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인 여성의 5요인 성격특성, 대인관계성향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윤연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females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urvey was conducted on 354 adult females in their twenties and over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Gyeonggi and Incheon.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IPIPGoldberg(1999)’s IPIP(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that was adapted by Yu Tae-yong, Lee Gi-beom, and Ashton (2004) was used, and for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Ahn Beom-hee (1985)’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test was used, and for psychological well-being, the inspection form developed by Ryff (1989) which was supplemented by Ryff, Lee and Na (1993) and was adapted by Jo Myeong-han and Cha Gyeong-ho (1998) to Korean edition was use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mong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neurosis was found to have high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and openness, extraversion,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were all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Neurosis among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was found to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the subordinate measur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Extraversion was found to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the subordinate measur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penness,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were also found to exert positive influences on most of subordinate measures. To summarize these results, neurosis among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were found to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that is, negative influence on all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lf-acceptance, personal relations, environment control were all found to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sympathy acceptance to understand others, sociable amity, and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disobedient distrus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final research question of how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exert influence showed that neurosis in predicted variables had the highest intensity, followed by disobedient distrust, openness, extroversion, independent responsibilities, and conscientiousness.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의 성격5요인, 대인관계성향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서울 경기 인천의 수도권과 대전지역 20대 이상의 성인 여성 35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성격5요인과 대인관계 성향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성격 5요인 중 대인관계 성향에 신경증이 부적으로 높은 상관을 보였고, 개방성,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등은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5요인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심리적 안녕감이 인생의 목적이나 방향, 대인 관계의 만족도, 자기실현의 정도와 같은 개인의 삶의 지표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격5요인이 이러한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 항목과 관련성을 가진다는 것은 개인의 삶의 질을 예언하는데 성격변인이 의미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대인관계 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척도와 대인관계 성향 하위척도 사이에서는 대인관계가 원만하고 타인을 이해하려는 경향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과 정적인 상관을 보이고 있다. 넷째 성격5요인, 대인관계 성향, 심리적 안녕감은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예측변인들의 상대적 강도는 신경증, 반항불신, 개방성, 외향성, 독립책임, 성실성의 순이었으며. 이들 변인 중에서 신경증과 반항불신은 부적으로 양향을 주었다. 이는 DeNeve와 Cooper(1998)은 성격5요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성실성과 신경증이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고, 외향성과 친화성이 각각 정적인 상관을 보였고 개방성은 가장 낮은 상관을 보였다는 연구 결과와는 조금 다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DeNeve와 Cooper는 성실성이 가장 높은 연관성을 보였고, 개방성이 낮은 상관을 보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반대로 개방성이 높은 상관을 보이고 성실성이 가장 낮은 상관을 보였다. 이것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기혼의 미취업 여성들도 지적인 욕구가 늘어나고 평생교육 등의 기회가 많아지면서 개방성의 영향력이 증대 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추측이기 때문에 좀 더 객관적이고 정확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후속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본다. 또한 본 연구는 제한된 지역과 인원으로 진행하다보니 연구 결과가 절대적이라고 볼 수 는 없지만 다만 성인 여성의 우울증 치료나 상담 시 어떤 요인들에 의해 삶의 질이 저하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는 하나의 자료로서 의미는 있다고 본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의 심리적 안녕감과 관계있는 변인으로 성격 5요인과 대인관계 성향을 연구하였으나, 심리적 안녕감이 상당히 주관적이고 다양한 변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인 만큼 다른 변인과 관련된 연구 또한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 직업선택요인이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진로장벽의 조절효과

        신아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호텔관광산업은 대표적인 인적서비스 산업으로 이를 무시할 경우 만족도와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COVID-19로 정체성을 위협받는 경영난 속에서 상당한 비용지출을 차지하는 인건비를 줄여야 하지만, 전문 서비스 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이 호텔관광산업의 딜레마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텔관광산업의 고급인력 확보와 유지를 통한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호텔관광산업의 잠재인력이자 가장 많은 전공자가 배출되는 전문대학 호텔관광계열 대학생이 직업선택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진로장벽의 조절효과를 검증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호텔관광산업 인적자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실제 취업 준비를 하게되는 호텔관광계열의 졸업반 학생을 대상으로 수도권 5개 전문대학을 표본으로 직업선택요인,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 진로장벽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2020년 9월 한달간 550부를 배포하였고, 총 535부가 회수되었으며 분석에 부적합한 표본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509개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가설 검증에 앞서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직업선택요인은 2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첫 번째 요인은 내적성장 및 직업이미지, 두 번째 요인은 외적근무환경으로 명명하였다. 종속변수인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는 하나의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신뢰도분석결과 각각의 신뢰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장벽의 각각 변수를 진로장벽이 높다고 지각하는 표본집단과 진로장벽이 낮다고 지각하는 표본집단을 더미변수로 구분하여 두집단간의 영향관계 차이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고자 더미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의 두 요인인 내적성장 및 직업이미지와 외적근무환경은 모두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적 어려움, 지식기술 부족, 학점, 인턴십 경험 더미변수는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에 유의한 음(-)의 회귀계수를 보고하여, 경제적 어려움과 지식기술 부족을 높게 지각하고, 학점이 낮거나, 인턴십 경험이 전무한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직업선택요인이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가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장벽과 관련한 변수 중 대인관계 어려움, 신체적 열등감, 외국어(영어, 일본어, 중국어)능력의 더미변수는 비유의한 회귀계수를 보고하여 집단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앞선 더미회귀분석에서 진로장벽과 관련한 변수들 중에서 직업선택요인과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 영향관계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다고 밝혀진 경제적 어려움, 지식기술 부족, 학점, 인턴십 횟수와 독립변수인 내적성장과 직업이미지의 상호작용항을 도출하여 세부적인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적성장 및 직업이미지가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항관계에서 경제적 어려움과 지식기술 부족은 유의한 음(-)의 회귀계수를 학점은 유의한 양(+)의 회귀계수를 보고하였고, 인턴십 횟수는 비유의한 회귀계수를 보고하였다. 이는 내적성장 및 직업이미지와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 영향관계에서 경제적 어려움과 지식기술부족을 높게 지각할수록 영향관계가 낮아지고, 학점이 높은 학생일수록 영향관계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인턴십 횟수는 내적성장 및 직업이미지요인과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조절변수 경제적 어려움, 지식기술 부족, 학점, 인턴십 횟수와 독립변수인 외적근무환경의 상호작용항을 도출하여 세부적인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적근무환경이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항관계에서 경제적 어려움과 지식기술 부족은 유의한 음(-)의 회귀계수를 보고하였고, 학점은 유의한 양(+)의 회귀계수를 인턴십 횟수는 비유의한 회귀계수를 보고하였다. 이는 외적근무환경과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 영향관계에서 경제적 어려움과 지식기술 부족을 높게 지각할수록 영향관계가 낮아지며, 학점이 높은 학생일수록 영향관계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인턴십 횟수는 외적근무환경이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더미변수를 통한 회귀분석과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조절회귀분석간의 해석에 차이를 가져온 인턴십횟수 변수에 대한 조절효과 존재여부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Chow의 회귀계수 차이검정을 실시하여 강건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내적성장 및 직업이미지가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인텁십경험은 1% 수준에서 회귀계수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더미변수를 통한 조절회귀분석 결과와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인턴십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호텔관광산업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되고, 호텔관광산업에 대해 적성의 적합도를 판단하는 좋은 계기가 되어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하지만 이는 인턴십 경험의 유무에만 차이가 있을 뿐 인턴십 경험을 많이 한다고 해서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가 높아지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주요어 : 직업선택요인,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 진로장벽

      • 재범요인이 소년원생들의 총범죄수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윤일중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일반 비행청소년들과 구별되는 소년원생들만의 특징적인 재범 요인을 발견하고, 그 요인들 간의 역동적인 상호관계 및 그 경로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 소년원에 수용 중인 소년원생 1,085명으로 남자가 946명, 여자가 139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정서인식력 검사(ERT-R), 특수인성검사-R 및 특수지능적성검사, 분류심사서 등을 사용하였다. 연구변인들 중 개인적 요인에는 인구통계학적 변인, 범죄 관련 변인, 인성, 정서, 지능 등 심리적 변인이 포함되었고, 사회적 요인에는 양육환경, 가정보호력, 형제관계, 거주환경, 학력 등의 변인이 포함되었다. 분석방법은 여러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서 상관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경로분석을 통해 각 변수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영향력의 경로를 확인하였다. 최종모형을 통해, 총범죄수에 인지정서기능, 최초비행연령, 자아개념, 반사회성 등 4가지 요인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가정보호력은 총범죄수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인지정서기능, 자아개념, 최초비행연령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열악한 가정환경이 인지정서기능과 자아개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비행 시기를 앞당길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가정적 요인이 비행 유발과 관련이 크다는 기존의 연구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가정적 요인이 매개변인을 통해 어떤 경로로 재범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나아가 소년원 교육 및 처우에 있어 가정기능 회복에 보다 주안점이 두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으로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채널선택요인이 주얼리 상품 소비자의 만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과 오프라인 비교를 중심으로

        조희주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세계 및 내수 경제의 어려움으로 인해 취업난 등과 같이 경제 전반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 와중에 코로나19(COVID-19)등 환경적인 어려움 까지 겹치면서 거의 모든 산업이 영향을 받고 있으며, 특히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타격이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오히려 성장하는 산업도 존재했는데 IT, 제약, 통신, 온라인 유통 등은 오히려 발전의 발판이 된 시기로 다가왔다. 특히 전국적인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 강화와 전염 우려로 인한 외출 자제, 재택근무 확대 등으로 소비자들의 구매 행태에도 변화가 나타났는데 오프라인에서의 소비가 위축되고 대면 접촉을 최소화하는 언택트 소비 즉, 온라인 유통채널을 중심으로 하는 소비문화가 확산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시대의 상황과 현상을 반영하여 실증적이고 보다 실무적인 관점의 연구를 진행하고자 주얼리 산업을 핵심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주얼리 산업 중 유통채널 선택요인이 소비자의 만족도와 구매의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주얼리 산업의 향후 비즈니스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주얼리 소비자 2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23.0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모형은 다중회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내용을 검증하였다. 주로 유통채널별 로 채널선택요인인 제품속성, 매장속성, 쇼핑성향을 기반으로 소비자의 만족도와 구매의도 간의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품속성이 주얼리 소비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반면 매장속성과 쇼핑성향은 주얼리 소비자의 만족도에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제품속성과 매장속성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반면 쇼핑성향은 주얼리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만족도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채널별 채널선택요인에 따라 만족도 및 구매의도 간의 어떠한 영향 관계에 대해 검증하였다. 검증한 연구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채널선택요인을 객관화하여 주얼리 상품의 만족도와 구매의도 관련 실질적인 의사결정 또는 전략수립기반을 마련하였다. 둘째, 주얼리 상품의 만족도와 구매의도에 중요한 채널선택요인은 제품속성이며 이를 고려한 전략을 수립하여야 하며, 채널선택요인 중 매장속성과 쇼핑성향은 유의하지 않음으로 이를 통한 차별화는 지양해야 한다. 셋째, 주얼리 관련 산업에서는 아직까지도 오프라인 채널을 통한 구매가 주로 이루어지므로 오프라인 소비자가 중요한 고객임을 인지하고 고객 특성을 이해한 전략이 동반되어야 한다. 그러나, 온라인 채널의 주얼리 구매는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으므로 향후의 온라인 채널의 성장 가능성은 높을 것으로 기대하며 판매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소비 패턴에 맞는 유통채널을 확보해야 해야 한다. 본 연구가 치열한 주얼리 비즈니스에서 방향성을 확인과 점검을 해 볼 수 있는 디딤돌이 되기를 기대하며 향후 주얼리와 관련된 다양한 접근의 실증적인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여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기를 바란다. Recently, due to the difficulties of the global and domestic economy, there are difficulties in the economy as a whole, such as job shortages. In the meantime, almost all industries are affected by environmental difficulties such as COVID-19, and it is reported that offline distribution channels are hit hard. However, rather, there were growing industries, such as IT, pharmaceuticals, telecommunications, and online distribution, which came as a stepping stone for development. In particular,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has also changed due to the strengthening of a nationwide "social distance" campaign, refraining from going out due to contagious concerns, and expanding telecommuting, which reduces consumption offline and minimizes face-to-face contact, or the consumption culture centered on online distribution channels has spread.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the jewelry industry as a key subject in order to conduct research from an empirical and more practical perspective, reflect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phenomena. Among the jewelry industries, distribution channel selection factors wan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consumers' satisfaction and purchasing intentions, and through this, they wanted to learn about the future business direction of the jewelry industry. For this study, a survey of 213 Jewelry consumers was conducted and the final analysis was conducted.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as the analysis method. The research model was valida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product attributes, store attributes, and shopping trends, which are mainly factors for channel selection by distribution channel, it was intend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purchase.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confirmed that product properties affect the satisfaction of jewelry consumers, while store properties and shopping tendencies are not significant to jewelry consumers' satisfaction. Seco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product properties and store properties affect purchasing intentions, while shopping propensity is not significant to jewelry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Third, satisfaction was confirmed to affect the intention of purchase. Fourth, any impact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purchase was verified according to channel selection factors by online and offline distribution channels. To summarize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validated study: First, the channel selection factors were objectified to prepare the basis for practical decision-making or strategy-making related to the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purchasing jewelry products. Second, product attributes are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channels that are important for the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purchasing jewelry products, and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considering them, and store attributes and shopping trends are not significant among the channel selection factors, so differentiation should be avoided. Third, in jewelry-related industries, purchases through offline channels are still mainly made through offline channels, so strategies should be accompanied by recognizing that offline consumers are important customers and understanding customer characteristics. However, jewelry purchases on online channels are continuously growing, and we expect the growth potential of online channels to be high in the future, and to increase sales, we need to secure distribution channels that fit the consumption pattern. We hope this study will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checking and checking direction in the intense jewelry business, and hope to actively conduct empirical studies of various approaches related to jewelry in the future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 방위사업에서 무기체계 국내조달의 위험요인 분석

        전승록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national procurement of weapon systems is an important strategic national security act that protects this nation in defense against North Korea, the most threatening country, as well as other potentially dangerous neighboring countries and terrorists. In order to maintain the military’s combat strength at the highest level, it is significant to stabilize the national procurement of weapon systems. Failure to do so diminishes confidence in maintaining national security. Although the dangerous cases associated with the procurement repeat annually, any risk management procedures such as identification, avoidance, mitigation, and assessment have not been established ye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risk factors of the national procurement of weapon systems. Therefore,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finding risk factors of the procurement of weapon systems. Therefore,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finding risk factors of the procurement of weapon systems. We completed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utilized the defense agency issued reports regarding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nd the DAPA Policy Service assignments, as well as various materials such as contracts,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For reliability of the research, we analyzed the weapon systems data accrued for four years since the DAPA’s launch in 2006. By doing so, we grasped the current state of contract terminations, delivery delays, and user complaints but also identified risk factors of the procurement.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decision makers on the identified risk factors based on the data accrued for four years. The risk factors are classified by the similarity. We designed the model by the risk factor class to prioritize the risk factors and employed the AHP method for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offices that deal with the procurement such as the project office, the contract office, and the quality control office using AHP analysis SW 'Expert Choice(Ver. 11. 5)' and Microsoft Excel 2007. By the survey data analysis, quality management i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with the weight of 0.1574 among the nine variables of risk factors. The followings are the eight variables in decreasing order in significance and weights: requirement (0.1494) > technology (0.14) > contract management (0.1236) > contract enterprise (0.1155) > external environment (0.1043) > relationship management (0.0738) > test (0.0703). In addition, by the weight evaluation for risk factors, ‘Purchasing delay by cut off the supply of foreign part(0.0743)’ is the most important among thirty three risk factors. The next three important factors are ‘manufacturing technology’s insuffiency(0.0676)’, ‘planning’s frequent change by user’s technique change requirement(0.0585)’ and ‘apply of new technology(0.0471)’. By priority analysis of the risk factors based on experience factors, it is found that top four risk factors are independent of experience factors but the rest of the factors are not. In sum, we identified risk factors of the national procurement of weapon systems and established their significance orders. These risk factors including ‘Purchasing delay by cut off the supply of foreign part(0.0743)’,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will be provided as a basis for risk management of the national procurement of weapon systems in order to stabilize the procurement. 무기체계 국내조달은 현실적인 위협 국가인 북한과 안보의 위협이 될 수 있는 주변국, 테러집단 등으로부터 사전에 국가를 보호하고 유사시에는 방어를 하기 위한 중요 전략적 국가 안보행위이다. 따라서 무기체계 국내조달은 군 전투력유지와 직결되기 때문에 평시 안정된 조달을 통해 전투력을 최상으로 유지시켜야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는 어느 누구도 국가의 안보에 대해서는 장담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무기체계 국내조달의 현실을 보면 매년 조달과 관련된 위험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새로운 위험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위험요인들에 대한 식별(identification), 회피(avoidance), 완화(mitigation), 평가(assessment) 등 위험관리(risk management)대책이 없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무기체계 국내조달의 위험요인분석이 우선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위험요인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논문, 방위사업청 정책용역과제물, 계약관련 법령 및 각종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특히 신뢰성 있는 연구를 위해 2006년도 방위사업청 개청이후 4년간 무기체계분야에서 계약된 실증자료를 분석하여, 계약의 해제․해지, 납품지체, 사용자불만 발생현황을 수집하였고 설문을 통해 위험요인을 도출하였다. 먼저 위험요인 도출을 위해서 과거 연구자료와 4년간 실증자료로부터 추출한 요인들을 의사결정 집단의 설문조사를 통해 제시하였으며, 유사한 요인별로 위험요인을 분류하였다. 위험요인의 우선순위 분석을 위해서 위험요인분류에 따른 모형을 설계하였고,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은 사업부서, 계약부서, 품질담당부서 등 조달업무와 관련된 부서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AHP기법 소프트웨어 Expert Choice(Ver. 11. 5) 및 Excel 2007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결과는 위험요인을 구성하고 있는 9개의 분류중 ‘품질관리(quality management)’가 가중치(weights) 0.1574로서 9개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음은 ‘요구사항(requirement)(0.1494)’ > ‘기술(technology)(0.14)’ > ‘계약관리(contract management)(0.1236)’ > ‘계약업체(contract enterprise)(0.1155)’ > ‘외부환경(external environment)(0.1043)' > '관계관리(relationship management)(0.0738)’ > ‘시험(test)(0.0703)’순으로 중요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위험요인별 최종 가중치(weights) 산정결과 33개의 위험요인 중 ‘국외부품(수입품)단종 등 확보지연(0.0743)’이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조립 및 가공불량 등 생산기술부족(0.0676)’, ‘사용자 기술변경요구 등 설계의 잦은 변경(0.0585)’, ‘신기술적용(0.0471)’순으로 33개 요인들의 우선순위가 분석되었다. 경험요인에 의한 위험요인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최상위 위험요인(1∼4순위)은 경험요인과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분석되었으며, 기타 요인들은 경험요인에 따른 중요도 인식차이가 다소 발생하였다. 따라서 무기체계 국내조달에서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분석된 ‘국외부품(수입품)단종 등 확보지연’ 과 상위 위험요인으로 분석된 요인들을 무기체계 국내조달의 위험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해야 하며, 이에 대한 대책 및 관리방안을 마련하여 향후 안정된 무기체계 국내조달이 되도록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 아동의 환경적 특성과 행동의도가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이선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807

        Children of poor families' economical hardship is dangerous because it effects their growth, health and behavioral problems. Children are blocked from satisfying their basic and primary desires, and they need a stable family and societal environment to develop their potential. The education and welfare first support industry started to heighten the quality of lives of children and young adults in disadvantaged conditions by achieving the education that is needed in every level of life so they can grow as capable adults in a democratic society and realize local education communities. This thesis has the goal of analyzing the education and welfare first support industry targeted school children centered guarding cause and harming cause, behavior intent and psychological social activitie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are a total of 719 5th-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1st-2nd-3rd graders in the middle school in the Gyeonggi-do Ansan region. The frequency test, factorial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4-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for the analysis of the response data, and the SPSS 15.0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ng research hypothesis through analysis is as below. First, the effects of personal guarding causes and harming causes on behavior intent was higher on the poor family students than on normal family students, and an intent to move was higher as grades got higher. An intent to move was higher as impulsiveness and early misdeed experiences were higher, and the students' intent to protest was higher as students' level of planning and self-efficiency rose. The intent to disregard gets lower as responsibility and self-efficiency rises, and the intent to disregard gets higher as impulsiveness and early misdeed experiences got higher. Second, the intent to move lowered as democratic child-rearing attitudes were taken toward the effects of family guarding causes and harming causes to behavior intent. The students' intent to protest was higher as the family's support and communication level rose. The intent of devotion rose as the family's level of support, communication and democratic child-rearing attitudes rose, and the intent to disregard lowered as the family's support and communication level rose, and the students' intent to disregard rose as the family's discord rose. Third, the students' intent to move and disregard lowered as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as support of teachers as societal guarding causes and harming causes effect gets better, and students' intent to move rose as the number of nearby minus environments and exposure to internet rose. The students' intent to protest and devote rose as the relationship of friends and support of teachers got better. Fourth, as the effect of behavior intent to psychological society behavior, as the intent to move and disregard heightened, societal atrophy and depression and anxiety was felt greatly, misbehavior and aggressive activities were frequent, social ability lowered, and the social ability rose as intent to protest and devote rose. Fifth, the effects of personal, family, societal guarding and harming causes on psychological society behavior is that as self-efficiency rises, social atrophy, depression and anxiety lowers, and as impulsiveness rises, societal atrophy rises as well. Also, as the number of early misdeed behaviors rises,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rises, and the number misdeed behaviors also rose. On the other hand, as the level of responsibility rose, the number of misdeed behaviors fell, and as the level of impulsiveness and early misdeed behavior experiences rose, aggressiveness rose, and as self-efficiency and responsibility rose, the social ability rose as well. As family support and communication level rose, the students' social atrophy, depression and anxiety fell and ability rose, and as a controlling rearing attitude and family discord heightened, the students' social atrophy, depression and anxiety rose, and ability fell. As the family's controlling rearing attitude and family discord heightened, aggressiveness rose, and the number of misdeed behaviors rose as well. Students who had good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support of teachers had low social atrophy, depression and anxiety, their aggressiveness was low, and their number of misdeed behaviors was low as well. As the number of nearby minus environment and internet exposure increased, the student's social atrophy and misdeed behaviors increased as well. Also, as the students' relationships with friends increased, the students' social ability increased, and as internet exposure increased, the students' social ability lowered. Sixth,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ociety behavior by behavior intent mediated effect as personal, family, societal guarding and harming causes is that the nearby minus environments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intent to move and disregard, and have an effect on depression and anxiety. Also, the effect of students' relationship to friends and nearby minus environments is mediated completely through intent to move, and the effect of teachers' support and nearby minus environments is mediated completely through the intent to disregard.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relationship with friends on aggressiveness was mediated completely through intent to move, and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support of teachers on aggressiveness was mediated completely through the intent to disregard. With these results as the base, the education and welfare first support industry must make a program that can improve planning, responsibility, and self-efficiency and make sure family support, teacher support and communication is done well so students can adapt well to school life. Also,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nearby minus environments have effects on misdeed behaviors, so children and young adults in poor families must be protected from the many harming causes as a social safety net, so they can develop into a healthy member of society. 빈곤가정의 아동은 경제적 어려움 이상으로 발달과 건강 그리고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위험요인이 되고 있다. 기본적인 욕구의 일차적인 욕구의 충족의 어려움과 아동의 잠재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안정된 가정환경과 사회환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불리한 여건에 있는 아동과 청소년들이 각 생애 단계별로 요구되는 교육적 성취를 이룸으로써 민주시민으로서의 역량을 갖춘 어른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하고 지역교육공동체 구현을 통해 취약계층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시작되었다. 본 논문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대상학교 아동을 중심으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행동의도 그리고 심리사회적 행동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안산 지역의 초등학교 5․6학년과 중학교 1․2․3학년 총 719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응답 자료의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t 검정,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4단계 매개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서 검증한 연구가설의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빈곤가정 학생들이 일반가정 학생들에 비해 그리고 학년이 높을수록 이동의도가 높았다. 충동성과 조기비행경험이 높을수록 이동의도는 높아졌고 계획성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생들의 항의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책임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무시의도는 낮아지고, 충동성과 조기비행경험이 높을수록 무시 의도는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정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민주적 양육태도를 많이 가질수록 이동의도는 낮아지고, 가족의 지지 및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항의 의도는 높았다. 가족의 지지 및 의사소통, 민주적 양육태도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충실의도는 높아졌으며 가족의 지지 및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무시의도는 낮아지고, 가정불화가 심할수록 학생들의 무시의도는 높아졌다. 셋째, 사회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교우관계가 원만하고, 교사의 지지가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이동의도와 무시의도는 낮아지고, 주변유해환경이 많고, 인터넷 노출이 심할수록 학생들의 이동의도는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교우관계가 원만하고, 교사의 지지가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항의의도와 충실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행동의도가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이동의도와 무시의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위축과 우울․불안을 많이 느끼며 비행행동과 공격적인 행동을 많이 하고 사회적 유능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항의의도와 충실의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개인적․가정적․사회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위축과 우울․불안은 낮아지고, 충동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위축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조기비행경험이 많을수록 우울․불안 수준은 높아지고 비행 행동을 많이 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책임감이 높을수록 비행 행동을 적게 하며 충동성과 조기비행경험이 높을수록 공격성이 높아졌고 책임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성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가족의 지지 및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위축과 우울․불안은 낮아지고 유능성은 높아졌으며 통제적 양육태도와 가정불화가 심할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위축 및 우울․불안은 높아지고 유능성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가정의 통제적 양육태도와 가정불화가 심할수록 공격성이 높아지고 비행 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우관계가 원만하고, 교사의 지지가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위축과 우울․불안 및 공격성이 낮아지고 비행행동은 적게 하고, 주변유해환경이 많고 인터넷 노출이 심할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위축과 비행 행동이 많아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우관계가 원만할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유능성은 높아지고, 인터넷 노출이 심할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유능성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행동의도 매개효과로 개인적․가정적․사회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주변유해환경은 이동의도와 무시의도의 매개를 통해서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교우관계와 주변유해환경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은 이동의도를 통해 완전 매개되고, 교사의 지지와 주변유해환경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의도를 통해 완전 매개되고 있었다. 학생들의 교우관계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은 이동의도를 통해 완전 매개되고, 학생들의 교우관계와 교사의 지지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의도를 통해 완전 매개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계획성, 책임감,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과 가족의 지지, 교사의 지지,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져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교우관계와 주변유해환경이 비행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사회안전망으로서 빈곤지역의 아동과 청소년이 지역사회환경의 많은 위험요인들로부터 보호되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스포츠클럽 참여학생의 재미요인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영찬 조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을 통해 얻는 재미요인에 대해 파악하고 그 재미요인의 수준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이를 통해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에 자료를 제공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자 하며, 학교스포츠클럽의 재미요인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G지역에서 소재한 중·고등학교 1-3학년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2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유효표본 204부를 이용하였다. 또한 SPSS Ver. 22.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을 시 scheffe를 이용한 사후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의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학교스포츠클럽 재미요인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학교스포츠클럽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인 친구사교, 승리와 경쟁, 기술향상, 건강체력, 유능성 지각, 일상탈출 모두 남학생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속에서는 학교스포츠클럽 재미요인의 하위요인 모두가 중학교집단에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주당 횟수에서는 3회 이상의 집단에서 모든 하위요인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재미요인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스포츠클럽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인 친구사교는 교사관계,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승리와 경쟁은 학교규칙에 영향을 미쳤으며, 건강체력은 학교환경과 학습활동의 즐거움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유능성지각은 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상탈출은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fun factors obtained from the school sports club and examine the effects of the level of fun factors on school adjustment. Also, the study aimed to provide information to operate the school sports club and induc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offer dat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un factors and school adjustment.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the G area were selected and 250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204 effective samples were used. Using the SPSS Ver. 22.0 statistical packag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Wh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Scheffe’s post-hoc test was performed.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re was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un factor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students joining the school sports club. For gender, boy students showed high perception in all sub-factors of fun factors(making friends, victory and competition, improved skills, physical strength, perceived competence, and escape from daily routine). For belonging, the middle school group showed high perception in all sub-factors. For frequency per week, the group joining more than three times showed a high average in all sub-factors. Second, fun factors had an effect on school adjustment in the school sports club. Making friends had an effect on studen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associates. Victory and competition had an effect on school rules and physical strength had an effect on school environment and happy learning activity. Moreover, perceived competence had an effect on activeness and escape from daily routine had an effect on students’ associates.

      • 한·중 사회 호칭어 비교 연구

        사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称谓语在我们的日常生活中很重要,在日常生活中我们使用的称谓语一般是给对方提供的第一个信息。称谓语虽然是很短,但如果在日常生活中正确使用,就能更加顺畅地和对方进行沟通。如果不能正确的使用,会产生误会,给对方留下坏印象。因此,称谓语在语言体系中占据着非常重要的位置。 在韩国语和汉语的两种语言体系中,称谓语通常分为亲属称谓语和社会称谓语。亲属称谓语是指在血缘或婚姻关系中的人之间的称呼,社会称谓语是非亲属关系,在社会交际活动中的人之间的称呼。人们每天都会和非亲属关系的人一起度过职场生活、学校生活等。在这样的社会生活中,社会称谓语的正确使用尤为重要。先行研究中对亲属称称谓语的研究有很多,但对社会称谓的研究却不是很多。 本研究将韩语和汉语的称謂語分为"名字称谓语"、"身份称谓语"、"统称称谓语"、"代替称谓语"等4种类型,对现代韩中两国社会中常用的称谓语从语法特征和使用两个方面进行对比,分析两国社会称谓语的共同点和差异。另外,从学校和职场两个方面,观察社会称谓语的使用情况,希望帮助中国学生在社会生活中正确使用社会称谓语。本研究主要从以下几个方面进行。 第1章 表明研究的目的和重要性以及研究方法,并研究对两国社会称谓的先行研究进行整理。 第2章中,我们称谓语的研究理论为基础,对社会称谓语的概念和类型进行整理和分析。 第3章以电视剧中的例句为素材,按照"名字称谓语"、"身份称谓语"、"统称称谓语"、"代替称谓语"4种类型,对现代韩中两国社会中常用的称谓语进行对比,分析两国社会称谓语的共同点和差异。分析时,首先讨论韩国社会称谓语的特征之后,再讨论汉语社会称谓语的特征。最后,我们对韩中社会称谓语进行对比找出共同点和差异。 在第四章中如何选择韩语和汉语的称谓语以及为什么要进行这样选择。另外,揭示韩中两国在学校和社会社会称谓语的使用情况的异同,为学校和职场的汉语学习者提供学习素材。 第五章是本研究的结论。将以上的研究内容进行整理。 关键词:社会称谓词,特征,使用,决定因素,共同点,差异,比较 호칭어는 우리 일상생활에서 사람을 부를 때 쓰는 부름말이고 보통 상대방에게 주는 첫 번째 정보이다. 호칭어는 매우 짧고 간단한 언어 표현이지만 정확하게 잘 사용하면 의사소통을 더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호칭어를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하면 소통의 오해가 생길 수 있고 상대방에게 나쁜 인상을 줄 수도 있다. 그래서 호칭어는 언어 체계에서 아주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선행 연구를 보면 친족 호칭어에 대한 연구는 많고 체계적이나 사회 호칭어에 대한 연구는 그렇지 않다. 그러나 사람들은 매일 친족 관계인 사람들 보다 사회관계로 얽혀 있는 사람들과 함께 직장, 학교생활 등을 하며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이러한 사회생활에서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사회 호칭어를 바르게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 호칭어에 대한 연구는 호칭어 연구에 있어서 중요하며 친족호칭어 연구만큼 사회 호칭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사회 호칭어를 '이름 호칭어', '신분형 호칭어', '통칭적 호칭어', '대체형 호칭어'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한·중 드라마 대화에 나타난 호칭어 자료를 바탕으로 현대 한·중 양국 사회에서 자주 사용되는 호칭어의 특징을 대조·분석하여 한·중 양국 사회 호칭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또 사회 호칭어 선택의 결정 요인을 권력 요인, 연령 요인, 친근 요인, 상황 요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다음 중국인 학습자가 사회생활을 할 때 적절한 호칭어 사용에 도움이 되기 위해 영역별로 한·중 사회 호칭어 사용 양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본문의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호칭어의 연구 원리, 방법을 확정하고 한·중 양국 사회 호칭어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제2장에서는 이 연구 이론적 배경이 될 수 있는 한·중 사회 호칭어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다음에 양국 호칭어를 비교하기 위해서 사회 호칭어의 유형을 의미 위주로 '이름 호칭어', '신분형 호칭어', '통칭적 호칭어', '대체형 호칭어'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제3장에서는 드라마에 나오는 사회 호칭어를 '이름 호칭어', '신분형 호칭어', '통칭적 호칭어', '대체형 호칭어' 네 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결합 방식에 있어서 한국어 이름형, 신분형 호칭어와 중국어의 이름형, 신분명형, 통칭형에 속한 일반화 된 친족 호칭어는 다른 요소와 활발한 결합 양상을 보여 준다. 이와 반대로 한국어 통칭형 호칭어에 속한 일반화된 친족 호칭어는 그다지 활발하지 않다. 각 유형의 특징을 보면 한·중 양국 이름형 호칭어의 형태를 통해서 화자와 청자의 친소 관계를 대략 파악할 수 있지만, 한국어 이름형 호칭어는 중국어 이름형 호칭어보다 친소관계의 등급이 더 뚜렷하다. 한국과 중국은 대화 시 신분이 차별화되어 있으나 중국에서는 이것이 엄격하지 않고 직함이나 직업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한·중 통칭형 호칭어는 모두 일반화된 신분형 호칭어, 일반화된 친족 호칭어, 그리고 외관지시형 호칭어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중국에서 일반화된 친족 호칭어를 제외한 나머지 두 유형은 중국에 사회에 변화에 따라 현재 사회에서 사용빈도가 낮아지고 사용범위도 축소된 반면에 '美女', '帅哥' 등 새로 나타난 호칭어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중국과는 다르게 한국어 통칭형 호칭어는 비교적 안정적인 발전과정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중 양국 대체형 호칭어는 다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지만 중국어는 '저기요', '여기요'처럼 처소지칭형 호칭어를 대응하는 호칭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제4장에서는 사회 호칭어를 선택할 때 선행 연구를 참조하여 결정 요인을 크게 권력 요인, 연령 요인, 친근 요인, 상황 요인 네 가지로 분류해 살펴보았다. 이후 학습자가 많이 접하는 장소인 학교, 직장으로 나누어 각 영역에서 사용하는 사회 호칭어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는 양국 호칭어 선택에 문화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양국 학교에서는 친근감을 나타나기 위해서 일반화된 친족 호칭어를 사용하지만, 한국에서는 일반화된 친족 호칭어를 더 많이 사용하고 중국에서는 이름으로 불리는 것을 더 친근하게 느낄 수 있다. 직장에서 사용하는 호칭어를 보면 유교의 등급 제도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아 호칭어 체계에도 상대적 차별이 있다. 따라서 한국어는 중국어 사회 호칭어 유형에 비해 직함 호칭어가 더 발달되어 있고 직장에서 이름 호칭어보다 직함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중국은 한국과 달리 등급 같은 권력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그래서 직함 호칭어의 사용이 엄격하지 않다. 제5장은 본 연구의 결론이다. 지금까지 연구한 내용들을 전체적으로 요약하는 것으로 마무리할 것이다. 주요어: 사회 호칭어, 특징, 사용, 결정 요인, 공통점, 차이점 비교

      • 탁구동호인의 재미요인이 운동열정 및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

        이경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탁구동호인의 재미요인이 운동열정 및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광역시, K지역의 탁구동호회 활동을 하는 20세 이상 남·녀 성인 445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으로 추측되거나 응답하지 않은 설문지 12부를 제외한 나머지 433부의 유효표본을 본 연구결과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의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α을 사용하였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요인별 차이검증을 위해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요인 간 인과관계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탁구구동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재미요인, 운동열정, 긍정심리자본의 차이는 첫째, 성별에 따른 재미요인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미요인의 유능성지각, 승리와 경쟁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탁구동호인의 나이에 따른 재미요인, 운동열정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인 유능성 지각에서 50대 동호인들이 60대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30대 동호인들 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승리와 경쟁에서 20대 동호인들과 30대 동호인들이 60대 동호인들보다 승리와 경쟁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 분위기에서 30대 동호인들이 60대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습과 혜택은 30대 동호인들이 60대 보다 팀 분위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열정의 조화열정은 30대 동호인들이 60대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탁구동호인의 운동참여빈도에 따른 차이는 재미요인, 운동열정, 긍정심리자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탁구동호인의 운동참여시간에 따른 차이는 재미요인, 운동열정, 긍정심리자본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미요인의 유능성 지각은 팀 분위기 요인에서 60분 참여한 동호인들보다 120분, 150분 참여한 동호인이 높게 나타났으며, 승리와 경쟁은 60분 참여한 동호인들보다 150분 참여한 동호인이 높게 나타났으며, 운동열정의 조화열정은 150분 참여한 동호인들보다 90분 참여한 동호인이 높게 나타났고, 긍정심리자본의 낙관주의은 150분 참여한 동호인들이 90분 참여한 동호인들보다 높게 나타났고 회복탄력성은 120분, 150분 참여한 동호인들이 60분 참여한 동호인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탁구동호인의 운동경력에 따른 재미요인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미요인의 유능성 지각은 8년 이상 참여한 동호인들이 1년 미만 참여한 동호인들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운동열정, 긍정심리자본의 모든 하위요인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요인 간 인과관계를 분석결과로는 첫째, 탁구동호인의 재미요인이 운동열정에 미치는 영향에서 재미요인은 유능성 지각, 팀 분위기, 연습과 혜택, 가족지원 요인에서 운동열정의 하위요인인 조화열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미요인의 승리와 경쟁, 가족지원 요인에서 운동열정의 하위요인인 강박열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탁구동호인의 재미요인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재미요인은 유능성 지각에서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인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미요인의 유능성 지각, 승리와 경쟁, 팀 분위기, 연습과 혜택에서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인 낙관주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미요인의 유능성 지각, 팀 분위기, 연습과 혜택, 가족지원에서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인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탁구동호인의 운동열정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에서 운동열정은 조화열정에서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인 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탁구동호인들이 가진 재미요인은 운동열정 및 긍정심리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탁구동호인을 한 지역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표준화하는데는 한계가 있으며, 연구결과에 대한 선행연구의 제시와 이에 따른 정확한 해석과 논의가 부족한 부분도 있다.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생활체육 탁구 참여자의 재미요인, 운동열정, 긍정심리자본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양적연구에 한정하여 진행하였으며, 생활체육 탁구 참가자의 특성상 각 변수를 보다 심층 있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이에 다양하고 체계적인 연구방법과 병행하여야 유용한 결과를 얻어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재미요인, 운동열정, 긍정심리자본의 변인들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영향 관계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영향 관계의 인과관계에 있어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요인 이외 다양한 요인들이 조절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며,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요인들과 인과관계를 밝힐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한 지역의 탁구 동호인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연구하였기 때문에 폭넓고 광범위한 생활체육 종목에 일반화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표집대상 및 지역별 혹은 전국으로 확대하여 향후 생활체육이 발전 또는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미용학원선택요인과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학업성취도의 매개효과

        이선영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World Economic Forum Annual Meeting 2016 reported that as many as 7.1 million jobs would disappear while a total of 2.1 million new jobs would be created in 15 major economics over the following five years. At present, students are in an employment structure in which they are anticipating new future jobs which don’t in fact exist yet. These social changes have brought a transformation in career education and career-decision making around the globe. Since they have resulted in rapid changes in the vocational world, employment environments and job circumstances domestically and globally, future uncertainty has been on the rise. In addition, youth unemployment is growing into a social and even national problem. Under such unfavorable circumstances, it has become more difficult for students to choose and prepare the career that best fits them. In particular, compared to other students, those majoring in cosmetology are given fewer options for deciding their career. Since the understanding is that their career is already decided, they encounter chaos unless appropriate career guidance is given. In the cosmetology industry, services are provided through long-term contact with customers. Hence, cosmetology is labor-intensive industry with high human resources dependency. To enhance competitiveness, therefore, it is critical to acquire and properly manage professional staff. This study aimed to look at practical training methods by analyzing relations among the factors needed to set a more specific and systematic career direction in addition to practices and ultimately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cosmetology education that is need to produce professional cosmetologists. For thi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mong cosmetologists who had taken a prior class at a cosmetology academy. Among the questionnaires distributed, a total of 481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varianc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2.0.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to examine validity and reliability by factor, facto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cosmetology academy selection factor-related questions, three factors were derived as follows: ‘quality of education’, ‘reasonable price’ and ‘environment and facilities’. For career-decision making, ‘planning’ and ‘goal selection’ were obtained.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only one factor was derived. Second, regarding the influence of cosmetology academy selection factors on career-decision making, a positive effect was foun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quality of education’, ‘reasonable prices’ and ‘environment and facilities’. Concerning the influence of cosmetology academy selection on academic achievemen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as observed in ‘quality of education’, ‘reasonable prices’ and ‘environment and facilities’.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academic achievement on career-decision making, a positive effect was foun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on all independent variables. Third,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smetology academy selection factors and career-decision making, regression coefficients decreased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confirming the perfect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could be the basis to produce professional cosmetologists by setting an appropriate system for cosmetology academy selection factors and helping future cosmetologists and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who are preparing their career through multidirectional communications such as counseling and customized learning, to have appropriate awareness of their career dire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suggested appropriate directions for cosmetology education with practical training programs by verifying the factors affecting cosmetologists’ career-decision making in practice as well as in theory. 2016년 다보스포럼(World Economic Fourm: WEF)에서는 향후 5년 동안 15개국에서 710만개의 직업이 사라지고 210만개의 새로운 직업의 일자리가 만들어 질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현재 학생들은 아직 존재하지 않은 새로운 직업을 갖게 되는 고용구조 속에 있으며 이런 사회적 변화는 세계적으로 진로교육이나 진로결정의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우리나라 뿐 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직업세계, 고용환경, 직무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고 있기 때문에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증가하고 있고, 청년실업의 개인적 문제를 벗어나 사회문제 그리고 국가적 문제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학생들에게 적합한 진로를 결정하고 준비하는 일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으며, 특히 미용을 전공하는 학생의 경우 일반 전공의 학생에 비해 진로결정의 폭이 좁아지면서 이미 진로가 결정되어진 것처럼 인식되어 적절한 진로지도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진로문제에 대한 혼란을 겪을 수 있다. 미용 산업은 장시간 접촉을 통한 서비스가 이루어지므로 인적자원의 의존도가 높은 노동 집약적 산업이므로 경쟁력을 위해 고급인력의 확보와 지속적인 인적자원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실습적인 부분이외에 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진로방향을 위한 요인들의 관계를 통해 실질적인 교육방법을 연구 하고 궁극적으로 전문 미용 인재를 위한 효과적인 미용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검증을 위하여 선택한 조사 방법으로는 미용학원을 다닌 경험이 있는 미용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지법(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 을 통하여 조사한 총 481부의 설문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여 본 연구의 자료로 사용되었고, SPSS 22.0 통계 전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인분석과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과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차이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첫째, 요인별 타당성 및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요인별 분석을 하였고, 미용학원선택요인 문항의 요인분석 한 결과 ‘교육의질’, ‘합리적 가격’, ‘환경 및 시설’의 세 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진로결정은 ‘계획수립’, ‘목표선택’의 두 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학업성취도는 단일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미용학원선택이 진로결정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교육의 질, 합리적 가격, 환경 및 시설에서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미용학원선택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교육의 질, 합리적 가격, 환경 및 시설에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성취도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역시 모두 독립변수의 영향력에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학원선택요인과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학업성취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회귀계수 값이 줄어들었을 뿐만 아니라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학업성취도의 완전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소비자가 미용 학원을 선택하는 요인들에 대한 시스템을 알맞게 설정하고, 소통, 상담, 맞춤 학습 방법 등의 다각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자기 진로를 준비하는 예비 미용인과, 미용전공 학생들에게 올바른 진로에 대한 바른 인식을 고취시켜, 전문적인 미용인재를 위한 발판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이론교육뿐 아니라 실습교육에도 미용인의 성숙한 진로를 결정짓게 하는 요인들을 검증하여 실질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가지고 앞으로의 미용교육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대해 연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