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즈베키스탄 고려인의 강제 이주와 문화에 관한 연구

        Meliboev, Akbar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43

        국문초록 우즈베키스탄(Uzbekistan)은 발루치족․알타이족․시리아인․야쿠트족 등을 포함한 다양한 민족의 고향이며, 고려인은 이 중 다수를 이루는 민족으로 분류되어 진다. 또한 고려인은 80년 이상 현지 우즈베키스탄인과 기타 소수 민족들과 평화롭고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 왔다. 연해주에 자리 잡았던 고려인들은 스탈린 정권에 의해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 되었고, 그들이 약 한 세기 동안 중앙아시아 중에서도 특히 우즈베키스탄에 다수 자리 잡을 수 있었던 이유는 우즈베키스탄이 인종적으로 다양한 국가였기 때문이다. 우즈베키스탄에는 약 100여 개의 민족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에 인종 간 화합과 종교적 관용이 장려되었기 때문에 현지인 속에 고려인이 잘 녹아들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그렇다고 해서 고려인이 우즈벡 문화를 전적으로 수용하지는 않았다. 그들은 연해주에서부터 여전히 민족전통문화를 지켜나가고 있었다. 고려인의 전통 명절이 대표적인 예이며, 음력 설・한식・추석・단오가 있다. 이렇게 전통 문화를 보존해 나아가는 고려인들에게는 큰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조선에서 연해주, 연해주에서 우즈베키스탄으로의 이주 과정에서 습득한 각 나라들의 문화가 전통문화와 결합하여 보존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전통 문화를 보존하고자 하는 의지에도 불구하고, 각 나라에서 정착하며 자연스럽게 얻어지는 문화들은 전통문화와 결합하여 새로운 문화형식을 탄생시킨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의 현대적 민족적, 문화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는 디아스포라의 삶의 다양한 측면을 마치 내면에서 보는 것처럼 바라보는 데 도움이 되었다. 앞으로 확보한 연구 데이터는 유라시아 한인들이 직면한 도전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고 우리의 삶을 끊임없이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CIS 디아스포라의 위치와 역할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Uzbekistan is home to various ethnicities, including the Baluchis, Altai, Syrians, and Yakut, and Goryeo people are classified as the majority of them. In addition, Uzbekistan-Koreans have maintained peaceful and friendly relations with local Uzbeks and other minorities for more than 80 years. Uzbekistan-Koreans, who were located in Maritime Province, were forced to move to Central Asia by the Stalin regime, and the reason why they were able to settle in Uzbekistan, especially Central Asia, for about a century was because Uzbekistan was ethnically diverse. About 100 ethnic groups reside in Uzbekistan, and it is believed that Uzbekistan-Koreans were able to melt well into locals because racial harmony and religious tolerance were encouraged. However, Uzbekistan-Koreans did not fully accept Uzbek culture. They were still protecting the traditional national culture from Primorsky. Uzbekistan-Koreans’s traditional holidays are representative examples, and there are Lunar New Year, Korean food, Chuseok, and Dano. A great characteristic can be found for Uzbekistan-Koreans who preserve traditional culture in this way. It is a fact that the cultures of each country acquired during the migration process from Joseon to Maritime Province and from Maritime Province to Uzbekistan are preserved in combination with traditional culture. Despite the willingness to preserve traditional culture, the cultures naturally obtained by settling in each country have created a new cultural form in combination with traditional culture. The study on the modern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of Uzbekistan-Koreans in Uzbekistan examined above helped to see various aspects of Diaspora's life as if looking from the inside. Research data obtained in the future will help us understand the challenges faced by Eurasian Koreans more deeply and determine the location and role of CIS diaspora in the process of constantly changing our lives.

      • 우즈베키스탄 외국인 투자정책 연구 : 2000년 이후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김성욱 한신대학교 국제평화인권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943

        Uzbekistan is one of the countries which is located in CIS. In former it was the center of the Silk Road and nowadays it is the country which has the most population including natural resources in the Central Asia. However, Kazakhstan basing on pragmatical economic policy could achieve rapid growth but Uzbekistan due to its closed economic policy in comparison with Kazakhstan is still less developed. But Uzbekistan has a great the potential. That's why in this thesis it has been analysed diversified aspects of the significance and transformation of the foreign investment policy which can lead to the development on the economic policy of the developing countries. The economy of Uzbekistan after 2000 transformed a lot. It has transformed because of internal factors, and these kind of transformations are based on leadership authoritarianism which proceeded consistent systematization by leading administration. It has proceeded enactment and reformation of old laws, simplicity of country inspection and improvement of the taxation in relation to the investment. These kind of reformations in contrast to the years before 2000 has transformed a lot in many parts and obtaining great effect. But still exists many difficulties in such kind of parts like finance and foreign currency. Nowadays in Uzbekistan foreign investment enterprises are playing the leading role on economic development. These kind of enterprises are founded through the close cooperation with Uzbek government by taking various incentive supports and cooperate on economic and social fields. Also, after independence the process of privatization especially from 2000 expanded into a key industries of the country and even to the public parts. This privatization shows the condition of Uzbekistan which is acting financial policy. These transformations are possible to clear distinction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indirect investment. Before 2000 foreign indirect investment occupied much more weight, but after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rose suddenly. These kind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has close relation with privatization policy of Uzbekistan, and in case of foreign investment enterprises which obtains a big success is a good example as it has been expected. The foreign investment policy of Uzbekistan which has been considered from various points of view has the following special features. First, due to keeping consistent policy of leadership authoritarianism and proceeding constant reformation and systematization. However, on the aspects of law the frequent alterations of Uzbek laws make them unreliable and even guarantee of investment is fixed by legislation, but still Uzbek government on the situation that can not confidence in that. The investment policy is proceeded strongly by the Administration. But political power of politically prolonged one-man rule of the President of Islam Karimov remained uncertainly. At the present the fourth step of the proceeding privatization as the inducement factor of the foreign investment capital is acting as a inducement investment policy. Uzbekistan uses the system of incentives and investment guarantees and supports as well. Also, it can be mentioned as interdependence of CIS countries. Uzbekistan due to the closed economic structure still can not induce investment on various fields except from economic development and privatization, but at present it is preparing new jumping policy. With its natural resources and the most population in the Central Asia and through market means it has a take-off dream with Kazakhstan. On the second half of the 2009 Uzbek government carries out structure reorganizations and preparing attractions on foreign investments. In this thesis it has been observed the features from the various points of view related to the course of transformation of the foreign investment policy after independence of Uzbekistan especially after 2000. Uzbekistan does not apply resource nationalism and practical usage of them as Kazakhstan yet. Hereafter as now gradually on the way to the opening policy it should solve the present critical points in order and after that it can obtain a development as Kazakhstan. On the transformation of Uzbek foreign investment policy Korea is that country which can approach solution plans which include diversified energy security problems and support of the developing country and problems of Korean residents through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But, after 1990 when Uzbekistan was gradually transforming and if Korea could not consider the situation in Uzbekistan and have not tried the long term discern, nowadays it could be very difficult to maintain relationships which includes the 2 position on the export of Uzbekistan as well. That's why in this thesis it has been observed transformation processes of Uzbekistan foreign investment policy and examples of success investment and its features by approaching diversified. 우즈베키스탄은 중앙아시아에 위치한 CIS 국가들 중에 하나이다. 예전 실크로드의 중심지였으며 지금은 천연자원을 비롯한 중앙아시아 국가들 중에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한 국가이다. 하지만 카자흐스탄은 실용주의 경제정책을 기조로 빠른 성장을 하였지만 우즈베키스탄은 폐쇄적인 경제정책으로 인하여 카자흐스탄과 비교하면 아직 덜 발전한 국가이다. 하지만 우즈베키스탄이 가지고 있는 잠재력은 엄청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개발도상국의 경제정책에서 개발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외국인투자정책의 의의와 변화를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우즈베키스탄의 경제는 2000년 이후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는 내부적인 요인들에 의해서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변화는 권위주의에 기반한 리더쉽에 의해서 행정부 주도로 일관된 제도화가 진행되었다. 투자와 관련된 법의 제정 및 오래된 법의 개정 그리고 국가의 검사 간소화 및 세금 개혁 등을 진행했다. 이러한 개혁들은 2000년 이전과 비교할 경우 상당 부분 많이 변화했으며 큰 효과를 얻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금융 및 외화 부분에서 상당한 어려움은 아직까지 존재한다. 현재 우즈베키스탄에서 경제 발전을 주도하는 것은 외국인투자기업들이 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기업들은 우즈벡 정부와 긴밀한 협력을 통하여 설립되었으며 정부의 여러 가지 인센티브 지원을 받으며 우즈베키스탄에 설립되었으며 여러 가지 경제 및 사회 부분에서 협력을 하고 있다. 또한 독립이후 진행되었던 민영화는 2000년 이후 국가 기간사업으로 까지 확대되어 공공부분 역시 민영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민영화는 재정정치를 취하고 있는 우즈베키스탄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들은 외국인 직접투자와 외국인 간접투자에서 변화에서도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다. 2000년 이전에는 외국인 간접투자가 큰 비중을 차지했던 반면에, 이후에는 외국인 직접투자가 급상승했다. 이러한 외국인 직접투자는 우즈베키스탄 민영화프로그램과 아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외국인투자기업의 경우 우즈베키스탄에서 큰 성공을 거두고 있어서 사례역시 살펴보았다. 다각적으로 살펴본 우즈베키스탄의 외국인투자정책은 다음의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우선 권위주의 리더쉽에 의한 정책의 일관성을 가지고 꾸준한 개혁과 제도화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법적 측면에서 자주 개정되는 우즈벡법에 대한 신뢰도가 낮으며 또한 투자에 대한 보증을 법제화하였으나 이 역시 불투명 하여 우즈벡 정부의 신뢰가 뒷받침 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투자정책은 행정부주도로 강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정치적으로 장기집권하고 있는 이슬람 카리모프 정권은 정치적 불안요소로서 남아있다. 우즈베키스탄은 독립 이후 계속적인 민영화를 진행하였으며 지금은 제4차 민영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외국인자본을 유인하는 요소로서 크게 작용하고 있다. 그러한 맥락에서 민영화와 우선 투자 사업 및 국가기간산업에 대해서 투자보장 및 다양한 인센티브 및 지원제도를 갖추고 있다. 이에 대해서 참여하는 국가들은 러시아와 중국 그리고 유럽 등의 몇몇 주요국가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 기존의 역내무역을 진행하며 관계가 형성된 국가들이 직접적인 참여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 따라 아직까지 CIS의 상호의존성이 아주 높은 것을 언급할 수 있다. 우즈베키스탄의 변화하고 있는 외국인투자정책은 한국이 처한 다양한 에너지 확보 문제를 비롯하여 개발도상국지원과 고려인 문제등 다양한 정치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측면의 문제들에 대해서 해결방안으로 접근 할 수 있는 국가이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점진적 변화를 취하고 있는 우즈베키스탄의 상황을 고려하지 못하고 장기적인 안목에서 접근하는 시도를 하지 않는다면 지금까지의 우즈베키스탄 수출국 2위의 자리를 비롯하여 지금 까지 쌓아왔던 관계를 유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 그렇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우즈베키스탄의 외국인 투자정책에 대한 변화 과정과 투자성공사례 및 그 특징들을 다각적으로 접근하여 살펴보았다. Узбекистан является одной из стран, которая находится в СНГ. В бывшем она была центром Великого Шелкового пути и в настоящее время она является страной, которая наиболее населена, включая природные ресурсы в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Тем не менее, Казахстан на основе прагматичной экономической политики добилась быстрого роста, а Узбекистан из-за своей замкнутой экономической политики по сравнению с Казахстаном по-прежнему менее развита. Но Узбекистан имеет большой потенциал. Вот почему в это положение были проанализированы разнообразные аспекты, о значении и трансформации внешней политики капиталовложений, которые могут привести к развитию экономической политики развивающихся стран. Экономика Узбекистана после 2000 года изменилась много. Она трансформировалась из-за внутренних факторов, и эти виды преобразований основаны на авторитаризме руководства который приступил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й систематизации ведущих администраций. Она предшествовала принятию и реформированию старых законов, облегчению инсп洌別玉媚?по стране и 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налогообложения в связи с инвестициями. Такие реформы, в отличие до 2000 года, привила во многих отраслях большой эффект. Но все еще существует много трудностей такого рода, как финансы и иностранная валюта. В настоящее время в Республике Узбекистан предприятия с иностранными инвестициями играют ведущую роль в экономической развитии. Такие предприятия создаются благодаря тесному сотрудничеству с правительством Узбекистана, принимая различные стимулы и поддерживает сотрудничество в экономической и социальной областях. Кроме того, после обретения независимости в процессе приватизации в особенности с 2000 оно расширилась до ключевых отрасле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страны. Эти приватизации показывает состояние Узбекистана, которое является действующей финансовой политикой. Эти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можно разлечить на прямые иностранные инвестиции и косвенные инвестиции. До 2000г. непрямые иностранные инвестиции находились в гораздо более весомом положении, но после, прямые иностранные инвестиции выросли внезапно. Такие прямые иностранные инвестиции имеют тесные связи с политикой приватизации Республики Узбекистан, а в случае предприятий с иностранными инвестициями, которые получают большой успех является хорошим примером, как ожидалось. Политика иностранного инвестирования Узбекистана, которая была рассмотрена с различных точек зрения, имеет следующие особенности. Во-первых, из-за поддержания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й политики руководства авторитаризма и постоянного реформирования и систематизации. Однако, по правовым аспектам частые изменения законов делают их ненадежными и даже гарантии на инвестиции установленные законодательством. Инвестиционной политике предшествовала сильная администрация. Но политическая власть политически длительного единоличного властвования Президента Ислама Каримова остается неуверенной. В настоящем четвертый этап приватизации, исходя от фактора иностранного инвестиционного капитала, выступает в качестве стимула инвестиционной политики. Узбекистан использует систему стимулов и инвестиционных гарантий и поддержку. Кроме того, можно отметить, взаимозависимость стран СНГ. Узбекистан в связи с закрытой экономической структурой до сих пор не может инвестировать во все области, кроме как 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развития и приватизации, но в настоящее время она готовится к новым прыжкам. Благодаря своим природным ресурсам и большинству населения в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и за счет рынка имеет огромную цели как Казахстан. Во второй половине 2009 года узбекское правительство осуществило реорганизацию структуры и подготовку привлечения иностранных инвестиций. В данной работе были отмечени, особенности с различных точек зрения, связанные с ходом преобразований иностранной инвестиционной политики после обретения независимости Узбекистана, особенно после 2000 года. Узбекистан все еще не применяет ресурсного национализма и практическ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х как Казахстан. Далее как и в настоящее время постепенно на пути к открытой политики она должна решить критические вопросы, и после этого может добиться большего 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развития как Казахстан. Для политики иностранного инвестирования Узбекистана, Корея является страной, которая может приблизиться решению задач, которые включают диверсифицированные проблемы энергетическ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и поддержки со стороны развивающихся стран и проблемы резидентов Кореи с помощью политических, экономических, социальных и культурных аспектов. Но, после 1990 года, когда Узбекистан постепенно трансформировалась, и если Корея не смогла рассмотреть ситуацию в Узбекистане и не пыталась разглядеть долгосрочной перспективы, в настоящее время она могла бы очень трудно поддерживать отношения, которые включают 2 позицию по экспорту из Узбекистана. Вот поэтому в этом тезисе были отмечены процессы преобразований политики Узбекистана по иностранным инвестициям и примеров успеха и ее особенности

      • 우즈베키스탄 高麗人들을 爲한 宣敎戰略 硏究

        서정렬 總神大學校 宣敎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943

        부각되는 중앙아시아의 복음화를 생각하면서 우즈베키스탄 고려인들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들은 같은 조상의 피를 이어받은 동포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현재 소수민족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정체성이 흔들리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그들에게 접근하여 복음을 전할 것인가? 라는 선교전략의 문제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다음의 2가지 연구 주제로 요약정리하고 선교전략을 제시하였다. 1. 우즈베키스탄 고려인들을 위한 선교전략 우즈베키스탄 고려인들을 위한 선교 전략은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는 차원에서의 선교전략이 좋다. 태권도는 고려인들에게 환영받는 종목이다. 이러한 스포츠 선교를 통해 복음을 전할 수 있는 접촉점으로 삼을 수 있다. 2. 우즈베키스탄 고려인들을 통한 우즈베키스탄 무슬림 선교전략 우즈베키스탄의 수도 타쉬켄트의 복음화는 중앙아시아 전체를 선교하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중앙아시아의 복음화는 전 이슬람의 복음화로 나아가는 중요한 디딤돌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한국교회는 우즈베키스탄 선교에 정책적 우선순위를 두어야 할 것이다. 여기에 우즈베키스탄 고려인을 통한 우즈베키스탄 무슬림 선교전략은 비중있게 연구되고 다루어져야 한다. 우즈베키스탄의 경우 현재 종교법에는 종교의 자유를 허락하고 있지만 다른 종교를 갖는다는 것은 가족과 친족을 버리는 배신행위와 같은 일이며 사회에서 냉대를 받기 때문에 어느 누구도 다른 종교로 개종하려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개종하려는 이들에 대한 특별 배려를 잊지 말아야 한다.

      • 우즈베키스탄의 권위주의 국가체제 연구 : 민족주의를 중심으로

        박성호 한반도국제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943

        본 논문에서는 우즈베키스탄이 권위주의적 국가체제를 형성하게 한 주된 요인으로서 민족주의의 문제를 살펴보고 권위주의 체제의 형성 원인과 성격 분석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우즈베키스탄 국가체제에 대한 지역연구에 있어서 이제까지의 연구 방법은 전통적으로 지정학적 시각에서 접근하였다. 이는 이곳 현지의 역사와 문화, 종족성(ethnicity)을 통한 접근과 연구는 배제하고, 중앙아시아라는 거대한 패권 경쟁의 무대와 서구 지역연구의 틀에서 국가체제를 연구하는 접근법이다. 이런 지역연구 패턴은 한국의 중앙아시아 연구에서도 동일하게 드러난다. 이를테면, 구체적인 한 국가와 종족에 대하여 접근하기보다는 중앙아시아라는 지역적 개념, 즉 서양과 동양의 중간에 위치한 지정학적 개념을 먼저 머리에 떠올렸던 것이다. 이런 개념의 지역연구는 중앙아시아에 있어서 역사적으로 뿌리 깊다. 이른바 맥킨더의 심장부 이론은 중앙아시아를 지정학적 관점에서 연구해온 서구 지역연구의 출발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연구 토대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승계하면서 우즈베키스탄이라는 지역적 위치가 가지는 함의와 종족성에 대한 구체적인 특수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우즈베키스탄이라는 국가체제를 형성하는 요소로서 민족의 중층적 성격, 역사적, 문화적 요소가 현대의 권위주의 국가체제 형성을 위해서 어떻게 활용되며 어떤 힘으로 재생되는지에 대한 통합적인 시각으로 논문을 구성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면서 본 논문은, 첫째로 2장에서 우즈베키스탄 권위주의 정치현상의 특이성을 이른바 우즈벡의 보이지 않는 정치(invisible politics)로 표현되는 지역적 파벌세력의 분포와 현재의 원리주의 이슬람의 정치적 성격들에서 규명한다. 카리모프 정부가 강력한 권위주의 국가체제를 통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위로부터의 호킴 제도의 정착과 아래로부터의 마할랴 제도의 정비를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중앙집권화의 구조에 대해서 나름의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덧붙여 이런 권위주의적 국가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카리모프 정권의 정치논리가 민족주의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현재의 우즈벡 사회에 어떠한 방법과 모양으로 재현되는지를 규명하였다. 둘째, 본 논문의 제3장을 통하여서는 우즈베키스탄의 권위주의 체제의 형성 원인으로 현재 우즈베키스탄의 지정학적 특수성을 유념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우즈베키스탄의 국경과 국경선이 가지는 의미를 통해 현재의 경계 만들기(boundary making)에 동원되는 문화적인 요소와 그것을 발명하고 생산하고 유포시키는 주체와 힘과 상황들이 무엇인가를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역사적으로 우즈벡 민족이 위치한 지리적 함의에서 출발할 수 있다. 브로델에 의하면 인간은 움직이지 않는 지리적 구조에서 장기지속적인 인간의 역사를 되풀이한다. 그에 의하면 역사는 “거의 움직이지 않는 역사”이며 동시에 오랜 세월 동안 반복적으로 되풀이되는 역사에 있어서 지리적 구조는 절대적 영향력을 가진다. 우즈베키스탄의 지리적 위치와 지정학적 함의는 우즈벡 민족 이면의 지리적, 민족적, 역사적 분절성(分節性)에도 불구하고 소비에트에 의해 만들어진 민족경계가 오히려 현재의 권위주의적 국가체제를 형성한 요인이 되었음을 설명한다. 그와 더불어 현재 카리모프 정권이 강력한 권위주의적 국가체제를 형성케 한 원인으로, 강대국 사이에서 위험한 줄타기를 할 수밖에 없었던 대러시아 관계와 대미관계의 틀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지역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은 절대적이다. 하지만 신생독립국인 우즈베키스탄 정권은 90년대 의도적인 거리두기를 통해서 자국의 국가정체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하지만 우즈벡 정부의 체제강화를 위한 정치적 선택은 1990년대와 2000년대를 지나면서 매우 빠르게 변화한다. 또한, 근대 초기 우즈벡 민족의 바스마치 운동이라는 뼈아픈 저항운동의 경험과 소비에트 전체주의에 의한 권위주의 경험은 현재의 강력한 권위주의 국가체제 형성에 밑거름이 되었다. 이와 더불어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넘어서야 할 현실로서의 국가의 총체적 경제난은 카리모프로 하여금 권위주의 국가체제의 형성을 이루게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셋째, 본 논문의 4장에서는 우즈베키스탄 권위주의 체제에 대한 분석으로는 구조주의적(Structuralism) 시각과 원초주의적(Primordialism) 시각으로 우즈베키스탄 국가체제를 분석하였다. 구조주의적 시각은 신생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이 세계경제체제의 틀 속에서 어떤 역사적 단계를 경험하는지를 전체적(Totality) 관점에서 해석한다. 원초주의적 시각에 의한 접근은 이들 우즈벡 민족의 과거 정치적 경험이 현재에 어떻게 재현되고 재생되는지를 설명한다. 그것을 통하여 현재의 권위주의 국가체재를 형성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이들 민족 종족성에 근거한 원초주의적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우선 우즈베키스탄의 권위주의 정치현상에 대한 논의에서 분명히 지적할 부분은 현재의 권위주의 체제는 중앙아시아라는 무대 위의 역사를 가진 우즈벡 민족의 정치문화에 기인한다는 사실이다. 중앙아시아의 경계는 바로 정착민족과 유목민족의 경계를 의미하는 바, 이곳의 文化的, 政治的, 社會的 變動은 일상적이고 항구적이다. 과거 정착문명의 영역이 확장됨에 따라 그 경계가 넓어지면서 새로운 유목민족 집단은 늘 유동성의 상황에 처하게 된다. 이들은 과거 수천 년의 역사기간을 통하여 유목에서 정착으로의 변동을 수없이 경험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들이 이런 변동의 과정을 경험하면서 체득한 것은 오늘날 유목민족의 문화적 특성으로 남아 있다. 유목민족의 정치적 특성 역시 오랫동안 이들의 정치문화로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다. 향후 카리모프 정권의 전망은 어떻게 될 것인가? 대체적으로 카리모프 정권의 붕괴의 시나리오는 아마도 외부가 아닌 카리모프 진영 내부에서 시작될 가능성이 크다. 이 일은 이전에는 카리모프의 측근이었지만, 최근에 정치적 압력으로 물러난 사람들을 주축으로 시도될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사실 현재로서는 카리모프가 외부로부터의 위험보다 내부의 위험에 처해 있다고 보는 것은 성급한 판단이지만 개연성 있는 추측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 규명한 권위주의적 국가체제는 우즈벡 민족사의 입장에서 볼 때는 계속 재생되고 있는 정치현상이다. 중앙집권화와 폭력적 타자화의 고리는 체제적 모순 때문에 붕괴의 위험을 항상 안고 있다. 그러므로 우즈베키스탄의 정치 위정자는 현재의 근시안적 정치 해결책보다는 좀 더 멀리 보고 소통의 장이 열려 있는 자국의 정치체제를 추구하여야 할 것이다. 역사적으로 이 땅의 통치자는 유목부족의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기동력을 기초로 인근의 오아시스를 지배하였고, 반대로 오아시스의 경우에도 자신들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유목민들에게 필요한 물품을 공납하는 형식의 ‘공생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중앙아시아에서 유목민과 오아시스의 결합은 유목제국의 출현을 가져왔다. 역사적으로 이 땅의 통치자는 그들의 공생의 길을 열어감에 있어, 대결이 아닌 통합을 통해 정치적 돌파구를 찾아왔다. 원초주의적 측면에서 볼 때 카리모프 정권의 권위주의적 국가체제는 자국의 민족사적 발전에 오히려 장애가 된다는 점을 명심하여야 할 것이다. Key Word : 권위주의체제, 우즈베키스탄, 민족주의, 유목국가, 호킴 제도, 마할랴.

      • 우즈베키스탄 통관 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의 UNI-PASS시스템과 우즈베키스탄 ASDP CCD 시스템의 비교를 중심으로

        올리모브 아킴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943

        본 논문은 우즈베키스탄에서 Single Window 시스템을 토대로 한 전자 통관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다. 전자 통관 시스템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즈베키스탄과 한국 간의 매년 증가하고 있는 무역량을 들 수 있다. 최근 몇 년간 우즈베키스탄은 경제 분야에서뿐만 아니라 상호 협력을 바탕으로 한 여러 가지 국제적, 지역적인 문제에서 광범위하게 한국과 친밀한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현재 우즈베키스탄의 중요한 전략적 파트너국가 중 하나인 한국은 우즈베키스탄 경제에 2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하였다. 한국 수출입 은행의 경제 협력 펀드가 프로젝트 실현을 위해 제공한 특별 차관은 2억 달러를 넘는다. 우즈베키스탄과 한국의 무역관계 발전과 무역량 증대에 방해가 되는 통관 시스템의 효과적이지 않은 업무 처리를 간소화하고 더욱더 빠른 통관 처리를 위하여 통관 시스템을 보완하고 개선할 수 있는 대책을 찾아야 한다. 그래서 우즈베키스탄과 한국 간의 무역량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한국 전자 통관 시스템(UNI-PASS)을 분석하여 경험과 노하우를 통해서 우즈베키스탄 ASDP CCD 시스템을 보완하는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양국 간의 협력 관계를 강화해야 한다. 오늘날 대단히 중요시 되는 것은 세계시장의 경기변화, 제품과 원료의 수요와 판매, 세계시장내의 제품 실제수요, 무역동량 등을 감안하여 다른 나라들과 경쟁을 하기보다는 융통성 있는 조건과 매력적인 투자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즈베키스탄 통관 시스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한국 UNI-PASS 통관 시스템과 우즈베키스탄 ASDP CCD 시스템의 비교를 중심으로 우즈베키스탄 ASDP CCD시스템의 문제점과 앞으로 개선 방안을 모색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우즈베키스탄 통관 시스템 이용자들의 만족과 간편하고 빠른 통관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발전방안과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endency in rapid increase in the volume of international trade of goods is caused by the advanced technology of informational telecommunication and rapid flow of information, however it has a big effect on a country’s customs regulations, while goods crosses country border. In case of developing countries, which have old technology and less experienced customs staff, these factors are becoming more and more significant. Therefore, main customs regulations duty, such as import and export clearance of goods, inspection and examination for goods, carry in-out processing, warehousing and others, become less effective, which lead to cause of smuggling of goods and drugs. So, in order to smooth trade operations, man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WTO, WCO, OECD, APEC, UN/CEFACT promote simplification and standardization of import and export procedures, computerization of customs clearances, paperless customs clearance and trade and so on, which can be achieved by implementing system such as Single Window. According to UN/CEFACT Recommendation 33, the Single Window concept allows parties to be involved in trade and transporting just by using standardized information and submitting documents with a single entry point to fulfill all import, export, and transit-related regulatory requirements. In this matter, in order to encourage trade between CAREC member countries and simplification of customs procedures and customs formalities, in 2009 in Uzbekistan, the Interdepartmental Working Group has been established in order to study, implement and develop the Single Window system. Therefor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is to identify current Uzbekistan ASDP CCD systems’ problems and recommend a plan for improvement in order to increase effectiveness of Uzbekistan Customs System, base on experience of Korea UNI-PASS system.

      • 우즈베키스탄의 한국 FDI 유치현황 및 양국 간 투자협력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Kholiddinova, Khilolakhon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943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Uzbek’s Development Strategies for Korean FDI in Uzbekistan Foreign direct investment is a form of industrialized countries' shifting producing from industrialized countries to areas with low-wage labor and abundant resources. While attracting foreign investment, the role of overseas investment in the local economy has increased more than ever. The share of foreign investment in GDP in local developing countries rose from 1.5% in the 1970s to 2.5% in the 2000s. While foreign investment in South America and African countries is declining, there is a tendency for overseas investment in Asian countries to increase. Overseas investment in Asia amounted to $ 46.5 billion, or 9%. Uzbekistan is one of the Asian countries that is actively promoting foreigners. Since 2000, foreign investment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active support policy of the Uzbek government. In particular, Uzbekistan's productivity has increased sharply, establishing three special industrial zones in the areas of Navoi, Angren, and Jizzakh. Customs exemptions are provided to foreign investors who enter the specified industrial area and pay the specified amount. Korean companies are one of the big investors in Uzbekistan. It has been continually successful since the first phase of cooperation between Uzbekistan and Korea. Korean companies contributed to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of Uzbekistan and invested in the automobile industry, energy industry,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service and logistics market, and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established. Korea's foreign direct investment into Uzbekistan has an effect on trade balance not only in Uzbekistan but also in Korea. In Uzbekistan, the automobile industry accounts for 7% of total exports. Uzbekistan's automobile production began in 1996 when Daewoo Motors in Korea entered the market. Currently, General Motors owns 25% and Uzavtosanoat owns 75% of the Andijan plant in Uzbekistan, but imports from Korea account for 60% of total imports from Korea. The Uzbek government and the Hanjin Group in Korea conducted airport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airport development work for five years from 2009 to 2013 in order to nurture the logistical hub zone in the Uzbekistan Navoi Airport. Since then, it has been promoting the establishment of Navoi Airport as a logistics hub in Central Asia for five years from 2014 to 2018. The Uzbek government, which is promoting the localization of automobile parts, will welcome foreign companies entering this field. The textile industry also exists, but it needs to be developed. Demand for medical, welfare and construction infrastructure in Uzbekistan will continue to increase, and Korean companies can participate in road construction and medical equipment replacement in Uzbekistan. The Uzbek government is trying to solve domestic problems in order to attract foreign investment. The Presidential Decree on the mitigation of foreign exchange and remittance policies has been approved. In the future, opinions of foreign investors have been heard and the foreign investors have begun to inquire about the desired conditions. It is expected that foreign investors will have a more convenient investment environment for several years from 2017.

      • 우즈베키스탄 우수인재의 모국귀환에 관한 연구 : 한국 대학원 유학경험자를 중심으로

        슈쿠로바 메흐리니소 이노야툴러에브나 전남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943

        ‘두뇌유출’은 개발도상국의 가장 일반적인 문제 중 하나다. 최근 세계는 글로벌화, 고등교육의 국제화 그리고 선진국에 의해 주도된 지식과 기술 중심의 이민 정책으로 인해 개발도상국 우수인재들의 국제이주가 가속화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은 독립초기부터 ‘두뇌유출’ 현상이 이루어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학술적으로 많은 관심을 표명하지 않아 관련 연구가 부재한 상황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선진국에서의 유학 과정을 통해 전문 인력으로 성장한 우즈베키스탄 출신 우수인재의 외국 경험을 통해 형성한 넓은 세계관, 지식과 기술, 사회문화적 자본 등이 국가의 국제적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높이 평가되고 있다. 현재 우즈베키스탄은 국내 고급 인적 자본 부족 문제를 절감하고 있음에도 이들의 모국국환 유치를 위한 정부 정책은 부재하며, 일부 특별 초대를 받은 인재들만의 모국귀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우즈베키스탄 우수인재의 모국귀환 유치를 위한 바람직한 정책적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수인재 모국귀환 유치 정책에 성공한 것으로 거론되는 중국, 인도, 한국의 사례를 문헌 연구의 방법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해석주의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한국의 대학원에서 유학을 경험한 총 26명의 우즈베키스탄 우수인재들을 중심으로 한 심층면접을 통해, 이들의 학업 이후의 삶의 경험과 이동성 결정의 배경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주요국의 사례 분석을 통해 우즈베키스탄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주요국가의 사례 분석은 국내 우수인재 인적 자본의 양성과 교육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관심과 지속적 투자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그리고 한국에서 대학원 유학 경험자들과의 심층면접 결과는 모국에서의 일자리 부족과 낮은 임금에 대한 인식, 모국에서의 부정부패 및 관료주의 문제, 고향사람들과의 사회적 관계 유지, 유학국가에서의 자아실현 기회와 사회문화적 적응 등 요인들은 이들이 한국에서 잔류를 결정하는데 중요하였다. 반면, 모국에 대한 그리움이나 부모부양에 대한 책임감, 결혼문제, 자녀들의 교육 문제, 한국생활 부적응 등은 모국귀환의 원인이었다. 그리고 귀환자들은 모국의 거시 구조적 상황에 대한 불만으로 유학국가 또는 제3국으로 재이주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 결과에 나타난 우즈베키스탄 우수인재의 모국귀환을 위한 정책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즈베키스탄의 전반적인 거시 구조적 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육과 과학기술에 대한 투자의 확대, 우즈베키스탄의 수도를 비롯한 각 지방의 특성에 따른 모국귀환 유치 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우즈베키스탄의 수도뿐만 아니라 각 지방 출신 우수인재를 발굴하고 귀환을 위한 조건과 인센티브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둘째, 우즈베키스탄 우수인재의 종사하는 분야, 학력, 경력 등 특성을 고려하여 분야별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 및 교육형 우수인재, 창업우수인재, ‘한국형’ 우수인재와 온·오프라인 상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모국으로 귀환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우수인재뿐만 아니라 이들의 배우자와 자녀들에게도 경제적 및 사회 복지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일자리 및 높은 임금의 보장, 각종 물질적 혜택, 자녀들의 양육과 교육 지원은 모국귀환을 유도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우즈베키스탄 우수인재의 자발적 모국귀환은 국내 거시 구조적 상황의 개선과 함께 정부 차원에서의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 지원에 달려 있다. 이에 대한 ‘우수인재 유치’ 또는 ‘우수인재 모국귀환’의 정책개발과 제도적 뒷받침, 프로그램 등의 활성화가 필요할 것이다. Brain drain is one of the most common problems in developing countries. In recent years, the international migration of highly skilled migrants from developing countries is accelerating due to globalizatio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and immigration policies centered on knowledge and skills led by advanced countries. Although Uzbekistan has had a brain drain phenomenon since the early days of independence, it has not expressed academic interest in it. However, recently, the broad worldview, knowledge, technology, and socio-cultural capital formed through the foreign experiences of the highly skilled migrants from Uzbekistan who have grown into professional manpower through studying abroad in advanced countries are highly appreciated in securing the country’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Currently, Uzbekistan is aware of the problem of the shortage of high-quality human capital in the country, but there is no attractive government policy to reverse them to their home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esirable policy direction for reversing the brain drain to Uzbekistan. For this purpose, the cases of China, India, and Korea, which are considered successful in attracting excellent talents to return to their home countries, were reviewed as a literature study method. Based on the paradigm of interpretivism,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26 highly skilled Uzbeks, who have experienced studying in graduate schools in Korea. Life experiences and mobility decisions after graduation were analyzed. In addition, policy implications for Uzbekistan were obtained through the case analyses of the above-mentioned countries. The case analyses of these countries suggested the importance of the government’s active interest and continuous investment in cultivating excellent domestic human capital and reforms in educ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highly skilled Uzbeks, who had experiences in graduate schools in Korea are as follows. Factors such as perception of job shortage and low wages, corruption, and bureaucracy in their home country, maintaining social relationships with people from their home country in Korea, socio-cultural adaptation, and opportunities for self-realization were important in determining their continuous stay in Korea. On the other hand, longing for one’s home country, responsibility for supporting parents, marriage problems, children’s education problems, and maladaptation to life in Korea were the causes of return to the home country. In addition, returnees showed a willingness to re-migrate to Korea or to other countries, due to dissatisfaction with the macro-structural situation in their home country. The policy suggestions for reversing the brain drain from Uzbekistan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verall macro-structural environment of Uzbekistan. Investment should be expanded in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o attract ‘brains’ back to their home countr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vince, including the capital of Uzbekistan. Al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on conditions and incentives to the highly skilled not only from the capital of Uzbekistan but also from each province continuously.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nline/offline network with highly skilled Uzbeks abroad,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s, academic background, and career. Uzbeks in science and technology(education), start-up lunchers, and the ‘highly educated in Korea’ should be attracted accordingly by providing incentives. Third, economic and social welfare support should be provided not only to the highly skilled but also to their spouses and children. In other words, guarantees of jobs and high wages, various material benefits, and support for raising and educating children can induce their return. The voluntary return of Uzbekistan's highly skilled people to their home country depends on the improvement of the domestic macro-structural situation and continuous interest as well as activ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rain reverse policy, institutional support, and revitalize programs.

      • 우즈베키스탄 대학 내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현지화 교재 개발 방안 연구

        김미영 배재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우즈베키스탄 대학 내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수업 학습자를 위한 교재 개발의 원리와 교재 구성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에서 한국어 교육은 한국과의 수교를 맺은 이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글학교 및 기타 사설 기관 등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우즈베키스탄 대학기관에서 전공과 제2외국어 과목으로 채택하는 등 한국어 교육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우즈베키스탄 대학 내 한국어 교육은 국내 대학기관에서 개발된 교재와 같이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교재들은 한국 내 교육기관의 교육과정에 맞춰져 있거나 한국 생활 적응에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러한 교재들은 국내 대학기관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교재로 국외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이러한 교재들은 대학기관에서 사용되는 것이기는 하나 대학기관의 한국어교육원에 맞춰 개발된 교재로 전공과 제2외국어 교과목에서 사용되기에는 적당하지 않은 요소들이 존재한다. 현지의 교육 기간 및 시수에 맞지 않는 것은 물론이며 국외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특수성 때문에 학습자들은 교재 선택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외 한국어 교육현장의 상황을 고려한 교재, 국외 한국어 교육현장의 교재 개발에 대한 원리와 더불어 우즈베키스탄 현지 환경과 학습자의 학습 목적에 적합한 교재 개발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음의 내용과 연구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Ⅰ장에서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그에 따른 선행 연구를 정리하였다. Ⅱ장에서는 문헌 조사를 통해 현지화 교재의 개념과 현지화 교재 개발 시 고려되어야 하는 변인들에 대해 알아본 후, 이 변인들이 교재 개발에 적용하여 현지화 교재의 개발 원리를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문헌 조사와 우즈베키스탄 현지 한국어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대학 내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 현황과 사용 교재에 대해 정리하였다. Ⅳ장에서는 현지에서 개발된 교재와 대학 기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교재를 분석하여 이들 교재의 현지 적용의 부적합성을 지적하였다. Ⅴ장에서는 Ⅲ장과 Ⅳ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우즈베키스탄 대학 내 한국어 수업을 위한 교재 개발이 원리와 구성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Ⅵ장에서는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밝히며 마무리하였다.

      • 고려인 청소년의 학교생활을 통한 문화적응 과정 경험연구 : 우즈베키스탄 출신을 중심으로=

        김지나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943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ethnic Korean young people from Uzbekistan adapt themselves to a new culture and how their identities change as they experience their school life in Korea.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ed to develop concrete support plans, differentiated policies, and educational services that help overseas Koreans, especially ethnic Korean young people from Uzbekistan better adapt themselves to their school life in Korea.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to meet these research objectives, RQ 1: How do ethnic Korean young people from Uzbekistan experience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in their school life in Korea? RQ 2: How do their identities change? To get the responses to these questions, the author of this study carried out one-on-one interviews with 5 ethnic Korean young people from Uzbekistan living in (Ga) city, Gyeonggi-do from April 27 through November 29, 2015. In addition, as the result of carefully illuminating and analyzing all their statements by means of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y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15 minor subjects and 8 major subjects under the 3 categories: “Life on the border”, “School life”, and “Uncertain future”. The analysis results of responses to RQ 1 are as follows: First, the biggest challenge that they had to face in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in their Korean school life was their inability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overall school lessons because of their poor Korean language. Second, they also had difficulty in getting along with their Korean fellow students. They said that they could form an amicable relationship with them, but they could not develop a close relationship in which they were able to confide with them. Instead, they were found to have associated with other ethnic Korean friends in Korean schools and to have received more help from them in overcoming difficulties in their school life. Third, Korean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m were generally positive and friendly. On the contrary, their Uzbek teachers were found to have had unilateral, directive and commanding attitudes toward them. However, they were also found to have had difficulty in form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Korean teachers as well due to their poor communication in Korean language. Fourth, it was found that various support services in Korean schools helped them adapt themselves to their Korean school life. They showed their sense of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life thanks to various supports for multi-cultural class students. However these educational supports differed from school to school. The analysis results of responses to RQ 2 are as follows: First, they had their identities as ethnic Koreans before they came to Korea. They also had expectations for Korea because they heard the stories of Korea from their parents who had earlier got jobs in Korea and they knew that their ethnic roots began in Korea. Though they came to Korea with such expectations, they experienced their identity confusion as they had Korean school life. Their identity confusion resulted from the relationship with and the attitudes of the Korean teachers and friends, who treated them as foreigners, not as Koreans, though they knew that their ethnic roots began in Korea: they were found to have unique identities as ethnic Koreans for this reason. As a result, they perceived the languag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revealing self-identities, and thus thought they could have the identities as Koreans if they had a good command of Korean language. Second, they want to make their future dreams come true in Korea, which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ir parents. The parents, who came to Korea and now have tough jobs themselves, want their children to have stable jobs that can get them wealth and honor. In addition, the ethnic Korean young people themselves admitted that it was difficult to make their dreams come true in Uzbekistan. However, they had only vague hopes about their career, with no concrete action pla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roposals to make sure that they successfully adapt themselves to their school life and Korean culture. First, one of the biggest challenge they faced in their Korean school life was their inability to understand the lessons due to their poor Korean language. Thus, there is need to deepen the art an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at is easy to understand even without verbal capability and can provide sense of accomplishment as well a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Second, schools are the places where ethnic Koreans from Uzbekistan come to experience Korean society for the first time. Therefore schools should provide bilingual education programs as well for them. In addition, as they got confused about double identities that are formed between the two cultures, there is the need to create the programs for them to explore, develop, and establish their self-identities Third, educational systems and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to allow them to stand on their own feet as competent members of the Korean future society. They may face the crisis of being dropped out when they begin to go to high school as in the cases of the young people who have immigrated to this country during their school ages. Therefore, there should be more specialized high schools than general college-entrance-oriented schools for them. In addition, a quota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to make sure that they will also be allowed to make an entry into Korean society. Fourth and lastly, most of the parents of the ethnic Korean young people from Uzbekistan have come to Korea with visiting employment visas. Schools need to provide Korean-culture education for them with open-minded attitudes; it will be th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and their children who are both living in Korea. KeyWord : Ethnic Korean Adolescents from Uzbekistan, Acculturation process , Identities change, School life,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본 연구는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 학교생활 경험을 통해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 문화적응 과정과 그들의 정체성 변화는 어떠한지 탐색하고자 한다. 궁극적인 이 연구의 목적은 재외동포 청소년, 특히 고려인 청소년들이 한국 학교생활에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구체적인 지원방안과 차별화된 정책 및 교육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학교생활에서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의 문화적응 과정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의 정체성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자는 2015년 4월 27일부터 11월 29일까지 경기도의 (가)시의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 5명과 일대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들의 모든 진술 내용을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통해 세심하게 조명하여 분석한 결과, ‘경계 속의 삶’, ‘학교생활’, ‘불확실한 미래’라는 3개 범주의 총 8개의 대주제와 15개의 소주제로 분류되었다. 연구문제 1의 한국 학교생활에서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의 문화적응 과정 경험은 어떠한가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학교생활에서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의 문화적응과정 중에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서툰 한국어로 인해 전반적인 수업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둘째, 교우들과의 관계에서도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 친구들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였으나 속마음을 터놓을 수 있는 깊은 관계를 맺지 못한다고 하였다. 반면에, 한국 학교 내의 고려인 친구들끼리 어울렸으며, 학교생활에서의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있어서도 고려인 친구의 도움을 받는 일이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을 대하는 한국 교사의 태도는 대체로 긍정적이며 친절하다고 하였다. 이와 반대로, 우즈베키스탄 교사의 태도는 일방적이고 지시적이며 명령하는 태도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 교사와의 관계에서도 원활하지 않은 의사소통으로 인해 깊은 관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 학교 내의 다양한 지원서비스는 한국 학교생활에 적응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학급 학생을 위한 다양한 지원 때문에 학교생활에 만족감을 드러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지원은 학교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연구문제 2의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의 정체성 변화는 어떠한가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은 한국으로 입국 전 고려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갖고 있었다. 한국으로 먼저 해외취업을 간 부모로부터 들은 이야기와 자신의 뿌리가 한국에서부터 시작했음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한국에 대한 기대도 있었다. 이러한 기대감을 갖고 한국에 왔지만, 한국 학교생활을 통해 정체성의 혼란을 겪었다. 이들은 정체성 혼란의 원인으로, 한국의 교사와 교우들은 고려인 청소년들의 뿌리가 한국에서부터 시작하였음을 인정하지만, 이들을 외국인으로서 대하였기 때문에 이들은 한국인도 아닌 외국인도 아닌 고려인만의 독특한 정체성을 갖게 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들은 언어가 자아정체성을 드러내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였으며, 이로 인해 한국어를 잘하게 되면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갖는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은 미래의 꿈을 한국에서 이루고 싶어 하였는데, 이는 부모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으로 온 이들의 부모는 고된 직업을 갖고 있지만, 부모는 이들이 한국에서 부와 명예를 얻을 수 있는 안정적인 직업을 갖길 원했다. 또한 고려인 청소년 스스로도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자신의 꿈을 이루기 어렵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진로에 대해 막연한 꿈을 갖고 구체적인 실천 계획은 아직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려인 청소년들이 한국에서의 성공적인 학교생활과 문화적응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이 한국 학교생활에서 겪는 어려움 중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서툰 한국어로 인해 수업을 이해하지 못함이었다. 이에 이들에게 언어적인 요소가 아니어도 이해하기 쉬우며 성취감을 느낄 수 있고, 심리적·정서적 안정을 줄 수 있는 예체능 관련 교과 수업을 심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이 한국에서 가장 먼저 사회 경험을 하게 되는 곳은 학교이다. 이에 학교에서는 이들을 위한 이중언어 교육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들이 두 문화 속에서 형성되는 이중 정체성에 대해 혼란스러워하였는데, 이들을 위해 자아정체성을 탐구하고 개발하며, 확립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셋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이 미래 한국 사회에서 훌륭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립할 수 있도록 이들을 위한 교육제도 및 정책이 필요하다. 이들은 중도입국 청소년들과 같이 고등학교에 갈 때 중도탈락의 위기를 맡게 된다. 이에 입시위주의 일반 고등학교보다 이들을 위한 특성화 고등학교를 설립해야하며, 또한 이들 역시 한국 사회로 진입할 수 있는 분명한 제도인 쿼터제(quota system)를 시행해야 할 것이다. 넷째,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청소년의 부모는 대부분 방문취업비자로 한국에 유입되어 있다. 이들의 부모인 고려인들을 위해 학교는 개방적인 자세로 한국어와 한국문화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는 국내에 거주하는 재외동포와 그 자녀들을 위한 교육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