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극미약광 조사가 이유자돈 면역과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이창번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극미약광 조사가 이유자돈 사양성적, 면역 및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가지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 1. 극미약광 조사가 이유자돈의 사양성적, 혈액 성상, 면역 성상, 헤어 코티졸 및 대사물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이유자돈(Landrace×Yorkshire×Duroc, 21±1일령, 7.06±0.11kg) 30두를 공시하여 2처리 12반복(반복당 1)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였으며, 총 48일간(phase 1, d 0-14; phase 2, d 15-28; phase 3, d 29-48)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와 극미약광을 조사한 처리구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시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로 NRC (2012)에 제시된 모든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하거나 초과하도록 배합하였으며 가루사료로 급여하였다. 시험사료와 물은 자유채식 시켰으며, 기타 첨가제나 약품은 일체 사용하지 않았다. 실험 결과 극미약광 조사 처리구에서 사료효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p<0.05). Phase 2 종료 시 이유자돈 혈청 내 IgA와 IgG 수준이 극미약광 조사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극미약광 조사 처리구에서 IL-6 수준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실험 종료 시 극미약광 조사 처리구에서 혈청 내 TNF-α, IL-1β 및 IL-6 수준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대사체 경로 분석 결과 극미약광 조사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D-glutamine, D-glutamate, alanine, aspartate, glutamate 및 phenylalanine 수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본 실험의 결과를 미루어 보았을 때, 이유자돈 사양 시 극미약광 조사는 사료효율, 면역 성상, 아미노산 대사 경로 활성화를 통해 사료효율을 개선하여 이유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 극미약광 조사가 이유자돈의 사양성적, 항산화능 및 스트레스 지수에 미치는 영향 이유자돈(Landrace×Yorkshire×Duroc, 21±1일령, 7.04±0.11kg) 120두를 공시하여 2처리 6반복(반복당 10)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였으며, 총 42일간(phase 1, d 0-14; phase 2, d 15-28; phase 3, d 29-42)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와 극미약광을 조사한 처리구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시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로 NRC (2012)에 제시된 모든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하거나 초과하도록 배합하였으며 펠렛형태로 급여하였다. 시험사료와 물은 자유채식 시켰으며, 기타 첨가제나 약품은 일체 사용하지 않았다. 실험 결과 Phase 3에서 극미약광 조사 처리구에서 이유자돈의 일당증체량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으며(p<0.05), 전체적으로 극미약광 조사 처리구에서 사료 효율이 개선되었다(p<0.05). Phase 3 종료 시 이유자돈 혈액 내 MDA, GR 및 TAC 수준이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극미약광 조사 처리구의 혈액 내 Cortisol 수치는 Phase 2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Phase 3 종료 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본 실험의 결과를 미루어 보았을 때, 이유자돈 사양 시 극미약광 조사는 이유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ultra-weak light on the immune status in weanling pigs.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ultra-weak light (UWL) on growth performance, immune system, and metabolism of weanling pigs, and the carry-over effect on the growth performance in post-weanling growing stages. A total of 30 weaned pigs with an average initial BW of 7.06 ± 0.11 kg (age: 21 d) were allotted to two treatments (Control and UWL) with 15 replicates. The pelleted form diets were prepared for pigs in 3 phases including phase 1 (d 0 to14), phase 2 (d 15 to 28), and phase 3 (d 29 to 48). The gain to feed ratio of pig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UWL treatment. At d 28, a higher concentration of IgA (P < 0.01) and IgG (P < 0.01) were observed in the UWL pigs. At d 48, the UWL treatment showed a greater serum IgA (P < 0.01) and IgG (P < 0.05). The concentration of IL-6 was decreased (P < 0.05) in the UWL treatment. At d 48, the concentrations of TNF-α, IL-1β, and IL-6 in serum were decreased (P < 0.05) in pigs in the UWL treatment. Metabolic pathways analysis showed that the UWL treatment increased the D-glutamine, D-glutamate, alanine, aspartate, glutamate, and phenylalanine compared with the control treatment. In conclusion, the use of UWL for weanling pigs is recommended due to improved growth to feed ratio, immune status, and activation of amino acids metabolic pathways including D-glutamine, D-glutamate, alanine, aspartate, glutamate, and phenylalanine. Weaning is typically the most challenging time in a pig's productive life since the piglets are immediately pulled from the sow, mingled with piglets from other litters, and moved to a different confinement. This results into some biochemical alteration in the piglets' growth and development. In order to alleviate these biochemical alterations, we have decided to investigate the consequences of ultra-weak UWL on the growth performance such as body weight (BW), average daily gain (ADG),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growth to feed ratio (G/F), Oxidant status such as the total antioxidant capacity (TAC), superoxide dismutase (SOD), malondialdehyde (MDA), catalase (CAT), glutathione reductase (GR), and stress index such as the cortisol concentration. 120 weaned piglets of the Landrace × Yorkshire × Duroc mixed breed with average body weight of 7.03 ± 0.11 at 4 weeks age were apportioned to two treatments which includes the control group and the UWL group at 10 replicates and 6 piglets per head. Diets were fed to the piglets in pell등form at three phases (phase 1, 0-14 days; phase 2, 15-28 days; and phase 3, 29-42 days) respectively, and water was made available ad libitum.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an increase (p<0.05) in ADG was noticed in phase 3 of the UWL treatment compared with control. There was an increase (p<0.05) in G/F phase 3 in the UWL treatment compared with control. The overall result also showed an increase (p<0.05) in G/F compared with control. For the antioxidant status, a decrease (p< 0.05) in MDA was noticed in the UWL treatment at phase 3 compared with control. GR was increased (p<0.01) in the UWL treatment at phase 3 compared with control. TAC was also increased (p<0.05) in the UWL treatment compared with control. Lastly, the blood cortisol level was decreased (p<0.05) in the UWL treatment compared with control. Based on the results above, we concluded that the use of UWL in weaned piglets is a viable means to improve growth performance such as ADG and G/F, antioxidant status such as MDA, GR, and TAC, as well the weaned pig's blood cortisol concentration.

      • 이유일령이 자돈의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

        이규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비육을 목적으로 하는 자돈에게 있어 이유일령이 자돈의 사료섭취량 및 증체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동물로는 생시체중 1.57±0.43kg인 삼원교잡종 (Landrace × Yorkshire × Duroc) 자돈 120두를 공시하였다. 각 실험구내의 자돈은 동복자돈으로 모돈 1복당 10두씩, 성별을 고려하여 자돈 (수컷 5두, 암컷 5두)을 공시하였다. 실험구는 생후 각각 28, 21, 14, 7일령에 자돈을 이유하는 4개의 실험구를 두고, 생후 28일령까지 대용유를 급여하여 사육하는 방법으로 1, 2, 3차로 나누어 3반복으로 실험구별로 체중을 고려하지 않고 임의배치하여 진행하였다. 실험은 56일간 2구간으로 나누어 생후 0∼28일 (Period 1) 과 28∼56일 (Period 2) 로 진행하였으며, 각 실험구의 포유자돈은 일령에 관계없이 이유 후 자돈사에서 사육하였다. 모든 실험구는 28령까지는 모유 및 대용유를 섭취하도록 하였고, 생후 28∼42일령까지는 crumble형태로 제조한 이유자돈용 사료를, 42∼56일령까지는 mash형태로 제조한 자돈사료를 무제한 급여하였다. 체중은 주간단위로 개체별 측정하였으며, Period 2에서 주간단위로 고형사료섭취량을 추가로 조사하여 사료효율을 계산하였다. Period 1에서 모든 실험구간의 생시체중은 유의차가 없었으나 이유일령이 늦어질수록 생후 28일령일때의 체중과 일당증체량은 linear하게 증가하였다 (P<0.05). Period 2에서 7, 14, 21 및 28일령에 이유한 실험구 모두 생후 28일령부터 고형사료를 무제한 급여한 결과 28일∼42일의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사료효율은 14일령에 이유한 실험구가 가장 높았으나 유의차가 없었다. 42일∼56일령의 일당 증체량과 사료효율은 21령에 이유한 실험구가 가장 높았으나 유의차가 없었으며, 일당사료섭취량은 14일령에 이유한 실험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유의차가 없었다. 생후 56일까지의 폐사율은 7일령의 이유구와 비교하여 14, 21 및 28일령의 이유구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P<0.05), 체중 및 일당증체량이 7, 14, 21 및 28일령에 이유한 실험구에서 체중의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7일령의 이유구를 제외한 14, 21 및 28일령의 이유구가 생후 56일의 자돈의 체중과 일당증체량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weaning age on pig performance by milk replacer. We used F2 (Landrace × Yorkshire × Duroc). A total of 120 piglets (initial birth BW 1.57±0.43kg) from 12 litters were allotted by litter to 4 weaning management. The study was conducted for 56d by period 1 (0∼28d, weaning period) and period 2 (28∼42d, nursery period; 42∼56d grower period). Pigs were alloted to one of four treatment groups : a control (feeding sow milk untill 28d), three groups with different weaning ages (7, 14, and 21d). This was repeated for 3 times as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In period 1, all treatments were feed sow milk and milk placer, evaluated individual body weight once a week. In period 2, pigs were feed nursery diet in a form of crumble during 28∼42d and grower diet in a form of crumble during 42∼56d, evaluated average daily body weight gain, Average daily feed intake, Feed efficiency once a week. As a result in period 1, body weight at 28d and average daily body weight gain during 28d were increased as weaning age increased (P<0.05). In period 2, average daily body weight gain, average daily feed intake and feed efficiency were greater in weaning age at 14d than 7, 21 and 28d during nursery period (28∼42d). But that of weaning age at 14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ther groups weaned at different ages. During grower period (42∼56d), average daily body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were greater as weaning age at 21d, average daily feed intake was greater as weaning age at 14d. But each treatm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ther groups weaned at different ages. 14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group weaned at 21 and 28d.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feeding milk replacer at each weaning ages increased average daily body weight gain during 28d as weaning age increased. The mortality of pi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weaning age at 14, 21 and 28 d, but this weaning age was decreased compared with in weaning age at 7d. Average daily body weight gain and body weight at 56 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group weaned at 14, 21 and 28 d. Therefore, each different weaning age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average daily body weight gain and body weight at 56d.

      • 酸加水分解 돼지胎盤의 添加給與가 離乳仔豚의 成長에 미치는 影響

        노하영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에서는 산가수분해된 돼지태반을 단백질대체제로 제조하여 이유자돈 사료의 단백질원 대체제로서의 가능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3원교잡종[(Landrace X Yorkshire) X Duroc] 이유자돈 252두를 공시하여 대조구(control), 처리구 T1(돼지태반 1% 첨가급여구) 및 처리구 T2(돼지태반 2% 첨가급여구)로 3개 처리를 하였다. 일당증체량은 실험 2∼4주 구간이 대조구가 435g이었고, 처리구 T1은 412g, 처리구 T2는 468g으로 증체되어 돼지태반 2% 첨가급여구가 대조구보다 오히려 더 높았다. 사료 요구량은 대조구가 1.64kg, T1이 1.603kg, T2가 1.459kg으로 이유자돈 체중 1kg을 늘리는데 T2의 사료 요구율이 가장 낮았다. 사료효율은 0∼2주간을 조사하였을 때 대조구가 1.16이었고 처리구 T1이 0.75, 처리구 T2가 0.93이었다. 2∼4주간 사료효율은 각각 0.445, 0.57 및 0.595이었고, 총 구간의 사료효율은 각각 0.609, 0.623, 및 0.68로 T2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어 산가수분해 돼지태반의 첨가급여가 식물성 단백질 대체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바이러스 감염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와 처리구들간의 차이점이 없었다. 자돈의 혈액성분을 분석한 결과 Total protein과 albumin이 돼지태반으로 단백질을 대체한 처리구에서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 분변내의 휘발성 지방산 성분을 분석한 결과 대조구보다 T1과 T2 처리구가 보다 감소하였다. 분변내의 β-glucuronid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에서 24.5 Unit이었고 T1에서는 22.1 Unit이었으며, T2에서는 18.4 Unit로 낮았다. 분변의 샘플로부터 LB와 MRS배지에서의 총세균수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처리군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대장균인 E. coli의 수는 4주차에서는 처리군에서 현격한 감소를 나타났으나, 이것이 산가수분해 돼지태반 첨가효과인지는 앞으로 보다 상세한 실험이 요구된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는 산가수분해된 돼지태반을 이유자돈 사료의 단백질원으로 긍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In this study, dietary acid hydrolyzed pig placenta additives were prepared and tested for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feed protein sources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weaning piglets. Two hundred fifty-two crossbred[(Landrace X Yorkshire) X Duroc] weaning piglets were used for the Control, T1[Acid hydrolyzed pig placenta additives, 1%(w/w)], and T2[Acid hydrolyzed pig placenta additives, 2%(w/w)] groups. Average daily weight gains were Control: 435g, T1: 412g, and T2: 468g during 2∼4 weeks, indicating that T2[Acid hydrolyzed pig placenta additives, 2%(w/w)]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Feed conversion ratio was Control: 1.64, T1: 1.603, and T2: 1.459 during the experiment, showing that T2 group was most low. Feed efficiency was Control: 1.16, T1: 0.75, and T2: 0.93 during 0∼2 weeks and 0.445, 0.57, and 0.595 during 2∼4 weeks, respectively. Feed efficiency for 4 weeks was 0.609, 0.623, and 0.68,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dietary acid hydrolyzed pig placenta additives will be used as alternative plant protein source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virus infection among three groups. From the analysis of serum ingredients, total protein and albumin of T1 and T2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volatile fatty acids in feces of T1 and T2 was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β-glucuronidase activities in the feces were Control: 24.5, T1: 22.1, and T2: 18.4 units. Bacterial counting was measured from the piglet feces. CFU in T1 and T2 groups were slightly higher than Control on LB and MRS media. CFU for E. coli was surprisingly decreased in T2 compared to Control at the fourth week. It should be further characterized that acid hydrolyzed pig placenta additivesthe will decrease a pathogenic bacteria.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acid hydrolyzed pig placenta additives can be used as a protein sources for the piglets feed.

      • 사료 내 감태분말과 생균제의 첨가 및 혼합첨가가 이유자돈의 성장, 면역능력 및 맹장 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

        최요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1

        해조류 내에는 칼슘을 비롯한 무기질과 생리활성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식품, 의약품, 비료, 사료,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본 시험에 이용한 감태 또한 다른 해조류와 마찬가지로 항산화, 면역조절, 세포손상 억제, 항염증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해조류 연구의 대부분이 인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써 가축의 사료첨가제 이용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태분말의 이유자돈 사료첨가제로서 가치를 규명해 보고자 이유자돈 사료 내 첨가하여 이유자돈의 성장, 영양소 소화율, 소장 내 융모의 형태학적 변화, 혈중 IgG, IgA 및 IgM 농도, 맹장 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감태의 적정 첨가수준 도출과 생균제의 단독 및 복합 첨가와의 비교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 1. 사료 내 감태분말의 첨가수준이 이유자돈의 성장, 영양소 소화율, 맹장 내 미생물 균총, 소장 내 융모의 형태학적 변화, 혈중 IgG, IgA 및 IgM에 미치는 영향 감태분말의 첨가수준이 이유자돈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유자돈 (Landrace × Yorkshire × Duroc, 28±1일령, 7.08±0.15kg) 240두를 공시하여 4처리 5반복 (반복당 12두)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였으며, 시험기간은 PhaseⅠ (d 0~14)과 PhaseⅡ (d 15~28)로 나누어 총 4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 (0%), 감태분말첨가 0.05, 0.10 및 0.15%로 총 4처리구로 나누어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로 NRC (2012)에 제시된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하거나 초과하도록 배합하였으며 가루형태로 급여하였다. 시험사료와 물은 자유채식 시켰으며, 기타 첨가제나 약품은 일체 사용하지 않았다. 사양관리는 본 연구실의 관행에 준하였다. 시험 결과 감태분말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간 일당 증체량과 사료요구율 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p < 0.05). 영양소 소화율 또한 PhaseⅠ과 PhaseⅡ 기간 모두 건물, 에너지 및 단백질의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p < 0.05). 맹장 내 미생물 균총 변화에서는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Lactobacillus spp.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p < 0.05), Clostridium spp. 와 E. coli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5). 소장 내 융모의 형태학적 변화조사 결과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십이지장과 회장의 융모길이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 < 0.05), 십이지장과 회장의 융모길이와 융와깊이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 < 0.05). 혈중 IgG, IgA 및 IgM 변화 결과에서는 감태분말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IgG, IgA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 < 0.05). 시험 2. 사료 내 감태분말의 단독첨가와 생균제의 혼합첨가가 이유자돈의 성장, 영양소 소화율, 맹장 내 미생물 균총, 소장 내 융모의 형태학적 변화, 혈중 IgG, IgA 및 IgM에 미치는 영향 감태분말의 단독첨가와 생균제의 복합첨가시 이유자돈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유자돈 (Landrace × Yorkshire × Duroc, 28±1일령, 7.04±0.23kg) 240두를 공시하여 4처리 5반복 (반복당 12두)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였으며, 시험기간은 PhaseⅠ (d 0~14)과 PhaseⅡ (d 15~28)로 나누어 총 4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 (T1, Control), 감태분말 첨가구 (T2, Ecklonia cava powder 0.15%), 생균제 첨가구 (T3, Probiotics 0.30%), 복합 첨가구 (T4, Ecklonia cava powder 0.15%+Probiotics 0.30%)로 총 4처리구로 나누어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로 NRC (2012)에 제시된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하거나 초과하도록 배합하였으며 가루형태로 급여하였다. 시험사료와 물은 자유채식 시켰으며, 기타 첨가제나 약품은 일체 사용하지 않았다. 사양관리는 본 연구실의 관행에 준하였다. 사양시험결과 PhaseⅠ에서 복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일당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p < 0.05). PhaseⅡ에서는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증체량이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p < 0.05), 복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사료요구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p < 0.05). Overall에서 일당증체량이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으며 (p < 0.05), 생균제 첨가구와 복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p < 0.05). 영양소 소화율분석 결과 PhaseⅠ에서 생균제 첨가구와 복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건물과 에너지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으며 (p < 0.05), 복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단백질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p < 0.05). PhaseⅡ에서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건물과 단백질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으며 (p < 0.05), 생균제 첨가구와 복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단백질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p < 0.05). 맹장 내 미생물 변화 분석결과 복합 첨가구와 생균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Lactobacillus spp.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 < 0.05), 복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E. coli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5). 소장 내 융모의 형태 변화조사 결과 생균제와 복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십이지장과 회장의 융모길이가 유의적으로 길어졌으며 (p < 0.05),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공장의 융모길이가 유의적으로 길어졌다 (p < 0.05). 융와깊이 변화결과 복합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십이지장과 회장이 유의적으로 깊었으며 (p < 0.05),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회장의 융와깊이가 깊어졌다 (p < 0.05). 혈중 IgG, IgA 및 IgM 변화 결과 PhaseⅡ에서 감태분말 첨가구와 복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IgG와 IgA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 < 0.05), 감태분말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IgM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 < 0.05).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Ecklonia cava powder, probiotics or their combination on growth performanc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nutrients, serum immunoglobulins, cecal microbiota and intestinal morphology of weanling pigs. In Exp. 1 a total of 240 weaned pigs (Landrace × Yorkshire × Duroc) were randomly allotted to 4 treatments on the basis of BW (4 pens per treatment with 15 pigs in each pen). The dietary treatments included a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0 (control), 0.05 0.10 and 1.5 % Ecklonia cava powder.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in a meal form for 2 phases (d 0~14, phase I and d 15~28, phase II). Pigs fed increasing dietary concentrations of Ecklonia cava powder had linear improvement (p < 0.05) in overall average daily gain (ADG), feed conversion ratio (FCR) and ATTD (d 14 and d 28) of DM, GE and CP. At d 14 and 28, dietary increasing levels of Ecklonia cava powder linearly increased (p < 0.05) serum IgG and IgA concentrations. At d 28, pigs fed increasing dietary concentrations of Ecklonia cava powder had greater (linear, p < 0.05) Lactobacillus spp. and fewer (linear, p < 0.05) cecal Clostridium spp. and E. coli. On d 28, there was a significant linear effect (p < 0.05) of Ecklonia cava powder on the villus height and villus height: crypt depth (VH:CD) of the duodenum and ileum of pigs have been observed. The results suggest that Ecklonia cava powder had beneficial effects on weanling pigs growth performance, ATTD of nutrients, cecal microbiota, serum immunoglobulins and intestinal morphology. In Exp. 2 a total of 240 weaned pigs (Landrace × Yorkshire × Duroc) were randomly allotted to 4 treatments on the basis of BW. There were 5 replicate pens per treatment with 12 pigs in per pen. Dietary treatments included basal diet without any antimicrobial (CON) and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0.15 % Ecklonia cava powder (T1), 0.30 % multimicrobe probiotics (T2) and combination of 0.15% Ecklonia cava powder and 0.30% probiotic (T3). Pigs fed T1, T2 and T3 diets had greater (p < 0.05) overall ADG and ATTD (d 15~28) of DM and CP than that of pigs fed the CON diet. Moreover, pigs fed T2 and T3 diets had greater (p < 0.05) FCR and ATTD of GE than that of pigs fed the CON diet. At d 28, pigs fed T3 diets had greater (p < 0.05) Lactobacillus spp. and fewer E. coli population in cecal digesta than that of pigs fed the CON diet. Cecal digesta population of Lactobacillus spp. and E. coli was not different (p > 0.05) among pigs fed CON, T1 and T2 diets. At d 28, pigs fed T1 and T3 diets had greater (p < 0.05) concentration of serum immunoglobulins (IgG, IgA and IgM) than that of pigs fed the CON diet. At d 28, villus height and crypt depth of the duodenum and ileum were greater (p < 0.05) in pigs fed T2 and T3 diets than that of pigs fed the CON diet. Also, villus height and crypt depth of the jejunum were greater (p < 0.05) in pigs fed T1, T2 and T3 diets than that of pigs fed the CON diet.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the Ecklonia cava powder had potential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weanling pigs but combination of Ecklonia cava powder and probiotics more effective.

      • 양파 醱酵液의 添加 給與가 離乳仔豚의 生産性, 血液性狀 및 糞便 微生物에 미치는 影響

        김지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0

        양파를 Lactobacillus plantarum SK1305로 발효시켜 사료에 첨가 급여함으로서 사료첨가제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21일령 이유자돈, 300두(Pen 당 25두, 4처리구, 3반복)를 공시하였다. 4그룹은: 사료효율 증강제 무 처리군(NC), 항생제, 유기산제 및 효모의 복합제제 1% 첨가 처리군(PC), 발효양파 0.1% 첨가 급여군(T1), 발효양파 0.5% 첨가 급여군(T2)으로 나누어 4주 동안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 폐사율 조사, 분변 내 미생물 균총, 혈액 내 일반 성분분석, PRRS 및 Mycoplasma 검사를 실시하면서 항생제대체제로서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양파발효액은 onion juice 600 g/L, sugar 15 g/L 및 yeast extract 5 g/L로 제조한 배지에 무기물 성분으로 K2HPO4, MgCl2 및 CH3COONa를 각각 0.1 g/L, 0.01 g/L, 1 g/L를 각각 첨가한 후 Lactobacillus plantarum SK1305를 최종 1%로 접종시켜 37℃에서 18시간 발효시킨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사료 내 각각 0.1% 및 0.5% 첨가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폐사는 일어나지 않았으며, 일당사료섭취량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일당증체량에서는 T1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C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습니다. 전기간 동안의 사료효율은 PC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T1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시험기간 중 2주 및 4주차에 이유자돈의 분변을 수거하여 미생물 균총 검사를 실시 하였다. 그 결과 Sphingomonas paucimobilis, Bacillus subtilis 및 E. coli가 검출 되었다. 2주차에서 Sphingomonas paucimobilis는 T1이 다른 처리 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4주차에서는 T2가 NC 및 T1유의적으로 높거나(p<0.05) PC와 같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Bacillus subtilis는 2주차에서 PC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p<0.05), 4주차에서는 T1 및 T2는 NC 및 PC에 비하여 높거나(p<0.05) 높은 경향을 나타내어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E. coli의 경우 2주차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4주차 T1 및 T2가 PC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혈액분석 결과 T1이 albumin 및 total protein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이유자돈의 성장에 영향을 주는 수치는 아니라고 판단된다. Globulin의 경우 T1이 NC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albumin : globulin의 비율은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아 이유자돈의 간 기능 이상 및 염증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HDL-cholesterol과 triglyceride는 T1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total cholesterol의 경우 유의적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PRRS는 모든 처리구에서 음성으로 나타났다. Mycoplasma 유의적 차이가 발행하지 않고, 야외 감염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Circovirus type 2(PCV-2)는 NC가 60% 양성과 40% 음성으로 나타났고, PC는 22% 음성, 33% 의양성 및 45% 양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T1는 45% 음성, 10% 의양성 및 45% 양성으로 나타났으며, T2는 45% 음성 및 55% 양성이 나타나 발효 양파를 이유자돈에 첨가 급여하면 PCV2의 감염율이 줄어드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유자돈 사료 내 양파발효액의 첨가 급여가 이유자돈의 생산성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고, 장기에 생리적 손상이 나타나지 않고 긍정적 효과를 보여 항생제 대체제인 사료첨가제로서의 사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미생물에서 대량 발현된 항균 펩타이드의 급여가 이유자돈의 성장, 영양소 소화율, 면역, 분 중 미생물 및 소장의 형태학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윤중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99

        항균펩타이드는 지구상의 거의 모든 생명체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생명체의 선천성 면역체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새로운 개념의 항생물질인 항균펩타이드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성 항생제와 다른 기작을 통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므로 항생제의 내성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돈 사료에 새로이 개발된 항균펩타이드와 항생제와의 비교를 통한 사양성적, 영양소 소화율, 분 중 소화율 및 소장의 형태학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시험 1. 미생물 배지에서 배양된 항균펩타이드(TypeⅠ) 함유 생균제의 수준 및 항생제와의 비교를 통한 이유자돈의 성장, 영양소 소화율, 면역, 분 및 장내 미생물 및 소장의 형태학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항균펩타이드(TypeⅠ)의 급여수준이 이유자돈의 성장, 영양소 소화율, 분과 장내 미생물, 면역반응, 소장의 형태학적 발달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이유자돈(Landrace×Yorkshire×Duroc, 24±1일령, 6.22±0.02kg) 300두를 공시하여 성별과 체중에 따라 5처리 4반복(반복 당 15두)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기간은 phase Ⅰ(d 0~14)과 phase Ⅱ(d 14~28)로 나누어 총 28일간 실시하였으며, phase Ⅰ과 Ⅱ의 시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을 위주로 배합하였으며, 처리내용은 T1(NC, negative control), T2(PCⅠ, positive control : Antibiotics-Apramycin, 0.15%), T3(PC Ⅱ, positive control: Probiotics-Lactobacillus, 0.2%), T4(Antimicrobial peptide TypeⅠ 40ppm+Lactobacillus) 그리고 T5(Antimicrobial peptide TypeⅠ 60ppm+Lactobacillus)로 하였다. 항생제 급여구는 항균펩타이드(TypeⅠ) 급여구에 비하여 phase Ⅰ 및 Ⅱ에서 증체량 및 사료섭취량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영양소 소화율에서는 항생제 급여구가 펩타이드 급여구에 비하여 건물 및 조단백질 소화율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펩타이드 TypeⅠ 급여구 간의 비교 시에는 60ppm 급여구가 40ppm 급여구에 비하여 건물 소화율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회장의 외관상 아미노산 소화율에서는 각 처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장 및 분 중 미생물 수치는 14일째의 총 균수와 Clostridium spp.은 급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p>0.05), coliforms 수치에서는 TypeⅠ 60ppm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TypeⅠ 급여구와 항생제 급여구간의 비교에서는 coliforms 수치가 항생제 급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28일째의 coliforms 수치는 항생제 급여구가 다른 급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TypeⅠ 60ppm과 비교시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맹장의 총 균수와 coliforms의 수치는 항생제 급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혈중 IgG, IgA, IgM 농도 및 소장 각 부분(십이지장, 공장 및 회장)의 융모길이(villus height, VH), 융와높이(crypt depth, CD), 융모길이와 융와높이의 비례(VH/CD)를 조사한 결과 각 급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시험 2. 미생물 배지에서 배양된 항균펩타이드(TypeⅡ) 함유 생균제의 수준 및 항생제와의 비교를 통한 이유자돈의 성장, 영양소 소화율, 면역, 분 및 장내 미생물 및 소장의 형태학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항균펩타이드(TypeⅡ)의 급여수준이 이유자돈의 성장, 영양소 소화율, 분과 장내 미생물, 면역반응, 소장의 형태학적 발달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이유자돈(Landrace×Yorkshire×Duroc, 18±1일령, 5.74±0.02kg) 300두를 공시하여 성별과 체중에 따라 5처리 4반복(반복 당 15두)에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기간은 phase Ⅰ(d 0~14)과 phase Ⅱ(d 14~28)로 나누어 총 28일간 실시하였으며, phase Ⅰ과 Ⅱ의 시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을 위주로 배합하였으며, 처리내용은 T1(NC, negative control), T2(PCⅠ, positive control: Antibiotics-Apramycin, 0.15%), T3(PCⅡ, positive control: Probiotics-Lactobacillus, 0.2%), T4(Antimicrobial peptide TypeⅡ 60ppm+Lactobacillus) 그리고 T5(Antimicrobial peptide TypeⅡ 90ppm+Lactobacillus)로 하였다. 항생제 급여구가 다른 급여구에 비하여 사료섭취량 및 증체량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영양소 소화율에서는 건물 및 조단백질 소화율에서 TypeⅡ 90ppm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phase Ⅱ에서는 항생제 급여구가 다른 급여구에 비하여 건물소화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항생제, 생균제 및 TypeⅡ 첨가에 따른 회장 외관상 아미노산 소화율에서는 급여구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장 및 분 중 미생물 수치는 14일째에 항생제 급여구가 총 균수 및 coliforms 수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TypeⅡ 90ppm 급여구는 대조구에 비해 coliforms 수치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p<0.05), 항생제 급여구 보다 coliforms 수치가 높게 나타났다(p<0.05). 28일째에는 TypeⅡ 90ppm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총 균수 및 coliforms 수치가 낮게 나타났으나(p<0.05), 항생제 급여구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p<0.05). 회장 미생물에서 TypeⅡ 90ppm 급여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총 균수, Clostridium spp. 및 coliforms 수치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맹장 미생물에서는 항생제 급여구에서 총 균수, Clostridium spp. 및 coliforms 수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항균펩타이드(TypeⅡ)의 급여에 의한 이유자돈의 혈중 IgG, IgA, IgM 농도 및 장기무게, 소장의 형태 변화에서도 각 급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시험 3. 미생물 배지에서 배양된 항균펩타이드(TypeⅠ, TypeⅡ) 함유 생균제와 항생제의 비교를 통한 이유자돈의 성장, 영양소 소화율, 면역, 분 및 장내 미생물 및 소장의 형태학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항균펩타이드 자돈 사료 내 첨가 급여가 성장, 영양소 소화율, 분과 장내 미생물, 면역반응, 소장의 형태학적 발달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이유자돈(Landrace×Yorkshire×Duroc, 21±1일령, 6.09±0.01kg) 300두를 공시하여 성별과 체중에 따라 5처리 4반복(반복 당 15두)에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기간은 phase Ⅰ(d 0~14)과 phase Ⅱ(d 14~28)로 나누어 총 28일간 실시하였으며, phase Ⅰ과 Ⅱ의 시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을 위주로 배합하였으며, 처리내용은 T1(NC, negative control), T2(PCⅠ, positive control : Antibiotics-Apramycin, 0.15%), T3(PC Ⅱ, positive control: Probiotics-Lactobacillus, 0.2%), T4(Antimicrobial peptide TypeⅡ 90ppm+Lactobacillus) 그리고 T5(Antimicrobial peptide TypeⅠ 60ppm+Lactobacillus)로 하였다. 본 시험은 Phase Ⅰ과 Ⅱ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Phase Ⅰ, Ⅱ에서 항균펩타이드(TypeⅠ, TypeⅡ) 급여구는 대조구(NC)에 비해 일당증체량 및 사료요구율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전체 기간에서는 항생제 급여구가 다른 급여구에 비해 일당증체량 및 사료요구율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항균펩타이드 급여구(TypeⅠ, TypeⅡ)는 대조구에 비하여 일당증체량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Phase I에서 항균펩타이드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에너지 및 조단백질 소화율이 개선되었다(p<0.05). Phase Ⅱ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항균펩타이드 급여구가 건물, 에너지 및 조단백질 소화율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항생제 급여구와의 비교에서는 Phase I에서 TypeⅡ에 비해 에너지 소화율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Phase Ⅱ에서는 에너지 및 조단백질 소화율이 항균펩타이드(TypeⅠ, TypeⅡ) 급여구에 비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14일째의 총 균수 및 Clostridium spp. 수치에서 항생제 급여구가 다른 급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항균펩타이드(TypeⅠ, TypeⅡ) 급여구는 대조구에 비해 coliforms의 수치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28일째의 Clostridium spp. 및 coliforms 수치에서 다른 급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항균펩타이드 급여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Clostridium spp. 및 coliforms 수치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회장 미생물 수치에서는 항생제 급여구가 다른 급여구에 비해 총 균수 및 coliforms 수치가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항균펩타이드(TypeⅠ, TypeⅡ) 대조구에 비해 coliforms 수치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생균제 급여구와의 비교시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다(p>0.05). 맹장의 미생물 수치에서는 항생제 급여구가 다른 급여구에 비해 총 균수, Clostridium spp. 및 coliforms 수치에서 다른 급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항균펩타이드(TypeⅠ, TypeⅡ) 급여구와 대조구와의 비교에서는 총 균수, Clostridium spp. 및 coliforms 수치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항균펩타이드 (TypeⅠ, TypeⅡ)의 급여에 의한 이유자돈의 혈중 IgG, IgA, IgM 농도, 장기무게 및 소장의 형태 변화에서는 항균펩타이드 급여에 의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병원성 미생물의 감소와 영양소 소화율의 증가를 통한 성장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어 항생제 대체재로서의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Exp. 1: Effect of antimicrobial peptide TypeⅠ 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serum immunoglobulin, intestinal morphology, fecal and intestinal microflora in weaning pigs In this study, effect of feeding antimicrobial peptide TypeⅠ was investigated. TypeⅠ was produced by using specially designed L. casei expressing TypeⅠ on their surface. Weaning pigs (n=300, L×Y×D, initially 6.22±0.02kg) were randomly allotted to 5 treatments and performance, ATTD, fecal and intestinal microflora, intestinal morphology and serum immunoglobulins were evaluated. Each treatment had 4 replicates with 15 pigs in each. The basal diets were formulated without any antimicrobial (NC), and 0.15% antibiotic (PC I, apramycin), 0.2% probiotic (PC Ⅱ, L. casei), 40ppm TypeⅠ and 60ppm TypeⅠ were added to diets as treatments. Performance and ATTD of nutrients was poor and fecal and intestinal coliforms were greater in pigs fed NC diet. TypeⅠ at 60ppm of diet was effective as antibiotic (PC I) in improving performance and ATTD of nutrients and reducing intestinal and fecal coliforms; additionally, there were no noticeable differences in performance, intestinal and fecal microflora among pigs fed TypeⅠ and PC Ⅱ diets. However, dietary treatments had no effect on the serum immunoglobulins and intestinal morphology. Exp. 2: Effect of antimicrobial peptide TypeⅡ 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serum immunoglobulins, intestinal morphology, fecal and intestinal microflora in weanling pigs. In this study, effects of antimicrobial peptide TypeⅡ on performance, ATTD, fecal and intestinal microflora, intestinal morphology and serum immunoglobulins of weanling pig were evaluated when used as a substitute to antibiotics. Pigs (n=300, L×Y×D, initially 5.74±0.02kg) were randomly allotted to 5 treatments. Each treatment had 4 replicates with 15 pigs in each. The basal diets were formulated without any antimicrobial (NC), and 0.15% antibiotic (PC I, apramycin), 0.2% probiotic (PC Ⅱ, L. casei), 60ppm TypeⅡ and 90ppm TypeⅡ were added to diets as treatments. Improved (p<0.05) overall ADG, F/G and ATTD of DM (d 14 and 28) and CP (d 14) was noticed in pigs fed PC I diet followed by pigs fed 90 ppm TypeⅡ, PC Ⅱ, and 60 ppm TypeⅡ and poorest performance was noticed in pigs fed NC diet. The dietary treatments had no effect on the serum immunoglobulins and intestinal morphology. Pigs fed 90 ppm TypeⅡ and PC I diet had lesser fecal coliforms (d 14 and 28), total anaerobic bacteria (d 28) and Clostridium (d 28) than pigs fed NC diet. Also, the number of total anaerobic bacteria, Clostridium and coliforms was greater in ileum and caecal contents of pigs fed NC diet when compared to pigs fed other treatment diets. Exp. 3: Comparative evaluation of antimicrobial peptides TypeⅡ and TypeⅠ with antibiotic 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serum immunoglobulins, intestinal morphology, excreta and intestinal microflora in weanling pigs A total of 300 weaned pigs were randomly allotted to 5 treatments (18 pigs per replicate, 4 replicates per treatment). The basal diets were formulated without any antimicrobial (NC), and antibiotic (PC I, apramycin), probiotic (PC Ⅱ, L. casei), antimicrobial peptides TypeⅡ and TypeⅠ were added to the basal diets as treatments. Effects on the performance, ATTD of nutrients,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serum immunoglobulins, relative visceral organ weights, intestinal morphology and fecal and ileal microflora were investigated. Pigs fed Type I antimicrobial peptide and PC I diets had greater (p<0.05) overall ADG, ADFI and better FCR than pigs fed NC diet. Pigs fed PC I diet had higher ATTD of DM (p<0.05) than pigs fed PC II and NC diets at d 14 and 28. Additionally, pigs fed PC I diet had higher ATTD of GE and CP than pigs fed PC II, NC and Type II antimicrobial peptide at d 14, and higher ATTD of GE and CP than pigs fed PC II, NC, Type I and Type II antimicrobial peptide at d 28. Moreover, the ATTD of GE and CP was higher in pigs fed Type I and Type II antimicrobial peptide when compared with pigs fed NC diet. Pigs fed PC I diet had less Clostridium spp. at d 14 and TAB at d 28 in feces while pigs fed PC I and Type II antimicrobial peptide had less coliforms in the feces at d 14 when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Additionally, at d 28, less Clostridium spp. were present in the feces of pigs fed PC I and antimicrobial peptide Type I and Type II when compared with pigs fed PC II and NC diets, while pigs fed NC diet had the highest number of fecal coliforms. Pigs fed PC I diet had lowest TAB, Clostridium spp. and coliforms in the ileum and cecum, while pigs fed Type I antimicrobial peptide had lesser Clostridium spp. and coliforms in the ileal and cecal contents than pigs fed NC diet. Additionally, pigs fed Type II antimicrobial peptide had less coliforms in the ileum and TAB, Clostridum spp. and coliforms in cecum when compared with pigs fed NC diet. However, the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serum immunoglobulins, relative visceral organ weights and small intestinal morphology was comparable among the dietary treatments.

      • Delta-aminolevulinic acid 와 Chitooligosaccharide의 사료 내 첨가가 이유 자돈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김용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99

        EXPERIMENT 1. EFFECTS OF DIETARY CHITO- OLIGOSACCHARID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CHARACTERISTICS AND IMMUNE RESPONSE IN WEANLING PIG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chitooligosaccharide (COS)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characteristics and immune response in weanling pigs. In Experiment 1, a total of 90 crossbred weanling pigs (an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5.44 ± 0.50 kg ) were assigned to the feeding trial for 28 days. Dietary treatments were 1) Basal diet, 2) Basal diet with 75 mg COS/kg supplementation and 3) Basal diet with 150 mg COS/kg supplementation. Each treatment had 6 replicates with 5 pigs per replicate. Increasing the level of supplemental COS had a tendency to linearly (p<0.10) improve ADG and ADFI of weanling pigs during phase 2 period (15 to 28 days) and overall experiment period (0 to 28 days),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G:F among treatments. Apparent DM (p<0.05) and N (p<0.10) digestibility was linearly improved in pigs fed diets with COS supplementation. The tested blood characteristics were not influenced under non-challenge conditions. In Exp. 2, a total of 20 pigs (5.22 ± 0.31 kg BW) were initially assigned to two dietary treatments for 28 days. Experiment 2 were arranged as a 2 x 2 factorial with 2 COS concentrations (0 or 150 mg/kg of feed, as fed) and 2 LPS (Treatment or placebo). E. coli lipopolysaccharide (LPS)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kg of BW was injected to half of pigs in each dietary treatment (n=5) at the end of d 28. The other half of the pigs in each treatment were injected with sterile saline solution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kg of BW. Blood samples and rectal temperature data were collected at 0, 2, 4 and 12 h post-challenge. Rectal temperatu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LPS injection at 4 and 12 h post-challenge (p<0.05). Serum cortisol, IGF-1, and TNF-α concentration were also increased as the result of LPS challenge (p<0.05). Pigs fed on COS supplementation diet showed lower cortisol concentrations at 2 h and higher IGF-1 concentrations at 4 h post-challenge (p<0.05) than those fed basal diet. COS and LPS interactions were also observed on cortisol and IGF-1 when the COS effects were presented (p<0.05). There was no change in Haptoglobin concentrations by LPS injection. White blood cell counts were increased in the LPS-treated pigs at 2 and 4 h post-challenge (p<0.01). Lymphocyte count were elevated at 2 h and reduced at 12 h post- challenge as the result of LPS challenge (p<0.05). However, there were no COS main effects observed on lymphocyte count throughout the challenge period. Based on LPS challenge test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COS treatment has beneficial effects on rectal temperature, cortisol and IGF-1 concentrations. In conclusion, dietary COS supplementation had no effect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inflammatory stress markers in weanling pigs. EXPERIMENT 2. EFFECTS OF DIETARY DELTA- AMINOLEVULINIC ACID AND ANTIBIOTICS SUPPLE- 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HEMATO- LOGICAL STATUS AND IMMUNE RESPONSES OF WEANLING PIGS Delta-aminolevulinic acid (ALA) is a non-protein amino acid that plays a rate-limiting role in the process of heme biosynthesi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ALA and antibiotics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hemato- logical status, and immune responses in early-weanling pigs were evaluated. A total of 144 weaned castrated male pigs (6.37 ± 0.52 kg, 21 d of age) were blocked by BW and litter and then divided into one of four dietary treatments. The treatments were arranged as a 2 × 2 factorial design with the inclusion of 2 levels of ALA (0 or 10 mg/kg) and antibiotics (0 or 40 mg/kg of apramycin and 0 or 100 mg/kg oxytetracycline(OTC)). Dietary antibiotic supplement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DG of pigs during d 7 to 21 after weaning (p<0.05). In addition,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an interactive effect between ALA and antibiotics was found to increase the ADFI of pigs (p<0.05), whereas there was no interactive effect on AFG and G:F of pigs between ALA and antibiotics treatments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on d 0 and 42 to determine the hematological status and lymphocyte subpopulations via flow cytometry. The serum hemoglobin (Hb) and hematocrit (HCT) values increased in response to ALA supplementation (p<0.05). The total Fe concentration and Fe binding capacity (TIBC) were not affected by ALA or antibiotics. Despite this, the CD-8, B- cell, and MHC-I were increa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ALA and antibiotics (p<0.01). The addition of ALA to the diet without antibiotics increased (p<0.01) CD-2, CD-8, B-cell, MHC-I and MHC-II to a great extent, however, this difference was not found when ALA was added to diet with antibiotics.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dietary ALA supplementation had no effect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weanling pigs, but it improved Fe status and had beneficial effects on the immune responses. EXPERIMENT 3. EFFECTS OF DIETARY DELTA-AMINOLEVULINIC ACID AND CHITOOLIGO- SACCHARID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PROFILES IN WEANLING PIGS A total of 100 commercially crossbred [(Landrace × Yorkshire) × Duroc] piglets were randomly allotted to one of 5 dietary treatments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according to their sex and body weight (BW) (4 replicates with 5 pigs per pen). The experimental treatments included: 1) NC, basal diet; 2) ALA, basal diet + 3 mg/kg ALA; 3) COS, basal diet + 100 mg/kg COS; 4) AC1, basal diet + 3 mg/kg ALA and 300 mg/kg COS; and 5) AC2, basal diet + 5 mg/kg ALA and 500 mg/kg COS. During the whole experiment period, pigs fed on ALA and AC2 dietary treatment showed higher G:F ratio (p<0.05) than those fed NC diet. Moreover, the DM and N digestibility were improved (p<0.05) by dietary ALA and COS supplementation.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nutrient digestibility in ALA, COS, AC1 and NC treatment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concentration of WBC, TIBC and lymphocyte among the treatments. Pigs fed on ALA and AC2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e RBC concentration than those fed on NC treatment (p<0.05). In this experiment, significant difference (p<0.05) was found in Hb concentration only between the AC1 treatment and the NC treatment. Pigs fed on ALA, COS and AC2 treatment group had higher total blood protein (p<0.05) than those fed on NC treatment. Pig fed the ALA, AC1 and AC2 treatments have a higher (p<0.05) serum iron concentration than those fed on NC and COS treatments. In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the ALA and COS had a synergistic effect for better growth performance, digestibility and some blood profiles of weanling pigs. EXPERIMENT 4.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A COMBINATION OF DELTA-AMINOLEVULINIC ACID AND CHITO- OLIGOSACCHARIDE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PARAMETERS AND APPEARANCE OF DIARRHEA IN WEANLING PIG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a combination of delta-aminolevulinic acid and chitooligosaccharide (ACO) on the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parameters and appearance of diarrhea in weanling pigs. A total of 120 pigs [(Landrace×Yorkshire)×Duroc, 21 d of age] with an average initial body weight (BW) of 7.10 ± 0.48 kg were randomly allotted into four dietary treatments, with 6 pens per treatment and five pigs per pen. A corn-soybean meal-based diet was formulated as a control diet and then supplemented with antibiotics (phase 1, 40 ppm avilamycin and 100ppm oxytetracycline (OTC); phase 2, 40 ppm chlortetracycline (CTC), or with 1 or 2 g/kg ACO, respectively. The experiment was lasted for 42 days and was divided into 3 phases, including phase 1 (d 0 to d 7), phase 2 (d 8 to d 21) and phase 3 (d 22 to d 42). Dietary ACO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mproved growth performance and feed intake of weanling pigs during the phase 2 and phase 3 period (p<0.05). In metabolic trial, dietary ACO supplementation improved the total tract apparent DM and N digestibilities of weanling pigs (p<0.05). However, no differences was found in lymphocyte concentration and appearance of the diarrhea decreased among dietary treatments (p<0.05). Collectively,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d that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ACO enhanced growth performance by increasing the apparent nutrient digestibility. 연구1. 이유자돈에 있어 chitooligosaccharide 첨가가 건물과 질소 소화율, 혈액성상 및 급성기 염증 반응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는 이유자돈 사료 내 chitooligosaccharide (COS)의 첨가 급여가 건물과 질소 소화율, 혈액성상 및 급성기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시험1은 총 90두를 공시하였다(5.44±0.50kg BW). 처리구는 chitooligosaccharide를 각각 0, 75, 150mg COS/kg를 첨가하여 총 28일간 급여하였다. 처리구당 6반복 반복당 5마리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Phase 2와 전체기간에서의 일당 증체량과 일당 사료섭취량에서는 COS급여비율이 증가할수록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p<0.10). 하지만, 사료효율에서는 처리구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건물소화율(P<0.05)과 소소화율(p<0.10)에서는COS급여 비율이 증가할수록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혈액특성에서는 처리구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시험2는 총 20두를 공시하였다 (5.22±0.31kg BW). 처리구는 chitooligosaccharide를 각각 0, 150mg COS/kg를 첨가하여 총 28일간 급여하였다. 각 개체별로 대사 케이지에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28일 후에 대조구와 COS 처리구에 각각 5 마리씩 lipopoly- sacchsaride(LPS)와 생리식염수 (Saline)를 자돈 1마리당 0.10mg/kg 씩 복강 내에 주입하여 염증반응을 시험하였다. 따라서 실험 요인은 두 종료의 사료와 LPS 접종의 2×2 요인이다. 면역원 LPS(E. coli: Serotype O55:B5, catalog L-6529;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 1mg은 식염수(Saline) 용액 1ml에 용해하였다. 혈액측정과 온도 측정은 0, 2, 4, 12h에 각각 측정하였다. 직장온도는 LPS주입 후 4h와 12h에 증가하였다(p<0.05). Cortisol, IGF-1, and TNF-α농도는 LPS주입후 증가하였다(p<0.05). COS처리구에서의 cortisol은 2h에서 감소하였고, IGF-1은 4h후에 중가 하였다(p<0.01). Lymphocyte 함량에서는 LPS 접종 2 시간 후 LPS를 접종한 처리구(+LPS)가 식염수를 주입한 처리구(-LPS)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1), 접종 12 시간 후 LPS를 접종한 처리구(+LPS)가 식염수를 주압한 처리구(-LPS)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하지만, COS처리구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유자돈에 있어서COS첨가 급여시 영양소 소화율과 면역반응에 있어 적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연구2. 항생제 대체를 위한 delta-aminolevulinic acid 급여가 이유자돈의 성장능력,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 특성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항생제 대체를 위한 delta-aminolevulinic acid 급여가 이유자돈의 성장능력,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3원 교잡종[(Landrace Χ Yorkshire) Χ Duroc] 이유자돈 144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개시시의 체중은 6.37±0.52kg이었다. 시험 처리구는 1) NC, corn-soybean meal diet; 2) PC, NC + antibiotics (40ppm of avilamycin and 100ppm of Oxytetracycline during phase 1 followed by 100ppm of neomycin and 40ppm of chlortetracycline during phase 2 and 3); 3) ALA1, NC + ALA 및 4) ALA2, PC + ALA)로 4개 처리를 하여 임의 배치하였다. 7~21일의 일당 증체량에서는 PC처리구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시험기간 동안 일당 사료섭취량에서는 항생제와 ALA의 효과에 따른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하지만, 전체기간 에서는 일당 증체량과 사료효율에서는 처리구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액특성에서는 ALA 처리구가 hemoglobin (Hb) and hematocrit (HCT)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총 혈액 내 철분함량과 총철결합 능력에서는 처리구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CD-8, B cell, and MHC-I에서는 ALA와 항생제의 효과에 따라 증가하였다(p<0.01). 결론적으로 ALA급여가 성장률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혈액내 면역적 특성과 철분함량에서는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3. 이유자돈에 있어 delta-aminolevulinic acid와 chito- oligosaccharide 첨가가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이유자돈 사료내 delta-aminolevulinic acid (ALA)와 chitooligosaccharide (COS)의 첨가 급여가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3원 교잡종 [(Landrace × Yorkshire) × Duroc] 이유자돈 100두를 공시하였으며, 처리구별 완전임의 배치를 하였다. 시험 처리구는 1) NC, basal diet; 2) ALA, basal diet + 3mg/kg ALA; 3) COS, basal diet + 100mg/kg COS; 4) AC1, basal diet + 3mg/kg ALA and 300mg/kg COS; 5) AC2, basal diet + 5mg/kg ALA and 500mg/kg COS. 사료효율에서는 ALA, COS 및 AC2처리구가 NC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전체적으로 ALA 와 AC2 처기구가 NC처리구에 비해 높은 사료효율을 나타내었다(p<0.05). 영양소소화율에서도 AC2처리구가 NC처리구에 비해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혈액특성에서 WBC, TIBC 및 lympocyte에서는 처리구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RBC에서는 ALA와 AC2처리구가 NC처리구에 비해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Hb에서도 AC1처리구가 NC 처리구에 비해 높은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Total protein 에서는 ALA, COS 및 AC2처리구가 NC처리구에 비해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혈액 내 철분함량에서도 ALA, AC1 및 AC2처리구가 NC 및 COS처리구에 비해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결론적으로 COS와 ALA 복합 급여는 성장률, 영양소 소화율에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4. delta-aminolevulinic acid와 Chito- oligosaccharide의 합제 급여가 이유자돈의 성장능력, 영양소 소화율, 혈액 특성 및 분 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delta-aminolevulinic acid와 Chito- oligosaccharide의 합제 급여가 이유자돈의 성장능력, 영양소 소화율, 혈액 특성 및 설사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3원 교잡종[(Landrace × Yorkshire) × Duroc] 이유자돈 120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개시시의 체중은7.10 ± 048kg이었다. 처리구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대조구와 항생제를 첨가한 처리구(phase 1, 40ppm avilamycin and 100ppm oxytetracycline (OTC); phase 2, 40ppm chlortetracycline(CTC)) 및 ALA와 COS 합제(ACO)를 1, 2 g/kg을 각각 첨가한 처리구로 총 4개 처리구로 하였다. 총 시험기간은 42일로 하였고 3개의 구간(phase 1:d 0 to d 7, phase 2:d 8 to d 21, phase 3:d 22 to d 42)으로 하여 구분하였다. Phase2와 3및 전체기간에서의 성장률은 ACO처리구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사료섭취량과, 건물과 질소의 회장소화율에서도 ACO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Lymphocyte 농도와 설사지수에서도 ACO처리구가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결론적으로 ALA와 COS합제 급여는 이유자돈에 있어 성장률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 옥수수-대두박 사료에 파이테이즈 첨가가 이유자돈의 성장, 영양소 소화율, 아미노산 소화율,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박종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사료 내 6-phytase 첨가가 이유자돈 사양성적, 영양소 소화율, 아미노산 소화율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가지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 1. 사료 내 6-Phytase 첨가가 이유자돈의 사양성적, 영양소 소화율, 아미노산 소화율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파이테이즈 수준 별 첨가가 이유자돈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3원교잡종(LYD, 6.42kg±0.13kg) 돼지 400두를 공시하였다. 실험은 총 5처리구로 설계하였으며, 처리구 당 10반복(반복 당 8두)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총 42일간(1-21 일, Phase 1; 22-42 일, Phase 2) 실험을 진행하였다. 사료 내 파이테이즈 첨가 수준에 따라 대조구(Control, basal diet without phytase), 500 FTU (Basal diet + phytase 500 FTU/kg), 750 FTU (Basal diet + phytase 750 FTU/kg), 1,000FTU (Basal diet + phytase 1,000 FTU/kg), 1,500 FTU (Basal diet + phytase 1,500 FTU/kg)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시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로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2)에 제시된 모든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하거나 초과하도록 배합하였으며 가루사료로 급여하였다. 시험사료와 물은 자유채식 시켰으며, 기타 첨가제나 약품은 일체 사용하지 않았다. 실험 결과 종료체중이 1,000 FTU/kg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Overall 구간에서 일당증체량과 사료효율이 1,000 FTU/kg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일당사료섭취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Phase 1에서 파이테이즈 수준별 첨가에 따라 영양소 소화율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Phase 2에서는 Ca과 P 소화율은 1,000 FTU/kg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조단백질 소화율 또한 1,000 FTU/kg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아미노산 소화율을 측정한 결과 필수 아미노산 arginine과 tryptophan 소화율이 1,000 FTU/kg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leucine과 lysine 소화율이 파이테이즈 수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65; p=0.094). 비필수아미노산에서는 alanine이 파이테이즈 1,000 FTU/kg 첨가 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cysteine 소화율에서 처리구간에 따른 유의적인 경향이 나타났다(p=0.084). 그러나 필수 아미노산 histidine, isoleucine, methionine, phenylalanine, threonine 및 valine 소화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비필수 아미노산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proline, serine 및 tyrosine 소화율에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혈액 내 myo-inositol 분석 결과 Phase 2에서 파이테이즈 수준에 따라 myo-inositol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나(p<0.05), Phase 1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본 실험의 결과를 미루어 보았을 때, 이유자돈 사료 내 파이테이즈 첨가는 피틴태 인을 분해하여 칼슘과 인의 이용효율을 높이고 이를 통하여 사양성적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 사료 내 영양소 수준과 파이테이즈 첨가가 이유자돈의 사양성적, 영양소 소화율, 아미노산 소화율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사료 내 영양소 수준과 파이테이즈 첨가가 이유자돈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3원교잡종(LYD, 6.42kg±0.16kg) 돼지 400두를 공시하였다. 실험은 총 5처리구로 설계하였으며, 처리구 당 10반복(반복 당 8두)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총 42일간(1-21 일, Phase 1; 22-42 일, Phase 2) 실험을 진행하였다. 사료 내 파이테이즈 첨가 수준에 따라 대조구(Control, basal diet without phytase), NC1 (Diet with lower available P 0.125%, ME 40kcal/kg, CP 0.30%), NC1+P (NC + phytase 500 FTU/kg), NC2 (Diet with lower available P 0.150%, ME 55kcal/kg, CP 0.45%), NC2+P (NC + phytase 1,000 FTU/kg)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시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로 NRC (2012)에 제시된 모든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하거나 초과하도록 배합하였으며 펠렛형태로 급여하였다. 시험사료와 물은 자유채식 시켰으며, 기타 첨가제나 약품은 일체 사용하지 않았다. 실험 결과 종료 체중이 PC 처리구가 NC2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p<0.05), NC1, NC1+P 및 NC2+P 처리구가 NC2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Phase 1과 Phase 2에서는 처리구 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건물, 총에너지, 조지방 및 조회분 소화율이 처리구 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p>0.05), 조단백질, 칼슘 및 인 소화율에서 처리구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5). Arginine, methionine 소화율에서 처리구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p=0.056; p=0.081), glutamic acid 소화율에서 처리구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5). Phase 1에서 처리구 간에 myo-inositol 수준은 변화하지 않았으나(p>0.05). Phase 2에서는 처리구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본 실험의 결과를 미루어 보았을 때, 이유자돈 사료 내 파이테이즈 첨가에 따라 영양소 이용효율이 개선되어 영양소 수준을 낮게 급여하여도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유일령에 따른 이유자돈의 하루 중 발성 패턴에 관한 연구

        김의순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85

        본 연구는 Ubiquitous-Information Technology 기술 중 음성정보의 처리를 통한 동물의 이상유무 판단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이유일령이 서로 다른 이유자돈들의 하루 중 발성패턴을 분석하였다. 생후 7, 14, 21 및 28 일령에 이유한 삼원교잡종 (랜드레이스 × 요크셔 × 듀록) 이유자돈 40두를 공시하여 각 이유일령별로 동복자돈을 10두씩을 배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위하여 각 돈방에 디지털 녹음장치와 녹화장치를 설치하여 이유 후 7일간 연속하여 기록한 다음 하루 중 발성량을 조사하였다. 이유 1일차 자돈의 발성량은 다른 이유일차에 비해서 높은 발성량을 보였고 이 중 7일령의 이유구가 가장 높은 발성량을 보였다. 14일령의 경우에는 반대로 이유일수가 증가할수록 발성량은 높아졌지만, 전반적으로 다른 이유일 수에 비해서 낮은 수치였고, 1일차 2일차 data가 누락되었기에 정확한 분석은 불가능하였다. 총 7일간의 이유실험 중 이유스트레스로부터 회복되었다고 판단되는 이유 후 4일부터 7일까지 총 4일간의 발성량은 14일령 이유구가 21일령 및 28일령 이유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p<0.05), 7일령과는 유의차가 없었다. 또한 7일의 data를 시간대별로 평균을 내어 분석한 결과 발성량은 하루 중 14시부터 17사이인 주간에 대체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음성신호를 디지털 전환을 하여 수치화를 시켜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이유직후의 발성량이 가장 많았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이유 후 자돈사에서 적응기간이 길어지는 것과 발성량 사이와의 상관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고, 이유일령에 따른 발성량의 경우 조기 이유가 어느 정도 연관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디지털화를 통한 수치화된 아날로그 data는 이유자돈의 하루 중 발성패턴을 구축하고 분석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