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테니스 동호인의 운동중독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박정희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테니스 동호인의 운동중독에 관한 현상들을 파악하고 테니스 동호인들을 긍정적인 측면의 운동중독으로 유도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는 테니스 동호인의 운동중독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량적 체계를 이용한 전통적 연구법이 아닌 질적 접근 형태인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자연적 상황에서 사전에 정해진 개념적 영역에 제약 받지 않고 연구 참여자들의 내재적 관점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자가 소속되어 있는 매일 2~3시간을 규칙적으로 테니스 활동을 하고 있는 테니스 클럽 회원 남자5명과 여자 3명을 대상으로, 테니스 운동중독에 관한 심층 면담한 내용을 전사한 후 범주화, 개념화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운동중독의 의미를 자기발견을 통한 더욱 여유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긍정적인명이 필요시 되는 것으로 인식 한다. 하지만 대부분은 운동에 대한 통제력 상실, 과도한 몰입, 운동 부재 시의 금단증세의 부정적인 면을 주로 이야기 하였지만 연구 참여자들은 반드시 부정적이라 생각하지 않고 긍정적인 측면도 있음을 시사했다. 운동중독의 과정은 물리적 시간의 흐름과 참여바다 스스로 느끼는 인지적 단계의 이전에 의해 참여단계, 시작단계, 지속단계, 중독단계로 진전되며, 각각의 단계에 있어서 참여자들이 심리적, 사회적 만족감으로 인하여 각각의 단계를 거쳐 올라가며, 중독 단계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부정적 측면을 경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운동중독에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있는데, 긍정적인 측면의 운동중독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운동에 대한 과도한 욕구를 자제하고 운동시간과 운동 횟수에 대한 통제가 반드시 필요할 것이며 가끔씩 자신의 모습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회고하여 심리적, 육체적, 사회적으로 부정적 측면의 운동 중독을 경험하지 않게 스스로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henomena of tennis club members' exercise addiction and lead tennis club members to the positive side of exercise addiction. In this study, not the traditional method using quantitative measures but the phenomenological method which is a qualitative approach was us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ennis club members' exercise addiction, thereby helping examine inner perspectives of the study participants in a natural situation without being limited to pre-determined conceptual area. 5 men and 3 women subscribing to a tennis club who play tennis for 2-3 hours everyday on a regular basis were chosen as study participants.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 participants and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and conceptualiz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exercise addiction requires a positive side which helps living a richer life through self discovery. Mostly, however, the negative sides such as loss of control to exercise, excessive pre-occupation and withdrawal symptoms in the absence of exercise were usually dealt with, but the study participants did not necessarily consider the negative sides, implying the positive side. The study showed that exercise addiction is developed in the order of participation, beginning, maintenance and addiction with the flow of physical time and the transition of perception of participants and that in each stage, participants feel psychological and social satisfaction to move up to the next stage but do not experience the negative sides until reaching the addiction stage. Exercise addiction has positive sides and negative sides. In order to lead to the positive sides of exercise addiction, control of excessive desire for exercise and control of exercise time and frequency are required and self examination in an objective way is needed not to experience the negative sides of exercise addiction psychologically, physically and socially.

      •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에 따른 운동중독과 자긍심 그리고 행복감간의 인과분석

        신종훈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정도가 운동중독, 자긍심, 행복감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생활 체육참여정도를 외생변인, 운동중독, 자긍심을 매개변인, 행복감을 내생변인으로 하여 이론모델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5개구 생활체육회에 가입되어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층화표집법(stratified sampling)에 의해 500명을 조사하였고, 미회수 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61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후, 439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사도구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성별, 연령, 수입 유?무, 한달 용돈, 종교 유?무,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 참여종목으로 구성하였고, 생활체육 참여 정도는 기간, 빈도, 강도로 구성하였다. 운동중독 척도는 신규리(2000)가 구성한 척도를 가지고 양종훈(2008)과 최만집(2011)이 재구성하여 활용한 도구를, 자긍심은 Rosenberg(1974)가 개발하고 전병재(1979)가 우리 실정에 맞게 번역, 보완하여 사용한 도구를, 행복감은 양명환(1998)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가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론적 근거와 선행연구에 의해 설정된 가설을 토대로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적합도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노인의 인구통계학적변인 즉, 연령, 한달 용돈, 종교 유·무,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 운동종목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참여 정도 중 참여기간에서는 운동중독, 자긍심, 행복감에서 1년 이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빈도에 따른 운동중독의 금단증세에서 매일 참여가 금단증세를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시간은 오랜 시간 운동에 참여하는 대상이 금단증세를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체육 참여정도, 운동중독, 자긍심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금단증세, 운동욕구, 자긍심이 행복감의 쾌락적즐거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운동욕구, 자긍심은 행복감의 자아실현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운동중독, 자긍심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금단증세, 운동욕구, 자긍심이 행복감의 쾌락적즐거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운동욕구, 자긍심은 행복감의 자아실현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생활체육 참여정도가 운동중독, 자긍심에 미치는 영향은 참여기간, 참여시간이 금단증세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참여기간이 감정적애착, 운동욕구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생활체육 참여정도는 운동중독에 직접효과, 자긍심과 행복감에는 간접효과를 미치고 있었다. 운동중독은 자긍심에 직접효과, 행복감에는 직·간접효과를 미치고 있었고, 자긍심은 행복감에 직접효과를 미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의 적극적인 생활체육 참여는 자긍심과 행복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고,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생활체육 동호인의 참여특성이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김현준 순천향대학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생활체육 동호인의 참여특성이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서 현대사회가 요구하고 있는 건강 중심, 즉 웰빙시대에 부합하는 체육학의 지식체계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정보의 제공과 생활체육 현장의 문제 속에 내재된 심리적 요인을 탐색하고 이해하여 현대인에게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여가활동으로 사회체육활동을 활성화 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7년 현재 충청도 A시의 생활체육 동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임의추출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 자료 293부를 컴퓨터에 개별 입력시킨 후 SPSS 12.0의 기존 프로그램을 활용,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 하였으며 구체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생활체육 동호인의 일반적 특성과 운동중독 1) 생활체육 동호인의 성별에 따라 감정적애착, 금단증세, 운동욕구 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생활체육 동호인의 연령에 따라 감정적애착, 운동욕구 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생활체육 동호인의 직업에 따라 감정적애착, 금단증세, 운동욕구 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생활체육 동호인의 학력에 따라 감정적애착 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생활체육 동호인의 수입에 따라 운동중독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생활체육 동호인의 종교에 따라 운동중독은 감정적애착, 운동욕구 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생활체육 동호인의 참여특성과 운동중독 1) 생활체육 동호인의 참여기간에 따라 감정적애착, 금단증세, 운동욕구 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생활체육 동호인의 참여빈도에 따라 운동중독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생활체육 동호인의 참여강도에 따라 운동중독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생활체육 동호인의 참여종목에 따라 운동중독은 감정적애착, 금단증세, 운동욕구 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

      •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운동참여특성에 따른 운동중독에 관한 연구

        정연경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생활체육 현장에 잠재되어 있는 운동중독 현상을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운동참여 특성과 연관지어 그 실태를 알아보고, 운동중독의 부정적 요소를 밝혀내어 건강한 여가생활이 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수원지역의 생활체육 배드민턴 동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단순무선 표집법에 의해 300명을 선발하였으며,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불완전한 자료를 제외한 288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신규리가 개발하고 박광진이 수정·보완한 여가스포츠 참가자의 운동중독척도 총 33문항의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응답한 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제외한 후 SPSS 17.0의 빈도분석, 기술통계,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 검증,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자료를 처리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운동중독의 금단현상에는 P<.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력과 연령에 따라 운동중독의 운동욕구에는 P<.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균수입에 따라 운동중독의 금단현상과 감정적 애착, 운동욕구에는 P<.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동시간과 운동빈도에 따라 운동중독의 금단현상과 감정적 애착에는 P<.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운동경력에 따라 운동중독의 금단현상과 감정적 애착에는 P<.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운동급수에 따라 운동중독의 감정적 애착에는 P<.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참여특성에 따른 운동중독의 결과 성별과 평균수입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연령별로는 운동욕구 요인에서 50대의 운동중독 성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으로 안정되어 있고 건강과 여가시간 활용에 대한 관심이 나이가 많을수록 높아지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운동참여 수준(운동시간, 운동빈도, 운동경력, 운동급수)에 따른 운동중독의 차이를 보면, 금단현상과 감정적 애착에서 눈에 띄는 차이를 나타냈는데, 운동에 소비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빈도수가 높아질수록 기능이 향상되는 것을 느낄 때 오는 즐거움을 통해 자신도 모르는 사이 운동에 몰입하게 되어 금단현상과 감정적 애착이 생기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운동급수에서는 감정적 애착요인이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배드민턴을 오래하고 경력이 쌓이면서 급수에 대한 욕구충족과 애착을 가지게 되어 초급자보다 상급자가 더 많은 중독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운동참여수준에 따른 운동중독 성향에 관한 연구

        장우석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생활체육 배드민턴 동호인 클럽에서 운동하는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운동중독 정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배드민턴 동호인들이 느끼는 운동중독이 운동참여 수준(운동시간, 운동빈도, 운동경력, 운동급수)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 여가활동을 위한 배드민턴 동호인들이 부정적인 운동중독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원래의 취지대로 건강하고 즐거운 여가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지역 중 강북지역 중심으로 활동 중인 생활체육 배드민턴 연합회에 등록된 동호인 클럽 회원들을 대상으로 20대 이상에서 60대 이상으로 각 지역별 클럽에 설문지를 배부하고 그 중에서 250명을 편의표본 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여가 스포츠 참가자의 운동중독 요인을 다룬 신규리(1999)의 여가스포츠 참가자의 운동중독 척도 총33문항을 개발한 것을 박광진(2002)이 마라톤 동호인들의 운동수준에 따른 운동중독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조사 자료는 SPSS WIN 1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를 하였으며, 설문지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를 이용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이용하였고, 집단 간의 평균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사후검증으로 Duncan test를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연구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배드민턴 동호인들 중 운동중독 집단의 비율은 금단현상에서 12%, 운동욕구에서 2.2%, 감정적 애착에서 1.3%로 나타났다. 둘째,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나타난 운동중독결과 차이에서 보면, 성별에 있어서는 운동중독에 남녀의 구분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직업과 교육수준, 가계소득에서도 운동중독 현상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연령별로는 60대가 다른 연령대 보다 더 높은 운동중독 결과를 보였다. 셋째,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운동수준에 따른 운동중독은 차이가 있었다. 운동수준에서 운동시간은 3시간 이상의 집단이 운동중독에 높은 결과로 나타났고, 운동빈도는 거의 매일 운동하는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운동중독에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운동경력과 운동급수는 상급자이면서 운동경력이 4년 이상 된 동호인들이 운동중독 결과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 헬스 참가자의 참여동기와 운동중독 관계분석

        이상진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ort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exercise addiction s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exercise addiction. It also examine the exercise maintenance and drop-out of fitness center participants. The subjects were male and female 550 adults of over 18 years who are fitness center participants are located in Busan, Ulsan city through purposive sampling. The data through v11.0 statistics program are handled as PC. Also, this find Cronbach's α coefficient to verify believability. MANOVA is executed to verify difference between the exercise addiction factor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LSD is executed to verify difference of between group. it is execu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tepwise to search relation of sports participation motivation factor and exercise addiction factor. A significant level of p < .05 was used for all the statistica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port Participation Motivation (1) Males showed higher scores with regard to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while females showed higher scores in the field of a motivation. (2) Twenties showed high scores for health-fitness and external motivation. On the contrary, thirties showed high scores for achievement, skill development and intrinsic motivation. (3) The subjects participating in health-club over two years higher tendency in skill development, enjoyment, achievement of intrinsic motivation and conditioning, affiliation, external display of extrinsic motivation. Moreover, the subjects participating in health-club under 1 or 2 years higher tendency in affiliation. (4) The motive to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frequency showed higher scores for enjoyment, conditioning almost every day. Affiliation, external display and a motivation showed higher scores during a week. 2) Exercise Addiction (1) Differences in sex of exercise addiction show that, the scores are higher than females in positive and negative addiction. (2) Positive addiction show higher scores than negative addiction of exercise addiction in age. Negative addiction statistically less different, positive addiction show that show thirties are higher scores than any other ages. Moreover, twenties show higher scores than fourties and thirties show higher scores than fourtise after finishing LSD. (3) Positive addiction show higher scores than negative addiction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period of exercise addiction. Both elements show that participation period is more higher, exercise addiction is more higher too. (4) Positive addiction show higher scores than negative addiction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frequency of exercise addiction. If participation frequency is more higher, positive addiction show more higher too. Also, if participation frequency is less higher, negative addiction show less higher. 3) The Influence for Sport Participation Motivation on the Exercise Addiction Skill development, conditioning, external display in positive addiction show passive relation for kn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e and exercise addiction. External display, a motivation, skill development, achievement in negative addiction also show passive relation. In conclusion, skill development, external display have important influences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addiction.

      • 생활체육참여자의 기본심리욕구와 감각추구성향, 몰입경험, 운동중독의 관계

        정영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운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운동이 건강에 좋다는 일반적인 상식이 바탕이 되는 현대인의 웰빙에 관한 문화적 관심에서 비롯된 현상이다. 그러나 건강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된 운동 일지라도 운동에 참여하는 행위가 습관화 되거나 운동에 의존적인 생활 방식을 가지게 된다면 운동중독을 고려해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체육참여자(철인 3종, 배드민턴, 요가, 웨이트트레이닝, 쇼트트랙)를 대상으로 기본심리욕구와 감각추구성향, 몰입경험, 운동중독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운동중독에 관한 선행연구는 주로 참여동기, 심리적 만족감과 웰빙 등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운동중독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전개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생활체육참여자의 기본심리욕구와 감각추구성향, 몰입경험, 운동중독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운동중독에 도달하게 되는 매커니즘에 대한 기초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는 2010년 서울과 경기, 부산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사설 스포츠 센터와 지방 자치단체의 공공체육시설 그리고 동호회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생활체육(철인3종, 배드민턴, 요가, 웨이트트레이닝, 쇼트트랙) 참여자 397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측정도구는 각 변인에 적합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SPSS Ver. 14.0과 Amos 6.0을 이용하여 자료분석을 실행하였다.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검증(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Scheffe'의 사후검증, 다중상관관계(Multiple correlation), 구조방정식(Structure equation modeling: SEM)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생활체육참여자의 사회학적 특성에 따라서 기본심리욕구, 감각추구성향, 몰입경험, 운동중독은 각각 차이가 있었다. 그 중에서도 몰입경험과 운동중독은 성별, 연령, 참여빈도, 참여강도, 참여경력의 구분에 따른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참여자의 기본심리욕구와 감각추구성향, 몰입경험, 운동중독은 각 변수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있다. 셋째, 생활체육참여자의 기본심리욕구는 몰입경험, 운동중독 간에 인과관계가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생활체육참여자의 감각추구성향은 몰입경험과 운동중독 간에 인관관계가 성립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각추구성향은 몰입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운동중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검증되었고, 몰입경험은 운동중독에 직접적이며 감각추구성향이 운동중독에 영향을 미치게 하는 매개변인으로 밝혀졌다. The number of the people who participate in exercise is increasing. This represents an encouraging trend derived from the cultural interests in well-being of modern people as well as a common sense that exercise is good for health. However, even if it were so, if participating in exercise has become habitual or has caused dependent lif style, exercise addiction should be seriously doubted. The study aims at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basic psychological needs, sensation seeking, flow, and exercise addiction of leisure sport participants in triathlon, badminton, yoga, weight training, and short track. Previous studies in exercise addiction have investigated the relation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emotional satisfaction, and well-being to exercise addiction. However, the results of the studies have almost exclusively been limited to the proposal of a new direction that coming researches would take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suggests a new research direction to prove the relation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ensation seeking and flow to exercise addiction by examining the mechanism of how basic psychological needs, sensation seeking, and flow ultimately lead to an exercise addiction. Research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from 396 subjects attending private sports centers, public Sport Facilities of local government, or exercise clubs in Seoul, Busan, and Gyeonggi-do in 2010. Research date has been analyzed with the SPSS Ver. 14.0 and Amos 6.0.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Scheffe's post-hoc, Multiple correlation, and Structure equation modeling (SEM)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ach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ensation seeking, flow, and exercise addiction had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the sociological characteristic. Especially, the flow and the exercise addiction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gender, age, frequency, intensity, and experience of participation; 2) basic psychological need, sensation seeking, flow, and exercise addiction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have a positive correlation; 3)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does not have an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low and the exercise addiction. In condlusion, sensation seeking was verified as a determinat, which directly influences of flow, whereas indirectly on exercise addiction.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flow affects exercise addiction directly and also functions as a parameter which makes sensation seeking influence on exercise addiction.

      •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운동중독 프로파일

        김재훈 중앙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운동중독 측정도구의 타당화 검증과 집단별에 따른 운동중독 프로파일 분석 및 운동행동변인이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운동중독을 대변하는 측정도구가 실제 현장에 사용할 수 있도록 타당화하는 것이다. 우선 측정도구는 선행문헌 및 Adams(2001)와 Ogden et al.,(1997)의 운동중독 질문지(EBS, EDQ)를 토대로 초기 98문항으로 1차 예비판이 제작되었다. 내용타당도와 안면타당도를 거쳐 69문항으로 축소하고, 예비연구를 통해 28문항 5요인 6점 척도(1점: 전혀 아니다 ~ 6점: 매우 그렇다)로 결정하였다. 625명의 운동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사회적 문제, 운동의존, 금단증세, 운동동기, 운동욕구의 5요인 24문항이 추출되었다. 고유치는 3.54~2.05이고, 요인적재치는 .505~.879로 나타났으며, 전체 설명변량은 56.45%였다. 신뢰도 검증결과 내적합치도 Cronbach` α는 .83~.73로 나타났다. 325명의 생활체육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교차타당화를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5요인 18문항의 운동중독 측정도구는 승인 가능한 수준에서 타당화되었다(Q=2.13 GFI=.92, CFI=.92, RMSEA=0.059). 또한 운동중독 측정도구가 실제 운동 상황에서 다양한 인구학적 변인들을 차별화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성별(남, 여), 연령별(20, 30, 40, 50대), 건강별(매우좋다, 좋다, 보통이하), 종목별(실내, 실외)에 따른 집단별 운동중독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25명의 운동참여자를 대상으로 다변량분석을 시행한 결과 성별, 연령별, 건강별, 종목별에 따라 운동참여자들의 운동중독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나아가 선행연구와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집단별에 따른 운동행동변인(빈도, 강도, 시간, 기간)이 운동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운동참여자들의 집단별(성별, 연령별, 건강별, 종목별) 운동행동변인은 대부분의 운동중독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사회.심리측정적 관점과 운동중독의 특수성과 관련하여 논의하였으며, 집단별 운동행동변인이 운동중독에 차이 있는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예상을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운동참여자들의 운동중독에 대한 미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여성 그룹운동(Group Exercise) 참여자의 운동중독,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변주훈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여성 그룹운동 참여자의 운동중독,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여성 그룹운동 참여자들의 올바른 신체활동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09년 현재 그룹운동이 진행되고 있는 서울 강남지역 스포츠센터 5곳에서 만 19세 이상의 성인 여성 그룹운동 참여자 250명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배포하고 부적절한 설문지와 미회수 설문지 9부를 제외한 241부를 SPSS WI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Tukey사후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정도에 따라 운동중독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참여기간과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강도가 높을수록 운동중독 요인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참여정도에 따라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참여기간, 참여시간, 참여강도가 높을수록 신체적 자기효능감 요인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참여정도에 따라 생활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참여기간,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강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 요인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운동중독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운동중독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운동의존이 높을수록 인지된 신체능력이 높아지고 사회적 문제, 운동동기, 운동욕구가 높을수록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운동중독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운동중독은 생활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문제, 운동의존, 운동동기, 운동욕구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 요인이 높게 나타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생활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인지된 신체능력과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 요인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여성 그룹운동 참여자의 운동중독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규칙적인 그룹운동을 통해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도모하고 운동참여에 대한 긍정적 동기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addiction, physical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in female group exercise participants.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omoting a more straightforward physical activity plan for the female participa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females who were over 19 years old and currently participating in group exercise classes throughout 2009. They were chosen from 5 different sports centers in Gangnam-gu in Seoul. Each of them was given a questionnaire to fill out in order to create data for the study. Of the total 250 questionnaires hand-out, 9 were excluded due to the fact that either the subject did not meet the requirements or the questionnaire was not returned. I used the remaining 241 to create data using the SPSS WIN 2.0 Statistics Program for the following: frequency analysis, unitary variable analysis(one-way ANOVA), Tukey’s method, and multiple recurrence analysis. Through this process, I was able to put together and draw up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that appeared in the level of exercise addition depending on the rate of participation. When the period, frequency, length of time, and intensity of participation was higher, the addiction level was higher and directly effected.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that appeared in the level of physical self-efficacy depending on the rate of participation. When the period, frequency, length of time, and intensity of participation was higher, physical self-efficacy level was also higher and directly effected. Third,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shown were also in proportion to the rate of participation. When the period, frequency, length of time and intensity of participation was high, the life satisfaction was also higher. Fourth, A proportionat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exercise addiction and physical self-efficacy. Exercise addiction directly affected person's physical self-efficacy. When one’s dependence on exercise was high, then acknowledged physical capability was also high. Also when social consequential problem, exercise incentive, and the urge to exercise were high, one's self-confidence in their physical self-presentation was high. Fifth, There was a proportionat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addiction and life satisfaction also. The level of exercise addiction had a big impact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hen social consequential problem, exercise dependence, exercise incentive, and the urge to exercise were high,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by making it was high, too. Finally, there was a proportionat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The level of physical self-efficacy had a great effect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hen one’s recognition of their physical capacity and self-confidence in their physical self-presentation were high,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directly effected and higher. When all these conclusions are combined, it is clear that exercise addiction of female group exercise participants has a great positive influence on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rough a regulated group exercise plan, I strongly believe that a positive motivational plan can be derived for the participants while providing them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