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연인과의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불안 애착이 이별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이중매개 효과

        조민기 아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연인과의 이별이라는 대인관계적 외상 사건이 이별 후 성장으로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외상 후 성장을 대표하는 이론인 외상 후 성장 모형을 기준으로 불안 애착,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이별 후 성장을 변인으로 선정하여 이들의 관계를 파악하고, 변인 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인과의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불안 애착과 이별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가 순차적으로 이중매개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중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75명을 대상으로 불안 애착, 이별 후 성장, 침습적 반추, 그리고 의도적 반추를 측정하는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불안 애착과 이별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가 순차적으로 이중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 각각의 단순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이별이라는 대인관계적 외상에 국한시켜 외상 후 성장 모형을 검증했다는 것이다. 둘째, 대학상담소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는 상담 장면으로 연인과의 이별에 대한 많은 생각에 고통을 호소하는 대학생 내담자들에게 의도적 반추를 이끌어냄으로써 치유 및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interpersonal trauma of romantic breakups can lead to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Thus, based on the post-traumatic growth model, which is the representative theory of post-traumatic growth, anxiety attachment,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were selected as variables to identify their relationships and determine how they affect each other. This study verified the dual mediating effects for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a breakup with a lover to see if intrusive and deliberate rumination were sequentially dual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ttachment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Thus, 475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measure anxiety attachment,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Studies have shown that intrusive and deliberate rumination are sequen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ttachment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mple mediated effect of intrusive and deliberate rumination respective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nly the romantic breakups of trauma has been verified for post-traumatic growth models. Second, the counseling scene, often found in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suggests that it can lead to healing and growth by drawing deliberate rumination to college clients who complain of many thoughts of breaking up with their lovers.

      • 대학생의 의도적 반추와 이별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자기용서의 매개효과

        최제훈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Self-Forgiveness ha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ntional Rumination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15 college studen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Jeollanam - do and Seoul Metropolitan Cit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Intentional Rumination Scale, Self-Forgiveness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hypothesis of this sutdy was analyzed that data collected using SPSS 23.0.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pro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ntional Rumination, Self-Forgiveness,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ntentional Rumination influences Self-Forgiveness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Third, Self-Forgiveness affects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Fourth, Self-Forgiveness partially mediated between Intentional Rumination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의도적 반추와 이별 후 성장의 관계에서 자기용서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서울특별시 내 대학교 315명의 대학 재학 기간 중 이별을 경험한 남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척도는 의도적 반추와 이별 후 성장, 자기용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SPSS 23.0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의 요약과 같다. 첫째, 의도적 반추와 자기용서, 이별 후 성장 간의 관계를 증명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둘째, 의도적 반추는 자기용서와 이별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자기용서는 이별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자기용서는 의도적 반추와 이별 후 성장 사이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점이 논의되었다.

      • 초기성인기 미혼 남녀의 이별 고통감과 이별 후 성장의 관계 : 의도적 반추와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조절된 조절효과

        이소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연인과의 이별을 경험한 초기성인기 미혼 남녀의 이별 고통감과 이별 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조절된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인과의 이별 경험이 있는 19-35세의 미혼 남녀 35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변인들에 대한 인구통계적 특성에서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독립표본 t 검정과 일원 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PROCESS Macro 모델 3번을 이용하여 이별 고통감과 이별 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조절된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차이 검증 결과, 성별, 연령대, 새로운 연인 유무에 따라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을 제외한 이별 고통감, 이별 후 성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이들 변수를 통제한 후 모형 검증 분석을 진행하였다. 둘째, 이별 고통감, 이별 후 성장, 의도적 반추,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별 고통감, 이별 후 성장, 의도적 반추 간에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은 이별 고통감을 제외한 이별 후 성장, 의도적 반추에 대해서만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이별 고통감과 이별 후 성장의 관계에 대한 의도적 반추와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 각각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이별 고통감과 이별 후 성장의 관계에 미치는 의도적 반추의 조절효과를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이 조절하는 조절된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도적 반추의 조절효과는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수준에 따라 달라졌는데, 조건부 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의도적 반추가 평균보다 1 표준편차 낮은 경우,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이 평균보다 1 표준편차 높을 때 이별 고통감이 이별 후 성장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연인과의 이별 후 고통감을 겪는 성인 초기 개인들이 의도적인 반추의 양식을 잘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 높은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을 가질 때에만 이별 고통에 따라 이별 후 성장이 증가하였다. 즉, 스트레스에 대한 성장적 관점의 스트레스 마인드셋은 개인이 이별 사건에서 의미를 찾는 반추의 양식을 잘 사용하지 못하더라도, 이별 상황에 관해 자신의 성장에 기여하는 방향으로의 통찰을 제공하여, 이별 고통의 정도에 따라 이별 후 성장에 이르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관계망이 확장되는 초기성인기 개인의 이별 경험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이별의 고통감을 극복하고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개입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추가적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s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stress-is-enhancing mindse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kup distress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among early adults who have experienced the dissolution of a romantic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56 unmarried individuals aged 19-35 who had experienced a breakup. Utilizing the SPSS 25.0 program,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e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dditionally, to examine demographic differences in main variables,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employed. Employing PROCESS Macro Model 3,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s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stress-is enhancing mindse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kup distress and post-breakup growth was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mographic differences were verified, reveal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breakup distress,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and deliberate rumination based on gender, age group, and the presence of a new romantic partner. Subsequent model verific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after controlling for these differences. Second,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breakup distress,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and deliberate rumination, while stress-is-enhancing mindset exhibited positive correlations only with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and deliberate rumination.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s observed for the deliberate rumination and stress-is-enhancing mindset respective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kup distress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individually. However, the moderated moderation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kup distress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when moderated by a stress-is-enhancing mindset. The moderating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varied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stress-is-enhancing mindset. Confirming the significance of conditional effects, when deliberate rumination was lower than the average, breakup distress significantly predicted post-breakup growth, only when the stress-is-enhancing mindset was higher than the average. To sum up, it was observed that individuals experiencing distress after a breakup exhibited increased post-breakup growth only when facing difficulties in utilizing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sessing high levels of stress-is-enhancing mindset. In other words, stress-is-enhancing mindset, which focuses on the positive aspects of stress, was found to provide insights contributing to one’s personal growth in the context of breakup, even when individuals struggled to employ reflective processes in finding meaning from the event. These results have significance in suggesting intervention strategies to cope with the breakup experiences of early adults during a period of expanding social networks, facilitating the overcoming of breakup distress, and promoting positive changes and growth. This study concludes by highlighting its limitations and suggest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한국 대중가요의 이별정서 양상과 시대별 변화 연구

        박선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국의 대중가요 가사를 살펴보면 대부분이 사랑과 이별, 그 중에서도 한을 주제로 하는 이별 곡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과거 민요에서도 볼 수 있는 한의 정서와 맥을 같이 하며 이러한 맥락은 대중가요 곳곳에서 나타난다. 이별의 정서는 시대상과 맞물려 변화하였으며 실상 그 속에 보이는 가사와 음률의 변화는 단순한 개인의 이별을 넘어 사회상이 다각적으로 담겨있음을 볼 수 있다. 이에 연구자는 대중가요의 정서적 측면에 중점을 두어 한국 대중음악의 흐름을 읽고자 하였다. 본고는 193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808곡의 대중가요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그중에서도 특히 가사에 나타난 한국인의 이별정서를 유형화하고 이를 통해 시대별로 변화하는 양상들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대중가요 가사를 횡적으로 분석, 이별의 정서를 심리학적 관점으로 유형화시켜 슬픔과 탄식, 욕망과 현실부정, 원망과 분노, 관조와 역설 4가지로 나눠 이를 어떻게 표출했는가를 분석해 보았다. 또한 대중가요 가사를 종적으로 분석해 시대적 상황이 어떤 식으로 이별정서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 특징은 무엇인지 살펴보았으며 가창자에 따른 남녀의 이별양상과 시대에 따라 달라진 남녀의 이별자세를 분석해 보았다. 시대가 변하면 문화도 변하고 문화가 변하면 사람들의 심리도 변한다. 이별의 정서는 시대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며 시대상과 대중을 반영하는 반증이 된다. 본고는 이별에 관해 보다 심층적, 체계적으로 연구된 문학 분야에 비해 이론적 체계가 부족한 대중가요 가사의 이별정서를 심리학적인 입장에서 체계적으로 유형화하고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대중과 밀접한 대중가요라는 장르를 분석함으로서 서민예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개인의 이별이 시대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증명한 구체적인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 한국 대중가요 노래 가사에 나타난 이별 과정, 상징 및 정서에 관한 연구 -2000년˜2019년 중심으로-

        박명순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6

        Abstract A Study of the Process, Symbols and Emotions of Parting in the Lyrics of Korean Popular Songs Park, Myeong-Soon Dept. of Child and Family Welfa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Ulsan Supervised by Prof. Jung, Min-J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arting’ in the lyrics of Korean popular songs released since the 2000s and discuss how the process, symbols, and emotions of lovers’ parting appear. Till now, most studies have been on the emotions in parting while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process of parting and the symbols and emotions in it as well as emotions and would find the positiveness inherent in the lyrics by concretely examining the themes and sentiments of parting in the lyrics. Through this, this study would help provide the baseline data related to family education or family counseling treatment concerning parting.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as for the analysis data of the research on parting in the lyrics of the popular songs, 287 pieces with parting as a theme were selected, out of the pieces of music ranked top 30 in the chart provided by Melon, an online music streaming website by period each year by period from 2000 through 2019 as the research subjects.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this study used qualitative analysis software NVivo R1 (Park, 2020) as a tool and conducted open coding through repetitive comparisons of the data collected with content analysis. With the software, this study conducted open coding with the textualized data by word, phrase, and sentence units to form categories and built up a theory of parting based on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process of parting in the lyrics of the popular songs, there are a lot of pieces about the time after parting, when they were classified into the times before, during, and after parting. It is interpreted that this is the process in which one prepares a new start as the stage of settling the sentiments of parting as lingering affection for the past love after parting remains as yearnings and memories. Second, symbols representing parting in the lyrics of the popular songs were classified by thing, nature, place, and time: 1) alcohol and phone for the thing; 2) night and morning, for the time; 3) the sun, rain, wind, and flowers, for nature; and 4) the street, for the place. As the symbols of parting expression, they made symbolic expressions of the preciousness and sentiments about past love and the lover, concerning parting and made expressions about negative feelings about nature and parting by symbolizing them with the things like alcohol and phone. Also, for the time, they expressed night as a herald of parting and morning as a notice of a new start. As for the symbolic part representing the place, they express the place of memories with a lover and wandering due to parting with the street. This seems to be a positive effort toward parting by symbolic expressions to sweep away the preciousness of past love and negative sentiments. Third, the emotions of parting in the lyrics of the popular songs varied depending on the process of parting or the singer’s sex. Before parting, they had anxiety, confusion, conflict, blame, resentment, and hatred, and during parting, they had denial, blame, and resentment. After parting, they had yearnings, memories, lingering attachment, and regret. Their emotions differed depending on the period. Four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motions of parting in the popular songs of the 2000s, most were yearnings and memories. Although yearnings and memories gradually decrease by period, the basic emotions in the inner mind are complex. In other words, various emotions and meanings are included in the songs of parting, so it is impossible to conclude that one song has one emotion. Fif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mes and sentiments, utilizing NVivo R1 Software, 26 themes were drawn, and in the analysis of sentiments, there were more negative sentiments. However, also, in positive aspe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sentiments, utilizing NVivo R1 Software, coding values with high frequencies came out. They included the memories of love with the lover in the past and the blessing of a new start, and from negative aspects, they included yearnings for a lover after parting, reasons for parting, and pain for parting like resentment. Especially, some also made realistic expressions as if they directly delivered their negative sentiments to the opponents. A lot of enthusiastic and active sentiments about parting appeared in the lyrics of the songs released since 2000. Such expressions may have a therapeutic significance in that people can release their sentiments, rather than just expressing negative senti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a significance in that it would look into the process, symbols, and emotions of parting in the lyrics of the popular songs from various perspective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positiveness as well as the negativity of the experience of parting. By doing so, through experiences like love and parting between man and woman, it would ultimately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 younger generation of today, who choose a spouse and form a marriage and family as a fruit of love. Love and parting with the opposite sex are the universal developmental tasks for human beings in their life cycle before forming the family, most experience them during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In the event of parting, they emotionally affect and are affected by the family while they experience this developmental process.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parting should be investigated by extending it for each generation by life cycles, such as puberty, early adulthood, middle age, and old age and that parting is a theme for which counseling and healing should be done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personal relations. ▣ Key Words: Korean popular songs, Process of parting, Symbols of parting, Emotions of parting, NVivo R1 국 문 초 록 한국 대중가요 노래 가사에 나타난 이별 과정, 상징 및 정서에 관한 연구 박명순 울산대학교대학원 아동·가정복지학과 지도교수:정민자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대 이후의 한국 대중가요 가사에 나타난 이별과 관련된 연구로서, 연인의 이별 과정, 상징, 정서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이별에 나타난 정서 연구가 대부분이었지만 본 연구는 정서뿐만 아니라 이별의 과정과 그 속에 나타나는 이별의 상징과 정서이며, 가사에 나타난 이별 주제와 감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가사 속에 내재 되어 있는 긍정성을 찾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별에 대한 가족 교육이나 가족 상담 치료에 관련된 기초자료제공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 목적에 따라 한국 대중가요 가사에 나타난 이별의 연구 분석 자료는 음원사이트 멜론에서 제공하는 시대별 차트 2000년부터 2019년까지 매해 인기 순위 30위에 해당하는 곡 중 이별을 주제로 하는 287곡을 선정하여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 질적 분석 소프트웨어인 NVivo R1(박종원, 2020)을 도구로 사용하여 내용분석으로 수집된 자료를 반복 비교를 통해 개방 코딩을 하였다. 소프트웨어로 텍스트화된 자료를 단어, 구, 문장 단위로 개방 코딩하여 범주를 형성하고, 이를 근거로 이별 이론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대중가요 가사에 나타난 이별 과정에는 이별 전, 이별 중, 이별 후로 분류하였을 때 이별 후의 곡이 많이 나타난다. 이는 이별 후의 지난 사랑에 대한 여운이 그리움과 추억으로 남아 이별 감정정리의 단계로서 자신의 새로운 출발을 위한 준비의 과정으로 해석된다. 둘째, 한국 대중가요 가사에 이별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물, 자연, 장소, 시점으로 분류되었다. ①사물에는 술과 전화가, ②시점으로 나타나는 대상은 밤과 아침이었다. ③자연에서는 태양, 비, 바람, 꽃이었으며, ④장소는 거리였다. 이별의 상징표현은 이별에 대한 지난 사랑의 소중함과 감정, 연인에 대한 상징적 표현을, 자연과 이별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술과 전화 등 사물로 상징하여 표현하였다. 그리고 시점에서는 이별을 예고하는 밤 혹은 새로운 시작을 알림을 아침으로 나타내기도 하였다. 장소를 나타내는 상징적인 부분에서는 연인과 함께했던 추억의 장소와 이별로 인한 방황을 거리로 나타내기도 한다. 이는 이별을 상징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지난 사랑의 소중함과 부정적인 감정을 털어내기 위한 이별에 대한 긍정적인 노력으로 보인다. 셋째, 한국 대중가요 가사에 나타난 이별의 정서는 이별 과정 혹은 가수 성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별 전에는 불안, 혼란, 갈등과 비난, 원망, 미움이, 이별 중에서는 부정, 비난, 원망으로 나타났다. 이별 후에는 그리움과 추억, 미련과 후회가 각각 다른 정서가 나타났다. 넷째, 2000년대의 한국 대중가요에서 나타난 이별 정서 결과가 그리움과 추억으로 가장 많았다. 그리움과 추억은 시대별로 살펴볼 때 점점 감소하지만, 기본 내면에 있는 정서는 복합적인 정서를 담고 있다. 즉 한 곡에 한 가지 정서만 나타난다고 결론을 내리기에는 이별 노래 속에서는 다양한 정서와 의미가 담겨 있다. 다섯째, NVivo R1 프로그램을 활용한 주제(Themes)와 감정(Sentiment) 분석 결과 총 26가지 주제가 나타났으며 감정분석에서는 부정적인 감정이 더 높게 나왔다. 하지만 긍정적인 측면에서도 NVivo R1 프로그램을 활용한 감정분석의 결과 높은 빈도의 코딩 값이 나왔다. 이는 지난 연인에 대한 사랑의 추억과 새로운 시작에 대한 축복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으며, 부정적인 측면에서는 이별 후의 연인에 대한 그리움과 이별의 이유, 원망 등 이별에 대한 아픔을 나타내고 있었다. 특히 자신의 부정적 감정을 상대에게 직접 전달하는 것처럼 사실적 표현을 하기도 했다. 이는 이별에 대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감정들이 2000년 이후 가사에는 많이 나타나고 있다. 부정적인 감정의 표현이라기보다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치료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대중가요 가사에 나타난 이별의 과정, 이별의 상징 및 이별의 정서 등 다양한 관점으로 보고자 함에 의의를 갖는다. 이별 경험의 부정성과 함께 긍정성을 고찰하였다. 이로써 남녀 사랑과 이별 등의 경험을 통하여 궁극적인 사랑의 결실로서 배우자를 선택하고 결혼과 가족을 형성하는 오늘날의 젊은 세대를 이해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이성과의 사랑과 이별은 가족을 이루기 전 보편적 인간의 생애 주기적 발달과업으로 청소년기와 초기 성년기에 많이 겪게 된다. 이러한 발달과정을 겪으면서 이별이라는 사건은 가족에게는 정서적으로 영향을 주고받기도 한다. 따라서 향후 이별을 사춘기, 초기성인기, 중년기, 노년기 등 생애 주기별로 확대하여 세대별로 연구하고, 대인 관계적 측면에서 이별의 문제를 상담하고 치유할 주제임을 본 연구를 통해 제언할 수 있다. ▣ 주제어 : 한국대중가요, 이별 과정, 이별 상징, 이별 정서, NVivo R1

      • 한국 초기 시가의 영원한 이별과 애도 : 중국 시가와의 비교를 통하여

        허신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7806

        This study explores the literary and historical value of early Korean poetry, focusing on the themes of eternal farewell and mourning. It arranges Korean poetry chronologically based on natural elements such as water, birds, grass, autumn trees, and the moon, and attempts a comparative analysis with representative Chinese elegiac poems. In Chapters 2 and 3, the study pairs and analyzes Korean and Chinese classical poem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eparation" and "continuity" of life. The analysis centers on ancient songs like Gongmudohaga(公無渡河歌) and Chugong(楚宮), Hwangjoga(黃鳥歌) and Huangniao(黃鳥), Mojujirangga(慕竹旨郎歌) and Geshong(葛生), Jewangmaega(祭亡妹歌) and Bansitong(半死桐), as well as Jangijirangga(讚耆婆郎歌) and Shenyuan(沈園). It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poets confront and accept separation and death and the psychological processes they undergo. Chapter 2 addresses the "separation" in mourning and emotional disconnection. It analyzes poets who feel the sense of rupture caused by death, focusing on water and birds. In Gongmudohaga and Chugong, water acts as a medium of death and separation. Similarly, in Hwangjoga and Huangnia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oriole conveys the anguish of death and parting. Chapter 3 explores how the emotions of mourning connect with the continuity of life. It analyzes Korean poems that depict the cycle and perpetuity of life through natural imagery such as grass, autumn trees, and the moon. In Mojujirangga and Gezhong, grass symbolizes the possibility of reunion and longing. Jewangmaega and Bansitong portray autumn trees as a medium that bridges life and death, expressing the coexistence of existence and nonexistence. Lastly, in Jangijirangga and Shenyuan, the moon and sunset illuminate the eternal nature of the departed and offer transcendental insights on death. This study highlights the purpose of mourning in early Korean lyric poetry and the role of natural elements. It suggests that the purpose of elegy is not merely to overcome the fear and sorrow of death and eternal separation but to help individuals genuinely accept the pain of parting and understand it as an essential human experience. Both Korean and Chinese poets use symbolic elements of nature to process the loss of eternal separation. These poetic expressions align human emotions with nature, enriching the depth of sentiment. Furthermore, the emotions of eternal farewell and mourning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evolution of Korean poetry as a form of lyric expression. Water represents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In Gongmudohaga and Chugong, water serves not only as a natural element indifferent to human existence but also as a medium expressing longing for the deceased and possibilities for reconnection in a separated reality. The oriole embodies the speaker’s solitude and helplessness, reflecting the emotions humans experience when confronting fundamental limitations. In Hwangjoga and Huangniao, the oriole is portrayed as more than a mere bird—it symbolizes the agony of death and separation while serving as a bridge between life, death, and the departed. Grass in both poems symbolizes the flow and stillness of time, the duality of separation and reunion, and the poets’ endless yearning. In Mojujirangga and Gezhong, the poets perceive death not as a mere cessation but as a path to reunite with their loved ones, thereby expressing their profound longing. Autumn trees function as natural imagery connecting life and death, link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peaker and the deceased. In Jewangmaega and Bansitong, the poets become aware of the coexistence of life and death through autumn trees. By recognizing the unity of existence and extinction through these trees, they reveal the process of accepting their grief over the loss of someone significant. The moon and sunset, as enduring presences in the sky, connect the departed with the living and unify the poetic emotions of the poets. In Jangijirangga and Shenyuan, the luminous moon symbolizes the eternal brilliance of the departed's character, singing of the immortality of their spirit. Meanwhile, the setting sun, gradually disappearing, signifies humanity's eventual encounter with death and hints at the enduring influence and memories of the deceased. Through the 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poetry, this study examines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early Korean poetry. It identifies three key traits of early Korean poetry: (1) poetic achievements that simultaneously exhibit formal sophistication and philosophical depth, (2) the symbolic use of natural elements to express personal desires and emotions, and (3) a serious reflection and realization of life and death through the themes of eternal farewell and mourning. In conclusion, eternal farewell and mourning are confirmed as universal emotions transcending regions and eras. Death and separation are unavoidable journeys in human life, and mourning provides a process for the living to accept loss and heal. Early Korean poetry alleviates the grief of mourning through natural imagery such as water, birds, grass, seasons, and the moon. It celebrates the cycle of life and the continuity of existence, offering solace to readers. Similar patterns are found in Chinese poetry, demonstrating how both traditions share universal human emotions and provide healing and insight through nature. 이 논문은 영원한 이별과 애도를 주제로, 한국 초기 시가의 문학사적 가치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시가를 물, 새, 풀, 가을 나무, 달과 같은 자연적 소재를 중심으로 창작 시대에 따라 배열하고, 중국 대표 애도시와의 비교를 통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제2·3장에서는 생명의 ‘분리’와 ‘연속’이라는 관점에서 한국과 중국의 고전시를 짝지어 분석하였다. 고대가요 <公無渡河歌>와 <楚宮>, <黃鳥歌>와 <黃鳥>, 향가 <慕竹旨郎歌>와 <葛生>, <祭亡妹歌>와 <半死桐>, 그리고 <讚耆婆郎歌>와 <沈園>을 중심으로, 화자들이 이별과 죽음을 맞이하며 이를 받아들이는 방식과 심리적 과정을 고찰하였다. 먼저 제2장에서는 애도로 인한 ‘분리’와 감정적 단절을 다루었다. ‘물’과 ‘새’를 통해 죽음의 단절감을 느끼는 화자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公無渡河歌>와 <楚宮>에서 물이 죽음과 이별의 매개체로 작용하는 방식에 주목하였다. <黃鳥歌>와 <黃鳥>에서는 황조와 화자의 교감을 드러내어 죽음과 이별의 고통을 형상화하였다. 제3장은 애도의 정서가 삶의 영속성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살펴보았다. ‘풀’, ‘가을 나무’, ‘달’과 같은 자연 이미지를 통해 생명의 순환과 영속성을 노래한 향가를 분석하였다. <慕竹旨郎歌>와 <葛生>에서는 풀을 통해 재회와 그리움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祭亡妹歌>와 <半死桐>에서는 가을 나무를 매개로 삶과 죽음의 공존과 화자가 느끼는 존재의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讚耆婆郎歌>와 <沈園>에서는 달과 석양을 통해 망자의 영속성과 죽음을 초월하는 자연적 통찰을 드러내었다. 본고는 한국 초기 서정시와 중국 시가의 비교를 통해 애도의 목적과 자연적 소재의 역할을 밝혔다. 영원한 이별과 애도에 관한 시의 목적은 죽음과 영원한 이별에 대한 두려움과 슬픔을 단순히 극복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죽음과 영원한 이별이 도피할 필요가 없음을 진정으로 깨닫고 인간과의 이별의 아픔을 받아들이며 경험하게 하는 데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중 시인들은 자신의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자연의 상징물을 통해 독자들이 영원한 이별의 상실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러한 시적 표현은 자연과 인간의 정서를 일치시키며, 감정의 깊이를 더욱 풍부하게 한다. 또한, 영원한 이별과 애도의 정서는 한국 시가가 서정시로 성장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물이 삶과 죽음을 가르는 선이다. <公無渡河歌>와 <楚宮>에서의 물은 인간의 생사와 무관한 자연적 요소이지만 망자에 대한 그리움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분리된 현실세계에서 망자와 화자를 다시 연결해줄 수 있는 애도의 다양한 가능성을 표현한다. 황조는 화자의 고독과 무력감을 담고 있으며, 이는 인간이 가진 근본적인 한계와 마주할 때 느끼는 감정이다. <黃鳥歌>와 <黃鳥>에서 황조는 단순한 새가 아니라, 죽음과 이별의 고통을 상징하는 비장한 존재, 삶과 죽음을 연결시키는 요소, 그리고 이별한 사람과 소통하는 매개체로 그려진다. 풀은 <慕竹旨郎歌>와 <葛生>에서 시간의 흐름과 멈춤, 영별과 재회의 가능성을 상징하는 동시에 화자들의 끊임없는 그리움을 은유하는 것이다. 두 시에서 화자는 풀을 통해 죽음을 단순한 소멸이 아니라 사랑하는 이와 다시 만날 수 있는 길로 인식하며, 그로 인한 자신의 뼈저린 그리움을 드러낸다. 가을 나무는 삶과 죽음, 생존과 소멸을 연결시키는 자연적 이미지로 작용하여 화자와 망자 간에 건너갈 수 없는 거리를 잇는다. <祭亡妹歌>와 <半死桐>의 화자는 가을 나무를 통하여 삶과 죽음의 공존을 의식하게 된다. 화자들은 가을 나무와 같은 삶과 죽음을 일체화하는 형상을 통하여 존재와 소멸의 공존을 의식하고, 중요한 사람을 잃은 애도의 정서를 받아들이는 과정을 드러낸다. ‘달’과 ‘석양’은 하늘에서 사라지지 않는 자연적 존재로, 세상을 떠난 망자와 연결되며 화자들의 시적 감정에서 하나로 통합된다. <讚耆婆郎歌>와 <沈園>에서 화자들은 빛나는 ‘달’의 모습을 통해 영원히 찬란하게 빛나는 망자의 인격을 찬미하며, 영혼의 불멸을 노래한다. 한편, <沈園>에서 점차 저무는 ‘석양’은 언젠가 죽음을 맞이할 인간을 상징하며, 소멸하지 않는 태양으로 망자가 남긴 영향과 추억이 사라지지 않음을 암시한다. 본고는 한국과 중국 시가를 비교하여, 한국 초기 시가의 문학적 성격과 가치를 탐구하였다. 그 결과, 한국 초기 시가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형식적 완성도와 사상적 깊이를 동시에 지닌 시학적 성취를 보여준다. 둘째, 자연물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해서 화자의 개인적 바람과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 셋째, 영원한 이별과 애도라는 주제를 통해 삶과 죽음에 대한 진지한 인식과 깨달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영원한 이별과 애도는 지역과 시대를 초월한 보편적 감정임이 확인되었다. 죽음과 이별은 인간의 삶에서 피할 수 없는 여정이며, 애도는 산 자들에게 상실을 수용하고 치유하는 과정을 제공한다. 한국 초기 시가는 물, 새, 풀, 계절, 달과 같은 자연적 이미지를 통해 애도의 정서를 완화하고, 생명의 순환과 생사의 연속성을 노래하며 독자에게 위안을 준다. 이는 중국 시가에서도 유사하게 발견되며, 두 나라의 시가는 인간이 보편적으로 갖는 감정을 공유하며 자연을 통해 치유와 통찰을 제공한다.

      • 연인과의 이별을 경험한 20~30대 성인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이별 후 성장의 관계: 적응적 사고통제방략의 매개효과

        최지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연인관계에서 이별을 경험한 20~30대 성인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이별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응적 사고통제방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이별 후 성장, 적응적 사고통제방략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이별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적응적 사고통제방략이 매개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연인과 이별을 경험한 만 20세~만 39세의 미혼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Google)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215명의 자료를 SPSS 26.0 version를 활용해 인구통계학적 정보와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했고, 상관분석을 실시해 변인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model 4 모형으로 매개변인의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인과의 이별을 경험한 20~30대 성인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이별 후 성장, 적응적 사고통제방략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이별을 경험한 20~30대 성인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이별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응적 사고통제방략이 부분 매개함을 밝혔다. 즉,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신의 정서 상태에 주의를 기울이고 잘 인식하는 사람들은 침투적 사고에 대해 적응적 사고통제방략을 더 활용하며, 이별 후 성장에 이를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연인과의 이별 경험을 가진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정서인식명확성과 이별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적응적 사고통제방략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상담 장면에서 내담자가 이별 후 성장을 경험하기 위해서 필요한 상담적 개입을 제안하는데 도움이 되는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ole of adaptive thought control strategies in 20 to 39 years old adults who have experienced a breakup in their romantic relationships, and how emotional cognitive clarity contribute to post-breakup growth. The research questions addressed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gnitive clarity, post-breakup growth, and adaptive thought control strategies? Second, does adaptive thought control strategie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gnitive clarity and post-breakup growth? To investigate these research questions, an online survey using Google Forms was conducted, targeting unmarried adults aged 20 to 39 who had experienced a breakup. Data from a total of 215 participants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6.0, including demographic information, reliability of measurement tools, and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dditionally, Hayes' PROCESS Macro (2013) was utilized to test the indirect effects of the mediator in a model 4 framework.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was confirmed using bootstrapping.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emotional cognitive clarity, post-breakup growth, and adaptive thought control strategies in 20 to 39-year-old adults. Second, adaptive thought control strategies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emotional cognitive clarity on post-breakup growth. This suggests that individuals who pay attention to and perceive their emotional states are more likely to employ adaptive thought control strategies, which in turn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experiencing growth after a breakup.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the role of adaptive thought control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gnitive clarity and post-breakup growth among -year-old adults 20 to 39 who have experienced a breakup, thus offering valuable insights for counseling interventions aimed at facilitating post-breakup growth.

      • 불안정 성인애착이 이별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이유진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상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5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정 성인애착과 이별 후 성장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별을 경험한 미혼 성인 남녀 237명을 대상으로 불안정 성인애착, 이별 후 성장, 자기자비 수준을 측정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Baron과 Kenny(1986)의 조절변인 분석절차에 따라 단계선택을 통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 성인애착과 이별 후 성장은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고 자기자비는 이별 후 성장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불안정 성인애착과 이별 후 성장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자기자비는 낮은 수준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이별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보다 높은 수준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이별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불안정 성인애착과 이별 후 성장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서 상담과정에서 불안정 애착수준이 높은 성인이 이별이라는 외상적 사건을 경험했을 때 자기자비 수준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어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함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