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이은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은 어떤 목적과 내용으로 구성하여야 할 것인가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고,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이 생활 속에서 유아기자녀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효과적인 성교육을 할 수 있도록 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의 방향과 지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통하여 4개의 주제(임신과 출생, 유아기 성의 발달과 성인식형성과정, 안전한 성을 위한 지도방법, 양성평등교육)로 구성된 총 4회기의 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유아기부모를 대상으로, 임신과 탄생을 중심으로 인간존중, 생명존중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성교육프로그램으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효과성 분석은 경기도에 위치한 3개 유치원의 유아부모 53명을 대상으로 실험군(26명)과 대조군(27명)으로 구분하여, 실험군에게만 주 1회 2시간 씩 총 4회기의 성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프로그램 실시 전 동일한 시기에 사전검사로 성지식, 성태도, 부모효능감을 검사도구로 측정하였고, 4주의 프로그램이 끝난 후 동일한 시기에 사전검사와 동일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성교육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18ver.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이 부모의 성지식을 향상시키고, 부모의 성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으며, 유아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을 증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성지식의 향상과 성태도의 긍정적인 변화 그리고 유아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밝혀내었다. 유아기 부모의 가정 성교육은 단순히 성에 국한되는 교육이 아니라 인간과 성을 연계하는 생명존중, 인간존중이라는 인성교육의 가장 기초가 되는 교육이므로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은 유아자녀에게 성교육을 지도할 수 있는 기술적인 면뿐만 아니라 생명존중과 인간존중이라는 가치관을 함양하는 교육으로서의 지향성을 갖고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유아기의 통합적 효도교육 연구

        김민석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本 論文은 우리 사회의 여러 가지 問題중 특히 가정문제에 대한 解決 方法의 하나로 敎育的 接近에 관심을 두었다. 이러한 교육적 접근과 관련하여 특히 孝道敎育에 초점을 둔 것은 효도교육이 새로운 세기를 살아갈 유아기에 필수적인 교육이며 이를 통해 21세기의 세계적인 人間觀을 형성하는 시금석의 역할임을 강조하고 사회문제 해결의 필수적 代案이기 때문이다. 傳統的으로 효도교육은 한국의 代表的인 敎育이지만 현대교육에서 이를 그대로 수용하기는 여러 가지 限界가 있으며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현재의 유아 교육시설에서 보다 효과적인 유아 인성교육지도에 있어서도 종래의 학습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한계와 교육 성과적인 측면에서도 어려운 점이 상당히 도출되고 있는 것이 현실적인 문제이다. 이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새로운 인간발달과 관련하여 통합적 교육이념에 관심을 갖고 이와 관련한 ‘유아기의 통합적 효도교육론’을 제시해 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本 論文은 구체적으로 유아기의 통합적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여러 연구를 간략히 소개하고, 韓國的 敎育理念, 韓國的 敎育內容에 의한 ‘유아기의 통합적 효도교육론’에 근거한 ‘유아 통합 효도교육 프로그램’ 구축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실제적 성과로는 첫째, 유아교육현장에서 현대적 의미의 유아 통합효도교육을 통해 효도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은 물론 주제토론 통합학습능력을 향상시켰으며, 전통적 효도학습을 통해 효ㆍ한문학습능력의 신장을 가져왔다. 아울러 새로운 통합감성학습의 일환으로 효도와 국악을 통합한 학습방법을 통해 인성교육과 함께 성격발달, 발표와 표현력, 감성능력, 공동체의식개발 등 보다 획기적인 유아기의 통합적 효도학습의 성과를 달성시켰다. 둘째, 현대적 孝道學習내용과 전통적 孝ㆍ漢文學習, 보다 새로운 통합감성학습 孝ㆍ國樂學習을 통해 유아들에게 신명나는 학습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보다 구체적인 통합 인성 교과프로그램으로 정착시켰다. 셋째, 통합효도교재에 의한 인성교재학습은 물론 우리의 전통악기 국악기를 겸한 교구학습으로의 양면을 적절하게 통합 지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유아 교육현장에서 연령별로 프로그램을 실질적으로 활용하여 성공적인 유아기의 통합 효도교육이 實現되도록 보다 구체적인 指導方法을 제시하였다. 유아들의 정신세계는 일생의 어느 시기보다 가장 중요한 기초ㆍ기본을 만들어 주어야 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유아교육현장에서 보다 성공적인 학습프로그램의 개발과 정착은 그리 용이한 현실이 아니며, 특히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여 세계도처에서 각종 각양의 학습프로그램들이 우리의 유아교육현장에서 물밀듯 접목되고 있는 현실이다. 본 논문 ‘유아기의 통합적 효도교육연구’는 실제적으로 교육현장에서 활용한 교육행사 사례 및 효과를 분석하여 상당한 성과를 가져오고 있으며 앞으로도 수많은 교육시설에서 이를 올바르게 활용한다면 학습을 받는 유아는 물론 교육시설의 경쟁력과 함께 가정이 변하고 우리 사회가 변하는 획기적인 유아 인성프로그램이다. 아무쪼록 본 연구가 이 나라 유아 인성교육의 작은 밑거름이 되고자 한다.

      • 유아기의 음악적 경험이 실제 피아노 학습에 미치는 영향

        유지영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유아기의 음악적 경험이 실제 피아노 학습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Impact of Early Childhood Musical Experiences on a Real Piano Learning 음악교육전공 유 지 영 지 도 교 수 김 명 규 본 논문은 유아기의 음악적 경험이 실제 피아노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우리나라 보육시설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음악 프로그램들이 유아기의 학습을 통하여 차후 아동의 피아노 학습에 어떠한 영향들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보육시설 음악 프로그램을 먼저 분석하고, 실제 피아노 학습을 하는 학생들의 평가를 통해 영향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사하구 지역 S피아노 학원 원생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 10명은 유아기 시절 음악 프로그램의 경험이 없는 비경험 집단과, 그 외 10명은 유아기 시절 보육시설에서의 음악적 경험이 1년 이상 있는 경험집단으로 분류하여 연구를 실시 하였다. 유아기 음악적 경험을 가지고 있는 경험집단의 경우 10명 모두 지역특성상 동일한 지역의 보육시설에서의 같은 프로그램 뮤직 스폐셜을 경험하였으며, 이에 먼저 뮤직 스폐셜이라는 음악 프로그램의 1년 계획안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구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론영역, 창의영역, 활동영역, 감상영역, 인지영역으로 크게 나뉘어 진행된 것을 알 수 있었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경험집단과 비경험집단의 비교 평가가 이루어졌다. 평가의 주체로는 이 두집단의 어린이들을 12개월 이상 15개월 이하로 직접 피아노를 지도한 5년 이상 경력의 교사로 두었으며, 각각의 영역에 따른 재제곡의 레슨을 통하여 평가되었다. 각 하위 영역별 평가점수는 최하 0점 최고 10점으로 정하였으며 얻어진 평가점수를 각 집단의 평균점수(M)로 환산하고 집단들간의 점수 분포도를 편차(SD)로 나타내었다. 비경험집단과 경험집단간의 비교를 위하여 통계 방법중 상관분(correlat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두 집단간의 상관계수(T)를 나타내어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이론영역에서 계이름의 읽기 쓰기 능력, 악상기호의 이해, 음악형식의 이해도의 평가에서 경험집단이 비경험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으므로 피아노 학습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둘째 창의영역에서는 박자의 변화 능력, 음악의 신체적 표현능력을 평가하였으며 경험집단이 비경험집단에 비해 월등히 높은 점수를 얻으므로 경험집단이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셋째 활동영역에서는 교사와 호흡을 맞추는 리듬 앙상블 능력과 주어진 음정을 피아노로 표현하는 음정 표현력을 평가하였고, 리듬 앙상블에선 비경험집단이 경험집단에 비해 다소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음정 표현력에서는 경험집단이 비경험집단보다 월등히 높은 점수를 얻으므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결과적으로 두 부분을 종합할 때 경험집단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얻어낼 수 있었다. 넷째 감상영역에서는 주어진 곡의 해석 능력을 보았으며 경험집단의 월등히 높은 점수로 인해 유아기 시절 음악적 경험이 음악적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다섯째 인지영역에서는 일정한 템포를 유지하는 능력, 변박의 정확성, 음악요소에 대한 정확성의 평가에서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큰 차이가 없다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종합하여 볼 때 유아기 시절의 음악적 경험은 실제 피아노 학습에 결정적이고 큰 요소로 작용하지 않지만 음악적 감수성과 활동적인 표현부분에서 긍정적 영향력을 가진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주요어 : 유아기의 음악적 경험, 피아노 학습

      • 유아기 부모와의 관계와 정신치료 : 융·하인츠 코헛의 자기 개념을 중심으로

        양미정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The relationships with parents in infancy and psychotherapy (Focused on self-concept of C. G. Jung and Kohut Heinz ) Yang, Mi Jung Dept. of Graduate School Hyup Su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im, Seong Min The cause of psychopath is mainly attributed to wrong relationships between infants and their parents therefore if infants experience inappropriate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y will undergo mental illness and lead a painful and unhappy life when they become adults. This study aim to seek the way for person to lead a life worthy of man without mental distress. C. G. Jung and Kohut Heinz describe psychopath that is attributed to wrong relationships with parents in infancy and psychotherapy that can treat mental illness focused on self-concept through their writings. This master's thesis which studies relationships with parents in infancy and psychotherapy based on the theory of C. G. Jung and Heinz Kohut consists of four parts. Part Ⅰ, introduction, is to raise question and to suggest the purpose , range and direction of study for the study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in infancy and psychotherapy. Part Ⅱ and Ⅲ are related to the study on relationships with parents in infancy and psychotherapy focused on self-concept of Jung and Kohut. In part Ⅱ, I will introduce theory of Jung and Kohut briefly and examine relationships with parents in infancy in detail . With reference to Jung's theory on relationships with parents in infancy, I will examine self-concept and ego-growth, ego-alienation that is the result of form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ego and parents and with reference to Kohut's theory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in infancy, I will examine relationship with self object, grandiose self, creation process of idealized parents original image, changed internalization focused on self-concept and finally, I will compare self -concept between Jung and Kohut. In part Ⅲ, I will examine the meaning of psychotherapy with reference to study on psychotherapy. I will examine the process of psychotherapy focused on self-concept theory of Jung and Kohut. Jung and Kohut argued that mental illness which is attributed to wrong relationships with parents in infancy can be cured through psychotherapy. I will examine the goal, method and process of psychotherapy through their theories . Jung's process of psychotherapy is related to new relationship (formation of image), separation from parents, attitudes of examiner and examinee and formation of implantation while Kohut mentioned that psychotherapy should be per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optimum failure, formation of implantation and sympathy along with the process of defense and resistance. I will finalize part Ⅲ while comparing the self realization of Jung and Kohut. Part Ⅳ is applicable to the conclusion of study on relationships with parents in infancy and psychotherapy. In part Ⅳ, I will summarize the points of this study and I will conclude this study while suggesting those who experienced wrong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in infancy need psychotherapy and this psychotherapy can positive influence on mental illness . I expect that this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Jung and Kohut will suggest the direction that enables those who undergo mental illness due to wrong relationships with parents in infancy to lead a happy life . Keyword C. G. Jung, Kohut Heinz, The relationships with parents in infancy, Psychotherapy, Self 국문 요약 사람의 정신 병리의 원인은 많은 부분 유아기 부모와의 잘못된 관계로 인해 생겨난 결과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유아기 때 부모와의 올바르지 못한 관계로 인해 정신의 많은 문제가 발생하여 고통스럽고 불행한 사람을 살아가는데 그것으로부터 벗어나 행복하고 인간다운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방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C. G. 융과 하인츠 코헛은 자기 개념을 중심으로 유아기 부모와의 관계로 인한 나타난 병적인 모습에 대해, 또한 그러한 모습으로부터 벗어나 치유할 수 있는 정신치료에 대해서 그들의 많은 저술들을 통해 말해주고 있다. C. G. 융과 하인츠 코헛의 유아기 부모와의 관계와 정신치료에 연구인 본 석사 학위 논문은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Ⅰ은 서론 부분으로 유아기 부모와의 관계와 정신치료의 연구를 위해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연구 범위와 방향을 제시하였다. Ⅱ, Ⅲ에서는 융과 코헛의 자기 개념을 중심으로 유아기 부모와의 관계와 정신치료에 대한 연구이다. Ⅱ에서는 융과 코헛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함께 유아기 부모와의 관계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볼 것이다. 융과 유아기 부모와의 관계에서는 가장 중요한 자기개념과 자아, 부모와의 관계 형성으로 인한 결과 즉 자아-팽창, 자아-소외에 대해서 살펴보고, 코헛의 유아기 부모와의 관계도 마찬가지로 가장 중요한 자기 개념을 중심으로 자기대상과의 관계, 과대자기, 이상화된 부모원상의 창조과정, 변형적 내면화의 과정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융과 코헛의 자기를 비교할 것이다. Ⅲ는 정신치료에 관한 연구로 먼저 정신치료에 관한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융과 코헛은 자기를 중심으로 정신치료 과정에 대해서 살펴볼 것인데 유아기 부모와의 적절하지 못한 관계로 인한 나타난 정신 병리의 모습을 정신치료 과정을 통해 어떻게 치유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들의 이론을 통해 정신치료의 목표, 방법,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융의 정신치료의 과정은 새로운 관계(이미지 형성), 부모와의 분리, 분석가와 피분석가에 자세, 전이형성에 대해 이야기 하였고 코헛은 방어와 저항의 과정과 함께 최적의 실패, 전이형성, 공감의 과정을 거치며 정신치료를 한다고 이야기한다. 마지막으로 융과 코헛의 자기실현을 비교하면서 Ⅲ을 마무리 할 것이다. Ⅳ는 유아기 부모와의 관계와 정신치료의 결론이다. 본 연구의 요약을 간단히 하면서 융과 코헛의 유아기 부모와의 관계와 그것으로 인해 올바른 내면을 형성하지 못한 사람들의 정신치료의 필요성과 정신치료가 정신에 좋은 영향력을 끼치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며 결론을 맺고 있다. 융과 코헛의 유아기 부모와의 관계와 정신치료는 유아기의 부모와의 관계로 인해 올바른 내면을 형성하지 못했다면 정신치료 과정을 통해 치유되어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해 줄 것이다. 핵심 되는 말 C. G. 융, 하인츠 코헛, 유아기 부모와의 관계, 정신치료, 자기 .

      • 음악교육이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유아기 음악교육 중심으로

        이다정 계명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음악은 인간의 감정과 정서를 표현하는 수단이 되며 음의 아름다움을 통하여 인간의 생활을 폭넓고 아름답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음악교육은 음악적 기초 능력이 급속히 형성되고 성장하는 유아기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아기의 음악교육은 조화로운 인격을 함양하기 위한 과정에서 필수적인 것으로 전인교육을 지향해야 한다. 이는 음악교육이 특수한 기능인 양성을 위한 것이 아닌 보편적이면서 조화된 인간형을 기르기 위한 과정이기 때문이다. 유아기 음악교육에는 2 가지 의미가 있다. 하나는 장래 사회인으로 훌륭한 인간형성을 하기 위한 것이며 또 하나는 음악적 능력을 개발해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아기 음악교육이 인간성의 기초가 되는 가장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유아기 음악교육이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음악교육은 자기 표현의 창조적인 경험과 능력을 최대한 발전시킬 수 있는 적절한 시기이다. 둘째, 유아기 음악교육은 음악을 생활화하기 위한 인간교육으로서 효과적이고 중요한 과목이다. 이 시기의 음악교육은 생활자체에서 음악을 느끼고 사랑하고 아낄 수 있는 따뜻한 음악교육의 장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유아기 음악교육은 음악적 능력 발견의 최적시기이다. 그러나 현재의 교육방법들은 획일적이고 주입식의 지도를 하고 있기 때문에 유아들의 창의적 자기 표현의 활동을 계발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음악지도 방법은 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앞으로 유아기 음악교육이 지향하여야 할 목표는 다양한 학습내용과 지도방법을 계발하여 유아들로 하여금 음악의 본질과 개념을 이해하도록 도와줌으로써 다양한 음악의 장르를 경험하게 하고 유아 스스로가 음악을 생활화 되도록 유도하고 바람직한 인격형성에 영향을 주어야 한다. Music gets a means expressing human emotion and feeling, and function making their 0lives be widen and beautiful through the beauty of music. It is desirable for children to acquired this musical education in infancy when musical basic ability is forming rapidly. The education of music in infancy must be intended as the whole man education for the access of developing harmonized personality because it is not only just training for special skilled man but the course making up general and harmonious human being. There are two meaning in music education. One is for molding a good man as future member of society, and another is for developing the musical ability. As a result, we can say the infancy-musical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period for foundation of human personality. This study is aimed at the roles of music education in infancy to the character form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fancy is a very adequate time in music education to have an creative experience and to develop their expression capacity. Second. music education in babyhood is an important subject for human education and also can make infants feel and love music in their daily life. Third. music education in infancy is the best time for developing the musical potentiality. But because the modern educational ways are uniformed and infused, infants can't be offered the chance for developing their unique self-expression activity. This educational system has to be improved as a important subject. Consequently, the direction of the infancy-musical education in the future is to help children understand the quality and the notion through enlightening various learning contents and teaching skills, and to make kids be experienced multifarious genre of music and to help to be felt the music as the daily life's process, and to influence to formation good individuality.

      •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조희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와 부모의 읽기, 쓰기 교육에 대한 인식과 그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올바른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을 위한 방향을 세우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의 수준 및 시기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 방법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4.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만 5세 학급의 교사 252명과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4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관련된 선행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와 관련문헌을 근거로 하여 본 연구자가 교사용과 부모용 2가지로 제작한 질문지였다. 연구도구의 구성은 읽기, 쓰기 교육의 전반적인 사항으로 필요성과 그 이유, 요구자, 교육 시기 및 수준, 교육방법 등에 관한 10문항, 읽기, 쓰기 교육 활동 25문항, 읽기, 쓰기 교육 방법 18문항으로 총 5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유아교육 전문가로부터 내용 타당도를 검증 받아 설문지를 배부 및 회수하였고, 자료는 읽기, 쓰기 교육의 전반적인 문항들에 관해 교사와 부모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x^2검증을, 읽기, 쓰기 교육활동 및 자료에 관한 문항들은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교사와 부모는 모두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그 이유로 교사는 유아의 발달단계에 적절하기 때문에, 부모는 초등교육의 준비가 되기 때문이라 인식하여 차이가 있었다.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이 누구의 요구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해 교사와 부모는 모두 부모의 요구에 의한다는 인식이 높았다. 둘째, 유아기 읽기 교육의 수준에 대해 교사와 부모는 읽기는 간단한 문장 읽기의 수준까지, 쓰기는 단어 쓰기의 수준까지 이루어 져야 한다는 것에 가장 높은 인식을 보였다. 그러나, 부모의 경우 동화책 능숙하게 읽기, 문장 쓰기까지 이루어져야 한다는 생각도 많이 나타났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부모가 교사보다 더 놓은 수준까지로 인식하고 있어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읽기 교육의 시기에 대해서 교사는 만 4세부터, 부모는 만 5세부터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쓰기 교육의 시기에 대해서는 부모와 교사가 모두 만 5세부터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교사가 부모보다 더 이른 시기부터 시작한다고 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 방법에 대해서 교사와 부모는 일상생활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습득해야 한다는 인식이 가장 높았다. 유아기에 적절하지 않은 성인의 직접적인 지도나 개입, 가정방문 학습지나 학원을 통한 습득에 대해 교사는 부정적인 인식이 높았으나, 부모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우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도방법에 있어서 부모와 교사는 단어법이 가장 적절하다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사가 부정적으로 인식한 자모법이나 음절법에 대해서 부모는 어느 정도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보였다. 넷째,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에 가장 적절한 집단 형태에 대해서 교사와 부모는 개별적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에 관한 정보 습득 방법에 대해서 교사는 전문서적이나 정보지를 통하여, 부모는 다른 학부모와의 정보교환을 통하여 얻는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 활동에 대하여 교사가 부모보다 높은 인식을 보인 활동들은 비형식적이고 비지시적인 활동들 이였으며, 부모가 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보인 활동들은 형식적이고 지시적인 활동들 이였다. 또한,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 자료에 대해서도 교사가 부모보다 높은 인식을 보인 자료들은 비형식적이고 비지시적인 자료들 이였으며, 부모가 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보인 자료들은 형식적이고 지시적인 자료들 이였다. 일곱째, 유아기에 읽기, 쓰기 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교사는 유아 수준의 개인차를, 부모는 부모 자신의 인내심 부족을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reading & writing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and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ccording to this purpose, the main subjects of study as follows were set up. 1. How ar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necessity of reading & writing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2. How ar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reading & writing ability and the time to teach reading & writing on early childhood? 3. How ar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teaching method of reading & writing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4. How ar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problem of reading & writing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In order to this study, I researched 252 teachers and 415 parents of kindergartens in seoul. The questionnaire, which wa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made by me though examinations of preceding studies. The questionnaire consised of 53 questions of investigate method and the problem of reading & writing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he questionnaire were verified content validity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ors. For analyzing collected data, X^(2)-test and t-test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of teachers and parents take in for granted that reading & writing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is quite necessary. But, there was difference the reason why that is necessary. The teachers perceived that because children get to the stage for reading & writing. The parents perceived that because reading & writing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s helpful to elementary education. And Both of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d that reading & writing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is from the requirement of parents. Second, it was shown a different perception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reading & writing ability that children have to get and the time to teach reading & writing on early childhood. Both of teachers and parents pointed that children have to reach to read simple sentence and to write a short word on early childhood. But, totally, parents perceived the reading & writing ability on early childhood much higher than teachers. About the time to teach, teachers pointed 4 years old is suitable for reading, but, parents pointed 5 years old. And for writing, both of them pointed 5 yeard old is suitable. Totally, teachers perceived the time to teach reading & writing much earlier than parents. Third, There was difference about the teaching method of reading & writing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n case of the teacher, they perceived that undirective teaching methods is more effective than directive teaching methods. But, in case of the parents, they perceived that a directive teaching methods is more effective than undirective teaching methods. Finally, There was difference about the perceptions about problem of reading & writing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teachers pointed that most important problem is the gap of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But, parents pointed that most important problem is the lack of parents' own endurance.

      • 유아기 신앙교육을 위한 큐티-“쁘티”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연구

        장혜미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유아기 신앙교육의 중요성을 알고 그것을 실천하기 위한 방법으로 큐티를 통한 신앙교육을 제시하되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여 유아기 큐티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유아기 큐티 교재인 “쁘티”를 통해 부모와 유아가 더욱 효과적으로 큐티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작하였다. Ⅰ장에서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유아기의 신앙교육에 대한 당위성과 중요성을 말씀을 통해 확인하였다. 하지만 가정 안에서의 신앙교육의 방법 및 교육의 제한으로 인한 어려운 상황에서 그 대안적 방법으로 큐티를 통한 신앙교육을 제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아기 신앙을 위한 큐티 교재 “쁘티”가 주어졌으나 어떻게 활용해야할지 몰라 하는 부모와 아이들을 대상으로 큐티를 활성화하기 위한 “부모와 함께하는 쁘티 교실”이라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한 이론적 배경을 다루었다. 첫 번째로 유아기의 신체발달, 인지발달, 파울러와 콜버그를 중심으로 유아기의 신앙발달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유아기 신앙교육의 목적을 통해 신앙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내용과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큐티가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였으며, 큐티의 방법을 통해 큐티에 대한 이해를 다루었다. Ⅲ장에서는 유아기 신앙교육을 위한 큐티 교재인 “쁘티”를 다루었다. 쁘티가 만들어지게 된 출간 배경과 더불어 쁘티가 어떠한 구성으로 되어졌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쁘티 교재가 소개하고 있는 쁘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Ⅳ장에서는 유아기 신앙교육을 위한 큐티 활성화 프로그램의 전제 제시를 시작으로 이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를 포함한 전체적인 구조에 대해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의 계획단계부터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 프로그램 운영 후 참여한 부모들의 소감문 및 평가를 담은 실제를 다루었다.

      • 올바른 인격형성을 위한 유아기 음악교육의 지도방안 연구 : 4~5세의 유아를 중심으로

        박성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음악은 인간의 감정과 정서를 표현하는 수단이며 인간의 생활을 보다 폭넓고 아름답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음악교육은 인간의 모든 기초 능력이 급속히 형성되고 성장하기 시작하는 유아기에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아기의 음악교육은 조화로운 인간으로 성장하기 위한 과정에서 필수적인 것으로서 두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나는 장래에 훌륭한 인격을 갖춘 사회인이 되기 위함이며 또 하나는 개인의 음악적 능력을 개발해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아기는 인간성의 기초를 위한 가장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으므로 유아기 음악교육의 지도는 음악의 아름다움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도록 유아의 특성과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즐겁고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위한 형태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올바른 인격형성을 위한 유아기 음악교육의 지도방안을 몇 가지 방면으로 나누어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유아기 음악교육의 중요성, 유아기의 음악적 성장발달단계와 특징, 여러 가지 문헌 연구를 통한 현대 음악교육자인 달크로즈, 칼 오르프,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유아기 음악교육이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바탕으로 하여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네 가지 영역 즉, 음악감상하기, 노래부르기, 악기다루기, 신체로 표현하기로 분류하여 연구해 보았다. 첫째, 음악 감상하기에서는 유아에게 들려질 음악의 소재는 충분히 즐겁고 흥미로우며, 무엇이 들릴까하고 기대한 만큼의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소재를 선택하였고 다양한 지도방법을 통하여 유아 스스로가 아름다운 음악세계를 발견하도록 이끌어 주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둘째, 노래 부르기에 있어서 유아의 노래는 유아에게 친숙한 노랫말을 담고 있고, 즐겁고 아름다운 선율로 구성된 노래를 선택하여 다양한 교수자료나 소품을 활용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했다. 셋째, 악기 다루기에서는 유아가 다루기 쉽고, 재미있고, 다양한 악기를 경험해 볼 수 있도록 하였고 넷째, 신체로 표현하기는 음악을 듣고 노래 부르기를 통하여 유아 스스로가 느끼는 것을 자유롭게 표현함으로써 창의성과 상상력을 길러 음악적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지도방안을 연구해 보았다. 앞으로의 유아기 음악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다양한 학습 내용과 지도방법을 계발하여 유아 스스로가 자유롭게 음악을 터득하게 함으로서 자연스럽게 음악을 즐기는 사람으로 성장케 하는데 더욱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Music is the tool to express human emotion and sentiment and performs the role to make life more wide and beautiful. It is proper to impose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hat starts every human fundamental capabilities are formed and developed rapidly.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s essential for process to grow up to be a harmonious human being. It means two, one is for the member of society with good character and another is for development for individual musical ability. Like these, early childhood is the most important period for the basic of humanity, the instruction of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s constructed with the form for pleasant and various musical experiences that considering children's characters and development stages for the ability of express the beauty of the music naturally. Thu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e instruction method for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 several ways.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learning theories of modern music pedagogists like Dalcroze, Karl Orff, and Gordon were researched by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musical development stages and characters, and references. And research the effective instruction method divides into four areas of listening to music, singing, playing the instruments and physical expressions based of the influence to the character building in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First, subject materials in listening to music for child is pleasant and interesting enough and rewardable for expectation for listening, and emphasis to discover beautiful musical world by oneself through various instruction method. Second, songs in singing with familiar lyrics and pleasant and charming melodies were selected and could be instructed with various teaching materials or props. Third, in playing the instruments, it was designed to express easy to play, fun and various. Fourth, in physical expressions, teaching method that develops creativity and imagination by expressing freely what children feel though listening to music and singing, and develop musical abilities were studied. The new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should develop various learning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and focus to make children understand music freely and grow up to the person who enjoys music naturally.

      •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 개발 연구

        김남희 부산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유아의 기초학습능력인 읽기, 쓰기, 셈하기, 정보처리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개발을 통해 유아들의 학습에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선수학습능력과 학습과정에 나타나는 인지처리과정을 평가하여 현재 유아의 기초학습능력 수준 및 영역별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교수·학습방법을 계획하고 실천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시안을 제작한다. 둘째,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문항양호도를 알아본다. 1)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문항별 통과율을 알아본다. 2)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문항별 변별도를 알아본다. 셋째,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검사양호도를 알아본다. 1)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신뢰도를 알아본다. 2)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타당도를 알아본다. 넷째,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를 적용하여 만 5∼6세 유아들의 발달경향을 알아본다. 이러한 연구내용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먼저, 유아의 기초학습기능과 관련된 문헌 및 검사도구 분석을 기초로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하위 영역 및 문항 구성요소들을 1, 2차에 걸쳐 정리한 후, 유아교육전문가 협의를 통하여 만 5, 6세 유아에게 적용할 수 있는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시안을 제작하고, 이를 1, 2차 예비검사와 전문가 검토를 통하여 문항을 수정·보완하였다. 이를 통하여 확정된 최종안을 적용하여 본검사를 실시하고 본검사 결과에 대한 문항양호도와 검사양호도를 분석하였다. 1차 예비검사는 1차 시안의 문항들에 사용된 용어와 실시방법, 통과율, 소요시간 등이 대상 연령의 유아에게 적합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지역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유아 30명과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154문항 중 문항통과율과 변별도를 고려하여 수정·보완된 문항 외에 45문항을 삭제하여 2차 시안으로 총 109문항이 선정되었다. 2차 예비검사는 1차 예비검사를 통하여 수정·보완된 유아기초학습능력검사 2차 시안의 문항양호도와 검사양호도, 그리고 전문가 검토를 통한 내용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2차 예비검사의 대상은 부산지역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유아 64명과 전문가 30명이었다. 그 결과 총 109문항 중 통과율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문항과 연령간 통과율의 증가가 불규칙한 문항, 그리고 상하집단간 변별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문항들은 삭제하거나 난이도를 조정하여 수정·보완하였다. 2차 시안의 109문항 중 수정·보완된 문항 외에 13문항이 삭제되어 유아기초학습능력검사의 최종안은 총 9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검사는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 최종안의 문항양호도와 검사양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령별로 126명씩 총 252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검사의 재검사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령별로 각 40명씩 80명의 유아에게 본검사 실시 2주 후에 재검사를 실시하였고, 공인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령별로 40명씩 80명의 유아에게 기초학습기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본검사의 결과는 문항양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항통과율과 문항변별도를 산출하였다. 검사양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산출하였는데, 신뢰도 계수로는 문항내적합치도인 Cronbach α계수와 검사의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한 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하였고, 타당도는 문항적절성과 하위 영역간 상관, 그리고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와 기초학습기능검사와의 상관계수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 최종안을 적용하여 유아의 기초학습능력의 발달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하위영역과 총점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 범위를 알아보고, 연령 및 성에 따른 차이를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본검사를 중심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최종 시안은 4개 하위영역 총 9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인 하위영역은 글자 변별, 단어 읽기, 문장 읽기, 이야기 읽기를 포함한 '읽기 영역' 25문항, 쓰기 이전, 단어 만들기, 보고 쓰기, 단어 쓰기를 포함한 '쓰기 영역' 18문항, 수세기 이전, 수세기, 수연산을 포함한 '셈하기 영역' 23문항, 주의집중, 동시처리, 순차처리, 계획을 포함한 '정보처리 영역' 30문항으로 총 96문항이다. 둘째,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문항양호도를 분석하였다. 문항통과율의 범위는 17.5%∼100.0%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통과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변별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체 유아를 총점에 따라 상위 27%와 하위 27%로 나누어 각 문항별로 상집단과 하집단간의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문항변별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검사양호도를 알아보았다. 문항내적합치도는 .82-.95로 나타났고, 검사의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한 재검사 신뢰도는 .81-.94로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의 문항적절성은 영역별 평균이 3.63-3.72로 나타났고, 각 하위영역 및 총점간 상관은 .52-.86으로 나타났으며, 기초학습기능검사와의 공인타당도는 .34-.67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를 적용하여 유아의 기초학습능력의 발달경향을 알아보았다.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전체 점수를 분석해 본 결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 점수도 증가하여 뚜렷한 발달적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연령에 따라 하위영역 및 총점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연령에 따라 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의 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총점 및 읽기, 쓰기 영역은 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셈하기, 정보처리 영역에서는 성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basic learning skills test for young children that could be used as an essential tool for assessment of basic learning skills for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est instruments from Korea and abroad used to measure basic learning skills of young children at the ages of 5 to 6. A review of the literatures on the basic learning skills development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preschool was also undertaken. The research cont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research content is to draw up a draft to measure basic learning skills of young children at the ages of 5 to 6. The second research content is to examine the adequacy of the items of a Basic Learning Skills Test for Young Children. The third research content is to examine the test adequacy of a Basic Learning Skills Test for Young Children. The final draft was drawn up by addition and elimination after the first and the second pretest with the items which were made out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professional consultation. The first pretest to look into the adequacy of the terms, method, and the time of the test for the children was carried out to 30 kindergarteners aged 5 to 6 in Busan. The second pretest was carried out with 64 kindergartners and 30 professionals, such as professo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esidents of kindergarten, and kindergarten teachers, examined the adequacy of each item and subordinate areas. Passing rate and item discrimination was produced to verify the adequacy of the items of the second pretest, and reliability was produced by Cronbach a coefficient, that i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to verify the adequacy of the test.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adequacy of the items by professionals was calculated to ascertain the content validity of the test. This study was carried out using the final draft by complementing and amending the results of the second pretest. The final draft consists of 96 items in 4 areas. The subjects of this test were 252 kindergartners in Busan. The Basic Learning Skills Test(1987) was carried out to 80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test to examine concurrent validity of the test. After 2 weeks of the test, retest was carried out to 80 children who didn't participate in the concurrent validity test to examine test-retest reliability. The passing rate and the discrimination of the items was produced for the adequacy of the items by the result of this test. Reliability coefficient produce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that is, Cronbach a coefficient to ascertain the adequacy of the test and test-retest reliability on the stability of the test.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with Basic Learning Skills Test(1987) was produced to examine concurrent validity of a Basic Learning Skills Test for Young Childre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subordinate area and the sum were examined to look into the developmental tendency of Basic Learning Skills at the ages 5 to 6, and t-test was examin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and sex.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final draft of the Basic Learning Skills Test for Young Children consists of 96 items in 4 areas, that is, 25 questions in the reading area, 18 questions in the writing area, 23 questions in the arithmetic area and 30 questions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rea. Seco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e item adequacy shows that passing rate is from 30.6% to 97.6% which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age. Mean between the upper 27% and the bottom 27% to look into the item discrimination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 which means that items of this test could discriminate upper and lower groups effectively. Third,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e test adequacy shows that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is from .85 to .92 and test-retest reliability is from .82 to .95, which means that the stability over time is comparatively high. Concurrent validity to Basic Learning Skills Test(1987) indicates .67. Fourth,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subordinate areas and sum according to age to look into the developmental tendency of Basic Learning Skills Test for Young Children shows that the mean increases as age increases. The result of the independent sampling t-test to look into the difference between ages show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in reading, writing, arithmetic, and information processing area. The result of the independent sampling t-test to look into the sexual difference show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p<.01) and writing(p<.001) area,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in arithmetic and information processing area. In conclusion, this Basic Learning Skills Test for Young Children turns out to hav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o measure the basic learning skills of the ages 5 to 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