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복의 속성 지각이 의류 제품의 선호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여대생 소비자를 중심으로

        박성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ubstance of clothing attributes, which influence th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s of consumers on the clothing products,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uch attributes. The specific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o classify the consumer into specific groups, based on the degree of the clothing involvement affected by the above clothing attributes, an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ttributes importance among these groups. Second, to compare the respective influence factors of the objective attributes on the the subjective attributes among these groups. Third, to compare the influence of clothing attributes, insofar as they influence the preferences and purchase intentions among these groups. Fourth, to compare the correlation of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s among these groups. In addition, to clar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se grou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34 students, attending Ewha Womans University, and formal survey methologies were used in collecting data. Moreover, SAS Package(Ver 6.12)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and various methods such a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Scheff test, conjoint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correlation analysis, and x2-test were follow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lothing involvement consists of the affective factor and the cognitive factor. Second, the consume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with regards to the degree of their clothing involvement; those are the high cognitive and high affective involvement group, the low cognitive and high affective involvement group, and the low cognitive and low affective involvement group. Third, the objective attributes of clothing were determined by such factors as price, brand, style and color, whereas the subjective attributes of clothing were determined by such factors as distinctiveness, individuality, practicality, politeness, and fashionability. Fourt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regarding the importance of such clothing attributes among these groups. Fifth, partial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ith regards to the influence of the objective attributes on the subjective attributes among these groups. Whereas the influence of the brand was viewed as an essential factor for the high cognitive and high affective involvement group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style was an essential factor for the the low cognitive and high affective involvement group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in determining their consumers behaviour. Sixth, partial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ith regards to the influence of clothing attributes on th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s among these groups. With regards to the objective attributes of the clothing affecting the clothing preference, price and brand were found to be major factors. While, the influence of price was significantly important to the low cognitive and low affective involvement group, brand was an important factor to the high cognitive and high affective involvement group. With regards to the subjective attributes of the clothing affecting clothing preference, individuality, politeness, and fashionability were important factors to the high cognitive and high affective involvement group, whereas individuality, fashionability were important to the low cognitive and high affective involvement group, and individuality, practicality, politeness, and fashionability were important to the low cognitive and low affective involvement group. With regards to the influence of the objective attributes of the clothing affecting the purchase intention, price and color were found to be major factors. While, the influence of price was significantly important to the low cognitive and low affective involvement group, color was an important factor to the low cognitive and high affective involvement group. With regards to the influence of the subjective attributes of the clothing affecting purchase intentions, distinctiveness, individuality, practicality, politeness, and fashionability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the high cognitive and high affective involvement group, whereas individuality, practicality, politeness, fashionability were the most important to the low cognitive and high affective involvement group, and distinctiveness, individuality, practicality, politeness, and fashionability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the low cognitive and low affective involvement group. Sevent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rrelation of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s among these groups; such correlation was proportional to the increase of the degree of such involvement. Eighth, partial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se groups with regards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se groups. 본 연구의 목적은 의류 제품의 선호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의복의 속성 차원을 밝히고, 이 속성들의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를 의복 관여 수준에 따라 세분화하고, 의복 관여 집단에 따라 속성 중요도의 차이를 비교한다. 둘째, 의복 관여 집단에 따라 객관적 속성이 주관적 속성 추론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한다. 셋째, 의복 관여 집단에 따라 의복 속성이 선호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한다. 넷째, 의복 관여 집단에 따라 선호와 구매 의도의 상관관계를 비교한다. 부가적으로, 의복 관여 집단에 따라 인구 통계적 특성을 규명한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여대생 434명이며, 자료 수집은 설문지법을 사용하였고, 자료의 분석은 SAS Package(Ver 6.12)를 이용하여 요인 분석, 군집 분석, 일원 분산 분석, Scheff test, 컨조인트 분석, 표준 다중 회귀 분석, 상관 분석, x2-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복 관여는 정서적 요인과 인지적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소비자 집단은 의복 관여 수준에 따라 세 집단으로 구분되었는데, 고인지 고정서 관여 집단, 저인지 고정서 관여 집단, 저인지 저정서 관여 집단이었다. 셋째, 의복의 객관적 속성은 가격, 상표, 스타일, 색상으로 결정되었고, 주관적 속성은 차별성, 개성, 실용성, 예의성, 유행성으로 구성되었다. 넷째, 의복 관여 집단에 따라 의복 속성 중요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고인지 고정서 관여 집단은 객관적 속성 중에서는 의복을 구매할 때 스타일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다고 하였으며, 다음으로 색상, 가격의 중요도가 높았고, 상표의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주관적 속성 중에서는 개성, 실용성, 유행성, 예의성, 차별성의 순으로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저인지 고정서 관여 집단은 객관적 속성 중에서는 색상과 스타일, 가격을 중요시한다고 하였으며, 이에 비하여 상표의 중요도가 낮았다. 또한 주관적 속성 중에서는 개성과 실용성을 가장 중시하였으며, 차별성은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인지 저정서 관여 집단은 객관적 속성 중에서 가격을 가장 중요시하였으며, 상표는 중요하지 않다고 하였고, 주관적 속성 중에서는 실용성과 개성을 가장 중시하였으며, 예의성, 유행성의 순으로 중요하다고 응답하여Tr고, 차별성은 중요하지 않다고 하였다. 전반적으로 고인지 고정서 관여 집단이 많은 속성에 대하여 중요하다고 응답한 정도가 높은 반면, 저인지 저정서 관여 집단은 다른 두 집단에 비하여 많은 속성에 대하여 중요하다고 응답한 정도가 낮았다. 다섯째, 의복 관여 집단에 따라 객관적 속성이 주관적 속성 추론에 미치는 영향력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고인지 고정서 관여 집단은 다른 두 집단에 비하여 상표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인지 고정서 관여 집단은 다른 두 집단에 비하여 스타일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의복 관여 집단에 따라 의복 속성이 선호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객관적 속성이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가격과 상표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저인지 저정서 관여 집단에서 가격의 영향력이 컸으며, 고인지 고정서 관여 집단이 상표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속성이 선호에 미치는 영향은 고인지 고정서 관여 집단에서는 개성, 예의성, 유행성이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냈고, 저인지 고정서 관여 집단에서는 개성, 유행성이, 저인지 저정서 관여집단에서는 개성, 실용성, 예의성, 유행성이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객관적 속성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가격과 색상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저인지 저정서 관여 집단에서 가격의 영향력이 유의하게 컸으며, 저인지 고정서 관여 집단이 색상의 영향력이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속성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고인지 고정서 관여 집단에서는 차별성, 개성, 실용성, 예의성, 유행성이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고, 저인지 고정서 관여 집단에서는 개성, 실용성, 예의성, 유행성이, 저인지 저정서 관여집단에서는 차별성, 개성, 실용성, 예의성, 유행성이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일곱째, 의복 관여 집단에 따라 선호와 구매 의도간의 상관 관계에 차이가 있었다.의복 관여 수준이 높을수록 선호와 구매 의도의 일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의복 관여 집단에 따라 인구 통계적 특성에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점포선택과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여대생들의 청바지 구매를 중심으로

        신은주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사회구조가 복잡해지고 역할이 다양 다변해짐에 따라 현대인들은 캐쥬얼한 의복을 선호하게 되었고, 따라서 청바지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폭넓게 확산되고 있다. 초기의 실용적인 의류에서 시작된 청바지는 이제는 고가의 패션상품으로 자리잡게 되었으며,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하나의 아이템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청바지 시장의 확대는 유통시장 개방과 함께 해외 도입브랜드의 꾸준한 증가 및 신규 진입브랜드의 등장으로 시장규모가 크게 형성되었으나, 경기침체가 이어지면서 소비자들도 합리적인 구매행동을 지향하게 되었다. 따라서 불황을 타개하고 다양화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불특정 다수를 위한 무차별식 마케팅 전략보다는 청바지 시장을 세분화하여 각 분류 집단에 적합한 마케팅 방안의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복쇼핑성향 요인을 밝히고, 소비자들을 분류하여, 분류된 집단별 점포선택기준과 쇼핑행동, 구매동기, 인구통계학적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여대생들의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소비자 특성을 파악하여 청바지 구매시의 점포선택기준과 구매동기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은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총 231부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요인분석, 빈도분석, Cronbach's α계수,ANOVA분석, x^2 검증 등의 통계기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은 쾌락적 쇼핑성향, 유명상표선호 쇼핑성향, 경제지향적 쇼핑성향, 편의추구적 쇼핑성향, 유행지향적 쇼핑성향, 독자적 쇼핑성향의 5개 요인으로 나누어졌다. 2. 소비자들의 집단을 분류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에서 얻은 6개의 요인을 바탕으로 집단을 나누었으며,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소비자 세분집단은 다음과 같다. 1) 쇼핑을 즐기기는 하나 가격적인 면을 의식하는 쇼핑고관여 집단 2) 가격을 의식하지 않으며 특정 상표만을 추구하는 유명상표지향집단 3) 편의추구적이며 유행을 따르지만 개인의 개성과 욕구를 중심으로 쇼핑하는 독자적소비자 집단 4) 개인의 개성보다는 유행을 의식하며 가격을 의식하는 유행지향적 집단으로 나누어 졌다. 3. 의복쇼핑성향을 근거로 세분화된 4집단은 의복쇼핑시 점포선택기준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가지 점포선택기준 중 점포분위기, 쇼핑편리성, 쇼핑다양성의 중요도에 있어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서비스와 판매원 요인에 대해서는 그룹간 차이없이 고르게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쇼핑고관여 집단은 점포속성중 판매원과 점포분위기 요인을 중시하였고, 유행지향적 집단은 쇼핑편리성과 쇼핑다양성을 중시하였으며, 독자적소비자 집단은 쇼핑다앙성 요인을, 유명상표지항 집단은 판매원 요인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4. 의복쇼핑성향을 근거로 세분화한 5집단의 의복쇼핑시 구매동기에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구매동기 중 필요성 및 경제성 요인에 있어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개성추구 요인과 타인과의 동조성 요인에 대해서는 그룹간 차이없이 고르게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쇼핑고관여 집단은 타인과의 동조성 요인을 중시하였고, 유명상표지향집단과 독자적 소비자 집단은 개성추구 요인을 중시하였으며, 유행지향적 집단은 필요성 및 경제성 요인을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5. 의복쇼핑성향 집단별 쇼핑행동 비교에서는 점포유형과 청바지 평균구입 가격대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복쇼핑성향집단별 인구통계학적 특성 비교에서는 월 평균 용돈, 월 평균 가계 총소득에서 집단간 차이를 보였다. Modern people prefer to take casual clothes in accordance with complicated social structure and various and multilateral roles: Thus, blue jeans has become widely popular without distinction of age or sex/people, young and old, men and women all alike. Blue jeans started from practical clothing and now has become expensive fashion products to be another item expressing their own individuality. Blue jeans market was greatly expanded because of constant increase of imported brands by distribution market opening as well as making appearance of new brands: However, consumers have changed their buying behaviour in reasonable way because of economic stagnation. To overcome economic recession and satisfy consumers' various desire, marketing research was needed to meet requirements of each classified group by making market segmentation of blue jeans rather than indiscriminate marketing strategies for a general run of buye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clothes shopping inclination and factors and classify consumers, and to compare shop selection standards, shopping behaviors, buying motives and demographic difference depending upon classified groups, and to understand consumers' characteristics depending upon woman college students' clothes shopping tendency and examine shop selections standards and buying motives at blue jeans buying. The research objects of the study were woman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who resided at Seoul: They were selected based on convenience sampling. Material was collected according to questionnaires method to collect 231 copies in total and make use of them for analysis. Material was analyzed by using factor, frequency, Cronbach's alpha, ANOVA analysis and x^2-test,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Consumers' clothes shopping tendency was classified into several factors: pleasure-oriented, famous brands preference, economy-oriented, convenience pursuing, fashion-oriented and originality, etc. 2. Consumer groups were classified based on six factors: Sub-groups of consumers were classified depending upon clothes shopping tendency as follows: 1) The first group enjoys shopping and pays attention to price spects; 2) The second group pursues not prices but specific brands (brand-oriented); 3) The third group pursues convenience and follows fashion: But it does shopping based on individuality and tastes of each individual (originality); 4) The fourth group pays attention not to individual's individuality but to fashion (fashion-oriented). 3. The four groups were divided based on clothes shopping tendency and had difference at shop selection standards: Shop circumstance, shopping convenience and shopping variety's importance, etc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Service and sales staff were thought to be important regardless of the groups. The first group regarded sales staff and shop circumstance as important factors: The fourth group regarded shopping convenience and variety as important ones: The second group thought much of sales staff, while the third group did shopping variety. 4. The sub-groups based on consumers' clothes shopping tendency had difference at buying motives of clothes shopping as well. The sub-groups had significant difference at needs and economic factors, and had not difference at individuality pursuit and acting in concert with others to regard them as important ones. The first group of the four groups thought much of acting in concert with others, and the second group and the third group did individuality pursuit, and the fourth group did needs and economy. 5. At comparison of shopping behaviors depending upon clothes shopping tendency group, the sub-groups had difference of shop types and average buying prices of blue jeans. At comparison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epending upon clothes shopping tendency group, the sub-groups had difference of monthly pocket money in average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in average, etc.

      • 학령기 비만아동의 의복설계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초등학생 3~6학년을 중심으로

        김민정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간은 출생에서 유아기, 학령기, 청소년기를 거쳐 성인이 된다. 성인이 되기까지의 인체는 꾸준히 변화되며 각각의 신체적 특징을 가진다. 또한 시대적 여러 환경에 의해 저체중, 정상, 비만의 형태로 신체적 차이가 나는데, 특히 학령기 비만아동의 경우 적합한 의복이 없어 선택의 폭이 좁다. 의복은 학령기아동에 있어서 또래집단의 아동과의 동질감이나 소속감, 심리적 안정감을 갖게 되는데 비만아동의 경우 이러한 부분에 있어 열등감으로 인해 부정적인 자아 정체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맞춤복에만 의존하는 비만아동 의복의 치수체계를 설계하여 기성복화 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서 비만아동의 신체적 특징 분석 뿐만 아니라 아동복 업체의 생산라인의 문제점을 보안하여 비만아동들의 적합한 의복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비만아동이 급격히 늘어나는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비만아동 의복 설계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학령기 비만아동의 자아정체성과 의복 만족도를 설문조사하고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의복 구매 만족도를 설문조사 하였으며 아동복 업체의 비만아동복 제작여부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인 인체 치수 체계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비만아동의 치수를 분석하여 비만아동 의복체계를 제시하였다. 비만 아동의복 체계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일반 아동복과 연구 의복을 제작하여 아동복 전문가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에 응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학령기 비만도의 분포를 알아본 결과 만 8세 이후부터 급격히 많아진 것을 보아 과거에 비해 비만 정도와 비만아동 수가 늘어남을 짐작할 수 있다. 비만아동 중에서도 경도비만의 경우는 의복 구입 시 일반정상아동과 마찬가지로 길이부분을 제외하고는 큰 문제점이 없는 것을 감안하여 중등도비만과 고도비만아동을 중심으로 치수체계를 제시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3~6학년 아동은 학령기 전?후기로써 또래 집단성이 강하고 유행에 민감한 시기로써 자신의 외모에 대하여 민감한 시기이다. 이러한 시기에 비만 아동의 자아정체감과 의복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비만정도가 심할수록 낮게 나타났다. 셋째, 비만아동 어머니의 자녀 의복 만족도에 대한 설문에서는 구입부터 구입 후 수선에 이르기까지 불만족스러움을 보였다. 구입 시 가장 중요시하는 부분은 사이즈적인 부분과 가격이었으며 의복비를 제외한 수선비까지 부담해야하는 것에 대해 매우 불만족스러워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아동복 업체의 경우 비만아동복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으나 경기침체와 포괄적인 비만아동 사이즈 체계에 접근하기 꺼려하는 경향이었다. 현재 비만아동을 위한 의복은 기존의복 사이즈에서 길이항목의 편차를 묶고 둘레항목만을 키워 한두 사이즈 추가하는 형식의 시스템으로 디자인을 무시한 둘레 부위의 맞음새에만 중점을 둔 방식이다. 이러한 의복은 디자인적으로도 문제지만 활동성에 대해서도 많은 제약을 가지고 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비만아동 치수 체계는 아동복업체 생산 라인을 고려한, 비만아동 기성복 제작을 위한 치수 체계이다. 비만아동 치수 체계는 남아와 여아로 분류하여 각각의 치수 체계를 제시하였으며 키 135~165cm의 구간을 5cm간격으로 나누고 이를 기준으로 둘레항목을 나누었다. 체형이 다양한 것을 고려하여 둘레항목을 세분화 하여 3.5~4cm간격으로 편차값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일반 업체 아동복과 연구의복 비교를 위해 패턴을 제외한 동일한 디자인과 소재로 의복을 제작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연구의복은 신체적 문제점을 보안함과 동시에 활동하기에 편한 의복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치수 체계와 사이즈간의 편차값은 아동복 업체에서 실질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치수 체계로 비만아동복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본다. Human become an adult after going through the period of infancy, elementary school, and adolescence. The human body changes steadily up to the adult period and is characterized by its periodic physical distinctions. In addition, by various periodic environments, there could be some physical differences in the form of low weight, normal weight and obesity. In particular, obes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do not have appropriate patterns so that it is not easy for them to choose their patterns. The patterns enabl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to have a sense of identity, belonging and psychological stability with their peer groups and the obese children are likely to have a sense of inferiority and its resultant negative self-identity. In this regard, it is urgent to draft the dimension system of patterns for obese children relying only on custom clothes and to make it ready-made. To this end, the study is aimed to supplement the problems with the production lines of the companies for children's patterns as well as an analysis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obese children and to suggest the patterns appropriate to obese children. This study involved the drafting of patterns for obese children from the 3rd- to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se number has been rapidly increasing.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regarding the self-identity of obes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patterns, and the questionnaire was also given to their mothers with regards to the satisfaction with pattern purchasing. Likewise, the study analyzed the possibility of drafting the patterns for obese children on the children's clothing makers. Besides, it analyzed the dimension of obese children in Korea by using the Korean body dimension system to suggest a pattern system for obese children. In order to check the appropriateness of the pattern system for obese children, the study compared ordinary children's patterns to the patterns in question and analyzed them with the aid of the experts in children's patterns. The findings were as below. First, after investigating the distribution of obesity rate of th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re has been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obese children since they have become over 8 years old, which had been more severe than in the past in terms of the degree of obesity and the number of obese children. Among the obese children, those with slight obesity have not had significant problems compared to normal children when purchasing the patterns except for their length; in this regard, the study suggested a dimension system based on the children with moderate obesity and morbid obesity. Second, the 3rd- to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a strong sense of peer groups and were sensitive to the mode so that they were likely to be sensitive to their appearance. Obese children's feeling of self-identity and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ir patterns were mostly low in this period and especially the more severe the degree of their obesity was, the lower they became. Third, in the questionnaire regarding the satisfaction of the mothers of obese children with their children's patterns, they were not satisfied from purchase to repair. The most important elements when purchasing the patterns involved the size and price, and obese children's mothers were totally unhappy with the fact that they had to be responsible for the additional expenses for repair. Fourth, children's clothing makers hav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drafting and selling the patterns for obese children, but they have been reluctant to deal comprehensively with the size system of obese children due to economic slump. Currently, the patterns for obese children have been based on the way that simply focused on the fitting appearance of neighboring parts while discarding the draft by fixing the deviation of length and enlarging only the circumference parts from the size of existing patterns. Such patterns were problematic not only in terms of draft, but also they had many limitations on the activity of their wearers. Fifth, the dimension system for obese children suggest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manufacturing of ready-made patterns for obese children in consideration for the production lines of children's clothing makers. The said dimension system was divided into male and female children and offered separate dimensions for each and an interval of 5cm was maintained between the height of 135 cm and that of 165 cm, and the circumference was classified based on the height above. Keeping the diversity of body shape in mind, the circumference was subdivided and the deviation was given with an interval of 3.5~4cm. Sixth, the study manufactured and compared the patterns with the same draft and materials except for the pattern for the comparison between the children's patterns from ordinary companies and the patterns in question.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the patterns in question supplemented the physical problems and let children be comfortable and easy to do activities. The dimension system and the deviation among various sizes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ctually by children's clothing makers so that it will make great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obese children's patterns.

      • 西歐衣服의 트임에 대한 考察

        김명숙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83 국내석사

        RANK : 247807

        衣服의 트임(opening) 이란 하나의 detail 的인 要素로서, 衣服을 着用하려면 人間의 體型때문에 트임은 必須的으로 要求된다. 이 트임은 衣服에서 목을 中心으로 必要한 部分을 切開하여 衣服을 着用하도록 하는데 重要한 目的이 있다. 이러한 트임의 類型에는 목트임(Neck opening), 어깨트임(Shoulder opening), 등트임(Back opening), 옆트임(Side opening), 앞트임(Front opening) 등이 있다. 本 硏究는 古代, 中世 前期, 中世 末 以後, 近代에 이르기 까지의 트임의 變遷을 통하여 男女衣服이 筒型衣服에서 機能的인 上·下 분리형 衣服으로 變化되는 過程을 살펴볼 수가 있다. 그 結果를 要約하면 마음과 같다. ① 古代 Greece와 Rome 時代에 主로 着用하였던 drapery型 衣服의 트임은 長方形의 천을 몸에 걸치고 양 어깨위에서 brooch 등으로 固定해서 어깨트임을 만들었고 이 어깨트임은 衣服에서 트임의 始初라고 볼 수 있다. ② 中世 前期에는 Tunic型의 衣服이 男女間에 主로 着用되었는데 그 트임은 대부분이 목트임으로, U字式, T字式, 一字式이 主로 使用 되었다. 그 後 Romanesque 時代에 女子服에 등트임과 옆트임이 나타났고 그 트임을 lace로 졸라매어 人體의 윤곽을 드러내게 되었다. ③ 中世末 頃의 男子服에서는 Caftan型의 앞트임을 使用하여 男子服이 Tunic型 衣服에서 上·下 분리형의 기능적인 衣服으로 變化하였다. 그 以後로 男女間의 性差가 衣服에서 뚜렷해지게 되었다. ④ 近世에서는, 女子服은 몸통을 극도로 조이는 Tunic型 衣服으로서 등트임과 옆트임을 主로 使用했다. 한편 男子服은 짧은 上衣와 다리에 붙는 바지를 着用했는데 上衣의 앞트임은 많은 단추를 사용하여 여미게 되었다. ⑤ 近代 末에는 女性服이 급변하는 時代性에 맞추어 男性服과 類似한 앞트임의 Jacket와 Skirt라는 上·下 분리형 衣服이 되었다. 이렇게 女子服이 앞트임과 단추를 使用하여 男子服과 類似한 機能的인 衣服이 되므로서, 以後 西歐衣服에는 앞트임과 단추의 使用이 定着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트임(opening)과 단추(Button)는 衣服에 있어서 하나의 構成要素(Elements of construction)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Opening of the clothing is one of detailed elements. In wearing the clothing, opening is necessarily required because of body style. The main purpose of the opening lies in wearing the clothing which cut a essential part around neck. There are many types of opening such as neck-opening, shoulder-opening, back-opening, side-opening and front-opening etc. This study attempt to estimate and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change into the functional upper-lower seperate type garment through change of opening through a historical analysis of backgrounds of the different classification of each ages. In summar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Drapery opening, used in ancient greece and Rome, made a shoulder-opening which draped the rectangular shape cloth and fastened it with a brooch on the shoulders. This shoulder-opening is beginning of the clothing opening. 2. In pre-medieval ages, Tunic type clothing was primarily worn among people and most of the opening was neck-opening which used U shape, T shape and straight shape etc. There after, in Romanesque ages, back-opening and side-opening appeared in woman's clothing. That opening was girdled by the lace so as to express a body line. 3. In post-medieval ages, by using the caftan front-opening, man's clothing was changed from the Tunic type to the functional upper-lower seperate type clothing. Thereafter, man's and woman's clothing were getting remarkably different. 4. In modern ages woman's clothing as a tight-fitted Tunic type clothing largely used a back-opening and a side-opening. While man wore a trouser and a Jacket whose front-opening was fastened with buttons. 5. In post-modern ages, according to the rapid current of the times, woman wore a skirt and a front-opening jacket which is similar to man's clothing. Thus, it was not until woman's clothing, by using front-opening and buttons, became a functional clothing which is similar to man's clothing that use of them was fixed in Europe clothing. Then openings and buttons are one of the element of constructions in clothing.

      • 女高生의 衣服行動과 欲求와의 相關性에 관한 硏究 : 서울시내의 인문계와 실업계 여고생을 중심으로

        박현옥 淑明女子大學校 1985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high-school girls as the subject, to seize their needs and the distribution tendency, to analyze their clothing behaviors, and then to see the correlation of the needs with their clothing behaviors analyzed. The tool for measuring their clothing behaviors was adopted the items made by Sun Jae Lee(1984) who had amended and supplemented those items used in prior studies. Another tool for measurement of need test was employed the standardized need-diagnostic test which had been made by Jung Gyoo Hwang. All 580 students was randomly selected from academic and technical high schools in Seoul, and the data was processed with the computer system of KAIST(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for mean(M), standard deviation(S.D.), t-test and coefficient of correl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data processing were as follows: 1. In the need of high-school girls, it was shown for the academic school ones that the need for exhibitionism, aggression, and for affiliation was higher, while the need for autonomy and achievement was lower; on the contrary, for the technical school ones, the need for exhibitionism and sex was higher, the need for autonomy was lower. 2. In the order of variables for high-school girls' clothing behaviors, the order was shown for the former group as convenience, chastity, estheticism, management, personality, and popularity, while for the latter as chastity, convenience estheticism, management, personality and popularity. 3. Comparing the reaction of the needs to their clothing behavior, for the need for affiliation of nine need variables the former group showed the tendency that the higher the need was, they took interests in all the six clothing behaviors; for the latter group, they showed no interest in any one. 4. Compa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eeds and the clothing behaviors of high-school girls. ⅰ) In the former group they showed the tendency that the higher the need for affiliation, aggression, exhibition-ism, sex, autonomy, dominance and achievement became, the more they stressed on popularity, in contrast, t e higher need for abasement was, the lesser they emphasized on popularity; in the latter, the higher the need for aggression dominance, exhibitionism, sex, emotionality and autonomy was, the more they stressed on popularity, and the stronger the need for abasement was, the lesser on popularity. ⅱ) The higher the need for abasement and emotionality, in it former group, was, and the higher the need for agression, dominance, exhibitionism, sex and autonomy was, then they all stressed on personality; on the contrary, especially in the latter group, the higher the need for abasement was, the lower they valued on personality. ⅲ) It was shown that in the former group the higher the need for affiliation, emotionality, exhibitionism, sex, and aggression was, the stronger they stressed on estheticism, but in the latter the higher the need for those except abasement, achievement and autonomy was, the stronger they valued on estheticism. ⅳ) In the former group, the higher the need for abasement, emotionality and affiliation, was the stronger they valued on chastity; in the latter, the higher the need for achievement and exhibitionism, was they valued on no chastity. ⅴ) Finally, in the former group, the higher the need for abasement, deminance, achievement, affiliation, emotionality, autonomy and aggression was, the stronger they emphasized on convenience; in the latter, the higher the need for emotionality, autonomy and abasement was, the higher they valued on convenience. 本 연구의 目的은 여고생을 對象으로 (1) 욕구조사 및 분포경향을 파악하며 (2) 의복행동을 조사 분석하며 (3) 의복행동과 욕구와의 관계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의복행동의 측정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기존 문항을 이선재(1984)가 수정, 보완하여 제작한 문항을 사용하였다. 욕구검사의 측정도구는 표준화된 황정규의 욕구진단검사를 사용하였다. 표집대상은 서울시내의 인문계와 실업계 여고생 58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처리는 한국과학기술원의 컴퓨터를 사용하여 평균(M), 표준편차(S.D). t-test, 상관관계수등을 하였다. 本 硏究의 자료분석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여고생들의 욕구는 인문계의 경우 과시, 공격, 친애의 욕구가 높고 자율, 성취의 욕구가 낮게 나타났으며, 실업계의 경우 과시, 성의 욕구가 높고 자율의 욕구가 낮게 나타났다. 2. 여고생의 의복행동 변인 순위는 인문계의 경우 편이성, 정숙성, 심미성, 관리성, 개성, 유행의 順이고, 실업계의 경우는 정숙성, 편이성, 심미성, 관리성, 개성, 유행의 順으로 나타났다. 3. 욕구가 의복행동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를 비교한 결과 1) 굴종욕이 높을수록 의복행동에 있어서 인문계 여고생은 정숙성, 편이성에 관심을 보이는 반면에 실업계 여고생은 유행성, 편이성에 관심을 보였다. 2) 성취욕이 높을수록 의복행동에 있어서 인문계 여고생은 편이성, 유행성, 개성, 관리성에 관심을 보이는 반면에 실업계 여고생은 편이성에만 관심을 보였다. 3) 친애욕이 높을수록 의복행동에 있어서 인문계 여고생은 6가지 의복행동에 모두 관심을 보이는 반면에 실업계 여고생은 어떤 의복행동에도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4) 공격욕이 높을수록 의복행동에 있어서 인문계 여고생은 유행성과 개성에 관심을 보이는 반면에, 실업계 여고생은 유행성, 개성, 심미성, 관리성에 관심을 보였다. 5) 지배욕이 높을수록 의복행동에 있어서 인문계 여고생은 유행성, 개성, 편이성에 관심을 보이는 반면에, 실업계 여고생은 유행성, 심미성, 관리성, 개성에 관심을 보였다. 6) 정동욕이 높을수록 의복행동에 있어서 인문계 여고생은 심미성, 정숙성, 편이성, 관리성에 관심을 보였고, 반면에 실업계 여고생은 심미성, 편이성, 유행성, 관리성에 관심을 보였다. 7) 과시욕이 높을수록 의복행동에 있어서 인문계 여고생은 정숙성과 편이성을 제외한 의복행동에, 실업계 여고생은 편이성을 제외한 의복행동 모두 관심을 보였다. 8) 성욕이 높을수록 의복행동에 있어 인문계와 실업계 여고생 모무 유행성, 개성, 심미성, 관리성에 관심을 보였다. 9) 자율욕이 높을수록 의복행동에 있어 인문계 여고생은 개성과 유행성을, 실업계 여고생은 유행성에 관심을 보였다. 4. 여고생의 욕구와 의복행동과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1) 인문계 여고생은 친애, 공격, 과시, 성, 자율, 지배, 성취의 욕구가 높을수록 유행성을 중시하며, 굴종의 욕구가 높을수록 유행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업계 여고생은 공격, 지배, 과시, 성, 정동, 자율의 욕구가 높을수록 유행성을 중시하며, 굴종의 욕구가 강할수록 유행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인문계 여고생은 굴종과 정동의 욕구를 제외한 모든 욕구가 강할수록, 실업계 여고생은 공격, 지배, 과시, 성, 자율의 욕구가 강할수록 개성을 중시하며, 실업계의 경우 굴종의 욕구가 강할수록 개성을 중요하게 생각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인문계 여고생은 친애, 정동, 과시, 성, 공격의 욕구가 강할수록 심미성을 중시하며 실업계 여고생은 굴종, 성취, 자율의 욕구를 제외한 욕구가 강할수록 심미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인문계 여고생은 굴종, 정동, 친애의 욕구가 강할수록 정숙성을 중요시 하며, 실업계 여고생은 성취와 과시의 욕구가 강할수록 정숙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인문계 여고생은 굴종, 지배, 성취, 친애, 정동, 자율, 공격의 욕구가 강할수록 편이성을 중시하며, 실업계의 경우 정동, 자율, 굴종의 욕구가 강할수록 편이성을 중시한다.

      • 衣服의 誇示的 消費現象과 社會階層과의 關係 硏究

        유명의 全南大學校 1993 국내박사

        RANK : 247807

        本 硏究는 우리나라에서의 衣服의 誇示的 消費現象을 社會階層과 관련시켜 그 실태를 파악할 목적으로 光州直轄市에 居住하는 20대∼60대까지의 주부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연구하였다. 社會階層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남편과 주부의 敎育水準, 職業, 가족전체의 收入, 그리고 結婚前의 主婦父親의 敎育水準과 職業도 아울러 조사하였다. 社會階層은 주관적인 방법과 객관적인 방법으로 측정하여 각각 階層별로 分類하여 비교하였고, 地位不一致 類型과 社會적 階層 移動 그리고 社會적 階層 移動에 관한 태도를 조사하였다. 衣服의 誇示的 消費現象은 유명상표위주의 구매를 의미하는 有名商標 衣服購買를 비롯하여 流行志向的 衣服購買, 餘暇誇示的 衣服購買, 餘暇志向的 衣服購買, 浪費的 衣服購買, 模造有名商標 衣服購買 그리고 高價의 輸入 衣服購買의 하위변인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또한, 조사대상자들의 衣服購買에 관한 구체적인 실태파악을 위하여 1個月(1992년 4월) 동안에 각 가정에서 구입한 衣類 상품에 대하여 購買品目, 購買場所, 購買價格, 代金支拂方法 그리고 選擇基準 등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인 硏究 結果는 다음과 같다. 社會階層을 구분하기 위하여 객관적인 방법과 주관적인 방법 두 가지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객관적 방법에 의하여 구분된 집단에 따른 의복의 誇示的 消費는 高價의 輸入衣服購買를 제외한 모든 變因에서 집단별로 유의차를 보인 반면 주관적 측정방법에 의하여서는 有名商標 衣服購買(P<.01), 流行志向的 衣服購買(P<.005), 浪費的 衣服購買(P<.005)의 세 變因에서만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또, 남편의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餘暇誇示的 衣服購買(P<.005), 餘暇志向的 衣服購買(P<.05), 模造有名商標 衣服購買(P<.01) 및 高價의 輸入衣服購買(P<.05)에서, 남편의 직업에 따라서는 餘暇誇示的 衣服購買(P<.005), 餘暇志向的 衣服購買(P<.005)와 模造有名商標 衣服購買(P<.005)에서 각각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중 模造有名商標 衣服購買에서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 주부의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有名商標 衣服購買(P<.01), 餘暇誇示的 衣服購買(P<.005), 餘暇志向的 衣服購買(P<.005), 模造有名商標 衣服購買(P<.05)에서만 유의차가 나타났고, 主婦父親의 職業에 따라서는 아무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주부부친의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餘暇誇示的 衣服購買(P<.05), 餘暇志向的 衣服購買(P<.005)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가족전체의 수입과 남편의 교육수준 및 직업을 변수로 하여 1차 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有名商標 衣服購買, 餘暇誇示的 衣服購買, 餘暇志向的 衣服購買, 浪費的 衣服購買, 模造有名商標 衣服購買를 가장 잘 파악 할 수 있는 社會階層 變因으로는 남편의 敎育水準이었다. 위의 세가지 變因에 주부의 교육수준, 주부의 직업, 주부부친의 직업, 주부부친의 교육수준의 네가지 變因을 더하여 7개의 變因으로 衣服의 誇示的 消費에 대하여 2차 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有名商標 衣服購買, 流行志向的 衣服購買. 餘暇誇示的 衣服購買, 餘暇志向的 衣服購買는 주부의 직업이, 餘暇誇示的 衣服購買, 餘暇志向的 衣服購買는 주부의 교육수준이, 餘暇志商的 衣服購買와 模造有名商標 衣服購買는 남편의 교육수준이 가장 영향력이 큰 社會階層 變因으로 나타났다. 地位不一致 類型에 따른 衣服의 誇示的 消費는 주부의 교육수준과 전체소득을 組合하여 地位不一致 집단을 규정하였을 경우에는 餘暇志向的 衣服購買(P<.01)에서 집단별 유의차가 나타났고 남편의 교육과 전체소득을 組合하여 地位不一致 집단을 규정하였을 경우에는 餘暇誇示的 衣服購買, 餘暇志向的 衣服購買에서만 집단간의 유의차를 보였으며, 주부의 교육수준과 남편의 직업을 組合하여 地位不一致 집단을 규정하였을 경우에는 아무런 유의차가 없었다. 남편의 교육수준과 남편의 직업을 組合하여 地位不一致 집단을 규정하였을 경우에는 餘暇志向的 衣服購買(P<.05)에서만 집단간의 유의차가 나타났고, 남편의 직업과 전체소득을 조합하여 지위불일치 집단을 규정하였을 경우에는 有名商標 衣服購買(P<.05), 餘暇誇示的 衣服購買(P<.005), 餘暇志向的 衣服購買(P<.05)에서 집단간의 유의차가 나타났다. 현재의 생활수준을 결혼전의 생활수준과 비교하여 구분한 上向移動, 階層繼承, 下向移動의 각 집단에 대하여 衣服의 誇示的 消費 변인을 분산분석한 결과 上向移動, 階層繼承 또는 下向移動의 실제적 階層移動은 衣服의 誇示的 消費에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없었다. 그러나 社會階層에 대한 關心이나 上向移動에 대한 態度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의복의 誇示的 消費 變因을 분산분석한 결과는 浪費的 衣服購買를 제외한 모든 變因에서 현저한 유의차(P<.01)(P.005)가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 의복의 誇示的 消費 變因을 분산분석한 결과는 餘暇誇示的 衣服購買(P<.05), 餘暇志向的 衣服購買(P<.01)와 高價의 輸入衣服購買(P<.05)에서 유의차가 나타났다. 餘暇誇示 또는 餘暇志向的 衣服購買는 젊은 주부일수록 高價의 輸入衣服購買에서는 고령층의 주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자녀수에 따라서는 有名商標 衣服購買(P<.05)와 餘暇志向的 衣服購買(P<.05)에서 자녀나이에 따라서는 餘暇志向的 衣服購買(P<.05)와 高價의 輸入衣服購買(P<.05)에서 각각 유의차가 나타났다. 餘暇誇示的 衣服購買는 자녀나이가 어릴수록 高價의 輸入衣服購買는 자녀나이가 많을 수록 높게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월 평균 의복비 지출율은 약 8.1890%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有名商標 衣服購買(P<.05), 餘暇誇示的 衣服購買(P<.01)에서 유의차가 나타난 점으로 보아 의복비 지출율이 높을수록 유명상표 구매 및 여가의복구매 성향이 높다고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때 의복의 誇示的 消費는 사회가 階層化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하나의 現象임을 알 수 있었다. 有名商標 위주의 의복구매를 한다거나, 餘暇를 즐기기위해 또는 즐길 수 있는 여유가 있는 것처럼 보이기 위해 誇示的으로 의복구매를 한다거나, 자신의 위신때문에 무리하게 의복을 구매하는 등의 消費行動의 원인은 본인이 속한다고 생각하는 계층에 합당하리라 여겨지는 구매행동의 결과로 파악되어, 誇示的 消費現象을 나타내는 衣服의 購買에는 객관적인 社會經濟 수준 만으로는 해명할 수 없는 心理的인 측면이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社會階層을 구성하는 여러 변인 가운데에서도 주부 자신의 교육수준 및 직업과 남편의 교육수준은 誇示的 消費現象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變因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우리사회내에 존재하는 많은 地位不一致 集團 역시 誇示的 消費 현상을 보이는 主體이며 社會的 階層移動에 대한 熱望도 衣服의 誇示的 消費로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模造 有名商標가 부착된 衣服購買는 下位階層을 중심으로 행해지는 誇示的 消費의 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의 衣服의 誇示的 消費는 사회의 階層化의 結果로 나타나는 現象일 뿐 아니라 上位階層은 다른계층과의 구별을 위하여, 中産層은 상위계층을 모방하고자 하는 열망에서, 그리고 하위계층은 저렴한 모조품을 구매해서라도 상,중階層에 동조하려는 의도에서 각 계층 나름대로의 購買行動을 통해 표출하는 보편적인 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ost persuasive socioeconomic variables influencing various types of the conspicuous consumption by clothing purchase, and to study the differences in the conspicuous consumption of clothing among the groups with social stratification, status inconsistency, upward mobility and to investigate real purchase of clothing about all kinds of clothes for one month of April, 1992.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for the conspicuous consumption variables of clothing and social stratification variables. Social stratification was measured by educational levels and occupational levels of married women and their husbands, the family's total income, educational levels and occupational levels of the women's father. Status inconsistency was defined by the inconsistency among married women's and their husband's educational levels, family's total income, their husband's occupational levels. In order to investigate status inconsistency effects, when their investments (education) are lower than their rewards (income or occupation) they are classified as over-rewarded inconsistency, while their investments is higher than their rewards, as under-rewarded inconsistency, and their investments are equal to their rewards, as consistency. Social mobility was measured by subjective method and the attitude about upward mobility was measured by Kaufman's Status Concern Scale. the conspicuous consumption variables in clothing were consisted of seven variables; such as purchasing of well-known brand clothing, conspicuous waste, conspicuous leisure(A) and (B), excessive expenditure, purchasing of imitation clothing in well-known brand and purchasing of expensive clothing from abroad. Other variables were consisted of four variables; such as age, the number of children, family life cycle and clothing expenditure in monthly average. Additionally, the real purchase of clothing about all kinds of clothes variables were investigated; such as purchaser, purchasing place, purchasing price, purchasing brand and clothing selection criteria. From this point of view, five hypotheses were formulated. In order to test the five hypotheses, data were obtained from 437 housewives living in Kwand-ju area and analyzed by T-test, F-test, Multiple Regression, Pearson's Correlation and Frequency. Most of the hypotheses were identified in the affirmative at P<.05, P<.01 or P<.005 significant level.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significant differences(P<.05, P<.01, P<.005) found among the conspicuous consumption variables in clothing as related to type of social stratification group, and the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social stratification groups by subjective and objective method. 2) The educational level of married women and their husbands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ersuasive conspicuous consumption in clothing. 3) The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P<.01 or P<.005) were found between the type of upward mobility groups, but there are no differences among the social mobility groups. 4) When the subjects were devided into three group according to their status inconsistency typ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5 or P<.01) among groups of conspicuous consumption variables in clothing. The groups of "under privileged" status inconsistency type and "over rewarded" status inconsistency type were tend to show conspicuous consumption in clothing than other type of status inconsistency groups. 5) The significant differences (P<.05, P<.01) were found among the age, family variables and clothing expenditure in monthly average. Especially, middle aged women tend to show the conspicuous consumption in clothing then young married women.

      •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의복평가기준과 자민족중심주의에 관한 연구

        이소정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수입 브랜드 구매경험이 있는 20대 여성의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의복평가기준과 자민족중심주의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의복평가기준에 근거하여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국내 브랜드와 수입 브랜드에 대한 만족도와 의복구매행동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시장세분화의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고 나아가 의류산업 업체의 상품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물질주의 성향에 따라 집단을 나누고 의복평가기준, 자민족중심주의와의 관계를 밝힌다. 둘째, 국내 브랜드와 수입 브랜드 선호집단에 따라 의복평가기준, 자민족중심주의와의 관계를 밝힌다. 셋째,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국내 브랜드와 수입브랜드 선택시 만족도와 의복구매행동에 대하여 알아본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이론적 고찰, 2차례 예비조사와 1차례 본조사를 병행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설문지법을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통계 Pakage를 사용하여 요인 분석 , 빈도, 백분율,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χ² - 테스트, t-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물질주의 성향을 측정하는 문항의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하여 상위 30%를 물질주의 성향이 높은 집단, 중간 40%를 물질주의 성향이 중간인 집단, 하위 30%를 물질주의 성향이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의복평가기준은 디자인, 유행감각, 색상, 스타일 등의 심미성과 관련된 요인으로 심미적 요인과 편안함과 가격을 중시하는 실용적 요인, 그리고 상표의 명성이나 자신의 개성을 전달해주는 표현적인 속성과 관련된 상징·표현적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둘째, 물질주의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 본 결과본인의 최종학력, 가정의 총월수입, 주관적 사회계층, 한계절 평균 의복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을 살펴본 결과 정장 평균 구매가격, 선호 브랜드, 선호이유, 구매비중, 한계절 정장 구입수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연구 대상자들의 의복평가기준을 살펴본 결과 심미적 요인을 가장 중요시하고 그 다음으로 실용적 요인, 상징·표현적 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의복평가기준을 근거로 국내 브랜드와 수입 브랜드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수입 브랜드의 상징·표현적 요인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심미적 요인, 실용적 요인, 국내 브랜드의 실용적 요인, 심미적 요인, 상징·표현적 요인의 순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브랜드와 수입 브랜드라는 상표 특성에 따라 의복평가기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국내 브랜드를 선호하는 집단은 심미적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실용적 요인 상징·표현적 요인의 순으로 중시하였다. 수입 브랜드를 선호하는 집단은 상표를 선택할 때 역시 심미적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상징·표현적 요인, 실용적 요인의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데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수입 브랜드를 선호하는 집단은 수입 브랜드의 상징·표현적 요인에 가장 만족하였고 그 다음으로 수입 브랜드의 심미적 요인 수입 브랜드의 실용적 요인, 국내 브랜드의 실용적 요인, 국내 브랜드의 심미적 요인 순으로 만족하였고 국내 브랜드의 상징·표현적 요인에는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브랜드를 선호하는 집단의 경우 수입 브랜드의 상징·표현적 요인에 가장 만족하였고, 수입 브랜드의 심미적 요인, 국내 브랜드의 실용적 요인, 국내 브랜드의 심미적 요인, 국내 브랜드의 상징·표현적 요인의 순으로 만족하였고 수입 브랜드의 실용적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다섯째, 연구 대상자들이 외국상품을 구매하는 것에 대한 적절성과 도덕성에 관한 신념인 자민족중심주의를 살펴본 결과 연구 대상자들의 자민족중심주의 평균점수는 5점 기준에 2.31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고 국내 브랜드와 수입브랜드를 선호하는 집단간의 자민족중심주의를 비교해 본 결과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섯째, 물질주의 성향에 따라 의복평가기준을 살펴본 결과 의복평가기준 중 심미적 요인과 상징·표현적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국내 브랜드와 수입 브랜드의 만족도를 비교해 본 결과 국내 브랜드의 상징·표현적 요인, 수입 브랜드의 심미적 요인, 수입 브랜드의 실용적 요인, 수입 브랜드의 상징·표현적 요인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곱째,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자민족중심주의를 살펴본 결과 물질주의 성향이 낮은 집단일수록 자민족중심주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 between materialism and clothing evaluation standards. Consumer Ethnocentrism was to included as a dependent varialble in analyzing the data. Also I identified which characteristics of import brands were different from domestic brands by comparing the consumer satisfaction about the brands and their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The specific o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examine the relation of clothing evaluation standards and consumer ethnocentrism by materialism. Second, it is to examine the relation of clothing evaluation standards and consumer ethnocentrism by forming consumer groups who preferred import brands and who preferred domestic brands. Third, it is to examine the consumer's satisfaction about the brands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by materialism. The theoretical study and survey were used as a research method and the questionnaire was used for material collection. SPSS packages are applied to find out the results of frequencies, percentages, arithmatic means, correlation analysis,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x² -tests, t-tests and regressions of data.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ree groups for materialism were extracted from the mean. And The clothing evaluation standards were composed of aesthetic factor, practical factor and symbolical?expressive factor. Second, with analysing the difference of the materialism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occurred in educational levels in person, monthly household income, subjective class and seasonal clothing expenditures. Third, clothing purchase price, brand preference, the reason of preference, the portion of possessing import brands and the number of formal wear purchased per season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erialism. Fourth, when consumer group who has preference to import brands chooses the clothing, aesthetic factor, symbolical?expressive factor, practical factor are enumerated in the order of importance and satisfied with symbolical?expressive factor of import brands, aesthetic factor of import brands, practical factor of import brands, practical factor of domestic brands, aesthetic factor of domestic brands in the order. Actually they are dissatisfied with symbolical?expressive factor of domestic brands. When consumer group who has preference to domestic brands chooses the clothing, aesthetic -factor, practical factor, symbolical?expressive factor are enumerated in the order of importance and satisfied with symbolical expressive factor of import brands, aesthetic factor of import brands, practical factor of domestic brands, aesthetic factor of domestic brands, symbolical?expressive factor of domestic brands, practical factor of import brands in the order. Fifth, the average of consumer ethnocentrism is 2.31 out of 5 and consumer group who has preference to import brands or domestic brands does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sumer ethnocentrism. Sixth, the clothing evaluation standards by materialism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aesthetic factor and symbolical?expressive factor. The satisfaction of domestic & import brands by materialism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symbolical?expressive factor of domestic brands, symbolical?expressive factor of import brands, aesthetic factor of import brands, practical factor of import brands. Seventh, consumer group who has low materialism shows a high consumer ethnocentrism.

      • 초등학교 여학생의 자기이미지와 의복행동과의 관계

        안선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초등학교 여학생에게서 나타나는 자기이미지와 의복행동의 유형을 규명하고 자기이미지와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고찰하여, 초등학교 여학생의 의복문화를 이해하고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의복행동을 지도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7개의 초등학교 5~6학년 여학생 4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와 분석은 요인 분석, 상관관계 분석, 독립표본 t검증을 이용하여 초등학교 여학생의 자기이미지와 의복행동과의 관계 및 학년에 따른 의복행동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여학생의 자기이미지의 유형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현실적 자기이미지는 귀여운, 명랑한, 성숙한, 차분한의 4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이상적 자기이미지는 활달한, 귀여운, 단정한의 3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여학생의 의복행동의 유형은 개성표현, 유행동조, 타인의식, 자기만족의 4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자기이미지와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현실적 자기이미지 중 ‘귀여운’ 이미지는 의복행동의 ‘개성표현’과 ‘유행동조’, ‘명랑한’ 이미지와 ‘성숙한’ 이미지는 의복행동의 ‘개성표현’, ‘유행동조’, ‘자기만족’, ‘차분한’ 이미지는 의복행동의 ‘타인의식’ 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적 자기이미지와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이상적 자기이미지 중 ‘활달한’ 이미지는 의복행동의 ‘개성표현’, ‘유행동조’, ‘타인의식’, ‘자기만족’, ‘귀여운’ 이미지는 의복행동의 ‘개성표현’, ‘유행동조’, ‘자기만족’, ‘단정한’ 이미지는 의복행동의 ‘타인의식’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넷째, 초등학교 여학생의 학년에 따른 의복행동은 ‘유행동조’와 ‘타인의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6학년이 5학년보다 유행동조, 타인의식에 대한 평균이 높아 의복을 선택하고 착용할 때 6학년 여학생이 5학년 여학생보다 유행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여학생의 의복문화를 이해하고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의복행동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ypes of self-image and clothing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girls, contemplate relations between self-image and clothing behaviors, understand primary school girls' clothing culture and provide preliminary data on educating clothing behaviors in schools.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411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girls from seve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of independent sample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materials. The result of the analysis which includes relations between self-image and clothing behavior, and the differences of cloth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grades of students is stat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on types of self-images of elementary school girls, realistic self-images were cute, cheerful, mature and calm. Ideal self-images were outgoing, cute and neat. Second, the types of cloth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girls consisted of expression of individuality, following fashion trends, concern about others and self-contentment. Third,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relations between realistic self-image and clothing behavior shows that ‘Cute’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xpression of individuality’ and ‘following fashion trends’. ‘Cheerful’ is positively related with ‘expression of individuality’, ‘following fashion trends’ and ‘self-contentment’. ‘Mature’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xpression of individuality’, ‘following fashion trends’ and ‘self-contentment’. ‘Calm’ is positively related with ‘concern about others’. The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s that ‘Outgoing’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xpression of individuality’, ‘following fashion trends’, ‘concern about others’ and ‘self-contentment’. ‘Cute’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xpressing individuality’, ‘following fashion trends’ and ‘self-contentment’. ‘Neat’ was positively related with ‘concern about others’. Fourth, a meaningful difference was discovered in cloth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grades of students. Sixth grade students have higher average scores on ‘following fashion trends’ and ‘concern about others’ than the fifth grade students. Therefore, this implies that sixth grade students are more fashion-conscious and self-conscious than the fifth grade students. This research helps us understand the clothing cultur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be conscious of clothing behavior in schools whilst teaching.

      • 의복구매유형에 관련된 상황변수 연구 : 계획구매, 비계획구매, 충동구매를 중심으로

        선정희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onceptual framework of situational variables on clothing type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ituational variables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ituational variables on clothing buying typ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eoretically as well as empirically. As a result of the theoretical study, consumer's decision-making process on clothing buying types and situational variables related to clothing buying process reviewed. Also, consumer characteristics related to situational variables were investigate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Data was collected from 530 women living Pusan and analyzed by the factor analysis, person correlation and discriminant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allowing; Communication situations and buying situations were found out to be different on clothing buying types. In planning buying, consumers were affected by printed and tele-communication information search and were affected by interpersonal information search in unplanning buying. In impulsing buying, consumers were affected by store information search. Consumers were influenced from the point-of-purchase conditions in planning or unplanning buying and were influenced from product characteristics, such as status symbolism and fashionability in impulsing buying. It was found out that consumers with high rational clothing involvements were affected by only the buying situation when they would buy clothing, but consumers with high emotional clothing involvements were affected by the communication situations as well as the buying situations. Consumers with high self-monitoring traits were not affected by the communication situations and mostly affected by the buying situations. Results showed that the buying situa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in clothing buying behavior, communication situations or buying situations were differently influenced on clothing buying 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