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웨이브테이블 신시사이저를 이용한 덥스텝 음악 제작 기법 연구 : 스크릴렉스 음악의 <험블>을 중심으로

        김민정 백석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웨이브테이블 신시사이저를 이용한 덥스텝 음악 제작 기법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웨이브테이블 신시사이저를 이용한 현대 덥스텝 제작 분석과 스크릴렉스의 <험블>을 통해 덥스텝의 파생 장르인 글리치 합의 제작 기법을 연구하기 위함이다. 웨이브테이블은 현대에 사용률이 높은 합성방식이며 날로 발전해가는 가상악기의 합성방식중 하나이다. 웨이브테이블 합성방식이란 악기의 원음 샘플을 사용하여 악기음을 재생하는 방식으로 원음 샘플의 단일 주기 파형을 변조 하거나 합성하여 새로운 음색을 만드는 방식이다. 다른 합성 방식에 비해 원음 샘플을 사용하여 음질이 우수하다는 큰 장점이 있어 웨이브테이블 합성방식을 사용한 가상악기 세럼을 이용하여 덥스텝 음악 제작 기법을 연구한다. 덥스텝 음악은 레게에 뿌리를 두고 발전된 전자음악 장르이다. 이 음악의 특징은 드럼과 베이스를 증폭 시키는 등 보컬의 역할이 강조되지 않은 연주 음악 형태를 띠며 대부분 단조로 무겁고 어두운 성격을 가진다. 셔플이나 당김음을 포함하는 하프 패턴을 기반으로 두고 있으며 3연음을 사용하여 절름거리는 느낌을 준다. 덥스텝은 다양한 장르 합성으로 명칭이 다르게 불리는데, 덥스텝과 힙합이 합성된 장르를 글리치 합이라 명칭한다. 이러한 덥스텝 파생 장르 글리치 합 제작기법을 웨이블테이블 신시사이저 세럼을 이용하여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웨이브테이블 합성 방식을 분석하고 이 합성방식의 가상악기를 이용하여 덥스텝 제작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웨이브테이블 이전의 합성방식과 이러한 방식이 나오게 된 이유를 문헌 조사를 통해 연구하고 웨이브테이블 합성 방식을 사용하는 가상악기를 통해 이의 활용을 살펴본다. 웨이브테이블 합성 방식을 사용하는 가상악기로 X사의 세럼을 이용한다. 덥스텝 음악 제작 기법은 스크릴렉스의 <험블>을 중심으로 하며 덥스텝과 글리치 합에 대한 연구를 한다. 덥스텝의 구성과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험블>의 모음 악보를 제작하고 곡 구성을 분석하였다. 세럼을 이용해 <험블>의 사운드를 연구 제작한 후 웨이브테이블을 이용해 목소리 효과음을 제작하고 구간마다 달라지는 주요 신스 브라스 주파수를 비교 하였다. 또한 제작 사운드의 오실레이터와 필터, LFO, 매트릭스의 설정 값을 그림과 표로 한다. 또한, 덥스텝 사운드 주파수 특징주파수를 알기위해 타 장르와 애널라이저 스펙트럼을 비교분석 한다. 이를 위한 비교 장르는 덥스텝, 팝 음악, 발라드 음악으로 한정한다. 그리고 <험블>의 원음과 제작곡 또한 주파수를 비교 분석한다. 본 연구는 웨이브테이블 신시사이저를 사용하여 차별화된 사운드효과를 만들고 덥스텝 음악 기법과 사운드 제작 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비주류 음악이었던 덥스텝이 오늘날 수많은 장르 합성을 통해 다양한 하위 장르를 만들어 냈다. 이 연구를 통해 웨이브테이블 방식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사운드 제작과 덥스텝 음악과 글리치 합 음악 제작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덥스텝의 합성 장르와 사운드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웨이브테이블 신스를 이용한 프로듀서 시그니쳐 사운드 구현 연구 : E.D.M. 사운드 디자인을 중심으로

        정병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웨이브테이블 신디사이저(Wavetable Synthesizer)’ ‘Xfer Record’사(社)의 가상악기‘Serum’을 이용하여 E.D.M. 프로듀서들의 시그니쳐 사운드를 이용해 ‘커스텀 웨이브테이블(Custom-Wavetable)’을 만들고 분석과 재구성을 하고자 한다. 또한 E.D.M. 장르에서 주로 사용되는 신스 사운드(Synth-sound)를 비교, 분석 하고자 한다. 웨이브테이블 방식의 신디사이저는 현대 사운드 구축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과거 아날로그 방식의 감산합성 신디사이저는 특성상 정수나 홀수의 배음을 갖고 있는 파형밖에 생성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P.C.M. 합성방식의 웨이브테이블 신디사이저는 샘플기반의 합성 방법으로 실제악기 및 다양한 소리의 파형을 테이블에 저장, 기록하는데 이것을 이용하여 원하는 타이밍에 스캔하는 방식으로 사운드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때문에 신스 사운드를 필요로 하는 여러 분야에 사운드 디자인 영역을 보완 할 수 있어 최근 다양한 음악분야에서 핵심 신디사이저로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웨이브테이블 신디사이저의 특성을 이해하고 프로듀서를 꿈꾸며 시그니쳐 사운드를 구현하는 이들에게 효과적으로 사용되기를 바란다. 주제어: 웨이브테이블 신디사이저, 사운드 디자인, 프로듀서 This study uses the virtual wavetable synthesizer, ‘Serum’ of Xfer Record to create a ‘Custom-Wavetable' using the signature sound of E.D.M. producers, in order to reconfigure, compare and analyze the synth-sound, which is mainly used in E.D.M. genres. Wavetable synthesizers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odern sounding. In the past, analog subtractive synthesizers have been disadvantageous in that they could only generate waveforms having integer or odd harmonics. However, P.C.M. synthetic wavetable synthesizer is a sample-based synthesis method that stores waveforms of real instruments and various sounds in a table and records them, which can be used to create sound by scanning at a desired timing. It can be used as a core synthesizer in various music fields because it can complement the sound design field in various area that require synth sound. Based on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I hope that it will be used effectively to those wh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vetable synthesizer, dream of the producer, and implement the signature sound. Key words: wavetable Synthesizer, Sound Design, Producer

      • 하이브리드 신시사이저의 동향 및 사운드 제작 활용 연구

        채가연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4

        본 연구는 현대의 대중음악 사운드 구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웨이브테이블 신시사이저(Wavetable Synthesizer)’에서 한 단계 더 진보되어 사운드 디자인의 잠재력을 무한대로 확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하이브리드 신시사이저(Hybrid Synthesizer)'에 관한 연구이다. 과거부터 현재의 동향 및 ‘Arturia'사(社)의 하이브리드 신시사이저 가상악기 ‘피그먼트(Pigments)'를 중심으로 현대의 하이브리드 신시사이저의 핵심 기술을 분석하고자 한다. 현대의 하이브리드 기술은 신시사이저 뿐만 아니라 전자제품, 자동차, 콘솔 등에도 적용되어 앞으로 출시되는 악기들은 하이브리드 타입으로 가속화가 될 것으로 보이며 수많은 신시사이저가 쏟아져 나오고 있는 가운데에 과거에도 하이브리드 신시사이저는 개발되었지만 낮은 기술력과 높은 가격으로 상용화는 어려웠다. 하지만 현대의 뛰어난 기술력과 장르의 융합이 주를 이루는 음악적 특성에 맞춰 2019년부터 강세를 보이기 시작하면서 음악 시장 안에서 확대 속도가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현대의 음악은 선율, 화성보다 기술과 음색에 대한 의존도가 점점 높아지면서 음색 조정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게 된다.두 가지 이상의 음성 합성 방법을 결합하여 복합음을 내는 하이브리드 신시사이저는 모듈러 신시사이저(Modular Synthesizer) 처럼 새로운 사운드를 만들어낼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과 확장성 뿐만 아니라 빠른 작업의 흐름을 통하여 복잡한 모듈레이션(Modulation)도 쉽고 빠르게 조정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을 마주하게 되면서 음악 제작에 독창성과 창의성을 더욱이 요구하면서 높은 완성도와 경쟁력 있는 사운드 구현을 원하는 음악 학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본 연구를 시작으로 후속 연구가 이어져 경쟁력이 있는 음악 제작 방법으로 발전이 되기를 바란다. Hybrid synthesizer is an advanced type compared to the Wavetable synthesizer that's had a lot of influence on the modern sound designs. This is a research on the Hybrid Synthesizer which has the possibility to help expand the potential ability of designing sounds to an unmeasurable degree. I will analyze the core technologies of modern hybrid synthesizers, focusing on the current trends from the past and the hybrid synthesizer virtual instrument "Pigments" of Arturia. Modern hybrid technology is applied not only on synthesizers, but also on electronic products, automobiles, and consoles. Various synthesizers are being introduced to the market every year and application of hybrid technology on future instruments is expected to be accelerated. Indeed, hybrid synthesizers existed in the past but low technology & high price made it difficult to commercialize it. Picking up the pace from 2019, expansion of hybrid technology in the music market is expected to speed up due to first, the advanced technology of current generation and second, the dominant modern musical characteristic which is the fusion of different genres. Modern music depends more and more on technology and tone over melody and harmony so it is only natural that modern music invests more time on tone adjustments. A hybrid synthesizer, which combines two or more speech synthesis methods to produce a composite sound, not only has the infinite potential and expandability to make new sounds like the Modular synthesizer, but also is able to arrange quickly and easily complicated modulations through fast work flow.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quires more creativity and originality in music production. I anticipate this research to lead to a succeeding study and develop into a competitive music producing method to help students studying music who desires to achieve higher quality and more competitive sound desig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