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천공항의 에어사이드 안전 확보를 위한 전략 방안 연구 : 계류장 사고분석을 중심

        황명석 한국항공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인천공항을 Best safety 글로벌 허브공항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세계 대륙(국가)의 공항안전 현황에 대한 이론과 계류장 사고 유형을 통계학적으로 분석, 연구함으로 전략적으로 공항내 계류장 안전체계에 접근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특히 인천공항이 기존의 공항안전체계 유지에서 벋어나 좀 더 광범위하고 Pro-active한 안전체계 강화전략 수립함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단순하고 주관적인 방안제시가 아니라 합리적인 분석 데이터 제시를 위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비모수 검증을 이용하였고 공항안전분야 중 계류장 안전을 위해 중점을 두어야 하는 안전사고 유형이 무엇인지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세계 대륙별 허브공항의 계류장 안전사고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세계 공항들의 계류장지역(Apron)내 사고 추이는 운항 1,000회당 2000년 0.214를 시작으로 2003년 0.184를 저점을 찍고 점차 증가하는 추세임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06~’07년 주요허브공항의 주요 계류장지역내 incident 발생원인은 ‘항공기 선적장비’가 36% ‘기타’ 23%, ‘여객핸들링’ 12%를 나타내고 있다. 운항1,000회당 계류장내 사고발생비율은 ‘항공기 선적장비로 인한 항공기 피해’ 발생비율이 ‘06년 0.011에서 ’07년 0.036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타’를 제외하고 ‘여객핸들링 장비’로 인한 항공기 피해요인 발생빈도는(운항 1,000회당) ’06년 0.006에서 ‘07년 0.011로 상승하였다. 이처럼 주요 허브공항에서는 화물 물동량이 많음에 따라 화물선적 프로세스에서 계류장 사고가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함을 보여주고 있다. 향후 물류허브를 목표로 하는 인천공항으로서는 화물처리 시 안전 활동을 강화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대륙별 계류장내 사고빈도와 허브공항의 계류장내 사고빈도를 인천공항 계류장내 사고빈도와 비교분석하였다. 첫째 대륙별의 평균 계류장 Incident 발생율(운항 1,000회당 사고유형 A+B 빈도)을 인천공항과 비교하였다. ‘07년 대륙별 결과는 북미 0.094, 아시아 0.102, 라틴 0.107, 유럽 0.381 순으로 발생율을 보이고 있었으며 아시아-태평양에 속한 인천공항은 ’07년 0.015을 발생율을 보임으로 대륙별 평균과 비교시 상당히 낮은 계류장 사고 발생 빈도를 보이고 있다. 둘째 허브공항의 평균 계류장 Incident 발생율(운항 1,000회당, 사고유형 A+B 빈도)을 인천공항과 비교한 결과 인천공항은 incident to aircraft 카테고리에서 06년 0, ’07년 0의 발생율을 보여, 비교대상 공항과 비교할 경우 가장 낮은 사고율을 보이고 있다. Incident equip/fa(운항 1000회당, 사고유형 C+D+E 빈도)분야에서는 인천공항은 ‘06년 0건으로 본 연구에서 언급된 허브공항중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07년에 3건의 사고가 발생(발생빈도는 0.015)되어 ‘07년은 첵랍콕공항에 이어 낮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인천공항은 매년 높은 운항성장세를 보이고 있고, 본 논문에서 살펴본 명실상부한 4개의 허브공항들은 약 30만회 이상을 현재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인천공항이 명실상부한 세계의 허브 공항으로 가기위해선 앞서 살펴본 계류장내 사고의 카테고리 중 특히 발생빈도가 높은 ‘항공기 선적장비’(0.047), ‘여객핸들링’(0.017), ‘항공기 서비스장비’(0.014) 항목을 특히 주요하게 안전관리할 수 있는 전략적인 공항안전 체계를 준비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통계측면에서「공항규모에 따른 사고유형의 교차분석」에서는 공항규모에 따라 사고유형A~E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항 1,000회당 발생빈도를 비교 하였을 때 사고유형A/C/D/E는 중대형공항에서 소형공항과 최소 같거나 많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항공기 교통량의 증가에 따라 대부분의 계류장 사고유형은 증가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리고「대륙별 사고유형의 교차분석결과」는 사고유형A, 사고유형C를 제외하고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항 1,000회당 사고유형A/B/C/D/E의 발생빈도를 상호 비교할 경우 유럽대륙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대륙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대륙과 비교하여 약2배정도의 사고발생 비율이 많다는 것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항공산업에 분야에서 선진 공항이라고 생각되어지는 유럽대륙의 공항들이 다른 대륙보다 공항보다 운항1,000회당 계류장지역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점이었다. 마지막으로 「대륙에 따른 사고유형 비모수검증」에서는 유럽대륙의 공항 계류장내 사고유형B/D/E의 발생빈도가 타 대륙의 공항 계류장내 사고 보다 높다는 것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공항규모에 따른 사고유형 비모수검증」에서는 계류장내 사고유형A, 사고유형D, 사고유형E가 소형공항보다 중대형공항에서 많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중대형공항에서는 ‘이동항공기피해(사고유형B)’의 계류장사고보다 계류장내 ‘정지된 항공기피해(사고유형A)’, ‘장비피해(사고유형D)’, ‘시설피해(사고유형E)’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대형공항에 속하는 인천공항도 상기 언급한 계류장

      • 인천항 지역의 지반특성 분석

        권형택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43

        1883년을 시초로 부산항, 원산항에 이어 3번째로 외국에 문호를 개방한 이후로 인천항은 환황해권의 중심항만으로 발전하여 참여 정부가 추진 중인 동북아 중심국가 건설 계획을 이끌어 나가고 있다. 따라서, 인천항은 2011년까지 첨단 장비를 갖춘 외항을 개발해 항만 인프라를 확충하고, 항만 배후부지를 경제자유구역과 결합시킨 국제 종합 물류클러스터로 키워 나갈 계획이다. 그리고 인천항의 물류 네트워크를 인천국제공항-송도정보화신도시까지 연결하는 21세기형 첨단 신항만으로 건설해 나갈 비젼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비전에 발맞추어 조성될 인천항 지역의 지반조사 자료는 공사의 계획 및 설계 그리고 시공, 유지보수에 이르기까지 건설 전반에 공학적 판단근거를 제공하여 줄 뿐만 아니라, 지하자원의 탐사 및 개발에도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과거 인천항 지역의 지반조사 자료를 수집하여 지반특성을 분석하고 지반조사 자료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을 통해 인천항 지역의 지반 구성상태, 토질정수의 분포를 평면 분포도와 3차원 시각화로 나타냄으로써 알아보기 쉽게 하였고, 설계 및 시공에 있어 필요한 지점의 토질상태와 토질정수의 정보를 쉽게 분석할 수 있게 하였다. 연구 1단계로는 문헌 및 인천항에 대한 지반조사보고서를 통해 지반조사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조사 분석하였고, 2단계로는 지반조사 자료를 분석하기 쉽도록 표준화 제시 및 데이터 베이스 구축을 하였다. 3단계로는 데이터 베이스 구축을 통한 자료를 이용하여 지반 특성을 분석하고, 마지막 4단계로는 인천항 지역의 지반특성에 대한 3차원 시각적으로 나타내었다. Incheon Port has been developed as a core port around the Yellow Sea and is now leading the construction project that Korea can be a hub nation in the North-East Asia. Incheon Port is now planned to expand the port infrastructure by developing the outer port equipped with a state-of-the-art system and connect the region around the Incheon Port to the free economic zone so that it can be an international comprehensive physical distribution cluster. In addition, Incheon Port has a plan to be a newly high-tech port connection the network of physical distribution from the Incheon Internationl Airport to Songdo city. So the information of the geological investigations around the Incheon Port will not only give us the base of engineering decision, such as a plan,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but also provide us with the informative materials for the investigation and development of underground resources. This report is to make it easy to figure out the geological condition and the distribution of Soil Properties by 3-dimensionally visualizing and analyze the information of them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around the site. At the first phase, this report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materials for the researches by collection the materials through documents and reports of the geological investigations about the Incheon Port. As the second phase, this report constructs the data-base and suggests the standardizing of the materials to easily analyze. At the third phase,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by the materials through constructing the data-base. At the last phase,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around the Incheon Port are 3-dimensionally visualized. After this report, it will be easy to analyze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around the Incheon Port in detail by using this report.

      • 인천광역시 중소기업을 위한 산업디자인지원정책의 효율화 방향

        최양현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943

        As the globalization is accelerated due to expansion of free trade, corporations are changing their basis for competition from the cost to the quality, technology, design and the like in order to survive fierce international competition. As the paradigm of corporate decision-making is shifting from the producer-centered to the user-centered, intangible assets such as design and intellectual property are on the rise as major decision factor of corporate competitiveness. In 2011,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current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reported the importance of design value as follows: “In 2005, the employment inducement coefficient was 13.9 persons in design, 9.9 persons in automobile, and 4.5 persons in semiconductor and it means that design sector has far superior employment inducement rate to the other industries, and design investment has sales increase effect about three times more than general R&D and makes added value about twice more than automobile, semiconductor and other manufacturing industries.” We can see from this that design is a new momentum in the economic growth which is one of the most efficient strategies for the creation of employment. It is investigated that design has great influence in national competitiveness measuring element such as stock price as well as sales increase and creation of employment by developing new market and securing loyal customer. In 2007, UK Fast Company compared UK stock price rising rates of top 100 companies of stock price and leading design companies from 1994 to 2007, and it was analyzed that leading design companies have about twice as fast stock price rising rate. Meanwhile, Helsinki University (2008) presented in ‘Global Design Watch’ that national design capability measured through indexes like ‘corporate design R&D investment rate and capability for innovation’ was proportional to national competitiveness suggesting that the design capability can be evaluated as a national developmental asset over corporate domain. In addition, a New Zealand government-affiliated design promotion agency, BBD(Better by Design) published an article titled “Design or Die” in a periodic publication, and British Prime Minister Margaret Thatcher expressed the importance of design for national economy revival with the words “Design or Die” in the first cabinet meeting after her inauguration in 1979. In this way, the importance of design carries political value to secure national competence as well as management strategy that decides a company's survival and growth and so advanced countries like UK, Germany and Japan drive various kinds of design supporting policy. Korea's design supporting policy began with industrial support to secure competitiveness of export goods in 1960s and was strongly driven by the government; it is evaluated to have contributed so greatly on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national image improvement that developing countries consider introducing the policy model. However, it is actually a quantitative result-centered short-term policy mainly pivoted on a few special agencies entrust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rather than a coexistence model in which private organizations and various classes participate. Beside its eye-opening quantitative growth, qualitative competitiveness is quite behind that of advanced countries, and so it is urgent to prepare policy advancement plans to cope with pressing changes in global market environment such as FTA market-opening and rapid growth of BRICs. The first thing that should be improved is to guarantee the independency of policy enforcement themes and to struggle for creative policy enforcement. Korea seems to have built decentralized policy model of advanced country by establishing Regional Design Center and operating Design Innovation Center in each university but actually the central government assists a budget and manages the results thereby operating it in typically centralized model. Such a situation is not different with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other similar-sized metropolitan cities of the same administration unit. Incheon is a city located in the middle of Korean peninsula and has global competitiveness in the field of cargo logistics with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Incheon Port; it has geographical advantage of being adjacent to China with 1.3 billion population and Japan with 130 million population. Appointed as ‘Free Economic Zone’ in August 2003, Incheon Metropolitan City attracted ‘Green Climate Fund secretariat’ in October 2012 and ‘the World Bank Korea Office’ in October 2013 as well as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f UN; it holds 2014 Asian Games with economic ripple effect and improves international status with high development possibility. The Bank of Korea, however, announced in its competitiveness research on 6 metropolitan cities of Korea (2011) that Incheon more depends o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an knowledge service industry compared to the other metropolitan cities; as its per capita added value is low and due to its heavy dependence on the automobile, machinery and steel industries, it is urgent to accelerate its existing manufacturing industry structure. There are about 150,000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are stationed in 10 industrial complexes including Namdong Techno Valley and Songdo Knowledge and Information Industrial Complex; however, about 140,000 small enterprises have 10 or less employees taking up 93% of entire enterprises and they show parts industry-oriented structure. Especially, about 680,000 people which take up 24.6% of entire citizens are working for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showing high dependence on the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for living. In this way, Incheon overcomes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problem of scale and industry's structural problem with locational advantage and makes every effort to reform itself into an international city by fostering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such as industrial design. Incheon formed ‘Design Industry Development Council’ in 2003, designated ‘PM Project of Industrial Design’ in 2004, enacted ‘Industrial Design Promotion and Support’ ordinance in 2005, and established a design support center with its own budget in 2010 without any support from central government showing more vigorous movement than other metropolitan cities; also, Incheon has supported 502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for design development, 1,247 persons for design education, and 75 persons for international exchange of technology from 2004 to 2013 with KRW 18.15 billion of budget. Thanks to this record, the policy proceeding budget (annual average is more than KRW 300 million) and number of applying enterprises (46 enterprises in 2004 → 199 enterprises in 2013) are sharply increasing every year. However, Incheon highly depends on the central government's budget support to operate the industrial design support policy due to its difficult financial situation. Incheon has to take evaluation for quantitative performance record such as the number of supporting compared to annual budget and also has to evaluate special policy agencies such as Incheon Design Support Center, Incheon Techno Park, and Regional Intellectual Property Center with the same method. The agencies perform policies by force to preoccupy limited budget of Incheon making problems such as waste of budget due to overlapped budget projects, administrative practice for performance management disabling quality control of design results. Moreover, the policy operation is unstable in the aspect of policy operation as in-depth approach toward support policy performance analysis and enterprise request investigation has been insignificant. Despite difficult financial situation, Incheon exposes will such as preparing basis for the industrial design supporting policy and has made various performance results though it is focused on quantitative performances. Therefore, it is time to think about a direction for policy operation to develop policies considering local industri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to operate them efficiently, and the following measures shall be implemented for that purpose. Firstly, verify the result of supporting policies that Incheon has implemented so far, and if the result's efficiency is proved, investigate demands and requests from beneficiaries of the policy to plan future policy and prepare 'frames' to analyze them. Secondly, organize relevant legal system so that supporting policies can be operated for a long time in future-oriented point of view and necessary budget shall be secured. For this, it is necessary for the policy-related subjects to be aware of design value and so various measures such as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 ‘holding seminar’, ‘discovering successful cases’ should be developed. Thirdly, create win-win energy through collaboration of design related persons in Incheon region so as to link it to development in industrial design sector by building ‘a participation system of design governance concept’. The core contents of system building shall be the role allocation with public institution so that Incheon city's supporting policy can be improved into satisfaction-oriented 'customized supporting policy' by composing horizontal network model. Fourthly, Incheon city's design capability reinforcement. Incheon city shall prepare a basis to grow into a design-leading city by driving ‘securing design autonomy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tensifying capability of design provision basis (design firm, freelance designer)’, ‘intensifying design participation in Incheon city's driving plan 자유무역의 확대로 글로벌화가 가속화되면서 기업은 치열한 국제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방안으로 경쟁의 기반을 원가에서 품질, 기술, 디자인 등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기업의 의사결정은 생산자중심에서 사용자중심의 패러다임으로 전환되면서 디자인, 지식재산 등 무형자산이 기업경쟁력의 중요 결정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2011년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는 디자인가치의 중요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보도한 바 있다. “2005년 고용유발계수는 디자인 13.9명, 자동차 9.9명, 반도체 4.5명으로 디자인의 고용유발율이 타 산업에 비해 월등히 높고, 디자인투자는 일반 R&D에 비해 3배 수준의 매출증대효과가 있으며 자동차, 반도체 등 제조업 분야보다 약 2배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디자인은 경제성장의 새로운 모멘텀으로 수익과 고용창출에 가장 효율적인 전략 중 하나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디자인은 신 시장 개척과 충성고객 확보를 통해 매출증가와 고용창출 효과 외에도 주가(株價)와 같은 국가경제력 측정요소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2007년 Fast Company는 영국의 주가 상위 100대 기업과 디자인선도기업의 주가상승률을 1994년부터 2007년까지 비교한 결과, 디자인선도기업이 약 2배 더 빠른 것으로 분석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헬싱키대학(2008)은 ‘Global Design Watch’에서 ‘기업의 디자인 R&D 투자비율, 혁신을 위한 역량’ 등의 지표를 통해 국가의 디자인역량을 측정한 결과, 국가 경쟁력과 비례하는 것으로 발표하여 디자인역량이 기업영역을 넘어 한 국가의 발전적 자본으로 평가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뉴질랜드 정부산하의 디자인 진흥기관인 BBD(Better by Design)의 정기 간행물에서 “Design or Die”란 제목의 글을 게재한 바 있으며, 영국의 마가렛 대처 수상은 1979년 취임 후 첫 각료회의에서 “Design or Die”라는 말을 통해 국가경제 부흥을 위한 디자인의 중요성을 피력하였다. 이처럼 디자인의 중요성은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결정하는 경영전략은 물론,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적 가치를 지니게 되어 영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디자인지원정책은 1960년대 수출상품의 경쟁력확보를 위한 산업지원으로 시작되어 국가 주도로 강력하게 추진되어 온 결과, 산업발전과 국가이미지 제고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어 경제신흥국들이 정책모델도입을 검토하는 등 모범사례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민간단체를 비롯한 다양한 계층의 참여를 통한 상생모델이라기 보다는 산업통상자원부의 권위를 위임받은 몇몇의 전담기관을 주축으로 정량적 성과 중심의 단기적 정책으로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양적으로는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으나 질적 경쟁력에 있어서는 선진국에 비해 뒤쳐지고 있어 FTA 시장개방, BRICs의 급속한 성장 등 글로벌 시장 환경의 급박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책선진화를 위한 방안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가장 먼저 개선되어야 할 사항은 정책추진 주제들의 독립성 보장과 창의적 정책실행을 위한 노력일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역디자인센터를 설립하고 각 대학별로 디자인혁신센터를 운영하는 등 선진국의 분권형 정책모델을 구축한 듯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중앙정부가 예산을 보조하고 그에 대한 성과를 관리하는 등 대표적인 중앙집중형 모델를 운영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인천광역시를 비롯하여 규모가 비슷하고 행정단위가 같은 타 광역시들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인천은 한반도의 중심에 위치한 도시로써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 등 화물물류분야에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13억 인구의 중국, 1억3천만 인구를 가진 일본과 접근성이 가장 용이한 지리적 강점이 있다. 2003년 8월 ‘경제자유구역’지정, 2012년 10월 ‘녹색기후기금 사무국’과 2013년 10월 ‘세계은행 한국사무소’ 등 UN의 대형 국제기구를 유치하였으며 2014아시안게임을 개최하는 등 경제적 파급효과와 더불어, 국제적 위상도 향상되어 발전가능성이 매우 높은 도시이다. 그러나 한국은행(2011)은 6개 광역시의 경쟁력 조사에서, 인천은 타 광역시에 비해 지식서비스산업보다는 제조업의 비중이 높아 1인당 부가가치가 낮고 자동차, 기계, 철강산업 등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기존 제조업의 구조고도화가 시급하다고 밝히고 있다. 남동국가산업단지와 송도지식정보산업단지를 비롯한 10개의 산업단지에 15만 여개의 중소기업이 입주해 있으나 10인 이하의 소규모 기업이 14만여 개로 93%에 달하고 있으며, 부품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보이고 있다. 특히, 시민의 24.6%인 68만 명이 중소기업에 종사하고 있어 중소기업에 대한 생계의존도가 높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인천은 중소기업의 규모적 문제와 산업의 구조적 문제들을 입지적 장점으로 극복하여 국제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산업디자인과 같은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육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인천은 2003년 ‘디자인산업발전협의회’ 구성, 2004년 ‘산업디자인의 PM사업 지정’, 2005년 ‘산업디자인육성 및 지원’ 조례 제정, 2010년 디자인지원센터를 중앙정부 지원없이 자체예산으로 설립하는 등 타 광역시에 비해 활발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81.5억 원의 예산으로 중소기업 디자인개발지원 502개 기업, 디자인교육지원 1,247명, 국제기술교류지원 75명하는 등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추진실적에 힘입어 정책추진예산(매년 평균 3억 원 이상)과 신청기업 수의 증가추이(2004년 46개사 → 2013년 199개 사)도 매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은 재정상황이 어려워 산업디자인지원정책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예산지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매년 예산 대비 지원 건 수 등 정량적 실적에 대한 평가를 받아야 하며 인천디자인지원센터, 인천테크노파크, 인천지식재산센터 등 정책 전담기관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해야 하는 상황이다. 전담기관들은 인천의 한정된 예산을 선점하기 위해 무리하게 정책을 실행하여 지원사업 중복으로 인한 예산낭비, 실적관리를 위한 행정적 실행으로 디자인결과물의 품질관리가 이뤄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그간의 지원정책 성과분석과 기업요구 조사에 대해 심도있는 접근이 미미하여 정책운영의 효율성측면에서도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인천은 어려운 재정상황에도 불구하고 산업디자인지원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등 의지를 보이고 있으며, 정량적 실적중심이긴 하지만 다양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지역의 산업구조와 중소기업의 특성을 고려한 정책을 개발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정책운영방향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며, 이를 위해서 추진되어야 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이 그간 추진했던 지원정책을 성과를 검증하고, 성과의 효율성이 입증되었다면 향후 추진할 정책기획을 위해 정책수혜대상의 수요와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지원정책이 미래지향적인 관점으로 장기간 운영될 수 있도록 관련법 체계를 정비하고 예산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책관련 주체들의 디자인가치에 대한 인식제고가 필요함으로 ‘교육프로그램 개발’, ‘세미나 개최’, ‘성공사례 발굴’ 등 다양한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인천지역 디자인 관련자들의 협업을 통해 상생에너지를 창출하여 산업디자인분야의 발전과 연결될 수 있도록 ‘디자인 거버넌스 개념의 참여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체계구축의 핵심내용은 수평적 네트워크 모델을 구성하여 인천시의 지원정책이 만족도 지향의 ‘맞춤형 지원정책’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공공기관과 역할을 나눌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인천의 디자인역량 강화이다. ‘중소기업의 디자인자생력 확보’, ‘디자인공급기반(디자인전문회사, 프리랜서 등)의 역량강화’, ‘인천시 추진시책에 디자인참여 강화’ 등을 추진하여 디자인을 선도할 수 있는 도시로의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 노선과 품목을 고려한 해공복합운송 이용자 유지전략에 관한 연구 : : 인천항과 인천공항을 중심으로

        이혜원 인천대학교 동북아 물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943

        높은 경제성장률과 정보통신 인프라 및 노동력 등의 강점을 가지고 있는 한국과 WTO 가입이후 급속한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동북아 교역 및 해운, 물류시장에서 중추적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중국을 중심으로 세계경제에서 동북아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총무역량은 세계 전체 교역량의 약 30%에 달하고 있으며, 그 교역량이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등 양국을 중심으로 동북아 비즈니스권이 형성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최근 몇 년간 인천국제공항을 중심으로 한 해공복합운송물동량 유치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세계경제발전에 부정적인 요소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인천지역 해공복합운송 수요부분에 직·간접적인 영향이 미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따라서 인천지역의 해공복합운송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각적인 전략수립과 실행이 필요할 것이며, 해공복합운송 이용자들의 선호요소를 파악해서 고객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해공복합운송 개선방안에 관한 이론을 체계화하고 현재 인천항-인천공항을 현재 이용하고 있는 포워딩업체를 대상으로 해공복합운송 선호요인에 대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론적 연구결과를 토대로 명제를 설정하고 컨조인트분석을 통해 명제를 확인하였으며, 요인별로 구분한 해공복합운송 개선방안에 대해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노선뿐만 아니라 취급품목의 종류에 따라 운송수단을 선택하는데 각각 어떤 요소를 중요시하는지 파악함으로써 각 요소별로 주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해공복합운송 이용자들을 유지시키기 위한 전략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Presently, the importance of Northeast Asia is getting more highlighted in world economy centering around Korea having advantages of high economic growth, informati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manpower and China initiating critical changes in the markets of trade, marine transport, and logistics in Northeast Asia based on its rapid economic growth after joining WTO. In addition, business areas of Northeast Asia are being formed centering around these two countries as their total trade reaches about 30% of total global trade and the trade is being constantly increased year after year. Korea also has paid attention to inducing Sea&Air transportation for several years lately centering around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Incheon Port. However, as negative factors have appeared in developing global economy, it is analyzed that it could affect the Sea&Air freight demand in the Incheon area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implement multilateral strategi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Sea&Air intermodal transportation in the Incheon area and also conduct researches to maintain and develop it through figuring out the preferences of Sea&Air intermodal transportation users. This study has systematized methologies for improving Sea&Air intermodal transportation through documentary research and also conducted positive research targeting forwarders presently using Incheon Port - Incheon Airport. This thesis establishes proposi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eoretical research, verifies them through conjoint analysis, and conducts IPA analysis on the methods for improving Sea&Air intermodal transportation characterized by factors. From the researches obtained in this study, we suggest major measures to improve each factor by figuring out which factor is valued when selecting means of transportation by items carried as well as routes.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help establish strategies to maintain Sea&Air intermodal transportation users afterwards.

      • 인천광역시의 중소기업 수출지원사업 현황 및 정책 개선에 관한 연구

        남정희 인하대학교 국제통상물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943

        본 논문은 세계화(globalization)와 지역주의(regionalism)로 무한경쟁시대에 접어든 글로벌 경제환경 속에서, 자금, 인력, 기술 등에서 대기업에 비해 비교열위를 보이는 지방중소기업을 위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수출지원사업의 운영방안을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세계 최고 수준의 인천공항과 인천항을 기초로 2,000만 수도권 소비층을 배후에 두고 수도권 경제발전의 40%를 담당하고 있는 인천광역시가 여전히 제조업 분야에서 저부가가치, 저고용, 영세화를 겪고 있는 점에 주목하여 이들 인천 중소기업을 위한 수출지원사업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연구 목적이 있다. 먼저 중앙정부의 차원에서의 수출지원사업은 지식경제부에서 추진 중인 무역․통상진흥 종합시책에 대한 충분한 홍보와 함께 중소기업의 구체적 활용방안을 마련하여 제시하고, 중소기업청은 기존의 사업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매년 신규 사업을 유기적으로 개발, 활성화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각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는 수출지원사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중앙정부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수출지원사업에 대한 단순한 모방과 중복성에서 벗어나, 지역별 특성에 맞는 다양한 사업을 개발하고, 수출지원사업 전문가를 양성하여 지방자치단체 스스로 사업을 기획, 추진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인천광역시 수출지원사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정책일반, 구조적 방안, 기능적 방안, 절차적 방안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광역시 수출지원사업의 운영방안을 위한 총괄적인 정책수립의 패러다임으로는, 인천광역시 수출지원사업에 있어 일반 소비재 마케팅 지원에서 기업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글로벌 소싱 네트워크 지원으로의 정책변화가 필요하며, 세계화, FTA 체결과 같은 세계경제 변화에 맞추어 수출 상대국의 다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둘째, 인천광역시 수출지원사업의 구조적 개선방안으로는, 인천광역시 수출지원사업을 수탁하여 추진하고 있는 유관기관의 효율적인 업무분담체계를 확립되어야 하며, 인천광역시에서도 수출지원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고 이를 지속할 수 있는 인사시스템이 병행되고, 인천광역시 수출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유관기관 및 중앙정부와의 업무협력이 효율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유기적인 네트워크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인천광역시 수출지원사업의 기능적 개선방안으로는, 기존의 수출지원사업 추진에서 벗어나 보다 폭넓은 사업의 개발이 필요하며, 인천지역 수출업체의 영세성을 고려하여 수출 초보 중소기업을 위한 단계적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현재 1년 단위로 계획, 추진되고 있는 수출지원사업에 대하여 더욱 철저한 사후관리가 필요하다. 넷째, 인천광역시 수출지원사업의 절차적 개선방안으로는, 인천광역시 수출유관기관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수출지원사업 통합시스템이 구축․활용되어야 하며, 중앙정부(중소기업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수출 단계별 지원사업 체계를 인천광역시에도 도입하여 수출 중소기업을 단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2009년 ~ 2010년 현재를 기준으로 중앙정부 및 인천광역시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의 수출지원사업 운영현황을 실무적인 입장에서 살펴보고 수출지원사업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2010년 지방선거 이후,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조직개편 및 기존사업에 대한 많은 변화가 예상되고 있으므로 앞으로 수출지원사업에 있어서도 그간의 사업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함께 새로운 변화를 맞이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선행연구나 문헌연구 측면에서 수출지원사업의 추진에 대한 현황자료만을 조사하여, 기업의 수출성과 향상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학문적인 분석이나 기업현장에서의 실증적인 검증을 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있기도 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천편일률적인 중소기업 수출지원정책의 차별적 특성화 방안의 필요성과 그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현장 및 성과지향 연구로서의 연구가치가 클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현장 실무경험에 기초하여 보다 구체적인 정책 제안과 그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앞으로의 과제로 남아있다고 하겠다.

      • 한?말일제초 인천지역 초등교육의 도입과 전개 : 인천사립영화학교와 인천공립보통학교를 중심으로

        길민정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943

        This research mainly with features of process and elementary education's introduction in Incheon Younghwa Private School and Incheon Public Primary School from the end of Korean society to the early of Japanese colony's. In case of Incheon, school had not been established by the modern education's law, however, various education based on local feature which is an open part area was conducted. Even though it was not the education only for Joseon nation, however, it affected to modern education's introduction by pioneers. The first modern elementary education for Joseon citizens in Incheon was conducted by missionaries. And, it was started to establishing Yonghwa school and Yonghwa women school. Yonghwa school was managed by Korean pastor, and the first management was not that satisfied, however, it was built new building and was permitted as a private school and it was ready to be an official elementary education organization. Yonghwa school in Residency-General Period, in 1909, it was re-permitted as a private normal school and entered colony's educational system. Yonghwa school is related to religion but the real school management was more feel like national pride. It was more like private school with military training. Incheon Public Primary School which is the first public school in Incheon was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integration in around near private school and was managed by public school law. However, Incheon Public Primary School's dropouts were most of them or more than the half. The reason was personal economic burden as the tuition fee was established by the law. And, evading public school as a colony's educational organization. In such Incheon modern school's process, through school report, through school report, I studied elementary education's reality in detail. The school report from is assumed to use Japanese form in Residency-General Period, but through example of Yonghwa school, in early situation, it seems that they used school. In the early period, it seems that each school had each various methods to record the school grades. Also, because of the private school law in 1908, they were used and produced as private school's official document. Based on the fact that we can now know through Yonghwa school's records, and compared to Incheon Public Primary School, the entrance average age of Yonghwa school was lower than Incheon Public Primary School. Compared to the whole domestic public Primary schools, Incheon Public Primary School freshmen did enter the school 2 or 3 years later. Yonghwa school students' distance for attending school in Bunaemyeon was the largest. This is because Bunaemyeon was the commercial center and the Yonghwa school was located in Bunaemyeon. Public school also had many students in the nearest province. Students' family situations could be understood through parents' occupations. In case of Yonghwa school, parents' occupations were mostly related to commerce. This is related to residential area and one of the location's feature is it is a commercial center. Parents' religion was the feature of Yonghwa school's. The records are not enough to judge but I assume they weren't mostly the Christians, at first. The school was a mission school so, it seems like the school performed national education and new western education for citizens. The school in fact, made a survey regarding parents' status and educated practical subjects, not the religious subjects as they had changed the subject courses, and that it one of the features of the school. In Incheon, where has an open part area, Japanese school was founded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foreign languages and Japan and China founded their educational organizations. Moreover, diverse private schools were established by national pioneers with missionary policies. After the Residency-General Period, public schools were established legally and Korean-leading private schools were integrated. In short, elementary education in Incheon was very close to colony's effects, however compared to any other provinces, Incheon accepted foreign cultures early, therefore, it has been performed very new western education as the biggeset feature. 본고는 인천사립영화학교와 인천공립보통학교를 중심으로 한말~일제초기 인천지역 초등교육 도입과 그 전개과정에서의 특징에 대해 주목해보았다. 인천의 경우 근대교육의 법령인 소학교령에 의한 학교는 세워지지 않았으나 개항장이라는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다양한 교육이 시행되었다. 비단 조선인만을 대상으로 한 교육은 아니었지만 통감부시기 민족 선각자들에 의한 ‘야학’과 근대교육의 도입을 이끄는 데 영향을 주었다. 인천에서 조선인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근대적 초등교육은 선교사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미 감리교를 종단으로 한 영화학교와 영화여학교의 설립으로 시작되었다. 영화학교는 한국인 목사에 의해 운영되었으며 그 초기 운영은 불안정했으나, 1903년 새로운 교사의 건축과 사립학교로서 인가를 받으면서 정식 초등교육기관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통감부 시기의 영화학교는 1909년 사립보통학교로 재인가 받으면서 식민지 교육체제 속에 편입되었다. 영화학교는 종교계 학교이지만 실질적으로 학교를 운영하는 주체인 교사들이 민족적 성향을 띤 인물들이었으며, 군사훈련 등으로 민족정신을 고취하는 등 일반 사립학교의 성격에 가까웠던 것으로 보인다. 인천 최초의 공립학교인 인천공보는 인근의 민족계 사립학교들을 통합하는 과정 속에 설립되었으며, 보통학교령에 준하여 운영되었다. 그러나 인천공보의 중도 퇴학자 수는 절반 이상이거나 대다수였다. 그 이유는 수업료 징수가 법제적으로 규정되면서 개인에게 경제적 부담이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며, 식민지 교육기관으로서의 공립학교에 대한 기피현상도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인천지역 근대학교의 전개과정 속에서, 학적부를 통해 구체적인 식민지 초등교육의 실상을 살펴보았다. 학적부 양식은 식민지 시기에 일본의 양식을 조선에서 차용해왔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영화학교의 사례를 통해, 초기에는 개별 학교에서 다양한 형태로 학적 기록을 해왔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1908년 사립학교령으로 인해 사립학교의 공식문서로서 제작․사용되었다. 영화학교 학적부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들을 바탕으로 인천공보와 비교해 보았을 때, 입학 평균연령은 영화학교가 인천공보보다 낮았으며, 전국 공립보통학교와 비교해 볼 때 인천공보 입학생들은 2~3년 정도 늦게 입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학교 학생들의 통학범위는 인천 부내면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부내면이 인천부내 상업 중심지에 속하며 영화학교 또한 부내면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공립학교 역시 주로 학교의 위치와 가까운 곳에서 통학이 이루어졌다. 학생들의 가정환경은 보호자 직업란을 통해 추정해 보았다. 영화학교의 경우 보호자 직업은 상업이 절대적으로 많았다. 이는 거주지 분포와도 관련 있으며, 상업 중심지라는데 지역적 특성을 갖고 있다. 보호자의 종교란은 영화학교 학적부만의 특징이며, 기록이 소략하지만 초기에는 대부분 기독교 신자가 아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선교의 목적이 있는 학교이므로 지역 내 민족교육과 신식교육의 시행으로 점차 비신자 자녀들을 포섭해 나갔을 것으로 보았다. 부모의 신분을 조사하거나, 종교교육을 비롯한 기존 교과과정을 실용적 교과목으로 변경하여 가르쳤던 사실도 특징적이다. 인천은 개항장이라는 특성에 기반하여 외국어의 필요성에 따라 일어학교가 설립되었고, 인천에 조계를 설정한 일본과 중국은 자국민의 교육기관을 설립했다. 또한 선교정책과 민족선각자들에 의한 사립학교들이 설립되었다. 통감부 시기 이후에는 법제적으로 공립학교를 설립하여 한국인 주도의 사립학교를 통합하였다. 이처럼 인천지역 초등교육의 전개과정은 식민성에 접해있지만, 여느 지역들보다 일찍 외국문물이 들어오면서 초창기부터 신식 교육이 행해졌다는 데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 인천광역시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도시 어메니티 지표의 중요도 연구

        박순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943

        국문요약 인하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학과 (도시계획전공) 박 순 희 21세기 도시는 도시발전과 경쟁력을 위하여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환경,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부분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도시는 시민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지역공동체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이제 시민들에게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도시 어메니티 개념을 도시재생사업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도시민의 자긍심과 애향심을 고취시켜야 한다. 인천시는 도시화・산업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인구 과밀 현상과 혼잡의 증가, 환경오염・교통체증, 주거 및 생활환경의 악화, 각종 기반시설 부족 등 다양한 도시문제들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시재생사업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천의 구도심과 신도시, 도시공간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하여 자연생태와 생활환경, 사회・경제, 문화・역사・창조적 요소가 어울리는 도시로 조성하고 시민들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도시 어메니티 지표를 개발하여 도시재생사업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메니티가 무엇이고, 어메니티 지표는 어떻게 개발하고, 그 지표를 도시재생사업에 어떻게 이용할 수 있을지 정책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전문가를 중심으로 인천 도시재생사업에서 적용된 어메니티 지표를 개발하고, 중요도를 분석하는데 있다. 전문가 설문조사에 대한 표본 집단의 직업별, 전공별, 경력별, 성별, 연령별로 나타난 어메니티 지표 중요도 결과에서 다음과 같이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인천시의 자연・생활환경 분야에서는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지는 자연생태를 보존하고 체계적인 조사・연구와 재정・기술적 지원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연생태 환경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고, 생태도시 조성을 위해 체계적인 생태도시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는데 인천 정부와 전문가들의 노력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한다. 둘째, 인천시만의 특성을 반영한 사회・경제 도시 어메니티에서 아름다운 경관을 보전하고 주변과 어울리는 층수가 필요하다. 풍요로운 도시 어메니티 조성을 위해 여유로움과 소풍을 즐기는 공원 녹지 조성과 다양한 일자리와 고용기회 제공을 위해서 편히 쉴 수 있는 공개공지에 공원을 조성하고 환경 친화적인 기업도 유치되어야한다. 기업의 유치는 풍족한 생활을 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도시공해를 일으킬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강화된 환경기준을 준수하고 청정 환경 보전을 위해 친환경 기업유치와 도시환경 지원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또한 의료시설과 공공시설, 문화시설, 교육시설, 편익시설(쇼핑시설 및 상업시설)의 확보와 각종 안내 표지판을 설치하고 시민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조성되어야 한다. 안전한 도시를 위해서는 범죄 예방 시스템 설치, 방재시설 구축, 교통사고시스템 및 화재예방 소방시스템 구축하고 시민의 재산과 건강을 지키기 위하여 적극적인 지원과 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인천시의 문화・역사・창조 부분에서는 유비쿼터스 정보화기반의 도시창조와 활기찬 리듬이 살아있는 음악공간, 자유로운 창작 활동을 할 수 있는 미술거리 공간을 조성해야 한다. 또한 혁신을 주도하는 창조도시 전략에 기초한 선도 도시를 조성하고, 문화도시로 가기 위해서는 문화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을 위해서는 문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중요하고 독자성이나 정체성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인천의 비전과 정책들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여 도시재생사업이 지속가능한 발전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인천의 2030년 도시기본 목표인 ‘누구나 살기 좋은 글로벌 녹색도시 인천’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국제도시’, ‘미래를 위한 저비용・고효율의 녹색도시’, ‘모두가 행복한 보편적 복지도시’, ‘전통과 미래가 함께하는 창조 문화도시’ 조성을 실현하기 위해서 도시 어메니티가 필수적으로 도시재생과정에 적용되어야 한다. keywords: 도시 어메니티, 도시 어메니티 지표, 도시의 쾌적성, 삶의 질, 도시재생사업, 인천의 도시재생사업 현황

      • 인천항여객터미널 컨테이너 화물 기종점 분석

        문광석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943

        인천항 여객터미널의 컨테이너 화물의 국내 이동경로를 파악하여 특성과 시사점을 제시하고 국내의 국제여객터미널 현황과 한중 간 해운협정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향후 한중 카페리 컨테이너 화물 유치를 위한 마케팅 자료에 활용하고, 인천 남항 신축예정인 국제여객터미널 개발에 물동량 예측 위한 자료로 활용

      • 인천문화재단의 조직과 운영에 대한 문화경영학적 접근

        변철희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의 문화재단인 인천문화재단의 조직과 운영에 대해 제도적-운영적-수혜적 측면에서 실태를 조사하고, 결과의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를 문화경영학적으로 혁신시키기 위한 전략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과정으로 본론의 1장에서는 문화경영학적 접근에 대한 이해를 위해 학제적 개념들을 살펴보았고, 2장에서는 지역문화재단과 관련한 국가차원의 정책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지방자치단체 문화재단의 설립배경과 의의 그리고 인천문화재단의 외부적 고찰을 위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선진화된 서울?경기문화재단의 정관, 조직, 예산, 사업 등의 일반현황을 인천문화재단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인천문화재단의 내부적 고찰을 위해 인천문화재단의 조직과 운영의 실태 파악을 위한 질문의 구성을 알아보았고, 5장에서는 각 집단의 설문조사를 통한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천문화재단을 문화경영학적으로 혁신시키기 위한 제언으로, 첫째, 인천문화재단은 시민들의 수요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또한 정책목적이 구현될 수 있도록 중간에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제도적 영역에 있는 구성원들은 지역민들이 소비해야 한다고 판단한 문화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고, 운영적 영역의 구성원들은 정책목적이 구현될 수 있도록 수혜적 영역에 있는 구성원에게 매개해야 하는데 이것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중간적위치에서 문화를 매개하는 문화경영자들인 인천문화재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둘째, 수요자인 시민의 관점에서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시장을 분석하고, 시민의 수요를 파악하여 적절한 목표를 설정한 후 진행되어야 한다. 인천문화재단은 인천의 도시발전을 위해 설립된 인천광역시 산하 공공기관으로서 공공의 이익을 위해 공공의 요구를 받아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셋째, 재단의 홈페이지에 정보공개 창구를 마련하여 투명한 행정을 실현하고, 풀뿌리 민주주의의 대표 상징이라 할 수 있는 댓글 기능을 추가 하며, 시민들이 문화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재원운용 전문가를 채용하여 문진기금을 이자수익에만 한정시키지 말고, 원금을 보존하되 수익을 낼 수 있는 투자 등 다각도로 재원조성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다섯째, 현장과 지역에 대한 이해와 전문지식을 고르게 갖춘 인재를 채용해야 하며, 원활한 업무수행을 위해 기존 근무자를 포함한 재단근무자에게 지역에 대한 재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여섯째, 재단의 근무자들이 문화사업을 수행하는데 매진할 수 있도록 인력을 충원시켜야 한다. 일곱째, 현재의 조직구조를 벗어나 창의적인 조직이 될 수 있도록 조직도를 행렬조직으로 개편해야 한다. 또한 재단 구성원 스스로 재단 근무자로서 갖추어야 할 능력 중 최우선 요소를 통찰력으로 꼽을 만큼, 이를 함양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분야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를 아우를 수 있는 구조인 행렬조직으로의 개편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는 국내문헌조사 위주로 연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주제에 대한 해외문헌 연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한계점이 있음을 밝히며, 문화경영학적 전략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과 문화로 부강하는 인천을 위한 인천문화재단의 미래 향후 발전 전략에 대한 문화경영학적 방안은 후속연구로 제안한다.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actual condition of the organizing and managing 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which is the Arts & Culture foundation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with organizational, operational and beneficial aspects, and to propose a strategy for innovating the problems coming from an analysis of result to the culture-managemental one. The first chapter shows educational concepts for understanding of a cultural-managemental approach, and the second chapter displays governmental policy related to local foundations for Arts & culture. In the chapter 3, there are a background and meaning for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of local autonomous entity, and a general present condition such as a statute, organization, budget, business and so on about Seoul & Keong-Ki foundation of Arts & Culture is evaluated as being advanced in the Republic of Korea with comparing to the 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in order to study it externally. The forth chapter shows a composition of questions for grasping an actual condition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about Incheon foundation Arts & Culture in order to study it internally, and the fifth chapter shows an analysis of result which is coming from a survey of individual group. The followings are proposal to innovative the 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with the culture-managemental aspect as the consequence of this study. First, 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should function as a communication network by linking citizens and the authorities concerned in order to facilitate policy setting in response to the demand of local residents and step up the actualization of selected policies. The authorities concerned should formulate the kinds of cultural policies that seem to be appropriate for locals, and administrators should serve as mediators to realize the goals of policies in behalf of beneficiaries. To make it happen, 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should perform its roles successfully as an intermediate cultural agent. Second, a close and sustained market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from the standpoint of citizens who are cultural consumers before a cultural project is planned, and appropriate target setting that could address their needs is important as well. 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is one of public institutions that have been established under the umbrella of the Incheon Metropolitan Government to expedite the development of that city, and that should satisfy the needs of the public in pursuit of public interests. Third, the website of that organization should release relevant information to ensure the transparency of administration, and citizens should be allowed to post their opinions on culture onto the website without any restraints, which is a barometer of grass-roots democracy. Fourth, financial experts should be hired to secure multiple sorts of financial resources instead of just relying on interest income. For instance, they should make a profitable investment without losing the principal. Fifth, competent people who have acquired professional knowledge and knowhow should be employed, and all the employees should keep on receiving education about the region to improve their work performance. Sixth, the institution shouldn't be understaffed to let employees devote themselves to their mission, namely pushing ahead with cultural projects. Seventh, the institution should be streamlined and turn into a creative matrix organization instead of merely clinging to the current organizational structure. As the members of the institution viewed an insight as the top qualification that every employee had to possess, the institution should convert itself into a matrix organization to foster the insight of the members, since this sort of organization enables each member to experience different fields. This study had some limitations in that just domestic literature was reviewed without looking into relevant international literature.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coming up with specific culture- managemental strategies and finding out how to expedite the development of 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 인천국제공항호텔 선택속성 연구 : 서울 시내호텔 선택속성과 비교 연구

        이규민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943

        이번 연구에서는 인천국제공항에 신규 진입하는 호텔기업들이 가장 효과적으로 경영자원을 배분할 수 있는 기업구조를 구축하여 기업의 최종 목표인 최대 경영성과 달성을 위해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호텔의 경영환경 파악 및 경영전략 선택을 위한 기초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서울 시내호텔과 인천국제공항호텔로 구분하여 호텔상품 구매고객으로부터 각기 호텔선택속성을 도출하여 상호 분석, 비교연구함으로써 차후 공항호텔들의 경영전략 및 컨셉 구성을 위한 합리적 기초 정보 제공에 역점을 두고자 한다 이번 연구의 구체적인 세부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투숙객의 호텔선택 결정요인 등에 관한 이론적 배경 및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봄으로써 실증적 연구의 토대를 마련한다. 둘째. 인천국제공항 호텔들의 전체 시장에 대해서 시장접근전략을 통한 “시장 세분화(market segmentation)”, “표적 시장화(target marketing)”를 통해 타당성 및 신뢰성 있는 정보 추출을 위한 연구조사 대상을 선정한다 셋째. 호텔이용객 특성 및 인구통계적 특성별 서울시내호텔과 인천국제공항호텔 선택속성을 상호 비교분석을 통한 차이점 및 유사점을 도출한다 넷째. 연구된 호텔선택속성과 관련한 정보를 통해 공항호텔의 시장접근 전략 및 마케팅 믹스전략을 도출한다. 연구조사의 가설검증을 통한 연구내용을 검토, 호텔 투숙객들의 호텔 이용특성을 토대로 연구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투숙목적, 투숙형태, 선호하는 호텔유무, 공항-시내간 이동수단 선호에 따른 서울시내호텔과 인천국제공항 공항호텔간에는 호텔선택속성중 “호텔위치 (공항근접성 등)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고, 인천국제공항 공항호텔을 선택할 때 좀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외 요인들은 모두 각각의 호텔별로는 높은 점수가 나타나 유의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서울시내호텔과 인천국제 공항호텔간에는 별다른 차이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텔투숙경험이 많은 경우에도, 6가지 선택속성요인별로 각각의 호텔은 커다란 유의성이 있으나 서울시내호텔과 인천국제공항 공항호텔간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호텔투숙경험이 많을수록 다운타운호텔과 공항호텔의 선택함에 있어 별다른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인 속성을 비교함으로써 나타난 결과는 서울시내호텔과 인천 국제공항 공항호텔들간 호텔선택속성에서 유의성이 나타난 두드러진 차이점은 첫째, “Check-in, Check-out의 신속성”으로서 인천국제공항 공항호텔을 선택할 때 서울시내호텔보다 더욱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천국제공항 호텔을 이용하는 투숙객의 경우 항공편 이용을 위한 보다 더 신속한 Check-in / out을 원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둘째, “호텔-공항간 이동 거리” 또한 인천국제공항 공항호텔을 선택할 때 서울시내호텔보다 더욱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항호텔들이 가지는 가장 큰 장점임을 알 수 있고 고객들이 공항호텔을 이용하는 주요 이유중의 하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항공 스케쥴”은 투숙객들이 인천국제공항 호텔을 이용할 때 더욱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천국제공항과 서울시내간 거리가 과거 김포국제공항과 서울시내간 거리보다 멀어져 투숙객들의 이용 항공편이 매우 늦은 시각에 공항에 도착하거나(Late arrival flight), 아침 일찍 출발하는 경우(Early departure flight)에는 공항호텔에 대한 선호도가 더욱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종사원들의 친절도”에 있어서는 서울시내호텔을 이용하는 경우 인천국제공항 호텔보다 더욱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외에 다른 선택속성요인들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투숙객이 호텔을 선택할 때 공통적으로 양쪽 모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고객들의 호텔 선호속성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점은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level of importance of hotels’ attributes when tourists select hotels, especially airport hotels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rea, and to compare those attributes with those in selecting downtown hotels in Seoul. And the surveys were completed through the foreign visitors, who are the biggest consuming group for hotel products & services in Seoul, during the research period. Two hundreds survey questionnaires were personally handed to the guests and 134 of them were responded successfully. The hypotheses for this research are followings; 1. There must b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ttributes in selecting airport hotels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rea and those in selecting downtown hotels in Seoul. 2. According to the purpose of staying at hotels, there must b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ttributes in selecting airport hotels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rea and those in selecting downtown hotels in Seoul. 3. According to the way of staying at hotels, there must b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ttributes in selecting airport hotels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rea and those in selecting downtown hotels in Seoul. 4.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loyalty for specific hotels, there must b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ttributes in selecting airport hotels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rea and those in selecting downtown hotels in Seoul. 5. According to the length of staying at hotels, there must b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ttributes in selecting airport hotels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rea and those in selecting downtown hotels in Seoul. 6.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of using hotels, there must b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ttributes in selecting airport hotels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rea and those in selecting downtown hotels in Seoul. 7.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transportation between airport and hotel, there must b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ttributes in selecting airport hotels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rea and those in selecting downtown hotels in Seoul. The SPSS WINDOWS version 10,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for Windows, was used for an empirical analysis of respondent data. Those specific analysis ways a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Verimax Rotation), Cronbach’s Alpha and Independent t-test. The result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we got six factors through Factor Analysis, and in five of them,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ttributes in selecting airport hotels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rea and those in selecting downtown hotels in Seoul. But, in one factor “position of hotel”,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ttributes in selecting airport hotels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rea and those in selecting downtown hotels in Seoul. Consequent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irport hotels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rea have to try to use the advantage of position, adjacent to the international airport, comparing to downtown hotels in Seoul. And airport hotels also have to decide strategies using it as much a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