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에 따른 종합병원 안내·유도 사인시스템의 시각요소에 관한 연구

        권숙영 仁濟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943

        불특정한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종합병원의 경우, 다양한 연령층과 신체적 특징, 성별, 지식 정도에 구애 없이 원하는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는 사인시스템 필요한 곳이며, 이러한 다양한 사람들의 환경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보편적인 디자인 개념인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유니버설 디자인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가 환경시설물과 제품 사용에 대한 행동적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시각적 측면에서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니버설디자인개념에 따라 사인시스템의 시각요소에 관하여 실험과 분석을 통해 얻어지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향후 유니버설디자인개념을 적용한 사인시스템 디자인 시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기존 문헌분석을 통하여 유니버설디자인 개념과 원리, 사인시스템의 시각요소에 대해 특징들을 알아보았고, 둘째, 이를 바탕으로 최근에 지어진 종합병원 안내·유도사인시스템을 현장조사를 통한 실측조사를 하여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에 따라 시각요소를 중심으로 ①레이아웃, ②문자, ③픽토그램, ④색채 항목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사례분석의 시사점들을 바탕으로 가독성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소인 문자와 색채를 실험요소를 추출하였다. 셋째, 사인시스템에 주로 사용되는 문자의 가독성에 대한 체계적인 실험을 실시, 사용자의 연령층에 따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사인시스템의 시각요소 변화 따라 연령층간의 가독성에 차이가 밝혀졌으나, 실험참가자의 모든 연령층에서 자간에 대해서는 보통 자간 보다 넓은 자간이 가독성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행간에 대해서는 보통 행간 보다 넓은 행간이 가독성이 높게 평가되어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에 따른 사인시스템 디자인 시 이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각 색상의 명도변화에 있어서는 실험참가자의 모든 연령층에서 기준이 되는 색의 명도보다 낮은 명도에서 가독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었다. 그러나 주황배경(하양문자)의 경우 명도가 높을수록 가독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어 높은 콘트라스트가 모든 색상에서 유의한 차이를 가져오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색의 특성에 맞게 명도의 조건을 충족시키것에 유의하여야 하겠다. 자간, 행간, 명도에 실험에 사용된 문자의 굵기에 대해서는 연령층 간의 가독성의 차이가 나타나, 사인시스템 디자인 시 이를 고려하여야 하겠다. 향후 이러한 연구가 다양한 연령층을 고려한 종합병원의 사인시스템 디자인 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general hospitals where uncertain many people come in and out the sign system which helps visitors to find easily destinations is very important. The sign system of general hospitals calls for 'universal design' which means a design to satisfy the demand for environments of various people visiting hospitals. But most researches on universal design in progress are just in respect of action against environmental facilities and products use, and researches focussing on visual aspect are comparatively rare. Thus this study purports to analize visual elements of sign system based on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and to present data which are useful to design sign system applying universal design. First, I examined the concept and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and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elements of sign system. Second, I performed filed study on informational and directional sign systems in general hospitals, analyzed ⅰ) layout, ⅱ) letters, ⅲ) pictograms, and ⅳ) colors, and extracted as experimental factors letters and colors which most influence on legibility. Third, I performed systematic experiments on the legibility of letters used on sign system and examined it respectively by age groups of users. A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among age groups differences of legibility according as visual elements of sign system vary. But in all age groups of testee I found that broader space between letters and lines is more legible than usual space. I think that this should be taken account when designing sign system based on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As for the brightness variable of colors, lower brightness than the brightness of standard color is more legible. But in case of orange color (white letter) background the brighter the color is, the more legible it is. That means high contrast does not necessarily mak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colors. So we should bear in mind to arrange the condition of brightness being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colors. As for the thickness variable of letters, there are among age groups differences of legibility, which we should take account when designing sign system. I think that the product of my study can be applied as fundamental data to design sign system of general hospitals with various age group in consideration.

      •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을 도입한 중국 역사문화지구 공공디자인의 개선 연구 : 정보관련 디자인과 위생관련 디자인을 중심으로

        유예청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943

        현대 사회의 경제 발전에 따라 도시 이미지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으며, 역사문화지구에 대한 국가의 보호와 개선도 점차 강화되고 있다. 역사문화지구가 갖는 특수한 가치와 의미는 새로운 의식과 함께 도시 구축 및 관리 측면에서 역사문화지구의 공공시설에 대한 새로운 요구를 제시하고 있다. 공공디자인은 국가의 경제 성장을 나타내는 지표이자, 국가의 문화적 수준을 상징한다. 또한 공공시설은 공공디자인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사람들이 역사문화지구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가장 밀접하게 접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시각에서도 도시 이미지를 형성하는 첫 단계이다. 이에 따라 공공시설과 역사문화지구의 이미지는 서로 밀접한 영향을 주고 받는 공동체로도 볼 수 있다. 역사문화지구의 보호와 리모델링에 따라 사람들은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일반 성인 뿐만 아니라 노인, 장애인, 어린이 등 다양한 사용자를 고려하여 더욱 다양한 사람들이 수용하고 더 나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디자인으로서, 환경에 대한 다양한 사람들의 수요를 충족하는 디자인 원리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화와 인구고령화, 다문화 사회 등 다양한 가치관이 공존하는 오늘날, 모든 사회 구성원들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역사문화지구의 공공시설에 대한 유니버설디자인 분석이 필요하다. 역사문화지구 구축은 단순히 물질적 측면에서만 보수 및 리모델링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역사문화지구의 이미지 제고 및 구축을 추구해야 하며, 공공디자인을 바탕으로 사람과 문화, 환경 간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는 역사문화지구의 이미지 구축을 위해서는 유니버설디자인을 바탕으로 한 공공디자인이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중국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공공시설에 관한 현황 분석과 공공디자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역사문화지구의 공공시설에 관한 중요성을 살펴보고 중국 역사문화지구의 공공시설 중에서 정보 시설과 위생 시설이 현재 해결해야 하는 문제임을 파악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 중국의 역사문화지구에 대한 현지조사를 진행하였고 관광안내소, 안내사인, 화장실, 휴지통 등 4가지 시설이 역사문화지구에서 사용자가 가장 직접적으로 사용하고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시설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보 시설과 위생 시설을 본 연구의 핵심으로 설정하였다. 역사문화지구의 정보 시설은 관광안내소와 안내사인, 위생 시설은 화장실과 휴지통을 포함한다.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연구자들의 이론을 중심으로, 역사문화지구의 공공시설 현황에 관한 선행연구와 현황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현장조사를 통해 역사문화지구의 공공시설에 대한 사용자들의 수요를 종합하였다. 다음으로 역사문화지구 공공시설에 적합한 유니버설디자인의 평가 지표를 도출하였다. 이에 유니버설디자인의 요소를 편리성, 공평성, 정보성, 안전성, 쾌적성, 심미성 등 6가지 요소로 분류하였다. 유니버설디자인의 6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한국 역사문화지구 8곳과 중국 역사문화지구 10곳을 선정하여 현지 조사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에 대한 실증 분석을 진행하여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고 중국 역사문화지구 10곳을 대상으로 유니버설디자인의 요소에 따라 역사문화지구의 사용자 평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유니버설디자인의 요소를 바탕으로 공공시설에 대한 종합 만족도와 추천의향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디자인 요소의 평가 지표에 관한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사용자의 평점 결과와 유니버설디자인 지표의 세부 항목, 한국 역사문화지구의 공공디자인 방식을 근거로 향후 역사문화지구 공공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을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관광안내소의 경우에는 편리성 측면에서 사람의 수요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대기 구역, 상담 구역, 사무 구역, 홍보 구역과 같이 공간의 기능을 구분하고 발전 계획을 마련한다. 정보성 측면에서 텍스트, 도형, 색채 등의 장점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쾌적성 측면에서 대기 구역에 좌석을 늘리고 조용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이고 혁신적인 소통 방식을 추가한다. 공평성 측면에서 유모차, 휠체어, 지팡이 등 보조 이동수단이나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휠체어에는 점자를 추가한다. 안전성 측면에서 친환경 소재와 어린이의 키높이에 적합한 디자인의 시설물을 배치한다. 심미성 측면에서 건축물의 형태를 인문학적 특징을 구현하여 현지 역사문화의 요소를 강조한다. 둘째, 안내사인의 경우에는 편리성 측면에서 역사문화지구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도를 배치한다. 정보성 측면에서 색상 대비를 활용해 단계별 안내 정보를 제공한다. 쾌적성 측면에서 사용자의 키높이를 참고하여 각기 다른 높이의 안내사인을 설치한다. 공평성 측면에서 노인, 영유아, 장애인 등을 고려한 조명, 음향, 터치식 상호작용이 가능한 안내사인을 설치한다. 안전성 측면에서 재료의 선정 및 설정에 있어 높이, 위치에 따라 안내사인을 조정한다. 심미성 측면에서 역사문화지구의 요소와 색채 양식 등을 통일한다. 셋째, 화장실의 경우에는 편리성 측면에서 여자 화장실의 개수와 수유실을 늘려 영유아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정보성 측면에서 눈에 띄는 위치에 안내 사인을 설치하여 명확한 방향을 안내한다. 쾌적성 측면에서 각 화장실 칸에 두루마리 휴지, 세면대 공간에는 손 세정제와 핸드드라이어를 제공한다. 공평성 측면에서 남녀 배리어프리 화장실과 시각장애인 전용도로를 설치한다. 안전성 측면에서 비상호출버튼과 바닥에는 미끄럼방지 재질을 설치한다. 심미성 측면에서 실내에는 녹색 식물이나 화분, 장식 그림을 설치하고 외부 건축물은 각 지역의 문화적 요소를 반영한다. 넷째, 휴지통의 경우에는 편리성 측면에서 휴지통의 입구를 크게 만들고 효율적인 쓰레기 분류를 위해 스마트 분리수거 휴지통을 설치한다. 정보성 측면에서 휴지통의 외부에 슬로건을 추가하고 텍스트와 이미지의 색상 대비를 뚜렷하게 구성한다. 쾌적성 측면에서 내부 박스에는 통풍 및 제습을 위한 구멍을 설치하고 내·외부 박스는 평행으로 밀고 닫는 방식을 활용한다. 공평성 측면에서 휴지통 상단에 점자와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고 어린이를 위한 별도의 휴지통을 설치한다. 안전성 측면에서 도로의 중간에 설치하는 것을 지양하고 자동차 도로와 거리를 유지한다. 심미성 측면에서 곡선과 원형의 디자인을 활용하고 지역 문화 요소를 가미한다.

      • 유니버설디자인 원리에 기초한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보편성 평가지표 개발

        김보일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943

        For public libraries to deliver appropriate information to various types of users in information society that allows people to access and use a variety of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ervices applying the universal design principles in terms of universality.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principles is not limited to facilities or products. The universal design principles are also applicable to public libraries that should provide universal services. In fact, it is possible to evaluate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by applying the universal design principles in terms of univers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universal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which apply universal design principles to evaluate if public libraries provide appropriate services that meet their original purpose. For this study,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universality were established by drawing universal design application factors and public library service evaluation indicators based on relevant domestic and overseas standards and studies. The validity of established evaluation indicators has been verified in two phases using the Delphi technique, with both the expert group in universal design and the least advantaged group. The reason for adopting the two phases is that there might be lack of accuracy in the analysis of universal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accepted by actual users if only experts' opinions are considered in developing the indicators for universal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adopting universal design principles. Therefore, to increase completeness of this study to develop the indicators for universal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adopting universal design principles, in addition to considering the opinions of the expert group, the opinions of the information havenots consisting of the least advantaged people are also reflect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were verified by a survey targeting 252 librarians in public libraries in Korea. The final 'Evaluation Indicators of Universal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consist of six evaluation areas (Policy, Facility and Equipment, Information Resources, Human Resources, Library Service and Promotion) and 41 evaluation contents in 10 evaluation items (Service Principles, User's Request, Information Guide, Physical Accessability, Service Safety, Provision of Information Resources,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Service Staff, Library Service Programs and Library Service Guide). Each evaluation content is categorized into a relevant factor among five universal design applicable factors (Universality, Convenience, Recognition, Safety and Economic Feasibility)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Universal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adopting universal design principles that are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evaluating each area of public library services and each applicable factor of universal design with regard to universal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in practical application. This means that unlike existing evaluation indicators for public library services, they provide multi-dimensional evaluation through combined methods, rather than single-dimensional normal evalu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evaluation indicator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accurately measure the universal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in numerical value. The actual results assessed using the evaluation indicator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verify the level of universal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Therefore,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se indicators should be considered in value judgement of public library services, rather than considering just numerical results. On the other hand, the five universal design applicable factors related to 41 evaluation contents developed in the study enalbe to evaluate public library services by applying the cor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The indicators enable to evaluate the universal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with each universal design applicable factor. This study developed the evaluation indicators to verify the universal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through the step-wise research procedure. However,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 microscopic aspects of public library services in detail as the evaluation scope of public library services is very wide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universality'. However, considering several social and environmental influencing factors surrounding public library services and the necess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to seek the universality of its service, it is thought that the evaluation indicators developed in this study have important value in verifying the universal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in the macroscopic point of view. 공공도서관은 오늘날과 같이 방대한 정보에의 접근 및 이용이 가능한 정보사회 속에서 다양한 유형의 이용자에게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편성 측면에서 유니버설디자인 원리를 적용한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이러한 유니버설디자인 원리의 적용은 시설이나 제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보편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공공도서관에도 적용이 될 수 있으며, 실제 제공되고 있는 공공도서관 서비스에 대해서 ‘보편성’이라는 맥락에서 유니버설디자인 원리를 적용한 평가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이 본래의 목적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유니버설디자인 원리에 기초한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보편성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국내외 관련 기준 및 연구를 바탕으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요소와 공공도서관 서비스 평가지표를 도출하여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보편성 평가지표를 설정하였다. 설정된 평가지표는 공공도서관 서비스 및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전문가 집단과 실제 공공도서관의 수혜자인 이용자 중 최소수혜자 집단으로 패널을 각각 구성하여 각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이유는 델파이 조사를 통해 전문가 의견만을 수렴하여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것은 이용자에게 받아들여지는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보편성 분석에 대한 정확성이 결여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니버설디자인 원리를 적용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보편성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데 전문가 집단의 의견 수렴뿐만 아니라 평가지표를 통한 직접적인 수혜자인 이용자 집단 특히, 이용자 집단 중 최소수혜자인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의견수렴을 병행하여 이 연구의 완성도를 향상하고자 하였다. 검증된 평가지표는 전국의 공공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 2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지표로서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타당도와 신뢰도 모두 검증되었다. 최종 개발된 유니버설디자인 원리를 적용한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보편성 평가지표’는 ‘정책, 시설 및 설비, 정보자원, 인적자원, 도서관 서비스, 홍보’의 6개 평가영역과 ‘서비스 원칙, 이용자 요구, 정보안내, 물리적 접근성, 서비스 안전성, 정보자원 제공, 정보자원 활용, 서비스 인력, 도서관 서비스 프로그램, 도서관 서비스 안내’의 10개 평가항목에 대한 전체 41개 평가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41개 각 평가내용은 유니설디자인 적용 요소 5가지인 ‘보편성, 편의성, 인지성, 안전성, 경제성’ 중 평가지표의 특성에 따라 적용 가능한 요소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유니버설디자인 원리를 적용한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보편성 평가지표’는 실제 적용 시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보편성에 대하여 공공도서관 서비스 영역별 평가와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요소별 평가가 가능하다. 이는 기존의 공공도서관 서비스 평가지표에서와 같이 단일차원의 일반적인 평가가 아닌 복합적인 평가를 통한 다차원 평가가 가능하다는 의의를 가진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지표는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보편성을 수치적으로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 연구에서의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평가는 보편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이용자에 대해 최대한 만족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인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지표를 통한 실제 조사 결과는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보편성 정도를 파악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지표의 평가기준은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수치적 결과에만 따르지 않고 다양한 이용자에 대하여 제공되는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가치적 판단에 기준하여야 한다. 한편, 이 연구에서 개발한 41개 평가내용에 해당되는 5가지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요소는 공공도서관의 서비스를 ‘유니버설디자인’이라는 핵심 원리의 적용을 통해 평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는 각각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요소를 통해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보편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연구에서는 일련의 연구과정을 거쳐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보편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보편성’이라는 평가 내용의 특성상 그 범위가 광범위하여 공공도서관 서비스를 미시적인 측면에서 세세한 부분 까지 평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하지만 오늘날과 같이 공공도서관을 둘러싼 여러 가지 사회 환경 영향 요인과 공공도서관으로서의 역할에 따른 서비스의 보편성 추구 필요성에 비추어 볼 때 이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지표는 거시적인 측면에서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보편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공공 공간 도어 시스템의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

        남현우 서울産業大學校 IT디자인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공공 공간의 도어 시스템을 계획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사람들의 요구를 만족시켜주는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를 전제로 도어시스템을 계획하는데 중점을 두고, 디자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도어에 관한 사례를 구조적, 기능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 문헌 및 사례에서 나타나고 있는 도어시스템이 공공 공간을 이용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아래 파악하였다. 도어시스템 각 요소별로 유니버설 디자인의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공공 공간을 계획함에 있어서 지침이 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도어 유형을 구분하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면 ① 회전도어는 반드시 스톱 클로우저를 작동 가능하게 하고, 도어 폭 확대와 사용인원을 제한하는 것이다. ② 스윙도어는 3초 이상의 도어 체크를 설치하고, ③ 폴딩도어는 반 자동 센서를 설치하여 도어 개폐를 쉽게 유도한다. ④ 여닫이 도어는 도어 폭 확대와 수직바 형 핸들과 도어 밴드를 설치하며, ⑤ 미닫이 도어는 문에 끼이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스토퍼를 설치한다. 또한 회전도어, 스윙도어, 폴딩도어, 여닫이 도어, 미닫이 도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도어 유효 폭을 1200mm로 확대하고, 손잡이는 수직 막대 형으로 부착하는 것이다. 또한 도어 재질은 가볍게 하고, 3초 이상의 닫히는 시간을 확보하며, 문턱을 없애는 것이다. 결론으로는 공공 공간 도어 시스템의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과 더불어 유니버설 디자인 도어시스템을 제안하였다. ① 회전도어의 유니버설 디자인 도어시스템 제안은 휠체어, 쇼핑카트, 신체가 부자유한 사람들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OVAL STAR 회전도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② 둘째, 여닫이 도어의 유니버설 디자인 도어시스템 제안은 한 손에 짐 든 사람, 노인, 목발 이용자를 고려하여 지지형 도어 손잡이를 설치하고, 문틈에 손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 밴드를 부착하며 장애인, 휠체어 이용자를 위해 180도 반자동 스윙 도어를 설치하는 것이다. ③ 미닫이 도어의 유니버설 디자인 도어시스템 제안은 문에 끼이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를 설치하고, 휠체어 이용자, 장애인, 양손이 사용 불가능한 사람을 위해 무 전원 자동도어, 하이브리드 도어, 광전식 도어, 적외선 자동도어, 자동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로는 공공 공간 도어시스템을 계획할 경우 장애인, 비 장애인, 고령자, 노약자, 아동 등의 다양한 수용자를 만족 시켜줄 수 있는 디자인 원리를 고려할 것으로 기대 한다. 향후 연구 과제로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고려한 도어시스템, 손잡이 설계는 제도적 측면에서 법령을 만들 필요가 있고, 이는 모든 건축가 및 디자이너들이 공간을 계획할 경우 필수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공 공간의 도어시스템 계획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으로, 본 연구대상의 범위 외에 계단 및 타 공간과의 관계까지 고려한 디자인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planning a door system based on universal design principles, which satisfy people's various needs, and analyzing structure and function of door with examples for better design. Also, effect on people using public space is examined with existing documents and examples of door system from universal design point of view. This study's purpose is to show a universal design guideline for planning public space by applying universal design principles on each element of door system. Guidelines for each door type are as follows: ① For rotating door, a stop closer must be activated, and width of door is limited as well as number of users at once. ② For swing door, a door check with more than 3 seconds is installed. ③ For folding door, a semi-automatic sensor is installed for each opening and closing. ④ For hinged door, width of door is increased, and a vertical bar shaped handle and door band are installed. ⑤ For sliding door, a stopper is installed to prevent being stuck in a door. Also, general guidelines for rotating door, swing door, folding door, hinged door, and sliding door are increasing the valid width of door to 1,200mm and attaching vertical bar shaped handle. In addition, using light-weight wood for door and 3 seconds or more of closing time are needed as well as eliminating a threshold. For conclusion, universal design door systems are presented as well as universal design guidelines of door system in public space. ① Universal design door system on rotating door suggests using Oval Star rotating door for wheelchair users, handicapped persons, and people with shopping carts. ② Universal design door system on hinged door suggests installing support-type door knob for a person with baggage in one hand, a senior, and a crutch user. Also, door bands are attached for preventing finger hurt by a door, and 180 degree semi automatic swing doors are installed for wheelchair users and handicapped persons. ③ Universal design door system on sliding door suggests installing a stopper to prevent being stuck in a door. Also, powerless automatic doors, hybrid doors, photoelectric doors, ultra-red automatic doors, and automatic sliding doors are set up for wheelchair users, handicapped persons, and persons who cannot use both hands. Hopefully, this study will influence that design principles, which satisfy various users, such as handicapped persons, non-handicapped persons, seniors, and children, are considered while planning door system in public place. For next research assignment, a law is needed for designing a door system and a door handle based on universal design, and it has to be applied when those architects and interior designers plan public place. This study shows a universal design guideline for door system in public place. In addition, a new design guideline has to be provided with consideration of stairs and other space's relation as well as the subject range of this study.

      •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유치원 편의시설 공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신규남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유치원 편의시설 공간에 유니버설디자인 원리 적용을 위한 교직원의 인식과 공간 구성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니버설디자인’, ‘유치원 편의시설 공간’을 주제로 선행연구와 문헌 고찰을 바탕으로 유치원 편의시설 공간 구성에 적용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원리로 ‘기능적 지원성, 수용성, 접근성, 안전성’ 4가지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준거를 중심으로 단설 및 병설 유치원의 관리자와 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유치원 편의시설 공간에 대한 인식’,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인식의 정도’, ‘유치원 편의시설 공간에 유니버설디자인 원리 적용의 필요성’을 파악하였다. 1. 유치원 편의시설 공간에 대한 인식 유치원 편의시설 공간에 대하여는 대부분 알고 있다고 하여 이에 대한 인식이 높은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장애인 및 비장애인 모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고 생각하는 항목 차이에서는 근무처, 직렬, 근무경력, 근무지역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의무 설치된 유치원 편의시설 공간에 대한 비장애인의 불편성 등이 제기되고 있는 것에 대한 의견은 같은 공간을 모두가 같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개선하여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2.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인식의 정도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하여는 대부분 모르고 있어서 이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낮은 수준이었으나, 유니버설디자인을 반영한 유치원 공간을 구성할 때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에 대해서는 대부분 그렇다고 하였다. 그리고, 유니버설디자인의 4가지 원리를 고려하여 유치원 공간을 디자인할 경우, 각 항목의 중요도에서도 안전성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접근성, 수용성, 기능적 지원성 순으로 나타났다. 3. 유니버설디자인 원리별 유치원 편의시설 공간의 선호도 유니버설디자인의 4가지 원리를 고려하여 유치원 공간을 디자인할 경우,  ‘기능적 지원성’과 ‘수용성’ 측면에서 필요한 공간으로는 임산부 등을 위한 휴게시설 등에서 다른 시설에 비해 상대적으로 필요성이 낮게 나타났지만, 관리자보다 교사들이 임산부 등을 위한 휴게시설이 더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는 교사들이 임산부(예정) 당사자이거나 직접 대면하게 되는 학부모가 원아들의 동생과 함께 방문하여 보살피기가 필요한 경우 별도 시설이 없어 난감한 상황이 종종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4.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유치원 편의시설 공간 개선분석 유치원 편의시설 공간 중 의무시설이거나 권장시설인 9개 항목에 대하여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하기 위하여 가장 개선되어야 할 부분은 다음과 같다. 「주 출입구 접근로」 부분은 ‘경사 기울기가 가파르다.’,「장애인전용 주차구역」부분은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이 비어있는 경우 비장애인이 사용할 수 없다.’,「주 출입구 높이 차이 제거」부분은 ‘경사로에 차양막이나 비가림막 지붕이 없다.’,「주 출입구 출입문(중앙현관문)」부분은 ‘주 출입구 출입문의 사용이 불편하다.’,「복도 및 통로」부분은 ‘복도 및 통로의 폭이 좁다.’, 「계단」부분은 ‘계단 및 계단참(층계의 중간에 있는 좀 넓은 곳)의 유효 폭이 좁다.’,「승강기」부분은 ‘비장애인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화장실」부분은 ‘장애인용 화장실 칸이 비어있는 경우 비장애인은 사용하지 못한다.’,「임산부 등을 위한 휴게시설」부분은 ‘임산부 등을 위한 휴게시설이 없다.’라고 나타났다. 위의 내용을 기반으로 유치원 편의시설 공간에 유니버설디자인 원리를 적용함에 따라 사회적 약자에게만 국한하지 않고 모든 사람이 편리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공간으로 개선하였으면 한다. 본 연구 결과로 유니버설디자인 원리나 요소와 유치원 공간 전체에 적용할 수 있는 더 깊이 있는 연구와 본 논문에서 적용한 유니버설디자인 원리를 검증한 실질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백화점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金正賢 동덕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943

        문명의 발달에 따른 문화 성장요인에는 인간이 주체로서 보다 나은 삶에 대한 환경을 만들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고, 인간과 환경 사이에서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졌다. 이렇게 만들어진 환경의 일부인 도시시설물과 건축물 등은 기능성과 심미성의 기본적 요건이 갖추어질 때, 그것을 사용하는 인간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의 범위가 확대되었을 경우에도 수용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최근에 많은 연구와 발표가 이루어지고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과 원리인 어린이부터 노인에 이르는 전 생애 과정에서 일어날 변화를 고려하여 환경을 계획하는 것과도 관련된다. 인간환경에서 건축은 두 가지의 기능으로 분류된다. 1차적 기능인 본질적 기능은 거의 생태적인 것으로 기후와 자연의 힘으로부터 인간의 기본 생존권을 지키기 위한 수단이며, 2차적 기능은 1차적 기능에 부가하여 개인 혹은 사회조직체의 일반욕구가 충족되어야 하고, 나아가서는 그들의 품위와 상징을 대변해 줄 수 있는 개성적인 묘사까지도 요구되어진다. 우리 나라 경우에서 건축물의 기능은 부차적 기능이 본질적 기능보다 우선적으로 강조되는 경향이 높으며, 건축계획 또한 당초의 계획 대상이었던 건물의 실제 이용자를 고려하지 않고, 건물의 소유자인 건축주의 주관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만 급급하는 현실이다. 건축이 실제 건물 이용자의 편의 위주로 되어야 한다면, 불특정 다수를 그 대상으로 삼아야 할 것이고, 그 다수 중에서도 가장 불리한 입장에 처한 이용자까지도 고려해서 디자인 계획이 진행되어야 모두에게 편리한 건축물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는 1950년대 후반 미국에서 시작되어 1960년대에 이르러서는 스웨덴이나 캐나다 등의 선진국에서도 장애인을 고려한 디자인 개념이 받아들여지기 시작하였다. 우리 나라의 경우, 1988년 장애인 올림픽을 치르면서, 유니버설 디자인 보급이 건축분야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 와서는 유니버설 디자인에 관한 연구와 발표 사례가 증가하면서 학계에서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법제화에 대한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우리 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크게 뒤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주와 관련 건축 전문가들의 자발적인 참여 결여로 인해 편의시설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사람의 사용 빈도가 높은 편의시설의 하나인 백화점 공용공간을 통하여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과 원리를 각 공간별료 분석해 보고, 유니버설 디자인 도입 시 활용 가능한 체크리스트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일반적 고찰로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과 원리, 발달, 사례 등을 기존에 연구된 문헌과 인터넷을 통하여 조사한다. 둘째, 기존의 백화점에 관한 일반적 고찰을 통하여 실내디자인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유니버설 디자인 도입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셋째,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위해 백화점 공용공간의 분석과 실내디자인제요소를 분석한다. 넷째, 분석 된 내용에 의해 앞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을 백화점 공용공간에 적용시킬 때, 필요한 체크리스트를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의 진행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으로 정리되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 만들어진 체크리스트는 유니버설 디자인 도입을 위한 최소한의 기본적 지침으로 이 분야에 대한 효과적인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야 한다. 둘째, 국내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에 관한 자료의 대부분은 장애인이나 노약자를 위한 공간으로 연구된 사례가 많이 있으나 앞으로 더욱 사용자 측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실내디자인의 다양한 공간의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장애인에 대한 사회전반의 차별적인 개념의 사고를 버리고 동등한 사용자로 수용하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자세를 갖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넷째, 앞으로 디자이너의 임무는 유니버설 디자인이 도입될 수 있는 환경을 통하여 디자인을 개발해야 하고 이것을 활용 가능하게 하여 적극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The main causes in growing culture has been trying to make a good life as a leader, the cooperation of human-being and the nature is carried out, whenever, this building and architecture of environment should be worked out the basic condition of functionality, esthetic, that will be given the satisfaction for human-being. In this case, if the scope of user will be extended, it means that occupy the user, recently, it is related to the concept, principle of universal design, which scope is from the infant to an old man is considered to change in life. The architecture in human-being's environment is classified the function of two, the primary is the essential that the means of basic right of life, from the protection of weather and the power of nature, the secondary is additioned to the primary, that have to be satisfied to the individual or social system, gradually, it must be demanded to them with, dignity and symbol. In case of our country, the function of building is inclined to emphasis, which is more the secondary than the primary, that is considered to the subjective demand of possessor in architecture, not the real user in architecture. If the architecture will be made the focus of real user for convenience. it must be the real user, which is the multiple specified persons, more over, the most disadvantages side person will be considered that would be the convenient architecture for all. This principle of universal design has been started the latest 1950's, in USA, Sweden, Canada has considered to the disabled person in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at 1960's. In case of our country, after 1988's handicapped Olympics, the induction of universal design is started to adapt in the era of architecture. Nowadays, in the group of study, their research, presentation increasing the example, which is carried out the enthusiasm of legislation. But we are as much as far behind the senior nation, in regard to the lack of the voluntary participating as the professional.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incipl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from the department store, which is the convenient facilities, present the usable checklist in time of induction of universal design. This study is proceeded as follows. First, accordingly general research of concept, principle, progress, example of universal design would be investigated from the existing document, internet. Second, from the existing research of department store, find the problem of interior design, present the needs of induction of universal design. Third, for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analyze the public space of department store, the element of interior design. Forth, by the contentment of analysis, present for the universal design's application of the public space in the department store. Through this process of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ecklist, which is made by this study, as the basic foundation for the induction of universal design, will be carried to work, continually. Second, in our country, most of the related document of universal design has the space for the handicapped, old man, for future, the research would be the wide face in user, for making the multiple space of interior design. Third, throw out the handicapped in social recognition, which is the difference, at the each other, it is needed to change the recognition, as the same user. Forth, for future, the charge of designer is to develope the design, that could be inducted the environment for universal design, proceed the useful thing, positively.

      •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의 개념을 적용한 병원용 엘리베이터에 관한 연구

        유재준 경기대학교 조형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943

        현대는 노년층 혹은 장애로 인해 활동의 제약을 받는 구성원들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모든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고려된 디자인의 배려가 필요하며 최소한의 비용만으로 많은 사람들의 생활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디자이너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이러한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의 개념을 적용하여 병원용 엘리베이터에서의 안전성 및 사용성 개선과 사용자에게 편리한 디자인을 설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별 행동유형 분석과 인간공학적 측면을 분석함으로써 병원용 엘리베이터에서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을 정립하고, 디자인 세부지침과 요소별 디자인 계획을 통해 개념 모델을 표시하였다. 병원용 엘리베이터에서 사용성 및 인지성 향상을 위한 요소로서는 표시기(Indicator)와 조작반(Operating Board)에 대한 새로운 배치와 공간활용의 효율화를 위한 동선유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조작반 위치에 따른 사용성 조사는 병원용 엘리베이터에서 인터페이스를 고려한 디자인이 중요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요소별 디자인 계획수립은 먼저, 유니버설 디자인과 관련된 인간 공학적 인체측정치들을 파악하였고 승강기 법규의 기준과 비교하여 엘리베이터 특성에 맞는 디자인 지침들을 설정하였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을 적용한 병원용 엘리베이터 디자인의 일반적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사용성과 인지성이 중요한 조작반은 그 기능적 배려와 함께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위치 선정과 크기, 컬러계획이 중요하다. 2) 조작반은 1,200~1,500mm 높이에 상단 버튼을 위치 시키며, 노인 및 휠체어 탑승자, 어린이를 위한 조작반은 800~1,100mm의 위치에 상단 버튼을 위치 시키는 것이 좋다. 이때 조작반 버튼들의 배열은 수직배열 보다 수평배열이 사용성이 높다. 3) 색채계획은 밝고 쾌적한 색상이어야 한다. 4) 조명은 기본적으로 70~150lux의 조도를 유지하며 눈부심이 없는 간접 조명이 좋다. 5) 마감재는 위생, 색채, 반사력, 음향성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6) 엘리베이터 내부의 효율적 동선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일방형 엘리베이터보다 관통형 엘리베이터가 유리하며 승강기의 내부와 바닥면의 형태가 중요하다. 7) 핸드레일의 위치는 승강기 법규상의 높이를 중심으로 680~910mm정도가 적당하며 탑승자의 승차감을 고려한 형태이어야 한다. 요소별 디자인 계획수립을 통해 제시한 개념 모델은 이러한 고려사항들을 만족시키고 이상적인 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한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승강기 협회에서 제시한 법률을 토대로 사용성향 분석과, 유니버설디자인에 관한 분석을 통해 병원용 엘리베이터에서 노약자나 장애자, 혹은 환자전용으로 분리하지 않고도 모든 사용자를 위해 폭 넓게 적용할 수 있는 개념 모델을 제안할 수 있었다. 병원용 엘리베이터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은 다양성을 수용하고, 사용성과 안전성을 높이며 '사용자욕구 충족'이라는 기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병원용 엘리베이터와 같은 공공시설물들은 그 시대적 발전과 더불어 계속적으로 수정, 보완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제품에 대한 가치가 다양화됨에 따라 심리적, 감성적 측면에 대한 새로운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신체적인 배려와 사용성에 대한 개선을 위해 연구하던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모든 사용자의 개성과 가치를 만족시킬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뜻한다. Today the demand of people restricted due to their age or physical handicap is rapidly increasing and the people are not yet less important or not the quiet consumer. In this social background, we need more designed products which are useful for everyone, without accompanying consideration by creating usefully with minimal or without additional expenses, we, as designers. have to try best to be convenient for more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ual inclination of consumer in addition to safety and the improvement of application in the hospital elevator on the basis of universal desig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it more functional and convenient. Especially this will show you 'how to improve' the movements of employment and the universal factors for the promotion of use and the guarantee of safety. Conclusively it is aiming for proposal of a Concept-Model. To propose a Concept-model, I examined the use of hospital elevator and the factors for the improvement of interface, and analyzed the type of user movements based on ergonomics. So the universal under the category of are set up and the design is proposed under the category of this guideline designed by human engineering. Especially the hospital elevator needs distance of movements for the maximum efficiency of space and new arrangement of indication and operation. It is mentioned by consideration of human's physical dimension on the basis of human engineering and analysis of occupants users. By investigation of use according to the place of operation, it is demonstrated that human factors of interface are very important part in hospital elevator design. However there are not exact standards of movement measurement, so it is under discussion that we should not apply as 100% about human scale according to the usual human body measurements by ' invisible dimension.' To propose a Concept-Model, human body measurements are not substantial but it is valuable for supplement. In this study typical design of hospital elevator guideline is as following. 1) In the operation in which employment and recognition are very important, the plan of position, size and colors regarding to the human factors of users are more important than functional consideration. 2) Colors should be agreeable in color plan. 3) Sidelight is not radiant and keep 70-150lux of intensity of illumination as appropriate. 4) The sanitation, colors, reflexibility and the sound should be under consideration in the materials of construction. 5) The penetration elevators are more profitable than one way elevators to induce the distance of movements for the maximum efficiency of space in the elevator. 6) The appropriate position of handrail is about 680-910mm heights in laws and regulations of elevators and it should be considered the feeling of boarding by bar-type shape. 7) The operation of up-buttons for adults should be placed in 1,200~1,500mm heights and the buttons for aged man, occupants in wheel chair and children are to be placed in 800~1,100mm heights. horizontal arrangement is more useful than vertical arrangement. A Concept-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s progressed to satisfy with the sufficient condition of guideline and realize the ideal design. Therefore on the basis of legislations, which are proposed by the association of elevator, and many other human factors or elements of interface extracted in the preceding research materials, and the analysis of universal design of elevators, the plans are proposed applicable for whole consumer without separation of expenditure for aged man, handicapped or only for patients. The universal designs of hospital elevator accept the variety and propose the standard issue point just like satisfaction of users to improve the application and safety. Especially public service in hospital elevator should be improved continuously as social development. According to varieties of concept of public services, the solution should be projected in the invisible elements in terms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of hospital elevator.

      •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에 기반 한 교통안전 비주얼 시스템 연구

        왕호림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943

        This paper is attempted to identify the reasons why Korea’s traffic accident rate has remained at the top of the 35 OECD countries and to develop measures. The factors of the past three years (2016-2018) data that caused traffic accidents are analyzed and a traffic safety visual universal design system is proposed to solve these factors. An overview of the discussion is as follows: In order to advocate the use of visual design without any discrimination, the 10 principles proposed by Visual Universal Design: “discoverability”, “adaptability”, “comprehensibility”, “memorability”, “configurability”, “poetry”, “psychology”, “ordinary”, “aesthetics”, and “environment” are applied to this design. These principles are judged to be helpful for pedestrians as well as drivers who are exposed in complex and diverse traffic environments while respecting humanity among universal designs that have been shown so far. Focusing on visual effect is the highest perception rate among people’s five senses, and although it is necessary for all environments, it is thought that this function played a particularly important role in the traffic environment. If this function is reduced, it is likely to lead to traffic accidents.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are mostly caused by male drivers with more than 15-year driving experience which is the reason that they have a low facility recognition and reaction capacity. The problem leads to an accident on living roads and intersections with a width of more than 3m to less than 6m and a width of more than 6m and a width of less than 9m, and causes injuries to senior citizens and pedestrians with children under 12 years old. Therefore, by looking at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visual universal system of domestic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foreign cases, and compile visual globe designs applicable to cross roads and living roads, specifying their causes. The results confirm that the 10 principles of visual global design such as discoverability, adaptability, comprehensibility, memorability, configuration, visibility, psychology, orderliness, aesthetics, and environment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pavement, pedestrian signals, signage, and floor indications installed in the above-mentioned areas are applicable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this situation, Korea is by and large dominated by drivers and has many shortcomings in terms of pedestrians. In particular, there are no examples of designs on living roads that take pedestrians into account at all, and the only driver-oriented designs are road signs. This can concretely explain why living areas of traffic accidents in Korea are main areas and the accident rate for pedestrians is higher than in foreign countries. In order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effectively apply the visual universal design to the traffic environment, pedestrian and driver characteristics were approached medically and psychologically. From the medical point of view, the appearance of visual symptoms of advanced age is due to the slow response to changes in light and the decrease in color cognitive power and the ability to perceive distances, and in the case of children, from Piaget's stage of cognitive development, it is still a period of self-centered action and thinking, although it has moved away from self-centered thinking and has a self-regulated morality. As a result of the above analysis, a visual global design system for pedestrian traffic safety and safe operation of drivers for pedestrian safety is proposed, taking 10 principles of visual global design into account, centering on crosswalks and living roads in areas where traffic safety is vulnerable. The visual system for traffic safety using design guidelines such as discoverability, visibility, orderliness, environment, aesthetics, and psychology is proposed,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crosswalks, living roads, and traffic facilities for pedestrians and drivers. To ensure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oposal, cross roads and life roads were designed. In the proposed design, an effort is made to reflect visual principles in addition to foreign affairs exceptions that fit the existing traffic environment. The design is centered on a living road that has not been designed using visual global design, and this point is seemed to be significant. 본 논문은 한국 교통사고율이 OECD 35개 국가 중 상위권에 계속 머물러 있는 원인을 밝히고,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최근 3년간(2016-2018) 자료로 교통사고 발생 요인들을 분석하여 그 요인들을 해결할 수 있는 교통안전 비주얼유니버설 디자인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논의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모두가 차별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시각 디자인을 제안하기 위해 비주얼 유니버설 디자인에서 제시한 10가지 원리인 ‘발견성’, ‘적응성’, ‘이해성’, ‘기억성’, ‘배치성’, ‘시인성’, ‘심리성’, ‘질서성’, ‘심미성’, ‘환경성’을 본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이 원리는 지금까지 나타난 유니버설 디자인 중 인간성을 존중하면서 복잡하고 다양한 교통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보행자는 물론 운전자에게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비주얼에 중점을 둔 것은 사람의 오감 중에서 시각이 가장 높은 지각율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 특히 자동차로부터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디자인 제안에 이 기능이 큰 역할을 한다고 생각되었다. 만일 이 기능이 저하되면 교통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보행자 교통사고는 교통안전 시설물 인지와 반응 능력이 낮은 15년 이상 운전경력을 갖춘 남성 운전자에 의해서 많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사고발생 구역은 도로 폭이 3m이상-6m미만, 6m이상-9m미만인 생활도로와 교차로가 대부분이었으며, 이곳에서 사고를 당한 보행자들은 고령자와 12세 이하 어린이들이었다. 이러한 원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현재 국내외 교차로 및 생활도로 교통시설 가운데 비주얼 유니버설시스템이 적용된 것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이를 종합 정리하였다. 그 결과 이 구역에 설치된 교통안전 비주얼 시설물로는 노면포장, 보행신호, 표지판, 바닥지시 등으로 나타났고, 여기에는 비주얼 유니버설 디자인 10가지 원리인 발견성, 적응성, 이해성, 기억성, 배치성, 시인성, 심리성, 질서성, 심미성, 환경성 등이 적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고찰로 국내의 경우는 대체로 운전자 위주로 디자인이 이루어졌고, 보행자를 위한 디자인은 크게 부족함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특히 생활도로에 보행자를 고려한 디자인 사례가 전무하였고, 운전자를 주체로 한 디자인 역시 노면표시만 있을 뿐이었다. 이것으로 한국의 교통사고 주 구역이 생활구역이고, 보행자 사고율이 외국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이유를 분명히 밝힐 수 있었다. 아울러 본 연구의 의의와 논리성을 부여하기 위해 보행자 및 운전자 특성을 의학적, 심리학적으로 접근하되, 비주얼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고찰하였다. 고령층은 신체적 노화에 따른 결과인 시각을 중심으로 하였다. 고령자들의 공통된 시각 증세는 빛의 변화에 느리게 반응하고, 색상 인지력과 거리에 대한 감각 능력 저하로 나타났다. 12시 이하 어린이의 경우는 성장 발달과 관련시켜, 피아제의 인지 발달 단계로 살펴보았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이 시기 어린이들은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자율적 도덕성을 갖지만 여전히 자아 중심적으로 행동하고 사고한다고 하였다. 이상 분석 결과로 교통안전 취약지구인 교차로와 생활도로의 교통사고 위험률을 낮출 수 있는 비주얼유니버설디자인 방안을 보행자와 운전자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교통안전 비주얼 시스템을 제안하기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보행자를 중심으로 하되 보행자 안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운전자도 고려하였고, 교통 환경인 교차로와 생활도로, 교통시설 등에도 비주얼 유니버설 디자인 10가지 원리인 발견성과 시인성, 질서성, 환경성, 심미성, 심리성 등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인 디자인 시스템 제안의 타당성을 보이기 위해 교차로 및 생활도로를 창의적으로 디자인하였다. 이 디자인에 외국 사례도 다소 반영하였으나 그 부분은 현 교통 환경을 기반을 한 것이다. 본 논문은 교통안전을 위한 비주얼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사례가 미흡한 생활도로와 교차로를 중심으로 하여 비주얼 시스템을 제안한 점으로 볼 때 매우 의미 있다고 하겠다.

      • 고령자 사용자 중심 유니버설휴대폰 디자인 연구 : Physical 한 부분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박규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943

        21세기의 패러다임은 인간 삶의 질적 향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에 유니버설 디자인은 소외받는 소수에 대하여 동등하게 기본권을 보장하자는 의미를 담아 ‘모두를 위한 디자인’이라는 정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정보화 시대에 다수의 소외된 집단의 사람들은 적응하지 못하고 낙오되어 가고 있다. 이중 대표적으로 소외되고 있는 집단이 고령층이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노인들의 수명은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50세 이상의 중 고령층 인구가 20%를 넘고 있다. 정보화 시대와 늘어나는 고령층의 수를 고려하였을 때 휴대폰을 사용하는 고령자 수는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유니버설 디자인에 입각하여 고령자들의 신체적, 문화적 특성이 고려된 휴대폰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하지만 현재 시중에서 시판되고 있는 휴대폰들은 고령층을 고려하지 않고, 젊은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디자인 되고 있다. 여기에 대한 문제점을 느끼며, 본 논문에서는 고령층이 휴대폰 사용을 꺼려하는 원인을 신체적 요인, 인지적 요인, 심리적 요인으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통하여 각각의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에 대한 가능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첫째, 휴대폰뿐만 아니라 생활수준의 향상과 노년층의 증가로 인하여 노인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가전기기들을 유니버설 디자인에 입각하여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며 이에 따른 노년층의 요구도 증가하는 실정이다. 둘째, 노인층을 위한 휴대폰뿐만 아니라 다른 연령층의 휴대폰도 그들에게 적합한 것인지 검증할 수 있는 연구들이 수행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각 계층별, 연령별로 특화된 휴대폰 디자인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 The paradigm of the 21st century is focused on increasing man's quality of life. As such, Universal Design is defined as 'design for everyone' signifying the will to equally guarantee the basic rights of the isolated minority. However, in this age of information which is subject to constant and rapid change, a large number of isolated groups are failing to adapt and are being left behind. The most significant of these groups are the elderly. Improved living situ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medicine is increasing our lifespan more and more. Of the total population of our country, the elderly population of age 50 or higher comprise over 20%. Considering that this is the age of information and that the number of senior citizens are increasing, the number of senior citizens using cellular phones are increasing greatly. Therefore, development of cellular phone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in the spirit of Universal Design-the phys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s required. However, the cellular phones currently sold in the market do not take the elderly into consideration and are designed to target the young users. This is problematic, and this dissertation categorizes the reasons the elderly refrain from using cellular phones into physical factors, cognitive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and conducted surveys to analyze each factor and to provide a solution. This study turned up the possibility for future studies such as the following. First, improved living conditions and the increase in the elderly age group has made it critical to develop, in the spirit of Universal Design, various types of digital appliances in addition to cellular phones that reflect the needs of the elderly, and demand for such products are increasing. Second, studies to verify whether cellular phones are suited for the age groups-and not just in the case of the elderly-they target should be conducted. In this situation where cellular phone designs that are specialized to each class or age group are required, this study hopes to become a stepping stone in the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