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 통합학급에서의 특수교육 보조원 실태 및 유아특수교사와 통합담당교사의 인식

        박양현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장애아동뿐 아니라 장애가 없는 비 장애아동에게도 다양한 사람들을 이해하고 편견 없이 상호 협조하는 공동체 의식을 기를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교육인 통합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질 높은 교육을 위해서 교사가 담당하는 유아수가 많고 특별한 요구를 필요로 하는 유아들에게 적절한 교육을 제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특수교육의 질적 향상과 통합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특수교육현장에서 교사 이외의 보조 인력을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특수교육보조원의 필요성은 이미 상당부분 제기되었으며, 이에 따른 보조원에 대한 예산과 배치 인원이 전국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통합학급에서의 특수교육보조원에 대한 활용실태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와 통합담당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운영방안 및 문제점과 관련된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지역, 충청 남. 북도 지역의 유아특수교사와 통합을 담당하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조사에는 유치원교사 53명, 특수교사 24명, 유치원교사와 특수교사자격을 함께 가지고 있는 교사 14명, 기타4부 (유아특수교사) 로 총 95명이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보조원제 대해 장애 유아통합 환경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특수교육보조원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그에 따른 유아특수교사와 통합담당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유아통합학급에서 담당교사들이 인식하는 특수교육보조원의 장점과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보조원의 실태와 관련해서 보조원의 학력은 대졸자가 많았으며 그 중에서 47.31% 는 교사자격증을 가진 소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원의 근무시간은 일반교사들과 같이 근무하고 있으며, 통합수업지원시간주당 하루에 4시간 정도의 학습활동을 보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아에게 가장 기대 되는 보조원 도움으로는 개별화학습 수업보조를 들 수 있고, 교육과정 진행 시 보조원의 도움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는 자유선택놀이와 대그룹활동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보조원에 대한 통합담당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에 관련해서는 장애통합학급에서 여러 문제 상황들을 해결하기 위해 특수교육보조원의 활용이 매우 바람직하다고 여기고 있다. 활용성과를 이룬 것 중에서는 보조원으로 인해 학급업무와 수업진행을 보다 원활히 수행할 수 있었다.특수교육보조원으로 인해 장애유아에게 나타나는 효과에 대한 응답에서는 인지적 능력성취, 일상생활 능력향상의 통합담당유아교사와 특수교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유아에 대한 효과에서도 자아개념 및 인성발달, 장애유아에 대한 이해, 인지적 학습능력발달에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수교육보조원과 교사와의 역할 관계로는 장애유아를 중심으로 협력적이고 상보적인 관계를 강조했다. 셋째, 특수교사와 통합담당유아교사가 제시하는 보조원의 운영의 문제점으로는 장애유아들이 스스로 독립적 재활의지를 저해함과 비 장애유아의 근접할 기회를 주지 못해 사회적 통합을 저해할 수 있다고 보았다. 보조원의 운영의 장점으로는 전반적인 수업활동이 원활해졌으며, 장애유아의 개별욕구에 따른 지원을 제공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고 통합이 실행가능 하도록 하였다. 또한, 과다한 교사의 업무를 줄여 주었고 이들의 보조로 인하여 교사가 학급전체 학생을 위한 교육활동을 가능하게 해 주었으며, 장애유아의 개별적인 특성과 요구, 행동습관 등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따른 효과적인 통합교육의 방안으로는 통합학급에 보조원을 필히 배치해야 하고, 순차적으로 학급당 유아 수 감축,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육대상유아 부모에게 특수교육관련 연수 기회제공 등 행 .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가족참여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조사

        김미숙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육에 있어서 가족참여의 중요성과 당위성을 인식하고, 가족참여와 관련된 교사의 인식 및 실태를 조사하여 가족중심 유아특수교육에서 가족참여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참여에 대한 유아특수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특수교사들의 일반적 특징(연령, 경력, 근무처, 수강여부)에 따른 가족참여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가족중심의 개념 및 서비스에 대한 유아특수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특수학교 유치부, 병설유치원 특수학급, 장애 유아학교 및 장애유아전담어린이집, 통합유치원 및 통합어린이집, 복지관, 사설 조기교육실 및 언어치료실에서 장애유아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224명이었다. 연구의 도구는 Bailey 와 Simeonsson(1988)이 개발한 가족 욕구조사 (The Family Needs Surveys : FNS)와 켄트 주립대학에서 개발한 파트너쉽의 척도(The Partnership scale, 2000)를 참고하여 직접 작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상관 및 변량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은 가족참여에 대한 믿음에 가장 높은 점수분포를 보이고 가족참여에 대해 교사들이 갖추어야할 기술적인 부분이나 실제 현장에서의 실행에 있어서는 점차 낮은 점수 분포를 보였다. 또한 장애유아를 교육할 때 가족과의 협력관계, 장애유아의 능력에 대한 정보교환, 가족의 환경고려에는 높은 인식을 보이나 개별화가족서비스계획(IFSP) 및 개별화교육계획(IEP)을 세우는데 있어서의 가족참여, 모든 중재활동에 가족 참여, 장애유아 관련 시책·법규·지역사회서비스·전이서비스에 대한 정보제공 등에는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2) 교사들의 연령 및 장애유아 교육경력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결과에 의하면 믿음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기술 및 실행에서는 대체로 연령과 교육경력이 많을수록 점수가 높았다. 근무지에 따라서는 믿음, 기술, 실행간에 모두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수학교 유치부·특수학급은 믿음, 기술, 실행 모두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다. 일반유치원·어린이집의 통합환경은 믿음에서는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으나 기술이나 실행에서는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사설조기교육실 언어치료실은 믿음, 기술, 실행 모두에서 점수가 대체로 낮게 나타났다. 가족중심서비스 관련 과목을 수강한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해 믿음, 기술, 실행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다. 3) 가족중심 실제에 대해 유아특수교사들은 연계서비스, 교육활동에의 가족참여, 가족지원을 통한 강화, 자원으로서의 활용, 가정환경 및 가족 욕구 반영 등으로 인식하였다. 가족과의 상호작용의 긍정적인 부분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은 정확한 정보교환, 일반화 용이, 정확한 가정환경 파악, 가족의 장애유아 이해와 긍정적인 수용, 가족의 강화, 갈등의 해소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인 부분은 가족의 무리한 요구와 지나친 간섭, 갈등초래, 교육에 일관성 결여, 상호작용에 대한 부담감, 편견으로 인해 장애유아에게 부정적인 영향, 지나친 의존 및 기대 등으로 응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significance of family particip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early childhood educato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total of 224 teach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the participants' recognition on family participation? Second, what are the differences among the subjects' variances (i.e., age, experiences, place of employment, etc.) on family participation? Third, how does the participants' recognition on the definition of "family centered", and the related concerns. The subject for the present study were drawn from the teachers who take charge of the disabled infant in the national-wide preschool part of special school, the class for physically handicapped and mentally retarded children established as an annex, disabled infant school or the infant house for the disabled, inclusive preschool or inclusive infant place, and language therapy place.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he questionnaires made directly by referring to The Family Needs Surveys(FNS) which was developed by Bailey and Simeonsson(1998) and The Partnership Scale, 2000) which was developed by Kent State University. Data analysis was used by frequency, percentage, correlation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teachers showed the highest score in the faith of family participation, and showed lower score in the technical part which teacher should have and the performance in the field in regard to the family participation. Also, teachers showed higher recognition in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family, the exchange of information on the disabled infant's ability, and the family environment consideration, in educating the disabled, but showed lower recognition in the family participation in making Individual Family Service Plan(IFSP) and Individual Education Plan(IEP), family participation in all mediation activities, and the information provision about the policies, legislation, community service, transfer service in regard to the disabled infant. 2) As a result of proving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 and personal experiences, in the field of the disabled infant educ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ir faith, but in the technique and performance the move the teachers aged, the more the score was high. There was statistically similar difference in faith, technique,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lace of employment. 3) Infant special teachers recognized about family-oriented realities as the connection service, the family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activities, the empowerment through family support, the application as a source, and the reflection of home environment and family needs. In regard to interaction with family, the things which infant special teachers recognized positively was the correct information exchange, the easiness of generalization, the correct grasping of home environment, the family understanding for the disabled and positive acceptance, the empowerment of family, and the solution of conflict, and so on. Also, the teachers answered as the negative part the family's forcible requirements, the lack of education consistence, the burden of interaction, the negative influence on the disabled infant by prejudice, and excessive dependence and expectation, and so on.

      •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가 유아특수교사 놀이지원 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

        곽인영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evaluating the effect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articipation o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For this purpose, 20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working in public special schools, separate and annexed kindergartens in A city formed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operated a total of 15 sessions.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an expert review and revision process, including content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model scale established by Baek and Park (2021) was used to assess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ngagement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Moreover,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post-test results,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on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had an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five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curriculum operation, learning support, recording and evalua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lationship-building, and al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competencies with the highest variation were professional development following by recording and evaluation, relationship- building, learning support, and curriculum operation capability. Second, participation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had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lower 25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and al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s for the change by sub-competence of the curriculum management competency, the preference for interest-oriented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activities showed the highest change. In addition, it was in the order of operation linked to curriculum, play-oriented operation, and provision of play time. In the case of the change by sub-competence of the learning support competency, the spatial composition support showed the highest change following by the provision of new materials, support for praise and encouragement, support for questions and suggestions, and understanding of children's experiences were in order. Regarding changes by sub-competence of record and evaluation competency, informal evaluation showed the highest change, and it was followed by occasional evaluation, process-based evaluation, autonomous evaluation and evaluation interpretation. As for the change by sub-competenc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showed the highest change, followed by participation in training, support for affiliated organizations, continuous self-reflection, and research activities. In the case of the change by sub-competence of relationship-building competency, relationship-building with parents showed the highest change following by relationship-building with fellow teachers, support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relationship-building with young children, and relationship-building with the director. These findings imply that involvement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was successful in raising the level of play support competency amo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is study,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ctivity program was not only developed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may have less interest or influence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but set the stage to be activa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e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through expanding to the practical level, operating a learning community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nalyzing the results. 본 연구는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가 유아특수교사 놀이지원 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특수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A시 공립 특수학교, 단설 및 병설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아특수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구성하고 총 15회기를 운영하였다. 전문적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은 유아특수교사 놀이지원 실행역량 관련 내용을 포함하여 전문가 검토 및 수정 과정을 거쳐 개발되었다. 유아특수교사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효과 측정을 위하여, 백종남, 박소영(2021)이 개발한 유아특수교사 놀이지원 실행역량 모형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전-사후 검사 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t검정을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가 유아특수교사 놀이지원 실행역량인 교육과정 운영, 배움 지원, 기록과 평가, 전문성 함양, 관계 형성 5개 역량 향상에 영향을 미쳤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가장 변화가 높은 역량은 전문성 함양이었으며, 다음으로 기록과 평가, 관계 형성, 배움 지원, 교육과정 운영 역량 순이다. 둘째,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가 유아특수교사 놀이지원 실행역량 하위 25개 역량 향상에 영향을 미쳤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교육과정 운영 역량의 하위 능력별 변화는 흥미중심 활동, 참여활동 선호가 가장 높은 변화를 나타냈으며, 교육과정 연계 운영, 놀이중심 운영과 놀이시간 제공 순이었다. 배움 지원 역량의 하위 능력별 변화는 공간구성 지원이 가장 높은 변화를 나타냈고, 새로운 자료 제공, 칭찬과 격려 지원과 질문과 제안 지원, 유아의 경험 이해 순이었다. 기록과 평가 역량의 하위 능력별 변화는 비형식적 평가가 가장 높은 변화를 나타냈고, 수시 평가, 과정 중심 평가, 자율적 평가와 평가 해석 순이었다. 전문성 함양 역량의 하위 능력별 변화는 학습공동체 참여가 가장 높은 변화를 나타냈고, 연수참여, 소속기관 지원, 지속적 자기 성찰, 연구활동 순이었다. 관계 형성 역량의 하위 능력별 변화는 학부모와의 관계 형성이 가장 높은 변화를 나타냈고, 동료 교사와의 관계 형성, 교육청의 지원, 유아와의 관계 형성, 원장과의 관계 형성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가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원 실행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적 지원에서 관심이나 영향이 적게 미칠 수 있는 유아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실천적 차원으로 확장하여 유아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학습공동체를 운영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원 실행역량 향상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장애아전담어린이집과 특수학교(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 비교

        선수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는 장애아전담 어린이집과 특수학교(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장애아전담 어린이집 유아특수교사의 자발적인 자기 직무수행과 자기 직무에 대한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장애아전담 어린이집과 특수학교(유치원)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직무 만족도 요인별 차이는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여 t 검정을 하였고, 근무경력에 따른 직무만족도 요인별 차이는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내적 직무만족 요인과 외적 직무만족간의 상관관계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학교(유치원) 유아특수교사가 장애아전담 어린이집 유아특수교사 보다 내적 직무 만족도를 높게 보였고 자율성과 전문성 신장은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교(유치원) 유아특수교사가 장애아전담 어린이집 유아특수교사 보다 외적 직무 만족도를 높게 보였고 보상체계와 담당직무, 행정체계는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근무경력에 따른 내적 직무 만족도 차이는 장애아전담 어린이집은 7년 이상의 경력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특수학교(유치원) 유아특수교사는 3년 미만 경력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근무경력에 따른 외적 직무 만족도 차이는 장애아전담 어린이집은 3〜7년 미만의 경력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특수학교(유치원) 유아특수교사는 3년 미만 경력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내적 직무 만족도 요인과 외적 직무 만족도와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내적 직무 만족도가 높을수록 외적 직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장애아전담 어린이집과 특수학교(유치원)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특수학교(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와 비교하여 장애아전담 어린이집 유아특수교사의 자발적이 자기 직무 수행과 자기 직무에 대한 만족감을 얻기 위해서는 교사로써의 자신 내면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를 높이기 위해 전문성 신장과 자율성에 초점을 둔 다양한 연수의 기회와 참여가 많이 제공되어야 함과 동시에 보상체계의 변화가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직무와 개인변인에 따른 유아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회복탄력성에 관한 연구

        오인지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A Study on Burn-out and Resil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according to Job Variables and Personal Variables Oh In ji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burn-out and resil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according to job variables and personal variables, and to know its relationship.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for this purpose. The subjects for research were total 218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In order to analyze the burn-out and resilience, t-test, F-test, scheffe pos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22.0.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job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the task of office and administrative related showed higher than the task of teaching and learning development and evaluation in burn-out, but showed lower in resilience. Second, in relation to the age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20s teachers showed higher than 40s teachers in burn-out, but showed lower in resilience. Third, in relation to the career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a lot of career experience showed lower in burn-out, but showed higher in resilience. Fourth, in relation to the type of work institu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day care center for childhood showed higher in burn-out, and showed lower in resilience than teachers working in special school. Fifth, in marria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the unmarried teachers showed higher burn-out than the married teachers. Sixth, in relation to the age of the infants in charge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3-year-old infants showed higher in resilience tha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4-year-old infants. Finally, in the correlation of the sub-factors related between the burn-out and the resil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Through this study, the burn-out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job, age, career, institution type, marriage. And in relation to the resilience, there were differences in job, age, career, institution type, and age of the infants in charge. Therefore, the necessity of future qualitative research to investigate specific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affecting burn-out and resilience according to various variables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was suggested. 직무와 개인변인에 따른 유아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회복탄력성에 관한 연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전공 오인지 지도교수 구 효 진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직무변인과 개인변인에 따른 심리적소진과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파악하고, 관계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어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특수교사 총218명 이었다. 이들의 심리적소진과 회복탄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2.0을 사용하여 t검증, F검증, scheffe 사후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 직무와 관련해서는 사무 및 행정관련 업무가 교수학습 개발 및 평가 업무보다 심리적 소진이 높았으며 회복탄력성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특수교사의 연령과 관련해서는 20대 유아특수교사가 40대 이상 유아특수교사보다 심리적소진이 높았으며 회복탄력성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특수교사 경력과 관련해서는 경력이 많은 교사가 심리적 소진이 낮았으며 회복탄력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특수교사의 근무 기관 유형과 관련해서는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가 특수학교에서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보다 높은 심리적 소진과 낮은 회복탄력성을 나타났다. 넷째, 유아특수교사의 결혼 여부에서는 미혼자가 기혼자보다 높은 심리적 소진을 나타냈다. 다섯째, 유아특수교사의 담당 유아의 연령과 관련해서는 만3세반 유아특수교사가 만4세반 유아특수교사 보다 회복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회복탄력성 관련 하위요인들의 상관관계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은 직무, 연령, 경력, 기관 유형, 결혼 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과 관련해서는 직무, 연령, 경력, 기관 유형, 담당 유아의 연령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유아특수교사의 다양한 변인에 따른 심리적소진과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질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 사립유치원 일반학급 특수교육대상유아 순회 교육에 관한 유아특수교사의 경험과 요구:심층 면담을 중심으로

        정선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사립유치원 일반학급 특수교육대상유아 순회 교육에 관한 유아특수교사의 경험과 요구 - 심층 면담을 중심으로 -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전공 정선주 지도교수 : 이병인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 일반학급의 특수교육대상유아를 대상으로 순회 교육을 실시한 경험이 있는 유아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요구를 심층 면담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목적 표집을 통해 연구 참여자 3명을 선정하였다. 면담은 반 구조화 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개별로 진행하고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윤리성에 대하여 사전에 안내하였다. 면담 후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진실성 확보와 윤리적 고려를 위해 연구 참여자 확인법과 동료검토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상위 범주 3개, 하위 범주 7개, 주요 내용 26개로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현재의 순회 교육 현황’,‘순회교육에 대한 어려움과 고민으로 지새운 밤’을 통해 순회 교육 과정에서 유아특수교사의 경험을 이해할 수 있었고,‘내일의 순회 교육을 위한 유아특수교사의 기대’를 통해 순회 교육을 위한 유아특수교사의 지원요구를 발견할 수 있었다. 주제어: 유아특수교사, 사립유치원 일반학급배치 특수교육대상유아, 순회 교육

      • 근거이론에 의한 유아특수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 형성과정 분석

        이혜선 창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9727

        근거이론의 의한 유아특수교사의 다문화교육 역량 형성과정 분석 요 약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근거이론에 입각하여 인터뷰 면접을 통해 다문화교육 역량형성과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탐색하고, 다문화교육역량 형성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다문화교육 역량형성에 대한 이해의 틀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유아특수교사의 다문화 교육역량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와 둘째, “유아특수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은 어떻게 형성되는가?”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현재 다문화가정장애유아를 담임하고 있거나 최근 1-2년 내에 담임을 하면서 경험했던 유아특수교사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문화교육역량 형성과정에 관한 분석은 Strauss와 Corbin(1998/2003)의 근거이론(groundedtheory)접근에 따라 사례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행동변화를 설명해 주고 상호작용을 통한 구조를 분석하는데 적합하게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단계별 면담을 통해 이루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개방 코딩, 축 코딩, 선택 코딩, 상황모형의 과정을 거쳐 범주화, 조직화하여 귀납적으로 이론을 통합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개인적 특성과 특수교육 환경적 문제, 그리고 사회적 인식문제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으로는 특수교사의 내면적 요인과 배경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었으며, 다문화교육역량 형성을 위해서는 갖춰야 할 요건과 장애요인들도 함께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육 환경적 문제에 있어서는 특수교사의 역량형성에 있어 교육인프라가 아직 많이 구축되지 않아 교사가 어려움을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인식문제에 있어서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특수교사 스스로의 인식부족 문제와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사회 전체적 인식의 부족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유아특수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 형성과정을 분석한 결과, 총 79개의개념, 18개의 하위 범주, 1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분석된 범주를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인과적 조건은 ‘다문화교육의 인식과 필요성 그리고 갈등’, ‘유아특수교사의 개인적인 특성’이 도출되었고, 맥락적 조건은 ‘다문화교육을 위한 특수교육 인프라의 문제점’, ‘다문화 가정에 대한 오해와 갈등’으로 나타났다. 현상으로는 ‘다문화교육 역량형성의 어려움들’, 중재적 조건으로는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강구’, 가 분석되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반성적 성찰하기’, ‘학부모 소통강화’, ‘다문화교육 및 가정 깊이 알아가기’, 로 나타났고, 결과로는 ‘유아특수교사의 자부심 증대’, ‘성공적인 다문화교육의 실현’이 도출되었다. 셋째, 선택 코딩에서 나타난 핵심 범주는 ‘유아-특수교사, 부모와 함께 다문화교육을 실현하면서 역량 형성하기’로 나타났으며, 이 핵심 범주를 중심으로 이야기윤곽의 전개를 통해 다른 범주를 통합시키고 정교화 함으로써 유아특수교사가 유아, 부모와 함께 다문화교육을 실현한 경험이 다문화교육역량 형성과 어떤 관계가 있으며, 어떻게 형성되어 나가는지를 알 수 있었다. 넷째, 본 연구의 결과들을 통합하기 위해 상황모형을 활용한 결과, 각 범주들은 개인․유치원․사회 차원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유아특수교사들이 유아, 부모와 함께 다문화교육을 실현하면서 역량을 형성해 가는 과정은 유치원 차원만이 아니라 개인적 차원, 사회 전체의 맥락 속에서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아특수교사가 다문화교육을 실현하고 역량을 형성해나가는 과정에서 유아와 부모가 교육의 주체자로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특수교사들이 성공적인 다문화교육을 실현하면서 역량을 형성해 가기 위해서는 특히 다문화가정의 장애부모를 교육현장 속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다문화교육역량이 높은 유아특수교사들도 성공적으로 다문화교육을 실현해 나갈 수 있는 교육적 인프라가 조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유아특수교사들의 다문화교육 역량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사교육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범주와 결과들은 다문화교육역량 형성의 척도개발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발달지체 영·유아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유아특수교사유아특수교사의 인식

        함기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의 목적은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유아특수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그들 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여 교육 현장에서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교사들과 앞으로 유아특수교사가 될 예비교사가 발달지체 영·유아의 가족들에게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주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특수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예비유아특수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가족지원 프로그램 실시 방법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예비유아특수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가족지원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예비유아특수교사는 현재 D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서 ‘유아특수교육’을 전공중인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유아특수교사는 서울, 경기, 인천에 소재하는 유아특수학교, 특수학교 유치부, 특수학급이 있는 공·사립 유치원,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공·사립 유치원, 장애 통합 어린이집에서 발달지체 영·유아를 교육하고 있는 현직 유아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응답자의 기초사항은 빈도와 비율로 분석하고, 가족지원 프로그램 인식에 대한 집단 차이는 t검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들의 결과를 요약하면 가족지원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전반적인 인식과 실시방법, 가족지원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예비유아특수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인식은 두 집단 모두 긍정적인 인식 수준을 보이고 있다. 크게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지만 전반적으로 예비유아특수교사의 인식이 조금 더 높은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지체 영·유아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하여, 예비유아특수교사와 유아특수교사는 발달지체 영·유아들의 교육과, 가족을 위하여 보다 적극적인 모습과 다양한 방법으로 지원해야 한다. 둘째,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을 위하여 유아특수교사 양성과정인 대학교육과정에서 적극적으로 가족지원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최신의 정보와 다양한 지식을 전달해야하며, 직접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셋째, 유아특수교사 역시 특수교육현장에서 가족들과 함께 다양한 방법과 내용으로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새로운 정보나 최신의 이론, 방법을 접할 수 있는 재교육의 기회를 적극적으로 가져야 한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하여 발달지체 영·유아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하여 제언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에 연구뿐 아니라,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점을 연구하여,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함에 있어 보다 실질적인 기초를 제공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그에 따라 얻어지는 효과와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 초등학교로의 전이교육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조민희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초등학교로의 전이 과정에서 유아특수교사 참여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초등학교로의 전이를 위해 유아특수교사들을 지원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 위해 실시된 질적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경기 지역의 유아특수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 5인을 대상으로 전이 과정에서의 유아특수교사 참여와 외부의 절차적·제도적 지원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는 대상유아의 가족들이 대상유아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을 최종 결정 할 수 있도록 진학하게 될 초등학교나 지역사회에 대해 정확하게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유아특수교사는 발달지체 유아의 발달에 관한 정확한 정보, 가족의 요구 및 필요성에 대한 정보 수집, 지역 사회 내의 서비스 종류와 자원과 유아가 진학하게 될 초등학교의 물리적 환경이나 인적 환경 그리고 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대부분 자료 수집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자료를 수집할 때, 교사들은 개인적으로 많은 양의 정보를 혼자 수집하고 조직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이에 관하여 유아특수교사는 보내는 팀 구성원과 받는 팀 구성원과의 의견 교류에 공식적인 절차와 비공식적인 절차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었다. 의견 교류 시 각 구성원의 교육관의 차이와 비공식적인 절차를 통한 의견 교류로 인하여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유아특수교사들은 가족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가족들에게 필요한 정보는 대부분 상담을 통하여서 직접 혹은 문서 형식으로 가족들에게 제공되었으며, 상담과 문서제공 이외에도 간담회와 기관 방문 등을 통해 실시되고 있었다. 이에 유아특수교사들이 효율적인 전이를 위해 요구하는 지원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유아특수교사들은 대부분 공식적인 기관을 통하여 보다 전이에 필요한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자료가 유아특수교사들에게 전달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 협력 시, 받는 팀 구성원과 보내는 팀의 구성원이 보다 원활하게 협의 할 수 있도록, 전이과정에서 각 기관이 담당할 역할과 책임, 전이 팀 구성방식, 전이와 관련된 정책과 절차, 전이과제를 시작하고 종료하는 시간 계획 등을 포함하는 행정적, 혹은 경제적인 지원을 필요로 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아특수교사들은 발달지체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과정에서 체계적인 자료 제공과 전문가와의 원활한 협의를 통하여 체계적인 전이 지원과정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개념도 비교 분석: 공립유치원 중심으로

        김정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국문초록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개념도 비교 분석: 공립유치원 중심으로 장애유아의 비차별적인 교육권을 보장하는 통합교육의 실행은 차별 및 분리를 금지하는 윤리적 입장과 일반교육에 가까운 교육적 배치를 보장하는 법적 견해에 의해 그 당위성이 강조되고 있다. 장애유아를 포함한 모든 유아들은 그들에게 필요한 적절한 교육을 받고 건강하고 행복한 사람으로 성장할 권리가 있으며, 이를 실행하기 위한 장애유아통합교육의 핵심요소는 교사의 지식과 개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유아통합교육의 주체인 일반유아교사(통합교육유경력 및 통합교육무경력)와 유아특수교사의 개념도 분석(Novak & Gowin, 1984)을 통해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내용지식 및 지식수준을 알아보고 비교해 보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내용지식은 교사 유형(통합교육유경력 일반유아교사, 통합교육무경력 일반유아교사, 유아특수교사)에 따라 어떠한가? 1-1. 상위개념의 빈도와 유형은 어떠한가? 1-2. 종속개념의 빈도와 유형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지식수준은 교사 유형(통합교육유경력 일반유아교사, 통합교육무경력 일반유아교사, 유아특수교사)에 따라 어떠한가? 2-1. 상위개념의 특성(종속개념의 수, 위계, 특성점수)은 어떠한가? 2-2. 개인별 밀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공립유치원에서 근무하고 만 3~5세 담임을 맡고 있는 유아교사 60명이다.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를 포함하되 일반유아교사는 다시 통합교육경력유무에 따라 구분하여 선정함으로서 결과적으로 ‘통합교육유경력 일반유아교사’ 20명, ‘통합교육무경력 일반유아교사’ 20명, ‘유아특수교사’ 20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표집했다. 연구자가 연구대상의 근무지를 방문하여 개별 또는 소그룹으로 면접을 실시한 후 연구대상자가 개별적으로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개념도를 작성했으며 Novak과 Gowin(1984)과 박은혜(2002) 및 서민주와 임부연(2015)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별로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문제에서는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내용지식을 상위개념 및 종속개념의 빈도와 유형 분석을 통해 고찰했다. 먼저 상위개념의 빈도와 유형을 분석한 결과 유아교사가 사용한 상위개념은 총 209개로 나타났다. 이를 유사한 내용으로 범주화하고 대표용어를 부여한 결과 13개의 상위개념(교육과정, 장애유아이해, 교수전략, 사회적 상호작용 지원, 가정 및 지역사회 연계, 개별화교육 지원, 통합유형, 통합개념, 통합주체, 교사협력, 교육환경, 행정적 지원, 시설 지원)이 나타났으며, 이들 대표용어는 크게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및 행정의 세 가지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영역 중 교육방법에 포함되는 상위개념의 빈도가 전체의 약72%를 차지했다. 교사 유형에 따른 상위개념의 빈도를 비교한 결과, 통합주체는 교사 유형과 무관하게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반면 상위개념 교사협력은 통합교육유경력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에서는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통합교육무경력 일반유아교사에서는 가장 낮은 빈도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종속개념의 유형과 빈도를 분석한 결과, 개념도에 나타난 종속개념의 수는 총 1,585개였으며, 부분통합, 완전통합, 협력교수가 상위 빈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상위 빈도를 보인 종속개념은 교사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통합교육유경력 일반유아교사에서는 개별화교육계획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다음으로 누리과정, 부분통합, 완전통합, 협력이 같은 빈도로 높게 나타났다. 통합교육무경력 일반유아교사에서는 장애유아, 청각장애, 지체장애의 순으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유아특수교사에서는 완전통합, 협력교수, 부분통합의 순으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에서는 상위개념의 특성(종속개념의 수, 위계, 특성점수) 및 개인별 밀도 분석을 통해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지식수준을 고찰했다. 먼저 상위개념의 특성으로 개별 상위개념에 포함된 종속개념의 수를 알아본 결과 통합개념, 통합주체, 교육과정의 대표용어에 가장 많은 종속개념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상위개념에 포함된 종속개념 수는 교사 유형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즉, 상위개념인 통합주체는 교사 유형과 무관하게 종속개념 수가 높게 나타난 반면 교육과정과 교육환경 및 개별화교육 지원은 교사 유형에 따라 종속개념의 수가 상이했다. 구체적으로 상위개념 교육과정은 일반유아교사(통합교육유경력, 통합교육무경력)에서 높은 종속개념 수를 보였고, 교육환경과 개별화교육 지원은 유아특수교사에서 높은 종속개념 수를 보였다. 다음으로 상위개념별 위계를 분석한 결과 통합개념, 통합주체, 교육과정의 위계가 높게 나타났다. 교사 유형에 따라 위계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상위개념 교수전략은 일반유아교사(통합교육유경력, 통합교육무경력)에서 높은 위계를 보인 반면 개별화교육 지원과 교육환경은 유아특수교사에서 높은 위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상위개념의 특성점수를 분석한 결과 통합주체, 교육과정, 개별화교육 지원의 특성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유아교사가 총 13개 대표용어 중 이들 상위개념에 상대적으로 중요한 비중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사 유형에 따라 특성점수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상위개념 교육과정과 통합주체는 일반유아교사(통합교육유경력, 통합교육무경력)에서 높은 특성점수를 보인 반면 행정적 지원과 개별화교육 지원은 유아특수교사에서 높은 특성점수를 보였다. 한편 각각의 유아교사별로 작성한 개념도가 얼마나 조직적이고 체계적인지를 나타내는 밀도를 분석한 결과 1.38에서 8.00까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유형에 따라 밀도를 비교한 결과, 통합교육유경력 일반유아교사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보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지식은 매우 다양하고 풍부하나 체계성과 통합성 및 위계성의 측면에서 다소 결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개별 유아교사 뿐만 아니라 교사 유형에 따라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지식수준의 편차가 존재하며 향후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직전교육 및 보수교육이 추가적으로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연구대상 선정의 지역 한정성 등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교사 유형에 따라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해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추후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크다. 주제어: 장애유아통합교육, 개념도, 일반유아교사, 유아특수교사 ABSTRACT Concept Map of integrated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of early childhood teacher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Focusing on Public Kindergartens Kim, Jeong Mi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tegrated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considered important by law and ethics prohibiting discrimination and separation. Every children includ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the right to be educated for teaching, enjoy a healthy and happy life. The key components of integrated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of early childhood is knowledge and concept of the teacher. The purpose of the story was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a background in inclusive education and without a background in inclusive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ncept Map designed by the Novak Gowin(1984), to compare to the content knowledge and level of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research problems previously set are as follow. First, what is the level of content knowledge of teachers depending on their position; a teacher with a career of integrated education, an early childhood teacher, a teacher without a career of integrated educatio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1) What are the frequency and types of superordinate concept? 2) What are the frequency and types of subordinate concept? Second, what is the level of knowledge on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depending on their position; a teacher with a career of integrated education, an early childhood teacher, a teacher without a career of integrated educatio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perordinate concept (number of subordinate concepts, hierarchy, characteristic score)? 2) How the individual density is distributed? The subject of study is sixt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ublic kindergarten, charging of 3~5 years old kids. The subject of study is twenty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a background in inclusive education, twenty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out a background in inclusive education, and twenty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cluding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ncept map of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as conducted individually or by a group working. The concept map designed by the Novak & Gowin(1984) and referred to Park eun-hyeo(2002), Seo Min Joo & Lim Bu-yeon(2015) was used.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the study was as in the following. First, this research considered the content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rough the analysis of frequency of superordinate concept and subordinate concept. On analyzing superordinate concept, the number of superordinate concept that teachers used in the concept map was 209. On similar terms being categorized as representative ones among the superordinate concept that teachers filled in, the number of classified representative superordinate concept was 13,(curriculum, understanding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eaching strategy, support for social interaction, link with family and community, support for individual education, integration pattern, integration concept, a subject of integration, teacher’s collaboration, environment of education, administrative support, support for faculty), representative terms appear three major areas; content of education, teaching method and administration. Among three major areas, the frequency of superordinate concept included Iin teaching method takes seventy-two percentage of this study. Compared the frequency of superordinate concept by type of teachers, the subject of integration shows a high frequency regardless of the type of teachers. While superordinate concept of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shows a high frequency in typ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a background in inclusive education and typ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yp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out a background in inclusive education show the lowest frequency in this study. On analyzing content and frequency of subordinate concept shown in the concep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pt map was 1,585. It shows high frequency of partial integration, total integration and co-teaching. Subordinate concept shown high frequency appear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eachers. Compared the frequency of subordinate concept by type of teachers,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a background in inclusive education show high frequency on the plan of support for individual education, teacher, Nuri curriculum, partial integration, total integration and co-teaching also show high frequency. Typ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out a background in inclusive education shows high frequency in orde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earing problem and physical disability. Typ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s high frequency in order of total integration, co-teaching and partial integration. Second,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on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as closely examined through the characteristic of superordinate concept (the number of subordinate concept, and saliency scores included in one superordinate concept) and individual density.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superordinate concept, subordinate concept, included in superordinate concept, appears in a representative term of integration concept, integration subject, and curriculum. Compared the frequency of subordinate concept by type of teachers, the subject of integration in subordinate concept appears different regardless of the type of teachers, while curriculum,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upport for individual education differ in the number of subordinate concept according to teachers type. Curriculum in superordinate concept specifically shows high number in type of early childhood teachers(with a background in inclusive education and without a background in inclusive educatio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upport for individual education shows high number in typ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examining a level of hierarchy in superordinate concept; integration concept, integration subject, and curriculum hold a high portion, we can discover the level of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superordinate concept is relatively high. The hierarchy according to type of teachers shows some difference. Teaching strategy in superordinate concept shows different hierarchy in type of early childhood teachers(with a background in inclusive education and without a background in inclusive education), support for individual educa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how high hierarchy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xt, on examining saliency scores of superordinate concept, it appeared that integration subject, curriculum and support for individual education had a high percentage of this study, we can also discover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give considerable thought to superordinate concept among thirteen representative terms. Saliency score according to type of teachers shows some difference in this study. Curriculum and subject of integration in superordinate concept show high grade in the group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a background in inclusive education and without a background in inclusive education, administrative support and support for individual education show high grade in the group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Lastly, on examining the result of density how well organized and methodical the Concept Map is, the density appears widely from 1.38 to 8.00. Compared the density by type of teachers,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a background in inclusive education shows a high density relatively to others. when examining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through the number of subordinate concept included in the superordinate one, which appeared in the concept map of early childhood teacher, teachers have a sense of knowledge about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ut there has been some lack of systemicity, integration and hierarchy. In this study, there is a deviation on the level of knowledge of not only early childhood teacher about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ut also the type of teacher, we can discover additory education are needed' preservice education and supplement education, about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Even though the limitation and restriction of regional selection, this research have a signification in examining the analysis of Concept Map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reason out some current events about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Key words: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oncept map, Early childhood teache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