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산재 나비춤 춤사위에 관한 연구

        안소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2

        인류는 재천의식 속의 가무를 통해서 자신들의 소망과 축원을 기원했고, 이러한 것이 바로 현재 전통예술의 원류가 되었다. 이런 역사적 근거하에서 한국전통무용의 측면을 고려하면 영산재 나비춤은 한국전통무용의 가장 중요한 원류 중 하나로 간주되어질 중요한 가치가 있다. 본 논문의 연구는 외래종교였던 불교가 한국에 전파되면서 의식무용에 미친 영향을 영산재 나비춤을 통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영산재는 의식의 화려함과 규모의 웅장함 때문에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제 50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따라서 이러한 영산재 절차에서 행해지는 모든 불교작법들 중에서 나비춤에 대한 형식과 미를 고찰한다는 것은 한국전통무용의 상징성과 무대예술의 고귀한 표현미를 연구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이 될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논문에 수록되어 있는 나비춤 사위의 발동작 사진과 그림, 그리고 의상에 대한 자료들은 이 나비춤의 종교적 상징성과 표현적 미학에 대한 이해를 도울 것이다. 나비춤 고찰에 대한 중요성은 한국무용이 가진 세련된 조화미, 즉 한국불교사상과 아름다운 예술적 무용미 간의 조화미를 표출 할 수 있는 원인과 과정을 볼 수 있는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우선 불교 의식적인 측면에서의 나비춤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들어 법열의 세계로 인도하는 춤으로, 불보살의 강림이나 의식도량의 옹호와 같은 신비성을 북돋을 필요가 있을 때 추어진다. 이 때 나비춤 옷으로는 나비모양의 도포와 장삼을 입고, 고깔을 쓰며 손에는 연꽃을 들고 춤을 춘다. 나비춤에 수반되는 이러한 의상의 화려함은 동작의 단순함과 적절하게 결합되어 서로 상대적이면서도 자연스러운 조화의 미를 표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나비춤 춤사위 동작에는 다른 여러 춤사위와는 구별되는 중요한 두 가지 특징이 있는데, 첫째는 동작의 단순성이다. 절제에 의해 시현되는 이 단순성은 화려함과 복잡함을 통해 시각적 자극에 주로 호소하는 다른 대중적 형식의 춤 형태와 구별되는 중요한 점이다. 더우기 단순하지만 나비춤의 춤사위는 각각의 동작이 의미 있는 종교적 메세지를 전달하고 있다. 예를 들면, 베풂을 상징하는 의미로 손을 끌어 모아 감싸안는 듯한 동작이 있는데, 이 동작은 중생 스스로에게 높고 좋은 생각을 통해 잡념을 버리고 대아(大我)적 생각을 추구하라는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 두번째 다른 중요한 나비춤 춤사위의 특징은 단순성을 바탕으로 한 반복성이다. 이는 앞에서 이해되어진 절제를 표현하는 단순성을 바탕으로, 반복을 통해서 불교적인 자기발견의 경지인 선(善)을 추구하고자 하는 정신을 근원으로 하기 때문이다. 영산재 의식에서 이러한 나비춤은 공양을 올릴 때와 예불을 할 때 추게 되는데, 바로 이러한 이유는 천상천하의 모든 신들과 일체의 만물들 중 소생하지 못한 신을 불러들여 죄를 참회시키고 부처님께 귀의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 이 나비춤의 목적은 대중을 자비의 경지에 도달하게 하기 위함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영산재에서 행해지는 불교의식 무용 중에서 나비춤은 넓은 의미에서는 부처님의 공덕을 몸의 움직임으로 작(作)하는 이른바 신업공양(身業供養)의 경지를 표현한 것이며, 동시에 포교적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의식무인 영산재 나비춤은 불교의식무용이 신체의 단순한 움직임으로 눈길만을 끌고자 하는 춤이 아니라, 불교적 진리의 세계를 승화된 예술적 차원에서 직관적으로 이해 할 수 있도록 이끄는 중요한 , 그래서 가치 있는 전통예술형식이라는 사실을 재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나비춤에 대해 단순히 미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연구에서 이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나비춤을 좀 더 깊이 있게 연구하고 발전시켜 나비춤의 춤사위를 통해 한국무용의 창작화 작업의 이론적 기초자료로서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세계적인 우리 춤으로서 발전시킬 가치와 의미를 재조명하는 중요한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고 하겠다. Ancient human beings prayed their wishes through the music and dance in rituals, and this resulted in a main origin of current tradition dance. When Korean tradition dance is considered in the viewpoint of this art history, Youngsanjae Nabichum is a crucial subject in a Korean tradition dance study regime. This study intends to see not only important roles of Buddhism but also essential contributions of Buddhism for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dance through Youngsanjae Nabichum. Youngsanjae is appoint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50 of Korea due to a grandeur size as well as a splendid ritual. Therefore, this study about the beauty and structure of Nabichum among all other Buddhist dance can be considered as a most proper method to be aware of meanings of Korean tradition dance as well as expression of stage art. In addition, pictures and photos of feet motions of Nabichum in this dissertation will help understand the religious meanings and the beauty of expression. A study about Nabichum investigates main reasons and procedures in order to observe how to create graceful harmony of Korea dance between Buddhism of Korea and the beauty of art dance. One of main functions of Nabichum from Buddhism view is to transfer Buddhas teachings. So Nabichum is usually performed to stimulate highly responsive to prayers in divinity. At this stage, the brilliant dress and ornaments of the Nabichum dancer consist of white monks robe, blue, yellow and green Daeryoung, red belt, a peaked hat and lotus flowers in both hands. This well-dressed dancer with a gorgeous flower dances simple mo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beauty of nature as well as the beauty relative based on movements simplicity and clothes gorgeousness. There are two crucial characters on Nabichum movements, which enable Nabichum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various dances. One is the simplicity of movements. Since this simplicity of movements is created by moderation, it is very unique character from other popular dances performing complicated and gaudy movements. Moreover, under this simplicity, each Nabichum movement holds religious message. For example, huge motion implying mercy gives one a message, which leads to peace of mind, to the higher wisdom, to full enlightenment, and finally to attain his/her true self while putting all other thoughts out of his/her mind. The other is the repetition of movements, based on the simplicity. In Buddhism, virtue, which means achieving ones true self, can be realized through repeated practicing the simplicity. During Youngsanjae, Nabichum particularly is performed on a rite which is offering food to Buddha to pray for the repose of soul because the original meaning of Nabichum is to make a prayer calling Bul-bo-sal in rituals for the deads Passing Away to the Land of Perfect Bliss in Buddhism. Therefore, a fundamental goal of Nabichum is to help people realize the meanings of the Land of Perfect Bliss in Buddhism as well as to teach anyone regardless of race, class or gender how to achieve the same Perfect Enlightenment of Buddha. As consequence, the meaning of Nabichum can be interpreted to have more important purpose and meaning as the dance for propagation of the Buddhism, based on the idea of the Land of Perfect Bliss. Nabichum as the defense of religious ritual should be considered as a valuable traditional Korean dance, rather than a Buddhist dance with repeated simple motions, because the motion of Nabichum is very solemn and mysterious, and the intrinsic aura with such motion has a profound Buddhism thought. Finally, I believe that this dissertation is valuable because the meanings and values of Nabichum have been studied in various dimensions. Nabichum is needed to be developed and studied in order to be an important springboard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dance in Korea dance with the Buddhism themes.

      • 한국무용의 생성에 대한 연구 : 동해안굿을 중심으로 한 무속과 불교의식무용에 관한 연구

        박경련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6 국내석사

        RANK : 248671

        As there has been no intrinsic research of the origin of Korean dence, this thesis aimed at examination of different types of Buddhist ritual dances which have been a key element of its artistic completion and discovery of two major shaman exorcisms of the east coast; Pyulsin Kut and Sumangokui Kut studied probably give us comprehensive approach to its origin. In addition, a phenomenon of shaman-Buddhism partnership, Buddhistic elements of kut, and the effect of shamanism and Buddhism on Korean dance were carefully studied. Though from earlier times lots of foreign cultures have been flooded in the peninsula, there we can easily find an unique entity in cultural personality thanks to efforts of reception, recreation, and succesive reproduction. When native-born shamanism was, though a little, threatened by introduction of Buddhism, of course, there was no a big trouble especially in affirmative attitudes, resulting in coexistence of them due to mutual dependence and partnership. A pluralism was therefore shown in Korean people's lives of faith. That is, believers in shamanism were free to go to a Buddhist temple, to participate in Buddhist canons, and to give offerings to Buddhist gods. Such a coexistence might be an evil influence to the purity of Buddhism, but seemed to be a contrituber to deepening participators' devotion and probably served as a clue to invasion of shaman elements into Buddhism. The influence of shamanism on Buddhism, on the contrary, occurred in temporary dependence of believers of the former on the latter to escape eyes of the oppressor who considered the former a low-ranked superstition. As a result, there were found not a few Buddhist elements in shaman tools, costumes, and ceremony terminology. Furthermore, Buddhist gods appeared even in shaman exorcist's home and came to be conceived of supremacy in the midst of Buddhist statues, sutras, a wood block, and invocation. Out of many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of the nation, the shaman exorcism, kut, is the representative of a complex of narration, wisemark well-meant stories, folk song, drama, music, and dancing elements. Thus dancing elements in Korea have been developed and stood on the spotlight in shaman and Buddhist ceremonies, in which led to the essence of different types of dances today. On account of the ultimate goal to attain Buddhahood, Buddhist ritual dances assumed a cautious attitude in performing each of movements in the atmosphere of glory, mystery, and of great elegance. And these have been directly succeeded to the traditional dances taking on motion amidst of rest. Despite the policy of unilateral Confucianism worship in Chosun dynasty, Buddhist ritual dances remain alive until now and give a concised impression of all of the flows in Korean dances. In addition to Buddhist ritual dances themselves, there have been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from the Royal Court dances to those in shamanism of the public. Especially in kuts of the east coast, much of Buddhist coloration was found. Therefore these can be said one of the best examples of shaman-Buddhism partnership. Situated in the origin of Korean dance, they include different types of shaman dances and additionally receive Buddhist elements enough to give us the core of historical changes and flows. In details, all of the ceremonial stages found in the east coast kut are artistically cultivated through spiritual concentration and diffusion and, together with elements of recreation and symbolism, take on Buddhist-colored spirits by virtue of static but rhythmical movements longing for wishes and desire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focused flows of Korean dance be in both shaman exorcisms and Buddhist ceremonies which have been a common spiritual support of the people and that each of them should be preceded in research of Korean dance in future.

      • 李梅芳 僧舞의 춤動作 分析을 通한 思想에 관한 硏究

        백현순 경기대학교 1999 국내박사

        RANK : 248654

        승무는 민속무용의 정수(精髓)로 한국의 모든 무용 중에서 가장 예술성이 높이 평가되고 있는 대표적인 춤이다. 이러한 승무는 이매방류와 한영숙류의 두 가지가 있으며 본 논문은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로 지정된 이매방류승무에 대한 연구이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승무의 기원(起源)은 무엇인가? 2. 호남승무(이매방류)는 어떻게 전승(傳乘)되어 왔으며 구성 및 반주음악은 무엇인가? 3. 승무에는 어떤 춤사위가 있는가? 4. 승무의 동작유형과 숨체(호흡법)를 분석해 승무에 나타난 춤 기법을 입증해 보이고 5. 승무에 나타난 한국 춤 사상은 무엇인가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승무의 기원에 관해서는 불교의식무용으로서의 기원설과 민속무용기원설, 기방예술기원설 등 여러 설이 있으나 이매방류 승무는 승무가 불교의식무용의 갈래로 일정형식을 갖고 내려오다가 권번(券番)에서 재창작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고 본다. 둘째, 이매방류 승무는 신방초에서 이대조로 이대조에서 이매방으로 이어 내려온 춤으로 이대조는 이매방의 집안 할아버지이다. 이매방은 박영구에게서 북가락과 춤을 사사 받았고 이창조에게서 검무를 배워 오늘날 승무를 완성시켰다. 승무는 전체 연희 시간이 35-40분 가량 되며 염불과장, 타령과장, 굿거리과장, 법고-당악과장, 굿거리과장으로 되어 있으며 반주음악은 삼현육각(三絃六角)으로 되어있다. 셋째, 승무의 춤사위는 신체의 3개 부분 즉 팔, 몸통, 발로 나누어 분석해보았다. ① 팔(장삼)의 움직임사위로는 팔 휘젖기, 팔올리기, 팔내리기, 팔 일자펴기, 팔 비스듬히 펴기, 팔 걸치기, 학사위, 꼬리치기사위, 활개펴기사위, 머릿사위 및 뿌림사위가 있다. ② 몸통(상체)의 움직임사위로는 엎드린 사위, 몸통 비틀기 사위, 몸돌리기 사위, 합장사위가 있다. ③ 발(하체)의 움직임사위로는 디딤과 비디딤, 한발들기, 완자걸이, 잉어걸이 연풍대, 안가랑, 까치걸음, 좌우걸이, 지숫기, 비정비팔(比丁比八)이 있다. 넷째, 팔과 몸통과 발움직임으로 나누어진 승무의 동작은 춤의 외적구조로 필체, 학체, 궁체의 세 가지 춤체(춤형태)로 분석되어짐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승무의 춤기법에는 정중동과 대삼소삼, 그리고 양우선이 있으며 정중동은 승무를 출 때 들이쉰 숨을(靜) 덜커덕 떨어뜨림으로써 떨어진 호흡이 순간적으로 정지상태(中)를 이룬 뒤 다시 내쉬는 (動), 정중동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한 한 번은 호흡을 크게, 그 다음 한 번은 호흡을 작게 함으로써 움직임의 대소가 나타나는 대삼소삼 기법과 움직임의 모든 선이 원의 형태인 곡선을 이루는 양우선이 있다. 여섯째, 승무에는 승천경신사상과 원융사상이 기본적 바탕을 이루며 도교 사상적 배경으로 자연사상, 음양사상, 무극과 태극사상이 있다. 그리고 불교배경적 사상으로는 귀일 혹은 회귀사상, 윤회사상이 있고 기타 사상적 배경으로 천지인 합일사상과 여백사상이 있다. 일곱째, 승무의 춤기법과 사상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정중동은 천지인 합일사상을, 대삼소상은 음양사상을, 양우선은 무극과 태극사상, 귀일 혹은 회귀사상을 그 철학적 기반으로 하고 있다. Buddhist dance being considered as the essence of Korean folk dances is one of Korean typical dances, which also has been regarded as the most artistic one among all Korean dances. There are two Buddhist dance styles: Lee, Mae-bang style and Han, Young-sook style. This study chiefly focuses on the Buddhist dance style of Lee, Mae-bang who was designated as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2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first to identify the origin of Buddhist dance, second to examine how Honam Buddhist dance(Lee, Mae-bang style) was handed down and constructional and accompanying musics, third to examine the movements of Buddhist dance, fourth to prove dance techniques of Buddhist dance by analysing motions of Buddhist dance and breathing methods, and fifth to find out the thought of Korean dance appearing on Buddhist d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several assumptions about the origin of Buddhist dance. It has been assumed that it originated as a dance for Buddhist ceremony, from a folk dance or from the Kibang art. It is assumed that Lee, Ma-bang style dance was handed down with regular forms as one of dances for Buddhist ceremony and then was recreated by Kwon Beon. Second, the Lee, Mae-bang style dance is a dance handed down from Shin, Bang-cho to Lee, Dae-jo and then from Lee, Dae-jo to Lee, Mae-bang. Lee, Dae-jo is a grandfather of Lee, Mae-bang. Lee, Mae-bang learned the tune of drum and dance from Park, Young-gu and a sword dance from Lee, Chang-jo, and then completed the Buddhist dance style. It usually takes 35 to 40 minutes to perform Buddhist dance that includes five steps: Buddhist invocation, tune, exorcism, small drum beating with Tang music, and then exorcism. It uses Sam-Hyun-Yuk-Gak as a accompanying music. Third, the movements of Buddhist dance were analysed in three parts of the body; arms, trunk and feet. 1. The movements of arms(long sleeves) include swinging, raising, lowering, stretching straight, stretching aslant, draping, spreading in the form of a crane, wagging, flapping, winding around a head and shaking off. 2. The movement of trunk(upper body) include lying down, twisting, turning and bending down. 3. The movement of feet(legs) including stepping, twistedly stepping, raising a leg, Wanjakeolyi, Ingeokeolyi Yeunpoongdae, Ankarang, Kajikeoleum, Jwawookeolyi, Jisukki and Bijungbipal. Fourth, the motions of Buddhist dance which are divided into movements of three parts(arms, trunk and feet) were analysed to have three dance patterns representing a sword, a crane and a bow. Fifth, there are three techniques of Buddhist dance; "Jeong-Chung-Dong (still but moving)", "Dae-Sam-So-Sam" and "Yang -Woo- Sun." The "Jeong-Chung-Dong" means that inhaled breath is dropped and then the breath is exhaled after the dropped breath remains standstill momently. The "Dae-Sam- So-Sam" is that a high breath is taken on time and a low breath is taken the other time to express large or small movement. Lastly, the "Yang-Woo-Sun" means that all lines of movements form a curve like a circle. Sixth, the basic background thoughts of Buddhist dance are "worshipping heaven and revering God" and "accommodating." The background thoughts of Taoism include "nature", "positive and negative", "endlessness" and "the entity of the cosmos." The background thoughts of Buddhism include "unity into one", "recurrence" and "transmigration." Other background thoughts are "union" and "margin." Seventh, the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echniques of Buddhist dance and its backgrounds laid its philosophical grounds on "the thought of unity of heaven, earth and man into one" for the "Jeong-Chung-Dong", "the thought of positive and negative" for the "Dae-Sam-So-Sam and "the thought of endlessness, the entity of the cosmos, unity into one or return" for the "Yang-Woo-Sun."

      • 문화변동에 따른 무용의식에 관한 고찰

        최정윤 숙명여자대학교 1992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에 와서 무용예술에 등장인물은 불필요한 존재가 되고 있다. 오늘의 무용형식은 시간과 공간과 에너지라는 다이나믹의 요소 혹은 이의 내적 관련에 의해 직접 이야기 되어 질 수 있는 능력에 의의를 갖는다. 즉, 다이나믹과 요소의 시(詩)인 것이다. 이에 오늘의 무용형식은 고전주의의 형식과의 거리를 명확히 하고 있다. 이러한 무용예술의 현대적 조류는 회화가 색채와 선과 구성이라는 요소로 해체되어 캔버스로 부터 구체적 이미지를 배제시켜 가고 있는 것과 동경향의 것으로 볼 수 있다. 현대는 분명히 공동체 상실의 시대이며 개인주의의 시대이다. 그래서 현대가 갖는 견해란 현대라는 개념이 제휴하고 있는 의견인 것이다. 우리 모두는 현대의 고도화된 과학기술과 산업화의 경이가 인간의 행복과는 어긋난 방향에서 진행되어 가고 있음을 자각한다. 함에 우리는 이러한 문제 해결과 새로운 질서 창출을 위해 각기 새로운 견해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자각과 새로운 견해에 대한 희구는 분명 진화론적인 것으로 역사적 필연이라 하겠다. 그런데 우리 무용계의 현실은 이러한 역사적 인식에서 출발하고 있는 것이라기 보다는 자각없는 실험의 반복에서 오는 자동성에 의하여 무목적적 실험만을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현실에 대한 반성과 자각을 기저로 실험이 갖는 전위성의 진정한 본질을 드러내고 전위성의 저류에 흐르고 있는 역사의식을 규명하여 미래를 예지할 새로운 무용을 위한 개념과 형식의 틀을 제시하고자 문화 변동과 그에 따른 무용 양식의 변화를 논술하고 있다. It is often unnecessary for the dancer to enter the stage in contemporary dance art. Today's dance forms have the dynamic elements of time, space and energy, or the abilities which these internal relationships may directly discourse. In other words, the dance is a poet of dynamics and elements. Therefore, to day's dance form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classicism. The modern streams of the dance art and the painting have some common aspects. The modern painting has a tendency to eliminate the concrete image from the canvas according to deconstructing the image to its elements such as colors, lines, constructions, etc. And so does the dance art. It is evident that the modern societies are characterized by the loss of community, or alienation. So to speak, we live in the era of a widespread individualism. So, our current viewpoint is viewpoint which the 'modernistic' idea involves. We know that in the modern societies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and industrialization have being accomplished irrespective of the human happiness. Thus we want to make a 'new' viewpoint and to generate a new order. Our recognition of the development in the modern societies and the aspiration for a new viewpoint must be something evolutionary, or historical necessity. However, in the reality of Korean dance art, those who make avant-garde experiments are not likely to regard these historical recognition as starting point. Rather only experiments which have no meanings are repeated by mechanical automatism. This automatism results from the unconscious repetition of experiments. In this paper, reconsidering these Korean realities, in the first, I reveals the tru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e of avant-garde experiments. In the second, I describe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which is at the bottom of the nature of avant-garde, and propose a framework for the concept and form of a new dance. Achieving these purposes, I discuss the cultural change and its impacts on the change of dance form.

      • '승무(僧舞)' 체험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최명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8

        본 연구의 목적은 승무 춤으로 겪게 되는 주체로서의 순수체험을 '해석학적 현상학'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고, 이러한 무용현상의 개별적이고 독특한 체험방법을 통해 실제적인 면을 파악함과 동시에 승무의 본질적인 내면 구조와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결국 본 연구는 승무의 수행에 대한 개개인의 체험양상과 인간 움직임의 한 형태로서 체험의 본성에 대한 가능한 해석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또한 수행자들의 주관적이고 개인적 체험적 양상과 국면들의 실존적 주제들을 세부적으로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제시하여 체험적 신체성, 공간성, 시간성의 특성과 본질을 본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해석학적 현상학' 의 방법적 기법에 근거하여 의미상의 분류화를 하여 해석하였고 이러한 자료수집과 분석을 위해 해석학적 현상학의 연구 방법인 '체험기술과 해석' 을 사용하였다. 이런 연구방법적 기법은 인간체험의 본질적 현상을 해석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서 인간의 심오한 체험행위로서의 무용인 승무의 체험적 현상을 밝혀줄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었다. 연구 대상자들로 18명의 한국전통무용수가 선정되어 직접 승무를 체험하게 한 후 체험적 인식과 양상을 신체, 공간, 시간의 관점에 맞추어 기술하게 하였고 또한 부족한 사항은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렇게 얻어진 수행자들의 순수체험 기술자료를 통해 의미상 분류한 후 해석하였고 다음과 같이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승무 체험의 본질적 요소는 1) 자아의 독특한 체험, 2) 자연스러운 움직임 3) 이원론적 인식의 용해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요소들은 승무를 추는 무용수들의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체험적 관점에서 범주화 되었고 결국 이런 요소들이 승무체험의 살아있는 체험적 속성과 정의적 요소이자 근본 요인이라 할 수 있겠다. 수집된 자료를 의미분류와 해석과정을 통해 연구의 문제인 신체성, 공간성, 시간성에 관한 세부적인 의미 범주들을 범주화 하여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명료화 하였다. 첫째, 신체성은 다음과 같이 5가지의 의미 범주들이 세부적으로 도출되었다: 1) 호흡의 중요성, 2) 기(氣)의 체험(자각), 3) 심·신의 일체감, 4) 신체 초월의 특이한 감각적 느낌, 5) 신명체험(神明體驗). 둘째, 공간성의 의미 범주들은 다음과 같이 2가지로 제시하였다: 1) 추상적이고 가상적인 공간 체험, 2) 주변공간 요소와의 합일됨. 셋째, 시간성의 관점은 다음과 같이 2가지 측면으로 분류화 하였다: 1) 시간적 흐름 초월, 2) 변형된 시제 체험. 연구결과를 통해 논의를 살 펴 볼 때 연구 대상자들의 체험적 기술로부터 해석된 승무의 체험적 양상과 국면은 매우 역동적이고 다각적임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수행자들의 체험은 일련의 패턴과 양상이 아닌 다양한 양상과 국면을 반영하고 있었으며 체험자들의 승무에 대한 체험적 의미는 개개인의 독특한 주관적 척도와 가치를 내포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의미 분류화된 범주들은 승무를 추면서 무용수 개개인이 겪게 되는 생생한 생명체로 역동적이고 원초적인 체험의 근본요소와 양태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것은 계량적화된 어느 형태로서의 가치척도가 아닌 직접적이고 원초적인 승무의 본질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주들이 춤의 구조가 되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루어 진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승무 체험은 단지 오묘한 체험, 그 자체만을 얘기할 수 있었고 체험자의 내면적 세계와 내재적인 세계라 할 수 있는 신체성, 공간성, 시간성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심·신의 복합적 체험이자 인간실존 체험의 장이라 할 수 있겠다.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to closely examine the pure experiences gotten as subjects dancing Seungmoo(a Korean traditional buddhist dance) from the viewpoint of hermeneutics phenomenological, and to found out the essential inner structures and specialties of Seungmoo as well as to grasp its actual things. Eventually, these aimed to attain the possible interpretation of the individual experience situation gotten from dancing Seungmoo and his (or her) original characters of undergoing Seungmoo. This study divided the existential peculiarities of the experienced persons' subjective, personal and empirical aspects and phases into the following three peculiarities: empirical physical peculiarity, spatial one and time one. And this focused on the characters and essences of the above-mentioned three ones. Based on the approach of hermeneutics phenomenological, this study classified the peculiarities in meanings and constructed them. Also, this study used the 'descriptions and interpretations of experiences', the studying method of hermeneutics phenomenological to collect and analyze these data. This study approach, which elucidated the essential phenomena of human experiences, was utilized as an available instrument explaining the empirical phenomena of the dance 'Seungmoo' of human profound experience behavior. Eighteen korean traditional dancers were chosen as this research subjects. After they were made to directly experience Seungmoo, they were got to describe the empirical perceptions and situations according to their bodies, spaces, and time. Also, the lacking things were complemen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analyzed according to the meanings, explicated these description data of the dancers' pure experiences and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As the essential elements of experiencing Seungmoo, the three elements were induced: 1) the special experience of ego 2) the natural movement 3) the dissolution of dualistic perceptions. These elements were categorized with the subjective, individual and empirical viewpoints of the dancers dancing Seungmoo. After all, these elements can be said to be the living empirical attributes, the definitional elements and the basic chief causes of experiencing Seungmoo. This study, through the meaning classification and the interpretation process, categorized the collected data into the more detailed meaning categories of the physical peculiarity, spatial one and time one and concretely classified them as follows. The first, in the physical peculiarities the following 5 meaning categories were minutely produced: 1) the importance of breath 2) the experience (self-consciousness) of energy 3) the unity sense of the body and the mind 4) the specific, sensual feelings transcending the body 5) the experience of the Divinity. The second, the meaning categories of the spatial peculiarities were presented as follows: 1) the experience of abstract and imaginary space 2) getting united with the surrounding spatial elements. The third, the viewpoints of the time peculiarities were classified as the following 2 aspects: 1) the transcendence of time lapse 2) the experience of changed tense. With the discussion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the Seungmoo-experiencing situations and phases interpreted from the empirical descriptions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very dynamic and multilateral and the experiences of the dancers did nort reflect a series of patterns and situations but diverse aspects and phases; the dancers' empirical meanings of Seungmoo included their individual unique subjective scales and values. The categories classified in meanings in this study, as the vivid living things each dancer comes to go through in dancing Seungmoo, can be called the fundamental elements and situations of the dynamic and original experiences. Finally, these categories can be called not value scales of some metrical forms but the direct and basic essences of Seungmoo, and can be said to be the dance structures and compositely act to compose Seungmoo. In conclusion, Seungmoo experience can be called only an occult one as it is; it can be said to be the stage of the human existence experience and the compound experience of the mind and the body where the peculiarities of the body, the space and the time are compositely united which can be said to be the Seungmoo dancer's inner and immanent world.

      • 직업무용수의 위계의식 아비투스와 구별짓기 행동 : Bourdieu의 이론을 중심으로

        권예진 한국체육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32319

        이 연구는 Bourdieu의 이론을 통하여 직업무용수에게 체화된 위계의식 아비투스를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직업무용수들의 구별짓기 행동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심층적으로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 연구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직업무용수의 체화된 위계의식 아비투스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둘째, 직업무용수의 체화된 위계의식 아비투스는 어떠한 구별짓기 행동을 만들어내는가? 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국ㆍ사립 무용단의 솔리스트로 활동한 경험이 있는 직업 무용수 7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2018년 5월부터 8월까지, 이 연구와 관련된 문헌자료 수집과 비참여관찰 및 심층면담 등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무용수의 위계의식 아비투스는 경제, 문화, 사회자본 구성과 비중 등을 통해 나타났다. 직업무용수의 경제자본은 직업무용수 개인이 축적한 경제적 자본보다 그들의 부모가 가진 경제적 능력이 더욱 부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부모에 의해 상속 가능한 경제자본의 형태(자금지원, 주택, 부동산, 자동차 등)가 전체 경제자본의 총량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직업무용수의 문화자본은 대내외적으로 입증가능한 직업무용수 개인의 출신학교와 입상경력, 취득자격증과 개인이 겸비한 언어능력이 무용단내에서 해당 직업무용수의 입지를 견고히 해주는 주요 문화 자본임을 확인하였다. 직업무용수의 사회자본은 무용수 개인이 속한 무용단의 단장이나 감독과의 친분, 출신학교 동문 무용수의 비중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직업무용수와 무용단의 주요의사결정권을 지닌 담당자와의 관계가 주요 무용수로서의 입지를 다지는 데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며, 출신학교 동문 무용수와의 관계는 직업무용수 개인이 무용단에 적응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직업무용수의 구별짓기 행동은 경제ㆍ문화자본의 위계의식 아비투스, 경제ㆍ사회자본의 위계의식 아비투스, 문화ㆍ사회자본의 위계의식 아비투스에 따라 구별짓기 행동이 다르게 나타났다. 경제ㆍ문화자본의 위계의식 아비투스 구별짓기 행동은 직업무용수가 무용이외의 영역에서 경제적 능력을 과시함으로써 타 무용수들보다 경제자본이 높다는 것을 의도적으로 표출하는 부분이며, 이러한 과시는 무용의 장에서 문화자본을 획득하는데 있어 유용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경제자본이 높은 직업무용수는 문화자본(출신학교, 입상, 자격증 등)을 획득하는데 높은 가능성을 지니게 됨은 물론, 이를 통해 인정을 받을 수 있는 경로를 확보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제ㆍ사회자본의 위계의식 아비투스 구별짓기 행동은 직업무용수의 경제, 사회 자본의 총량과 비율에 의해 나타났다, 직업무용수 중 경제, 사회 자본 모두 높게 획득한 직업무용수들이 무용단의 주요담당자들과 높은 친분을 쌓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자본이 경제자본 보다 높은 무용수들은 출신학교 동문 무용수들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문화ㆍ사회자본의 위계의식 아비투스 구별짓기 행동은 문화, 사회 자본을 모두 높게 획득한 직업무용수들이 해당 자본을 통해 무용단내에서 타 무용수들에 비해 위치적 우위를 보이고 있으며, 두 자본 중, 한 자본에만 높은 편중을 보이는 무용수들은 해당 자본을 중심으로 타 무용수들과의 위계를 재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무용지도자의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이해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2319

        This study aimed to explore and analyze factors that affect ethical recognition of dance community including leaders in South Korea and seek educational solutions to improve ethical recognition of Korea dance community. The qualitative study reviewed previous literature on unethical behaviors that have occurred in dance community, ethics, dance community, and dance leader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for 8 dance leaders in a one-on-one forma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case history analysis an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triangulation method, peer-debriefing and member checks, were utiliz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the dance world have emerged as personal,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pecifically, individual factors such as ethics, occupational level, educational background, dance career, work area, organizational factors, organizational culture, boss, punishment and monitoring are displayed, and social factors and political culture influence environmental factors. The result of giving factor was shown. Secondly, the factors that influence unethical behavior on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dance leaders have emerged as personal,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pecifically, in order and power, organizational factors make up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boss, environmental factors make it into the social climate, and in solicitation, ethics of individual factors, organizational factors' organizational culture and boss, environment Has emerged in the social climate of social factors. Physical and verbal violence is found in ethics due to individual factors, organizational culture due to organizational factors, and bosses, and in abuse and sexual assault, ethical factors due to personal factors, punish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due to organizational factors, and environment. Social factors have influenced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dance leaders. Thirdly, as a solution to raise the ethics awareness of dance leaders, ethical education with compassion for personal factors and stable communication appear, and with organizational factors ethical education about law,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culture, punishment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inspection system, strong legal regulation from environmental factors, support of the dance world, and persistent interest became a solution to raise the ethical awareness of needless leaders.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계의 윤리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고, 무용지도자들의 윤리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무용지도자의 올바른 윤리의식 확립을 위한 해결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무용계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용계에서 발생하는 비윤리적 행위, 윤리, 무용계, 무용 지도자와 관련한 문헌고찰과 무용경력은 10년 이상, 지도경력은 5년 이상으로 발레를 전공한 무용지도자 8명을 대상으로 비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진행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례 기록 분석과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자료의 삼각검증, 동료 간 검토, 구성원 검토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계의 윤리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개인적, 조직적, 환경적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세부적으로는 개인적 요인에서 윤리관, 직급, 학력, 무용경력, 근무지역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적 요인에서 조직문화, 상사, 처벌 및 감찰로 나타났고, 환경적 요인에서 사회적 풍토와 정치적 문화가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비윤리적인 행위가 무용지도자의 윤리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개인적, 조직적, 환경적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세부적으로 위계질서 및 권력에서는 조직적 요인에서 조직문화와 상사, 환경적 요인에서는 사회적 풍토로 나타났으며, 부정 청탁에서는 개인적 요인의 윤리관, 조직적 요인의 조직문화와 상사, 환경적 요인의 사회적 풍토로 나타났다. 신체 및 언어폭력에서는 개인적 요인에서 윤리관, 조직적 요인에서 조직문화와 상사로 나타났으며, 성추행 및 성폭력에서는 개인적 요인에서 윤리관, 조직적 요인에서 처벌과 조직문화, 환경적 요인에서 사회적 풍토가 무용지도자의 윤리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지도자의 윤리의식을 향상시키는 해결방안으로는 개인적 요인에서 윤리교육과 배려하는 마음 갖기, 꾸준한 의사소통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적 요인에서 법과 관련한 윤리교육, 조직문화 개선, 처벌 및 감찰 제도 강화로 나왔으며, 환경적 요인에서 강력한 법 규제와 무용계에 대한 지원 그리고 지속적인 관심이 무용지도자의 윤리의식을 향상시키는 해결방안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