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강화약쑥의 施肥, 採取時期 및 部位에 따른 有效性分 含量變異

        한상숙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2

        쑥은 전국에 자생ㆍ분포하고, 번식력과 환경적응력이 매우 강하며,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는 초본 및 목본성 자원식물이다. 쑥은 야생의 역사가 길기 때문에 변종이 많아 지역마다 특성 있는 종으로 변화하였으며, 성분 및 이용방법도 다양하다. 쑥의 약리적 효능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쑥의 종류, 성분, 추출방법 등에 따라 이용 가능한 유효성분이 다양하고, 유효성분의 분석연구 또한 계속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유효성분을 eupatilin과 jaceosidin으로 한정하여 정리하였다. 본 실험은 강화약쑥의 채취시기, 채취부위, 시비조건에 따른 유효성분의 함량변이를 조사하여 품질 평가 및 기초 자료로 이용코자 수행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1. 수집지역에 따른 유효성분 함량 차이를 조사한 결과, eupatilin 및 jaceosidin의 함량은 여수, 제주, 울릉도, 수안보 등에서 수집한 쑥보다 강화싸주아리쑥과 강화사자발쑥의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2. 강화약쑥의 시비에 따른 유효성분 함량변이를 조사한 결과, 강화싸주아리쑥에 무처리, 용성인비(P), 염화칼리(K), 질소(N)를 시비한 경우, 용성인비(P) 처리구에서 eupatilin 및 jaceosidin 함량이 가장 높았다. 3. 강화약쑥의 시기에 따른 유효성분 함량변이를 5월 10일에서 6월 30일까지 4회차에 걸쳐 조사한 결과, 강화싸주아리쑥은 6월 12일 경의 eupatilin 및 jaceosidin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강화사자발쑥은 6월 30일 경의 eupatilin 및 jaceosidin 함량이 가장 높았다. 4. 강화약쑥의 채취부위별 유효성분 함량변이를 조사한 결과, 강화사자발쑥 및 강화싸주아리쑥을 상위엽, 중위엽, 하위엽의 3단계로 부위로 구별하여 조사하였을 때, 상위엽 부위의 유효성분 함량이 가장 높았다.

      • Poly(menthylmethacrylate-co-trimethoxy-silylpropylmethacrylate)를 사용한 유효성분 함유 구 제조

        임미선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2

        새로운 기능 혹은 새로운 개념의 기능성화장품 소재의 개발은 세계 화장품 시장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한 기대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화장품의 주요성분인 기능성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복합 기능성화장품 소재를 개발하고자하였다. 본 연구는 polysilsesquioxane(PSQ) 전구체를 여러 가지 오일-물 계면에서 촉매 존재하에 반응시키면 계면선택적 중합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methyl methacylate(MMA)와 3-(trimethoxysilyl)propyl methacylate(TMPMA)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그 내부에 비타민-A 유도체 및 비타민-C 유도체등의 유효성분을 encapsulation하여 core-shell PSQ 구를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효성분을 encapsulation하여 core-shell구를 제조하는 방법은 비수용성 유효성분과 MMA-TMPMA공중합체를 톨루엔과 같은 비수용성 용매에 녹이고 tween 60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o/w emulsion을 제조한다. 여기에 triethylamine(TEA) 혹은 3-aminopropyltriethoxysilane(APTEOS)과 같은 sol-gel반응의 촉매를 가하고 톨루엔을 서서히 증발시켜 제거하면 유효성분을 내부에 함유하고, Si-O-Si결합을 통하여 가교된 MMA-TMPMA 공중합체의 core-shell PSQ 구가 얻어진다. 유효성분을 함유한 MMA-TMPMA core-shell PSQ 구는 실험한 다섯 가지 유효성분( Retinol, Retinyl Palmitate, Tocopheryl Acetate, Ascorbyl teraisopalmitate, 유용성감초추출물)들에서 양호한 core-shell PSQ 구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직경은 수백 nm~10μm정도였다. 본 기술은 실험된 유효성분 외에 안정성이 떨어지는 성분이나 그 자체만으로 적용이 어려운 성분들을 쉽게 구형 입자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한 가지 기능이 아닌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그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development of the materials for functional cosmetics with new functions and concepts has been an important factor in cosmetics market in the world and it has been a crucial assignment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our cosmetics industry. In order to cope with such an expectation,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aterials of complex functional cosmetics products that contain the functional effective ingredients- main ingredients of functional cosmetics. This study found out the fact that surface selective polymerization occurred if the precursor of polysilsesquioxane(PSQ) was reacted with a catalyst in various oil-water interfaces; in doing so, it synthesized methyl methacylate(MMA) and copolymer of 3-(trimethoxysilyl) propyl methacylate(TMPMA) and manufactured core-shell PSQ sphere, by encapsulating the effective ingredients from Vitamin-A and Vitamin-C derivatives in it. In this study, the method of producing core-shell sphere by encapsulating effective compound is dissolving insoluble effective compound and MMA-TMPMA copolymer in insoluble solvent such as toluene, and uses surfactant such as tween 60 then produce o/w emulsion. In here, sol-gel reaction such as triethylamine (TEA) or 3-aminopropyltriethoxysilane (APTEOS) was catalyzed and toluene was slowly evaporated. Then core-shell PSQ sphere of MMA-TMPMA copolymer, which contains effective compounds inside will be obtained thru Si-O-Si bond and bridge-building. MMA-TMPMA core-shell PSQ sphere containing effective compound can be produced from five effective compounds (Retinol, Retinyl Palmitate, Tocopheryl Acetate, Ascorbyl teraisopalmitate and useful licorice root) in the experiment, and its diameter was about 100 nm~10μm. This technology can produce unstable substances or compound, which is difficult to apply by itself, into spherical particle easily other than the experimented effective compounds, and can make particle not only with single function but also multiple functions. With these advantages, it is considered that it has a great value for the utilization.

      •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마스크팩 유효성분 첨가 엔드 페이퍼 종류에 따른 모발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연구

        이보림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99

        본 연구의 목적은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사용하는 엔드 페이퍼를 마스크팩 유효성분을 함유한 신소재 엔드 페이퍼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엔드 페이퍼로 시술한 후 모발 보호 효과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료명은 미용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엔드 페이퍼에 마스크팩 유효성분을 흡착 처리하여 사용한 실험군을 normal end paper 실험군, 마스크팩 시트지에 마스크팩 유효성분을 흡착 처리하여 사용한 실험군을 sheet end paper 실험군으로 나누었으며, normal end paper에 무 처리한 대조군을 N으로 설정하였다. 먼저 normal end paper 실험군에서 청귤 normal end paper 군 N1, 콜라겐 normal end paper 군 N2, 어성초 normal end paper 군 N3, 검은콩 normal end paper 군 N4로 명명하였다. sheet end paper 실험군은 청귤 sheet end paper 군 S1, 콜라겐 sheet end paper 군 S2, 어성초 sheet end paper 군 S3, 검은콩 sheet end paper 군 S4로 명명하고 실험을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웨이브 효율성 측정결과 normal end paper에 무 처리한 대조군 N의 컬은 비교적 일정하게 형성된 것으로 보이나, 웨이브의 크기가 작고 선명하지 않고 웨이브 효율성이 27.49 ± 0.08%로 낮게 측정되었다. 각 실험군의 웨이브 효율성 측정결과는 S3 > S2 > S1 > N1 > N3 > N2 > N > N4 > S4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우수한 웨이브 효율성을 나타낸 S3의 웨이브 효율성은 37.37 ± 0.15%로 나타났으며 컬의 간격이 적당하며 모발 끝부분의 웨이브가 크게 형성된 형태로 관찰되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어성초, 콜라겐, 청귤 마스크팩 유효성분들을 sheet end paper에 흡착시켜 퍼머넌트 웨이브에 적용하였을 때 웨이브 형태가 규칙적이며 웨이브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발 굵기를 측정한 결과 Virgin hair는 0.0312 ± 0.0016 ㎜로 측정 되었으며, normal end paper에 무 처리한 대조군 N은 0.0263 ± 0.0006 ㎜의 모발 굵기를 나타내어 시료 중 가장 작은 값을 나타냈다. 각 실험군의 모발 굵기의 결과는 S3 > S4 > N4 > N3 > N2 > S2 > S1 > N1 > N 순으로 나타났다. 어성초 sheet end paper 군 S3는 0.0307 ± 0.0023 ㎜로 실험군 중 모발 굵기가 가장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어성초와 검은콩 마스크팩 유효성분을 흡착시킨 실험군이 청귤과 콜라겐 마스크팩 유효성분을 흡착시킨 실험군보다 모발의 굵기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모든 실험군이 normal end paper에 무 처리한 대조군 N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 모발 보습력 측정 결과 Virgin hair는 84.60%로 측정되었으며, normal end paper에 무 처리한 대조군 N의 경우 측정결과 70.15%로 나타나 Virgin hair에 비해 14.45% 감소하여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발 보습력을 측정한 결과 S3 > S1 > S4 > N4 > S2 > N3 > N1 > N2 > N 순으로 나타났다. 어성초 sheet end paper 군 S3는 79.51%로 normal end paper에 무 처리한 대조군 N보다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서 높은 보습력을 보였다. 또한 모발 보습력도 모발의 굵기와 같이 sheet end paper 군이 normal end paper 군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마스크팩 유효성분들 중 어성초가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인장강도 측정 결과 Virgin hair 측정값은 119.12 ± 12.42 gf/㎟로 측정되었으며, normal end paper에 무 처리한 대조군 N은 82.55 ± 4.65 gf/㎟로 실험군 중 가장 낮은 인장강도 값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normal end paper 군과 sheet end paper 군을 비교한 인장강도 결과는 S4 > S3 > N3 > N4 > S2 > N2 > S1 > N1 > N 순으로 나타났다.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낸 실험군은 검은콩 sheet end paper 군 S4가 118.21 ± 13.34 gf/㎟로 실험군 중 인장강도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대체적으로 normal end paper 군보다 sheet end paper 군이 높은 인장강도 값을 보였으며, 어성초, 검은콩 마스크팩 유효성분이 청귤, 콜라겐 마스크팩 유효성분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 SEM을 이용하여 모표피 관찰 결과 Virgin hair는 스케일의 윤곽이 뚜렷하고 표면이 매끄럽고 경계선이 선명하게 관찰되었다. normal end paper에 무 처리한 대조군 N은 스케일이 고르지 않고 큐티클이 마모되어 윤곽이 불분명하고 모발 표면 곳곳에 큐티클 탈락 현상이 나타났다. 어성초 sheet end paper 군 S3는 Virgin hair와 유사하게 스케일의 들뜸 현상이 거의 발견되지 않고 박리 현상과 마모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검은콩 sheet end paper 군 S4는 스케일의 간격이 촘촘하고 윤곽이 뚜렷하며 큐티클이 흡착되거나 박리된 부분이 발견되지 않았다. 어성초 마스크팩 유효성분과 검은콩 마스크팩 유효성분의 모표피의 형태가 안정적이며 건강하고 매우 양호한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SEM을 이용하여 모표피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Virgin hair의 큐티클 두께는 467.64 ± 23.54 ㎚로 측정되었으며 normal end paper에 무 처리한 대조군 N의 큐티클 두께는 299.28 ± 14.45 ㎚로 측정되었다. 연구결과 큐티클의 두께는 S4 > S3 > N3 > N4 > S2 > S1 > N2 > N1 > N 순으로 나타났다. 검은콩 sheet end paper 군 S4는 460.73 ± 9.92 ㎚로 실험군 중 큐티클 두께가 가장 두껍게 측정되었으며, Virgin hair와 가장 유사한 큐티클 두께를 나타냈다. EDS를 이용한 모발 구성 원소 분석 결과 Virgin hair의 경우 탄소(C)가 57.43%, 질소(N)가 14.43%, 산소(O)는 22.57%. 황(S)은 4.96%로 나타났으며, normal end paper에 무 처리한 대조군 N의 경우 측정결과 탄소(C)가 56.36%, 질소(N)가 15.75%, 산소(O)는 24.39%. 황(S)이 3.05%로 나타났다. 모발 구성 원소 분석 결과 모발 손상 정도를 알 수 있는 황(S)의 함유량은 S4 > N4 > S3 > S2 > N3 > S1 > N2 > N1 > N 순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sheet end paper 군이 normal end paper 군보다 높은 황(S)의 결과 값을 나타냈으며, 마스크팩 유효성분들 중 검은콩의 황(S)값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end paper의 종류 비교는 sheet end paper가 normal end paper보다 모발의 손상을 완화하는 유효성분들의 흡착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end paper에 마스크팩 유효성분들을 적용하여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기능성 end paper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마스크팩 유효성분들 중 어성초 유효성분과 검은콩 유효성분이 전체적인 모발 실험에서도 청귤 유효성분과 콜라겐 유효성분에 비해 모발 보호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미용 산업 현장에서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모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마스크팩 유효성분들을 end paper에 적용하면 모발 보호 효과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는 미용 실무 현장에서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손상된 모발에 모발 보호 효과가 있는 유효성분들을 적용시킨 엔드 페이퍼를 사용함으로써 모발 손상 완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나아가 모발 케어를 하는 모발 화장품으로써 활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엔드 페이퍼 뿐 아니라 모발 손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미용 제품들을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미용 산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신소재 제품 개발의 기초 자료가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 in hair protection effect after treating the end paper used in the permanent wave treatment with a new material end paper containing an active mask pack and a commonly used end paper. The sample name of this study is the normal end paper test gro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t adsorbed the mask pack active ingredient to end paper commonly used in the beauty field, and the sheet end paper test group used the mask pack active ingredient adsorbed on the mask pack sheet, and the control group untreated on normal end paper was set to N. First, in the normal end paper experimental group, they were named as green tangerine normal end paper group N1, collagen normal end paper group N2, houttuynia cordata normal end paper group N3, and black soybean normal end paper group N4. The sheet end paper test group was named green tangerine sheet end paper group S1, collagen sheet end paper group S2, houttuynia cordata sheet end paper group S3, and black soybean sheet end paper group S4,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s a result of measurement of wave efficiency, the curls of the control group N, which were not treated on normal end paper, appeared to be formed relatively uniformly, but the size of the wave was small and not clear, and the wave efficiency was measured as low as 27.49 ± 0.08%. The wave efficiency measurement result of each experimental group was shown in the order of S3 > S2 > S1 > N1 > N3 > N2 > N > N4 > S4. The wave efficiency of S3, which showed the best wave efficiency, was 37.37 ± 0.15%,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urls was adequate and the wave at the tip of the hair was formed large. In general, it was confirmed that the wave shape was regular and the wave efficiency was high when the active ingredients of the houttuynia cordata, collagen, and green tangerine mask pack were adsorbed to the sheet end paper and applied to the permanent wave.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hair thickness, virgin hair was measured to be 0.0312 ± 0.0016 ㎜, and the control group N, which was not treated with normal end paper, had a hair thickness of 0.0263 ± 0.0006 ㎜, which was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samples. The results of hair thickness in each experimental group were shown in the order of S3 > S4 > N4 > N3 > N2 > S2 > S1 > N1 > N. Houttuynia cordata sheet end paper group S3 was 0.0307 ± 0.0023 ㎜, showing the thickest hair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Overall,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houttuynia cordata and black soybean mask pack active ingredients were adsorbed showed an increase in hair thickness than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green tangerine and collagen mask pack active ingredients were adsorbed, showed higher results than N. As a result of measuring hair moisturizing power, virgin hair was measured to be 84.60%, and in the case of control N, which was not treated with normal end paper, it was found to be 70.15%,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virgin hair by 14.45% decrease. As a result of measuring hair moisturizing power, it was found in the order of S3 > S1 > S4 > N4 > S2 > N3 > N1 > N2 > N. Houttuynia cordata sheet end paper group S3 was 79.51%,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N, which was not treated with normal end paper. All experimental groups showed higher moisturizing power than the control group. Also, the hair moisturizing power of the sheet end paper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end paper group, just like the thickness of the hair. As a result of the tensile strength measurement, virgin hair was measured to be 119.12 ± 12.42 gf/㎟, and the control group N, which was not treated with normal end paper, was 82.55 ± 4.65 gf/㎟, which was the lowest tensile strength value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In addition, the tensile strength results comparing the normal end paper group and the sheet end paper group were shown in the order of S4 > S3 > N3 > N4 > S2 > N2 > S1 > N1 > N. As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black soybean sheet end paper group S4 was 118.21 ± 13.34 gf/㎟, and the tensile strength was the highest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In general, the sheet end paper group showed a higher tensile strength value than the normal end paper group, and the active ingredients of houttuynia cordata and black soybean mask pack showed higher results than those of green tangerine and collagen mask pack.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epidermis using SEM, virgin hair was observed to have a clear scale outline, a smooth surface, and a clear boundary line. In the control group N, which was not treated with normal end paper, the scale was uneven, the cuticles were abraded, the contours were unclear, and cuticles fell off all over the surface of the hair. In the houttuynia cordata sheet end paper group S3, similar to virgin hair, hardly any scale lifting was observed, and peeling and abrasion were not observed. In the black soybean sheet end paper group S4, the scale was closely spaced and the outline was clear, and no cuticle adsorption or peeling was found. The shape of the epidermis of the houttuynia cordata mask pack active ingredient and black soybean mask pack active ingredient was found to be stable, healthy, and in very good condition.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microstructure of the hair epidermis using SEM, the cuticle thickness of virgin hair was measured to be 467.64 ± 23.54 ㎚, and the cuticle thickness of the control group N untreated on normal end paper was measured to be 299.28 ± 14.45 ㎚.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hickness of the cuticle was shown in the order of S4 > S3 > N3 > N4 > S2 > S1 > N2 > N1 > N. Black soybean sheet end paper group S4 was 460.73 ± 9.92 ㎚, which was measured to have the thickest cuticle thickness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and showed the most similar cuticle thickness to virgin hair. As a result of analysis of hair constituent elements using EDS, in the case of virgin hair, carbon (C) is 57.43%, nitrogen (N) is 14.43%, and oxygen (O) is 22.57%. Sulfur (S) was shown as 4.96%, and in the case of control N untreated on normal end paper, as a result of measurement, carbon (C) was 56.36%, nitrogen (N) was 15.75%, and oxygen (O) was 24.39%. Sulfur (S) was found to be 3.05%. As a result of analysis of hair constituent elements, the content of sulfur (S), which can tell the degree of hair damage, was shown in the order of S4 > N4 > S3 > S2 > N3 > S1 > N2 > N1 > N. In general, the sheet end paper group showed a higher sulfur (S) value than the normal end paper group, and the sulfur (S) value of black soybeans was the highest among the mask pack active ingredients. Comparison of end paper types showed that sheet end paper helped adsorption of active ingredients that alleviate hair damage than normal end paper. As a result of these results, by applying mask pack active ingredients to the end paper, the possibility of use as a functional end paper was confirmed in the permanent wave treatment. In particular, among the mask pack active ingredients, houttuynia cordata active ingredient and black soybean active ingredient were effective in green tangerine active ingredient and collagen in the overall hair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hair protection effect was excellent compared to the ingredient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hair damage during permanent wave treatment in the beauty industry, it is thought that applying the active ingredients of the mask pack to the end paper can help the hair protec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ought to have a hair damage mitigation effect by using the end paper to which active ingredients that have a hair protection effect are applied to damaged hair during permanent wave treatment in the field of beauty practice, It is presumed that there will be. Therefore, research to develop not only end paper but also various beauty products that can help alleviate hair damage, is hoped to become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ew material products that can be used in the beauty industry.

      • Analysis of hexythiazox residue by LC-MS/MS and active ingredient by HPLC in Ostericum root and Angelica Dahurica root

        주보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97

        Hexythiazox is a carboxamide-based insectcide which has been used for controlling mites in melon, apple, strawberry and traditional herbal plants. Although the analytical method for hexythiazox residue in general food crops was well developed using HPLC or LC-MS/MS, there are no available analytical method for the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nalytical method for hexythiazox residue in Ostericum root and Angelica Dahurica root which have traditionally been used in oriental medicine. The method limit of quantitation (MLOQ) was 0.02 mg/kg. A recovery test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established method at two fortification levels (MLOQ and 10 times of MLOQ). The recovery rate was in the range 70~105% with <10 % of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Therefore, the present method was proved to be reasonable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hexythoazox in the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Ostericum root and Angelica Dahurica root. Besides, an analytical method for the active ingredients in Angelica Dahurica root and Ostericum root was also established, based on the Korean Pharmacopoeia which is a statute for the analytical method of pharmaceuticals in Korea. A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 for the active ingredients in Ostericum root and Angelica Dahurica root was developed using HPLC-DAD. After optimizing several HPLC analytical parameters such as gradients program for the mobile phase and UV wavelength, four active ingredients (oxypeucedanin, bisabolangelone, imperatorin, and isoimperatorin) for Ostericum root and five active ingredients (byakangelicol, oxypeucedanin, imperatorin, phellopterin, and isoimperatorin) for Angelica Dahurica root were successfully separated in the HPLC chromatograms. These active ingredients were identified by LC-MS/MS analysis considering their unique ionization properties. Hexythiazox는 멜론, 사과, 딸기 및 생약(한약)에서 진드기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살충제이다. Hexythiazox는 일반 식량작물에서 HPLC 또는 LC-MS / MS로 분석이 가능하며 분석법 또한 잘 확립되어 있으나 생약(한약)에서는 분석법 확립이 잘 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LC-MS / MS를 이용하여 전통 약재 인 강활(Ostericum) 및 백지(Angelica Dahurica)에 대한 분석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정량 분석 한계 (MLOQ)는 0.02 mg / kg이며 두 개의 처리수준(MLOQ, 10 MLOQ)에서 확립 된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회수율 실험을 수행하였다. 회수율은 70 ~ 105 % 범위 였고 표준편차는 10 % 미만이었다. 따라서 본 방법이 생약(한약)인 강활 및 백지에서 hexythoazox의 정량분석에 유효함을 입증하였다. 대한민국 약전에는 유효성분 분석법이 있다. 한약재인 백지는 유효성분 분석법 및 유효성분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지만 강활은 유효성분 분석법 및 유효성분의 정보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백지의 유효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대한민국 약전법을 이용하였으며, 강활 또한 백지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대한민국 약전법을 이용한 결과 백지에서 유효성분의 피크의 분리가 되지 않아 기기조건을 개선함과 동시에 강활과 백지에서 겹치는 피크를 관찰하였고 문헌조사를 한 결과 강활에서도 백지와 유효성분이 겹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 약전에서는 백지의 유효성분으로 oxypeucedanin, imperatorin, isoimperatorin을 제시하였으며, 기기분석결과 유효성분으로 인지할 수 있는 피크가 나왔음을 확인하였다. 마찬가지로 강활에서도 oxypeucedanin, imperatorin, isoimperatorin의 3 개의 피크가 나왔으며 유효성분으로 지정되어도 무방할 만큼 감도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LC-MS/MS에서 Q3 scan 결과 강활에서는 oxypeucedanin, imperatorin, isoimperatorin, bisabolangelone을 유효성분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백지에서는 oxypeucedanin, imperatorin, isoimperatorin, byakangelicol, phellopterin을 유효성분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Hexythiazox는 멜론, 사과, 딸기 및 생약(한약)에서 진드기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살충제이다. Hexythiazox는 일반 식량작물에서 HPLC 또는 LC-MS / MS로 분석이 가능하며 분석법 또한 잘 확립되어 있으나 생약(한약)에서는 분석법 확립이 잘 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LC-MS / MS를 이용하여 전통 약재 인 강활(Ostericum) 및 백지(Angelica Dahurica)에 대한 분석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정량 분석 한계 (MLOQ)는 0.02 mg / kg 이며 두 개의 처리수준(MLOQ, 10 MLOQ)에서 확립 된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회수율 실험을 수행하였다. 회수율은 70 ~ 105 % 범위 였고 표준편차는 10 % 미만이었다. 따라서 본 방법이 생약(한약)인 강활 및 백지에서 hexythoazox의 정량분석에 유효함을 입증하였다. 대한민국 약전에는 유효성분 분석법이 있다. 한약재인 백지는 유효성분 분석법 및 유효성분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지만 강활은 유효성분 분석법 및 유효성분의 정보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백지의 유효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대한민국 약전법을 이용하였으며, 강활 또한 백지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대한민국 약전법을 이용한 결과 백지에서 유효성분의 피크의 분리가 되지 않아 기기조건을 개선함과 동시에 강활과 백지에서 겹치는 피크를 관찰하였고 문헌조사를 한 결과 강활에서도 백지와 유효성분이 겹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 약전에서는 백지의 유효성분으로 oxypeucedanin, imperatorin, isoimperatorin을 제시하였으며, 기기분석결과 유효성분으로 인지할 수 있는 피크가 나왔음을 확인하였다. 마찬가지로 강활에서도 oxypeucedanin, imperatorin, isoimperatorin의 3 개의 피크가 나왔으며 유효성분으로 지정되어도 무방할 만큼 감도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LCMS/MS에서 Q3 scan 결과 강활에서는 oxypeucedanin, imperatorin, isoimperatorin, bisabolangelone을 유효성분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백지에서는 oxypeucedanin, imperatorin, isoimperatorin, byakangelicol, phellopterin을 유효성분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枸杞(Lycium chinense M.)의 栽培的 特性과 收穫時期에 따른 枸杞葉의 有效成分 變化

        김성민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박사

        RANK : 248685

        枸杞葉의 생산, 이용을 위하여 枸杞 品種의 재배적 특성을 究明하였고, 枸杞葉을 이용한 다양한 機能性 食品 개발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收穫時期에 따른 枸杞葉의 有效成分 변화를 조사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枸杞의 栽培的 特性 (1) 枸杞葉 生産用 品種으로 유성2호가 가장 적합하였으며, 年間 6~7회 收穫이 가능하였다. (2) 枸杞는 密植할수록 分枝數가 감소하고, 莖굵기가 가늘어지는 경향이었고, 疎植할 수록 株當總葉數는 많았다. 葉長, 葉幅, 葉重, 莖當生體重, 莖當乾燥重 및 乾葉重은 栽植密度에 따른 差異가 나타나지 않았다. 葉收量은 密植할수록 有意하게 많았다. (3) 標準施肥量보다 增肥하면 株當總葉數, 莖굵기 등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유성2호는 增肥에 따른 分枝數, 葉長 및 葉幅이 켰으나, 청양재래는 크지 않았다. (4) 枸杞葉의 採取길이가 짧을수록 分枝數는 增加하나 株當總葉數, 莖굵기, 葉長, 葉幅 등은 減少하며, 줄기切斷 높이가 높을수록 莖굵기와 莖當葉數, 葉幅, 葉長은 작아지고, 分枝數 및 株當總葉數는 增加되어 葉生産은 많아겼고, 採取길이가 길어질수록 줄기 밑부분이 木質化되어 商品價値는 떨어졌다. 2. 枸杞葉의 有效成分 (1) 枸杞葉의 일반성분은 수분 6.25-8.74%, 조지방 2.02-2.43%, 조단백질14.15~18.21%, 총당 4.OI~10.56㎍/mg, 환원당 1.07-1.93㎍/mg 및 회분10.3~ 15.8%의 범위이었다. (2) 脂肪酸은 linolenic acid가 25.7~37.1%로 가장 많았고, linoleic acid 21.9~26.7%, palmitic acid 13.S~18.8%, stearic acid 3.3-6.5%이었고, oleic acid 1.6~3.2% 순으로 함유되었으며,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와linolenic acid 함량이 총 지방산의 약 50%이었다. (3) 無機成分 함량은 K2O 4.25-7.16%, P3Os 0.75-1.13%, CaO 0.43~o.86%, MgO 0.32~o.59%, Mn 120-429ppm, Fe 138.0-293.0ppm, Zn 3.0-26.1ppm, Cu O~23.3ppm범위였다. (4) 총유리당 함량은 28.0~131.0mg/g, 총유기산 307.9~499.3mg/g이었으며, 아미노산은 19종이 분리되었는데, glutamic acid가 10.0~10.9%로 가장 많았고, aspartic acid, glycine, alanine, leucine 및 lysine순으로 많았다. (5) Tannic acid 함량은 11.0~l9.1mg/g 이며, 枸杞葉중의 揮發性 成分으로는 hydrocarbon류가 16종, alcohol류가 14종, carbonyl류가 13종, acid류가 13종, ester류 3종, terpene류 5종, 기타 6종 등 70개 成分이 동정되었다. 함량이 많은 화합물은 n-pentanol phytol, 2,3-dihydrobenzofuran, phenylacetal dehyde, benzyl alcohol, methyl octadecadienoate등 이었다. (6) Betaine함량은 0.26~0.40%, rutin 0.24~o.28mg/g, ascorbic acid 180~200mg/g 및 β-carotene함량은 7.85~9.74mg/g 이었다. (7) 食餌纖維 함량은 NDF가 42.3~47.1%, ADF 14.I~17.5%, hemicellulose 22.4~26.2%, cellulose 12.3~14.1%, lignin 3.5~7.1% 이었다. (8) 枸杞葉 有效成分의 품종간 차이는 청양재래가 조지방, 조단백질, 총당및 환원당,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유성2호는 총유리당, tannic acid, betaine, β-carotene, ascorbic acid의 함량이 有意하게 많았다. (9) 收穫時期가 늦어짐에 따라 枸杞葉의 총당, 조단백질, 포화지방산, 유기산, 아미노산중 serine, arginine, methionine, cystine, isoleucine둥과 β-carotene, 食餌纖維등은 다소 증가되었고, 불포화지방산, K_2O, betaine등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10) 枸杞葉에는 betaine, rutin, tannic acid, ascorbic acid, 無機戒分 및 香氣成分등이 함유되어 있어 枸杞茶로서 이용 가능성이 충분하며 Iysine, threonine, β-carotene 및 食餌纖維의 함량이 많아 機能性 健廉飮料로의 개발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考案되었다. (11) 枸杞葉의 有效成分 함량은 收穫時期에 따라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일정한 採取길이가 되면 收穫하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Thes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s in Lycium chinense M.during several harvest times at the experimental fields of the Cheongyang Boxthorn Experiment Station from 1993 to 1995. Yuseong~2 had better cultivar for leaf production with 6~7 times harvesting compared to the Cheongyang native. The number of shoots and shoot diameter decreased when plant density was high, but the total number of leaves increased when plant density was low, Leaf length, leaf width, fresh shoot weight, fresh leaf weight, dry shoot weight, and dry leaf weigh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plant densities. Leaf product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high plant densities. The total number of leaves per shoot and shoot diameter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the ferilizer level. The number of shoots and the number and width of leaves of Yuseong~2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an increase in fertihzer level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ecngyang native were found. As the cutting length of the shoot was shortened, the number of shoots increased and the total number of leaves, shoot diameter, leaf length, and leaf width decreased. The number of shoots and total number of leaves increased, but the stem diameter, leaf number per shoot, leaf width and the leaf length diminished with increasing cutting height from the soil surface. As the cutting with increased, the quality of the shoot decreased due to a lignification of the shoot bottom. The general conponents of L. chinense shoot were 6.25~8.74% moisture, 2.02~2.43% crude fat, 14.15~18.21% crude protein, 4.01~10.56μg/mg total sugar, 1.07~1.93μg/mg reducing sugar, and 10.3~15.8% ash. Total fatty acids were highest in linolenic acid (25.7~37.1%), followed by linoleic acid (21.9~26.7%), palmitic acid (13.5~18.8%), stearic acid (3.3~6.5%) and lowest in oleic acid (1.6~3.2%). Approxinately 50% of the total fatty acids consists of essenbal acids, linoleic and Enolenic acids. The contents of inorganic matters were 4.25~7.16% K_2O, 0.75~1.13% P_2O_5, 0.43~0.86% CaO, 0.32~0.59% MgO, 120~429ppm Mn, 138.0~293.0ppm Fe, 3.0~26.1ppm Zn, and 0~23.3ppm Cu. Total free sugar and organic acid contents were 28.0~131mg/g, 307.9~489.3mg/g, respectively. Nineteen kinds of amino acids were extracted. It was found that glutamic acid had the highest content (10.0~10.9%) followed by aspartic acid, glycine, alanine, leucine and lysine, respectively, The content of tannic acid was 11.0~19.1mg/g. Seventy kinds of volatile components of L. chinense shoot were identited ; 14 alcohol, 16 hydrocabon, 13 carbonyl, 3 ester, 5 terpene, 13 acid and others. The major compounds included n-pentanol, phytol, 2,3-dihydro benzofuran, phenyacetaldehyde, benzyl alchol, methyloctadecadienoate. The contents of the shoot were 0.26~0.40% betaine and 0.24~0.28mg/g rutin, 180~20Omg/g ascorbic acid and 7.85~9.74mg/g β-carotene. The contents of dietary fiber were 42.3~47.1% NDF, 14.1~17.5% ADF, 22.4~ 26.2% hemicellulose, 12.3~14.1% cellulose, and 3.5~7.1% lignin. The effective contents of the Cheongang native and the Yuseoung-2 native differed significantly from each other. Levels of crude fat, crude protein, total sugar, reducing sugar and unsaturated fatty acid were higher in the Cheongang native, and the levels of total free sugar, tannin acid, betaine, β-carotene, ascorbic acid were higher in the Yuseong-2. The shoots of total sugar, crude protein, saturated fatty acid, organic acid, β-carotene, dietary fiber and amino acids such as serine, arginine methionine, cystine, and isoleucine, increased during late harvest times, while unsaturated fatty acid, K_2O and betaine decreased during late harvest times. The leaves will be utilized not only as tea materials because they contain high contents of betaine, rutin, tannic acid, ascorbic acid, inorganic matters and volatile components, but will also be developed as a functional health beverage because they have high contents of lysine, threonine, β-carotene and dietary fib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levels of effective components during different harvest times. The consistency of the levels of effective components may be due to the uniform cutting length of the Yuseong-2 and Cheongyang native shoots.

      •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천연 유효성분을 함유한 대나무 수액 헤어트리트먼트가 모발 보호에 미치는 영향

        이보람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8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 in hair protection effect when applying active ingredients expected to be effective in hair protection as a pretreatment for permanent wave treatment by adding bamboo sap as the main ingredient to treatment and general hair treatment. For the experiment, a hair treatment commonly used in a salon was selected, and a hair treatment was prepared using bamboo sap as the main raw material. After adding active ingredients expected to be effective in hair protection to each hair treatment, it was used as a pretreatment during permanent wave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 in hair protection effect.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Control group without pretreatment is C, general hair treatment experimental group is GT, bamboo sap hair treatment is MT, and depending on the added active ingredient, each experimental group is general hair treatment with copper tripeptide, GA1, and silk peptide, GA2, GB1 with rice ferment extract, GB2 with bifida ferment filtrate, GC1 with avocado oil, GC2 with argan oil, MA1 with copper tripeptide to bamboo sap hair treatment, silk peptide MA2, MB1 with rice ferment extract, MB2 with bifida ferment filtrate, MC1 with avocado oil, and argan oil were named MC2. As a result of the hair thickness test, virgin hair(V) without chemical treatment was 32.233 ± 0.940 ㎛, and the hair thickness of control group C, which was not pretreated during permanent wave, was measured to be 25.950 ± 2.011 ㎛. In the pretreatment group, MC2 > MC1 > GC1 > GC2 > GB2 > MB2 > MA2 > MB1 > MA1 > GA2 > GB1 > MT > GA1 > GT > C. The thickness of the hair was measured to be similar to that of virgin hair when treated with argan oil and avocado oil in general and bamboo sap hair treatment. The hair of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the manufacturing hair treatment using bamboo sap as the main raw material was measured to be thicke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air protection effec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hair treatment. As a result of measurement of wave efficiency, the wave length of control group C without pretreatment was 137.35 ㎜, and the wave formation rate of each experimental group was MA2 > MB2 > GB2 > GA2 > MT > GA1 > MB1 > GT > C > GC2 > GC1 > MC1 > MC2. As for the efficiency of wave,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added with silk peptide and bifida ferment filtrate helps to form elastic and uniform waves. It was confirmed that all of the experimental groups to which avocado oil and argan oil were added had lower wave efficiency than the control group. Hair moisturizing power was measured to be 16.01% for virgin hair and 43.05% for control group C. The hair moisturizing power of each experimental group was MC1 > MC2 > GC1 > GC2 > MA2 > MA1 > MT > MB2 > MB1 > GA1 > GB2 > GA2 > GB1 > GT > C. The moisturizing power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which avocado oil and argan oil were added to bamboo sap hair treatment and general hair treatment was measured to be high. It was confirmed that the manufacturing hair treatment experimental group using bamboo sap as the main ingredient had superior moisturizing power compared to the general hair treatment as a whole. As a result of the tensile strength measurement, the measured value of virgin hair was 112.04 ± 9.19 gf/㎟, and the control group C without pretreatment was measured to be 80.91 ± 12.52 gf/㎟. Control C showed a 27.00% reduction compared to virgin hair, resulting in lower tensile strength due to damage caused by chemical treatment. The tensile strength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n the following order MA1 > MA2 > GA2 > MC1 > GC1 > GA1 > MC2 > MT > MB1 > GC2 > GB2 > GB1 > MB2 > GT > C. The hair treatment made with bamboo sap as the main ingredient had higher tensile strength than the general hair treatment, and among them, the experimental group with copper tripeptide, silk peptide, and avocado oil was sequentially higher was measured.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epidermis using a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FE-SEM), the cuticle layers were regularly overlapped in virgin hair without chemical treatment, and each cuticle layer was smooth and the boundaries were clearly defined. In control group C, a permanent wave was performed after dyeing twice to give the degree of damage to the hair. The cuticle of the epidermis of the experimental groups GA2 and MA2 added with silk peptide is clear and a uniform shape can be seen, and the experimental groups GC1, GC2, and MC1 and MC2 are clear and oil film is formed, so you can see a smooth shape with connected surfaces. It can be seen that the cuticle layer was clearer in the experimental group MT to which the manufacturing hair treatment based on bamboo sap was applied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 or the experimental group GT. The microstructure of the hair was observed at 20,000 magnification using a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FE-SEM) and the thickness was measured. As a result, the measured value of the epidermis of virgin hair was 453.6 ± 33.99 ㎚. It was measured as thin as 144.9 ± 35.00 ㎚. The thickness measurem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hown in the following order MC1 > MC2 > MA2 > GC1 > GA2 > MA1 > GA1 > GC2 > MT > MB1 > MB2 > GB2 > GB1 > GT > C. The experimental group that added avocado oil, argan oil, silk peptide, and copper tripeptide to a hair treatment made with bamboo sap as the main ingredient reduced damage to the hair epidermis and had a protective effec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relatively thin thicknesses of bifida ferment filtrate and rice ferment extract were measured. As a result of surface element analysis using EDS(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ry) analysis, virgin hair was found to be carbon(C) 47.99%, oxygen(O) 23.72%, nitrogen(N) 21.40%, and sulfur(S) 6.77%. Control C without pretreatment showed carbon(C) 47.11%, oxygen(O) 25.62%, nitrogen(N) 21.70%, and sulfur(S) 4.78%. Among the elements constituting each experimental group, the sulfur content, which can confirm the scale of hair damage, is in the order of MC2 > MA1 > GC2 > MA2 > MC1 > GC1 > GA1 > GA2 > MB1 > MT > MB2 > GB2 > GB1 > GT > C.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MC2, MA1, and GC2 were measured with values ​​similar to the sulfur(S) content of virgin hair. This can have the effect of helping the recombination of cystine in the reduction and oxidation action in the permanent wave procedure, preventing the loss of the matrix protein in the cortex, and filling the matrix protein.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hair treatment made with bamboo sap as the main ingredient had a higher hair protection effect than the general hair treatment. Among the various natural active ingredients added to the treatment, avocado oil and argan oil were measured to have the highest hair thickness, moisturizing power, and protective effect on the epidermis. This is thought to prevent excessive absorption of the reducing agent by forming an oil film on the damaged epidermis when permanent wave is applied to damaged hair due to dyeing. The efficiency of permanent wave was measured to be high in silk peptide and bifida ferment filtrate. It is believed that the amino acid component of the active ingredient is adsorbed to the porous part of the cortex as small particles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It was confirmed that even if only 10% of natural active ingredients were added to the general treatment used in the industrial field, there was a better hair protection effect.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safe and effective hair cosmetics using natural active ingredients in the modern beauty industry that requires customized cosmetics. In the future, it is thought that comparative evaluation studies on the hair protection effects of various components in the process of dyeing or other chemical treatments for hair that were not conducted in this study should be conducted.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발 보호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유효성분들을 대나무 수액을 주성분으로 제조한 헤어트리트먼트와 일반 헤어트리트먼트에 첨가하여 퍼머넌트 웨이브를 시술할 때 전처리로 적용 시 모발 보호 효과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실험을 위해 살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헤어트리트먼트를 선정하고, 대나무 수액을 주원료로 헤어트리트먼트를 제조하였다. 모발 보호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유효성분들을 각각의 헤어트리트먼트에 첨가 후,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전처리로 사용하여 모발 보호 효과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전처리 무처리 대조군은 C, 일반 헤어트리트먼트 실험군은 GT, 대나무 수액 헤어트리트먼트는 MT, 첨가 유효성분에 따라 각각의 실험군은 일반 헤어트리트먼트에 쿠퍼 펩타이드를 첨가한 GA1, 실크 펩타이드를 첨가한 GA2, 막걸리 발효 추출물을 첨가한 GB1, 비피다 발효 여과물을 첨가한 GB2, 아보카도 오일을 첨가한 GC1, 아르간 오일을 첨가한 GC2, 대나무 수액 헤어트리트먼트에 쿠퍼 펩타이드를 첨가한 MA1, 실크 펩타이드를 첨가한 MA2, 막걸리 발효 추출물을 첨가한 MB1, 비피다 발효 여과물을 첨가한 MB2, 아보카도 오일을 첨가한 MC1, 아르간 오일을 첨가한 실험군은 MC2로 명명하였다. 모발 굵기 실험 결과 화학적 처리를 하지 않은 Virgin hair(V)는 32.233 ± 0.940 ㎛이며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전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 C의 모발 굵기는 25.950 ± 2.011 ㎛로 측정되었다. 헤어트리트먼트 전처리 실험군의 경우 MC2 > MC1 > GC1 > GC2 > GB2 > MB2 > MA2 > MB1 > MA1 > GA2 > GB1 > MT > GA1 > GT > C 순으로 나타났다. 모발 굵기는 일반 및 대나무 수액 헤어트리트먼트에 아르간 오일(Argan Oil), 아보카도 오일(Avocado Oil) 성분이 첨가된 헤어트리트먼트가 Virgin hair와 유사한 굵기로 측정되었다. 대나무 수액을 주원료로 한 제조 헤어트리트먼트를 사용한 실험군의 모발이 굵게 측정되어 일반 헤어트리트먼트 보다 모발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웨이브 효율성 측정결과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전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 C의 웨이브 길이는 137.35 ㎜이며 각각의 실험군의 웨이브 형성율은 MA2 > MB2 > GB2 > GA2 > MT > GA1 > MB1 > GT > C > GC2 > GC1 > MC1 > MC2 순으로 나타났다. 웨이브의 효율은 실크 펩타이드(Silk Peptide), 비피다 발효 여과물(Bifida Ferment Filtrate)을 첨가한 실험군이 탄력 있고 균일한 웨이브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보카도 오일(Avocado Oil) 및 아르간 오일(Argan Oil)을 첨가한 실험군은 모두 대조군 보다 웨이브의 효율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발 보습력은 Virgin hair 16.01%, 대조군 C는 43.05%로 측정되었으며 각각의 실험군의 모발 보습력은 MC1 > MC2 > GC1 > GC2 > MA2 > MA1 > MT > MB2 > MB1 > GA1 > GB2 > GA2 > GB1 > GT > C 순으로 나타났다. 대나무 수액 헤어트리트먼트 및 일반 헤어트리트먼트에 아보카도 오일(Avocado Oil), 아르간 오일(Argan Oil)을 첨가한 실험군의 보습력이 높게 측정되었다. 대나무 수액을 주원료 한 제조 헤어트리트먼트 실험군이 전체적으로 일반 헤어트리트먼트에 비해 보습력이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장강도 측정결과 Virgin hair 측정값은 112.04 ± 9.19 gf/㎟로, 전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 C는 80.91 ± 12.52 gf/㎟로 측정되었다. 대조군 C의 경우 Virgin hair에 비해 27.00% 감소율을 보이면서 화학 시술로 인한 손상으로 인장강도가 낮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실험군의 인장강도 결과는 MA1 > MA2 > GA2 > MC1 > GC1 > GA1 > MC2 > MT > MB1 > GC2 > GB2 > GB1 > MB2 > GT > C 순으로 나타났다. 대나무 수액을 주성분으로 제조한 헤어트리트먼트가 일반 헤어트리트먼트에 비해 인장강도가 높게 측정되었고 그중 쿠퍼 펩타이드(Copper Tripeptide), 실크 펩타이드(Silk Peptide), 아보카도 오일(Avocado Oil)을 첨가한 실험군이 순차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전계방사형주사전자현미경(FE-SEM)을 이용하여 모표피를 관찰한 결과 화학 시술을 하지 않은 Virgin hair는 큐티클 층이 규칙적으로 겹쳐져 있으며 각 큐티클 층이 매끄럽고 경계선이 선명하게 나타났다. 대조군 C의 모발은 손상을 주기 위해 염색을 2회 시술 후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을 함으로써 모표피가 들뜨고 닳아진 얇은 스케일의 형태로 되어 모발이 손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크 펩타이드(Silk Peptide)를 첨가한 실험군 GA2와 MA2의 모표피의 큐티클이 선명하며 밀착된 균일한 형태를 볼 수 있고 아보카도 오일(Avocado Oil), 아르간 오일(Argan Oil)을 첨가한 실험군 GC1, GC2, MC1, MC2의 큐티클은 선명하면서 유막이 형성되어 표면이 연결된 매끄러운 형태를 볼 수 있다. 대나무 수액을 주성분으로 한 제조 헤어트리트먼트를 적용한 실험군 MT는 대조군 C나 실험군 GT에 비해 큐티클 층이 선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모발의 미세구조를 전계방사형주사전자현미경(FE-SEM)을 이용하여 20,000배율로 관찰하고 굵기를 측정한 결과 Virgin hair의 모표피 측정값은 453.6 ± 33.99 ㎚로 측정되었으며, 헤어트리트먼트 무처리 대조군 C는 144.9 ± 35.00 ㎚로 얇게 측정되었다. 실험군의 굵기 측정값은 MC1 > MC2 > MA2 > GC1 > GA2 > MA1 > GA1 > GC2 > MT > MB1 > MB2 > GB2 > GB1 > GT > C와 같은 순으로 나타났다. 대나무 수액을 주성분으로 제조한 헤어트리트먼트에 아보카도 오일(Avocado Oil), 아르간 오일(Argan Oil), 실크 펩타이드(Silk Peptide), 쿠퍼 펩타이드(Copper Tripeptide)를 첨가한 실험군이 모표피의 손상을 줄이고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막걸리 발효 추출물(Rice Ferment Extract)과 비피다 발효 여과물(Bifida Ferment Filtrate)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가 측정되었다. EDS(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ry) 분석법을 이용한 표면 원소 분석 결과 Virgin hair는 탄소(C) 47.99%, 산소(O) 23.72%, 질소(N) 21.40%, 황(S) 6.77%로 나타났다. 전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 C는 탄소(C) 47.11%, 산소(O) 25.62%, 질소(N) 21.70%, 황(S) 4.78%로 나타났다. 각 실험군의 구성하는 원소 중 모발 손상의 척도를 확인할 수 있는 황 함유율을 살펴보면 MC2 > MA1 > GC2 > MA2 > MC1 > GC1 > GA1 > GA2 > MB1 > MT > MB2 > GB2 > GB1 > GT > C 순으로 나타났다. 실험군 중 MC2, MA1, GC2는 Virgin hair의 황(S) 함유율과 유사한 값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에 있어서 환원과 산화 작용에서 시스틴의 재결합을 돕고 모피질 내 간층물질의 유실을 막으며 간층물질을 채워준 효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일반 헤어트리트먼트 보다 대나무 수액을 주성분으로 제조한 헤어트리트먼트가 모발 화장품으로써 모발 보호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트리트먼트에 첨가된 다양한 천연 유효성분 중 모발의 굵기 및 보습력, 모표피의 보호 효과는 아보카도 오일(Avocado Oil), 아르간 오일(Argan Oil)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이는 염색으로 인한 손상모에 퍼머넌트 웨이브를 시술할 경우 손상된 모표피에 유막을 형성하여 환원제의 과잉 흡수를 방지한 것으로 사료된다. 퍼머넌트 웨이브의 효율성은 실크 펩타이드(Silk Peptide), 비피다 발효 여과물(Bifida Ferment Filtrate)이 높게 측정되었다. 이는 유효성분의 아미노산 성분이 작은 입자로 모피질의 다공성 부분에 흡착되어 결합력을 높인 것으로 사료된다.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일반 헤어트리트먼트에 천연 유효성분을 10%만 첨가하여도 더 뛰어난 모발 보호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맞춤형 화장품을 요구하는 미용 실무 현장에서 천연 유효성분을 활용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모발 화장품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차후에는 본 연구에서 시행하지 못한 모발에 대한 염색 또는 다른 화학적 시술 과정에서 다양한 성분별 모발 보호 효과에 대한 비교 평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蛇床子의 有效成分 分離 및 藥理作用 硏究

        김경란 淑明女子大學校 1995 국내석사

        RANK : 248638

        Torilis Fructus has been used traditionally in the treatment of testitis, anthroneuralgia, impotence, inflammation and so on. Recent report revealed that the hexane fraction of Torilis Fructus have an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effect. Therefore, in order to isolate the active compound, the hexan fraction of Torilis Fructus was chromatographed on silica gel column. The subfraction of hexane fraction was crystallized as colorless stout needles. The chemical structure of this compound was verified to be torilin through mp., UV, IR, GC-MS, and NMR spectral data. In pharmacological tests, torilin exhibited strong anticarrageenan activity at the dose of 90 and 270mg/kg, p.o. in rats, and it had inhibitory effect on the vascular permeability at the dose of 30 and 90mg/kg, p.o. in mice. Torilin showed potent inhibition of leucocyte emigration in CMC-pouch at the dose of 3 and 9mg/rat, s.c. Torilin have the analgesic effect at the dose of 30, 90 and 270mg/kg, p.o. in both of the acetic acid-induced and phenyl-p-benzoquinone-induced writhing syndrome. It also increased the pain threshold at the dose of 30, 90 and 270mg/kg, p.o. in the tail pressure method and the Randall-Selitto method. Torilin did not show a hypothermic action at the dose of 30 and 90mg/kg, p.o. in mice. The acute toxicity of torilin was very weak: the LD_50 Value was more than 5000mg/kg, p.o. and 2000mg/kg, i.p. in mice. From the above mentioned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orilin had potent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activities in animals.

      • 매실나무 가지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항균 활성 및 유효성분 연구

        김혜빈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5

        본 연구에서는 매실나무(Prunus mume) 가지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항균 활성 및 유효성분을 연구하였다. 매실나무 가지의 ethyl acetate (EtOAc) 분획물에서 noreugenin (1), naringenin (2), prunin (3), catechin (4), epi-catechin (5), procyanidin A2 (6), (+)-epiafzelechin-(2β→O→7, 4β→8)-epicatechin (7)의 7개 성분이 분리되었다. 분리된 화합물의 화학 구조는 NMR 스펙트럼을 포함한 분광 데이터와 문헌 값과의 데이터 비교를 기반으로 동정하였다. DPPH 및 ABTS+ 라디칼을 이용한 항산화 실험에서 추출물, EtOAc 및 n-butanol (BuOH) 분획물과 분리된 화합물 7은 강력한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다. RAW 264.7 대식세포를 이용한 항염 실험에서 n-hexane (Hex) 및 EtOAc 분획물, 분리된 화합물 7은 세포 독성을 유발하지 않고 농도 의존적으로 nitric oxide (NO) 생성을 억제하였다. 그 중 n-Hex 분획물은 TNF-α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출물과 n-Hex, EtOAc 및 n-BuOH 분획물은 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Cutibacterium acnes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보였다. 매실나무 가지에서 분리된 화합물 중 지표성분인 prunin (3)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HPLC를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 추출물에서 30.2 mg/g (3.02%), EtOAc 분획물에서 78.3 mg/g (7.83%)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매실나무 가지의 추출물, 분획물 및 분리된 화합물은 의약 또는 화장품 성분의 천연 원료로써 활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constituents from branches of Prunus mume. Seven constituents were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of P. mume branches; noreugenin (1), naringenin (2), prunin (3), catechin (4), epi-catechin (5), procyanidin A2 (6), (+)-epiafzelechin-(2β→O→7, 4β→8)-epicatechin (7).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isolated compounds were elucidated based on the spectroscopic data including NMR spectra, as well as comparison of the data to the literature values. Upon the anti-oxidative studies by DPPH and ABTS+ radicals, potent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observed in the extract, EtOAc, n-butanol (BuOH) fractions and isolated compound 7. In the anti-inflammatory tests using RAW 264.7 macrophages, the n-hexane (Hex), EtOAc fractions and compound 7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without causing cell toxicity. Moreover, the n-Hex fraction exhibited the TNF-α inhibition activity. Also, the extract, n-Hex, EtOAc and n-BuOH fractions showe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Staphylococcus epidermidis and Cutibacterium acnes. In addition, the content of prunin (3) which were the major isolated compounds were determined to be 30.2 mg/g (3.02%) for the 70% EtOH extract and 78.3 mg/g (7.83%) for the EtOAc fraction by HPLC analysi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extract, solvent fractions and isolated compounds from P. mume branches could be potentially applicable as natural source for pharmaceutical and/or cosmetic ingredients.

      • 짚신나물의 유효성분에 관한 구조동정 및 생리활성

        유은애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2

        Agrimonia pilosa Ledeb. is widely distributed in Asia. The whole plants have been used as an anti-haemorrhagic, anthelmintic and anti-inflammatory agent in Chinese herbal medicine. In the course of our investigation of Agrimonia pilosa, we isolated a few compounds and searched the biological activities. In biological activity test, the Agrimonia pilosa extracts showed antitumor and antioxidant activity. Their structure and stereochemistry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chemical and spectroscopic evidence.

      • 분리 및 합성한 녹용의 유효성분이 생쥐의 조혈 및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

        박정선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22

        본 연구에서는 녹용(Cornu Cervi Nippon: CCN)에서 조혈모세포 촉진 작용이 있는 성분을 분리하여 이의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분리 또는 합성한 녹용의 유효 성분이 생쥐의 조혈 혹은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녹용은 용매추출법에 의해 hexane, chloroform 및 70% ethanol로 계통분획하여 CFUc(colony forming unit in culture) assay를 한 결과 chloroform fraction과 70% ethanol fraction이 조혈모세포 촉진작용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 분획물을 s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 정제하여 각 분리물질의 성분에 대한 조혈모세포촉진작용이 있는 것을 CFUc assay로 확인하였다. 녹용의 chloroform fraction을 silica gel chromatography로 계통적으로 분리 정제 한 마지막 분리물질인 CN-C-2-E-a-Mi (KJ-1)를 GC-MS와 NMR을 사용하여 구조를 규명하였다. 이 물질들은 Monoacetyldiglycerides(MADGS)전구물질로 자연 생체계(계란)에 존재하는 MADGS전구물질의 분리 및 이들 물질의 화학적 합성에 성공하였다. 이들 물질을 KJ-1, KJ-2, KJ-3라 명하였고, 이들 MADGS 전구물질을 CFUc assay와 CFUs(clony for- ming unit in spleen) assay를 이용하여 조혈모세포의 성장촉진 및 증식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중 특히 KJ-3는 배양한 비장 T 림프구 ³H-thymidine uptake 실험에서 T 세포의 증식작용을 보였고, 혈소판전구세포촉진작용이 CFUs assay와 fetal 간세포 배양을 통하여 확인되었다. 녹용의 70% ethanol fraction에서도 조혈모세포의 성장촉진 및 증식 뿐만 아니라, T 세포증식 작용과 식세포 촉진작용과 같은 면역 촉진작용을 확인하였다. Effects of isolated products and synthetic products from Cornu Cervus Nippon(CCN) were studied on the mouse hematopoietic system and immune system. Cornu Cervus Nippon was extracted with hexane, chloroform and 70% ethanol. The chloroform extracts and the 70% ethanol extracts were further purifi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each purification fractions were tested in vitro CFUc assay for hematopoietic stem cell stimulation effects. One of chloroform extracts(CN-C-2-E-a-Mi) was identified to be active on hematopietic stem cells in both CFUc and CFUs assays. The active components on the stimulatory effects of hema- topoietic stem cell were identified as monoacetyl-diglycerides (MADGS) by mass spectrometry and one and two dimensional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The isolation of from CCN extracts, its structural determina- tion and chemical synthesis of natural MADGS. The synthetic products of MADGS, the KJ-compounds have stem cell proliferation capacity, T cell and megakaryocyte stimu- ratory activies. It has been shown that CCN 70% ethanol extracts also show a range of immunologic activities in addition to stimulating hema- topoiesis. Chemical ingradients of the ethanol extracts needs to be iden- tified in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