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위치변화를 나타내는 동사의 연구 : 위치변화의 모습에 주목하여

        타카다에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1. 서론 본 논문은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에 관하여, 어떤 명사와 조합되는 경우에 어떤 위치 변화를 일으키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例えば、次のような例をみてほしい 다음의 예를 보도록 하자. ○太&#37070;は かばんに 本を 入れた。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는 주로 ‘~に~を~する’와 같이 3단어 구조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に格’의 명사 ‘を格’의 명사의 위치에 어떤 명사와 조합되는가에도 주목하면서 분석해 나간다. 왜냐하면,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의 의미는 어떤 명사와 조합되는지에 따라서 위치 변화의 의미가 좌우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고는 오쿠다(&#22885;田, 1983)의 공간적인 위치 변화에 실려 있는 동사에 주목하여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오쿠다는 연어론 측면에서 그 위치 변화의 동사와 명사에 주목하여 분석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오쿠다는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를 다음과 같이 표현하고 있다. 「 入れる 出す 上げる 送る &#25147;す &#24112;す 導く 通す よこす やる 入らせる 登らせる &#24112;らせる 進ませる 退かせる &#27497;かせる 向かわせる 立たせる 引かせる 走らせる 追い出す 連れる 連れて行く 連れてくる 連れ&#36796;む 連れて&#24112;る 連れ出す 誘い出す 誘い入れる 呼び入れる 呼び出す 呼び集める 呼び寄せる&#12539;&#12539;&#12539;」 본 논문은 이러한 오쿠다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를 나아가 위치 변화의 모습에 주목하여, 다음과 같이 카테고리화 하였다. ○1출입의 위치 변화(出入りの位置&#22793;化), ②상하의 위치변화(上下の位置&#22793;化), ③ 원래의 위치로의 위치 변화(元の位置への位置&#22793;化), ④보내서 도착하게 하는 위치 변화(送り&#23626;けの位置&#22793;化), ⑤유도하는 위치 변화(導きの位置&#22793;化), ⑥권유하는 위치 변화(誘い出しの位置&#22793;化)와 같이 위치 변화를 표현하는 동사를 6개 타입의 카테고리화 하였다. 또한, 위치 변화는 외부의 작용에 의해서 주체(객체)의 위치 변화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동사의 종류에 따라 그 작용이 주체의 위치 변화를 발생시키는 것, 반대로 객체의 위치 변화를 발생시키는 것도 있다. 또는, 주체와 객체가 함께 위치 변화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가 각각의 의미 특징을 나타내는 경우에 어떤 ‘に格’의 명사, ‘を格’의 명사와 조합되는지, 또는 어떤 위치 변화(주체, 객체, 주체&#8226;객체)가 발생하는지에 주목하면서 어떤 의미 특징을 나타내는지를 6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의미 특징을 비교하면서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 선행연구 위치 변화의 동사로서 참조한 오쿠다의 연구는 연어론 측면에서 사람에게 작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구조적인 타입에서 공간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동사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사람에 대한 공간적인 위치 변화로서 정리했을 뿐이고, 위치변화의 동사의 의미 특징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있지는 않다. 또한 미야지마 타쯔오(宮島達夫, 1972), 모리타 요시유키(森田良行, 1989)는 동사의 의미와 용법에 있어서의 연구에서는 단어별로 의미 특징을 분석한 것도 있다. 한편, 본 논문이 목적으로 하고 있는 연구 방법과 유사한 논문으로서 설근수(2001)의 이동동사의 연구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동동사를 연어(連語)의 측면에서 동사의 의미특징을 6개의 카테고리화 하여 동사의 의미 특징별로 분석된 것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설근수의 연구 방법에 입각하여 오쿠다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를 위치변화의 모습에 따라 6개의 특징별로 나누고, ‘に格’+’ を格’의 명사의 조합에 주목하면서,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가 어떤 위치 변화의 특징을 나타내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카테고리별로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3. 결론 본 논문의 연구에 의해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출입의 위치변화>의 경우, 위치 변화하는 모습의 특징은 위치 변화하는 물건이 들어가는 곳, 나오는 곳이 둘러싸인 공간의 안쪽이라고 하는 특징이 있었다. <출입의 위치변화>에서는 ‘入れる’의 경우, 공간 요소를 가지고 있지 않는 물건이 위치 변화하여 들어가는 곳은 형식명사에 의한 공간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出す’의 경우는 나오는 것이 둘러싸인 공간이어야 한다는 제한은 없었다. 그러나 나오는 곳에 상자와 같이 둘러싸인 공간으로 표시된 경우, 반드시 형식명사에 따라서 상자의 형태로 되어 있는 바깥쪽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출입의 위치 변화하는 것이 물명사(物名詞)의 경우, 물건의 성질 및 특징에 의해서 위치 변화하는 들어가는 곳의 성질 및 특징도 결정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출입의 위치 변화를 하는 것이 인명사(人名詞)의 경우, 인명사+인명사, 인명사+조직 명사의 조합에서는 위치변화를 나타내면서, 다른 의미도 발생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하의 위치변화>의 경우, 위치변화의 특징은 위치 변화하는 장소가 ‘上げる’의 경우는 위, ‘下ろす’의 경우는 아래와 같이 반드시 위치 변화하는 곳이 상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출입의 위치변화>에서는 둘러싸인 공간의 장소가 특징적이었지만, <상하의 위치변화>에서는 위치 변화하는 장소가 어떤 물건을 올리는 것이 가능한 평면 부분을 가지는 장소라는 경향이 있었다. 상하의 위치 변화하는 것이 물명사의 경우, 물명사+인명사의 조합에서는 사람에서 사람에게 물건이 위치 변화한다는 상하의 위치변화의 특징이 아니고, <보내서 도착하게 하는 위치변화>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하의 위치 변화하는 것이 인명사의 경우, 인명사+인명사, 인명사+조직명사에서도 상하의 위치변화의 특징이 아니고, <보내서 도착하게 하는 위치변화>와 같은 특징이 있었고, 다른 의미도 발생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원래 위치로의 위치변화>의 경우, 위치변화의 특징은 어떤 물건이 지금 있는 장소에서 원래 있었던 장소에 위치 변화한다는 특징이 있었다. 이 경우에 위치 변화하는 곳의 특징이 <출입의 위치변화>, <상하의 위치변화>에서는 정해져 있었지만, <원래의 위치로의 위치변화>에서는 원래 있었던 장소로 되돌아가면 되므로, 위치 변화하는 장소의 특징은 한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원래의 위치로의 위치 변화하는 물건이 물명사의 경우, 물명사+인명사의 조합에서는 위치변화를 나타내면서 사람에서 사람으로의 대차(貸借), 물건의 소유를 나타내는 의미도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원래의 위치로의 위치 변화하는 물건이 인명사의 경우에 위치 변화하는 장소가 ‘집’이나 ‘고향’ 또는 ‘회사’ 등과 같은 조직명사 등, 사람이 돌아가는 곳, 되돌아가는 장소로 한정되는 경향이 있었다. <보내서 도착하게 하는 위치변화>의 경우, 위치변화의 특징은 위치 변화하는 곳이 도착점이 되고, 어떤 물건이 어느 한 쪽에서 어느 한 쪽으로 위치 변화한다는 특징이 보였다. 보내서 도착하게 하는 위치변화를 하는 물건이 물명사의경우, 물건을 위치 변화하는 곳이 장소명사, 인명사, 조직명사 등, 사람이 있는 장소를 가리키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물건은 사람에게 보내지는 것이기 때문에 이런 경향을 나타낸다고 생각된다. 또한 보내서 도착하게 하는 위치변화를 하는 물건이 인명사의 경우, 주체의 작용에 의해서, 사람(객체)를 어떤 장소에 가게 한다는 위치변화를 나타내고, 조합에 의해서 다른 의미도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도하는 위치변화>의 경우, 위치변화의 특징은 오쿠다의 사람에 대한 작용의 공간적인 위치변화의 연구에 입각하여, 위치변화의 모습에 주목하여 카테고리화 하여 고찰하여 왔는데, <출입의 위치변화>, <상하의 위치변화>, <원래 위치로의 위치변화>, <보내서 도착하게 하는 위치변화>에서는 물명사, 인명사에 일정한 공통의 위치변화의 특징이 있었지만, <유도하는 위치변화>에서는 물명사, 인명사에 따라 위치변화의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도하는 위치변화를 하는 물건이 물명사인 경우, 위치변화를 하는 물건이 가늘고 긴 물건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원처럼 생긴 구멍이 뚫린 장소가 통과점이 되고, 그 안을 통과하는 것과 같은 위치변화의 특징이 있었다. 한편, 유도하는 위치변화를 하는 물건이 인명사인 경우, 위치변화를 하는 사람이 그 동작을 일어나게 하는 외적인 작용을 하는 사람, 즉 안내하는 사람(주체)에 의해서 사람(객체)가 위치변화를 하는 장소에 함께 위치변화를 한다는 위치변화의 특징이 있었다. <권유하는 위치변화>의 경우, 위치변화의 특징은 위치변화를 하는 사람(객체)가 그 동작을 일어나게 하는 외적인 호소, 권유 등의 동작을 하는 사람(주체)에 의해서 사람(객체)를 어떤 장소로 위치변화 시킨다는 특징이 있었다. <유도하는 위치변화>에서는 안내하는 사람(주체)에 의해서 사람(객체)가 함께 위치변화를 하였지만, <권유하는 위치변화>에서는 심리적인 움직임에 의해서 사람(객체)를 권유하여, 주체와 객체가 서로 어떤 장소에 위치변화를 한다는 특징이 있었다. <권유하는 위치변화>에서는 위치변화를 하는 물건이 물명사의 경우와 사람에 대한 심리적인 작용을 하는 동사, 또는 복합동사이기 때문에 인정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보면, <출입의 위치변화>, <상하의 위치변화>, <원래의 위치로의 위치변화>, <보내서 도착하게 하는 위치변화>에서는 본동사가 많이 보이고, 물명사, 인명사의 위치변화에 일정한 공통의 위치변화의 특징이 있었다. <유도하는 위치변화>, <권유하는 위치변화>에서는 사람에 대한 작용만을 하는 동사, 복합동사가 많은 경향이 있었고, 유도하는 위치변화의 일부 동사를 제외하고는‘を格’에 물명사와 조합되는 예는 인정되지 않았다. ‘を格’에 인명사가 조합되는 경우와 ‘に格’에 물명사, 인명사, 조직명사와의 조합에서는 위치변화를 나타내면서 각각 파생적인 의미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を格’을 물명사와 ‘に格’에 인명사가 조합되는 경우, 사람에서 사람으로 물건이 위치변화를 하므로 <상하의 위치변화>에서는 그 위치변화의 특징이 <보내서 도착하게 하는 위치변화>의 특징과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を格’에 물명사와 ‘に格’에 인명사+형식명사의 경우에는 본래의 <상하의 위치변화>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형식명사가 조합되는 것에 의해서 공간 요소를 가지는 장소, 물건, 물건에 조합되는 때, 보다 구체적인 위치관계를 나타내고, 공간 요소를 가지지 않는 물건에 조합되는 때, 형식명사에 의해서 공간화되는 것에 의해서 본래의 위치변화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치변화에서 파생한 관용적인 표현에서는 반드시 3단어의‘を格’+‘に格’+동사의 특별한 명사의 조합에 의해서 관용적인 의미로 전환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관용구 조사에서는 ‘を格’+동사, ‘に格’+동사의 2단어 구조가 많은 경향이 있었다. 또한 관용구의 조합에서는 단어와 단어가 단단히 연결되어 있어 사이에 다른 단어가 들어가는 것은 어렵다고 하는 위치변화에서 발생하는 관용적인 표현과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로부터 오쿠다에 실려 있는 사람에게 작용하는 공간적인 위치변화의 동사 중에는 ‘に格’+‘を格’+동사의 분석에서, 순간적인 위치변화를 나타내는 동사와 계속적인 상태의 위치변화를 나타내는 동사가 있다는 것, ‘上げる’와 대응하는 ‘下ろす’라는 동사가 없었다는 것 등이 밝혀졌다. 또한 ‘を格’의 명사, ‘に格’의 명사의 조합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던 중에 위치변화의 특징에 따라서 그 명사의 특징이 정해진다는 것, ‘を格’의 위치변화를 하는 물건의 성질 및 특징에 따라서, ‘に格’의 명사의 성질 및 특징도 좌우 되는 것 등, 위치변화를 나타내는 동사의 의미특징에 새로운 견해를 얻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위치변화를 나타내는 동사의 의미특징을 3단어의 조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는데, 앞으로의 과제로서는 이것을 더욱더 깊게 명사의 특징과 조합의 경향에서 위치변화의 동사에 관해서도 연구하여, 문장 수준의 분석에서 동사의 의미와 용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발레동작 Grand Jet? en Tournant의 분절별 위치변화 및 각속도 분석에 관한 연구

        김광진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99

        논문요약 발레동작 Grand Jeté en Tournant의 분절별 위치변화 및 각속도 분석에 관한 연구 이 연구는 발레동작 Grand Jeté en Tournant의 분절별 위치변화량, 각 운동량과 각속도 분석에 관하여 중·고등학생 그룹과 대학생 그룹 발레 전공자를 비교 분석 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에 관련하여 생체역학연구의 방법론적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진행방향에 제시 및 흐름을 가늠하며 생체 역학적 분석을 통한 동작의 이해, 효과성과 효율성의 증대를 위함이다. 가설에서 각 그룹간의 운동능력, 속도, 도약능력 등에 큰 차이가 보일 것으로 간주하고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 번째, 몸통 전체 최대 높이 위치변화량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몸통 전체 최소 높이 위치변화량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두 번째, 오른쪽·왼쪽 다리 전체 높이 위치변화량에서 오른쪽 다리 최대·최소 높이 위치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왼쪽 다리 최대·최소 높이 위치변화량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세 번째, 각 이벤트별 머리 각속도량 변화에서 이벤트 1, 3, 4 지점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벤트 2 지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네 번째, 각 이벤트별 골반 각속도량 변화에서 이벤트 1, 3 지점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벤트 2, 4 지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 번째, 오른손·왼손 중심에서 머리까지의 비교에서 이벤트 3 지점의 앙 오(En haut) 동작 시 거리를 측정하였는데 두 위치의 평균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여 졌으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 번째, 오른쪽·왼쪽 다리 각 분절별 각운동량과 오른쪽·왼쪽 다리 전체 각운동량 비교에서 오른쪽 다리 허벅지, 종아리의 분절별 각운동량 최대값과 최소값 모두 유의한 차이점이 나타났으며 발의 각운동량 최대값에서는 유의한 차이점이 나타난 반면 최소값은 유의한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오른쪽 다리 전체 각운동량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왼쪽 다리 허벅지의 최대값・최소값과 종아리, 발의 최소값에서 유의한 차이점이 나타났으며 종아리, 발의 최대값에서는 유의한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왼쪽 다리 전체 각운동량은 평균값에서 미세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체형(각 실험자의 키와 몸무게)과 비례관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해 본 결과 Grand Jeté en Tournant 동작 구현시 안정적인 일정한 곡선을 그리며 동작을 구현해야하고 지지다리는 쁠리에(plié)를 깊게, 동작 다리는 더 높고 빠르게 움직여야 하며 머리 각속도는 동작이 시작된 후 시선을 남기고 몸통이 돌아갔을 때 원래 방향으로 정확하게 스포팅을 해야 한다. 또한 팔의 위치는 머리의 앞쪽으로, 골반은 각속도의 움직임에 따라 동작다리가 시작된 후 빠르게 돌아가야 하며 몸통이 전체 돌아갈 때 다시 한번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정확한 동작을 습득하고 효율성 증대, 과학적 실험을 통한 교육적 이론 확립 및 적용, 좀 더 나아가 다양한 동작을 가지고 평가기준을 만드는데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Comparison of Body Segment Center of Mass and Angular Velocity in Ballet during the Grand Jeté en Tournant Motion Kim, Kwang-Jin Department of Dance The Graduate School of Sejong University This research intend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nge in motion and speed based on each joints of the body using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all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searchable flow of biomechanical research regarding dance performance and by providing it, this research hopes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understand the motion based on biomechanical analysis, increas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and safety. It was assumed that the college student would show better performance when it comes to jumping with angular velocity, center of mass and angular momentum within grand jeté en tournant motion compared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llowing conclusion was made. Firstly, For the center of mass data,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in the highest position of body when jumped. But there was in the lowest position of the body. Secondly, for these two groups,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 amount of the right leg posi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ghest and lowest position, yet no noticeable change in the left leg position. Thirdly,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angular velocity of the head movement in event 1, 3, and 4 position, except event 2 position. Fourthly,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in angular velocity of pelvis in event 2 and 4 position, but not in even 1 and 3. Fifthly, when the distance from the participants center between right and left hand to the head was calculated, there was quite a big change in the average but not so much when it was compared with the statics. Sixthly, regarding the comparison of the angular momentum of each segment of body and angular velocity of it, there was a noticeable difference in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angular momentum of right thigh and calf. Although the maximum value of the right foot’s angular velocity was noticeable, minimum value of it was not. When it comes to left leg, there was a big change in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 of momentum of thigh and minimum value of shank and foot. There was no big change in the maximum value of shank and foot. Even though there were slight changes in left leg’s angular velocity when compared to the aver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pared with body shape(size).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when performing grand jeté en tournant, a participant must form a stable curve and his or her supporting leg should do deeper plié, moving leg should move higher and faster, he head should do spotting towards its original position accurately with eyes open when the motion is started. Also, the position of arms should be in front of the head, and he or she should move to the pelvis fast only once when the motion is started and do the same one more time when the whole body is rotated. Through this research, it is desired that performers learn more accurate movements. By doing so, they can safety, increas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and stabilize the educational theory based on scientific data. Furthermore,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 on creating the valuation basis using various movements.

      • 달의 모양과 위치변화에 대한 개념 형성을 위한 달모양판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유병태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85

        본 연구에서는 3학년 2학기 '지구와 달' 단원 중 달에 대한 학습을 위해 달모양판을 연구 개발하여 적용한 탐구 중심의 통합적 과학 수업을 통해 달모양판 적용 학습이 아동들의 달의 모양 변화와 매 시간마다의 위치 변화에 대한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다. 따라서 달의 모양과 위치의 변화를 알고 뜨는 시각과 위치 모양 등을 쉽게 알기 위하여 달모양판을 적용한 학습으로 달에 대한 올바른 개념형성을 하여 학습효과를 올리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달모양판을 연구 개발하고, 부산광역시 소재의 S초등학교 3학년 4개 학급을 선정하여 두 반씩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고 비교 집단에는 전통적 과학 수업을 실시하고, 실험집단에는 달모양판자료를 투입한 과학 탐구 수업을 적용하였다. 적용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달의모양 변화에 대한 개념, 달의 위치에 대한 개념을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사 결과를 통계 분석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하여 적용한 달모양판의 활용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달모양판 자료를 투입하여 학습한 실험집단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학습한 비교집단보다 사후 개념 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개념 형성에 효과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달모양판이 간편하고 조작하기에도 아주 쉬우며, 과학적인 원리를 적용한 학습도구로서 그 활용도가 높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셋째, 달의 위치는 날짜와 시간이 복합적인 변수로 작용하기 때문에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이지만 달모양판을 적용함으로써 음력 날짜별로 시간대에 맞게 달의 뜨는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달에 대한 개념 형성에 도움을 주며, 음력 날짜에 맞는 달의 모양을 정확히 알게 되었으며, 달 모양의 변화 과정에 대한 개념 형성도 정확히 잘 되었다. 넷째, 하루 저녁 시간에 따른 달의 위치를 관찰하고, 매일 같은 시각에 달의 모양을 관찰하여 그림으로 나타낼 때 관찰한 결과를 달모양판과 비교하여 그리면 정확한 위치와 모양을 그릴 수 있어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 달모양판을 이용하여 달에 대한 학습을 하게 되면 달이 없는 상황에서도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research, the effect which the inquiry-centered science instruction had on the conceptualization about the shapes and the positions of the moon was investigated. Especially, the moon-shape plate was developed and applied while learning about the Moon in the third charpter - The Moon and The Earth - of the third grade second semester. S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struction using the moon-shape plate on students' conceptualization about the shape changes and the positions of the moon. For this purpose, four 3rd-grade classes in S elementary school in Busan were chosen and divided into two groups, that is, a comparative group of two classes and a experimental group of two classes. For the comparative group, traditional instruction was used, and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quiry-centered science instruction using the moon shape plate was appli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instruction using the moon-shape plate, pre- and post-tests on the concept of the shape changes of and the positions of the moon were taken. Also, students' opinions about the practical use of the moon-shape plate were surveyed and summariz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in the post-test on the concept of the shape changes of and the positions of the mo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higher in mean values than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it seems that the moon-shape plate is easy to manage or handle for the third grade students in 'The Earth and the Moon' class. It is very useful and practical learning instrument which is made on the basis of the scientific theory. Third, generally students can hardly understand the changes of the rising point of the moon because we have to consider time and date at the same time. But students understood them easily with applying moon-shape plate to the lunar calenders. Therefore, it seems that Moon-shape plate was so helpful to conceptualization of the moon. Fourth, with observing the position and the shapes of moon at the same time every evening and comparing them with the moon-shape plate, students could know exact positions and shapes of the moon and draw the right moon's shapes and positions rightly. The moon-shape plate can be applied to the instruction regardless of the weather condition so that it is expected that the moon-shape plate is very helpful to the self-directed learning.

      • 點熔接 面積比와 位置變化가 두 四角平板의 挫屈應力에 미치는 影響

        이현철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8685

        사각 평판을 이용한 산업구조물을 사용하는 산업은 항공기, 자동차, 철도 차량, 선박 등이 있고, 취급성과 성형성이 매우 우수하여 구조물 설계시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평판에 관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여러 공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각도로 이루어져 왔다. 실제로 설계 시에 파괴양식 평가 및 재료거동의 이해가 이루어진 후 형상과 재질이 선택되고, 그 다음에 응력 및 변형해식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설계가 수행된다. 평판구조물에서 가장 큰 문제는 좌굴(buckling)에 의한 안정성(stability)의 문제로 좌굴강도(buckling strength)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박판의 좌굴강도는 항복강도 보다 작기 때문에 보강재를 사용하여 좌굴강도를 증가시켜야 한다. 이 때 보강재와 평판을 전면적으로 용접할 수 없으므로 점용접(spot welding)을 사용하게 되지만 점용접 접합부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실재로 점용접 접합부는 경험적인 판단에 의해 설계가 이루어져 비효율적이고, 좌굴붕괴사고의 위험성도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판의 좌굴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설계 파라메타 중에 세 가지 즉, 점용접 면적비, 점용접 거리비 및 점용접 상대위치를 설계 파라메타로 선택하여 압축 및 진단하중이 작용할 때 평판의 임계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1. 점용접 면적비가 변화함에 따른 임계하중(critical load)과 응력비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응력비와 면적비는 선형적인 관계가 아님을 알 수 있었고, 최소자승법(least-squares method)을 사용해 표준편차가 매우 미소한 4차 다항식의 근사식으로 표현하였으므로 실제로 필요한 좌굴강도에 대한 점용접 면적비 선택을 용이하게 하였다. 2. 점대칭 형태로 용접될 때 거리비 변화에 따른 임계응력의 변화를 살펴보면 압축의 경우 case Ⅰ, case Ⅱ는 e=0.5에, case Ⅲ은 e=0.7에 점용접될 때 최대의 보강효과를 가지고, 전단의 경우 case Ⅰ, case Ⅱ는 e=0.3에 case Ⅲ은 e=0.5에 점용접될 때 최대의 보강효과를 가진다. 또한, 거리비 변화에 따른 최소임계응력에 대한 최대임계응력의 증가율은 전체적으로 형상비가 작아질수록 커졌다. 3. 점용접이 점대칭이 아닌 경우에 점용접 상대위치에 대한 치수최적설계(size optimization)를 추행한 결과 압축의 경우 r≤1, model Ⅰ, model Ⅱ에서 길이방향 및 폭방향 상대위치는 분할영역 중앙점 부근에 위치시키고, 분할 경계선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배열할 때 보강효과가 가장 크며, model Ⅲ에서 길이방향 및 폭방향 상대위치는 중앙 부근에 위치시키고, 그 형태는 v자로 위치시키는 것이 가장 보강효과가 켰다. r 1인 경우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으며, 전단의 경우도 압축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압축보다 전단의 경우에 최적점용접위치가 각 영역의 중앙부에 더욱 가깝게 위치하고 있었다. 또한, 분할영역의 중앙점 보다 최적의 점용접점에서 압축임계하중 증가율은 최고 17.7% 증가하였고, 전단임계하중의 증가율은 최고 37% 증가했다. Industrial structures, which are made of plates, are aircraft, auto mobiles. trains and ships, etc., and the plates are so easy to treat and form that they may be essential to design Therefore, the study of plates have been performed by lots of engineers from all directions. Practically, in order to design, fracture modes were analyzed and behavior of materials were understood, and then forms and materials were chosen After these, design was performed by analysing stress and strain The stability of a plate structure is very crucial problem which results buckling Therefore, studies on buckling strength have been performed a lot Because the buckling strength of thin plates is lower than the yield strength of the matenal. reinforcement material must he used to increase the buckling strength I n this case. because to weld reinforcement plates and rectangular plates was impossible, spot welding was used, however, the study on spot welded joints have not been performed so far The spot welded joints are practically designed by experimental decisions. so it is inefficient and has the risks of buckling demolition In this study, three parameters such as area ratio. distance ratio and relative location of spot welding which can have influence on the buckling strength should be chosen, then the result of the study on the effect of three parameters on the critical stress under compressive and shearing load are as followed 1 The relations of stress ratio and area ratio were not linear when investigating the change of critical load and stress ratio according to the change of spot welded area ratio Practically, in order to choose the needed area ratio of spot welding about buckling strength easily, forth order polynomial expression which has standard deviations close to zero is expressed by using the least-squares method 2. In welding of point symmetry, in changing of critical stres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distance under compression, CaseⅠ, CaseⅡ have e=0.5, and CaseⅢ has e=O.7, in these distance ratios, maximum reinforcement effectives were occurred. Also, the increase ratio of the maximum critical stress according to the minimum critical stress was gradually increased while aspect ratio was decreased. 3. In welding of point asymmetry, the maximized reinforcement effect relative location of spot welding under compression were that on the condition of r≤l, in modelⅠ, modelⅡ, relative locations of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were around the center of each available region, relative locations of model Ⅱ were symmetrically according to boundary line of separated regions, in model Ⅲ, relative locations of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were around the center and the shape of the locations was arrayed like Ⅴ, that on the condition of r≥l, the results were similar to the above. And the case of shearing was similar to compression, too Conclusions are that on the condition of shearing, the most efficient relative locations of spot welding were closer to the center of each available region than compression, that on the most efficient relative locations of spot welding compared with the center of separated regions, compressive critical load was increased to 17.7%, and shearing critical load was increased to 37%

      •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기초의 최적 보강형식 선정을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박수근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68

        근래에 들어 송전선로의 고전압화, 대용량화로 인하여 철탑이 점차 대형화됨에 따라 기초도 대형화되고 있으며, 특히 대형 송전철탑의 기초로 현장타설말뚝기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시 인발하중 및 수평력에 대해서는 기초 주면의 마찰저항력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기초자중과 흙의 자중만으로 저항하는 설계를 수행한 결과 상당히 비효율적이며 환경훼손까지 야기하고 있어 보다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깊은 기초의 설계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기초의 최적 보강형식을 선정하기 위하여 보강재의 단수변화, 경사변화, 위치변화 및 보강재 배열변화에 의한 보강효과를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치해석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무보강으로 기초를 설치한 경우에 대해 변위에 대한 하중비는 먼저 보강재의 단수가 증가할수록 보강효과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보강재의 경사가 증가할수록 보강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있었으며, 세 번째로 보강재의 위치를 변화시켰을 때, 기초의 상부에 보강재를 설치할수록 보강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보강재의 배열변화에 따른 보강효과는 보강재를 교차배열한 경우가 평행배열한 경우보다 보강효과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또한, 1열에 4개의 보강재를 설치한 경우보다 8개의 보강재를 설치하는 것이 보강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In the recent years, transmission line has been adapted high-voltage system and created high capacity. This gradually leads to the increased scale of a pylon, followed by the expansion of in-situ drilled deep foundation. Especially, a foundation of large power transmission pylon increases the use of in-situ drilled deep foundation. However, as for normal pull-out load or horizontal capacity, a side friction resistance of foundation has not been considered. Furthermore, the design and scheme using the resistance of self-weight of foundation and soil cause the result of inefficiency and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Therefore, it is required the need to study a more rational and economical design with profound foundations. To compute the optimum reinforced of such deep foundation, numerical analysis has been conducted regarding reinforcement effect by change of the stiffeners number, inclination, location, and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numerical analysis, in case of setting up stiffener with non-reinforcement, it is noticed that the more increase of stiffener number, the higher reinforcement effect becomes. Secondly, the reinforcement effect heightens as the slope of stiffener increases. Thirdly, when stiffener is relocated at upper, middle and lower spot, the optimized reinforcement effect came out at middle in compression and at lower spot of foundation in tension respectively. Lastly, in compliance with the changes in stiffener arrangement, the reinforcement effect increases with cross arrangement than parallel arrangement although the effect is considerably very small. Also, the case of eight stiffeners setting up in one row is more efficient than the case of four stiffeners setting up in one row.

      • 보강형 현장타설말뚝기초의 보강효과 분석을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남대승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3

        현장타설말뚝기초는 지반을 굴착하고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중에서 양생제작하는 기초를 뜻한다. 근래에 들어와서는 소음 및 진동 등의 환경문제에 기인해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그 중 철탑기초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이 많이 쓰이고 있으나 철탑이 대형화됨에 따라 기초도 대형화되어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설계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일본에서 제안된 것은 말뚝주면에 가시모양의 보강재를 정착시킴으로써 주면지지력을 증가시켜 말뚝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보강형 현장 타설말뚝기초이다. 그러나 일본에서 연구된 보강형 현장타설말뚝은 전문 건설중장비의 사용을 시공조건으로 하며, 대상지반 또한 상이하기 때문에 이를 국내에 직접 적용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풍화토, 풍화암, 연암지반 등 국내의 대표적 지반을 대상으로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보강형 현장타설말뚝의 보강효과를 분석하였다. 보강효과 분석을 위해 보강재의 단수, 경사, 위치 및 길이 등을 변화시켜 해석을 실시하였다. 보강재의 단수변화의 경우, 풍화암과 연암지반에서는 단수증가에 따라 비례적으로 보강효과가 증가하였지만 풍화토의 경우 2단과 3단의 증가폭이 1단과 2단의 증가폭보다 작은 결과가 나타났다. 위치변화의 경우, 수평하중재하시 직접적으로 하중을 지지하는 상단에 위치한 경우가 가장 효과적이었지만 압축, 인장하중의 경우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주목할 만한 사실은 인장하중시 재하하중 초기에는 상부쪽 보강재에 더 큰 보강재력이 작용하나 재하하중의 증가에 따라 하부쪽에 더 큰 보강재력이 작용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재하하중이 보강재가 위치한 곳까지 충분히 전이된다면 지반구속압이 큰 하단에 보강재가 설치된 경우가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경사변화의 경우, 연직하중일 때는 보강재 전 길이에 걸쳐 축력이 최대로 발휘되는 60도의 경사가 가장 보강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수평하중일 때는 하중재하 방향과 일치하는 0도에서 보강효과가 전반적으로 좋게 나타났다. 보강재 길이변화의 경우, 길이 증가에 따라 보강효과도 증가하지만 말뚝직경의 2/3 이상에서는 지지력이 일정하게 나타났다. 보강재의 축력과 전단력을 비교해 보면 길이가 길면 축력이 크게 나타나고 보강재의 길이가 짧으면 전단력이 축력에 비해 크게 발생하는데 일정한 하중까지는 서로 보완적으로 하중분배가 일어나기 때문에 보강효과가 비슷하게 나타나지만 재하하중이 증가하면 보강재의 길이가 길수록 축력에 의한 지지력이 크기 때문에 보강효과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해석결과에 따르면 보강효과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인자는 보강재의 단수변화와 경사변화인 것으로 판단된다. Large-diameter drilled deep foundations are often used for foundations of transmission towers used due to environmental efficiency with less noise and vibration. As tower structures become larger in modern society, there is a need of more efficient and economical design of large-diameter drilled deep foundations. Reinforced drilled deep foundations are popular in Japan for foundation of tower structures. Stiffeners attached to the shaft of the foundation are used to increase the shaft resistance. It is, however, difficult to fully apply drilled deep foundations for the purpose of domestic construction, due to lack of specific construction machinery and different soil types.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reinforcement effect for large-diameter drilled deep foundations based on numerical analysis for representative soil and rock conditions in Korea. The numerical analyses are conducted to analyze the reinforcement effect for various stiffener conditions of number, inclination, location and length. Regarding number of stiffeners, the reinforcement effect increases proportionally as the stiffener number increases for weathered and soft rocks. For weathered soil, however, the reinforcement effect increases at a lower rate. Effect of stiffener location is nearly negligible for axial loading cases, while it is significant for lateral loading cases. For the lateral loading cases, upper locations of stiffener give greater reinforcement effect than lower location. For stiffener inclinations of axial loading cases, a stiffener inclination equal to 60° gives the greatest reinforcement effect. In case of stiffener length, reinforcement effect increases as stiffener length increases. However, it is found that a stiffener length equal to two thirds of a pile diameter is an upper limit beyond which no increase of reinforcement effect is observed.

      • 支持部와 燃料 排出口 位置變化에 따른 球形 人工衛星 推進劑 탱크의 强度解析

        심재준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8636

        In order to design the spherical satellite propellant tank, the finite element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each design paramet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ing : 1. The maximum equivalent stress was observed near the lug and the locatioin was not changed by the fall of the lug. However, relatively the locatioin where was occuerred the maximum equivalent stress was observed to be rised in proportion to fall of the lug. 2. When the lug was located at 26.88mm from equator, the maximum equivalent stress was observed in 28.55mm from the equator and in 9" from the lug center. And the high stress of the 83% compared with the maximum equivalent stress appeared in the propellant outlet and the pressurant inlet. 3. When the uniform thickness of the whole tank wall was changed, the optimum thickness compared to the yield stress was the 1.25mm. 4. The tank was reinforced by dividing it into three zones, which are the thickness-unchanged initial zone, the transitional zone, the weak zone in order to reduce the tank weight. 5. The maximum equivalent stress was observed to be much reduced when the thickness of the weak zone was increased 20% and the thickness of the other two zones were fixed. When the width of the weak zone was changed, 40mm of the width displayed the largest stress reduction effect. 6. The maximum equivalent stress was observed to be much reduced when the thickness of the transitinal zone was increased 6% and the thickness of the other two zones were fixed. And the width of the transitional zone displayed a little stress reduction effect. 7. When the thickness was changed, keeping the optimal thickness ratio of 1:1.2:1.06, the maximum equivalent stress lower than the yield stress was observed when the thickness were 1.025mm, 1.230mm, 1.087mm. Even though the stress distribution evenly showed all over the whole tank, the maximum equivalent stress occured near the lug. 8. In the uniform thickness variation of the whole tank wall, the optimum thickness is the 1.25mm and the total weight is the 2.024kg. But each of the optimum thickness, with sustaining the optimal thickness ratio, are the 1.025mm, 1.087mm, 1.230mm and the total weight is the 1.820kg. Therefore, the tank weight was reduced to the 10.071%. 9. when the thickness of the weak zone is 1.33mm, the optimum side angle become 5˚ , as changing the side angle of the propellant outlet in the analysis.

      • 圓孔의 位置變化에 따른 高速貨車用 臺車프레임의 應力解析

        장승민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8622

        Strain gauge is attached to the bogie frame for high speed train, which has a maximum speed at 120km/h, maximum load at about 100 tonf. It is compared between the stress which appeared after acting vertical dynamic load, 43.88 tonf on bolster as JIS and that of anlysis by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And the result of finite element analysis is represented by changing the circular hole up to down, side to s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1. The stress calculat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is almost similar to the stress which is occuring at bogie frame after load test. It proves that the analysis of finite element method is reliable. 2. Maximum equivalent stress which occuring around circular hole is about 5.76 kgf/mm2 and this location is on the a1-b2 that is 5/12 of height from rib bottom and 2/5 of the side length where rib vertically acrosses top plate. 3. The least deflection of bolster shows vertically about 1.9578mm. Thos point is a3-b4 that is 7/12 of height from rib bottom and 2/5 of the side length where rib vertically acrosses top plate. 4. The result of comparison with σ_(X) which is represented in the rib bottom center is that the location of maximum tensile stress is at a1-b1 and that of maximum compressive stress is at a1-b4.

      • 외과적 급속상악확장술 후 악골 및 치아의 위치 변화에 대한 연구

        한창훈 전남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20

        목적: 본 연구는 외과적 보조의 급속상악확장술 후 악골 및 치아-치조골의 위치 변화를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환자 및 방법: 2000년 5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상악골 횡적 결핍으로 인해 외과적 보조의 급속상악확장술을 시행받은 13명의 환자들을 조사하였다. 수술은 상악 협측 전정접근법을 통해 Subtotal Le Fort I형 골절, 익돌상악 접합부의 분리 및 전방부 정중구개골절을 이용한 외과적 보조의 급속상악확장술을 시행하였다. 술 전과 유지기간 후 구개확장장치 제거시, 그리고 추적조사 기간에 각각 진단모형을 채득하고 정모 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촬영하였다. 진단모형과 정모 두부규격방사선사진 상에서 술 전과 술 후의 비강의 폭, 악골 및 치아-치조골에 대한 각 변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1. 유지기간 후 비강의 폭은 평균 1.1 mm (0.0~2.0 mm) 증가하였다. 2. 유지기간 후 상악 치간 폭경의 평균 증가량은 견치 부위에서 6.7 mm (4.5~9.5 mm), 제1소구치 부위에서 9.1 mm (8.0~11.0 mm), 제1대구치 부위에서 7.4 mm (5.5~9.0 mm)이었다. 3. 유지기간 후 상악 치조골 폭경의 평균 증가량은 견치 부위에서 6.3 mm (4.0~8.0 mm), 제1소구치 부위에서 7.1 mm (4.0~10.0 mm), 제1대구치 부위에서 5.4 mm (3.0~7.5 mm)이었다. 4. 유지기간 후 구개부 깊이는 평균 1.3 mm (0.5~2.0 mm) 감소하였다. 5. 유지기간 후 하악 견치의 치조골 폭경 및 치간 폭경과 하악 제1대구치의 치간 폭경 변화는 상악골 팽창에 따라 약간 증가한 양상을 보였다. 6. 구개확장장치 확장량을 기준으로 추적 조사 기간에 회귀에 의해 비강 폭경은 4% 감소하였고, 상악 견치 부위의 치조골 폭경 감소는 평균 26%, 제1소구치 부위의 치간 폭경 및 치조골 폭경의 평균 감소는 각각 28%와 24%, 제1대구치 부위의 치간 폭경의 감소는 평균 23%의 감소를 보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외과적 보조의 급속상악확장술 후에도 약간의 치아 경사이동이 발생하지만 대부분의 확장은 상악골의 이동에 의해 일어남을 시사하며, 재발율을 고려하여 계획된 확장량의 약 25% 정도 과확장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keletal and dentoalveolar dimensional changes following surgically-assisted rapid maxillary expansion (SARME). Patients and Methods: Thirteen adults who had been treated by SARME for transverse maxillary deficiency from May 2000 to December 2003 were evaluated. SARME procedure was composed of Subtotal Le Fort I osteotomy, pterygomaxillary separation and anterior midpalatal osteotomy. Dental study casts and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taken prior to operation, after removal of expansion device and during follow up period. Nasal cavity width, skeletal and dentoalveolar parameters were measured pre- and post-operatively. Results: 1. Mean nasal cavity width was increased 1.1 mm (0.0~2.0 mm) after retention. 2. Mean maxillary interdental width was increased 6.7 mm (4.5~9.5 mm) in the canine region, 9.1 mm (8.0~11.0 mm) in the first premolar region, and 7.4 mm (5.5~9.0 mm) in the first molar region, respectively after retention. 3. Mean maxillary alveolar bone width was increased 6.3 mm (4.0~8.0 mm) in the canine region, 7.1 mm (4.0~10.0 mm) in the first premolar region, and 5.4 mm (3.0~7.5 mm) in the first molar region, respectively after retention. 4. Mean palatal vault depth was decreased 1.3 mm (0.5~2.0 mm) after retention. 5. Mean interdental and alveolar bone width of the mandibular canine and intermolar width of mandible were slight increased as maxilla was expanded after retention. 6. The nasal cavity width was decreased 4%; interalveolar width of the maxillary canine was decreased 26%; interdental and interalveolar widths of the maxillary 1st premolar were 28% and 24%, respectively; interdental width of the maxillary ist molar was decreased 23% of total expansion by relapse at follow up period.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st expansion after SARME was occurred by expansion of maxilla although there was slight dental tipping movement and about 25% of the overexpansion will be needed for relap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