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병원 간호사에 대한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정서적 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LMX, 지각된 조직지원 및 병원규모의 조절효과

        김상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인지한 조직 내의 임파워먼트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그 과정에서 LMX, 지각된 조직지원, 병원규모를 조절변수로 하고 직무만족과 정서적 몰입을 매개변수로 하는 인과모형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 내용과 같다. 첫째, 임파워먼트의 하부 구성요소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의미성, 권한능력, 유능함의 3개 차원으로 재구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인과관계 측면에서, 임파워먼트는 직무만족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또한 임파워먼트는 정서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은 정서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직 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몰입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효과 측면에서 병원규모의 경우에,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간에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LMX의 경우에, 임파워먼트와 정서적 몰입 간에 LMX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조직지원의 경우에, 임파워먼트와 정서적 몰입 간에 지각된 조직지원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권한의 일부 위임과 공유를 통해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어야 한다. 구성원 간의 권한의 적절한 분배는 간호조직을 좀 더 효율적으로 만들며 구성원의 직무만족도는 높아질 수 있다(Kanter, 1979). 둘째, 일단 권한을 위임받아 임파워먼트된 간호사는 자기 업무에 대한 긍정적인 몰입이 커지고 주도적으로 업무에 임하려고 하며, 업무에 대한 자신의 의미성도 높아지게 된다(Thomas & Velthouse, 1990). 그리고 상사와의 관계와 조직지원이 커질수록 그 영향력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들이 직무에 대한 정서적 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권한의 일부 양도 또는 공유와 함께 상사와의 관계유지와 인지할 수 있는 조직차원에서의 가시적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부하 간호사의 직무에 대한 정서적 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임파워먼트와 함께 높은 LMX가 요구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사 간호사는 부하 간호사와의 상호소통을 통해 직무와 관련하여 언제나 지원할 의도가 있음 표시하고 상호 신뢰를 쌓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상사 간호사는 직무만족과 조직에 대한 정서적 몰입 정도를 제고시키기 위해 부하 간호사의 업무활동에 대한 일부 권한을 주거나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간호사들이 직무에 만족한다고 반드시 이직의도가 낮은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서적 몰입이 직무만족에 후행하고 이직의도에 선행하는 연구모형의 구조에서 정서적 몰입이 이직의도에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어 정서적 몰입이 강력한 매개효과를 보인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간호사들이 정서적 몰입을 높일 수 있도록 권한위임과 직무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방안이 필요하다. 끝으로 본 연구는 몇 가지 연구의 한계를 가지며 향후 이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empowermen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nurses in the hospital and synthetically examines leader-member exchange theor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the casual model with hospital size as a moderating variables and affirmative involvement and job satisfaction as parameter.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bcomponents of empowerment can be reconstructed into three dimensions of meaning, authority, and competence in this nurse oriented study. Second, in terms of causality, empower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emo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commitment, however it does not has significant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In contrast, emotional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ird, in terms of moderating effect, there was no adjustment effect between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in the case of hospital scale. By contrast, in the case of LMX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ere was moderating effect between empowerment and emotional commitment. The operation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nurses through partial delegation of authority and empowerment. Appropriate distribution of authority among the members makes the nursing organization more efficient, and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Kanter, 1979). Second, the empowered nurses are more likely to affirmatively immerse, commitment, and meaningfulness in their work (Thomas & Velthouse, 1990). Therefore, as the relationship with the superior and organizational support increased, the influence increased. Thus, in order to increase the emotional commitment of the nurses, it is necessary to maintain relationship with superior and visually support in the organizational dimension with the partial delegation of authority and empowerment. Third, empowerment and high LMX is required to increase the emotional commitment of subordinate nurses. In order to do this, superior nurse should indicate their intention to support and construct mutual confidence through intercommunication to subordinate nurses. Fourth, superior nurse should be able to empower partial authority on the job activities of the nurse in order to improve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the emotional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of subordinate nurse. Fifth, the fact that nurses are satisfied with their jobs does not absolutely give rise to low turnover intention. However, as emotional engagement is followed by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has a strong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in the structure of the research model preceding the turnover intention, it is considered to have a strong mediating effect.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and future studies are required. First,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locally limited. Secon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nurses in large, medium and small medical institutions in Korea, this study do not imply comparative study of differentiation for each medical institution and difference incasual relation between domestic and overseas comparison. Third, the numerous nurses with short career who account for majority in occupation field are investigated. Additional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in the study hereafter.

      • 임파워먼트에 기반한 초등사회과 협동학습 원리의 재탐색

        홍혜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자신의 삶과 나아가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민주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임파워먼트를 바탕으로 초등사회과 협동학습의 원리를 재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사회과 협동학습을 통하여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이 긍정적으로 상호의존하게 되고, 동등하게 문제 해결에 참여하는 것은 민주 시민의 자질을 육성하는 과정이다. 임파워먼트는 사람들 각자가 가지고 있는 파워를 발현하도록 한다. 각자의 파워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학습자들은 주변적 존재가 아니라 주체임을 강조하게 되고, 학습자가 주인이 되는 수업이 가능해진다. 학생들이 더욱 임파워된 존재로서 자신의 능력을 펼쳐 보이기 위해서 사회과학습은 적절한 집단 안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파워를 인식하고 발전시킬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임파워먼트에 기반하여 초등사회과 협동학습의 의미를 재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먼트는 개인 역량의 신장을 가능하게 한다. 임파워먼트는 계속해서 성장하고 발전하는 것으로, 학생들은 새로운 역량을 발견하고 발휘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 이 자신감은 개인 역량 성장의 발판이 되어 준다. 둘째, 사회과 협동학습은 학생들의 임파워먼트를 바탕으로 자기생산성을 가지고 사회과 학습을 하게 한다. 사회과의 지식은 일상생활과 관련된 맥락적 관점에서 학습되어야 한다. 사회과 협동학습은 학생들의 수업이 이루어지는 장소와 시간을 곧 그들이 살아가는 실제의 모습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경험적 맥락 속에서 사회과 지식을 생성하게 한다. 셋째, 사회과 협동학습은 임파워된 학생이 주인의식을 가지고 실천하고 참여하는 삶을 살 수 있도록 한다. 사회과에서 학생의 임파워먼트는 학습자 스스로의 힘으로 사회 현상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바르게 이해하고, 자신과 사회의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고 실천하게 한다. 넷째, 사회과 협동학습은 임파워된 학생들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최적의 환경을 보장한다. 사회과 수업에서 존중되는 임파워먼트는 학생들이 권한과 책임을 느끼게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동료들과 함께 수평적 의사소통을 통해 협력적이고 주체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다섯째, 사회과 협동학습에서의 임파워먼트는 학습자와 학습과정에 대한 책임을 공유하는 것이다. 사회과수업에서 학습자는 교실 사회에서 사회적 존재이며, 그들도 현 사회의 구성원임을 인정하고 교사와 학습자는 스스로의 변화와 참여를 유도하는 사회과 수업을 함께 구성한다. 사회과 협동학습은 협동학습이라는 기법으로서의 적용을 넘어서 사회과교육의 실천원리로 작용할 수 있어야 한다. 학생의 임파워먼트를 바탕으로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이 긍정적으로 상호의존하며, 동등하게 문제 해결에 참여하는 것이 사회과학습의 과정이자 민주 시민의 자질을 육성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 비서의 임파워먼트(Empowerment)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 분석연구

        임주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임파워먼트는 최근 조직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새롭게 부각되는 개념으로서 조직구성원들 개인과 조직의 상호발전을 도모한다는 차원에서 그 중요성을 지닌다. 이에 조직경영의 핵심에 위치하여 경영진을 보좌하는 비서의 경우, 전략적 핵심구성원으로서의 자래 매김을 하기 위하여, 새롭게 변화하고 확장되는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주요한 수단으로서 임파워먼트를 적용시켜 보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그 일차적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는 비서의 임파워먼트 정도를 비서의 내재적 과업동기와 상사와 동료들과 상호 임파워먼트 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였고,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행요인들로는 변화지향적 조직분위기, 자긍심, 직무성숙도, 직무특성, 그리고 상사의 리더십스타일을 선택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의 실증을 위한 연구는 서울시내 4년제 정규대학을 졸업한 비서 1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법을 시행하였고, 총 103명의 설문을 SPSSWIM 7.5 Verson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후진제거법에 의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개인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특성과 변혁적 리더십, 직무성숙도의 순서로 나타났고, 거래적 리더십과 변화지향적 조직분위기, 자긍심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상호 임파워먼트를 결과변수로 실시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자긍심과 변화지향적 조직분위기, 직무특성의 순으로 상호 임파워먼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고, 거래적 리더십, 직무성숙도, 변혁적 리더십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이 실증되었다. 분석결과는 비서직의 직무특성을 통한 직무설계 및 직무에 대한 능력의 강화와 이를 통한 자긍심의 고양,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변화와 혁신을 강조하는 분위기, 그리고 새로운 멘토개념의 변혁적 리더십이 비서의 임파워먼트에 중요한 요소임이 밝혀져, 앞으로의 비서들의 임파워먼트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모색에 시사점을 가진다. 향후, 임파워먼트 연구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의 발전과 더불어, 선행변수의 양적, 질적 확대, 연구의 일반화를 위한 표본 수집, 임파워먼트의 원인과 결과를 모두 포함하는 통합적 연구, 임파워먼트의 인과적 과정에 대한 명료한 추정을 위한 종단적 연구 등이 시행될 때 비서의 임파워먼트에 관한 연구는 보다 큰 발전이 도모됨과 동시에 연구의 의의를 지니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measure a secretary’s empowerment level by finding its empowering factors under the assumption that empowerment fosters the creativity and intrinsic task motivation of secretary. Through a intensive literature review,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limate, self-esteem, job maturity, job characteristic,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ere selected as the major empowering factors of influencing secretary’s individual empowerment level and the ability to empower others. For empirical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from secretaries who completed four-years of college education. Among 120 responses, 103 samples were used for valid statistical analysis because 17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WIN 7.5 Version program. As a result, job characteristic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maturit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individual empowerment. As to the ability of empowering others, self-esteem,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characteristic were found to be meaningful. These results gave some managerial implications that in order to develop secretary’s empowerment level, 1) further study on job characteristic of secretary’s is needed, 2) secretary should possess task ability and self-esteem above all, 3) leader must exercise his or h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ch consist of charisma, individual consideration, inspiration, intellectual stimulation, 4)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limate should accomplished to support individual empowerment.

      •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은경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The Influences of the Empowerments and the Job Stresses of the Nursing Teachers on the Intention to Change the Job. Han, EunKyang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about the influences of the empowerments and the job stresses of the nursing teachers on the intention to change the job. As such, the research problems that were set up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re the following: 1. Do the empowerments, job stresses, and the intentions to change the jobs of the nursing teachers have an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2. How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mpowerments, the job stresses, and the intentions to change the jobs regarding the nursing teachers? 3. How are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 empowerments and the job stresses of the nursing teachers on the intentions to change the job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the nursing teachers working at the private and family day care centers located in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the Gyeonggi-do region.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by having them as the subjects. Kim, Ji-eun (2010) adapted the School Participant Empowerment Scale (SPES), which is a scale for evaluating the level of the empowerment within the school environment, which was developed by Short and Rinehart (1992). In order to measure the empowerments of the nursing teachers, the feasibil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adaptation was re-verified. And the scale was used after revising and supplementing to suit the teachers at the day care centers. Kwon, Gi-tae (1990) adapted the scale regarding the job stresses of the teachers of Moracco, Danford and D’Arienzo (1982). And Shin, Hye-yeong (2004) re-organized it for the measurements regarding the teachers at the day care centers as the subjects. In order to measure the job stresses, the thing that was re-organized was used. Allen and Meyer (1990) developed a scale, and Kim, Myeong-soo (2012)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scale with the sentences that are suitable for the nursing teachers. In order to measure the intentions to change the jobs of the nursing teachers, this new scale was used. In order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the empowerments and the job stresses of the nursing teachers on the intentions to change the jobs, by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t-test, the ANOVA, the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If I were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y are the following: Firstly, as a result of taking a look 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mpowerments, the job stresses, and the intentions to change the job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regarding the nursing teachers, regarding the empowerments of the nursing teacher, the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regarding the job stresses of the nursing teachers, in relation to the ages, the academic backgrounds, the ages in charge, and the types of the work,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regarding the relationships with the parents of the students, the ability to guide of the Director, and the insufficiency of the administrative support. Regarding the intentions to change the jobs of the nursing teacher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according to the variables. Secondly, as a result of taking a look a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mpowerments, the job stresses, and the intentions to change of the nursing teachers, between the empowerments and the intentions to change the jobs, a negative correlation appeared. And, regarding the job stresses and the intentions to change the jobs, the positive correlation appeared. Thirdly, as a result of finding out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 empowerments and the job stresses of the nursing teachers on the job stresses and the intentions to change the jobs, the empowerments and the job stresses of the nursing teachers appeared a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tentions to change the jobs of the nursing teachers. Such results imply that,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job stresses of the nursing teachers are a representative variable that increases the intentions to change the jobs and the fact that the empowerments of the nursing teachers are a representative variable that reduces the intentions to change the jobs, even if the nursing teachers are the nursing teachers who have the high job stresses, if the empowerments, as the internal confidence and the nursing teachers' own capabilities, can be increased, the intentions to change the job of the nursing teachers can be reduced. Keywords: Empowerment, job stress, and intention to change the job. 국 문 초 록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임파워먼트, 직무스트레스, 이직 의도는 차이가 나타나는가? 2.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간의 관계가 어떠한가? 3.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 지역 소재 민간, 가정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를 측정하기 위해 Short와 Rinehart(1992)가 개발한 학교환경 내의 임파워먼트 수준 평가척도인 SPES(School Participant Empowerment Scale)를 김지은(2010)이 번안한 후 타당성과 신뢰성을 재검증한 것을 어린이집 교사에 맞게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Moracco, Danford와 D’Arienzo(1982)의 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권기태(1990)가 번안하고 신혜영(2004)이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Allen과 Meyer(1990)가 개발하고 김명수(2012)가 보육교사에게 적합한 문장으로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적률상관분석 그리고 중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임파워먼트,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는 모든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연령, 학력, 담당연령, 근무유형에서는 학부모와의 관계와 원장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서는 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임파워먼트와 이직의도 간에는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정적인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스트레스는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를 증가시키는 대표적인 변인이고,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는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대표적인 변인임을 고려할 때,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가진 보육교사라 해도 내적 자신감과 자신의 역량으로서의 임파워먼트를 증진시킬 수 있다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임파워먼트가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군 조직을 중심으로

        손성철 위덕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임파워먼트가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군 조직을 중심으로- 군 조직은 그 특성상 계급과 직책에 따라 적법하게 권한을 행사하여 예하 부대나 부하를 다스리는 지휘와 능률을 추구하는 관리적 성향만으로는 성공적인 임무완수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조직의 목표를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목적 및 방향제시와 동기부여를 통하여 예하 조직 및 구성원의 능력이 부대목표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리더의 역할뿐만이 아니라 조직 구성원작 능력과 자발적인 참여가 있어야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조직목표 달성과 관련된 조직의 효과성을 강조하는 군 조직은 그 특성상 리더의 역할이 중요하다. 즉 인격과 능력이 탁월한 리더가 구성원을 감화시켜 임무수행에 전력 투구한 수 있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성원은 관 조직 목표 달성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중요한 요소이며, 리더와 다른 차원에서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동등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조직목적 달성에 필요한 역량을 구비하도록 육성하여야 하고 조직의 권위와 규범에 따라 주어진 임무를 달성할 수 있는 능력과 자세를 견지시켜야 한다 따라서 자율성의 확대라는 해석되는 임파워먼트 개념의 도입은 관 조직의 효과성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군 조직은 주로 거대한 인적 자원으로 구성된 특수집단이다. 제대별 책임제 관리 및 분권화 전투임무 수행이 가능하여야 예상되는 장차 전장상황에서 포착된 호기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조직의 효과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군 조직과 같은 특수한 환경에서는 리더십과 리더십이론의 한계를 팔로워십으로 보완하고 리더와 구성원인 팔로워가 조직목표달성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임파워먼트 시켜야 조직의 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조직의 특성상 군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능력을 개발하고 동기를 유발하는데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조직의 효과성을 향상시키는 데는 여러 가지 요소가 있지만, 특히 군 조직에서의 임파워먼트는 리더와 팔로워인 구성원에 동기를 부여하고 자율성을 증진시켜 평시 및 전시에 조직의 기인성은 유지시킨다면 효율적인 임무수행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제2장 (조직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임파워먼트)과 제3장 (군 조직에서의 임파워먼트 도입효과)을 바탕으로 개인, 집단 및 조직수준의 임파워먼트를 도입했던 사례를 분석하여 개인 임파워먼트가 집단으로 전이되고 조직의 역량으로 승화되는 것을 검증하였다. 군 조직에서의 조직의 효과성은 향상을 위하여 리더뿐만이 아니라 구성원의 팔로워십이 갖추어 져야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계발할 수 있는 과정으로 임파워먼트가 꼭 필요하다. 군 조직의 효과성은 부대 지휘행동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어떻게 효과적으로 군 조직의 효과성을 향상시킬 것인가 하는 것이 중요한 관건이다. 임파워먼트의 이론을 적용한 군 리더십이론을 군 조직의 특성에 맞게 발전 시켜야 하겠다. 핵심 되는 어휘 : 지휘, 관리, 리더십, 팔로워십, 임파워먼트, 조직의 효과성 Military organization due to it's special characteristics is hard to complete a successful mission with administrative tendency which pursues efficiency and command that uses authority according to corresponding rank and position.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unit's objectives more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have a process that makes abilities of subordinates and components concentrate on the objectives by indicating aim & direction and encouraging incentives. In other words, abilities of organization's members and involuntary participation other than a role of leader can accomplish the objectives effectively. Therefor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can be improved. Thus, due to its special characteristics, in military organization which emphasizes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the leader's role is crucial, The leader of notable personality and capability should be capable of strengthening followers so that they can concentrate on performing their missions with their best. However, components actually make up crucial elements when achieving the objectives. Thus, components should develop their capability necessary to reach the goal of organization and possess a desirable attitude and ability to accomplish given missions according to authority and policies of the organization. Moreover, military organization is a special organization mostly composed of large number of personnel. In future battlefield status which can be forecasted only when unit responsibility system and decentralized combat mission are enabled, observed good opportunity can be maximized. In order to do this,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should be improved. In the special circumstances such as military organization, followership compensates leadership and limitation of leadership theories and to contribute to effective accomplishment of organization objectives, leader and follower should be empowered so that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can be improved. Thus, military leadership has limitations in developing capabilities of components and drawing their· incentives. There are several elements to improv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however, empowerment within military organization encourages incentives, promotes autonomy, and maintain agility of organization during wartime arid armistice so that effective performance of mission will be enabled. Thus, this paper analyzed cases when empowerment was needed and when empowerment was applied based on chapter 2 (empowerment for improvement of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chapter 3 (effects when empowerment was applied in military organization). To improve effectiveness of military organization, not only leader but also components' fo1lowership should be prepared and as a step to develop this effectively, empowerment is necessarily needed. Efficiency of military organization is an ultimate objective in commanding units. How to improve effectiveness of military organization effectively is a significant issue. The way to improv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is to develop leadership theory in appliance with leadership theory and followership & empowerment theory according to special characteristics of military organization. Key words : command, management, leadership, followership, empowermen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임파워먼트가 팀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행자 광주대학교 경상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임파워먼트는 근래에 들어 관심을 받기 시작한 개념으로 흔히 말하는 권한위임만이 아니라 조직구성원의 역량을 증대하고 이의 활용과 확산을 통해 능동, 자율, 창조경영을 추구하여 결과적으로 성과 증진과 조직발전을 추구하려는 개념이다. 따라서 조직은 구성원들을 임파워먼트시킬 수 있도록 조직의 방향성이 정립되고, 권한구조가 개선되어야 하며, 조직적 지원과 교육훈련기회가 확대되고, 팀 규범이 정립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팀 몰입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팀 역량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기업 내 임파워먼트 실천을 구체적으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의 임파워먼트 수준에 따라 팀 역량의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팀 지식 수준, 팀 스킬 수준, 팀 태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팀 몰입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팀 역량요인이 구성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다른가를 분석한 결과, 남자는 팀 태도요인인 상호신뢰와 응집력이 팀 몰입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여자는 팀 태도요인인 공유비전이 팀 몰입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령별로는 20대는 팀 태도요인인 공유비전이 팀 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30대는 팀 태도요인인 상호신뢰와 응집력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40대 이상은 팀 태도요인인 상호신뢰와 응집력이 팀 몰입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년수에 따라서는 5년 미만의 경우는 팀 태도요인인 상호신뢰와 응집력이 팀 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5년 이상 10년 미만의 경우도 팀 태도요인인 상호신뢰와 응집력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년 이상의 경우도 팀 태도요인인 상호신뢰와 응집력이 팀 몰입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 내 지위에 따라서는 팀원은 팀 태도요인인 공유비전이 팀 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팀장은 팀 태도요인인 상호신뢰와 응집력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급에 따라서는 사원급은 팀 태도요인인 상호신뢰와 응집력이 팀 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대리급은 팀 태도요인인 공유비전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과장급은 팀 태도요인인 상호신뢰와 응집력이 팀 몰입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차장급 이상은 팀 지식요인인 팀 사명과 목표의 이해가 팀 몰입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을수록 팀 역량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팀 몰입은 팀 지식이나 팀 스킬보다는 팀 대도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 특히 상호신뢰와 응집성 및 공유비전이 구성원의 개인적 특성과 관련 없이 팀 몰입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Empowerment, which is recently attracting public attention, means not only the simple commission of power but also the increase of the capability of each member of the organization by which more creative management can be possible. Therefore all organization need to offer better chance of education for members, pursuing the establishment of team morality. From this viewpoint, this study tried to explain the factors which make the empowerment of the organization possible by clarifying team competence.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When I analyze whether the efficiency of a team is influenced by the level of empowerment, the team of higher level of empowerment also shows higher level in team knowledge, team skill, and team attitude.. Second, When I analyze whether the team competence wa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men are usually influenced by the factor of team attitude such as mutual trust, while women are more influenced by the publicly-owned vision. Analyzing by the age, people in their twenties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publicly-owned vision, while the thirties and the forties by the factor of mutual trust. Also in regards of years of service, all members was seriously influenced by the mutual trust among themselves and cohesiveness in improving team efficiency. Analyzing from the viewpoint of the position in the organization, common members of the team a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mutual trust, a factor of team attitude, in team involvement, while mutual trust and cohesivenes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leaders of team. Lastly, Seen from the viewpoint of position in the organization, common officers are mainly influenced by the mutual trust and cohesiveness in team involvement. while managers only by mutual trust, middle manager by mutual trust and cohesiveness and others who enjoy higher positions by the factors of team knowledge such as the understanding of goals and mission of the team. As the result, we can fi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mpowerment, the more efficient the organization becomes. Also the attitude of team exerts stronger influence on team involvement than factors such as team knowledge or team skill. Especially we can realize that mutual trust, cohesiveness and mutual vision were the main factors in deciding team involvement regardles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team.

      • 임파워먼트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강원도청 공무원을 중심으로

        이진기 강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행정기관에 임파워먼트가 도입되면 조직효과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분석해보고,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몰입에 성별, 나이, 직급, 직렬, 근무지, 근무기간 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공무원 개인의 자발성과 창의성이 결합된 인식변화를 이끌어 내고, 또한 조직성과 달성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시대적 상황인식 하에 많은 기존의 선행 연구 이론들을 살펴보고 강원도청공무원을 대상으로 임파워먼트가 조직효과성 즉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계를 밝히고자 했다. 가설검증을 위해 2012년 8월11일부터 10월5일까지 약 2개월에 걸쳐 강원 도청직원을 대상으로 338부의 설문지를 회수한 후 유효 응답한 330부를 통계프로그램 SPSS19.0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도의 신뢰성과 타당성분석을 위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종속변수인 조직효과성의 조직몰입에서 5번, 6번 문항의 요인 부하량이 비슷하게 나타나서 연구 결과분석에서 이를 제외하였으며, Cronbach's alpha값이 0.76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내적 일관성을 갖고 있어 전체 항목을 하나의 범주로 분석하였다. 둘째, 집단 간의 인식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과 ANOVA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급에서만이 모든 변수에서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과 근무지는 이와는 반대로 모든 변수에서 인식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렬에서는 임파워먼트의 역량만이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이, 학력, 근무기간에서는 대부분의 변수에서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Scheffe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설 1?2에서는 임파워먼트의 의미성과 영향력이 각각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고, 가설 3에는 임파워먼트의 의미성, 역량, 영향력이 직무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가설검증 결과 임파워먼트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설은 모두 부분채택 되었다. 본 연구결과 나타난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공무원이 임파워되면 개인의 발전뿐만 아니라 조직의 성과향상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즉 집행부 에서는 조직원들이 임파워먼트화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할 뿐만 아니라, 조직에 대한 애착 및 조직원 자신의 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조직원에게 임파워를 부여해 주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조직의 성과가 향상 될 수 있도록 하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향후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실증조사 대상자를 강원도청공무원으로 한정하였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강원도 전체 또는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전체, 그리고 공공조직 공무원 전체 등으로 확대하여 연구되었으면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임파워먼트의 개인차원에서만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집단차원과 조직차원에서도 연구가 진행되었으면 한다. 셋째,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에는 조직문화, 갈등, 리더십, 혁신, 학습조직, 교육훈련 등 다양한 요인들이 있는데 이들 요인들을 종합한 통합적 연구가 진행되었으면 한다. 또한, 이들 요인들이 조직효과성에 미친 영향에 대한 성과평가, 주민만족도 등에 대한 결과 측정도 병행하여 연구가 진행되었으면 한다. 넷째, 연구의 방법도 설문지와 심층면접을 병행해서 연구가 진행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changes of the public officers' attitudes combined with spontaneity and creativity and to seek the ways to accomplish the achievement of organization by analyzing the impact of empowerment implemented to the administrative agencies and grasping the effects of gender, age, position, occupational group, working place, length of working on the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argeted the officials at Gangwon Provincial Government, the statical programme SPSS19.0 has been used in this study to verify the hypothesis. After the factorial analysis for reliability and feasibility, the question 5 and 6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dependent variable) have been eliminated because of its factor load similarity. And the Cronbach's alpha figure is higher than 0.76, which means it has internal consistency, all the questions has been analyzed as one categor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Test and ANOVA analysis to find the perception gap between the groups, there are gaps on all variables only in the position factor, and there is no gaps on gender and working place factors. Meanwhile, there are some gaps on most variables in the occupational group, age, academic background, and length of working factors. The regression analysis(Scheffe analysis) to verify the hypothesis proved that the semanticity and the influence of the empowerment have an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each(hypothesis 1,2) and the semanticity, competence and influence of the empowerment have an effect on the job commitment (hypothesis 3). So all hypothesis regarding the effect of empowermen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ave been adopted parti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presents that if the public officers would be empowered, it would affect not only on personal development but also on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improvement. It shows that making the empowering circumstances and empowering the organization members for strengthening it's competence is needed. Through this, the sustainable management is needed for organization's performance improvement There are 4 suggestions for the follow-up study. An object of study may be extended to all the public officers of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organizations. The study on empowerment may be conducted to the group level and organizational level also. The overall study would be implemented to the broadened factors which are affected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the organizational culture, conflicts, leadership, innovation, learning group and education and training. The method of study has to be combined with the questionnaire and the depths interview also.

      • 임파워먼트 기법을 활용한 역사적 사고력의 신장 방안

        지보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학생들은 학교 교육을 통해 자신들의 삶을 살아가는 데에 필요한 지식뿐만 아니라 기능을 습득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의 교육과정은 이러한 방향으로 개정되어 가고 있으며 교실수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업의 중심을 학생활동에 두고 이를 통한 학습자 역량 강화와 배움의 경험을 중요하게 여기게 되었다. 교실수업과 학습과정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학습활동의 직접적인 요인인 학습자 및 학습 환경에 대한 분석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학습자 중심의 활동수업을 원활하게 전개하기 위한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에게 적합한 사고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수업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학생활동 중심 역사수업과는 구분되는 창의적 문제해결과정 중심의 임파워먼트 역사수업을 통해 사고과정을 경험하며 역사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고자 하였다. 연구자가 재직하고 있는 학교 학생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질적 설문 및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을 파악하였고, 학생들의 인지적, 사회적, 정의적 특성을 이해하였다. 재직교의 지역적 특성 및 사회·경제적 환경의 영향으로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학업성취 수준이 낮은 편이며, 성취감 부족으로 수업 중 학습활동에 소극적이었다. 새로운 문제에 대한 사고과정에 소극적이며 이를 표현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꼈다. 이에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학습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를 극복하고 능동적으로 사고과정에 참여하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임파워먼트 기법을 활용한 수업을 전개하였다. 임파워먼트는 경영학, 사회복지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고 있는 용어로 “~에게 권한을 부여하다.”, “~할 수 있도록 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주로 개인과 집단 차원의 “역량 강화”와 “권한 위임” 등의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청소년 복지 분야에서는 “자기를 제어할 수 있는 힘을 북돋워주는 것”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임파워먼트 개념을 교수학습과정에 도입하여 학생 임파워먼트를 제시하고, 문제해결력을 중심으로 한 학습자 역량 강화와 역사적 사고력 신장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임파워먼트와 역사적 사고의 관련성을 토대로 임파워먼트 영역별로 관련되는 역사적 사고력 요소를 분석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임파워먼트 역사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법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이를 실제 수업에서 적용하여 역사적 사고력 신장에는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았다. 임파워먼트 역사수업의 전개를 위한 목표 수립 및 내용 선정 과정에서 학생들의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성장을 위해 학습 역량 강화, 집단 협력 강화, 개인 인성 함양이라는 세 가지 영역의 학생 임파워먼트를 고려하였다. 수업모형 개발에서는 자기주도성을 기반으로 학습 양식을 익히며 학습 역량을 강화하고, 협력적 사고를 바탕으로 집단 협력 강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개인 인성 함양으로 자신의 학습경험을 스스로 구성하는 기회를 제공해 자기효능감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임파워먼트 역사수업의 세 가지 영역을 수업 설계에서 전개과정까지 일관성 있게 고려하였다. 임파워먼트 역사수업 내용으로 실제적 맥락을 가진 역사문제를 선정하였다. 이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창의적 사고를 경험하며 자신의 학습경험을 만들어갈 수 있게 하였다. 수업사례로는 두 가지 주제를 선정하여 실천하였다. 첫 번째는 ‘한국바로알리기’ 홍보 수업이며, 두 번째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문화재 안내문안’ 작성 수업이다. 수업에서 학생들은 자신들이 설계한 문제해결과정에 따라 학습활동을 전개하며 학습 집단과의 토론을 통해 아이디어를 정교화 시켜 나갔다. 활동 이후에는 자신이 터득한 내용을 학습주제를 중심으로 연결 지어 의미를 부여하고 역사적 해석을 내리는 정리단계를 거쳤다. 개별 학생들마다 각기 다른 학습경험을 가질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수업을 위해 교사는 임파워먼트 기법을 활용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과정을 지원하고 집단의 협력적 사고를 유도하였다. 수업참여를 독려하는 안내자, 사고과정을 자극하는 촉진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임파워먼트 역사수업의 실천 결과로 학생들은 첫째, 문제해결과정에서 필요한 역사자료의 탐색 및 선별, 재구성과 표현과정을 통해 역사적 탐구력과 역사적 상상력을 신장할 수 있었다. 둘째, 학습 집단과의 교류를 바탕으로 역사자료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고 취사선택 할 수 있게 되었다. 합리적인 의사결정과정을 통해 자신만의 학습경험을 조직할 수 있게 되면서 역사적 판단력을 키울 수 있었다. 셋째, 역사 자료를 다루고 활용하는 과정에서 시간성의 개념을 획득하였다. 시대흐름에 따라 역사적 사실과 배경을 이해할 수 있게 되어 연대기 파악력이 길러졌다. 넷째, 학습 집단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협력적 배움을 실천하였다. 상호협력의 가치를 인식하고 다양성의 가치를 존중할 수 있었다. 다섯째, 자신이 실행할 수 있는 학습활동을 계획하고 실천하며 학생들마다 다양한 학습경험을 만들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성취감과 자기효능감을 가질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수업에서 다룬 역사 문제는 현실에서 실제 참여할 수 있는 문제이다. 자신의 생각과 가치 체계를 바탕으로 역사적 사실과 내용을 해석하고 재구성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활동은 현실과 맞닿아 있는 실제적 맥락에서 전개될 수 있었다. 역사수업에서 활용한 임파워먼트 기법은 능동적인 학습활동과 사고과정 촉진을 위한 체계적인 사고활동 지원체계라 할 수 있다. 임파워먼트 역사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인지적·사회적·정서적 역량이 강화되고, 역사적 사고력이 신장될 수 있었다.

      • 조리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천수 경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호텔 외식 분야에 대한 사회적 기대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호텔조리사의 인지도가 부각되고 있으며, 호텔 경영에서 임파워된 조리사는 또 하나의 경쟁 요소로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호텔조리사의 막연한 임파워먼트의 필요성에만 중심을 둔 연구가 아닌 보다 넓은 시각에서 이러한 임파워먼트를 조리사들이 인식하고 기업에 의해 구체적으로 실천 될 때 결과적으로 조직의 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서비스업의 고유한 특성상 타 산업에 비해 임파워먼트가 중요하게 다뤄져야 하고 또 하나의 경쟁요소로 요구되는 상황임에도 상대적으로 연구 관심이 희소하였던 호텔조리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리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연구 체계를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모형을 도출하고 실증적 연구를 통해 가설들을 확인하였다. 실증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확보된 296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 모형의 신뢰성, 적합성 등을 검토하여 총 6개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 조리사의 임파워먼트 요인 중 의미성과 자기권한은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임파워먼트에 의한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임파워먼트 및 직무스트레스를 통한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리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함으로써 이론적인 토대를 제공하였으며 호텔산업의 긍정적인 경영성과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조리사들에게 임파워먼트를 부여 시 인적자원 측면에서도 효율적인 성과를 기대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호텔경영에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조리사에 대한 임파워먼트의 지속적인 개선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는 조리사의 임파워먼트가 호텔의 경영성과를 넘어서 국내 관광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더욱 많은 집단의 조리사에 대한 연구와 임파워먼트와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측정항목의 개발이 필요하겠다. These days, empowered cook has become another element of competition in hotel management as social expectations toward hotel dining gets higher and thus high name recognition of cook means more than before. Therefore, this study is not the one that focuses on mere vague necessity of cook's empowerment but is the one, in a wider view, that is to notify the fact that it can eventually work positively to improve achievement of the whole organization when implemented in a detailed way by the firm and realized totally by cooks. Especially, we have concentrated in on empowerment of hotel cooks, which should be regarded with much more importance in service industry than in others and is now required to be as one of the main piece of competition, but without enough interests for research. Thus in this study we have offered a theoretical research system about influence of cooks' empowerment o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ade up a model based on this theory and identified hypothesis through objective research. As a result of putting 6 assumptions in total under investigation, examining credit and compatibility if research model based on 296 samples, collected for objective research, we have found out that the cook's empowerment does affect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rom work. We are to offer a basic data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improved working productivity. Key point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are: first, we provided theoretical fundamental through verifying influence of cook's empowerment o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will be a help to bring positive management success in hotel industry; second, we could know that effectiveness can be earned in terms of human resources, when endowing cooks empowerment and thus consistent improvement measures should be set up for cooks in order for hotels to secure its competitive power; Third, we have suggested that cook's empowerment can affect not only just a hotel's management success but also can procure competitive power of domestic tourism industry. Based on the conclusion, we need research on larger number of groups of cooks and development of measuring kit for empowerment and job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