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지털 환경에서의 의학도서관 서비스 모형에 관한 연구

        정현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의학 도서관은 의학의 전문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의학 정보자료와 시설을 갖추고, 주제 전문적인 특성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그러나 국내 의학 도서관은 예산이나 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의학 정보의 특성과 이용자들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채, 입수된 자료를 관리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또한 이용자는 의학 도서관을 주로 전자저널 열람의 목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의학 도서관의 이용률 향상을 위해서, 저널의 관리가 아닌 새로운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학 도서관의 현황을 반영하고 이용자의 요구를 수렴한, 의학 도서관의 현실적인 서비스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이를 위해 통계 자료와 홈페이지 분석을 통해, 국내 의학 도서관의 규모와 현황과 서비스에 대해 조사했다. 국외 의학 도서관의 홈페이지 내용 분석을 통해,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서비스의 내용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의학 도서관 이용자의 정보 이용 행태나 성향・특징, 요구 사항 등의 내용과 관련하여 이용자 유형별로 나누어 면담하고 내용을 정리하였다.이러한 정리・분석을 통해 의학 도서관 서비스 모형을 이용자의 참여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이용자와 의학 도서관의 협동 관계를 필요로 하는 교실별 의학 정보원은, 이용자가 실제 이용하는 정보를 중심으로 정보원을 구축・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용자는 연구에 필요한 실질적인 정보를 이용할 수 있고, 도서관은 최소한의 관리 작업으로 유용한 정보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둘째, 이용자의 참여를 통한 이용자 교육은, 일반적인 의학 도서관 관련 교육은 의학 도서관이, 의학 주제 관련 교육은 이용자가 하도록 역할을 분담하는 것이다. 셋째, 이용자와 의학 도서관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는 Liaison 프로그램은 연구 지원 서비스의 바탕이 될 것이고, 연구 상담의 경우는, 의학 도서관의 노력이 필요한 부분이지만 반드시 시행해야 할 서비스이다. 연구 자료 관리 서비스는 홈페이지를 통해, 이용자의 연구 정보 저장 공간 제공과 동시에 공유하게 함으로써, 가공된 정보원을 이용자에게 서비스 한다는 목적을 갖는다.본 연구에서는 의학 도서관에서 제공할 수 있는 현실적인 서비스 모형을 제시한다. 일반적인 도서관의 서비스가 아닌, 이용자와의 협동을 통한 서비스 모형은 능동적으로 발전해나갈 것이며,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서울시 의학도서관 웹페이지에 관한 연구

        한혜영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의학도서관은 보건, 의료분야에 종사하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연구, 교육 및 환자치료에 관계된 의학자료들을 수집, 정리, 축적하여 제공하는 기관이다. 이러한 의학도서관이 이용자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제공기관이 되기 위해서 다양하고 수준 높은 정보서비스가 이루어져야하는 한편 급변하는 정보환경속에 적응하며 발전하는 새로운 도서관의 모습으로 거듭나야한다. 현재 도서관은 정보통신의 기술에 힘입어 전자도서관의 구축을 활발히 하며 인터넷의 확산으로 웹사이트 활용이 각 분야에 걸쳐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도서관도 예외이지 않다. 의학 도서관 역시 웹페이지를 구축함으로써 기존 의학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웹으로 확장시키고 다양한 디지털 자원을 이용하여 양질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용자와의 상호커뮤니케이션을 효율적이며 활발히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은 그 필요성과 관심에도 불구하고 의학도서관에서의 웹페이지의 운영과 웹서비스제공은 미흡한 실정이다. 디지털 시대에 의학도서관이 경쟁력을 갖추고 전문의학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는 학술정보기관이 되기 위해서는 의학도서관 웹페이지를 구축하고 활용하는 것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의학도서관 웹페이지의 구조와 내용을 분석하고 운영상황을 조사하여 의학도서관 웹페이지의 구축과 운영 그리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의 조사 및 분석방법으로는 웹페이지의 방문조사와 설문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웹페이지의 방문조사 및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학도서관 웹페이지는 독립적 형식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외국어버전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다양하며 주제에 맞는 정보원을 관련정보사이트로 연결한다. 넷째, 의학도서관 웹페이지를 통해서 다양한 웹DB가 제공하도록 한다. 다섯째, 온라인참고봉사의 경우 웹페이지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한다. 여섯째, 원문제공환경이 적절히 구축되어야 한다. 일곱째, 웹서버환경으로는 도서관자동화프로그램의 지원과 전용서버가 지원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웹페이지의 유지 및 관리에 관한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학도서관 웹페이지의 주된 이용자를 대상으로 웹페이지의 목적과 방향을 설정하고 운영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의학도서관 웹페이지 운영 개선과 활성에 필요한 요건으로 컨텐츠의 보강과 운영자의 웹페이지에 대한 지식과 기술력 신장, 재원의 확보, 웹페이지의 교육과 홍보가 요구된다. 셋째, 이용자들과 최고경영자의 웹페이지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웹페이지 컨텐츠로 의학전자정보원의 지원 확대 및 제공이 요구되며 관련의학정보원을 웹페이지를 통해 찾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의학도서관 웹페이지를 통한 온라인참고봉사와 온라인이용자교육이 보다 다양하고 이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방향으로 실시되어야한다. 여섯째, 이용자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편리한 웹페이지 구조를 구축하고 컨텐츠를 강화하며 웹페이지의 최신성을 유지해야 한다. 일곱째, 의학도서관 웹페이지의 안정적이며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 도서관자동화프로그램이 도입과 전용웹서버의 구축 및 설치, 담당직원의 배치가 필요하다. 여덟째, 이용자와의 상호의견을 통한 웹페이지 운영 및 관리가 이루어져야하며 성문화된 규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medical libraries is to collect and assort materials relevant to medical researches, education and treatment, and ultimately to provide such information to people in health and medical sectors. For medical libraries to become true providers of necessary information that library users are looking for, they should be equipped with a variety of quality materials and also reborn as a new concept libraries by adapting and developing themselves in the ever-changing information society. As the internet becomes universal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website has widely penetrated into every corner of our life. Libraries have also been jumping on this web bandwagon, introducing e-libraries in a proactive manner. Website enables medical libraries to provide customer-friendly information services in cyber?space and create a more active and effective communications network with library users. Despite this concern and necessity, medical libraries still have a long way to go in terms of their webpage operation and web services. It is urgently necessary for medical libraries to come up with ideas on how to develop and operate webpages, and through this effort they will be able to become leading academic institutes in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in the digital era.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out ways to upgrade and improve existing webpages and providing feedbacks on the operation of webpages to be installed, by analyzing the structures and contents of medical libraries' webpages and their operation. Webpage visit and questionnaire distribution were employed as survey tool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as a result, by webpage visits. First, a webpage should be operated in an independent fashion. Second, English-version contents should be available. Third, information sources on various subjects should be linked to relevant sites. Fourth, various web database should be provided, Fifth, effective online customer services should be realized. Sixth, original scripts should be available. Seventh, a library automation program and an exclusive web server should be installed. The questionnaire survey on webpage maintenance and operation has l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 webpage should be operated in a way that it can meet the demands of frequent visitors. Second, contents upgrade, better knowledge and higher skills of operators, secure finance, and education and promotion are required. Third, enlightening webpage users and the top management to hold positive views on webpage is necessary. Fourth, provision of more e-medical information sources as webpage contents are required and their availability in a webpage is desirable. Fifth, more diversified online customer services and online educations for webpage users should be provided in a user-friendly way. Sixth, an easy and simple webpage, more powerful contents and frequent webpage update are necessary to realize more users' satisfaction. Seventh, utilization of a library automation program, installation of an exclusive web server and a permanent webpage operator are necessary. Eighth, webpage operation and maintenance should be done in consultation with users and written regulations are required.

      • 근거중심의학(EBM) 정보서비스 도입을 위한 연구 : 임상 전공의의 정보이용행태와 EBM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박진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is study, it is exploring ways to introduce EBM information service for doctors and it is the basic research for inducting a new information service in medical library. To perform this research, 102 clinical residents engaged at a university hospital were selected from the population of residents during June 2010 to July 2010. Clinical resident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nd awareness of EBM show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tendency of doctors using the library is to visit website rather than directly to visit library and the ratio using the library homepage is higher in medical physicians group and high years group than in surgical group and the low years group. The main purpose of the library is higher in writing a research than in applying clinical practice, while the main purpose of information search of doctors is higher in applying clinical practice than in writing a research. For the more clinical practice, low years group is more likely to retrieve information and for writing research papers, high years group mainly have been performed. Second, the second literature(treatment guideline, meta-analysis,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hich suggests EMB methods and have high levels of evidence is more useful than the first literature which has low levels of evidence. However, the doctors' searching ability for PubMed is as high as basic level. furthermore, the doctors who use the Cochrane library is just less than 30% of total doctors. This results show that the ability of doctors for searching literature and performing EMB is very low. Third, the degree of preference of specialists for EMB is higher than the one of the knowledge level about EBM in their average. EBM preference was higher internal medicine group than surgical group and higher low years group than high years group. This study shows that the frequence of information searching for the clinical practice is in proportion to the EBM preference. The EMB preference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treatment department. Through th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for clinical practice and EBM awareness, the introduction ways of EBM information service are as follows. First, medical libraries should support them and developed the services for doctors who try to information search for clinical practice. The EBM information service should includ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residents years in order to support services effectively. For example, it is supported that clinical practice service for low years group and research service for high years group. Second, the second literature such as a systematic review have good impacts on doctors' clinical practices. However, doctors' ability to do research and to utilize databases is very poor. Therefore, the medical library have to enforce them and give doctors trainings to use information. Third, most doctors have a positive impression to EBM. The lack of time to do is acting as the biggest stumbling block. This plan for systematic review of the EBM, such as how to perform two doors to the old search for clinical use by the 'search mode' is to carry out. Perform such a search mode in a short time, high information ‘geungeoryeok’ help them to take advantage of EBM in clinical practice for the doctors give their time and effort savings. Fourth, the effective EBM performance should be supported to build the EMB information service. EMB is not necessary for the surgeons who perform 2nd medical treatment because EBM is the system for the doctors who perform the 1st medical treatment. Therefore, the medical library should give the intensive support for the physician to build the effective EBM information service. 본 연구는 국내 의학도서관의 새로운 임상 정보서비스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로, 의학도서관 이용자인 임상 전공의들의 정보이용행태 및 근거중심의학(EBM)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함으로써 EBM 정보서비스 도입가능성과 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임상진료를 주로 하는 임상 전공의를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표본 집단으로 S대학교병원에 근무하는 임상 전공의 102명을 대상으로 2010년 6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임상 전공의의 정보이용행태 및 EBM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 전공의들이 정보검색을 수행하는 목적은 연구논문 작성보다는 임상진료를 위한 빈도가 더 높았다. 그러나 도서관을 이용하는 목적은 단지 연구논문 작성일 뿐 임상진료를 위한 정보검색 수행 시 도서관을 이용하는 비율은 매우 낮다. 이는 도서관을 통해 임상진료를 위한 정보검색 목적을 달성하려는 기대치가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임상 전공의들의 도서관 이용 성향은 도서관 방문보다는 홈페이지 이용이 주를 이루었으며, 주 이용자는 내과계와 고년차이다. 의사들은 저년차일수록 임상진료를 위해, 고년차일수록 연구논문 작성을 위해 정보검색을 시도한다. 전공의들이 주로 이용하는 정보원은 교과서 및 단행본이며 연차가 높아질수록 도서관 전자저널의 이용이 증가한다. 둘째, EBM 방법론에서 제시하는 근거력 높은 연구문헌인 2차 문헌(임상진료지침과 메타분석 또는 체계적 문헌고찰)이, 근거력이 낮은 연구문헌인 1차 문헌(무작위화시험, 증례보고, 비교연구)에 비하여 실제 의사들의 임상진료에 더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근거력 높은 연구문헌을 획득하기 위한 의사들의 문헌검색능력은 기본검색 수준에 머무르고 있고, 응답자의 70% 이상이 2차 문헌 검색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의사들의 EBM 수행을 위해서는 먼저 문헌검색과 데이터베이스 활용교육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뒷받침 해준다. EBM 데이터베이스 이용경험, 2차문헌에 대한 지식, PubMed 검색능력은 EBM 선호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진료를 위한 정보검색 및 학술데이터베이스 이용빈도가 높은 그룹일수록 EBM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셋째, 전공의들이 갖고 있는 EBM에 대한 선호도는 그들이 가진 EBM에 대한 지식수준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EBM을 수용하려는 전공의들의 견해는 진료과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외과계가 내과계보다 EBM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가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p<0.001). 이러한 차이는 EBM 수행에 장애가 되는 요인에서도 나타났듯이 내과계는 EBM 수행에 정보활용능력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반면, 외과계는 진료과의 특수한 성격에서 발생하는 의료 환경상의 한계가 EBM 수행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밝혀진 임상진료 시 의사들의 정보이용행태와 EBM에 관한 인식과 태도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의학도서관의 EBM 정보서비스 도입을 제안하였다. 첫째, 임상진료를 위해 정보검색을 시도하는 의사들의 비중이 높지만 의학도서관은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정보서비스가 부족하다. 따라서 의학도서관은 연구논문 작성 지원 뿐만 아니라 임상진료에 관련된 정보서비스를 신설해야한다. EBM 정보서비스 즉, EBM 관련 데이터베이스 홍보 및 2차 문헌 활용교육이 그것이다. 이 같은 EBM 정보서비스가 효과적으로 달성되기 위해서는 진료과별 연차별 차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예컨대,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저년차를 위해서는 임상진료를 위한 정보서비스, 고년차를 위해서는 연구논문을 위한 정보서비스를 실시하여 효율적인 정보서비스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의학도서관에서는 PubMed이외에 다양한 EBM 관련 데이터베이스에 관심이 많은 의사들을 위하여 임상진료에 도움이 되는 EBM 관련 데이터베이스 이용교육을 종합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실제 의사들의 임상진료에 도움이 되는 문헌은 2차문헌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전공의들은 이러한 2차문헌을 검색하고 임상에 적용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예컨대, PubMed 교육 시 2차문헌 검색기능을 심도있게 다루는 교육이 이뤄져야하며, 2차 문헌 검색에 도움을 주는 EBM 관련 데이터베이스(예, Cochrane Library, EMBASE, ProQuest Evidence Matters 등)에 대한 종합적인 교육이 도입되어야 한다. 또한 EBM 관련 데이터베이스의 이용과 2차문헌에 대한 지식은 의사들의 EBM 선호도에 영향을 끼치므로 의학도서관의 EBM 정보서비스를 통해 의사들의 EBM에 대한 관심을 더욱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전공의들의 EBM 수행에 가장 큰 걸림돌로 나타난 시간적 여유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EBM 수행 방법 중 체계적 문헌고찰과 같은 2차 문헌을 활용하는 ‘검색모드’를 교육해야 한다. ‘검색모드’의 수행은 짧은 시간 내에 근거력 높은 정보를 임상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EBM 수행을 위한 의사들의 시간과 노력을 절감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넷째, EBM 정보서비스를 도입할 때는 실제 진료과정에서 EBM을 보다 필요로하는 내과계 전공의들에게 집중적인 정보활용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한편, 외과계 전공의들의 EBM에 대한 관심을 충족 시켜주기 위하여 진료현장에서 보다 쉽게 EBM을 수행할 수 있는 IT 기반 EBM 정보검색 서비스를 확대하여야 한다.

      • 의학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 유용성 인식과 만족도 및 충성도의 영향관계 분석 : K대학교 의과대학 및 간호대학 대학생을 중심으로

        정지원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의과대학 및 간호대학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업성취 측면에서의 도서관 유용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도서관 유용성 인식과 만족도, 충성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K대학교 의학도서관을 이용하는 의과대학 및 간호대학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162부를 분석하였다. 도서관 유용성 인식은 이용목적에 따른 도서관 유용성 인식과 개별서비스에 대한 도서관 유용성 인식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만족도는 도서관 이용과 학업성취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또, 충성도는 재이용 및 추천의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이용목적에 따른 도서관 유용성 인식은 시설> 직원 및 서비스> 자료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개별서비스에 대한 도서관 유용성 인식은 시설> 자료> 직원 및 서비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이용목적에 따른 도서관 유용성 인식에 대한 요인 중 직원 및 서비스와 시설이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직원 및 서비스와 시설에 대한 유용성 인식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대학생의 개별서비스에 따른 도서관 유용성 인식에 대한 요인 중 시설이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설에 대한 유용성 인식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대학생의 이용목적에 따른 도서관 유용성 인식 요인과 개별서비스에 대한 도서관 유용성 인식 요인, 만족도 중 만족도가 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족도가 높을수록 충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의과대학 및 간호대학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의학도서관 유용성 인식과 만족도 및 충성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의학도서관의 유용성을 파악하여 대학생 이용자의 만족도 및 충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대학생의 학업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한 의학도서관 서비스를 개발하는 기초자료로서 의학도서관 대학생 이용자가 도서관에 갖는 유용성 인식을 파악한 연구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medical students on the usefulness of K University Medical Libra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usefulness, satisfaction, and loyalty to the library. To this end, a survey of medical students at K University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162 surve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perception of library usefulness was investigated by dividing it into two criteria: a) intended use and b) individual services. Library satisfaction was examined in terms of ‘library use’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loyalty to the library was examined in terms of 'reuse' and 'willingness to recommend.'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library usefulness in terms of the 'intended use' was higher in the order of 'facilities,' 'employees & services,' and 'library materials.' The perception of library usefulness in terms of 'individual services' was higher in the order of 'facilities,' 'library materials,' and 'employees & services.' Second, among the factors of 'intended use', 'employees & services' and 'faciliti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edical library satisfaction. Thu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employees & services' and 'facilitie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medical library. Third, among the factors of 'individual services,' 'faciliti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edical library satisfaction. Thu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facilitie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medical library. Fourth, among the factors of 'intended use', the 'satisfaction' of the medical librar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loyalty of the medical library. Similarly, among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library usefulness in terms of 'individual services', the 'satisfaction' of the medical library also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medical library loyalty'. As a resul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a medical library, the higher the loyal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mong the medical library services, improving the facilities of a medical library can especially enhance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us, to increase users' satisfaction, it is important that medical libraries improve their facilities. In effect,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medical libraries should help to improve the loyalty of medical libra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on improving medical library services in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