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史劇 드라마 衣裳製作에 관한 연구 : 高麗時代를 중심으로

        원혜은 明知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통일신라말, 고려시대의 통일국가 형성시기를 중심으로 고려를 배경으로 한 사극 드라마와 의상제작에 관한 복식 연구로서 〈제국의 아침〉의 드라마 의상제작의 참여를 계기로 고증된 복식을 드라마 의상으로 재구성하여 제작하는 과정을 정리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TV 화면을 통해 보여지는 드라마의상의 특수성과 표현상의 주의점, 제작상의 문제점을 살펴봄으로 인해 제작에 참여해 본 경험을 통해 앞으로 필요 인력이 요구되는 특수 분야로 드라마 의상 디자이너를 꿈꾸는 후학들에게 향후 응용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연구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의 연구범위는 머리모양과 관모, 장신구, 무관의 갑옷을 제외한 본인이 제작한 고려초 광종때의 드라마 의상을 와, 왕비, 관리, 귀족남자와 여자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태조 왕건〉·〈무인시대〉의 의상을 참조로 하였다. 지금껏 TV 드라마에 있어서 많은 사극 드라마가 있었으나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가 대부분이었고 KBS에서 연작으로 고려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를 방영한 것은 잊혀진 고려에대한 재인식으로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역사적인 측면에서 고려시기는 한국사의 긴 흐름 속에서 하나의 전환기라 할 수 있다. 고려의 개국은 먼저 통일신라 말기부터 점차적으로 신라 특유의 신분제적 사회 체제를 유지해왔던 골품제도에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6두품 세력의 주용과 호족 세력이 대두하여 결국 후삼국 사회가 형성되었다.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 태조 왕건은 건국 초기부터 여러 가지 정책을 실시하여 왕권을 강화하고자 노력하였다. 이어 광종대에 이르러 왕권의 기틀이 어느 정도 마련되었다. 한편 통일신라 말부터 후삼국, 고려에 이르는 이 시기는 우리 역사에 직접·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었던 중국 대륙에서도 당말·오대·송으로 이어지는 하나의 전환기였다. 통일신라 시기에는 유학생을 포함한 많은 신라인이 당으로 건너갔는데, 대외적으로 개방정책을 취하면서 특히 서역의 문화가 많이 들어와 있던 당에서 새로운 문화를 수입하였다. 그밖에 북방의 거란족과 여진족, 그리고 서역의 아라비아 상인들과의 교역이 활발하게 진행됨으로써 우리 문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통일신라시대 흥덕왕의 복식금제(834)는 발효될 당시에 이미 당제가 실시되고 있었다는 가설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하여야 하며, 첫째 당시에 만연된 사치풍토에 대한 금령으로서의 의미가 있고, 둘째는 무너져가고 있던 골품제도를 재정비하려는 의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상하의 골품서열에 따라 20여종의 복식이 규정되어 있다. 남성 복식에서는 복두와 단령포의 출현, 여성 복식에서는 반비, 상의 어깨끈 등 새로운 복식이 나타났다. 당과의 교류가 확대된 이후 나타난 통일신라시대 복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재, 포 아래에 바지와 치마를 함께 착용한 모습이나 김유신묘의 십이지상의 상의와 바지차림, 헌덕왕릉 십이지상의 포, 바지 차림으로부터 삼국시대 이래의 유제가 통일신라시대까지 지속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통일신라시대 무관의 경우 긴 포에 양당을 입은 차림, 깃의 유무를 통해 그 소속을 표시한 상의와 바지차림, 옆에 트임이 있는 포 등의 복식이 존재하고 있었고 갑옷 착용 모습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고려의 공복제도는 광종 11년(976)에 제정되었으며, 계급에 따라 자·단·비·녹으로 색깔이 구분되어 있다는 것이다. 신라제도와 비교하여 광종대 이후의 고려제도에 있어서 가장 큰 차이점은 하위의 옷색인 청색이나 황색이 녹색으로 바뀐 것이다. 황색은 군주의 복색이므로 당대부터 사서가 황색 옷을 입지 못하도록 금지하였으나 신라제도에 있어서는 관인신분 가운데 최말단에 속하는 4두품의 품색이 바로 황색이었다. 그러나 다시 성종대에 들어와 관제 개혁과 더불어 공복제도가 크게 변혁되었다. 이 때까지 비삼과 구분하기 어려운 채 애매하게 존속해 오던 단삼이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또 성종 때를 기점으로 공복색은 신분이 아니라 관직의 상징으로 변모하였으며, 마침내 의종대에 이르러 자·비·청·황의 복색 체계가 재확인되기에 이르렀다. 고려시대 왕과 왕비복·백관복·귀족남녀복·민서복 등을 통일신라말의 복식과 고려시대 중국에서의 사여관복, 『고려도경』에 나타난 복식제도, 초상화와 고려불화에 나타난 여러 인물, 출토유물과 직물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고려시대의 직물은 동국대학 박물관에 소장된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복장 직물, 온양 민속 박물관에 소장된 아미타불복장의 직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봉서리탑(鳳棲里塔)의 직물과 교류가 있던 정치적 주변국의 직물을 참고하여 실태를 알 수 있었다. 본인의 실제 제작경험을 토대로 사극 드라마 의상 제작과정과 특수성에 관하여 정리하였다. 제자 참고치수표를 제시하였고, 시대별 소재와 문양, 색상, 제작기법, 보관에 관하여 정리하였다. 고대 사극 드라마의 제작상 해결이 어려운 문제점은 소재 선택의 어려움이었으며 당시대의 직물과 가장 유사한 느낌으로 보여지는 효과를 내기 위한 방법으로 수나 그림을 이용하여 당시대 복식의 재현을 해야하는 것이 어려움으로 수나 그림, 실크스크린, 금박등을 이용해 의상의 극적 효과를 유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드라마 의상의 제작자로서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쫓기는 시간과 스케줄 변동에 따른 의상제작의 신속함이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앞으로 이루어질 HDTV의 보편화로 미세한 부분까지 시청자의 눈에 뜨이므로 전문적인 사극드라마 의상 디자이너로서 시대적 느낌을 주는 소재와 봉제법, 그리고 연기자가 배역에 맞는 편안한 의상을 입고 연기에 몰입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야 한다. 또한 섬세한 부분의 바느질이 요구되었고, 화면을 통해 보여졌을 때 달리 보여지는 재현색과 실제색의 명도와 채도의 변화는 앞으로 연구해야할 과제로 남았다. 디자인과 제작에 있어 오로지 시행착오를 반복함으로서 얻어지는 경험에 의존하여 색과 소재를 사용한다는 것은 많은 무리수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의상계획은 디자이너의 몫으로가 아닌 방송 기술자와 긴밀한 공동연구가 되어야 드라마 의상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제외한 머리모양과 관모, 장신구의 연구까지 함께 이루어져야 완벽한 드라마 의상 제작이 될 것이며, 고증회의를 통하여 세워진 의상 디자인 계획과 제작의 이중적 구조의 형태가 이루어져 있는 구조에서는 디자인 계획자와 제작자가 같이 고증회의부터 참석하고 연구함으로써 계획에 의한 단순한 제작자로서가 아닌, 배경이 되는 시대를 이해하고 드라마 의상으로서의 구성방법과 복식사적 지식을 통해서 제작되어져야 완벽한 사극 드라마의상이 제작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essay is a study of costume making of historical dramas based on the late unified Shilla period and the Koryo period. Getting the opportunity of participating in the costume making of the drama Morning of the Empire(제국의아침), I referred this experience to summarize the production course of drama costumes, which are recomposed after dress and ornaments have gone through historical investigations. By examining the peculiarity, expression, and the problems of production shown on TV, and with the help of my experiences, I hope this study could help junior scholars that are willing to work in this field develop their skills. This essay will be focused on the drama costumes of the kings, queens, nobles and public servants of the early Koryo king Gwangjong period, with the exception of hairstyles, hats, and accessories. I have also referred to the costumes of the drama King Taejo(태조왕건) and The Era of the Warriors(무인시대). Historically, the Koryo period is one of the turning points of the Korean history. First of all, in the late unified Shilla period, Shilla's unique rank system, which is called the golpum(골품) policy, began to change. Due to promotions of many 6 dopum(두품), and the advent of influential powers, the late 3 kingdom period was formed. Later on, king Taejo unified the late 3 kingdoms and called it Koryo. In the first stage of its founding, he put out many policies so that he could strengthen the regal powers. On the king Gwangjong period, the base of the regalities became stable. In the same period China, which gave many direct/indirect influences to our history, was experiencing the turning point of their history too. Many Shilla students that went to study in China imported western cultures because the Tang dynasty had an open door policy in the unified Shilla period. Also, due to the fact that there were active exchanges with Mongolians, Kitans, and Arabian merchants, I believe they gave our culture a lot of influences. During the unified Shilla period, King Hongduk put out a policy called uniform restriction policy(복식금제) in order to stop the extravagance tendency and to straighten out the collapsing golpum policy. There were 20 different kinds of clothing regulations according to the rank. Because of this policy, clothes such as bokdu(복두), dan-lyung-po(단령포), banbi(반비), shawl, shoulder strap dress started to appear. The fabric that was mentioned in the uniform restriction policy was the type that was widely used. The remains in Shosoing Japan, explains a lot about the fabric and texture of that period. After the unified Shilla increased exchanges with the Tang dynasty, there were changes in clothes. First, It is proven that the people worn pants and dress under their coat. If you notice the tops and pants of the twelve horary sign statues from the grave of Kim Yoo shin, and the coat and pants of the twelve horary sign statues from the grave of king Hunduk, it is certain that this kind of fashion continued on from the 3 kingdom period all the way up to the unified Shilla period. Second, as for military officers, they wore long coats with vests. Some of them had coats with sleets while others wore armor. Koryo's uniform policy was established on the 11^(th) year of king Gwangjong's rule. According to this policy, the uniforms were divided into red purple, dark red, red and green. Everyone had to wear a certain color by his or her ranks. The biggest difference with Shilla and Koryo's uniform policy is that the color of the lowest rank changed from blue/gold to green. Gold was the color of the king and others were forbidden to wear this color. But during the Shilla period, gold was the color of the 4 dopum, which was the lowest among the officials. Going into king Sungjong period, the uniform policy changed symbolizing service position, not rank. Finally coming into the king Ehijong period, the uniform color system changed back to red purple, red, blue, angold. I focused on the clothing of the kings, queens, nobles, people, and also leisurewear etc. by examining the dress and ornaments of unified Shilla and the clothes that were given from China in the Koryo period; the uniform policy in the Koryodokyung(고려도경); the clothes shown on portraits and Buddhist paintings; unearthed relics and fabrics. The fabrics of the Koryo period can be explained by looking at the cloth and the fabric inside the stomach of a Buddha figure found in the Moonsu temple, which is now in the custody of Dongguk university museum. Also the fabric in the Onyang museum is a good example. I have summarized about my experiences of a historical drama costume making process and its peculiarity I have also shown reference graphs and summarized the fabrics and texture by era, color tones, production techniques, and finishing techniques. The production problem of a historical drama is the selection of materials and there were difficulties of trying to make dramatic effects by using embroidery or pictures. The biggest difficulty for a drama costume maker is that quickness is required because they are always being chased by time and schedule. In the near future, HDTV will be widely used and because of this, the TV viewers will be able to see more details on the screen, So, as a professional historical drama costume designer, the right materials and sewing technique must be used to show the sense of that time and it must be made fit for the actors so that they could be devoted to their acting. Delicate parts need careful sewing and when choosing colors, drama costume makers should confirm with the broadcasting technicians rather than rely on their own experiences because the colors on the screen show different brightness and contrast comparing with regular eye sight. In order to make perfect drama costumes, there must be researches even on hairstyles, hats, and accessories, which was not mentioned in this essay. In the future, I hope drama costume makers could attend historical investigation conferences and do research so that historical drama costumes could be improved.

      • 발레의상 'TUTU'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정한아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Performing arts in people who are living in the 21st century became a part of life which they can experience at any time, and anywhere. Performing arts in contemporary people who make much account of leisure activities and hobbies are developing while a fan base is being formed and people could become to easily watch performances in Korean big cities' theaters without looking for original performances by the mass influx of oversea excellent works through vigorous interchanges with foreign famous performances or groups. It is expected that the public's interest in performing arts will be continuously increased in the future and with this, in-depth studies became to be needed as professional study fields in related-fields and stage costumes. Stage costumes are not simple clothes which performer wears but the clothes which make all characters reborn as alive existences on stages by informing them with different new vitality and so the production of the costume is the more attractive work than anything. This study is about ballet and ballet costumes with a long history and tradition more than 600 year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human among stage costumes. Ballet is a dance which has been loved from many people beyond class and time, continuing to prosper for many years in Europe. The ballet which was an European exclusive property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Korean and also Asian ballet by the 21st century. Specially, young dancers are sweeping international competitions, entering oversea leading ballet companies and they are so receiving internationally much attention although Korean ballet was introduced in 1940 and it has a short history less than 100 years. Now there are few previous studies on dancing and ballet costumes, compared with other genres. It’s time to study the design and production of ballet costume in Korean ballet which has been rapidly developed with untiring research and attempts since the 21st century.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research/analyze 'Tutu', the symbol of ballet and the creative type of stage costume which ballet has only and to suggest the proper production technique. Before examining the production technique, I researched the chronological ballet costume history and included photos and materials easily to understand. In the process, I looked into ballet costume with fashions by each perio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ballet technique and the length of ballerina skirt, the appearance and word root of 'Tutu', and a process of development from initial Romantic Tutu to Classic Tutu. Based on these theoretical studies, I analyzed the differences, the pros and cons of each Tutu through classifying by the time of the historical appearance and characteristics. And also, with the study on the chronological ballet costume history, I collected basic knowledge and by collecting very few techniques scattered in many places from here and abroad, I modified them adequately for domestic cases and included them.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utu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is bell-shaped Romantic Tutu which was first emerged from Romantic Ballet of 19th century and the second is umbrella -shaped Classic Tutu which was emerged from Classical Ballet of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third is pancake-shaped Russian Style Classic Tutu which was appeared in the former Soviet Union time, passing though glory days of Russian ballet in the 21st century. I analyzed the production techniques by each type. It is considered that this will be variously used in hands-on production by including bodices as 6, 8, 10 pieces by each type. Moreover, I tri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by giving examples of actually performed costumes by types. I wish this study will be usefully used in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ballet costumes for stage costume designers, choreographers, dancers, and all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ballet and ballet costumes and academically more various and in-depth studies on Korean dance costumes will be continued in the future. 21세기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공연예술은 언제 어디서나 경험할 수 있는 삶의 일부가 되었다. 여가나 취미활동을 중요시하는 현대인들에게 공연예술은 마니아층까지 형성시키며 발전해 가고 있으며, 외국의 유명공연이나 단체와의 교류 또한 활발해져 해외의 우수한 작품들이 대량 유입되면서 더 이상 원작공연을 찾아다니지 않아도 한국의 대도시 공연장에서 쉽게 관람할 수 있게 되었다. 앞으로 대중들의 공연예술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커질 것이라 예상되며 이와 함께 관련 분야들과 무대의상 역시 전문적 학문 영역으로의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무대의상은 단순히 무대에 서는 사람이 입는 옷이 아닌 공연 속에서 모든 등장인물들에게 각기 다른 생명력을 불어넣어 무대 위 살아 움직이는 존재로 다시 태어나게 하는 일이기에 그 무엇보다 매력적인 일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무대의상 중에서도 인류의 발전과 함께 600년 이상의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발레와 발레의상에 관한 연구이다. 발레는 유럽에서 오랜 시간 발전을 거듭하며 계급과 시대를 초월,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아온 춤이다. 유럽의 전유물이었던 발레가 21세기에 들어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의 발레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한국의 발레는 1940년대 도입되어 100년이 채 안 되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젊은 무용수들의 국제대회석권 및 해외 유수발레단으로의 진출과 활동으로 국제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현재 타 장르에 비해 무용이나 발레의상에 관한 선행연구는 매우 적다. 21세기 이후 꾸준한 연구와 시도로 급격히 발전을 이룬 한국의 발레는 발레의상 또한 디자인과 제작에 관해 심도 있게 연구 되어야할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레의 상징이며 발레만이 가지는 독창적 형태의 무대의상인 ‘튜튜’에 대하여 연구 분석하고 올바른 제작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작기법을 연구하기 이전에 시대별 발레의상의 변천사를 먼저 연구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사진과 자료들을 첨부하였다. 그 과정에서 각 시대의 유행과 함께한 발레의상, 발레 테크닉의 발전과 발레리나의 스커트 길이와의 상관관계, ‘튜튜’ 등장과 어원, 최초의 로맨틱 튜튜에서 클래식 튜튜로의 발전과정까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연구들을 바탕으로 역사적 출현시점과 특징에 따라 유형별로 튜튜를 분류하고 차이점과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발레의상 변천사 연구로 튜튜의 제작기법에 관한 소재와 형태, 기초적 지식을 수집하였고 지금까지 매우 적은 양으로 여러 곳에 산재되어있는 제작법들을 국내외에서 수집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연구, 수정하여 수록하였다. 연구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첫째, 19세기 낭만발레에서 최초로 출현한 종모양의 로맨틱 튜튜, 둘째, 19세기말 고전주의 발레에서 등장한 우산 모양의 클래식 튜튜, 셋째, 20세기 러시아 발레의 전성기를 거치며 구소련시기 등장한 펜케잌 모양의 러시아식 클래식 튜튜로 분류하여 각 유형의 제작기법을 연구 분석하였다. 보디스 또한 각 유형에 따라 6, 8, 10피스로 수록하여 실무제작에 있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또한 실제로 공연된 유형별 의상을 예로 들어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로 무대의상 디자이너와 안무가, 무용수 및 발레와 발레의상에 관심 있는 모든 이들에게 발레의상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유용하게 사용되길 바라며 향후 한국의 무용의상이 학문적으로 더 다양하고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해 본다.

      • 봉제패션인형의 바디패턴과 의상제작에 관한 연구

        한미란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2

        패션인형은 의상, 신발, 액세서리등 복식의 전반적인 것을 적용한 것으로 인체를 축소하여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조형적이고 시각적인 공간미술의 범주에 속하며, 복식이라는 시대성을 수반한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여성의 이상적인 체형이 패션인형에 적합하게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국내 여성모델의 신체치수로 인형모형을 제작, 비교하여 시각적으로 이상적인 신체비례를 가진 인형을 제작할 수 있는 바디패턴을 제시하고, 고(古)의상의 패턴을 수정 보완하여 인형의상의 패턴을 제시하였다. 연구 과정으로는 현재 사용 중인 봉제패션인형의 바디패턴을 수집하여 비교분석하여, 여성의 인체를 그대로 드러내는 바디슈트의 패턴으로 신장 168cm의 모델의 사이즈로 제도하였다. 이를 40cm 내외의 인형이 되도록 전체를 1/4로 축소하고, 두 번의 수정을 거쳐 연구인형을 제작하였다. 시대별 복식 5점을 선정하여 문헌에 제시된 착용법과 고의상의 패턴을 기초로 하여 연구인형에 적합한 인형의상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연구인형의 키에 대한 신체 각 부위의 비율을 Size Korea 2004의 표준체형의 키에 대한 주요부위 신체비율과 비교 하였을 때 키에 대한 높이 항목의 비율은 거의 일치하고, 너비항목은 약 80~85%, 허리의 경우 75%, 두께항목은 약 90% 정도로 나타나 시각적으로 이상적인 비율로 표현되었다. 인형의상의 제작은 키톤, 고딕시대의 로브, 와토 가운, 엠파이어드레스와 버슬드레스 5점을 제작하였고 인체의 프로포션과 인형의 프로포션이 다르므로 재현의상 제작 시 문헌에 제시된 착용법과 실제 패턴을 적용시키기는 어려움이 있어 인형의 바디에 맞도록 패턴을 수정하였다. 의상제작 시 실제 당시에 사용된 소재를 인형의상에 적용시켜 제작할 경우에는 의상의 실루엣을 제대로 나타내기 어려우므로 최대한 얇고 부드러운 소재를 사용하여야 하고, 허리부분의 시접분량이 많을수록 굴곡을 나타내지 못하고 허리가 굵어 보이는 요인이 되므로 옷감의 너비분량은 최소화 하여야 한다. 연구바디의 B.P점 위를 1/5로 축도하였기 때문에 의상 패턴제작 시에도 어깨부터 가슴둘레선까지의 길이가 짧아져야 착용시켰을 때 편안하다. 본 연구는 수작업으로 진행된 것으로, 일정한 바디패턴이라 할지라도 충전재의 종류와 넣는 방법에 따라 형태가 달라지고 인형 제작이 서투른 초보자의 경우 가슴부분의 표현이 어렵다. 또한 의상의 경우에도 패턴을 이용해 제작을 하더라도 착의시켰을 때 인형바디의 내부 충전상태와 바느질 방법이나 시접의 분량에 따라서 맞음새가 달라지기도 하므로 정확한 표준 제작법이 정리되어야 할 것이다. 의상 소재도 유사한 색상과 느낌의 얇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섬세한 주름을 표현하여야 하는 의상의 실루엣을 제대로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인형에 적용할 소재의 조직, 두께, 소재와 실의 굵기에 따른 드레이핑의 효과 등이 다양하게 논의되어 인형 의상 제작 연구가 계속 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fashion doll is to apply the general matters of the clothing styles, including the clothes, shoes, accessories, and others that the human body is reduced and expressed in details for formative and visual spatial arts of category and it accompanies the time attribute in clothes. In this study, the ideal human body of adult woman is to express, and the body dimension of the woman model is produced and compared in doll model with the bodily dimension by presenting the body pattern to produce the dolls with the ideal body proportion visually, and present the pattern of doll clothing by amending and supplementing the pattern of ancient clothing. For the research process, by collecting, comparing and analyzing the body pattern of the currently used embroidery fashion doll, the pattern of body suit that displays the body of women is designed with the size of model with the height of 168cm. This is scaled for 1/4 of its entirety to make the doll of around 40cm and produced the research doll with two revisions. By selecting five pieces of clothes for each time, the doll clothes appropriate for the research doll are produced on the basis of the pattern for ancient clothes and the method of cloth-making presented in documentation. When compared with the ratio of each part of the body for the height of the produced research doll with the bodily ration of the major ratio of the height of the standard bodily size of Size Korea 2004, the ratio of the category of the height is almost consistent, and the width category is shown approximately 80~85%, waist for 75%, thickness category for approximately 90% as the ideal ratio. Production of doll clothing is produced in five pieces in Chiton, rob of gothic time, Watteau gown, empire dress and bustle dress, and the proportion of human body and the proportion of dolls are different that, when producing the reproduced clothing, there is a difficulty of applying the wearing method presented in the documentary with the actual pattern that the pattern is modified to fit to the doll body. In production of clothing, in the event of producing the materials actually used at the time is applied and produced on the doll clothing, the silhouette of the clothing is difficult to show well that it has to use the thinnest and softest possible materials, and as the margin to sew up volume gets larger in the waist part, it would not show the curves well and shows the waist line thicker that the width volume of fabric has to be minimized. B and P points of the research body was scaled for 1/5 that, when producing the clothe pattern, it would be comfortable if the length from the shoulder to the chest line is shortened.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manual work, and even for the consistent body pattern, the appearance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filling substance and method would have the difference in type that in the event of the beginners with different doll production that the expression of the chest part is difficult. In addition, in the event of clothing, the pattern is used that the tailored look would differ depending on the internal filling condition of doll body, embroidering method, volume of the margin to sew up that accurate production method would be arranged. Clothing materials also use the thin material with the feeling and color similar thereto but it has the difficulty in accurate silhouette of clothing that requires the expression of sophisticated wrinkles that the study has to be continued on the doll clothing production by draping and diverse material to apply on dolls.

      • 청색 천연염료에 의한 염색과 의상제작

        문쌍후 成均館大學校 生活科學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23

        Only after the nature is understood as something meaning life to the humans as well as the very source to every being, the humans pursue to be one with the nature by accepting the wonder of every color perceived in it one step further and by expressing their desire of imitating every color in it in their everyday lives. Also, color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by which the humans express their emotion creates culture and art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expressed in every aspect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color has been indispensible to the humans who used it in purifying human spirit and pacifying their emotion while using it in the display of each people's collective consciousness. As such, it i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that have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each people's unique culture and civilization. With the natural color, one of the most beautiful things that nature has given to the humans, and following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the ancient Chinese understanding of how things work), one of the major oriental thoughts, the study reviews our ancestors' color consciousness for color blue and the impact that color blue had symbolically on the costume culture in Chosun period. After a review of dyeing methods of color blue(with Jjok-dyeing, indigo-dyeing) illustrated in the representative literature of the period concerning dyeing, which includes Gyuhapchongseo, Sangbangjeongrye, Chongonggaemul, Imwongyeongjeji, Bonchogangmok, Dongeubogam and Sanrimgyeongje, the study seeks to improve the cumbersome traditional methods of Jjok(indigo) dyeing by an introduction of today's scientific methods. It presents an experimental method of easy dyeing to revive the traditional Jjok(indigo)-dyeing that anyone can utilize with little difficulty. However, it must be noted that the experiment in the study was performed in limited condition and had its shortcomings of poor color fastness contrary to the beautiful natural dyeing. So, it is highly expected that numerous experiments in future studies are done to improve the color fastness of naturally dyed materials. Also, by an unprecedented experimental examination of blue pigments in the fruits of Nurijang plant, the study has achieved its research value especially in the introduction of blue dye plants other than Jjok(indigo) that have not been known to have their dyeing qualities. Subsequent studies to discover new plant pigments in the future are again called for. Finally, the reason the study selected Hakchangeui and Dopo, those Pos("gentlemen's robes") of Chosun times as the model costume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colors in the natural blue pigment plants lies in its intention to have it philosophically based on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 as well as the fact that blue Hakchangeui and blue Dopo are the clothes that have been recognized as the clothing in color blue symbolizing the pure and immaculate feature of Seonbis'("gentlemanly scholars"), representing their dignity and great scholarly virtue and making themselves the auspicious clothing of Korean people. From ancient times, color blue has signified eastern territory from the point of China-the center view, which refers to Korea. The study found quite a meaning from the making of the clothing in reflecting the ancestors' imagery who continued their enterprising progress and development from the origin of color blue, the color of vitality and vig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