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人工蝸牛가 聽覺障碍人의 語音辨別에 미치는 影響

        심윤주 檀國大學校 199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청각 장애인이 인공와우를 착용했을 때 순음역치가 어느 정도 변화되는지 알아본 다음, 청각장애인이 인공와우만을 착용했을 때, 독화만을 했을때, 그리고 인공와우화 독화를 겸용했을때, 어음변별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고, 어음 대치에서 어떠한 특성이 나타나는지를 밝혀 보려고 하였으며, 인공와우 착용시 어음변별과 관련있는 기타 변인에 어떠한 것이 있는지 밝혀 보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서 Nucleus 인공와우 시스템 이식 수술을 받은 13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순음역치를 측정하고, 세가지 검사조건(인공와우, 독화, 인공와우 + 독화)하에서 어음변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연구 목적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와우 착용이전의 순음역치는 저주파는70내지 무반응, 고주파는 100dBHL내지 무반응이었으나, 인공와우 착용시의 순음역치는 2,000Hz이하에서는 30-65dBHL로서 대단히 낮아졌으며, 4,000-6,000Hz에서도 전반적으로 낮아졌으나, 40dBHL에서 무반응에 이르기까지 큰 차이를 보여 주고 있다. 둘째, 세 검사 조건하에서의 어읍변별 성적은 인공와우와 독화겸용(90%), 독화(68%), 인공와우(46%)의 순서로 좋았다. 모음에 있어서는 독화(91%)와 인공와우·독화겸용(98%)간에 차이가 적었으나, 자음에 있어서는 독화(54%)와 인공와우·독화겸용(85%)간에 차이가 컸다. 인공와우만을 사용할 때는 파열음이외의 초성자음 (52%), 단모음(50%), 중모음(46%), 종성자음 (45%), 초성파열음(36%)의 순서로 좋았다. 셋째, 인공와우만을 사용하였을 경우, 250내지 4,000Hz의 역치가 35내지 45dBHL일때 50%이상 변별되는 음소의 수가 가장 많은 것은 단모음과 파열음 이외의 초성자음이었으며(100%), 그 다음으로 50%이상 변별되는 음소의 수가 많은 것은 중모음(92%), 종성자음(71%), 초성파열음(67%) 순이 었다. 순음역치가 저조할수록 50%이상 변별되는 음소의 수는 감소되었다. 인공와우와 독화를 겸용할 때 과반수 모음은 모든 역치군에서 90%이상 변별 되었으나, 자음은 250내지 4,000Hz에서 35내지 45dBHL의 역치를 보이는 경우에만 과반수의 음소에서 90%이상 변별되었다. 넷째, 변별이 안된 음소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 음소로 대치되었다. 인공와우만을 사용할 때, 단모음에 있어서는 자극음소와 대치음소의 제1포르만트나 제2포르만트 주파수가 유사한 음소, 제1, 제2포르만트간의 주파수 차이의 크기가 유사한 음소 또는 제1포르만트의 폭이 유사한 음소로 대치되었으며, 중모음은 제1 포르만트 전이 주파수의 폭이 유사한 범위의 음소로 대치되었다. 초성파열음은 단순계열은 단순계열끼리, 긴장계열은 긴장계열끼리, 유기계열은 유기계열끼리 대치되었으며 , 파열음 이외의 초성자음과 종성자음은 저주파의 잡음파를 가진 유음과 비음이 서로 대치되었다. 독화시에는 잡음파 주파수 크기와 관계없이 조음위치가 유사한 음소로 대치되었고, 인공와우와 독화 겸용시는 잡음파 주파수가 유사하면서 조음위치가 유사한 음소로 대치되었다. 다섯째, 인공와우 착용시의 어음변별과 관련있는 기타 변인으로 어음의 특성, 난청기간, 사용기간, 사용전극수 등이 있었다. 어음의 특성중에서는 잡음파와 포르만트 주파수의 크기, 포르만트 주파수간의 크기, 포르만트의 폭, 잡음파의 출현빈도 및 음소의 강도등이 큰 음소들이 잘 변별 되었다. 난청 기간은 길수록 어음변별이 어려웠으나 이들의 순음역치의 정도는 양호 하였고 사용전극수도 감소하지 않았다. 13개 이하의 전극수를 사용한 경우 에는 어음변별이 어려웠으나 해당자의 순음역치는 양호하였다. 고령은 어음변별 능력이나 순음역치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파악된 인공와우 사용시의 순음역치의 범위와 조건별 및 순음역치별 어음변별 성적. 그리고 어음변별이 잘되는 기타 변인들에 관한 자료는 인공와우 피술자의 대상 선정, 수술전후의 상담, 피술자의 재활방법 · 절차, 교재의 개발등에 이용될 수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ranges and configurations of pure tone thresholds in Nucleus cochlear implant user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cores and characteristics in substitution errors of their phonemic discrimination in three test conditions of hearing only, lipreadung only, and hearing and lipreading combined, to know whether there may be any relationship in scores between the degrees of implanted pure tone thresholds and the scores of phonemic discrimination, and lastly to search for the variables, if any, that might affect the scores of phonemic discriminations in Nucleus cochlear implant users. Nonsense syllable discrimination tests of Korean phonemes of five phonemic groups (simple vowel, diphthong, initial plosives, initial consonants other than plosives, and final consonants) were performed in three test conditions (hearing only, lipreading only, and hearing and lipreading combined) to the 13 users of Nucleus cochlear implant systems, and their pure tone thresholds were obtained with their cochlear implant systems 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ly, the implanted thresholds were from 30 to 65dBHL in frequencies between 250 and 2000Hz. The thresholds at 4000 and 6000Hz were affected by types of microphone and encoding strategy. Secondly, the scores of phonemic discrimination in three test conditions were greatest in the orders of hearing and lipreading combined(90%), lipreading on1y(68%), and hearing on1y(46%). The scores of phonemic discrimination in hearing only condition were greatest in the orders of intial consonants other than plosives, simple vowels(50%) diphthongs(46%), final consonants(45%), and initial plosives(36%). Thirdly, in hearing only condition, when the implanted pure tone thresholds were 35-45dBHL in frequencies between 250 and 4000Hz, the numbers "f the phonemes correctly identified 50% or more were greatest in simple vowels and intial consonants other than plosives(100%), and the next greatest numbers of phonemes correctly identified 50% or more occurred in the orders of dipthongs(92%), final consonants (71%) and initial p1osives(67%). These numbers decreased as the implanted pure tone thresholds worsened. In the condition of hearing and lipreading combined, more than half "f the vowels were correctly identified 90% or more in every threshold group, and more than half of consonants were correctly identified 90% or more only when the implanted thresholds were from 35 to 45 at the frequencies between 250 and 4000Hz. Fourthly, the error phonemes were substituted as follows : In hearing only condition, simple vowels among error phonemes were substituted by those vowels which has similarity in the amount of frequencies of first and/or second formants, in the amount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ormants, or in the amount of the width of the first formant frequencies; Diphthong errors were substituted by those having similar amount in width of transition frequencies; The error phonemes of nasals and liquids of final consonants and of the initial consonants other than plosives substituted each other within themselves, In lipreading only condition, the error phonemes were substituted by the phonemes having nearness in place of articulation without any similarity in frequencies; In the condition of hearing and lipreading combined, the error phonemes were substituted by the phonemes having both similarity in antiresonance frequencies and nearness in place of articulation; In hearing only condition, the error phonemes were substituted by only with those phonemes having similarity in antiresonance frequencies. Age did not affect the phonemic discrimation scores. Duration of deafness influenced the phonemic discrimination scores, but did not influence the degree of implanted thresholds. The above results will be able to be utilized as references to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candidates, as materials in counseling for the users of cochlear implant systems before or after their surgery, as references in cultivating the methods, Procedures and materials in rehabilitation of the implanted infants.

      • 한국어판 인공와우이식 유아의 의사소통 기능성 척도

        이미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난청 유아의 구어 의사소통 능력(competence)은 성인기에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밑거름이 된다. 따라서 청각 및 언어 발달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시기인 5세 전부터 타당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이들의 구어 의사소통 능력이 평가되어야 한다. 인공와우이식 유아의 의사소통 기능성 척도 (Functioning After Pediatric Cochlear Implantation, FAPCI)는 세계보건기구의 국제적인 기능성 분류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 ICF) 모델에 근거하여 개발된 타당한 도구이다. FAPCI는 실생활에서의 포괄적인 의사소통 수행력(performance)을 반영하기 때문에 임상 현장에서 실시하는 의사소통 역량(capacity) 중심의 검사를 보완해 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 인공와우이식 유아의 의사소통 기능성 평가를 위한 도구로서 FAPCI를 우리말에 맞게 번역하고 정상청력 유아와 인공와우이식 유아에게 시행하여,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연구는 FAPCI의 번안과 심리 계측적인 평가(psychometric evaluation)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번안은 비교 문화적 동등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시문, 검사문항, 반응척도 등에 대해 동시번역과 역 번역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중간 번안본 및 최종 번안본은 질적 관리, 전문가 재검토, 사전 부모 면접 검사 등을 통해 내용타당도 및 대면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한국어판 FAPCI(K-FAPCI)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위한 연구 대상자는 인공와우이식 유아와 정상 청력 유아의 보호자로, 각각 129명과 301명이었다. 번안의 결과, K-FAPCI의 총 23문항과 3가지 반응척도는 원본과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내용 및 대면 타당도 평가를 통해 일부 문항과 지시문의 내용은 우리말에 맞게 수정하거나 의역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23개의 문항은 단일 요인으로 구성되고 문항 내적일관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Cronbach’s α = 0.980).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 결과에서도 피험자 내 일치도가 매우 높았다(ICC = 0.995, p < .0001). 공인타당도 검증 결과는 K-FAPCI와 그림 어휘력검사 결과 간에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 = 0.783, p < .0001). 외적 구성타당도는 인공와우이식 유아군의 K-FAPCI 점수가 인공와우 사용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높아진 결과(p < .0001)를 통해 검증되었다. 인공와우이식 유아군의 인공와우 사용기간을 정상청력 유아군의 생활연령과 동일한 청각경험기간으로 간주하고 통제한 상태에서는, 인공와우이식 유아군의 K-FAPCI 점수와 정상청력 유아군의 K-FAPCI 점수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인공와우 사용기간 6개월부터 정상청력 유아군의 K-FAPCI 발달 곡선의 90%를 넘어섰다. 그러나 생활연령을 통제한 상태에서는 인공와우이식 유아군의 K-FAPCI 점수와 정상청력 유아군의 K-FAPCI 점수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 < .0001). 생활연령 72개월이 되어서야 정상청력 유아군의 K-FAPCI 발달곡선의 10%에 해당하는 발달을 나타냈다. 이러한 인공와우이식 유아의 K-FAPCI 수행력은 동반장애가 없을수록, 인공와우 사용기간이 길수록 더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01). 결론적으로, 한국어판 인공와우이식 유아의 의사소통 기능성 척도 (K-FAPCI) 는 2세∼5세 인공와우이식 유아의 의사소통 수행력을 평가하는 도구로서, 우리말의 특성에 적합하게 번안되었고 신뢰도 및 타당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K-FAPCI는 정상청력 유아군의 수행력을 근거로 인공와우이식 유아군의 수행력을 비교할 수 있는 규준 참조적인 평가 도구로서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인공와우이식 유아군 내에서의 K-FAPCI 수행력 특성은 준거 참조적인 검사 결과로서 가족 중심 재활 프로그램을 위한 평가와 지침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인공와우이식 영아의 억양특성에 대한 음향학적 분석

        백세영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상황에서 산출된 인공와우이식 수술을 한 영아의 의도적 의사소통 발성의 억양특성을 음향학적 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의도적 의사소통 발성 시기에 있는 19개월에서 32개월에 해당하는 인공와우이식 영아 10명과, 같은 의도적 의사소통 발성 시기에 있는 11개월에서 14개월에 해당하는 건청 영아 9명의 의도적 의사소통 발성을 화행(요구, 진술)에 따라 분류하고, 발성 끝 음절의 억양패턴과 평균음도를 집단 간, 집단-화행 간 비교하여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인공와우이식 영아의 화행에 따른 억양패턴과 평균음도는 집단 간 비교, 집단-화행 간 비교 모두에서 건청 영아와 차이가 있었다. 먼저, 인공와우이식 영아와 건청 영아의 의도적 의사소통 발성 끝 음절에서 산출된 억양패턴을 집단 간 비교한 결과, 두 집단 모두 L을 가장 많이 산출하였고, 올림조 유형의 억양패턴인 R과 FR보다 내림조 유형의 억양패턴인 F와 RF를 더 많이 산출한 공통점이 있었다. 그러나 인공와우이식 영아가 건청 영아보다 더 단조로운 억양패턴을 산출하였고, 건청 영아에 비해 올림조 유형의 억양패턴 보다 내림조 유형의 억양패턴을 더 많이 산출한 차이점이 있었다. 그리고 집단 내 화행 간 비교에서는 건청 영아의 경우 요구화행과 진술화행 간 산출된 억양패턴에 차이가 있었다. 즉, 건청 영아의 진술화행에서는 내림조의 산출이 더 많았고, 요구화행에서는 올림조의 산출이 더 많았다. 반면, 인공와우이식 영아의 경우에는 진술화행보다 요구화행에서 더 다양한 억양패턴을 산출하였지만 두 화행 간 억양패턴의 뚜렷한 차이를 설명할 수는 없었다. 두 번째, 인공와우이식 영아와 건청 영아의 의도적 의사소통 발성 끝 음절에서 산출된 평균음도를 집단 간 비교한 결과, 건청 영아의 평균음도가 인공와우이식 영아의 평균음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집단 내 화행에 따른 평균음도를 비교한 결과, 건청 영아의 경우에는 진술화행보다 요구화행에서의 평균음도가 35.56㎐ 더 높게 나타났고, 인공와우이식 영아의 경우에는 진술화행보다 요구화행에서의 평균음도가 19.78㎐ 더 높게 나타났다. 즉, 두 집단 모두 요구화행에서의 평균음도가 진술화행에서의 평균음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지만, 건청 영아의 화행 간 평균음도의 차가 인공와우이식 영아의 화행 간 평균음도의 차 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두 집단 간 억양산출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또한, 건청 영아의 경우에는 화행 따라 억양산출에 차이를 보임으로써 의도적 의사소통 발성 끝 음절에서 산출된 억양이 의사소통 전략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인공와우이식 영아의 경우에는 수술 전 청각적 피드백의 결함과 그에 따른 언어적 경험의 부족으로 건청 영아와 같이 억양이 의사소통 전략으로 사용되는 것에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considered intonation characteristics of intentional communication speech by acoustic analysis of cochlear-implanted infants. Speechs were produced in natural communication situation. Intentional communication speechs of 10 cochlear-implanted infants who are in intentional communication speech period (19 to 32 month) and 9 normal hearing infants who are in intentional communication speech period (11 to 14 month)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speech acts (request, statement) and observed the differences of intonation patterns and pitch ranges of speech ending syllable between subject groups, and between subject groups-speech acts.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intonation pattern and pitch range between subject groups and between subject groups-speech acts. First of all, intonation pattern of cochlear-implanted infants and normal hearing infants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s that L was the most number of pattern and the number of F and RF which are rising contours is more than the number of R and FR which are falling contours in common. By contrast, the intonation pattern of cochlear-implanted infants is simpler than that of normal hearing infants and the number of falling contour type intonation pattern is more than that of rising contour type. In comparison of speech acts in same subject group,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intonation patterns of normal hearing infants between request and statement. Falling contour is the most number in request speech act, rising contour is the most number in request speech act on the contrary. Whereas, in case of cochlear-implanted infants, intonation patterns of statement speech act are more various than those of request speech act. But it can't be explained the explicit difference between two intonation patterns. Pitch range of intentional communication speech which was produced by speech ending syllable of normal hearing infants and cochlear-implanted infants was compared between subject groups. Pitch ranges of normal hearing infants are higher than those of cochlear-implanted infants. Pitch range in case of between speech acts of same groups was compared. Then pitch range of request is higher than that of statement by 35.56Hz in case of normal hearing infants and by 19.78Hz in case of cochlear-implanted infants. So, pitch range of request is higher than that of statement in common. However, pitch range difference between two speech acts in normal hearing infants is more than that in cochlear-implanted infants. The study shows the difference of produced intonation between two groups. Intonation of intentional communication speech produced by speech ending syllable is good communication strategy in normal hearing infants because of the produced intonation difference between two speech acts. However, in case of cochlear-implanted infants, intonation is not good communication strategy because of the flaw in auditory feedback before cochlear surgery and the lack of linguistic experiences which came from the flaw.

      • 인공와우관련 연구논문 동향 분석

        박은영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국내 인공와우관련 연구논문들을 분석하여 인공와우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청각장애교육의 연구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1990년대부터 2010년까지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중 87편을 선정하였고 이를 다음과 같은 분석 기준에 의해 분석 하였다. 발표년도별ㆍ학술지 , 발표년도별ㆍ연구자배경, 발표년도별ㆍ연구주제, 발표년도별ㆍ독립변인, 발표년도별ㆍ종속변인, 발표년도별ㆍ연구방법, 발표년도별ㆍ연구대상, 발표년도별ㆍ연구기간 총 8가지 기준에 의해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와 청각분야 학술지에서 199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향후 특수교육 현장에서는 개인을 둘러싼 주변 환경과 구성원에 대한 관심을 갖고 심도 깊은 연구가 수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언어치료 관련 연구자의 연구가 전체연구의 약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다. 앞으로 학제간 공동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인공와우 관련 연구의 주제가 초기에는 언어 및 청각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점차 다양한 영역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향후 인공와우 부모와 교사교육 등과 관련된 교육적 차원에서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독립변인이 인공와우 착용과 언어능력과 관련된 변인에 집중되어 있다. 다섯째, 종속변인은 청각적인 인지능력과 음성에 대한 연구가 전체 실험연구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여섯째, 조사연구와 비교연구가 전체 연구의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앞으로는 다양한 연구방법을 적용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일곱째, 연구대상은 학령기 인공와우 이식 아동과 학령전기의 유아에 대한 연구가 전체 연구의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향후 다양한 대상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덟째, 조사연구와 실험연구의 연구기간은 6개월 미만의 연구가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긴 연구기간을 통해 정확하고 신뢰로운 연구결과를 도출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verall research trend of cochlear implant through the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papers, and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subjects regarding hearing impairment education in the future. 87 papers were selected from journals published from 1990s till 2010, and they were analyzed based on following criteria. They were analyzed in total 8 criteria, such as journal by the year of announcement, background of research by the year of announcement, research subject by the year of announcement , independent variations by the year of announcement. dependent variations by the year of announcement, research method by the year of announcement, research object by the year of announcement, research period by the year of announcemen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tinuous studies are made from the early 1990s up to now in linguistic and auditory journals. It is expected that in-depth study will be implemented with further interest o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individuals and its constituents in the next-generation special education field. Second, the researches of speech therapy-related researchers take up almost half of the total research. A variety of study must be made through co-studies with schools. Third, the subjects of studies related to artificial ears were mainly focused on linguistic and hearing skills in the early stages, but there are studies being made in various fields. Further studies related to parents with artificial ears and teacher education must be implemented. Forth, independent variables are concentrated in variables related to wearing artificial ears and linguistic skills. Fifth, dependent variables on auditory cognitive skills and phonetic skills consist half of the total experimental studies. Sixth, surveys and comparative studies take over half of the total studies. Further studies which apply various study methodologies must be implemented. Seventh, in terms of study examples, studies on school-aged artificial ears transplanted children and preschoolers take over half of the total studies. Further studies on various samples must be implemented. Eight, study period of survey and experimental studies under six months take over half of the total studies. Further studies with long periods of time are necessary to reach a more accurate and trustworthy study results.

      • 인공와우 착용 학생의 언어 표현과 수용

        이애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인공와우 착용 후 학생들의 언어 이해 및 언어 표현의 인공와우 착용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보청기 착용 시기와 비교하여 인공와우 착용 후 부모와 교사의 학생에 대한 언어 향상 정도에 관한 만족도와 향상 정도를 어휘, 언어 이해, 표현, 운율의 4부분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또한, 인공와우 착용 후 학생들의 언어 이해 및 언어 표현에 관한 향상 정도를 학생의 인공와우 채널에 따라 알아보고, 언어 향상을 위한 바람직한 자극 제시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청각장애학교 초등부 2, 3, 4학년과 청각장애 특수학급이 있는 일반 초등학교와 특수학급이 없는 초등학교의 2, 3, 4 학년 학생 중 인공와우를 착용한 지 2년 이상 경과된 학생 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다른 중복 장애가 없으며, 보청기 착용 후 재활 기간의 2년 이상이고, 인공와우 착용 후 적응(mapping) 기간이 2년 이상 경과된 학생이며, 인지 수준이 정상범위 표준편차 2 이상의 범위(평균 80점 이상)에 있는 학생이다. 이 연구는 학생의 언어 이해 및 언어 표현에 관한 기초 조사를 하기 위해 3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청력 손실의 원인과 시기 및 보청기 착용기간과 인공와우 착용 시기, 교육기간과 인공와우 착용 후의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언어 향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대상 학생의 부모와 담임교사에게 설문조사를 하였고, 언어 이해 및 언어 표현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언어의 화용론적인 측면을 평가하는 기능적 언어 행동 검사와 문법적 이해와 어휘를 평가하는 초기 언어 발달 검사(TOLD-P), 일상생활에서의 사건이나 상황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설명하는 문제 해결력 검사(TOPS)를 사전-사후 실시하였고, 사전-사후 차이 검증을 위해 대응 표본 t 검정을 하였으며, 바람직한 자극 제시에 따른 채널 집단과 원인 집단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 분산 분석(ANOVA)을 시각 자극, 청각 자극, 시청각 자극에 따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와우 착용 채널의 수가 많을수록 언어 이해 및 언어 표현의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특히, 언어 표현과 어휘에서 유의미한 향상 정도가 나타났다. 둘째, 청력 손실의 원인과 mapping 기간, 인공와우 착용 후의 의사 소통방법과 독화 사용 등의 개인 변인 중 청력 손실의 원인과 채널의 수에 대한 변인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인공와우 착용 후 독화를 사용하는 학생들이 전혀 사용하지 않는 학생들보다 유의미한향상 정도가 나타났다. 셋째, 인공와우 착용 후 화용론적 언어 능력과 청각적 이해를 통한 언어이해 그리고 구어를 통한 어휘가 문법적 이해나 운율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 정도가 나타났다. 넷째, 인공와우 착용 후에도 청각 자극보다 시각 자극일 경우 과제 수행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시각 자극이나 청각 자극보다 시청각 자극일 경우 모든 과제 수행에 대해 개인 변인에 상관없이 유의미한 향상 정도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인공와우 착용 후 학생들이 잔존 청력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않아 인공와우 착용 후 언어 이해와 언어 표현을 위해 청각 수용 능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고, 그로 인해 언어 이해 및 언어 표현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인공와우 착용 후 학생들이 언어적 변별이나 소리 변별의 mapping과 청각적 수용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교육을 함께 제시하는 것이 인공와우 착용 학생의 언어 발달에 바람직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the children operated with Cochlear Implant are how to receptive language and how to express language, then to show what was the ideal language stimulation for improved langu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elementary students who did not have multi disability, they were operated with Cochlear Implant before two years. The how of this study was followed by ; the post and follow-up test were performed Test of language solving(TOPS) of Linda & Carol(1992), Test of language Development Primary(TOLD-P) of Phyllis & Donald(1997) and Pragmatic test of Creaghead(1984) to investigate the language improvement on language reception and expression based on the research of their parents and teachers, then we divided with visual, acoustic, visual-acoustic stimulation to investigate either the difference by stimulation or the difference of stimulation up to personal cause. In conclusion, the children operated with Cochlear Implant fully did not use the acoustic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performance for reception language and expression language is lower than it of students having a normal hearing. Therefore, they need any education which is about the mapping of language difference and hearing and which is usable to the acoustic performance for languag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operated with Cochlear Implant.

      •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속담에 대한 맥락 추론 능력

        김승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Generalization of cochlear implantation led to increase of cochlear implants for the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nd that improved their speech recognition and language ability, resulting in progressive language development. However, even children who achieved appropriate language development through early habilitation can have difficulty with communicating in school. It is due to the fact that school-age communication not only requires simple listening but also higher linguistic skills such as meta-linguistic skill. The ability to understand communication context and interpret meanings which are not apparent is important for communication in school. For smooth communication of school-age children,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and interpreting what is not revealed is needed. Though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CI) reach to school age, we are short of the research related to their meta-linguistic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a group of 19 CI group fall into line of same chronological age and sex and a group of 19 normal hearing(NH) group who do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language ability, to find out school-age CI group's contextual reasoning ability by presenting unknown proverbs with contexts of 3 sentences and let them infer the meaning. The proverbs were consisted of 2 types(transparent proverbs, opaque proverbs) depending on transparency, and error type was also classified into 2 types(literal error, situational related error)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I group was shown significantly lower contextual reasoning ability than NH group. This result tells that CI group may have difficulty in meta-linguistic skills such as reasoning, even if they do not have problems with fundamental language skills and that may lead to difficulties in school-age communication. Second, the type of errors that both groups showed mainly is situational related. It means that both groups can understand the context in which proverbs are given. However, CI group do not use background knowledge in an appropriate way. It means that CI group have difficulty with finding common feature about the word used in the proverb and context as well as the top-down process which accurately infers the meaning. Third, among grade, age at cochlear implanation, period of cochlear implants use, period of speech language therapy, we tried to find the influential factor on contextual reasoning ability of CI group, but couldn't find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The research can find significance in confirming CI children's contextual reasoning characteristics and suggesting the necessity of intervention in clinic setting. In later research, we need to look throughly at contextual reasoning ability by increase the number of children with CI, analysis for each child and increase the number of questions in order to acquire representability. 인공와우이식술의 보편화로 청각장애 아동들의 인공와우이식이 증가하였으며, 이들의 말소리 지각력과 언어 능력이 향상되어 지속적인 언어발달을 보이게 되었다. 그러나 초기 재활을 통해 적절한 언어발달을 이룬 아동의 경우에도 학교에서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학령기의 의사소통이 단순히 듣는 것 뿐 아니라 높은 수준의 언어적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학령기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의사소통의 맥락을 이해하고 드러나지 않은 내용을 추론하여 해석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인공와우이식술이 보편화되어 인공와우를 이식 받은 아동이 학령기에 들어섰지만, 이들의 고차원적 언어 특성을 살펴보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의 맥락 추론 능력을 알아보고자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 19명과 생활 연령 및 성별이 일치하며, 언어 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건청 아동 집단 19명, 총 38명을 대상으로 친숙하지 않은 속담을 3문장의 맥락과 함께 제시하고 그 의미를 추론하는 과제를 실시하였다. 속담 유형은 투명도에 따라 2가지 유형(투명한 속담, 불투명한 속담)으로 구성하였고 오류 유형 또한 2가지 유형(문자적 오답, 상황과 관련한 오답)으로 분류하여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및 그에 따른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은 기본적인 언어 능력에 문제를 보이지 않더라도 건청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맥락 추론 능력을 보였다. 이는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이 추론과 같은 상위 언어 능력에서 어려움을 보이며, 이로 인해 학령기 의사소통에서 어려움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과 건청 아동 집단 모두가 주로 보인 오류 유형은 상황적 오답이었다. 이는 두 아동 집단 모두 속담이 주어진 맥락을 이해할 수 있으나, 배경 지식을 적절한 방식으로 사용하지 못해 속담에서 쓰인 어휘와 맥락의 공통점을 찾고 의미를 정확하게 추론하는 하향식 과정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학년, 수술 연령, 인공와우 사용 기간, 언어치료 기간 등의 요인들 중에서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의 맥락 추론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찾을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맥락 추론 특성을 확인하여, 임상에서 맥락 추론 영역에서의 중재 필요성 및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의 인원을 증가시키고, 아동 각각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맥락 추론 능력을 보다 면밀히 살펴보고, 문항의 개수를 증가시켜 대표성을 획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인공와우 이식 소아에서 전기자극 청성중간반응의 P1 잠복시간의 변화

        金載龍 동아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배경 : 인공와우 이식은 보청기로 도움을 받을 수 없는 고도이상의 난청 소아에게 청력재활을 위해 시행되는 방법으로,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이며 최근에는 조기에 하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인공와우 이식을 받는 소아의 연령이 낮아지는 것은 어린 나이에 이식을 받을수록 언어를 체계적으로 습득하고 인지 ��표현언어구사 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최근, 인공와우 이식을 받은 소아를 대상으로 청각자극의 회복이 중추성 청각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중추성 청각계의 성숙과정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에는 유발전위반응의 잠복시간과 행동변화 역치가 있다. 그 중 P1의 잠복시간은 중추성 청각계 성숙의 객관적인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목적 : 인공와우 이식이 중추성 청각계의 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P1의 잠복시간 변화를 통해 확인하고자 이번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Nulcleus CI24R contour로 인공와우 이식을 시술 받은 8명의 소아(2세-6세 9개월)을 대상으로 하였다. P1의 잠복시간은 술 후 3주와 1년경에 각각 전기자극 청성중간반응(EMLR)을 기록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인공와우 이식을 시행한 8명의 소아에서 전형적인 EMLR의 재현성 있는 파형을 얻을 수 있었다. 인공와우 이식 후 3주와 1년경의 P1의 잠복시간은 각각 61.58±4.34, 54.58±6.11로 의미 있게 감소됨을 관찰하였다(P<0.05). 결론 : Nucleus CI24R contour로 인공와우 이식을 시술 받은 소아 8명 모두에서 안정적이고 재현성 있는 EMLR의 파형을 얻었고, P1의 잠복시간 변화를 통해 중추성 청각계의 성숙을 확인하였다. 이는 인공와우 이식이 중추성 청각계의 성숙을 일으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객관적인 전기생리학적 검사인 전기자극 청성중간반응(EMLR)의 P1은 인공와우 이식 소아에서의 연령별 검사와 계속적인 추적 검사 등 더 많은 연구를 통해 인공와우 이식의 시기와 교육 등의 문제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이며 중추성 청각계의 성숙 및 퇴행 등의 대뇌 발달 연구에 유용한 검사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use of cochlear implants(CI) to restore a sensation of hearing in young children who were born deaf or became deaf early in life has increased substantially nowadays. The trend toward early implantation reflects the belief that early restoration of hearing enhances the development of verbal language and communication skills. Quantitative measures of maturational processes in central auditory system have been based largely on behavioral thresholds or on evoked potential latencies. Evoked potential latencies are determined by neural conduction times and synaptic delays. The latency of P1(Pb) component of the middle latency response or late cortical potential was used as the indicator of central auditory system maturation. We studied the plasticity of the central auditory system in children fitted with cochlear implant by the changes of P1 latency. Subjects and Methods Eight children implanted with the Nucleus CI24R contour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Children ranged in age from 2 years to 6 years 9 months with a mean age of 4 years 9 months at implantation. As a measure of cortical auditory function, electrical middle latency responses were recorded from children fitted with a cochlear implant at 3 weeks and 1 year after implantation. Results P1 latencies decreased with time after cochlear implantation. P1 latencies at 3 weeks and 1 year after cochlear implantation were mean 61.58±4.34, 54.58±6.11 msec, respectively.(P<0.05) Discu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vidence that plasticity of the central auditory system is maintained in deaf children and restoration of auditory input by cochlear implant resumes the central auditory system maturation even after an extended period of deprivation. Further investigation will need to determine whether age of onset and/or longer durations of deafness could limit full maturation of all affected processes.

      • Cortical Auditory Evoked Potential in Adults with Cochlear Implants : Comparison with Adults with Normal Hearing

        부성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목적: 대뇌피질 청각유발전위(cortical auditory evoked potential, CAEP)는 대뇌청각피질의 발달을 반영하는 생리학적 지표이다. CAEP는 P1-N1-P2 파형으로 구성되며, 정상인에서는 청년기에 완전 성숙된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 인공와우 사용자를 대상으로 CAEP를 측정하여, 인공와우이식을 통한 청각 회복이 대뇌청각피질의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인공와우이식을 받은 성인 25명과 정상 청력을 가진 성인 2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인공와우이식 환자는 선천성 농으로 소아기에 인공와우이식을 받고 성인이 된 환자(n=7), 아동기의 진행성 난청으로 농이 되어 인공와우이식을 받고 성인이 된 환자(n=6), 그리고 성인이 된 후 청력을 소실하여 인공와우이식을 받은 환자 (n=12)의 세 군으로 구성하였다. 인공와우이식 환자 군과 정상 청력 대조군을 대상으로 CAEP를 측정하여, 각 파형의 잠복기를 비교하였다. 결과: 인공와우이식 성인 환자 세 군 모두에서 CAEP의 P1-N1-P2 의 파형이 기록되었다. P1,N1,P2의 평균 잠복기는 선천성 농 환자 군에서 각각 70.4 ms, 121.5 ms, 184.7 ms 이었고, 진행성 농 환자 군에서는 각각 71.5 ms, 125.8 ms, 185.3 ms 이었으며, 성인기에 농이 된 환자 군에서는 각각 59.9 ms, 113.3 ms, 179.5 ms 이었다. 정상 대조군의 P1, N1, P2의 평균 잠복기는 각각 53.7 ms, 98.3 ms, 162.9 ms 이었다. 성인기에 농이 된 환자군의 P1, N1, P2 평균 잠복기가 선천성 농 환자 군과 진행성 농 환자 군에 비해 짧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p>0.05). 선천성 농 환자 군과 성인기에 농이 된 환자 군에서는 P1 잠복기와 N1 잠복기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연장되어 있었고 (p<0.05), 진행성 농 환자 군에서는 N1 잠복기와 P2 잠복기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연장되어 있었다(p<0.05). 결론: 선천성 농으로 인공와우이식을 받고 성인이 된 환자 군에서 CAEP의 P1-N1-P2 파형이 기록되어, 인공와우를 통한 전기 자극으로 일차 청각피질과 고위 청각피질의 발달이 유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의 P1 잠복기와 N1 잠복기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연장되어 있어, 인공와우이식 환자군의 청각피질의 성숙 정도가 정상인에 비해 부진한 것으로 사료된다. 진행성 농으로 인공와우이식을 받은 환자 군에서도 CAEP의 P1-N1-P2 파형이 기록되었으나 N1, P2 잠복기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연장되어 있어 청각피질의 성숙 정도가 정상인에 비해 부진한 것으로 사료된다. 성인이 된 후 청력을 소실한 환자군의 인공와우이식 후 P1, N1 잠복기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연장되어 있다는 점은 청력 소실 후 청각피질의 퇴행성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시사하는 소견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examine the maturational status of the auditory cortex in adults who use cochlear implants (CIs) through the measurement of P1, N1, and P2 components of cortical auditory-evoked potentials (CAEPs). Participants and methods: Twenty-five adult patients with CIs and 25 age-matched control participants with normal hearing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 age of onset of deafness. The first group of patients had congenital or prelingual deafness and received a CI during childhood, and were adults at the time of this study (n=7); the second group of patients had early childhood-onset, progressive deafness and received a CI and were adults at the time of this study (n=6); and the third group of patients had adult-onset deafness and received a CI (n=12). CAEPs were recorded from all the participants with CIs and control participants with normal hearing. The latencies of P1, N1, and P2 components of CAEPs were compared between patients with CIs and subjects with normal hearing. Results: Patients with congenital or early childhood-onset hearing loss showed clear P1-N1-P2 components of CAEPs long after receiving a CI. Patients with adult-onset deafness also showed P1-N1-P2 responses early after receiving a CI. P1 and N1 latencies of those in the group with congenital deafness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those in the normal control group. Those in the group with progressively developing deafness had significantly longer N1 and P2 latencie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Patients with adult-onset deafness had significantly longer P1 and N1 latencies than participants with normal hearing. Conclusion: Patients who were congenitally deaf and received a CI during childhood developed a primary and higher-order auditory cortex by the time they were adults. However, the maturational status of their auditory cortex seems to be worse than that of individuals with normal hearing. Adult patients with late-onset deafness might experience degenerative change of the auditory cortex during the period of auditory deprivation between the onset of deafness and cochlear implantation.

      • The Study on the Maturation of Central Auditory Pathway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Using P1 Cortical Auditory Evoked Potential

        정승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서론 : 일측 혹은 양측 인공 와우이식을 받은 선천성 농 아동의 중추 청각전달로의 성숙 정도를 P1 대뇌피질 청각유발전위(P1 cortical auditory evoked potential, P1 CAEP)를 이용하여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선천성 혹은 언어습득 전 농으로 인해 인공 와우이식을 받은 소아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첫 번째 인공 와우이식 시행 나이는 평균 3.4세였으며, 이들 중 16명은 평균 11.1세에 반대 측 귀에 두 번째 인공 와우이식을 받았다. P1 CAEP는 2회 측정하였다. 1차 측정은 첫 번째 인공 와우를 사용하는 동안 시행하였고, 2차 측정은 두 번째 인공 와우이식 후 외부기기 장착 2주 이내에 시행하였다. 첫 번째 인공 와우 사용기간과 P1 잠복기의 관계, 첫 번째 인공와우이식 시행 나이와 P1 잠복기의 관계, 첫 번째 인공 와우 P1 잠복기와 두 번째 인공 와우 P1 잠복기의 관계, 그리고 두 수술 사이의 기간과 P1 잠복기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첫 번째 인공 와우를 이용한 P1 CAEP 측정에서는 16명에서 반응이 기록되었고, 4명에서는 기록되지 않았다. 수술 시기가 이른 아동들의 P1 잠복기가 수술 시기가 늦은 아동들에 비해 짧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 인공 와우 사용기간이 길수록 P1 잠복기는 짧았다 (R=-0.783, p<0.001). 반대 측 귀에 두 번째 인공 와우이식을 받은 16명의 아동 중, 10 명에서만 외부기기 장착 직후에 P1 CAEP가 기록되었다. 첫 번째 인공 와우의 사용기간이 길수록 두 번째 인공 와우의 P1 잠복기가 짧았고(R=-0.710, p=0.021), 첫 번째 인공 와우의 P1 잠복기가 짧을수록 두 번째 인공 와우의 P1 잠복기가 짧았다(R=0.722, p=0.018). 첫 인공 와우 P1 잠복기와 두 번째 인공 와우 P1 잠복기의 차이는 두 이식 수술 간 기간 간격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R=0.255, p=0.477). 결론 : 인공 와우 사용기간이 길수록 P1 잠복기가 짧았다. 또한 첫 번째 인공 와우의 사용기간과 두 번째 인공 와우의 P1 잠복기는 반비례하였고, 첫 번째 인공 와우 P1 잠복기와 두 번째 인공 와우 P1 잠복기는 비례관계에 있었다. 이러한 소견은 인공 와우를 이용한 청각 경험이 중추 청각전달로의 성숙을 유도하고, 두 번째 인공 와우이식의 효과는 수술 시기보다 두 번째 인공 와우이식 전 중추 청각전달로의 성숙 정도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Objective : To examine maturation of the central auditory pathway, using P1 cortical auditory evoked potential (CAEP), in children who had received unilateral or bilateral cochlear implantation (CI). Subjects and method : Twenty children who had received CI due to congenital, or prelingual, deafness participated in the study. Participants had received the 1st implant at a mean age of 3.4 ± 0.7 years; 16 had also received a 2nd CI for the contralateral ear, at a mean age of 11.1± 2.1 years. P1 CAEP was recorded while using the 1st implant and, for those who received contralateral CI, within 2 weeks of switching on the 2nd implant. Relations between P1 latency and duration with the 1st implant, and between age at 1st CI and P1 latency, were investigated. Relations between P1 latency with the 1st and 2nd implants, and between the interstage interval and difference between P1 latencies with the 1st and 2nd implants, were also examined. Results : P1 CAEP with the 1st implant was present in 16 of the 20 children. Mean P1 latency was shorter in the early CI group compared with the late CI group,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154).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uration with the 1st implant and P1 latency(r=–0.783, p<0.001). Among the 16 children with sequential bilateral CI, P1 CAEP with the 2nd implant was present in 10.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uration with the 1st implant before receiving the 2nd implant and P1 latency with the 2nd implant (r=–0.710, p=0.021);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1 latency with the 1st and 2nd implants (r=0.722, p=0.018). There was not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terstage interval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1 latencies (r=–0.430, p=0.248). Conclusion : Longer cochlear implant use is associated with shorter P1 latency. Unilateral hearing with the 1st implant may positively affect P1 latency with the 2nd CI ear. These findings imply that increased auditory experience may influence central auditory pathway maturation and that the degree of central auditory pathway maturation before the 2nd CI, rather than the timing when the surgery is received, may influence 2nd CI outcome in children with sequential bilateral cochlear implants.

      • 인공와우이식 아동(6, 7세)과 일반아동 간의 음운처리능력 비교연구

        이상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공식검사 REVT: 수용어휘에서 언어연령이 정상범주에 속한 인공와우이식 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음운처리능력을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생활연령 6세 1개월에서 6세 11개월에 해당하는 학령전기 9명과 7세 1개월에서 7세 11개월에 해당되는 학령기 10명의 인공와우이식 아동 19명과 생활연령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9명, 전체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음운인식과제(탈락, 변별, 합성, 분절) 4가지 유형검사에서 친숙한 어휘로 구성된 음운인식과 비 친숙한 어휘로 구성된 음운인식 과제를 두 가지 세트로 나눠서 진행하였으며, 빠른이름대기(숫자, 글자)와 음운기억(순서대로 따라 말하기, 거꾸로 따라 말하기)과제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 처리는 음운인식 및 빠른이름대기, 음운기억에서 수행력을 비교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MANOVA)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두 집단과 연령 간의 음운인식(탈락, 합성, 변별, 분절)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 본 결과, 친숙한 어휘로 구성한 음운인식 과제와 비 친숙한 어휘로 구성한 음운인식 과제 모두 두 집단 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친숙한 어휘에서는 탈락(음절), 변별(음절-음소), 분절(음소)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비 친숙한 어휘에서는 탈락(음절-음소), 합성(음절-음소), 변별(음절-음소), 분절(음절-음소)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두 집단과 연령 간의 빠른이름대기 과제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본 결과, ‘숫자 빠른이름대기’와 ‘글자 빠른이름대기’에서 집단과 연령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두 집단과 연령 간의 음운기억 과제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본 결과, ‘순서대로 따라 말하기’와 ‘거꾸로 따라 말하기’에서 순서대로 따라 말하기 과제에서만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은 전반적으로 기억부담이 큰 비 친숙한 어휘로 구성된 음운인식 과제와 음운기억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공와우이식 아동이 음운적으로 제시되는 정보를 유지하여 처리하는데 있어서 약하며, 특히 음운의 유사성의 정도가 높거나 새로운 단어의 음운구조에 대한 민감성에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보면, 인공와우이식 아동은 일반아동과 발달 연속선상에는 있으나 질적으로 일반아동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공와우이식을 통해 음운처리발달에 많은 이점을 얻게 되었지만 일반아동보다 제한적인 부분이 있기 때문에 초기연령 때부터 더 강한 음운체계 발달에 접근하여 음운정보를 유지하고 처리하는 능력을 증진하는데 지속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