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읽기 교육 방법 연구

        문미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2285

        이 연구는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읽기 교육 방법을 구안하여 학습자의 시 읽기 능력과 동기 및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시 읽기 교육의 한 방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 중 ‘상위인지’에 주목한 이유는 학생 스스로 자신의 읽기 목적에 따라 읽기 방법을 선택·적용하고, 읽기 과정에서 자신의 이해 정도를 점검·조정하며 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상위인지를 활용한 읽기가 최근 읽기 교육에서도 강조하고 있는 자기 주도적 학습과 학습자 중심 학습에 부합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읽기를 좋아하고 스스로 즐겨 읽는 태도를 길러 주는 일 역시 읽기 능력 향상과 함께 읽기 교육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표이다. 읽기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높이고 바람직한 읽기 태도와 습관을 형성시켜 평생 독자를 길러내는 일은 다양한 글을 전략적으로 잘 읽는 능력을 길러주는 일 못지않게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읽기 능력뿐 아니라 읽기 동기와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읽기 방법으로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읽기 교육 방법을 구안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읽기 교육은 시 읽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가? 학생들의 수준과 성별에 따라 시 읽기 능력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읽기 교육은 시 읽기 동기 향상에 효과적인가? 학생들의 수준과 성별, 시 읽기 동기 하위 요인에 따라 시 읽기 동기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읽기 교육은 시 읽기 태도 향상에 효과적인가? 학생들의 수준과 성별에 따라 시 읽기 태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 논의한 내용을 장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이 논문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내용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였다. 우선 상위인지의 개념과 구성 요소, 읽기의 개념과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이것을 바탕으로 상위인지와 읽기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시 읽기 교육의 목표를 검토하고 시 읽기 과정에서 상위인지의 역할에 대해 고찰한 뒤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읽기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그것들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 적용한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읽기 교육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이 연구에 사용된 연구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연구 대상과 기간, 연구 설계 및 절차에 대해 밝히고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검사 도구와 분석 도구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리고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읽기 교육 방법의 교수·학습 과정을 자세하게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읽기 교육이 학습자의 인지적·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인지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 읽기 능력 검사의 결과를 분석하고,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 읽기 동기 검사 결과와 시 읽기 태도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인지적·정의적 측면의 상, 중, 하 수준과 성별에 따른 차이도 살펴보고, 활동에 대한 실험 집단 학생들의 사후 반응 결과에 대해서도 논의함으로써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읽기 교육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측면에서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읽기 교육은 학습자의 시 읽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시 읽기 능력 수준에 따라서는 상위 집단과 중위 집단 학생들의 시 읽기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의 경우에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의적 측면에서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읽기 교육은 학습자의 시 읽기 동기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준별로 보면 특히 하위 집단, 중위 집단 순으로 시 읽기 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 읽기 동기를 구성하는 하위 요인에 따라서는 ‘사회적 상호 작용’을 제외한 6개 요인 모두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준별로는 상위 집단은 2개, 중위 집단은 4개, 하위 집단은 6개 요인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고,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의 경우 ‘효능감’과 ‘중요성’요인, 여학생의 경우에는 ‘사회적 상호 작용’을 제외한 6개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정의적 측면에서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읽기 교육은 학습자의 시 읽기 태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준별로 보면 하위 집단과 상위 집단 학생들의 시 읽기 태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여학생의 경우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반응적 측면에서 학생들은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읽기 교육 방법의 목적 부합성, 활동 운영의 적절성, 활동의 인지적·정의적 효과, 기존 시 읽기 방법과의 차별성에 있어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읽기 교육은 학습자의 시 읽기 능력과 동기 및 태도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읽기 교육 방법을 구안하여 학습자의 시 읽기 능력과 동기 및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시 읽기 교육의 한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읽기 교육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표 구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국어교사의 학생글 평가전문성 연구 : 평가자 협의에 따른 전략 차이를 중심으로

        오세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15640

        본 연구는 국어교사들이 동일한 학생글을 평가했음에도 불구하고 평가 결과가 불일치하는 문제에 주목하여, 국어교사를 대상으로 학생글 평가전문성의 신장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동일한 학생글에 대한 국어교사의 인상적 평가 점수와 논평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쓰기평가 준거와 평가 예시문 활용이 동일한 학생글 평가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셋째, 평가자 협의에 따른 학생글 평가전문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인상적 평가 집단(A)과 쓰기평가 준거 집단(B), 쓰기평가 준거·평가 예시문 활용 집단(C), 평가자 협의 집단(D)의 평가 점수와 논평 양상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평가자 협의는 협의만 진행한 유형(D1), 쓰기평가 준거 기반 협의 유형(D2), 쓰기평가 준거·평가 예시문 기반 협의 유형(D3)으로 나누어 담화과정에 나타난 그룹인지의 정보 처리 양상과 활성화 정도를 분석하였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학생글 평가전문성 발달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이론적 배경인 제Ⅱ장에서는 쓰기평가의 패러다임 변화에 의해 쓰기평가의 개념과 쓰기평가 준거와 평가 예시문 활용의 의미가 어떻게 달라졌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무엇보다 쓰기평가의 방법이 개인적인 평가자 중심에서 그룹 평가자 중심으로 변화한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작문평가 연구자들은 평가 결과의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적 고찰을 이루었으며 평가 점수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신뢰도 중심 연구들에서부터 평가 결과의 차이 역시 평가의 현상학적 특성으로 용인하는 타당도 중심 논의로까지 확장하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서도 평가 결과의 차이를 완전하게 해결하지 못하였으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평가자 협의 관련 연구는 더욱 세밀하고 면밀한 논의가 필요하였고 학생글 평가전문성 발달 방안으로서 의의를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평가자 협의를 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평가자 협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평가자 협의 유형에 따른 정보 처리와 전략 사용의 차이가 평가 결과의 불일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국어교사의 학생글 평가전문성 발달을 위한 효과적인 평가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분석을 위해 쓰기평가 점수, 논평 자료, 면담 자료, 평가자 협의 과정의 담화 분석 자료들을 삼각검증 하였다. 분석 결과, 평가자 협의를 진행하지 않은 집단(A, B, C)의 국어교사들은 학생글의 인상적 특성을 바탕으로 점수를 부여하였으며, 주로 표현의 부정적인 측면을 지적하는 형태의 논평을 하였다. 특히 인상적 평가 집단(A)의 평가자 간 신뢰도는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표현의 부정적인 측면을 지적하는 형태의 논평이 두드러졌다. 쓰기평가 준거와 평가 예시문을 활용하여 평가한 집단들(B, C) 역시 전문가 수준의 일치도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리고 표현과 내용에 대한 부정적인 논평을 주로 하였다. 결국, 평가자 협의를 진행하지 않은 집단들은 쓰기평가 준거와 평가 예시문을 활용하여 평가를 하더라도 평가 결과의 불일치 문제를 완전하게 해결할 수 없었다. 질적 분석 결과에서도 이들 집단의 교사들은 쓰기평가 맥락에 대한 이해나 쓰기평가 준거와 평가 예시문을 이해하려는 노력 대신 인지적 부담감으로부터 회피하려는 저항적 평가 태도를 보였으며, 수사학적 경험에 의해 고착화 된 평가 양상을 주로 보였다. 반면 쓰기평가 준거와 평가 예시문을 활용한 집단(B, C)들은 인상적 평가 집단(A)에 비해 평가 점수의 수정 빈도가 훨씬 많았다. 이와 같은 특성이 나타난 이유는 쓰기평가 준거와 평가 예시문이 자신의 평가 과정을 점검할 수 있도록 만드는 중재 역할을 수행하였기 때문이다. 이렇듯 쓰기평가 준거와 평가 예시문 활용은 평가 과정을 점검하고 조율하게 하여 명확한 평가 결과 산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평가자 협의 집단(D)의 교사들은 평가 과정의 인지적 고립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들은 점수 일치도를 높이기 위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쓰기평가 준거와 평가 예시문을 생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보편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면서 동료교사와의 적극적인 인지적 상호 작용을 통하여 평가 결과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들은 무엇보다 인지적 부담감으로부터 회피하려는 모습을 보이는 대신 인지적 갈등을 극복하여 평가 과정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자신의 전문성 발현 모습도 학생 반응과 평가 맥락의 요구에 적합하게 변형시키려는 양상을 보였다. 그런데 이러한 전문성의 변형은 평가자 협의 집단 유형별로 상이한 차이를 보였다. 평가자 협의 집단(D1)은 점수와 논평 양상의 불일치 문제가 나타난 부분을 그룹 수준과 개인 평가자 수준에서 모니터링 하는 특성이 두드러졌다. 쓰기평가 준거 기반 평가자 협의 집단(D2)의 경우에는 준거를 활용하면서 평가자 협의를 진행하였고, 정보의 기억을 위한 전략, 평가 전략, 그룹 수준에서의 모니터링, 공동규제, 개인 수준에서의 모니터링, 자기통제, 자기조정과 같은 초인지 전략들을 다양하게 사용하였다. 쓰기평가 준거·평가 예시문 기반 평가자 협의 집단(D3)도 쓰기평가 준거 기반 평가자 협의 집단(D2)과 비슷하게 초인지 전략이 다채롭게 나타났으며 인출 전략과 같이 평가자 협의 집단(D2)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초인지 전략의 사용 양상도 나타났다. 평가자 협의 집단들(D)은 초인지 전략을 사용하여 자신의 평가 과정을 반성적으로 고찰하였으며, 학생들이 요구하는 평가 결과를 제시하기 위해 초인지 전문가로서 평가 맥락에 부합하도록 전문성 변형을 이루었다. 평가자 협의에 따른 전략 차이는 국어교사의 학생글 평가전문성 신장 방안과 발달 전략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평가자 협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국어교사들은 자신의 평가 과정에서 이루어진 정보 처리 양상을 모니터링 하면서 쓰기평가 준거에 대한 바른 이해와 평가 예시문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학습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교사 자신이 가지고 있던 학생글 평가전문성을 학습자들이 요구하는 평가 결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변형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사실 역시 초인지적으로 반성하고 성찰할 수 있었다. 이렇듯 초인지 전략의 사용은 학생글 평가전문성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면서 국어교사들의 평가 결과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이 되기도 하였다. 본고의 논의는 학생글 평가전문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그룹인지의 정보 처리 과정과 초인지 전략 사용의 방법을 구체화하고 있으므로 국어교사의 초인지적 학생글 평가전문성 발달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olve problems concerning the assessment of texts written by students and to research the method of expertise development of writing assessment although the same students’ writings are assessed by the Korean teacher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first, we analyzed the difference in the scores and feedback results in the writing assessment for the same student texts. We analyzed the scores and feedback results of the impressive group(A) which was the control group. Second, we analyzed the scores and feedback for the same text in group(B) and group(C) that used the writing assessment’s criteria and the illustrated text of assessment. Third, we analyzed the nature of the rater discussion groups(D) that had an effect on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writing assessment. Through this, we want to find a way of improving our assessment expertise. Chapter Ⅱ summariz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oncept of writing assessment as well as the paradigm shift of writing assessment and the importance of the writing assessment’s criteria and the illustrated text of assessment. Chapter Ⅲ summarizes the concept of writing assessment expertise and professionalism of the student text assessment, and summarizes the studies related to the academic position of the rater discussion in the field of the expertise of assessment. Based on these theoretical studies, differences among the four groups(A, B, C and D) were analyzed by assessment results(scores and feedback) of 180 Korean language teachers. We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score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squared) by the quantitative research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frequency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squared) of feedback about text written by students on the reviews of different aspects among the group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ter discussion groups(D) and the non-rater discussion groups(A, B, C), and we also studied the effect of the rater discussion groups(D). Depending on the type of rater discussion group differences, this study researched the scores and the aspects of feedback about the same texts written by high school students. To this end, this study verified scores, feedback data, interview data, and the data of discourse analysis about rater discussions by triangulation method. By the above analysis and synthesis of inform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the criteria of writing assessment, the illustrated text of assessment, and rater discussion), and this study found the method to improve the expertise to assess text written by the stud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writing assessmen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was based on the im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text. The major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pointed out the shortcomings of rhetorical expression. Thus, the results showed the lowest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n the impressive assessment group(A), and this group had also the most negative feedback of expression. The results(scoring and feedback) of the groups(B, C) using the writing assessment’s criteria and the illustrated text of assessment, did not represent a professional level. These groups showed some negative feedback on the expression and content. Even though the non-rater discussion groups(B, C) used the writing criteria and the illustrated text of assessment, these groups showed the low reliability and validity due to the isolation of individual cognition. The group A, B, C were trying to avoid the burden of cognitive processing instead of understanding the context, the criteria, and the illustrated text(anchor paper, benchmark paper) of writing assessment. Teachers in group A, B, C, assessed by the habits and personal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writing assessments. In contrast, the rater discussion groups(D) were trying to solve the problem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indicated by the isolated cognitive process of writing assessment. The rater discussion group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used the criteria and the illustrated text of writing assess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degree of match of the score, and tried to understand and think about how to use them. These groups also tried to make the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ssessment through an active cognitive interaction and the transactive memory. They were trying to solve the problem by the transformation of the expertise. The characteristic of the professionalism in processing the writing assessment was different in each group. The D1 group focused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of group cognition, and tried to monitor only the results(scores and feedback) through the metacognitive strategy(monitoring, self-control, self-regulation and co-regulation). However, D2 and D3 groups focused on the cognitive processing of scoring and feedback, and compared the cognitive processes of their peers. They reflected on their own process of writing assessment in order to control the difference regarding scores and feedback. They were placed in the center of the assessment of students through these reflections that was the beginning of the growth of teachers. As a result, teachers were able to find a way to increase the expertise of scoring and feedback in the writing assessment through the rater discussion with colleagues in learning community. The teachers or rater discussion groups learned the importance of the criteria and illustrated text of writing assessment. They learned the importance of transformation in their peers. Therefore, this study offers many suggestions in terms of teacher education of the metacognitive professionals in the writing assessment, and can explain effective assessment methods by reviewing aspects of rater discussion.

      • 또래조정의 사회과 시민교육 효과 연구 : 갈등해결력을 중심으로

        이지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183215

        국 문 초 록 갈등은 우리 사회에 있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긍정적인 방식으로 해결된 갈등은 사회의 발전과 변화를 위한 계기로 작용하지만 부정적인 방식으로 해결된 갈등은 사회의 분열과 혼란을 초래한다. 갈등의 건설적 해결과정을 통하여 개인과 사회가 발전할 수 있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갈등과 관련된 문제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것은 민주사회의 시민으로서 중요한 자질이다. 갈등해결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책임 있는 개인으로서 사회적․정치적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민주사회에 필요한 시민적 자질과 능력을 갖출 수 있게 된다. 특히 사회과는 사회생활을 영위하고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능, 가치․태도를 함양하여 훌륭한 시민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사회과교육에서 갈등해결과 관련된 학습 경험은 중요한 내용 요소가 된다. 왜냐하면 시민교육으로서 사회과교육은 개인적․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타당한 근거에 바탕을 둔 합리적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시민을 육성하는 교과이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목표, 교수․학습의 원칙, 교수․학습의 방법, 평가에서도 사회과교육과 갈등해결 간의 높은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인지발달론적 관점에서 보면 대등한 위치에 있는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갈등은 다른 사람의 관점을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이러한 경험은 자기중심성을 감소시키며 인지발달을 촉진하는 매개체가 된다. 사회인지적 갈등이론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반응 불일치로 인해 발생한 갈등은 개인의 내적 갈등을 촉발시키며,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신의 관점과 다른 사람의 관점 차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통하여 인지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또래조정을 통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갈등해결 경험이 학생들의 갈등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사회과교육에서의 갈등해결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래조정은 학생들 간에 발생하는 갈등을 또래조정자의 조정을 통하여 해결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또래조정이란 대안적 분쟁해결 방안으로서의 조정을 통해 학생 상호 간 갈등을 해결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또래조정은 자신과 비슷한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갈등해결을 위한 협동적 환경 조성이 보다 원활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절차와 단계를 바탕으로 실시되기 때문에 절차적 합리성을 가지고 있으며, 갈등 당사자 모두가 동의하는 내용으로 해결방안이 도출되기 때문에 내용의 합리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또래조정은 갈등해결의 합리적 수단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갈등해결력이란 일상생활에서 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데 필요한 능력을 의미하는데, 이는 갈등인식력, 의사소통력, 쟁점규명력, 대안모색력, 실행․평가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갈등해결력을 구성하는 다섯 가지의 하위 요소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갈등해결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성별, 연령, 경제적 수준, 부모와의 의사소통수준, 공감수준, 협력수준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실제 또래조정을 경험한 또래조정자를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이와 유사한 환경을 가진 학교의 학생들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종속변인과 통제변인에 대한 사전검사를 통하여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대응표본 t검증으로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의사소통력, 쟁점규명력, 대안모색력, 실행․평가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향상되었다. 반면 통제집단의 종속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또래조정 참여 여부가 의사소통력, 쟁점규명력, 대안모색력, 실행․평가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또래조정을 통한 갈등해결 과정이 학생들의 갈등해결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 차원에서 갈등해결에 필요한 구체적 능력들을 도출하였으며, 사회인지적 갈등이론의 타당성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갈등해결 과정은 도전적이고 확장적인 정신작용인 고등사고력 신장에도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혀냄으로써 갈등과 관련된 인지발달 이론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였다. 실천 정책적 차원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갈등해결 과정과 이에 필요한 능력들은 사회과교육에서 갈등과 관련된 학습에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또래조정 참여를 통한 구체적 갈등해결 경험이 학생들의 갈등해결력 향상에 직접적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혀냄으로써 또래조정 실행에 대한 이론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적 차원에서는 갈등해결 교육과정 수업모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 수업모형은 갈등해결과 관련된 체계적 절차를 제시해주고 있으며, 갈등해결 과정에서 요구되는 능력 전반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수업모형은 갈등해결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사회과 교실 수업모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사회과, 시민교육, 또래조정, 갈등해결력, 인지발달, 사회인지적 갈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