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존 듀이의 경험적 자연주의에 기초한 환자중심 의학교육

        오희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환자중심의학과 존 듀이의 경험적 자연주의를 이해하고, 경험적 자연주의의 관점에서 환자중심 의학교육의 방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경험적 자연주의는 경험의 전체성과 자연과 유기체의 연속성을 전제로, 경험적 방법을 지칭하는 개념이다. 환자중심 의학교육은 환자를 중심으로, 환자와 함께, 환자를 위해, 존재해야 하며, 현재와 미래의 의사는 자신이 돌보는 사람들의 모든 요구 사항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일상적 경험의 세계에서 환자중심의학에 대한 경험의 연속성, 존재, 상호작용을 포괄하며, 환자뿐 아니라 학생이 경험하는 학습의 모든 과정에서 환자와 학생을 최우선으로 배려하는 접근 방식을 듀이의 철학에 기초한 환자중심 의학교육으로 정의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탐구하였다. 첫째, 환자중심의학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교육경험과 인식을 조사하였다. 국내 일개 의과대학에서 환자중심의학의 내용을 포함하는 의학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고, 의예과 2학년부터 의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환자중심의학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둘째, 의과대학에서 환자중심 의학교육의 지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환자중심의학에 대한 문헌연구와 의대생의 인식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의학교육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환자중심 의학교육의 모델을 구성하고 논의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과대학에서는 ‘환자중심의학’에 관련한 요소들을 가르치고 있지만, 환자중심의 철학은 가르치지 않고 있으며, 환자중심의학 교육과정이 학생에게 유의미한 교육적 경험인가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의대생들은 강의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업보다는 임상실습을 경험하면서 환자중심의학에 대해 인식하는 부분이 많았다. 임상실습 지도교수 또는 실습 담당 전공의가 환자를 대하는 태도, 환자와 소통하는 방식, 환자가 의사에게 질문하는 방식과 의사를 대하는 태도 등에서 환자-의사의 상호작용에 대해 인지하였다. 따라서, 환자중심의학의 도입 배경과 철학을 인지할 수 있는 교육적 경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때, 환자중심적 태도를 가진 의사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듀이의 경험적 자연주의 철학에 근거하여 환자중심 의학교육 모델을 구성하였다. 대상을 분화하여 생각하지 않고 해석하는 듀이의 철학에 따라, 환자중심의학과 환자중심 의학교육이 분리되어 존재하지 않고 연속적인 고리를 형성하는 모델을 구상하였다. 의학 교육과정에서 환자중심의학을 가르쳐야 하는 이유는 환자중심의학은 의학의 본질이기 때문이며, 의대생이 성장하면서 의사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 도움이 되고, 의사의 행위에 창의성을 가져다주기 때문이며, 결국 환자를 위한 의학으로 더 깊이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환자중심의학을 위해 민주적 의료거버넌스를 구축하고 교육 주체로 학생 참여 강화해야 하며, 의학교육 평가인증의 역할이 필요하다. 의학교육은 그동안 ‘좋은 의사’ 양성을 위해 노력해 왔다. 시대와 사회에 따라 요구되는 좋은 의사의 모습은 다소 차이가 있을지라도 환자를 벗어나 존재하는 의사는 환자가 기대하는 좋은 의사의 모습과는 같은 좌표에 존재할 수 없을 것이다. 환자중심의학은 의학의 본질에 가까우며, 더 나은 의료를 위해 의사와 환자에게 모두 유용하기 때문에 가치가 있으며, 의대생에게 환자중심 의학교육 경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 中國 古代 醫政史(秦漢~兩宋)에 關한 硏究

        이태재 東國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7807

        延续了数千年的韓醫學不衰退的原因不但独特的理论体系和科学性而且有临床效果,所以受到了人们的信任。然而事物的存在和发展根据内部原因,还具备外部原因。韩医学也是如此。韩医学的存在和发展受了韩医学本身具备的内部原因以外,政治、经济、文化等外部原因的影响。外部影响中由政策受了最重大的影响。与医学发展适应的政策促进了医学发展,反之不适应的政策间阻了医学发展。历史上按照关于中国古代社会里医药分野皇帝的朝头被形成的医学政策,并总盘相其影响的肯定、否定效应,能发现里面的基本规律,在医学政治上还能提供历史的格范。 政治影响了医药学的直间接部分。与医药分野有关的制度、政策、法令等影响了医药学的直接效应,典章制度及国政方针和政策等影响了医药学的间接效应。本论文里探索的主要内容是直接效应。但有时这两个作用互相容在一起分开得很难,有时间接效应现露得更明显,因此很多方面上言及了间接效应。 向医药学影响了直接效应的医药政策及为了贯彻这样政策设立的医药组织机构和各种医药事业制度等,都是现代医政管理和药政管理体系的构成部分。医政管理和药政管理都保健福祉的重要构成部分。医政和药政这名词概念自从近现代开始使用的,不过本论文里言及的概念都是王朝社会的内容。尽管王朝社会没用医政和药政这名词概念,但是与现代的医政和药政概念差不多一样。由而本论文里用现代的"医政"概念开展研究,关于在王朝社会上医政并其影响医学发展。 确定王朝社会医政的轮廓后,要说明下例几个问题。第一,用"政策"这名词概念的问题。"政策"也是从近现代开始使用的名词。王朝社会没用"政策"概念,但是有了与政策概念相似的因素。比如皇帝的"诏"、"领"、"敕"、"谕"以及各种"政领"等。假使我们要详细地研究这样政策因素,哪一个词也不能代用这词的内涵。这只有仔细地分析关于王朝社会的医药政策起源才知悉。并且王朝社会的医药政策不是医药行政管理部分提出的,而是按皇帝自己的医药好恶亲手公布诏领后,是当作政府的医药政策的。然后大臣门提出了方案,经过皇帝的批准后当作政策。要之与皇帝的言行不同的文书条款都该惟命是听皇帝的大意。这样专制集权的特点是,尽管公布哪种医药政策的施行和废止,都有关皇帝(包括摄政皇后或权臣)私思想的素养、品德修养、对医药的认识和重视程度等。从而王朝社会医政研究变成了集政皇帝的对医药倾向和这与医药学发展关系的研究。 第二,关于医政作用、效果的问题。医政研究不但研究医政形成和发展,而且研究医政作用、效果。关于医政作用、效果评价首先得明显其作用的对象。在王朝社会上医政作用的对象大体是医药学(为了叙述便利,后句子除了应该需要的指示事项或限定医药和药学的具体概念以外,一般情况下都代用「医学」这名词。医药学(即,药学)分开学术和事业概念。 本论文里言及政治影响医学的时候,已说及了其影响学术和事业,尤其以事业部分为主。至于医政的作用和效果,在文献里能找到端绪,关于各项目医药政策的造成、形成、公布及当时的背景,但是贯彻施行的效果大体在文献里很难实证。时而皇帝公布了诏领,有的实际政策上没贯彻就泯灭。医政作用和效果的其他方面是医药管理机构和业务组织的作用和功能。括要组织机构后,应该实施对于这样组织机构功能的评价。 本论文的目的不是追底各机构的员数、官品的俸禄,而是推源溯流各机构的隶属关系及地位、设置原因及影响医学发展的作用和意义、各机构的兴亡变化及其背后原因。在王朝社会上各医药机构的设置原因都反映了治者的意志。新机构的创设和成机构的扩大、缩小、废止等都是治者为了实现自己的目的采择的措施。 设置医药组织机构也不是例外。在王朝社会上各医药机构的设置原因是治者为了达到该当医政的目的采择的措施。只有很简单的记录关于各医药机构的设置动机及形成过程,有的机构只有记录那个名称和各官员的数量。尽管规模很小的机构,但是其形成过程比简单的调动和行政命令更复杂。并且一设置组织机构就发挥固定的作用。因此言及医政作用的时候,不但重视医药政策的作用,而且注视医政组织机构影响医学发展的作用。只要这样就能研究总医政。本论文的構成和骨幹在中國梁峻敎授的『中國古代醫政史略』硏究, 另外調査史料和飜譯, 介紹在韓醫界關于中國醫政史(秦漢~兩宋)。 Political measures such as removing medical volumes from the act of burning books on the Chinese classics by Qin Shi Emperor(秦始皇) and seeking for the lost medical books as well as correcting the medical methods by Cheng Emperor(成帝) of Han(漢) dynasty were intended to preserve and to widely spread medical records. System of medical officers established by Qin(秦) and Han dynasty originated from groping experiences in building the court medical officers and a system for the nation’s medical administration which turned out to be a base for the birth of medi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Qin Shi Emperor and Wu Emperor(武帝) of Han dynasty’s ordinance at seeking the elixir for life and the search of it resulted in failure. But the trainees of supernatural powers found medicines beneficial to health and well being gained from animal, plants, minerals that lead to superfluous knowledge of medicines. Qin Han government arranged early measures for plague in saving the people which was somewhat effective. However, such measure could not control plague to the root hence it becomes a major epidemic. The united nation of Qin Han formed united governmental structure nationwide. Of medical policies prior to Qin and especially of Qin dynasty have influenced Qin Han greatly. Qin prior to Qin era put emphasis on medicine thus there were renown doctors such as Doctor Wan(醫緩) and Doctor Hua(醫和). Others medical policies established such as Tai Yi Ling(太醫令) system and the court’s She Yi(侍醫) originated from Qin. Though Qin was brief, experiences on reserving medicine, developing policies, and establishing medical officers became the base for medical policies of Han dynasty and for other later periods. Seeking of lost books during Cheng Emperor of Han dynasty, correcting medical methods by giving orders to Li Zhu Guo(李柱國), establishing medical officer position in Han dynasty all were influenced by the phenomenons of Qin dynasty. The united nation standardized and systematically made the establishment of medical officers; reserved and organized medical journals. These measures lead to transmitting and accumulating medical knowledge. Cultural exchange with economy and searching for the elixir for life,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lead to abundant knowledge of herbs that made it possible for 『Shen Nong Ben Cao Jing(神農本草經)』. Political chaos that lead to war and the society faced with threats of plagues at the end of Han dynasty demanded excellent doctors such as Hua Tuo(華陀) and Zhang Zhong Jing(張仲景). Looking at medical policies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fall of the Late Han (後漢) dynasty and the unified nation of Sui(隋) Dynasty, after Qin Han, they acceded a system of holding court physicians in making physicians as government officers. They have set up medical organization for government medical officers which separated medicine from others. The positions for supervising medicine of emperor and prince, queen were differentiated. Medical policies of this period were all for strengthening the court’s medicare and medical facilities. Also, it was a period that made a basic frame for managing system of medicine in nation level. Organizations such as national medicine management organization, court medicare organization, regional medical policy and medicare service, medical education all have began in this period. These were the best achievements of this era’s medical policies. However, evaluating from today’s standard, there are weaknesses to this period’s medical policies. Relationships between subordinates of the organization was vague, duties for officers of the organization was unclear, function was overlapping which lessened the effectiveness, and because the doctors of the court could not practice widely that their skills were reserved. The direction of North Wei(北魏) medical legislature coincides with the discipline from the period between the fall of the Late Han Dynasty and the unified nation of Sui Dynasty in where medical parliament was going toward. Xian Wen Emperor(獻文帝) and Xuan Wu Emperor(宣武帝) ordered to establish medical organization such as medical practice clinic and medical building and treated diseases for the mass. By making home medical services; prescribing medicines locally; and giving medical services for the soldiers, the government raised the level of medical care and preservation of health for the people. This was an epoch-making advancement in the history of medical policies which became origin of establishing general hospitals by the government. It was a gateway for the court doctors to practice medicine toward the greater mass. Doctors were sent out and prescriptions were proclaimed publicly which became an example in expanding medicine for the people. However, no medical records of the governmental measures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welve cases of plague during North Wei period could found. The direction of the medical policies of Liu Song(劉宋) government coincides with overall measures of the direction from the period between the fall of the Late Han Dynasty and the unified nation of Sui Dynasty’s medical measures. This expansion of the medical policy for the people is in the same lineage with North Wei. Liu Song government did not have general solution in expending medical organization to treat the people, but there is a successful case of strictly controling plague from spreading. It is highly recognized for it being prevention of epidemics in the governmental level. The period between the fall of the Late Han Dynasty and the unified nation of Sui Dynasty was politically chaotic and medical polities were swayed toward medical care for the court. It was the beginning of setting up the frame for national medical management organization. There existed a elementary form of medical education, regional medical facilities, medical measures. Xuan Theory(玄學) was prevalent and due to the tendency of taking in stones and red lead being an acceptable act, new diseases began to surface. Disturbance of war lead to the growth of the department of surgery. In promoting pregnancy encouraging policy, doctors emphasized importance of the diseases of gynecology for mothers and children. By the rendering of medical officers, Pulse Classics by Wang Shu Hua(王叔和) remains. General doctors gained great clinical experiences in the areas of acupuncture and herbs. During the periods of Sui dynasty, Tang(唐) dynasty, and Five Dynasties(五代) there after(Tang, Yu, Xia, Yin, Zhou), policies, organizations, system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field gradually making completion. The governmental measure of developing medical education is the merit of medical policy in this period. In the part of standard medical education, the institution had the scale of creating majors, arranging educational curriculum, giving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se were the conditions in training professionals formally which gave elementary base in spreading medical knowledge. Every village had medical expert and medical students that lead to expending medical education which influenced training medical doctors and transmitting medical knowledge. Distributing medical prescriptions and giving the regional authorities the prescriptions provided a great convenience to the mass in receiving medical care. It also influenced the diffusion of medical knowledge. Promoting the status of botany(本草學) was the great achievement of this period. They have set up medical education at the government offices while establishing pharmaceutical education professionally at the same time. Teacher, laborer, students along with the practice base, pharmacy, were forming its fixed shape providing good condition for training medication professionals. The government compiled herbs and circulated them in the name of the government which became the very first pharmacopoeia. This event influenced uniting collecting and organizing medical knowledge as well as regulating medical usage. In this epoch, there was a major return in law making even in the areas of medical management. Prior to Sui and Tang dynasty, there were not yet a formed system nor regulations reference to medical management. Physicians contacted patients in accordance with certain law and strictly restricted themselves by law. In the violation of related regulations, they were responsible for the act and even punishments were given. Medical policy of Sui dynasty, Tang dynasty, and Five Dynasties thereafter(Tang, Yu, Xia, Yin, Zhou) achieved much in various areas and the medical measures of the ancient society gradually going toward completion in this period. However, the court medical organization was vast in size, personnels were overloaded, court physicians were unable to utilize their skills to the fullest due to the restrictions, medical organizations for the people were unable to advance, and the government did not recognize medicine as it ought to be that the status of doctors still remained low which was the flaw of this period. There was not much success in the field of medical theory, but every department gained much clinical experiences. Governors of Song dynasty emphasized development of medicine and favored medications. Reducing court medical organizations and relatively expending general medicare and medication related non-profit organizations were advanced political measures in improving medical conditions for the people. They have contributed in collecting, correcting, publishing, and distributing medical books which were reserved and organized. Moreover, they have contributed in spreading and supplying medical knowledge. Research on fundamental theories of books such as 『Nei Jing(內經)』, 『Shang Han(傷寒)』 were active that gave a base to academic debates during Jin(金) and Yuan(元) period. It was the most successful governmental measures of Song Dynasty medical policies. The government widely researched medicines, made corrections on herbs, and established pharmaceutical plants and pharmacies that sold medicines. They reformed manufacturing conditions which improved “Effective Medicine(成藥)” as well as unite regulations on medicine. These measures lead to improvements on medicine and influenced generalization of medicine for the mass. In the medical education, education system of “Medical Science(醫學)” established by the court physicians and Guo Zi Jian(國子監), governmental educational organization, has done great work. New experiences were gained in the areas of subordinates, divisions of specialized professions, examinations, managing institutes within the organizations. In medical science, “Special Method of Hiring: San She Fa(三舍法)” and “Offering Certain Amount of Sum(貢額)” was positive solution in encouraging medical education. Even in medical education of Song dynasty, there were errors. To give an illustration, continuation of education was lost due to the issue of maintaining or abolishing the system that impeded the accumulation and acceding of educational experiences thus lacking potential and losing the energy to continually make developments which lead to not establishing pharmaceutical education professionally. Installing medical organization was required for the most part. However, the problem l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what was chaotic. They were insufficient of united supervision and support due to the restrictions of upper commands. Even the supreme medical organization, Han Lim Medical Officers(翰林院) had no authority over other medical organizations and the duties were overlapping not to mention over-staffs. Even within medical officers, there were too much personnels and insufficient strict management system. Therefore,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Song dynasty’s medical management area was at low.

      • 의학적 상황에서의 고통관에 대한 전인적 성찰 : 과학주의에 대한 종교-철학적 비판을 통하여

        김종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인간의 질병과 고통을 다루는 의학적 상황에서 의학의 학문적 성과와 기술적 발전으로 인한 지대한 기여에도 불구하고 환자를 때로 의과학적 처치의 대상으로만 간주하게 되는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의학계의 인격주의적 개선 시도에 대하여 인문학적으로 평가한다. 아울러 그러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불가피하게 드러나는 한계를 극복하고 나아가 근본적으로 의학적 상황의 초점을 ‘환자가 가진 질병’으로부터 ‘고통을 겪는 사람’으로 통전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이를 위해 전인적으로 접근하는 대안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삶의 문제인 질병과 고통을 다루는 의학의 과학적-기술적 성과가 인간 삶에 어떻게 기여했는가에 대해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평가를 전제로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분야의 전문성 제고가 지니는 환원주의적 맹점이 의학적 상황에도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 특별히 주목한다. 이를 특별히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다른 많은 분야들과는 달리 의학적 상황은 인간과 전인적 규모로 관계하고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의학적 상황은 보다 전문적인 처치를 위해 ‘고통 받는 사람’ 보다는 ‘육체가 가진 질병’에 집중하게 되면서 고통이라는 현실을 처치의 ‘대상(對象)’으로만 간주하는 과학주의적 왜곡으로 내몰린다는 점을 주목하고자 한다. 물론 고통이나 죽음과 연관된 인간의 염려와 불안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대책이라는 명분으로 전개되는 의학적 상황은 그 자체로서 대체할 수 없이 소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바로 그런 이유로 의료인이나 환자 모두 ‘대상적 고통관’에 집착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그 결과 의학은 건강을 단지 질병이 없는 상태로 규정하게 되고, 치료는 질병을 제거하는 기술이 되고 말기 때문이다. 물론 이것이 효율성이나 가시성에서 위대한 진보임에는 틀림없지만, 사람의 사람다움과 생명의 생명다움을 회복하고 증진하고자 하는 ‘의(醫)’의 본래적 의미에서 본다면 인간개체의 대체할 수 없는 고유성이나 삶과 죽음을 포월(包越)하는 생명성의 의미를 축소시키게 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세기 초부터 유럽과 영미권의 의학계 내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의학 내에 인문학적 정신을 도입함으로써 ‘의’의 본래성을 회복하고자 했던 운동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는 우리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경험하고 있는 ‘두 문화’의 긴장과 갈등 속에서 인간의 생생한 경험과 구체적인 가치 및 삶의 의미를 지키기 위하여, 인간을 ‘대상’이 아니라 ‘상대(相對)’로서, 즉 서로 마주하고 대화하는 관계 속에서 만나고자 했던 여타의 인문학적 기획들과 공명한 결과였다고 하겠다. 말하자면, 의료인과 환자 사이에서 한쪽이 일방적으로 주도권을 쥐는 대상적 관계로부터 인격적인 만남으로서의 상대로 전환하는 것이 상호소외를 극복하는 길이라는 현대적 통찰을 공유하게 되었던 것이다. 하지만 의학계의 인격주의적 시도가 지향하는 인간성 회복을 위한 윤리적 이상의 타당성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지니고 있는 중심주의적 한계로 인하여 생명-정치적 주권 구조의 현실 안에서의 취약성을 지닐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우리는 인격성을 생명성으로 확대-심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러한 생명성의 본 뜻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 인간이 어떠한 부분으로도 축소되거나 치환될 수 없다는 이념인 전인성을 요청해야 한다. 그런데 전인성이란 인간의 유한성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한계를 넘으려는 초월지향성까지 싸안아야 한다고 할 때 바로 이런 맥락에서 인간의 원초적 종교성이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가 종교철학적 논의를 전개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리고 그러한 전인성은 온전한 실현을 위하여 홀로서기에만 초점을 두는 개체성을 넘어서 관계성을 아우르는 ‘상관적 연대(相關的 連帶)’를 요청한다. 전인성을 구현하는 종교성은 제도적 종교를 통해서가 아니라 타자와 연대하는 실존적 신앙으로서의 삶에서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와 같은 전환은 고통 현장에서의 상관적 연대를 가능하게 해 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실천방안으로서 기독교 신학과 의학이 서로 융합함으로써 인간의 전인성 회복을 위하여 함께 노력할 수 있는 한 사례로서 이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This thesis analyzes the causes of the problem that patients are often regarded merely as the objects of medical treatment in medical situations despite the recent immense scholarly and technological advances within the field of medicine. Furthermore, it evaluates the personalistic attempts within medical circles to solve this problem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ities. The thesis then explains the inevitable limitations of these attempts and how to overcome them by shifting the focus of medical situation from ‘a disease in a patient’ to ‘a person suffering pain.’ For this, the thesis first describes the positive contributions of medicine to the quality of human life through its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rogresses. It then goes on to show a problem that medical situations are still not free from the problem of reductionism despite these advancements because of the medical field’s attachment to its professionalism. The reason why the study pays attention to this problem is that medicine engages with a whole human being more than any other field. More specifically, a medical situation might be in danger of committing the distortion of scientism by viewing the reality of pain as ‘the object of elimination’ when ‘a disease of body’ receives more attention than ‘a person in pain.’ Even though the conventional approach of medicine that focuses on ‘disease’ has a great degree of ‘efficiency’ before human anxiety associated with death, this ‘efficiency’ causes both medical practitioners and patients to get attached to ‘the objective view of pain.’ As a result, medicine ends up defining health as the condition of no-disease and treatment as the technique of eliminating disease. Even though the elimination of disease can be viewed as a great achievement in terms of efficiency and visibility, considering the work of medicine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disease elimination might prevent medicine from realizing its authentic purpose of recovering humanhood to a human being and lifeness to a living being by ignoring the uniqueness of an individual human being and the nature of life which encompasses both living and dying. In regard to this, from the early 20th century, American and European medical practitioners have tried to imbue medicine with the spirit of humanities to recover the authenticity of medicine. This is the result of various projects from humanities that attempt to view humans no longer as ‘objects’ but as ‘counterparts’, whom we encounter and converse with in relationship in the midst of struggle not to violate the dignity of human being. It also means that the field of medicine has now begun to share the insight that medical practitioners and patients should stop the kind of relationship in which they objectify each other while one party has hegemony over the other but start a new kind of relationship whether both experience each other as ‘counterpart’ in a personal encounter. However, despite the ethical legitimacy of these personalistic attempts within medical circles to recover humanhood, they have failed to overcome the problem of the bio-political structure of government due to the limitations inherent in every kind of centralism. To solve this problem, we have to expand and develop humanhood into lifeness and to specifically realize the authentic meaning of lifeness, we have to call for the ideal of a whole person which refuses all kinds of attempts to reduce a human being to its partial dimension. However, because the ideal of a whole person does not only mean the finitude of human being but the tendency of human being to orient itself toward transcendence, the primitive religiosity of human being can be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in solving the problem. The reason why this thesis unfolds a religious-philosophical discussion lies here. This understanding of a whole person asks for ‘solidarity of mutual relation.’ A religiosity that embodies the ideal of a whole person can be achieved through the existential faith which forms solidarity with the other, not through institutional religion. This form of religiosity enables solidarity of mutual relation in the situation of pain and gives room for the meaningful interaction of christian theology and medicine to cooperate for the recovery of the wholeness of a human person.

      • 근거중심의학(EBM) 정보서비스 도입을 위한 연구 : 임상 전공의의 정보이용행태와 EBM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박진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this study, it is exploring ways to introduce EBM information service for doctors and it is the basic research for inducting a new information service in medical library. To perform this research, 102 clinical residents engaged at a university hospital were selected from the population of residents during June 2010 to July 2010. Clinical resident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nd awareness of EBM show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tendency of doctors using the library is to visit website rather than directly to visit library and the ratio using the library homepage is higher in medical physicians group and high years group than in surgical group and the low years group. The main purpose of the library is higher in writing a research than in applying clinical practice, while the main purpose of information search of doctors is higher in applying clinical practice than in writing a research. For the more clinical practice, low years group is more likely to retrieve information and for writing research papers, high years group mainly have been performed. Second, the second literature(treatment guideline, meta-analysis,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hich suggests EMB methods and have high levels of evidence is more useful than the first literature which has low levels of evidence. However, the doctors' searching ability for PubMed is as high as basic level. furthermore, the doctors who use the Cochrane library is just less than 30% of total doctors. This results show that the ability of doctors for searching literature and performing EMB is very low. Third, the degree of preference of specialists for EMB is higher than the one of the knowledge level about EBM in their average. EBM preference was higher internal medicine group than surgical group and higher low years group than high years group. This study shows that the frequence of information searching for the clinical practice is in proportion to the EBM preference. The EMB preference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treatment department. Through th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for clinical practice and EBM awareness, the introduction ways of EBM information service are as follows. First, medical libraries should support them and developed the services for doctors who try to information search for clinical practice. The EBM information service should includ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residents years in order to support services effectively. For example, it is supported that clinical practice service for low years group and research service for high years group. Second, the second literature such as a systematic review have good impacts on doctors' clinical practices. However, doctors' ability to do research and to utilize databases is very poor. Therefore, the medical library have to enforce them and give doctors trainings to use information. Third, most doctors have a positive impression to EBM. The lack of time to do is acting as the biggest stumbling block. This plan for systematic review of the EBM, such as how to perform two doors to the old search for clinical use by the 'search mode' is to carry out. Perform such a search mode in a short time, high information ‘geungeoryeok’ help them to take advantage of EBM in clinical practice for the doctors give their time and effort savings. Fourth, the effective EBM performance should be supported to build the EMB information service. EMB is not necessary for the surgeons who perform 2nd medical treatment because EBM is the system for the doctors who perform the 1st medical treatment. Therefore, the medical library should give the intensive support for the physician to build the effective EBM information service. 본 연구는 국내 의학도서관의 새로운 임상 정보서비스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로, 의학도서관 이용자인 임상 전공의들의 정보이용행태 및 근거중심의학(EBM)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함으로써 EBM 정보서비스 도입가능성과 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임상진료를 주로 하는 임상 전공의를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표본 집단으로 S대학교병원에 근무하는 임상 전공의 102명을 대상으로 2010년 6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임상 전공의의 정보이용행태 및 EBM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 전공의들이 정보검색을 수행하는 목적은 연구논문 작성보다는 임상진료를 위한 빈도가 더 높았다. 그러나 도서관을 이용하는 목적은 단지 연구논문 작성일 뿐 임상진료를 위한 정보검색 수행 시 도서관을 이용하는 비율은 매우 낮다. 이는 도서관을 통해 임상진료를 위한 정보검색 목적을 달성하려는 기대치가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임상 전공의들의 도서관 이용 성향은 도서관 방문보다는 홈페이지 이용이 주를 이루었으며, 주 이용자는 내과계와 고년차이다. 의사들은 저년차일수록 임상진료를 위해, 고년차일수록 연구논문 작성을 위해 정보검색을 시도한다. 전공의들이 주로 이용하는 정보원은 교과서 및 단행본이며 연차가 높아질수록 도서관 전자저널의 이용이 증가한다. 둘째, EBM 방법론에서 제시하는 근거력 높은 연구문헌인 2차 문헌(임상진료지침과 메타분석 또는 체계적 문헌고찰)이, 근거력이 낮은 연구문헌인 1차 문헌(무작위화시험, 증례보고, 비교연구)에 비하여 실제 의사들의 임상진료에 더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근거력 높은 연구문헌을 획득하기 위한 의사들의 문헌검색능력은 기본검색 수준에 머무르고 있고, 응답자의 70% 이상이 2차 문헌 검색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의사들의 EBM 수행을 위해서는 먼저 문헌검색과 데이터베이스 활용교육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뒷받침 해준다. EBM 데이터베이스 이용경험, 2차문헌에 대한 지식, PubMed 검색능력은 EBM 선호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진료를 위한 정보검색 및 학술데이터베이스 이용빈도가 높은 그룹일수록 EBM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셋째, 전공의들이 갖고 있는 EBM에 대한 선호도는 그들이 가진 EBM에 대한 지식수준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EBM을 수용하려는 전공의들의 견해는 진료과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외과계가 내과계보다 EBM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가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p<0.001). 이러한 차이는 EBM 수행에 장애가 되는 요인에서도 나타났듯이 내과계는 EBM 수행에 정보활용능력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반면, 외과계는 진료과의 특수한 성격에서 발생하는 의료 환경상의 한계가 EBM 수행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밝혀진 임상진료 시 의사들의 정보이용행태와 EBM에 관한 인식과 태도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의학도서관의 EBM 정보서비스 도입을 제안하였다. 첫째, 임상진료를 위해 정보검색을 시도하는 의사들의 비중이 높지만 의학도서관은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정보서비스가 부족하다. 따라서 의학도서관은 연구논문 작성 지원 뿐만 아니라 임상진료에 관련된 정보서비스를 신설해야한다. EBM 정보서비스 즉, EBM 관련 데이터베이스 홍보 및 2차 문헌 활용교육이 그것이다. 이 같은 EBM 정보서비스가 효과적으로 달성되기 위해서는 진료과별 연차별 차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예컨대,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저년차를 위해서는 임상진료를 위한 정보서비스, 고년차를 위해서는 연구논문을 위한 정보서비스를 실시하여 효율적인 정보서비스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의학도서관에서는 PubMed이외에 다양한 EBM 관련 데이터베이스에 관심이 많은 의사들을 위하여 임상진료에 도움이 되는 EBM 관련 데이터베이스 이용교육을 종합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실제 의사들의 임상진료에 도움이 되는 문헌은 2차문헌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전공의들은 이러한 2차문헌을 검색하고 임상에 적용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예컨대, PubMed 교육 시 2차문헌 검색기능을 심도있게 다루는 교육이 이뤄져야하며, 2차 문헌 검색에 도움을 주는 EBM 관련 데이터베이스(예, Cochrane Library, EMBASE, ProQuest Evidence Matters 등)에 대한 종합적인 교육이 도입되어야 한다. 또한 EBM 관련 데이터베이스의 이용과 2차문헌에 대한 지식은 의사들의 EBM 선호도에 영향을 끼치므로 의학도서관의 EBM 정보서비스를 통해 의사들의 EBM에 대한 관심을 더욱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전공의들의 EBM 수행에 가장 큰 걸림돌로 나타난 시간적 여유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EBM 수행 방법 중 체계적 문헌고찰과 같은 2차 문헌을 활용하는 ‘검색모드’를 교육해야 한다. ‘검색모드’의 수행은 짧은 시간 내에 근거력 높은 정보를 임상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EBM 수행을 위한 의사들의 시간과 노력을 절감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넷째, EBM 정보서비스를 도입할 때는 실제 진료과정에서 EBM을 보다 필요로하는 내과계 전공의들에게 집중적인 정보활용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한편, 외과계 전공의들의 EBM에 대한 관심을 충족 시켜주기 위하여 진료현장에서 보다 쉽게 EBM을 수행할 수 있는 IT 기반 EBM 정보검색 서비스를 확대하여야 한다.

      • 한국 민초 가정의의 생애사와 직업정체성 : 구술사 연구

        이기헌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More than 40 years after the introduction of family medicine to Korea,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rimary care physicians, an important providers in community health system, is still lacking. Using oral history research methodology, this paper historicized the life of grassroots family physician, the owner of independent clinic, where he or she practices the primary care in Korea. Southern Gyeonggi Branch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recruited two groups family physicians, a senior and junior generation group that each consisted of 3 physicians, on behalf of the researcher. The senior cohort was born in the 1960s, went to medical school in 1980s, received their board certification in the 1990s, and started their practices before 2000. The junior cohort was born in the 1970s, went to medical school in the 1990s, and opened private practice after obtaining their board-certification after 2000. After written, signed, and dated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one-on-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record transcripts were made. Oral testimonies about each stages of their lives were collected. Most of them were from poor or lower middle class families. Their motives for pursuing medical school were diverse; religious beliefs, humanity, ideology, illness and death of close people, job stability, upward social mobility, and a family pressure. Professional independence and self-employment were important factors that motivated physicians to become specialists. The senior cohort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burgeoning social movements as pre-medical students. With the start of medical school and training, they scaled back their social activities for academic endeavors in the highly competitive environment. They became family physicians, operating their own private practice, focusing mainly on their professional and personal lives. The senior cohorts returned to social activism and engaged with physician strikes actively in 2000, during the physician-pharmacists sector division. After that, they have adapted to change, continuing practice and clinic operation, or increasing their volunteering based on their religious beliefs, using medicine as a tool to share and give. They have conformed themselves to adjust in the weak health care delivery system. They also tried to readjust themselves to the National Health Checkup policy. The junior cohort had to develop and tailor themselves in a much fiercer competition than the senior generation. Self-development of professional expertise as a family physician was the major goal of their life and work. The religious and ideological beliefs of the senior generation were reflected in their daily and professional lives, while self-development and financially sustaining their practice demanded greater attention in the case of the junior generation. To all of the oral history research participants, the core elements of primary health care, which were trained as the principles and theories of family medicine at the time of residency, were: (1) First contact care, (2) Comprehensiveness, (3) Continuity, (4) Coordination, (5) Family-oriented, (6) Community-oriented. These had a greater impact on them than any knowledge of diagnosis and treatment, and guided them to adapt to the community health care system in Korea. Population is ageing rapidly, and the demographic change is burdening the healthcare system making it unsustainable. Strengthening primary care can be a measure to alleviate the increasing strain on the limited healthcare resources. Nurturing quality primary care providers, standardizing training,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in both theory and practice contribute to enhancing the primary care system. Family physicians should be the actors innovating primary care, internalizing the core aspects of the discipline, continuing to drive the momentum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rimary care system. 대한민국에 가정의학이 도입된 지 40여년이 된 시점에, 지역사회 의료체계의 중요한 서비스 공급자인 1차 진료 의사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며, 그들에 관한 내용은 아직 역사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개원하여 1차 의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의원 원장으로 근무하는 민초 가정의들의 삶과 직업적 삶을 구술사 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여 역사화하고자 하였다. 구술 대상자는 대한가정의학회 경기남부지회에서 총 6명을 섭외 모집하였으며, 1960년대 출생하여 1980년대에 의과대학에 입학하고, 1990년대에 가정의학과 전문의를 취득하고 2000년 이전에 개원한 민초 가정의 3명과 1970년대 출생하여 1990년대에 의과대학에 입학하고, 2000년 이후에 가정의학과 전문의를 취득하고 이후 개원한 민초 가정의 3명의 두 그룹으로 구성되었다. 구술자 6명 각자에 대하여 문서화된 동의하에 구술자와 연구자 일대일 구술 면담이 진행되었으며, 전사된 구술 녹취문을 바탕으로 구술자 민초 가정의의 삶과 직업적 삶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로서 구술에 응한 민초 가정의들은 대부분 여유롭지 못한 가정환경에서 자라났다. 의사가 되기로 결심하고 의과대학에 진학하려 한 동기는 다양하였다. 종교적 신념, 인류애, 이념, 가까운 사람의 질병 이환과 사망 등의 동기로부터, 전문인의 안정성, 사회적 경제적 계층 상승 욕구, 부모나 가족들의 바램 등 다양한 동기들이 각자에게 복합적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일단 전문의가 되면 조직에 속하지 않고도 비교적 자율적으로 자유롭게 직업적 삶을 살 수 있다는 것도 장점으로 여겨졌다. 구술에 응한 1960년대 생 민초 가정의들은 의과대학 입학 후 의예과 시절에 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나 학년이 올라가면서 의과대학 내부에서의 경쟁과 학업에 몰입하며 사회로부터 멀어졌고, 동질감을 가진 동료 선후배가 많은 가정의학과로 세부 전공을 선택한 후, 전문의가 되어 진료와 경영에 매진하며 직업적 삶과 개인적 삶을 영위하다가, 의약분업 당시 의사 파업 사태 때 지역사회에서 투쟁의 적극 가담자로서의 실천 후, 이제는 사회적 변화와 제도적 변화에 적응하며 진료와 경영을 이어가거나 또는 종교적 신념을 더 큰 우선순위로 두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도구로서 의업을 이어나가는 경우도 있었다. 구술자 모두가 1차 의료의 모습을 바꿔 놓은 취약한 의료전달체계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 검진 제도 하에서 잘 적응해 내야 했으나, 특히 후배 세대인 1970년대 생 민초 가정의들은 선배 세대보다 더 치열한 경쟁 속에서 자신을 계발하고 적응해 나가야 했기에, 그것이 삶과 직업적 삶의 주요 과제였다. 구술자 민초 선배 세대 가정의들의 삶과 직업적 삶은 그들의 종교적 신념과 이념적 신념을 반영하여 전개되었고, 후배 세대 가정의들의 삶과 직업적 삶은 바뀐 시대상에서 그들에게 더 개인적이고도 치열한 자기계발 노력을 요구하였다. 구술자 민초 가정의들에게 공통적으로, 가정의학을 택한 후 전공의 시절 가정의학의 원론과 총론으로서 수련 받은 일차보건의료의 핵심 요소들, 즉, ① 의료의 접근성과 최초 접촉 케어, ② 포괄성, ③ 지속성, ④ 조정, ⑤ 가족 지향, ⑥ 지역공동체 지향은, 그들에게 오히려 질병 각론보다 더 큰 영향을 주며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보건의료체계에 맞춰 적용되었다. 고령화로 인구 구조가 변하고 질병 분포가 바뀐 오늘날의 대한민국에서는 의료자원 소모의 폭발적 증가가 예고되고 있어, 현 상태의 보건의료체계는 지속가능하지 못할 것이다. 높은 품질의 일차보건의료체계를 위해 우수한 일차의료 공급자를 양성해야 하며, 가정의학 각론 뿐 아니라 원론과 총론 부분에서도 교육 수준과 수련 표준화의 수준을 모두 높여야 한다. 가정의들은 일차보건의료체계 혁신의 객체가 아닌 주체로서, 가정의학의 핵심 요소를 깊이 내재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차보건의료체계의 품질을 높이는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 韓末·日帝 初 近代的 醫學體系의 形成과 植民 支配

        박윤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韓末·日帝初전개된 近代的醫學體系의 형성과 재편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재 한국 의학체계의 원형 중 하나를 이루는 植民地醫學體系의 내용과 성격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조선정부가 독자적으로 수립하고자 했던 근대적 의학체계의 내용과 성격을 분석하였으며, 이어 통감부시기부터 형성된 식민지 의학체계의 내용과 성격을 병원, 교육, 법률, 경찰 분야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개항 이후 국가적 과제로 富國强兵論이 제기되는 가운데 서양의학은 경제적 생산력 향상이라는 富國의 과제뿐 아니라 부상병 치료 등을 통해 强兵이라는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급한 수용의 대상으로 인식되었다. 특히 서양의학 개념인 衛生은 질병을 사전에 예방하여 국가의 구성원인 국민의 건강을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부국강병을 실현할 수 있는 유력한 수단으로 주목받았다. 개화파를 중심으로 전개된 醫學論은 1890년대 兪吉濬에 이르러 질병관, 국가기구, 법률제도 등의 내용을 모두 포괄하는 가운데 근대적 의학체계를 지향하는 논의로 발전하였고, 그가 참여했던 갑오개혁 과정에서 근대적 의학체계의 형성을 위한 노력이 가시화되기 시작했다. 구체적으로 내부 산하에 衛生局이 설치되어 향후 조선의 위생행정을 담당할 중앙 행정기관으로 자리잡게 되었고, 1895년 콜레라 유행시 방역법규의 제정과 동시에 위생국의 관여 아래 서양의사들이 주도하는 防疫委員會가 조직되었다. 대한제국기에 접어들어 현단계의 가장 큰 과제는 서양의학의 수용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는 가운데 서양의학의 장점과 함께 기존 조선의 주류 의학이었던 한의학에 대한 비판이 표면화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한의학이 활용되어온 조선과 조선인이라는 지역적.신체적 특수성은 한의학이 지속될 수 있는 근거로 이용되었고, 결국 대한제국기 의학과 관련된 논의는 서양의학과 한의학 중 어느 하나를 폐기하거나 부정하기보다는 각 의학의장점을 살리자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대한제국기 서양의학에 대한 관심은 醫學校를 통해 관철되었다. 처음에는 東西竝存의 방향을 취했던 의학교의 교육내용은 일본인 교사 채용이 결정되면서 서양의학 위주의 그것으로 확정되어갔다. 그러나 한의학에 대한 신뢰는 의학교와 함께 근대적 의학체계의 중요 요소인 관립병원에 한의사를 고용하는 방식으로 관철되었다. 나아가 대한제국은 한 의학을 자신의 공식 의학으로 인정하는 조치를 취했다. 근대적 의학체계를 형성함에 있어 필수적 요소인 의료인에 대한 자격 규정에 있어, 한의학 전공자들을 정식 의사로 인정한 것이었다. 일본은 조선침략을 본격화하면서 대한제국의 동서병존 구상과는 다른 西洋醫學一元化를 추진하였다. 이미 일본은 자국 내에서 서양의학 일원화를 달성한 상태였고, 조선에진출하던 시기부터 자신들이 선차적으로 수용한 서양의학의 성과에 기반하여 조선의 '文明開發'을 지도하겠다고 나선 상황이었다. 나아가 일본은 지배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조선의 의학체계를 재편시켜나갔다. 구체적으로 1907년 위생경찰사무를 포함한 모든 의학 관련 업무를 관장하는 중앙 의료기관으로 大韓醫院을 건립하였고, 각 지방에 위생경찰사무를 담당하는 警務顧問醫를 파견하였다. 이러한 재편과정에서 일본의 의사단체인同仁會는 자신의 소속 회원을 경무고문의로 파견하는 등 민간 차원에서 통감부의 활동을 지원하였다. 통감부에 의해 재편된 의학체계는 서양의학 시술을 통한 조선인 懷柔, 경찰의 위생업무를 통한 조선인 統制라는 이중적인 목표를 추구하는 가운데 총독부시기에 접어들어서도 그 성격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구체적으로 식민 지배를 영구화하기 위해 총독부가 시행한 회유는 서양의학 시술기관인 관립병원의 증설을 통한 의료혜택의 확대로 나타났고, 통제는 군사적 성격이 강화된 위생경찰제도의 정립을 통해 이루어졌다. 조선병합을 계기로 大韓醫院附屬醫學校는 朝鮮總督府醫院附屬醫學講習所로 개칭되었고, 1916년 4월에는 京城醫學專門學校로 승격되었다. 이 의학교들은 설립 당초부터 이론적인 의학연구를 담당하는 의학자보다는 환자의 질병을 진단.치료할 수 있는일반 開業醫의 육성이 교육목표임을 분명히 하였다. 이러한 교육정책은 이론연구와 교육지도에서 일본에 종속된 의학교육의 식민지 체제를 형성시킴으로써 일본의 조선 지배를 영구화시키려는 의도와 연결되는 것이었다. 총독부는 醫師規則을 통해 서양의학 전공자만을 의사로, 醫生規則을 통해 종래 조선의 대표적 의료인인 한의사를 정규 의사가 아닌 의사의 보조인력으로 규정함으로써 조선에 서양의학 중심의 의학체계를 정착시키는 법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총독부는 한의사를 대체할만한 서양의학 전공자의 육성에 노력을 기울이기 보다는 의사시험을통한 의사의 증가를 추진하거나, 의생규칙의 부수조항으로 과도기적인 의생의 양산을 허용하는 등 미봉적인 조치만을 취했다. 자혜의원 설립을 계기로 통감부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협력했던 동인회가 배제되어나간 사실에서 단적으로 드러나듯이 총독부는 군대와 경찰이 중심이 된 의학체계를 형성시켜나갔다. 특히 그 성격은 위생경찰제도의 정비를 통해 현실화되었다. 구체적으로 청결사업과 방역사무의 진행에 있어 경찰은 총 사령탑 역할을 담당하였는데, 이렇게 위생경찰의 역할이 강조된 것은 청결과 방역사업의 진행과정이 각 개인의 권리를 제한하고통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식민지 의학체계가 지속되는 동안 지방에 관립 혹은 공립병원이 증설되었고, 의학 관련 법률제도가 정비되었지만, 위생경찰이 중심이 된 의학체계의 성격은 변동되지 않았다. 그 사실은 식민지시기동안 조선에서는 적극적인 건강의 향상보다는 생명의 보호라는소극적인 행정만이 실시되었고, 조선인은 다만 위생경찰의 통제범위 안에 있는 객체의범주에 머물렀다는 것을 의미했다. 결국 위생경찰을 포함하여 식민지 의학체계의 운용에참여했던 사람들에게 의학은 이해나 권리의 개념이 아니라 지배나 통제의 도구로 인식되었고, 그 반대편에서는 자발과 동의보다는 타율과 복종에 익숙한 被植民人이 창출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at the colonial medical system was and how it was developed as one of the core medical systems in Korean medical history. The author analysed the formation and reorganization of the modern medical system in late Great Han Empire and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1876-1919)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ly a detailed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medical system that the Chosun dynasty tried to establish. Then, an inquiry into the colonial medical system from Residency-General period was made on four fields : hospitals, education, legislation and the police. After Korea opened her ports to foreign countries in 1876, there growed up the national needs to be a wealthy country and to have a powerful army. The Western medicine was considered as one of the means to meet these needs. Western medicine was regarded serviceable to increase national production and maintain a powerful army. Especially, the notion of sanitation was highlighted on as an effective tool in a way of actualizing a wealthy and powerful country by virtue of taking preventive measures against disease and promoting the health of the people. Yu Gil-jun(兪吉濬), one of the members of the Civilized Party, discussed diseases, governmental agencies, and legislation toward the modern medical system in the 1890s. Efforts were made to set up a better health system during Gap-o Reformation(甲午改革) in which he participated. The Sanitary Control Agency(SCA) was created as a sub-department of administrative ministry with a view to take charge of sanitary administration in Korea. Also the SCA enacted the preventive law against epidemics and organized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Commission in which the western doctors took initiatives while cholera prevailed throughout the country. The appearance of critical discourse about Oriental medicine that had been a major part of Korean medical system characterize the medical discourse of the Great Han Empire. Also there was a claim that we should emphasize on accommodating the Western medicine as our primary concern. So the Western medicine as well as the Oriental medicine was discussed in that period. Still the Oriental medicine continued playing an important role using its geographic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in Korea. Both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s respectively took their own advantages of rather than deprived of each other's field in Great Han Empire. It was the Government Medical School that accomplished its purpose of accepting the Western medicine in Great Han Empire. The curriculums in the medical school had been transformed from having both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s to focusing on the Westerns after having Japanese teacher. But still there was the certain belief that we should have the Oriental medicine as a main part of a medical system. So the Oriental medical doctors continuously got hired in government-run hospitals that played the alternative role in the modern medical system together with the medical school. Furthermore, the Great Han Empire approved of the Oriental medicine as an official one. So the Oriental medical doctors were accepted as legally licensed medical doctors regarding qualification as a part of the modern medical system. While Japan invaded Korea in an aggressive way, it promoted the Western Medicine Only Policy differentiating from that of Great Han Empire. The Great Han Empire tried to promote both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s at the same time. Japan had already promoted its own Western Medicine Only Policy and achieved the unified medical system on the basis of that policy. And Japan would try to change Korea's medical system over its accomplishment. Furthermore, Japan reorganized Korea's medical system in order to strengthen its ruling power. Japan specifically established the medical center Daehan Hospital(大韓醫院) supervising all the medical affairs including the sanitary police in 1907 and dispatched the police advisory doctors(警務顧問醫) taking in charge of sanitation to each province. Douzinkai(同仁會), a private society of Japanese doctors, supported the Residency-General by dispatching its members as the police advisory doctors during the reorganizing process. The reorganized medical system by the Residency-General aimed at two objectives : to conciliate the Koreans by the practice of Western medicine and to control them through the sanitary police. In order to appease the Korean people, Japan built many government-run hospitals and expanded the Western medical services. Also military doctors were involved in the sanitary police system to enforce control over Korea. After merging of Korea to Japan, the medical school attached to Daehan Hospital was renamed as the medical training center annexed to Chosun Government-General Hospital (朝鮮總督府附屬醫學講習所). Then it promoted to Gyengseong Medical College(京城醫學專門學校) in April 1916. From the beginning, the school aimed at training general practitioners rather than educating highly qualified doctors including specialized researchers. Their policy of medical education agreed with Japan's general educational policy, intending to eternalize her ruling over Korea. Japan intended to establish a colonial medical system subordinating to Japan in medical research and educational training. The Government-General enacted a new regulation that authorizes Western medical doctors only, the Oriental medical doctors, who had been practically playing major roles in Korea, were not qualified officially but were defined as alternative assistant. Based on this legislative regulation, colonial medical system was established upon Western medicine. The Government-General increased the number of doctors by issuing licence to those who pass the licence examination. Anyone could become a doctor by passing the licence examination without receiving any formal education, which entailed the danger of authorizing unqualified personnels. Although the Oriental medical doctors were not officially authorized, but there were definite needs. So an exceptional rule was added on the regulation for Oriental medical practitioners. In a certain transitional period, the Oriental medical doctors could have a license according to the exceptional law. Both way were considered to be temporary policies because they did not focus on medical education in a long run. One of the special features of the medical system by Government-General was that the military doctors and police heavily involved in it. Jahye Hospital(慈惠醫院) was a good example that showed up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medical system driven by the military doctors. While Jahye Hospital was being established, Douzinkai, initiated by private doctors, was excluded even though it had actively supported the Residency-General before. The other distinctiveness of the medical system by Government-General explained why the sanitary police system was consolidated. The police usually tended to limit the individual rights and control people. By magnifying their characteristic, the police became easily involved in sanitation and epidemic controls in Government-General medial system. It was the sanitary police that played the major role in sanitary affairs and epidemic controls. Although the number of public or government-run hospitals increased and legislation associated with medical affairs was consolidated, the characteristic of the core medical system depending on the sanitary police did not change over the colonial period. It means that the medical policy laid stress on protecting lives in passive way rather than improving people's health in active way. It also showed that Koreans were merely the subject under the control of sanitary police through out over the colonial period. Therefore, those who were in charge of running the colonial medical system considered medicine not as a right or a interest of people but as a tool of governing or ruling Korean people. And others were accustomed to being the colonized public familiar with not spontaneity and agreement but with obedience and submission.

      • 디지털 환경에서의 의학도서관 서비스 모형에 관한 연구

        정현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의학 도서관은 의학의 전문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의학 정보자료와 시설을 갖추고, 주제 전문적인 특성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그러나 국내 의학 도서관은 예산이나 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의학 정보의 특성과 이용자들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채, 입수된 자료를 관리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또한 이용자는 의학 도서관을 주로 전자저널 열람의 목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의학 도서관의 이용률 향상을 위해서, 저널의 관리가 아닌 새로운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학 도서관의 현황을 반영하고 이용자의 요구를 수렴한, 의학 도서관의 현실적인 서비스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이를 위해 통계 자료와 홈페이지 분석을 통해, 국내 의학 도서관의 규모와 현황과 서비스에 대해 조사했다. 국외 의학 도서관의 홈페이지 내용 분석을 통해,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서비스의 내용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의학 도서관 이용자의 정보 이용 행태나 성향・특징, 요구 사항 등의 내용과 관련하여 이용자 유형별로 나누어 면담하고 내용을 정리하였다.이러한 정리・분석을 통해 의학 도서관 서비스 모형을 이용자의 참여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이용자와 의학 도서관의 협동 관계를 필요로 하는 교실별 의학 정보원은, 이용자가 실제 이용하는 정보를 중심으로 정보원을 구축・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용자는 연구에 필요한 실질적인 정보를 이용할 수 있고, 도서관은 최소한의 관리 작업으로 유용한 정보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둘째, 이용자의 참여를 통한 이용자 교육은, 일반적인 의학 도서관 관련 교육은 의학 도서관이, 의학 주제 관련 교육은 이용자가 하도록 역할을 분담하는 것이다. 셋째, 이용자와 의학 도서관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는 Liaison 프로그램은 연구 지원 서비스의 바탕이 될 것이고, 연구 상담의 경우는, 의학 도서관의 노력이 필요한 부분이지만 반드시 시행해야 할 서비스이다. 연구 자료 관리 서비스는 홈페이지를 통해, 이용자의 연구 정보 저장 공간 제공과 동시에 공유하게 함으로써, 가공된 정보원을 이용자에게 서비스 한다는 목적을 갖는다.본 연구에서는 의학 도서관에서 제공할 수 있는 현실적인 서비스 모형을 제시한다. 일반적인 도서관의 서비스가 아닌, 이용자와의 협동을 통한 서비스 모형은 능동적으로 발전해나갈 것이며,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서울시 의학도서관 웹페이지에 관한 연구

        한혜영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의학도서관은 보건, 의료분야에 종사하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연구, 교육 및 환자치료에 관계된 의학자료들을 수집, 정리, 축적하여 제공하는 기관이다. 이러한 의학도서관이 이용자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제공기관이 되기 위해서 다양하고 수준 높은 정보서비스가 이루어져야하는 한편 급변하는 정보환경속에 적응하며 발전하는 새로운 도서관의 모습으로 거듭나야한다. 현재 도서관은 정보통신의 기술에 힘입어 전자도서관의 구축을 활발히 하며 인터넷의 확산으로 웹사이트 활용이 각 분야에 걸쳐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도서관도 예외이지 않다. 의학 도서관 역시 웹페이지를 구축함으로써 기존 의학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웹으로 확장시키고 다양한 디지털 자원을 이용하여 양질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용자와의 상호커뮤니케이션을 효율적이며 활발히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은 그 필요성과 관심에도 불구하고 의학도서관에서의 웹페이지의 운영과 웹서비스제공은 미흡한 실정이다. 디지털 시대에 의학도서관이 경쟁력을 갖추고 전문의학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는 학술정보기관이 되기 위해서는 의학도서관 웹페이지를 구축하고 활용하는 것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의학도서관 웹페이지의 구조와 내용을 분석하고 운영상황을 조사하여 의학도서관 웹페이지의 구축과 운영 그리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의 조사 및 분석방법으로는 웹페이지의 방문조사와 설문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웹페이지의 방문조사 및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학도서관 웹페이지는 독립적 형식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외국어버전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다양하며 주제에 맞는 정보원을 관련정보사이트로 연결한다. 넷째, 의학도서관 웹페이지를 통해서 다양한 웹DB가 제공하도록 한다. 다섯째, 온라인참고봉사의 경우 웹페이지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한다. 여섯째, 원문제공환경이 적절히 구축되어야 한다. 일곱째, 웹서버환경으로는 도서관자동화프로그램의 지원과 전용서버가 지원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웹페이지의 유지 및 관리에 관한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학도서관 웹페이지의 주된 이용자를 대상으로 웹페이지의 목적과 방향을 설정하고 운영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의학도서관 웹페이지 운영 개선과 활성에 필요한 요건으로 컨텐츠의 보강과 운영자의 웹페이지에 대한 지식과 기술력 신장, 재원의 확보, 웹페이지의 교육과 홍보가 요구된다. 셋째, 이용자들과 최고경영자의 웹페이지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웹페이지 컨텐츠로 의학전자정보원의 지원 확대 및 제공이 요구되며 관련의학정보원을 웹페이지를 통해 찾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의학도서관 웹페이지를 통한 온라인참고봉사와 온라인이용자교육이 보다 다양하고 이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방향으로 실시되어야한다. 여섯째, 이용자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편리한 웹페이지 구조를 구축하고 컨텐츠를 강화하며 웹페이지의 최신성을 유지해야 한다. 일곱째, 의학도서관 웹페이지의 안정적이며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 도서관자동화프로그램이 도입과 전용웹서버의 구축 및 설치, 담당직원의 배치가 필요하다. 여덟째, 이용자와의 상호의견을 통한 웹페이지 운영 및 관리가 이루어져야하며 성문화된 규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medical libraries is to collect and assort materials relevant to medical researches, education and treatment, and ultimately to provide such information to people in health and medical sectors. For medical libraries to become true providers of necessary information that library users are looking for, they should be equipped with a variety of quality materials and also reborn as a new concept libraries by adapting and developing themselves in the ever-changing information society. As the internet becomes universal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website has widely penetrated into every corner of our life. Libraries have also been jumping on this web bandwagon, introducing e-libraries in a proactive manner. Website enables medical libraries to provide customer-friendly information services in cyber?space and create a more active and effective communications network with library users. Despite this concern and necessity, medical libraries still have a long way to go in terms of their webpage operation and web services. It is urgently necessary for medical libraries to come up with ideas on how to develop and operate webpages, and through this effort they will be able to become leading academic institutes in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in the digital era.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out ways to upgrade and improve existing webpages and providing feedbacks on the operation of webpages to be installed, by analyzing the structures and contents of medical libraries' webpages and their operation. Webpage visit and questionnaire distribution were employed as survey tool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as a result, by webpage visits. First, a webpage should be operated in an independent fashion. Second, English-version contents should be available. Third, information sources on various subjects should be linked to relevant sites. Fourth, various web database should be provided, Fifth, effective online customer services should be realized. Sixth, original scripts should be available. Seventh, a library automation program and an exclusive web server should be installed. The questionnaire survey on webpage maintenance and operation has l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 webpage should be operated in a way that it can meet the demands of frequent visitors. Second, contents upgrade, better knowledge and higher skills of operators, secure finance, and education and promotion are required. Third, enlightening webpage users and the top management to hold positive views on webpage is necessary. Fourth, provision of more e-medical information sources as webpage contents are required and their availability in a webpage is desirable. Fifth, more diversified online customer services and online educations for webpage users should be provided in a user-friendly way. Sixth, an easy and simple webpage, more powerful contents and frequent webpage update are necessary to realize more users' satisfaction. Seventh, utilization of a library automation program, installation of an exclusive web server and a permanent webpage operator are necessary. Eighth, webpage operation and maintenance should be done in consultation with users and written regulations are required.

      • 우리나라 산업의학과 의사의 직업전문성 조사

        신성환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Medical Professionalism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Physicians in Korea Seunghwan Shin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Advisor: Prof. Jong Tae Lee, M.D)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different typ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between specialists and residents in occupational & environmental physicians. Methods: A survey, asking both perceptions of reality and priority of professionalism virtues in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by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one by 109 occupational & environmental physicians in Korea. The physician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 Resident Group and Board certified Specialist group. There are 4 questions about perceptions of reality and survey respondents gave 5-scale scores to each of 10 professionalism virtues in the questionnair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given by a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priority difference of each 10 professionalism virtues between two groups were analyzed through student T-test by using the SPSS 17.0K program. Afterwards, the type of medical professionalism in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was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us the information that specialists have more optimistic views about reality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than residents. 10 virtu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listed in order of priority, highest to lowest. Occupational & environmental physicians valued ‘technical competence’, ‘professional dominance’, ‘morality’ important, but ‘altruism’ has the lowest score.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occupational & environmental physicians's type of medical professionalism didn't match any of seven typ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from Castellani & Hafferty. This is assumed because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field is different from other clinical medicine in physician's role. Further studies and discussions are necessary for establishing suitable model of medical professionalism for occupational & environmental physicians. Key Words: Type of medical professionalism, Occupational & environmental physicians. 국문초록 우리나라 산업의학과 의사의 직업전문성 조사 신 성 환 (인문의학 전공) (지도교수 :이 종 태) 의학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연구목적 전통적으로 의사는 그들이 속한 사회에서 ‘치료자’이자 ‘전문가’로써의 역할을 수행해왔/는데, 이러한 전문직으로의 전통은 중세시대 유럽과 영국의 대학과 길드(guild)에서 그 원형을 찾아볼 수 있다. 서구사회에서 의학이 전문직으로 성장해온 배경에는 사회계약을 바탕으로한 의사들의 적극적인 사회참여가 있었던 반면, 우리나라 의사들의 사회적 지위는 스스로의 경쟁과 질적 관리를 통하여 획득한 것이 아니라 정부의 면허제도를 통하여 일방적으로 주어진 수동적인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 더해서 의사들의 직업전문성에 대한 개념조차 모호하였고, 직업전문성에 대한 연구도 질적 분석에 치우쳐 각 전문가그룹에 대한 다방면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전문직으로써 필요한 덕목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산업의학과 의사들의 직업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유형을 파악하였고, 해당 분야 전문가로써 적합한 직업전문성 역할 모델을 찾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9년 기준 대한산업의학회를 통해 주소록에 등록된 회원 414명(전문의 341명, 전공의 73명) 전체를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2009년 12월 1일부터 설문지를 발송하여 2009년 12월 31일까지 회신된 설문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Castellani 등은 의료분야에서의 직업전문성의 유형에 대해 설명하면서 전문가로써 필요한 10가지 덕목의 우선순위에 따라 각각의 유형을 분류하였는데,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이러한 분류에 따라 산업의학분야 전문가로써의 현실에 관한 인식차이 4문항과 전문가로써 필요한 10가지 항목 각각의 중요도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응답한 10가지 항목의 점수는 각각 평균을 구하여 점수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정하였고 이를 토대로 7가지 직업전문성의 유형 중 해당되는 유형과 비교하였다. 조사대상은 전공의와 전문의 두 군으로 나누어서 설문 응답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고, 전공의군은 1,2년차를 포함하는 저년차군, 3,4년차를 포함하는 고년차군으로 나누고, 전문의군은 경력 10년을 기준으로 10년이상군과 10년미만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빈도분석을 통해 각각의 응답에 대한 비율을 구하였고, 평균비교 및 카이제곱 테스트 방법을 이용하여 전공의군과 전문의군 및 각각의 하위그룹간의 응답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산업의학분야 전문의와 전공의 4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설문에 응답한 전문의는 65명, 전공의는 44명으로 응답율은 전문의가 19.1%, 전공의가 60.3%로 전체 26.3%였다. 산업의학과 현실에 대한 인식정도를 설문한 4가지 문항에서는 대체적으로 전문의들이 전공의들에 비해 산업의학과 현실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산업의학 전문가로써의 미래가 희망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p<0.01)” 항목과 “지난 10년간의 산업의학의 전문가로써의 위치를 어떻게 표현하시겠습니까?(p<0.01)” 항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식차이가 있었다. 각 군별 직업전문성 항목의 중요도 우선순위를 요약하면, 산업의학과 의사 전체에서 ‘기술적 능력’, ‘전문직의 권위’, ‘도덕성’에 대해서 중요도를 비교적 높게 평가하였다. 전공의군을 저년차군과 고년차군으로 비교했을 때 저년차군에서 ‘전문직의 권위’, ‘기술적 능력’, ‘상업주의’ 항목의 중요도를 비교적 높게 평가하였고, 고년차군에서 ‘사회계약의 성실한 수행’, ‘삶의균형’, ‘도덕성’ 항목을 높게 평가하였다. 전공의 저년차군과 고년차군 간에는 ‘자율성(p=0.03)', ‘이타주의(p=0.01)’, ‘전문직의 권위(p=0.03)', ‘사회계약의 성실한수행(p<0.01)’, ‘상업주의(p<0.01)' 항목에서 중요도 평균점수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전문의군을 경력 10년이상과 10년미만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을 때 두 군간에서 중요도 평균점수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항목은 없었고, ‘기술적 능력’, ‘전문직의 권위’, ‘도덕성’ 항목 순으로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였다. 결 론 산업의학과 의사들을 대상으로한 직업전문성 유형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전문의들이 전공의들에 비해 산업의학 분야의 현실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항목이 확인되었다. 산업의학 전문가로써 필요한 덕목에 대한 중요도 평가에서는 ‘기술적 능력’과 ‘전문직의 권위’ 항목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았다. 반면 ‘이타주의’ 항목의 우선순위가 가장 낮게 나타나 후행 연구를 통한 원인 파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산업의학 전문가로써 필요한 항목에 대한 중요도 평가를 토대로 직업전문성 유형을 조사한 결과, 향수형(nostalgic), 기업형(entrepreneurial), 학구형(academic), 생활양식형(lifestyle), 경험형(empirical), 무비판형(unreflective), 활동가형(activist)중 경험형과 유사한 특성이 있었으나 ‘이타주의’, ‘자율성’, ‘삶의균형’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다른 임상의학과와는 다른 산업의학과 분야의 특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산업의학과 의사들이 전문가로써의 역할을 자각하고 그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산업의학과 의사들에게 적합한 직업전문성 역할 모델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Key Words : 직업전문성, 산업의학과 의사

      • 대체의학에 대한 조리 종사자의 인식도 조사

        이소영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ed to find ways of vitalizing alternative medicine(nutrition therapy) and surveyed 310 cook workers on 4 types of general information(sex, career, etc.), their perception of alternative medicine(perception of alternative medicine, current status of use, perception level, etc.), and 8 perception items of food therapy(perception of nutrition therapy, prospect of use, expected effect, etc.). As for the perception of alternative medicine,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of it, mostly through “the Internet, TV, radio and printed publications” or “education, lectures, seminars and exhibitions”. Many respondents said they used the alternative therapy as a supplementary means to relieve symptoms and pain. As for the utilization of alternative medicine, there were positive survey results about “scientific standardization”,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through systematic programs”, “accurate publicity and education on alternative medicine”, and “institutionalization into the medical system”; responden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nutrition therapy, because “it enhances the effect of treatment when applied in conjunction with medicine”, and “it can be used and accessed easily”. Most responded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food treatment menu to prevent disease, and demanded “development of supplementary treatment menu for a specific disease of an individual”, “development of health menu required for the general public”, “development of diverse food and products as a convenient meal”, and “development of detailed menu by life cycle”. When asked about whether they were willing to be educated when alternative medicine(nutrition therapy) professional courses were set up, most cooks expressed taking them actively. As for the role of alternative medicine(nutrition therapy), respondents perceived that “it helps to prevent diseases”, “helps with the treatment of diseases”, “helps to prevent aging and prolong life”, and “it is a safe method that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medic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urvey, the perception of cook workers about alternative medicine(nutrition therapy) was found to be positive in most items. Therefore,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education systems for cook workers and expend nutrition therapy majors by promoting positive perception about alternative medicine(nutrition therapy) studies. 본 연구에서는 조리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대체의학(식품치료)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조리종사자 310명을 대상으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 4항목(성별, 경력 등), 대체의학의 인식도(대체의학의 인식, 이용현황, 인지수준 등), 식품치료의 인식도 8항목(식품치료의 인식, 이용전망, 기대효과 등)으로 인식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체의학에 대한 인식도의 경우 과반 수 이상이 대체의학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인터넷, TV, 라디오 및 인쇄매체’나 ‘교육 및 강연, 세미나, 전시회 등을 통해’ 알게 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대체요법을 경험한 이유는 ‘증상 및 통증의 완화 등 치료방법의 보조적 수단으로’이용한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대체의학의 활용방안의 경우 ‘과학적 표준화 선행’,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전문 인력 양성’, ‘대체의학에 대한 정확한 홍보와 교육’, ‘제도권 진입’에 대해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으며, 식품치료의 중요성에 대해 ‘현대의학과 병행하면 치료의 효과가 상승’되기 때문에, ‘손쉽게 활용하고 접할 수 있기 때문에’라고 하였다. 질병예방을 위해 식품치료식 메뉴개발이 매우 필요하다고 대부분이 응답하였으며, ‘개인별 특정 질병에 대한 보조치료식 메뉴개발’, ‘일반인들에게 필요한 건강메뉴개발’, ‘식품 및 제품을 편의식으로 다양하게 개발’, ‘생애주기별로 세분화된 메뉴개발’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의학(식품치료) 전문인 과정이 마련되면 교육을 받을 의향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부분의 조리종사자들은 적극적으로 받아 볼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의학(식품치료)의 역할에 대한 연구결과 ‘질병예방에 도움이 된다’, ‘질병치료에 도움이 된다’, ‘노화예방과 수명연장에 도움을 준다’, ‘건강증진에 도움을 준다’, ‘현대 의학적 치료와 병행할 수 있는 안전한 방법이다’라고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조리종사자들의 대체의학(식품치료)에 대한 인식도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향후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체의학(식품치료)의 학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산시켜 조리사종사들의 교육제도 방안 마련과 식품치료 전공확산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