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우즈베키스탄의 한국 FDI 유치현황 및 양국 간 투자협력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Kholiddinova, Khilolakhon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Uzbek’s Development Strategies for Korean FDI in Uzbekistan Foreign direct investment is a form of industrialized countries' shifting producing from industrialized countries to areas with low-wage labor and abundant resources. While attracting foreign investment, the role of overseas investment in the local economy has increased more than ever. The share of foreign investment in GDP in local developing countries rose from 1.5% in the 1970s to 2.5% in the 2000s. While foreign investment in South America and African countries is declining, there is a tendency for overseas investment in Asian countries to increase. Overseas investment in Asia amounted to $ 46.5 billion, or 9%. Uzbekistan is one of the Asian countries that is actively promoting foreigners. Since 2000, foreign investment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active support policy of the Uzbek government. In particular, Uzbekistan's productivity has increased sharply, establishing three special industrial zones in the areas of Navoi, Angren, and Jizzakh. Customs exemptions are provided to foreign investors who enter the specified industrial area and pay the specified amount. Korean companies are one of the big investors in Uzbekistan. It has been continually successful since the first phase of cooperation between Uzbekistan and Korea. Korean companies contributed to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of Uzbekistan and invested in the automobile industry, energy industry,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service and logistics market, and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established. Korea's foreign direct investment into Uzbekistan has an effect on trade balance not only in Uzbekistan but also in Korea. In Uzbekistan, the automobile industry accounts for 7% of total exports. Uzbekistan's automobile production began in 1996 when Daewoo Motors in Korea entered the market. Currently, General Motors owns 25% and Uzavtosanoat owns 75% of the Andijan plant in Uzbekistan, but imports from Korea account for 60% of total imports from Korea. The Uzbek government and the Hanjin Group in Korea conducted airport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airport development work for five years from 2009 to 2013 in order to nurture the logistical hub zone in the Uzbekistan Navoi Airport. Since then, it has been promoting the establishment of Navoi Airport as a logistics hub in Central Asia for five years from 2014 to 2018. The Uzbek government, which is promoting the localization of automobile parts, will welcome foreign companies entering this field. The textile industry also exists, but it needs to be developed. Demand for medical, welfare and construction infrastructure in Uzbekistan will continue to increase, and Korean companies can participate in road construction and medical equipment replacement in Uzbekistan. The Uzbek government is trying to solve domestic problems in order to attract foreign investment. The Presidential Decree on the mitigation of foreign exchange and remittance policies has been approved. In the future, opinions of foreign investors have been heard and the foreign investors have begun to inquire about the desired conditions. It is expected that foreign investors will have a more convenient investment environment for several years from 2017.
우즈베키스탄의 권위주의 국가체제 연구 : 민족주의를 중심으로
박성호 한반도국제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본 논문에서는 우즈베키스탄이 권위주의적 국가체제를 형성하게 한 주된 요인으로서 민족주의의 문제를 살펴보고 권위주의 체제의 형성 원인과 성격 분석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우즈베키스탄 국가체제에 대한 지역연구에 있어서 이제까지의 연구 방법은 전통적으로 지정학적 시각에서 접근하였다. 이는 이곳 현지의 역사와 문화, 종족성(ethnicity)을 통한 접근과 연구는 배제하고, 중앙아시아라는 거대한 패권 경쟁의 무대와 서구 지역연구의 틀에서 국가체제를 연구하는 접근법이다. 이런 지역연구 패턴은 한국의 중앙아시아 연구에서도 동일하게 드러난다. 이를테면, 구체적인 한 국가와 종족에 대하여 접근하기보다는 중앙아시아라는 지역적 개념, 즉 서양과 동양의 중간에 위치한 지정학적 개념을 먼저 머리에 떠올렸던 것이다. 이런 개념의 지역연구는 중앙아시아에 있어서 역사적으로 뿌리 깊다. 이른바 맥킨더의 심장부 이론은 중앙아시아를 지정학적 관점에서 연구해온 서구 지역연구의 출발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연구 토대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승계하면서 우즈베키스탄이라는 지역적 위치가 가지는 함의와 종족성에 대한 구체적인 특수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우즈베키스탄이라는 국가체제를 형성하는 요소로서 민족의 중층적 성격, 역사적, 문화적 요소가 현대의 권위주의 국가체제 형성을 위해서 어떻게 활용되며 어떤 힘으로 재생되는지에 대한 통합적인 시각으로 논문을 구성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면서 본 논문은, 첫째로 2장에서 우즈베키스탄 권위주의 정치현상의 특이성을 이른바 우즈벡의 보이지 않는 정치(invisible politics)로 표현되는 지역적 파벌세력의 분포와 현재의 원리주의 이슬람의 정치적 성격들에서 규명한다. 카리모프 정부가 강력한 권위주의 국가체제를 통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위로부터의 호킴 제도의 정착과 아래로부터의 마할랴 제도의 정비를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중앙집권화의 구조에 대해서 나름의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덧붙여 이런 권위주의적 국가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카리모프 정권의 정치논리가 민족주의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현재의 우즈벡 사회에 어떠한 방법과 모양으로 재현되는지를 규명하였다. 둘째, 본 논문의 제3장을 통하여서는 우즈베키스탄의 권위주의 체제의 형성 원인으로 현재 우즈베키스탄의 지정학적 특수성을 유념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우즈베키스탄의 국경과 국경선이 가지는 의미를 통해 현재의 경계 만들기(boundary making)에 동원되는 문화적인 요소와 그것을 발명하고 생산하고 유포시키는 주체와 힘과 상황들이 무엇인가를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역사적으로 우즈벡 민족이 위치한 지리적 함의에서 출발할 수 있다. 브로델에 의하면 인간은 움직이지 않는 지리적 구조에서 장기지속적인 인간의 역사를 되풀이한다. 그에 의하면 역사는 “거의 움직이지 않는 역사”이며 동시에 오랜 세월 동안 반복적으로 되풀이되는 역사에 있어서 지리적 구조는 절대적 영향력을 가진다. 우즈베키스탄의 지리적 위치와 지정학적 함의는 우즈벡 민족 이면의 지리적, 민족적, 역사적 분절성(分節性)에도 불구하고 소비에트에 의해 만들어진 민족경계가 오히려 현재의 권위주의적 국가체제를 형성한 요인이 되었음을 설명한다. 그와 더불어 현재 카리모프 정권이 강력한 권위주의적 국가체제를 형성케 한 원인으로, 강대국 사이에서 위험한 줄타기를 할 수밖에 없었던 대러시아 관계와 대미관계의 틀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지역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은 절대적이다. 하지만 신생독립국인 우즈베키스탄 정권은 90년대 의도적인 거리두기를 통해서 자국의 국가정체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하지만 우즈벡 정부의 체제강화를 위한 정치적 선택은 1990년대와 2000년대를 지나면서 매우 빠르게 변화한다. 또한, 근대 초기 우즈벡 민족의 바스마치 운동이라는 뼈아픈 저항운동의 경험과 소비에트 전체주의에 의한 권위주의 경험은 현재의 강력한 권위주의 국가체제 형성에 밑거름이 되었다. 이와 더불어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넘어서야 할 현실로서의 국가의 총체적 경제난은 카리모프로 하여금 권위주의 국가체제의 형성을 이루게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셋째, 본 논문의 4장에서는 우즈베키스탄 권위주의 체제에 대한 분석으로는 구조주의적(Structuralism) 시각과 원초주의적(Primordialism) 시각으로 우즈베키스탄 국가체제를 분석하였다. 구조주의적 시각은 신생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이 세계경제체제의 틀 속에서 어떤 역사적 단계를 경험하는지를 전체적(Totality) 관점에서 해석한다. 원초주의적 시각에 의한 접근은 이들 우즈벡 민족의 과거 정치적 경험이 현재에 어떻게 재현되고 재생되는지를 설명한다. 그것을 통하여 현재의 권위주의 국가체재를 형성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이들 민족 종족성에 근거한 원초주의적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우선 우즈베키스탄의 권위주의 정치현상에 대한 논의에서 분명히 지적할 부분은 현재의 권위주의 체제는 중앙아시아라는 무대 위의 역사를 가진 우즈벡 민족의 정치문화에 기인한다는 사실이다. 중앙아시아의 경계는 바로 정착민족과 유목민족의 경계를 의미하는 바, 이곳의 文化的, 政治的, 社會的 變動은 일상적이고 항구적이다. 과거 정착문명의 영역이 확장됨에 따라 그 경계가 넓어지면서 새로운 유목민족 집단은 늘 유동성의 상황에 처하게 된다. 이들은 과거 수천 년의 역사기간을 통하여 유목에서 정착으로의 변동을 수없이 경험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들이 이런 변동의 과정을 경험하면서 체득한 것은 오늘날 유목민족의 문화적 특성으로 남아 있다. 유목민족의 정치적 특성 역시 오랫동안 이들의 정치문화로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다. 향후 카리모프 정권의 전망은 어떻게 될 것인가? 대체적으로 카리모프 정권의 붕괴의 시나리오는 아마도 외부가 아닌 카리모프 진영 내부에서 시작될 가능성이 크다. 이 일은 이전에는 카리모프의 측근이었지만, 최근에 정치적 압력으로 물러난 사람들을 주축으로 시도될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사실 현재로서는 카리모프가 외부로부터의 위험보다 내부의 위험에 처해 있다고 보는 것은 성급한 판단이지만 개연성 있는 추측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 규명한 권위주의적 국가체제는 우즈벡 민족사의 입장에서 볼 때는 계속 재생되고 있는 정치현상이다. 중앙집권화와 폭력적 타자화의 고리는 체제적 모순 때문에 붕괴의 위험을 항상 안고 있다. 그러므로 우즈베키스탄의 정치 위정자는 현재의 근시안적 정치 해결책보다는 좀 더 멀리 보고 소통의 장이 열려 있는 자국의 정치체제를 추구하여야 할 것이다. 역사적으로 이 땅의 통치자는 유목부족의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기동력을 기초로 인근의 오아시스를 지배하였고, 반대로 오아시스의 경우에도 자신들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유목민들에게 필요한 물품을 공납하는 형식의 ‘공생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중앙아시아에서 유목민과 오아시스의 결합은 유목제국의 출현을 가져왔다. 역사적으로 이 땅의 통치자는 그들의 공생의 길을 열어감에 있어, 대결이 아닌 통합을 통해 정치적 돌파구를 찾아왔다. 원초주의적 측면에서 볼 때 카리모프 정권의 권위주의적 국가체제는 자국의 민족사적 발전에 오히려 장애가 된다는 점을 명심하여야 할 것이다. Key Word : 권위주의체제, 우즈베키스탄, 민족주의, 유목국가, 호킴 제도, 마할랴.
우즈베키스탄 배경 중도입국 자녀의 한국어 높임법 습득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상대방을 높이는 다양한 어휘 및 문법적인 범주가 모든 언어에는 존재한다. 특히 한국어의 높임법 체계는 다른 언어에 비해 매우 발달되어 있다. 한국어에는 주체와 객체를 높이는 어휘 및 문법 범주가 있다. 하지만 우즈베키스탄의 높임법 체계는 한국어처럼 복잡하지 않고 단순하게 실현된다. 이러한 언어적인 차이점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우즈베키스탄 배경 중도입국 자녀들은 높임법에 대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또한 중도입국 자녀가 한국어를 습득할 때 다양한 오류를 범하게 되는데 그중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한국어 높임법에 관한 오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즈베키스탄 배경 중도입국 자녀의 한국어 높임법 습득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를 통해 중도입국 자녀의 경험에서 구성한 의미 탐구가 한국어 높임법의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첫째, 우즈베키스탄 배경 중도입국 자녀의 한국어 높임법 어려움을 탐구하고 둘째, 우즈베키스탄 배경 중도입국 자녀가 한국어 높임법 사용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을 탐구하고 셋째, 우즈베키스탄 배경 중도입국 자녀의 한국어 높임법 교육적 시사점을 탐구하는 것이다. 본고의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인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는 인간의 삶을 연구하는 접근법이며 개인의 경험을 존중하고, 이해하고, 연구 참여자가 가지고 있는 경험의 의미를 가장 깊게 탐구하기 때문에 본 연구의 목적에 가장 적합한 연구 방법이다. 내러티브 탐구의 방법에 따라 탐구 절차는 ‘연구 한가운데로 들어가기’, ‘현장에서 현장 텍스트로’, ‘현장 텍스트에서 중간 연구 텍스트로’, ‘중간 연구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로’의 과정을 거치면서 진행하였다. 국내에서 국제결혼이민자의 증가에 따라 부모와 떨어져 거주하던 자녀가 한국으로 이주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중도입국 자녀의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초기 적응을 돕기 위한 다양한 예비학교 및 교육 프로그램들이 수행되고 있지만 예비학교를 거치지 않고 정규학교에 진학한 중도입국 자녀들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로는 부모의 재혼으로 인해 학령기에 국내로 입국한 한국어 높임법 습득 경험이 있으며 본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의향이 있는 우즈베키스탄 배경의 다문화가정이자 중도입국 자녀 5명을 선정하였다. 이때 학년, 한국 거주 기간 및 한국어 수준에 주의를 기울였다. 현장 텍스트는 심층 면담의 방법으로 수집하고 면담을 참여자별로 1, 2회 수행하였다. 본고의 심층 면담은 상호 논의의 의미 교섭의 과정이었다. 중간 연구 텍스트를 연구 참여자들과 함께 검토하여 최종 연구 텍스트를 구성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이 한국어 높임법 습득한 경험의 내러티브는 다음과 같이 이해될 수 있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처음부터 제대로 된 문법 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한국어 높임법의 체계에 대한 지식이 부족함으로 여러 실패 경험들을 겪게 되었다. 참여자들의 공통된 높임법 습득 어려움 경험과 각각 다른 경험의 내러티브는 무엇 때문에 높임법 습득에서 어려움을 겪는지에 대한 맥락을 드러낸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어 높임법 극복하는 과정을 겪었다. 한국 사회에서 높임법의 역할이 중요한 것을 인식함으로써 새로운 환경에서 만난 가족 구성원, 친구, 선생님 등의 도움 및 본인의 의지로 높임법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우즈베키스탄 배경 중도입국 자녀들의 한국어 습득 경험에 대한 이야기 속에서 발견한 경험의 의미는 제2의 인생에 빗대어 ‘한국 정착기로 시작된 제2의 인생’, ‘제2의 인생에서 높임법과 충돌’, ‘제2의 인생에서 높임법 극복 과정’, ‘중도입국 자녀에게 제공되는 한국어 교육 및 한국어 교육적인 시사점’이라는 비유를 통해 함축적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우즈베키스탄 배경 중도입국 자녀의 한국어 높임법 습득 경험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으며, 그들의 경험을 활용한 중도입국 자녀를 위한 한국어 높임법 교육의 필요성과 의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 of Korean honorifics by examining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immigrant children from Uzbekistan through the narrative of the Korean proficiency acquisition experience among the immigrant children's Korean language acquisition experiences. To this end, the research puzzles set in this paper are: first, to explore the difficulties of immigrant children of Uzbekistan background in using Korean honorifics; second, to explore the process of overcoming difficulties in using Korean honorifics for children of Uzbekistan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Korean honorifics. As a research method in this paper, a qualitative research, a narrative inquiry, was used. Narrative inquiry is an approach to study human life, and it is the most suitable research metho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because it respects and understands individual experiences, and deeply explore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that research participants have. Depending on the method of narrative inquiry, the inquiry process proceeded through the process of 'Entering the middle of the research', 'From the field to the field text', 'From the field text to the intermediate research text', and 'From the intermediate research text to the research text'.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5 immigran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rom Uzbekistan who had experience in learning Korean and who were willing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is study were selected who entered Korea at school age due to their parents' remarriage. At this time, attention was paid to grade level,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and Korean language level. Field texts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ce or twice per participant. The in-depth interview in this paper was a process of negotiating the meaning of mutual discussion. The interim research text was reviewed together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form the final research text. The narrative of the experience of the study participants' acquisition of Korean honorifics can be understood as follows. First, since the research participants did not receive proper grammar education from the beginning, they suffered various failure experiences due to lack of knowledge about the Korean honorific system. The participants' common experience of difficulty in acquiring honorifics and the narratives of their different experiences reveal the context of why they have difficulty in acquiring honorifics. Second, the study participants went through the process of overcoming Korean honorifics. By recognizing the important role of honorifics in Korean society, they were able to overcome difficulties with honorifics with the help of family members, friends, teachers and etc.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found in the stories about the Korean language acquisition experiences of children immigrants from Uzbekistan background are compared to the second life, 'The second life that began with settling down in Korea', 'The conflict with honorifics in the second life', 'The process of overcoming honorifics in the second lif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vided to immigrant children and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deeply understand the Korean honorific experience among the Korean language acquisition experiences of immigrant children from Uzbekistan, and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Korean honorific education for immigrant children using their experiences were derived.
우즈베키스탄 외국인 투자정책 연구 : 2000년 이후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김성욱 한신대학교 국제평화인권대학원 2010 국내석사
Uzbekistan is one of the countries which is located in CIS. In former it was the center of the Silk Road and nowadays it is the country which has the most population including natural resources in the Central Asia. However, Kazakhstan basing on pragmatical economic policy could achieve rapid growth but Uzbekistan due to its closed economic policy in comparison with Kazakhstan is still less developed. But Uzbekistan has a great the potential. That's why in this thesis it has been analysed diversified aspects of the significance and transformation of the foreign investment policy which can lead to the development on the economic policy of the developing countries. The economy of Uzbekistan after 2000 transformed a lot. It has transformed because of internal factors, and these kind of transformations are based on leadership authoritarianism which proceeded consistent systematization by leading administration. It has proceeded enactment and reformation of old laws, simplicity of country inspection and improvement of the taxation in relation to the investment. These kind of reformations in contrast to the years before 2000 has transformed a lot in many parts and obtaining great effect. But still exists many difficulties in such kind of parts like finance and foreign currency. Nowadays in Uzbekistan foreign investment enterprises are playing the leading role on economic development. These kind of enterprises are founded through the close cooperation with Uzbek government by taking various incentive supports and cooperate on economic and social fields. Also, after independence the process of privatization especially from 2000 expanded into a key industries of the country and even to the public parts. This privatization shows the condition of Uzbekistan which is acting financial policy. These transformations are possible to clear distinction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indirect investment. Before 2000 foreign indirect investment occupied much more weight, but after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rose suddenly. These kind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has close relation with privatization policy of Uzbekistan, and in case of foreign investment enterprises which obtains a big success is a good example as it has been expected. The foreign investment policy of Uzbekistan which has been considered from various points of view has the following special features. First, due to keeping consistent policy of leadership authoritarianism and proceeding constant reformation and systematization. However, on the aspects of law the frequent alterations of Uzbek laws make them unreliable and even guarantee of investment is fixed by legislation, but still Uzbek government on the situation that can not confidence in that. The investment policy is proceeded strongly by the Administration. But political power of politically prolonged one-man rule of the President of Islam Karimov remained uncertainly. At the present the fourth step of the proceeding privatization as the inducement factor of the foreign investment capital is acting as a inducement investment policy. Uzbekistan uses the system of incentives and investment guarantees and supports as well. Also, it can be mentioned as interdependence of CIS countries. Uzbekistan due to the closed economic structure still can not induce investment on various fields except from economic development and privatization, but at present it is preparing new jumping policy. With its natural resources and the most population in the Central Asia and through market means it has a take-off dream with Kazakhstan. On the second half of the 2009 Uzbek government carries out structure reorganizations and preparing attractions on foreign investments. In this thesis it has been observed the features from the various points of view related to the course of transformation of the foreign investment policy after independence of Uzbekistan especially after 2000. Uzbekistan does not apply resource nationalism and practical usage of them as Kazakhstan yet. Hereafter as now gradually on the way to the opening policy it should solve the present critical points in order and after that it can obtain a development as Kazakhstan. On the transformation of Uzbek foreign investment policy Korea is that country which can approach solution plans which include diversified energy security problems and support of the developing country and problems of Korean residents through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But, after 1990 when Uzbekistan was gradually transforming and if Korea could not consider the situation in Uzbekistan and have not tried the long term discern, nowadays it could be very difficult to maintain relationships which includes the 2 position on the export of Uzbekistan as well. That's why in this thesis it has been observed transformation processes of Uzbekistan foreign investment policy and examples of success investment and its features by approaching diversified. 우즈베키스탄은 중앙아시아에 위치한 CIS 국가들 중에 하나이다. 예전 실크로드의 중심지였으며 지금은 천연자원을 비롯한 중앙아시아 국가들 중에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한 국가이다. 하지만 카자흐스탄은 실용주의 경제정책을 기조로 빠른 성장을 하였지만 우즈베키스탄은 폐쇄적인 경제정책으로 인하여 카자흐스탄과 비교하면 아직 덜 발전한 국가이다. 하지만 우즈베키스탄이 가지고 있는 잠재력은 엄청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개발도상국의 경제정책에서 개발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외국인투자정책의 의의와 변화를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우즈베키스탄의 경제는 2000년 이후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는 내부적인 요인들에 의해서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변화는 권위주의에 기반한 리더쉽에 의해서 행정부 주도로 일관된 제도화가 진행되었다. 투자와 관련된 법의 제정 및 오래된 법의 개정 그리고 국가의 검사 간소화 및 세금 개혁 등을 진행했다. 이러한 개혁들은 2000년 이전과 비교할 경우 상당 부분 많이 변화했으며 큰 효과를 얻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금융 및 외화 부분에서 상당한 어려움은 아직까지 존재한다. 현재 우즈베키스탄에서 경제 발전을 주도하는 것은 외국인투자기업들이 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기업들은 우즈벡 정부와 긴밀한 협력을 통하여 설립되었으며 정부의 여러 가지 인센티브 지원을 받으며 우즈베키스탄에 설립되었으며 여러 가지 경제 및 사회 부분에서 협력을 하고 있다. 또한 독립이후 진행되었던 민영화는 2000년 이후 국가 기간사업으로 까지 확대되어 공공부분 역시 민영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민영화는 재정정치를 취하고 있는 우즈베키스탄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들은 외국인 직접투자와 외국인 간접투자에서 변화에서도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다. 2000년 이전에는 외국인 간접투자가 큰 비중을 차지했던 반면에, 이후에는 외국인 직접투자가 급상승했다. 이러한 외국인 직접투자는 우즈베키스탄 민영화프로그램과 아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외국인투자기업의 경우 우즈베키스탄에서 큰 성공을 거두고 있어서 사례역시 살펴보았다. 다각적으로 살펴본 우즈베키스탄의 외국인투자정책은 다음의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우선 권위주의 리더쉽에 의한 정책의 일관성을 가지고 꾸준한 개혁과 제도화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법적 측면에서 자주 개정되는 우즈벡법에 대한 신뢰도가 낮으며 또한 투자에 대한 보증을 법제화하였으나 이 역시 불투명 하여 우즈벡 정부의 신뢰가 뒷받침 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투자정책은 행정부주도로 강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정치적으로 장기집권하고 있는 이슬람 카리모프 정권은 정치적 불안요소로서 남아있다. 우즈베키스탄은 독립 이후 계속적인 민영화를 진행하였으며 지금은 제4차 민영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외국인자본을 유인하는 요소로서 크게 작용하고 있다. 그러한 맥락에서 민영화와 우선 투자 사업 및 국가기간산업에 대해서 투자보장 및 다양한 인센티브 및 지원제도를 갖추고 있다. 이에 대해서 참여하는 국가들은 러시아와 중국 그리고 유럽 등의 몇몇 주요국가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 기존의 역내무역을 진행하며 관계가 형성된 국가들이 직접적인 참여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 따라 아직까지 CIS의 상호의존성이 아주 높은 것을 언급할 수 있다. 우즈베키스탄의 변화하고 있는 외국인투자정책은 한국이 처한 다양한 에너지 확보 문제를 비롯하여 개발도상국지원과 고려인 문제등 다양한 정치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측면의 문제들에 대해서 해결방안으로 접근 할 수 있는 국가이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점진적 변화를 취하고 있는 우즈베키스탄의 상황을 고려하지 못하고 장기적인 안목에서 접근하는 시도를 하지 않는다면 지금까지의 우즈베키스탄 수출국 2위의 자리를 비롯하여 지금 까지 쌓아왔던 관계를 유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 그렇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우즈베키스탄의 외국인 투자정책에 대한 변화 과정과 투자성공사례 및 그 특징들을 다각적으로 접근하여 살펴보았다. Узбекистан является одной из стран, которая находится в СНГ. В бывшем она была центром Великого Шелкового пути и в настоящее время она является страной, которая наиболее населена, включая природные ресурсы в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Тем не менее, Казахстан на основе прагматичной экономической политики добилась быстрого роста, а Узбекистан из-за своей замкнутой экономической политики по сравнению с Казахстаном по-прежнему менее развита. Но Узбекистан имеет большой потенциал. Вот почему в это положение были проанализированы разнообразные аспекты, о значении и трансформации внешней политики капиталовложений, которые могут привести к развитию экономической политики развивающихся стран. Экономика Узбекистана после 2000 года изменилась много. Она трансформировалась из-за внутренних факторов, и эти виды преобразований основаны на авторитаризме руководства который приступил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й систематизации ведущих администраций. Она предшествовала принятию и реформированию старых законов, облегчению инсп洌別玉媚?по стране и 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налогообложения в связи с инвестициями. Такие реформы, в отличие до 2000 года, привила во многих отраслях большой эффект. Но все еще существует много трудностей такого рода, как финансы и иностранная валюта. В настоящее время в Республике Узбекистан предприятия с иностранными инвестициями играют ведущую роль в экономической развитии. Такие предприятия создаются благодаря тесному сотрудничеству с правительством Узбекистана, принимая различные стимулы и поддерживает сотрудничество в экономической и социальной областях. Кроме того, после обретения независимости в процессе приватизации в особенности с 2000 оно расширилась до ключевых отрасле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страны. Эти приватизации показывает состояние Узбекистана, которое является действующей финансовой политикой. Эти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можно разлечить на прямые иностранные инвестиции и косвенные инвестиции. До 2000г. непрямые иностранные инвестиции находились в гораздо более весомом положении, но после, прямые иностранные инвестиции выросли внезапно. Такие прямые иностранные инвестиции имеют тесные связи с политикой приватизации Республики Узбекистан, а в случае предприятий с иностранными инвестициями, которые получают большой успех является хорошим примером, как ожидалось. Политика иностранного инвестирования Узбекистана, которая была рассмотрена с различных точек зрения, имеет следующие особенности. Во-первых, из-за поддержания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й политики руководства авторитаризма и постоянного реформирования и систематизации. Однако, по правовым аспектам частые изменения законов делают их ненадежными и даже гарантии на инвестиции установленные законодательством. Инвестиционной политике предшествовала сильная администрация. Но политическая власть политически длительного единоличного властвования Президента Ислама Каримова остается неуверенной. В настоящем четвертый этап приватизации, исходя от фактора иностранного инвестиционного капитала, выступает в качестве стимула инвестиционной политики. Узбекистан использует систему стимулов и инвестиционных гарантий и поддержку. Кроме того, можно отметить, взаимозависимость стран СНГ. Узбекистан в связи с закрытой экономической структурой до сих пор не может инвестировать во все области, кроме как 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развития и приватизации, но в настоящее время она готовится к новым прыжкам. Благодаря своим природным ресурсам и большинству населения в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и за счет рынка имеет огромную цели как Казахстан. Во второй половине 2009 года узбекское правительство осуществило реорганизацию структуры и подготовку привлечения иностранных инвестиций. В данной работе были отмечени, особенности с различных точек зрения, связанные с ходом преобразований иностранной инвестиционной политики после обретения независимости Узбекистана, особенно после 2000 года. Узбекистан все еще не применяет ресурсного национализма и практическ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х как Казахстан. Далее как и в настоящее время постепенно на пути к открытой политики она должна решить критические вопросы, и после этого может добиться большего 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развития как Казахстан. Для политики иностранного инвестирования Узбекистана, Корея является страной, которая может приблизиться решению задач, которые включают диверсифицированные проблемы энергетическ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и поддержки со стороны развивающихся стран и проблемы резидентов Кореи с помощью политических, экономических, социальных и культурных аспектов. Но, после 1990 года, когда Узбекистан постепенно трансформировалась, и если Корея не смогла рассмотреть ситуацию в Узбекистане и не пыталась разглядеть долгосрочной перспективы, в настоящее время она могла бы очень трудно поддерживать отношения, которые включают 2 позицию по экспорту из Узбекистана. Вот поэтому в этом тезисе были отмечены процессы преобразований политики Узбекистана по иностранным инвестициям и примеров успеха и ее особенности
압둘라예바, 닐루파르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본 연구는 한국에서 유학 중인 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의 유학생활 의미와 대학생활 적응 양상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이 유학생활 동안 겪는 문제들을 분석하여 이를 위한 해결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의 한국 유학동기, 한국대학생활의 어려움, 여가활동과 향후 계획 및 조언에 대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수도권 및 지방권 대학에서 공부하고 있는 우즈베키스탄 유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한국대학 진학 동기는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과 동경, 가족 및 주변 지인들의 영향, 미래의 목표를 위한 준비로 나눌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은 한국 유학이 그들에게 미래의 좋은 기회를 만들 것이라 기대하고 있었다. 둘째, 한국 대학생활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으로는 교육 시스템, 학업, 대인관계, 경제, 차별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배경 지식 없이 공부를 하다 보니 학업적 어려움을 많이 경험하고 있었으며, 문화적 차이로 인한 한국인 학생 및 교수와의 대인관계가 원활하지 않은 경험을 하고 있었다. 또한 종교적, 문화적 차이로 인한 차별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의 여가활동은 대부분 스포츠와 사회적 활동 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에 참여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은 졸업 후 전공분야와 관련한 한국의 기업에 취직하길 희망하거나, 우즈베키스탄에 있는 가족과 국가를 위한 일을 하기 위해 졸업 후 우즈베키스탄으로 귀국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의 한국 대학생활 적응에 대해 다음과 같이 결론내릴 수 있다. 첫째,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주요 유학 동기는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과 동경, 가족 및 주변 지인들의 영향, 미래의 목표를 위한 준비 등이다. 둘째,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이 겪는 대학생활의 어려움은 서로 다른 교육 시스템, 학생과 교수와의 대인관계 문제, 학업적응의 어려움, 등록금 및 생활비와 관련된 경제적 어려움, 그리고 학생들의 차별 등이다. 이 중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학업적응과 경제적인 측면이었다. 한국 대학의 교육 시스템은 우즈베키스탄의 교육 시스템과 다르기 때문에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이 익숙치 못한 공부 방법으로 인하여 성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경제적인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스트레스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인 문제는 금전적 문제뿐만 아니라 학업적응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학업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면서 생활을 하면 공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교육 시스템 개편이 필요하다. 한국 대학의 입학 기준에 대한 개선과 성적 기준에 대한 변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원활한 대인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위하여 각 대학 측에서 교우관계 적응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극 홍보하여 원만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학업 적응을 위하여 해당 대학에서는 한국어 강좌의 수를 늘리는 것과 한국어 교육 기관을 정비하여 한국어 교사를 양성함과 동시에 이들에 대한 처우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외국인 학생을 위한 장학제도의 확대와 관련 정보 공유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 다섯째, 유학생의 차별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과 한국 대학생들이 함께 참여하며 상호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해나가며 관계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여가활동을 추진하여 이들이 한국대학생활에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Nam, Victor남 빅토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본 연구는 현재 우즈베키스탄의 상황에 맞는 한국어 쓰기 교육 과정을 새롭게 개발하여 제시하려는 데에 목적을 둔다. 우즈베키스탄과 대한민국 간의 수교가 1991년에 이루어지면서,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 교육의 수요가 증가되었다.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 교육의 초창기에는 한국어 교육 목적이 한국 사람을 이해하고 기본적인 의사소통이면 충분했다. 주로 말하기와 듣기 교육이 중심이었다. 그러나 최근 20년 동안 우즈베키스탄과 대한민국 간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기본적인 의사소통 외에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이 필요하게 되었다. 즉, 우즈베키스탄에 진출한 한국 기업에서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나 한국 대학교에서 수학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능력은 한국어 쓰기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게다가 시대 변화에 따라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 학습자와 우즈베키스탄 사회 그리고 한국어 교육계의 요구가 새롭게 제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된 요구들에 맞추어서 새로운 한국어 쓰기 교육 과정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즈베키스탄에서의 한국어 교육을 전문화․극대화하기 위하여 우즈베키스탄의 현지 상황과 한국어 학습자의 요구, 사회적 요구, 한국어 교육계의 요구를 고려하여 한국어 쓰기 교육 과정의 내용을 새롭게 논의하여 기술했다. 특히, 일반 목적의 한국어 교육이 아니라 특수 목적의 한국어 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살폈다. 곧,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직업에 필요한 쓰기 교육과 한국 대학교에서 수학하기 위한 학문 목적의 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먼저,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 쓰기 교육 과정을 기술하기 위해서 우즈베키스탄의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상황적 배경을 분석했다. 다음으로, 우즈베키스탄의 언어 정책과 한국어 교육 정책, 우즈베키스탄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쓰기 교육 과정의 필요성을 살펴보기 위해 사회적 요구, 한국어 교육계 내에서의 요구, 학습자의 요구를 살펴보았다. 이를 이어, 한국어 쓰기 교육 과정 개발의 준거를 수립하기 위해서 외국어 교육 과정을 분석했다. 즉, 유럽 공통 참조 기준, 한국어 능력 시험(TOPIK)의 총괄 평가 기준, 재외동포 한국어 교육 과정 기준을 검토하여 우즈베키스탄에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 과정을 기술할 때 참조하였다. 그리고 우즈베키스탄의 쓰기 교육 과정을 수준별로 개발하기 위해서 외국어 교육 과정의 모형을 검토하여 참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현재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 학습자의 수요에 맞는 한국어 쓰기 교육 과정의 내용을 수준별로 기술하고 한국어 쓰기 교육 과정의 초·중·고급의 수준별 교수·학습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
서정렬 總神大學校 宣敎大學院 2004 국내석사
부각되는 중앙아시아의 복음화를 생각하면서 우즈베키스탄 고려인들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들은 같은 조상의 피를 이어받은 동포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현재 소수민족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정체성이 흔들리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그들에게 접근하여 복음을 전할 것인가? 라는 선교전략의 문제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다음의 2가지 연구 주제로 요약정리하고 선교전략을 제시하였다. 1. 우즈베키스탄 고려인들을 위한 선교전략 우즈베키스탄 고려인들을 위한 선교 전략은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는 차원에서의 선교전략이 좋다. 태권도는 고려인들에게 환영받는 종목이다. 이러한 스포츠 선교를 통해 복음을 전할 수 있는 접촉점으로 삼을 수 있다. 2. 우즈베키스탄 고려인들을 통한 우즈베키스탄 무슬림 선교전략 우즈베키스탄의 수도 타쉬켄트의 복음화는 중앙아시아 전체를 선교하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중앙아시아의 복음화는 전 이슬람의 복음화로 나아가는 중요한 디딤돌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한국교회는 우즈베키스탄 선교에 정책적 우선순위를 두어야 할 것이다. 여기에 우즈베키스탄 고려인을 통한 우즈베키스탄 무슬림 선교전략은 비중있게 연구되고 다루어져야 한다. 우즈베키스탄의 경우 현재 종교법에는 종교의 자유를 허락하고 있지만 다른 종교를 갖는다는 것은 가족과 친족을 버리는 배신행위와 같은 일이며 사회에서 냉대를 받기 때문에 어느 누구도 다른 종교로 개종하려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개종하려는 이들에 대한 특별 배려를 잊지 말아야 한다.
고려인 청소년의 학교생활을 통한 문화적응 과정 경험연구 : 우즈베키스탄 출신을 중심으로=
김지나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ethnic Korean young people from Uzbekistan adapt themselves to a new culture and how their identities change as they experience their school life in Korea.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ed to develop concrete support plans, differentiated policies, and educational services that help overseas Koreans, especially ethnic Korean young people from Uzbekistan better adapt themselves to their school life in Korea.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to meet these research objectives, RQ 1: How do ethnic Korean young people from Uzbekistan experience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in their school life in Korea? RQ 2: How do their identities change? To get the responses to these questions, the author of this study carried out one-on-one interviews with 5 ethnic Korean young people from Uzbekistan living in (Ga) city, Gyeonggi-do from April 27 through November 29, 2015. In addition, as the result of carefully illuminating and analyzing all their statements by means of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y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15 minor subjects and 8 major subjects under the 3 categories: “Life on the border”, “School life”, and “Uncertain future”. The analysis results of responses to RQ 1 are as follows: First, the biggest challenge that they had to face in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in their Korean school life was their inability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overall school lessons because of their poor Korean language. Second, they also had difficulty in getting along with their Korean fellow students. They said that they could form an amicable relationship with them, but they could not develop a close relationship in which they were able to confide with them. Instead, they were found to have associated with other ethnic Korean friends in Korean schools and to have received more help from them in overcoming difficulties in their school life. Third, Korean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m were generally positive and friendly. On the contrary, their Uzbek teachers were found to have had unilateral, directive and commanding attitudes toward them. However, they were also found to have had difficulty in form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Korean teachers as well due to their poor communication in Korean language. Fourth, it was found that various support services in Korean schools helped them adapt themselves to their Korean school life. They showed their sense of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life thanks to various supports for multi-cultural class students. However these educational supports differed from school to school. The analysis results of responses to RQ 2 are as follows: First, they had their identities as ethnic Koreans before they came to Korea. They also had expectations for Korea because they heard the stories of Korea from their parents who had earlier got jobs in Korea and they knew that their ethnic roots began in Korea. Though they came to Korea with such expectations, they experienced their identity confusion as they had Korean school life. Their identity confusion resulted from the relationship with and the attitudes of the Korean teachers and friends, who treated them as foreigners, not as Koreans, though they knew that their ethnic roots began in Korea: they were found to have unique identities as ethnic Koreans for this reason. As a result, they perceived the languag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revealing self-identities, and thus thought they could have the identities as Koreans if they had a good command of Korean language. Second, they want to make their future dreams come true in Korea, which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ir parents. The parents, who came to Korea and now have tough jobs themselves, want their children to have stable jobs that can get them wealth and honor. In addition, the ethnic Korean young people themselves admitted that it was difficult to make their dreams come true in Uzbekistan. However, they had only vague hopes about their career, with no concrete action pla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roposals to make sure that they successfully adapt themselves to their school life and Korean culture. First, one of the biggest challenge they faced in their Korean school life was their inability to understand the lessons due to their poor Korean language. Thus, there is need to deepen the art an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at is easy to understand even without verbal capability and can provide sense of accomplishment as well a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Second, schools are the places where ethnic Koreans from Uzbekistan come to experience Korean society for the first time. Therefore schools should provide bilingual education programs as well for them. In addition, as they got confused about double identities that are formed between the two cultures, there is the need to create the programs for them to explore, develop, and establish their self-identities Third, educational systems and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to allow them to stand on their own feet as competent members of the Korean future society. They may face the crisis of being dropped out when they begin to go to high school as in the cases of the young people who have immigrated to this country during their school ages. Therefore, there should be more specialized high schools than general college-entrance-oriented schools for them. In addition, a quota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to make sure that they will also be allowed to make an entry into Korean society. Fourth and lastly, most of the parents of the ethnic Korean young people from Uzbekistan have come to Korea with visiting employment visas. Schools need to provide Korean-culture education for them with open-minded attitudes; it will be th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and their children who are both living in Korea. KeyWord : Ethnic Korean Adolescents from Uzbekistan, Acculturation process , Identities change, School life,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본 연구는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 학교생활 경험을 통해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 문화적응 과정과 그들의 정체성 변화는 어떠한지 탐색하고자 한다. 궁극적인 이 연구의 목적은 재외동포 청소년, 특히 고려인 청소년들이 한국 학교생활에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구체적인 지원방안과 차별화된 정책 및 교육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학교생활에서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의 문화적응 과정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의 정체성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자는 2015년 4월 27일부터 11월 29일까지 경기도의 (가)시의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 5명과 일대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들의 모든 진술 내용을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통해 세심하게 조명하여 분석한 결과, ‘경계 속의 삶’, ‘학교생활’, ‘불확실한 미래’라는 3개 범주의 총 8개의 대주제와 15개의 소주제로 분류되었다. 연구문제 1의 한국 학교생활에서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의 문화적응 과정 경험은 어떠한가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학교생활에서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의 문화적응과정 중에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서툰 한국어로 인해 전반적인 수업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둘째, 교우들과의 관계에서도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 친구들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였으나 속마음을 터놓을 수 있는 깊은 관계를 맺지 못한다고 하였다. 반면에, 한국 학교 내의 고려인 친구들끼리 어울렸으며, 학교생활에서의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있어서도 고려인 친구의 도움을 받는 일이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을 대하는 한국 교사의 태도는 대체로 긍정적이며 친절하다고 하였다. 이와 반대로, 우즈베키스탄 교사의 태도는 일방적이고 지시적이며 명령하는 태도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 교사와의 관계에서도 원활하지 않은 의사소통으로 인해 깊은 관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 학교 내의 다양한 지원서비스는 한국 학교생활에 적응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학급 학생을 위한 다양한 지원 때문에 학교생활에 만족감을 드러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지원은 학교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연구문제 2의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의 정체성 변화는 어떠한가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은 한국으로 입국 전 고려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갖고 있었다. 한국으로 먼저 해외취업을 간 부모로부터 들은 이야기와 자신의 뿌리가 한국에서부터 시작했음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한국에 대한 기대도 있었다. 이러한 기대감을 갖고 한국에 왔지만, 한국 학교생활을 통해 정체성의 혼란을 겪었다. 이들은 정체성 혼란의 원인으로, 한국의 교사와 교우들은 고려인 청소년들의 뿌리가 한국에서부터 시작하였음을 인정하지만, 이들을 외국인으로서 대하였기 때문에 이들은 한국인도 아닌 외국인도 아닌 고려인만의 독특한 정체성을 갖게 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들은 언어가 자아정체성을 드러내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였으며, 이로 인해 한국어를 잘하게 되면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갖는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은 미래의 꿈을 한국에서 이루고 싶어 하였는데, 이는 부모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으로 온 이들의 부모는 고된 직업을 갖고 있지만, 부모는 이들이 한국에서 부와 명예를 얻을 수 있는 안정적인 직업을 갖길 원했다. 또한 고려인 청소년 스스로도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자신의 꿈을 이루기 어렵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진로에 대해 막연한 꿈을 갖고 구체적인 실천 계획은 아직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려인 청소년들이 한국에서의 성공적인 학교생활과 문화적응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이 한국 학교생활에서 겪는 어려움 중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서툰 한국어로 인해 수업을 이해하지 못함이었다. 이에 이들에게 언어적인 요소가 아니어도 이해하기 쉬우며 성취감을 느낄 수 있고, 심리적·정서적 안정을 줄 수 있는 예체능 관련 교과 수업을 심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이 한국에서 가장 먼저 사회 경험을 하게 되는 곳은 학교이다. 이에 학교에서는 이들을 위한 이중언어 교육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들이 두 문화 속에서 형성되는 이중 정체성에 대해 혼란스러워하였는데, 이들을 위해 자아정체성을 탐구하고 개발하며, 확립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셋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이 미래 한국 사회에서 훌륭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립할 수 있도록 이들을 위한 교육제도 및 정책이 필요하다. 이들은 중도입국 청소년들과 같이 고등학교에 갈 때 중도탈락의 위기를 맡게 된다. 이에 입시위주의 일반 고등학교보다 이들을 위한 특성화 고등학교를 설립해야하며, 또한 이들 역시 한국 사회로 진입할 수 있는 분명한 제도인 쿼터제(quota system)를 시행해야 할 것이다. 넷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의 부모는 대부분 방문취업비자로 한국에 유입되어 있다. 이들의 부모인 고려인들을 위해 학교는 개방적인 자세로 한국어와 한국문화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는 국내에 거주하는 재외동포와 그 자녀들을 위한 교육이 될 것이다.
피이지예바 페루자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4 국내석사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order to seek solutions to the problems related to the social adjustment of Uzbekistan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n 10 Uzbekistan marriage women. As a result, the problems of unfair meeting and ignorance about Korea in the process of marriage immigration process,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financial difficulties, misunderstandings from cultural differences, domestic violence, troubles in child rearing and religious conflicts were identified.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unfair meeting and ignorance about Korea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Uzbekistan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barely had any information about their husbands and Korea. Most of them did not know anything about the occupation and economic situation of their husbands. Marriage preparation process proceeded very quickly, and this problem can be seen as a result of sales gimmicks of international marriage agencies and perceptions of Korean men that Uzbekistan women are young and beautiful. Despite the fact that international marriage agencies in Uzbekistan are supposed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the interpreters at the agencies lied that the husband has a good occupation and hid his economic situation and even age. Second, difficulties in Korean communica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Most of Uzbekistan marriage migrant women married without knowing Korean and various problems that rise because of miscommunications were identified. Communication difficulties between husband and wife isolated the marriage migrant woman in family and caused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The language problem caused huge difficulties not only to herself but also to the child education. Third, the financial difficulties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Most of the Uzbekistan marriage migrant women lived in country side and chose marriage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of their families. The majority of the Uzbekistan marriage migrant women voluntarily married to pay back their family debt or pay for medicine for their sick parents. However, those Uzbekistan marriage migrant women who expected to solve their financial difficulties through marriage felt deep disappointment and frustration as their husbands did not have any job or lacked economic abilities. Fourth, differences in culture and culinary culture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While there are a number of issues for Uzbekistan marriage migrant women in adapting to new circumstances in Korea, the first and foremost issue they face is the problem of adapting to a new food culture. Most of the Uzbekistan marriage migrant women had conflicts due to differences in food culture. The fact that 90% of Uzbekistan people are Muslim and do not eat pork or drink alcohol led to marital problems and in some extreme cases to divorce. Fifth, domestic violence towards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The biggest problem among domestic violence was sexual abuse. The sexual abuse problem could be categorized into two cases. One was when husband force physical relationship while wife does not want it, and the other was when husband ignores wife, shows no consideration and comes back home late. Sixth, troubles in child rearing. The biggest problem of multicultural families lies in child rearing. Expectably, the child rearing problem of Uzbekistan marriage migrant women is deeply related to financial difficulties. Research participants turned out to suffer language and financial difficulties and educational expenses was identified to be the biggest burden due to the jobless state of their husbands or financial difficulties. Seventh, religious problems and conflicts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90% of Uzbekistan people believe in Muslim and 70% of those people believe in Muslim but do not abide by the Muslim rules. Most of Uzbekistan marriage migrant women are those that do not abide by the Muslim rules. Despite the fact that Uzbekistan marriage migrant women who chose international marriage were aware that these problems could occur, they still had complaints and some divorced at the end due to religious conflicts. In addition, when research participants told their husbands that they are Muslim many of the husbands promised that they would believe in Muslim as well. This led to Marital problems and sometimes led to divorce. Данное исследование было проведено с целью поиска решений проблем, связанных с социальной адаптацией брачных женщин-миг рантов из Узбекистана в Корее. Исследование было проведено путе м проведения углубленных интервью у 10 женщин из Узбекистана, состоящих в браке с корейскими мужчинами. В результате, были в ыявлены проблемы, связанные с недобросовестным брачным и имм играционным процессом, незнанием о Корее, трудностями в общени и, финансовыми трудностями, недоразумениями из-за культурных р азличий, насилием в семье, затруднениями в воспитании детейи р елигиозными конфликтами. Результаты данно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мож но обобщить следующим образом: Во—первых, несправедливая встреча и недостаточная информирова нность женщин-мигрантов о Корее. У женщин из Узбекстана, кто со бирался выйти замуж за корейцев и иммигрировать в Корею, не было почти никакойинформации о их будущих мужьях и о Кореи в целом. Большая часть из них до замужества не владела никакойин формациейо работе мужа, об его экономическом и финансовом положении. Процесс подготовки к бракосочетанию проходил очень быстр о, можно сказать, что это является результатом уловок международ ных брачных агенств и восприятием у корейских мужчин о том, ч то все узбекские женщины красивы и молоды. Также было выявле но, чо несмотря на то, что международные брачные агентства в Узб екистане обязуются предоставлять точную и подробную информацию, переводчики в агенствах лгали о том, что будущиймуж имеет хорошую профессию, скрывали его экономическое положение и даже возраст. Во-вторых, трудности в общении на корейском языке у женщин-мигрантов. Большинство женщин из Узбекистана, состоящих в браке с корейцами, до замужества совсем не владели корейским языком, в результате чего часто возникали трудности в общении, которое я вляется основойсемейных отношений. Такие трудности в общении между мужем и женойпривели к изолированности и отчуждению жен, непонимающих корейскийязык, у которых наблюдалась депресс ия и другие психологические проблемы. Языковые трудности повл ияли не только на них, но также вызвали большие затруднения в воспитании детей. В-третьих, финансовые трудности брачных женщин-мигрантов. Бо льшинство брачных женщин-мигрантов до замужества жили в села х Узбекистана и выбрали брак заграницейиз-за финансовых затруд ненийв семье. И многие из них добровольно вышли замуж для тог о, чтобы заплатить семейный долг или купить лекарства для сво их больных родителей. Однако, они испытали разочарование и отча яние, когда вопреки ожиданиям, они увидели, что у мужейнет рабо ты, экономических возможностейи способностей. В-четвертых, трудности, связанные с различиями в культуре и е де. Хотя имеются ряд проблем для брачных женщин-мигрантов из Узбекистана в адаптации к новым условиям, в первую очередь они сталкиваются с проблемойадаптации к новойкультуре питания. Во многих семьях брачных женщин-мигрантов были конфликты из-за различийв культуре питания. Тот факт, что 90% жителейУзбекист ана исповедуют ислам и не едят свинину, не пьют алкоголь приве ли к проблемам в браке и в некоторых случаях даже к разводу. В-пятых, насилие в семье по отношению к жещинам-мигрантам из Узбекистана. Самой большойпроблемойсреди домашнего насили я было сексуальное насилие. Сексуальные проблемы в отношениях корейских мужейи женщин-мигрантов родом из Узбекистана можн о разделить два случая. Первыйслучайэто когда муж силойзастав лял жену вступать с ним в половойконтакт, если даже жена этого не хотела. А второйслучай, когда муж игнорировал жену, относилс я с нейхолодно и возвращался всегда домойпоздно ночью. В-шестых, затруднения в воспитании детей. Самая большая проб лема мультикультурных семейзаключается в воспитании детей. И как ожидалось, проблемы в воспитании детейв таких семьях тесно связаны с финансовыми затруднениями. У участниц данно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были выявлены языковые и финансовые проблемы в воспитании детей. Самым большим временем является расходы на образование в связи с безработицеймужа или его финансовойнесостояте льностью. В-седьмых, религиозные проблемы и конфликты в семьях женщ ин-мигрантов. 90% жителейУзбекистана проповедуют ислам, однак о 70% из них хотя и верят в ислам, не соблюдают мусульманские правила. Большинство брачных женщин-мигрантов из Узбекситана относятся к тем, кто не соблюдает мусульманские правила. Несмот ря на то, что узбекские брачные женщины-мигранты, которые выбр али международныйбрак были в курсе о возможных регилиозных проблемах, у многих из них были недовольства и жалобы после за мужества, а некоторые развелись из-за религиозных конфликтов всемье. Кроме того, когда некоторые из участниц данного исследова ния сказали своим мужьям, что они мусульманки и верят в ислам, многие будущие мужья пообещали, что они тоже примут ислам, хо тя в последствии они этого обещания не сдержали. Это привело к семейным проблемам, а в некоторых случаях даже и к разводу. Bu izlanishdan asosiy maqsad O'zbekistonlik qizlarning nikoh migranti bo'lib Koreya jamiyatida yashash tarzini ochib berib hozirgi ahvoli va muammoli tomonlarini kelajakda qanday yechish yo’llarini ko’rib chiqish maqsad qilingan. Ushbu tadqiqot O'zbekistonlik 10 nafar nikoh migrantlarini suhbati jaroyoni orqali tuzilgan. Ushbu suhbatning natijasida, nikoh migrantining norasmiy uchrashuvi va Koreya to'g'risidagi tassavurning yo'qligi, koreys tilida muloqotning sustligi, iqtisodiy qiyinchilik, madaniyat farqlaridan kelib chiqadigan tushunmovchiliklar, oilaviy kelishmovchiliklar, bolalar tarbiyasidagi muammolar, turli diniy qarashlar kabi muammolar yuzaga chiqdi. Ushbu tadqiqot natijasining qisqacha mazmuni quyidagilardan iborat; Birinchi, xalqaro nikoh migrant qizlarining "norasmiy uchrashuvi va Koreya haqidagi o’quvsizlik"dir. Ikki xil madaniyatga mansub bo’lgan oilalar ya’ni O'zbekistonlik qizlar Koreyalik turmush o'rtog’i va Koreya haqida deyarli ma'lumotga ega bo'lmay turmush qurish holatlari kuzatildi. Shuningdek, to'ydan oldin turmush o'rtog'ining kasbi, iqtisodiy ahvoli kabilardan umuman xabardor bo’lmasdan turmush qurganlar ko'pchilikni tashkil qiladi. Shu bilan birga, bunday muammolarning sababi deb, tanishtiruv va to'y o’tkasizuvchi markazlarining ustamonligi bilan yosh va chiroyli o‘zbek qizlari haqidagi koreys yigitlarining tushunchasiga moslagan holatda, to’y qisqa muddatda tezkorlik bilan tashkillashtirish kabilardir. O'zbekistonda joylashgan tanishtiruv va to'y o’tkasizuvchi markazlar to'g’ri ma'lumotlarni berishlari kerak, ammo ushbu firmalarda ishlaydigan tarjimonlar kuyov to'g'risida yaxshi kasb egasi deb aldab, ularni iqtisodiy ahvolinigina emas balki, yoshini ham yashirishga urinish kabi noto'g'ri ma'lumotlarni berib kelayotgani yuzaga chiqdi. Ikkinchi, xalqaro nikohdagi qizlarning "koreys tilida so’zlashuv muloqotlardagi qiyinchiliklari" to'g'risida. O'zbekistonlik nikoh migrant qizlarining ko'pchiligi koreys tilini bilmagan holda turmushga chiqqan bo'lib, koreys tilini bilmaganligi sababli turmushning tamal toshi bo'lgan muloqotning sustligi har xil muammolarni yuzaga keltirib chiqardi. Ya’ni oilada er-xotin o'rtasidagi o’zaro muloqotning qiyinligi natijasida qiz oilada o’zini yolg'iz va begona his etishi, ruhiy tushkunlik muammolarini tug’dirdi. Til muammosi o'zigina muammosi emas balki bolalar tarbiyasiga ham katta ta'sir ko'rsatadi. Uchinchi, xalqaro nikohdagi migrant qizlarning "iqtisodiy muammolari" to'g'risida. O'zbekistonlik nikoh migrantilarining ko'pchiligi qishloqlarda yashab oilaviy qiyinchiliklari tufayli chet elga turmushga chiqish yo'lini tanlashlash holatlari ko’p uchradi. Shuningdek, O’zbekistonlik nikoh migrant qizlarining ko'pchiligi oilaviy sharoiti og’ir bo’lganligi sababli bemor ota-onasining dori pulini deb o'zlarini xoxishlari bilan turmush qurganlar ko’pchilikni tashkil qildi. Biroq, to'ydan keyin turmush o'rtog'ining kasbi yo'qligi va iqtisodiy ahvoli tangligini bilgandan so'ng umidlari so’nib turmush o’rtog’iga nisbatan ko'ngil sovush holatlari bo’lgan. To'rtinchi, xalqaro nikohdagi migrant qizlarning "Madaniyaviy farqi va ovqat madaniyatining muammosi" to'grisida. Yashash tarzi boshqacha bo'lgan o'zbek nikoh migrnat qizlari Koreya jamiyatida yashash jarayonida moslashishi kerak bo'lgan tomonlar ko'p, lekin shulardan eng birinchi duch keladigan qiyinchilik "ovqatga moslashuv"dir. O'zbekiston nikoh migrant qizlarining ko'pchiligi oziq-ovqat madaniyati jihatidan ko’p qiyinchiliklarga duch kelishgan. O'zbekistonliklarning 90% foizi musulmon bo'lganligi bois cho’chqa go'shti yemasligi va spirtli ichimliklarni ichmasligi sababli diniy tomondan er-xotin o'rtasida ko'plab kelishmovchiliklar yuzaga kelib ajralish darajasigacha yetib borishlari ma'lum bo'ldi. Beshinchi, xalqaro nikoh migrant qizlariga nisbatan "oilaviy majburlovlar" to'g’risida. Oilaviy majburlovlar o'rtasidagi eng katta muammolardan biri bu jinsiy majburlashdir. O'zbekistonlik nikoh migrant qizlarining ko'pchiligi erlaridan olgan jinsiy majburlov ikki ko'rinishda yuzaga keldi. Birinchisi, qiz xoxlamasada majburiy ravishda jinsiy aloqa qilish bo'lsa ikkinchisi eridan sovvuqqonlikka uchrash ya’ni, uyga kech kelib rafiqasiga e'tibor bermaslikdir. Oltinchi, xalqaro nikoh migrant qizlarning "bola tarbiyasidagi qiyinchiligi" to'g'risida. Ikki xil ko’rinishdagi madaniyatli oilaning eng asosiy muammosini bola tarbiyasida ko'rish mumkin. Hozirda o'zbek nikoh migrant qizlari bola tarbiyasidagi qiyinchiligi iqtisodiy tanqislik bilan bog'liqdir. Ushbu tadqiqot qatnashuvchilari farzandlarini tarbiyalashda tildagi qiyinchilik va iqtisodiy qiyinchiliklar, erining kasbi yo'qligi va ta'lim olish uchun mablag'ning yetishmovchiligi sababli o’zaro muammolarni keltiribchiqardi. Yettinchi, xalqaro nikoh migrant qizlarning "diniy jihatdan kelishmovchiliklar" to'g'risida. O'zbekistonliklar ichida musulmon dinidagilar 90% bo'lib shulardan 70% musulmon bo'lsalarda unga rioya qilmaydilar. Islom shariatida no islomiy yigit bilan turmushga chiqish man etilgan. Biroq Koreyaga kelgan ko'plab nikoh migrant qizlar islom shariatiga rioya qilmaydiganlardir. O'zbek nikoh migrant qizlar bunday muammolarga qaramasdan xalqaro nikohni tanlaganlar lekin ko'plab kelishmovchiliklar natijasida ajralishib ketish holatlari ko'p bo'lgan. Yana bir holatlardan biri to'ydan oldin men musulmonman desa kuyov ham islom shariatiga amal qilaman degan va’dalarini ustidan chiqmagan. Shuning uchun ham er-xotinni o'rtasida kelishmovchiliklar yuzaga kelib chiqishi natijada ajralishlar bo'lganini ma’lum bo’ldi. Ushbu izlanish jarayonida mavzular ichida eng asosiy muammolardan biri bola tarbiyasi va ovqat madaniyati o'rtasidagi farqlar hamda diniy o'zgacha qarashlar deb aytish mumkin. Turmush qurgan qizlar bola tarbiyasida til bo'yicha qiyinchiliklar va iqtisodiy qiyinchiliklarni boshdan kechirishmoqda. Ya’ni erining kasbi yuqligi yoki daromadi kam va iqtosodiy tanqislik sababli bola tarbiyasi uchun ta'lim to'lovini to'lay olmaslik kabilardir. Shunga ko'ra ikki madaniyatli oilalar uchun bir ta'lim siyosati oddiy oila siyosati kabilar va xuddi shu tuzilishda o'rnatish qiyin bo'lib bular oilaning o'zgachaligiga to'g'ri keladigan faol siyosat o'rnatilishi kerak. Bular uchun Koreyadagi ma'sul bo’lgan idoralardagi mutaxasislarning tarbiyalash va ish joylariga qayta o'rnatish, halq bilan ishlaydigan idoralarining qobilyatini ustirish va bir tizimga solish kabilarni rivojlantirish kerak. Shu bilan birga, maktab va joylarda bolalarni chet ellikni farzandi deb ajratib qo’yish holatlarini boshdan kechirishmoqda. Koreyslar o’zlarini bir millatli xalq bo’lib, cheklanishlar va ajratishlar kabi hislarni yengib o'ta olishdagi qarashlarini va turli xillikni tan olishlari hamda har xil millatli oilalarga to'g'ri keladigan muhitni yaratib, iqtisodiy tomondan ta’milangan maktabgacha bo’lgan sharoitlarni yo’lga quyish kerak. Shuningdek, ularga eng kerakli bo'lgan narsa koreys tili ta'limidir. Maktabga borishdan oldin Ta'lim vazirligidan ro'yhatdan o'tgan talim muassasalarida yoki alohida markazlarda koreys tilini belgilangan tartibda o'rgangandan so'ng maktabda o'qishi uchun tizim o’rnatish kerak bo'ladi. O'zbekiston madaniyatida bo'lgan farqlar ichidan eng asosiysi ovqat madaniyatidagi farq deb aytish mumkin. Madaniy farqliligi haqidagi ta’limibo'lmaganligi sababli ta'lim to'grisida nikoh migrantlarining yashash jarayoniga moslashtirish xizmati emas balki, ikki madaniyatli oilalarning xususiyatiga qarab moslashtitish xizmati deyilsada o'zbek nikoh migrantlariga to'g'ri kelmaydigan qonunlari ko'p. O'zbeklarning xususiyati sababli shunday vaziyat bo'lishi mumkin. Shuningdek, har xil millatli oilalar, O'zbekiston va Koreyaning madaniy urf-odatlarining turlichaligi va ovqat madaniyatdagi farqini tushinib, uni ardoqlab jamiyatdagi o'rnini topib ketishi uchun ta’minlov tizimini yo’lga qo’yish kerak. Nihoyasida, musulmon nikoh migrantlarining diniy kelishmovchiliklar to'g'risidagi tushunmovchilik haqidadir. Ushbu tadqiqot jarayonida halqaro nikoh migrantlari to'g'risidagi ilmiy ishlar mavzularida juda ko'p izlanishlar qildindi. Ularni ichida er-xotin kelishmovchiliklari, iqtisodiy muammolar, bola tarbiyasisidagi muammolar, muloqotdagi qiyinchiliklar, madaniyatdagi farq kabilar haqida nikoh migrant qizlari to'g'risidagi ko’p ilmiy ishlar qilingan bo’lsada, lekin o'zbek nikoh migrant qizlaring diniy o'zgacha qarashlari ya’ni o'zbek musulmon nikoh migrant qizlariga qaratilgan ilmiy izlanishlar topilmadi. Hamda bunday mumammolarni yechish uchun ikki madaniyatli oilalarga yordam berish siyosatlari qanday chora tadbirlar qilish kerakligi tug’risidagi ilmiy ish va ma'lumotlari topilmadi. Ushbu tadqiqot natijasi o'zbek nikoh migrant qizlari dinga ta'luqli muammolar eng katta muammolardan biri bolib turibdi. O'zbek musulmon bo'lgan vaziyatda diniy tomondan tadqiqot olib borish qatiylikni talab qilganli sababli Koreyaning boshqa dinlari bilan farq qilganligi sababli hech qanday yordam berilmaydi. Shuning uchun ham O'rta Osiyodan kelgan nikoh migratlarining erlari yoki oilasiga diniy tomondan ta’lim berish kerak. Bunday muammolarni hal qilish uchun ikki madaniyatli oilalarga yordam qo'lini cho'zish Koreya tizimi va kelajakda bunday tadqiqotlar va yordam tizimi yaratilishi kerak. 본 연구는 우즈베키스탄 출신의 결혼 이주여성의 한국 사회적응 실태를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그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앞으로 해결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시도하였다. 또한 다문화가정에 대한 중앙정부 지원정책 문헌연구 및 정부자료, 선행연구 자료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사례연구법을 사용하여 진행하였으며, 10인의 우즈베키스탄 출신 결혼 이주여성을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하였다. 그 결과 결혼이주과정에서 문제, 즉 불공정한 만남 및 한국에 대한 무지, 한국어 의사소통의 어려움, 경제적인 어려움, 문화 차이에서 오는 오해, 가정 폭력, 자녀양육 문제, 종교적 갈등 등의 문제가 발견되었다. 이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결혼이주여성들의 ‘불공정한 만남 및 한국에 대한 무지’이다. 다문 화가정의 우즈베키스탄 여성들은 남편과 한국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었고, 결혼 전의 남편의 직업, 경제 수준 등을 전혀 모르고 결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결혼 과정도 매우 빠르게 진행되었다. 우즈베키스탄의 결혼중개업소는 올바른 정보를 제공해야 하지만 결혼중개업소에서 일하는 통역사들은 신랑의 재산 상태뿐만 아니라 나이까지 숨기며 잘못된 정보를 알려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제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어 의사소통의 어려움’이다. 우즈베키스탄 결혼이주여성의 대부분이 한국어를 모르는 상태에서 결혼을 하였으며, 한국어를 모르기 때문에 생활의 기초가 되는 의사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가 다양하게 드러났다. 부부간의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가정 내에서 여성결혼이민자를 고립시키고 소외시키면서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문제들을 낳았다. 언어 문제는 자신의 문제뿐만 아니라 자녀교육에 있어서도 큰 어려움을 발생 시켰다. 셋째, 국제결혼이주여성들의 ‘경제적인 문제’이다. 우즈베키스탄에서 온 결혼 이주여성들의 대부분이 과거에 시골에서 살았고 가정의 어려움으로 결혼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우즈베키스탄 결혼이주여성들은 그들 집안의 빚이나 병든 부모의 약값을 위해 자발적으로 결혼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결혼후 남편의 직업이 없거나 경제적으로 능력이 없기 때문에 경제적인 기대를 가지고 결혼한 우즈베키스탄 결혼이주여성들은 심한 실망감과 좌절감을 느꼈다. 넷째,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 차이와 음식 문화의 문제’이다. 살아온 환경이 다른 우즈베키스탄 결혼이주여성 한국사회에 적응하면서 살아가는 과정 에서 적응해야 할 많은 과제가 있지만, 그중 처음 당면하게 되는 어려움은 ‘음 식문화 적응’의 문제이다. 우즈베키스탄 결혼이주여성의 대부분이 음식문화 차이에 의한 갈등이 많았다. 우즈베키스탄 사람의 90%가 무슬림이고 돼지고기와 술을 안 먹기 때문에 종교적인 이유로 부부간의 갈등이 많이 생기고 이혼까지 이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국제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가정폭력’이다. 가정폭력 가운데 가장 큰 문제의 하나는 성폭력이었다. 우즈베키스탄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의 대부분이 남편에게 당하는 성폭력 문제는 두 가지로 나타났다. 하나는 원하지 않는 경우 에도 성관계를 강요하는 문제들이다. 다른 하나는 우즈베키스탄 출신 결혼이주 여성들이 남편에게 무시당하거나 밤늦게 들어오고 배려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자녀 양육의 어려움’이다. 다문화 가정의 가장 큰 어려움은 자녀양육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역시 우즈베키스탄 결혼이주여성들의 자녀양육의 어려움은 경제적 문제와 깊이 관련되어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녀를 양육하는 데에 언어적 어려움과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나타났으며 남편이 직업이 없거나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자녀를 키우는 데 있어 교육비가 가장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종교적인 문제 및 갈등’이다. 우즈베키스탄 사람들 중에 이슬람교를 믿는 자들이 90%이며 그중에 70% 사람들이 이슬람교를 믿기는 하지만 실천을 하지 않는다. 한국에 온 우즈베키스탄 결혼이주여성 들의 대부분은 이슬람교를 실천하지 않는 여성들이다. 우즈베키스탄 결혼이주 여성들이 이러한 문제가 생길 것을 알면서 국제결혼을 선택하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만이 많았고 결국 종교적인 갈등 때문에 이혼하는 경우도 많았다. 또 한 사례자들 중 결혼하기 전에 신랑에게 자신의 종교가 무슬림이라고 말하면 남편이 이슬람교를 믿겠다고 약속을 하는 경우도 많았다. 그러나 결혼 후에 약속을 지키지 않아 갈등을 야기하였고 결국 이혼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알렉산드라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선교를 시작하기 전에 우선 선교할 나라를 잘 배워야 하듯이 우즈벡 선교에 있어서도 무엇보다도 우즈베키스탄과 우즈벡 사람들 뿐만 아니라 그들의 역사를 알아야 한다. 필자는 본 논문의 2장과 3장에서 한국 교회가 효과적인 우즈베키스탄 선교를 하기 위해서 이슬람교 이해와 관련된 기본적인 내용과 중앙아시아에 들어온 이슬람의 역사적인 사실을 다루었다. 4장에서는 현대 우즈베키스탄의 이해를 위한 우즈벡 정치, 경제, 이슬람의 실제와 기독교의 상황을 다루었고, 5장에서는 구체적인 선교전략을 제시하였다. 특히 여러 선교 방법들 중에서 국내 외국인 선교를 강조하였다. 필자는 우즈베키스탄만 선교지로 보지 않고 한국에 와 있는 우즈벡 근로자들도 반드시 선교해야 할 대상으로 삼았다. 왜냐하면 복음 수용에 있어서 자유롭지 않은 우즈베키스탄보다 전세계의 선교를 감당하는 한국 땅에 있는 우즈벡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복음 선교가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6장과 7장에서 국내 우즈베키스탄 선교를 이해하기 위해 계산교회에 출석하는 우즈베키스탄 근로자들에 대한 설문과 그 내용에 대한 자료 분석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우즈벡 사람들의 문화와 특징을 제시하면서 우즈베키스탄에서 사역하는 선교사들의 어려움과 우즈벡 사역에 있어서 현지인 사역자들의 실수를 염두해 두면서 위와 같은 선교 방법들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