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가적 인재양성을 위한 마인드셋 도출에 관한 연구

        신영식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2

        국문초록 오늘날 경기의 침체와 경제의 성숙으로 인한 성장의 한계와 청년실업 문제 등으로 인하여 창업을 통한 새로운 성장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인 상황으로 인하여 기업가적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현재 기업가정신 교육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교육들이 기업가역량 중 후천적인 역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기업가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선천적인 역량 또한 후천적인 역량 못지 않게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기업가역량 중 선천적인 역량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기업가정신을 제고할 수 있는 마인드셋을 도출하고 이를 강화하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업가정신과 마인드셋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통하여 기업가적 인재양성을 위한 마인드셋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의 제시하였다. 기업가적 인재는 정치, 경제, 사회 및 문화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혁신을 유발하는 사람이다. 혁신은 성공한 창조를 의미하며 긍정적이어야 한다. 따라서 기업가적 인재양성을 위해서는 혁신에 기반이 되는 창조성 개발과 같은 선천적인 역량의 강화가 요구된다. 기업가적 인재양성을 위한 마인드셋을 도출하기 위하여 기존의 기업가정신과 기업가역량에 대한 광범위한 기존연구들을 고찰하여 기업가역량의 요소들을 파악하였다. 파악된 요소들을 선천적인 역량과 후천적인 역량으로 분류하였고, 분류된 후천적인 역량을 파워프로세스 접근법을 통하여 실제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기업가 마인드 셋을 창조능력, 완전기능행동, 행동의가치화, 정서지능, 기업가적 리더십, 혁신능력, 사회적 책임과 같은 일곱 개의 행동특성을 가진 요소로 구성하였다. 기업가 마인드 셋의 구성요소인 창조능력, 완전기능행동, 행동의가치화, 정서지능, 기업가적 리더십, 혁신능력, 사회적 책임은 기업가정신을 강화하는 요소이므로, 이러한 요소들을 강화하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업가적 인재양성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을 위하여 마인드셋의 7개의 구성요소 별로 3개의 대표적인 하위항목을 문헌연구를 통하여 선정하였고, 마인드셋의 구성요소와 선정된 하위항목들의 중요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AHP분석을 통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문헌연구와 파워프로세스 접근법에 의하여 도출된 마인드셋의 구성요소와 AHP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기업가적 인재양성을 위한 마인드셋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방안이 널리 보급되어 기업가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의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가 균형된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되어 기업가적 인재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中國武術國際化傳播人才培養研究

        후난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98

        무술은 중국 보귀한 전통문화의 중요한 구성부분으로 중국 민족 문화의 보물이다. 중국 무술은 역사가 유구하고 내용 형식이 풍부하며 문화 특색이 뛰어나 정치적 가치, 문화적 가치, 교육적 가치, 운동적 가치, 경제적 가치 등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 운동 종목은 현재 세계적 범위에서 보급되는 효과가 뚜렷하지 못하다. 무술의 국제화 보급은 일종 종합적인 활동으로 그 보급의 효과는 여러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보급하는 인재이다. 자료 검색을 통해 알아본 결과, 중국은 아직 무술의 국제화 보급 인재에 관해 건전한 인재양성 시스템이 갖춰 있지 않으며 양성 이론, 양성 목표, 양성 전략, 양성 프로젝트 등 부분에서 아직 여러 문제들이 존재한다. 본문에서는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중국 무술 국제화 보급 현황, 무술 국제화 보급 인재 현황에 대해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중국 무술 국제화 보급 인재양성 프로젝트를 연구한다. 또한 무술 국제교사 자격증을 개설할 것을 제기함으로써 중국 무술 국제화 보급에 인재양성 지탱구조를 제공하려고 한다. 제 1 장은 서론으로서 본문 주제 선정의 배경과 필요성을 통해 연구목적과 의의를 밝혔다. 제 2 장은 시대별 무술의 발전 및 보급 상황에 대한 정리를 통해 체계적으로 중국 무술 국제화 보급의 발전과정을 서술하였다. 제 3 장은 중국 무술 국제화 보급 및 인재 양성 두 가지 측면으로부터 연구하여 이 두 가지 측면의 현황 및 존재하는 문제점을 소개하였다. 제 4 장은 현황 및 존재하는 문제점에 따라 중국 무술 국제화 보급 인재양성 프로젝트에 관하여 상세하게 논술하였다. 제 5 장은 중국 무술 국제화 보급 인재양성 이론, 양성 유형, 교과 과정 계획과 핵심 소양 등 부분에 따라 중국 무술 국제화 보급 인재양성 프로젝트와 무술 국제화 교사 자격증 프로젝트를 설계하였다. 제 6 장은 본문의 결론 부분이다. 무술 국제화 보급을 기반으로 무술 국제화 보급 인재양성에 관해 연구함으로써 중국 무술 국제화 보급 인재양성을 중요시할 것을 바라며 중국 무술 국제화 보급 인재양성 사업에 조금이나마 도움을 제공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Wushu is an important part of China's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and a treasure of Chinese national culture. With a long history, diverse contents and forms, and outstanding cultural characteristics, Chinese Wushu integrates political value, cultural value, educational value, fitness value, and economic value. However, this excellent sport is currently ineffective in spreading around the world. The international dissemination of Wushu is a comprehensive activity, and the quality of its dissemination is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one of which is the talents for Wushu dissemination. This paper finds that China has not yet established a perfect cultivation mechanism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talents of Chinese Wushu, and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in the cultivation of communication talents in terms of cultivation theory, cultivation goals, cultivation strategies, and cultivation programs. This paper will objectively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internationalized communication of Chinese Wushu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talents for this and at the same time research the cultivation program for the internationalized communication talents of Chinese Wushu, and propose for the first time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teacher qualification in Wushu to support for the cultivation of talents for the internationalized communication of Chinese Wushu. This paper mainly adopts the documentation method, case analysis method, logical analysis method, and comparative analysis method to discuss the article. Chapter 1, the introductory part, mainly elaborates on the background, research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is paper's topic selection. Chapter 2 systematically describes the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dissemination of Chinese Wushu by sorting out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status of Wushu in different periods. Chapter 3 takes the two main aspects of the international dissemination of Chinese Wushu and its talent cultivation as the main body of research, and mainly elaborates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two main aspects. Chapter 4 discusses in detail the cultivation strategies of Chinese Wushu internationalized communication talents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Chapter 5 designs the cultivation program of Chinese Wushu internationalized communication talents and the standard program of Wushu internationalized teacher qualification based on the cultivation theory, cultivation mode, curriculum and core literacy of Chinese Wushu internationalized communication talents. Chapter 6 is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which is an in-depth study on the cultivation of international communication talents of Wushu based on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of Wushu, aiming to draw attention to the "cultivation of international communication talents of Chinese Wushu" and provide some suggestions for the cultivation of international communication talents of Chinese Wushu. 武术是中国优秀传统文化的重要组成部分,是中国民族文化的瑰宝。中 国武术历史悠久、内容形式丰富多样,文化特色突出,集政治价值、文化价 值、教育价值、健身价值、经济价值等于一体。然而,这项优秀的运动项目 目前在世界范围传播的效果不佳。 武术国际化传播是一项综合的活动,其传播质量受多个因素的影响,其 中一个重要的因素是传播人才。本文通过研究发现,中国尚未建立完善的针 对中国武术国际化传播人才的培养机制,培养理论、培养目标、培养策略、 培养方案,传播人才的培养方面尚存在一些问题。本文将针对这些问题,对 中国武术国际化传播现状、武术国际化传播人才现状进行客观分析,研究出 中国武术国际化传播人才的培养方案,并首次提出增设武术国际教师资格证, 为中国武术国际化传播提供人才培养支撑。 本文主要采用文献资料法、案例分析法、逻辑分析法、比较分析法对文 章进行论述: 第一章绪论部分,主要阐述了本文的选题背景、研究目的及意义。 第二章通过梳理不同时期武术的发展及传播状况,系统地阐述中国武术 国际化传播的历程。 第三章以中国武术国际化传播及人才培养两大方面为研究主体,主要阐 述两大主体的现状与存在的问题。 第四章根据现状及问题,对中国武术国际化传播人才的培养策略进行详细论述。 第五章根据中国武术国际化传播人才的培养理论、培养模式、课程设置 与核心素养等环节,设计中国武术国际化传播人才培养方案和武术国际化教 师资格证标准方案。 第六章为本文的结论部分。以武术国际传播为立足点,对武术国际传播 人才培养进行深入研究,旨在引起对“中国武术国际化传播人才培养”的重 视,为中国武术国际化传播人才培养工作提供一些建议。

      • 디지털 시대 인재양성 정책의 변화 방향 연구 : Hogwood & Peters의 정책변동유형이론 적용

        조산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86

        4차 산업혁명, 코로나19는 전세계적인 사회경제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며 노동시장을 급격하게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자동화, 디지털 전환, 초연결 등의 4차 산업혁명 발 융합혁신과 사회적 거리두기, 원격근무, 비대면 등 코로나19로 발생한 생활양식 변화는 주요 경제관련 지표와 노동시장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켰다. 정보통신 분야를 중심으로 디지털, 신기술, 신산업 인력 양성에 대한 수요와, 온라인 기반의 새로운 형태의 훈련방식에 대한 수요의 증가는 새로운 훈련사업으로의 정책적 변화가 필요하도록 이끌었다. 이 시기 대한민국 정부와 일자리 사업을 주관하는 고용노동부는 상황적 맥락의 변동 속에서 일자리 중심으로 정책을 재편하고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디지털 신기술 분야의 인력양성 훈련 분야에서 다양한 사업을 통해 새로운 도전을 하게 되었다. 비교적 단기간에 급격한 수준의 정책변화는 정책 간의 경쟁과 성패가 반복적으로 관찰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채 자연스럽게 정책변동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눈여겨볼 만한 정책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디지털 인재 양성 정책에 영향을 미친 대내외환경, 정책 기조, 패러다임 변화 등의 환경 요인이 정책수단적 요소와 결부되어 나타난 정책결정 및 변동 상황에 주목하였다. 이에 Hogwood와 Peters가 고안한 정책변동유형이론을 사례분석에 적용하여 디지털 인재양성 정책 추진 시기별 정책변동 유형을 확인하고, 정책변동으로서 정부의 디지털 인력양성 정책 추진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일련의 분석 과정에서 다양한 시사점을 확인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디지털 인재양성 정책 3개 세대의 전반적인 정책변동의 유형은 정책승계였다. 분석 대상 정책은 모두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 훈련을 근간으로 추진되었다. 세부적인 정책변동 유형은 다음과 같다. 1세대는 정책승계를 기반으로 정책유지가 혼합된 유형이다. 기본성격 측면은 의도적, 법률 측면은 제정개정, 조직 측면은 유지, 예산 측면은 신규이다. 2세대는 정책유지를 기반으로 정책승계가 혼합된 유형이다. 기본성격 측면은 적응적, 법률 측면은 제정, 조직 측면은 유지, 예산 측면은 유지이다. 3세대는 통합형 정책승계 유형이다. 기본성격 측면은 의도적, 법률 측면은 제정개정, 조직 측면은 개편, 예산 측면은 부분적 변화 및 신규이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첫째, 정부의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 노력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상황적 맥락의 변화는 정책변동에 주요한 요인이며, 법률, 조직, 예산은 정책변동 유형을 분류할 수 있는 주요 변수로 삼을 수 있다. 이에 정책추진 시 법률, 조직, 예산에 대한 전문성 강화 노력을 바탕으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디지털 인재 양성의 실행적(보조적) 정책수단 다각화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연구의 한계점으로 첫째, 분석 대상 범위가 단일부처의 일부 분야로 한정적이었다는 점이다. 둘째, 직업능력개발 분야 정책의 역사적인 정책변동을 모두 살펴보지는 못하였다. 셋째, 정책변동과 관련이 깊은 ‘정책평가’를 통한 환류를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하였다. 넷째, 시사점에서 언급한 실행적 정책수단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추진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VID-19,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global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and served as an opportunity to rapidly change the labor market. The converge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automation, digital transformation, and hyper-connection, and lifestyle changes caused by COVID-19, such as social distancing, remote work, and non-face-to-face, have led to major economic indicators and paradigm changes in the labor market. The growing demand for training digital, new technologies, and new industries, especially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ctor, and for new online-based training methods, led to the need for policy changes to new training projects. During this period,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which oversees job projects, made efforts to reorganize and strengthen policies centered on jobs amid changes in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In particular, in the field of human resource training and training in the field of new digital technology, new challenges have been made through various projects. The rapid level of policy change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is a remarkable policy phenomenon in that policy changes were made naturally without repeatedly observing competition and success or failure between policies.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noted the policy decision-making factors such as external environment, policies such as external environment, policies, policies, policies, policies, policies, and paradigm change. Accordingly, the policy change type theory devised by Hogwood and Peters was applied to the case analysis. It was intended to confirm the type of policy change by period of implementation of the digital talent training policy and to evaluate the government's promotion of the digital manpower training policy as a policy change. In addition, various implications were attempted to be confirmed in the series of analysis proces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overall type of policy change of the three generations of digital talent training policies was policy succession. All of the policies subject to analysis were promoted based on national strategic industry job training. The detailed types of policy changes are as follows. The first generation is a mixture of policy maintenance based on policy succession. The basic personality aspect is intentional, the legal aspect is enacted and revised, the organizational aspect is maintained, and the budget aspect is new. The second generation is a mixture of policy succession based on policy maintenance. The basic personality aspect is adaptive, the legal aspect is enacted, the organizational aspect is maintained, and the budget aspect is maintained. The third generation is an integrated policy succession type. The basic personality aspect is intentional, the legal aspect is enacted and revised, the organizational aspect is reorganized, and the budget aspect is partial change and new. The results of analyzing research analyz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government's efforts to respond to environmental changes. Second, changes in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are major factors in policy changes, and laws, organizations, and budgets can be used as major variables that can classify policy changes. Therefore, a comprehensive review is needed based on efforts to strengthen expertise in laws, organizations, and budgets when promoting policies. Third,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diversification of practical (supplementary) policy measures for fostering digital talent. The limi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that the scope of analysis target is limited to some fields. Second, it was not examined all historical policies in the field of policy change. Third, it was not possible to clearly explain the reflux through 'policy evaluation' that is deeply related to policy changes. Fourth, it was not possible to promote in-depth research on the practical policy measures mentioned in the implications.

      • 중국 산업 인재양성을 위한 애니메이션교육모델 연구 : 한국 대학 애니메이션교육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여로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86

        Abstract Ph.D. Dissertation A Study of Animation Education Model for Fostering Industrial Manpower of China -Focusing on Comparative Analysis with University Animation Education of Korea Lulu Department of Visual Image Arts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Since 2000, the Chinese animation industry has achieved rapid growth with politic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during the past ten years. Most of all, subsidiary industries related to animation such as characters and games have developed, prompting the demand for qualified professionals. Accordingly, colleges have shown increasing interest in animation education. Although the colleges teaching animation in China have increased in numbers, the education system is still inadequate to meet the industrial demand. Thus, it is extremely urgent to make changes in the education system to cultivate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for the animation industry and related fields which have boomed in full scale now.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nimation industry and the education in China and Korea along with overall academic contents including educational objectives and curricula in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n both countries.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quirements for animation education and offer directions of improvement. First, until the late 1990s, 2D animations that required laborious work predominated in the Chinese animation industry. But later, as the animation production industry adopted digital technology, animation production systems and methods became digital. With these changes, 2D animations and 3D animations using digital technology have moved into the mainstream. Furthermore, as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has expanded, qualified professionals with creativity and specialized skills are in demand. Also, this study explored the current situations of overall animation education in China and Korea by selecting three specialized schools each in China and Korea then comparing and analyzing their educational objectives and detailed curricula. The results showed that effective curriculum developed for animation production; competent faculty to carry out the curriculum along with an education system to support creativity and keeping up to date with media technology trends in digital contents industry are necessary for the Chinese animation educa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results from interviews with experts in industry and education fields, it was shown that while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made an effort to train professionals required by industry, the graduates placed in the industry proved to be greatly unprepared in production and teamwork. In reference to this research and analysis, the study offers directions to improve Chinese animation education that combines methods of training of animation professionals. This includes changing educational objectives, organizing competent faculty, developing curricula focused on practical skills in production, and strengthening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On the basis of this direction of improvement, the study proposed an animation education model to train human resources for the Chinese industr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policy, industry and education are working closely together, this model suggests that through the specialized selection process, qualified applicants for animation education are selected. Then the students are taught the systematic curriculum focused on production by competent faculty to become professionals equipped with animation production skills and other related basic skills. In addition, professionals required by the industry could be trained through this strengthened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If the ultimate goal of animation education is to train required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for the industry, hopefull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chieving the goal of animation education. Key word : Fostering manpower, Animation education model, Practical properties of education 논 문 개 요 중국의 애니메이션산업은 2000년 대 이후 최근 10여 년 간 국가의 정책적 지원 하에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다. 특히 캐릭터, 게임 등의 애니메이션과 관련된 부대산업들이 발전하면서 콘텐츠제작에 필요한 전문적인 인재수요를 촉발시켰으며, 이에 따라 대학의 애니메이션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그러나 중국의 애니메이션교육은 대학 수가 많아졌지만, 산업수요에 적합한 교육은 아직도 미흡한 부분이 많다. 발전하는 애니메이션산업과 관련 콘텐츠산업 분야에 적합한 체계적인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대학 교육의 변화가 매우 절실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애니메이션 산업과 교육에 관해 중국과 한국을 비교 분석하며, 중국과 한국 대학의 교육목표나 교과과정 등 교육의 전반적 내용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우선 과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두 나라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비교하여, 중국 대학 애니메이션교육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찾아보려고 했다. 먼저 중국의 애니메이션산업은 2000년대 이전에는 노작을 중심으로 한 2D애니메이션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후 디지털 기술이 애니메이션에 접목되면서 디지털 중심의 제작시스템과 제작방식으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디지털방식의 2D애니메이션과 3D애니메이션이 산업의 주류가 되었고, 더불어 뉴미디어에 의한 다양한 영상콘텐츠산업이 확대되면서 중국 애니메이션산업은 창의성과 전문적 기술을 갖춘 맞춤형 인재가 필요한 실정이다. 다음으로 중국애니메이션교육을 연구하기 위해 중국과 한국의 전반적인 교육의 현황을 탐색하고, 중국과 한국의 대학 중 예술 창작의 특성, 학제 간 융합 교육적 특성, 취업 실무교육 특성 등 각 3개 대학을 선정하여 교육목표와 세부적인 교과과정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중국은 한국에 비해 교육내용과 시스템의 차이가 컸으며, 특히 산업과의 연계가 매우 부족하였다. 한국 대학의 애니메이션 교육은 인문학과 예술적 소양을 중시하면서도 창의적 사고를 키우는 것을 바탕으로 학생들 스스로 애니메이션을 제작해봄으로써 콘텐츠의 특성을 직접 경험해 보게 하였다. 반면 중국은 사회주의체제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목표가 대학 전반에 자리 잡고 있어 교육방식이 획일화되어 있고, 그것이 전공교과과목 편성에도 많은 영향을 끼쳐 전공과목간의 연계성과 전문성이 부족하였다. 또한 급격한 대학 수의 팽창은 학생 대비 교수의 부족현상을 낳았고, 특히 전문성을 갖춘 교수의 부족은 교육의 수준을 낮아지게 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로 인해 대학은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숙련된 전문 인력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었다. 실제로 산업과 교육현장의 전문가들의 인터뷰 결과를 보면, 교육계는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전문 인재를 양성하려고 노력하고 있었지만, 산업계의 시각은 대학에서 배출된 졸업생들이 팀워크나 제작측면에서 아직은 부족한 점이 많다는 의견들이 대다수였다. 이러한 조사·분석을 토대로 중국 애니메이션교육에서의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찾을 수 있었다. 첫 번째는 뉴미디어 시대의 흐름을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융·복합적인 소양을 갖춘 애니메이션 인재양성으로의 교육방향이 필요하다. 두 번째는 체계적인 애니메이션제작교육을 이끌어갈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춘 교수진 구성이 필요하다. 세 번째는 창의성과 다양한 방식으로 실기능력을 높일 수 있는 전문 교과과정이 필요하다. 끝으로는 산업의 흐름과 특성을 능동적으로 교육에 반영할 수 있도록 산업과의 유기적인 네트워크시스템을 마련해야한다. 이러한 개선방안을 토대로 중국의 산업인재양성을 위한 애니메이션교육모델의 핵심개념은 ‘애니메이션교육의 실용성’이다. 즉 정책과 산업 그리고 교육이 상호 유기적으로 기능하는 가운데 대학은 애니메이션영상에 적합한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고, 전문성 있는 교수진이 창의성과 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실무능력이 가능한 교과과정과 제작시스템을 구축하여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선순환 교육시스템을 말한다. 궁극적으로 대학의 애니메이션교육의 목표가 산업에서 필요한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라는 전제 할 때 본 논문이 이러한 애니메이션 교육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디지털 잡마켓에서 빅데이터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실무기술역량 연구

        정재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과학경영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84

        As various existing analog industries have been reorganized into digital convergence fields in order to enhance 21C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wind of innovation is strong across the industry. Accordingly, companies are judging talent recruitment or training as a means of survival for companies, and as time goes by, voices for the need to cultivate digital talent and cultivate technology are increasing. In addition, DT & DX innovation implies the incorporation of knowledge know-how (content, etc.) in various industries into existing ICT, and it is emerging as a very urgent task for young people in various majors to be trained as digital convergence talents in the big data field. In this study, after collecting the opinions of field workers and job seekers, machine learning and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were applied to derive the practical skills required for big data convergence talents in the digital job market. Big data jobs a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and it was confirmed that 'data project manager', 'data researcher', and 'data scientist', which have essential requirements such as degree (master or doctorate degree) and career, are difficult to be directly put into the field only based on technology capabilities, so in this study, practical technology skill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data analyst' and' 'data engineer' jobs. Currently, big data projects were the most common in the financial and manufacturing sectors, and in terms of technology, about 20 to 30 technology capabilities were mixed in about four types (AI, Data Analysis, Web Components, and Data Pipeline). Machine learning and big data techniques drew the practical roadmap for technical competency reflecting the importance of the field was derived while comprehensively analyzing and attracting the interest and interest of the students based on the the priority of practical skills identified in the job market and the poor skills of each group based on similar academic achievement competencies of unemployed people, and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results of satisfaction analysis of trainees who completed the recent course. Based on the roadmap presented, it has been confirmed that big data projects do not proceed with one or two technologies, but have a wide spectrum of technologies, which explains why talents trained only on digital new technologies such as AI&Big Data are not properly used to build innovative services. In the end, for the success of big data convergence services, it is important how well newly released digital new technologies and vastly advanced legacy technologies work together. To this end, it suggests that cultivation goals in the existing 'digital new technology' field are broadly organized into packages of three fields (Web Component Full Stack + Data Engineering). This is expected to be not only efficient in human resource utilization strategies within the company, but also greatly help individual career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Finally, if the above technological convergence talent in the data field is stably established, a comprehensive study on how to cultivate (or improve) DX convergence talent (human resources with domain knowledge-based big data technology utilization capabilities) is needed. 21C 국가경쟁력 제고차원에서 기존의 여러 아날로그 산업분야가 디지 털 융합분야로 재편되면서 산업 전반에 혁신의 바람이 거세다. 이에 기업 들은 인재영입 또는 양성을 기업의 생존수단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시간 이 갈수록 디지털 인재양성과 기술 함양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 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DT & DX 혁신이라는 것이 기존 ICT에 여러 산업의 지식 노하우(컨텐츠 등)가 접목된 것을 내포하게 되면서 다양한 전공의 청년들이 빅데이터 분야의 디지털 융합인재로써 양성되는 것이 매 우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업 실무자의 의견과 구직자 정보를 취합 후, 머신러닝,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디지털 잡마켓(디지털 역량이 갖춰진 인재를 채용하려는 구인구직시장)에서 빅데이터 융합인재에게 필요한 실무기술역량을 도출함으로써 관련 수요자들에게 명확한 기술 커리어에 대한 가 이드를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빅데이터 직무는 총 5가지로 분류되어 있 는데 채용시 학위(석박사) 및 경력 등 필수요건 있는 ‘데이터 기획자’, ‘데이터 연구자’, ‘데이터 과학자’는 기술역량 중심으로만 현업에 바로 투입되기 어려운 직무임이 확인되어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분석가’ 와 ‘데이터 엔지니어’ 직무를 중심으로 실무기술역량을 분석하였다. 현재 빅데이터 프로젝트는 금융과 B2B서비스(고객니즈분석) 분야에서 가장 많았으며 기술적인 측면으로는 대략 4가지 (AI, 데이터분석, Web, 데이터 파이프라인) 유형에 20~30여가지 기술역량이 혼용되어 진행되고 있었다. 머신러닝과 빅데이터 기법으로는 취업시장에서 유리한 실무기술역량 우선순위와 미취업자의 유사한 학업성취역량 기반의 그룹별 부진기술역량을 확인하고 최근 과정을 마친 피교육자 만족도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수강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끌면서 현업의 중요도가 반영된 실무적인 기술역량 로드맵을 도출하였다. 제시된 로드맵으로 볼 때, 빅데이터 프로젝트는 특정 한, 두가지 기술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상당히 폭넓은 기술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AI&빅데이터 등 디지털 신기술 중심으로만 양성된 인재들이 기업의 혁신 서비스 구축에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이유와 동시에 양성된 인재들의 역량과 기업의 현실이 부합되지 않는 부분이 적지 않음을 잘 설명해 준다. 결국, 빅데이 터 융합 서비스의 성공을 위해서는 새롭게 출시되는 디지털 신기술과 지 속적으로 고도화 된 방대한 레거시 기술들이 얼마나 잘 연동되느냐가 중 요하다. 이를 위하여 기존 ‘디지털 신기술’ 분야의 배양목표를 신입/재 직자 관계없이 3가지 분야 (웹컴포넌트 풀스택+데이터분석+데이터 엔지니 어링)의 패키지로 폭넓게 구성하는 것을 제언한다. 이는 기업 내에서의 인재활용전략에도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인재들의 개별적인 커리어 관리 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위와 같은 데이터 분야의 기술적인 융합인재가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게 되면 다음으로는 DX융합인재 (도메인지식기반 빅데이터 기술활용역량을 갖춘 인재)의 양성(또는 향상)방법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중국 대학교 뮤지컬 전공 인재양성 교수 모델 실천 연구

        안정학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84

        뮤지컬은 20 세기 이래 세계 무대에서 가장 현란하고 다채로운 예술 형식 중 하나로, 음악, 무용, 연극 등 다양한 예술 장르를 아우르는 음악 연극 형식이다. 뮤지컬은 19 세기 후반 영국에서 시작해 20 세기에 유럽, 미국을 풍미했고, 80 년대 중국에 정착한 이후 중국식 진로가 시작됐다. 중국 뮤지컬 시장의 성장과 함께 중국의 뮤지컬 전문 교육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1995 년 중앙연극학원은 '뮤지컬'이라는 이름으로 공연연출 전문반을 창설했다, 같은 해 베이징무용학원에서 뮤지컬 전공을 창설하였으며, 중국에서 처음으로 뮤지컬 전공을 개설한 전문대학이다. 두 학교의 뮤지컬 학과 설립은 중국 대학교에서 뮤지컬 전공교육의 탄생을 알리는 신호탄이다. 이어서 중국 대학교들도 뮤지컬 전공 탐구에 나섰다. 최근 몇 년간, 중국 뮤지컬 인력 수요는 대학교 뮤지컬 인력 양성과 맞지 않는다. 중국 30 여 개 대학 중 뮤지컬 학과 학생들의 취업난이 심각하다. 뮤지컬업에 종사하는 졸업생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고, 대다수 졸업생은 취업 스트레스 때문에 다른 업종으로 전입했다. 현 단계 대학교 뮤지컬 전공자들이 배출한 인재들이 사회의 요구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뮤지컬 전공 졸업생 취업난의 현상이 일어난다. 뮤지컬 인재양성의 오랜 경험에 비추어 볼 때 뮤지컬 졸업생의 취업난의 일부 원인은 취업자가 많고 관련 일자리가 적은 사회 현실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또 대학교 뮤지컬 인재양성과 교육방식도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중국 대학교의 뮤지컬 인재양성과 실습 교육에 대한 깊은 정리와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중국 대학교(학부)의 뮤지컬 전문인재 양성, 중국 대학교의 뮤지컬 전문인재 양성 교육실천 등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먼저 뮤지컬의 중국 발전 역사의 맥락을 정리하였고; 그 다음에 중국 대학교에서 뮤지컬 전공교육의 역사와 현황에 대한 문헌 돌아보기 연구도 병행했다. 마지막에 전문예술대학과 종합대학 2 종류의 대표적인 대학교 뮤지컬 전문인재 양성을 통한 조사하고 뮤지컬 전문 인재 양성의 교육 특징, 교육 현황 및 교육방법을 고찰하고 연구한다. 본 논문은 실사법, 심층면접법, 사례분석법, 역사분석법, 비교연구법, 수리통계법 등 6 가지 연구방법을 적용했다. 본 논문은 모두 여섯 개의 연구 장로 나뉜다. 제 1 장“서론” 논문 연구의 기본적인 상황을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연구 대상, 연구의 배경, 의의, 연구방법,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고 전면적으로 논문 작성의 과정, 논문 작성의 방법을 기록하였다. 제 2 장“문헌 서술” 중국에서 뮤지컬이 발전한 역사 동인 및 방식을 설명하고, 본 과제의 현재 연구실태를 분석하였고, 국내외의 기존 연구를 빗질하고 평론하여, 후속 연구 성과를 이론적으로 뒷받침해 주었다. 제 3 장“중국 대학 뮤지컬 전공교육 특성 분석”. 뮤지컬 전공 교육이론을 근거로 대학 뮤지컬 교육의 3 대 모듈, 공연실천, 극목 분석 나선다. 중국 특색 문화와 뮤지컬 시장의 배경 아래, 중국 대학교 뮤지컬 전문 교육의 특징을 해석하다. 제 4 장 “중국 대학교 뮤지컬 전공교육 현황 조사”,먼저 중국대학교학부에서 진행되는 뮤지컬 학과 발전의 맥락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하였다. 중국 대학교의 뮤지컬 전공교육을 역사적으로 해석하다. 다음으로 중국 대학의 교육목표, 교육과정, 교육성과의 현황을 정리 및 분석, 대표적인 전문예술대학과 종합대학 뮤지컬 전공교육 현황의 다른 점을 해독하다. 제 5 장 “중국 대학교 뮤지컬 전공 교육법에 관한 연구”. 우선 중국 대학 뮤지컬 전공 강의의 조직 형태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대학 뮤지컬 전공에서 가르치는 방법과 배우는 방법에 관해 서술한다. 이어 뮤지컬 전공교육과 학습과정의 흔한 문제점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결론 부분은 본 논문 내용에 대한 종합적으로 개관한다. 대학의 뮤지컬 전공 강의실습에 관한 연구를 통해 중국 대학 뮤지컬 전공교육의 역사와 현상을 정리하고 교육 관념을 바꿔준다. 뮤지컬 전문인재 양성된 교육 특징, 교육 현황 및 교육방법을 연구하고 전문 교육 내용을 최적화함으로써, 대학 뮤지컬 학과에서 가르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리하다. 대학 뮤지컬 전문 교육의 실현을 위해 참고할 수 있는 침투식 교육 시스템 구축의 조치를 제공하는 데 유리하다. 대학 뮤지컬 전공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도 유리하다. Musical theatre is one of the most colorful art forms around the world since the 20th century. It is an independent musical drama form integrating music, dance, drama and other art categories and genres. Musical theatre originated in the United Kingdom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It was popular throughout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20th century. It was brought in China in the 1980s. Since then, musical theatre has opened a Chinese-style development path. With the gradual heating up of the Chinese musical theatre market, China’s musical theatre professional education has also been gradually developed. In 1995, The Central Academy of Drama established a special class of acting and director named "Musical Theatre" In the same year, Beijing Dance Academy created the major of musical theatre, which was the first professional college to open this major in China. The establishment of musical theatre majors in the two colleges marked the birth of musical theatr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Subsequently, most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China have also embarked on a journey of explor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usical theatre.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mismatch between the domestic demand for musical theater talents and the cultivation of college musical talents. Among the more than 30 colleges and universities offering musical theater majors in China, the employment situation of musical theater students is not optimistic. Only a small number of graduates are truly engaged in the musical theater industry, while most graduates choose to transfer to other industries under employment pressure. Because the talents cultivated by the musical theater major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at this stage cannot meet the needs of the society, it is difficult to find employment for the graduates of musical theater majors. Based on the author’s long-term work experience in musical theatre talent training, the author believes that part of the reason for the difficulty in obtaining employment for musical theatre graduates is related to the social reality, which is few related positions for large numbers of unemployed people. Part of the main reason is the cultivation of musical theatre talent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Related to teach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in-depth combing and research on the teaching practice of musical theatre talent training in domestic colleges and universitie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ultivation of musical theater professionals in Chinese universities (undergraduates), and conducts research on the teaching practice of musical theater professionals in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First, it sorts out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musical theater in China, at the same time, it reviews and studies the history and current situation of musical theater education in domestic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n, through two representative colleges and universities of professional art colleges and comprehensive universities Conduct investigations on the cultivation of musical theater professionals, and comprehensively investigate and study the teaching characteristics, teaching status and teaching methods of musical theater professionals. In the process of research, the thesis uses six research methods: field survey, in-depth interview, case analysis, historical analysis, comparative research and mathematical statistics. The thesis is divided into six research chapters: The first chapter "Introduction" gives a brief introduction to the basic situation of this research: the research objects,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research methods, directions of the research, and the panoramic description of the origin of the text writing, the writing path and the writing process method. The second chapter "Literature Review" explains the history, motivation and methods of musical theatre development in China. It studies and analyzes the current research status of this topic, combs and reviews existing researches at home and abroad, and prepares a theory support for the follow-up researches. Chapter 3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and Teaching of Musical Theater in Chinese Universities", analyzes the three major modules, performance practice, and repertoire of musical theater teaching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based on the theory of musical theater teaching.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 and teaching of musical theatre in Chinese universities with Chines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usical theatre market. Chapter 4 "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Teaching of Musical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firstly gives a detail description of the development of undergraduate musical theatre professional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and colleges. It interprets the professional education of musical theater in Chinese universities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Secondly it analyzes the status quo of teaching goals, teaching courses, and academic achievements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our country. Furthermore, it interpret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teaching status of musical theatre majors in representative professional art colleges and comprehensive universities. Chapter 5 " Research on Teaching Methods of Musical in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firstly analyzes the organizational form of musical theater teaching in Chinese universities. Secondly, it explains the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methods of musical theater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further explores the professional teaching of musical theater and proposes related teaching solutions to common problems in the learning process. The concluding part is a summary of the full text. Through the study on the teaching practice of the musical theater major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it sorts out the history and current situation of the musical theater education in domestic colleges and universities, changes of the educational concept. Investigation and studies of the teaching characteristics, the status quo and teaching methods of the musical theater professional training, gradually optimize the professional teaching content which is conducive to solving the problems existing in the teaching of the college musical theatre major. It is conducive to provide reference for the college musical theatre major teaching and measures for constructing an infiltration teaching system. It also makes a solid theoretical teaching foundation for the talents of college musical theatre.

      • K-POP산업 인재육성을 위한 K-POP학과 교육 과정 연구

        장보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69

        K-POP은 국내를 넘어 글로벌한 인기를 얻고 있는 문화 콘텐츠로 전 세계적으로 큰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성장으로 산업 내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인재들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러나 K-POP산업 내 현장 진출을 위한 인재 양성이라는 교육 목표와는 다르게 K-POP학과의 취업률은 저조하게 나타났다. 국내 전문대학 평균 취업률이 71.3%로 보고됐지만 K-POP학과의 취업률은 상위 대학 취업률 평균 49.9%로 현저히 낮은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K-POP학과 졸업생들이 K-POP산업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에 부응하지 못하여 취업률이 부진함을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는 K-POP전공생들이 전문적인 직무 능력을 기반으로 K-POP산업 내 필요한 인재가 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K-POP산업 인재상을 도출하기 위해 레코딩 음반 산업, 라이브 음악 산업, 소셜 네트워크 산업으로 나누어 각 최근 동향과 해당 분야에서 요구되는 인재상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각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과 기술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음반 기획, 공연 기획, 연예 기획, 교육, 취업 준비 및 그 외 과목으로 구분하여 K-POP학과의 다양한 교과목으로 분류하고, 이러한 분석 방법을 통해 K-POP산업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목표에 부합하는 교육 과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현재 개설된 K-POP학과의 교육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산업의 요구와 교육 과정 사이의 연계성을 확인하고 졸업 후 취업 경쟁에서의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진로 지원과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과정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성은 K-POP산업의 글로벌한 인기와 끊임없는 변화로 인한 인재 육성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는 점에 있다. K-POP학과 교육 과정은 이러한 산업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문성과 창의성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K-POP산업에 적합한 교육 과정을 개발하고 학생들이 산업 요구에 부합하는 역량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성공적인 진로를 모색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K-POP학과 교육 과정 연구는 K-POP산업의 미래를 위한 지속적인 발전과 산업의 요구에 부합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필요한 핵심적인 연구로 평가되길 바란다.

      • 조선 해양플랜트 산업 인재양성을 위한 설문조사를 통한 인력양성 방안제시

        김종건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68

        본 논문은 조선해양플랜트 및 기자재 산업 인재양성을 위한 인력양성방안을 제시한다. 해양플랜트산업은 우리나라가 국제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고도성장이 예상되지만, 해양플랜트 기자재의 낮은 국산화율(25% 내외)과 인력 수급 문제가 당면 과제이다. 특히, 국립경상대학교는 지리적 및 시설 장비 기반을 활용한다면, 운용 및 유지보수 교육(operation and maintenance training) 분야 등에서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다. 이에, 조선해양플랜트 및 기자재 산업 인재양성을 위한 기업체 및 졸업생 및 졸업생 상사(해당분야 취업자)들을 상대로 수요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국립경상대학교의 인력양성방안을 제시하고, 해양플랜트 산업에서 인력양성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대학의 인력양성 방안에 대한 제시를 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의 어학 수준향상, 졸업생 및 졸업생 상사의 진로지도 프로그램 향상, 조선해양기자재산업의 육성 필요성을 종합할 때, 조선해양플랜트 기자재 산업체의 연구개발 인력과 조선해양플랜트 산업체의 고급 생산설계 인력과 중급 수준의 상세설계 인력을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정해야 한다.

      • 미래사회 인재양성을 위한 기독교학교에서의 공교육 혁신방안 : 2015 개정 교육과정 핵심역량의 기독교교육적 접근

        장훈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54

        본 논문의 목적은 미래사회 인재양성을 위한 공교육 혁신을 기독교적 핵심역량 계발을 통해 이루어가는 것이다. 한국의 공교육은 입시위주 교육으로 인해 인성교육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공교육의 위기는 교회교육에 위기로 연결되었고, 신앙교육을 통해 이루어지던 인성교육도 교회학교 출석률 감소와 함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는 인성교육의 문제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자기주도성 부족, 창의적 사고 부족, 문제해결능력 부족, 공동체성 부족 현상을 낳았다. 입시위주 교육이 학교붕괴, 교실붕괴, 사교육 팽창, 인성교육 문제 등 정상적인 학교교육을 위협하고 있는 것이다. 코로나19 이전에도 교사중심적 교육, 강의식 교육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언급했지만,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수업으로 자기주도역량이 없는 학생들과 자기주도역량이 있는 학생들의 교육격차가 크게 생기면서, 공교육 전반에 대한 문제의식이 다시 제기 되었다. 무인자동차(자율주행), 인공지능 로봇, 3D 프린터,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드론, 코팅,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등의 4차 산업혁명이 직업의 변화, 생활의 변화 등 우리 미래사회를 바꿀 것으로 예상했는데, 코로나19로 생각보다 빨리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 되었다. 코로나19로 비대면(un-contact)을 기본으로 하는 로봇, 원격진료, 오피스프리(Office Free), 무인서비스 등이 발달하였다. 자연스럽게 교육의 변화도 나타나고 있다. 학교 무용론(교실이 없는 시대), 캠퍼스 없는 대학 등 온라인 강의로 인해 공교육에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지식을 얻기 위한 교육은 이미 온라인상에 넘쳐나고 있다. 공교육에서 지식을 전달하는 역할은 이미 학원(사교육)이나 온라인 강의 등에 넘겨주고 말았다. 이런 사회현상이 교회교육과 기독교학교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코로나19로 공동체성을 중시하는 예배에 큰 지장을 주고 있다. 온라인 예배를 드리고 있지만, 공교육의 디지털 디바이드(Digital Divide)처럼 영적 디바이드(Spiritual Divide)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신앙적 자기관리역량이 없는 학생들은 제대로 양육 받지 못해서 영적으로 피폐해진 상태이다. 또한 기독교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가 좋지 않은 것이 더 심각한 문제이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은 개신교에 대해‘거리를 두고 싶은’,‘사기꾼 같은’, ‘이중적인’,‘이기적인’등 부정적 이미지를 갖고 있었다. 코로나19 발생 후 사랑제일교회 사건이나 보수 기독교인의 정치참여 등으로 좋지 않는 영향을 받은 것인데, 코로나19 이전에도 개신교는 개교회 중심으로, 성공, 축복, 개인적 신앙에만 관심을 갖는 이기적인 종교의 모습으로 비추어지고 있었다. 이는 기독교교육이 공교육의 영향을 받아 지식적 교회중심의 교육, 교리중심교육, 지식전달 위주의 교육을 한 결과였다. 기독교인의 삶과 신앙적 성숙(인격적 성장), 사회적 책임감, 나눔과 봉사, 희생의 모습을 강조하지 못한 결과이기도 하다. 기독교학교는 대안학교, 자립형사립고 외에는 공교육 기관 성격이 강해서 교육부 교육과정을 따라야 한다. 최근 사학법 개정과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예배, 종교 수업이 필수가 아니라 선택으로 운영해야 하며, 종교 외 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교리교육중심의 학원선교는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선교사님이 새운 전통이 있는 기독교학교(노회, 교단가입 기독교학교)나 교회가 설립한 기독교학교는 그나마 학원선교 예산도 책정되어 있고, 종교교육에 대한 정체성이 확고하지만, 개인이 설립한 기독교학교는 내실 있는 종교교육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와 같은 현실 속에 공교육에서 기독교적 공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게 되었다. 1954년 1차 교육과정, 1963년 2차 교육과정, 1973년 3차 교육과정, 1982년 4차 교육과정, 1987년 5차 교육과정, 1992년 6차 교육과정, 1998년 7차 교육과정, 2007 개정교육과정, 2009 개정교육과정, 2015 개정교육과정, 현재 고교학점제에 이르기까지 공교육의 교육과정에서 기독교교육적 연구들이 부족했다. 교육과정에서 교육이념과 철학으로 내세우는 것은 전인적인 교육이지만, 교육현장에서는 지적 교육, 강의식 교육, 입시 교육에 치중해 왔다. 그것은 출세, 성공을 위한 학부모 요구와 국가경쟁력을 위한 정부의 요구이기도 했다. 그런데 2015 교육과정부터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핵심과제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는 교육과정을 발표하였다. 자기관리역량, 지식정보 처리역량, 창의적 사고역량, 심미적 감성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 6가지 핵심역량을 모든 교과시간에 가르쳐야 한다. 공교육에서 가장 좋은 기독교교육은 모든 교과시간에 기독교적 세계관,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해서 가르치는 것이다. 만약 이렇게 모든 교과시간에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해서 가르칠 수만 있다면 따로 종교시간을 둘 필요가 없을 것이다. 예배와 성경공부 정도 추가로 진행되면 될 것이다. 그런데 현실은 공교육에서 모든 교과시간에 핵심역량을 가르치는 것이 쉽지도 않고, 모든 교과시간에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해서 가르치는 것은 더더욱 어렵다. 따라서 공교육에서 미래사회 인재양성,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6가지 핵심역량을 기독교적으로 해석해서 가르치면, 종교적 저항을 줄이고 공교육에서 기독교교육이 가능할 것이다. 공교육에서 도덕, 윤리시간에 가르치는 인성교육이 바른 삶에 대한 연구와 인간의 성장을 위해 노력을 해 왔지만, 인간 삶의 근본적 변화와 성화된 삶의 모습은 기독교교육에서 가장 잘 할 수 있는 영역이다. 자기관리역량, 지식정보 처리역량, 창의적 사고역량, 심미적 감성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 6가지 핵심역량은 크레이그 다익스트라(Craig R. Dykstra), 메리 무어(Mary E. M. Moore), 토마스 그룸(Thomas H. Groome), 마리아 해리스(Maris Harris), 앤 윔벌리(Anne Streaty Wimberly), 칼 에른스트 닢코(Karl Ernst Nipkow), 호레이스 부쉬넬(Horace Bushnell), 엘리스 넬슨(C. Ellis. Nelson), 존 웨스터호프(John H. Westerhoff III), 니콜라스 월터스토프(Nicholas Wolterstorff), 조지 알버트 코우(George Albert Coe), 해로 반 부르멜른(Harro Van Brummelen), 리차드 오스머(Richard R. Osmer), 파커 팔머(Parker J. Palmer) 등의 기독교육학자와 철학자의 이론을 통해 기독교육적으로 재해석해 보았다. 여기에 정의-평화-생태감수성, 영적역량을 추가해서 8가지 핵심역량을 통해 오늘날 붕괴된 공교육, 지식전달위주의 교육에서 기독교적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 다가치(多價値) 사회 속에 올바른 분별력과 판단력(영적역량)을 지닌 성숙한 신앙인, 미래사회 인재를 양성해 낼 수 있을 것이다.

      • 중국의 뮤지컬 인재양성을 위한 대학 교육 과정 연구 : 한·중의 4년제 대학교 뮤지컬 전공 커리큘럼을 중심으로

        WANG HEJIN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53

        19세기 말부터 시작된 뮤지컬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비중 있는 무대공연산업으로 자리 잡았다. 1950년대 이후 뮤지컬은 아시아에 유입되기 시작하였고, 전망이 있는 산업으로 큰 인기를 받으며 지속적인 발전 중에 있다. 중국은 1980년대에 뮤지컬 산업이 유입되었고, 대중적 입지를 얻기까지 40여년이 소요되었다. 근 5년간 중국 뮤지컬 산업 시장은 빠르게 확대되며 많은 관객에게 관심을 받았고, 예술 전문가들로부터 호평을 받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뮤지컬 관련 전문 인력의 수요가 늘어났으며, 중국 뮤지컬 교육의 중요성도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2022년에 중국 교육부는 중국 대학 뮤지컬학과 설립을 승인해주면서 뮤지컬 대학교육에 새로운 길을 제공해주었다. 따라서 뮤지컬 전공자를 모집하는 대학이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아직까지 교육의 발전이 산업시장의 수요에 대응하지 못하고 비교적 소극적인 것이 현실이다. 이에 대해 본 연구자는 대안 방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뮤지컬 전문대학 교육 현황조사와 발전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21세기 아시아에서 뮤지컬 산업이 가장 빠르게 발전한 한국에 초점을 맞추며, 뮤지컬 대학교육의 비교 대상으로 한국 대학 3개와 중국 대학 3개를 선정하였다. 비교연구의 내용으로는 첫째, 대학별 뮤지컬학과 개설 현황과 양성 목표, 수업 설정과 수업 진행 방식을 정리하여 설명하였다. 둘째, 한국과 중국 대학의 뮤지컬 전공 교과목의 종류를 각각 분류·비교하였으며, 양국 간의 현재 수업 중인 과목들을 분석하고 정리를 하였다. 그 결과 중국 대학은 전공 이론 수업의 다양성이 부족하고 한국에 비해 이론·실기 융합 수업의 비율이 낮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셋째, 한국과 중국의 학년별 커리큘럼과 인재양성 단계를 비교·분석함으로 ‘중국 대학 커리큘럼의 구조 불균형과 이론·실습 커리큘럼 설정의 통합 부족’ 등의 문제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중국 뮤지컬 전공 대학의 교육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 보다는 뮤지컬 배우 육성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으며, 교내 커리큘럼과 교외의 실습공연 활동이 한국에 비해 부족하고, 과목별 수업구조가 불균형하다는 점을 분석하였다. 결론에서는 중국 대학의 뮤지컬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교육의 질과 커리큘럼을 비교분석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간의 커리큘럼을 결합하여 중국에 맞는 ‘교육과정 방안 제안’ 표를 제시하였다. 또한, 뮤지컬 인재를 공연형, 창작형, 산업 실무형, 교육 연구형 4개 분야로 나누어 다양하고 특화된 뮤지컬 교육을 위한 맞춤형 교과목 선택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국은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인구가 많은 나라이다. 비록 뮤지컬 산업의 출발점이 늦긴 했지만, 인구가 많은 만큼 우수한 인재 또한 넘쳐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뮤지컬 인재양성 교육 방안을 시작으로 앞으로 중국 대학의 뮤지컬 교육이 중국의 뮤지컬 산업에 더 뛰어난 전문 인력을 공급하여, 중국 뮤지컬 산업 발전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Musical, beginning in the late 19the century, has now become the most considerable stage performance industry in the world. Since the 1950s it has been finding its feet in Asia and, getting the great favor as a growing industry, has been becoming more and more advanced. The Musical Industry in China started in the 1980s and it took over 40 years to settle down in popularity. Over the past 5 years, musical industry in China has expanded its market so fast with lots of favorable attention from audiences, and has been recognized from art professionals. The demand for musical-related specialists has been increased accordingly and the importance of Chinese musical education began to stand out. In 2022,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 paved the way to musical college education approving the installation of the musical department of Chinese University. There has been increasing number of universities recruiting the musical degree accordingly, however, those education has not been answering the demand of the market and has taken passive attitude to the musical industry. Thus, judging the necessity of alternative of teaching method, I have researched the current state and studied the development plan of musical colleges This study has focused on Korea having the fastest growing musical industry in Asia in 21stcentury and selected 3 Korean Colleges and 3 Chinese Colleges respectively to compare their curriculum seach other. The comparative research method is, first, to put together and explain the current state of musical department, training goals by the university, class setting, and teaching method. Second, the musical curriculums of the 2 countries are classified and compared, and current subjects of them are analyzed and arranged. The result is that the Chinese colleges are lacking the diversity of theory classes and the ratio of convergence class for theory and practice compared to those of the Korea. Third, comparing the curriculum and human resources cultivation stage in academic years of the Korea and the China, the problems of‘structural imbalance of China’s college curriculum and lack of integration for theoretical and practical curriculum’are posed. Finally, it is analyzed that China’s college education for musical gives weight to raise musical actors rather than to foster professionals in various fields, has not enough curriculum to perform outside of the school, and then is imbalanced for class structure of each subject. Conclusion presents the comparison for educational quality and curriculum to improve the China’s college musical education process and the tables of ‘plan for curriculum’ fit with China combining college’s curriculums based on the comparison. In addition, musical talents are divided into 4 categories; performance type, creative type, business type, and research type, and a customized subject plan selectable for different but specialized musical education is presented. China has the highest population in the world. I think that the China has numerous talents for musical as much as its population, even if musical industry started later. With musical talent training plan in this paper, I hope the musical education in China’s colleges provides China’s musical industry with more outstanding professionals, and makes the industry develop more vigor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