격적인 행동으로 반응하는 청소년이 미술작업을 통해 감정을 발산하고 성취감과 안정감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 자기통제와 자립생활의 상관관계 :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비교

        김현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통제와 자립생활(신체적 자립, 심리적 자립, 사회적 자립, 정보화 자립, 경제적 자립)의 상관관계를 통해 첫째,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자기통제와 자립생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둘째,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자기통제와 자립생활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셋째,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자기통제가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총 203명으로 대전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80세 미만의 시각장애인 104명과 20세 이상 65세 미만의 비장애인 99명을 대상으로.자기통제와 자립생활 척도를 사용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 수집은 SPSS 20.0을 통해 기술통계분석, t검증, 상관분석, 단순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은 자기통제와 경제적 자립을 제외한 자립생활의 나머지 하위영역인 신체적 자립, 심리적 자립, 사회적 자립, 정보화 자립에서 유의미한 평균차이가 있다. 시각장애인이 비장애인인보다 낮은 평균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각장애인의 경우, 자기통제는 자립생활 하위영역 중 신체적 자립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정적인 상관관계 보였다. 비장애인의 경우에는 시각장애인과 달리 자기통제가 자립생활과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각장애인의 경우, 신체적 자립을 제외한 자립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자기통제가 유의미하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장애인의 경우에는 시각장애인과 달리 자기통제와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자립생활, 자기통제, 시각장애인 The purpose of the study is, first, to find the differences of self-control and independent living between individuals with visual disabilities and the non-disabled, through the interrelation between self-control and independent living (physical independence, psychological independence, social independence, informatization independence, economic independence). Second, I investigated the interrelation between self-control and independent living, between individuals with visual disabilities and the non-disabled. Third, I examined the influence self-control of individuals with visual disabilities and the non-disabled on independent living. disabilities The target of this study is totally 203 Daejeon citizens, including 104 visually-disabled people aged 20 to 80 and 99 nondisabled people aged 20 to 65. I collected the self-report styled questionnaire data using the standard of self-control and independent living. In this research, I collected the data, through technology control analysis, t-verification, interrelation analysis, simple recurrence analysis. (SPSS 20.0)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significant averag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with visual disabilities and the nondisabled in a low area of independent living, including (physical independence, psychological independence, social independence, informatization independence, except for self-control and economic independence. Visually-disabled people have lower mean than nondisabled people. Second, in the case of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self-control showed the still interrelations, in all areas except for physical independence of independent living low area.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o significant interrelations between self-control and independent living, in the case of the nondisabled. Third, self-control of visually-impaired people is shown to be quite meaningful and influential in all areas of independent living, except for physical independence. Differently from visually-disabled individuals, self-control of nondisabled people has no impact on independent living. I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the following research, on the basis of this study result. Key words: self-control, independent living, individual disabled

      • 무용전공자의 자기통제력이 친사회적행동과 무용지속의사에 미치는영향

        김솔해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미래의 무용인을 양성하는 기관인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자의 자기통제력이 친사회적행동과 무용지속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20년 현재 대전 D예술고등학교, 충청지역 N예술고등학교와 B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포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에 의해 117명을 대상으로 「Self-administration Method」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로는 통계패키지 프로그램 「SPSS 23.0 Program」을 사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Analysis」을 실시하였다. 자기통제력 요인, 친사회적행동 요인, 무용지속의사 요인을 분류하기 위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자기통제력 요인과 친사회적행동 요인, 무용지속의사 요인의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Analysis」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통제력 요인, 친사회적 요인, 무용지속의사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기분석「Multiole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통제력이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자기통제력의 장기적 요인이 친사회적행동의 공감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통제력이 무용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자기통제력의 장기적 요인이 무용지속의사의 지속 요인과 경향 요인, 가능 요인에 영향을 미치며, 자기통제력의 즉각적 요인은 무용지속의사의 가능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친사회적행동이 무용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에서 친사회적행동의 도움 요인은 무용지속의사의 지속 요인에 영향을 미치고 친사회적행동의 나눔 요인은 무용지속의사의 가능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무용전공생들은 공동체적인 무용활동과 자신의 무용생활에서 자기통제력은 친사회적행동에서 사회적 활동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며, 앞으로 무용 활동을 지속적으로 하고자 하는 의지가 나타나는 무용지속의사에서는 무용전공생의 진로에 긍정적인 결과가 보였다. 마지막으로 친사회적행동에서 무용지속의사는 친구 관계의 친근감이 무용을 지속적으로 하고자 하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무용전공생의 미래를 양성하는데 도움이 되고 학교현장에서 전인적 교육에 도움이 될 것이며, 이들에게 긍정적 학습환경과 도덕적, 윤리적, 인성적 부분의 자기통제력과 친사회적행동에서 필요한 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to study how self-control of dance majors in Art High Schools, an institution that trains dancers in the future on pro-social behavior and intention to continue dancing. In this study, survey with 「Self-administration Method」was conducted with 117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among students who are majoring dance at D Art High School in Daejeon and N Art High School and B Art High School in Chungcheongdo region as of 2020. 「SPSS 23.0 Program」, a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to process the data and 「Frequency Analysis」was conducted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Factor analysis」was conducted to classify factors of self-control, factors of pro-social behavior and factors of intention to continue dance, and 「CorrelationAnalysis」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s of self-control, pro-social behaviors and intention to continue dancing. Lastly, 「Multiole Regression」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ctors of self-control, factors of pro-social behaviors and factors of intention to continue dance. The conclusions gained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long-term factor of self-control had an effect on empathetic factors of pro-social behaviors in terms of an effect of self control on pro-social behaviors. Second, in terms of an effect of self-control on intention to continue dancing, it was found that long-term factor of self-control had an effect on continuous, trend and possible factors of intention to continue dancing, and immediate factors of self-control had an effect on possible factor of intention to continue dancing. Third, in terms of an effect of pro-social behaviors on intention to continue dancing, it was found that supportive factor of pro-social behaviors had an effect on continuous factors of intention to continue dancing and sharing factors of pro-social behavior had an effect on sharing factors of intention to continue dancing had an effect on possible factors. In conclusion, dance majors showed positive results in communal dance activities and their own dance life, and self-control showed positive results in social activities from pro-social behaviors, and intention to continue dancing that showed the will to continue to dance in the fu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of dance majors. Lastly, intention to continue dancing in pro-social behaviors showed a positive result that friendliness with friends made them want to continue to dance. These results will help to trains the future of dance majors and will be helpful for well-rounded education at school, and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study for them in terms of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and self-control and pro-social behaviors in terms of moral, ethical and personal parts.

      •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자기통제력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현문정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had been conducted on the 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 juvenile reformatory in K city, to undergo a self-regul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hich has been assessed to be helpful in self-control and reducing aggression,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is program to the juvenile delinquents. Specific topics to be examin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were filed as follows: First, is the self-regul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effective in improving self-control of juvenile delinquents? Second, is the self-regul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effective in reducing aggression of juvenile delinquents? This study is to evaluate how self-regul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affects the self-control and aggression of juvenile delinquents by applying them to real subjects and verify its actual effects.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sampled by 60 male middle and high school juvenile delinquents who have been sent to the juvenile reformatory (by command No. 9, No. 10), below 19 years of age. Among the students, 19 from the class of Saturday, who had participated in this self-regul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been grouped as “self-regulation training group”, 19 from the class of Friday, who had participated in a similar program had been grouped as “similar program comparison group” and 22 who had not participated in any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been grouped as “non-treated control group" Group counsel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reconstructed with reference to the self-control theory of Gottfredson and Hirschi to improve self-control and reduce aggression. Measuring tool of this study is the Korean version of self-control scale and inspection Korean version of aggression test. Self-control scale which had been used in this study, had been translated from the Grasmick et al. (1993) by Ha Chang-sun and Kim Byung-suk (2005). Aggression Scale used in the Korean version aggression test is the translation of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Buss and Perry (1992), translated by Seo Su-gyun and Kwon Suk-man. SPP 19 for WIN had been used for the data analysis of this program and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self-control and aggression through self-regulation skills enhancement program. First, covariance analysis was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pre-test scores of self-control and aggression to evaluate the impact of self-regul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to the self-control and aggression. I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ing between groups had been performed by post-verification. Scheffe had been used as the post-verification method, to verify the difference of mean value of each group.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show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participated in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shown significant level of enhance in self-control, which can be analyzed that, through the program the subject had gained confidence in self-control by understanding the problem in another person’s perspective and thinking positively about their future. Also, it may be seen that there had been significant reduction in levels of aggression, which shows that through the program the subject has gained confidence in controlling aggression, by various programs which had made the subject move away from self-centered thinking and understand the situation in many different aspects. 본 연구는 K소재의 S소년원 남자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통제력 및 공격성 감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평가된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비행청소년들에게 적용하여 본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들의 자기통제력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제기 하였다. 첫째,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공격성 감소에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자기통제력 및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이를 실제 적용해 보고 그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자기통제력 향상 및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무처치 통제집단보다 자기통제력이 향상될 것이다. 둘째,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유사프로그램 비교집단보다 자기통제력이 향상될 것이다. 셋째,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무처치 통제집단보다 공격성이 감소할 것이다. 넷째,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유사프로그램 비교집단보다 공격성이 감소할 것이다. 본 연구에 참가한 학생들은 K소재의 S소년원에서 송치 명령(9, 10호) 처분을 받은 만 19세 미만 비행청소년 중 남자 중.고등학생로 총 60명의 학생을 표집 하였다. 이 중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토요일반 학생들 19명 “자기조절 훈련집단”으로 구성하고,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유사한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금요일반 학생들 19명 “유사프로그램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그리고 아무런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소년원 학생 22명을 “무처치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자기통제력을 향상시키고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Gottfredson과 Hirschi의 자기통제이론을 참고하여 재구성 하였다. 자기조절과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치료기법에 토대로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고,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게 적용하였다.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매주 토요일 1시간씩 총 8회기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한국판 자기통제력 척도(self-control scale)와 한국판 공격성 검사이다. 자기통제력 척도는 Grasmick 등(1993)이 개발한 척도를 하창순과 김병석(2005)이 번안한 것이다. 이 척도는 충동성, 단순과제 선호, 모험추구, 신체활동 선호, 자기중심, 화 기질의 6가지 주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요소에 대하여 4문항씩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Grasmick 등(1993)은 4점 척도를 사용하였으나, 하창순 등(2005)은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1)”에서 “매우 동의한다(5)” 까지의 5점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검사도구의 의미 해석은 전체 점수의 합이 높을수록 자기통제력이 낮음을 의미한다. 한국판 공격성 검사에서 사용한 공격성 척도는 Buss와 Perry(1992)가 개발한 공격성 질문지(Aggression questionnaire)를 서수균과 권석만(2002)이 번안한 것이다. 이 척도는 신체적 공격성 9문항, 언어적 공격성 5문항, 분노감 5문항, 적대감 8문항 등 4개의 하위 척도로 구성되어있다. 응답자들은 “전혀 그렇지 않다(1)”부터 “매우 그렇다(5)”까지의 5점 척도로 응답한다. 공격성 척도의 총점이 높을수록 높은 공격성을 의미한다. 프로그램의 자료 분석을 위해서 SPSS 19 for Win을 사용하였으며, 자기조절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통제력과 공격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통계처리기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자기통제력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통제력과 공격성의 사전검사 점수를 통제하여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사후 검증을 통하여 집단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집단 간 평균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사후검증으로 Scheffe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가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무처치 통제집단보다 자기통제력이 유의한 수준에서 높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유사프로그램 비교집단보다 자기통제력이 유의한 수준에서 높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무처치 통제집단보다 공격성을 유의한 수준에서 감소되었음을 볼 수 있다. 넷째,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유사프로그램 비교집단보다 공격성을 유의한 수준에서 감소되었음을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무처치 통제집단과 유사 프로그램을 진행한 비교집단에 비해 자기통제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타인의 입장에서 문제를 이해하고 미래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해 보는 과정에서 비행청소년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가설 1과 가설 2는 지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공격성도 유의한 수준에서 감소되었음을 볼 수 있으며 이는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여러 가지 측면에서 상황을 이해하는 활동을 포함시켜 비행청소년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가설 3과 가설 4는 지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비행청소년은 자기통제력은 증가시키고 공격성은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사 프로그램을 진행한 비교집단에서도 작은 수치지만 자기통제력은 증가시키고 공격성은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비행청소년들에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 주는 하나의 지표로 해석 할 수 있다. 따라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비행청소년들에게 자신을 이해하고 미래를 생각해 볼 수 있게 하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통제력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종철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초 록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통제력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Resilience and Self-Control on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교육심리 및 상담전공 정 종 철 지 도 교 수 조 규 판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통제력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자아탄력성, 자기통제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중학생의 자아탄력성 하위요인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중학생의 자기통제력 하위요인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통제력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소재하는 중학교 3학년 학생 256명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자기통제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37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자아탄력성, 자기통제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간의 관계는 정적 상관이 있다. 둘째, 자아탄력성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자기통제력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중학생의 자아탄력성, 자기통제력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중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자아탄력성, 자기통제력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적 서비스 제공과 신뢰를 바탕으로 교사와 학생이 정서적으로 유대관계를 지속할 수 있는 중학교의 제도적 장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주요어: 중학생, 자아탄력성, 자기통제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 자기통제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통제에 미치는 효과

        황성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통제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통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초등학교 5학년 22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들을 짝표본으로 구성하여 11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치한 후 이경님(2000)의 자기통제 척도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첫 시간에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주 3회, 4주간 동안 11회기의 자기통제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이 끝난 후 사후검사를, 5주 후에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얻었다. 자기통제훈련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통제집단의 학생들과 비교해서 자기통제 전체와 하위영역 일부분(사려숙고성, 과제인내, 유혹저항, 정서통제, 친구관련통제)이 향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and examine its effect on students of a elementary school's self-control.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will impro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control. Second,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will improve 6 sub-factors of self-control: prudence, task-patience, temptation-resistance, emotional control, control related friends, control related teach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 students in S elementary school in Donggu, Daegu, who understood the goal and procedure of the training program and hoped to join the program. They were organized into 2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each having 11 students. This program for improving self-control was carried out three times a week for 11 sessions(each session lasted for 50-60 minutes). The effect of self-control program was measured with a rating scale of self-control that was developed by Lee, Kyung-Nim(2000). The rating scale of self-control in this study consists of 6 sub-factors: task-patience, temptation-resistance, emotional control, control related friends, control related teacher. The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of this study was based on Kim, Hun-Bae(2006)'s self-control programs, which were modified into the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with a specialist's help to be proper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ta analysis, based on pre-test, post-test and further-test, ANOVA of SPSS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 of the program.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for hypothesis testing was set at .05.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n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self-control. Second, the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5 sub-factors of on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self-control. : prudence, task-patience, temptation-resistance, emotional control, control related friend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has been developed and its effect has been proved.

      • 취업모의 근무시간 외 업무 목적 스마트기기 사용이 유아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 일-가정 갈등과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허용 동기의 순차적 매개효과

        장현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resent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processes linking employed mothers’ work-related smart device use after work hours and preschoolers’ self-control, focusing on the serial medi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f mothers’ work-family conflict and motivation for allowing smart device use. A valid sample of 380 three to five-years-old preschoolers’(boys: 159, girls: 221) mothers was recruited, and participants answered online questionnaire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a sequential mediational model using SPSS 25.0.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loyed mothers’ work-related smart device use after work hours, work-family conflict, motivation for allowing smart device use, and preschoolers’ self-control.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ployed mothers’ work-related smart device use after work hours related to preschoolers’ self-control were not significant. However, we found that work family conflict and motivation for allowing smart device us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eschoolers’ self-control. The 95% confidence intervals indicate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work family conflict and motivation for allowing smart device u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d mothers’ work-related smart device use after work hours and preschoolers’ self-control was significant, which supported the hypothesized sequential mediation mode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mechanisms to enable the development of preschoolers’ ability to control oneself. This study focused on the role of working mothers’ work-related smart device use after work hours to stress how working mothers' juggling multiple roles in work, family, and household which lead to inappropriate motivation for allowing smart device use to their children, and, later, moderates preschoolers’ ability to self controlled and to remain controlled. A policy on restricting all matters relates to work through smart device after work hours could counte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life conflict, and working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the use of the smart device. Above all, as a result of the COVID-19 pandemic, which now, more than ever, an effective management policy to lessen work-related smart device use after work hours for employees is needed to be set to prevent from feeling overwhelmed which will impair their mental, physical health and affect their children’s behavioral functioning. 본 연구에서는 취업모의 근무시간 외 업무 목적 스마트기기 사용이 유아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취업모의 일-가정 갈등과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허용 동기의 순차적 매개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만 3세, 만 4세, 만 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380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온라인 설문을 통한 자기보고식으로 이루어졌다. 유아의 자기통제력은 이정란(2003)의 ‘유아의 자기조절력능력 검사’ 질문지를 강영순(2014)이 수정한 도구에서 하위 요인인 자기통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Richardson과 Benbunan–Fich(2011)의 척도를 김형진 등(2019)이 수정·보완한 도구에서 일부 수정하여 어머니의 근무시간 외 업무 목적 스마트기기 사용을 측정하였다. 또한 Small과 Riley(1990)가 개발한 도구를 서혜영(1998)이 어머니라는 대상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어머니의 일과 가정간의 갈등 양상을 측정하였다.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허용 동기는 곽노의와 임은정(2013)이 개발하고 타당화한 ‘부모용 유아 스마트기기 이용 수준 척도’의 사용 동기의 적절성 요인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초 분석에 필요한 기술 통계, 독립 표본 t 검증, 적률 상관분석을 실시한 후, SPSS PROCESS Macro에서 Hayes(2017)가 제안한 PROCESS macro의 Model 6을 사용하여 순차적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Preacher et al., 2007).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인 유아와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유아의 연령, 유아의 스마트기기 최초 사용 시기)에 따른 측정 변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근무시간 외 업무 목적 스마트기기 사용과 유아의 자기통제력 간의 직접적인 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근무시간 외 업무 목적 스마트기기 사용이 유아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어머니의 일-가정 갈등 또는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허용 동기의 단일 매개 효과에서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즉, 어머니의 근무시간 외 스마트기기를 통한 업무의 빈도가 높을수록 어머니의 일과 가정 간의 갈등 수준이 심화되고, 높은 일-가정 갈등 수준은 유아의 자기통제력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근무시간 외 스마트기기를 통한 초과 근무 시간이 많을수록 어머니가 자녀에게 스마트기기 사용을 허용하는 동기가 부적절해지고, 어머니의 자녀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허용 동기가 부적절해질수록 유아의 자기통제력을 낮추었다. 넷째, 어머니의 근무시간 외 업무 목적 스마트기기 사용이 유아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어머니의 일-가정 갈등과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허용 동기의 순차적 매개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가 근무시간 외에 업무 목적으로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어머니의 직장과 가정 간의 갈등 수준이 높아지고, 이는 어머니의 자녀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부적절한 허용 동기를 높여 유아의 자기통제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유아의 자기통제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취업모의 일-가정 간의 양립을 위한 적절하고 올바른 사회, 문화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또한 유아기 자녀의 스마트기기 사용과 관련해 어머니와 유아기 자녀 사이에 정서적 유대와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증진시키고 올바른 인식을 함양할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