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 ‘떨어지다:빠지다’와 중국어 ‘落:掉’의 의미 대조 연구

        BAI XUE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국 학습자에게 유의어 동사 ‘떨어지다:빠지다’의 의미 차이를 잘 파악하기 위해서 대응하는 중국어 유의어 동사 ‘落:掉’와 대조하여 의미 분석 및 어휘적 공기 관계와 의미적 선호 관계의 분석을 통해 외국인 학습자의 유의어 구별과 정확한 사용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동사의 다의성과 유의어 의미 변별에 관한 연구 및 동사 ‘떨어지다’, ‘빠지다’, ‘落’,‘掉’에 관한 연구로 분류하여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연구 방법을 구체화하였다. 본고는 대조언어학과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한국어 ‘떨어지다:빠지다’와 중국어 ‘落:掉’의 원형의미와 확장의미를 비교 분석하여 어휘적 공기 관계와 의미적 선호 관계에 대해 체계적으로 대조 분석하였다. 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대조언어학과 인지언어학의 정의, 원리를 논의하고 원형의미와 확장의미의 기본 개념, 어휘적 공기 관계와 의미적 선호 관계의 기본 개념, 그리고 이와 관련된 다의어와 유의어의 기본 개념을 파악하고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떨어지다’, ‘빠지다’, ‘落’, ‘掉’의 사전적 의미를 항목별을 정리하여 원형의미와 원형의미에서 확장된 의미를 나누어 분석하고 실제 예문 대조를 통해 ‘떨어지다’, ‘빠지다’, ‘落’, ‘掉’의 일치하는 공통의미와 불일치하는 개별의미를 고찰하였다. ‘떨어지다’, ‘빠지다’, ‘落’, ‘掉’는 각각의 원형의미는 가장 대표적인 의미이고 확장의미에서 공통적으로 가진 의미범주도 있으며 일치하지 않는 개별의미도 있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장에서는 말뭉치를 활용하여 공기 용례를 통해 동사 ‘떨어지다’, ‘빠지다’, ‘落’, ‘掉’ 순으로 각각 4가지로 공기 명사를 분류하여 제시하고 나서 이 공기 명사의 공통 의미 부류와 차이 의미 부류로 대역 관계를 통해 의미적 선호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떨어지다:빠지다’, ‘落:掉’는 의미에서 공통적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의미범주와 의미 선호 관계에서의 차이 역시 명확하게 드러났다. ‘落:掉’와 ‘떨어지다:빠지다’는 각각 사용에서 관습성을 다르게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모어의 배경지식으로 인해 중국인 학습자가 ‘떨어지다:빠지다’의 의미를 더 명확하게 변별하고 습득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었다. 이처럼 말뭉치를 활용한 의미적 선호 분석을 통해 외국인 학습자의 유의어 구별과 정확한 사용에 도움이 될 것이며, 더 나아가면 완전한 사전 기술, 교재개발 혁신, 그리고 한국어 어휘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한국어 어휘 교육에 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종합적인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foreign learners to distinguish meaningful words ‘tteol-eo-ji-da:ppa-ji-da(떨어지다:빠지다)’ and use themcorrectly by analyzing the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Chinese learners and the corresponding Chinese meaningful word verb ‘luo:diao(落:掉)’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bulary air and semantic preference. The first chapter clarifi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research, classifies the related research of verb polysemy and synonym meaning discrimination, and the related research of verbs ‘tteol-eo-ji-da(떨어지다)’, ‘ppa-ji-da(빠지다)’, ‘luo(落)’ and ‘diao(掉)’, discusses the previous research, and embodies the research methods. From the perspective of contrastive linguistics and cognitive linguistics,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prototype beauty and expansion beauty of Korean ‘tteol-eo-ji-da:ppa-ji-da (떨어지다:빠지다)’ and Chinese ‘luo:diao(落:掉)’, and makes a systematic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ir relationship and semantic preference relationship of vocabulary.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the definition and principle of contrastive linguistics and cognitive linguistics, grasps and summarizes the basic concepts of archetypal beauty and expansive beauty, the basic concepts of lexical air relationship and semantic preference relationship, as well as the basic concepts of polysemy and synonyms related to them. The third chapter sorts out the dictionary meanings of ‘tteol-eo-ji-da(떨어지다)’, ‘ppa-ji-da(빠지다)’, ‘luo(落)’ and ‘diao(掉)’, analyzes the extended meanings from the archetypal beauty and archetypal beauty, and examines the common meanings and inconsistent individual meanings of ‘tteol-eo-ji-da(떨어지다)’, ‘ppa-ji-da(빠지다)’, ‘luo(落)’ and ‘diao(掉)’, through the comparison of actual examples. It is confirmed that the archetypal meanings of ‘tteol-eo-ji-da(떨어지다)’, ‘ppa-ji-da(빠지다)’, ‘luo(落)’ and ‘diao (掉)’ are the most representative. In the extended sense, there are both common meaning categories and inconsistent individual meanings. In Chapter 4, using discourse clusters, through air use cases, air nouns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the order of verbs ‘tteol-eo-ji-da(떨어지다)’, ‘ppa-ji-da (빠지다)’, ‘luo(落)’ and ‘diao(掉)’, and then the semantic preferences of the common semantic category and differential semantic category of the air noun are observed through the translation relationship. ‘tteol-eo-ji-da:ppa-ji-da(떨어지다:빠지다)’ and ‘luo:diao(落:掉)’ have common characteristics in meaning, but there are also obvious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categories and meaning preferences It can be seen that ‘luo:diao(落:掉)’ and ‘tteol-eo-ji-da:ppa-ji-da(떨어지다:빠지다)’ have different habits in their respective use. It is conceivable that due to these background knowledge of Moore, it is difficult for Chinese learners to distinguish and grasp the meaning of ‘tteol-eo-ji-da:ppa-ji-da(떨어지다:빠지다)’ more clearly. By using the semantic preference analysis of chunks in this way, it will help foreign learners distinguish and use meaningful words correctly, and then it can be used in the complete dictionary technology, textbook development and innovation, and Korean vocabulary teaching. This is not only of great help to Korean vocabulary teaching, but also of great significance to improve learners' comprehensive language ability.

      • 어원에 기반한 다의어의 원형의미와 의미 확장의 원리

        우청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논문의 목적은 어원에 기반 하여 원형의미를 정하고, 원형의미에서 확장 되는 의미의 확장 원리를 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원형의미는 확장된 의미를 인지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의미이다. 원형의미를 선정하는 선정기준은 최초의 의미, 통시적으로 가장 먼저 쓰인 의미 또는 가장 흔히 사용되는 의미가 확장된 의미를 인지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만일 최초의 의미가 확장된 의미를 연결할 수 없다면 이와 같은 최초의 의미는 원형의미로 선정되지 않는 것이다. 만일 가장 흔히 쓰이는 의미가 확장된 의미를 연결할 수 없다면 이와 같은 의미도 원형의미로 선택되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원형의미를 기본의미 또는 기본이미지로 제시하였다. 기본의미는 최초의 의미가 확장된 의미를 연결하면서 동시에 그 의미가 현재에도 사용되는 의미이다. 기본이미지는 최초의 의미가 확장된 의미를 연결하지만, 그 의미가 현재에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의미이다. 의미 확장의 9가지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유사성의 원리이다. 둘째는 구체화의 원리이다. 셋째는 일반화의 원리이다. 넷째는 인접성의 원리이다. 다섯째는 인과관계의 원리이다. 여섯째는 의미의 일부분의 원리이다. 일곱째는 전문화의 원리이다. 여덟째는 양화의 원리이다. 아홉째는 악화의 원리이다. 모든 단어는 확장된 의미를 인지적으로 연결하는 원형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확장된 의미는 의미 확장의 원리를 기반으로 원형의미를 통해 유추할 수 있다. 그래서 만일 학습자가 어떤 단어의 원형의미를 알고 의미 확장의 원리를 인지하고 있다면, 그 학습자는 다의어를 더 쉽고 효과적으로 암기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이유는 원형의미는 확장된 의미와 인지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다의어의 각각의 의미를 하나의 의미 군으로 형성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어휘의 원형의미와 의미 확장의 원리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학습자가 다의어를 학습할 때 이 연구가 효과적인 학습도구가 될 것이다.

      • 원형모형설에 의한 독일어 다의동사 분석 : bringen, geben, nehmen을 중심으로

        문지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일반적으로 다의어는 그것이 갖는 다양한 다의미들간에 의미적 관련성이 존재한다는 점에 의해 동음이의어와 구별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의어의 다의미들은 다의어가 갖고 있는 원형 의미에서 파생되어 의미가 확장된 것으로 보고, 이러한 다의성이 생겨나는 것을 다른 어휘와의 결합이란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 중점을 두어 다루는 것은 동사의 다의성이다 이를 위해 독일어에서 가장 빈번하게 쓰이는 bringen, geben, nehmen 동사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일반적으로 범주화 원리에는 기준속성모형설과 원형모형설이라는 두 이론들이 있는데, 이 두 이론들 중 원형모형설이 다의어 분석에 더 적합한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본고에서도 원형모형설에 입각하여 다의어의 기본 의미를 원형 의미로 파악하고 이를 Pustejovsky(1995)에서의 특질구조라(Qualia Structure)는 어휘 의미 구조로 표상하고 있다. 특질구조는 단어개념에 대한 설명과 인식의 양상을 표시해 주는데, 생성어휘론에서 어휘의 창조적 사용과 어휘 의미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질구조는 어휘의 원형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네 가지의 역으로 구성된다. 특질구조의 네 가지 역은 각각 구성역(Constitutive), 형상역(Formal), 기능역(Telic), 작인역(Agent)이다. 구성역은 어떤 대상과 그것을 구성하는 부분들 사이의 관련을 나타내고 형상역은 더 넓은 영역 내에서 대상을 구별하는 것이며, 기능역은 대상의 목적과 기능을 나타내고 작인역은 대상의 기원이나 그것을 초래하는 데 관련된 요소들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특질구조는 어떤 어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가장 잘 설명해주는 그 어휘와 연관된 특성과 사건의 집합들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특질구조에 의해 표상된 원형 의미에서부터 어떻게 확장 의미의 파생이 이루어지는지를 구체적인 예들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동사의 다의성이 생겨나는 요인에는 많은 것들이 있겠으나, 본 논문에서는 동사의 다의성을 그것과 결합하는 논항에, 논항의 범주도 명사 범주에 한정을 시켜 동사의 원형 의미가 다양한 논항들과 결합하면서 의미가 확장되는 것을 다루고 있다. 분석 결과 동사의 다의성은 실제로 그것과 결합하는 논항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이 드러났고, 행위의 주체로 [사람] 속성을 요하면서 대상을 이동시키는 동사들의 경우 주어 논항에서는 [사람] -> [생물] -> [무생물]에로, 대상 논항에서는 [구체적 성질을 띄는 것] -> [추상적 성질을 띄는 것]에로 확장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 본 논문에서 분석한 예들의 경우에서는 동사의 의미 확장에는 대부분 결합하는 명사 논항의 기능역(Telic)이 영향을 끼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동사의 다의성에 사용하고 있는 원형모형설과 Pustejovsky(1995)의 어휘 의미 구조는 다의어의 의미적 관련성을 포착할 수 있고, 다의어의 의미 확장 과정을 생성적 측면에서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In der vorliegenden Arbeit handelt es sich um die Bedeutungserweiterung der deutschen polysemen Verben, "bringen", "geben", "nehmen" im Rahmen der prototypen-Theorie. Im allgemeinen ist die Bedeutung der Polysemie so wortspezifisch, daß eine Wort einander bezogene verschiedene Bedeutungen hat. Bei der Polysemie, kann man diese bezogene Polyseme aus einer gru¨ndlichen Bedeutungen ableiten. Diese gru¨ndliche Bedeutung ist "Prototypen-Bedeutung". In meiner Arbeit, wird solche "Prototypen-Bedeutung" durch die "Qualia Struktur" des Pustejovskys(l995) repra¨sentiert. Diese Theorie der Qualia Strukturen wurde von Pustejovsk entwickelt, um die Kontexta¨bhangigkeit der Bedeutung von Wort erkla¨ren zu ko¨nnen. Er geht davon aus, daß die semantische Repra¨sentation der Nomen im Lexikon durch die sogenannte Qualia Struktur bestimmt ist. Die Qualia Struktur besteht aus vier Komponente, die verschiedene Bedeutungsaspekte wiedergeben : CONSTITUTIVE, FORMAL, TELIC, AGENT. Fu¨r die Analyse der Verben, neben der Qualia Struktur sind auch die Argument Struktur und die Event Struktur no¨tig. Bei der Analyse der deutschen polysemen Verben, zuerst bestimm Prototypen-Bedeutung des Wort und dann repa¨sentiert sie durch die Qualia Struktur. In meiner Analyse hat es festgestellt, daß die verschiedene Bedeutungen der Polysemie aus der Prototypen-Bedeutung durch die Qualia Struktur generiert, erweitert werden ko¨nnen. Es gibt eine Regularita¨t in der Bedeutungserweiterung. Beim Agens- Argument, wird [MAN] → [BELEBEN] → [LEBLOSE], beim Objekt-Argument, wird [KONKRETI → [ABSTRAKT] erweitert. In meiner Analyse wird auch bekannt, daß TELIC auf die Bedeutungserweiterung der Verben "bringen", "geben", "nehmen" schwenviegende Einflu¨sse ausu¨bt.

      • 한국어 모양 명사의 어휘의미론적 연구

        셰화 서울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1

        인간이 시각적으로 지각하는 내용은 공간 속에 존재하는 대상의 빛, 모양, 크기, 위치이다. 대상의 모양을 나타내는 단어에는 ‘크다’, ‘작다’, ‘두껍다’, ‘얇다’ 등의 형용사나 ‘반짝’, ‘벌떡’, ‘아장아장’, ‘깡충깡충’ 등의 부사 외에도, ‘달걀모양, 선모양, 세모꼴, 네모꼴, 배꼴’, ‘외형’, ‘모습’, ‘외모’, ‘생김새’, ‘몸매’, ‘맵시’, ‘티’, ‘태’ 등과 같은 명사들이 있다. 이런 명사들은 주로 사람이나 사물의 형상(形狀), 생김새, 자세(姿勢)나 태도(態度)를 의미한다. 본고는 이처럼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 인간이 시각으로 지각하는 그들의 생김새, 형상(形狀), 자세(姿勢)나 태도(態度) 등을 의미하는 명사를 모양 명사라고 명명했다. 한국어에는 이런 모양 명사들이 많이 존재하며 그중에는 기초적인 어휘도 적지 않다. 모양 명사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형태론적인 연구가 주종을 이룬 반면, 의미론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는 인지의미론의 방법을 이용해서 현대 한국어 모양 명사 각 단어의 어휘의미를 밝히며, 모양 명사들의 의미가 확장되는 방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고의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연구 대상인 모양 명사를 정의하며, 연구 범위를 설정하고, 모양 명사를 분류하며 모양 명사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정리했다. 본고의 제2장은 기본적 논의로서 이론적 배경과 연구 방법을 다루었다. 모양 명사의 의미를 분석할 때 사용하는 원형이론을 소개하며, 고전범주이론과 원형이론의 차이를 밝히고, 다의어의 원형의미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했다. 그 외에도 의미 확장의 기제인 은유·환유이론을 언급했고, 다의어의 복수의미들 간의 의미 관계를 표현하는 도식망 모형을 소개했다. 본고의 제3-5장은 모양 명사를 형성하는 제2요소의 원형의미를 기준으로 나누어진 것이다. 각각의 장에서는 해당하는 모양 명사에 대한 의미들을 고찰했다. 제3장에서는 제2요소의 원형의미가 ‘형(形)’[=형상(形狀), 생김새]인 모양 명사 ‘(X)모양(模樣)’, ‘(X)꼴’, ‘X형(形)’, ‘X상(狀)’, ‘X새’를 다루었다. 제4장에서는 제2요소의 원형의미가 ‘용(容)’(=얼굴 생김새)인 모양 명사 ‘(X)모습’, ‘(X)상(相)’, ‘X모(貌)’, ‘X용(容)’을 다루었다. 제4장에서는 제2요소의 원형의미가 ‘태(態)’[=자태(姿態), 태도(態度)]인 모양 명사 ‘(X)맵시’, ‘X매’, ‘(X)매무새’, ‘(X)티’, ‘(X)태(態)’, ‘X가짐’, ‘(X)품’을 다루었다. 본고의 제6장에서는 모양 명사의 전반적인 의미 확장 패턴을 ‘구체적인 의미에서 추상적인 의미로’, ‘중립적인 의미에서 긍정, 부정의미로’, ‘구체적인 의미에서 이미지적인 의미로’, ‘어휘적인 의미에서 문법적인 의미로’ 등의 네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고찰했다. 제7장은 이 글의 결론으로서 본론의 논의를 요약하며 논문의 의의 및 남은 연구 과제를 제시했다. 본고는 모양 명사에 대한 체계적인 어휘의미론적 연구를 했으며, 각 모양 명사들의 의미가 변화되는 방향과 그것들이 추상화되는 과정을 설명함으로써, 모양 명사에 대한 연구의 공백을 메웠다는 데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모양과 관련된 한국어 속담, 모양을 인지하는 심리 연구 등의 후속 연구에서도 유의미한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고는 개별 모양 명사의 사전의미를 수정하는 데에도 기본적인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보조사 ‘은/는’의 인지언어학적 의미 기능 연구

        홍수영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99

        In this study, it is examined how the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is actually used. It is intended to clarify the semantic function of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from the viewpoint of cognitive linguistics. In other words, the semantics of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clarified in existing studies, such as ‘contrast, topic, emphasis, thematization, and deulchum(들춤)’, refers to the extension meaning derived from the prototype meaning of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according to the elements of discourse and situation. It is clarified that the prototype meaning of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refers to ‘windowing marker’. In Chapter Ⅱ,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ognitive linguistics is introduced to clarify the prototype meaning of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The ‘figure, ground and profiling’, the ‘prototype theory and radial categories’ and the ‘construction grammar and attentional system’ of the cognitive linguistics are introduced. And then, it is examined how such theories are applied to sentences. In Chapter Ⅲ, it is examined how the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is actually used, in three aspects. First, In case the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is combined with arguments, it refers to subject + ‘eun/neun(은/는)’, object + ‘eun/neun(은/는)’, obligatory adverbial + ‘eun/neun(은/는)’, and complement + ‘eun/neun(은/는)’, depending to what is the component of argument. In existing discussions, the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used in the position of subject represents ‘topic’ or ‘theme’. However, it seems to mean ‘topic’, just because it is placed in the ‘first position of a sentence’. The prototype meaning of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therefore, dose not refer to ‘topic’. When the speaker's attention is on the argument of a sentence, the argument is windowed and the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is used for such windowing. In this case, the meaning of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is explained as ‘windowing marker’. Second, in case the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is combined with adjuncts, it refers to optional adverbial + ‘eun/neun(은/는)’ and determiner + ‘eun/neun(은/는)’. The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realized in the position of adjunct may be interpreted as the meaning of ‘contrast’ or ‘emphasis’ by some researchers. In this case, the meaning of ‘contrast’ or ‘emphasis’ does not refer to the prototype meaning of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but extension meaning thereof according to the elements of discourse and situation. With regard to determiners, the use of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is very limited. It can be combined only with determiners [whole-part] and [object-feather]. When the speaker's attention is on the adjunct of a sentence, this adjunct phrase is profiled and windowed, where the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is used for such windowing. In this case, the meaning of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combined with the adjunct is explained as ‘windowing marker’. Third, in case the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is combined with verbs, it refers to main verb + ‘eun/neun(은/는)’ + auxiliary verb, main verb + ‘eun/neun(은/는)’ + main verb(pro-verb ‘hada(하다)’), adnominal ending of embedded sentence + ‘eun/neun(은/는)’, and connective ending of conjunctive sentence + ‘eun/neun(은/는)’. In case of embedded sentences, the use of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is limited to the noun clause and the quotative clause. In case of conjunctive sentences, the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is combined only with antecedent clause of subordinate sentence. When the speaker's attention is on the verb of a sentence, this verb is windowed and the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is used for such windowing. In this case, the meaning of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combined with the verb is explained as ‘windowing marker’. In Chapter Ⅳ, it is examined the prototype meaning and extension meaning of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based on the usage thereof in a sentence. First, the prototype meaning of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is clarified by presenting the frame of realization of process thereof. The prototype meaning of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is analyzed by ‘windowing function with elements of dicourse and situation added in sentence structure by speaker’. The prototype meaning of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derived therefrom does not refer to the lexical meaning, but the relational meaning or the grammatical meaning. Second, in the preceeding research, ‘emphasis, contrast, and topic’ defined as meaning of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is explained as extension meaning. And, the conditions to be interpreted as extension meaning are presented. The relations between the prototype meaning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and the extension meaning thereof is shown in <Figure 14>. Therefore, the protype meaning of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used in a sentence is windowing marker. It is also interpreted as extension meaning such as ‘emphasis’, ‘contrast’, and ‘topic’ according to the elements of discourse and situation. The interpretation of meaning extended from prototype meaning of auxiliary particle ‘eun/neun(은/는)’ dose not have cleary defined boundary. 이 논문에서는 보조사 ‘은/는’이 실현된 용법들을 살펴보고,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보조사 ‘은/는’의 의미 기능을 밝히고자 하였다. 즉, 기존의 연구에서 보조사 ‘은/는’의 의미로 밝힌 ‘대조, 화제, 강조, 주제화, 들춤’ 등의 의미들은 담화·상황적 요소에 의해 보조사 ‘은/는’의 원형의미에서 파생되는 확장의미이다. 보조사 ‘은/는’의 원형의미는 창문화 표지임을 밝히고 있다. Ⅱ장에서는 보조사 ‘은/는’의 원형의미를 밝히기 위해 인지언어학의 이론적 배경을 소개했는데, 인지언어학의 ‘전경·배경과 윤곽부여’, ‘원형이론과 방사범주’, ‘구문문법과 주의 체계’ 이론 등을 소개했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들이 국어 문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보조사 ‘은/는’이 실현된 용법을 크게 세 가지의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논항과 결합하는 보조사 ‘은/는’은 논항의 성분이 무엇이냐에 따라 주어+‘은/는’, 목적어+‘은/는’, 필수적 부사어+‘은/는’, 보어+‘은/는’으로 실현된다. 기존의 논의들에서 주어 자리에 실현된 보조사 ‘은/는’이 ‘화제’ 또는 ‘주제’의 의미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는 ‘문두’라는 위치적 특성 때문에 ‘화제’의 의미로 기능하는 것처럼 보일 뿐이며, 따라서 보조사 ‘은/는’의 원형의미가 ‘화제’라고 볼 수는 없다. 한 문장에서 화자의 주의가 논항에 놓이게 되면 그 논항은 창문화되어 보조사 ‘은/는’이 실현되고, 이때 논항에 실현된 보조사 ‘은/는’의 의미는 ‘창문화 표지’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 부가어와 결합하는 보조사 ‘은/는’은 수의적 부사어+‘은/는’, 관형어+‘은/는’으로 실현된다. 부가어 자리에 실현된 보조사 ‘은/는’은 연구자에 따라서 ‘대조’나 ‘강조’의 의미로 해석하기도 하는데, 이때 나타나는 ‘대조’나 ‘강조’의 의미는 보조사 ‘은/는’의 원형의미가 아니라 담화·상황적 요소에 의해 나타나는 보조사 ‘은/는’의 확장의미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부가어 가운데 관형어에는 보조사 ‘은/는’이 매우 제한적으로 실현된다. [전체-부분], [대상-속성]의 관형어에만 보조사 ‘은/는’이 결합할 수 있다. 한 문장에서 화자의 주의가 부가어에 놓이면 그 부가어 구문에 윤곽이 부여되어 창문화된다. 이때 창문화 표지는 보조사 ‘은/는’에 의해 실현되며, 부가어에 실현된 보조사 ‘은/는’의 의미 또한 ‘창문화 표지’로 설명할 수 있다. 셋째, 용언과 결합하는 보조사 ‘은/는’은 본용언+‘은/는’+보조용언, 본용언+‘은/는’+본용언(대동사 ‘하다’), 내포문 전성어미+‘은/는’, 접속문 연결어미+‘은/는’으로 실현된다. 이들 가운데 내포문의 경우 보조사 ‘은/는’이 결합할 수 있는 것은 명사절과 인용절로 제한된다. 접속문의 경우에는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의 선행절에만 보조사 ‘은/는’이 결합할 수 있다. 한 문장에서 화자의 주의가 용언에 놓이게 되면 그 용언은 창문화되어 보조사 ‘은/는’이 실현되며, 이때 용언에 실현된 보조사 ‘은/는’의 의미는 ‘창문화 표지’로 설명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보조사 ‘은/는’이 실현된 용법들을 토대로 하여 보조사 ‘은/는’의 원형의미와 확장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보조사 ‘은/는’이 실현되는 과정 프레임을 제시하면서 그 원형의미를 밝혔다. 보조사 ‘은/는’의 원형의미는 ‘화자가 구문에 담화·상황적 요소를 첨가하여 창문화시키는 기능’으로 분석하였다. 여기에서 도출되는 보조사 ‘은/는’의 원형의미는 어휘적 의미가 아니라 관계적 의미 또는 문법적 의미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선행연구에서 보조사 ‘은/는’의 의미로 규정되던 ‘강조, 대조, 화제’의 의미는 보조사 ‘은/는’의 확장의미로 보았다. 그리고 보조사 ‘은/는’이 확장의미로 해석되는 조건을 제시하였다. 또한 보조사 ‘은/는’의 원형의미와 확장의미들 간의 관계를 <그림 14>와 같이 나타내었다. 따라서 국어 문장에 실현되는 보조사 ‘은/는’의 원형의미는 ‘창문화 표지’이며, 담화·상황적 요소에 따라 ‘강조’, ‘대조’, ‘화제’ 등의 확장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보조사 ‘은/는’의 원형의미에서 확장된 의미들은 그 의미 해석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다.

      • 명사 {어머니}의 형식과 의미 확장

        김광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86

        이 논문은 한국어 명사 {어머니}의 형식과 의미 확장을 인지의미론의 관점에서 탐구한다. {어머니}는 호칭어로 사용되는 어휘로서 언어 사용자 의 경험이 의미 확장에 큰 영향을 미치며 개인에 따라 매우 다양한 의미망을 가진다. 이 논문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이 연구의 대상 및 목적과 선행연구, 이론적 배경 그리고 연구 방법을 논의한다. 제 2장에서는 {어머니}의 단일형식과 복합형식의 사용에서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을 논의한다. 제 3장에서는 {어머니}의 원형의미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어머니}의 형식·의미 확장의 모습을 확인하도록 한다. 제 4장에서는 {어머니}의 유의어 자격을 가진 {어미/ 엄마/ 어머님/ 모(母)}의 형식·의미 확장이 원형의미를 중심으로 어떤 모습을 보이며 확장·사용되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이 연구는 {어머니}의 원형의미 파악과 유의어의 의미 확장 유형을 확인하여 한국어 사용자가 인지하는 {어머니}의 형식·의미 확장 모형의 악을 목표로 한다. This report intends to dig deep into the form and the extended meaning of {어머니 emeni} the Korean word for mother from cognitive meaning point of view. {어머니 emeni} is used as an address form. The user‘s personal experience influences significantly on the extended meaning and has various semantic network by individuals. The composition and the content of this report are as follows: In the first chapter, the subject of the research, goal and preliminary research, theoretical backdrop and the research method are to be discussed: In the second chapter, characteristics that can be identified in the use of single and plural form of {어머니 emeni} will be discussed; In the third chapter, the prototype meaning of {어머니 emeni} will be set forth and the extended form and the meaning of {어머니 emeni} will be confirmed based on this; and in the forth chapter, how “the meaning and the form of {어미 emi/ 엄마 emma/ 어머님 emenim/ 모 mo}”, which are synonymous to {어머니 emeni} extend from the prototype meaning and how they are extended and used will be looked into.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model of extended meaning and form of {어머니 emeni} that is perceived by Korean users with the means of clarifying the prototype meaning of {어머니 emeni} and looking into the types of extended meanings of synonym.

      • 영어 기본동사의 원형의미와 의미확장분석

        정재환 충남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85

        本 論文은 域上寫眞測賃에서 撮影基綿長의 變化가 誤差傳播에 미치는 影響을 규명하여 보다 이상적인 影據條件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P3l測定用 사진기에 依해 얻은 陰晝로 부터 機械座標를 求하고 affine 변환에 의해 寫眞座標를 구해 collinearity condition에 의한 bundle ad-justment로 標定點의 3차원좌표와 標準誤差를 比較 分析함으로써 握影距離에 따른 기선변화가 誤差傳播에 미치는 영향을 直角水平 및 偏心의 경우로 分類하여 考奈하였다. 重複度가 80%에서 70%로 변화할 때 X,Y,2의 標準誤差는 各各 約 9.8%, 24.4%, 30.7%로 감소되며, 70%에서 60%로 변화할 때 X.Y,2의 標準誤差는 5.6 %, 14.8 %, 21.9 %의 감소현상을 나타내므로 기선변화는 淸度解析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또 直角水平인 경우 실제 data에 의한 標準誤差는 simulation標準誤差보다 정도가 양호하나 偏心의 경우는 정도가 낮으므로 攝影方法도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雌上寫眞에서 解情的 方法은 標定에 의한 方法보하 높은 精度의 解析이 能하므로 精密測定을 要하는 各種 構造物의 位置解析에 널리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arious semantic extensions of English basic verbs through the prototype meaning of each word. Based on the semantic analysis of basic verbs in terms of cognitive abilities, this study shows that semantic extensions in each word take place from the prototype meaning of each word with the two universal cognitive mechanisms: metaphor and metonymy The premiss of this thesis is that semantic extensions relate to the context, metaphor and metonymy. In chapter 1, the necessity of semantic extension study and the purpose of this thesis are presented.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semantic extension, especially Rosch's Prototype Theory, is surveyed. In chapter 3, 1 analyze six English verbs which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context-depended verb(do), state verb(have), state . action verbs(get, take), action verb(break, cut). The semantic extensions of the word 'do' is much influenced by the context. Defining its prototype meaning as' to perform or carry out (an action)', we analyze the meanings of 'do' as follows: 1) to act, work, behave, 2) to deal with as the case may require, put in order, 3) to make produce, 4) to play the part of, 5) to cover, traverse, 6) to be satisfactory, be enough, serve, 7) to cheat, trick, swindle, 8) to complete, finish. As to the verb 'have', the prototype meaning indicates not the relationship of possession between the subject and object but a relationship where the subject is with the object. Thus we choose' to be with' as the prototype meaning and explain its various meanings like this: 1) to be in a certain relation to, 2) to possess or contain as a part, characteristic, attribute, etc., 3) to hold in mind, 4) to be affected by or afflicted with, 5)to get, take, receive, or obtain, 6) to carry on, perform, 7) to experience, possess by way of experience, undergo, 8) to consume, eat, 9) to ask somebody to one's home, 10) to bear, 11) to deceive, take in, hold an advantage over, overcome, 12) to cause somebody to do something or something to be done, 13) to allow, permit, tolerate 'Get' is different from 'have' in that the former focuses on the process of possession and the latter rather focuses on the state of possession. The prototype meaning,'to come to have', has eight different meaning groups1) to move to or from a specified point or in a particular direction, 2) (to cause oneself) to become, pass from one state to another, bring to a certain condition, 3) to reach the stage where one is doing something, 4) to catch(illness), 5) to puzzle, catch in an argument, 6) to receive, have, obtain, procure, acquire, 7) .to bring somebody/something to the point where (5)he/it is doing something, 8) to bring, persuade, cause (somebody/some-thing) to do something or act in a certain way. In the case of the verb 'take', it is almost same with 'get' except the point that 'take' is stronger than 'get' in will, positiveness and durability of behavior 'Take' extends its meanings from the prototype meaning 'to grasp and get'. 1 explored its meaning groups as follows: 1) to be effective inaction, operation, desired results, etc., T) to get by action not involving force or skill, 3) to get, adopt, use, etc. by selection or choice, 4) to get from a source, 5) to remove, 6) to make or complete by action, 7) to get and go, 8) to get as offered or due, receive, accept, suffer, etc. The prototype of 'break' is set up as 'to come apart, or destroy the wholeness of' in this thesis. And its meanings are classified into ten groups: 1) to (cause to) separate into parts suddenly or violently but not by cutting or tearing, 2) to come suddenly, 3) to enter by force, to force away (into, out of, or through), 4) denoting breaking and the result, 5) to disobey, not keep, not act in accordance with, 6) to lower in rank or grade,7) to interrupt, destroy the continuity of, 8) to lessen the force of, 9) to get rid of: bring under control, 10) to make known, tell, disclose. Finally the verb,'cut' typically means' to make an opening in as with a sharp-edged instrument'. Both'Cut'and'break'mean'separation in an object' But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at the instrument to cut something is sharp whereas the means of 'break' is not. 1 studied the semantic extensions of 'cut' according to the prototype meaning in Webster's New World Dictionary of the American Language Second College Edition: They indicate 1) denoting penetration or incision, 2)denoting reduction, 3) denoting performance by incision. In chapter 4, 1 conclude that various meanings of a word come from its prototype meaning and they involve the context and cognitive ability of human beings. Thus, 1 suggest that the semantic extensions of a word should be understood in a context through its prototype meaning, and by doing so, we can understand more easily the system of cognition, the patterns of thoughts and cultural factors of a language.

      • 한중 이동동사 의미 대조 연구 : ‘들다’와 ‘?(j?n)/入(r?)’ 및 ‘나다’와 ‘出(ch?)’을 중심으로

        문아동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85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how the two groups of polysemy words, ‘deulda/nada’ in Korean and ‘jìn/rù/chū’ in Chinese are expanded from their prototypical meaning. Also it is another intention of this thesis to contras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deulda/nada’ in Korean and ‘jìn/rù/chū’ in Chinese.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based on dictionary meanings we first analysed the meaning characters of ‘deulda/nada’ and ‘jìn/rù/chū’ according to expansion principle in chapter 2. In chapter 3 based on the meaning characters, we analyse and compared the prototypical meaning and extended meaning of ‘deulda’ in Korean and ‘jìn/rù’ in Chinese on the base of expansion principle. Firstly, the analysis and comparison were carried out with those words used as prototypical meaning after ‘deulda’ and ‘jìn/rù’ prototypical meanings were confirmed. And then we examinde how the other meanings of those word were extended from the prototypical meaning according to expansion principle. on the basis of these type of expansion we contrasted between ‘deulda’ and ‘jìn/rù’ extended meanings. In chapter 4 the meanings of ‘nada’ in Korean and ‘chū’ in Chinese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analysed meaning characters. The analysis method here was the same with the method in chapter 3. Finally, in the chapter 5 as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we summarized the content of the previous discussion. And the unsolved problems were also mentioned. Key words: deulda/nada, jìn/rù/chū, prototypical meaning, extended meaning, expansion principle Students ID: 201450774

      • 한국어 ‘떨어지다’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왕기 동국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83

        본 연구는 한국어 ‘떨어지다’를 대상으로 인지의미론과 인지문법을 함께 참고하여 한국어 다의 동사 ‘떨어지다’의 원형의미와 주변의미를 밝힌 후 중국어 대응 양상을 검토할 것이다. 먼저, ‘떨어지다’의 원형의미를 검토하기 위하여 Tyler & Evans(2003)에서 제시한 원형의미의 결정하는 기준, 한국어 사전에서 첫 번째로 제시한 의미, ‘사용 빈도’의 3가지 방법을 참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전 뜻풀이와 빈도 사전을 참고할 것이다. 주변의미는 원형의미를 통하여 재분류하고 선별하여 제시할 것이다. 그 후 한국어 ‘떨어지다’의 중국어 대응 표현을 제시하고 한국어 소설과 그 중국어 번역본을 통해 ‘떨어지다’가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원형의미와 주변의미를 정리하고 실제 사용 예시를 살펴본다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더욱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각 장의 내용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인지언어학 이론을 바탕으로 다의 동사 및 ‘떨어지다’에 관한 선행 연구를 정리하였다. 그 후 연구 대상과 구체적인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인지언어학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어 다의 동사 ‘떨어지다’를 분석하기 위해 ‘원형이론(prototype theory)’, ‘은유(metaphor)’, ‘다의어(polysemous word)’와 인지문법의 ‘바탕(base)과 윤곽(profile)’, ‘영상도식(image-schema)’, ‘탄도체(trajector)와 지표(landmark)’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볼 것이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 ‘떨어지다’의 의미를 밝히기 위해서 표준국어대사전(1999), 고려대 한국어대사전(2009), 연세 한국어사전(1998)을 참고하여 3권의 한국어 사전에 등재된 의미 항목과 예문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후 ‘떨어지다’의 원형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Tyler & Evans의 원형의미의 결정하는 방법, 사전에서 첫 번째로 제시한 의미, ‘사용 빈도’의 3가지 방법을 참고하여 ‘떨어지다’의 원형의미를 확정할 것이다. ‘떨어지다’의 원형의미를 확정한 후에는 주변의미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떨어지다’의 의미망을 제시하고, ‘떨어지다’와 ‘내리다’를 비교하여 두 단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볼 것이다. 제4장에서는 한국어 동사 ‘떨어지다’의 중국어 대응 양상을 검토할 것이다. 한국어 동사 ‘떨어지다’의 중국어 대응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 한중대사전(1992), (進明)韓中辭典(2000), 韓中辭典(2008), 엣센스韓中辭典(2013) 4권의 한·중 사전과 중·한 사전 中韓大辭典을 참고하여 살펴볼 것이다. 그 후 한국 소설과 그 중국어 번역본을 함께 참고하여 관련된 예문을 제시할 것이다. 이를 살펴보며 한국어 ‘떨어지다’의 중국어 기존 대응 표현 및 간접 대응 표현을 분석하겠다. 제5장에서는 본론에서 언급한 주요 내용을 요약한 후에 본 연구의 의의, 향후 연구를 제시할 것이다.

      • 한국어 ‘가다’와 베트남어 ‘Đi’의 인지의미론적 대조 연구

        레티화이응옥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8670

        The Contrastive Study On The Cognitive Meaning Of Korean ‘Kata’ and Vietnamese ‘Đi’ There are many languages that contain an enormous amount of multiple meaning words. Clearly understanding their meaning in each conversation is significantly important to foreign language learners. Researching on polysemy has become the subject of great interest in the language lexicography, especially in education. Recently, polysemy has been also a semantic point of view in research studies. This research aims to stud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prototype meaning and extended meaning between two verbs ‘Kata’ in Korean and ‘Đi’ in Vietnamese on cognitive linguistics. The entire contents of the study have six chapters as follows. Chapter I pres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excitements and the issues that this research would explore by reviewing preliminary studies on ‘Kata’. Chapter Ⅱ refers theoretical backgrounds from four points of view; acquisition of a polysemy word, the principle, the reason and the condition of the extended meaning. these theoretical background prepare the groundwork for the study. Chapter Ⅲ is a meaning comparison between ‘Kata’ in Korean Dictionary and ‘Đi’ in Vietnamese Dictionary. The results shows that both ‘Kata’ and ‘Đi’ have nine meaning in common. However, ‘Kata’ has totally twenty-one different meanings while Đi’ has 9 different meanings. Chapter Ⅳ is an important part of this research, which inspect and contrast the prototype meaning and extended meaning between two verbs ‘Kata’ and ‘Đi’. First of all, ‘Kata’ and Đi’ has all prototype meaning of ‘ People move from one place to one another place’ and draw a picture about the prototype meaning of ‘Kata’ and Đi’. It present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extended meaning of both two verbs. Basically, ‘moving of space’, ‘moving of time’ and ‘moving of abstraction’ were presented by Chi-ryong Im in 1997 as there extended meaning.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extended meaning of both of both words, the extension mechanisms were mainly found to be derived by means of metaphor of each object. The differences about extended meaning are caused by multiple factors, especially by the difference of thoughts, and cultural and social history between two countries. Chapter Ⅴ examines the meaning of ‘Kata’ and ‘Đi’ as an auxiliary verb. 'Kata' and ‘Đi’ has all "Duration of action" as an auxiliary verb. In Vietnamese, when ‘Đi’ is written behind an other verb, it shows a command meaning and when ‘Đi’ is written behind an other adjective, it shows admiration meaning but ‘Kata’ has not shown this meaning. In Korean, when ‘Kata’ is written behind an other verb, Its shows ‘repetition of the operation’ but ‘Đi’ has not shown this meaning. Finally, Chapter Ⅵ present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for future research. Through this study, learner will understand more about the polysemy of ‘Kata’ and ‘Đi’ and also use them correctly. Moreover, when studying an another, leaner not only learn how to use the language, but also the culture, history, and people thoughts of the countries using that language. This sis the first researching project and it could be considered as a first step on the way of studying the polysemy of words between tow langu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