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지적 정서조절 방략과 촉발사건이 전위된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윤선 대구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부정적인 평가 피드백을 받는 좌절 상황에서 무고한 대상에게 전위된 공격행동을 나타낼 때 어떤 개인적 요인(인지적 정서조절방략 –반추/ 인지적 재평가/ 주의전환)과 상황적 요인(촉발사건- 있음/없음)이 전위된 공격성을 설명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험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모든 참가자들은 작성한 에세이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결과를 받게 함으로써 좌절사건을 조작한다. 그리고 인지적 정서조절방략(반추, 인지적 재평가, 주의전환)으로 무선 할당되어 20분 동안 각 조건에 맞는 지시문에 대해 본인의 생각을 작성한 뒤 촉발자극 (있음/없음)조건으로 나뉘어 조작하였다. 마지막으로 촉발자극을 준 대상이 풀게 될 문제 난이도를 선별하도록 하여 전위된 공격성을 측정하는데, 얼마나 많은 고난이도를 하는지에 따라 전위된 공격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연구결과는 촉발사건 있음 조건이 없음 조건보다 세 가지의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에서 전위된 공격행동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반추조건이 인지적 재평가와 주의전환보다 높은 전위된 공격성을 보였고, 인지적 재평가와 주의 전환 간에는 전위된 공격행동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은 논의에서 다뤄질 계획이다.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rumination, cognitive reappraisal, distraction) and triggering event on displaced aggression. Every participant was manipulated by providing a fake negative feedback on participant’s own essay regardless of the excellence of their writings. Next, participants wrote any thoughts that came to mind on the paper in the computer monitor screen for 20 minutes for manipulation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rumination, cognitive reappraisal, distraction). Then manipulat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riggering event. Finally, displaced aggression was assessed an opportunity to harm another person’s (given the triggering event) chance to earn money that aggressiveness can be operationalized through the assignment of more difficult problems to another person. Two way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of the study(N=81) revealed the significant main effects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triggering event were significant. An interaction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triggering event was also significant. That is, Participants in the rumination expressed higher displaced aggression than cognitive reappraisal and distraction when they experience the triggering eve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gnitive reappraisal and distraction. Limitation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인지적 능력과 지위획득의 관계에 관한 통합연구 : 청년취업자를 중심으로

        이자형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mixed methods sequential explanatory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non-cognitive abilities and status attainment of young employees. In the first quantitative phase,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non-cognitive abilities on young employees' status attainment. In pursuing the main focus, this study reviews the variables such as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SAT score, overseas language course experience, high school friends relationship, employment-oriented private tutoring experience and job match in order to find 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m. In addition, gender difference in this structural relationship is investigated. The data used in this phase are Youth Panel data from Korean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KEIS), and the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employ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Next, in the qualitative case study analysis, 5 Personnnel Managers from 5 conglomerates in South Korea are carefully selected and interviewed. This case study is undertaken to describe the context of the meaning of non-cognitive abilities in more detail. Major findings of this mixed method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es show that non-cognitive abilities have strong positive influence on socio-economic status of young employees. Although the size of the effect is smaller than that of SAT Score, it is likely that the more young employees have non-cognitive abilities such as diligent, challenged, service minded, flexible and independent job attitude, the higher they attain socio-economic status. However, the other findings show that employment-oriented private tutoring experience did not guarantee better socio-economic status, whereas overseas language course experience and job match do. This study also reveals that gender and class gaps in status attainment lead to the possibilities of social inequalities in Korean society. Another finding in this phase is that non-cognitive abilities have more strong influence on male group than on female one. In other words, non-cognitive abilities in male group are more likely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higher socio-economic status. Second, in the case study analysis, two major themes symbolically explaining the meaning of non-cognitive abilities in the large firms are emerged: (1) 'an Answer for the society without answers', which is sub-categorized by 'as a screening,' 'as useful traits,' and 'as adjusting skills,' (2) 'as a real story rather than as a myth in the success at the workplace. Through these metaphorical descriptions, the reason why individuals' non-cognitive abilities are required to enter a working place like a large firm and the way how they contribute to individuals' successful working life are clearly understood. In conclusi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findings from the two phase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non-cognitive abilities in the successful working life. In this sense, the current school policy oriented in improving cognitive abilities among students should be shifted to the direction of developing their non-cognitive abilities. Also, this study provides other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related to current school policy and policy-makers. Key words: Non-cognitive abilities, Status attainment, Young employees, Gender gaps, Class gaps, Mixed methods study

      • 퇴직 예정자의 인지적유연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리터러시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 조절효과

        김혜윤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digital literacy and demonstr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middle-aged retirement prospective people who are about to retire. Through this, it aimed to fi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ultimately enhancing psychological well-being by strengthening the cognitive flexibility and digital literacy ability of prospective retirees and devising realistic social support measures. The research question is, first, how does cognitive flexibility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does digital literacy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what i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digital literacy? Fourth, does digital literacy have a mediating effect controlled by social support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It was set to.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331 middle-aged retirement prospective people who are about to retire through an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 using a self-report metho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cognitive flexi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digital literacy partially mediates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has some moderating effect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digital literacy.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digital literacy has a partially controlled mediating effect by social suppor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can be provided.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gnitive flexibility of prospective retirees had a direct and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onfirmed in this study, a structural approach is needed to develop cognitive flexibility at the corporate and social level, including individual efforts, so that prospective retirees can increase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digital litera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ospective retirees. 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has a great impact on real life before and after retirement as well as psychological well-being in job change support services and life design education for prospective retirements. Efforts are required to consider and implement how to make prospective retirees more aware of and experience digital literacy. Thir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digital literac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ome moderating and controlled mediating effects. Therefore, a high level of interest and implementation measures of organizations and society in social support are needed so that prospective retirees can receive emotional, informational, and evaluative support. Finally,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results of empirical research on cognitive flexibility, psychological well-being, digital literacy, and social support for prospective retire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consensus is formed o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ospective retirees, and action efforts are devised for each individual, organization, and government organization to improve cognitive flexibility of prospective retirees. 본 연구는 퇴직을 앞둔 중장년 퇴직 예정자를 대상으로 인지적유연성이 디지털리터러시를 매개로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사이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퇴직 예정자의 인지적유연성과 디지털리터러시 능력을 강화하고 현실적인 사회적지지 방안을 강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심리적안녕감을 제고하는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문제는 첫째, 인지적유연성은 심리적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인지적유연성과 심리적안녕감의 관계에서 디지털리터러시는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셋째, 인지적유연성과 디지털리터러시 사이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넷째, 인지적유연성과 심리적안녕감 사이에서 디지털리터러시가 사회적지지로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는가?로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퇴직을 앞둔 중장년 퇴직 예정자 33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 방식의 온오프라인 설문지를 통해 통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 기술통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의 순서로 실시하였고,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유연성은 심리적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디지털리터러시는 인지적유연성과 심리적안녕감 사이를 일부 매개한다. 셋째, 사회적지지는 인지적유연성과 디지털리터러시 사이에서 일부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지적유연성과 심리적안녕감 사이에서 디지털리터러시는 사회적지지로 일부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퇴직 예정자의 인지적유연성은 심리적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인지적유연성과 심리적안녕감의 영향관계를 바탕으로 퇴직 예정자가 심리적안녕감을 높일 수 있도록 개인의 노력을 비롯하여 기업 및 사회 차원의 인지적유연성 개발을 위한 구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퇴직 예정자의 인지적유연성과 심리적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디지털리터러시는 부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퇴직 예정자를 대상으로 한 전직지원서비스 및 생애설계 교육에서는 디지털리터러시 수준이 심리적안녕감 뿐만 아니라 퇴직 전후 실생활에 커다란 영향을 준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에 퇴직 예정자가 디지털리터러시를 더 많이 인식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한 고민과 실행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인지적유연성이 디지털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가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퇴직 예정자들이 정서적, 정보적, 평가적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사회적지지에 대한 높은 수준의 조직 및 사회의 관심과 실행 방안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퇴직 예정자들을 대상으로 인지적유연성, 심리적안녕감, 디지털리터러시, 사회적지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결과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퇴직 예정자의 심리적안녕감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퇴직 예정자의 인지적유연성 향상을 위한 개인 및 조직 그리고 정부 단체 각각에 맞는 실천 노력이 강구된다.

      • 인지적 휴게공간이 사용자의 재인과업에 미치는 영향

        김유진 조선대학교 대학원, 창의공학디자인융합학과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사회의 정보사용자들은 넘쳐나는 정보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정보량은 방대하고 이를 해석하는 사용자의 인지적인 노력의 강도가 높아졌다. 사용자는 정보를 받아들이는 인지과정에서 편안함을 느끼길 원한다. 휴식 없는 노동은 과로를 불러일으키는 것처럼 정보를 해석하는 일에 '쉼'이 없는 것은 인지적 과로를 유발한다. 이와 같은 개념을 인지심리학에서는 ‘인지과부하’라고 한다. 인지과부하를 해소하는 방법은 인지공학과 교육공학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인지과부하를 해소하는 방법에 대해 여러 가지로 제시되고 있으나, 인지과부하를 해소방법으로써의 ‘휴게’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자는 인지과부하를 해소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으며, 정보표현방식에서 ‘휴게’를 제공한다면 사용자에게 정보인지, 기억의 효율성, 기억인출에 도움을 줄 것이란 생각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적 휴게’를 주는 정보표현방법이 무엇이며, 이 표현 방법이 사용자의 기억인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연구이다. 사용자의 정보인지 과정에서 인지적인 ‘휴게’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휴게’를 활용한 물리적·심리적·사회적 현상에 관한 문헌·사례연구를 통해 도출한 ‘인지적 휴게’의 정보표현방식이 사용자의 기억인출과의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실험연구로 진행되었다. 문헌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물리적·심리적·사회적 현상에서 ‘쉼’의 현상에 대해 정의된 용어와 개념을 통해 휴게의 유형에는 신체적 휴게와 인지적 휴게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인지적 휴게를 활용한 정보 표현 방법의 사례연구를 통해 변형속성, 곁들임속성, 제한속성으로 3가지의 속성을 분류 도출할 수 있었다. 셋째, 인지적 휴게를 활용한 정보 표현방법은 사용자의 기억인출 유형 중 재인과업에 영향을 미치며, 재인과업을 측정하는 방법 중 양자택일 형, 강제 선택형, 일괄 시험 형에서 효율적인 방법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넷째, 제공되는 정보의 분야에 따라 사용자의 기억인출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발견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발견한 4가지 연구 결과에 대하여 실험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인지적 휴게를 활용한 정보 표현 중 곁들임 속성이 기억 인출에서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보의 이해도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도움을 줌으로써 인지적인 노력의 해소와 함께 기억저장에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된다. 반면 제한속성은 가장 낮은 정답률로 나타났다. 이는 정보를 인지하는 과정에서 인지적 휴식은 느낄 수 있으나, 제공된 정보와의 연관성이 없는 차단과 분리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기억 인출에서는 효율적이지 못한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인지적 휴게를 활용한 정보 표현 형식 중에서 양자택일형의 재인과업이 사용자의 인출정확도에서 다소 높게 측정 되었다. 이는 정보 표현방식으로 인한 영향이기 보다는 양자택일이라는 선택의 확률로 인해 수치상 높게 측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가장 낯은 수치를 보여준 일괄 시험형의 경우도 모든 정답을 선택해야 하는 경우의 수가 많아 정답률이 낮게 나온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토대로 사용자의 기억 인출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인지적 휴게공간’을 활용한 정보 표현의 효과성 및 표현 방법에 대한 연구가 향후 진행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formation users in modern society are living in overflowing information. The user feels cognitive fatigue because of the larg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processed. Users want to feel more comfortable than complexity in recognizing information. People get overworked when they work without rest. If people do not have 'rest' in recognizing information, they get cognitive overwork. In cognitive psychology, this is called cognitive overload.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in the field of 'cognitive engineering' and 'education engineering' to overcome cognitive overload. There are many ways to overcome cognitive overload, but there is relatively little research on 'rest' as a way to overcome cognitive overload. I began to think about how to overcome cognitive overload, it will help users 'information', 'memory efficiency', 'memory retrieval' It star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kind of information expression is giving a 'cognitive rest' and how this expression method affects users' memory retrieval. The importance of the cognitive 'rest' in the process of the user 's information cognition is the background of the study. In this study, literature and a case study on 'rest' were presented and the information expression method of 'cognitive rest' was derived. We investigated how the information expressions of the 'cognitive rest' derived from the retrieval were related to the user 's memory retrieval and proceeded to the experimental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literature review. First, I looked at the terms and concepts defined for the phenomenon of 'rest' i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phenomena. The types of rest were found to be 'physical rest' and 'cognitive rest'. Second, in the case study, 'transformation', 'addition', and 'limit' were derived as three ways of information expression using 'Cognitive Rest'. Third, the information expression method using the cognitive rest is influenced by the memory retrieval type of the user. We found that there is an efficient method for measuring the recognition task in 'yes / no recognition test', 'forced-choice test', and 'batch-testing procedure'. Fourth, we found that the field of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s is not significant for memory retrieva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ttribute of information expression using cognitive rest was most effective in memory withdrawal. This is directly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so it is understood that it is effective in eliminating cognitive effort and storing memory. On the other hand, the limiting attribute showed the lowest correct answer rate. This may be a cognitive rest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information, but it is not efficient in memory retrieval because it has the nature of interception and separation that i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provided. Second, among the forms of information expression using cognitive rest, the alternative type of reintegration task was measured somewhat higher than the retrieval accuracy of users. This is because it is numerically high because of the probability of alternative choice rather than the effect of information expression. Likewise, even in the case of the batch test type showing the most unfamiliar figures, it is judged that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s low because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all correct answers are selected. Based on this research, we expect that the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and expression method of information expression using the 'cognitive rest space' which can improve the memory withdrawal of users will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 인지적 도제 수업이 학습장애아의 수학 학업성취도 및 교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득남 동아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학습장애아란 본 연구에서 특정 교과의 학습곤란으로 인해 특수한 교육적 조처를 필요로 하는 아동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장애아를 위한 효과적 수업방안을 탐색하고자, 구성주의 견해를 제시했던 Vygotsky(1978)의 이론에 바탕을 둔 인지적 도제 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학습장애아의 수학 학업성취도 및 교과에 대한 태도에 어떤 효과를 가져오는지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인지적 도제 수업이란, 학습자에 대한 교사의 수행보조이론에 기반을 두고 모형화된 인지적 도제(Collins, Brown, & Newman, 1989) 모형을 활용한 수업으로서, 과제 수행에 대한 교사의 시범, 교사의 모델링, 학습자의 수행에 대한 교사의 코칭, 학습자의 독립적 수행 등 네 단계를 거쳐 진행되는 수업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Borg 와 Gall(1983)의 실험설계 모형 중 단일피험자설계로서 A-B-A-B모형을 적용해 피험자들의 변화과정을 밝힘으로써 처치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하교 특수학급에 소속되어 있는 2학년, 3학년 및 4학년 학습장애아들로서 남학생 2명 여학생 3명 모두 5명이었다. 본 연구의 처치는 기초선 조사, 처치, 반전, 재처치의 네 단계로 진행되었다. 기초선 조사는 인지적 도제 수업처치가 가해지지 않은 처치 이전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2주간 동안 이루어졌고, 기초선 조사가 끝난 다음 2주간 동안은 인지적 도제 수업처치가 개별화학습프로그램을 근거로 이루어졌다. 다음 2주간은 반전기간으로서 인지적 도제 수업처치가 회수된 수업처치가 진행되었다. 반전 기간이 끝난 다음 2주간 동안 인지적 도제 수업 재처치가 이루어졌다. 각 단계별로 6회씩의 수학 학업성취도 및 교과에 대한 태도 검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도제 수업은 학습장애아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다. 따라서 학습장애아동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서 인지적 도제 수업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인지적 도제 수업은 학습장애아동의 수학 교과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다. 따라서 학습장애아동의 교과에 대한 태도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서 인지적 도제 수업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apprenticeship instruction on LD children's math achievements and attitudes toward math. Experimental design adopted in this study was A-B-A-B model of single-subject designs. Subjects were five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from second, third, and fourth grade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proceeded for eight weeks through four phases: baselining, treatment, withdrawal of treatment, and retreatment. Treatments and retreatment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four steps of cognitive apprenticeship, while in the phase of baselining and withdrawal of treatment general math instructions were introduced. In each phases, subjects were tested six times on their achievements and attitudes toward math.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ognitive apprenticeship instruction has a positive effects on LD children's achievements of math.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use cognitive apprenticeship instruction to improve LD children's a academic achievements. Secondly, cognitive apprenticeship instruction has a positive effects on LD children's attitudes toward math.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use cognitive apprenticeship instruction to improve LD children's attitudes toward subject matters.

      • 시간압박과 인지적종결욕구가 창의적문제해결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강미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창의적인 사람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개방성, 민감성, 모호함에 대한 참을성, 호기심 등을 창의적인 사람을 설명하는 성격 특징으로 언급한다(Davis, Rimm, & Siegle, 2010). 이러한 성격특성은 주로 확산적인 성향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으며 수렴적인 성향은 거의 언급되지 않고 있다. 특히 인지적 종결욕구와 같은 수렴적인 심리경향성은 창의성의 부정적 요소로 여겨지고 있는데 어떤 문제에 대해 모호함을 싫어하며 확실한 하나의 답을 도출하고자 하는 욕구(Kruglanski, 1989)인 인지적 종결욕구는 창의적인 개인을 개방적이며 다양한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사람으로 정의하는 많은 연구들의 관점에서 볼 때, 창의성을 저해하는 개인의 성격특성이라 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인지적 종결욕구가 높을수록 창의성, 특히 다양하고 많은 아이디어를 창출해내는 창의적인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Chirumbolo et al., 2004; Rietzchel et al, 2007). 그러나 인지적 종결욕구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에서 활용된 검사들의 특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창의성 측정을 위해 아이디어 생성, 유창성과 같은 확산적인 사고에 비중을 많이 둔 검사를 활용해왔으며 수렴적인 특성보다는 확산적인 특성을 더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과제의 제한적 특성은 창의적인 개인의 성격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저해하고 인지적 종결욕구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단편적인 이해에 머무르게 할 가능성이 있다. 여러 연구에서 과제는 개인의 창의성 발현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환경 요인으로 많은 연구에서 제시되어왔으며 특히 창의적 문제해결은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동시에 요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인지적 종결욕구가 수렴적인 특성을 더 가지고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창의적 문제해결 상황에서 인지적 종결욕구의 역할이 기존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시간압박은 인지적 종결욕구와 창의적 과제수행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환경요인으로써 시간압박 상황에서 인지적 종결욕구 수준에 따라 창의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이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종결욕구와 창의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환경요인과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의 특성에 대한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지적 종결욕구가 창의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환경요인으로 시간압박이 제시되며 과제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전체적인 수행점수를 과제수행으로 보았을 때와 확산적 사고를 요구하는 과제와 수렴적 사고를 요구하는 과제로 구분하여 수행을 살펴보았을 때 인지적 종결욕구의 영향이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사전 인지적 종결욕구와 시간압박은 전체적인 창의적 문제해결 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인지적 종결욕구가 낮은 집단이 창의적 문제해결이 전체적 총점이 더 높았다. 또한 시간압박 여부에 따른 창의적 문제해결과제 수행 총점의 차이는 시간압박이 있을 때가 없을 때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인지적 종결욕구와 시간압박이 창의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확산적 사고를 좀 더 요구하는 과제와 수렴적 사고를 좀 더 요구하는 과제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인지적 종결욕구와 시간압박여부의 주효과와 인지적 종결욕구와 시간압박여부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제 특성과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인지적 종결욕구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높은 집단 보다 과제의 특성에 관계없이 더 높은 수행을 보였다. 다만 시간압박이 있는 경우, 인지적 종결욕구가 높은 집단에서는 확산적 사고 과제보다 수렴적 사고의 수행결과가 더 좋게 나타났으며 낮은 집단에서의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시간압박이 없는 경우 인지적 종결욕구 수준이 낮은 집단은 수렴적 사고 요구과제에서 수행이 떨어지는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시간압박과 인지적 종결욕구의 하위 요인에 따라 창의적 문제해결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지적 종결욕구 수준의 4가지 하위요인 중 폐쇄적 사고에서만 시간압박과 창의적 문제해결 과제 특성과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폐쇄적 사고요인에서는 시간압박이 있을 경우보다 시간압박이 없는 경우 집단별 수준에 따른 과제수행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만 시간 압박이 있는 경우 폐쇄적 사고 수준이 낮거나 중간 집단에서 확산적 사고 과제보다 수렴적 사고과제가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지적 종결욕구 수준에 따라 창의적 수행에 차이가 있다는 선행연구를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인지적 종결욕구 수준이 낮을수록 창의적 수행에 긍정적일 수 있으며 이는 인지적 종결욕구가 창의적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려해야하는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임을 시사한다. 더불어 본 연구는 시간압박여부가 인지적 종결욕구 수준에 따라서 창의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이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개인의 성격특성에 따라 시간압박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창의성 발현을 이끌기 위해 학습자의 개인 성격적 특성에 따라 제공되는 환경요인이 다르게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창의적 과제 수행을 단일 과제가 아니라 과제특성에 따라 구분함으로써 학습자 개인이 창의성을 발휘하는 영역을 조금 더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귀농·귀촌인의 인지적유연성이 이주생활만족도 및 도시회귀의향에 미치는 영향

        전정인 대구사이버대학교 휴먼케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귀농·귀촌인의 인지적유연성이 이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도시회귀의향과의 인과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귀농·귀촌인 119명을 대상으로 인지적유연성, 이주생활만족도, 도시회귀의향을 측정하고 자료를 수집하였고 IBM SPSS Statistics Subscription, Base Edition for Ma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인지적유연성과 이주생활만족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유연성과 이주생활만족도의 영향관계에서는 인지적유연성의 하위요인 중 일부만 유의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 상황통제인식 및 대처경향성이 이주생활만족도 전체와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유연성이 도시회귀의향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한 결과, 두 변인의 직접적인 인과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 학력은 인지적유연성과 이주생활만족도에 일부에 약간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은 개인의 다양한 삶의 가치를 추구하기 위한 능동적인 선택으로서 귀농·귀촌이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 현상을 반영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이론적 논의 및 시사점에 대하여 논하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지각된 부모의 과잉간섭과 역기능적 분노표현 방식과의 관계에서

        윤줄리아영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의 과잉간섭이 역기능적 분노표현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과잉간섭이 인지적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부모과잉간섭과 인지적 유연성이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하위요인인 분노표출 분노억제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검증을 위하여 총 650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Spielberger, Kranser 와 Solomon(1988)의 분노표현 척도와 허묘연의 양육태도척도, Dennis와 Vander(2010), 홍숙지(2005)의 인지적 유연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637부가 통계처리 되었다.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위해서는 Pearson 적률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해 Baron 과 Kenny(1986) 방법론에 의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과잉간섭은 인지적 유연성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인지적 유연성과 역기능적 분노표현방식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세째, 지각된 부모과잉간섭은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와의 관계에서 각각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부모 과잉간섭이 분노 표출과 분노억제와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이 매개하는지 살펴본 결과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부모의 과잉간섭이 자녀의 역기능적 분노표현 방식을 예측하는 중요 변임이며, 그 사이에 인지적 유연성이 개입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것은 역기능적인 분노 표현을 막기 위해서 인지적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주요어: 지각된 부모 과잉간섭, 역기능적 분노 표현, 인지적 유연성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test mediation effects of cognitive flex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intrusivenes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In this study, 637 high school students (286 boys, 351 girls) were surveyed with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Parental Intrusiveness Scale pulled by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developed by Huh, Myo Yeon, Anger expression scale by Spielberger, Kranser & Solomon (1988), Cognitive Flexibility Inventory by Hong, Suk Ji(2005), and Cognitive Flexibility by Dennis & Vender Wal(2010). For this study,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each variabl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find the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between parental intrusiveness and anger expression.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intrusiveness, cognitive flexibility and anger express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parental intrusiveness, the lower the child cognitive flexibility, the higher the cognitive flexibility, the lower the ‘anger in’ and ‘anger out,’ and the higher the parental intrusiveness, the higher the ‘anger in’ and ‘anger out'. Secondly, the research indicates that cognitive flexibility h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parental intrusiveness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is result shows that parental intrusiveness is an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dysfunctional expression. Additionally, it was verified that cognitive flexibility was a factor that played a role of having an influence between parental intrusiveness and dysfunctinal expression. Therefore, it illustrates that balanced and appropriate parental behavior is needed to foster cognitive flexibility, and that cognitive factor has an impact in decreasing dysfunctional expression.

      • 한?중 소비자의 화폐태도에 따른 투자성향 비교 연구

        오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20대 이상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화폐태도에 따른 금융상품에 대한 투자성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중국 금융투자상품 에 관심이 있는 대상을 포함할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과 중국 각 400부로 총 800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및 One way-ANOVA, x²(chi-squa re)검증,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투자성향에 의하여 최종 구분된 3가지 집단 가운데, 한국과 중국소비자들의 인지적과 행동적 투자성향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다. 반면, 한국과 중국소비자들의 인지적-행동적 투자성향의 일치정도의 차이는 심각한 정도 아니지만 어느 정도의 차이가 밝혀졌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수별 투자성향을 살펴보면 한국의 경우 안정적인 금융상품을 선호하는 안정형의 경우에는 남성의 비중이 여성보다 2배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남성이 여성보다 위험선호성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의 행동적 투자성향에서도 동일한 결과로 나타났다. 자녀수에 따른 인지적 투자성향에서 유의한 차이도 나타난 반면, 행동적 투자성향에서 성별을 제외하면 차이가 있는 유의한 변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국은 인지적 투자성향에서 거주지, 교육수준, 월평균소득 등 총 3개의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행동적 분야의 결과를 보면, 거주지에만 따른 투자성향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재무특성 및 재무설계상담 관련 변수별 투자성향을 살펴보면 한국은 인지적 투자성향뿐 아니라 행동적 투자성향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금융투자경험만 있다. 넷째, 화폐태도에 따른 투자성향을 살펴보면 한국은 인지적 투자성향뿐 아니라 행동적 투자성향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화폐 준비 및 보호’ 요인이다. ‘화폐 준비 및 보호’ 수준이 높을수록 인지적 투자성향이 안정적인 성향으로 나타나고, 행동적 투자성향의 수준도 높게 나타났다. 반면, 중국은 이러한 동일성이 있는 화폐태도 변수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소비자의 행동적 투자성향에 관련된 변수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한국의 경우 여성, 자녀가 없는 경우’, 대출액의 ‘중’과 ‘고’, 우선적인 투자목표의 ‘사업자금’, 재무설계상담 ‘경험수준’, 화폐태도의 ‘화폐 숭배 태도’적인 요인과 ‘화폐와 지위를 동일시 태도’적 요인이 높을수록 행동적으로 공격형 금융상품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화폐태도의 ‘화폐준비 및 보호’적 요인의 경향이 높을수록 안정형 금융상품을 선호하는 것을 밝혀졌다. 중국은 거주지의 ‘도시’와 ‘읍/면’, 재무설계상담 ‘필요도’가 높을수록 소비자는 실제로 안정형 금융상품을 선호한 반면, 저축액의 ‘고’, 우선적인 투자목표의 ‘채무상환’성향이 높을수록 공격형 금융상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인지적 투자성향과 행동적 투자성향의 일치여부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면 한국은 행동적 투자성향에 영향력을 동일하게 미치는 변수가 재무설계상담 ‘경험수준’과 화폐태도의 ‘화폐와 지위를 동일시 태도’ 2가지로 나타났다. 중국은 행동적 투자성향에 영향력을 동일하게 미치는 변수가 거주지의 ‘도시’와 ‘읍/면’ 우선적인 투자목표의 ‘채무상환’ 3가지 부분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및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금융상품시장에서 남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금융상품에 대한 투자 상담이 여성보다 더 신중하게 이루어야 함을 의미한다. 금융상품의 투자 권유 시 상품의 위험 고지 및 투자책임에 대한 인식을 강화시켜 손실에 대한 민감도를 높인 것이 필요하다. 중국 경우 성별, 지역별에 따라 차별화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중국은 한국에 비해 투자성향의 적확한 파악을 위하여 노력하는 것이 더 필요한 것을 밝혀졌다. 특히 중국 소비자들이 올바른 의사결정을 하기 어렵다는 공감이 형성되어 투자자보호의 중요성을 나타나게 되고 있다. 한편, 중국 각 금융상품회사는 소비자의 투자목표를 고려한 이해도를 중심으로 금융상품 관련 권유를 행해야 하고, 투자자 친화적인 입장에서 충분한 사전⋅사후 설명을 하여, 소비자들이 스스로의 투자성향을 정확히 판단하고 이에 적합한 투자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양국의 소비자의 화폐태도가 금융상품 관련한 재무설계상담이나 교육 과정 중 소비자의 정보수집단계의 하나의 유의한 도구로 활용되어 소비자의 투자성향을 잘 알아보기 위하여 화폐태도에 대한 예비조사가 필요한 다. 마지막으로, 따라서 돈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하여 자신의 욕구를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소비자 교육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교육은 저학년 때 이루어질수록 내재된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학습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s going to investigate the investment tendency of the financial products depending on the money attitudes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who are over the age of 20. For this, taking the people from China and Korea who are with or without investment experience but interested in investment as subjects, 800 pieces of questionnaires was done with 400 pieces done separately for Korean and Chinese subjects. The collected data was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 way-ANOVA, x²(chi-square) verificati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of all, it is show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investment tendency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of the consistency of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investment tendency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is not very serious, but there is some difference revealed to some extent. Secondly, when reviewing the investment tendency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s for the Korean subjects, when stable financial products are preferred, the proportion of the male is twice more than that of the female. In terms of risk preference, male is higher than female. It turned out the same in the behavioral investment tendency of the consumers. In the cognitive investment tendency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ildren,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no variables except gend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ehavioral investment tendency. On the other hand, as for Chines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classified by residence, education level and average monthly income. As for the result of behavioral field, the investment tendency which depends on the residence has significant difference. Thirdly, when reviewing the investment tendency according to the financial features and financial planning and counseling, as for Koreans, only one variable, namely, the financial investment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ot only the cognitive investment tendency but also the behavioral investment tendency. Fourthly, when reviewing the investment tendency according to the money attitude, as for the Koreans, money preparation and prote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ot only the cognitive investment tendency but also the behavioral investment tendency. As the level of the money preparation and protection got higher, the cognitive investment tendency went stable and the level of behavioral investment tendency got higher. Meanwhile, as for Chinese, there is no money attitude variable that has this kind of identity. Fifthly, when reviewing the inference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consumer behavioral investment tendency, as for Koreans, when a female has no child, the amount of loan is medium and high, the preferential investment purpose is business funds, the higher the variables like the financial design education experience level, the money worship attitude and the identifying money with status are, behaviorallyoffense-oriented financial products would be more preferred. Meanwhile, the higher the tendency of money preparation and protection is, the stable financial products would be more preferred. As for Chinese, when the residence is city and country and the financial design education necessity got higher, actually stable financial products would be prefer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saving is high and the tendency of debt redemption in terms of preferential investment goal got higher, offense-oriented financial products would be preferred. Finally, when reviewing the influence of the consistency of the cognitive investment tendency and the behavioral investment tendency of the consumers, as for Koreans, variables that influenced the behavioral investment tendency consistently were the financial design education experience level and the identifying money with status. As for Chinese, there were three variables that influenced the behavioral investment tendency consistently. they were the residence variables city, country and the debt redemption in terms of preferential investment goal. The following are the implications based upon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of all, it means that in the Korean financial product market, the financial product investment consultancy for the male consumers should be more carefully realized than that of the female. When advise the financial investment, the awareness about risk of the product and the investment responsibility should be enhanced and the sensibility about loss should be raised. In the China, differentiated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gender and region are very necessary. Secondly, it is revealed that it is necessary for China, when compared to Korea, to work hard so as to accurately figure out the investment tendency. Especially, it is showed that Chinese consumers cannot make a right decision, so the importance of investor protection emerged. On the other hand, each financial product company in China should advise related financial products by 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sumer investment purpose. From the investor-friendly perspective, sufficient pre-to-post explanation should be done. Consumers should by themselves judge correctly their own investment tendency and try to do appropriate investment decision. Thirdly, the money attitude of two countries’ consumers is used as a significant tool in consumers’ data collection stage during the financial design consultancy or the education process. In order to know better the investment tendency of the consumer, preliminary investigation related to money attitude is needed. Finally, desirable attitude about money will form and the consumer education which can help control their own desire is very important. It is expected that if this education can be done when they are in the lower grades, study effect will be gre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