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울성향이 청소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윤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부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심리적인 특성인 우울성향을 파악하고 이러한 우울성향과 청소년기에 급증하게 되는 문제행동과의 관련성을 밝힘으로써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예방과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문적인 사회사업적 개입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성향과 문제행동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문제행동을 폭력성, 책임회피성, 허위성, 도벽성, 학업불성실성, 성관계 6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 문제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우울성향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청소년의 우울정도는 Beck의 우울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서울시내 일부 고등학교 1, 2, 3 학년 학생 3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 시에는 SPSS/WIN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test, 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청소년의 우울성향 성별에 따른 우울성향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년에 따른 우울성향은 학년이 높을수록 우울성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성적에 따른 우울성향은 학교성적이 나쁠수록 우울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고민을 상담하는 대상에 따른 우울성향은 교사라고 응답한 학생의 경우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경제적 생활수준별 우울성향은 생활수준이 하인 학생이 우울성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청소년의 문제행동 첫째, 성별에 따른 문제행동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에 따른 문제행동은 1학년이 폭력성, 성관계, 도벽성의 문제행동에서 다른 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교성적에 따른 문제행동은 전 영역에서 학교성적이 가장 낮은 학생이 문제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즉 학교성적이 나쁜 학생이 그들의 고민이나 우울한 기분을 해소하기 위하여 문제행동을 하는 경향이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둘째, 고민을 상담하는 대상에 따른 문제행동을 살펴보면 폭력성, 성관계, 도벽성의 문제행동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책임회피성 문제행동은 좀처럼 의논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학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사라고 응답한 학생이 가장 낮은 책임회피성 문제행동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학업불성실성은 친구라고 응답한 학생이 가장 높았으며 가장 낮은 학업불성실성 문제행동을 보인 것은 역시 교사와 상담한다고 응답한 학생이었다. 경제적 수준에 따른 문제행동은 전반적으로 경제적 수준이 하인 학생이 문제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3. 우울성향과 문제행동 우울성향과 문제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결과 폭력성 12%, 성관계 0.8%, 책임회피성 21.1%, 도벽성 16.8%, 허위성 0.6%, 학업불성실성 12.7%로 6개의 문제행동 영역에서 모두 우울성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Beta값에서 6개의 요인 모두 정적 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므로 이것은 우울성향이 높을수록 폭력성, 성관계, 책임회피성, 도벽성, 허위성, 학업불성실성 문제행동을 많이 한다고 볼 수 있다.따라서 우울성향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s purpose is to find the propensity to depression with youth who are in the high school’s males and females, and make sure the relations between propensity to depression and problem behaviour on the youth which is rapidly increase. Finally the main purpose is to find the intervent social work methods of prevent adolescent’s depression and decrease problem behaviour. For this purpose, I studied common characteristic between propensity to depression and problem behaviour and I use this scale for make sure the relations between propensity to depression and problem behaviour on the your which is constituted six subordinate regional tendency of violent, tendency of irresponsibility, tendency of fallacy, tendency of kleptomania, tendency of insincerity to study, tendency of sexual problem behaviour. And I used Beck’s scale for degree of adolescent’s depression. For this study, I surveyed 311 students (a first, second, third grade in high school-students) in Seoul. SPSSWIN is used in the analysis, and I took statistics the result the using descriptive, t-test, liner regression. The result is as follows. 1. Propensity to depression with adolescent’s depression as in common characteristics On the distintion of sex, propensity to depression is higher schoolgirl than schoolboys but it is meaningless. On the grade, propensity to depression is growing higher following to up-grade, and on school record, propensity to depression is higher when it is growing down. On object to counsel anguish, propensity to depression show very low when they answer it is teacher. Besides when they have a low standard of living, the propensity to depression is very high. 2. Adolescent’s problem behaviour as in common characteristics First, on the distintion of sex, problem behavior is higher schoolboy than schoolgirl has. Problem behavior with grade, 1st grade students higher than any other grade students in tendency of violent, tendency of kleptomania, tendency of sexual problem behaviour. Problem behavior with school record, student who is worst record in all fields that shows it very high. From this result we could presume the tendency that very low school records students makes a problem behaviour for a solve the anguish and gloomy situation. Second, Observing problem behaviour with the object for counsel I couldn’t fin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endency of violent, tendency of kleptomania, tendency of sexual problem behaviour. Irresponsibility behaviour is very high who answered that rarely discuss with anybody but we can figure out the problem behaviour with the object for counsel is very low who is talking with teacher. When the tendency of insincerity of study is high, it is friend. In other cases, insincerity to study is low that shows counsel with teacher when they have anguish or any other problem. Problem behaviour with economical level is generally high when the student’s economical level is low. 3. Propensity to depression and Problem behaviour. From this result which is relationship between propensity to depression and problem behaviour, propensity to depression has meaningful account all over the factors such as violent tendency(12%), tendency of sexual problem behaviour(0.8%), tendency of irresponsibility(21.1%), tendency of kleptomania(16.8%), tendency of fallacy(0.6%), tendency of insincerity to study(12.7%). So, it is clearly proved that propensity to depression is higher, it effects to violent tendency, tendency of sexual problem behaviour, tendency of irresponsibility, tendency of kleptomania, tendency of fallacy, tendency of insincerity of study.

      • 12주간 풋살 운동이 우울성향과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권혁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 문 초 록 12주간의 풋살 운동이 우울성향과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권 혁 현 본 연구는 12주간의 풋살 운동이 우울성향과 신체적 자기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단일사례연구 A-B를 통하여 운동 개입의 효과를 검증하고, 심층면담과 운동일지를 통하여 질적 자료를 확보함으로써 양적자료의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일산에 거주하는 우울성향을 갖고 있는 20∼30대 성인남자 5명을 대상으로 총 15주(기초선 3주, 운동처치 12주)의 기간 동안 우울성향과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으며, 질적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우울성향과 신체적 자기개념 변화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12주간의 풋살 운동은 우울성향에 전반적으로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12주간의 풋살 운동은 신체적 자기개념의 10가지 하위요인에서 모두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풋살 운동의 참가기간에 따라 우울성향과 신체적 자기개념 모두 기 간이 길어질수록 더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넷째, 12주간의 풋살 운동을 통하여 우울의 감소, 집단 중요성 인식, 운동 동기유발, 체력 향상, 자신감 향상, 생활 태도의 변화 등 우울성향과 신체적 자기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편집성향 및 우울성향의 역기능적 신념과 분노사고, 분노표현

        윤경희 대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is study, the following two tasks were carried out. Firstly, specific differences were found out in terms of the content in the irrational beliefs, the primary anger thought, the secondary anger thought, and the anger expression of those who have paranoid and depression tendencies. Secondly, it was also found which factor of the irrational beliefs, the primary and secondary anger thoughts would primarily influence the two factors(anger-out and anger-in) of the irrational anger expression.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the students attending the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region. Six scales were used for each participant; Paranoia Scale(PS),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Revised General Attitude and Belief Scale(R-GABS), Primary Anger Thought Scale, Secondary Anger-Thought Scale and Star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STAXI-K). The simple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were used to examine relationship among those variable. As a result of the simple correlation analysis, both of paranoid and depression significantl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factors of the irrational beliefs, primary anger thought, secondary anger thought and subfactors of the anger expression modes. As a result of the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considering high correlation between paranoid and depression, paranoid significantly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other variables even under the control of the depression scores. But depression significantly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discomforts, lower patience for frustration, powerlessness and anger-in. As a result of t-test, the paranoid group significantly showed more higher with hypersensitiveness for disregard and unfair treat as subfactors of irrational beliefs, blame and revenge on others of secondary anger thought and anger-out of anger expressions than the depression group.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blame and revenge on others significantly explained anger expressions and powerlessness significantly explained anger-in. But irrational beliefs and primary anger thought didn't. In conclusion, intervention programs for reduce irrational beliefs, primary anger thought, secondary anger thought that affected anger expression modes of paranoid group and depression group would be used for change irrational anger expression.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 과제를 수행하였다. 첫째, 편집성향과 우울성향을 보이는 사람들의 역기능적 신념, 일차적 분노사고, 이차적 분노사고 및 분노표현의 구체적인 내용상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둘째, 역기능적 신념과 일차적 및 이차적 분노사고의 요인 중 어떤 요인이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두 요인(분노표출, 분노억제)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대구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의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 이용된 척도는 편집척도, 우울척도, 수정판 일반적 태도 및 신념 척도, 일차적 분노사고 척도, 이차적 분노사고 척도, 분노표현양식 척도이다. 본 연구는 단순상관분석과 회귀분석, t-검증을 통해서 이들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단순상관분석결과, 편집성향과 우울성향 모두 역기능적 신념의 하위요인과 일차적 분노사고, 이차적 분노사고, 분노표현양식의 하위요인들과 모두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편집점수와 우울점수의 높은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부분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편집점수는 우울점수를 통제하여도 다른 변인들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유지하였다. 반면 우울점수는 편집점수를 통제하였을 때 불편감과 좌절에 대한 낮은 인내력과 무력감, 분노억제와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유지하였으나 역기능적 신념, 일차적 분노사고, 이차적 분노사고, 분노표현양식의 나머지 하위요인들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t-검증 결과, 역기능적 신념의 하위요인인 무시와 부당한 대우에 대한 과민성과 이차적 분노사고의 타인비난/보복, 분노표현의 분노표출이 우울성향집단 보다 편집성향집단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성향집단은 편집성향집단보다 이차적 분노사고의 무력감이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타인비난/보복은 분노표출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무력감은 분노억제를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분노표현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역기능적 신념과 일차적 분노사고는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지 못하였다. 편집성향집단과 우울성향집단의 분노표현양식에 영향을 주는 인지적 특성들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는 부적절한 분노표현양식에 대한 치료적 개입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어머니의 우울성향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최재형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우울성향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각 하위요인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의 성별, 연령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평가를 비교해 보고, 어머니의 우울성향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각 하위요인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어머니의 우울성향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어머니의 우울성향 및 유아의 성별, 연령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어머니의 우울성향은 유아에 대한 사회적 유능감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6곳의 유치원의 3, 4, 5세 유아 247명의 어머니와 교사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어머니의 우울은 Beck의 BDI로 측정하였으며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ISCS(Iowa Social Competence Scale: Preschool Form)을 번역하여 우리나라 현실에 맞도록 재구성한 송나리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교사가 지각한 것과 어머니가 지각한 것으로 구분해서 살펴보았는데, 유아의 능력에 대한 교사의 평가가 어머니의 평가보다 더 일관성이 있으며 객관적이라고 한 선행연구(Billman & Mcdevitt, 1980)에 따라, 사회적 유능감 및 각 하위요인의 평가에서 교사의 평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우울성향과 교사가 평가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우울성향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하위요인 중 긍정적인 요인인, 지도력과 유능성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고, 부정적 요인 중 과민성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하지 않은 어머니의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우울성향이 높은 어머니의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연령이 높을수록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남아에 비해 여아의 사회적 유능감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각 변인들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우울성향이 높을수록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대한 평가자(교사-어머니)간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또한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에서도 평가자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우울성향이 높을수록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낮아지며,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인 중 지도력, 유능성과는 부적 상관을 보이며 과민성과는 정적인 상관을 보이고 있다.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어머니의 우울성향, 유아의 연령,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각 변인 간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어머니의 우울성향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각 하위요인에 대해 교사보다 어머니가 부정적인 평가를 하게 하는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The subject for this study was 247 children(3, 4, 5 year-old) in kindergarten. Scales used for this study were BDI(Beck Depression Instrument) and ISCS(Iowa Social Competence Scale : Preschool Form) that revised Song Na Lee(1993). The questions are as follows ; 1.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2. What difference does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show related to maternal depression, children's age or gender? 3. What effects do maternal depression give on evaluation to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The main results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ren's leadership and capability, a positive sub-element of social competence, indicated a negative correlation, while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ren's hypersensitivity, a negative sub-element, showed a positive static correlation. Seco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maternal depression, child's age, and gender. The children of the depressed mother presented lower social competence than nondepressed mother. The older the child was, the higher social competence was exposed, and female showed higher than male. However th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variable factor such as maternal depression, children's age and gender did not appear. Finally, maternal depression may make an influence on mother's negative evaluation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rather than the teacher's evaluation. The higher maternal depression was, the wider the gab of evaluations between valuers(teacher and mother)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howed.

      • 실업자의 우울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오현경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2

        미국에서 시작된 글로벌 경기침체로 한국은 해방이후 100만명에 육박하는 실업률을 보이고 있다. 실업은 개인 및 가족에게 경제적·정서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사회문제이며 사회전반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실업은 개인에게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일반 근로자들에 비해 심각한 우울성향과 불안감을 가지게 되며, 많은 생활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또한 실업자들은 더 많은 재정적 궁핍과 그로 인한 사회접촉의 기피 등을 통해 심각한 소외감을 경험하게 되고, 이는 다시 개인의 성격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어서 자신의 정체성에 관한 의문을 제기하여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업자의 우울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인 개인적 요인, 실업관련 요인, 심리·정서적 요인이 종속변수인 실업자의 우울성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사실을 밝히고자 하며 이를 위해 연구가설을 다음과 같이 가정하였다. 첫째, 개인적 요인인 성별, 연령, 결혼여부, 학력, 종교유무, 부양가족 수가 실업자의 우울성향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실업관련 요인인 실업의 기간, 실업문제의 수, 재취업구직방법의 수, 재취업기대도에 따라 우울성향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심리·정서적 요인인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이 실업자의 우울성향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은 기존의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20세이상 55세이하 서울고용지원센터를 방문하는 실업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분석은 SPSS 12.0을 사용하였고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실업요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하기 위해 Cronbach's a값 사용하였다. 개인적 요인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T-Test)과 일변량 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여 집단 간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개인적 요인, 실업관련 요인, 심리·정서적 요인이 실업자의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인 요인인 실업자의 우울성향에 차이를 독립표본 T-검증을 알아본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에 비해 여자가 더 우울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종교, 결혼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 연령, 부양가족 수에 따른 우울성향에 차이를 일원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과 부양가족 수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력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업관련 요인이 실업자의 우울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직방법의 수와 재취업 기대도가 우울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취업 기대도가 높을수록 우울성향이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재취업 기대도가 높을수록 실업자의 우울성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정서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실업자의 우울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우울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이 우울성향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우울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적 요인과 실업관련 요인 그리고 심리 정서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실업자의 우울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살펴보면 성별, 연령, 실업문제의 수, 구직방법의 수, 자아 존중감이 실업자의 우울성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실업자의 우울성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에서 실업자의 우울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실직자들에게 발생하는 요인 중 크게 실업문제의 수, 재취업기대도, 자아존중감으로 볼 수 있으므로, 3가지 요인과 관련한 실업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다음과 같이 실업대책과 관련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실업문제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 재정적 문제에 대한 정부의 대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실업자의 우울성향에 대한 심리적 상담프로그램의 실시로 실업자들에게 자아존중감을 높여주어야 할 것이다. 이에 정부실업대책 프로그램 및 사회복지기관에서의 차별화된 실업자 자아존중감 프로그램에서 긍정적 자아개념의 형성과 자기관리, 자기개발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자아존중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특히 재취업 기대도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과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기에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포함된 심리 상담프로그램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재취업기대도가 재취업과 연계될 수 있도록 정부에서는 중소기업을 살리고, 일자리 지키기 위한 지원예산을 편성해야 한다. 또한 취업관련기업에서는 실업자들이 재취업의 도구로 이용하는 인터넷취업사이트에 대한 정확하고 신속한 취업정보의 등재와 올바른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 여고생의 우울 성향과 흡연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안진희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부 여고생들을 대상으로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심리적 특성인 우울성향을 파악하고 이러한 우울성향과 최근 급증하고 있는 여고생의 흡연과의 관련성을 밝힘으로써 흡연을 야기시키는 심리적 요인인 우울을 발견하고 여고생의 우울에 대한 예방과 흡연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문적인 사회사업적 개입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하고 있는 일부 인문계 여고생 1, 2, 3학년 학생 3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설문내용은 일반적 특성, 우울성향, 흡연에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울정도는 Beck의 우울척도인 BDI를 사용하였으며 흡연에 대해서는 여고생의 흡연여부 그리고 흡연태도의 척도를 사용하여 우울성향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시에는 SPSS/WIN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단순회귀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통계처리하였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여고생의 우울성향 학년에 따른 우울성향은 학년이 높을수록 우울성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종교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교성적에 따른 우울성향은 학교성적이 나쁠수록 우울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교생활만족도는 학교생활에 불만일수록 우울성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의 관심도에 있어서는 부모가 무관심한 학생이 부모가 관심이 있는 학생보다 우울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관계가 불만족일수록 우울성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경제적 생활수준은 비교적 좋지 않은 경제적 생활수준의 환경에서 생활하는 학생이 우울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여고생의 흡연 학년에 따라서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흡연율이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며 종교에 따라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교성적에 따라서는 학교성적이 낮아질수록 흡연율이 증가하였으며 학교생활만족도에 있어서는 불만일수록 흡연율이 증가하였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경제적 생활수준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부모의 관심도에 따라서는 부모가 무관심할수록 흡연율이 증가하였으며 부모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불만일수록 흡연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흡연태도에 있어서는 학년, 종교, 학교성적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으며 학교생활만족도, 경제적 생활수준, 부모와의 관계, 부모의 관심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모두 유의미한 수준(p<.05)에서 흡연태도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여고생의 우울성향과 흡연 우울성향과 흡연과의 관계에 대한 결과 우울점수가 높아질수록 흡연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중한 우울상태에서 흡연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게 나타났다(p<.001). 또한 우울성향과 흡연태도에 대한 단순회귀분석(Linear Regression) 결과 흡연태도 26%에서 우울성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01). 또한 Beta값에서 흡연태도는 우울성향과 부적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므로 우울성향이 높을수록 흡연에 대해서 바람직하지 못한 태도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우울성향과 조사대상자의 배경변인인 일반적 특성 중에서 학년, 학교성적, 학교생활만족도, 경제적 생활수준, 부모와의 관계를 통제변수로 하여 독립변수로 지정한 후에 우울성향과 함께 logistic분석을 한 결과 우울과 학년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살펴본 결과 여고생의 우울성향과 흡연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울성향이 높을수록 여고생이 흡연을 할 가능성을 높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고생의 우울성향에 따른 흡연과 관련하여 사회사업적 개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기의 우울을 결코 가볍게 다루어서는 안되며 극단적인 비행으로 발전하지 않도록 청소년 우울에 대한 개입은 초기에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본 연구결과에서도 여고생의 우울성향과 흡연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 문제의 시발점인 흡연 문제에 개입할 때 심리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개입해야 할 것이며, 흡연을 지속하는 원인을 면밀히 파악하여 개인의 특성에 따라 구분하고 세분화시켜 각각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다각도의 접근법을 적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부모와의 관계가 여고생의 흡연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부모와의 관계 개선을 위한 접근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따라서 청소년과 부모와의 긍정적 관계를 위해서 가정환경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며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기술, 가족의 기능강화 등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나 가족치료가 필요하다. 넷째, 청소년의 정신건강문제를 위한 문제발견이나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는 조속한 개입이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intervention methods of professional social work in order to prevent the depression of high-school girls and to reduce their smoking caused by depression. By understanding the propensity of depression - one of many adolescent psychological symptoms - of high-school girls and confirming the issue raised by smoking, we may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sceptibility to depression and the smoking of high-school girls in Kore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researcher prepared a questionnaire and distributed it to 381 first-, second-, and third-year female high-school students in Seoul. The questionnaire was largely composed of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 students, their propensities for depression, and the degree of smoking. The researcher used Beck's BDI to measure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frequency, attitude toward smoking to assess the degree of smoking. The collected data was then analyzed by SPSS/W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moking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propensity of depression. Secondly, with regard to frequency and attitude toward smoking, the attitude toward smoking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that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propensity for depression. Thirdly, the parents concern for their high-school daughters was quite highly correlated with smoking associated with the existence of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n which we have linked the smoking of high-school girls with the girls inclinations for depression, we may formulate social work intervention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of all, we should consider depression in adolescents very seriously, in order to prevent adolescents from developing into and ultimately becoming juvenile delinquents. Furthermore, to identify the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adolescents, the intervention should be made at an early stage. Next, by intervening in other juvenile delinquencies including the delinquency related to smoking,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subjects in consideration should also be taken into account seriously. Last but not least, based on the result of the connection between childrens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their smoking habits, we should necessitate programs and approaches, such as family therapy and the communication skill training program, that are focused on improving filial relationships.

      • 어머니의 우울성향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능력

        김윤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8702

        어머니의 정서는 아동의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우울성향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우울성향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들(주도성, 개방성, 사교성, 책임감)은 성별,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어머니의 우울성향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 어머니의 우울성향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들은 아동의 성별,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 어머니의 우울성향에 따라 아동의 주도성은 성별,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어머니의 우울성향에 따라 아동의 개방성은 성별,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어머니의 우울성향에 따라 아동의 사교성은 성별,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4) 어머니의 우울성향에 따라 아동의 책임감은 성별,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위치한 국민학교 3학년과 중학교 1학년 남녀 아동의 어머니 33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는데, 우울성향이 경한 어머니 78명과 자료처리상 1부가 제외되어 261명의 자료만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어머니용으로 구성된 것으로 어머니의 우울성향은 Beck의 우울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사회적 능력은 이경희가 어머니용으로 제작한 사회적 능력 평가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과 통계절차를 살펴보면, 338명의 자료 중 261부가 사용되었으며, 어머니의 우울성향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변량분석이 사용되었으며, 또한 어머니의 우울성향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인 주도성, 개방성, 사교성, 책임감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변량분석이 사용되었으며, 상호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우울성향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는 매우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정상 어머니의 아동의 사회적 능력이 우울성향이 강한 어머니의 아동의 사회적 능력보다 높았다. 둘째, 어머니의 우울성향에 따른 아동의 주도성은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아동의 주도성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우울한 어머니의 영향을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우울성향에 따른 아동의 주도성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어머니의 우울성향에 따른 아동의 개방성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아동의 개방성은 성별과 연령에 관계없이 정상 어머니의 아동의 개방성이 우울성향이 강한 어머니의 아동의 개방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우울성향에 따른 아동의 사교성은 연령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아동의 사교성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우울한 어머니의 영향을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우울성향에 따른 아동의 사교성은 아동의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어머니의 우울성향에 따른 아동의 책임감은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아동의 책임감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우울한 어머니의 영향을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우울성향에 따른 아동의 책임감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61 mothers(116 children from third grade in elementary schools and 145 children from first grade in middle school).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ere Beck Depression Instrument (Beck, 1978) and Social Competency Questionnaire (that revised Lee, Kyung Hee, 1994).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y? 2.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their children's four area of social competency by sex, age? 1)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their children's initiative by sex, age? 2)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their children's self-disclose by sex, age? 3)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their children's sociability by sex, age? 4)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their children's responsibility sex, 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1.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y. Children's Social Competency are very low according to maternal depression so high than low depression. 2. 1) Children' initiative from third in elementary than Children' initiative from first in middle school are very low according to maternal depression so high than low depress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their initiative by sex of child. 2)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their self-disclose by sex of child and age of child. 3) Children' sociability from third in elementary than Children' sociability from first in middle school are very low according to maternal depression so high than low depress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their sociability sex of child. 4) Children' responsibility from third in elementary than Children' responsibility from first in middle school are very low according to maternal depression so high than low depress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their responsibility by sex of child.

      • 초등학생의 우울성향, 비합리적 신념, 학교적응의 관계

        이태현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초둥학생의 성별, 지역별에 따른 우울성향, 비합리적 신념, 학교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고, 우울성향, 비합리적 신념, 학교적응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봄으로써 우울성향을 지닌 아동들의 지도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건강한 정서발달과 행동 형성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성별, 지역별로 우울성향, 비합리적 신념, 학교적응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우울성향과 비합리적 신념은 어떤 관련이 있는가? 셋째, 초등학생의 비합리적 신념과 학교적응은 어떤 관련이 있는가? 넷째, 초등학생의 우울성향과 학교적응은 어떤 관련이 있는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와 화성시에 있는 초등학교 6학년 남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집 방법은 수원시내 전체 초등학교 중에서 2개교를, 화성시내 전체 초등학교 중에서 3개교를 임의 표집하였다. 표집 인원은 총 670명이었다. 그 중에서 자료수집에 필요한 응답을 충실하게 하지 못한 대상자 70명은 제외하였다. 따라서 실제로 통계적 부분에 사용한 대상자는 600명(도시지역 남학생 및 여학생 각각 150명, 농촌지역 남학생 및 여학생 각각 150명)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한 측정도구로는 아동용 우울검사(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와 비합리적 신념 검사(과다한 자기 기대 신념, 이분법적 신념, 결정론적 신념, 과잉염려 및 회피 신념, 과잉의존 신념), 학교적응 검사(교사 및 학교환경에 대한 태도, 취미 및 특기, 학업관계, 교우관계)들이다. 자료 처리는 SPSS 프로그램으로 변량분석 및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모든 통계치는 유의수준 .05에서 검증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성향을 분석한 결과 남녀학생(F=4.75, p<.05)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여학생(X=56.93)이 남학생(X=53.83)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F=13.02, p<.001)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농촌지역아동(X=57.93)이 도시지역아동(X=52.82)보다 우울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비합리적 신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F=5.60, 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학생(X=81.32)이 남학생(X=77.72)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을 분석한 결과 성별, 지역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성향과 비합리적 신념은 전체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특히 과잉염려 및 회피 신념이 우울성향과 가장 높은 상관(r=.68, p<.001)을 보였다. 성별, 지역별로 살펴본 결과 여학생(r=.70, p<.001)이 남학생(r=.62, p<.001)보다, 농촌지역(r=.69, p<.001)이 도시지역(r=.63, p<.001)보다 우울성향과 비합리적 신념간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성별, 지역별 모두 모든 영역에서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으며 남학생(r=.63, p<.001), 여학생(r=.72, p<.001), 도시지역(r=.66, p<.001), 농촌지역(r=.69, p<.001)에서 모두 과잉염려 및 회피 신념이 우울성향과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비합리적 신념(전체) 및 하위요인인 과다한 자기기대 신념, 이분법적 신념, 결정론적 신념, 과잉염려 및 회피 신념은 학교적응(전체) 및 그 하위요인과 r=-.27~-.52의 범위에서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합리적 신념 하위요인 중 결정론적 신념은 r=-.37 ~ -.51의 범위에서 학교적응(전체) 및 그 하위요인과 가장 높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과잉의존신념은 학교적응(전체) 및 하위요인과 부분적으로만 부적 상관을 보였다. 성별로 살펴본 결과, 남녀 모두 비합리적 신념(전체) 및 하위요인은 학교적응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남학생은 결정론적 신념(r=-.35~-52), 과잉염려 및 회피 신념(r=-.31~-.51)에서, 여학생은 과다한 자기기대 신념(r=-.27~-.45)에서 학교적응(전체) 및 그 하위요인과 높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과잉의존신념은 학교적응(전체) 및 하위요인과 부분적으로만 부적 상관을 보였다. 지역별로 보면 도시, 농촌지역 모두 비합리적 신념(전체) 및 하위요인은 학교적응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농촌지역은 비합리적 신념(전체)(r=-.39~-.53) 및 과다한 자기기대 신념(r=-.32~-.44), 이분법적 신념(r=-.28~-,39)에서 도시지역보다 학교적응(전체) 및 그 하위요인과 높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과잉의존신념은 학교적응(전체) 및 하위요인과 부분적으로만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넷째, 우울성향과 학교적응은 전체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업관계, 교우관계가 우울성향과 가장 높은 부적 상관(r=-.53 p<.0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지역별로 살펴볼 때, 여학생(r=-.62, p<.001)이 남학생(r=-.56, p<.001)보다 농촌지역 (r=-.61, p<.001)이 도시지역(r=-.57, p<.001)보다 우울성향과 학교적응간의 부적 상관이 높았으며 성별, 지역별 모두 모든 영역에서 부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남학생(r=-.52, p<.001), 농촌지역아동(r=-.56, p<.001)은 교우관계에서, 여학생(r=-.57, p<.001), 도시지역아동(r=-.56, p<.001)는 학업관계에서 우울성향과 가장 높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우울성향을 지닌 초등학생이 긍정적이고, 합리적인 생각으로 가정 및 학교, 사회에 잘 적응하여 보다 즐겁게 생활 할 수 있도록 학교현장에서는 무엇보다 이들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바탕으로 세심한 상담과 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depression, irrational faith and the school adapt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their sex and region, to provide basic materials to teach children with the likelihood to be depress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of depression, irrational faith and school adaptation, and help them to have healthy emotion and behaviors. To achieve these goals, following agenda were set. First,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he depression, the irrational faith and the school adapt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their sex and region?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ression characteristics and the irrational fai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rrational faith and the school adapt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th,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ression characteristics and school adapt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resolve these agenda,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Grade 6 students from th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uwon and Hwaseong. The j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two schools in Suwon and three schools in Hwaseong which were randomly chosen. The subjects were 670 in total. 70 insincere answer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Therefore the subjects used in the analysis were 600 in total(150 male and female students in city respectively and 150 male and female students in rural area respectively). The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Irrational Faith Test (over-self-reliance, dichotomy, determinism, over-concern, evasive faith, over dependent faith), School Adaptation Test (Attitudes to teachers and school environments, hobbies and specialties, academic achievements, peer relationship). Materials were processed with the SPSS program for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All the statistical values were verified at .05 level.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First, in the analysis of depress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F=4.75, p<.05). Female students (X=56.93) showed a little higher value than male students (X=53.8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gions (F=13.02, p<.001), too. Rural area students (X=57.93) showed higher value than city area students (X=52.82). When analyzing irrational fait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F=5.60, p<.05). Female students (X=81.32) showed a little higher value than male students (X=77.7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regions. When analysing the school adapt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either sex or region. Second, depression and irrational faith showed highly positive correlations in all areas. In particular, over concern and evasive faith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depression inclination (r=.68, p<.001). When looking into the results by sex and by region, female students (r=.70, p<.001) and the rural area students (r=.69, p<.001) showed higher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irrational faith than male students and city area students (r=.63, p<.001). Additionally, in all areas including by sex and by region, a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In all variables such as male students (r=.63, p<.003), female students (r=.72, p<.001), city area students (r=.66, p<.001), and rural area students (r=.69, p<.001), over concern and evasive faith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depression inclinations. Third, irrational faith (overall) and its sub factors such as over-self-reliance, dichotomy, determinism, over-concern and evasive faith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school adaptation (overall) and its sub factors in the scope of r=-.27~-.52. Determinism out of the sub factors of the irrational faith had the highest negative correlation with school adaptation (overall) and sub factors at the scope of r=-.37~-.51. However, over-self-reliance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school adaptation (overall) and its sub factors only partially. When looking into the results by gender, both gender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rrational faith (overall) and its sub factors with school adaptation. Male students showed high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school adaptation (overall) and its sub factors in determinism (r=-.35~-52) and over-concern and evasive faith(r=-.31~-.51), and female students showed in over-self-reliance (r=-.27~-.45). However over-self-relia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chool adaptation and its sub factors only partially. When looking into by region, both city and rural area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rrational faith (overall) and it sub factors, and school adaptation. Rural areas showed higher negative correlation in irrational faith (overall) (r=-.39~-.53) and over-self-reliance (r=-.32~-.44) and dichotomy (r=-.28~-.39) than city areas. However over-self-relia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chool adaptation and its sub factors only partially. Fourth, depression and school adaptation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 in all areas. In particular, academic achievements and peer relationship showed the highest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r=-.53 p<.001). When looking into the results by sex and by region, female students (r=-.62, p<.001) and rural area students (r=-.61, p<.001) showed higher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school adaptation than female students (r=-.56, p<.001) and city area students (r=-.57, p<.001). Although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in all areas by sex and by region, male students (r=-.52, p<.001) and rural area students (r=-.56, p<.001) showed the highest negative correlation in peer relationship and female students (r=.57, p<.001) and city area students (r=.56, p<.001) showed the highest negative correlation in academic record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proposed to provi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 are likely to be depressed very easily with careful counselling and teaching based on the attention and love in school fields so that they can adapt themselves to home, school and society with positive and reasonable thin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