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차원 내 도서실 운영에 대한 기관과 교사의 인식 및 요구

        양미영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3468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n library operations with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city, and its perception and need on library operations by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How is the current state of library operation within kindergarten? 2. How are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on library operation within kindergarten differed depending upon background variables (support from office of education and size of class)? 3. How are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on library operation within kindergarten differed depending upon background variable (educational experience on library oper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 203 teachers in total working in 38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city. 152 responses that are appropriately answered in a questionnaire survey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n library operation in each kindergarten and compared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The date on current state of library operation within each kindergarten was collected from each institution and processed by frequency analysis. The author investigated how institutional perception and need on library operation within kindergarten were differed depending upon institutional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support from educational office and class size in case where the library was newly established. The data was processed by cross-tabu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frequency analysis. In addition, the author explored how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on library operation within kindergarten were differed depending upon whether they had educational experience on library operation by using cross-tabu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frequency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results on current state of library operation within kindergarten by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more than half of respondent institutions had their own libraries that were greater than 26.4m² in size, but more than half of such institutions answered 'average' when asked whether the space was sufficient for young children to do reading activities, which meant that they wanted a larger space for library. Second, institutional perception and need on library operation within kindergarte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upon the support from educational office, especially in terms of budget relevance for collection of various books. The perception and need on library operation within kindergarte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number of books in collection and the period of purchasing books according to class size. Third,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on library operation within kindergarte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budget relevance for purchasing books and non-book media utilization space depending upon educational experience on library operation. Regarding professional staffs in library facility within kindergarten, ther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ecessity of librarian and the major roles of librarian. And regarding the programs in library facility within kindergarten, the satisfaction on library program was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Upon the needs of library programs within kindergarten, the respondents mentioned about the reasons and difficulties for being unable to promote a follow-up program in library in overall. In particular, they answered that teacher's work burden, human resource shortage, lack of time, limited space in library room, insufficient budget for book purchasing, and lack of interest were causes that led to the difficulties in order of weightiness.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on library operation within kindergarte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need for government support depending upon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on library operation. In this study, the author surveyed the current state on library operations with kindergartens by frequency analysis method and compared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both institutions and teachers on library operations by adopting such variables as support from educational office, class size, and educational experience on library operation that were likely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therein. Among the three critical variables mentioned above, the support from educational office was found to be the greatest impact on library operations, whereas the educational experience on library operation had the greatest impact on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The study has an implication that the support from educational office is needed for a number of kindergartens to create a more outstanding library environment, which contributes for preschoolers to cultivate a good habit for book reading in a stable and comfortable environment. Besides the support for library facilities, the efforts for developing and distributing a high quality of library program are needed to operate the libraries more effectively, and the training opportunities for librarian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ought to be expanded.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유치원 내 도서실 운영에 현황 뿐 아니라, 유치원 내 도서실 운영에 대한 기관과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내 도서실 운영 현황은 어떠한가? 2. 유치원 내 도서실 운영에 대한 기관의 인식과 요구는 배경변인(교육청 지원 여부와 학급 규모)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3. 유치원 내 도서실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는 배경변인(도서실 운영에 관한 교육경험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공․사립 유치원 38곳과 해당 기관의 교사 총 203명이다. 이 중에서 성실하게 응답한 152부의 설문지 내용을 빈도분석,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사용하여 각 유치원별 도서실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기관과 교사의 인식 및 요구를 비교하였다. 유치원 내 도서실 운영 현황에 대한 내용은 각 기관별로 내용을 수집하여서 빈도분석 처리하였다. 유치원 내 도서실 운영에 대한 기관의 인식 및 요구는 기관의 배경 변인인 도서실 신설 시 교육청의 지원 여부와 학급 규모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자료는 교차분석,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빈도분석으로 처리하였다. 또한 유치원 내 도서실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는 도서실 운영에 관한 교육경험에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교차분석,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내 도서실 운영에 대한 현황을 빈도 분석한 결과, 조사에 참여한 반 이상의 기관이 26.4m²이상 규모의 도서실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도서실의 규모가 유아들이 도서 활동을 하기에 충분한 공간인지를 묻는 문항에서는 ‘보통이다’ 이하의 답변이 과반수를 넘어서 더 넓은 공간을 원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치원 내 도서실 시설에 대한 유아교육 기관의 인식 및 요구는 교육청 지원여부에 따라 현재 기관에서 책정하고 있는 도서 구입을 위한 예산의 적정성, 다양한 종류의 도서 구비 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급 규모에 따라서는 보유하고 있는 도서의 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유치원 내 도서실 시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도서실 운영에 관한 교육경험에 따라 사서의 필요성 부분과 사서에게 요구되어지는 역할 부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유치원 내 도서실 프로그램에서는 프로그램의 필요성 부분과 지역연계 방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유치원 내 도서실 프로그램의 요구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도서실의 후속 프로그램을 진행하지 못하는 이유 및 어려움에 대한 의견이 나왔다. 그 내용으로는 교사의 과다한 업무, 인력 부족, 시간부족, 도서실의 공간 협소, 도서 구입비 부족, 관심 부족 순이었다. 유치원 내 도서실 지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도서실 운영에 관한 교육경험에 따라서는 정부지원의 필요성 부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내 도서실 운영현황을 빈도분석을 통해 조사하고, 도서실 운영에 대한 기관과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는 데 있어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교육청 지원 여부, 학급 규모, 도서실 운영에 관한 교육경험 유무)을 변인으로 설정하고 비교해 보았다. 교육청의 지원 여부, 학급 규모, 도서실의 운영에 관한 교육경험 유무 이 변인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인은 교육청의 지원 여부였으며,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에 영향을 미친 변인은 도서실 운영에 관한 교육경험이었다. 특히, 교육청의 지원 여부에 따라서 도서실의 시설 면에서 많은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밖에도 지원을 받은 기관일수록 자료 면에서 더 다양한 도서를 구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도서실 운영에 관한 교육경험 또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육청의 계속적인 지원으로 많은 유치원에서 우수한 환경의 도서실을 구비하여서 유아들이 보다 안정적이고 편안한 환경에서 독서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시설면의 지원 뿐 아니라, 도서실이 질적으로 우수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도서실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는 일에 힘써야 하겠으며 도서실 담당 교사, 유치원 교사들을 위한 관련 연수 기회도 확대해 가야 할 필요가 있다.

      • 중·고교 학교산림복지서비스 인식 및 요구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이니은 충북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33468

        인간 발달에 있어 청소년기는 개인의 성장과 발달 그리고 인격 형성에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청소년들은 급격한 사회 변화와 경쟁적 환경 속에서 다양한 문제를 안고 살아가고 있다. 우리나라 9세∼17세 아동·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는 OECD 회원국 중 최하위에 머물고 있고,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슬픔이나 절망감 그리고 우울감을 느끼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청소년의 사망원인 1위가 ‘자살’로 우리의 청소년들이 얼마나 취약한 상태에 놓여 있는지를 보여준다. 청소년기에서 느끼는 낮은 행복감은 학업 중단이나 가출, 비행, 고의적 자해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문제는 생애주기를 걸쳐 부정적 영향을 끼치게 되고 나아가 사회와 국가에 막대한 부담을 초래할 수 있어 청소년들의 문제를 단순히 개인적 차원이 아닌 사회적 차원으로 인식하고 적극적인 관심과 함께 정책적·제도적 노력을 해 나가야 한다. 최근 숲이 청소년들의 전인적 성장을 돕고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다양한 연구가 지지를 받고 있다. 이에 발맞춰 산림청에서는 생애주기별 산림복지를 통해 다양한 산림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해 오고 있으나 청소년들이 누리기에는 접근성·일상성·보편성 등의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의 집을 제외하고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배움터이자 생활터인 ‘학교’를 기반으로 산림복지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및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산림복지서비스’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중·고교 학교산림복지서비스 현황 및 요구 등을 파악하여 중·고교 학교산림복지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질적, 양적 연구를 병행하고 통합하는 혼합연구설계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산림복지서비스 관련 전문가, 교사, 학부모 등 7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중·고교 학교산림복지서비스 현황 및 요구 등에 관한 질적 자료를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산림복지서비스 개념과 인식 및 요구 조사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서울·경인 지역 중·고교 교사 245명과 학부모 314명을 대상으로 인식 및 요구 조사를 실시하여 학교산림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식, 필요성, 현황, 활성화를 위한 요구 등을 파악하였다. 최종적으로 질적 자료와 양적 자료를 통합하여 학교산림복지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학교산림복지서비스의 정의는 “학교산림복지서비스는 학교를 기반으로 학교숲을 비롯한 지역의 다양한 산림 환경을 조성·관리·활용하여 산림교육, 산림치유, 산림문화·휴양 등의 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아동·청소년의 전인적 발달을 돕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서비스를 말한다.”이다. 본 연구의 인식 및 요구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부모의 학교산림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식은 모두 높게 나타났다. 교사와 학부모의 개인 특성과 숲과 관련한 경험이 학교산림복지서비스 필요성 인식과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본 결과, 교사와 학부모 모두 개인 특성과는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교사는 숲과 관련한 모든 경험에서, 학부모의 경우는 숲 관련 경험 중 산림 프로그램 참여 유무와 자녀의 숲활동 참여 유무에서 연관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와 학부모의 필요성 인식 제고를 위해서는 숲과 관련한 경험을 적극적으로 제공하는 추진 전략이 중요할 것이다. 둘째, 학교산림복지서비스 현황을 살펴보면 중·고등학교 모두 산림복지환경은 중 수준, 산림복지프로그램은 하 수준으로 학교산림복지서비스의 활성화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특히 산림복지환경에 비해 산림복지프로그램이 상대적으로 더 낮게 나타나 학교숲과 지역산림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숲이나 지역숲 조성과 더불어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천할 수 있는 균형적인 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산림복지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면 산림복지환경과 산림복지프로그램 모두 높게 나타났고, 특히 전교생 및 선발대상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요구도가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숲이나 지역숲 조성 시 교육적인 요소와 더불어 치유적 요소를 고려한 설계 및 조성이 필요하고, 이를 활용한 산림교육 및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넷째, 학교산림복지서비스 구성요소의 중요도를 확인할 결과, 중·고등학교 교사와 학부모 모두 ‘도시숲, 공원 등 지역 산림의 적극적인 활용’,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교육과정과 연계한 산림프로그램’에 높은 응답을 보였다. 가장 낮게 응답한 항목이 ‘교실을 비롯한 내부공간을 활용한 산림 조성’으로 나타나 중·고등학교 모두 교실을 벗어나 지역의 산림 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과 산림교육의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학교산림복지서비스 기대효과를 살펴보면, 중·고등학교 교사와 학부모 모두 ‘우울감·스트레스 감소 등 정신건강에 도움’에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다. 다음으로 교사는 ‘환경 및 생태 감수성 향상’, 학부모는 ‘면역력 증진 등 신체 건강에 도움’ 순이었다. 중·고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학교산림복지서비스를 통해 기대하는 효과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사와 학부모 모두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개선에 대한 기대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어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산림치유를 도입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여섯째, 중·고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학교산림복지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요구를 살펴보면 중·고등학교 교사와 학부모 모두 상위항목으로 ‘학교 교육과 연계한 산림프로그램’, ‘학교산림복지서비스 정책 및 예산’, ‘학교 내 녹지공간 조성’으로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높게 나온 항목이 ‘산림치유지도사, 숲해설가 등 산림전문가 지원’이었고, 학교장과 교사의 학교산림복지서비스에 대한 필요 의지나 인식’의 요구는 높은 반면, ‘학교장·교사를 위한 연수’는 최하 수준의 요구를 보여 학교산림복지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사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적극적인 참여 및 의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지원체계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심층 인터뷰와 인식 및 요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하는 학교산림복지서비스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산림복지서비스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강화이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산림복지서비스 정책을 담당하는 정부 기관 담당자들의 필요 인식과 실천 의지, 학교장과 교사, 학부모의 학교산림복지서비스 필요성 인식, 학교산림복지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및 이슈 창출, 적절하고 지속적인 정책 홍보 등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산림복지서비스 정책 및 법적 근거 마련이다. 이를 위한 세부 방안은 담당기관 내 학교산림복지서비스 전문가 배치, 학교산림복지서비스 정책 및 법적 기반 마련, 균형 있고 효율적인 예산 수립 및 지원, 아동·청소년 복지 및 학교사회복지와 연계한 산림치유제도 마련이다. 셋째, 학교산림복지서비스 지원체계 구축이다. 체계적인 지원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학교산림복지지원센터(가칭)를 중심으로 산림청을 비롯한 정부 및 지자체, 연구기관, 지역지원센터, 기업이나 민간기관 그리고 NGO, 학교 협의체 등이 특수성과 전문성을 살려 협력과 지원을 통해 유기적이고 통합적인 시스템으로 운영하고, 산림교육센터, 한국숲사랑청소년단 등과 파트너십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학교를 기반으로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산림복지서비스를 ‘학교산림복지서비스’로 명명하고, 이에 대한 정의를 도출하여 향후 학교산림복지서비스가 제공해야 하는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학교산림복지환경과 학교산림복지프로그램의 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요구 등을 파악하여 향후 실천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셋째, 심층 인터뷰를 통한 전문적이고 심도 깊은 의견과 인식 및 요구 조사를 통한 폭넓고 다양한 의견을 통합하여 학교산림복지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서울·경인 지역을 중심으로 인식 및 요구 조사를 진행하여 중·고등학교 교사와 학부모 인식 및 요구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학교산림복지서비스의 수혜 주체인 학생들의 의견을 담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인식 및 요구 조사의 지역을 넓히고, 학생들을 비롯한 다양한 주체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학교산림복지서비스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 청소년 산림복지서비스, 학교산림복지서비스, 산림교육, 산림치유, 학교숲, 혼합연구설계, 근거이론, 인식 및 요구 조사 Although adolescence is an important time for growth, development, and personality formation, Korean adolescents are living with various problems in a rapid social change and competitive environment. The reality is that the life satisfaction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9 to 17 in Korea remains at the bottom among OECD member countries, the rate of sadness, despair, and depression is increasing enough to make daily life difficult, and the number one cause of death for adolescents is suicide. The low sense of happiness in adolescence is likely to cause school interruption, runaway, delinquency, and intentional self-harm, etc. These problems have a negative impact throughout the life cycle and furthermore, can cause a huge burden on society and the nation, so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it as a social rather than an individual level, and make policy and institutional efforts with active interest. Recently, various studies that say forests help adolescents grow as a whole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lives have been supported. In line with this, the Korea Forest Service is making efforts to provide various forest welfare services by human life cycle, but limitations in accessibility, ordinariness, and universality still remain for the young to enjoy.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it can be said that it is appropriate to provide forest welfare services based on 'schools', the learning and living places where young people spend most of their time, except at their homes, and specific practices and measures for revitalization are need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and to find ways to revitalize middle and high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by identifying their current status and needs. A mixed research-design method that combines and integrat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was applied for this research, and the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7) people, including experts, teachers, and parents related to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to analyze qualitative data on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for middle and high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and based on these, questionnaires were derived. Next, 245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314 parent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were surveyed about recognition of necessity, current status, and needs for revitalization of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Finally, recommendations to revitalize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were derived by integrat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The definition of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derived through this study is "the school based services which help children and adolescents grow as a whole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by providing programs such as forest education, forest therapy, and cultural/recreational forest programs by creating, managing, and utilizing various forest environments including school forest in the reg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recognition of necessit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nd parents'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was high.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eachers' and par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related to forests are correlated with their recognition, the recognition had no correlation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for both teachers and parents while teachers recognition had a correlation with any type of former experience related to forests and parents recognition had correlations with their own participation in forest programs and with their children's participation in forest activities.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among teachers and parents, a strategy to actively provide experiences related to forests will be important. Second, looking at the status of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n both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evaluated to be the middle level and the forest welfare program was evaluated to be the low level, so the degree of revitalization of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was not evaluated high. In particular, compared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program was relatively at lower level, confirming that the school forest and local forest environment were not actively utilized. Therefore, a balanced policy is needed to develop and implement programs that can utilize these forests along with the creation of school forests or local forests. Third, when looking at the needs for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needs for both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programs were found to be high.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needs for the 'forest therapy program' for all students and selected group of students were high.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create a school forest or a local forest in consideration of therapeutic elements as well as educational element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forest education and forest therapy programs using them. Fourth, as a result of asking the importance of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by component, both teachers and parents responded highly to "the active use of local forests such as urban forests and parks,” "forest therapy programs for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forest programs linked to regular school curriculum." The fewest response was "forest creation using in-school spaces including classrooms," confirming that both middle and high school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racticing forest therapy programs and forest education by actively utilizing the local forest environment outside the classroom. Fifth, looking at the expected effects of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both teachers and parents showed the highest response to "mental health benefits such as reduced depression or stress." Next to the highest, teachers selected "enhanced sensibility toward environment and eco-system" and parents selected "physical health benefits such as enhanced immune system." Looking at the overall effects expected b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parents through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both teachers and parents have the highest expectations for improving mental health of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so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eek ways to introduce forest therapy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ixth, looking at the needs of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parents for the revitalization of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many of both teachers and parents responded with "forest programs connected to regular curriculum," "policies and budgets," and "creating green spaces in schools." The next highest item was "expert supports by forest healing instructors and forest interpreters." While the needs for "will and awareness of principals and teachers" was high, the needs for "training for principals and teachers" was at the lowest, which implies that various supports without burdening teachers are needed to revitalize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and the survey on recognition of necessity and needs, the recommendations to revitalize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commended to strengthen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To this end, it is needed to achieve; 1)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and will to implement among government agencies in charge of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policies, 2)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among principals, teachers and parents, and 3) social consensus and issue creation along with proper and continuous policies publicity. Second, it is recommended to prepare a policy and legal basis for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The detailed plan for this is 1) to arrange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experts within the responsible institution, 2) to prepare policy and legal basis, 3) to establish and support a balanced and efficient budget, and 4) to prepare a forest healing system in connection with 'Children and Youth Welfare' and 'School Social Welfare.' Third, it is recommended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for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In order to establish a systematic support system, it is necessary for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research institutes, local support centers, private companies and institutions, NGOs, and school councils, centering on the School Forest Welfare Support Center (tentative name), to provide cooperation and support by utilizing their specificity and expertise. It is necessary to operate it as an organic and integrated system and form partnerships with the Forest Education Center, Korea Green Ranger, etc.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s. First, the school-based forest welfare servic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as named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and the definition was derived to integrate and present the services that it should provide in the future. Second, basic data were provided for future service implementation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existing school forest welfare programs and the needs for their revitalization. Third, a plan for revitalizing the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was proposed by integrating the professional and in-depth opinions obtained by in-depth interviews and the various and wide range of opinions obtained by a survey on necessity recognition and needs. Nevertheless,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parents sinc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regionally limi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it is also regrettable that it has not collected opinions from the youth who are beneficiaries of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future studies will expand the regional area of recognition and needs surveys and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by collecting opinions from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students. Key words : Forest Welfare Services for the Youth,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Forest Education, Forest Therapy, School Forest, Mixed Research Design, Grounded Theory, Recognition and Needs Survey

      • 초등 특수교육대상자의 진로 및 직업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

        박시영 부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33404

        초등 특수교육대상자의 진로 및 직업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 박시영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특수교육대상자의 진로 및 직업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초등 특수아동을 위한 진로 및 직업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조기 지원을 위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가정·학교·지역사회를 연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 울산 지역의 일반학급, 특수학급, 특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초등 특수교육대상자의 학부모 2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전문가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아 구성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자료의 통계처리는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 특수교육대상자의 진로 및 직업정보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수준은 보통보다 높은 긍정적인 응답 결과를 나타냈다. 수준의 집단 간 비교에서는 자녀의 학교 유형에 따라 진로 및 직업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 전체 수준에 차이가 확인되었다. 특수학교에 재학하는 집단이 특수학급, 일반학급에 재학하는 집단보다 인식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부모들은 진로 및 직업교육이 자녀의 졸업 이후 독립적인 생활을 위해 지역사회와 연계되어 적용되길 원했으며 이를 위해 일상생활 자립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특히 초등학교때 부터 진로 및 직업교육이 시작되길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 자녀의 자립을 위한 생활지도를 중요시 하였고 가장 어려운 점은 자녀에 대한 적절한 진로 지도 정보의 부족을 들었고 주로 법률적인 내용과 프로그램 안내 등의 부모교육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무엇보다 효율적인 진로 및 직업교육을 위해서는 특수교육지원센터와 같은 기관과의 연계를 강화해야 하며 초등학교에 적합한 진로 및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 유아 코딩 교육에 대한 학부모 관심도 및 인식 조사

        강혜영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88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중 코딩교육 도입에 따른 유아 학부모의 유아코딩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준비도, 유아코딩 교육 관련 경험, 유아코딩 교육에 대한 다양한 생각을 조사하여 유아코딩교육 도입에 따른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 변인(자녀의 연령, 부모의 연령, 부모 코딩경험 유무)에 따른 유아 코딩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학부모 변인(자녀의 연령, 부모의 연령, 부모 코딩경험 유무)에 따른 유아 코딩교육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설문은 2021년 4월 현재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자녀를 둔 유아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2021년 4월 5일∼ 2021년 4월 24일까지 총 3주 동안 대전광역시 소재 유아교육기관 4곳에 오프라인 설문지 250부를 배부하였고 189부를 최종분석하였다. 컴퓨터 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한 박봉조(2020)의 연구와, 초등소프트웨어 교육 도입에 대한 교사, 학생, 학부모의 인식을 분석한 최정숙(2016)의 연구, 가정에서의 유아 컴퓨터 사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분석한 심혜영(2003)의 연구, 그리고 학부모 인식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코딩교육의 효과적인 시행방안을 제시한 김상길(2019)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회수된 자료에 사용된 구체적인 실증분석방법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하였고 일반적 사항에 따른 유아 코딩 교육에 대한 학부모 관심도 및 인식실태를 살펴보기 위하여, 비모수기법인 교차분석 (p)을 실시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 변인(자녀의 연령, 부모의 연령, 부모 코딩 경험 유무)에 따른 유아 코딩 교육에 대한 인식은 자녀의 연령과 부모의 연령에 따라 학부모들의 코딩에 대한 경험이 많아지면서 제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여 코딩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유아 학부모들은 자녀의 코딩교육이 필요한 이유로 다양한 경험이나 창의력 증진 등을 생각하며 코딩교육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학부모 변인(자녀의 연령, 부모의 연령, 부모 코딩 경험 유무)에 따른 유아 코딩교육에 대한 요구는 코딩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기에 유아 코딩교육이 체계적인 계획에 따라 지속해서 이루어지며, 누리과정에 포함되어 진행되기를 원했다. 유아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유아코딩 교육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코딩 교육이 전면적으로 실시되기에 앞서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어떠한 방향과 내용, 접근방식으로 유아 코딩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기초를 제공 하는데 의미가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창의·융합적 인재 양성을 위해 코딩교육의 중요성이 계속 높아지는 만큼 본 연구의 결과가 추후 유아 코딩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영역에 기초자료로 사용 되기를 기대한다.

      •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종일제 프로그램운영에 관한 부모의 인식 및 요구 조사

        김남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3371

        본 연구의 목적은 종일제 유치원과 민간어린이집 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유아 교육기관의 종일제 프로그램에 따른 부모들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부모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종일계 프로그램의 질적인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종일제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부모의 인식 및 요구는 어떠한가? 2.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종일제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종일제 유아교육기관에 보내고 있는 학부모 302명이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종일제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부모의 요구 및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의 구성은 총 12문항으로 되어 있다. 자료 분석 방법은 현재 자녀가 다니는 유아교육기관별로 부모의 인식 및 요구에 대해서는 빈도수와 백분율로 살펴보고, 종일제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부모의 만족도에 대해서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유아 교육기관별로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일반을 결정할 때 고려한 중요한 요인 조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 상관없이 교육프로그램이 바람직해서, 원장과 교사의 자질이 우수하여서, 통학거리가 짧아서의 순으로 나타났다. 오후에 실시하는 특기활동의 내용 중 부모가 선택한 특기활동의 내용은 미술, 영어, 체육, 음악, 속셈, 레고, 과학의 순이었다. 둘째, 등·하원 방법은 사립유치원이나 어린이집 모두 등·하원 모두 유치원 버스 이용이 가장 높았고, 종일제 프로그램에서 다뤄져야할 중요한 것으로 유아교육기관에 상관없이 두 기관 모두 남과 잘 사귀고 더불어 사는 능력을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원하는 종일반 월 교육비 지불방법은 국가와 개인이 반씩 지불을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 자녀가 다니는 종일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종일제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부모의 만족도는 종일반의 월 총교육비에 대하여 60%이상이 적절하다고 응답하였으며 25%정도가 비싸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일반으로서 선호하는 기관을 살펴보면 사립유치원이나 어린이집보다는 공립유치원 종일반을 제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s of the mothers on the program of full-day kindergarten and the child care center, and ai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full-day kindergarten understanding the needs and satisfactions of the mothers in the types of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 1. What are the needs of mothers for a full-day kindergarten or the child care center? 2. How is the satisfactions of mothers whose children are attending to a full-day kindergarten or the child care?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302 mothers in Seoul, those who have children attending a full-day kindergarten. To investigate the needs and satisfactions about the management of the full-day kindergarten and the child care center,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 designed by a researcher.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consist of 12 question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percentage for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full-day kindergarten program and the needs of mothers and t verification for the satisfaction of the full-day kindergarten program using SAS program.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managements of the program of full-day kindergarten and the private child care center are as follow. The way of attending and leaving school is by bus for the private kindergarten but no buses are served in case of child care center. The program for both organization is education activities in the morning and free play activities including protection in the afternoon. Second, The way of attending and leaving school which mothers want is by bus. The most important thing which mothers want is sociable ability which their child makes friends and get along with well others. Third, the satisfactions of mothers whose children are attending to a full-day kindergarten and a child care center are as follow. Over 60% of responsors answered that the tuition is reasonable and 25% of them answered it's expensive. Their preference for the full-day program, they prefer the public kindergarten to the private one or the child care.

      • 유아교육 공교육화에 대한 청년들의 인식 연구

        이수정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5153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ingle adults’ awareness of and demand for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Alongside this, it also intended to take a broad, multifaceted look at the awareness of single adults who would become parents in the future by observing their awareness of marriage and giving birth. In this context,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presented below. Question 1. How do single adults view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Question 2. What do single adults want regarding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Question 3. Are single adults’ awareness of and demand for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associated with their marriage values, family values and becoming parents? Based on the above questions, data on the awareness of marriage and giving birth as well as the awareness of and demand for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collected from 270 single adults using research tools. Furthermore,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two-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ere carried out using SPSS 26.0 statistics program, and the findings are shown as follows. First, single adults showed the high-level awareness of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erms of equity and transparency, while revealing comparatively low awareness of charging-no-cost and participation. When it comes t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awareness of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genders, it was noted that there existed an gap in the awareness of publicness. Therefore, it was seen that women gained relatively higher average scores than men. In addition, there existed a significant gap in the awareness of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ge groups. single adults aged 30s showed the higher awareness of association with government, equity, publicness, transparency and responsibility than those aged 20s. Second, demand for childhood education centers gained the highest score among other demands for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ontrast, demand for childhood education centers gained the significantly low score compared to social dem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was observed with regard to demand for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Yet as both men and women gained average scores that surpass median values, it was observed that they prioritize demand for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regard to demand for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ge groups, demand for childhood education cent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other categories showed no significant findings.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strong demand for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high as can be seen in higher average scores across all the three questions gained by single adults at the age of 30s than those aged 20s. Thir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ir willingness to get married, and the awareness of and demand for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s perhaps attributed to an array of diverse factors such as different environment and finance besides childhood education when it comes to marriage. However, transparency, openness, responsibility and participation among awareness of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erms of views on giving birth. The concepts of publicness, transparency and responsibility revealed significant results in terms of their willingness to give birth. These results revealed that publicness has an substantial impact on their views on giving birth, and that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fluences making individual decisions to give birth. The present study has implications that it worked on identifying single adults’ awareness of and demand for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no previous studies have dealt with.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used for cementing a concept of publicness of early childhood and further promoting public understanding of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ddition, it aimed to help increase birth rate and propose the way forward for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taking a look at single adults’ awareness of marriage and giving birth and then analyzing the association with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청년들의 유아교육 공교육화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청년들의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을 함께 알아봄으로써, 예비 부모가 될 청년들의 인식을 다각도로 폭넓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육 공교육화에 대한 청년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육 공교육화에 대한 청년들의 요구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교육 공교육화에 대한 청년들의 인식 및 요구는 이들의 결혼관, 가족관 그리고 부모됨과 연관성이 있는가? 이에 본 연구는 미혼 청년 270명을 대상으로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과 유아교육 공교육화에 대한 인식 및 요구에 대한 연구 도구를 사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분석과 독립표본 t검증, 이원 분산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 공교육화에 대하여 청년들은 평등성과 투명성에서 높은 인식을 보였고, 무상성, 참여성에는 비교적 낮은 인식을 보였다. 유아교육 공교육화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성별에 따른 유의차를 살펴보면 공익성이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가 있었으며, 남자보다 여자가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 점수를 나타냈다. 유아교육 공교육화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연령대에 따른 유의차가 있었는데, 20대보다 30대가 정부관련성, 평등성, 공익성, 투명성, 책무성에 높은 인식을 보였다. 둘째, 청년들의 유아교육 공교육화에 대한 요구 중 유아교육기관을 위한 요구가 가장 높은 평균 점수를 나타났으며, 유아교육기관을 위한 요구와 사회적 요구에 비해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요구는 현저하게 낮았다. 성별에 따른 유아교육 공교육화에 대한 요구는 남자와 여자 간 통계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남자, 여자 모두 중간값 이상의 평균값을 보여 공교육화에 대한 요구는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령대에 따른 유아교육 공교육화에 대한 요구는 유아교육기관을 위한 요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그 외 항목들은 유의미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났다. 하지만, 요구에 대한 모든 문항에서 20대보다 30대의 평균 점수가 더 높아 유아교육 공교육화에 대한 요구가 강하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셋째, 본인의 결혼의향과 공교육화에 대한 인식 및 요구가 유의미하지 않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실질적인 결혼에서 유아교육 외에도 다른 환경적, 경제적 등의 다양한 요인과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유아교육 공교육화에 대한 인식 중 투명성, 공개성, 책무성, 참여성은 출산에 대한 생각과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고, 공공성의 개념, 투명성, 책무성은 출산의향과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출산에 대한 생각에 공공성이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출산하고자 하는 개인의 의사결정에 유아교육의 공교육이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그간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청년들의 유아교육 공교육화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유아교육 공공성 개념 확립 및 공교육화 이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청년들의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유아교육 공교육화와 연관성을 분석해봄으로서 출산율 제고와 유아교육 공교육화가 이루어지는 방향성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 지역아동센터의 상담 실태 및 상담 인식과 상담 요구 분석 :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이지원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35165

        본 연구는 서울지역 내 지역아동센터의 기관근무자와 이용아동을 대상으로 지역아동센터의 상담 실태를 알아보고 기관근무자와 이용아동의 상담 인식 및 상담 요구를 분석하여 지역아동센터 내의 상담활동의 원활한 운영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효율적인 상담활동의 방향을 제시하며 이와 관련한 상담자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상담적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서울지역 내 지역아동센터 16곳에서 기관근무자와 이용아동 215명(기관근무자 59명, 이용아동 15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조사에 사용된 설문지는 본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에 맞춰 수정·보완 하였다. 그 내용은 지역아동센터의 상담 실태, 상담 인식, 상담에 대한 기대 및 요구, 상담 영역에 대한 요구로 이루어져 있다. 자료 분석은 통계패키지 SAS 9.2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카이제곱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역아동센터 기관근무자와 이용아동의 상담 인식 지역아동센터 기관근무자는 상담의 필요성을 매우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고, 상담에 대한 관심도 높아 전문적인 교육도 받고 싶다고 하였다. 또 상담이 아동에게 많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여 그만큼 상담의 효과도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상담 관련 지식이 상담에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실제적으로 상담기법이나 이론은 조금 알고 있었다.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1/3 정도는 자신의 문제로 걱정한 적이 있고, 이러한 걱정을 다른 사람과 이야기 나누어 본 적이 있다고 하였다. 걱정을 털어놓는 대상자는 걱정이나 문제를 잘 이해해준다는 이유로 친구가 가장 많았다. 2. 지역아동센터의 상담 실태 기관근무자는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상담 활동이 별로 활발하지 않다고 했고, 아동과 상담하는 횟수는 월 1회~2회, 상담소요 시간은 30분 미만, 상담은 정해진 시간 없이 시간 나는 대로 하고 있었다. 아동들과의 상담은 개인 상담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상담에 관한 정보 및 자료는 기본적인 것들만 구비되어 있는 실태이며 상담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기관근무자가 상담 관련 연수를 받은 경험은 조금 있었으며, 상담활동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업무량 과다가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과반 수 이상의 아동들은 지역아동센터에서 상담을 한 경험이 없다고 했다. 그러나 상담을 한 경험이 있는 아동들은 상담이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다. 3. 지역아동센터 기관근무자와 이용아동의 상담에 대한 기대 및 요구 기관근무자는 상담이 일주일에 1회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고 하였고 기관근무자가 선호하는 상담자의 연령은 30대, 40대였다. 또 지역아동센터의 상담과 학부모 상담, 가족 상담의 연계에 대해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더불어 외부 상담 전문가와의 연계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고, 상담활동에 대한 연수에 매우 관심이 있다고 하였다. 이용아동은 상담자의 연령은 부모님보다 젊은 사람, 그리고 상담자는 친절하고 온화하며 협조적인 사람이 좋다고 하였다. 또 상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들어주고 따뜻하게 이해해 주기를 바라고 있었으며, 상담은 일대일로 직접 만나서 하는 개별상담을 원하고 있었다. 상담 장소로는 조용하고 아늑하고 분위기 좋은 곳을 선호하였다. 4.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상담 영역에 대한 요구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들은 공부나 성적에 대한 부모님의 지나친 기대를 상담 받고 싶은 가정문제로 느끼고 있었고, 학습문제로는 공부하기 싫다, 학교문제로는 선생님이 학급을 운영하는 방식에 대한 불만이 나타났다. 친구와의 싸움과 오해를 상담 받고 싶은 친구문제로 꼽았고, 상담 받고 싶은 이성문제로는 이성에 대한 짝사랑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문제는 성격에 대한 고민과 진로 및 장래에 대한 고민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본 연구의 결과로, 지역아동센터 기관근무자와 이용아동은 상담에 대한 기대 및 요구가 큰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적으로 지역아동센터의 상담 실태는 열악한 상황임을 알 수 있었다. 지역아동센터는 이용아동의 고민거리를 가정과, 부모, 지역사회에까지 확장 연계 시켜 아동 개인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필요성을 가지고 있고, ‘지역사회아동의 건전육성을 위하여 종합적인 아동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라는 목적을 실천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상담을 포함한 복지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이를 위해 지역아동센터의 상담활동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보다 더 증진시키는 일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지역아동센터의 상담은 현장의 기관근무자와 이용아동의 상담 인식과 상담 요구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행·재정적 지원과 체계적인 대책 마련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