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풍수원리에 따른 도시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엄기헌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문 초록> 風水原理에 따른 都市評價 모형에 관한 硏究 嘉泉大學校 大學院 都市計劃學科 都市計劃學 專攻 嚴 基 憲 풍수지리는 약 2천 여 년 이상의 세월 동안 주례고공기와 더불어 동양의 도시계획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실제 도시건설에서도 막대한 영향력을 끼쳤다. 서울이 그러하고 북경, 남경, 장안(서안) 등이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풍수지리는 궁극적으로 사람과 자연의 합일을 추구하는 사상적 기반 아래 산과 수, 그리고 명당(토지)라는 자연을 대상으로 인간의 이상적 환경과 생태적 계획을 추구하여 왔다. 그러나 20C에 들어서면서 서세동점의 시대적 조류에 따라 동양의 도시들도 서구의 도시계획과 서양의 근대도시 모형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풍수는 일시에 고유한 자리를 잃고 말았다. 이에 따라 동․ 서양을 막론하고 전 지구적 차원에서 도시공간의 구성과 조직, 도시문화 양상이 획일적으로 서구화 되었다. 이렇게 서구화된 현대도시가 고도의 과학기술과 공학이 편리함을 사람들에게 제공하고 있지만, 현대도시가 전문가 만에 의한 도시, 일부 사람만이 중시되는 도시, 자본만이 중시되는 도시에 대한 반성이 거세게 일어나고, 오늘날에는 서구에서도 생태환경도시, 환경친화적 도시, 공공서비스 도시, 인간적 도시가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반성의 흐름 속에서 토지를 단순한 공간 분할대상인 물적인 토지로 바라보는 기존의 서구적 시각에서 벗어나, 토지를 살아있는 생명력을 지닌 유기체적 존재로 인식하고 사람과 자연의 하나 됨을 주창하는 풍수지리가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풍수지리가 이론이 난해하여 일반이 쉽게 접근할 수 없고 또 알기 어려운 전문용어 등으로 그 역시 일부 전문가(일부 전문가는 혹세무민하는 술사이기도하다)만에 의한 주관적인 심지어 독선적인 운용과 해석이 만연하였다. 게다가 풍수적 도시평가는 주로 산줄기에 대한 서술식의 막연한 평가로, 용혈사수향의 전통적 풍수이론에 따른 대상지의 개별적 구체적 분석이 결여되어 있다. 그에 따라 어떤 도시가 얼마나 풍수적으로 길상한 지 가늠할 수 없고 복수의 도시에 대하여 상대적 우위도 평가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동양에서 오랜 세월동안 중요한 도시계획원리였던 풍수원리를 기초로 기존 풍수적 평가의 주관성과 모호성을 극복하고, 풍수에 관한 기초적 지식과 소양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어떤 도시를 대상으로 풍수적인 측면에서 얼마나 길상한지를 가능한 한 객관적이고 쉽게 가늠할 수 있도록 평가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먼저 국내․ 외의 학자들에 의한 광범한 풍수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섭렵하고 이를 수집,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인 풍수적 평가모형을 구성하는 분석의 틀로는 <전통적인 고전 풍수원리>와 <현대적 풍수 10원칙>을 토대로 삼아 각각의 이론을 심층․검토하였다. <전통적인 고전 풍수원리>는 국내․ 외의 대다수 연구자들이 전개하는 ‘용·혈·사·수·향의 전통적 이론 분류 체계에 따라 용의 원리, 사의 원리, 수의 원리, 혈의 원리를 순차 정리하였고 일반 풍수에서 잘 다루지 않지만 도시평가에 꼭 필요한 도로풍수이론을 추가 정리하였다. 이렇게 광범한 <풍수이론의 기초사상>과, <전통적인 고전 풍수원리>, <현대적 풍수 10원칙> 그리고 <이상적인 풍수격국도>를 종합하여 도시를 대상으로 하는 풍수적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은 형파적 이론 바탕 위에서 6부문, 23항목, 65지표라는 평가분석 기준을 설정하고 부문별 항목별 상호 간에는 상대적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 부여하였다. 평가 틀은 먼저 전통적 풍수원리에 따라 평가대상 도시공간의 범위를 나누어 먼저 배후의 형세를 관찰하는 <내룡 및 주산>부문, 도시 내 좌우와 전방의 산의 형세를 관찰하는 <찰사>, 도시 내 물길의 길흉을 평가하는 <관수>, 그리고 사신사로 둘러싸인 도시공간의 형세를 관찰하는 <정혈 및 명당>으로 나누고, 풍수적으로 완전한 땅이 없는 만큼 도시공간의 풍수적 결함을 구성원들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고쳐 쓰고 보완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풍수비보노력> 부문의 5개 부문으로 구분하였다. 여기에 다시 현대풍수 10원칙 중 위 전통적 5개 부문 분류체계와 중복되지 않으면서 해당 도시의 정체적 풍수상황을 살필 수 있는 정체계통, 인지제의, 의산방수, 적중거중 4원칙과 이상적 풍수격국에서 도출되는 정체 풍수적 환경인 봉폐적 환경을 평가항목으로 삼아 <총칙>부문을 설정하여 모두 6개 부문으로 대별하고, 23항목, 65지표로 세분화한 풍수적 평가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65지표에 대한 원칙적인 5단계 평가척도기준을 마련하고, 각 지표 설정에 대하여 국내․외의 저서에서 설정근거를 찾아 제시함으로써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려고 하였다. 아울러 개발된 평가 모형에 따라 역

      • 適法節次原理의 韓國的 受用에 관한 硏究

        김태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1987년의 헌법 개정에서 '신체의 자유' 조항에 '적법한 절차'라는 구절을 추가함으로써 영미법상 핵심법리인 적법절차원리의 도입이 본격화되었다. 적법절차원리는 전단적인 국가권력행사를 제한하는 영미법상의 법원리로서 시대에 따라 때로는 국가권력행상의 절차적 측면을 때로는 국가권력행사의 실체적 측면을 규율하여 왔다. 이러한 적법절차원리는 시대의 변천과 사법심사에서의 해석이론에 따라 변화하는 내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의미를 확정하기는 어려우며 오늘날에도 그 내용은 발전하고 있다. 한편 우리 헌법은 구체적인 기본권 규정과 대륙법계 법원리인 법치국가원리나 죄형법정주의 등의 기본권 보장원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 헌법에서 적법절차규정이 가지는 의미는 영미의 그것과는 다르다. 그러나 어떻게 수용하는냐에 따라서 그 수용의 긍정적인 효과는 커질 수도 미미할 수도 있다. 적법절차원리를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명문의 규정을 도입하게된 목적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1987년 헌법 제12조 제1항에서 국가권력행사를 기속하는 근거 규범으로서 법률과 더불어 '적법한 절차'를 규정한 주요한 목적은 법률에 따른 형벌권의 행사라고 할 지라도 기본권을 침해하지 않는 한도에서만 인정될 수 있음을 강조하여 형사 절차에서 신체의 자유에 대한 보호를 두텁게 하려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 헌법이 대륙법계 법원리에 기초하고 있던 까닭에 국가권력행사에 있어서 실체적 정의에 비해 절차적 정의가 경시되어 왔는데 이러한 점을 보완하려는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따라서 적법절차원리의 한국적 수용의 바람직한 모습은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헌법적 원리의 수용은 그 원리를 뒷받침하는 적절한 입법을 통하여 시작될 수 있지만 완성은 법관들의 원용과 해석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적법절차원리가 효과적으로 수용되기 위해서는 법관들이 적극적으로 원용하고 해석하는 태도가 필수적이다. 그리고 그 해석은 기존의 법원리와 조화를 이루는 한도에서 기본권의 최대보장과 절차적 정의의 확보라는 목적에 이바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형사 절차에서는 진실 규명을 포기하고라도 인권을 보호하여야 하고, 입법 절차에서 절차적 정당성을 가지지 못한 법률은 위헌이라고 판단하여야 하며 또한 행정 절차에서 이해당사자의 청문은 도구적인 요소가 아니라 본질적인 요소라고 보아야 한다. 한편 헌법재판소는 국가행위의 실체적 정당성 여부를 적극적으로 심사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심사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만약 미연방대법원의 이중기준원칙을 우리의 헌법재판에 도입한다면 인격권에 대한 제한에는 권한 행사의 수단과 목적사이에 실체적인 견련성이 있을때에만 합헌성을 인정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이 경우 위헌성이 의심되는 법률에 대해서 위헌이 아니라고 판단하기 위해서는, 헌법재판소는 제한 수단과 목적사이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구체적으로 증명할 의무를 진다. 우리 헌법에서 적법절차원리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행정절차법상의 추상적인 법률요건은 구체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헌법상 적법절차조항에 생명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것은 법관들의 창조적인 법해석이다. 법률의 의미가 불분명하거나 법의 적용이 실질적으로는 기본권 보호에 역행하는 경우, 법규의 의미를 시대의 가치와 인권 수호의 이념에 맞게 창조하고 재해석하는 그들의 노력이야말로 적법절차이념의 실현을 위한 지름길이다. It is initiated to introduce 'due process of law' which is the core principle in the American constitution by adding the clause, 'lawful process' in the Korean constitution in 1987. This principle has been interpreted as imposing two separate limits on government, usually called "procedural due process" and "substative due process." Procedural due process, as the phrase implies, refers to the procedures that the government must follow before it deprives a person of life, liberty, or property. Substantive due process, as the phrase connotes, asks whether the government has an adequate reason for taking away a person's life, liberty, or property. However, the detail of the principle has been transformed into variable meanings keeping with the needs of the times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supreme court. Thus, it is hard to find the definition of due process of law. Due to changeable concept of due process of law, it can be interpreted in many different ways in the Korean constitution. Also, depending on how it is applied, the positive effect of adapting it to the Korean constituion is big or small. Finding the best way to apply it in the Korean constitution, it is important to know the purpose for what substanive enactment was made in korean constitution. Firstly, it intends to guarantee the personal liberty strongly in the criminal procedure by emphasizing that even if justice administration is made according to the law, it can be permitted as far as it doesn't invade constituional right. Secondly, it purports to fix the situation that procedural justice is treated lightly as the Korean constitution is based on the legal principles of Continental law, which is tend to be focused on substantive justice. Therefore only if these intentions are accomplished, 'due process of law' can be incorporated successfully into korean constitutional system. The adaptation of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may be started by appropriate legislation but it should be completed by appl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courts. For this reason, courts are required to deal with it actively. Furthermore, interpretation of the courts should serve the purpose of maximum preservation of human right and establishment of procedural justice as long as it can be harmonious with already established constitutional principles. Thus, the court should pursue that human right must not be infringed even if the truth has to be sacrificed and the law should be declared uncostitutional if it is made without following the elements of procedural due process. And then, hearing and notice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instumental elements but also fundamental elements in terms of procedural due process. Also, to examine if the state action answers to the substative due process,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needs to establish the standards for the close examination of it. For example, if 'double standard principle' of the u.s. supreme court is applied to korean constitional trial, the constitional court should prove thoroughly there is substantially close connection between means and ends of the restriction on the human right to declare it is not unconstitutional. In addition, lawmaking is necessary to support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of law. Especially, some abstract provisions in the law of administrative procedure is required to be specified. When the meaning of the law is unclear or the application of it actually goes against human right, it is the duty of the courts to reinterpret the law and create one more applicable. Therefore, energizing the provision of due procee of law is ultimately the creative interpretation of our constitution by the courts.

      • 道德原理로서의 正義와 사랑의 關係性

        이형배 韓國敎員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세상이 혼탁하다. 도덕성이 상실되고 도덕 불감증에 걸려 도덕 부재의 상태에 처해 있다. 도덕이 무엇인가? 사람으로서 마땅히 행해야 할 의무로 개인적, 사회적 삶 속에서 실천하기 위한 행동규범이다. 왜 도덕이 무너지는가? 도덕원리가 잘못 정립되어 있거나 도덕원리대로 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면 도덕원리는 무엇인가? 도덕적으로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이다. 도덕적으로 살지 않는 것은 왜 그런가? 도덕적 가치를 소홀히 하거나 도덕적 가치에 대하여 무지하기 때문이다. 도덕적 가치는 무엇인가? 그것은 정의와 사랑이다. 정의와 사랑은 도덕의 기본이요, 삶의 표준이다. 그러면 정의란 무엇인가? 도덕적으로 바르고 현실적으로 마땅히 의무를 이행하는 것이다. 정의는 당연히 누려야 할 권리를 찾는 것이요, 당연히 받아야 할 몫을 돌려주는 것이다. 정의는 각자에게 제몫을 돌림으로써 각인을 평등하게 대우한다는 것이다. 또한 정의는 공익을 추구하며 개인과 사회가 공동선을 이루는 것이다. 정의롭지 못한 까닭은 왜 그런가? 인간의 탐욕과 이기심 때문이다. 정의로워지는 요건은 무엇인가? 그것은 힘이요, 평등이다. 정의를 구현하는 데는 통제력이 필요하며, 그 힘은 인간의 개인적 자유와 평등의 기본권을 보장해 주는 것이다. 정의는 약자들의 권리를 회복해 주는 것으로 억강부약의 원리가 적용되어야 한다. 이처럼 정의는 어지러운 질서를 바로 세우고 나와 너의 몫을 구별지어 주는 것이다. 정의는 평등을 기본으로 한다. 그러나 그것은 공정으로서의 정의요, 형평으로서의 정의이며, 그 정의는 비례적 평등에 있다. 이와 같이 정의는 인간의 기본권을 존중하는 것이요, 몫을 균등히 하는 것이다. 요약하면 정의는 평등, 공정, 기본적 인권의 존중이요, 도덕 가치 중에 우선적 가치이고, 도덕 원리중의 기본 원리이며, 우리가 추구하고자 하는 도덕적 이상이다. 그러나 정의만으로는 부족하다. 정의는 인간 사회를 딱딱하고 냉정하게 만든다. 냉정한 사회에 온기와 윤기를 불어 넣어주는 것이 바로 사랑이다. 사랑은 정을 주는 것이다. 사랑이란 타자에게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주고자 하는 마음이다. 사랑은 이웃에 대한 봉사요, 숭고한 자기 희생이다. 사랑의 형태에는 본능적인 에로스와, 인격적인 필리아, 그리고 헌신적인 아가페가 있다. 사랑은 자기사랑과 이웃사랑으로 나눌 수 있다. 자기사랑은 나 자신만을 사랑하는 이기주의와는 다르다. 나 자신도 사랑하는 자기사랑은 이웃사랑으로 승화·발전되어야 한다. 이웃사랑은 필리아가 확대됨으로써 봉사와 자비의 인류애로 나타난다. 사랑은 행위의 동기를 고려하며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사랑은 남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요, 남을 이해하는 것이요, 남에 대하여 책임을 지는 것이다. 사랑은 이웃을 배려하는 것이요, 용서하는 것이요, 소중한 것을 아낌없이 바치는 것이다. 이처럼 사랑은 이타적이며, 삶의 의미를 불어 넣어주는 도덕적으로 가장 중요한 가치이다. 그러나 사랑만을 강조하면 정에 치우치기 쉽다. 정의와 사랑은 정의윤리와 배려윤리에서 비교될 수 있다. 길리건은 콜버그식의 공정성과 평등이라는 권리론적 정의윤리에 강력한 비판을 제기하면서 따뜻한 관심과 보살핌이 아울러 필요하다는 배려윤리로서의 도덕적 성숙론을 주장한다. 타인에 대한 배려의 본질은 사랑의 보살핌으로 볼 수 있고, 이것은 도덕적인 최상의 원리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이 도덕원리로서 정의와 사랑의 관계는 대립적 관계라기보다는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다. 정의는 사랑을 목적과 기초로 해야만 항상 진정한 정의의 모습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정의를 떠나서 사랑을 생각할 수 없고, 사랑을 무시하고 정의만을 고집할 수도 없다. 정의는 사랑의 방법으로 해야 하고, 사랑을 실천하려면 정의롭게 하여야 한다. 어느 하나만이 옳다고 강조하는 것은 일면적 관찰이다. 이는 상호 보완할 때 완전한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이상적 사회를 건설하는데는 정의와 사랑이 확립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의와 사랑은 보편타당한 도덕원리로서 우리 생활의 원리요, 목표이며 수단이다. 정의와 사랑은 상보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우리가 바라는 도덕적 이상사회를 추구할 수 있는 것이다. It is the corrupt world. It is absent from morality. Many people have taken of symptoms of moral frigidity and it is away from moral. What is moral? It is the duty that ought to do as a man. It is behavior norm to act in private and social life. Why the moral collapses? The moral principle is a bad thesis or it is because we don't live according to a moral principle. What is the moral principle? It is a standard which judge right or wrong morally. Why they don't to follow moral? Because they neglect moral value or ignore about it. What is it the moral value? It is the justice and the love. They are the basis of moral and the standard of life. And then what is justice? It is the right morally and it is to perform own duty. Justice is ought to pursue own right and to return other allot rightly. Justice is to treat equally everyman by return everyman's allot rightly. And it is to pursue the common benefit and to make the public good. Why it is to be wrong? Because it is man's desire and egoism. What is item of justice? It is the power and equality. It is need the power for control to realize justice. The power is to admit private freedom and other fundamental right of equality. Justice is to regain and to apply right the principle coerce the strong and help the weak. Thus Justice is to establish order straight and to distribute each person own allot. The equality is essential in justice. But it is the justice as fairness, as equity and it is equality of proportion. Thus the justice is to respect man's basic right and to devide equal share. Briefly the justice is equality, fairness, to respect the rights of man. The justice is prior value of moral value, and it is a basic principle of moral principles, and it is moral idea to pursue. But it is not sufficient for justice to satisfy. The justice make man's society hard and cool. It is the love that make man's world peaceful and satisfactory. Love is to give affection. Love is a mind that tend to give good spontaneously and positively to others. Love is a service for neighbour and is a great personal victim for sacrifice. A class of the Love is eros by instinct, philia by character and agape to sacrifice himself. We can classify the love with self-love and neighbour-love. The self-love is different from egoism that fall in love me. The self-love ought to improve and develop with neighbour-love. Neighbour-love appear service and mercy for human by progress the philia. Love reflect upon motive of action and to investigate situations of the surroundings. Love is a listening and a understanding, bearing the responsibility for others. Love is caring, forgiving others and a giving that devote valuable things. Thus love is altruistic and is a most important value morally that bestow a meaning in life. But It is tendency to attachment by emphasizing love. Whenever emphasize love, we tend to fall in love. Justice and love is compared justice ethics with care ethics. Giligan criticized Kohlberg's justice ethics that emphasize fairness and equality. She presented the theory of moral maturity as the ethics of care that is need concrete concern and care. The essences of care for others consider as care of love. It can be the best moral principle. But the relation of between justice and love which is contradiction and conflict. The justice ought to form method of love necessarily, the love shape by justice. It can be realized a genuine justice by purpose and foundation. We can't admit the love depart from the justice, and we can't persist in justice. It is wrong claim that emphasize only one. It is a perfect harmony in mutual complement. Justice and love is required virtues in making an ideal society. Consequently, justice and love is universal virtues we can regard them as appropriate. We can accomplish ideal moral society that has our long cherished desire by maintaining mutual complement between the justice and the love.

      • 適法節次原理에 관한 硏究

        김주경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 헌법상에 적법절차의 원리가 규정된 것은 1987년의 제9차 헌법개정에서이다. 전통적으로 대륙법의 법전통을 계수한 우리나라 헌법체계에서 영미법의 이론인 적법절차원리가 기존의 헌법상의 원리와 어떻게 조화롭게 해석되고 규법체계적으로도 모순이 없이 자리매김할 수 있는지가 문제의 출발점이다. 우리 헌법은 제37조 제2항에서 이른바 일반적 법률유보조항을 규정하고 이 조항이 기본권 제한의 수권조항이 아니라 기본권제한의 한계 조항으로 해석되는 한1) 입법부의 법률제정이라는 형식에 의한 국민의 자유와 권리의 침해에 대한 방파제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본다. 하지만 행정부와 사법부에 의한 국민의 기본권침해는 적법절차의 원리가 우리 헌법상에 규정되기 전에는 전통적인 법치국가의 원리로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제 우리 헌법상에 규정된 적법절차의 원리가 이러한 행정부와 사법부의 국민의 기본권 침해에 대한 한계규정으로서 본래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적법절차의 기원이 되는 영미법의 법전통에 대해서 심도 있는 고찰이 있어야 하고 우리 헌법이 계수하고 있는 대륙법계의 법전통에 대해서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영국의 자연적 정의, 미국의 적법절차의 원리, 독일의 법치국가론에 대해서 비교법적인 고찰을 함으로써 우리 헌법원리의 모태가 되고 있는 대륙법계의 법전통과 적법절차의 원리가 조화롭게 해석되어 질 수 있는 합의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대륙법계의 법치국가의 원리에서 생길 수 있는 기본권의 공백지대를 메울 수 있는 보다 강화된 기본권 보호체계로서의 적법절차원리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고자한다. 오늘날 복지국가라는 세계적인 경향에 의해 행정권의 강화라는 헌법현실에 부닥치게 된다. 이러한 헌법현실하에서 기존의 적법절차원리가 중점을 두었던 국가사법권의 행사에 의한 국민의 기본권 보호라는 측면보다는 행정부의 행위에 의한 국민의 자유와 권리의 침해가능성이 증대되었고 이러한 관점하에서 적법절차의 원리는 새롭게 해석되어야 할 중대한 전환점에 서있다. 이러한 헌법현실에서 발전된 적법절차의 원리가 실체적 적법절차의 원리와 절차적 적법절차의 원리이다. 이에 우리의 적법절차원리의 모태가 된 미국에서의 실체적 적법절차원리에 대해서 먼저 고찰하고 실체적 적법 절차가 개개의 기본권이 현실에서 문제되는 경우에 특히 헌법문제화 되는 점에 착안하여 개별적 기본권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절차적 적법절차에 있어서는 행정부의 행정권의 발동 등에 의해 간과되어져서는 안되는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원리를 제도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위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우리 헌법상의 적법절차원리가 오늘날의 현실에 맞게 해석되고 발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구체적인 헌법분쟁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우리나라 헌법재판소의 판례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특히나 우리나라의 여러 논문들이 제9차 개정당시에 작성되어 적법절차원리가 우리 헌법상에 어떻게 자리매김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그 중점을 두고 발표되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위와 같은 자리매김이 어느 정도 그 이론적 토대를 굳혀 가고 있는 오늘날에 있어서는 그와 같은 토대형성이 실제로 국민의 기본권 보호라는 차원에서 얼마 만큼의 역할수행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그나마 이 논문의 차별성을 말해 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Due process of law is characterized by its indefinite concept which is originated from Anglo-American legal culture. Although the definition is various, the essential of this concept is that in order to protect individual freedom or liberty governmental power should be curbed by law. In England, there has been a concept of natural justice. Natural justice contains two major contents, one is no one should be a judge concerning his case, the other is one should listen to both parties before deciding. Also we can find similar concept "Rechtsstaat" in Germany. It is one of the principles which comprise German constitutional law. Equitable process is major contents in trial process, especially for dependant or witness, and today in process of public administration. In America, due process of law is manifested in constitutional law. It is expressed by these phrases "nor be deprived of life, liberty, or property, without due process of law, nor shall any state deprive of life, liberty, or property, without due process of law". In our constitution which has also accepted the tradition of continental law, we got to have a clear manifestation of due process of law in the 9th revision. Contrary to the U.S. the phrase of 'Due process of law' is located only in the context of criminal procedure. The due process of law has been developed by way of theories and precedents of constitutional circumstances in America. The "Substantive" due process may protect certain fundamental rights or void arbitrary limitation of individual freedom of action. In spite of differences originated from continental convention, due process of law has been developed and influenced by American tradition of "Due process of law" in Korea. The concept of due process of law is harmonized with continental tradition in Korea, so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endeavored to adapt due process of law to constitutional trials following American preceding cases, especially the scope of due process of law or substantial meaning of it. In the first chapter, it is stated about the aim and necessity and methodology of study. On the chapter 2, on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different concept, I introduce similar concepts in four nations. In England, there is natural justice, in Germany rechtsstaat, in America due process of law and in Korea the adapted concept of due process of law. On the chapter 3, I focus on the process of due process of law such as substantive due process of law and procedure in public administration. The last chapter 4, there is a conclusion about thesis. It is conclusion that due process of law should be compatible with Korean constitution which is affected by continental convention in order to protect and strengthen right of people.

      • 풍수원리와 건강 주거입지 연구

        정택동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풍수는 땅에 관한 이치를 살펴 도읍, 마을, 건물, 무덤 등의 자리를 잡을 때 궁궐, 가옥 등 건물을 세울 때 또는 이들과 관계되는 세부적인 사항을 결정할 때 좋은땅, 좋은환경, 좋은 주거인지 각종 조건을 알아보는 체계화된 이론이다. 우리 인체는 자연계에서 가장 가까운 산소(O), 질소(N), 탄소(C), 수소(H)의 합성물질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삶의 터전인 환경질서가 파괴되면 인간의 건강 역시 영향을 받는다. 최근들어 급속히 늘고 있는 만성질병들도 대부분 주위 환경과의 내적 부조화에 기인한 환경적 요인이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처럼 건강을 포함한 삶의 질은 구체적으로 주거입지 장소를 에워싼 생태환경의 영향을 어쩔 수 없이 받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주변 생태계를 함께 생각하면서 자신들의 생물학적 지혜를 활용하는 법을 배워나가야 한다. 풍수의 근간은 이상적인 거주환경을 설정하고 그것을 찾아 바람직한 거주지를 만들고자 하는 세계관에 있다. 조화와 안정을 갖춘 건강한 생태와 산세 지형이 잘 둘러 쌓여진 지혜의 장소, 곧 명당국이란 어떤 곳일까? 용맥이 자연의 질서에 따라서 지각, 요도, 분벽, 천심 등을 거느리고 좌우로 요동치듯 꾸불꾸불하고 상하로 기복을 하면서 변화무쌍한 변역으로 호박넝쿨처럼 뻗어나간 생룡맥을 타고 가다 보면 어머니가 양팔을 벌려 어린아이를 품에 끌어 안는것처럼 전후좌우에서 에워싼 형태의 사신사국이 바로 그 명당국이다. 이러한 명당국의 공간 환경이 형성된 것은 오랜 세월동안 지진, 습곡, 단층, 화산, 지각, 토양, 기후, 침식작용, 풍화작용 등 그 지역 풍토와 지질구조의 특성 정보에너지에 의해서 자연스스로 설계하고 만들어 놓은 결정체의 핵과로서 그 실체의 증거이기도 하다. 결정체의 공간인 사신사 국안에는 균등한 조화와 질서를 갖춘 건강한 생명체가 균형과 안정을 유지하면서 생육되고 육성되므로서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으로 안온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에너지장이 형성되어 있다. 그 에너지장 공간에는 건강한 공기환경, 빛환경, 물환경, 기압환경, 음환경 등 자연생명체가 인체에 그대로 동조적 의료작용을 하기 때문에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주거입지 환경이 형성되어 있다.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는 모든 의사들에게 의학의 과학적 연구를 위해 지질학, 풍속학, 기후학, 천문학과 같은 학문적 탐구를 요청했고 스스로도 이런 학문들의 성과를 임상치료에 도입하였다. 아득한 옛날부터 사람은 고통없는 삶, 즉 편안함을 추구해 왔다. 편안함의 반대는 불편함인데 이 불편함이 병이다. 이 불편(不便)에서 불(不)을 떼어주고 편을 지켜주는 것이 의술(醫術)이다. 그러나 의(醫)는 예술 즉 인술(仁術)이다. 이 인술을 파헤치고 알아보고 향상시키려는 도구는 어떤 때는 무속이였고 어떤 때는 종교였다. 또 어떤 때는 문화권에서는 형이상학과 철학이였으며 어떤 문화권에서는 과학과 기술이였다. 풍수전문가들도 한때는 사제이자 환경이 앓고 있는 질병을 고치는 의사였다. 의사로써 그들은 대지의 맥박을 짚어내어 어떤 곳에 사는 것이 가장 인간을 건강하고 생산적이며 번영하는 행운의 삶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을까를 알려주었다. 또한 어디에 집을 짓는 것이 가장 대지의 순환체계를 방해하지 않는 것인지를 지적해 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렇듯 의학의 근간이기도 했던 '풍수지리'라는 환경적 요건과 건강의 관계를 연구해 보고자 했다. 우리 국토의 산세지형 구조특성과 자연생명체 특성 정보에너지를 연구하여 조화와 안정을 갖춘 건강한 택지와 부조화로 균형을 잃은 불안정하고 병든 택지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려 했다. 이 땅에 살고 있는 국민들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건강이 유지 개선되게 하고 건강하고 쾌적한 삶을 영위하여 인간 문화가 질적으로 더욱 향상 발전되고 효율적으로 재창조될 수 있도록 그 원리를 궁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우선 풍수지리학을 이해하기 위해 가장 설득력 있는 지형지세 중심의 풍수지리의 이론과 배경을 요약했다. 산과 물의 생성 및 형성 원리 산맥의 변역과 분벽원리, 요도와 지각 및 기타 산을 이루는 다양한 요소와 산맥의 번역질서, 오행의 특성과 기운, 사신사 형성과 혈장의 구성원리, 그리고 장풍법과 득수법으로 본 건강주거 입지 등을 통해 인간에게 유익한 동조에너지장을 보내는 여러 가지 풍수지리 조건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건강과 관련된 거주 입지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대생활에 직접 응용할 수 잇는 길을 모색하기도 했다. 조선조 이중환의 택리지에서는 인간이 살만한 땅을 선택하는데 네가지 조건을 제시하고 있다. 그 첫째가 지리이다. 좋은 집터는 수구가 닫힌 듯 하고 그안에 들이 펼쳐진 곳이며 해와 달과 별빛이 잘비치는 곳, 바람과 비, 기온이 잘 조화된 곳, 주산이 수려하고 단정하며 청명하고 아담한 곳이어야 하고 토질이 좋아야 하며 물이 산과 조화되어야 하는 등으로 지리를 논했다. 두 번째는 생리, 세 번째는 인심, 네 번째는 산수라 했다. 서유구도 상택지에서 과학적 합리적으로 건강 주거지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산이 험준하게 솟지않고 동산은 완만하게 이어지고 들판은 널찍하면서도 별이 잘 드는 곳, 수로와 육로가 잘 통하는 곳, 땅이 비옥하며 샘물이 맛있는 곳, 등등 물의 형세를 들어가며 택지 선택법을 일러주고 있다. 좋은 터 잡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배산임수 원리이다. 뒤에 산이 있어 찬바람을 막아주고 앞으로 물을 가까이 하고 있는 곳으로 사람이 안락의자에 앉아 있는 것처럼 전면이 해를 잘 받는 쪽으로 트이고 산이나 언덕으로 에워싸인 땅이 좋은 땅이다. 건물의 배치방법도 풍수지리 원리인 배산임수 이치가 무엇보다 우선한다. 배수임산의 배치방법은 자연의 순리에 역행하는 방법으로 그런 주거지에 사는 사람은 건강을 잃거나 불행한 일을 당하기 쉽다. 마지막으로 암빈발 가족과 풍토가 인체에 미치는 의료적 영향과 주거입지의 자연환경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서 이 논문의 연구목적인 건강과 풍수지리의 관계를 밝히고 정리하는 마무리로 삼았다. 풍수지리 이론은 산세지형의 실체에서 나온 것이므로 땅이 이 학문의 주인이다. 풍수지리의 최고의 경전은 자연이요, 풍수지리학의 가장 훌륭한 선생도 자연이다. 풍수지리란 인간 생명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의 생명질서를 공부하는 자연과학이다. 풍수지리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건강을 가져다주는 동양의 생활과학이자 경험과학이며 생존의 지혜요 땅이 지니고 있는 생명의 질서에 인간이 품고 있는 생명의 논리를 적응시키는 우리 고유의 지혜인 것이다. 그러므로 풍수지리학은 현대에 이르러서도 인간의 건강 예방과 치유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생활과학이며 대체의학의 한 분야로서 확고히 자리매김을 할 수 있는 가치있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Feng Shui is well established theory formulated by observing the principle of the landform, and its theory has been used when searching for a site of capital, village, and making decisions on building including palace and house, and its related aspects, whether or not the location have met relevant conditions accordingly. As human bodies are synthesized product of the nature's basic elements- oxygen, nitrogen, carbon and hydrogen- if the order of the environment is destructed, our health will be affected as well. Analysis tells the rapid incline of the chronic diseases these days are attributable largely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ming in harmony with surroundings. Definitely the quality of life, including health, is inevitably influenced by the eco-environment surroundings of the residence. Therefore we must learn to co-exist with the nature and attain the wisdom of the eco-system. The fundamental of Feng Shui is the view to set our ideal living environment and to build good dwelling space accordingly. How is Myung-Dang Ground - an auspicious space which comes with healthy ecology in harmony and steadiness- composed of? The mountain dragon would travel along, in the accordance of the law of nature of producing its side and back supporting mountain and branch mountain while sustain its own main stream, with crust, wall-cracking, and in the form of zigzag and ups and downs, and finally arrived in the form of complete circle as if a mother is embracing her child with her arms around, and that place is what we call Muyng-Dang Ground, a space protected by front, rear, right and left side mountain. These Myung-Dang Grounds are the nuclear of the crystal, which took place through the natural development of the local climate- earthquake, fold, fault, volcanic eruption, erosion, rain, and weathering- and through the information released from structural energies shaped according to the regional features, and it represents as the evidence of the entity itself. This crystallized space- a place of equality, harmony and order- produce and nurture a healthy, balanced, harmonious life, therefore people who reside in this area are subject to benefit the auspicious energy fields and becomes physically, mentally, socially, and spiritually healthy and comfortable. Therefore in the place of energy such as this - healthy air, water, air pressure and sounds- do medically good for body and become a residence to prevent and heal diseases. Father of Medicine, Hipocrates asked every doctors to study geology, customs and manners, climatology and astronomy for the development of the medical science and he himself introduced the results of the said studies to clinical practices. Since ancient times human have pursued painless life, say comfort. The opposite of comfort is discomfort, say sickness. What takes dis- off from discomfort to lead to comfort is medicine. However, medicine is the art, a benevolent art. The efforts of analyzing, studying and enhancing of this benevolent art sometimes took places through shamanism and sometimes through religion. In some culture, it was metaphysics and philosophy while it was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other culture. Feng Shui experts were once priest and doctors who healing diseases from which environment suffers. As doctors, they identified land pulses and pointed out the location where a human being can be most healthy, productive, prosperous and lucky. Also they advised where to build a house in order not to interrupt land circulation. This thesis is intended to find the relations between health and environmental condition of Feng Shui, which used to be medical basis in the past. Studying the information energy of national landscape feature and natural lives features, the intention is to identify how to make selective use of the harmonized and stable healthy land from imbalanced and unstable land. The prim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rinciple not only limited to maintain and improve physical, mental, social and spiritual health of the nation, but also to help re-create and further develop human culture. To understand Feng Shui, it summarized its background with topographic focus which is the most persuasive theory. This study focused on Feng Shui conditions that gives benevolent energy to human, c.g., creation/development principle of mountain and water, domain of mountain veins and branching out - directional/back support branch, side branch- principle, crust and matters in mountain, features and spirit of the Five Elements Circulation, principles of the four surrounding mountains and the energy field composition, and healthy residence location in light of Jang Pung Method (attaining surrounding mountains) and Deuk Su Method (attaining water). This study explored how to apply to residence of modem life in relation to health, in particular. In his book of Taek Ri Ji, written by Junghwan Lee of Chosun Dynasty suggested four conditions to choose a good land for human. The first goes to geography. Good resident site has seemingly small water outlet but plenty of water inside; good shines of sun, moon and stars; good breeze, water and temperature; tidy, nice and clear front mountain/hill; good soil; and harmony of water and mountain. The second one is physiology, the third kind-hearted neighbors and the fourth is the landscape. Also in his book of Sang Taek Ji, written by Yu Gu Seo proposed how to select healthy residence site in the scientific and rational manner, i.e. mountain should not steep too high; hills to be round and gentle; the field is wide and shines; water to land is well channeled; land is fertile and spring water taste good. The most critical thing in site selection is the principle of Bae San Im Su (mountain in the rear and water in front). Mountain in the rear protects cold wind and water lies in front. The good land is surrounded by mountain or hills with the front being open to the sun as if a person is seated in an armchair. The principle of Bae San lm Su also comes first than anything to place a building. Water in the rear and the mountain in front reverse to the nature reasons and if anyone lives in the said surroundings, he is very likely to loose health or face mishap. Lastly, it studied the impact of residence site's natural environment on human body as well as medical impact of family with cancer history and natural features, and summarized how the relations between health and Feng Shui could be identified as the Study intended. Feng Shui theory comes from landscape and topography, therefore the land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bible of Feng Shui is the nature and the best teacher is the nature too. Feng Shui is a science studying the order of nature and observing how it affects human lives. Feng Shui is not only the Asian life and experience that enhances the quality of life and brings health, but also is the wisdom of survival. It is the wisdom enables us to apply the order of life that land embraces to human life. Therefore, Feng Shui is valuable study and can be positioned as an alternative medicine since it has been the science of life and has been widely utilized as preventive and cure medicine even to date.

      • 韓國의 思想과 文化에 나타난 三數原理 硏究 : 현대적 活用을 중심으로

        박태봉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리 민족의 문화와 사상과 이의 바탕인 사유체계는 숫자 3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동안 학계와 재야학자들 사이에서는 이를 三神論, 三一論, 三元論, 三數分化 등으로 표현하고 있지만, 그 원리 및 특성 규명은 미흡했다. 本稿에서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동·서양에 걸쳐 삼위일체라는 종교원리에서부터 실생활까지 3이라는 리듬이 작용하는 것은 내면 깊숙이 원형적 원리가 數의 형태로 표출된 것으로 보고, 이를 3에 바탕을 둔 우리 민족 사유구조의 원리를 규명하는 차원에서 ‘三數原理’로 가정하였다. 그리고 이 원리의 근거를 易의 이치와 기하학의 도형원리 및 과학의 물리법칙 등에서 찾아내어, 우리 민족사상과 문화에 미친 영향과 用例 그리고 현대적 활용을 위한 제언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 목적과 방법을 포함한 문제 제기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Ⅰ장 선행연구 분석에서는 선행연구 결과들이 三神論, 三一論, 三數分化論, 三元論 등으로 다양한 해석을 하고 있지만, 우리 민족 사유체계의 기원을 분명히 규명하지 못하고 그 세부특성을 밝히는 데도 미흡하다고 분석하였다. Ⅱ장에서는 우리 민족 사유구조의 원리를 ‘삼수원리’로 가정하고 이의 淵源을 고대 광명과 생명의 상징인 태양숭배와 太陽이 상징하는 圓 도형의 중심원리인 圓周率(π=3.14)에 있다고 가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易의 이치와 기하학적 도형원리 및 과학의 물리법칙으로 논증하고, 이 원리가 동·서양 사상과 특히 우리 민족사상과 문화에 나타난 증거사례들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삼수원리의 특성으로 크게 구성요소로서 ‘3要素’와 운동 변화과정으로서 ‘3段階’와 음양조화의 ‘陰陽中’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3요소는 ‘均衡과 安定’을, 3단계는 ‘完結과 完成’을, 음양중은 ‘造化와 完熟’을 각각 의미하고 있다. 삼수원리의 특성인 3요소와 3단계 구조는 易의 중심개념인 ‘參天兩地’와 ‘天圓地方’에서 연원을 찾았다. 또 서양의 기하학적 도형원리 측면에서 3은 도형으로는 삼각형도 되고 圓도 되는데, 이를 삼수원리에 대입시키면 삼각형은 3요소에, 원은 3단계에 각각 해당한다. 삼각형을 뜻할 때는 삼각형을 이루는 세 線이 3요소를 나타내어 건축물이나 조형물 등에서 가장 안정적인 삼각구도 즉 삼각대의 균형과 안정을 상징한다. 원의 경우, 우주 만물이 원상을 띠고 있고, 生生不窮 순환하는 운행 법칙 속의 원주율(π=3.14)에서 3단계로서의 완결과 완성의 연원을 찾을 수 있었다. 기하학에서 모든 도형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형태를 띠고 있는 圓 도형은 고대 태양숭배 신앙에서 기인한다. 현대 천체물리학에서 행성이 원형을 갖고 원 순환 운동하는 원리를 중력법칙으로 증명하였듯이, 우주는 원상이고 원운동을 할 수밖에 없는데, 그 운행 법칙 속에 원주율이 있다. 이처럼 圓의 가장 중요한 특성이 지름과 원둘레의 비율인 원주율(π)인데, 3.14로 시작하여 끝이 없는 不盡數이자 超越數로서 정의되는 것이다. 인간은 圓에서 도출된 ‘3’이 지닌 완성·완전성을 동경하여 학습, 모방하려는 경향이 본능적으로 있으므로 동·서양의 문화권에서는 일찍이 널리 사용되어 온 것이다. Ⅲ장에서는 고래로부터 ‘3’의 인문학적 속성은 동·서양에서 완성, 완결, 신성, 종합, 조화, 균형 등으로 인식됐는데, 특히 만물에는 3가지로 완성되는 것이 무수히 많이 존재하는 것처럼 3은 완전함의 의미가 있다. 또 사상과 철학으로 체계화되기 이전의 종교 영역에서는 三位一體 신앙 또는 세 가지 형상으로 나타나는 神의 상징으로 표현됐다. 따라서 이러한 삼수원리의 자료와 증거들을 동·서양사상에서 찾는 일은 어렵지 않다. 동양에서는 儒·佛·道 삼교의 경전 그리고 易에 근거한 역법, 의학이나 풍수 등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서양에서도 신화, 논리학, 심리학 등 인문 분야 및 자연과학 그리고 연금술 등을 통해 삼수원리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대과학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생명체의 기본단위인 세포의 DNA는 세 개의 염기쌍의 조합이며, 물질의 가장 기본단위인 원자도 양성자 중성자 전자의 3요소로 구성되어 있고, 원 순환 운동에 3단계의 원주율과 물리의 중력법칙이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이러한 삼수원리를 바탕으로 사상과 문화가 꽃피운 곳이 바로 우리 민족이요 또 그 역사임을 확인하였다. 『삼국유사』의 단군기록은 숫자 ‘3’의 寶庫라고 할 정도로 우리 민족 고유의 삼수원리 사유체계가 잘 녹아 있다. 天符印 3개 등 3요소의 내용도 많지만, 핵심은 3단계의 3·7日에 있다. 이를 시발점으로 東夷가 세운 商왕조의 고대 태양숭배의 상징인 三足烏, 최치원이 나라의 玄妙한 道로 언급한 風流와 이를 승계한 花郞道 그리고 우리 민족사상의 부활 격인 조선말 최제우의 東學 순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우리 민족 삼수원리 사유체계의 특성으로 생명존중 사상 및 생명완성의 ‘化’원리를 들 수 있는데, 이는 熊이 女子로 변하는 기간인 단군기록의 3·7日이 잘 나타내고 있다. 이는 7일이 3번 거치면서 질적 변화를 통해 動物性을 극복하고 더 나은 生命體(人間)로 변할 수 있다는 관념을 반영한 것이다. 여기에서 ‘化’는 단순히 모양만 달라지는 ‘變’과는 구별해야 한다. 제 모양을 잃어버리고 더 나은 상태로 바뀌는 것, 종교적 용어로 부활이니 거듭남, 환골탈태, 해탈 등의 현재보다 더 나은 존재로의 상승을 상징하는 의미로 파악해야 한다. 이러한 삼수원리 사유체계가 녹아 있는 삼수 문화의 사례들을 열거하면, 먼저 3요소의 사례로는 三神, 三太極, 훈민정음 창제원리, 口碑文學과 風俗 등에 풍부하고, 3단계의 사례로는 3·7日 禁忌, 삼세번·삼세판의 문화, 천하지대본의 벼농사 등이 있으며, 음양조화를 상징하는 음양중의 사례로는 멋과 맛, 솟대·고인돌·맷돌, 和諍·妙合사상 등이 있다. 특히 음양중의 삼수원리는 우리 민족사상의 중심원리로 자리 잡고 전개되어왔는데, 역사적으로 신라 최치원의 풍류도와 원효의 和諍에서 비롯하여 고려 선종과 교종의 융화인 지눌의 定慧雙修, 율곡의 理氣妙合과 得中合宜論 그리고 조선 말 유불선 삼교를 종합 지양한 人乃天의 동학으로 연결되고 있다. 이처럼 민족사상뿐만 아니라 문화에 녹아 있는 융합과 통일의 신비로운 멋과 맛은 우리 민족만의 음양조화 특성과 주체성을 나타내는 데 충분함을 확인하였다. 앞에서 삼수원리의 개념과 연원, 그리고 철학적 특성을 동·서양을 비교하여 논증하고 그 구현 양상을 문화나 사상 속에서 다각도로 살펴보았다. 서두에서 강조하였듯이 본 연구는 우리 민족의 고유한 사유체계를 삼수원리로 정립하여 이를 규명하고 증거사례를 소개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 삼수원리를 현대적으로 승계하여 생활 곳곳에서 활용하자는데 더 큰 의의와 목적을 두었다. 本稿에서 고찰한 삼수원리는 고래로부터 동·서양에 걸쳐 우주만물 생성변화의 근본원리로서 자리매김해 왔으며, 특히 우리 민족의 사유체계로서 후손들에게 면면히 전승되어 오면서 사상과 문화 그리고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쳐오고 있다. 무엇보다도 삼수원리는 생활의 경험 차원을 넘어 우주 만물의 이치를 담고 있으므로 일상생활에 적용의 대상과 분야는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원리로서의 汎用性’과 ‘생활에 유용한 具體性’이라는 두 가지 요건을 충족하는 것은 삼수원리의 3요소와 3단계 특성이다. 음양조화를 통한 음양중은 위의 두 가지 요건을 충족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Ⅴ장에서는 개인의 생각하고 말하고 쓰는 법 그리고 학습이나 운동 효과 제고와 나아가 조직의 구성과 운영 및 기업조직의 홍보와 판매 차원에서도 3요소와 3단계 특성이 이미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3요소의 특성을 활용하는 분야는 인간의 사고와 전달 그리고 행동에 걸쳐 다양하다. 또 대화 기법을 비롯하여 대인관계, 조직관리, 인사관리, 커뮤니케이션에서도 그 효력이 발휘되고 있다. 3요소의 특성은 구성요소로서 최적을 이루어 균형을 유지하고 안정을 도모하는 데 있다. 기하학의 도형 중 가장 안정된 형태의 삼각형이 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반해 3단계의 삼수원리는 과학에서 ‘臨界點’의 개념을 통해 그 의미가 더욱 명확해진다. 구체적으로 새로운 습관형성이나 학습향상에 적용되는 3단계는 그 기원이 단군기록에 나오는 ‘3·7日’에 있다. 세 번을 반복해야 만이 원하는 상황 진전이나 더 나은 상태로의 변화 계기가 마련되는 것이다. 오늘날 심리학 분야에서 습관을 바꾸려면 최소 21일은 계속해야 한다는 이론이 이것이다. 21일은 생각이 의심·고정관념을 담당하는 대뇌피질과 두려움·불안을 담당하는 대뇌변연계를 거쳐 습관을 관장하는 뇌간까지 가는데 걸리는 최소한의 시간이다. 이처럼 운동이나 학습 등 무언가를 목표로 세우고 배울 때나 업무계획을 세울 때 3단계 방식을 적용하면 일이 수월하게 풀린다. 목표에 도달하는 과정을 3단계로 나누면 목표달성률이 훨씬 높아진다. 현대사회는 創意 사회이다. 창의는 전통을 계승하여 재창조하는 궤도와 연결된 경우가 많다. 축적된 과학기술뿐만 아니라 기층에 자리 잡은 정신문화도 창의성의 바탕이 되기도 한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우리는 3수 문화를 과거의 전통에서 머물게 하여 현재와 단절시킬 것이 아니라, 현재의 가치관과 미래의 창조적 동력으로 인식하고 재조명되어야 한다고 본다. 조상으로부터 이어받은 민족사상과 정신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하여 새로운 문명의 중심축으로 정립하고, 이를 창조적로 활용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절실한 과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本稿에서 규명한 삼수원리를 실생활에 적용하여 실천할 방안들을 개인과 사회조직 분야로 나누어 제언하고자 한다. 현대 심리학에도 세 명이 모이면 그때부터 집단이라는 개념이 생기고 하나의 움직임이 된다고 한다. 심리학의 실험에서는 세 사람에 의해 전체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고 하는데, 스탠포드대 심리학과 짐바르도 교수는 “최소 3명이 모이면 하나의 움직임이 된다. 3의 법칙은 상황을 바꾸는 구체적인 힘으로 작용한다”라고 하였다. 동양에서도 三人成虎, 三人爲一龍 등의 고사성어가 있다. 인간은 관계를 맺고 사는 존재라고 할 때의 ‘사회적 관계’는 적어도 셋 이상을 전제로 한다. 논자는 먼저 개인의 성장에 활용하는 방안으로 세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3요소의 삼수원리는 全人敎育에 적용되어야 한다. 『論語』子罕篇에 ‘지혜로운 사람은 미혹되지 않고, 어진 사람은 근심하지 않으며, 용기 있는 사람은 두려워하지 않는다’(知者不惑 仁者不憂 勇者不懼)라고 한 것처럼, 전인적 인간상 구현을 위하여 知·仁·勇이 균형을 이루어 일체화가 되어야 한다. 이른바 知·德·體를 의미한다. 현대의 교육은 知에만 집중되어있고 전문적인 직업인이 되기 때문에 조화성이나 全一性은 잃어버리고 있다. 둘째, 생각하고 쓰고 말하고 행동하는 데 삼수원리가 유용하다. 무엇보다 사고에서 3요소는 가장 큰 힘을 발휘한다. 3가지 아이디어를 내면 생각이 구체적이면서도 풍부해진다. 3요소는 생각을 위한 최적의 도구이므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당장 적용하여 실천할 수 있는 것들로 이루어져 있다. 어디서부터 생각하면 좋을지 난감할 때나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을 때, 생각이 더 앞으로 나아가지 않을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사고법에 자주 등장하는 ‘로직 트리(Logic Tree)’라는 틀도 기본적으로 하나의 요소에서 세 개씩 분류하는 것이 핵심이다. 왜냐하면, 세 개는 문제점과 과제, 구성요소 등을 정리하기 쉽게 때문이다. 또 3요소를 활용한 문장은 이해하기 쉽다. 회사에서의 비즈니스 문서는 일반 소설이 起承轉結에 따른 데 비해, 결론부터 밝히고 그다음에 3요소 관점에서 그 결론의 이유를 밝히는 ‘結起承’이 논점이 명확해지고 읽는 사람도 이해하기 쉽다. 기획서의 경우도 결론을 처음에 명기해서 로직 트리로 요점을 열거한다. 아울러 설득력 있는 스피치를 위해서도 결론, 이유, 사례의 3요소로 이야기를 구성하고 마지막에 다시 한번 결론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 마지막 반복이 설득력을 극대화하고 임팩트를 증가시킨다. 스티븐 코비는 자극에 대해 행동을 할 때 멈추고(Stop)-생각하고(Think)-선택하는(Choose) 3단계를 거치라고 권한다. 주도적인 사람은 충동에 따라 선택하지 않고 행동하기 전에 먼저 생각한다. 셋째, 현대생활에서 당면 문제, 특히 개인의 가장 큰 고민 중의 하나인 다이어트에 삼수원리의 이치가 매우 유용한데, 삼수원리의 실행 도구인 ‘로직 트리’를 적용하면 트리를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에 칼로리 섭취를 낮춘다(식사 줄임), 칼로리 소비를 높인다(운동 늘림), 생활습관을 바로잡는다(라이프스타일)로 하고, 그 요소들을 달성하려는 방법으로 각각 세 개씩 구체적인 방법을 든다. 식사를 줄이는 것은 陰(-)요소이고, 운동을 늘리는 것은 陽(+)요소이고, 이러한 음양 요소를 지속적으로 실행케 하는 라이프스타일은 中요소로 볼 수 있다. 이 3요소 중 가장 중요한 것은 中요소인데, 中요소의 지속력이 다이어트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관건이 된다. 또 기예를 배울 때나 무엇을 시도할 때는 반드시 세 번까지 시도해야 한다. 3단계는 세 번(3회)을 거치면 확실성과 강한 힘을 지닌다. 아울러 세 번은 심리적인 안정감을 준다. 세 번은 겪어야 확신이 생기고 그 결과에 수긍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개인의 영적 성장을 위한 修道의 방법으로도 삼수원리는 유용하다. 누에가 나비가 되는 과정처럼 새로운 단계로 진입하려고 할 때는, 오래된 자아를 점점 소멸시키고 자신에게 온전히 집중하여 새로운 자아를 점점 늘려 만들어가는 陰(-)요소인 ‘否定’ 과정을 거쳐야 한다. 동양사상에서 진리탐구의 방법으로 보편적으로 애용해 온 否定 논리의 구조는 ‘긍정-부정-대긍정’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통해서 無漏의 法(참)을 찾아 들어가는 것이다. 이른바 종교 차원에서는 구체적인 수행론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건국신화인 단군기록에도 통과의례의 ‘분리-전이-통합’의 세 단계가 잘 나타나 있다. 다음으로 사회발전 분야에서 활용할 방안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대인관계에서 ‘三思一言’ 은 한번 말을 하려면 적어도 3번은 생각하고 말을 하라는 가르침이다. 생각은 고칠 수 있으나 한 번 입 밖으로 나온 말은 돌이킬 수 없다. 일상의 사회생활과 대인관계에서 말 한마디가 얼마나 중요하다는 것인가를 일깨워준다. 이는 인간 존엄과 대인관계 성숙을 위해서도 당장 실천할 수 있는 삼수원리의 활용 분야이다. 그리고 조직 분야에서 팀 구성시 ‘3인 1팀’으로 운영할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예컨대 기숙사 운영은 3인 1실이 효과적이다. 3인 1팀제는 3요소의 균형과 안정의 특성을 활용하는 것인데, 팀원이 두 명일 경우 발생하는 갈등과 문제 발생 소지를 없애는데 이바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論語』의 ‘三人行必有我師’라는 구절에서 볼 수 있듯이 서로의 장점을 취할 수 있고, 의견이 대립했을 때 두 명일 경우 그대로 결렬될 위험이 있지만 세 명일 경우라면 그중 누군가가 중재하기 때문에 갈등 해소가 쉬워지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한 가정에도 자식이 3명인 것이 성장이나 교육 환경에서 유리하다. 둘째, 우리나라의 학제는 6-3-3-4로 4단계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를 삼수원리에 따라 3단계로 조정할 것을 제시한다. 그동안 전문가 견해에 따라 5-4-3-4제, 6-4-2-4제, 4-4-4-4제, 고등학교를 없앤 5(초)-5(중)-5(대)제 등이 제안되기도 했다. 이 중 5-5-5제의 가장 큰 특징은 고등학교를 없애자는 것으로 초등과 중등 10년 동안 학생들을 철저히 가르치면 17∼18세에 대학에 진학하는데, 이들을 성년 대접하는 것에 전혀 무리가 없다는 것이다. 근래 선거연령을 18세로 조정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 또 현 학제를 유지하더라도 대학 학제는 3년으로 할 것도 동시에 제언한다. 대학과정이 굳이 4년 8학기제 이어야 할까. 현실적으로 조기 졸업제도 있는 만큼 일찍 졸업해 사회에 진출한 학생들에게 기업이 취업기회를 보장해 주는 제도가 필요하다. 셋째, 국가권력 체계에서 실질적인 3권분립을 위한 개선이 시급하다. 한국의 정치체제는 법과 제도적으로는 3권분립 원칙을 따르고 있으나 선거에서 당선된 대통령에게 막강한 권력을 주고 있다. 대통령이 무소불위의 전제군주 같은 권력을 휘두르는 이상 민주주의의 길은 요원한 것이 우리나라 현실이다. 삼권분립은 3개의 다리가 달린 ‘솥(鼎)’이 잘 상징하고 있지만, 鼎立에도 안정된 균형을 이루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세 발은 길이와 굵기에 있어 같아야 한다는 점이다. 이처럼 3권 간에도 권력의 길이와 굵기가 같아야 완전한 삼권분립이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제3섹터(the third sector)’ 의 역할도 증대되어 제1섹터(1st sector)인 공공 부문과 제2섹터(2nd sector)인 민간 부문의 시너지효과를 높여야 한다. 그리고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레이 올든버그가 정의한 ‘제3의 장소’에서 끊임없이 가정과 학교, 또는 일터 밖에서 다른 교류 활동을 추구하는 ‘비공식적 공공생활’이 확대되어야 한다. 이처럼 삼수원리의 3요소와 3단계 특성은 생활의 경험칙이나 특정한 자연현상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우주 만물의 생성변화 이치에 기원하는 만큼, 오늘날 실생활에서도 충분히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易의 중심개념인 天圓地方과 參天兩地와 물리학의 물리법칙 및 기하학적 도형원리로 규명된 삼수원리는 도형 중 가장 안정한 형태인 3선으로 구성된 삼각형에서 3요소의 특성과 가장 완성되고 신비로운 도형인 원과 원운동의 원주율(π)에서 3단계의 특성을 찾아낼 수 있다. 중력 법칙으로 우주는 원상이고 원운동을 할 수밖에 없는데, 그 운행 법칙이 바로 원주율이다. 원주율의 가장 큰 특징은 무한히 이어지는 무한성 속에서 그 운동법칙이 3단계로 이루어지는 데 있다. 인간은 3이 지닌 삼수원리의 특성인 3요소의 균형과 안정, 3단계의 완결과 완성, 음양중의 조화를 통한 질적변화를 동경하여 학습 모방하려는 경향을 본능적으로 갖고 있다. 동·서양의 대부분의 문화권에서 삼수원리에 바탕을 둔 사상과 문화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이유이다. 本稿는 한국 전통문화의 사상적 원류를 탐색함으로써 민족주체성의 정립을 시도하고 그 창조적인 승계방안을 제시하고자 첫째로 우리 민족 삼수원리 사유체계라는 일반 원칙을 정립하여 그 특성을 3요소, 3단계, 음양중으로 나누어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易의 이치와 기하학 도형원리 및 과학에서 규명된 물리법칙으로 그 근원을 규명하고, 동·서양 사상과 특히 우리 민족사상과 문화에서 증거사례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사상과 문화에 나타난 삼수원리의 특성과 사례들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 생활에서 각 분야에 걸쳐 창조적 승계와 구체적인 활용 분야를 제언하였다. 최근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확산으로 전 세계가 엄청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위기는 인간에게 반성과 경각심을 불러일으켜 결국 인간 사회를 새롭고도 한층 성숙된 새로운 문명을 여는 동력이 될 수도 있다. 새로운 전환점의 동력은 진리추구의 종교에서부터 사상과 철학 그리고 일상에 이르기까지 밑바탕이 되는 새로운 의식체계를 요구하고 있다. 이제까지는 삶의 모든 영역에서, 심지어 진리추구의 종교 영역도 포함해서 권력과 물질을 얻기 위한 경쟁과 갈등, 성장과 축적을 지대한 가치로 여겨왔지만, 이제는 生命의 완성과 평화적 공존, 인간과 자연 간의 조화와 상생의 새로운 가치를 바탕으로 하는 새로운 문명을 여는 전환점에 인류가 처해 있는 것이다. 인류는 상호존중과 공존의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 특히 우리 민족 고유의 삼수원리 사유방식으로 天地人 一體사상을 복원해야 한다. 모든 생명이 서로 존중하고 도와서 완성된 세계를 건설하는데 필요한 새로운 사유체계는 음양조화의 삼수원리에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를 통해 삼수원리는 천지 만물의 생성변화 이치에 근원을 두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삼수원리의 사유체계가 발달하고 그것이 사상과 문화로 꽃을 피웠던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 선조들의 지혜의 산물인 삼수원리를 실제 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앞으로 삼수원리에 대한 이해와 공감대가 형성되고, 이에 관한 깊은 연구가 이어져 삼수원리의 활용범위가 확대되기를 기대하며, 본 연구가 그 실마리를 제공하는 마중물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culture and ideology of the Korean people and the number 3 that is the basis of it. The term has been expressed in various terms such as Samsin(三神), Samjae(三才), Samwon(三元), SamTaiJi(三太極), Three differentiation(三數分化) in the academic and fields, but In this paper, we define it as Three Number's Principle(三數原理) in order to identify the net resources and the principle of thought structures based on 3.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inciples of the reason of I Ching(易) and the geometrical principles, focusing on the influences and uses of Korean ideas and culture, and on proposals for modern applications. From the past, ‘3' has been recognized in East and West as ‘complete', ‘perfect', ‘divinity', ‘general', ‘harmony' and ‘balance'. In particular, 3 has the meaning of perfection as there is a lot of things that are made of 3 in all things. Also, in the area of religion before being systemized by thought and philosophy, it has been expressed as a symbol of the gods in three forms or beliefs This principle is most familiar with our people. And the Dangun myth is the repository of the number ‘3', so the Korean people's own system of thinking called Three-Times Principle is well melted.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divided int‘ 'three elements' as structural components and ‘three stages' as change processes, The three elements symbolize ‘balance and stability', and the three stagesl symbolizes the completion of things and events. The three-factor and three-stage structure, which are two characteristics of the Three-Times Principle, can be found in the East in the SamchenYanggi(參天兩地) and ChenwonGibang(天圓地方) based on I Ching(易). In the Western world, 3 is also a triangle and can be measured in terms of geometric shapes, and when it means a triangle consisting of three sides, it represents balance and stability like a tripod(鼎), and in the case of a circle, it represents the principle of circular motion(π), which is the symbol of completion as a third stage. So, where does this principle come from? The preceding study describes this as the ‘Mock Sun’, ‘Sam-Jae theory’ the theory of balance and stability according to gravitational effects, and the theory of the ‘Sam-Tai-Ji though’ that recognizes the world of Spirit(靈). In this paper, we believe that the theory of the preceding study, such as Mock Sun(幻日現象), can not be used as a principle of one specific phenomenon. On the basis of this principle, we assumed that it was in the principle of the sun worship, symbol of ancient light and life, and the principle of the circle and circle movement represented by the pi(∏), which was identified by the logic of I Ching(易) of the East and the geometric diagram of the West, and also considered the examples of evidence appearing in Eastern and Western ideas and Korean culture. The circle with the most beautiful of all shapes comes from ancient sun worship beliefs. The universe is circular and has no choice but to circle, but the rules of operation are pi(∏). As the heaven and earth are all circular motion, the forms of planets, including the Sun, Moon, Earth which is representative of the celestial sphere, are circular. As such,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a circle is the ratio of diameter to circumference, which starts with 3.14, and is defined as an endless number and transcendent numbers. In other words, it is also the number of gods that can be approached but can not be reached. Human beings have long been widely used in most cultures of the East and West because they instinctively tend to learn and emulate the perfection and completeness of the ‘Three’ derived from the Circle.Based on this Three Number's Principle, it is the Korean people that have blossomed into ideas and cultures. Our people especially liked ‘3' among the numbers. Above all, the Dangun myth is a report of the Three-Times principle. Although there are many contents of the three elements, the core is in the three-step phase of Samchil(三七日). This is followed by three-legged crow(三足烏), the symbol of the ancient sun worship of the Shang(商) Dynasty founded by Dongyi(東夷), and Choe Chi-won, the mysterious tao-referencing of the country, the Hwarang(花郞) that succeeded it, and Donghak(東學), the revival movement of ideology of the Korean peo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of the Korean Three Number's Principle reflect the notion that the ‘being(化)’ principle can be overcome by animal nature and better life(human) through qualitative changes over the course of three seven days, which is the period of respect for life and the period during which bears turn into women. Where ‘being(化)’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change(變)’ where only its shape changes.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symbol of a rise to a better existence than the present, as it is a revival of the form of loss of shape and a better state in religious terms. Samchil, which has deep meaning of completion and appears in the Dangun myth, is the fundamental principle. To list examples of the Korean people's thoughts and culture, where the system of Three Number's Principle is dissolved, the examples of the three elements are Samsin(三神), SamTaiJi(三太極), Hunminjeongeum(訓民正音), and the three elements shown in the oral literature, and in the custom and a folk game. In the three-step cases, Samchilil(三七日) and three times culture and customs were typical, and the Three-Times principle was found in rice farming. The Three Number's Principle considered in this paper, has been established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changes in the production of space all things from the past to East and West, and has been influenced by all cultures, ideas and daily life, especially as it has been passed on as a system of the Korean people. Above all, the three elements and three steps of characteristics, which are the content of Three Number's Principle, are widely utilized in terms of how to speak and write human thoughts, and how to organize and operate companies and enhance learning and exercise effectiveness.First of all, the areas that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hree elements vary across thought, delivery, and action. In addition, the three-factor principle is effective in interpersonal relations, organizational management, personnel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as well as dialogue techniques. The characteristic of the three elements is that the composition of the components is completed and balanced to promote stability. The most stable type of geometry has three triangles, and the same principle is the tripod(鼎) of the Orient, which represents the most stable condition. On the other hand, the three-step Principle becomes clearer in its meaning through the concept of a 'critical point' in science. Specifically, the third step, which applies to the formation of new habits or improvement of learning, is in ‘Samchilil(三七日)’ whose origins are shown in the Dangun myth. Samchilil should be understood as meaning that seven days is repeated three times, rather than 21 days. It is necessary to repeat the situation three times in order to create an opportunity for the desired progress or change. There is a theory in the field of psychology today that if you want to change your habits, you have to continue for at least 21 days. The 21st is the minimum time to go through the first stage of the cerebral cortex, where thoughts are responsible for suspicion and stereotyping, and the third stage of the brain stem, which governs habits through the second stage of the cerebrum, which is responsible for fear and anxiety. When you aim at something like sports or learning, or when you plan your work, you can easily get things done by applying a three-step method. Dividing the process of reaching a goal into three stages will result in a much higher goal attainment rate. By dividing the three-times principle outlined in this paper into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ields as a viable method in real life, it is that in the case of an individual, the situation can change if he goes through three stages when he or she is angry or has to endure, and when he has to wait. That is three stages of behavior, stop when responding to stimuli-Thinking-Choosing, It should be applied to three elements education(知仁勇) for the whole person education. It is also very useful for thinking, writing, speaking and further acting effectively. Logic tree, especially a tool of logical thought, means summarizing and organizing any subject into three. Using a logic tree tool that utilizes the power of the number three, one can improve one's ability to think, organize, speak and write at the same time. In the case of an organization,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team should be operated as a ‘three-person one-team’(3人1팀). for example ‘three-person one-room(3人1室)' dormitory is effective in operating. There is a risk that the two will collapse as they are when their opinions are at odds, but if the three are, it will be easier to conclude the resolution because one of them arbitrates. And I suggest adjusting our school system to three levels. The biggest feature of the 5(elementary)-5(Secondary )-5(high school) system, which means that if you teach students for 10 yea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you can go to college at the age of 17-18 and treat them to adulthood. It is also proposed that the college system be three years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improvement for substantial separation of powers in the national power system. Korea's political system is giving enormous power to the president Democracy is a long way off as long as the president wields unrivaled power. The separation of the three powers is well represented by the The tripod(鼎). However, there is a prerequisite for establishing a stable balance, and the three steps should be the same in length and thickness. As such, the separation of powers is complete only when the length and thickness of power are the same among the three powers. the three elements and three steps of the Three Number's Principle are useful in real life as they do not come from a particular natural phenomenon, but from the logic of the changes in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Because there is an instinctive desire to learn and emulate the balance, stability, completion and completeness symbolized by the Three Elements and the Three-steps Principle, it is natural that in most cultures of East and West, it is effective to use the Three Number's PrincipleIn conclus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national identity by exploring the ideological sources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to present creative succession plans, the author firstly defines the concept by dividing the characteristics into three elements, three stages, and yin and yang harmony, and clarifies the root of it with physical laws established in the logic of I ching(易), geometry, and science, and especially in Eastern and Western cultural cases and especially in our national histor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examples of the Three Number's Principle in Korea's ideology and culture, creative utilization were suggested in modern life. The recent spread of coronavirus infections-19(COVID-19) in 2020 has caused the world to suffer immensely. However, such a crisis may raise self-reflection and alarm in humans. Humanity should return to the basics of mutual respect and coexistence. I think the new idea system that all life needs to respect and help each other to build a completed world lies in the three number's principle of yin-yang harmony. Therefore, it is all the more important to make it possible to utilize the Three Number's Principle, a product of the wisdom of our ancestors. It is hoped that consensus on the Three Number's Principle will be formed in the future, and that deep research will continue to expand the scope of the use of the Three Number's Principle

      • 사전예방원리의 실천윤리적 정당성에 대한 고찰 : 나노기술 기반 인간능력향상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정덕환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간능력향상(Human Enhancement)이란, 프리츠 알호프 등에 따르면, “복리를 증진시키기 위해 우리의 신체적, 정신적 능력을 개선하는 행위”로 규정된다. 21세기에는 나노ㆍ바이오ㆍ정보기술의 혁명과 그러한 기술들의 융합으로 인해, 인간능력향상의 영역에 있어 획기적인 발전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배경 하에 최근 나노기술 기반 인간능력향상에 대해 뜨거운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그런데 인간능력향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나노기술이 인간 건강과 환경에 대해 가지는 잠재적 위험성이나 위해성이 기존의 논쟁들에서는 간과되거나 과소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일부에서는 나노기술의 잠재적 위험성과 관련된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 사전예방원리(Precautionary Principle)를 위험에 대한 새로운 행위 결정 원리로서 나노기술 기반 인간능력향상에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사전예방원리가 어떠한 윤리적 함의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고찰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실천윤리적 입장에서 나노기술 기반 인간능력향상에 사전예방원리를 적용해야 할 윤리적 필요성과 정당성을 제공하려는 작업은 좀처럼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첫째, 나노기술의 잠재적 위험성과 관련된 불확실성의 상황에서 무엇이 합리적인 행위 결정 원리인가를 살펴보기 위해, 기존의 위험관리 원칙들과 사전예방원리를 비교하여 분석할 것이다. 둘째, 사전예방원리가 어떠한 윤리적 입장에 (적어도 근사적으로) 서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런 작업들은 공리주의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비용-편익 분석의 한계를 지적하고 존 롤즈의 최소극대화(Maximin) 원리에 많이 근접해 있는 사전예방원리를 그 대안으로 제시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전예방원리를 나노기술 기반 인간능력향상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실천적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 조형적 원리에 의한 Web Site 디자인의 시각적 표현연구 : 데 스틸(De Stijil)의 조형원리를 중심으로

        정은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단순한 정보 교환에서 출발한 인터넷의 비약적인 발전은 엄청난 양의 정보가 미디어치 급속한 발전으로 전세계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21세기는 첨단 네트워크 사회로 급격히 이행하고 있다. 인터넷 상의 웹사이트는 전 세계를 연결하는 글로벌 네트 워크로서 모든 사람들에게 정보제공의 기회를 부여하고 있으며, 인터넷이 제공하는 정보의 시각성은 인쇄매체 못지않은 디자인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더구나 웹 사이트는 정보 전달 효과를 높이기 위한 시각적 표현의 접근 방향과 가능성은 디자이너에게 중요한 의미를 준다. 웹 사용자들은 단순히 정보를 보는 것이 아니다. 웹을 비롯한 멀티미디어 환경이 가져온 가장 큰 변화는 범세계적 통신망을 통한 정보의 공유만이 아니라 쌍방향교류를 통한 감정의 전달이다. 컴퓨터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반응한다는 사실의 이면에는 사용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감정을 전달해야 하는 웹 디자이너의 역할이 숨어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 사용자의 환경이 발전하고 개선됨에 따라 풍부한 감성을 구현 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해 졌기 때문이다. 디자인의 스타일 면에서도 지금은 과거와는 달리 전형적인 모더니즘적 조형에서부터 복고풍, 히피나 팝 아트적 조형, 고전주의 장식의 조형, 또는 사이키델릭 한 추상적 조형의 디자인, 미래 우주 첨단지향적 조형에 이르기 까지 수 많은 다양한 양식들이 우리 주위에 공존하고 있다. 문자를 주요 정보형태로 하는 다른 인터넷 프로그램과 달리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달하는 WWW의 경우, 시각적 요소의 효과적인 활용은 그 사이트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웹 사이트의 시각적 표현을 창조하는데 중요한 것은 심미성 또는 형이나 형태의 시각적인 질, 그리고 그것들의 배열이다. 본 연구에서는 웹 사이트 디자인시 고려해야할 시각적 요소와 조형원리들, 그리고 구성시의 고려사항들을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효과적인 시각화를 위해서는 어떠한 디자인 요소들을 사용해야 하고, 또 그것을 표현의 언어로서 디자인 제작 과정에서 '주어진 공간 안에 각 디자인 요소들을 어떻게 배열해야 하는가'하는 것은 웹 디자인에서 시각적 정보의 효과적인 전달이라는 기본적인 필요에 요구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웹 사이트 디자인에서 시각적인 논리를 만든다는 것은 심미적이면서도 사용자의 목적에 부합 될 수 있도록 기능적으로 표현 되어야 한다. 사용성과 심미적 디자인은 서로 대립되는 요소가 아닌 상호 보완적인 요소로 인식되어야 한다. 사용성과, 시각적 만족의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방법적 문제에서 본 연구는 오래 전부터 미술의 주요한 조형수단이 되어 온 기하학적 형태에서 웹 디자인의 시자적인 외형을 만드는 표현의 도구로 조형요소 개념을 추출하고, 표현의 과정에서 웹사이트 구성시 시각적이고 기능적인 연속성과 사용자와의 원활한 케뮤니케이션을 위해 고려해야 할 디자인 지침을 제시 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체계적인 연구를 위하여 첫째, 이론적 배경에서 시각 디자인의 기본이 되는 조형의 요소와 개념, 일반적인 조형의 원리를 먼저 살펴보고, 이러한 개념과 원리를 조형의 지각 원리에 따라 형태나 모양새를 유기적으로 조직화하는 과정을 시각적인 메시지를 전달 방법의 원리로 연구 한다. 둘째, 조형적 시각표현의 연구를 위해 역사 속의 나타난 조형 표현의 발달 및 미술 사조의 영향, 시대와 사회적 배경을 이론적 고찰로 접근 하였다. 20세기 미술 사조 모던아트 속에 나타난 이념들 중 20세기 디자인을 한 단계 성숙 시킨데 스틸 운동의 역사적, 사상적 배경을 연구하고 데 스틸의 표현 수단인 수평 수직선, 검정과 흰색, 회색을 포함한 삼원색의 조형요소의 미학을 확인해 보았다. 디자인 표현을 위한 조형요소의 표현 언어를 데 스틸의 조형요소인 수직 수평선과 이들로 만들어 지는 정방형의 기하학적 형태를 모티므로 선택하였다. 또한 데 스틸 작가들의 명확성, 논리성, 단순성을 중심으로 보편성에 기반한 새로운 양식의 창조를 목표로 한 데 스틸 운동의 절대 양식인 '조화(Harmony)'와 통일(unity)을 시각적인 메시지 전달을 목표로하고 이러한 특성을 대변하는 '기하학적인 요소'의 규칙적인 수평 수직선은 정사각형을 만들고 이들 정사각형의 배열로 기계 미학(Machine aesthetic)을 표현 했다. 셋째, 시각적 질서 체계의 원리를 게슈탈트(Gestalt) 이론에 근거하여 웹 디자인의 시각적 영역 안에서 조형적 표현의 문제를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형에 있어서 화면안에서 구성요소를 어떻게 배열하고 이를 위해서 인간이 형태를 지각하는 심리적 특성과 이를 사용한 디자인 조화의 문제 그리고 구체적 그래픽요소로의 발전에 이르는 과정을 하나씩 살펴보도록 한다. As a global network connecting the whole world, websites on internet provide an opportunity of information supply with everyone the visuality of information in internet presents a possibility of design application not less than the printed matters. In addition, websites can give an important meaning to designers because of its' approaching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visual expression for improving the effec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he significant things for creating the visual expressions of websites are aesthetics, the visual quality of form or shape, and their arrangement. And then, the functional changes of system require a lot of new things about the graphic factors of interface. Widening of system through the network made us not prospect the users' needs in the interface, so the graphic factors became to have a func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bove texts not existing themselves. This thesis studies as follows: First, it is researched that the formative factors, conception, general principles of form which are the basis of visual design in theoretical background. Then, the organic formation process of forms & shapes according to such conception and principles of perception using visual messages as communicating methods. Second, the development of formative expression, effect of artistic trends, and the social background and time were approached by theoretical contemplation for the study on formative visual expression. Among the basic factors of usual design, dot, line, an surface, line is a minimal graphic factor suitable to express the role of grid and functional quality. The straight line as a formative factor of De Stijil was expressed by the order of vertical & horizontal lines and the beauty of ratio & balance through the other media, websites. Consistency of structure and expression was kept on the basis of the visual factors, vertical & horizontal lines, and the formative principle, then a unique style was set by simple and systematic image structure using vertical & horizontal lines and pure colors. The formative factors for design expression were vertical & horizontal lines in De Stijil, and the geometric shape, square by them was chosen as the motif. Under De Stijil movement which wanted to create new modes based on generality centering on accuracy, logicality, and simplicity visual communication of messages was an aim for the absolute modes of De Stijil, 'harmony' and 'unity'. the regular vertical & horizontal lines as the geometric factors showing such characters structures squares, and the arranged squares expressed 'Machine Aesthetics'. Third, the structural principles of visual order was analyzed theoretically in the visual area of web design on the basis of Gestalt theory. And the structural elements of shapes were arranged, the human psychological characters of recognizing shapes and design harmony were researched. Then, the developing process of concrete graphic factors was showed, finally, the visual expression of web design was presented using the formative expression principle based on the above all.

      • 건축양식의 조형원리를 응용한 업스타일 디자인 연구 : 프리츠커상 10인 수상자의 특성을 중심으로

        송다나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건축양식은 인간의 삶에 큰 영향을 주면서 발전 되어온 예술 형식이다. 건축물은 예술 창조를 위한 하나의 장르로서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고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해 주는 영역이다. 하늘을 찌를 듯이 치솟은 첨탑과 거대한 돔, 웅장한 플라잉 버트레스(flying buttress)등이 건축물의 양식으로 역사적인 사조 속에서 조형적인 형태로 다양하게 건축예술 작품으로 표현 되고 완성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사조별로 사용되어 왔던 건축양식에 대해 알아보고 조형의 원리들과 구성적인 요소가 회화, 건축, 미용예술의 업-스타일(up-style)에서 어떻게 표현 되어 왔는지 작품의 사례를 제시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인간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 건축분야에서 건축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프리츠커상 수상자 중 대표적인 10인을 선택하여 그들이 이루어 놓은 업적과 생각, 고뇌들이 각자의 작품에 용해되어 표출된 건축양식의 조형 원리와 구성요소에 근거하여 분석하여 보고, 그들이 작품을 구성할 때 기준을 두었던 법칙이나 사상, 규범들의 원천적인 디자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그 원칙을 업-스타일(up-style) 작품에서 디자인하여 표현해 봄으로써 미용예술의 업-스타일(up-style)의 기본 표현기법을 바탕으로 조형 요소의 구성 원리를 이용한 형태적 디자인적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11개의 작품 제작을 통해 제시 하고자 하였다. 작품Ⅰ, 이오니아는 이오니아 양식의 기둥모양과 소용돌이 머리모양, 움푹하게 패인 패디먼트, 늑재(肋材)를 붙임으로써 수직효과를 강조한 전통주의 건축양식에서의 쭉쭉 뻗은 수직모양을 4가닥 다이아몬드 땋기를 하여 표현 하였다. 작품Ⅱ, 비상은 하늘을 향해 뻗쳐있는 위성도시 관문의 탑에서 보색의 색채를 활용한 것처럼 통가발을 15cm탈색하여 3가지의 색을 그라데이션으로 코팅한 후 보색의 롤 피스를 사용하여 표현 하였다. 작품Ⅲ, 백조는 기하학적인 둥근 벽면의 유선형의 곡면흐름과 순수색인 흰색을 반복해서 미니멀 아트(minimal art)적인 표현을 한 것처럼 롤, 꼬기, 땋기, 고리를 사용하여 유동 선을 나타내 주며 우아하게 표현해 주었다. 작품Ⅳ, 자유는 즉흥과 우연의 결과를 즐기듯 표현한 해체주의 건축물처럼 고리와 롤 기법으로 반복과 율동 감을 사용하여 해체주의적 미학으로 표현 하였다. 작품Ⅴ, 학은 롤과 고리기법으로 기하학적이며 단순한 형태의 질감이 표현된 모던하고 우아함을 표현 하였다. 작품Ⅵ, 정원은 기하학적인 구성으로 자연환경과 혼화시킨 환경 친화적인 구성으로 건축한 작품처럼 상징적인 돌출의 표현을 땋기, 롤, 꼬기, 겹치기 기법으로 나타내 주었다. 작품Ⅶ, 가을은 최초의 하이테크 건축의 심미적 가능성을 완성하며 기계적인 요소의 외부 노출과 기술적인 표현이 방대하고 풍자적인 표현을 한 작품처럼 기능과 공간을 연결시킨 하이테크 방식의 구도를 7가닥 땋기와 꼬기, 고리, 매듭의 기법을 사용하여 표현 하였다. 작품Ⅷ, 마천루는 웅장하고 서정적인 마천루를 표현한 건축물의 특징을 헤어 씽을 토대로 만든 후 헤어피스를 반복과 리듬감을 이용하여 겹치기 기법으로 표현 하였다. 작품Ⅸ, 미로는 지역적 특성을 기하학적인 구도로 기능과 공간을 활용한 것처럼 롤과 꼬기를 이용하여 비대칭적인 균형감과 조화미를 표현 하였다. 작품Ⅹ-1, 파빌리온은 3차원 드로잉을 통해 무한대로 확장한 자유로운 표현의 유기적 형태의 도출을 아이롱으로 C컬을 만든 후 브러쉬를 이용해 드로잉 작업을 통하여 표현 하였다. 작품Ⅹ-2, 코린트는 코린트 양식에서 정적이고 역동적인 조형요소의 상호 관계를 유동적 이동성으로 창조하기 위해 아이롱으로 S컬을 사용하여 표현 하였다. 따라서, 작품제작을 통해 건축예술과 미용예술의 조형적 원리의 기초적인 개념이 같은 맥락에서 이루어짐을 주장하며, 미용예술은 각 개인마다 가지고 있는 스타일의 특성을 고려한 창조를 이루며 조형의 원리와 기법을 통한 표현으로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회화와 건축에서 다양한 예술적 작품들이 창조되어 발표되었듯, 새로운 영감(靈感)과 트랜드(trend)로 아름다움을 추구하여 미적 표현을 통해 사람들에게 만족감과 함께 예술적 가치를 높이며 발전할 수 있도록 미용 예술에서도 조형적 원리를 적용한 다양한 창작 작품이 발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하나의 장르로 자리 잡기 위해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와 이론적 정립에도 더욱 노력을 기울여 영역을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후속 논문과 지속적인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본 연구로 인해 미용예술의 영역을 확대하여 건축이나 회화 등의 예술적 장르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도록 자리 매김을 하는데 일조를 하고자 함이다. The style of architecture is a sort of style of art which has been developed, affecting huge human’s life. Building is one of genre for creating art and it has various styles, functions and infinite possibility. The style of architecture such as spire that rends the sky and gigantic dome, magnificent flying buttress has been expressed and completed as a form of sculpture or as a work of architecture variously in a trend of history. The research looks into the style of architecture that has been used in each time’s trend and it studied how the sculpture, theories and components have been expressed in painting, architecture and up-style of beauty art through the examples of works. And the research chose the representative 10 winners of Pritzker Architecture Prize which is considered as a Nobel Prize of architecture related to human being. The research analyzes their architectures that their thoughts and achievements are melted in by the factor of sculpture principle and component of architecture and it checks their original design of their rules, philosophy and regulation. So the research wants to show it is possible to organize typological and design based on basic representation techniques of up-style of beauty art by expressing and designing the principle to 11 up-style works. ‘Ionia’ PieceⅠ expressed whirlpool hair style by 4 strands diamond braids like vertical shape which reaches out to the sky is expressed by attaching sunken pediment and timber in architecture. ‘Soaring’ PieceⅡ decolorized wig 15㎝ and coated in gradation of 3 colors and expressed using roll piece of complementary color like utilizing complementary colors on the top of the gateway to satellite cities reaches out to the sky. 'Swan' PieceⅢ showed lines using roll, twist, braid and loop and expressed gracefully like swan repeated pure white color and curve flow of streamlined shape of geometric round wall expressed minimal art. ‘Freedom’ PieceⅣ uses repeating and rhythm and expressed deconstructive esthetics like a deconstructive building was built by the result of coincidence and improvisation. ‘Crane’ PieceⅤ uses roll and loop and expressed grace and modern in texture of simple and geometric shape. ‘Garden’ PieceⅥ showed technique of braid, roll, twist and over-lapping like it is comprised of eco-friendly mixed with nature environment. ‘Autumn’ PieceⅦ expressed in a way of high tech which connects function and space using 7 strands braids, twist and knot just like a work that completes possibility of esthetic for the first time and also expresses external exposure and technical expression huge and satirically. ‘Skyscraper’ PieceⅧ expressed the feature of architecture which shows huge and lyrical skyscraper by making hair piece with the way of over-lapping using repeating and rhythm. ‘Maze’ PieceⅨ expressed asymmetrical balance and harmony using roll and twist like local feature by utilizing the function and space in the composition. ‘Pavilion’ PieceⅩ-1 expressed the organic shape of liberal expression which expands infinite through 3-D drawing by using hair iron and making c shape curl and brushing. ‘The Corinth’ PieceⅩ-2 used hair iron and makes it S shape curl to create the stillness and dynamic component of sculpture from the style of Corinth. Therefore the research shows that the sculptural principle and basic concept of architecture and the Beauty-art are similar and also it shows for beauty art to create and express of the individual’s style variously through the expression of principle and technique of sculpture. So here are the proposals of the research like below. First ,Beauty-art should seek the beauty with inspiration and trend and various creative works should be come out in Beauty art to increase and develop the value of artistic through the expression of the esthetics. Second, in order to be settled as a genre, we need to make an effort to establish theory and continuous research more so that we can enhance the range of field with the papers and endless study. So I hope my research helps the Beauty-art considered as an artistic genre like Architecture or Painting.

      • 교육 원리로서 뇌호흡 수련 원리의 성립가능성 탐색

        이희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뇌호흡 수련의 원리 중에서 ‘인간완성의 원리’로 개념화된 수승화강, 심기혈정, 정충기장신명의 원리가 인간행동의 계획적인 변화를 이루고자 하는 교육의 원리로서도 성립가능하다는 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교육과 수련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수련의 한 종류인 뇌호흡 수련에 초점을 맞추어 여러 가지 원리 중에서 ‘개인완성의 원리’로 개념화 되는 수승화강, 심기혈정, 정충기장신명의 원리를 중심으로 그 의미와 신경생리 학적 기제 그리고 교육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체계적이고 의도적인 활동을 강조하는 교육과 심신통합적인 활동을 강조하는 수련은 체험의 향상을 통하여 인간의 가능성 실현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교육 활동에서는 학습자가 파편화되고 분절적인 체험을 주로 겪는 반면, 수련 활동에서는 수련자 또는 학습자가 총체적인 체험을 주로 겪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통점과 차이점은 수련의 한 종류인 뇌호흡 수련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3장에서는 뇌호흡 수련 원리의 의미와 신경생리학적 기제를 밝히고, 4장에서는 이에 근거하여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수승화강의 원리란 신장의 물 기운은 독맥을 따라 머리로 올라가고, 심장의 불기운은 임맥을 따라 단전으로 내려가 물 기운과 불 기운이 조화를 이루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하단전 강화의 원리’로 재해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뇌의 활동력은 최고조에 이르게 된다. 심기혈정의 원리는 마음이 가는 곳에 에너지가 흐르고, 에너지가 흐르면 혈액이 흘러 몸과 물질(精)의 변화를 만들어 낸다는 의미이며, 이는 곧 보이지 않는 마음과 의식의 세계가 보이는 세계의 현상들을 만든다는 것이다. 육체와 마음과 정신 건강의 필수조건이며 인격완성(性通)의 지름길인 정충기장신명의 원리는 수련을 할 때 몸에서 일어나는 변화와 그것을 바탕으로 하는기적인 상태의 변화 그리고 의식의 진화과정까지를 설명해 주는 원리라고 할 수 있다. 정충 · 기장 · 신명이란 정이 충만하면 기가 장해지고, 기가 장해지면 신이 밝아진다는 것을 뜻하며, 인체 내 하단전 · 중단전 · 상단전의 에너지 완성과정을 의미하는 원리이다 또한 뇌호흡 수련을 통해 대뇌피질 변연계 . , , 뇌간을 망라하는 전뇌가 통합되는 과정을 의미하기도 한다. 3대 원리의 의미에 이어 뇌호흡 수련의 원리가 통찰과 직관에 그치지 않고 신경생리학적인 근거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구체적인 근거를 들어 규명하였다. 먼저 수승화강(水昇火降)의 상태가 되어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 건강을 유지하게 되면 뇌에서는 도파민, β-엔도르핀, 세로토닌, 아세틸콜린 등과 같은 기분좋은 신경전달 물질들이 분비가 되며, 반대로 뇌가 열을 받고 배가 차가워지는 화승수강(火昇水降)의 상태가 되면 뇌에서는 독성이 있는 신경전달 물질인 코르티솔, 에피네프린, 메틸옥시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등이 분비된다. 심기혈정의 원리는 뇌가 가진 중요한 속성 중의 하나인 “수초화 (myelination)" 현상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이는 “시냅스의 공고화” 라고도 표현 할 수 있는데 자주 사용하는 신경세포의 축색돌기에 절연물질이 덮이는 현상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심기혈정의 원리를 새로운 시냅스의 형성과 뇌세포 가 시냅스를 완성해 가는 과정에 비유한다면 뇌의 재구조화로도 설명할 수 있 는데, 새롭게 형성된 뇌세포 회로망은 특히 홍익인간과 같은 근본적인 고급정보 의 선택과 실천을 통해 가장 획기적으로 재구조화될 수 있다. 그리고 뇌 신경세 포의 가소성(plasticity)은 신경세포들이 서로 간에 새로운 신경세포 회로망을 구성하여 정보처리 구조 자체를 바꿀 수 있는 것을 말하는데, 이러한 특성에 의해 뇌의 재구조화가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심기혈정의 원리는 뇌 신경세포의 가소성으로도 설명할 수 있다. 하단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정충은 뇌의 뇌간 영역의 기본적인 생명 현상의 질서를 가져오며, 중단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기장은 뇌의 변연계 영역의 변화를 유도하여 인간의 기억작용의 변화와 마음과 정서의 조화로움을 가져오게 한다. 그리고 상단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신명은 뇌의 대뇌피질 기능의 활성화로 뇌 회로의 변화를 유도하여 의식수준의 향상과 같은 근본적인 변혁을 가져오게 한다. 정충기장신명에 의해 뇌구조가 통합이 되면 인간이 느끼는 최고의 쾌감을 경험할 수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도파민이나 베타 엔도르핀과 같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어 육체적으로 건강하고 활력이 있는 상태에서 자신감과 기쁨이 넘치며 지혜로운 삶을 살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뇌구조가 통합이 되면 뇌간의 에너지를 분출시켜 초인적인 힘이나 기적적인 치유가 일어나기도 하며 무한한 생명의 잠재력을 일깨우고 확인하는 과정에서 뇌의 기능이 확대된다. 마지막으로 뇌호흡 수련 원리의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승화강이 되면 정충이 되어 강한 집중력 지구력 인내력 끈기 , , , , 자신감이 길러지게 되며 또한 기장이 되어 풍부한 정서를 갖게 되기 때문에 수승화강의 원리는 학생들의 체력과 정신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심신 건강의 원리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수승화강의 원리는 학습자의 신체적인 건강을 위한 구체적인 부분과 심리적인 조건에 대해 다루고 있기 때문에 기존 교육원리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는 뇌호흡 수련만의 독특한 원리라고 볼 수 있다. 심기혈정의 원리는 심기혈정의 의미 자체가 하고자 하는 의지, 즉 마음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학습에 중요한 동기유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목표를 세워서 이루어가는 과정 자체가 심기혈정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학습 목표 달성을 위해서도 중요한 원리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심기혈정의 원리는 성공적인 학습을 위한 원리이며, 이로써 학교 교육에서는 이미 심기혈정의 원리를 학습의 원리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충기장신명의 원리는 몸과 마음과 정신의 총체적인 변화를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지 · 덕 · 체 모두 달성할 수 있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원리이며, 교육의 이상으로 제시해 온 통합교육과 전인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원리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교육과 수련이 함께 지향하는 인격완성을 이루기 위한 원리라는 측면에서도 교육원리로서 성립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지금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목 중에서도 정충기장신명의 원리가 적용된 교과목들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현재 교육과정 속에는 이미 이러한 뇌호흡 수련의 원리들이 교육 원리로서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존의 교육 원리에서는 학습자의 상태에 관한 원리를 제대로 다루지 못했으며 학습 소재의 선정과 조직에 관한 규범적 지식을 주로 다루는 반면, 뇌호흡수련의 원리는 학습자가 사고 · 정서 · 신체 전반에 걸쳐 실현해야 할 기능적지식을 주로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뇌호흡 수련의 원리는 그동안 교육에서 미처 다루지 못했던 총체로서의 학습자에 관한 새로운 교육 원리라는 점이 규명되었다. This Thesis intended that theory of Suseungwhagang( 水昇火降),Simgiheoljung(心氣血精),Jeongchoong-Gijang-Sinmyung(精充氣壯神明) concepted as principle of human completion can be compatible with that of education of making designed change for human behavior. To make it happen, first of all, looked into the commonality & difference of education and practice then each meaning, neurophysiology mechanism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focusing the theory of Suseungwhagang, Simgiheoljung, Jeongchoong-Gijang-Sinmyung concepted as individual completion of various principles, bringing a kind of practice, brain respiration into focus. The feature of brain respiration brought out in the process of reviewing commonality & difference of education and practice. Education stressing well organized and intended activity and practice into activity of unified mind & body aimed at realization of humanity through improved experience in common. However, there is the difference that education activity makes leaner go through fragmented and articulated experience while practice activity has them undergo whole experience. Such commonality & difference appears a kind of practice, brain respiration as well. In chapter 3, stated principle of brain respiration practice and neurophysiology mechanism and based on that, in chapter 4, looked into educational significance. Suseungwhagang means the status harmonizing each other after cooling sensation of the kidney goes over head along an governor vessel and stifling sensation of heart goes down abdomen along conception vessel and can be redefined as theory of intensifying lower abdomen. Since brain activity is in highest only in that status, the theory of Suseungwhagang is best energy status raising brain activity. Simgiheoljung is the theory the energy flows where mind move toward and making the change of body and energy with energy flowing. That means invisible mind and consciousness make phenomenon of visibility. Jeongchoong-Gijang-Sinmyung required for health of body, heart and mind and shortcut of personality completion is the theory explaining the change from body in practice and change to energy status based on that and progress of consciousness. Jeongchoong-Gijang-Sinmyung means abundant substance makes energy vigorous and vigorous energy makes deity enlightened and principle not only for the process of energy completion for lower, middle, upper abdomen inside human body but also for the process combining 3 layer structure of brain. Following above three principles, looked into that with concrete example, the theory of brain respiration practice contains neurophysiology foundation as well as discernment and intuition. Firstly, if get into Suseungwhagang and keep mental and physical health, good neurotransmitter come out from brain, such as dopamine, β -endorphin, serotonin and acetylcholine. On the contrary, if get into Whaseungsugang, brain is heated and abdomen is cooled, brain secretes poisonous neurotransmitter such as epinephrine, methyloxydopamine and norepinephrine. The theory of Simgiheoljung is brain-scientific concept and can be stated through myelination, one of the important attributes of brain. It's described as solidity of synapse which insulation is covered with axon of nerve cell used frequently. Also from neurophysiology viewpoint, the theory of Simgiheoljung is described as the process of making synapse through brain cell’s preparation and efforts for synapse building. Like that, if considered as formation of new synapse, it can be explained with reconstruction of brain as well. Reconstruction of brain means changing frame of brain with creation of new synapse by selection and practice information and newly created brain circuitry can be most reconstructed by the option and action of advanced information especially such as human completion. Also, a brain cell is linked with numerous brain cells and chained structure can be changed. This is called plasticity of a brain cell and this feature is one of amazing attributes of brain and that means nerve cells formulate new nerve cell circuitry with each other and change the frame of information processing itself. Since with the feature, plasticity of a brain cell, reconstruction of brain is attained, from neurophysiology viewpoint, the theory of Simgiheoljung can be established with the plasticity of brain cell. From neurophysiology viewpoint, Jeongchoong formulated by lower abdomen leads to order of life phenomenon in brain stem and Gijang formulated by middle abdomen induces change of limbic system in brain to change of memory operation of human and harmony with mind and sentiment. Finally, Sinmyung formulated by upper abdomen brings about fundamental change of consciousness structure of human leading the change of brain circuitry by revitalization of cerebral cortex. If brain structure is unified by Jeongchoong-Gijang-Sinmyung, since it gives human the most physical satisfaction, as known well, they live wisely with confidence and delight along with healthy and active body secreting neurotransmitter which has positive influence such as dopamine, β -endorphin. Also, based on theory like that, if brain structure is combined, the energy of brain stem is given out so that superhuman force and miraculous healing happen and capacity of brain is enlarged through waking and confirming unlimited potential energy of life. Finally,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ory of brain respiration practice is as follows; Firstly, if Suseungwhagang is made, it comes to Jeongchoong so that sound and vital body are given. Since this results in powerful concentration, endurance, patience, tenacity and self-confidence and comes to 기장 so that abundant feeling is given, the Suseungwhagang is the theory of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which is useful for student's physical strength and improvement of mental power. Theory of previous education doesn't mention detailed part and psychological condition for learner's physical fitness but the theory of Suseungwhagang represents something concrete for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that sense, only brain respiration practice can supplement insufficient part of educational theory Since the theory of Simgiheoljung emphasize meaning of Simgiheoljung itself, that is mind, it is important theory especially for motivation and goal achievement essential for learning. If make a resolution to set the goal and achieve it, comes to try to practice it with strong concentrated mind and in that process, desired goal can be achieved so process itself setting and accomplishing the goal is based on the theory of Simgiheoljung. Like this, Simgiheoljung is not only the theory for successful learning but also school education makes use of Simgiheoljung as the theory of learning. Finally, Jeongchoong is related to physical exercise and Gijang is for wisdom and Sinmyung is for knowledge which are stressed at school and since theory of Jeongchoong-Gijang-Sinmyung emphasize whole change of body, heart and mind, it's comprehensive theory to attain all of wisdom, knowledge and physical exercise and play a important role to demonstrate unified education and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 as an ideal for education so it can be formulated enough as educational theory. And in the way of becoming an indicator to realize personality completion, the goal that education and practice aim at in common, it can be formulated enough as educational theory and since you can look into subjects that theory of Jeongchoong-Gijang-Sinmyung is applied, the theory of brain respiration practice like that is applied as educational theory. While previous educational theory doesn't treat theory on learner's status and mainly handle selection of study material and normative knowledge for organization, the theory of brain respiration practice mainly treat the technical knowledge for learner's thought, sentiment and physical status. Therefore, the theory of brain respiration practice is compatible as educational theory supplementing the area education didn't deal with until n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