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놀이운동프로그램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윤신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놀이운동프로그램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놀이운동프로그램을 주 3회 8주간 실시하였다. 통계방법은 대응 t-검정과 독립 t-검정을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놀이운동프로그램 전, 놀이운동프로그램 8주 후에 각각 기본운동능력의 하위요인인 비이동 운동(한발로 균형잡기, 평균대 걷기, 구르기), 이동 운동(앵금질, 점프하기, 스킵), 조작 운동(공 던지기, 공 받기, 공 튀겨 잡기)의 변인들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8주간 놀이운동프로그램 후 기본운동능력의 하위 요인인 비이동 운동에서 실험집단이 한발로 균형잡기를 제외한 평균대 걷기, 구르기가 실험처치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2. 8주간 놀이운동프로그램 후 기본운동능력의 하위 요인인 이동 운동에서 실험집단이 앵금질, 점프하기, 스킵이 실험처치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3. 8주간 놀이운동프로그램 후 기본운동능력의 하위 요인인 조작 운동에서 실험집단이 공받기를 제외한 공 던지기, 공 튀겨 잡기는 실험처치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하여 8주간 놀이운동프로그램은 유아의 기본운동능력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운동프로그램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놀이운동프로그램은 유아의 기본운동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달리고 난간을 잡고 계단을 오르내리고 장애물에서 두발 모아 뛰어내릴 정도의 유연성과 균형감을 갖추게 됨으로써 복잡한 운동 기능 발달시켜 매우 안정된 신체적 발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 된다.

      • 운동프로그램이 저소득 여성 노인의 체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성선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다. 인구구조의 고령화와 함께 나타나는 변화는 노인의 빈곤화이며, 이러한 노인의 빈곤문제나 건강문제는 여성노인의 문제인 경우가 더 많다. 저소득 여성 노인은 인구사회학적으로 높은 독거율, 낮은 취업률과 급여수준, 낮은 교육수준 등으로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상태에 있는 전형적인 소외계층이며 높은 만성질환 유병률 등으로 신체적 기능이 일반 노인에 비하여 불량한 상태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심리적 위축, 우울 등의 정신건강상태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경제적 어려움이 일상생활 및 건강유지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저소득 여성 노인을 위한 경제적인 건강증진 방안의 일환으로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체력,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노화와 더불어 상대적으로 낮은 체력 상태, 높은 만성질환 유병률 등을 특성으로 하는 소외계층인 저소득 여성 노인의 신체적, 심리 사회적 측면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의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유사실험연구로, 2004년 3월 14일부터 2004년 5월 6일까지 8주동안 실험군 26명, 대조군 22명 총 48명의 65세 이상의 저소득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로 총 8주 동안 주 2회, 1회 45-50분의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은 스트레칭, 관절가동성, 근력강화운동을 한국 노인의 정서에 알맞은 동요, 민요, 대중가요의 리듬에 맞춘 율동 동작을 기본 구성으로 하였다. 준비운동, 본 운동, 정리운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첫 4주 동안 운동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을 1회 50분의 운동프로그램 시간 중 15분 동안 총 8회로 나누어 실시하였고, 운동강도와 1회 운동지속시간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 운동 실태와 종속변수인 체력과 우울은 연구자가 연구보조자의 도움을 받아 운동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측정하였다. 체력은 신체구성,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과 평형성을 포함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은 x^(2)-test와 t-test로, 제 변수간의 운동프로그램 전후 차이 비교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평균변화차이 비교는 t-test로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의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BMI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신체구성이 향상되었다(p=.004). 2)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의 심폐지구력은 대조군에 비해 안정시 수축기혈압과 심박동수가 감소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아 심폐지구력의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3)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은 오른손 악력과 왼손 악력 모두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왼손 악력만 유의하였다(p=.078, p=.016). 4)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의 근지구력은 대조군과 비교시 전후차이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17). 5)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의 유연성은 대조군과 비교시 전후차이가 증가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6)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의 평형성은 운동 전후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대조군과 비교시에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2). 7) 운동프로그램 종료 후 실험군의 우울은 운동 전후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대조군과 비교시에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이상의 연구 결과는 8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이 저소득 여성 노인의 체력 요인을 증가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8주간의 운동을 통하여 본 운동프로그램이 저소득 여성 노인의 체력과 우울에 효과가 있는 것을 시사해 주는 것이므로 사회경제적 상태가 낮아 생활 스트레스 사건들과 경제적 부담으로 노인 스스로 해결하기 곤란한 저소득 여성 노인의 특성을 감안할 때 긍정적이고 독립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역사회 노인간호중재 방안으로 제시할 수 있다. 앞으로 장기적으로 효과의 지속성에 대한 추후 검증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으며, 상대적으로 운동프로그램의 부재로 인한 규칙적 운동실천비율이 낮은 농어촌 거주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방법으로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 on health related fitness and depression of low-income elderly women. The design of research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 was 26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2 in the control group. The independence variable is exercise program and the dependent variables are the health related fitness and depression. The exercise program was performed for 45-50 minutes, twice each week for 8weeks to the experimental group. Interview-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physical measures assessed general characteristics, depression, health related fitness status. To analyse depression CES-D was use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2004 to May 2004.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12.0 program, yielding means, standard deviations, frequencies, percentiles, x^(2)-test, t-test, and paired t-test. Participants were pre-tested and post-tested for the selected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p<.05)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and exercise habits were heterogeneous. 2. There were statistically no difference on health related fitness except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depression level applying the exercise program between two groups. 3. After the exercise program, body mass index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more increased compared control group(p=.004). 4. After the exercise program, cardiopulmonary endurance was not improved because systolic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at rest in experimental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ecreased. 5. After the exercise program, muscle strength measured by right and left hand grip strength in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control group(p=.016). 6. After the exercise program, muscle endurance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more increased compared control group(p=.017). 7. After the exercise program, flexibility in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compared control group but there was statistically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8. After the exercise program, balance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control group(p=.002). 9. After the exercise program, depression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more decreased compared control group(p=.001).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n exercise program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performance in a number of physiological variables, functional activities and to decrease depression in low-income elderly women. Furthermore the exercise program can enhance life satisfaction in low-income elderly women.

      • 팀-모델 기법을 이용한 시지각 운동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심상인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visual perception motor program using the team-model technique on the disabled children's social techniques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ing period or the team-model technique, and also examine what visual perception motor programs have influence on social techniqu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4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participating in motor program of M University. Dividing them into 12 for multidisciplinary team-model technique and another 12 for study transactional team-model technique, it was provided to them twice a week for 14 weeks. The preliminary test was performed by using the evaluation for social techniques and visual perception ability completed through pre-test. After completing the visual perception motor program using the team-model technique for 14 weeks, the posterior test was carried out. The summary of this study results is like below. 1) The visual perception motor program using the team-model technique improved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s social techniques in accordance with measuring period. 2) The visual perception motor program using multidisciplinary team-model technique was more effective than the visual perception motor program using the study transactional team-model technique. 3)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visual perception motor program using the multidisciplinary team-model technique on the disabled children's social techniques are like below. (1) In the preliminary test of the visual perception program using the multidisciplinary team-model technique, the hand-eye coordination factor had influence on cooperativity, a sub-factor of social techniques. In the posterior test, however, the contour drawing factor had influence on cooperativity, a sub-factor of social techniques. (2) In the preliminary test of the visual perception program using the multidisciplinary team-model technique, the spatial position factor had influence on self-assertiveness, a sub-factor of social techniques. In the posterior test, however, the figure-background factor had influence on self-assertiveness, a sub-factor of social techniques. 4)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visual perception motor program using the study transactional team-model technique are like below. (1) In both preliminary and posterior tests of the visual perception program using the study transactional team-model technique, the hand-eye coordination factor had influence on cooperativity, a sub-factor of social techniques. (2) In both preliminary and posterior tests of the visual perception program using the study transactional team-model technique, the spatial position factor had influence on self-assertiveness, a sub-factor of social techniques. Si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visual perception motor program using the team-model technique on the disabled children's social techniques in accordance with measuring period or team-model technique and what visual perception motor program has influence on social techniques, its objective is considered to be pretty much achieved. It is necessary to have more studies on the actual application measures for the effect of long-term continuous training to improve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s social techniqu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팀-모델 기법을 이용한 시지각 운동 프로그램이 측정시기나 팀 모델기법에 따라 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며, 어떤 시지각 운동 프로그램이 사회적 기술에 영향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M대학교에서 운동프로그램을 참여하고있는 지적장애 아동 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다 학문적 팀 모델기법 12명, 학문내 교환적 팀 모델기법 12명으로 나누어 배정하였고, 매주 2회씩 14주 동안 실시하였다. 평가방법은 예비조사에서 완성된 시지각 능력 평가표와 사회적 기술 평가표를 이용하여 사전검사가 이루어졌으며, 14주간의 팀-모델 기법을 이용한 시지각 운동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종료 후 사후검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팀 모델 기법을 이용한 시지각 운동 프로그램은 측정시기에 따라 지적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술의 향상을 가져왔다. 2) 팀 모델 기법을 이용한 시지각 운동 프로그램은 다 학문적 팀 모델 기법을 이용한 시지각 운동 프로그램이 학문내 교환적 팀 모델 기법을 이용한 시지각 운동 프로그램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 다 학문적 팀-모델 기법을 이용한 시지각 운동 프로그램은 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다 학문적 팀-모델 기법을 이용한 시지각 프로그램은 사전검사에서는 눈-손 협응 요인이 사회적 기술의 하위 요인인 협동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지만, 사후검사에서는 따라그리기 요인이 사회적 기술의 하위요인인 협동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2) 다 학문적 팀-모델 기법을 이용한 시지각 프로그램은 사전검사에서는 공간위치 요인이 사회적 기술의 하위 요인인 자기주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지만, 사후검사에서는 도형-배경 요인이 사회적 기술의 하위요인인 자기주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4) 학문내 교환적 팀-모델 기법을 이용한 시지각 운동 프로그램은 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학문내 교환적 팀-모델 기법을 이용한 시지각 프로그램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모두 눈-손 협응 요인이 사회적 기술의 하위요인인 협동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2) 학문내 교환적 팀-모델 기법을 이용한 시지각 프로그램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모두 공간위치 요인이 사회적 기술의 하위요인인 자기주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 목적이 팀-모델 기법을 이용한 시지각 운동 프로그램이 측정시기나 팀 모델기법에 따라 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며, 어떤 시지각 운동 프로그램이 사회적 기술에 영향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는 연구가 수행된 만큼 작은 목표가 성취되었다고 보이며, 앞으로 지적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장기간의 지속적인 훈련 효과에 대한 연구를 실제적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제조업 근로자들의 자세교정 운동프로그램 적용 효과

        황길용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제조업 근로자들의 자세교정 운동프로그램 적용효과 황 길 용 (지도교수 : 문 덕 환)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관리학과 목적 : 본 연구는 산업체 근로자들 가운데 통증이 있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자세교정 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신체 Balance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자세교정 운동프로그램이 산업체 근로자들에게 미치는 효과를 규명할 뿐만 아니라 근로자들의 건강관리는 물론 추후 이들 분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 모 제조업 산업체 근로자들 가운데 통증이 있는 근로자들이 자세교정 운동프로그램을 12주간 주 3회, 회당 60분 동안 시행하였으며, 이들 중 임의 추출을 통해 50명을 선정하였고, 운동 실천율 50%이상(n=25)과 운동실천율 50%미만(n=25)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자세교정운동프로그램 시행 전·후 전신 Balance를 측정기(PA200)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Ver.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운동 실천율 50%미만군의 전신 Balance는 실시 전 0.27(±0.22)에서 실시 후 0.60(±0.20)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운동 실천율 50%이상군의 전신 Balance는 실시 전 0.21(±0.19)에서 실시 후 0.68(±0.10)로 역시 유의하게 높았다. 운동 실천율 50%미만군의 머리 부위와 운동 실천율 50%이상군의 골반 부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성별, 연령, 근무형태 및 통증 부위별로는 모두 시행 전보다 시행 후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자세교정운동프로그램이 전신 Balance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조업 근로자들의 맞춤형 자세교정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적인 운동을 통해 근로자들의 근골격계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후 이들 분야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pplication effects of exercise program on correction of posture among workers in manufacturing industry Hwang, Kil Yong (Directed by Prof, Moon, Deog Hwan, Ph.D)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Inje University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fundamental data and measure of health control, and to assess the application effects of exercise program on correction of posture among workers in a manufacturing industry. Method : The author carried out experiment with exercise program on correction of posture during 12 weeks, 3 times per week, and 60 minutes per time. The subjects were randomly selected 50 number of person, and divided two group of 50% and above and 50% below in the rate of exercise practice. The author measured body balance by the instrument of balance measurement(PA200) in pre and post application of exercise program on correction of postu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with SPSS statistical package program(Ver. 20.0). Results : The level of bala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0.27(±0.22) for pre excercise to 0.60(±0.20) for post exercise in group of 50% below on the rate of exercise practice, and from 0.21(±0.19) for pre excercise to 0.68(±0.10) for post exercise in group of 50% and above on the rate of exercise practice. The level of head siz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 of 50% below on the rate of exercise practice, and level of pelvis siz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 of 50% and above on the rate of exercise practice. The level of balance were significantly more increased in pre excercise than post exercise by sex, age, working shift and pain part of body. Conclusion : As above results, the author confirmed positive application effects of exercise program on correction of posture among workers in a manufacturing industry, and recommend development of exercise program on correction of posture, and also the author consider that this study was helping and preventing on musculoskeletal disease and preparing fundamental data on correction of posture.

      • 운동프로그램 적용이 비만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윤희나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 on Ob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Yun, Hee-Na Adivisor : Prof. Lee, Kyung-il, Ph.d.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provided an exercise program for three months targeting 103 students in grades 4, 5 and 6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G city and analysed the pre- and post- conditions of 88 subjects except 15 who gave up the program in the middle of it.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A. The subjects had positive changes in variables of life style after the program. B.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ir experience of weight control, we found that 44.7% of the subjects experienced weight control mainly through regular exercise (48.5%). C. As a result of looking at weight control plans, we found that the mean scores of such items as ' joining in weight control program', ' intention to join in exercise program in sports center' and ' intention to exercise regularly' increased, which indicates that their recognition on exercise increased. ' Their intention to engage in dieting' showed positive changes, which means they had higher recognition on weight control. D. As a result of looking at satisfaction in exercise programs, they answered that the period and contents of program were suitable, their satisfaction in the program was higher and 75.3% affirmed its recommendation to other people. E.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physical composition, their weight increased somewhat from a mean of 42.31kg to 43.37kg after the program, but their BMI decreased because of increase in muscles or height. Their systolic blood pressure increased somewhat, but diastolic blood pressure, blood sugar and TC decreased, which means desirable changes in physical compositions. F. As a result of looking at examinations of physical strength, we found that the variables such as grasping power, back strength, trunk flexion, push-up, sit-up showed positive changes, and the heart-rate increased in squat, an item to asses cardio - respiratory endurance. When stagnant point of exercise ability in muscular strength and suppleness is eight weeks and stagnant point of cardio - respiratory endurance is twelve weeks, the fact that the results were negative indicates that measuring methods are a problem though enough periods of exercise were provided and physical composition and examinations of physical strength showed positive changes. So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how to measure properly. G. There was no positive changes in the rate of skipping meals, but they had less between-meals and eat-out, and extra eating after enough eating, paid more attention to nutrition marks, drank less soda drinks and had more awareness on the influence of drinking alcohol on their health. H. In respect to the influen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satisfaction, they showed positive changes. 광주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재학 중인 4, 5, 6학년 재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운동프로그램을 3개월간 실시하고, 중도 포기한 15명을 제외하고 8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전ㆍ사후 분석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후에 대상자의 생활패턴 변인이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체중조절 경험에 대한 조사결과 전체 대상자의 44.7%가 이미 체중조절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방법에 대하여는 주로 규칙적인 운동을 통하는 것(48.5%)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중조절 계획에 대한 조사결과 ‘비만교실에 대한 참여의사’와 ‘스포츠센타 운동교실 등록의사’, ‘규칙적인 운동 시행 의사’의 항문간 평균이 모두 증가하여 운동에 대한 인식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식이요법에 대한 시행 의사’ 역시 많은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 체중관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동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조사결과 운영기간과 수업시간에 대한 반응이 대체로 적당하다고 응답하였고, 수업에 만족도 역시 대체로 만족 이상의 반응을 보였으며, 추천의사에 대해 75.3%가 ‘예’라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신체구성에 대한 조사결과 운동 실시 전보다 후에 체중이 운동 실시 전에 전체 대상자 평균 42.31kg에서 43.37kg으로 다소 증가하였으나, BMI는 감소하여 근육량 증가 또는 신장의 증가요인에서 비롯되어 긍정적인 변화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축기 혈압은 다소 증가하였으나 이완기 혈압과 혈당, TC가 감소하여 신체구성에 대한 결과는 바람직한 변화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체력검사에 대한 조사결과 운동 실시 전보다 후에 악력, 배근력, 체전굴,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변인 모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심폐지구력 평가항목인 앉았다 일어서기 변인에서 심박수의 변화량이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력 및 유연성에 대한 운동능력의 정체시점을 8주, 심폐지구력에 대한 정체시점을 12주라고 볼 때 운동 프로그램 실시에 있어 충분한 운동기간 설정과 신체구성 및 체력검사 변인의 긍정적인 검사결과에도 불구하고 그 결과 값이 오히려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난 것은 측정방법의 문제점을 보이는 것으로, 향후 측정방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일곱째, 체중관리 실천율에 대한 조사결과 결식율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나 간식횟수, 외식횟수, 포만감 후 추가섭취가 다소 감소하고, 영양표시에 대한 관심정도가 증가하였으며, 탄산음료 음용정도가 다소 감소하였고, 술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이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열덟째, 영양교육에 대한 영향 및 만족도에 대한 조사결과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임해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for infant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for 2-year-old Infa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are selected. [Research Question Ⅰ] What is the process of developing a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for 2-year-old infants? 1-1. What is the purpose and goal of the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for 2-year-old infants? 1-2. What is the content of the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for 2-year-old infants? 1-3 What are the teaching-learning stages of the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for 2-year-old infants? 1-4 What is the evaluation of the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for 2-year-old infants? [Research Question II] What are the effects of the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for 2-year-old infants? 2-1 What are the effects of the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for 2-year-old infants on the basic exercise capabilities of infants? 2-2 What are the effects of the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for 2-year-old infants on the cognitive capabilities of infants? 2-3 What are the effects of the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for 2-year-old infants on the language capabilities of infants? In the Research Problem 1, the rationale for program development was extracted by analyzing infant sensory program, infant physical exercise program and relate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to develop the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for 2-year-old infants. In this process, a test program is constructed by reflecting the implications induced from this process. Through the consultation with the experts, the content validity and field application feasibility were verified in the first place. Finally, the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for 2-year-old infants were developed through analysis and correction processes. The purpose of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Total development through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of 2-year-old infants'. To this end, the following educational goals were set, 1) To enjoy physical exercise and develop basic athletic ability, 2) To experience satisfaction and enhance thinking ability through sensory experiences and small and large muscle movements, 3) To promote language skills through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4) To form peer relationships through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The content of this program are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such as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Basic Exercise',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Language',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society',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Emotion', and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cognition'. The content of education of each category is as follows; the contents of ‘Sensory Based Physical Exercise - Basic Exercise’ are ‘Exploring through the Five senses’, and ‘Controlling Large and Small Muscles'. The contents of ‘Sensory Based Physical Exercise – Language are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nd ‘Word Recognition '. The contents of 'Sensory - based physical exercise - society' are 'Forming a peer relationship’, ‘Forming an adult - infant relationship’, ‘Recognizing others’, and ‘Accepting others'. ‘Sensory Based Physical Exercise-Emotion’ is constructed with 'Recognizing positive self, accommodating self,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self emotion, and regulating emotion’. ‘Sensory Based Physical Exercise – Cognition’ is constructed with 'Discriminating sensory-based human and material environments, recognizing and perceiving concepts, and practicing problem solving methods.’ Teaching-learning stages of this program are constructed as 5 stages such as motivation -> exploration -> demonstration ->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 evaluation. This program consisted of small groups according to the teaching-learning stage and the time required for each training session was about 25 to 30 minutes. Program process evaluation and effect analysis evaluation were performed. Program process evaluation includes infant evaluation and teacher evaluation. Program effect analysis evaluation includes evaluations through testing tools. For the infant evaluation, the infants recall and summarize the activity at the end of each activity, evaluate the satisfaction and sense of achievement of the infant regarding what they learn from the activity, and what they feel joy. The teachers were asked to evaluate th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infants. For teacher evaluation, they were asked to make self-evaluation and appropriateness of the program operation. During the course of the program, teacher evaluation and class analysi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self-evaluation and program operation through teacher consultation and class analysis through the program processes. For the program effectiveness analysis basic motor skills, language skills, and cognitive abiliti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n response to research question Ⅱ,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application of the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to the educational field.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8 2-year-old-infants (experimental group: 14 infants and comparison group: 14 infan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treated, while for the comparison group, a large muscle- centered physical exercise program was performed.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carried out from June 4 to July 27, 2018, with a total of 18 sessions. Before the experiment, pre-test was performed on the infa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After the experiment, post-test was performed using the same method. Dependent variables to verify the validity to apply the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to the educational field were 'basic motor ability', 'language ability' and 'cognitive ability'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 research data collected through pre-test and post-test were analyzed by t-verification using SPSS WIN 20.0 program.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validity of the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for 2-year-old infan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basic physical exercise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infa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inf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for 2-year-old infants has better effects on improving basic motor skills of infants than the large-muscle-centered physical exercise program.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language ability' and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which is a sub-area of the language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has better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the language ability of infants than the large-muscle-centered physical exercise program.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posttest scores in 'cognitive ability' than the infants. In the comparison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has better effect son improving the cognitive abilities of infants than the large-muscle-centered physical exercise program. In conclusion, the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for 2-year-old infants' developed in this study is prov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basic motor skills, language abilities and cognitive abilities of infants. This suggests that the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very effective and can be appli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It is hoped that the 'Sensory-based Physical Exercise Program for 2 -year-old infants' will be actively utilized as practical data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human resources with scientific literacy.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의 보육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 개발과정은 어떠한가? 1-1.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의 목적, 목표는 어떠한가? 1-2.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떠한가? 1-3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의 교수-학습단계는 어떠한가? 1-4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활동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이 영아의 기본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이 영아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3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이 영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1] 에서는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영아 감각프로그램, 영아 신체운동프로그램 및 관련 국내ㆍ외 문헌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추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을 반영하여 시안을 구성하여 전문가 협의를 통해 1차적으로 내용 타당도 및 현장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여 교육 현장에 시범 적용하여 나타난 문제점들은 분석하여 수정ㆍ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목적은 ‘만 2세 영아의 감각기반 신체운동을 통한 전인발달’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1) 신체운동을 즐기며 기본운동능력을 기른다. 2) 감각적 경험과 대소근육 운동을 통해 만족감을 경험하고 사고력을 증진한다. 3) 감각기반 신체운동을 통해 언어능력을 증진한다. 4) 감각기반 신체운동을 통해 또래관계를 형성한다.를 교육목표로 설정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교육내용 범주는 ‘감각기반 신체운동-기본운동’, ‘감각기반 신체운동-언어’, ‘감각기반 신체운동- 사회’, ‘감각기반 신체운동-정서’, ‘감각기반 신체운동- 인지’로 총 5개로 구분하고 교육내용은 ‘감각기반 신체운동-기본운동’ 은 ‘오감을 통한 탐색하기, 대⋅소근육 조절하기, 기본운동하기’ 이며, ‘감각기반 신체운동-언어’는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하기, 단어 인식하기’이다. ‘감각기반 신체운동-사회’는 ‘또래 관계형성하기, 성인-영아 관계형성하기, 타인 인식하기, 타인 수용하기’이다. ‘감각기반 신체운동-정서’는 ‘긍정적 자아 인식하기, 자아수용하기, 자기감정 이해 및 표현하기, 정서 조절하기’이며 ‘감각기반 신체운동-인지’는 ‘감각기반 인적⋅물적 환경 차이 변별하기, 개념 인식ㆍ인지하기, 문제해결 방법 실천하기’로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단계는 ‘동기유발 ⇢ 탐색 ⇢ 시범 ⇢ 감각기반 신체운동 ⇢ 평가로 총 5단계로 구축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교수-학습단계에 따라 소집단으로 구성하여 운영하였고 각 차시 마다 소요시간은 약 25~30분이였다. 평가는 프로그램 과정평가와 효과 분석 평가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과정평가는 영아평가와 교사평가가 포함되며 프로그램 효과 분석 평가는 검사도구를 통한 평가를 포함한다. 영아평가를 위해 영아는 매 차시 활동의 마무리 부분에서 활동을 회상하고 정리하며 영아가 활동에 대해 알게 된 점, 즐검움을 느끼게 된 부분 등에 대한 만족감과 성취감에대해 평가를 실시하며 교사는 영아의 참여도와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교사평가는 프로그램 과정 중에 교사 협의 및 수업 분석을 통해 자기 평가와 프로그램 운영의 적합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분석 평가는 기본운동능력, 언어능력, 인지능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전과 후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의 영아 보육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만 2세 영아 28명(실험집단: 14명, 비교집단: 14명)을 선정하여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대근육중심 신체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2018년 6월 4일부터 2018년 7월 27일까지 총 18차시 프로그램이 동시에 실시되었다. 실험처치 이전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영아들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처치 이후에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의 보육 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선정된 종속변인은 영아의 ‘기본운동능력’, ‘언어능력’, ‘인지능력’이었다.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해 수집된 연구자료를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의 보육 현장 적용 타당성 검증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영아들이 ‘기본운동능력’이 비교집단 영아들의 사후검사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를 위한 대근육중심 신체운동프로그램’ 보다 영아의 기본운동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실험집단의 영아들이 ‘언어능력’과 하위 영역 중 ‘수용표현언어’에서 비교집단의 영아들의 사후검사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를 위한 대근육중심 신체운동프로그램’ 보다 영아의 언어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실험집단의 영아들이 ‘인지능력’에서 비교집단 영아들의 사후검사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를 위한 대근육중심 신체운동프로그램’ 보다 영아의 인지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은 영아의 기본운동능력, 언어능력, 인지능력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이 보육 현장에 적용 가능하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입증한 것이라 하겠다. 앞으로 ‘만 2세 영아를 위한 감각기반 신체운동프로그램’이 보육 현장에서 실천적 자료로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과학적 소양을 갖춘 인재 양성에 공헌하길 기대한다.

      • 12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비만아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이세덕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비만학생에게 운동에 대한 흥미도를 유발함으로써 12주 복합운동프로그램에의 참여가 초등학교 비만 학생의 기초 체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서울○○초등학교 5학년 남자 비만학생 30명을 대상으로 비교집단은 자유 놀이 활동을 실시하고 실험집단은 12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직 통계치를 산출하고 t 검증 방법을 이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평균치 간의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첫째, 순발력은 12주간의 복합 운동프로그램 참여 한 학생들에게서만 a=.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자유놀이 참여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근지구력은 12주간의 복합 운동프로그램 참여 한 학생들에게서 a=.00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자유놀이 참여 집단에서도 a=.OE9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연성은 12주간의 북합 운동프로그램 참여 한 학생들에게서만 a=.001로 통계적으로 유적한 차이가 나타났고, 자유놀이 참여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심폐지구력은 12주간의 복합 운동프로그램 참여 한 학생들에게서 a=.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자유놀이 참여 집단에서도 a=.023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자유놀이 운동을 한 집단은 근지구력과 심폐지구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12주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은 순발력, 근지구력, 유연성, 심페지구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자유놀이 활동보다는 저항성운동 요소가 포함된 복합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초등학교 비만 학생의 기초 체력 향상에 더 많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the twelve-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obese children's enhancement in basic physical strength through stimulating their interest with the physical activity. To fulfil that purpose, I selected 30 obese children who were fifth graders at Seoul ○○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ingham Area, Seoul,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For the comparison group, free playing activity was executed and for the controlled group, twelve-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 was executed. I processed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program and calculated descriptive values. Using T-test, I testified the level of significance regarding the gap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Means. Reviewing the results; First, the power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participants of twelve-week composite program at the a=.001 level of significance. And the participants of free playing activity group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muscular endurance revealed significant disparity in the participants of twelve-week combined bodily program at the a=.001 level of significance, and in the participants of liberal playing activity group at the a=.029 level of significance showed meaningful disparity. Third, the flexibility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participants of twelve-week combined bodily program at the a=.001 level of significance. And in the participants of free amusement activity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Fourth, the cardiovascular endurance revealed significant gap in the participants of twelve-week combined athletic program at the a=.001 level of significance, and in the participant of liberal amusement activity group at the a=.023 level of significance showed significant disparity. Reviewing the above results, while the group carried out free playing activity program indicated meaningful significance in the muscular endurance and the cardiovascular endurance, the group carried out complex athletic activity program showed meaningful significance in the power, the muscular endurance, the flexibility, and the cardiovascular endurance. Therefore, participating in the composite athletic program including the resistance exercise turned out to have more effects on the enhancement of physical strength in elementary pupils with obesity than participating in the free playing activity program.

      • 재활운동프로그램이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의 통증, 체력, 우울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윤경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대부분이 주된 만성질환으로 퇴행성 관절염을 가지고 있다. 퇴행성 슬관절염은 전체 퇴행성 관절염의 94.8%를 차지하는 퇴행성 슬관절염은 ADL의 장애, 통증, 우울, 삶의 만족도의 저하를 가져온다. 본 연구는 재활운동프로그램이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의 통증, 체력, 우울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노인들의 효율적인 건강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한 것이다. 연구설계는 재활운동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이며,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은 5월 17일 부터 9월 22일까지 재활운동의 목적과 절차를 먼저 설명하고, 참여를 동의한 대상자에게 동의 절차를 확인한 후 8주간의 재활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 소재 일개 S의원 외래에 내원하는 만60세 이상의 퇴행성 슬관절염 진단을 받은 노인으로 재활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으로 총 60명이었다. 실험처치는 맨손체조와 유연성 운동으로 구성된 준비운동과 등척성 및 저항성 운동으로 구성된 본 운동 및 정리운동(맨손체조 및 유연성운동)으로 구성된 재활운동프로그램이었으며, 실험측정은 1일 60분간, 주 3회, 개별적으로 점진적 부하강도를 조절한 총 8주간 시행되었고, 측정도구로 통증은 시각적 상사 척도 (VAS), 근력은 수은 혈압계, 균형은 줄자와 자, 우울은 기백서(1996)의 한국판 단축형 노인 우울 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Korea Version, GDSSF-K로, 생활만족도는 윤진(1982)의 생활만족도의 도구로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였으며,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x2-test, t-test, ANCOVA로 분석하였다. 1. 동질성 가설 검증에서는 동거인, 종교, 용돈, 질병, 관절염의 통증위치, 약물복용여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본 연구의 가설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가설 1. ‘재활운동프로그램에 참여 군(이하 실험군)에서 재활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군(이하 대조군)보다 통증이 감소할 것이다‘에서 통증의 강도는 지지되었고, 통증의 언어평정척도는 기각되어 제1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부가설 1-1 :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통증강도는 감소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평균 -1.06±0.44)이, 대조군 (평균 -0.23±0.72)보다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감소하여 부가설 1-1이 지지되었다(F=17.1,P=0.000). 부가설 1-2 :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통증의 언어평정척도 점수는 감소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평균 -0.86±0.50)과, 대조군(평균-0.16±0.37)이 모두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부가설 1-2는 기각되었다. 2) 가설 2. ‘재활운동프로그램에 참여 군(이하 실험군)에서 재활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군(이하 대조군)보다 체력정도가 증가될 것이다‘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전후 평균차이에 대한 ANCOVA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부가설 2-1 :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근력이 증가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평균6.07±3.30)이 증가하였고, 대조군(평균 -10.12±1.48) 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여 부가설 2-1이 지지되었다 (F=31.14, P=0.000). 부가설 2-2 :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정적균형감이 향상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평균 1.33±0.56cm)과, 대조군(평균 0.24±1.11cm)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부가설 2-2는 기각되었다. 부가설 2-3 :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동적균형감이 향상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평균-0.49±1.87초)이 대조군(평균-0.17±0.9초)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여 제4가설은 지지되었다 (F=5.04, P=0.02). 3) 가설 3.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우울점수가 감소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평균 13.07±2.77)과 대조군(평균 -0.40±3.08)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제 3가설은 기각되었다. 4) 가설 4.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생활만족도 점수가 증가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평균 1.33±3.25)증가하였고, 대조군(평균 -0.58±5.79)이 감소하여 대조군이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증가하여 제4가설은 지지되었다(F=6.85, P=0.01) 결론적으로 재활운동프로그램은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의 통증을 감소시키며 근력, 동적균형감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고,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도 비교적 효과적인 간호중재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을 위한 재활운동프로그램은 노인의 신체증진과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로 적극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본다. Most of the elderly who are more than 65 years old in Korea are suffering from osteoarthritis of the knee as a chronic disease. Osteoarthritis of the knee which constitutes 94.8% of total degenerative arthritis, brings ADL(Activity of Daily Living) disability, pain, depression, and decrease of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was attempted to find out a plan for an effective health care program through examining the effect of a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on pain, physical fitness(muscular strength, dynamic & static equilibrium),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osteoarthritis of the knee. As a research metho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hich measures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was used, as the period and method of collecting data, from May 17 to Sep. 22, 2006, we confirmed the subjects' content to join our research after explaining them the purpose and process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and make them participate in the program during 8 weeks, then collected the data. The subjects' were 60 elderly persons who would go to S hospital in Chungcheongnam-do, and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30 persons, and a control group 30 persons. As experimental treatments, warming-up exercise which consisted of free gymnastics and flexibility exercise, and main exercise which consisted of isometric exercise and resistance exercise and wrapping-up exercise(free gymnastics and flexibility exercise), constituted a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Experimental measurement was performed 3 times a week, 60 minutes a day as gradually adjusting exercise intensity during 8 weeks, as measurement tools, a Visual Analogue Scale, VAS for measuring pain, a mercurial blood pressure meter for measuring muscular strength, a measuring tape and ruler for measuring postural control, were used, and for measuring depression level,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Korea Version, GDSSF-K by Gi Baek-seo(1996), and for measuring life satisfaction, a measurement tool for life satisfaction by Yun Jin(1982) were used. For analyzing the data, we used SPSS 12.0 program, and analyzed the data as real numbers, percentages, averages, standard deviations, x2-test, t-test, ANCOVA. The results of testing the hypothese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 1) Hypothesis 1. 'in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the experimental group), pain will more decrease than in the group who didn't participated i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hypothesis 1, we analyzed the data using ANCOVA about the difference of average between ante and post experiment. Sub-hypothesis 1-1 : 'in the experimental group, pain intensity will more decrease than i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analyzied. Sub-hypothesis 1-1, the experimental group (-1.06±0.44) decreased, and the control group (-0.23±0.72) decreased, so this result showed meaningful decrease, the sub-hypothesis 1-1 was supported(F=17.14, P=0.00). Sub-hypothesis 1-2 : 'in the experimental group, linguistic rating scale score will more decrease than i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sub-hypothesis 1-2, the experimental group(-0.86±0.50) decreased, and the control group(-0.16±0.37) decreased, but because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sub-hypothesis 1-2 was rejected. In conclusion, hypothesis 1 'in the experimental group, pain will more decrease than in the control group was partially supported. 2) Hypothesis 2. 'in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the experimental group), physical fitness will more increase than in the group who didn't participated i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prove it, we analyzed the data using ANCOVA about the difference of average between ante and post experiment. Sub-hypothesis 2-1 : 'in the experimental group, muscular strength will more increase than i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sub-hypothesis 2-1, the experimental group (6.07±3.30) increased, and the control group (-10.12±1.48) decreased, so because this result showed meaningful increase, the sub-hypothesis 2-1 was supported(F=31.14, P=0.00). Sub-hypothesis 2-2 : 'in the experimental group, sense of still postural control will more increase than i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sub-hypothesis 2-2, the experimental group(1.33±0.56cm) increased, and the control group(0.24±1.11cm) increased, so because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sub-hypothesis 2-2 was rejected. Sub-hypothesis 2-3 : 'in the experimental group, sense of dynamic postural control will more increase than i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sub-hypothesis 2-3, the experimental group(-0.49±1.87sec) changed, and the control group (-0.17±0.96sec) changed, so because this result showed meaningful increase, the sub-hypothesis 2-3 was supported (F=5.04, P=0.02). 3) Hypothesis 3. 'in the experimental group, depression score will more decrease than i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hypothesis 3, the experimental group(13.07±2.77) increased, and the control group(-0.40±3.08) changed, so because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hypothesis 3 was rejected. 4) Hypothesis 4. 'in the experimental group, life satisfaction score will more increase than i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hypothesis 4, the experimental group(1.33±3.25) increased, and the control group(-0.58±5.79)decreased, so because the experimental group's increas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hypothesis 4 was supported(F=6.85, P=0.01). In conclusio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was effective for decreasing pain and increasing muscular strength, sense of dynamic postural control of the elderly with osteoarthritis of the knee, as well as played a role of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ing their life satisfaction with relative effectiveness. Therefore, a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osteoarthritis of the knee is need to be utilized as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nursing intervention for nursing the elderly.

      • 요통환자의 재활 운동프로그램을 통한 근력과 통증의 변화

        이영섭 명지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요통환자(수술, 비수술)의 8주간의 재활 운동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근력변화와 통증,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수술, 비수술집단간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피험자는 수술집단 23명(남:10, 여:13)과 비 수술집단 22명(남:10, 여:12)을 대상으로 실험이 이루어졌으며 허리신전운동은 주 2회의 빈도로 하고 운동의 강도는 1RM의 50%, 유산소운동은 40-70%, 저항성운동은 1RM의 40-80%로 2-3set실시하고 점진적으로 강도를 높여 실행하였다. 피험자들에 대한 측정은 재활 운동 프로그램 적용 전, 후에 허리 신전 근력을 측정하고 통증수준과 생활 스트레스 설문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SPSS/PC V.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별 운동 프로그램 기간에 따른 변화와 측정항목별 처치기간에 따른 차이는 Paired t-test를 적용하였다. 집단간 차이는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한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에 대한 유의수준(α)은 P < .05로 설정하였다. 재활 운동 프로그램을 통한 근력측정과 통증 및 생활 스트레스 변화의 설문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활 운동 프로그램 적용 후 수술집단은 허리 신전 근력과 각도별 근력변화에서 남, 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신전굴곡근력 비율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생활 스트레스와 통증의 변화에서 남자는 (p<.01), 여자는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재활 운동 프로그램 적용 후 비 수술집단은 허리 신전 근력과 각도별 근력변화에서 남, 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p<.001)차이가 나타났고 신전굴곡근력 비율에서 남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p<.05)차이가 없었고 여자는 유의한 (p<.01) 차이가 나타났다. 생활 스트레스와 통증의 변화는 남, 녀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p<.001) 차이가 나타났다. 3. 재활 운동 프로그램 적용 후 수술, 비 수술 집단간 변화에 있어서 허리 신전 근력의 변화는 남자집단의 경우는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p<.05)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여자의 경우 0°와 72°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p<.05) 차이가 나타났다. 신전 굴곡 근력 비율, 생활 스트레스, 통증의 변화 비교에서는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p<.05)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재활 운동 프로그램의 적용 후 수술 집단, 비 수술집단에 있어서 허리 신전 근력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보이며 통증 및 생활 스트레스수준이 통계적으로 감소함을 나타내고 있다. 요통의 치료에 있어서 안정, 휴식, 약물요법, 심리요법, 물리치료, 수술요법과 더불어 운동 프로그램의 적용이 다각적으로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수술 환자는 수술로 인한 심리적 부담, 잔여 통증, 근 위축으로 인한 재발의 방지를 위하여 특성에 맞는 운동프로그램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비 수술 환자의 경우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제시해 근력의 향상과 함께 통증이 소멸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수술환자나 비 수술 환자에 있어서 운동 프로그램의 적응은 효과적이며 근력향상과 통증의 감소, 생활 스트레스 등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요통의 원인, 증상 등 개인에 따라 다각적인 측면에서 운동의 강도, 빈도, 기간 등을 설정해 적절한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야 한다는 것을 앞으로의 연구과제로 제시한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what kind of changes there were in the muscular strength, pain and distress of life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operated patients, non-operated patients) after applying an exercise program for eight weeks, as well as to test the effects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in each group of operated and non-operated patients. The subjects were 23 for the operated group(male: 10, female: 13) and 22 for the non-operated group(ma1e: 10, female: 12). They were administered with a lumbar extension exercise two times a week. The intensity of the exercise was set at 50% of lRM, the aerobic exercise at 40-70% and the resistance exercise at 40-80% in two or three sets. The intensity was gradually increased.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exercise program, the subjects were measured in terms of muscular strength for lumbar extension, the degree of pain, and distress of life. The collected data was treated using SPSS/PC V.lO.O. The Paired t-test was applied to the changes of each group by the period of the exercise program and to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eriod of treatment for each item measured. The previous examination went through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d the acceptance criterion(a) was set at P < .05 for the hypothesis. The changes in the muscular strength, pain and distress of life by the exercise program were as follows: 1. The group of operated patient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0l) in the changes of the muscular strength for lumbar extension and the muscular strength for each isometric torque after applying the exercise program. The case was true for both men and women. In the muscular strength ratio for lumbar extension and isometric torque, the men(p<.05) and the women patients(p<.01) al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ich was also true in the changes of distress of life and pain with the men of p<.01 and the women of p<.001. 2. The group of non-operated patient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0l) for both men and women in the changes of the muscular strength for lumbar extension and the muscular strength for each isometric torque after applying the exercise program. While the men patients didn'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in the muscular strength ratio for lumbar extension and isometric torque, the women did(p<.0l). Both men and women patients in the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01) in the changes of distress of life and pain. 3. The changes that happened after applying the exercise program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of operated patients and non-operated one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5) found in the changes of the muscular strength for lumbar extension between the men of the two groups, but the wome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5) at 0" and 72˚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5) in the changes of the muscular strength ratio for lumbar extension and isometric torque, distress of life, and pain between the two groups. Based on the results, after applying the exercise program, both the operated group and the non-operated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uscular strength for lumbar extension and statistically decreased in pain and distress of life. It is necessary that an exercise program should be provided in diverse ways to treat patients with low back pain in addition to stability, rest, medical therapy, psychotherapy, physical therapy, and operations. In particular, operated patients should be able to have an access to an exercise program that reflects their conditions such as the psychological burden for an operation, remaining pain, and the risk of recurrence due to muscular atrophy. And for non-operated patients, an active and positive exercise program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ir muscular strength and to relieve them of pain. It was concluded that the exercise program was effective and made a contribution to improving the muscular strength and reducing distress of life and pain for both the operated patients and the non-operated ones. In the future, a focus needs to be made on developing and applying an appropriate exercise program that can set the intensity, frequency and period of exercise taking into account many elements like the cause and symptoms of low back pain and the patient's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