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순환운동이 중년비만여성의 인슐린저항성과 혈중 글루카곤 및 Glucagon like peptide-1(GLP-1)에 미치는 영향

        김정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중년비만여성을 대상으로 8주간의 순환운동 시 GLP-1에 미치는 영향 및 인슐린과 글루카곤, 혈중지질성분, 그리고 인슐린 저항성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비만과 관련된 GLP-1의 기전을 연구하고, 운동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순환운동으로 중년비만여성의 폐경기 대사성 증후군과 심혈관질환의 유병률 감소 및 예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의학적 질환이 없고, 폐경을 한지 2년 이상이 되었으며, 체지방률(%)이 30%이상인 비만여성 15명을 선정하여 각각 control 그룹 7명, exercise 그룹 8명으로 배정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는 8주간의 순환운동 프로그램 실시 전, 후에 모든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는 모든 피험자에게서 안정시와 운동직후 각각 두 번씩 총 네 번의 채혈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사전과 사후 운동검사는 트레드밀에서 VO2max의 70%강도로 실시하였다. Exercise 그룹에서 8주간의 순환운동 프로그램은 준비운동과 정리운동 각각 10분씩 배정하고, 본운동으로 40분을 배정하여 총 60분 실시하였으며, 1-4주차는 주 3회(HRR 50-60%, RPE 13-14) 실시하였고, 그 후 5-8주차는 주 4회(HRR 60-70%, RPE 14-15)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실시한 결과, 8주간의 순환운동 실시 후, exercise 그룹에서 DBP를 제외한 신체구성(weight, %body fat, BMI, WC, WHR, SBP)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이와 반대로 control 그룹에서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전, 사후 안정시와 운동직후의 각 그룹 간 차이는 weight, %body fat, BMI, WHR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순환운동 실시 후, exercise 그룹에서 혈중지질성분(TG, TC, LDL-Cholesterol)수치는 안정시와 운동직후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HDL-Cholesterol은 안정시와 운동직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와 반대로 control 그룹에서는 안정시와 운동직후 TG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HDL-Cholesterol수치는 안정시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각 그룹 간 차이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HDL-Cholesterol은 안정시에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순환운동 실시 후 exercise 그룹에서 인슐린, glucose, HOMA-IR 수치가 안정시와 운동직후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트레이닝 전·후 안정시와 운동직후 각 그룹 간 차이는 안정시 인슐린 수치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혈중 글루카곤과 GLP-1의 수치는 exercise 그룹에서 안정시와 운동직후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control 그룹에서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트레이닝 전·후 안정시와 운동직후의 각 그룹 간 차이는 운동직후 글루카곤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나머지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에서 실시한 순환운동은 중년비만여성에게서 여러 변인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야기시켰고, 이와 같은 변화는 순환운동 프로그램으로 고혈압과 당뇨 등의 폐경기 대사성 증후군과 심혈관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한편, GLP-1의 감소는 체중감소로 인한 음의 에너지균형으로 판단되며, 감소된 체중에 비하면 적은 수준의 감소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연구 대상자와 방법에 대한 차이에 의하여 결과들이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고 생각되며, 8주라는 단기간의 트레이닝과 적은 피험자 수로는 확실한 결과를 얻었다고 판단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앞으로는 장기간의 트레이닝과 더 많은 피험자로 실시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대학생 운동지연행동 척도 개발

        최원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서양의 운동문화는 우리의 운동문화와는 차이가 있다. 운동에도 그 문화권만이 가지고 있는 가치관이나 규범이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운동에 대한 가치관과 문화적 인식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다른 문화권에서 보고된 연구결과가 우리의 문화권에 그대로 적용되는 것은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지연행동은 문화적 편향성을 강하게 반영하며, 사회·문화적인 맥락을 고려해야하는 변인이다. 또한 운동지연행동 형성과 진행과정에 대한 포괄적인 탐색을 위해서는 지연행동의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운동지연행동 개념 구조를 탐색하고, 탐색된 개념 구조를 바탕으로 대학생 운동지연행동 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대학생 운동지연행동 개념구조를 탐색하기 위하여 대학생 17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을 통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운동지연행동의 개념으로 무기력, 회피행동, 부정적 감정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운동을 지연하고 있는 상태에 대한 생각으로 무기력, 자기통제결여, 회피행동, 부정적 감정, 인지부조화 등의 요인, 운동을 지연하지 않는 상태에 대한 생각으로는 자기주도력, 긍정적 감정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두 번째, 대학생 운동지연행동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대학생 19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개념구조 탐색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운동지연행동 측정 문항을 제작한 결과 총 32개의 문항이 제작되었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 운동지연행동 척도는 다차원으로 구성된 총 4요인 24문항으로 개발되었다. 세 번째, 개발된 대학생 운동지연행동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학생 254명을 대상으로 4요인 24문항으로 구성된 대학생 운동지연행동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적으로 4요인 16문항이 비교적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고, 개념타당도 검증 결과 구성개념은 관측변인에 의해 비교적 잘 측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 여학생 모든 집단에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지구촌새마을운동 보급을 통한 저개발국 선교방안 : 미얀마를 중심으로

        정경진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구촌새마을운동보급을 통한 선교방안 연구는 한국의 새마을운동을 저개발국가와 미전도 종족들에게 보급함으로써 저개발국가의 국민들을 가난에서 탈피시키고, 그들을 하나님께로 인도하는 선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현재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한국의 새마을운동에 대하여 각종 자료조사와 함께 동남아시아에 위치해 있는 미얀마의 국민들을 대상으로 사회지도층과 일반주민을 구분하여 그들에 대한 새마을운동 수용의지와 선교의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저개발국가에서의 가장 효율적인 선교방안은 그들에게 당면해 있는 가난으로부터의 탈피를 통해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는 신뢰관계 형성이 필요하다. 아울러 타문화권 속에 있는 영혼들을 구원의 길로 인도하는 선교적 접근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빈곤으로 인해 방황하는 타문화권 사람들에게 지구촌새마을운동 보급을 통한 선교는 분명 효과적인 선교전략임에 틀림없다. 연구분석 결과에 의하면 미얀마는 빈곤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교회의 지원도 수용할 태세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 한국교회는 이들이 내미는 손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이에 대하여 저개발국가에서 지구촌새마을운동 보급을 통한 효과적인 선교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저개발국가의 지역 주민들에 대한 그들의 필요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미얀마 국민들이 기독교새마을운동을 수용할 뜻을 보인 것은 그들이 잘 살기 위해서는 종교적 문제보다 가난을 탈피해 보고자 하는 욕구이다. 따라서 기독교새마을운동 보급을 통해서 그들의 전통적 종교로는 가난을 탈피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구원에 이를 수 없음을 깨우쳐 주는 것이다. 둘째, 미얀마를 비롯한 저개발 국가들에 대한 선교전략은 단기적인 전략보다 중․장기적으로 접근하여 그들의 신뢰를 통한 선교의 틈새를 노려야 한다. 왜냐하면 미얀마의 경우 전통적으로 불교적 영향력이 강한 나라이고 대외적으로 불교를 국교로 내세우는 한편, 불교문화에 의한 민족성이 강한 나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우선 내부자선교사역을 하는 등의 지혜롭고 효율적인 선교사역이 필요하다. 셋째, 새마을운동 보급을 통한 선교사역에 있어서 좀 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선교사역을 위해서는 새마을운동 추진단계에 맞는 선교사역이 이루어지도록 추진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것은 새마을운동을 통한 그들의 물질적․생활환경적 삶의 변화와 함께 하나님의 도우심을 깨닫도록 함으로서 영적인 변화도 일어나게 하는 것이다. 넷째, 기독교새마을운동의 전문성강화와 선교지에서의 합리적인 기독교새마을운동의 추진을 위하여 새마을선교사 양성도 추진되어야 할 문제이다. 마지막으로 한국교회가 이 땅에 예수님께서 다시 오실 날을 하루라도 앞당기기 위해서는 이 기독교새마을운동이 이방민족과 미전도 종족들에게 보급하는 일에 적극 동참함으로써 이 운동을 통한 복음사역에 나서야 할 것을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회단위 또는 노회단위로 저개발국가의 일정지역을 입양하여 지역적 모델로 기독교새마을운동을 지원하고 변화를 유도하여 그 지역을 선교의 전초기지로 만드는 일이다.

      • 운동치료 시간량의 차이가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회복 및 심혈관질환 예측인자들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명철 대구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2005년 10월부터 2006년 5월까지 허혈성 뇌졸중(뇌경색)으로 진단받고 대구00병원에 입원하여 기능회복을 목적으로 물리치료를 받고자 하는 환자들 중 본 연구의 필요조건을 충족하는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을 각각 9명씩 무선 배치시켜 두 집단으로 나누고, 대조군의 운동치료 시간량과 실험군의 운동치료 시간량에 차이를 두어 치료기간(전-중-후: 총 3개월)에 따른 상ㆍ하지 운동기능 평가(FMS), 보행기능 평가(MMAS), 백혈구(WBC) 수, 저비중지단백질-콜레스테롤(LDL-C), 고비중지단백질-콜레스테롤(HDL-C), 심근효소물질(Troponin I), C-반응성 단백질(CRP), 심전도(ECG)의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FMS에 대한 각 그룹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각 그룹별로는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FMS에 대한 치료기간별 그룹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2. MMAS에 대한 각 그룹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각 그룹별로는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MMAS에 대한 치료기간별 그룹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3. WBC에 대한 각 그룹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각 그룹별로는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실험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WBC에 대한 치료기간별 그룹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4. LDL-C에 대한 각 그룹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각 그룹별로는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실험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LDL-C에 대한 치료기간별 그룹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5. HDL-C에 대한 각 그룹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각 그룹별로는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HDL-C에 대한 치료기간별 그룹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6. Troponin I에 대한 각 그룹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05), 각 그룹별 대조군과 실험군에서도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Troponin I에 대한 치료기간별 그룹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7. CRP에 대한 각 그룹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각 그룹별로는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05), 실험군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CRP에 대한 치료기간별 그룹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8. ECG에 대한 각 그룹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각 그룹별로는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ECG에 대한 치료기간별 그룹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회복에 있어 운동치료 시간량의 차이는 대조군과 실험군간에 FMS와 MMAS의 평가에서 육안적 변화를 보였지만 통계학적으로는 유의성이 없었고, 또한 WBC, LDL-C, HDL-C, Troponin I, CRP, ECG의 변화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각 그룹별로 치료기간에 따른 변화를 보면 FMS, MMAS, HDL-C, ECG 등이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CRP는 실험군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WBC와 LDL-C에서는 대조군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Troponin I은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동치료 시간량의 차이가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회복 및 심혈관질환 예측인자들의 변화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며, 오히려 치료기간이 이들의 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had been carried out with 18 ischemic stroke patients as its object for about three months from October, 2005 to May, 2006 in order to observe the recovery of motor function and the change of respect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according to the different quantitative exercises. Subjects were assigned randomly either experimental group(n=19) or the control group(n=19), when the study began the halfway on this study dropout 20 patients, and final subjects remained experimental group's 9 patients and control group's 9 patients. Both groups received thermotherapy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FES), also taken different quantitative exercise therapy(experimental group 180 minutes, control group 80 minutes). Subjects were assessed for upper and lower extremities motor function(fugl-meyer scale;FMS), functional walking(modified motor assessment scale;MMAS), blood test(white blood count;WBC,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LDL-C,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HDL-C, C-reactive protein;CRP) and the heart test(Troponin I, Electrocardiogram;ECG) during pretest, after 2 months, after 3 month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FMS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tergroup(p>0.05).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each groups(p<0.05). Also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tergroup during treatment period(p>0.05). 2. MMAS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tergroup(p>0.05).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each groups(p<0.05). Also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tergroup during treatment period(p>0.05). 3. WBC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tergroup(p>0.05).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rol group(p<0.05), without experimental group(p>0.05).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tergroup during treatment period(p>0.05). 4. LDL-C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tergroup(p>0.05).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rol group(p<0.05), without experimental group(p>0.05).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tergroup during treatment period(p>0.05). 5. HDL-C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tergroup(p<0.05).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each groups(p>0.05).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tergroup during treatment period(p>0.05). 6. Troponin I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tergroup (p>0.05). Also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each groups(p>0.05).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tergroup during treatment period(p>0.05). 7. CRP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tergroup(p>0.05).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mental group(p<0.05), without control group(p>0.05).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tergroup during treatment period(p>0.05). 8. ECG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tergroup(p>0.05).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each groups(p<0.05).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tergroup during treatment period(p>0.05).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fferent quantitative exercises has no effect on FMS, MMAS, LDL-C, HDL-C, WBC, CRP, ECG with ischemic stroke patients. But the treatment period time has an effect on FMS, MMAS, HDL-C, ECG with ischemic stroke patients. In light of facts described above, it is expected that there's less correlation between the recovery of motor function and the different quantitative exercise, also less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of respect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the different quantitative exercises with ischemic stroke patients.

      • 운동장 유,무가 초등학생의 체격,체력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박선영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운동장 유·무가 초등학생의 체격·체력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S, B시에 소재하는 운동장이 없는 C, G초등학교 5학년(남 121, 여 114), 6학년(남 137, 여 115) 운동장이 있는 D, J초등학교 5학년(남 153, 여 124), 6학년(남 168, 여 130), 총계 1062명을 대상으로 체격 2개 항목과 체력 5개 항목, 신체조성 1개 항목을 측정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신장은 운동장이 있는 학교의 5학년 남학생과 6학년 여학생이 운동장이 없는 학교 학생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50m 달리기, 제자리멀리뛰기, 오래달리기에서 운동장이 있는 학교의 5, 6학년 남학생은 운동장이 없는 학교 학생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윗몸일으키기와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에서도 운동장이 있는 학교의 5학년 남학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제자리멀리뛰기와 오래달리기에서 운동장이 있는 학교의 5, 6학년 여학생은 운동장이 없는 학교 학생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윗몸일으키기와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에서도 운동장이 있는 학교의 5학년 여학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체력급수는 성별, 학년별 모든 집단이 운동장이 있는 학교 학생이 운동장이 없는 학교 학생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신체조성을 나타내는 BMI는 운동장의 유무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the objective though playground effects on structure of body, physical strength, body compos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Got following conclusion as result that measured and analyzed 2 items consisted structure of body, 4 items consisted physical strength, 1 item consisted body composition of 5th grade student(male 121, female 114), 6th grade student(male 137, female 115) of C and G elementary school with no playground, 5th grade student(male 153, female 124), 6th grade student(male 168, female 130) of D and J elementary school with playground in S and B city. 1. 5th male grade and 6th female grad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with playground are significantly higher values than those in the elementary school with no playground. 2. 5th and 6th male grad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with playground are showed better records than those in the elementary school with no playground at 50m dash, standing long jump, long distance run. 5th male grad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with playground are showed better records than those in the elementary school with no playground at sit-ups, trunk flexion. 3. 5th and 6th female grad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with playground are showed better records than those in the elementary school with no playground at standing long jump, long distance run. 5th female grad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with playground are showed better records than those in the elementary school with no playground at sit-ups, trunk flexion. 4. In the case of physical strength rank by sex distinction, school grade all group show significant. 5. In the case of body composition(BMI) doesn't show significant.

      • 1960년대 미국 서남부 치카노 운동의 성격 : '친쿠바혁명주의자'들의 영향을 중심으로

        김유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68운동 당시 미국의 서남부 지역에 주로 거주하던 멕시칸아메리칸들은 치카노 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들은 스스로를 ‘치카노’라고 칭함으로써 자신들의 문화와 정체성에 대해 자부심을 갖고 미국 사회의 억압과 차별에 대응할 것을 요구했다. 이러한 점에서 치카노 운동은 단일한 운동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사실 다양하고 이질적인 운동들이 결집된 것이었다.본 논문은 바로 이점에 주목하면서, 치카노 운동이 멕시칸아메리칸들의 독특한 경험에서 기인한 것이기도 하지만 68운동이라는 보다 광범위한 사회변혁의 흐름에서도 이해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68운동 당시 미국 제국주의의 억압성에 저항하고 사회의 변혁을 꿈꾸던 미국의 젊은이들은 쿠바혁명을 자신들의 좋은 본보기로 삼았다. 쿠바정부 역시 미국의 제국주의는 국제적인 연대를 통해서만 극복이 가능하다고 주장하였고, 이러한 주장은 미국의 젊은이들에게 공명하였던 것이다. 이는 치카노 운동에 참여한 많은 멕시칸아메리칸 젊은이들에게도 마찬가지였다.본 논문은 거의 존재가 알려져 있지 않았던 벤세레모스 여단(Venceremos Brigade)에 주목하였다. 쿠바를 직접 경험하고자 원했던 미국 젊은이들의 바람이 현실화된 이 단체는 약 8주에 걸친 사탕수수 농장 체험과 각종 학습세미나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이중에는 베트남인들과 그 외의 제3세계 여단들과 만날 수 있는 자리도 마련되어 있었다. 벤세레모스 여단에 참여한 젊은이들은 쿠바의 사회주의에 매혹되었으며, 미국의 제국주의에 저항하고자 하는 의지로 충만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여단에는 다수의 멕시칸아메리칸들도 참여했던 것으로 확인되는데, 한 멕시칸아메리칸은 쿠바의 경험을 토대로 미국 내에서의 반제국주의 투쟁의 최전선에 나서겠다는 굳건한 의지를 피력하기도 하였다.캘리포니아의 농민노동자조합운동에서 주도적인 운동가로 활약했으며, 치카노 필름의 선구자이기도 한 루이스 발데스(Luis Valdez) 역시 벤세레모스 여단을 경험했었다. 발데스가 쿠바를 다녀온 후 남긴 수필은 그의 사상적 변화의 추이를 확인해 볼 수 있는 좋은 사료이다. 그는 멕시칸아메리칸의 현실을 다른 라틴아메리카인들의 상황과 동일시하게 되었으며, 피델 카스트로를 멕시칸아메리칸 사회운동의 지도자로 받아들이겠다고 피력하였다. 이는 발데스가 치카노 운동을 국제주의적 반제국주의투쟁의 일부로 여기고 있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는 농장노동자조합운동과 농민극단(El Teatro Campesino)의 중심적인 활동가로 자리 잡으면서, 치카노 운동 세력에 큰 영향을 미쳤다.샌프란시스코의 예술가집단 역시 쿠바의 영향을 확인해볼 수 있는 좋은 사례이다. 일단의 멕시칸아메리칸 예술가들은 기존의 상업주의적인 예술을 극복하기 위한 고민을 쿠바의 포스터예술을 받아들임으로써 해결하였다. 쿠바는 유럽 식민주의의 잔재들과 현재 존재하는 미국 제국주의에 대해 ‘제3세계’의 연대를 통해서 극복할 것을 주장했는데, 이러한 목적에서 발간된 ??트리컨티넨탈 Tricontinental??지는 세계 곳곳에 전달되었다. 쿠바의 포스터는 이 잡지를 통해 함께 전 세계로 전파되었으며, 샌프란시스코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곳에 보인 일단의 멕시칸아메리칸 예술가들은 쿠바의 포스터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치카노 운동을 선전하는 포스터와 함께, 국제적 반제국주의 투쟁과 연대정신을 주장하는 포스터들도 많이 제작하였다.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1960년대를 주도했던 치카노 운동 세력 내부에는 ‘친쿠바혁명주의자’들이 존재했고, 이들은 치카노 운동을 민족주의적 운동으로 파악하기보다는 국제적인 반제국주의 투쟁의 일환으로 파악했다. 이들은 치카노 운동의 주변부에만 머물렀던 것이 아니라, 치카노 정체성의 전파 및 선전과 관련하여 중요한 위치를 점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실제 치카노 운동은 ‘친쿠바혁명주의자’들의 바람과는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많은 치카노 운동가들이 ‘치카노’를 민족주의적인 정체성으로 이해하면서, 치카노 운동은 점차 다른 인종이나 민족과의 연대를 배제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게다가 백인의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혐오하는 일부 치카노 운동의 핵심 일원들은 마르크스주의 역시 유럽과 백인의 산물이라며 배척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치카노 운동의 전개방향은 자본주의의 산물인 제국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전술로서 마르크스주의를 표방했던 쿠바혁명의 경험과는 동떨어진 것이 되어갔다.뿐만 아니라 치카노 운동은 단일한 지도력을 형성하는 데에도 실패하였으며, ‘치카노’라는 정체성도 멕시칸아메리칸들을 하나로 통합하는 구심점이 되기에는 부족한 것이었다. 이러한 내부의 약점과 함께, 치카노 운동은 급진적 사회운동으로서의 68운동의 소멸과 함께 점차 약되고야 말았던 것이다.그러나 1970년대부터 민족주의적인 치카노 운동이 약화됨과 동시에 일단의 마르크스주의적 치카노 운동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기존의 운동에 대한 실패를 반성하고, 국제적인 피억압민중들이 연대해야만 한다는 주장을 내세웠다. 이는 ‘친쿠바혁명주의자’들의 주장과 일맥상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친쿠바혁명주의자’들은 민족주의의 한계가 드러나게 된 1970년대가 되어서는 오히려 치카노 운동이 취해야할 적절한 전술적 기본틀을 제공한 셈이었다.

      • 토탈 운동관리 솔루션을 위한 쌍방향 네트워크 운동관리 제어 프로그램 개발

        안용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전통적인 의미의 의료서비스는 진단 및 치료 중심에 치우쳐 있던 반면, 만성질환의 증가, 고령화 사회 도래,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예방 및 관리 중심의 맞춤형 의료서비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사람들의 인식의 변화로 단순 운동에서 벗어나 체계적인 운동관리를 추구하며 사용자의 상태를 점검하고 운동을 지도 받고자 한다. 사용자의 운동효과를 극대화화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측정하여 알맞은 운동 프로그램을 지정해주는 운동 관리 시스템이 활용되고 있지만 주기적으로 신체 상태를 파악해서 제공되는 운동프로그램은 측정 결과에 따라 개인이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는 방식이라는 특성 때문에 그 효과가 낮을 수 밖에 없으며 개개인의 운동 습관이나 운동 주기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지 못해 운동 기간이 길어질수록 현재 상태에 적절하지 않은 운동으로 변질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과거 질환, 현재 복용중인 약 등 건강상태와 생활습관 정보를 통해서, 개인의 유형별로 세분화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지능형 바이오 피드백 운동관리 제어 시스템을 구현한다. 또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필요한 측정치를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생체 신호를 역학적으로 재해석하여 개인의 상태에 맞는 종합 운동관리 솔루션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개개인의 운동능력에 맞춘 효율적인 운동 관리를 할 수 있다.

      • 수중운동과 지상운동이 뇌졸중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손남희 용인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same movement patterns in aquatic and ground exercise affect balance and walking abilities of stroke patients. The subjects used in the study were 30 stroke patients from K rehabilitation center in Gangbukgu in Seoul; ten patients in a ground exercise group, ten patients in an aquatic exercise group, and ten patients in a control group. Aquatic exercise was carried out for 12 weeks in total in a swimming center in K sports center in Gangbuk for 40 to 50 minutes twice a week. The same type of exercise program utilizing ground exercises was provided in the auditorium in the K rehabilitation center in Gangbuk. Additional activities were limited for the control group except for the activities daily required activities. The K rehabilitation center was revisted after 12 week to conduct a post‐test was conducted for all subjects under the same conditions and using the same methods for all subjects. The data analysis method used was two‐way RM ANOVA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05. The impact of aquatic and ground exercise on the balance ability of stroke patients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pecific point in time. The balance test scores of the post‐test showed increases in all of the three groups.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ground exercises showed the highest increases. The impact of aquatic and ground exercise on the walking ability of stroke patien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pecific point in time as well. The ground exercise group showed a large decrease in walking ability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s in the balance and walking abilities of stroke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aquatic and ground exercise with ​​the same movement patterns for 12 weeks showed that ground exercise has more effect on those abilities. Therefore, an exercise program suitable for the surrounding and the function of individual stroke patients should be applied. In particular, it was determined that providing an exercise environment and proper exercise methods considering the accessibility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balance and walking abilities of patients with stroke disab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중과 지상에서 동일한 운동패턴을 적용하여 수행 했을 때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서울시 강북구 소재 K 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30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수중운동집단 10명, 지상운동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수중운동은 강북구 K스포츠센터 수영장에서 주2회 40-50분으로 총 12주 동안, 지상운동은 강북구 K장애인복지관 강당에서 동일한 운동형태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통제군은 일상에서 필요한 활동 외에 부가적인 활동은 삼가도록 교육하겠다. 모든 대상자는 12주 후 K장애인복지관에 재방하여 사전실험과 동일한 조건과 방법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은 two-way RM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수중운동과 지상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시점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났다. 사후 측정 시 균형검사 점수는 세 집단 모두 증가하였고, 증가율은 지상운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중운동과 지상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역시 시점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고, 지상운동 집단이 수중운동 집단과 통제집단 보다 보행능력 점수에서 큰 감소가 있었다. 뇌졸중 환자들이 12주간 동일한 운동패턴으로 진행한 수중운동과 지상운동 간의 균형과 보행능력의 차이는 지상운동에서의 효과가 더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개개인의 기능과 환경에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이 적용되어야하며, 특히 뇌졸중 장애인들의 균형 및 보행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환경적인 접근성을 고려한 운동 환경과 올바른 운동방법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운동 유형이 복부비만 중년 여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조지원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이 연구에서는 복부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동일 열량(300 kcal) 소비 시, 지속적운동과 인터벌운동이 신체구성 및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중년여성들의 운동처방에 보다 효율적인 운동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상자(22명)는 지속적 운동집단(n=11)과 인터벌 운동집단(n=11)으로 무선배정 하였으며, 15주간 운동프로그램은 각자의 목표심박수%로 운동 강도를 결정하였다. 지속적 운동집단에서는 심박수의 변화 없이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인터벌 운동집단에서는 심박수의 증가와 감소에 변화를 주어 운동을 실시하였다. 모든 측정변인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종속변인에 대한 운동 전 · 후 차이 검정을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samples t-test)을 이용하였다. 두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경우, 어느 집단에서 더 유의하게 변화를 보였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 하였다. 15주간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신체조성의 변화 결과 체중, 체지방률에서 지속적운동과 인터벌운동 모두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변화에 있어서는 체중, 체지방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BMI에서만 인터벌 운동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변화 결과 복부둘레, TC, TG, LDL-C, Glucose의 경우 지속적운동과 인터벌운동 모두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변화에 있어서 HDL-C를 제외한, TC, TG, LDL-C, Glucose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HDL-C는 지속적 운동에서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체중, 체지방률, 복부둘레, TC, LDL-C, TG, glucose의 변화에 있어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BMI의 감소에 있어서는 지속적 운동보다 인터벌운동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DL-C의 증가에 있어서는 지속적운동이 인터벌운동에 비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운동이 모두 효과적이지만 운동 강도, 기간, 빈도, 시간 등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대사증후군의 개선과 복부비만의 감소를 위해서는 개인적 운동 취향과 운동 방법, 강도, 빈도 등의 적용 프로그램을 잘 활용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Effects of Exercise Types to Metabolic Syndrome in Middle- aged Women with Abdominal Obesity Department of Sports Medicin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Inchon Incheon. Korea This study suggests a better way for exercise for middle-aged woman who have abdominal obesity to identify how continuous exercise and a interval exercise can impact on body composition and metabolic syndrome risk when they burn the same calories(300kcal). The participants(22)were placed in two exercise groups, continuous(11) and interval(11) and assigned arbitrary exercises in a 15 - week program. The intensity of the exercises were determined by each participant’s heart rate. In the continuous exercise group, there were no changes in heart rate.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heart rates in the interval exercise group when constant intensive exercise was performed. All measured variables were calculated for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paired samples t-tests were used to find differences between changes before and after exercise. If statistical changes had occurred in the two groups, independent samples t-tests were used to find differences and to determine which group showed more changes.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a =. 05. When the 15-week exercise program was concluded,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the result of change in body composition, it showed both a continuous and an interval exercise had statistically reduced weight and body fat. No statistical differences of weight and body fat were found when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performed. The only part could be gotten interval exercise effectively was BMI. Second, it showed a statistical reduction of waist circumference, TC , TG , LDL-C and Glucose both in continuous and an interval exercise groups as a result of changing risk factors in metabolic syndrome. No statistical differences of TC, TG, LDL-C, and Glucose were found when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performed. The only effective part of continuous exercise was HDL-C. In summing up the results, it showed no statistically differences of weight, body fat, waist circumference, TC, LDL-C, TG and Glucose when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performed. It showed interval exercise is a much better way to reduce BMI than continuous exercise. But in situations where there were increases of HDL-C, it showed continuous exercise is better than interval exercise. Although both ways of exercising are effective, the results of these exercises can be very varied depending on exercise intensity, duration, frequency, time etc.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metabolic syndrome and reduce abdominal obesity, a program of personal requirements, type of exercise, intensity and frequency of exercise must be set up in the right way.

      • 종목별 선수들의 하체 등속성 운동능력에 관한 비교 연구 : 아이스하키, 필드하키, 농구선수를 중심으로

        박종옥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아이스하키, 필드하키, 농구선수를 대상으로 슬관절 굴·신근의 등속성 운동능력을 비교하는데 있다. 분석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좌측 슬관절 굴곡근에서 등속성 운동능력인 최대회전력, 체중당 최대회전력, 총일량, 체중당 총일량, 평균파워, 체중당 평균파워는 필드하키선수집단과 농구선수집단이 아이스하키선수집단보다 운동능력이 높다. 둘째, 좌측 슬관절 신전근에서 등속성 운동능력인 최대회전력, 체중당 최대회전력, 총일량, 체중당 총일량, 평균파워, 체중당 평균파워는 농구선수집단과 필드하키선수집단이 아이스하키선수집단보다 운동능력이 높다. 셋째, 우측 슬관절 굴곡근에서 등속성 운동능력인 최대회전력, 체중당 최대회전력, 총일량, 체중당 총일량, 평균파워, 체중당 평균파워는 필드하키선수집단과 농구선수집단이 아이스하키선수집단보다 운동능력이 높다. 넷째, 좌측 슬관절 신전근에서 등속성 운동능력인 최대회전력, 체중당 최대회전력, 총일량, 체중당 총일량, 평균파워, 체중당 평균파워는 필드하키선수집단과 아이스하키선수집단이 농구선수집단보다 운동능력이 높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capacity for isokinetic motion of flexion and extension muscles at knee joint by comparing athletes in ice hockey, field hockey and basket ball. Following is the analytic conclusion of this study. First, the flexion muscle at left knee joint, while most of the athlete groups of field hockey and basket ball have been much better in their motion capacity than the athlete group of ice hockey. Second, the extension muscle at the left knee joint, while most of the athlete groups of field hockey and basket ball have been much better in their motion capacity than the athlete group of ice hockey. Third, in the flexion muscle at the right knee joint, although the athlete groups of field hockey and basket ball have been better in their motion capacity than the athlete group of ice hockey. Last, the extension muscle at the left knee joint, while the athlete groups of field hockey and ice hockey have been mostly much better in the motion capacity than the athlete group of basket b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