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익반응계수(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ERC)의 기업간 횡단면적 차이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연구개발비지출비율과 근로자 1인당 매출액 증가율을 중심으로

        김승종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회계이익과 주가와의 관련성을 설명하는 이익반응계수의 기업간 횡단면적 차이를 연구개발비지출비율과 근로자 1인당 매출액 증가율을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들 특성변수들이 정보적인 유용성을 갖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97년말 현재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연구개발비기준의 경우 176개, 근로자 1인당 매출액기준의 경우 238개의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1996년도와 1997년도에 대해 특성변수에 따라 표본을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여 이익반응계수의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시장모형을 통해 추정된 월별수익률기준의 1년간 누적초과수익률을 종속변수로 하고 비기대이익을 독립 변수로 하는 회귀분석모형을 통해 회귀계수인 이익반응계수를 구하고 특성요인에 따라 구분된 집단들에서의 이익반응계수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개발비의 경우, 연구개발비지출비율이 높은 기업집단의 이익반응계수가 연구개발비지출비율이 낮은 기업집단의 이익반응계수보다 크게 나온 것을 발견할 수 있었으나 집단간 이익반응계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수준은 못되었다. 근로자 1인당 매출액의 경우, 근로자 1인당 매출액 증가율이 높은 기업집단의 이익반응계수가 근로자 1인당 매출액 증가율이 낮은 기업집단의 이익반응계수보다 크게 나왔다. 그러나 집단간 이익반응계수의 차이의 유의성은 통계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 나라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일반의 관점과는 달리 주식 시장에서 회계정보가 가지는 정보로서의 역할이 상당히 높다는 것을 시사하며 몇몇의 국내 선행연구의 결과들과 함께 고려할 때, 외국의 연구에서 볼 수 있는 회계이익변수의 주식수익률에 대한 설명력에 못지 않은 설명력을 국내시장에서 회계이익변수의 주식수익률에 대한 설명력에 못지 않은 설명력을 국내시장에서 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주식시장의 반응에 대하여 회계정 보가 가지는 정보로서의 유용성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고 기업의 특성요인에 따라 이익반응계수가 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s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during 1996 and 1997. In this study, two proxy variables, i. e. R&D expenditures to sales and sales increase ratio per labor force are tested to verify the fact that accounting numbers are informative in Korean stock market. Also these variables are used to classify the sample group into two sub-groups each year. The association between cumulative abnormal return and unexpected earnings is investigated by simple regression analysis. R&D invest activity is important to companies because it is an essential ingredient for innovation and sales increase. From this viewpoint we can see that market investors will value more highly R&D outlays in the companies with high level of R&D expenditures increase ratio to sales than that of low level of one. Sales increase ratio per labor force is also evaluated as a good sign to market investors. Many investors assess the firms' value through the future net cash flow in firms. Mentioned above, sales increase ratio per labor force is the one among the many factors to influence the future net cash flow. Companies with high level of sales increase ratio per labor force are considered more highly value in stock market than that of low level of sales increase ratio per labor force. A sample of 176 and 238 manufacturing firms with December 31 fiscal year-end and minimum of 10 listing years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are used to test the hyphothesis. The test period is 1996 and 1997. This period is employed to investigate for stock market response to R&D expenditures to sales and sales increase ratio per labor force. The results suggest that sub-group with high level of R&D expenditures ratio has the high positive estimated regression coefficient than the other sub-group in regression model used in this research. Also the sub-group with high level of sales increase ratio per labor force has the high positive estimated regression coefficient than the other sub-group. These resul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very year in this cross-sectional analysis including 1996-1997 pooled sample, 1996-1997 sample with dummy variable, and 1996-1997 sample to β with dummy. However significance of difference in these sub-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very year. The evidence implies that the capital market values more highly R&D expenditures to sales and sales increase ratio per labor force in high level of sub-group than low level of one. Also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ccounting numbers are informative in Korean stock market to assess the firms' value. Subsequently we can suppose that many stock market investors consider many accounting number factors including R&D expenditures to sales and sales increase ratio per labor force as a important one to invest and analyse the company's value.

      • 企業特性의 관점에서 본 利益反應係數에 관한 硏究

        박유선 가톨릭大學校 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9726

        1980년대 후반에 들어와 우리 나라의 증권시장은 질적·양적으로 많은 성장을 하였다. 이에 따라 증권시장의 주요한 정보 중의 하나인 회계정보가 우리나라 증권시장 내에서 차지하고 있는 역할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익의 질적 차이를 가져오는 요인들이 회계이익과 주가사이의 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가를 살펴보는데 있다. 즉, 이익과 주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주는 이익반응계수가 이익의 질적 차이를 가져오는 기업의 특성요인에 따라 다를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기업의 이익의 질적 차이를 가져오는 특성변수를 고려하여 각 특성변수별로 하위집단을 구성한 후, 하위집단간 이익반응계수의 차이가 있는지를 횡단면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표본은 194개 기업이고, 분석대상 기간은 1993년과 1994년이며, 구체적인 검증은 다음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첫단계로는 비기대이익과 비정상수익률을 구한다. 여기서 비정상수익률을 구하기 위해서 1989년부터 1992년까지의 월별수익률을 통해 추정하여 1993년과 1994년도 비정상수익률을 계산하였다. 추정은 OLS(ordinary least square)를 이용하였다. 비기대이익은 랜덤워크모형을 가정하여 계산하였다. 두번째 단계에서는 전체표본에 대해 이익반응계수를 구하기 위하여 비기대이익을 독립변수로, 누적초과수익률을 종속변수로 하는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비기대이익의 회귀계수가 이익반응계수가 된다. 이를 통해 비기대이익이 비정상 수익률을 어느 정도 유의적으로 설명하고 있는지, 이익반응계수가 유의적인지를 알아보았다. 세번째 단계로서 위에서 구해진 이익반응계수가 기업의 특성변수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에 대해서 알아본다. 이를 위해 각 기업별 규모변수, 성장성변수, 위험변수 등을 선정하고 각 변수를 상·중·하로 나누거나 상·하로 구분하여 각 하위집단별로 이익반응계수가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장성이 높은 기업집단들의 이익반응계수가 성장성이 낮은 기업집단들의 이익반응계수보다 크게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기업의 성장성의 지표로서 매출액 증가율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매출액 증가율이 높은 기업들의 이익반응계수가 매출액이 낮은 기업들의 이익반응계수보다 크다. 이는 매출액 증가율이 성장에 대한 기대치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2) 위험이 낮은 기업집단들의 이익반응계수가 위험이 높은 기업집단들의 이익반응계수보다 크게 나타났다. 여기서는 기업위험의 대리변수로 부채비율을 사용하였다. 즉, 부채비율이 낮은 기업들의 이익반응계수가 부채비율이 높은 기업들의 이익반응계수보다 컸다. 이는 이익반응계수의 기업간 차이가 자본구성도와 관련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3) 규모가 큰 기업집단들의 이익반응계수가 규모가 작은 기업집단들의 이익반응 계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발행주식의 시장가치를 통해 기업규모를 구분해 보았는데, 발행주식의 시장가치가 클수록 이익반응계수도 크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업규모에 따라 차별적으로 이익에 대해 투자자가 반응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가 매우 유의적이라 하더라도 분석상의 문제점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했다. 따라서 앞으로 다음과 같은 점들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기업의 성장성, 기업위험, 기업규모의 측정방법 또는 대리변수를 바꾸거나 추가시킨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이익반응계수가 산업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여주는지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셋째, 이익반응계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요인들을 보다 정확히 통제한 후의 분석이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와 같은 횡단면적인 분석과 함께 이익반응계수의 시계열 변동에 대한 연구를 병행해보아야 할 것이다. From late 1980s, Korean stock market made a big development in terms of quality and quantity. For this reason, profound study on the role of accounting information,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s used by investors in the stock market, is really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factors that are related to the quality of earnings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and stock prices. Namely,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ERC) that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and stock prices can be changed by the firms characteristics that make qualitative differences of earnings. After constituting subsamples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 variables that produce qualitative differences in firms' earning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between subsamples through cross-sectional analysis. In this study, 194 firms are selected and analyzed during the period of 1993-1994. This study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as follows; In the first phase, unexpected earnings and unexpected returns are calculated. For the unexpected returns, in estimating the regression coefficient by regression(OLS) of monthly returns, the unexpected returns from 1993 to 1994 are calculated. The unexpected earnings are calculated by assuming random walk model. In the second phase, for ERC of whole samples, simple-regression analysis is performed by using unexpected earnings as an independent variables and cumulative abnormal returns as a dependent variables. On this,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unexpected earnings mean the ERC. In this phase, it is verified that the unexpected earnings are associated with the unexpected returns and ERC h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third phase, it is investigated whether the magnitude of ERC changes according to the financial variables of the firms. For this process, it is verified whether the magnitude of ERC can be explained by firm size variables, growth variables, risk variables, etc. by dividing each variable into upper-medium-lower subsamples or upper-lower ones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charateristic variables.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ERC of high-developed firms is higher than that of low-developed firms. In this study, sales growth ratio is used as the index of firms' development.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ERC of the firms that have high sales growth ratio is higher because sales growth ratio. reflects the expectation to development. 2) ERC of low risky firms is higher than that of high risky ones. At this point, debt ratio is used as a proxy to the risk of the firms. It suggests that ERC between the firms can be related to the degree of asset composition. 3) ERC of big-sized firms is higher than that of small-sized ones. In this study, firm's size is analyzed in terms of authorized stock market-value. Consequently, authorized stock market-value is in proportion to ERC. This shows that investors respond differently to. earnings according to firm size.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there are four points that could be extended in the future. First, it is required to analyze by changing or adding a method of measurement or proxy like firms' growth, firms' risk, firms' size, etc. Secondly, the additional study on the industrial differences in ERC is needed. Thirdly, accurate control of several factors that have an influence on ERC is preceded and then the analysis has to be performed. Finally, cross-sectional analysis and the study on time series change of ERC are needed to perform simultaneously.

      • 분기손익조정효과에 따른 분기 이익반응계수

        박세린 성균관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연구에서는 분기손익조정효과(settling-up effect)가 분기 이익반응계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기손익조정효과가 크다는 것은 분기손익에 해당 분기와는 관련이 낮은, 타 분기 손익과 관련성이 높은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특정 분기의 손익항목에 해당분기와 관련성이 낮은 오류들이 많이 존재할 경우 그 분기의 이익반응계수는 작아지게 된다(Kross and Schroeder 1990; Salamon and Stober 1994; Lee and Park 2000).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분기손익조정효과의 크기에 따라 분기 이익반응계수가 어떻게 변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기업 중 금융업에 속하지 않는 12월 결산 기업 13,833개(기업-년-분기)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분기손익조정효과는 분기 이익반응계수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각 분기별로 분기손익조정효과가 분기 이익반응계수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분기손익조정효과가 분기 이익반응계수에 미치는 음(-)의 영향은 1~3분기에 비해 4분기에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분기손익에 대한 선행연구들이 이익조정의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한 것과는 달리, 분기손익조정효과(settling-up effect)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점이 있으며, 분기손익조정효과를 실증적으로 추정하여 분기손익조정효과가 분기 이익반응계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써 둘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 In this paper, I analyze whether the quarterly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is affected by the settling-up effect of quarterly earnings. The large settling-up effect means that one quarter’s earnings includes information that is unrelated to the corresponding quarter but relevant to another quarters’ earnings. Thus, if there are many errors that are not relevant to the corresponding quarter, the quarterly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will be small (Kross and Schroeder 1990; Salamon and Stober 1994; Lee and Park 2000). As a result, in this paper, we try to empirically analyze how the quarterly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changes depending on the magnitude of the settling-up effect of quarterly earnings. As a result of analyzing 13,833 companies (firm-year-quarter) that do not belong to the financial industry among companies listed on Korea Exchange from 2010 to 2015, the settling-up effect of quarterly earnings has a negative (-) influence on the quarterly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In addition, the negative (-) association between the settling-up effect of quarterly earnings and quarterly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appears markedly in 4th quarters compared to 1st~3rd quarters. In this paper, unlike the previous study of the quarterly earnings carried out the research from the viewpoint of earnings management, it focuses on the settling-up effect of quarterly earnings. Besides, there is a contribution that I empir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ttling-up effect of quarterly earnings and quarterly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by empirically measuring the settling-up effect of quarterly earnings.

      • 핵심감사제의 도입이 수주산업의 이익반응계수에 미치는 영향

        유서동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연구는 2016년 수주산업 핵심감사제의 도입이 수주산업 기업의 이익반응계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수주산업 내 핵심감사사항을 보고한 기업과 그렇지 않는 기업간에 이익반응계수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수주산업 기업을 대상으로 수주산업 핵심감사제 도입 전후 이익반응계수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성향점수매칭법을 이용하여 2016년 이후 수주산업 내 핵심감사사항을 보고한 기업에 대해 기업 특성이 유사하고 핵심감사사항을 보고하지 않는 기업을 매칭 한 후에 두 기업집단간에 이익반응계수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첫째, 핵심감사제 도입 이후는 도입 이전에 비해 수주산업 기업의 이익반응계수가 작아졌다. 둘째, 핵심감사사항을 보고한 기업은 그렇지 않는 기업보다 이익반응계수가 작다. 이는 재무제표의 감사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거나 기업위험에 관련한 핵심감사사항에서 많은 정보에 대해 투자자들이 분석을 제대로 할 능력이 부족하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방해할 수 있거나 기업의 불확실성을 인식하여 기업 이익정보의 가치관련성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익반응계수의 분석을 통하여 2016년부터 수주산업을 대상으로 도입된 핵심감사제가 기업 이익정보의 가치관련성 측면에서 정책 효과를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그러나 핵심감사사항을 보고한 모든 기업을 이용하지 못하였으며 핵심감사사항의 개수 및 유형 등 특성이 이익반응계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introduction of key audit matters(KAM) on earning response coefficient(ERC) for the company in the order industry since 2016. In addition, analyzing the difference of the ERC between order industry companies that report KAM and those do not report. Thus, this research takes companies listed on the KOSPI and KOSDAQ markets in the order industry from2010 to 2021 as the object, and analyzes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RC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KAM. In addition, this research uses propensity score matching estimation(PSM) method, matching companies that reported KAM in the order industry with companies of similar characteristics but did not report KAM since 2016. And analyzes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RC between the two enterprise group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compared to the past, there is a deduction of ERC in the order industry after the introduction of KAM. Secondly, companies who report KAM have a lesser ERC compared to companies who do not. As KAM is the most important matters during the auditing process of the financial statements, and it related to the risk of the enterprise. Therefore this research indicates the lack of ability to analyze the information of KAM from the investors may interfere with their investment decision, making them revaluate the risks of the company and loss of trust as a resul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RC, this research shows the policy effect to the value relevance of earnings information after introducing the KAM in order industry. However,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t doesn’t include all companies that reporting the KAM, and does not analyze the impact of the number and the types of KAM on th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 감사품질의 변화가 회계정보의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대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2

        본 논문은 우리나라 자본시장에서 감사인의 품질을 기준으로 고품질의 감사인에서 저품질의 감사인으로 교체하거나 저품질의 감사인에서 고품질의 감사인으로 교체될 때 감사품질에 따른 주가반응을 살펴봄으로써, 투자자들이 외부감사인의 감사품질 차이를 인식하여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차별적으로 인식하는지 여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검증을 위하여 감사인의 품질을 구분하는 세 개의 특성변수로는 감사인 규모(명성), 산업별전문성, 감리지적 여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감사인 교체 전·후의 이익반응계수(ERC)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누적비정상수익률(CAR)을 종속변수로 하고 비기대이익(UE)을 독립변수로 하는 연구모형을 적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표본은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자발적으로 감사인을 교체한 12월 결산 상장기업(금융 및 보험 업종 제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익반응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금감원의 감사인 지정에 의한 감사인 교체나 감사의견이 비적정의견인 기업은 표본에서 제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인 규모에 있어서 규모가 작은 감사인에서 규모가 큰 감사인으로 교체했을 경우 교체 후 이익반응계수는 예상한 대로 양(+)의 부호를 보여주었으나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규모가 큰 감사인에서 규모가 작은 감사인으로 교체했을 경우 교체 후 이익반응계수는 예상한 대로 음(-)의 부호를 보여주었으나, 이것 역시 유의성을 보여주지는 못하였다. 둘째, 감사인의 산업전문성에 있어서 일반감사인에서 산업전문감사인으로 교체했을 경우 교체 후 이익반응계수는 기대한 대로 양(+)의 부호를 나타내고 약 1% 수준에서 유의성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업전문 감사인에서 일반 감사인으로 교체했을 경우 교체 후 이익반응계수는 예상한 대로 음(-)의 부호를 보여 주었으나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사인의 감리지적 여부에 있어서 감리에서 지적 받은 감사인에서 지적 받지 않은 감사인으로 교체했을 경우 교체 후 이익반응계수는 예상한 대로 양(+)의 부호를 보여주었으나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리에서 지적 받지 감사인에서 지적 받은 감사인으로 교체했을 경우 교체 후 이익반응계수는 예상한 대로 음(-)의 부호를 보여 주었고 10% 수준에서 유의성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투자자들은 자본시장에서 감사인 규모에 대해서는 감사품질의 질적인 변화의 차이를 정확하게 인식하는지에 대해 확신을 가지고 해석하기가 어려우나, 산업전문성(일반 감사인에서 산업전문 감사인으로 교체했을 경우)과 감리지적 여부(감리에서 지적을 받지 않은 감사인에서 지적을 받은 감사인으로 교체했을 경우)에 대해서는 감사인의 감사품질을 차별적 인식하여 회계정보의 신뢰성에 차이를 두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The study analyzes the relations between auditor quality and stock returns when auditors are switched from high-quality to low-quality or from low-quality to high-quality in Korean's Financial market. So this is an empirical study ; whether investors recognize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with the difference of auditor quality or not. For verifying three variables used as proxies for auditor characteristics are auditor size(reputation), industry specialization of auditor and enforcement action. This study compared ERC before auditor is changed with ERC after auditor is changed to research hypotheses. A research model has CAR as dependent variable, UE as independent variable and BETA, MB, SIZE as control variables. It performs regression with this model. Samples are corporations that are spontaneously changed auditor from 1999 to 2001. All companies are listed on the Korea Stock Exchange with settlement period in the late of December. Financial and insurance companies were excluded from the sample. In addition, firms changed auditor by ever designated mandatory of Financial Supervisory Commission and had non-propriety opinion were put aside to remove influence of ERC.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ase of firms changed from big auditor to non-big auditor, as is expected, resulted in the same sign of plus(+) in the ERC. But it was not significant. The case of firms changed from non-big auditor to big auditor showed the same sign of minus(-) in the ERC. It was not significant, either. Second, the case of firms changed from general auditor to industry-specialized auditor, as is expected, resulted in the same sign of plus(+) and it was significant at 1% α-level. But the case of firms conversely changed showed the same of minus(-) in the ERC. But it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case of firms changed from enforcement action to non-enforcement action, as is expected, showed the same sign of plus(+). But it was not significant. The case of firms conversely changed resulted in the same of minus(-) in the ERC and it was significant at 10% α-level. According to these results, for auditor-size it is difficult to have conviction in the interpretation that investors recognize change of audit quality in financial market. But industry specialization(switched from general auditor to industry-specialized auditor) and enforcement action(switched from non-enforcement to enforcement) are interpreted as investors recognize change of audit quality and have difference on the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 中斷된 事業部門과 利益反應係數

        최정원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9710

        한국 자본 시장은 IMF시대를 맞으면서 회계의 중요성을 더욱 크게 인식하게 되었다. 국제화, 개방화에 따라서 회계시장도 점진적으로 개방화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추어 한국 회계기준을 국제 회계기준의 수준으로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 우세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시류 가운데 최근에 개정된 기업회계기준에는(1998년 12월) 사업부 중단에 대한 사항이 있는데, 우리 나라에서 사업부 중단과 관련된 사항은 이번에 처음 제안된 것이지만, 미국회계기준과 국제회계기준에서는 전부터 시행되어 온 항목이다. 회계학에서 사업부문의 중단이란 매각, 폐기, 분리신설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사업부문을 처분하는 것을 말하는데, 기업이 영위하던 사업부문중 일부 사업부문을 폐지하는 경우, 차기 이후에는 당기와 다른 규모의 영업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사실이 공시되지 않는다면 회계정보이용자들은 기업의 미래이익 예측에 정확한 정보를 갖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그동안은 이러한 사실에 대해 공시하거나 회계처리 기준이 없었는데, 그 이유는, 우리 나라 기업풍토는 대기업에 의하여 형성되어 왔으며 대기업들은 사업부의 중단보다는 사업부의 흡수에 치중하였기 때문에 사업부 중단에 관한 별도의 회계기준의 필요성을 절감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보여진다. 그러나 IMF시대를 거치면서 많은 기업들의 인수합병이 이루어짐에 따라 이러한 경제적 사건을 적절히 회계처리 할 회계기준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서 중단된 사업부문에 관해 주석으로 공시하도록 기업회계기준에서 최근에 규정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새로이 규정된 중단된 사업부문의 주석사항에 관한 실증적 증거를 찾아보았다. 우선 사업부 중단 사실이 있었던 기업과 그러한 사실이 없었던 기업으로 나누어, 두 집단의 이익과 주가사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즉 비기대이익에 대한 주가의 반응정도(이를 이익반응계수라 한다)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익반응계수는 이익의 질을 말하는 것인데, 기업마다 다르게 나타나므로 어느 집단의 이익의 질이 더 좋은 가를 살펴보았다. 이익반응계수를 보기 위한 연구모형으로는 회귀분석 모형을 채택했으며, 독립변수로 비기대이익을 , 종속변수로 시장모형에 의한 누적초과수익률을 사용하였다. 중단기업집단과 계속기업집단 간의 단순회귀분석을 한 후 두 집단간의 이익반응계수를 살펴보고 다음에는 이익반응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변수로 첨가한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두 번째로는 사업부 중단 사실과 주가반응을 살펴보았다.. 사업부문 중단일에 주가반응이 있다면 중단사업 사실이 회계정보이용자들에게 기업의 미래현금흐름과 수익성 및 재무상태 등의 예측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보고, 중단된 사업부문을 공시하는 것에 대한 근거를 보여주고자 한다. 주가반응을 보기 위해서는 중단된 사업부문이라는 사건을 발표한 시점을 전후하여 초과수익률과 누적초과수익률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보면 중단 기업집단과 계속기업집단을 비교하여 이익반응계수를 각각 구하여 보았을 때 중단기업집단의 이익반응계수가 계속기업집단의 그것보다 낮음을 알 수 있었다. R²도 중단기업집단이 계속집단기업집단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중단된 사업부문과 관련한 주가반응을 살펴보았을 때는, 사건주간과 바로 전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보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것은 중단된 사업부문이라는 사건이 주식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이것은 유용한 회계정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연구 결과는 이질적인 정보요소를 통합하여 공시할 경우 정보의 내용이 심각히 왜곡되거나 훼손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보의 내용이 다른 손익항목들은 분리하여 공시함으로써 투자자가 올바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새롭게 규정된 기업회계기준의 중단된 사업부문항목에 대해 실증적 증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기여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recently devised accounting standard, first proposed in Korea in Dec.1998, included discontinuance of business departments. This is new in Korea but has been implemented for long time as an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 and APB Opinion The Discontinued Operations in accounting mean the disposal of a business department by way of sale, abolition, separation and new establishment, or by other means. In the case where part of the business department managed by company is being abolished, a different scale of business shoud be shown in the next business ter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ublicly announce the profits and losses of discontinued operations in the current term, and these shoud be reported separately from these of continued operations. In Korea there is how an accounting standard for operations which have been discontinued that meets this need. Accordingly, announcing publicly information on profit and loss based on the newly established enterprise accounting standard will be useful in identifying normal business achievement from activities of operations which have been discontinu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demonstrative evidence of annotation under the newly established standard for operations which have operations. First, this study separated enterprise is which had discontinued it a business department(discontinued operations group) from those which had not(continued operations group),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its and stock prices of the two groups. That is, it looked at the of reaction degree of stock price to unexpected profits(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Th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indicates quality of profit, and this study examined which group has a better quality of profit since this factor differs according to the enterprise. As a study model for looking at th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model was adopted with unexpected profit as the independendent variable and cumureative abnornal return by market model as the subordinate variable. Second this study examined discontined operations and the reaction of stock price. Considering that if the stock price reacts on the date the operations is discontinued, useful information in predicting enterprise future cash flow, profitability and financial status can be obtained. This study showed the basis for publicly announcing operations which have been discontinued. To look at the reaction of stock price, it examined the change of cummulative abnormal return and abnormal return before and after the announcement of operations which have been discontinued.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of the discontinued operations group(0.03316)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inued operations group(0.082966). For R² also, the profit reacting factor of the discontinued operations group(0.0042)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inuing group(0.0701). When it comes to the reaction of stock price in relation to discontinued operations, there was a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 t-test 5% level) information effect the week before and after it occurs. This indicates that the event of discontinuing a business department has influence on the stock market and can be useful accounting information. The study results imply that a public announcement of integrated information elements can significantly distort or damage the content of information. It is suggested that same specific codes shoud be made to enforce the accounting standard for discontinued operation. Therefore, this study makes contribution in suggesting demonstrative evidence of the discontinued operations in newly defined enterprise accounting standards.

      • 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따른 회계이익의 질 및 자본시장반응 변화에 관한 연구

        옥민석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9710

        국 문 초 록 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따른 회계이익의 질 및 자본시장반응 변화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회계기준을 단일화하는 추세에 대응하고 회계투명성 제고를 통해 국가경쟁력을 강화할 목적으로 2011년부터 IFRS를 도입하였다. IFRS의 도입은 회계기준의 변경 뿐 아니라 재무정보시스템, 지배구조, 사업전략을 포함한 기업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회계 패러다임의 전환이라 할 수 있다(박진숙, 2016). 그동안 IFRS (조기)도입이 회계정보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많은 선행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IFRS 도입으로 회계정보의 질이 개선되었다는 연구(고상연, 2008; 문현주, 2011; 강민정 외, 2011; 최국현․손여진, 2012; 신현걸, 2012; 지현미, 2013; 박상규․박원, 2013; 이유식․홍정화, 2013a; 서미현 외, 2013; 김경태, 2014; 박진숙, 2016 등), 차이가 없다는 연구(고효종, 2011; 김병태, 2011 등),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도 증가하였다는 연구(고효종, 2011; 배기수ㆍ박범진, 2012; 강민정 외, 2012)가 있다. 국외연구에서도 IFRS 도입으로 회계이익의 질이 개선되었다는 연구(Christensen et al., 2008; Barth et al., 2008; Ismail et al., 2010 등)와 IFRS 도입으로 회계이익의 질은 차이가 없다는 연구(Gordon et al., 2008; Jarva and Lantto, 2012 등), 그리고 오히려 IFRS 도입으로 회계이익의 질이 더 저하되었다는 연구(Jeanjean and Stolowy, 2008; Pananen and Lin, 2009; Piot et al., 2011; Ahmed et al., 2012 등)로 연구결과가 혼재되어 있어 국내와 국외 모두 일관된 연구결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이유식, 2013; 옥민석․윤태화, 2016). 우리나라는 2011년 IFRS를 전면 도입한 이후 벌써 6년이 지났고, IFRS를 조기도입한 후부터 6~8년이 경과하였다. IFRS의 주요 특징은 공정가치 측정을 하고 있으며 원칙 중심으로 회계 처리를 하는 것이다. 원칙 중심의 회계 처리는 경영자의 재량권을 오히려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IFRS 도입으로 인해 회계정보의 질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회계정보의 질에 변화가 있었으면 그 변화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거나 향상되고 있는지, IFRS 도입이 자본시장에 긍정적인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긍정적인 영향이 지속적으로 유지 또는 향상되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IFRS 전면 도입 후 6년이 경과된 시점에서 IFRS 도입 전과 후를 장기적인 측면에서 비교하면서 회계이익의 질이 향상되었는지, 자본시장이 긍정적으로 반응하는지를 살펴보고, IFRS 도입 이후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회계이익의 질이 지속적으로 향상되는지와 자본시장의 반응이 지속적으로 긍정적인지를 살펴봄으로써 IFRS 도입 배경 중 회계투명성을 제고하여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임을 고려할 때 국제회계기준이 잘 정착되어 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표본은 IFRS 도입 후 5개년(2011년~2015년)과 IFRS 도입 전 5개년(2006~2010년)으로 총10년이다.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들 중 2011년부터 IFRS를 도입한 기업 중 ① 12월 결산이 아닌 기업, ② 금융업 및 보험업에 속하는 기업, ③ KIS-Value를 통해서 필요한 재무자료의 입수가 불가능한 기업, ④ 자기자본이 음수이고, 감사의견이 적정이 아닌 기업, ⑤ R-student 잔차값이 ±3의 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기업, ⑥ 상장관리대상 기업에 해당하는 기업은 제외하고 분석하였다. 최종표본으로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유가증권 상장기업과 코스닥 상장기업 중 총 14,057개 기업-연도가 선정되었으며, 각 연도별 표본수는 2006년 1,326개, 2007년 1,353개, 2008년 1,419개, 2009년 1,406개, 2010년 1,353개, 2011년 1,462개, 2012년 1,471개, 2013년 1,392개, 2014년 1,427개, 2015년 1,448개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회계이익의 질의 대용치는 Dechow et al.(1995)의 수정 Jones모형을 이용한 재량적 발생액의 절대값과 Kothari et al.(2005)의 성과대응 재량적 발생액 모형을 이용한 성과대응 재량적 발생액의 절대값을 이용하였고, 자본시장의 반응은 이익반응계수(ERC)와 Ohlson모형(1995)의 가치관련성(P)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1 IFRS 도입 후가 IFRS 도입 전보다 회계이익의 질이 높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재량적 발생액의 절대값(ABSDA)과 성과대응 재량적 발생액의 절대값(ABSPDA)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FRS 도입 후 도입 전보다 재량적 발생액의 절대값(ABSDA)이 감소하였다면 IFRS 도입 여부 더미변수(D_IFRS)는 음(-)의 값을 나타낼 것이다는 예측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로 <가설 1-1>과 <가설 1-2>가 지지되었다. 둘째, 가설2 IFRS 도입 후 기간경과에 따라 회계이익의 질이 높아질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도입 1년차, 2년차에 걸쳐 재량적 발생액의 절대값(ABSDA)과 성과대응 재량적 발생액의 절대값(ABSPDA)이 감소하여 회계이익의 질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3년차에 양(+)의 값으로 증가하였으며, 4년차, 5년차에 걸쳐 소폭 하락하여 다시 음(-)의 부호를 가지게 되었다. 1년차, 2년차에 비해 높은 수치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가설3 자본시장이 IFRS 도입 전보다 도입 후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지를 이익반응계수와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으로 검증한 결과, IFRS 도입 후비기대이익과 IFRS 더미변수의 곱(UE×D_IFRS)은 누적초과수익률(CAR)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아 <가설 3-1>은 기각되었다. 주당순이익과 IFRS 더미변수의 곱(EPS×D_IFRS)은 가치관련성(P)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가 나타나 <가설 3-2>은 지지되었다. 즉, IFRS 도입 전보다 도입 후 회계이익 가치관련성(P)이 높게 나타나 IFRS 도입 전보다 IFRS 도입 후 자본시장이 더 긍정적으로 평가함을 의미한다. 넷째, 가설4 자본시장은 IFRS 도입 이후 기간경과에 따라 보다 긍정적으로 반응하는지 검증한 결과, 누적초과수익률(CAR)에 IFRS 도입 후 1년차, 2년차에는 비기대이익과 IFRS 도입 이후 경과기간 더미변수의 곱(UE×P_IFRS)이 양(+)의 부호를 가질 뿐 아니라 증가하는 양상을 가지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고 3년차는 음(-)의 부호를 가지고 있으므로 <가설 4-1>은 기각된다. 주당순이익과 IFRS 도입 이후 기간경과 더미변수의 곱(EPS×P_IFRS)의 회귀계수가 음(-)의 부호를 가지고 있으므로 <가설 4-2>는 기각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가진다. 첫째, IFRS 도입 전 후 회계이익의 질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장기적(도입 전 5년, 도입 후 5년)으로 비교하여 IFRS 도입 후 회계이익의 질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IFRS 도입 전 후 이익반응계수와 가치관련성을 이용하여 자본시장의 반응을 장기적(도입 전 5년, 도입 후 5년)으로 비교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IFRS 도입 후 기간경과에 따라 회계이익의 질과 자본시장의 반응을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IFRS 도입 후 수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IFRS 도입으로 인해 도입 전과 비교하여 회계정보의 질에 변화가 있었는지, 자본시장의 반응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회계정보의 질과 자본시장의 반응에 변화가 있었다면 기간이 경과할수록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회계정보의 질을 재량적 발생액과 성과대응 재량적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 자본시장의 반응을 이익반응계수와 가치관련성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이익조정의 대용치로 재량적 발생액의 절대값과 성과대응 재량적 발생액의 절대값을 사용하였다.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한 모형에는 많은 추정이 개입되는 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른 대용치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 IFRS 도입 후 기간경과에 따른 회계이익의 질과 자본시장의 반응이 연도별로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옥민석․윤태화(2016)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와 같이 IFRS 도입 전 후 회계이익의 질, 자본시장의 반응을 장기적(도입 전 5년, 도입 후 5년)으로 비교하였으나, 본 연구와 다른 결과가 제시되었다. 옥민석․윤태화(2016)의 연구에서는 표본을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연속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연속상장 기업으로 한정하지 않았으며,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속한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는 표본을 어떻게 선정하느냐에 따라 연구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표본선정을 더 신중하게 하고, 연구방법을 다르게 하여 IFRS 도입에 따른 회계이익의 질 및 자본시장반응 변화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넷째, IFRS를 의무적으로 도입해야 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IFRS 도입 후 기간경과에 대한 회계이익의 질 및 자본시장반응 변화를 기간경과에 따라 살펴보았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IFRS 도입하지 않은 기업(일반기업회계기준 도입 기업)과 비교연구를 통하여 IFRS 도입 후 기간경과에 따른 회계이익의 질 및 자본시장반응 변화가 IFRS 도입 때문인지, 아니면 다른 요인이 존재하는지에 대해 추가 연구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국제회계기준, 회계이익의 질, 재량적 발생액의 절대값, 자본시장 반응, 이익반응계수, 회계이익 가치 관련성

      • '수주산업 회계투명성 제고방안'의 의도를 시장은 인지하고 있는가?

        옥오정 영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10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수주산업 회계투명성 제고방안’ 시행 전 수주산 업과 비수주산업의 회계이익에 대해 차별적 시장반응이 나타났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수주산업의 회계처리와 관련한 부정적 이슈들의 지속적인 발생과 수 주산업 회계처리의 불투명성을 보고한 선행연구, 그리고 수주산업 고유의 회 계처리가 가지는 특수성을 고려할 때, 시장은 수주산업과 비수주산업의 회계 이익에 대해 차별적으로 반응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수주산업 회계투명성 제고방안’ 시행 전 표본을 대상으로 수주산업과 비수 주산업의 회계이익에 대한 이익반응계수를 분석한 결과 ‘수주산업 회계투명성 제고방안’ 시행 이전 수주산업의 회계이익에 대한 이익반응계수는 비수주산업 의 회계이익에 대한 이익반응계수보다 작게 나타났다. 이는 시장이 비수주산 업의 회계이익보다 수주산업의 회계이익에 더욱 부정적으로 반응하고 있음을 확인한 결과로써 본 연구의 가설 1을 지지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2015년 10월 28일 도입된 ‘수주산업 회계투명성 제고방안’ 시행 이후, 수주산업과 비수주산업의 회계이익에 대한 차별적 시장 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봄으로써, 시장이 본 제도의 도입 목적을 인지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데 있다. ‘수주산업 회계투명성 제고방안’의 주요 내용 인 공사 진행률·미청구공사잔액·공사손실충당부채 및 총예정원가의 분기별 재 평가사항 등의 공시 의무화, 핵심감사제 도입, 상시 감독체계 가동 등과 관련한 개선 사항이 충실히 수행된다면, 수주산업의 회계처리에 긍정적 효과를 미 칠 것으로 기대하였다. 나아가 시장이 수주산업 회계처리 투명성 및 신뢰성 제고, 추정 오류 최소화, 대규모 손상 방지 등 ‘수주산업 회계투명성 제고방안’ 의 시행 의도를 인지한다면 제도 시행이 수주산업 회계처리의 투명성과 신뢰 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하여 본 제도가 수주산업의 이익반응계수에 유의한 양 (+)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분석 결과 제도 시행 이전 수주산업 회계이익에 대한 이익반응계수보다 제 도 시행 이후 수주산업 회계이익에 대한 이익반응계수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 을 확인하였다. 이는 ‘수주산업 회계투명성 제고방안’시행이 수주산업의 이익 반응계수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가설 2를 지지하는 결 과로써, 수주산업 회계정보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고자 도입된 해당 제도 의 도입 의도를 시장이 인지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 회계적 환위험 및 환위험관리의 정보효과

        김영욱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9707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 of accounting foreign exchange risk exposure (FXR) on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 (ERC) and the effect of accounting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effectiveness (FXRM) on ERC.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impact of FXRM using currency derivatives on ERC. This study is designed to review the appropriateness of the efforts that the firms have made for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and verify the necessity of active and systematic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in particular, using currency derivatives. In this study, two key variables are FXR and FXRM. FXR is the value of {(foreign assets + foreign liabilities)/total asset}. FXRM is the negative absolute value of {(gain on foreign currency transaction - loss on foreign currency transaction + gain on foreign currency translation - loss on foreign currency translation + gain on currency derivatives evaluation - loss on currency derivatives evaluation - loss on currency derivatives evaluation + gain on currency derivatives transaction - loss on currency derivatives transaction + gain on firm commitment evaluation - loss on firm commitment evaluation)/total sales}. This study uses as sample the non-financial firms listed in Korea Stock Exchange (KSE) for the years 2011-2013 whose fiscal years end in December. The financial data for measuring FXR and FXRM are manually extracted from the notes to IFRS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of the sample firms. They include the items such as monetary foreign assets and liabilities, gains and losses on foreign currency transaction and translation, and gains and losses on currency derivatives transaction and evaluation (including gains and losses on firm commitments). This study performs the empirical analyses using research model based on the models in Easton and Harris(1991)과 Ali and Zarowin(199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arger a firm’s FXR is, the smaller ERC of the firm is. Second, the higher a firm’s FXRM is, the larger ERC of the firm is. Third, the effect of FXRM on ERC is smaller for high FXR group than for low FXR group. Fourth, the incremental and positive effect of FXRM using currency derivatives on ERC is not observed for the pooled sample. However, controlling for FXRM, the incremental and positive effect of FXRM using currency derivatives on ERC is observed for high FXRM group whereas the incremental and positive effect of FXRM using currency derivatives on ERC is not observed for low FXRM group. Finally, the incremental and positive effect of FXRM using currency derivatives on ERC is larger for high FXR group than for low FXR group. In summary, the aforesaid results suggest that investors may evaluate negatively the earnings of high FXR firms and evaluate positively the earnings of high FXRM firms, which may be less likely for high FXR firms than for low FXR firms. Furthermore, the findings suggest that, for FXRM using currency derivatives, investors may evaluate incrementally and positively the earnings of high FXRM firms whereas investors may evaluate incrementally and negatively the earnings of low FXR firm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ccounting literature on foreign exchange risk and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and have institution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various interested parties. Specifically, firs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ses the effect of FXR on ERC and the effect of FXRM on ERC by focusing on FXR and FXRM. Second, the study empirically analyses the incremental and positive effect of FXRM using currency derivatives on ERC. Third, the study empirically analyses that the effect of FXRM itself on ERCs may be affected by FXR. Finally, this study may have institution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various interested parties by communicating the importance of FXR an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FXRM. 본 연구에서는 회계적 환위험 노출 정도와 회계적 환위험관리 효과 정도를 중심으로 이들 두 요소가 환위험 기업의 이익반응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고, 추가로 통화파생상품을 이용한 환위험관리가 이익반응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의 기존 환위험관리 노력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환위험관리 특히, 통화파생상품을 이용한 환위험관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제회계기준(IFRS)를 최초로 도입하여 연결재무정보와 별도재무정보를 동시에 제공하기 시작한 2011년부터 2013년까지의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 중 금융업을 제외한 12월 결산연결법인을 대상으로 하며, 기업 재무정보 중 회계적 환위험 노출과 회계적 환위험관리 효과 측정에 사용되는 외화자산과 외화부채, 외환손익항목 및 통화파생상품손익(확정계약손익 포함)항목은 표본기업의 외부연결감사보고서 주석에서 수작업으로 추출하였다. 본 연구는 Easton and Harris(1991)과 Ali and Zarowin(1992) 모형에 기초한 검증모형을 사용하여 실증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계적 환위험 노출 정도가 클수록 이익반응계수는 유의적으로 더 작게 나타났다. 둘째, 회계적 환위험관리 효과가 높을수록 이익반응계수는 유의적으로 더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셋째, 회계적 환위험관리 효과가 이익반응계수에 미치는 영향은 회계적 환위험 노출 정도가 클수록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통화파생상품을 사용하는 환위험 관리의 이익반응계수에 대한 증분적·긍정적인 영향은 전체 기업집단에 대한 분석에서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환위험관리 효과 정도를 통제한 후에는 환위험관리 효과가 높은 집단에서 그 영향이 관찰되었으며, 반면에 환위험관리 효과가 낮은 집단에서는 전체 기업집단에서와 마찬가지로 관찰되지 않았다. 끝으로, 통화파생상품 사용이 이익반응계수에 미치는 증분적·긍정적 영향은 환위험 노출 정도가 큰 집단에 대하여 더 크게 나타났다. 다만 환위험 노출 정도가 작은 집단에서는 오히려 통화파생상품 사용의 증분적·부정적 효과가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회계적 환위험 노출 정도가 클수록 기업의 이익은 투자자들로부터 더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회계적 환위험관리 효과가 높을수록 기업의 이익은 시장에서 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기업의 환위험 노출 정도가 클수록 작게 나타난다. 또한 통화파생상품을 사용하여 환위험관리를 수행하는 경우, 환위험관리 효과 정도가 높은 기업의 이익은 투자자들로부터 더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이러한 효과는 환위험 노출 정도가 클수록 더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면 환위험 노출 정도가 작은 기업의 이익은 오히려 투자자들로부터 더 부정적으로 평가 받게 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환위험과 환위험관리에 관한 연구 및 제도적·정책적 측면에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회계적 환위험과 회계적 환위험관리에 중점을 두고, 회계적 환위험 노출 정도 및 회계적 환위험관리 효과가 이익의 가치관련성(이익반응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둘째, 통화파생상품을 사용하는 외부적 환위험 관리방법이 투자자들에 의해 증분적·긍정적으로 평가되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셋째, 회계적 환위험관리와 외부적 환위험 관리방법의 이익의 가치관련성에 대한 긍정적 효과가 회계적 환위험 노출 정도와 관련성이 있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회계적 환위험 및 환위험관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전달하고 이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